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렉트 마케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렉트 마케팅은 15세기 유럽에서 카탈로그를 사용한 것을 시작으로, 판매, 잠재 고객 확보, 고객과의 관계 형성을 목표로 하는 마케팅 방식이다. 18세기 산업 혁명 시기 조시아 웨지우드를 비롯한 기업가들이 다이렉트 마케팅을 개척했으며, 19세기 중반 운송 시스템 개선과 균일 페니 우편의 도입으로 통신 판매가 성장했다. 1967년 레스터 운더만이 "다이렉트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다이렉트 마케팅은 마일리지 프로그램, FSP, 멤버 겟 멤버 프로그램, 다이렉트 프로모션, 세일즈 프로모션, 샘플러, 리드 제너레이션 프로그램, 옵트인 프로그램, 코업, 텔레리서치 등 다양한 프로그램 유형을 포함한다. 채널로는 다이렉트 메일, 전화,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등이 활용되며, 이메일 마케팅, 디스플레이 광고, 검색, 소셜 미디어, 모바일 마케팅 등 온라인 채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이렉트 마케팅은 윤리적 문제와 개인 정보 보호,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해결해야 하며, ICC 통합 광고 및 마케팅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케팅의 유형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합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일관되게 전달하는 전략이며,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은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내부, 외부, 교차 기능적 계획 접근 방식으로 구현된다. - 마케팅의 유형 - 글로벌 마케팅
글로벌 마케팅은 전 세계를 단일 시장으로 보고 현지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며, 비용, 효율성, 맞춤화, 현지화의 균형을 추구한다. - 다이렉트 마케팅 - 통신판매
통신 판매는 우편, 전화, 인터넷 등 매체를 통해 계약을 체결하고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허위 광고 등의 문제도 있으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등의 적용을 받는 판매 방식이다. - 다이렉트 마케팅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은 고객 정보를 전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여 개별 마케팅 채널을 통해 고객에게 맞춤형 도움과 수요를 창출하는 대화형 접근 방식으로, CRM 및 개인화 마케팅 발전에 기여하며 데이터 분석, RFM 분석 등을 활용해 마케팅을 최적화하고 개인 정보 보호를 준수하며 발전한다. - 프로모션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네이티브 광고
네이티브 광고는 웹사이트나 플랫폼의 콘텐츠 형식과 사용자 경험을 모방하여 광고처럼 보이지 않게 설계된 온라인 광고의 한 형태로, 홍보 동영상, 이미지, 기사, 검색 광고,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광고 고지 의무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기만 문제가 제기되고, 개방형, 폐쇄형, 하이브리드형 플랫폼으로 분류된다. - 프로모션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영화관
영화관은 영화 상영을 위한 시설로, 환등기 쇼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는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다양한 콘텐츠 상영과 접근성 기능 제공을 통해 진화하고 있다.
다이렉트 마케팅 | |
---|---|
개요 | |
유형 | 광고의 한 형태 |
특징 | 개인화된 메시지 전달 측정 가능한 결과 |
목적 | 고객 확보 판매 증진 브랜드 인지도 향상 |
주요 매체 | |
우편 | 다이렉트 메일 (DM) |
전화 | 텔레마케팅 |
이메일 | 이메일 마케팅 |
문자 메시지 | SMS 마케팅 |
온라인 광고 | 배너 광고, 검색 엔진 마케팅 (SEM) |
장점 | |
타겟팅 | 특정 고객층에 집중 가능 |
측정 가능성 | 캠페인 효과 측정 용이 |
개인화 | 고객 맞춤형 메시지 전달 |
비용 효율성 | 효율적인 예산 집행 가능 |
단점 | |
높은 비용 | 대량 우편 발송 시 비용 부담 |
낮은 반응률 | 무관심한 고객에게는 효과 미미 |
스팸 인식 | 과도한 메시지는 스팸으로 인식될 수 있음 |
개인 정보 문제 | 개인 정보 수집 및 활용에 대한 우려 |
관련 용어 | |
CRM | 고객 관계 관리 (CRM)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
퍼미션 마케팅 | 퍼미션 마케팅 |
리드 제너레이션 | 리드 제너레이션 |
윤리적 고려 사항 | |
개인 정보 보호 | 고객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 및 사용 |
투명성 | 정보 수집 및 사용 목적 명확히 고지 |
선택권 제공 | 정보 수신 거부 옵션 제공 |
사회적 책임 | 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마케팅 활동 |
2. 역사
다이렉트 마케팅은 15세기 유럽에서 카탈로그를 사용하여 시작되었다.[6] 베네치아의 출판업자 알두스 마누티우스는 판매할 도서 목록을 인쇄하여 배포했다. 1667년에는 영국의 정원사 윌리엄 루카스가 고객에게 가격을 알리기 위해 종자 카탈로그를 만들어 발송했다. 이러한 카탈로그 방식은 영국령 북아메리카로 전파되었고, 벤저민 프랭클린은 1744년 과학 및 학술 서적 카탈로그를 제작하여 미국 최초의 카탈로그 제작자로 여겨진다.[7]
18세기 말, 영국에서 산업 혁명이 일어나고 중산층이 성장하면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수요가 생겨났다. 매튜 볼턴과 도자기 제조업체 조시아 웨지우드 같은 기업가들은 다이렉트 메일을 포함한 여러 현대적인 마케팅 전략을 개척했다.[8][10] 웨지우드는 소비자 혁명과 중산층의 부의 성장에 부응하며 산업 혁명을 이끄는 데 기여했다.[9]
