고려대장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대장경은 고려 시대에 외침을 막고 불교의 힘으로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간행된 불경이다. 초조대장경과 팔만대장경, 속대장경을 포함하여 총 3차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특히 몽골의 침략을 불력으로 극복하고자 했던 염원이 담겨 있다. 초조대장경은 몽골의 침략으로 소실되었으나, 팔만대장경은 현재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고려대장경은 붓다의 가르침을 담은 경전, 율, 논 외에도 다양한 저자들의 글과 만트라, 다라니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쇄술과 출판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대장경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은 13세기 고려 시대에 몽골 침입을 불력으로 막고자 제작된 대장경 판목으로,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고, 방대한 분량과 보존 상태로 동아시아 불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대장경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은 13세기 고려 시대에 몽골 침입을 불력으로 막고자 제작된 대장경 판목으로,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고, 방대한 분량과 보존 상태로 동아시아 불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대장경 - 다이쇼 신수 대장경
다이쇼 신수 대장경은 다카쿠스 준지로와 와타나베 가이쿄쿠가 주도하여 1924년부터 1934년까지 일본에서 간행된 불교 대장경으로, 인도부, 중국부, 일본부 등으로 구성되어 총 100권으로 완간되었으며, 한국 고승들의 저술이 포함되어 한국 불교 사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한국의 문화재 - 선죽교
선죽교는 고려 태조 왕건이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는 개성의 다리로, 정몽주가 암살당한 후 그의 충절을 기려 이름이 바뀌었으며, 현재 그의 충성을 기리는 서원과 비석이 다리 옆에 위치해 있다. - 한국의 문화재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은 13세기 고려 시대에 몽골 침입을 불력으로 막고자 제작된 대장경 판목으로,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고, 방대한 분량과 보존 상태로 동아시아 불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고려대장경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재조대장경 |
종류 | 불경 |
언어 | 한문 |
제작 시기 | 1236년 ~ 1251년 |
보관 장소 | 해인사 장경판전 |
문화재 지정 | 대한민국의 국보 제32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 |
유네스코 등재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007년) |
상세 정보 | |
구성 | 경·율·론 삼장 |
경판 수 | 81,350여 판 |
총 글자 수 | 52,382,960여 자 |
경판 재료 | 자작나무 |
경판 크기 | 가로 70cm, 세로 24cm, 두께 2.6 ~ 3cm |
보존 상태 | 양호 |
역사 | |
초조대장경 소실 | 1232년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소실 |
재조대장경 착수 | 1236년 |
재조대장경 완성 | 1251년 |
특징 | |
내용 정확성 | 내용이 정확하고 오탈자가 적음 |
보존 과학 | 장경판전의 과학적인 설계로 경판이 800년 이상 보존됨 |
문화적 가치 | 동아시아 불교 연구의 중요한 자료 |
2. 배경
고려 때 외침을 막고자 불경을 간행한 것이 고려대장경이다. 대장경 2회, 속대장경 1회, 총 3회 간행되었다.
고려대장경은 고려 때 외침을 막고자 간행한 불경이다. 간행 횟수는 대장경 2회와 속대장경 1회까지 합하여 총 3회이다. 1963년~1965년 해인사에서 1,339권으로 전판을 영인하였다.[1]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로 국호를 정했으며, 통일신라(남조)의 귀족 문화를 거의 그대로 이었다. 발해(북조)와 별개로 후삼국을 군사적 대립과 복속으로 통일했기에, 문반과 무반의 차이를 문화 특징으로 규정하지는 않았다. 각 호족과 사병 집단의 느슨한 연합 구조가 유지되던 중, 거란과 몽골 등 북방 유목 민족 국가들의 침입을 받자 부처의 힘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방대한 대장경 간행 사업이 이루어졌으며, 크게 제1차 대장경 간행과 제2차 대장경 간행으로 나뉜다.[1]
3. 제1차 대장경 간행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귀족 문화를 바탕으로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거란과 몽골 등 북방 유목 민족의 침입을 받으면서 부처의 힘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대장경 간행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는 크게 제1차 대장경 간행과 제2차 대장경 간행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차 대장경 간행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과 《속대장경(續大藏經)》으로 나뉜다.
3. 1. 초조대장경
고려대장경은 고려 때 외침을 막고자 간행한 불경이다. 간행 횟수는 대장경 2회와 속장경 1회까지 합하여 총 3회이다.[1]
제1차 때 간행한 대장경은 흔히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이라고 불리는 《초판고본대장경(初版古本大藏經)》과 《속대장경(續大藏經)》으로 나눈다. 요나라(거란)의 침입을 받아 곤경에 있을 때 불심(佛心)으로 그것을 물리치기 위하여 간행에 착수하였다.
현종 때부터 문종 때에 걸쳐 완성되었다. 대구의 부인사(符仁寺 : 지금은 없음)에 도감(都監)을 두고, 《대반야경》 6백 권, 《화엄경》, 《금광명경》, 《묘법연화경》 등 6천여 권을 목판에 새겨 만들었다.
이 《초조대장경》은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입을 받아 병화(兵火)로 없어졌고, 약간 남아 있는 것은 일본 교토 난젠지(南禪寺. 南禅寺. 남선사)에 1,715권이 전하고 있을 뿐이다.
