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터교회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에서 시작된 기독교의 한 교파이다. 루터교는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를 강조하며, 칭의 교리를 핵심으로 한다. 성경을 신앙과 삶의 유일한 기준으로 여기며, 세례와 성찬을 주요 성례로 한다. 루터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루터교 세계 연맹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예배는 예전적 형식을 따르며, 음악을 중요하게 여긴다. 교단 정치는 다양한 형태를 띠며, 신학적 다양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7년 기독교 - 95개조 반박문
95개조 반박문은 1517년 마르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며 발표한 95개의 논제로, 종교 개혁의 도화선이 되었다. - 1517년 기독교 - 종교개혁기념일
종교개혁기념일은 1517년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게시를 기념하며 종교 개혁의 시작을 알리고, 개신교 교단과 단체들이 종교 개혁 정신을 기리고 사회를 성찰하는 날이다. - 루터교 - 노르웨이 교회
노르웨이 교회는 9세기 기독교 전파 이후 루터교를 국교로 삼아 운영되다가 2017년 독립 법인이 되었으며, 동성 결혼을 허용하는 등 사회 변화에 발맞춰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루터교 - 요하네스 부겐하겐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마르틴 루터의 동료로서 북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16세기 독일의 종교 개혁가이다. - 16세기 신조어 - 웰빙
웰빙은 삶의 질을 포괄하는 척도로서,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의 균형 또는 긍정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목표로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웰빙 증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6세기 신조어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루터교회 | |
---|---|
개요 | |
![]() | |
분류 | 프로테스탄트 |
기원 | 16세기 종교 개혁 |
창시자 | 마르틴 루터 |
신학 | 루터교 신학 |
주요 신학 개념 | 칭의 율법과 복음 오직 은혜로 오직 성경으로 만인제사장주의 |
성례 | 성찬례와 세례 |
예배 | 루터교 예배 |
성직자 | 목사 |
경전 | 성경 |
신조 |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
신앙고백서 |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
분파 | 복음주의 루터교 고백 루터교 자유주의 루터교 고교회 루터교 |
분포 지역 | 주로 북유럽, 북아메리카, 독일,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
통계 | 7천만 명 이상 |
역사 | |
종교 개혁 | 마르틴 루터의 95개 논제 발표 (1517년) |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 루터교의 기본 신앙고백 (1530년) |
슈말칼트 전쟁 | 루터교 제후와 신성 로마 제국 간의 전쟁 (1546년~1547년) |
화해 신앙고백서 | 루터교 내부의 신학적 논쟁 종식 시도 (1577년) |
현대 루터교 | 다양한 교단과 신학적 관점 존재 |
신학 | |
핵심 교리 | 성경의 권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 성례의 중요성 |
칭의 | 오직 믿음을 통해 의롭게 됨 |
율법과 복음 | 율법의 역할과 복음의 약속 구별 |
성만찬 |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빵과 포도주 안에 실제로 임재 |
교회론 | 보편적 교회와 지역 교회의 중요성 강조 |
예배와 성례 | |
예배 | 전통적인 예배 형식과 현대적인 예배 형식 공존 |
찬송가 | 풍부한 찬송가 전통 보유 |
성례 | 세례와 성찬례를 중요하게 여김 |
조직과 교단 | |
조직 | 다양한 형태의 교회 조직 존재 (감독제, 장로제, 회중제 등) |
주요 교단 | 루터교 세계 연맹 (LWF) 국제 루터교 협의회 (ILC) 위스콘신 복음주의 루터교 시노드 (WELS) |
문화적 영향 | |
음악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등 많은 음악가 배출 |
교육 | 학교와 대학 설립을 통해 교육에 기여 |
사회 | 사회 정의와 봉사에 대한 강조 |
2. 역사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은 서방 교회를 성경적인 기반으로 개혁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6][7] 그의 ''95개조 반박문''은 국제적으로 확산되었고, 이는 서방 기독교의 분열을 초래했다.[8] 종교 개혁 기간 동안 루터교는 북독일, 스칸디나비아, 리보니아 기사단 등 북부 유럽 여러 국가에서 국교가 되었고, 루터교 성직자는 공무원이 되었으며, 루터교 교회는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1]
1517년 마르틴 루터에 의해 독일에서 종교 개혁이 시작되었고,[264]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결과 루터교회는 독일에서 법적 권리를 인정받았다. 1580년에는 루터교의 교리적 입장을 나타내는 "화해 신조"가 제정되었다.
1817년 프로이센에서는 루터교와 개혁교회가 연합하여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이 교회에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작성한 예배식문이 하사되었는데, 이는 뉘른베르크 루터교 예배식에 따른 것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미사에 준거한 것이었다.[265] 이 연합에 참여하지 않은 독일 루터교인 일부는 미국으로 이민하여 세인트루이스 주변에서 루터교회 미주리 시노드를 형성했다.
미국에는 유럽으로부터의 이민과 함께 루터교 세력이 확대되었고, 19세기 이후 독일과 북유럽 루터교인들이 미국 중서부를 중심으로 정착했다. 19세기 이후 독일, 북유럽, 미국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전도가 이루어져 탄자니아, 인도네시아 등지에 큰 루터교 교회가 세워졌다.
1947년 세계 루터란들 사이의 공존과 협조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루터교 세계 연맹(LWF)이 설립되었다. 복음 전파와 기타 교회의 사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여러 루터교회들과 그룹들을 지원하며,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고양시키고, 사회적, 경제적 정의와 인권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124개 루터교회가 회원 교회로 참여하고 있으며, 전 세계 루터란의 94% 이상이 회원이다. 스위스 제네바에 세계교회협의회(WCC) 본부와 함께 있으며, 한국 루터교회는 1972년에 가입하였다.[2]
2. 1. 루터교회라는 호칭의 유래
기독교 한국 루터회 누리집에 따르면, ‘루터란’이라는 명칭은 마르틴 루터를 비판하는 이들이 루터파를 "루터를 따르는 똘마니"라고 경멸하는 말로 사용하였는데, 나중에는 이 말이 루터교회 스스로도 자신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굳어지게 되었다.[270][271]루터 자신도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자기 이름 '루터'를 붙여서 부르는 것을 극구 반대하였다. 그는 우리들을 루터교인이라 부르지 말고 그리스도인이라 불러 달라고 하였다.
'루터교'라는 명칭은 1519년 7월 라이프치히 논쟁 당시 독일 스콜라 철학 신학자 요한 마이어 폰 에크에 의해 루터에 대항하여 사용된 경멸적인 용어에서 유래했다.[4] 에크와 다른 로마 가톨릭 신자들은 이단의 지도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는 전통적인 관례를 따랐고, 따라서 마르틴 루터의 신학에 동조하는 모든 사람들을 루터교도로 라벨링했다.[5]
마르틴 루터는 항상 '루터교'라는 용어를 싫어했고, 대신 "복음"을 의미하는 "좋은 소식"을 뜻하는 그리스어 εὐαγγέλιον|유앙겔리온grc에서 파생된 '복음주의자'라는 용어를 선호했다.[4] 존 칼뱅, 울리히 츠빙글리 및 개혁주의 전통과 관련된 다른 신학자들의 추종자들 또한 그 용어를 사용했다. 두 복음주의 그룹을 구별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은 두 그룹을 '복음주의 루터교'와 '복음주의 개혁교'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복음주의'라는 단어는 사라졌다. 루터교인들 스스로는 16세기 중반에 재세례파와 칼뱅주의와 같은 다른 그룹과 구별하기 위해 '루터교'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597년, 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신학자들은 '루터교'라는 칭호를 참된 교회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했다.[5]
일본어 명칭 「'''루터'''」는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의 무대 독일어 발음에 기인한다. 일본 국내의 교단·교회는 일본 복음 루터 교회, 일본 루터 교단, 서일본 복음 루터 교회, 긴키 복음 루터 교회 등 모두 명칭에 「루터」를 포함하지만, 이 일본어 명칭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은 일본의 루터 교회 관계자와 그들에 의한 출판물이었다. 일본에서는 무대 독일어에 의한 발음 기호를 삼수사의 독일어 사전이 우선적으로 채용했다. 또한, 신도를 「루테라나 (Lutheranerde), 루서란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이시하라 켄, 오츠카 히사오, 사토 시게히코 등 도쿄 제국 대학 출신의 역사학자나 신학자는 일찍부터 「'''루터파'''」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와나미 서점이나 야마카와 출판사, 신교 출판사 등에서 발행되는 역사 및 신학 전문서에서도 루터파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의 루터 교회 관계자 이외의 구 일본 기독교회, 일본 기독교단, 무교회에 속하는 학자, 연구자들은 루터파라는 명칭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2. 2. 신학 논쟁과 일치
마르틴 루터 사후 독일 루터교는 멜란히톤 중심의 '필립파'와 '정통 루터파'로 분열되었다. 이들 간의 여러 신학 논쟁을 중재하고 칼뱅주의와의 논쟁에서 주장된 내용을 채택하여 '일치 신조문'(1577년)이 만들어졌다. '일치 신조'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50주년 기념으로 출판된 '일치서'(1580년)에 다른 루터교 신조들과 함께 게재되었다.[22]16세기 중반, 루터교 내에서는 숨은 칼뱅주의자, 필립주의자, 성찬주의자, 유비쿼터스주의자, 진정한 루터교 신자 사이의 종교적 분쟁이 격렬하게 벌어졌다. 이는 마침내 ''화해 신조''에서 문제 해결로 종식되었다. 많은 수의 정치적, 종교적으로 영향력 있는 지도자들이 모여 성경을 토대로 이러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해결했으며, 그 결과 8,000명 이상의 지도자들이 서명한 신조가 탄생했다. ''화해 신조집''은 이전의 불완전한 교리 모음집을 대체하여 모든 독일 루터교 신자들을 동일한 교리로 통일하고 루터교 정통주의 시대를 열었다.
