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의 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의 기도는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부분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신약성경은 기도를 긍정적인 명령으로 제시하며,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예배의 필수 요소였다. 기도에는 매일 기도, 정시 기도, 주기도문, 십자 성호, 식사 기도, 절기 기도, 성인들의 전구, 묵상과 관상 기도, 중보 기도, 급작스러운 기도, 경청 기도, 어린이 기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기독교인들은 기도서, 묵주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며, 한국 기독교는 뜨겁고 간절한 기도를 강조하며 사회 문제 해결과 민족 복음화를 위한 중보 기도에도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기도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의 기도 - 기독교 신비주의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느님의 직접적이고 변혁적인 임재를 준비하고 자각하며 영향을 받는 기독교 신앙 및 실천으로, 그 어원은 "숨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하느님의 "임재"에 대한 "의식"을 강조하는 독특한 경험으로 이해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기독교의 기도
기독교의 기도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에게 기도하는 사람들의 삽화.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에게 기도하는 사람들의 삽화.
정의 및 기원
정의하느님과의 의사소통
기원유대교
초대 교회
기도 시간
하루 세 번아침
정오
저녁
하루 일곱 번 (초기 기독교)기상 시
저녁 램프 점등 시
취침 시
자정
오전 3시
오전 9시
오후 3시
기타
자정
새벽
기도 방법 및 자세
자세엎드림
무릎 꿇기
서 있기
방향동쪽 (전통적으로)
기타성호경 긋기
머리 덮개 (특정 교단)
장소
장소
교회
기타
관련 개념주기도문
정시 기도
묵주

2. 역사적 발전

알브레히트 뒤러의 손 성경


기도는 초기 기독교부터 중요한 신앙 행위였으며, "lex orandi, lex credendi"(믿음의 법은 기도의 법)라는 말처럼 교리와 분리될 수 없었다.[28] 초기 기독교 전례는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9]

주님의 기도는 초기 기독교인들의 모임에서 필수적인 요소였고, 기독교 전파와 함께 널리 퍼졌다.[30]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기도가 개발되었다.[31] 2세기 초부터 기독교인들은 집이나 교회의 동쪽 벽에 십자가를 놓고, 정해진 기도 시간에 기도하면서 동쪽 방향으로의 기도를 나타냈다.[21][32][24]

중세 시대 서방 기독교동방 기독교의 수도원 전통은 언어 기도에서 기독교 명상으로 발전했다. 서방에서는 렉시오 디비나, 동방에서는 헤시카즘이라는 명상 수행법이 나타났다. 헤시카즘은 예수 기도의 반복을 포함하지만, 렉시오 디비나는 시간에 따라 다른 성경 구절을 사용하며, 본질적으로 반복적이지 않다.[37][38]

2. 1. 신약성경

신약성경에서의 기도는 긍정적인 명령으로 제시된다.Colossians|골로새서|4:2영어, 1 Thessalonians|데살로니가전서|5:17영어 하느님의 백성들은 결혼 생활의 분주함 속에서도(1 Corinthians|고린도전서|7:5영어) 기도를 일상생활의 일부로 삼도록 권고받는데, 이는 믿는 자들을 하느님께 더 가까이 이끌어준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신약성경 전체에서 기도는 믿는 자들이 하느님이 베푸시려는 것을 얻는, 하느님이 정하신 방법으로 나타난다(Matthew|마태오|7:7-11영어, Matthew|마태오|9:24-29영어, Luke|루가|11:13영어). 사도행전에 따르면 기도는 교회의 첫 순간부터 나타난다(Acts|사도행전|3:1영어). 사도들은 기도를 그들의 삶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겼다(Acts|사도행전|6:4영어, Romans|로마서|1:9영어, Colossians|골로새서|1:9영어). 이처럼 사도들은 시편의 구절들을 그들의 저술에 자주 포함시켰다. 예를 들어 Romans|로마서|3:10-18영어은 Psalms|시편|14:1-3영어과 다른 시편에서 가져온 것이다.