3. 2. 교장
《교장(敎藏)》은 대장경이 아닌 여러 불교 교파의 교리를 정리한 장서이다. 이전의 초조대장경의 주석도 포함되어 있기에, 《속대장경(續大藏經)》 또는 《의천의 속장경》이라고도 부른다.[1]
의천은 송나라에 다녀오면서 불서와 불경을 수집하고, 요나라와 일본에서 수집한 것을 모아 4,700여 권을 수집하였다. 1073년(문종 27)부터 1090년(선종 7)까지 수집한 불경의 총 목록을 작성하여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라 했다. 이 목록에 따라 차례대로 목판에 새겨 만들었다. 흥왕사(興王寺)에 교장도감을 두고 1096년(숙종 1)에 완성하였다.
이는 모두 1,010부 4,740여 권이며, 대구 부인사(符仁寺)에 두었던 것이 1235년(고종 22년) 몽골과의 전쟁으로 황룡사 9층 목탑과 함께 소실되었다. 그러나, 《속장경》의 인쇄본 일부와 목록인 《신편제종교장총록》이 순천 송광사에 《대반열반경소(大般涅槃經疏)》 중 제9권과 제10권이 있고,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천태사교의》, 일본 나라 도다이사(東大寺)에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 40권, 나고야 신후구사(眞福寺)에 《석마하연론통현초(釋摩詞衍論通玄鈔)》 4권이 전해 온다.
4. 제2차 대장경 간행
고려 시대에는 외침을 막고자 불교 경전인 대장경을 간행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대장경 간행은 크게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여기서는 제2차 대장경 간행에 대해 알아본다.
대장경은 부처의 말씀을 기록한 '경',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내용을 담은 '율', 후대 학자들의 글인 '논'의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 이 중에는 붓다의 가르침 외에도 인도, 중국, 한국의 109명(팀)의 저자들이 만든 글도 포함되어 있다.
고려대장경 저자 (일부)
번호 | 활동 시대 | 저자 | 대장경에 수록된 경전 수 | 대표 저서 (대장경 번호/경전명) |
---|---|---|---|---|
1 | BC 563년경 ~ BC 483년경 | 고타마 싯다르타 | 제목이 불설로 시작 611개, 저자 미상 664개 | 648. 중아함경 (中阿含經) |
2 | 마하 마우드갈리아야나 | 1개, 12권 | 945. 아비달마법온족론 (阿毘達磨法蘊足論) | |
3 | 카탸야나 | 2개, 90권 | 943. 아비담팔건도론 (阿毘曇八犍度論) | |
4 | 사리 푸트라 | 1개, 20권 | 946. 아비달마집이문족론 (阿毘達磨集異門足論) | |
5 | 불멸 후 100년 | 데바 샤르만 | 1개, 16권 | 947. 아비달마식신족론 (阿毘達磨識身足論) |
78 | 617~686년 | 원효 | 1개, 3권 | 1501.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 |
79 | 625~702년 | 의상 | 1개, 2권 | 1502. 법계도기총수록 (法界圖記叢髓錄) |
102 | 923~973년(고려) | 균여 | 4개, 16권 | 1507. 십구장원통기 (十句章圓通記) |
106 | 1178∼1234년 | 혜심 | 1개, 30권 | 1505. 선문염송집 (禪門拈頌集) |
107 | 13세기 초 | 단용 연선사 (고려) | 1개, 3권 | 1500.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
108 | 1248년 | 대장도감 | 1개, 3권 | 1405. 대장목록 (大藏目錄) |
109 | 1251년 | 수기 | 1개, 30권 | 1402. 고려국 신조대장 교정별록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
5. 고려대장경 저자
고려대장경은 고려 시대에 외침을 막고자 간행한 불경으로, 경(經), 율(律), 논(論) 삼장(三藏)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은 붓다의 말씀을 기록한 것이고, 율은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내용을, 논은 후대 학자들의 글을 담고 있다.[1]
고려대장경에는 붓다의 말씀 외에도 100명이 넘는 다른 저자들의 글이 포함되어 있는데, 인도, 중국, 한국 등 다양한 지역 출신이며, 활동 시기 또한 붓다 생전부터 고려 시대까지 폭넓게 분포한다.
불교 경전은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전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수많은 승려와 학자들이 번역에 참여하였다. 특히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온 경전, 또는 먼 바닷길을 통해 들어온 경전 번역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때로는 국가적 차원에서 수백, 수천 명의 승려와 번역가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학술 모임 형태로 번역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구마라습이나 현장의 한역 과정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려 초조대장경은 당나라 지승이 지은 개원석교록을 참고하여 구성되었으며,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은 초조대장경에 일부 경전이 추가되었다.