2. 3. 루터교회의 확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은 서방 교회를 성경적인 기반으로 개혁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6][7] 그의 저술, 특히 ''95개조 반박문''은 국제적으로 확산되었고, 이는 서방 기독교의 분열을 초래했다.[8] 종교 개혁 기간 동안 루터교는 북독일, 스칸디나비아, 리보니아 기사단 등 북부 유럽 여러 국가에서 국교가 되었고, 루터교 성직자는 공무원이 되었으며, 루터교 교회는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1]
1520년부터 코펜하겐에서 루터교 예배가 정기적으로 열렸다.[12] 프레데릭 1세 통치하에서 덴마크-노르웨이는 공식적으로 가톨릭을 유지했지만, 프레데릭 1세는 루터교 설교자 및 개혁가들을 보호하는 정책을 채택했다.[19] 그의 아들 크리스티안 3세는 내전에서 승리한 후 덴마크-노르웨이의 종교 개혁을 추진했다. 교회 조례에 따르면 덴마크 노르웨이 교회는 "하나님의 순수한 말씀, 즉 율법과 복음"에 의존해야 했다.[14] 젊은이들은 루터의 소교리문답을 통해 죄의 용서, 의로운 것으로 간주됨, 영생을 기대하도록 가르침을 받았다.[15]
스웨덴의 종교 개혁은 올라우스 페트리와 로렌티우스 페트리 형제로부터 시작되었고, 이들은 구스타브 바사를 루터교로 이끌었다. 1523년 스웨덴과 교황청 사이의 관계가 단절되었고,[19] 1593년 웁살라 종교회의에서 성경을 신앙의 유일한 지침으로 선언하고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 ''아타나시우스 신경'', 1530년의 변경되지 않은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을 권위 있는 설명으로 받아들였다.[20]


루터교 정통주의 시대는 초기, 고등, 후기 정통주의로 나뉜다. 루터교 스콜라 철학은 요한 게르하르트에 의해 확립되었고, 아브라함 칼로비우스는 정통 루터교에서 스콜라 철학의 정점을 보여준다. 30년 전쟁 이후 헬름슈테트 학파에서 타협적인 정신이 나타나 혼합주의 논쟁을 일으켰다.[24] 후기 정통주의는 합리주의와 경건주의의 영향으로 분열되었다. 다비트 홀라츠는 합리주의 이전의 마지막 유명한 정통 루터교 신학자였다. 중세 신비주의 전통은 마르틴 묄러, 요한 아른트 등에 의해 이어졌다.
1517년 마르틴 루터에 의해 독일에서 종교 개혁이 시작되었고,[264]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의 결과, 루터교회는 독일에서 법적 권리를 인정받았다. 1580년에는 루터교의 교리적 입장을 나타내는 "화해 신조"가 제정되었다.
1817년 프로이센에서 루터교와 개혁교회가 연합하여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이 교회에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작성한 예배식문이 하사되었는데, 이는 뉘른베르크 루터교 예배식에 따른 것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미사에 준거한 것이었다.[265] 이 연합에 참여하지 않은 독일 루터교인 일부는 미국으로 이민하여 세인트루이스 주변에서 루터교회 미주리 시노드를 형성했다.
미국에는 유럽으로부터의 이민과 함께 루터교 세력이 확대되었고, 19세기 이후 독일과 북유럽 루터교인들이 미국 중서부를 중심으로 정착했다. 19세기 이후 독일, 북유럽, 미국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전도가 이루어져 탄자니아, 인도네시아 등지에 큰 루터교 교회가 세워졌다.
2. 3. 1. 북유럽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루터교는 독일에서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1525년 이후 프로이센, 1527년 이후 스웨덴과 핀란드, 1537년 이후 덴마크와 노르웨이, 1539년 이후 아이슬란드와 발트해의 여러 국가들(1523 - 39) 등에서 루터교가 국교 또는 주요 종교가 되었다.[1] 북유럽 루터교회는 고교회파 전통을 따르며 주교, 사제, 부제의 삼성직을 유지하고, 성직자에게 한국과는 달리 신부(사제)라는 호칭을 사용한다.[1]
루터교는 16세기 스칸디나비아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덴마크-노르웨이와 스웨덴의 군주들이 이 종교를 받아들였다.[1] 발트 독일과 스웨덴의 지배를 통해 루터교는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로 전파되었다.[1]

북쪽의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인구가 종교 개혁의 영향과 정치로부터 비교적 격리되어 있었고, 스웨덴 교회(당시 핀란드를 포함)는 사도 계승을 유지했다.[242] 최근 스웨덴의 사도 계승은 포르보 커뮤니언 교회에 도입되었다.[242]
2. 3. 2. 오세아니아와 미국
유럽에서 ‘30년 전쟁’의 전화를 피해 일부 루터교도들은 미국으로 이민하였다. 이들은 초기에는 유럽 선교협의회들로부터 온 목사들의 목양을 받았다. ‘미국 루터교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뮐렌베르크는 1742년 프랑케 할레 선교회에서 파송되어 온 후, 북미의 루터교도들을 하나의 신앙고백으로 연합시키고 순수성을 보존하려고 힘썼다. 그는 루터교도들을 조직하는 데도 큰 역할을 담당하여 1748년 미국 최초의 루터교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1]
이민 시기에 루터교인들은 기존의 교회 정치에 대한 생각을 대서양 너머로 가져갔지만,[249][250] 뉴 스웨덴 식민지의 초기 스웨덴 루터교 이민자들이 성공회의 주교의 지배를 받아 국교의 일부가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스로 교회를 운영해야 했다. 이로 인해 혼합된 교회 회의와 장로교식 시노드 형태의 교회 행정에서 회중주의적 역학이 증가했다. 미국에서 최초로 조직된 루터교회는 펜실베이니아 목회단이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 개혁파 스타일의 시노드 행정을 사용했다. 이들이 교회 정치 발전에 기여한 점은 작은 시노드가 시노드 행정을 유지하면서도 하위 수준의 행정을 잃지 않고 더 큰 조직을 형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작은 시노드들은 유럽에서처럼 국가의 간섭 없이 가입, 탈퇴, 합병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전례 없는 유연성을 얻었다.
19세기의 박해 기간 동안, 스콜라주의적이고 정통적인 신자들로 정의되는 구 루터교는 딜레마에 빠졌다. 권위에 대한 저항은 전통적으로 불복종으로 간주되었지만, 상황 속에서 정통 교리와 역사적 관행을 옹호하는 것은 정부에 의해 불복종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하위 치안 판사 교리는 성직자들이 국가에 합법적으로 저항하고 심지어 떠날 수 있도록 했다. 독일에서는 불법적인 자유 교회가 세워졌고 대규모 이민이 발생했다. 수십 년 동안 새로운 교회는 새로운 성직 후보를 파송받아 안수를 받기 위해 자유 교회에 의존했다. 이 새로운 교회 조직들은 또한 시노드 행정을 사용했지만, 하위 치안 판사 교리와의 양립 불가능성 때문에 헬레니즘을 헌법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었다. 권위가 모든 수준에서 유입되는 헬레니즘과 달리, 칸트주의는 권위가 위에서 아래로만 진행된다고 제시하므로, 하위 치안 판사가 새로운 최고 치안 판사가 될 필요가 있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일부 루터교 조직은 개신교 회의 및 그리스도를 위한 선교 루터교회 (LCMC)와 같이 보다 회중주의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2. 3. 3. 아시아
유럽과 미주 지역 선교사들의 파송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루터교회가 세워졌다. 탄자니아와 인도네시아 교회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다.[218]19세기 동안 상당한 규모의 루터교 선교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17세기부터 유럽 상인들이 해안을 따라 정착하면서 아프리카에 루터교를 전파했다. 19세기 전반 동안, 아프리카에서의 선교 활동은 선교사들의 설교, 성경 번역, 교육을 포함하여 확장되었다.[218]
바르톨로메우스 지겐발크의 사역과 함께 인도에 루터교가 시작되었으며, 수천 명에 달하는 신자 공동체가 형성되어 자체적인 성경 번역본, 교리 문답서, 찬송가, 그리고 루터교 학교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1840년대에 이 교회는 카를 그라울을 포함한 라이프치히 선교회의 사역을 통해 부흥을 경험했다.[219] 1914년 독일 선교사들이 추방된 후, 인도의 루터교 신자들은 완전히 자치성을 갖게 되었지만 루터교적 특성을 유지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인도는 반종교 개종법을 완화하여 선교 활동의 부활을 허용하고 있다.