신약성경의 긴 구절들은 기도 또는 칸티클(오데스의 책도 참조)이다. 예를 들어 용서를 위한 기도(Mark|마가|11:25-26영어), 주님의 기도, 마니피캇(Luke|루가|1:46-55영어), 베네딕투스(Luke|루가|1:68-79영어), 예수님의 참되신 한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John|요한|17영어), "찬송받으실 이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느님이시다"와 같은 외침(Ephesians|에페소서|1:3-14영어), 믿는 자들의 기도(Acts|사도행전|4:23-31영어),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Matthew|마태오|26:36-44영어), "너희는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기도하라"(Luke|루가|22:39-46영어), 스테파노의 기도(Acts|사도행전|7:59-60영어), 시몬 마구스의 기도(Acts|사도행전|8:24영어), "우리를 악하고 사악한 자들에게서 건져 주시기를 기도하십시오"(2 Thessalonians|데살로니가후서|3:1-2영어), 그리고 마라나타(1 Corinthians|고린도전서|16:22영어)가 있다.

2. 2. 초기 기독교



기도와 성경 읽기는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요소였다. 초기 교회에서 예배는 "lex orandi, lex credendi"(믿음의 법은 기도의 법)라는 말처럼 교리와 분리될 수 없었다.[28] 초기 기독교 전례는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9]

주님의 기도는 초기 기독교인들의 모임에서 필수적인 요소였으며, 기독교 전파와 함께 널리 퍼졌다.[30]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기독교 문헌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기도가 개발되었다.[31]

2세기 초부터 기독교인들은 집이나 교회의 동쪽 벽에 십자가를 놓고, 일곱 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에 기도하면서 그 앞에서 엎드려 절함으로써 동쪽 방향으로의 기도를 나타냈다.[21][32][24]

3세기경 오리게네스는 "성경은 성사"라는 견해를 발전시켰다.[33] 오리게네스의 성경 해석 및 기도 방법은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에게 전수되었고, 암브로시우스는 4세기 말에 이를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게 가르쳐 서방 교회의 수도원 전통에 도입했다.[34][35]

2. 3. 중세 시대

중세 시대 동안, 서방 기독교동방 기독교의 수도원 전통은 언어 기도에서 기독교 명상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서방에서는 렉시오 디비나, 동방에서는 헤시카즘이라는 두 가지 독특한 명상 수행법이 나타났다. 헤시카즘은 예수 기도의 반복을 포함하지만, 렉시오 디비나는 시간에 따라 다른 성경 구절을 사용하며, 구절이 몇 번 반복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반복적이지 않다.[37][38]

렉시오 디비나의 네 가지 단계: ''읽기'', ''명상'', ''기도'', ''관상''.


서방 교회에서는 6세기경 누르시아의 베네딕토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렉시오 디비나라고 불리는 성경 기도의 공식적인 방법을 시작했다.[39] ''Ora et labora''(기도하고 일하라)라는 모토와 함께 베네딕토 수도원의 일상생활은 전례 기도, 수작업, 그리고 성경을 조용히 기도하며 읽는 렉시오 디비나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40] 성경을 천천히 생각하며 읽고, 그 의미를 숙고하는 것이 그들의 기독교 명상이었다.[41]

12세기 초,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는 시토회 내에서 렉시오 디비나의 중요성을 재강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2] 베르나르는 또한 관상 기도에서 성령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이를 영원하신 아버지의 입맞춤에 비유하여 하느님과의 일치를 가능하게 한다고 했다.[43]

성경 읽기에서 명상, 그리고 하느님을 향한 사랑의 존경심으로의 발전은 12세기 말에 사망한 카르투시오회 수도사 기고 2세에 의해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묘사되었다.[44] 기고 2세의 책 ''수도사의 사다리''는 서양 신비주의 전통에서 방법론적인 기도를 처음으로 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45]

