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북정상회담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만나 한반도 문제 해결을 논의하는 회담이다. 전두환 정부 시기부터 상호 방문 제안이 있었으나, 김대중 정부에서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을 통해 분단 이후 최초의 정상회담이 성사되었다.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2007년 두 번째 회담이 열렸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2018년에 세 차례의 회담이 개최되어 판문점 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했다. 남북정상회담 성사에는 특사들의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햇볕정책 - 정주영
정주영은 현대그룹을 창업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현대자동차공업사 설립 후 현대건설, 현대중공업 등을 세워 현대그룹을 한국 최대 재벌 기업으로 키웠으며, 경부고속도로 건설, 서울 올림픽 유치, 대북 사업 추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햇볕정책 - 개성공업지구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경제협력 사업의 상징으로 시작되어 북한 경제에 기여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운영 중단과 폐쇄를 반복하다 2016년 최종 폐쇄된, 성공과 리스크, 논쟁을 동시에 가진 복잡한 사업이다. - 정상회담 - 동아시아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EAS)는 아세안 10개국과 주변 국가들이 참여하는 연례 회의로, 경제 협력 및 지역 안보 현안을 논의하며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목표로 하지만, 회원국 간 이해관계 및 협력 구도의 복잡성으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 정상회담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남북 관계 - 국가보안법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은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반국가 활동을 규제하는 법률로, 인권 보호를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표현과 사상의 자유 침해 논란 및 악용 사례로 인해 존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남북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남북정상회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남북정상회담 |
다른 이름 | 북남수뇌상봉 |
장소 | 판문점, 평양 |
![]() | |
한국어 표기 | |
한글 | 남북정상회담 |
한자 | 南北頂上會談 |
로마자 표기 | Nambuk Jeongsang Hoedam |
문화어 표기 | 북남수뇌상봉 |
한자 표기 | 北南首腦相逢 |
로마자 표기 | Bungnam Sunoe Sangbong |
관련 회담 | |
관련 회담 | 남북총리회담 |
주요 내용 | |
주요 내용 | 남북한 지도자 간의 회담 |
역사적 배경 | |
역사적 배경 | 1994년 남북정상회담이 무산된 적이 있음 KBS World |
과거 | 2007년 10월 2일, 남북한 정상 회담이 있었음 BBC 뉴스 |
2. 역사
분단 이후 남북 관계는 대립과 갈등 속에서 지속되었지만, 평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도 꾸준히 이어졌다. 남북정상회담은 이러한 노력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역대 정부는 각자의 방식으로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거나 활용했다.
- 전두환 정부: 김일성과의 정상회담을 제안하고, 1988년 하계 올림픽 공동 개최를 추진했으나,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등으로 무산되었다.
- 노태우 정부: 남북 기본합의서 체결을 이끌었으나, 군부와 보수 세력의 반대로 정상회담은 무산되었다.
- 김영삼 정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정상회담 직전까지 갔으나, 김일성의 사망으로 무산되었다.
- 김대중 정부: 햇볕정책을 추진,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6·15 남북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 노무현 정부: 10.4 남북정상선언을 발표했으나, NLL 문제, 납북자 및 국군포로 문제 등은 미해결 과제로 남았다.
- 이명박 정부: 대북 강경책으로 전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천안함 침몰 사건, 연평도 포격 등으로 남북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었다.
- 박근혜 정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논란으로 남북 관계가 더욱 악화되었고, 2014년 아시안 게임 폐막식에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방문했으나 청와대 면담은 불발되었다.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이후 남북 관계는 급랭했다.
- 문재인 정부: 2018년에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개최, 판문점 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정상회담을 통틀어 남북 관계 진전에는 특사의 활동이 컸다. 냉전과 통일 사이에서 밀사 성격이 컸던 특사를 통해 비밀리에 의사소통을 하는 방식이 선호되었기 때문이다. 특사 교환 과정에서 상호 감당 가능한 수준까지 공감대를 이루어야 정상회담이 성사되었고, 그렇지 않으면 무산되는 과정을 겪어왔다.[126]
공식적으로 알려진 첫 특사는 1961년 9월 북한에서 파견한 황태성이었다. 그는 한국의 정치회담 제안을 받아들여 남파되었으며, 남북협상회의와 외세 간섭 없는 통일 논의 개최, 남북 비밀무역대표부 설치를 제안했지만 간첩 혐의로 체포되었다.