1892년, 최초의 루터교 선교사들이 일본에 도착했다. 비록 사역이 느리게 시작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어려움 속에서 큰 차질이 발생했지만[221], 그곳의 루터교는 살아남아 자립하게 되었다.[222] 중국 루터교회 선교사들을 포함한 중국 선교사들이 추방된 후, 그들은 타이완과 홍콩에서 사역을 시작했고, 홍콩은 아시아 루터교의 중심지가 되었다.[222]
뉴기니 루터교 선교회는 1953년에 설립되었지만, 불과 수십 년 만에 세계에서 가장 큰 루터교 선교회가 되었다. 현지 평신도 전도자들의 사역을 통해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많은 부족들이 복음을 접하게 되었다.[222]
2. 4. 루터교 세계연맹
루터교 세계 연맹(LWF)은 1947년 세계 루터란들 사이의 공존과 협조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복음 전파와 기타 교회의 사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여러 루터교회들과 그룹들을 지원하며,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고양시킨다. 또한, 사회적, 경제적 정의와 인권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124개 루터교회가 회원 교회로 참여하고 있으며, 전 세계 루터란의 94% 이상이 회원이다. 스위스 제네바에 세계교회협의회(WCC) 본부와 함께 있으며, 한국 루터교회는 1972년에 가입하였다.[2]3. 교리
루터교는 9개의 신조를 인정한다.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조와 같은 고대 교회의 신조와 마르틴 루터가 자신의 신앙을 정리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을 통해 신앙을 고백한다. 그 외에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의 변증서(1530년), 스몰칼드 신조, 루터의 신앙고백서(1537년), 두 개의 요리문답(1529년), 6명의 루터파 신학자들이 작성한 일치신조(1577년)가 있다.[273]
루터교회는 종교 개혁의 3원칙인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에 근거한 칭의 입장을 취한다. 교회가 유지해야 할 것은 말씀("성경"과 그 복음을 올바르게 설교하는 "설교")과 두 가지 성례전 (세례와 성찬)이라고 한다. 성찬은 "떡"과 "포도주" 두 가지를 사용한다.
루터교 신조는 다음과 같다.
신조 |
---|
사도신경 |
니케아 신경 |
아타나시우스 신경 |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
아우크스부르크 변증 |
대교리 문답 |
소교리 문답서 |
슈말칼덴 신조 (슈말칼트 신조) |
화해 신조 |
바르멘 선언 (독일, 오스트리아 루터교 주 교회에서 신앙 고백으로 채택) |
슈말칼덴 신조와 화해 신조는 일부 교회에서 신앙 고백에 포함되지 않는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복음(루터) 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백 교회를 재건의 초석으로 삼아 바르멘 선언을 신앙 고백으로 채택했다. 마르틴 루터와 관련된 중부 독일 복음주의 교회에서도 바르멘 선언은 신앙 고백의 일부이다. 독일어권 루터 교회에서는 바르멘 선언을 신앙 고백으로 규정하지 않은 주 교회에서도 신앙 고백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세례 전 교육에서는 루터의 가르침에 따라 십계명, 사도신경, 주기도문을 중시하며, 각각 교리, 올바른 예배, 신앙인의 삶을 가르친다고 본다.
개신교에서는 드물게 수도원 (마리아 복음 자매회)이 있으며, 수녀도 있다(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위치). 성직자 계급(성직 위계)은 없으며, 목사는 결혼할 수 있다.
루터교 내에는 다양한 전통이 존재한다. 상호 성찬과 강단 교류를 맺는 교회도 있지만, 신학적 전통이 다른 교회의 신도에게는 성찬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른 교파와의 관계는 각 루터 교회마다 다르다.
게이, 레즈비언 목사 임명을 인정하는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레즈비언 교구 감독을 선출한 스웨덴 교회와 같이 신학적 자유주의를 따르는 교회와 여성 목사 임명을 거부하는 보수적인 교회도 있는등 신학적 방향성도 다양하다.
3. 1. 3가지 가치
Sola Fidede (오직 믿음으로): 인간은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구원받을 수 있다. Sola Gratiade (오직 은총으로):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이다. Sola Scripturade (오직 성경으로): 성경만이 신앙과 삶의 유일한 기준이다.전통적으로 루터교인들은 성경을 유일하게 신성하게 영감을 받은 책이자, 현재 사용 가능한 신성하게 계시된 지식의 유일한 출처이며, 기독교 교리의 유일무이한 무오류 출처로 여긴다.[48] 오직 성경은 신앙의 형식적 원리이며, 그 영감, 권위, 명확성, 효능, 충분성으로 인해 모든 신앙과 도덕 문제에 대한 최종 권위이다.[49]
마르틴 루터는 성경이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이며,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무오류 지침이라고 가르쳤다. 그는 성경의 모든 구절이 다른 성경에 의해 해석된 문자적 의미인 하나의 명확한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했다.[50]
3. 2. 성경
전통적으로 루터교인들은 구약과 신약의 성경을 유일하게 신성하게 영감을 받은 책, 현재 사용 가능한 신성하게 계시된 지식의 유일한 출처, 기독교 교리의 유일무이한 무오류 출처로 여긴다.[48] 오직 성경은 신앙의 형식적 원리이며, 그 영감, 권위, 명확성, 효능, 충분성으로 인해 모든 신앙과 도덕 문제에 대한 최종 권위이다.[49]마르틴 루터는 성경이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이며 신앙과 실천의 유일한 무오류 지침이라고 가르쳤다. 그는 성경의 모든 구절이 다른 성경에 의해 해석된 문자적 의미인 하나의 명확한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했다.[50] 이러한 가르침은 17세기 루터교 정통주의 동안 받아들여졌다.[51]
오늘날 루터교인들은 성경의 영감과 권위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 퓨 리서치 센터의 2008년 미국 종교 지형 조사에 따르면, 루터교인이라고 밝힌 미국 성인 중 30%는 성경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믿었다. 40%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문자 그대로 참되지는 않다고 생각하거나 확신하지 못했다. 23%는 성경이 사람에 의해 쓰여졌으며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고 답했다.[53]
3. 2. 1. 영감
역사적으로 루터교인들은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을 단순히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전적인 언어적 영감 때문에 성경의 모든 단어가 하나님의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말씀이라고 확언한다.[54]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변증''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과 동일시하며[55] 성령을 성경의 저자라고 부른다.[56] 이 때문에 루터교인들은 ''화해 신조''에서 "우리는 구약과 신약의 예언적이고 사도적인 성경을 이스라엘의 순수하고 명확한 근원으로 온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껴안는다"고 고백한다.[57]3. 2. 2. 명료성
역사적으로 루터교는 성경이 기독교 신앙의 모든 교리와 명령을 분명하게 제시한다고 이해한다.[59] 또한 루터교는 하나님의 말씀이 특별한 교육 없이도 보통의 지성을 가진 모든 독자나 청취자에게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고 믿는다.[60] 루터교인은 성경이 제시된 언어를 이해해야 하며, 이해를 방해할 정도의 오류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61] 그 결과, 루터교인은 성경의 어떤 부분의 진정한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성직자, 교황, 학자 또는 에큐메니컬 공의회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고 믿는다.[62]3. 2. 3. 효능
루터교는 성경이 성령의 능력과 결합되어 있으며, 성경이 가르침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도록 만든다고 고백한다.[63] 이 가르침은 믿음과 순종을 낳는다. 성경은 죽은 문자가 아니라 성령의 능력이 내재되어 있다.[64] 성경은 논리적 주장에 근거한 단순한 지적 동의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믿음의 동의를 만들어낸다.[65] 슈말칼덴 신조는 "말씀이 선행하거나 함께하지 않으면, 하나님은 누구에게도 성령이나 은혜를 주지 않으신다"라고 확언한다.[66]3. 2. 4. 충족성
루터교회는 구원을 얻고 기독교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이 성경에 들어 있다고 확신한다.[67] 교황의 선언이나 현대의 교리 발전 등으로는 성경의 부족함을 채울 수 없다고 여긴다.[68]3. 2. 5. 율법과 복음
루터교회는 성경이 율법과 복음(또는 율법과 약속)이라는 두 가지 뚜렷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이해한다.[69] 율법과 복음을 올바르게 구분하는 것은 오직 은혜를 통한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복음의 가르침이 모호해지는 것을 막아준다.[70]3. 3. 루터교 신앙고백
1580년에 출판된 ''합의서''(Book of Concord)는 일부 루터교인들이 성경에 대한 충실하고 권위 있는 설명이라고 믿는 10개의 문서를 담고 있다.[71] 로마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세 개의 에큐메니컬 신조 외에도, ''합의서''는 종교개혁 시대의 루터교 신학을 명확히 설명하는 7개의 신조 문서를 포함하고 있다.[71]루터교회의 교리적 입장은 모든 루터교회에서 ''합의서''가 동일한 지위를 갖지 않기 때문에 통일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스칸디나비아의 국교회는 세 개의 에큐메니컬 신조 외에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만을 "신앙의 요약"으로 간주한다.[71] 독일과 아메리카 대륙의 루터교 목사, 회중 및 교회 단체는 일반적으로 전체 루터교 신앙고백과 조화를 이루어 가르치는 데 동의한다. 일부 루터교 교회 단체는 신앙고백이 성경이 가르치는 것을 정확하게 진술한다고 믿기 때문에 이러한 약속을 무조건적으로 요구한다. 다른 교회 단체는 회중이 신앙고백이 성경과 "일치하는 한" 그렇게 하도록 허용한다.[71] 또한 루터교인들은 기독교 교회의 처음 일곱 에큐메니컬 공의회의 가르침을 받아들인다.[72][73]
루터교회는 전통적으로 자신을 그리스도와 사도들에 의해 설립된 "역사적 기독교의 주된 줄기"로 보고 있으며, 종교 개혁 동안 교황청이 이탈했다고 주장한다.[74][75]
루터교 신조는 다음과 같다.
- 사도신경
- 니케아 신경
- 아타나시오 신경
-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 아우크스부르크 변증
- 대교리 문답
- 소교리 문답서
- 슈말칼덴 신조 (슈말칼트 신조)
- 화해 신조
- 바르멘 선언(독일, 오스트리아의 루터교회 주 교회에서 신앙 고백으로 채택되기 시작했다)
단, 슈말칼덴 신조, 화해 신조에 대해서는 신앙 고백에 포함하지 않는 교회도 많다.