동방 기독교에서는 사막 교부와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로 거슬러 올라가는 "끊임없는 기도"의 수도원 전통이 헤시카즘 수행을 확립하고, 7세기까지 요한 클리마쿠스의 저서 ''신적 상승의 사다리''에 영향을 미쳤다.[46] 이러한 명상 기도는 14세기에 그레고리오 팔라마스에 의해 장려되고 지원되었다.[37][48]

2. 4. 관상 기도



15세기 서방 교회에서는 로렌초 주스티니아니와 루이 바르보 등 베네치아 출신 수도자들이 성직자와 수도원 환경을 개혁하고자 했다. 이들은 체계적인 기도와 묵상을 개혁의 핵심 도구로 보았다.[48] 바르보는 1443년에 사망하기 전, ''Forma orationis et meditionis''(묵상 방식)라는 기도에 관한 논문을 저술했다. 그는 초심자를 위한 구두 기도, 숙련자를 위한 묵상, 그리고 묵상을 통해 도달하는 최상의 단계인 관상 기도로 이어지는 세 단계의 기도를 제시했다. 교황 에우제니오 4세의 요청으로 바르보는 이 방법을 스페인 바야돌리드에 전파했고, 15세기 말 몬세라트 수도원에서 널리 활용되었다. 이 방법은 가르시아 데 시스네로스를 거쳐 이냐시오 데 로욜라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49][50]

동방 정교회 역시 유사한 세 단계 기도 체계를 갖추고 있다.[51][52] 구두 기도로 시작하여 묵상("내적 기도" 또는 "담론 기도"라고도 함)을 거쳐, 하나님과의 더욱 깊은 친교를 나누는 관상 기도로 이어진다.[51]

3. 기도의 종류

기독교 기도는 교파와 전통에 따라 여러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학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기도를 연구해 왔다. 예를 들어, 신학자 길버트 W. 스태포드는 신약 성경을 바탕으로 기도를 8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53] 신약 성경과 기독교 신앙 전반에 걸친 기도에 대한 해석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다양한 유형의 기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3. 1. 매일 기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매일 정해진 시간에 기도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3. 1. 1. 정시 기도

초기 기독교부터 기도성경 읽기는 중요한 요소였다. 사도 전승에서 히폴리투스는 기독교인들에게 하루에 일곱 번 기도하라고 가르쳤다.[21][12][13][14]

동방 가톨릭 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전례와 시리아 전례 기독교인들은 아그페야와 셰히모와 같은 성무일도를 사용하여 하루에 일곱 번 고정 기도 시간에 동쪽을 향하여 기도한다.[54][15][16] 이러한 관습은 성경 Psalms영어 119:164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여기서 예언자 다윗은 하루에 일곱 번 하느님께 기도하는 것으로 묘사된다.[54][15][16] 이들은 기도에 엎드림을 포함하며, 삼위일체를 믿는 여러 번의 기도와 40번이 넘는 자비송 동안 엎드린다.[55][56] 동방 기독교인들은 기도하기 전에 하느님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손, 얼굴, 발을 씻고,[57][56][58][59] 신발을 벗는다.[57][56][58][59] 또한 이 기독교 종파와 다른 많은 종파에서 여성들은 기도할 때 기독교 머리 덮개를 쓰는 것이 관례이다.[18][19]

루터교 교회에서는 교회 정시 기도가 형제회 기도서와 모든 성도를 위하여: 교회에 의한, 교회를 위한 기도서와 같은 성무일도에 포함되어 있으며,[60][61]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이를 시간 전례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 감리교 전통은 교회 정시 기도를 예수의 제자가 되는 "필수적인 관행"으로 강조했다.[62]