웨일스의 기업가 프라이스 프라이스-존스는 1861년에 최초의 현대식 통신 판매를 시작했다.[11][12] 그는 웨일스 뉴타운에서 지역 모직을 판매하는 로열 웨일스 창고(Royal Welsh Warehouse)를 운영했다. 19세기 중반 운송 시스템의 개선과 균일 페니 우편 제도의 도입은 통신 판매 사업의 성장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했다.[13] 프라이스-존스는 전국에 상품 카탈로그를 배포하고, 고객들이 우편으로 주문하면 철도를 통해 상품을 배송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이는 직접 쇼핑하러 뉴타운에 오기 어렵거나 너무 바쁜 외딴 농촌 지역 고객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이상적인 방법이었으며, 세계 최초의 통신 판매 사업으로 평가받는다.[14] 그의 대표 상품 중 하나인 유클리시아 러그(Euklisia Rug)는 현대식 침낭의 원형으로 여겨지며, 러시아 군대에 6만 개를 납품하기도 했다.[15][16] 1880년까지 그의 고객은 10만 명을 넘어섰고, 이러한 성공으로 1887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17]
19세기 미국에서는 소매업자 애런 몽고메리 워드가 몽고메리 워드라는 통신 판매 회사를 설립하고 1872년 첫 카탈로그를 발행했다. 그는 중간 유통 과정을 없애고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판매함으로써 가격을 낮추는 전략을 사용했다.[18] "다이렉트 마케팅"이라는 용어는 이때보다 훨씬 나중에 등장했다.[19]
1917년에는 현재의 다이렉트 마케팅 협회의 전신인 다이렉트 메일 광고 협회가 설립되었고,[20] 1928년에는 3등 대량 우편 요금 제도가 도입되었다.[21]
현대적인 의미의 다이렉트 마케팅 개념은 1961년 레스터 원더먼이 과학적인 광고 원리에 기초하여 효율적인 판매 방식으로 세계 최초로 제창하면서 정립되었다. 그는 기존 광고가 메시지 전달에 중점을 둔 것과 달리, 고객의 반응(response)을 얻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았다.[57] 이 때문에 다이렉트 마케팅은 단순 이미지 광고보다 판매 지향적인 성격이 강하며, 통신 판매 업계, 금융, IT, 자동차 산업 등 고객의 직접적인 반응이 중요한 분야에서 많이 활용된다.[58] 1967년, 레스터 원더먼은 "다이렉트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명명하고 정의했으며[22][23], 그는 무료 전화번호(1-800 번호)[18], 컬럼비아 레코드 클럽, 잡지 구독 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고객 보상 프로그램 등 여러 로열티 마케팅 프로그램을 창안하여 현대 다이렉트 마케팅의 아버지로 불린다.[24]
다이렉트 마케팅을 단순히 다이렉트 메일이나 통신 판매와 동일시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초기 고객 확보를 위해서는 텔레비전, 신문, 잡지, 전단 광고 등 매스 미디어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통신 판매 형태가 아닌 다이렉트 마케팅 활동도 많다.[58] 기본적인 미디어는 다이렉트 메일과 인터넷이지만, 다양한 매체를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다이렉트 마케팅에서는 광고 예산을 단순 비용이 아닌 투자로 간주하여 회수율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58]
다이렉트 마케팅은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인터넷 마케팅, CRM(고객 관계 관리), 원투원 마케팅 등 현대 마케팅의 중요한 개념들의 기반이 되었다.[59] 특히 인터넷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많은 용어와 개념은 다이렉트 마케팅에서 파생된 것이다.[60] 이처럼 다이렉트 마케팅은 마케팅 분야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 3대 광고인 데이비드 오길비, 레스터 원더먼, 세르지오 지만 모두 다이렉트 마케팅과 깊은 관련이 있다.[61]
2. 1. 한국에서의 발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에서의 발전'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3. 목적 및 프로그램
'''다이렉트 마케팅'''은 다이렉트 메일이나 통신 판매와 동일한 것으로 오해받거나, 매스 마케팅의 반대 개념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매스 미디어를 활용한 브랜드 형성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핵심은 고객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투자와 회수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58][62]
대량 생산 시대가 저물어가는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다이렉트 마케팅 기법을 실천하고 있다. 다이렉트 마케팅의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적 및 프로그램별''', '''미디어 및 채널별''', '''유사 개념 및 파생 개념별'''의 세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파악한다. 미디어나 채널은 다이렉트 마케팅을 구성하는 일부 요소일 뿐이며, 전체적인 목적과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62]
3. 1. 주요 목적
일반적인 마케팅과 달리, 다이렉트 마케팅은 목표 고객과 직접 소통하도록 설계된다.[5] 다이렉트 마케팅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5]- 판매: 다이렉트 마케팅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판매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문에 특정 제품의 구매를 직접적으로 권유하는 광고를 게재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5]
- 잠재 고객 확보 및 선별: 새로운 고객이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 즉 잠재 고객을 찾아내고 이들이 실제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 역시 중요한 목표이다. 선별된 잠재 고객은 미래의 중요한 고객이 될 수 있다.[5]
- 고객 관계 구축 및 강화: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과적인 다이렉트 마케팅 캠페인은 잠재 고객을 충성도 높은 고객으로, 더 나아가 기업을 지지하고 홍보하는 옹호자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5]
3. 2. 프로그램 유형
- 마일리지 프로그램: 주로 항공사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로, 고객 관계 관리의 한 방법이다.