독일, 오스트리아의 복음(루터) 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고백 교회를 재건의 초석으로 재출발한 역사를 가지고 있어, 바르멘 선언이 신앙 고백으로 채택되기 시작했다. 마르틴 루터의 생애와 관련된 교회의 대부분이 속해 있는 중부 독일 복음주의 교회에서도 바르멘 선언은 신앙 고백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독일어권의 루터 교회인 경우, 바르멘 선언을 신앙 고백으로 규정하지 않은 주 교회에서도 신앙 고백과 동일하게 취급된다.
3. 4. 칭의
루터교의 핵심 교리는 칭의 교리이다. 루터교인들은 인간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오직 은혜''), 오직 믿음으로(''오직 믿음''), 오직 성경에 근거하여(''오직 성경'') 죄로부터 구원받는다고 믿는다.[77] 정통 루터교 신학은 하나님이 인간을 포함한 세상을 완전하고 거룩하며 죄가 없는 상태로 만드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는 자신의 힘, 지식, 지혜를 믿고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기로 선택했다.[78][79] 그 결과, 사람들은 원죄에 얽매이게 되었고, 죄인으로 태어나 죄악된 행위를 저지르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80] 루터교인들에게 원죄는 "모든 실제적인 죄의 뿌리이자 근원인 주요 죄"이다.[81]루터교인들은 죄인들이 겉으로 보기에 "선한" 행위를 할 수 있지만, 하나님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행위는 할 수 없다고 가르친다.[82] 모든 인간의 생각과 행위는 죄와 죄악된 동기로 오염되어 있다.[83] 이 때문에 모든 인류는 지옥에서 영원한 멸망을 받아야 한다.[84] 하나님은 영원 속에서 아버지의 마음을 이 세상으로 돌이키시고, 모든 사람을 사랑하시고 아무도 영원히 멸망받는 것을 원치 않으시기 때문에 그들의 구원을 계획하셨다.[85]
이를 위해, 루터의 대요리문답에서는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님을 세상에 보내사 우리를 마귀의 권세에서 구속하시고 해방하시며, 우리를 그분께로 데려가시고, 죄와 죽음과 악한 양심에 대항하여 의, 생명, 구원의 왕으로 우리를 다스리게 하셨다."라고 설명한다.[86] 루터교인들은 구원이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삶, 고난, 죽음, 부활, 그리고 성령의 능력으로 지속적인 임재를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로만 가능하다고 가르친다.[87]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을 통해 알려지고 효력을 발휘하는 하나님의 은혜로, 사람은 용서받고 하나님의 자녀와 상속자로 입양되며 영원한 구원을 받는다.[88] ''화해 신조''는 그리스도가 자신의 인간적인 본성과 신적인 본성 모두에 관하여 율법에 완전히 순종하셨기 때문에 "인류의 완전한 만족과 화해이시다"라고 단언하며,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89]
> [그리스도는] 우리를 위해 율법에 복종하시고, 우리의 죄를 지셨으며, 그의 아버지께 가셔서 우리 가련한 죄인들을 위해 그의 거룩한 탄생에서 죽음까지 완전하고 완벽한 순종을 행하셨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우리의 본성과 그 생각, 말, 행위에 내재된 모든 불순종을 덮으셨습니다. 그래서 이 불순종은 우리에게 정죄로 여겨지지 않고, 오직 그리스도로 인해 순수한 은혜로 용서받고 사면받습니다.
루터교인들은 개인이 오직 믿음을 통해 이 구원의 선물을 받는다고 믿는다.[90] 구원하는 믿음은 복음의 약속에 대한 지식,[91] 수용,[92] 그리고 신뢰[93]이다.[94] 믿음 자체도 성령의 역사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의 마음속에 창조된 하나님의 선물로 여겨진다.[95] 오직 말씀[96]과 세례[97]를 통해서 말이다. 믿음은 구원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구원의 선물을 받는다.[98] 따라서 루터교인들은 현대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결정 신학"을 거부한다.
"은혜"라는 용어는 다른 기독교 교단에 의해 다르게 정의되어 왔다.[99] 루터교는 은혜를 우리가 행위나 행동으로 얻는 것이 아닌, 순수한 선물로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로만 제한한다. 루터교인들에게 은혜는 하나님의 선물에 대한 우리의 반응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선물에 관한 것이다.
3. 5. 삼위일체
루터교는 삼위일체를 믿으며, 아버지와 아들이 단순히 동일 인물의 다른 모습이라는 주장을 거부한다. 구약과 신약 모두 이들을 구별되는 두 인격체로 묘사한다고 주장한다.[100] 루터교는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 모두에게서 나온다고 믿는다.[101] 아타나시우스 신조에 따르면, "우리는 삼위일체 안에서 한 하느님을, 일체 안에서 삼위일체를 경배합니다. 인격을 혼동하지도 않고, 본질을 나누지도 않습니다. 이는 아버지의 한 위격, 아들의 다른 위격, 그리고 성령의 또 다른 위격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의 신성은 모두 하나이며, 영광은 동등하고, 위엄은 영원합니다."[102]
3. 6. 그리스도의 두 본성
루터교인들은 예수가 그리스도이며, 구약에서 약속된 구세주라고 믿는다. 그들은 예수가 본질적으로 하나님이시며 본질적으로 인간이라고 믿는다. 이는 루터의 ''소교리문답''에서 "영원부터 아버지에게서 나신 참 하나님이시며, 또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신 참 사람이시다"라고 고백하는 것과 같다.[103]''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04]
> [하나님의 아들은] 복되신 성모 마리아의 태에서 인간의 본성을 취하셨으며, 그리하여 신성과 인성이 한 인격, 곧 한 그리스도, 참 하나님이시며 참 인간이신 분 안에서 불가분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분은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셨고, 참으로 고난을 받으셨으며,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죽으시고, 묻히셨으며, 그가 우리를 아버지와 화해시키시고, 원죄뿐만 아니라 인간의 모든 실제적인 죄를 위한 희생물이 되도록 하셨다.
3. 7. 성례전

루터교인들은 성례가 신성한 행위이며 신의 제정이라고 믿는다.[106] 하나님께서는 성례가 그분이 명하신 물질적 요소[107]와 신성한 제정의 말씀을 사용하여 적절하게 거행될 때,[108] 각 성례의 고유한 방식으로 말씀과 물질적 요소와 함께 임재하신다.[109] 그분은 성례를 받는 모든 이에게 죄의 용서[111]와 영원한 구원을 진지하게 제공하시며,[112] 받는 자 안에서 이러한 축복을 받아들이고 그들이 소유하고 있다는 확신을 증가시키도록 역사하신다.[113]
루터교는 세례와 성찬 두 가지 성례만을 말한다.[115] 일부는 고백과 사죄[116]를 "세 번째 성례"라고 부르기도 한다.[117]
3. 7. 1. 세례
루터교인들은 세례가 구원을 가져다주는 하나님의 역사이며,[122]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명령되고 제정되었다고 믿는다.[123] 세례는 하나님이 "구원의 믿음"을 창조하고 강화하는 "은혜의 수단"이며, 유아와 성인이 거듭나는 "중생의 씻음"이다.[124][125] 믿음의 창조는 오직 하나님의 역사이므로, 유아든 성인이든 세례를 받는 사람의 행위에 달려 있지 않다. 비록 세례를 받은 유아는 그 믿음을 표현할 수 없지만, 루터교인들은 그 믿음이 동일하게 존재한다고 믿는다.[126]오직 믿음만이 이러한 신성한 선물을 받으므로, 루터교인들은 세례가 "죄를 용서하고, 죽음과 악마로부터 구원하며, 하나님의 말씀과 약속이 선포하는 바와 같이 이것을 믿는 모든 사람에게 영원한 구원을 준다"고 고백한다.[127] 루터교인들은 베드로전서 3:21에 인용된 성경 말씀을 굳게 지킨다. "세례는 이와 같은 표상으로서, 육체의 더러움을 제거함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선한 양심의 간구로써 너희를 구원합니다."[128] 따라서, 루터교인들은 유아[129]와 성인 모두에게 세례를 베푼다.[130] 마르틴 루터는 그의 ''대교리문답''에서 유아 세례에 대한 특별한 부분에서,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성령으로 거듭나고 성결하게 되었으므로 유아 세례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고 주장한다.[131][132]
3. 7. 2. 성찬
루터교는 성찬(제단 성사 또는 주의 만찬이라고도 불림)에서 그리스도의 참된 몸과 피가 축성된 빵과 포도주의 "형태 안에, 안에, 그리고 아래에"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는다.[133] 이는 『일치신조』가 성사적 연합이라고 부르는 교리이다.[134]
3. 7. 3. 고백
많은 루터교인들은 성찬을 받기 전에 참회 성사를 받는다.[135][120] 첫 성찬을 받기 전에 개인 고백을 한다.[119][136] 성찬 예식에서 공동 고백과 사죄가 선포된다.[121]3. 8. 회심
루터교에서 회심은 인간이 육신으로 태어나 선한 것을 생각하고, 의지하고, 행할 능력이 전혀 없으며 죄 가운데 죽어있는 상태에서, 복음과 세례를 통해 하나님의 진노 아래 죄와 영적 죽음에서 벗어나 믿음과 은혜의 영적 생명 상태로 옮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으로 이루어지는 일이다.[138]회심한 사람은 영적으로 선한 것을 의지하고 행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속의 유익을 신뢰하게 된다.[138]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에 따르면, 회개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는 죄를 깨닫고 양심의 가책을 느끼는 '통회'이며, 둘째는 복음을 통해 죄가 용서받았음을 믿고 양심의 위로와 평안을 얻는 '믿음'이다.[139]