3. 1. 2. 주기도문

주기도문예수가 제자들에게 가르쳐 준 기도로, 기독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도문 중 하나이다. 디다케 8장 2절에는 기독교인이 하루 세 번 주기도문을 바치라는 명령이 나온다.[3][4] 이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하루 세 번 기도하는 유대교 관습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특히 에서는 "저녁과 아침과 정오"를, 에서는 예언자 다니엘이 하루 세 번 기도하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3][4][5] 초기 기독교인들은 오전 9시, 정오, 오후 3시에 하루 세 번 주기도문을 바쳤으며, 이는 히브리 전통에서 우세했던 이전의 아미다를 대체했다.[8][6] 이와 같이 기독교에서 많은 루터교와 성공회 교회들은 하루 세 번 교회 종을 종탑에서 울려 기독교 신자들이 주기도문을 암송하도록 한다.[9][10][7]

3. 1. 3. 십자 성호

우크라이나 신자들이 십자 성호를 긋고 있다. 이 전통에서, 다른 많은 전통과 마찬가지로, 여성은 하느님께 기도할 때 기독교 머리 가리개를 착용하는 것이 관례이다.


십자 성호는 가톨릭, 루터교,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감리교, 성공회 등 많은 기독교 교파에서 사용하는 짧은 기도이다. 개인 기도와 공동 기도 모두에서 널리 사용된다. 루터교회의 소교리문답은 신자들에게 매일 기도를 시작하고 마칠 때 십자 성호를 그으라고 가르친다.[63] 특히, 기독교인들에게 "침대에서 일어날 때 거룩한 십자가로 자신을 축복하고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이라고 말하라"고 가르친다.[63]

3. 1. 4. 식사 기도

식사 전 기도를 위해 고개를 숙인 미국 가족의 모습


기독교인들은 식사 전에 음식에 대한 감사와 축복을 구하는 기도를 드린다.[64] 각 기독교 교파마다 고유한 식사 기도문이 있으며, 루터교회와 모라비아 교회 교인들은 공동 식탁 기도를 사용한다.

3. 2. 절기 기도

많은 교파에서 강림절, 크리스마스, 사순절, 부활절 등 기독교 전례력의 절기에 맞는 특별한 기도문을 사용한다.[1] 이러한 기도문은 로마 성무일도, 시간 전례, 정교회 성무일과집, 복음주의 루터교 예배서, 성공회 공동기도문 등에서 찾을 수 있다.[1]

강림절과 사순절에는 많은 기독교인이 매일 묵상집을 읽는 것을 기도 생활에 추가한다.[1] 강림절 화환이나 사순절 달력과 같이 기도에 도움을 주는 물건은 교회력의 해당 절기에만 사용된다.[1]

3. 3. 성인들의 전구

고대 교회는 동방 기독교서방 기독교 모두에서 (사망한) 성인들의 전구를 요청하는 전통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대부분의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는 물론 일부 루터교와 성공회 교회의 관습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혁 교회는 주로 그리스도의 유일한 중재자라는 믿음을 근거로 이 관습을 거부했다.[65]

3. 4. 묵상과 관상 기도

중세 시대 동안, 서방 기독교동방 기독교의 수도원 전통은 언어 기도에서 기독교 명상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발전은 서방의 렉시오 디비나와 동방의 헤시카즘이라는 두 가지 뚜렷한 명상 수행법을 낳았다. 헤시카즘은 예수 기도의 반복을 포함하지만, 렉시오 디비나는 시간에 따라 다른 성경 구절을 사용하며, 구절이 몇 번 반복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반복적이지 않다.[37][38]

서방 교회에서는 6세기경 누르시아의 베네딕토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렉시오 디비나라고 불리는 성경 기도의 공식적인 방법을 시작했다.[39] ''Ora et labora'' (기도하고 일하라)라는 모토와 함께 베네딕토 수도원의 일상생활은 전례 기도, 수작업, 그리고 성경을 조용히 기도하며 읽는 렉시오 디비나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40] 성경을 천천히 생각하며 읽고, 그 의미를 숙고하는 것이 그들의 기독교 명상이었다.[41]

12세기 초,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는 시토회 내에서 렉시오 디비나의 중요성을 재강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2] 베르나르는 또한 관상 기도에서 성령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이를 영원하신 아버지의 입맞춤에 비유하여 하느님과의 일치를 가능하게 한다고 했다.[43]