5. 1. 고려대장경 저자 목록 (활동 시기별)
번호 | 활동 시기 | 저자 | 고려대장경에 수록된 경전 수 | 대표 저서 (고려대장경 번호/경전명) |
---|---|---|---|---|
1 | BC 563년경 ~ BC 483년경 | 고타마 싯다르타 (붓다) | 제목이 불설로 시작 611개, 저자 미상 664개 | 648. 중아함경 (中阿含經) |
2 | 마하 마우드갈리아야나 (목건련) | 1개 12권 | 945. 아비달마법온족론 (阿毘達磨法蘊足論) | |
3 | 카탸야나 (가전연자) | 2개 90권 | 943. 아비담팔건도론 (阿毘曇八犍度論) | |
4 | 사리 푸트라 (사리자) | 1개 20권 | 946. 아비달마집이문족론 (阿毘達磨集異門足論) | |
5 | 불멸후 100년 | 데바 샤르만 (제바설마) | 1개 16권 | 947. 아비달마식신족론 (阿毘達磨識身足論) |
6 | 카탸야니 (가다연니자) | 1개 20권 | 944. 아비달마발지론 (阿毘達磨發智論) | |
7 | 정량부 법사 | 붓다 트라타 (불타다라다) | 1개 1권 | 942. 율이십이명료론 (律二十二明了論) |
8 | 부법장 9대 | 붓다 미트라 (불타밀다) | 1개 1권 | 1006. 오문선경 요용법 (五門禪經要用法) |
9 | 불멸후 500 또는 700년 | 다르모 타라 (법승) | 2개 10권 | 959. 아비담심론 (阿毘曇心論) |
10 | 1~2세기 | 아슈바 고샤 (마명) | 9개 47권 | 980. 불소행찬 (佛所行讚) |
11 | 1~2세기 | 바수 미트라 (세우) | 6개 45권 | 963. 존바수밀보살소집론 (尊婆須蜜菩薩所集論) |
12 | 2세기 | 마트리 체타 (마희리제타, 모아) | 1개 1권 | 1024. 일백오십찬불송 (一百五十讚佛頌) |
13 | 2세기 | 아리아 슈라 (성용, 대용보살) | 1개 1권 | 1044. 분별업보약경 (分別業報略經) |
14 | 2세기 중엽 | 오백대아라한 | 2개 260권 | 951. 아비담 비바사론 (阿毘曇毘婆沙論) |
15 | 150~ 250 추정 | 나가르주나 (용수) | 22개 185권 | 630. 회쟁론 (廻諍論) |
16 | 170~270 | 데바 (성천, 제바) | 7개 18권 | 581. 백론 (百論) |
17 | 150~250 | 우파티사 (우파저사, 대광) | 1개 12권 | 968. 해탈도론 (解脫道論) |
18 | 불멸 700년 | 상가 락샤 (승가라찰) | 3개 11권 | 985. 승가라찰소집경 (僧伽羅刹所集經) |
19 | 상카라스바민 (상갈라주보살) | 1개 1권 | 607. 인명입정리론 (因明入正理論) | |
20 | 울란가 (울능가) | 2개 2권 | 641. 연생론 (緣生論) | |
21 | 수다 마티 (정의) | 1개 1권 | 646. 십이인연론 (十二因緣論) | |
22 | 바이사캬 (비사거) | 1개 3권 | 925. 근본설일체유부 비나야 송 (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頌) | |
23 | 지나 미트라 (승우) | 1개 14권 | 934. 근본살바다부율섭 (根本薩婆多部律攝) | |
24 | 우파 산타 (우바선다) | 1개 6권 | 958. 아비담심론경 (阿毘曇心論經) | |
25 | 고샤 (구사, 묘음) | 1개 2권 | 961. 아비담감로미론 (阿毘曇甘露味論) | |
26 | 바수 바드라 (산현) | 2개 5권 | 965. 삼법도론 (三法度論) | |
27 | 카탸야니 푸트라 (시타반니) | 1개 14권 | 971. 비바사론 (鞞婆沙論) | |
28 | 바수 바르마 (바수발마) | 1개 4권 | 974. 사제론 (四諦論) | |
29 | 마티 찬드라 (혜월) | 2개 2권 | 1046. 대아라한 난제밀다라 소설 법주기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 |
30 | 서토현성(西土賢聖) | 1개 1권 | 1225. 불삼신찬 (佛三身讚) | |
31 | 서방현성(賢聖) | 1개 1권 | 1414. 성관자재보살공덕찬 (聖觀自在菩薩功德讚) | |
32 | 선적(善寂) | 1개 2권 | 1430. 집제법보최상의론 (集諸法寶最上義論) | |
33 | 붓다 스리즈나나 (각길상지) | 1개 2권 | 1435. 집대승상론 (集大乘相論) | |
34 | 트리라트나다사 (삼보존) | 1개 4권 | 1459.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석론 (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釋論) | |
35 | 캄발라 (승덕적의) | 1개 2권 | 1478. 성불모반야바라밀다구송정의론 (聖佛母般若波羅蜜多九頌精義論) | |
36 | 아발로키타심하 (관무외) | 1개 10권 | 1494. 제법집요경 (諸法集要經) | |