1971년 8월, 김일성은 박정희를 비판하면서도 남측 단체 및 개인과 접촉할 용의가 있음을 밝혀 남북 관계에 급물살을 탔다. 이후 남북적십자회담이 진행되고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이후락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북한 특사로 활동했다. 이후 북한은 박성철 부수상을 서울로 보내 박정희에게 정상회담을 제의했지만, 이는 모두 불발로 그쳤다.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박철언은 42차례에 걸쳐 북한과 비밀 회담을 진행하여 남북 기본합의서 체결을 이끌어냈다.[127] 김영삼 역시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특사 교환에 합의하고 8차례 실무 접촉을 진행했지만, 이 역시 무산되었다.[126]
김대중은 박지원과 임동원을 대북 특사로 활용해 첫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는데, 이때는 남북 특사 왕래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였다.[127] 노무현도 김만복 당시 국가정보원장의 두 차례 방북 결과로 정상회담 조율에 성공했는데, 특히 김만복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임명된 형식상 최초의 대북특사이기도 했다.[126]
한국 측 특사는 주로 정보기관 책임자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직무 특성상 기밀 유지가 용이하고, 공식 교류가 차단된 남북관계의 특수성 때문이었다.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임동원·김만복·서훈 국정원장의 활약도 그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2018년 동계 올림픽 당시 김여정 등 특사 구성과 일정이 공개된 채 진행되고 정상 간 핫라인 구축이 이루어지면서 특사 역할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127] 실제로 문재인 정부에서 이루어진 정상회담은 모두 특사 활동에 힘입었지만, 이들의 일정과 활동은 사전·사후에 공개되었다.


2. 1. 전두환 정부
전두환은 1981년 1월 국정연설에서 김일성을 서울로 초청하고, 자신도 평양을 "언제라도 방문할 용의가 있다"며 남북 최고지도자의 상호 방문을 제안했다. '지난날의 일들을 굳이 시비함이없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했다.[27] 손장래 당시 주미 공사는 김일성이 독립운동을 한 점에 대해 전두환이 "그 점, 나는 존경한다"고 말했다면서, 김일성을 직접 만나 해결 방안을 찾길 원했다고 밝혔다.이후 손장래의 요청으로 임창영 전 UN 대사가 대북 밀사로 활동했고, 1988년 하계 올림픽 공동 개최와 정상회담 의제도 검토했다. 그러나 1983년 10월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으로 남북 관계가 경색되었다. 임창영은 이 사건을 계기로 "그럴수록 두 정상이 만나야 한다"는 긴박감을 느꼈지만, 전두환은 남북정상회담에 회의를 느꼈다. 그해 10월 북한이 정상회담 논의를 위해 손장래를 초청했지만, 전두환은 적십자회담과 체육회담이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거절했다.
1985년 9월 허담 등이 방남하여 전두환을 예방하는 등 물밑 접촉은 계속되었다. 다음 달에는 장세동 등이 방북했는데, 당초 정상회담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마이니치 신문》의 사전 보도로 일정이 연기되었다. 그 사이 "정상회담 추진보다 북측이 정상회담에 관심을 보이는 속내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김일성은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 한미합동군사훈련 취소 등 기존 요구를 반복하여 논의는 진전되지 못했다.
1985년 10월 20일 북한 무장간첩선이 부산으로 침투하다 격침되면서 상황은 완전히 반전되었다. 전두환은 "일말의 기대를 품어볼 수 있었다"고 여겼지만, 이후 김일성에게 배신감을 느끼고 전두환 정부의 정상회담 추진은 사실상 중단되었다.[28]
박철언은 회고록 『바른 역사를 위한 증언』에서 전두환이 서울올림픽 때 북한의 적대 행위 중단을 목표로 했을 뿐 정상회담에 적극적이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노신영 국무총리, 이원경 외무장관, 이규호 대통령비서실장, 허문도 정무제1수석비서관 등을 친미·극우 성향으로 지목하며, 이들이 전두환의 결심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이후 북한의 임남댐 공사와 '서울 물폭탄'설 유포로 만들어진 평화의 댐 사건은 전두환 정부의 대북 인식 변화를 보여준다.[30]
2. 2. 노태우 정부
노태우 대통령은 취임 직후 총리회담을 제의하고 7·7 선언을 발표하는 등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섰다.[31] 1988년 8·15 경축사에서는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했다.[31] 김일성은 남북 간 위원회 설립을 위한 평양 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밝혔으나, 이는 현재의 남북 체제 유지를 전제로 한 연방제 통일 방안이었으며, 주한 미군 철수와 상호 불가침 조약 체결을 요구했다.[32]1990년 노태우는 다시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촉구했지만, 김일성은 당국·정당수뇌협상회의 소집으로 맞받아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33] 같은 해 10월 김일성은 강영훈 총리에게 노태우와의 최고위급회담 개최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전했고,[34] 1991년 9월 남북한은 유엔에 동시 가입했으며, 1992년 2월 남북 기본합의서가 체결되었다.