- 프리퀀트 쇼퍼즈 프로그램: 회원 카드 발급이나 포인트 제공을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려는 방식이다.
- 멤버 겟 멤버 프로그램 (리퍼럴): 기존 고객이 새로운 고객을 소개하도록 유도하는 방식, 흔히 '친구 소개' 형태로 이루어진다.
- 오픈 엔드 컨티뉴이티 프로그램 (지속 프로그램): 상품이나 서비스를 일정 기간 나누어 판매하는 방식으로, '분할 판매'나 '시리즈 판매'가 이에 해당한다. 계약 기간 중 해지가 가능한 것을 '오픈 엔드', 불가능한 것을 '클로즈 엔드'라고 한다.
- 다이렉트 프로모션: 고객으로부터 직접적인 반응(구매, 문의 등)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모션 활동이다.
- 세일즈 프로모션: 경품 행사(오픈 경품, 클로즈드 경품 등)와 같은 판매 촉진 활동으로, 다이렉트 마케팅 전략의 일부로 포함되기도 한다.
- 샘플러: 신규 고객의 정보를 얻기 위해 제품 샘플 등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 리드 제너레이션 프로그램: 잠재 고객을 발굴하고 이들을 실제 구매 가능성이 높은 우수 잠재 고객이나 최종 고객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이다.
- 옵트인 프로그램: 개인 정보를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고객의 명시적인 동의를 얻어 정보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 코업 (Co-op):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하여 고객에게 접근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여러 상점이 입점한 쇼핑몰에서 공동으로 마케팅 활동을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텔레리서치: 텔레마케팅을 활용하여 기존에 확보된 기본적인 고객 정보(이름, 주소 등)에 더해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 정보(관심사, 취미 등)를 수집하고 확충하는 활동이다.
4. 채널
다이렉트 마케팅은 고객의 반응을 직접 유도하고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다. 기본적인 채널로는 다이렉트 메일과 인터넷이 꼽히지만, 초기 고객 확보를 위해서는 텔레비전, 신문, 잡지와 같은 대중 매체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58]
효과적인 다이렉트 마케팅을 위해 사용되는 주요 채널은 다음과 같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채널을 통한 다이렉트 마케팅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온라인 광고는 특정 고객 그룹을 대상으로 하며, 반응 추적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옥외 광고, 방문판매, 풀뿌리 마케팅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된다.
각 채널의 구체적인 특징과 활용 방식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1. 전통적인 채널
다이렉트 마케팅에서 활용되는 전통적인 채널들은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여 반응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요 채널로는 다이렉트 메일, 전화,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등이 있다.- 음성 메일 마케팅: 개인 및 기업 음성 사서함의 보급과 함께 등장한 방식으로, 특정 형태로는 링리스 음성 메일이 있다.[38] 기업 간(B2B) 및 기업과 소비자 간(B2C) 거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 방송 팩스 (정크 팩스): 여러 수신자에게 동시에 팩스를 보내는 방식이다. 과거에 비해 사용 빈도가 줄었는데,[39] 이는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소비자 대상 마케팅 활용을 규제하는 법률이 제정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5년 미국에서는 2005년 정크 팩스 방지법(JFPA)이 시행되어, 기존 거래 관계(EBR)가 있는 경우에만 상업용 팩스 발송을 허용하되, 수신 거부(옵트아웃) 안내 및 시스템 구축을 의무화했다. 현재는 약 2%의 직접 마케터만이 팩스를 광고 목적으로 사용하며, 주로 기업 간 마케팅에 활용된다.[40]
- 쿠폰: 인쇄 매체와 디지털 매체 모두에서 소비자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통적으로는 우편으로 받은 쿠폰을 매장에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에서 다운로드하여 인쇄하거나, 회사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해 디지털 쿠폰을 제공하고 모바일 앱으로 직접 사용하는 방식이 늘고 있다. 매일 특정 거래를 제공하는 '데일리 딜' 사이트도 인기를 얻고 있으며, 가입 고객에게 이메일로 할인 정보를 보내고 특별 코드를 통해 구매를 유도한다. 대표적인 예로 그루폰(Groupon)은 8,30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41]
- 다이렉트 리스폰스 마케팅: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목표로 설계되며, 각 소비자의 반응과 구매를 측정하여 특정 광고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42] 중간 유통 단계 없이 소비자가 판매자에게 직접 연락하여 구매하는 방식이다. 대중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주요 수단은 다음과 같다.
- 통신 판매: 소비자가 주문 양식을 작성하여 우편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더욱 활성화되었다.[43][44]
- 텔레비전 (DRTV): 크게 두 가지 기본 형태가 있다. 하나는 인포머셜이라 불리는 30분 또는 1시간 길이의 장시간 광고로, 제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하나는 30초 또는 60초 길이의 단시간 광고로, 화면에 전화번호나 웹사이트 주소를 제시하여 시청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TV 반응 마케팅은 소비자의 전화 연락을 통해 특정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측정하고, 확보된 전화번호를 전화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긴수 나이프 광고는 이러한 단시간 DRTV 광고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45] 홈쇼핑 네트워크 역시 DRTV의 한 형태로, 간접비를 줄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46]
- 라디오: "지금 전화하세요"와 같은 행동 촉구 메시지와 함께 수신자 부담 전화번호나 특정 웹 URL 같은 추적 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광고 방송 후의 통화 수, 주문, 고객 확보, 판매, 매출 등을 추적할 수 있다.