동방 기독교에서는 사막 교부와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로 거슬러 올라가는 "끊임없는 기도"의 수도원 전통이 헤시카즘의 수행을 확립하고 7세기까지 요한 클리마쿠스의 저서 ''신적 상승의 사다리''에 영향을 미쳤다.[46] 이러한 명상 기도는 14세기에 그레고리오 팔라마스에 의해 장려되고 지원되었다.[37][47]

명상과 관상 기도를 준비하기 위해 성경을 읽는 사제


기도는 구두 기도, 묵상, 관상[66][67] 또는 중보기도의 여러 단계로 구분 될 수 있다.

기독교 묵상은 하느님의 계시와 접촉하고 의도적으로 숙고하려는 구조화된 시도이다.[68] "묵상"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meditārī''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숙고하다, 연구하다, 실천하다를 포함한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기독교 묵상은 특정 생각(예: 성경 구절)에 의도적으로 집중하고 하느님의 사랑의 맥락에서 그 의미를 숙고하는 과정이다.[69]

기독교 묵상은 기독교 교제를 특징짓는 하느님의 사랑에 기반한 개인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70][71]

때때로 기독교 묵상과 기독교 관상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가 없을 수 있으며, 두 기도는 서로 겹친다. 묵상은 관상 생활의 기반으로서, 관상의 상태를 시작하는 방식이다.[72] 관상 기도에서 이러한 활동은 줄어들며, 관상은 "믿음의 시선", "침묵의 사랑"으로 묘사되어 왔다.[73]

3. 5. 중보 기도

이러한 종류의 기도는 신자가 다른 개인, 집단, 공동체, 또는 심지어 국가를 위해 중보 기도를 하는 중보자의 역할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1]

3. 6. 급작스러운 기도

급작스러운 기도는 매우 짧은 외침을 사용하는 것이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은둔 생활을 위해 물러간 이집트 기독교인들이 "빈번하지만 매우 짧은 기도를 한다고 하는데, 이는 마치 급하게 던져지듯이 하여, 기도하는 사람에게 매우 필요한, 깨어 있고 예리한 의도가 더 오랜 기간 동안 희미해지고 둔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라고 언급했다.[76]

이러한 기도는 열망, 간구 또는 외침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예수 기도를 포함한다.[78] 옛 ''Raccolta''에서 이러한 기도의 예를 찾을 수 있다.[77]

3. 7. 경청 기도

경청 기도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기도 형태이다.

경청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이 하느님 앞에서 침묵 속에 앉아 있기를 요구한다. 성경 봉독으로 시작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기도 방식은 성녀 테레사와 같은 가톨릭 성인들의 저작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3. 8. 어린이 기도

어린이 기도는 일반적으로 짧고, 운율이 있거나 기억하기 쉬운 곡조를 가지고 있다. 대개 잠자리에 들기 전, 식사 전에 감사를 드리거나 자장가처럼 불린다. 이러한 기도문 중 많은 수가 성경 구절이거나 전통적인 텍스트를 따른다.

4. 기도서와 도구





기독교인들은 기도 묵주와 같은 묵주, 묵주와 같은 기도 도구를 사용하며, 기도서를 활용하기도 한다. 일부 기독교 교파에서는 이미지와 성화를 기도와 연관시키기도 한다.

모든 기독교인이 사용하는 통일된 기도서는 없지만, 많은 기독교 교파들은 자체적인 기도서를 가지고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기도서 이름교파내용 및 특징
악페이야(Agpeya)이집트 콥트 정교회시간의 서라고도 불린다. 복음서, 서신서, 시편교부들의 기도문을 모아놓았다. 하루 일곱 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에 맞춰 일곱 개의 주요 기도가 있으며, 각 시간에 해당하는 성경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아젠다(Agenda)루터교회루터교에서 사용되는 기독교 전례를 위한 책이다.
공동기도문(Book of Common Prayer)성공회전통적인 성공회 기도서이다. 성공회 친교의 구성 교회에서 여전히 사용하거나 수정하여 사용하며, 영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도서 중 하나이다.
셰히모(Shehimo)인도 정교회하루 일곱 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에 대한 정시경을 담고 있다.[55]
시편해당없음해당없음
라콜타(The Raccolta)가톨릭가톨릭 신자들을 위한 면죄 기도서이다.
로마 시간서(Breviary)로마 가톨릭 교회전통적인 로마 가톨릭 수도원 시간 기도서이다.