37 | 4세기 | 다르마 트라타 (법구) | 5개 21권 | 960. 잡아비담심론 (雜阿毘曇心論) |
38 | 4세기 | 하리 바르만 (하리발마) | 1개 16권 | 966. 성실론 (成實論) |
39 | 4세기 | 핑갈라 (청목) | 1개 4권 | 577. 중론 (中論) |
40 | 350~430년 추정 | 마이트레야 (미륵, 자씨) | 8개 109권 | 598. 결정장론 (決定藏論) |
41 | 300~390년 추정 | 아상가 (무착, 아승가) | 13개 73권 | 591. 섭대승론 (攝大乘論) |
42 | 302~400년 추정 | 바수반두 (세친) | 34개 143권 | 608. 유식이십론 (唯識二十論) |
43 | 바수반두(세친)(302~400)과 동시대 | 스칸딜라 (새건다라) | 1개 2권 | 964. 입아비달마론 (入阿毘達磨論) |
44 | 342~423년 동진 | 법현(法顯) | 2개 2권 | 1073. 고승법현전 (高僧法顯傳) |
45 | 384~417년 | 도략(道略) | 1개 1권 | 1016. 잡비유경 (雜譬喩經) |
46 | 463년 | 승거(僧璩) | 1개 1권 | 920. 십송갈마비구요용 (十誦羯磨比丘要用) |
47 | 5세기 전반활동 | 상가세나 (승가사나) | 2개 7권 | 987. 백유경 (百喩經) |
48 | 5세기 | 붓다고샤 (불음) | 1개 18권 | 938. 선견율비바사 (善見律毗婆沙) |
49 | 5세기경 | 상가바드라 (승가발타라, 중현) | 2개 120권 | 956. 아비달마순정리론 (阿毘達磨順正理論) |
50 | 나가르주나(용수)~달마급다 사이 | 자재(自在) | 1개 6권 | 585. 보리자량론 (菩提資糧論) |
51 | 464~549년 (양) | 제대법사(양나라의 여러 승려) | 1개 10권 | 1512. 자비도량참법 (慈悲道場懺法) |
52 | 445~518년 | 승우(僧祐) | 3개 34권 | 1080. 홍명집 (弘明集) |
53 | 467~527년(양) | 승민(僧旻) | 1개 50권 | 1050. 경율이상 (經律異相) |
54 | 522년(양) | 명휘(明徽) | 1개 1권 | 905. 오분비구니계본 (五分比丘尼戒本) |
55 | 497~554년 | 혜교(慧皎) | 1개 14권 | 1074. 고승전 (高僧傳) |
56 | 516년 | 보창(寶唱) | 2개 54권 | 1086. 비구니전 (比丘尼傳) |
57 | 용수이후 | 구나다 (공덕시) | 1개 2권 | 559. 금강반야바라밀경파취착불괴가명론 (金剛般若波羅蜜經破取着不壞假名論) |
58 | 480~540 | 딕나가 (동수, 대역룡, 진나) | 10개 13권 | 606. 인명정리문론본 (因明正理門論本) |
59 | 490년경-570년경 | 니르데사프라바 (분별명) | 1개 15권 | 578. 반야등론석 (般若燈論釋) |
60 | 490년경-570년경 | 바바비베카 (청변) | 1개 2권 | 620. 대승장진론 (大乘掌珍論) |
61 | 5~6세기 | 구나마티 (덕혜) | 1개 1권 | 962. 수상론 (隨相論) |
62 | 470~550년 추정 | 스티라마티 (견혜, 안혜, 견의보살) | 7개 43권 | 576.대승아비달마잡집론 (大乘阿毘達磨雜集論) |
63 | 530 ~ 561 | 다르마팔라 (호법) | 4개 26권 | 614. 성유식론 (成唯識論) |
64 | 호법(護法: 530~561)의 제자 | 지나푸트라 (최승자) | 1개 1권 | 575. 유가사지론석 (瑜伽師地論釋) |
65 | 호법(護法: 530~561)의 제자 | 반두프라바 (친광) | 1개 7권 | 554. 불지경론 (佛地經論) |
66 | 6세기 | 아스바바바 (무성) | 1개 10권 | 595. 섭대승론석 (攝大乘論釋) |
67 | 597년(수) | 보귀(寶貴) | 1개 8권 | 128. 합부금광명경 (合部金光明經) |
68 | 594년 | 법경(法經) | 1개 7권 | 1054. 중경목록 (衆經目錄) |
69 | 597년(수) | 비장방(費長房) | 1개 15권 | 1055. 역대삼보기 (歷代三寶記) |
70 | 572~640년(당) | 법림(法琳) | 2개 10권 | 1076. 변정론 (辯正論) |
71 | 602~668 | 지엄(智儼) | 1개 5권 | 1506. 대방광불 화엄경 수현분 제통지방궤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
72 | 596~667년 | 도선(道宣) | 10개 85권 | 1070. 도선율사감통록 (道宣律師感通錄) |
73 | 602년 추정~664년 | 현장(玄奘) | 1개 12권 | 1065. 대당서역기 (大唐西域記) |
74 | 665년 | 정매(靖邁) | 1개 7권 | 1059. 고금역경도기 (古今譯經圖紀) |
75 | 당고종시대 | 현응(玄應) | 1개 25권 | 1063. 일체경음의 (一切經音義) |