- 잡지 및 신문: 무료 전화번호 안내,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첨부, 모바일 기기로 스캔 가능한 QR 코드 삽입 등을 통해 소비자의 직접적이고 측정 가능한 행동을 유도한다. 1980년대 초반에는 기업 방문 판매 비용 증가로 인해 비즈니스 관련 인쇄 매체가 구매 결정의 주요 참고 자료로 부상하기도 했다.[47]
- 다이렉트 메일 (광고 우편): 우편 서비스나 다른 배송 서비스를 통해 잠재 고객이나 기부자에게 발송되는 홍보물이다. 연령, 소득, 지역, 직업, 구매 이력 등의 기준에 따라 특정 대상에게 발송된다. 광고 전단, 카탈로그, 무료 체험 CD, 사전 승인된 신용카드 신청서, 기타 원치 않는 상품 초대 등이 포함된다. 금융 서비스, 컴퓨터, 여행 및 관광 산업 등에서 특히 활발하게 사용된다. 많은 선진국에서는 다이렉트 메일이 전체 우편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대량 우편 요금과 같은 특별 요금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마케터는 우편물을 특정 형식으로 분류하여 우편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할인 혜택을 받는다. 미국에서는 연간 900억 통 이상의 다이렉트 메일이 발송되는 것으로 추정된다.[49] 광고주들은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기법을 활용하여 골프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골프 관련 상품 정보를 보내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수신자를 선별하여 메일을 보내는 '타겟 메일링'으로 효과를 높이려 한다. 미국 우정청은 이러한 형태의 우편물을 "광고 우편"(admail)이라고 부른다. 1983년 미국 우편 수입의 15.1%가 다이렉트 메일에서 나왔다.[50]
- 삽입 광고: 카탈로그, 신문, 잡지, 상품 포장, 청구서 등 다른 인쇄물이나 발송물에 마케팅 자료를 끼워 넣는 방식이다. 여러 회사의 광고물을 하나의 봉투에 담아 보내는 협력 광고 또는 공동 우편도 삽입 광고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 옥외 직접 마케팅: 광고판, 대중교통 내부 및 외부, 버스 정류장, 공항, 영화관, 쇼핑몰, 스포츠 시설 등 집 밖의 다양한 장소에서 소비자와 접촉하며 행동 촉구를 포함하는 광고 방식이다.
- 방문판매: 판매원이 잠재 고객을 직접 방문하거나, 터퍼웨어 파티와 같이 여러 고객을 모은 자리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 풀뿌리 마케팅: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광고 활동을 펼치는 방식이다. 지역 행사나 프로젝트 후원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51]
4. 2. 온라인 채널
디지털 기술과 도구의 확산과 함께 다이렉트 마케팅은 점점 더 온라인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온라인 광고는 특정 고객 그룹에게 전달되며 추적 가능한 반응을 유도하는 특징을 가진다.이메일 마케팅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다이렉트 마케팅 방법 중 하나이다.[32][33] 이메일 마케팅이 인기를 얻는 주된 이유는 메시지 설계, 테스트, 전송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케터가 시간 제약 없이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 반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주요 온라인 마케팅 채널은 다음과 같다.
- '''디스플레이 광고''': 웹 페이지나 웹 서비스의 콘텐츠 옆에 나타나는 상호작용형 광고이다. 정적 배너, 팝업, 비디오, 플로팅 유닛 등 다양한 형식이 있다. 고객은 광고를 클릭하여 메시지에 직접 응답하거나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Marketer의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 디스플레이 광고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광고는 2018년 전체 광고 지출의 45.9%를 차지했으며, 2023년까지 60.5%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34]
- '''검색 마케팅''': 잠재 고객이 관련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광고주가 비용을 지불하고 검색 엔진 결과 목록에서 눈에 띄는 위치에 광고를 노출시키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고객의 검색 의도에 맞는 광고를 전달할 수 있다. 미국 인터넷 광고 지출의 49%가 검색 광고에 사용될 정도로 비중이 크다.[35] 마케터들은 웹사이트로 트래픽을 유도하기 위해 검색 엔진 최적화(SEO) 기법도 활용한다.
-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는 기업이 고객과 직접 소통하고 고객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 기회를 제공한다.