참조

[1] 서적 Prayer: A Histor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Books
[2] 서적 Examining Religions: Christianity Foundation Edition
[3]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8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2-10-26
[4] 서적 Calendar, Chronology, and Worship: Studies in Ancient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12-10-26
[5] 서적 Introduction to Christian Worship 3rd Edition: Revised and Enlarged https://books.google[...] Abingdon Press 2012-10-12
[6]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4-09-02
[7] 서적 Matthew: A Shorter Commentary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2-08-16
[8] 서적 Calendar, Chronology And Worship: Studies in Ancient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BRILL 2005
[9]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Curts & Jennings
[10] 웹사이트 Uncovering the Blessing of Fixed-Hour Prayer https://worship.calv[...] Calvin Institute of Christian Worship
[11] 웹사이트 Church bells https://wels.net/faq[...]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20-08-08
[12] 서적 The Early Church Penguin 1993
[13] 서적 The Syriac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7-07
[14] 서적 The Early Church: History and Memory A&C Black 2010-02-17
[15] 웹사이트 Prayers of the Church https://www.ethiopia[...]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2020-07-25
[16] 웹사이트 Why We Pray Facing East https://www.orthodox[...] Orthodox Prayer 2020-07-25
[17] 웹사이트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ells and the church? When and where did the tradition begin? Should bells ring in every church? https://www.suscopts[...] Coptic Orthodox Diocese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2020
[18] 웹사이트 Head Covering Through the Centuries http://www.scrollpub[...] 2016-04-28
[19] 웹사이트 Wait, I thought that was a Muslim thing?! https://www.commonwe[...] Commonweal (magazine) 2014-02-13
[20] 웹사이트 Sign of the Cross https://www.assyrian[...] Holy Apostolic Catholic Assyrian Church of the East - Archdiocese of Australia, New Zealand and Lebanon 2020-08-11
[21] 서적 Orige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22] 서적 Between Memory and Hope: Readings on the Liturgical Year Liturgical Press 2016
[23] 웹사이트 Home Altars http://imus.churchsi[...] Immanuel Lutheran Church 2020-07-25
[24] 서적 A Prayer Book of Catholic Devotions: Praying the Seasons and Feasts of the Church Year Loyola Press 2004
[25] 웹사이트 Little Church Foundations: Icon Corner https://blogs.ancien[...] Ancient Faith Ministries 2016-12-05
[26] 웹사이트 Vladimir Basenkov. Getting To Know the Old Believers: How We Pray https://orthochristi[...] Orthodox Christianity 2017-06-10
[27] 서적 Praying Through Life: How to Pray in the Home, at Work and in the Family Church House Publishing 2003
[28] 서적 The Formation of Christian Doctrine Malcolm B. Yarnell
[29] 서적 Introducing Early Christianity Laurie Guy
[30] 서적 The Lord's Prayer in the Early Church Frederic Henry Chase
[3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Volume 1 George Thomas Kurian
[32] 웹사이트 Why We Face the EAST https://www.suscopts[...] St Mary and Archangel Michael Church 2020-08-06
[33] 서적 Reading to live: the evolving practice of Lectio divina Raymond Studzinski
[34] 웹사이트 Benedict XVI, General Audience https://www.vatican.[...] Vatican website 2007-05-02
[35] 서적 The Fathers of the church: from Clement of Rome to Augustine of Hippo Pope Benedict XVI
[36]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themes from the tradition" 1996
[37] 서적 "Globalization of Hesychasm and the Jesus Prayer: Contesting Contemplation" 2010
[38] 서적 "Reading with God: Lectio Divina" 2006
[39] 서적 "After Augustine: the meditative reader and the text" 2001