76 | 615~미상 | 혜립(慧立) | 1개 10권 | 1071. 대당 대자은사 삼장법사전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
77 | 662년 | 언종(彦悰) | 2개 9권 | 1068. 집사문불응배속등사 (集沙門不應拜俗等事) |
78 | 617~686년 | 원효(元曉) | 1개 3권 | 1501.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 |
79 | 625~702년 | 의상(義湘) | 1개 2권 | 1502. 법계도기총수록 (法界圖記叢髓錄) |
80 | 미상~683년(당) | 도세(道世) | 2개 120권 | 1052. 제경요집 (諸經要集) |
81 | 634~707년 | 회소(懷素) | 2개 6권 | 923. 승갈마 (僧羯磨) |
82 | 705년 | 현의(玄嶷) | 1개 3권 | 1078. 견정론 (甄正論) |
83 | 635~713년 | 의정(義淨) | 5개 9권 | 1082.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84 | 643~712 | 법장(法藏) | 1개 20권 | 1513. 화엄경탐현기 (華嚴經探玄記) |
85 | 664 | 정태(靜泰) | 1개 5권 | 1056. 중경목록 (衆經目錄) |
86 | 635~730년 | 이통현(李通玄) | 1개 40권 | 1263. 신화엄경론 (新華嚴經論) |
87 | 의정(635~713) 당시 인물 | 사캬 키르티 (석가칭) | 1개 1권 | 634. 수장론 (手杖論) |
88 | 당의 무측천시대 | 미트라 산타 (적우, 미타산) | 1개 3권 | 1443. 불길상덕찬 (佛吉祥德讚) |
89 | 7~8세기 | 산티데바 (법칭, 본명:Santi-varma) | 1개 25권 | 1488. 대승집보살학론 (大乘集菩薩學論) |
90 | 8세기 | 까말라실라 (연화계) | 1개 4권 | 1449. 광석보리심론 (廣釋菩提心論) |
91 | 당중종(656~710년)활동 | 애동(愛同) | 2개 2권 | 916. 미사색갈마본 (彌沙塞羯磨本) |
92 | 681년 | 복례(復禮) | 1개 3권 | 1079. 십문변혹론 (十門辯惑論) |
93 | 695년 | 명전(明佺) | 1개 15권 | 1058. 대주간정 중경목록 (大周刊定衆經目錄) |
94 | 673~743년 추정 | 혜원(慧苑) | 1개 2권 | 1064. 신역 대방광불 화엄경 음의 (新譯大方廣佛華嚴經音義) |
95 | 730년 | 지승(智昇) | 4개 24권 | 1062. 개원석교록 (開元釋敎錄) |
96 | 794년 | 원조(圓照) | 2개 33권 | 1398. 대당 정원 속개원석교록 (大唐貞元續開元釋敎錄) |
97 | 737~820 | 혜림(慧琳) | 1개 100권 | 1498. 일체경음의 (一切經音義) |
98 | 931년(오대,五代) | 가홍(可洪) | 1개 30권 | 1257. 신집장경음의수함록 (新集藏經音義隨函錄) |
99 | 904~975년 | 연수(延壽) | 1개 100권 | 1499. 종경록 (宗鏡錄) |
100 | 946년 | 항안(恒安) | 1개 1권 | 1399. 대당 보대 을사세 속 정원석교록 (大唐保大乙巳歲續貞元釋敎錄) |
101 | 952년 | 문등(文僜) | 1개 20권 | 1503. 조당집 (祖堂集) |
102 | 923~973년(고려) | 균여(均如) | 4개 16권 | 1507. 십구장원통기 (十句章圓通記) |
103 | 939~997년(북송) | 태종(太宗) | 4개 71권 | 1261. 어제연식 (御製緣識) |
104 | 11세기말 활동 | 희린(希麟) | 1개 10권 | 1497. 속일체경음의 (續一切經音義) |
105 | 1213년 | 왕자성(王子成) | 1개 10권 | 1511. 예념미타도량참법 (禮念彌陀道場懺法) |
106 | 1178∼1234년 | 혜심(慧諶) | 1개 30권 | 1505. 선문염송집 (禪門拈頌集) |
107 | 13세기 초 | 단용 연선사(端龍 連禪師)(고려) | 1개 3권 | 1500.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
108 | 1248년 | 대장도감(大藏都監) | 1개 3권 | 1405. 대장목록 (大藏目錄) |
109 | 1251년 | 수기(守其) | 1개 30권 | 1402. 고려국 신조대장 교정별록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
5. 2. 고려대장경 한역자 목록 (시기별)
6. 고려대장경의 구성
고려 때 외침을 막고자 간행한 불경인 고려대장경은 경, 율, 논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
이 중 고타마 싯타르타의 말씀을 기록한 것을 ‘경’,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내용을 '율', 후대의 학자들이 기록한 글을 ‘논’이라고 한다.