모바일 마케팅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나 네트워크를 통해 잠재 고객 및 기부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이다. 모바일 마케팅의 주요 메시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유형 | 설명 |
---|---|
SMS (단문 메시지 서비스) | 문자 메시지 형태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M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 사진, 영상 등 미디어를 포함한 메시지 형태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스마트폰 앱을 통한 메시지 전달. 푸시 알림(거래, 마케팅, 지리 기반 정보 등 자동 또는 캠페인성 메시지), 리치 푸시 알림(HTML 형식 푸시 알림), 앱 내 광고 등을 포함. |
위치 기반 마케팅 |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에 전달되는 마케팅 메시지. |
QR 코드 (빠른 응답 바코드) |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인코딩된 링크(특별 행사, 제품 정보 등)에 접근하는 2D 바코드. 이 기술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모바일 배너 광고 | 모바일 화면에 최적화된 크기의 배너 광고. 모바일 콘텐츠 네트워크를 통해 노출됨. |
미국에서는 2013년 10월 개정된 연방 전화 소비자 보호법에 따라, 자동 전화 다이얼링 시스템이나 사전 녹음된 음성을 사용하여 무선 번호나 주거 회선으로 텔레마케팅 메시지(로보콜)를 보내려면 사전에 서면 동의를 받아야 한다. 기존의 비즈니스 관계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이 요건이 면제되지는 않는다.[36] 이는 특히 모바일 채널을 통한 마케팅 활동에 중요한 규제 사항이다. 소비자는 사전 녹음된 텔레마케팅 전화를 더 이상 받고 싶지 않을 경우, 메시지에 제공된 번호로 전화하여 수신 거부(옵트아웃)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 규정은 정치 단체나 자선 단체의 전화에는 적용되지 않는다.[37] 캐나다 역시 자체적인 전국 수신 거부 목록(DNCL)을 운영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등 다른 국가에서는 자발적인 수신 거부 서비스를 운영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잡지, 신문, 라디오 등 전통적인 매체와 소셜 미디어, 검색 엔진 마케팅, 이메일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활용하여 고객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대기업 대상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특히 이메일은 가장 효과적인 직접 반응 유도 수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8]
5. 유사 개념 및 전문 용어
'''다이렉트 마케팅'''은 다이렉트 메일이나 통신 판매와 동일시되거나, 매스 마케팅의 반대 개념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다.[62] 하지만 실제로는 매스 미디어를 활용한 브랜드 형성 또한 중요하게 여기며, 핵심은 고객과의 관계를 지속하고 투자와 회수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62]
다이렉트 마케팅은 그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케팅 활동의 목적이나 활용하는 미디어 채널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지만, 관련된 유사 개념이나 파생된 개념, 그리고 전문 용어를 통해 그 특징과 접근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62] 이는 단순히 시청률이나 발행 부수 같은 양적 지표보다는 수신자인 고객의 실제 반응을 중시하는 다이렉트 마케팅의 특성과도 연결된다.[63] 관련된 구체적인 개념과 용어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유사 개념
개념적으로 다이렉트 마케팅과 다이렉트 메일 또는 통신 판매를 동일하게 여기는 것은 잘못된 이해이다. 다이렉트 마케팅은 단순히 우편물 발송이나 비대면 판매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 더 넓은 개념이다.다이렉트 마케팅은 오늘날 중요하게 여겨지는 여러 마케팅 기법의 기반이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인터넷 마케팅, 고객 관계 관리(CRM), 원투원 마케팅 등은 다이렉트 마케팅의 원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인터넷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많은 용어와 개념은 다이렉트 마케팅에서 파생된 것이다.
이 외에도 다이렉트 마케팅과 관련 있거나 유사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고객 관계 관리 (CRM)
- 원투원(1 to 1) 마케팅
- IMC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클로즈드 루프 마케팅
- 인터넷 마케팅
5. 2. 전문 용어
; 오퍼 (Offer): 해당 상품 구매 또는 응답을 통해 고객이 얻을 수 있는 이점.
; 잠재 고객 (Prospect)
: 해당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있는 소비자. 자료 요청, 이벤트 참석 등의 형태로 어떠한 응답을 한 적이 있는 사람.
; 우량 잠재 고객 (Qualified Prospect)
: 잠재 고객 중에서도 특히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소비자.
; 개인화 (Personalization영어)
: 고객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에 기반하여, 각 개인에게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하려는 것. 가변 정보라고도 한다. POD, 인터넷상의 마이페이지 등은 이러한 생각에 기반한다.
; 응답 장치 (Response Device)
: 응답을 받기 위한 장치나 방법. 구체적으로는 전화(무료 전화), 팩스, 반신용 엽서, 웹사이트의 URL 표기, QR 코드 등을 가리킨다.
; POD (Print On Demand영어)
: 고객 한 명 한 명에게 가변(바리어블) 정보를 인쇄하는 방법(가변 인쇄). 후지 제록스, 코닥 등 프린터 제조사가 힘을 쏟고 있다.
; 응답 수 (Number of Responses)
: 실제 응답한 수.
; 응답률 (Response Rate)
: 응답 수를 전체 실시 수로 나눈 비율 (응답 수 ÷ 실시 수 × 100).
; CPR (Cost Per Response영어)
: 반응당 비용. 응답 1건당 필요한 비용.
; CPO (Cost Per Order영어)
: 주문당 비용. 주문 1건당 필요한 비용.
; 전환율 (Conversion Rate)
: 응답한 고객 중 실제 주문으로 이어진 비율.
; BFP (Break Even Point영어)
: 손익분기점. 손익분기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응답 수 또는 응답률.
; 공헌 이익 (Contribution Margin)
: 마케팅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순이익.
; ROI (Return On Investment영어)
: 투자 수익률. 투자액 대비 공헌 이익. 원래는 경영 용어이므로 마케팅 ROI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64]
; LTV (Life Time Value영어)
: 고객 생애 가치. 일정 기간 동안의 ROI의 총합.
;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인터넷 마케팅 용어와의 비교다이렉트 마케팅의 개념과 용어는 인터넷 마케팅의 기반이 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대응될 수 있다.
6. 윤리적 문제 및 해결 과제
다이렉트 마케팅은 목표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높은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마케팅 기법이지만, 동시에 여러 윤리적 문제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로는 원치 않는 광고 메시지, 즉 '정크 메일'이나 '스팸'의 무분별한 발송으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 가중,[27][28] 마케팅 과정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 침해 우려, 그리고 대량 발송으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마케팅 업계와 규제 당국은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업들은 개별적인 '수신 거부' 목록 운영, 가변 인쇄 기술 활용, 보다 정교한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한 표적 광고 강화 등으로 마케팅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비자의 불편을 줄이려 시도한다. 또한, 소비자가 원치 않는 광고 수신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호 서비스(preference services)를 운영하고,[31] 국제상업회의소(ICC)와 같은 기구를 통해 마케팅 활동 전반에 대한 윤리 강령을 마련하여 준수를 독려하기도 한다.[52] 법적으로는 미국의 CAN-SPAM 법[29]처럼 원치 않는 상업적 메시지 발송을 규제하고 소비자의 수신 거부권을 보장하는 법률이 제정되기도 했다.