3. 9. 예정
루터교는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행위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는 단독행위주의를 따르며, 타락한 인간이 영적인 문제에 관해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거부한다.[140] 루터교인들은 인간이 시민적 의에 관해서는 자유 의지를 가지지만, 성령의 임재와 도움 없이는 마음속에서 영적인 의를 행할 수 없다고 믿는다.[141][142] 루터교인들은 기독교인이 "구원받았다"고 믿으며,[143] 오직 그리스도와 그의 약속만을 신뢰하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구원을 확신할 수 있다고 믿는다.[144]루터교에 따르면, 기독교인의 중심적이고 최종적인 희망은 사도신경에서 고백하는 "육체의 부활과 영원한 생명"이며, 예정이 아니다. 루터교인들은 그리스도의 고난, 죽음, 부활이 아닌 예정—을 구원의 근원으로 삼는 사람들에게 동의하지 않는다. 일부 칼뱅주의와 달리, 루터교인들은 저주로의 예정은 믿지 않으며,[145]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진리를 아는 데 이르기를 원하시는 우리 구주 하나님"(디모데전서 2:4)을 그러한 주장에 반대되는 증거로 언급한다.[146] 대신, 루터교인들은 영원한 저주는 불신자의 죄, 죄의 용서 거부, 그리고 불신앙의 결과라고 가르친다.[147]
3. 10. 하나님의 섭리
루터교인에 따르면, 하나님은 그의 창조물을 보존하고, 일어나는 모든 일에 협력하며, 우주를 인도한다.[148] 하나님은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 모두에 협력하지만, 악한 행동에는 그 행위 자체에만 협력할 뿐, 그 안에 있는 악에는 협력하지 않는다. 하나님은 행위의 결과에는 동의하지만, 행위의 타락이나 그 결과의 악에는 협력하지 않는다.[149] 루터교인들은 모든 것이 기독교 교회를 위해 존재하며, 하나님은 교회의 복지와 성장을 위해 모든 것을 인도한다고 믿는다.[150]소요리 문답에 제시된 사도신경 해설은 사람들이 가진 모든 좋은 것은 하나님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사람이나 사물을 통해 주어지고 보존된다고 선언한다.[151] 가족, 정부, 직업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제공하는 봉사에 대해 "우리는 이러한 축복을 그들로부터 받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통해 하나님으로부터 받는다".[152] 하나님은 모든 사람의 유용한 일들을 선을 위해 사용하므로, 사람들은 어떤 유용한 직업을 다른 것보다 덜 가치 있다고 폄하해서는 안 된다. 대신 사람들은 아무리 낮은 지위에 있더라도, 하나님이 세상에서 일하시는 수단으로서 다른 사람들을 존경해야 한다.[152]
3. 11. 선행
루터교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제20조: 선행에 관하여"에서 밝히듯이, 선행은 항상, 그리고 모든 경우에 믿음의 열매라고 믿는다.[154] 선행은 타락한 인간의 마음이나 인간의 노력이 아닌, 하나님에게서 비롯된다.[156] 선행이 없다는 것은 믿음 또한 없음을 보여준다.[158] 루터교는 선행이 구원을 얻는 데 영향을 준다고 보지 않는다. 루터교인들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의 공로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는다고 믿는다. 선행은 구원의 원인이 아니라 믿음의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그리스도인들은 더 이상 하나님의 율법을 지킬 의무는 없지만, 자유롭고 기꺼이 하나님과 이웃을 섬긴다.[159]3. 12. 심판과 영생
루터교회는 세상 종말의 마지막 날에 그리스도가 재림하기 전이나 후에 어떠한 종류의 밀레니엄 왕국도 믿지 않는다.[160] 마지막 날에는 죽은 모든 사람의 몸이 부활할 것이다.[164]그들의 영혼은 죽기 전과 동일한 몸과 다시 결합될 것이다.[165] 그 후 몸은 변화될 것이고, 악인의 몸은 영원한 수치와 고통의 상태가 되며,[166] 의로운 사람의 몸은 영원한 하늘의 영광스러운 상태가 될 것이다.[167] 모든 죽은 사람의 부활 후,[168] 그리고 아직 살아있는 사람의 변화 후,[169] 모든 민족은 그리스도 앞에 모일 것이며,[170] 그리스도는 의로운 사람과 악한 사람을 분리할 것이다.[171]
그리스도는 모든 사람을 그들의 행위의 증거에 따라 공개적으로 심판할 것이며,[172] 의로운 사람의 선한 행위[174]는 그들의 믿음을 증명하는 것이고,[175] 악인의 악한 행위는 그들의 불신을 증명하는 것이다.[176] 그는 모든 사람과 천사들 앞에서 의롭게 심판할 것이며,[178] 그의 최종 심판은 악인에게는 영원한 형벌이라는 정당한 유죄 판결이며, 의로운 사람에게는 영원한 생명이라는 은혜로운 선물일 것이다.[179]
4. 다른 교단과의 관계
루터교는 개혁교회와 성찬론 등으로 충돌하면서, 네덜란드의 항변파(아르미니우스파)를 돕는 후원자 역할을 자처하였다. 따라서 개혁파와의 관계는 좋지 않았으나, 개혁교회 등과의 교단 연합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272]
북유럽의 루터교는 성공회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었으며, 구 가톨릭교회와도 일치를 도모하고 있다. 위르겐 몰트만과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등의 신학자들은 교회일치운동(WCC)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와 칭의론 일치 협약을 맺었다.
1947년, 스웨덴 룬드에서 루터교 세계 연맹이 조직되어 많은 루터 교회가 가맹했다. 이 연맹은 세계 루터교의 우호, 협력, 에큐메니컬 운동 참여를 목적으로 활동하며, 79개국 145개 가맹 교회와 약 7천만 명의 신자를 대표한다. 루터교 세계 연맹은 개혁교회 조직에 병행 가맹하고 있는 루터교 계통의 연합 교회도 인정하는 등 루터의 종교 개혁 유산을 계승하는 모든 교회에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2009년에는 종교 개혁의 도화선이 된 도시 비텐베르크에 출장 기관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독립 복음 루터교회(독일의 자유 교회)나 미국의 루터교회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 위스콘신 시노드와 같은 보수적인 구 루터교회는 이 연맹의 자유주의적 신학이나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한 적극적 관여를 비판하며 가맹하지 않고 있다.
루터교 세계 연맹과 가톨릭교회는 1999년 10월 31일 칭의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에 서명하여, 가톨릭교회도 신앙에 의한 복음 이해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이 선언에서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신앙 칭의 주장자에 대한 단죄는 루터교회에 적용되지 않으며, 루터에 의한 신앙 칭의 부정자에 대한 단죄는 가톨릭교회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명시했다. 이 공동 선언 지지자들은 가톨릭교회가 신앙 칭의 교리를 루터교에 적용했다고 간주하지만, 루터교회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 위스콘신 시노드, 복음주의 루터교 자유 교회 (ELFK)와 같은 보수적인 구 루터교는 그러한 해석을 거부한다. 1988년, 튀빙겐 대학교 복음주의 신학자 160명은 에버하르트 융겔 교수를 대표로 하여 이 공동 선언에 반대했다.[266] 종교 개혁의 발원지이자 신학 연구 중심지인 독일 루터교의 강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공동 선언은 강행되었다.
북유럽을 중심으로 유럽 일부 루터교회는 사도 계승성을 주장하며, 성공회와 1994년 핀란드 포르보에서 합의 문서에 서명했다. 이 합의 문서에 서명한 교회들을 포르보 코뮤니온이라 부르며, 이들은 상호 완전한 친교 관계에 있다.
5. 예배
루터교회는 일정한 양식에 따른 예전적 예배를 드린다. 예배 양식은 다음과 같다.[274]
- 촛불 점화 및 입당
- 죄의 고백과 용서
- 기도송(Kyrie)
- 영광송(Gloria in excelsis)
- 인사 및 오늘의 기도
- 첫째 성서 봉독[275]
- 오늘의 시편
- 둘째 성서 봉독
- 찬양
- 복음서 봉독
- 신앙고백(사도신경, 니케아 신경[276])
- 설교
- 봉헌영가
- 목회기도
- 성만찬 의식
- 거룩 거룩 거룩(Sanctus)
- 성찬 기도와 제정의 말씀
- 주기도문
- 하나님의 어린 양(Agnus dei)
- 성찬 분배
- 시므온의 노래(Nunc dimittis)
- 기도
- 축복기도
- 인사

6. 조직
루터교의 교회 정치는 다양한 영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제14조는 설교하거나 성례를 집행하려면 "적절하게 부름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일부 루터교인들은 이에 대한 폭넓은 견해를 가지고 있어 평신도의 설교나 언젠가 목사가 될 학생들의 성찬을 허용한다.[241] 상당한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루터교 정치는 유럽에서 지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북쪽과 동쪽에는 주교 통치가, 독일에는 혼합형 및 치리회-장로회 유형의 시노드 통치가 나타난다.