김우중은 남북 기본합의서 체결 이후 정부 특사로 활동하며 김일성·김정일 부자를 만나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고 증언했지만,[35][36][37] 노태우는 군부와 보수의 저항을 우려하여 실천에 옮기지 못했다.[35][36][37]
2. 3. 김영삼 정부
김영삼 대통령은 핵 문제 우선 해결을, 김일성은 정상회담 특사 교환 병행을 주장하며 맞섰다. 양측은 성명전을 벌이며 정상회담 논의는 난항을 겪었다.[40] 1994년 2월, 김영삼은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핵무기, 통일, 경제 협력 등 모든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재차 밝혔다.[41]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1994년 6월 김영삼, 김일성과 연쇄 회동하여 정상회담 개최 합의를 이끌어냈다.[44] 1994년 7월 25일부터 27일까지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으나,[44] 7월 8일 김일성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무산되었다.
김영삼 정부는 김일성 사후에도 기존 합의가 유효하다고 밝혔으나,[45] 김정일의 권력 승계 불확실성, 북한 정권 붕괴 가능성, 박홍 서강대학교 총장의 '주사파 발언' 등으로 남북 관계는 급격히 경색되었다.
2. 4. 김대중 정부 (2000년 남북정상회담)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 추진으로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정상회담 논의가 재개되었다. 1999년 9월 백남순 북한 외무상은 7·4 성명의 3대 원칙 존중과 협상 제의에 응한다면 정상회담도 진행될 수 있다고 밝혔다.[51] 2000년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6·15 남북 공동선언을 발표했다.[56][57]6·15 남북 공동선언은 남북 간 전쟁 포기, 대화를 통한 통일 문제 해결 원칙을 세우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기를 마련했다.[57] G8,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ASEM), 유엔 총회 등 국제사회에서도 한반도 평화 지지 결의안이 잇따라 채택되었다.[58]
하지만 정상회담 이후 남북 관계에 큰 진전이 없었고, 2001년 1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대북 강경책으로 남북 관계가 다시 경색되었다.[59] 일부에서는 국민들의 통일 열망과 대북 정책 지지도가 하락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60][61]
2. 5. 노무현 정부 (2007년 남북정상회담)
제2연평해전, 대북송금 특검 등으로 남북 관계가 냉각된 상황에서 노무현 정부가 출범했다. 2004년 6월 개성공업지구 착공을 계기로 남북 관계 개선의 전기가 마련되었다.[69] 2005년 6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방북하여 김정일과 회담하면서 2차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나,[74] 9·19 공동성명 이행 문제로 정상회담이 표류했다.[75] 2006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으로 남북 관계가 악화되었으나, 비밀리에 정상회담이 추진되기도 했다.[77]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노무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두 번째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10.4 남북정상선언을 발표했다.[81] 회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참가자 |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지도자 김정일 |
회담 장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회담 일자 | 2007년 10월 2일~4일 |
회담 결과 | 2007 남북정상회담 선언 |
2. 6. 이명박 정부
이명박 대통령은 정상회담 정례화와 상주대표부 설치를 제안했으나, '국내 정치용 형식적 정상회담은 지양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이전 정부와 다른 대북관을 보였다.[82][83][84] 이후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88] 천안함 침몰 사건, 연평도 포격 등 일련의 사건으로 남북 관계가 급격히 경색되었다.[94]2009년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북한 특사조문단이 방한하여 이명박 대통령과 면담했고, 임태희 노동부 장관과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이 싱가포르에서 만나 정상회담에 대한 기본 합의를 이루기도 했다.[90] 그러나 개성특급시에서 이어진 회담에서 국군 포로 및 납북자 송환 문제와 대규모 쌀 지원에 대한 이견으로 합의는 무산되었다.[92]
2011년 5월 남북 비밀 접촉 사실을 북한이 폭로하면서, '정치적 고려 없이, 대가 없이, 투명하게'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던 정부의 신뢰성이 타격을 입었다.[96][97][98] 2012년 3월 정상회담 제의 사실도 폭로되었는데, 이는 19대 총선을 겨냥한 이벤트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98]