궁극적으로 다이렉트 마케팅의 성공은 단순히 효과적인 제안, 시기적절한 발송, 편리한 응답 방식[25] 등에만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 책임감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는 데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윤리적 문제와 해결 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6. 1. 윤리적 문제
다이렉트 마케팅은 원치 않는 광고 발송 문제로 인해 윤리적 비판에 직면하기도 한다. 우편함에 배달되는 원치 않는 상업 광고를 의미하는 "정크 메일"이라는 용어는 1954년부터 사용되었으며,[27] 원치 않는 상업용 이메일을 뜻하는 "스팸"은 1993년경부터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28]이러한 스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2003년 CAN-SPAM 법을 제정하여 원치 않는 이메일 발송을 규제하고, 수신 거부권을 보장하며 위반 시 처벌하도록 했다.[29] ISP나 이메일 서비스 제공업체들도 스팸 필터링 기술을 발전시켰지만, 때로는 합법적인 마케팅 이메일마저 스팸으로 분류되어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30]
소비자들은 다이렉트 마케팅 과정에서 개인 정보 보호 침해나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에 기업들은 광고 예산 낭비를 줄이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특정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는 표적 광고 기법을 발전시키고 있다. 광고 업계에서도 온라인 표적 광고에 대한 보다 엄격한 규정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있다.[31]
국제상업회의소(ICC)는 다이렉트 마케팅 활동 전반에 적용되는 통합 광고 및 마케팅 규정을 통해 윤리 강령을 제시하고 있다.[52] 이 규정은 마케터, 실무자, 관련 서비스 제공자 및 미디어 등 모든 관련자가 따라야 할 윤리적 행동 기준을 정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의무 이행: 마케팅 활동으로 발생하는 모든 약속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행되어야 한다. 제안 시 모든 약속과 판매 조건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 명확한 정보 제공: 제안된 상품 외에 다른 상품이 필요하거나 추가 구매가 요구될 경우, 이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 소비자가 철회권(상품 반송 또는 서비스 취소 권리)을 갖는 경우, 권리의 존재, 정보 획득 방법, 행사 방법을 알려야 한다. "무료 체험" 등의 조건으로 제품을 제공할 경우, 반환 비용 부담 주체와 절차를 명확히 하고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어야 한다. 마케터 및 운영자의 신원과 연락처 정보는 소비자가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제안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 정보는 소비자가 보관할 수 있는 영구적인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53]
- 강압 금지 및 문화 존중: 강압적인 판매 방식은 괴롭힘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하며, 마케터는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질문을 피하기 위해 현지 문화와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
- 수신 거부 존중: 소비자가 선호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신 거부 의사를 표시한 경우, 이를 존중해야 한다. 우편함 스티커 등 주소 없는 우편물 수신 거부 시스템이 있다면 이 또한 존중해야 한다.[53]
- 책임 소재: 다이렉트 마케팅 활동의 모든 측면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은 마케터에게 있다. 그러나 운영자, 텔레마케터, 데이터 관리자, 하청업체, 게시자, 미디어 소유자 등 활동에 참여하는 다른 주체들에게도 책임이 적용된다.[54]
6. 2. 해결 과제
다이렉트 마케팅은 효과적인 도구이지만,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마케팅의 성공은 제안 내용, 시기, 응답의 용이성, 창의성, 사용 매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25] 특히 메시지 전달 방식과 후속 처리 과정(fulfillment)이 중요하다.[26] 그러나 무분별한 마케팅 활동은 소비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대표적인 문제점은 원치 않는 광고 메시지, 즉 '정크 메일'과 '스팸'이다. 우편함에 직접 배달되는 원치 않는 상업 광고를 뜻하는 '정크 메일'이라는 용어는 1954년부터 사용되었으며,[27] 원치 않는 상업용 이메일을 의미하는 '스팸'은 1993년 유즈넷에서의 과도한 메시지 게시에서 유래했다.[28]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마케팅 업계는 개별적인 "수신 거부" 목록 운영, 가변 인쇄 기술 활용, 보다 정교한 목록 관리를 통해 성공률을 높이려 노력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가 원치 않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신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호 서비스(preference services)를 구축하기도 했다.
법적 규제도 강화되었다. 미국에서는 2003년 CAN-SPAM 법(Controlling the Assault of Non-Solicited Pornography And Marketing Act)을 제정하여 원치 않는 이메일 발송을 규제하고, 수신자에게 수신 거부권을 부여하며 위반 시 강력한 처벌을 규정했다.[29] 또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와 이메일 서비스 제공업체들도 스팸 필터링 기술을 발전시켰지만, 이로 인해 합법적인 마케팅 이메일조차 스팸으로 분류되어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30]
소비자들은 개인 정보 보호와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광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마케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리적·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질 만한 고객에게만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적 광고(targeted advertising)를 강화하는 추세다. 광고 업계 역시 온라인 표적 광고에 대한 더 엄격한 자체 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1]
국제상업회의소(ICC)는 광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통합 규정(ICC Consolidated Code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Communications)을 통해 다이렉트 마케팅 활동 전반에 적용되는 윤리적 기준을 제시한다.[52] 이 규정은 마케터와 관련 업계 종사자들이 준수해야 할 사항들을 포함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약속 이행: 마케팅 활동으로 발생하는 모든 의무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행되어야 한다. 제안 시 소비자에게 제시된 모든 약속은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 정보의 명확성: 제안된 제품 외에 추가 구매가 필요하거나 다른 제품이 함께 제시될 경우, 이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
- 강압 금지 및 문화 존중: 소비자를 압박하는 행위는 피해야 하며, 현지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여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질문을 삼가야 한다.