이민 시기에 루터교인들은 기존의 교회 정치에 대한 생각을 대서양 너머로 가져갔지만,[249][250] 뉴 스웨덴 식민지의 초기 스웨덴 루터교 이민자들이 성공회의 주교의 지배를 받아 국교의 일부가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스로 교회를 운영해야 했다. 이로 인해 혼합된 교회 회의와 장로교식 시노드 형태의 교회 행정에서 회중주의적 역학이 증가했다. 미국에서 최초로 조직된 루터교회는 펜실베이니아 목회단이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 개혁파 스타일의 시노드 행정을 사용했다. 이들이 교회 정치 발전에 기여한 점은 작은 시노드가 시노드 행정을 유지하면서도 하위 수준의 행정을 잃지 않고 더 큰 조직을 형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작은 시노드들은 유럽에서처럼 국가의 간섭 없이 가입, 탈퇴, 합병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전례 없는 유연성을 얻었다.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일부 루터교 조직은 개신교 회의 및 그리스도를 위한 선교 루터교회 (LCMC)와 같이 보다 회중주의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7. 전 세계의 루터교
루터교회는 현재 수백만 명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대륙에 존재한다.[254] 루터교 세계 연맹(LWF)은 전 세계 루터교회의 대부분을 포괄하는 조직으로, 교회 전체 신도 수를 7,700만 명 이상으로 추산한다.[255] 그러나 이 수치는 전 세계 루터교인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데, 모든 루터교회가 LWF에 속한 것은 아니며, LWF 교회에 소속된 많은 신도들이 스스로 루터교인이라고 밝히지 않거나 루터교 회중에 출석하지 않기 때문이다.[256]
북아메리카, 유럽,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의 루터교회는 신도 수가 감소하거나 성장이 없지만,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교회는 계속 성장하고 있다. 루터교는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라트비아, 나미비아, 노르웨이, 스웨덴, 미국의 노스다코타와 사우스다코타에서 가장 큰 종교 집단이다.
루터교는 독일의 주요 개신교 교파이며(연합 개신교회(루터교 & 개혁 교회) 다음; EKD 개신교는 전체 인구의 약 24.3%를 차지한다),[257] 에스토니아, 폴란드,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탄자니아에서도 주요 교파이다.[258]
나미비아는 유럽 외에서 루터교가 다수인 유일한 나라이지만, 다른 아프리카 국가에도 상당한 루터교 집단이 있다. 나이지리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케냐, 말라위, 콩고 민주 공화국, 카메룬,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짐바브웨, 마다가스카르에서는 루터교 신도의 총수가 10만 명을 초과한다. 또한 캐나다, 프랑스, 체코, 폴란드, 헝가리, 슬로바키아, 말레이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네덜란드(PKN 내의 시노드와 두 개의 엄격한 루터교 교파),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국, 그리고 특히 독일인과 스칸디나비아계가 많은 미국의 상부 중서부에도 상당한 루터교 인구가 있다.[259][260]
루터교는 덴마크와 아이슬란드의 국교이며,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의 국교였지만,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의 지위는 각각 2017년과 2000년에 국가 교회로 변경되었다.[261][262]
8. 한국 루터교
1892년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한국에서 루터교 선교가 시작되었다.[263] 현재 한국의 주요 루터교 교단으로는 기독교한국루터회가 있으며, 이외에도 일본 복음 루터교회, 일본 루터 교단, 서일본 복음 루터교회, 긴키 복음 루터교회 등이 있다. 이들 교단은 상호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신학교와 학교 등을 공동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한국 루터교는 사회 봉사, 에큐메니컬 운동, 남북 평화 통일을 위한 노력에 힘쓰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Long History of Lutheranism in Scandinavia. From State Religion to the People's Church
[2]
문서
Canons and Decrees of the Council of Trent
[3]
웹사이트
Why is the Lutheran Church a Liturgical Church?
https://www.blc.edu/[...]
Bethany Lutheran College
2018-09-18
[4]
서적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Eerdmans
[6]
웹사이트
Bethany Lutheran Ministries – Home
http://www.bethanylu[...]
2015-03-05
[7]
웹사이트
Lutherans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Lutheranism
http://encarta.msn.c[...]
[9]
웹사이트
'
[10]
웹사이트
'
[11]
뉴스
'
[12]
서적
Historisk fremstilling af reformationens indførelse i Danmark
https://books.google[...]
2015-03-05
[13]
서적
Historisk fremstilling af reformationens indførelse i Danmark
https://books.google[...]
2015-03-05
[14]
서적
Historisk fremstilling af reformationens indførelse i Danmark
https://books.google[...]
2015-03-05
[15]
서적
Historisk fremstilling af reformationens indførelse i Danmark
https://books.google[...]
2015-03-05
[16]
웹사이트
Danmarks og Norges Kirke-Ritual (Kirkeritualet)
https://www.retsinfo[...]
retsinformation.dk
2015-03-05
[17]
서적
A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The Minerva Group
2004-10-01
[18]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vatican.[...]
2015-03-05
[19]
웹사이트
Chapter 12: The Reformation In Germany And Scandinavia
http://vlib.iue.it/c[...]
[20]
서적
Upsala, Diet of
https://books.google[...]
Schrivner
[21]
서적
Agricola, Michael
https://books.google[...]
Schrivner
[22]
서적
Concordia Cyclopedia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23]
서적
Zeitschrift für Oesterreichische Volkskunde
https://books.google[...]
[24]
웹사이트
Lutheran Theology after 1580
http://cyclopedia.lc[...]
[25]
서적
Concordia Cyclopedia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26]
논문
Confessional Lutheranism in Eighteenth-Century Germany
http://www.ctsfw.net[...]
1996-01-01
[27]
논문
Confessional Lutheranism in Eighteenth-Century Germany
http://www.ctsfw.net[...]
1996-01-01
[2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Foundations of Lutheran Education
Concordia
[29]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stolaf.ed[...]
2015-03-05
[30]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31]
서적
2000 Jahre Kirchengeschichte, Book.4, Die Neuzeit
[32]
서적
Walking With Wise Men
South Wisconsin District (LCMS)
[33]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Volume II,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Greenwood Press
[34]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35]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36]
서적
Building God's Kingdom: Norwegian Missionaries in Highland Madagascar 1866–1903
https://books.google[...]
[37]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38]
웹사이트
Christian Cyclopedia article on Brünn
http://www.lcms.org/[...]
[39]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40]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41]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Volume II,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Greenwood Press
[42]
백과사전
Repristination Theology
https://www.britanni[...]
2010-04-06
[43]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Volume II,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Greenwood Press
[44]
서적
History of Christianity 1650–1950: Secularization of the West
Ronald Press
[4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46]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47]
서적
The Changing Church in Europe
Zondervan
[48]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49]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49]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50]
서적
Principles of Lutheran Theology
Fortress Press
[51]
서적
The Inspiration of Scripture: A Study of the Theology of the 17th Century Lutheran Dogmaticians
https://books.google[...]
Oliver and Boyd
[52]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53]
간행물
U.S. Religious Landscape Survey: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Diverse and Politically Relevant
http://religions.pew[...]
Pew Forum on Religion and Public Life
2008-06
[54]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55]
웹사이트
God's Word, or Holy Scripture
https://bookofconcor[...]
[56]
웹사이트
the Scripture of the Holy Ghost
http://www.bookofcon[...]
[57]
웹사이트
The Solid Declaration of the Formula of Concord
https://web.archive.[...]
2015-03-05
[58]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59]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59]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60]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60]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61]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62]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63]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63]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64]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64]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65]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65]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66]
웹사이트
Smalcald Articles – Book of Concord
https://web.archive.[...]
2015-03-05
[67]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68]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68]
서적
Popular Symbolics: The Doctrines of the Churches of Christendom and Of Other Religious Bodies Examined in the Light of Scripture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69]
웹사이트
Defense of the Augsburg Confession – Book of Concord
https://archive.toda[...]
2015-03-05
[70]
서적
The Proper Distinction Between Law and Gospel
http://lutherantheol[...]
Concordia Publishing House
[71]
간행물
The Religious Bodies of America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54
[72]
서적
The Ecumenical Councils and Authority in and of the Church
https://www.lutheran[...]
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1993-07-10
[73]
서적
Ecumenical Council
https://www.tititudo[...]
Titi Tudorancea Encyclopedia
[74]
서적
The Lutheran Manual
https://books.google[...]
Boschen & Wefer Company
1893
[75]
서적
Is One Church as Good as Another?
The Lutheran Witness
[76]
간행물
Luther's Catholic Reformation
2016-09-12
[77]
웹사이트
Sola Scriptura?
https://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24-05-26
[78]
간행물
The Origin of Sin
Fortress Press
1984
[79]
간행물
Definition of Original Sin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53
[80]
서적
The Conservative Reformation and Its Theology: As Represented in the Augsburg Confession, and in the History and Literature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https://archive.org/[...]
J. B. Lippincott & Co.
[81]
문서
Formula of Concord
http://www.bookofcon[...]
[82]
문서
Rom. 7:18
http://www.biblegate[...]
[83]
서적
Gen. 6:5
http://www.biblegate[...]
J. B. Lippincott & Co.
[84]
서적
Dt. 27:26
http://www.biblegate[...]
[85]
서적
1 Tim. 2:4
http://www.biblegate[...]
[86]
문서
Triglot Concordia: The Symbolical Books of the Ev. Lutheran Church
[87]
서적
Gal. 3:13
http://www.biblegate[...]
[88]
서적
Rom. 10:4
http://www.biblegate[...]
[89]
서적
Solid Declaration of the Formula of Concord, Article III, "Concerning the Righteousness of Faith before God"
https://books.google[...]
[90]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 – Book of Concord
http://www.bookofcon[...]