고려대장경은 전해진 부처님 말씀을 기록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100명이 넘는 다른 저자들의 글도 포함되어 있다. 저자별로 분류해보면 인도 61명, 중국 41명, 한국 7명 등 109명(팀)이 만든 ‘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표> 고려대장경 저자 109명 (활동시기별)'''
번호 | 활동시대 | 저자 | 고려대장경에 수록된 경전수 | 대표 저서 (고려대장경 번호/ 경전명) |
---|---|---|---|---|
1 | BC 563년경 ~ BC 483년경 | 고타마 싯다르타 (붓다) | 제목이 불설로 시작 611개, 저자 미상 664개 | 648. 중아함경 (中阿含經) |
2 | 마하 마우드갈리아야나 | 1개 (12권) | 945. 아비달마법온족론 (阿毘達磨法蘊足論) | |
3 | 카탸야나 | 2개 (90권) | 943. 아비담팔건도론 (阿毘曇八犍度論) | |
4 | 사리 푸트라 | 1개 (20권) | 946. 아비달마집이문족론 (阿毘達磨集異門足論) | |
5 | 불멸후 100년 | 데바 샤르만 | 1개 (16권) | 947. 아비달마식신족론 (阿毘達磨識身足論) |
6 | 카탸야니 | 1개 (20권) | 944. 아비달마발지론 (阿毘達磨發智論) | |
7 | 정량부 법사 | 붓다 트라타 | 1개 (1권) | 942. 율이십이명료론 (律二十二明了論) |
8 | 부법장 9대 | 붓다 미트라 | 1개 (1권) | 1006. 오문선경 요용법 (五門禪經要用法) |
9 | 불멸후 500 또는 700년 | 다르모 타라 | 2개 (10권) | 959. 아비담심론 (阿毘曇心論) |
10 | 1~2세기 | 아슈바 고샤 | 9개 (47권) | 980. 불소행찬 (佛所行讚) |
11 | 1~2세기 | 바수 미트라 | 6개 (45권) | 963. 존바수밀보살소집론 (尊婆須蜜菩薩所集論) |
12 | 2세기 | 마트리 체타 | 1개 (1권) | 1024. 일백오십찬불송 (一百五十讚佛頌) |
13 | 2세기 | 아리아 슈라 | 1개 (1권) | 1044. 분별업보약경 (分別業報略經) |
14 | 2세기 중엽 | 오백대아라한 | 2개 (260권) | 951. 아비담 비바사론 (阿毘曇毘婆沙論) |
15 | 150~ 250 추정 | 나가르주나 | 22개 (185권) | 630. 회쟁론 (廻諍論) |
16 | 170~270 | 데바 | 7개 (18권) | 581. 백론 (百論) |
17 | 150~250 | 우파티사 | 1개 (12권) | 968. 해탈도론 (解脫道論) |
18 | 불멸 700년 | 상가 락샤 | 3개 (11권) | 985. 승가라찰소집경 (僧伽羅刹所集經) |
19 | 상카라스바민 | 1개 (1권) | 607. 인명입정리론 (因明入正理論) | |
20 | 울란가 | 2개 (2권) | 641. 연생론 (緣生論) | |
21 | 수다 마티 | 1개 (1권) | 646. 십이인연론 (十二因緣論) | |
22 | 바이사캬 | 1개 (3권) | 925. 근본설일체유부 비나야 송 (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頌) | |
23 | 지나 미트라 | 1개 (14권) | 934. 근본살바다부율섭 (根本薩婆多部律攝) | |
24 | 우파 산타 | 1개 (6권) | 958. 아비담심론경 (阿毘曇心論經) | |
25 | 고샤 | 1개 (2권) | 961. 아비담감로미론 (阿毘曇甘露味論) | |
26 | 바수 바드라 | 2개 (5권) | 965. 삼법도론 (三法度論) | |
27 | 카탸야니 푸트라 | 1개 (14권) | 971. 비바사론 (鞞婆沙論) | |
28 | 바수 바르마 | 1개 (4권) | 974. 사제론 (四諦論) | |
29 | 마티 찬드라 | 2개 (2권) | 1046. 대아라한 난제밀다라 소설 법주기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 |
30 | 서토현성(西土賢聖) | 1개 (1권) | 1225. 불삼신찬 (佛三身讚) | |
31 | 서방현성(賢聖) | 1개 (1권) | 1414. 성관자재보살공덕찬 (聖觀自在菩薩功德讚) | |
32 | 선적(善寂) | 1개 (2권) | 1430. 집제법보최상의론 (集諸法寶最上義論) | |
33 | 붓다 스리즈나나 | 1개 (2권) | 1435. 집대승상론 (集大乘相論) | |
34 | 트리라트나다사 | 1개 (4권) | 1459.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석론 (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釋論) | |
35 | 캄발라 | 1개 (2권) | 1478. 성불모반야바라밀다구송정의론 (聖佛母般若波羅蜜多九頌精義論) | |
36 | 아발로키타심하 | 1개 (10권) | 1494. 제법집요경 (諸法集要經) | |
37 | 4세기 | 다르마 트라타 | 5개 (21권) | 960. 잡아비담심론 (雜阿毘曇心論) |
38 | 4세기 | 하리 바르만 | 1개 (16권) | 966. 성실론 (成實論) |
39 | 4세기 | 핑갈라 | 1개 (4권) | 577. 중론 (中論) |
40 | 350~430년 추정 | 마이트레야 | 8개 (109권) | 598. 결정장론 (決定藏論) |
41 | 300~390년 추정 | 아상가 | 13개 (73권) | 591. 섭대승론 (攝大乘論) |
42 | 302~400년 추정 | 바수반두 | 34개 (143권) | 608. 유식이십론 (唯識二十論) |
43 | 바수반두(세친)(302~400)과 동시대 | 스칸딜라 | 1개 (2권) | 964. 입아비달마론 (入阿毘達磨論) |
44 | 342~423년동진 | 법현 | 2개 (2권) | 1073. 고승법현전 (高僧法顯傳) |
45 | 384~417년 | 도략 | 1개 (1권) | 1016. 잡비유경 (雜譬喩經) |
46 | 463년 | 승거 | 1개 (1권) | 920. 십송갈마비구요용 (十誦羯磨比丘要用) |