- 철회권 고지: 소비자에게 철회권(cooling-off period)이 있다면, 그 존재와 행사 방법을 명확히 알려야 한다. "무료 체험" 등의 조건으로 제품을 제공할 경우, 반환 비용 부담 주체와 절차를 명확히 하고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어야 한다. 반환 기한이 있다면 명확히 고지해야 한다.
- 신원 및 연락처 명시: 마케터 및 운영자의 신원과 연락처 정보는 소비자가 쉽게 확인하고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제안에 포함되어야 하며, 영구적인 참조 자료(별도 문서, 이메일 등)로 제공되어야 한다. 제품 배송 시에도 마케터의 전체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제공해야 한다.
- 수신 거부 의사 존중: 소비자가 선호 서비스 가입 등을 통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힌 경우, 이를 존중해야 한다.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마케터는 해당 시장의 선호 서비스를 활용하고 소비자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53] 우편함 스티커 등 주소 없는 우편물 수신 거부 표시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존중해야 한다.
- 책임 소재: 다이렉트 마케팅 활동의 전반적인 책임은 마케터에게 있지만, 텔레마케터, 데이터 관리자, 미디어 소유자 등 활동에 참여하는 다른 주체들에게도 책임이 적용된다.[54]
7. 관련 단체
- 나카자와 이사오: 다이렉트 마케팅 전략 연구소 대표, 전 호세이 대학 경영학부 강사
- 카메이 아키히로: 와세다 대학 상학부 교수, 일본 다이렉트 마케팅 학회 회장
- 우에하라 마사히코: 메이지 대학 대학원 교수, 일본 다이렉트 마케팅 학회 부회장
- 코다 마사토: 쓰쿠바 대학 대학원 교수, 일본 다이렉트 마케팅 학회 서비스 & 관계 마케팅 연구부회장
- 루디 카즈코: 위톤 액턴사 대표이사, 와세다 대학 대학원 객원 교수, 일본 다이렉트 마케팅 학회 부회장, 전일본 DM 대상 심사위원
- 카키오 마사유키: 사단법인 일본 통신 판매 협회 이사, 주간 연구원
- 일본 통신판매 협회
- 다이렉트 마케팅 협회 Direct Marketing Associations영어
8. 성공 사례
일본의 대표적인 다이렉트 마케팅 활용 기업은 다음과 같다.[65]
- 베네세 코퍼레이션
- 네슬레 재팬
- 주피터 숍 채널
- 판켈
- 아스클
9. 주요 인물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 3대 광고인 데이비드 오길비, 레스터 원더먼, 세르지오 지먼 3명 모두 다이렉트 마케팅과 관련이 깊다[61]。
이름 | 주요 경력/소속 |
---|---|
레스터 원더먼 | 미국의 3대 광고인 중 한 명 |
데이비드 오길비 | 미국의 3대 광고인 중 한 명 |
세르지오 지먼 | 미국의 3대 광고인 중 한 명 |
제이 에이브러햄 | |
밥 스톤 | |
댄 케네디 | |
이자와 마사유키 | 주식회사 DM 네트워크 대표이사 |
오카 토오루 | 다이렉트 마케팅 재팬 주식회사 대표이사 |
오카자키 타로 | 주식회사 IT 매니지먼트 회장 |
카키오 마사유키 | 사단법인 일본 통신 판매 협회 이사 |
카나모리 츠토무 | 유한회사 카나모리 마케팅 사무소 대표이사, 글로비스 경영 대학원 대학 교원 |
칸다 마사노리 | 주식회사 알마 크리에이션즈 대표이사 |
타무라 테츠지 | 주식회사 다이렉트 마케팅 그룹 대표이사 |
후지타 코지 | 사단법인 일본 다이렉트 메일 협회 이사, 전일본 DM 대상 심사위원 |
호소노 하루요시 | 주식회사 뉴로 테크니카 대표이사, 일반사단법인 일본 뉴로 마케팅 협회 이사, 일본 뇌전도 토포그래피 연구회 평의원 |
야마다 나오 | 응답 종합 연구소 소장 |
와타나베 마사아키 | 사단법인 일본 다이렉트 응답 마케팅 협회 회장 |
참조
[1]
뉴스
Lester Wunderman, Father of Direct Marketing, Dies at 98
https://www.nytimes.[...]
2019-01-14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서적
Direct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 Hall
1999
[6]
웹사이트
The early history of mail-order catalogs
https://recollection[...]
2024-06-16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Mail Order Catalogs
http://www.imaginein[...]
[8]
뉴스
They Broke It
https://www.nytimes.[...]
2017-01-12
[9]
간행물
The Birth of a Consumer Society: The Commercialization of Eighteenth Century England. Neil McKendrick , John Brewer , J. H. Plumb
https://www.journals[...]
1985-05
[10]
뉴스
Why the Industrial Revolution Happened Here
https://www.bbc.co.u[...]
BBC
2017-01-13
[11]
웹사이트
Pryce Pryce-Jones, Newtown businessman who introduced mail order shopping to the world
https://www.bbc.co.u[...]
BBC.co.uk
[1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Newtown
http://www.newtown.o[...]