2015-03-05
[91]
문서
bibleverse
[92]
문서
bibleverse
[93]
문서
bibleverse
[94]
서적
Popular Symbolic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34
[95]
서적
Ps. 51:10
http://www.biblegate[...]
[96]
서적
John 17:20
http://www.biblegate[...]
[97]
서적
Titus 3:5
http://www.biblegate[...]
[98]
서적
Eph. 2:8
http://www.biblegate[...]
[99]
웹사이트
The Roman Catholic Catechism
https://www.vatican.[...]
[100]
서적
Isaiah 63:8-9
http://www.biblegate[...]
[101]
웹사이트
The Nicene Creed and the Filioque: A Lutheran Approach
https://www.angelfir[...]
[102]
문서
Athanasian Creed
[103]
문서
Luther's Small Catechism, The Apostles' Creed, Second Article
http://www.bookofcon[...]
[104]
문서
Augsburg confession, Article III
http://www.bookofcon[...]
2010-04-17
[105]
문서
Article XI: Of Confession
http://www.bookofcon[...]
[106]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07]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08]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09]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10]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11]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12]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13]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14]
문서
The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XIII, 2: "We believe we have the duty not to neglect any of the rites and ceremonies instituted in Scripture, whatever their number. We do not think it makes much difference if, for purposes of teaching, the enumeration varies, provided what is handed down in Scripture is preserved" (cf. Theodore G. Tappert, trans. and ed., ''The Book of Concord: The Confessions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59), 211).
[115]
문서
Luther's ''Large Catechism'' IV, 1: "We have now finished the three chief parts of the common Christian doctrine. Besides these we have yet to speak of '''our two Sacraments''' instituted by Christ, of which also every Christian ought to have at least an ordinary, brief instruction, because without them there can be no Christian; although, alas! hitherto no instruction concerning them has been given" (emphasis added; cf. Theodore G. Tappert, trans. and ed., ''The Book of Concord: The Confessions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59), 733).
[116]
웹사이트
John 20:23
http://www.biblegate[...]
[116]
서적
Popular Symbolic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17]
문서
Luther's ''Large Catechism'' IV, 74–75: "And here you see that Baptism, both in its power and signification, comprehends also the '''third Sacrament, which has been called repentance''', as it is really nothing else than Baptism" (emphasis added; cf. Theodore G. Tappert, trans. and ed., ''The Book of Concord: The Confessions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59), 751).
[118]
문서
The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XIII, 3, 4: "If we define the sacraments as rites, which have the command of God and to which the promise of grace has been added, it is easy to determine what the sacraments are, properly speaking. For humanly instituted rites are not sacraments, properly speaking, because human beings do not have the authority to promise grace. Therefore signs instituted without the command of God are not sure signs of grace, even though they perhaps serve to teach or admonish the common folk. The sacraments, therefore, are actually baptism, the Lord's Supper, and absolution (the sacrament of repentance)" (cf. Tappert, 211).
[118]
웹사이트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Article 13, Of the Number and Use of the Sacraments
http://www.bookofcon[...]
[119]
문서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article 24, paragraph 1.
2010-04-16
[120]
서적
Lutheran Ecclesiastical Culture: 1550 – 1675
https://archive.org/[...]
Brill Publishers
[121]
웹사이트
The Sacraments of the Lutheran Church
https://www.byfaitha[...]
Christ The King Lutheran Church
2023-05-14
[122]
웹사이트
1 Pet. 3:21
http://www.biblegate[...]
[122]
서적
Christian Dogmatic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22]
서적
Popular Symbolic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23]
문서
Small Catechism
http://www.projectwi[...]
[124]
성경
Titus 3:5
[125]
성경
John 3:3–7
[126]
웹사이트
Baptism and Its Purpose
http://www.lcms.org/[...]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09-02-24
[127]
서적
Luther's Small Catechism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09-03-10
[128]
성경
1 Peter 3:21
[129]
웹사이트
Mat. 19:14
http://www.biblegate[...]
[129]
웹사이트
Acts 2:38–39
http://www.biblegate[...]
[129]
서적
Popular Symbolic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30]
웹사이트
1 Cor. 1:14
http://www.biblegate[...]
[130]
서적
Popular Symbolic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31]
서적
Luther's Large Catechism
2009-03-10
[132]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 – Book of Concord
http://bookofconcord[...]
2015-03-05
[133]
웹사이트
1 Cor. 10:16
http://www.biblegate[...]
[133]
웹사이트
11:20, 27
http://www.biblegate[...]
[133]
서적
Popular Symbolic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34]
웹사이트
The Solid Declaration of the Formula of Concord, Article 8, The Holy Supper
http://www.bookofcon[...]
2007-04-20
[135]
서적
The Confessional History of the Lutheran Church
https://archive.org/[...]
Lutheran Publication Society
[136]
서적
Manual for the Recovery of a Parish Practice of Individual Confession and Absolution
http://www.societyho[...]
The Society of the Holy Trinity
[137]
서적
Scandinavian Pietists: Spiritual Writings from 19th-Century Norway, Denmark, Sweden, and Finland
Paulist Press
[138]
서적
Lutheran Cyclopedia
https://books.google[...]
[139]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 – Book of Concord
http://www.bookofcon[...]
2015-03-05
[140]
웹사이트
1 Cor. 2:14
http://www.biblegate[...]
[140]
웹사이트
12:3
http://www.biblegate[...]
[140]
웹사이트
Rom. 8:7
http://www.biblegate[...]
[140]
서적
Examination of the Council of Trent: Vol. 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41]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 Article 18, Of Free Will
http://www.bookofcon[...]
2008-09-15
[142]
간행물
Acts 13:48
http://www.biblegate[...]
[143]
간행물
2 Thess. 2:13
http://www.biblegate[...]
[144]
간행물
Rom. 8:33
http://www.biblegate[...]
[145]
간행물
1 Tim. 2:4
http://www.biblegate[...]
[146]
bibleverse
1 Timothy 2:3–4
[147]
간행물
Hos. 13:9
http://www.biblegate[...]
[148]
서적
Christian Cyclopedia
http://www.lcms.org/[...]
[149]
서적
Called to Believe, Teach, and Confess
Wipf and Stock
2005
[150]
웹사이트
Divine Providence and Human Adversity
http://www.wlsessays[...]
2010-07-07
[151]
웹사이트
The Small Catechism
http://www.bookofcon[...]
2015-03-05
[152]
웹사이트
Luther's Large Catechism, First Commandment
http://www.bookofcon[...]
2009-03-09
[153]
논문
Luther's Concept of the Resurrection in his Commentary on I Corinthians 15
http://www.ctsfw.net[...]
1983-07
[154]
간행물
John 15:5
http://www.biblegate[...]
[155]
서적
The Conservative Reformation and Its Theology: As Represented in the Augsburg Confession, and in the History and Literature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https://archive.org/[...]
[156]
간행물
Phil 2:13
http://www.biblegate[...]
[157]
간행물
Rom. 7:18
http://www.biblegate[...]
[158]
웹사이트
Mat. 7:15–16; NIV – True and False Prophets
http://www.biblegate[...]
2015-03-05
[159]
서적
Luther's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60]
웹사이트
Joh 18:36; ESV – Jesus answered, My kingdom is not of...
http://www.biblegate[...]
2015-03-05
[161]
간행물
Luke 23:42–43
http://www.biblegate[...]
[162]
간행물
1 Cor. 15:22–24
http://www.biblegate[...]
[163]
bibleverse
John 6:40
[164]
bibleverse
John 5:21
[165]
bibleverse
Romans 8:11
[166]
bibleverse
Daniel 12:2
[167]
bibleverse
Daniel 12:1–2
[168]
bibleverse
John 6:40
[169]
bibleverse
1 Corinthians 15:51–52
[170]
bibleverse
Matthew 25:32
[171]
bibleverse
Matthew 25:32
[172]
bibleverse
2 Corinthians 5:10
[173]
bibleverse
Romans 2:6
[174]
bibleverse
Isaiah 43:25
[175]
bibleverse
Matthew 25:34–35
[176]
bibleverse
Matthew 25:42, Matthew 7:17–18, John 3:18, John 3:36
[177]
bibleverse
Romans 2:5, Acts 17:31, Romans 2:16
[178]
bibleverse
Luke 9:26, Matthew 25:31–32
[179]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www.projectwi[...]
Concordia Publishing House
[180]
문서
Table drawn from, though not copied, from Lange, Lyle W. ''God So Loved the World: A Study of Christian Doctrine''. Milwaukee: Northwestern Publishing House, 2006. p. 448.
[181]
웹사이트
Calvinism and Lutheranism Compared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1-26
[182]
문서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 Henry Beveridge, III.23.2.
[183]
문서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 Henry Beveridge, II.3.5.
[184]
문서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 Henry Beveridge, III.3.6.
[185]
문서
Morris, J.W., ''The Historic Church: An Orthodox View of Christian History'', p267, "The Book of Concord became the official statement of doctrine for most of the world's Lutherans. The Formula of Concord reaffirmed the traditional Lutheran doctrine of total depravity in very clear terms"
[186]
문서
Melton, J.G.,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p229, on ''Formula of Concord'', "the 12 articles of the formula focused on a number of newer issues such as original sin (in which total depravity is affirmed)"
[187]
웹사이트
WELS vs Assembly of God
https://web.archive.[...]