2. 7. 박근혜 정부
박근혜는 취임 이후 남북 대화와 관련해 비선 라인을 활용하지 않겠다고 언급했다. 과거와 같이 공식 라인과 비선 라인이 동시에 가동되는 것은 신뢰 문제 등 위험성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해 대북 채널을 공식 라인으로 집중하겠다는 의미로도 받아들여졌다.[103]하지만 이와는 무관하게 이명박 정부 말부터 냉각되었던 남북 관계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논란으로 더욱 더 악화되었다. 노무현이 2007년 정상회담을 할 당시 NLL을 포기하겠다는 발언을 했다면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상호 간에 '진실이다, 왜곡이다'하며 설전을 벌였다.[104] 북한 역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명의의 성명을 통해 최고 존엄에 대한 우롱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105]
2014년 3월 독일을 국빈 방문한 박근혜는 ARD와의 인터뷰에서 남북정상회담이 필요하다면 할 수 있다며 다만 이벤트성으로 활용되어선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106] 2014년 아시안 게임 폐막식인 10월 4일에는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깜짝 방문했다. 이들은 정홍원 국무총리,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류길재 통일부 장관 등과 짧은 면담도 가졌다. 여기서 황병서는 정홍원에게 "이번에 좁은 오솔길을 냈는데 앞으로 대통로로 열어가자"며 남북 관계 개선 의지도 드러냈다.[107] 하지만 한국 측이 청와대 예방 의사가 있으면 준비할 용의가 있다고 제안했지만 북한 측은 "시간 관계상 어렵다"며 거절했다.[108]
하지만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이 이루어지면서 남북 관계는 급랭했다. 다음 날에 한국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자 그 다음 날에 북한은 핵실험 성공을 자축하는 행사를 개최하는 등 '강 대 강' 대치 상태로 접어들었고,[110] 2월에는 개성공업지구 폐쇄 결정이 내려지면서 남북 경협도 불투명해졌다.[111]
2. 8. 문재인 정부 (2018년 3차례 남북정상회담)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여건이 조성되면 평양에도 가겠다"며 정상회담 의지를 밝혔다.[112] 2018년 1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2018년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간 대화 의지를 피력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되었다.[117]2월과 3월에는 남북이 각각 특사를 파견했는데, 먼저 북한이 김여정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등을 특사로 파견하여 문재인과 회담을 했으며,[118] 한 달 뒤에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이 방북하여 김정은과 면담·만찬을 가졌다.[119]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첫 번째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판문점 선언을 채택했다.[120][121] 5월 26일에는 판문점 통일각에서 두 번째 정상회담을 열어 북미정상회담 성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122]
9월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세 번째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9월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했다.[123][124] 문재인 대통령은 릉라도5월1일경기장에서 북한 국민을 상대로 대중 연설도 했다.[123]
2018년에 열린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은 다음과 같다.
회차 | 일시 | 장소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비고 |
---|---|---|---|---|---|
제3차 | 2018년 4월 27일 | 판문점 평화의 집 | 문재인 대통령 | 김정은 조선로동당 위원장 | 판문점 선언 채택 |
제4차 | 2018년 5월 26일 | 판문점 통일각 | 문재인 대통령 | 김정은 조선로동당 위원장 | |
제5차 | 2018년 9월 18일~20일 | 평양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 등 | 문재인 대통령 | 김정은 조선로동당 위원장 | 9월 평양공동선언 채택, 백두산 등정 |
남북 관계 진전에는 특사의 활동이 컸다. 냉전과 통일 사이에서 밀사의 성격이 컸던 특사를 통해 비밀리에 의사소통을 하는 방식이 선호되었기 때문이다. 특사 교환 과정에서 상호 감당 가능한 수준까지 공감대를 이루어야 정상회담이 성사되었고 그렇지 않으면 무산되는 과정을 겪어왔다.[126]
[1]
뉴스
Kim's War Machine
http://www.time.com/[...]
2007-11-04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3. 특사의 활동
공식적으로 알려진 첫 특사는 1961년 9월에 북한에서 내려온 황태성이었다. 이는 한국의 정치회담 제안을 받아들여 남파된 것이다. 황태성은 남북협상회의를 제안하는 한편, 외세의 간섭 없는 통일논의 개최와 남북 비밀무역대표부 설치를 제안했지만 간첩 누명을 받아 체포되었다.