[40]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A Historical Sketch" 2005
[41] 서적 "Holy Conversation: Spirituality for Worship" 2010
[42]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themes from the tradition" 1996
[43] 서적 "The Holy Spirit" 2008
[44]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themes from the tradition" 1996
[45] 서적 "An Anthology of Christian mysticism" 1991
[46] 서적 "Orthodox Church: Its Past and Its Role in the World Today" 1981
[47] 서적 The Byzantine Empir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92
[48] 서적 "The church in Italy in the fifteenth century" 2002
[49]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atholic tradition" Ignatius Press 1985
[5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51] 서적 "Orthodox prayer life: the interior way" https://books.google[...] St Vladimir Press 2003
[52] 서적 "The art of prayer: an Orthodox anthology" 1997
[53] 서적 Theology for Disciples Warner Press 1996
[54] 서적 "The Indian Christians of St. Thomas: Otherwise Called the Syrian Christians of Malabar: a Sketch of Their History and an Account of Their Present Condition as Well as a Discussion of the Legend of St. Thomas" Bemrose 1908
[55] 서적 "Shehimo: Book of Common Prayer" Malankara Orthodox Diocese of Southwest America 2016
[56] 웹사이트 "Did you know Muslims pray in a similar way to some Christians?" https://aleteia.org/[...] Aleteia 2017-10-16
[57] 간행물 "The Bath as a Religious Rite among Mohammedans" Standard Sanitary Mfg. Co. 1909
[58] 서적 "A Sketch of Egyptian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Methuen 1906
[59] 웹사이트 "Importance of the Prayer Rug" https://www.stfinian[...] St. Finian Orthodox Abbey
[60] 서적 "Ordinary Saints: An 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Life" Fortress Press 2003
[61] 웹사이트 "Daily Prayer Books in the History of German and American Lutheranism" http://llpb.us/PDFs/[...] Lutheran Liturgical Prayer Brotherhood 2004-09-05
[62] 웹사이트 "Praying the Hours of the Day: Recovering Daily Prayer" https://www.umcdisci[...] General Board of Discipleship 2007-05-06
[63] 웹사이트 "Why do Lutherans make the sign of the cross?" https://download.elc[...]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2013
[64] 서적 "Inspired to Pray: The Art of Seeking God" Gospel Light Publications 2009
[65] 백과사전 Saints Intervarsity Press
[66] 서적 Simple Ways to Pray
[67]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721 https://www.vatican.[...]
[68] 서적 Christian Meditation for Beginners
[69] 서적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spirituality
[70] 서적 Christian Meditation 1979
[7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72] 서적 Orthodox Prayer Life: The Interior Way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73] 간행물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724 https://www.vatican.[...]
[74] 웹사이트 Rosarium Virginis Mariae on the Most Holy Rosary (October 16, 2002) | John Paul II https://w2.vatican.v[...]
[75] 웹사이트 Ignatian Contemplation: Imaginative Prayer - IgnatianSpirituality.com https://www.ignatian[...] 2020-09-12
[76] 서적 Augustine, Letter 130, To Proba, paragraph 20 https://books.google[...]
[77] 웹사이트 The Raccolta: Index of prayers and pious works contained in this collection http://www.liturgial[...]
[78] 웹사이트 Deepen Your Prayer Life Through Exclamations https://catholicexch[...]
[79] 문서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80] 서적 Practical discourses on the liturgy of the Church of England https://books.google[...] London. William Pickering.
[81] 웹사이트 Lutheran rosary https://www.udayton.[...] University of Dayton 2016-08-12
[82] 서적 Prayer: A Histor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Books
[83] 서적 Examining Religions: Christianity Foundation Edi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