47 | 5세기 전반활동 | 상가세나 | 2개 (7권) | 987. 백유경 (百喩經) |
48 | 5세기 | 붓다고샤 | 1개 (18권) | 938. 선견율비바사 (善見律毗婆沙) |
49 | 5세기경 | 상가바드라 | 2개 (120권) | 956. 아비달마순정리론 (阿毘達磨順正理論) |
50 | 나가르주나(용수)~달마급다 사이 | 자재(自在) | 1개 (6권) | 585. 보리자량론 (菩提資糧論) |
51 | 464~549년 (양) | 제대법사(양나라의 여러 승려) | 1개 (10권) | 1512. 자비도량참법 (慈悲道場懺法) |
52 | 445~518년 | 승우 | 3개 (34권) | 1080. 홍명집 (弘明集) |
53 | 467~527년(양) | 승민 | 1개 (50권) | 1050. 경율이상 (經律異相) |
54 | 522년(양) | 명휘 | 1개 (1권) | 905. 오분비구니계본 (五分比丘尼戒本) |
55 | 497~554년 | 혜교 | 1개 (14권) | 1074. 고승전 (高僧傳) |
56 | 516년 | 보창 | 2개 (54권) | 1086. 비구니전 (比丘尼傳) |
57 | 용수이후 | 구나다 | 1개 (2권) | 559. 금강반야바라밀경파취착불괴가명론 (金剛般若波羅蜜經破取着不壞假名論) |
58 | 480~540 | 딕나가 | 10개 (13권) | 606. 인명정리문론본 (因明正理門論本) |
59 | 490년경-570년경 | 니르데사프라바 | 1개 (15권) | 578. 반야등론석 (般若燈論釋) |
60 | 490년경-570년경 | 바바비베카 | 1개 (2권) | 620. 대승장진론 (大乘掌珍論) |
61 | 5~6세기 | 구나마티 | 1개 (1권) | 962. 수상론 (隨相論) |
62 | 470~550년 추정 | 스티라마티 | 7개 (43권) | 57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大乘阿毘達磨雜集論) |
63 | 530 ~ 561 | 다르마팔라 | 4개 (26권) | 614. 성유식론 (成唯識論) |
64 | 호법(護法: 530~561)의 제자 | 지나푸트라 | 1개 (1권) | 575. 유가사지론석 (瑜伽師地論釋) |
65 | 호법(護法: 530~561)의 제자 | 반두프라바 | 1개 (7권) | 554. 불지경론 (佛地經論) |
66 | 6세기 | 아스바바바 | 1개 (10권) | 595. 섭대승론석 (攝大乘論釋) |
67 | 597년(수) | 보귀 | 1개 (8권) | 128. 합부금광명경 (合部金光明經) |
68 | 594년 | 법경 | 1개 (7권) | 1054. 중경목록 (衆經目錄) |
69 | 597년(수) | 비장방 | 1개 (15권) | 1055. 역대삼보기 (歷代三寶記) |
70 | 572~640년(당) | 법림 | 2개 (10권) | 1076. 변정론 (辯正論) |
71 | 602~668 | 지엄 | 1개 (5권) | 1506. 대방광불 화엄경 수현분 제통지방궤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
72 | 596~667년 | 도선 | 10개 (85권) | 1070. 도선율사감통록 (道宣律師感通錄) |
73 | 602년 추정~664년 | 현장 | 1개 (12권) | 1065. 대당서역기 (大唐西域記) |
74 | 665년 | 정매 | 1개 (7권) | 1059. 고금역경도기 (古今譯經圖紀) |
75 | 당고종시대 | 현응 | 1개 (25권) | 1063. 일체경음의 (一切經音義) |
76 | 615~미상 | 혜립 | 1개 (10권) | 1071. 대당 대자은사 삼장법사전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
77 | 662년 | 언종 | 2개 (9권) | 1068. 집사문불응배속등사 (集沙門不應拜俗等事) |
78 | 617~686년 | 원효 | 1개 (3권) | 1501.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 |
79 | 625~702년 | 의상 | 1개 (2권) | 1502. 법계도기총수록 (法界圖記叢髓錄) |
80 | 미상~683년(당) | 도세 | 2개 (120권) | 1052. 제경요집 (諸經要集) |
81 | 634~707년 | 회소 | 2개 (6권) | 923. 승갈마 (僧羯磨) |
82 | 705년 | 현의 | 1개 (3권) | 1078. 견정론 (甄正論) |
83 | 635~713년 | 의정 | 5개 (9권) | 1082.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寄歸內法傳) |
84 | 643~712 | 법장 | 1개 (20권) | 1513. 화엄경탐현기 (華嚴經探玄記) |
85 | 664 | 정태 | 1개 (5권) | 1056. 중경목록 (衆經目錄) |
86 | 635~730년 | 이통현 | 1개 (40권) | 1263. 신화엄경론 (新華嚴經論) |
87 | 의정(635~713) 당시 인물 | 사캬 키르티 | 1개 (1권) | 634. 수장론 (手杖論) |
88 | 당의 무측천시대 | 미트라 산타 | 1개 (3권) | 1443. 불길상덕찬 (佛吉祥德讚) |
89 | 7~8세기 | 산티데바 | 1개 (25권) | 1488. 대승집보살학론 (大乘集菩薩學論) |
90 | 8세기 | 까말라실라 | 1개 (4권) | 1449. 광석보리심론 (廣釋菩提心論) |
91 | 당중종(656~710년)활동 | 애동 | 2개 (2권) | 916. 미사색갈마본 (彌沙塞羯磨本) |
92 | 681년 | 복례 | 1개 (3권) | 1079. 십문변혹론 (十門辯惑論) |
93 | 695년 | 명전 | 1개 (15권) | 1058. 대주간정 중경목록 (大周刊定衆經目錄) |
94 | 673~743년 추정 | 혜원 | 1개 (2권) | 1064. 신역 대방광불 화엄경 음의 (新譯大方廣佛華嚴經音義) |
95 | 730년 | 지승 | 4개 (24권) | 1062. 개원석교록 (開元釋敎錄) |