1971년 8월에는 김일성이 박정희를 비판하면서도 남측의 단체 및 개별 인사들과 접촉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남북 관계는 다시 급물살을 탔다. 이후 남북적십자회담이 진행되고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는데 이 과정 역시 이후락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북한으로 특사로 가 활동한 결과였다. 이후 북한은 박성철 부수상을 서울로 보내 박정희에게 정상회담도 제의하지만 이는 모두 불발로 그쳤다.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박철언도 42차례에 걸쳐 북한과 비밀회담을 했으며 이는 남북 기본합의서 체결을 이끌어냈다.[127] 김영삼도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특사교환에 합의하고 실무접촉을 8차례 진행했지만 역시 무산됐다.[126]
김대중은 박지원과 임동원을 대북 특사로 활용해 첫 정상회담에 성공했는데 이 때는 남북 특사의 왕래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이기도 했다.[127] 노무현도 김만복 당시 국가정보원장의 두 차례 방북의 결과로 정상회담 조율에 성공했는데 특히 김만복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임명된 형식상 최초의 대북특사이기도 했다.[126]
한국측의 특사는 주로 정보기관 책임자가 많다는 점이 특징이다. 직무 특성상 기밀을 유지하기 용이하고 공식적인 교류가 차단된 남북관계의 특수성이 영향을 미친 것인데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임동원·김만복·서훈 국정원장의 활약도 그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2018년 동계 올림픽 때 김여정 등 특사 구성과 일정이 공개된 채 진행되고 정상 간 핫라인 구축이 이루어지면서 특사의 역할이 사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127] 실제로 문재인 정부에서 이뤄진 정상회담은 모두 특사의 활동에 힘입었지만 이들의 일정과 활동은 사전·사후에 공개되었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참조
[2]
웹사이트
The Maritime boundary between North & South Korea in the Yellow (West) Sea
http://www.38north.o[...]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0-07-29
[3]
뉴스
Korean leaders in historic talks
http://news.bbc.co.u[...]
2007-10-02
[4]
뉴스
In pictures: Historic crossing
http://news.bbc.co.u[...]
2007-10-02
[5]
웹사이트
Unfulfilled Inter-Korean Summit in 1994
http://world.kbs.co.[...]
2024-03-11
[6]
웹사이트
Kim, Moon meet at start of historic inter-Korean summit - Channel NewsAsia
https://www.channeln[...]
[7]
웹사이트
North, South Korea Fix April Date for 1st Summit in Years - Other Media news
https://www.tasnimne[...]
2018-04-03
[8]
웹사이트
North, South Korea meet for surprise second summit
http://www.syracuse.[...]
syracuse.com
2018-05-26
[9]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n leaders hold surprise meeting
https://edition.cnn.[...]
CNN
2018-05-26
[10]
웹사이트
Koreas to hold Pyongyang summit in September
https://www.channeln[...]
2018-08-13
[11]
뉴스
Kim's new look as Pyongyang summit confirmed
https://www.news.com[...]
2018-08-13
[12]
웹사이트
South Korean leader to meet Kim Jong Un on his turf
https://www.cbsnews.[...]
2018-08-13
[13]
웹사이트
Kim Jong Un planning to visit Seoul in December: report
https://www.japantim[...]
2018-09-22
[14]
뉴스
金正日総書記訪中日誌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0-04-01
[15]
뉴스
金正日の訪中の目的が以前とは正反対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0-04-01
[16]
뉴스
【社説】北朝鮮から贈られたマツタケに隠された涙
http://www.chosunonl[...]
2007-10-11
[17]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の際、北に4億ドル送金」波紋呼ぶ疑惑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2-09-26
[18]
서적
激動!!北朝鮮・韓国そして日本 歴史的必然と日本の選択 第5章
実業之日本社
2013-05
[19]
웹사이트
【取材日記】マカオの金正男に注目する理由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12-30
[20]
웹사이트
金大中政権が北へ送った秘密資金は核開発などに使われた!
http://news.onekorea[...]
統一日報
2009-03-06
[21]
뉴스
金正恩氏 本気示す?=朝鮮労働党本庁で南北首脳会談
https://m-jp.yna.co.[...]
2018-09-18
[22]
뉴스
2日目の南北首脳会談は平壌の百花園迎賓館で 文大統領の宿泊先
https://m-jp.yna.co.[...]
2018-09-19
[23]
뉴스
南北首脳が「白頭山」訪問 朝鮮民族の「聖地」
https://www.nikkei.c[...]
2018-09-19
[24]
뉴스
【南北首脳会談】両首脳が「革命の聖地」白頭山登山、最後までサプライズ接待で韓国取り込み
https://www.sankei.c[...]
2018-09-20
[25]
뉴스
南北首脳、白頭山を訪問 北朝鮮の「聖地」
https://www.nikkei.c[...]
2018-09-20
[26]
뉴스
【萬物相】韓国政府の金正恩礼賛
http://www.chosunonl[...]
2018-03-08
[27]
뉴스인용
https://newslibrary.[...]
2018-09-20
[28]
뉴스인용
http://www.yonhapnew[...]
2018-09-20
[29]
뉴스인용
https://www.joongang[...]
2018-09-20
[30]
뉴스인용
http://www.pressian.[...]
2018-09-20
[31]
뉴스인용
https://newslibrary.[...]
2018-09-20
[32]
뉴스인용
https://newslibrary.[...]