[188]
문서
'[http://bookofconcord.org/augsburgconfession.php#article18.1 Augsburg Confessional, Article XVIII, Of Free Will], saying: "(M)an''s will has some liberty to choose civil righteousness, and to work things subject to reason. But it has no power, without the Holy Ghost, to work the righteousness of God, that is, spiritual righteousness; since the natural man receiveth not the things of the Spirit of God (1 Cor. 2:14); but this righteousness is wrought in the heart when the Holy Ghost is received through the Word."'
[189]
문서
Henry Cole, trans., ''Martin Luther on the Bondage of the Will'' (London, T. Bensley, 1823), 66. The controversial term ''liberum arbitrium'' was translated "free-will" by Cole. However [[Ernest Gordon Rupp]] and Philip Saville Watson, ''Luther and Erasmus: Free Will and Salvation'' (Westminster, 1969) chose "free choice" as their translation.
[190]
서적
Jacob Arminius: Theologian of Gra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2-11-15
[191]
문서
''[[The Book of Concord]]: The Confessions of the Lutheran Church'', XI. Election. "Predestination" means "God's ordination to salvation".
[192]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
[193]
문서
''The Westminster Confession'', III:6, says that only the "elect" are "effectually called, justified, adopted, sanctified, and saved." However in his ''Calvin and the Reformed Tradition'' (Baker, 2012), 45, Richard A. Muller observes that "a sizeable body of literature has interpreted Calvin as teaching "limited atonement", but "an equally sizeable body . . . [interprets] Calvin as teaching "unlimited atonement".
[194]
웹사이트
Justification / Salvation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1-29
[195]
웹사이트
IV. Justification by Grace through Faith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5
[196]
웹사이트
Objective Justification
http://www.wlsessays[...]
Wisconsin Lutheran Seminary
2015-01-26
[197]
웹사이트
Universal Justification
https://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5
[198]
문서
'Augsburg Confession, Article V, Of Justification. People "cannot be justified before God by their own strength, merits, or works, but are freely justified for Christ''s sake, through faith, when they believe that they are received into favor, and that their sins are forgiven for Christ''s sake. ..."'
[199]
서적
Jacob Arminius: Theologian of Gra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2-11-15
[200]
문서
Paul ChulHong Kang, ''Justification: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from Reformation Theology to the American Great Awakening and the Korean Revivals'' ([[Peter Lang (publisher)|Peter Lang]], 2006), 70, note 171. Calvin generally defends Augustine's "monergistic view".
[201]
웹사이트
The Age of Accountability
https://www.wels.net[...]
Wisconsin Lutheran Seminary
2015-02-10
[202]
문서
'[http://www.thefreedictionary.com/Monergism Monergism]; thefreedictionary.com'
[203]
웹사이트
Calvinism and Lutheranism Compared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9
[204]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
[205]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
[206]
문서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Ch XVII, "Of 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207]
웹사이트
Once saved always saved
https://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7
[208]
웹사이트
Perseverence of the Saints (Once Saved Always Saved)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7
[209]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Books
[210]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Books
[211]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Blackwell
2006
[21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Western Music – Volume I (Music in the Earliest Notations to the sixte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13]
문서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214]
웹사이트
Luther's Small Catechism, Daily Prayers
http://www.bookofcon[...]
2010-02-01
[215]
서적
Orthodox Identities in Western Europe: Migration, Settlement and Innovation
Routledge
2016-05-23
[216]
웹사이트
Family of God, Cape Coral FL.
http://www.familyofg[...]
2020-07-16
[217]
웹사이트
NAIROBI STATEMENT ON WORSHIP AND CULTURE: Contemporar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www.worship.c[...]
2007-02-22
[218]
서적
Profiles in Belief: Volume II, Protestant Denominations
Harper and Row
1978
[219]
서적
Profiles in Belief: Volume II, Protestant Denominations
Harper and Row
1978
[220]
서적
Profiles in Belief: Volume II, Protestant Denominations
Harper and Row
1978
[221]
서적
Profiles in Belief: Volume II, Protestant Denominations
Harper and Row
1978
[222]
서적
Profiles in Belief: Volume II, Protestant Denominations
Harper and Row
1978
[223]
서적
The Praeger Handbook of Faith-Base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K-12, Volume 1
ABC-CLIO
[224]
웹사이트
Preface to Luther's Large Catechism
http://www.bookofcon[...]
2008-11-21
[22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Eerdmans
2003
[226]
서적
Absolutism and the Eighteenth-Century Origins of Compulsory Schooling in Prussia and Aust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27]
서적
Getting into the Formula of Concord
Concordia
1977
[228]
서적
Getting into the Formula of Concord
Concordia
[229]
웹사이트
Lutheran Orthodoxy Under Fire: An Exploratory Study of the Syncretistic Controversy And The Consensus Repetitus Fidei Vere Lutheranae
http://www.blts.edu/[...]
2010-04-15
[230]
웹사이트
Svenskakyrkan.se
http://www.svenskaky[...]
2007-09-30
[231]
서적
American Lutheranism Volume 1: Early History of American Lutheranism
https://archive.org/[...]
Concordia
1919
[232]
서적
His Name Was Jonas: A Biography of Jonas Swenson
https://books.google[...]
Augustana Historical Society
2017-09-21
[233]
서적
A Histo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02
[234]
문서
To Join or Not To Join
North Dakota District of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1968
[235]
웹사이트
Brief Statement was adopted as LCMS doctrine in 1932, and from time to time has been adopted by other Lutherans
http://www.lcms.org/[...]
2008-05-14
[236]
간행물
The Northwestern Lutheran
Lutheran Church
1988-08-31
[237]
문서
American Provinces of the Moravian Church
[238]
문서
Anglican realignment
[239]
웹사이트
Ecumenism: Facts and Illusions
http://www.mtio.com/[...]
[240]
웹사이트
Church Growth Movement
http://www.wlsessays[...]
2011-07-27
[241]
웹사이트
What is a call?: or, When is a call a call, and who makes it such?
https://essays.wls.w[...]
2019-04-12
[24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The Scarecrow Press, Inc.
[243]
서적
Das kirchliche Amt in apostolischer Nachfolge
Herder/ Vandenhoeck & Ruprecht, Freiburg and Göttingen
2008
[244]
웹사이트
Karelian religious movement Uskhovayzet
http://uralistica.co[...]
[245]
뉴스
"Ihre Gemeinde ist annulliert"
https://www.sonntags[...]
2016-09-18
[246]
간행물
A New "Old" Lutheran Church in Asian Russia
https://logia.org/pd[...]
Logia
2006
[247]
간행물
Zahlen und Fakte zum kirchlichen Leben 2019
https://www.ekd.de/e[...]
Evangelische Kirche in Deutschland
[248]
웹사이트
text and midi files
https://hymnary.org/[...]
[249]
서적
A Basic History of Lutheranism in America
Philadelphia, Pa.
1954
[250]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Englewood Cliffs, N.J.
1960
[251]
웹사이트
Lutheran Church of Guam History
http://www.lutheranc[...]
[252]
학위논문
Legitimacy, authority and transition in the public office of the ministry in the Lutheran Church of Australia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2007
[253]
문서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Relationship with other Lutheran bodies
[254]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lutheran.[...]
2015-03-05
[255]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http://www.lutheranw[...]
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2013-05-19
[256]
웹사이트
Survey Shows 70.5 Million Members in LWF-Affiliated Churches
http://www.lutheranw[...]
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2012-03-14
[257]
웹사이트
Gezählt 2021 – Zahlen und Fakten zum kirchlichen Leben
https://www.ekd.de/e[...]
ekd.de
2022-01-02
[258]
지도
Dominant Protestant Denomination Per Country
http://media-2.web.b[...]
Encyclopædia Britannica
1995
[259]
지도
Lutherans as a Percentage of All Residents, 2000
http://www.valpo.edu[...]
[260]
웹사이트
2011 World Lutheran Membership Details
http://www.lutheranw[...]
[261]
웹사이트
Norway: State and Church Separate After 500 Years
https://www.loc.gov/[...]
2017-02-03
[262]
뉴스
Sweden Ends Designation of Lutheranism as Official Religion
https://www.latimes.[...]
2000-01-01
[263]
웹사이트
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2019 Membership Figures
https://lutheranworl[...]
[264]
서적
なんでもわかるキリスト教大事典
朝日新聞出版
[265]
서적
ドイツ教会闘争への道
新教出版社
1967
[266]
웹사이트
Rezension der NZZ zu Jüngels Buch: Das Evangelium von der Rechtfertigung des Gottlosen als Zentrum des christlichen Glaubens. Eine theologische Studie in ökumenischer Absicht.
http://www.kirchen.c[...]
[267]
웹사이트
ルーテル教会とは?
http://www16.big.or.[...]
日本福音ルーテル大森教会
2020-06-17
[268]
서적
コラール」「ルター派
岩波書店
2002
[269]
웹사이트
루터교회의 역사와 선교
http://www.lck.or.kr[...]
2015-01
[270]
논문
종교개혁의 원리와 적용
[271]
문서
서방교회는 개혁자들을 분리자로 간주하여 배척하며 교황 중심의 서방교회인 천주교회 이를 성경을 중심하는 개신교회가 형성되었다.
[272]
서적
타르수스의 바오로
바오로딸
[273]
웹인용
신조학
http://blog.daum.net[...]
2020-03-06
[274]
문서
목사, 성가대가 입당함으로써 예배를 시작한다.
[275]
문서
루터교회에서 성찬예배 때 독서하는 성서말씀은 세계[[기독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개정성서정과(RCL)에 근거한다.
[276]
문서
대림절, 성탄절, 사순절, 부활절기, 종교개혁일에 사용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