Newtown Town Council
[13]
웹사이트
Sir Pryce Pryce-Jones
http://www.dmwales.c[...]
[14]
웹사이트
Pryce Jones and the Royal Welsh Warehouse
http://a-day-in-the-[...]
Powys – A day in the life
[15]
웹사이트
Euklisia Rug
http://a-day-in-the-[...]
A-day-in-the-life.powys.org.uk
2013-08-24
[16]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World – Object : Euklisia Rug
https://www.bbc.co.u[...]
BBC
2013-08-24
[17]
웹사이트
Pryce-Jones: Pioneer of the Mail Order Industry
https://www.bbc.co.u[...]
BBC
[18]
문서
[19]
서적
Successful direct marketing methods
http://archive.org/d[...]
Lincolnwood, Ill. : NTC Business Books
1997
[20]
서적
Advertising and Integrated Brand Prom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Postal Services OPERATIONS
http://www.lookd.com[...]
2015-06-14
[22]
웹사이트
Lester Wunderman passes away aged 98
https://www.campaign[...]
[23]
웹사이트
Lester Wunderman, 'father' of direct marketing, dies at 98
https://adage.com/ar[...]
2019-01-11
[24]
웹사이트
Marketing Legend Lester Wunderman Live on 'The Alan Levy Show'
http://blog.blogtalk[...]
2015-06-14
[25]
간행물
Behind the flood of mail: Name Brokers
https://www.nytimes.[...]
1988-01-24
[26]
웹사이트
What is Direct Mail?
https://www.bakergoo[...]
2020-08-25
[27]
웹사이트
Entry for junk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08-02-19
[28]
웹사이트
Origin of the term "spam" to mean net abuse
http://www.templeton[...]
Brad Templeton's website
2008-02-19
[29]
웹사이트
FCC: Spam, Unwanted Text Messages and Email
http://www.fcc.gov/g[...]
[30]
웹사이트
What is a "Whitelist" and why do I want to work with a "Whitelisted" Mail Distributor?
http://www.bethesda-[...]
[31]
웹사이트
More Advertisers Adopt Stricter Codes Around Digital Privacy
http://adage.com/art[...]
2015-06-14
[32]
뉴스
How Companies Learn Your Secrets
https://www.nytimes.[...]
2012-02-16
[33]
뉴스
A Eulogy for the Long, Intimate Email
https://www.nytimes.[...]
2015-07-11
[34]
간행물
eMarketer Digital Ad Spending 2019
https://www.emarkete[...]
2019-07-12
[35]
문서
[36]
웹사이트
Telemarketing Sales Rule
http://www.consumer.[...]
2015-06-14
[37]
간행물
Rules and Regulations Implementing the Telephone Consumer Protection Act of 1991
http://transition.fc[...]
FCC
2012-02-15
[38]
뉴스
No, Your Phone Didn't Ring. So Why Voice Mail From a Telemarketer?
https://www.nytimes.[...]
2017-06-03
[39]
웹사이트
Text of S. 714 (109th): Junk Fax Prevention Act of 2005 (Passed Congress version)
https://www.govtrack[...]
2024-06-16
[40]
문서
DMA 2010 Response Rate Report
[41]
뉴스
Groupon Plans I.P.O. With $30 Billion Valuation
https://dealbook.nyt[...]
2015-06-09
[42]
웹사이트
Direct Response Advertising Glossary
http://www.greytv.co[...]
2011-02-08
[43]
웹사이트
Why the Internet is Causing Mail Order to Boom
http://www.homebusin[...]
Home Business Magazine
2012-10-03
[44]
뉴스
Instagram Marketing
https://phandroid.co[...]
2023-03-05
[45]
뉴스
Barry Becher, a Creator of Ginsu Knife Commercials, Dies at 71
https://www.nytimes.[...]
2012-06-30
[46]
웹사이트
Home Shopping Networks Go High End
https://money.cnn.co[...]
CNN Money
2012-10-03
[47]
뉴스
1982-05-10
[48]
웹사이트
Study: E-Mail is The Most Effective Form of Direct Response
http://www.adweek.co[...]
Adweek
2012-10-03
[49]
서적
DMA 2011 Statistical Fact Book
[50]
뉴스
1983-01-17
[51]
웹사이트
What Is a Grassroots Marketing Strategy?
https://bizfluent.co[...]
Bizfluent
2018-07-29
[52]
웹사이트
C16 – Use of telemarketing
http://www.codescent[...]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2015-06-09
[53]
웹사이트
Article C14 – Respecting consumer wishes
http://www.codescent[...]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2015-06-09
[54]
서적
Marketing Management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2012
[55]
서적
マーケティング原理 第9版
ダイヤモンド社
2003年
[56]
서적
体系・ダイレクトマーケティング
ダイヤモンド社
2005年
[57]
웹사이트
"Wunderman's view No.85 レスターの予言とこれからのマーケティング"
http://www.wunderman[...]
電通ワンダーマン
[58]
서적
前掲書
ダイヤモンド社
2003年
[59]
서적
前掲書
ダイヤモンド社
2005
[60]
서적
インターネットマーケティング原理と戦略
日本経済新聞社
2001年
[61]
문서
2001年、タイム誌により選出される。
[62]
서적
体系・ダイレクトマーケティング
ダイヤモンド社
2005年
[63]
서적
体系・ダイレクトマーケティング
ダイヤモンド社
2005年
[64]
서적
マーケティングROI
ダイヤモンド社
2004年
[65]
서적
前掲書
ダイヤモンド社
2005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