2018-09-20
[33]
뉴스인용
https://newslibrary.[...]
2018-09-20
[34]
뉴스인용
https://newslibrary.[...]
2018-09-20
[35]
일반
[36]
뉴스
“김우중 씨, 노태우 당시 대통령 부탁 받고 1992년 김일성 만나 남북정상회담 승낙받아”
http://news.donga.co[...]
2012-07-14
[37]
뉴스
[김우중과의 대화]② "김일성과 20여번 만나…박정희 대통령은 날 '우중아'라고 불러"
http://biz.chosun.co[...]
2014-08-21
[38]
뉴스
남북실무접촉 핵문제 우선키로
https://newslibrary.[...]
1993-05-28
[39]
뉴스
북한 駐오스트리아大使 밝혀"南北정상회담서「核」논의"
https://newslibrary.[...]
1993-06-11
[40]
뉴스
南北관계 경색
https://newslibrary.[...]
1993-06-27
[41]
뉴스
조건없이 南北정상회담
https://newslibrary.[...]
1994-02-26
[42]
뉴스
북한,남북 정상회담 부정반응
https://newslibrary.[...]
1994-02-28
[43]
뉴스
추가 核사찰 異見 재확인
https://newslibrary.[...]
1994-04-30
[44]
뉴스
南北정상 平壤서 만난다
https://newslibrary.[...]
1994-06-29
[45]
뉴스
남북정상회담 다시 추진
https://newslibrary.[...]
1994-07-12
[46]
뉴스
金正日 "南北정상회담 계속 추진"
https://newslibrary.[...]
1994-07-24
[47]
뉴스
김일성의 ’느닷없는‘ 죽음…“김영삼-김일성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졌다면…”
http://news.donga.co[...]
2018-04-16
[48]
뉴스
"남북 정상회담 추진했었다"
https://newslibrary.[...]
1999-01-30
[49]
뉴스
국제분쟁 ‘막후해결사’ 다보스 포럼…1999년 남북정상회담 주선說도
http://news.mk.co.kr[...]
2016-01-05
[50]
일반
[51]
뉴스
"南北 정상회담 용의"
https://newslibrary.[...]
1999-09-29
[52]
뉴스
정주영 명예회장,김정일 면담 車조립공장등 經協 활성화 계기
https://newslibrary.[...]
1999-10-02
[53]
뉴스
[6.12 '남북정상회담'] (1) '북한 왜 수용했나'
https://news.naver.c[...]
2000-04-10
[54]
뉴스
[남북정상회담]北 왜 하루 연기했나?
https://news.naver.c[...]
2000-06-11
[55]
뉴스
[남북정상회담 D-1] '55년 기다렸는데 하루쯤…' 애써 담담
https://news.naver.c[...]
2000-06-11
[56]
뉴스
<북한의 특이한 의장대 행사>
https://news.naver.c[...]
2000-06-14
[57]
뉴스
[통일시대를 열며] (1) 평화의 봄 오나
https://news.naver.c[...]
2000-06-16
[58]
뉴스
유엔 ‘한반도 평화 지지’공동결의문 채택
https://news.naver.c[...]
2000-10-31
[59]
뉴스
[남북관계 전망]'침묵의 터널'에 갇힌 남북대화
https://news.naver.c[...]
2001-12-31
[60]
일반
[61]
뉴스
"정상회담후 통일열망 차츰 냉각"
https://news.naver.c[...]
2001-05-30
[62]
뉴스
[6·29서해교전]北군부등 강경파 불만표출 가능성
https://news.naver.c[...]
2002-06-29
[63]
뉴스
북한, 99년과 달리 '확전 피하고 싶다' 메시지 계속 보내 - 日방위청도 "더 악화될 가능성 적다"고 분석
https://news.naver.c[...]
2002-07-02
[64]
뉴스
<정부 `한미공조-남북관계' 병행전략 주춤>
https://news.naver.c[...]
2003-04-11
[65]
뉴스
盧, 남북정상회담 추진했다
https://news.naver.c[...]
2004-06-04
[66]
뉴스
북한, 지난해 3월 남묵 정상회담 제의
https://news.naver.c[...]
2004-06-03
[67]
뉴스
"2003년 남북정상회담, 우리가 약속 어겨 무산"
http://www.nocutnews[...]
2008-10-01
[68]
뉴스
靑 `남북정상회담 제의` 보도 법적대응
https://news.naver.c[...]
2004-06-04
[69]
뉴스
오늘 개성공단 착공…남북경협 본궤도
https://news.naver.c[...]
2003-06-30
[70]
뉴스
北, 한미정상회담 불만.. 남북관계 경색국면 우려
https://news.naver.c[...]