96 | 794년 | 원조 | 2개 (33권) | 1398. 대당 정원 속개원석교록 (大唐貞元續開元釋敎錄) |
97 | 737~820 | 혜림 | 1개 (100권) | 1498. 일체경음의 (一切經音義) |
98 | 931년(오대,五代) | 가홍 | 1개 (30권) | 1257. 신집장경음의수함록 (新集藏經音義隨函錄) |
99 | 904~975년 | 연수 | 1개 (100권) | 1499. 종경록 (宗鏡錄) |
100 | 946년 | 항안 | 1개 (1권) | 1399. 대당 보대 을사세 속 정원석교록 (大唐保大乙巳歲續貞元釋敎錄) |
101 | 952년 | 문등 | 1개 (20권) | 1503. 조당집 (祖堂集) |
102 | 923~973년(고려) | 균여 | 4개 (16권) | 1507. 십구장원통기 (十句章圓通記) |
103 | 939~997년(북송) | 태종 | 4개 (71권) | 1261. 어제연식 (御製緣識) |
104 | 11세기말 활동 | 희린 | 1개 (10권) | 1497. 속일체경음의 (續一切經音義) |
105 | 1213년 | 왕자성 | 1개 (10권) | 1511. 예념미타도량참법 (禮念彌陀道場懺法) |
106 | 1178∼1234년 | 혜심 | 1개 (30권) | 1505. 선문염송집 (禪門拈頌集) |
107 | 13세기 초 | 단용 연선사 (고려) | 1개 (3권) | 1500.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
108 | 1248년 | 대장도감 | 1개 (3권) | 1405. 대장목록 (大藏目錄) |
109 | 1251년 | 수기 | 1개 (30권) | 1402. 고려국 신조대장 교정별록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
붓다의 가르침은 초기 500년은 구전으로 암송되어 계승되다가, 스리랑카에서 기근과 전쟁의 위험으로 붓다의 가르침이 사라질까 염려되어 문자로 처음 기록되었듯이, 몽골과의 전쟁이 있었던 고려도 대대적으로 목판 대장경을 제작하고 그 목판을 국가차원에서 잘 보호하여서 이 땅에서 붓다의 가르침이 지속되는 계기가 되었다.
고려시대 처음 제작된 목판 대장경(초조장경)은 당나라 지승이 지은 개원석교록을 참고로 구성되었다. 지승은 50개 가까이 되는 옛문헌(역경 기록서)들을 비교 분석하여 가짜경전과 위경을 분류하였으며 그 과정을 세세히 밝히고 있어 그의 분류는 상당히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초조장경이 화재로 소실된 이후 다시 만들어진 재조장경(팔만대장경)은 초조장경에 일부 경전이 추가되어 제작되었다.
지승은 개원석교록에서 장경을 보살 3장(경,율,론), 성문 3장(경,율,론), 성현전기(붓다 이후 저술된 기록물) 등 3부분으로 분류하였으며, 고려대장경도 개원석교록과 같이 구성되었고, 1088번부터는 개원석교록에 포함되지 않는 추가된 경전들이 주가 된다.
7. 고려대장경의 만트라와 다라니
석가모니가 살던 시대는 브라만교가 발달했던 시기이다. 인도는 제사를 지내는 사제 계급인 브라만, 왕족인 크샤트리아, 평민인 바이샤, 천민인 수드라 등 계급이 있는 사회였다. 고타마 붓다는 신분이나 성별의 차별을 두지 않았지만, 상수제자인 사리불과 목건련을 포함하여 많은 출가 제자들이 브라만(제사장) 출신이었고, 재가제자들도 상당수 브라만이었다.[1]
초기 경전을 보면 상당수의 브라만 수행자들과 질의응답하는 장면들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브라만의 문화가 불교와 접점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만들은 부처의 가르침을 받아서 브라만교에 많이 접목하게 되고, 브라만 출신의 제자들은 브라만의 특성들을 불교에 많이 접목시켰을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특히 브라만들은 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만트라(주문)를 외는 의례를 행하였는데, 이런 의식이 불교에 들어온 것일 수도 있다.[1]
불교에서 만트라를 외우는 행위는 잡념을 없애며, 정신 집중을 통해 깊은 삼매에 이르는 도구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불교 경전에서는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자체로 보살과 붓다와 하나가 되거나 보호를 받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고려대장경에는 다라니를 해석하는 경전도 포함되어 있는데, 옴이나 훔 등의 소리에 담긴 의미와 다라니 문구의 단어별 해석도 포함되어 있다.[1]
7. 1. 고려대장경에서 만트라와 다라니가 포함된 경전 목록
고려대장경에는 만트라(짧은 주문)와 다라니(긴 주문)가 포함된 경전이 400개가 넘는다.[1]8. 영향
고려대장경은 고려 시대에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간행된 불경으로, 인쇄술과 출판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대장경 제작은 고려의 국가적인 대사업이었기 때문에 재정적 부담이 컸지만,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
현재 고려대장경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전 세계 목판 3개 중 하나이다.[2]
참조
[1]
저널
팔만대장경 인경의 역사
http://haein.or.kr/c[...]
해인사
2012-06
[2]
웹인용
'선을 넘는 녀석들' 전 세계 딱 3개! 유네스코에 등재된 목판 기록문화유산, 장판각의 '유교책판'
http://enews.imbc.co[...]
2022-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