2003-05-21
[71]
뉴스
국정원 'KS 라인' 본격가동... 남북 정상회담 물밑접촉 주목
https://news.naver.c[...]
2004-12-24
[72]
뉴스
국정원차장 물갈이 배경
https://news.naver.c[...]
2004-12-29
[73]
뉴스
盧대통령 정상회담 北입장 고려
https://news.naver.c[...]
2004-12-26
[74]
뉴스
남북 화해무드···남북정상회담 성사 가능성도 ‘희망’
http://news.khan.co.[...]
2005-06-18
[75]
뉴스
<정동영 "작년 8.15때 남북정상회담 협의">
https://news.naver.c[...]
2006-12-21
[76]
뉴스
[정치]“2005년 남북정상회담 미국의 BDA제재로 무산”
http://weekly.khan.c[...]
2014-06-24
[77]
뉴스
이종석 前통일 “작년 8월에도 남북정상회담 추진”
http://news.donga.co[...]
2007-07-25
[78]
뉴스
남북정상회담 28~30일 평양서 개최
http://news.hankyung[...]
2007-08-10
[79]
뉴스
[평양리포트] 남북 정상회담, 북 수해로 연기
http://news.sbs.co.k[...]
2007-08-20
[80]
뉴스
[남북 정상선언 그후]논란 조항 문답풀이
http://news.khan.co.[...]
2007-10-06
[81]
뉴스
수시로 정상회담… ‘대선 공백기’가 변수
http://www.munhwa.co[...]
2007-10-05
[82]
뉴스
"남북정상회담 정례화 제안" … 李 당선자측 밝혀
http://news.hankyung[...]
2007-12-30
[83]
뉴스
대통령 취임사, "언제든 남북정상회담"
http://imnews.imbc.c[...]
2008-02-25
[84]
뉴스
李대통령 “국내 정치용 남북정상회담은 안해”
http://news.donga.co[...]
2008-02-25
[85]
뉴스
<남북정상회담 합의사업 운명 어떻게 되나>
https://news.naver.c[...]
2008-03-26
[86]
뉴스
<北, 對南 비난 6.15이전으로 회귀>
https://news.naver.c[...]
2008-04-29
[87]
뉴스
통일부 ‘개점휴업’
http://www.seoul.co.[...]
2008-04-29
[88]
뉴스
남북 ‘금강산 대치’ 끝이 안보인다
http://news.khan.co.[...]
2008-08-04
[89]
뉴스
남북 정치·군사합의…북한, 전면 무효선언
http://news.mk.co.kr[...]
2009-01-30
[90]
뉴스
“남북정상회담 지난해 합의후 결렬”
http://news.khan.co.[...]
2010-02-05
[91]
뉴스
“文, 2012년에 인수위 때부터 대북 접촉 준비”
http://shindonga.don[...]
2017-01-20
[92]
뉴스
"남북정상회담, 납북자.식량지원 입장차로 무산"
http://www.nocutnews[...]
2009-12-20
[93]
뉴스
“정상회담 둘러싼 강온 대립 있었다”
http://www.sisapress[...]
2010-01-12
[94]
뉴스
민주평통, MB에 “대북 출구전략을”
http://news.khan.co.[...]
2010-06-22
[95]
뉴스
카터 “김정일 못 만났지만 남북정상회담 제의 메시지 받아”
http://news.donga.co[...]
2011-04-29
[96]
뉴스
“南, 지난달 돈봉투 주며 세 차례 정상회담 제의” 北, 남북 비밀접촉 전격 폭로
http://www.seoul.co.[...]
2011-06-02
[97]
뉴스
“우리가 돈봉투 처던지자 김태효 얼굴 벌게져…”
http://www.hani.co.k[...]
2011-06-09
[98]
뉴스
남북정상회담 MB원칙 ‘와르르’
http://news.khan.co.[...]
2011-06-02
[99]
뉴스
‘졸속 접촉’에 냉풍 맞은 남북 관계
http://www.sisapress[...]
2011-06-21
[100]
뉴스
8·30 개각 최대 포인트는 통일부 장관 교체
http://news.donga.co[...]
2011-08-31
[101]
뉴스
조문 외교, 남북관계에 일단 긍정적 신호 평가
http://news.mt.co.kr[...]
2011-12-27
[102]
뉴스
임태희, 베이징서 北 접촉설… 남북대화 재개 움직임
http://news.kmib.co.[...]
2012-02-16
[103]
뉴스
박 대통령 '남북대화 비선라인'은 어디까지?
http://www.dailian.c[...]
2013-04-19
[104]
뉴스
남북정상회담 전문공개 후폭풍…여야 극한대치
https://news.naver.c[...]
2013-06-25
[105]
뉴스
北 “대화록 공개, 최고 존엄에 대한 우롱” 비난
http://news.kbs.co.k[...]
2013-06-27
[106]
뉴스
朴대통령, “필요하면 남북정상회담 할 수 있어”..이벤트성 개최 반대
http://www.fnnews.co[...]
2018-09-20
[107]
뉴스
황병서 “이번에 오솔길 냈는데 앞으로 대통로 열자”
http://www.hani.co.k[...]
2018-09-20
[108]
뉴스
[파격 北실세 3인 전격방문]朴대통령과 면담 불발 왜?
http://news.donga.co[...]
2018-09-20
[109]
뉴스
‘PD수첩’ 박근혜 ‘통일 대박’ 발언, 왜? “통일되면 대통령 한번 더 한다고”
http://www.sedaily.c[...]
2018-09-20
[110]
뉴스
北 핵실험 나흘째…남북 '강 대 강' 대치 이어가
http://news1.kr/arti[...]
2018-09-20
[111]
뉴스
[이슈&뉴스] 남북협력 상징, 개성공단은 ‘최후카드’
http://news.kbs.co.k[...]
2018-09-20
[112]
뉴스
문재인 대통령 “여건되면 평양 간다”…남북정상회담 추진 가능성 주목
http://www.seoul.co.[...]
2018-09-20
[113]
뉴스
[6개 부처 차관 인사]통일부 차관 천해성, 돌아온 남북회담 베테랑…박근혜 정부 때 수난
http://news.khan.co.[...]
2018-09-20
[114]
뉴스
문 대통령, 조건부 남북정상회담 제안…실현 가능성은?
http://imnews.imbc.c[...]
2018-09-20
[115]
뉴스
북 미사일에 ‘베를린 구상’ 타격…한반도 ‘강 대 강’ 격랑
http://www.hani.co.k[...]
2018-09-20
[116]
뉴스
北, 6차 핵실험 감행…남북대화 결국 물 건너가나
http://news1.kr/arti[...]
2018-09-20
[117]
뉴스
김정은, 한국에 ‘평창’ 손짓 미국엔 ‘핵단추’ 위협
http://www.hankookil[...]
2018-09-20
[118]
뉴스
남북만남 '화기애애'…김여정 "오징어·낙지부터 통일해야"
http://www.yonhapnew[...]
2018-09-20
[119]
뉴스
대북특사단-김정은 면담·만찬, 남북 `긍정적`…정상회담 성사되나
http://news.mk.co.kr[...]
2018-09-20
[120]
뉴스
친분 다진 7시간30분… 10개 일정 함께 소화
http://news.kmib.co.[...]
2018-09-20
[121]
뉴스
4·27 판문점 선언…방점은 '빠른 속도로 관계 개선'
http://www.segye.com[...]
2018-09-20
[122]
뉴스
[남북정상회담] 남북미 3각 소통 新정상외교 지평 열었다
http://www.yonhapnew[...]
2018-09-20
[123]
뉴스
[평양회담결산] 제2의 도보다리 명장면 속출…단짝 같았던 남북정상
http://www.yonhapnew[...]
2018-09-30
[124]
뉴스
평화의 평양 여정, 북미 중재 길을 잇다
http://www.hankookil[...]
2018-09-30
[125]
뉴스
평양회담, 南北 70년 적대 청산 화합 한걸음 더
http://www.newsis.co[...]
2018-09-30
[126]
뉴스
‘밀사’ 이후락부터 ‘첫 공식 특사’ 김만복까지···대북특사의 역사
http://news.khan.co.[...]
2018-09-20
[127]
뉴스
[클로즈업 북한] 한반도 변화의 문을 열다…남북 특사
http://news.kbs.co.k[...]
2018-09-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북, 긴장 완화 조치 폄훼에도…이 대통령, 관계 개선 의지 표명
최성룡 대표 “이 대통령, 일본과 별도로 납북자 문제 풀어줄 것 기대”
‘12·3 비상계엄’ 보도량, 현대사 이슈 중 압도적 1위
"국익 중심 실용외교…남북회담 지금은 어려워"
오늘의 SBS 8뉴스 예고 (5월 26일)
이재명 "남북정상회담 당연히 해야 하나 지금 상태로는 매우 어려워"
김문수, 문재인에 신발 던진 ‘신발 열사’ 지지받아
문정인 “윤석열 복귀? 트럼프·이시바가 상대해주겠나…외교 힘들어질 것”
KT, 남북경협 전담조직 신설…“개성공단 통신·ICT 교류사업 재개 준비”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