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보물 (2000년대 전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대 전반 대한민국에서 지정된 보물은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를 포함한다. 2000년에는 사인비구 제작 동종 7점, 안중근 의사 유묵 2점,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합천 해인사 홍제암,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청룡사감로탱,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 유몽인위성공신교서, 김완초상 등이 지정되었다. 2001년에는 묘법연화경, 금강경삼가해 권2, 고흥 능가사 대웅전, 나주 불회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대웅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 율곡사괘불탱, 운흥사괘불탱및궤, 예천용문사팔상탱,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 홍진 호성공신교서, 무예제보번역속집, 기영회도, 신·구법천문도, 경진년대통력,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 예념미타도량참법 권7, 파주 공효공 박중손묘 장명등,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입상, 전 낙수정 동종, 함창상원사사불회탱, 석조지장보살좌상 등이 지정되었다. 2002년에는 삼국유사, 대동여지도, 흥국사노사나불괘불탱, 흥국사 수월관음도, 흥국사십육나한도,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화엄사 서오층석탑 사리장엄구,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곡성 태안사 동종,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 고성 건봉사 능파교, 고성 육송정 홍교,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 대장일람집, 초조본 아비달마계신족론 권하,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3,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등이 지정되었다. 2003년에는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양양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탱, 안중근 의사 유묵, 번역명의집,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함평 고막천 석교, 양산 통도사 금동천문도, 용흥사 삼불회괘불탱, 축서사 괘불탱,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영광 불갑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 청자 철화초충조문 매병, 이암필 화조구자도, 김홍도필 추성부도, 경기감영도 병풍 등이 지정되었다. 2004년에는 송언신초상, 이중로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강진 백련사 사적비,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 영국사영산회후불탱,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소, 금동 당간 용두,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보은 법주사 철솥, 봉업사명청동향로, 선암사석가모니불괘불탱 및 부속유물일괄,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 청자 퇴화선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 봉사조선창화시권, 비해당소상팔경시첩, 이십삼 상대회도 및 김종한 교지, 삼현수간, 임신서기석,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등이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는 대한민국 정부가 지정한 보물 중 1호부터 100호까지의 문화재 목록으로, 석탑, 불상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정보를 담고 있으며, 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에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국보 (202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의 국보는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이순신 장검,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등 과학, 불교, 회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2021년 문화재 일련번호 폐지로 국보 제336호가 마지막 일련번호 국보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물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보물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물 (2000년대 전반) | |
|---|---|
| 개요 | |
| 종류 | 보물 |
| 지정 번호 | 지정 번호 (지정일) (지정 해)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서예 |
| 재료 | 종이 |
| 크기 | 세로 31.4cm, 가로 54.2cm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추사 김정희 필 대팽고회 정보 |
| 내용 | 대팽고회는 '크게 끓인 태고의 맛'이라는 뜻으로, 추사 김정희가 평소 아끼던 차를 끓여 마시며 느꼈던 감흥을 표현한 작품이다. 추사는 이 작품에서 차를 마시는 즐거움과 함께 인생의 깊은 의미를 담아내고자 했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책 |
| 재료 | 종이 |
| 크기 | 30.4 x 20.5cm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예씨족보 정보 |
| 내용 | 《예씨족보》는 조선시대 예씨 가문의 족보로, 가문의 역사와 계보를 기록한 중요한 자료이다. 이 족보는 예씨 가문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보여주는 동시에, 조선시대 족보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
| 시대 | 고려시대 |
| 구분 | 책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상지은니불정본 정보 |
| 내용 | 《상지은니불정본》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불교 경전으로, 은색 글씨로 정성스럽게 쓰여진 것이 특징이다. 이 경전은 불교 신앙의 깊이와 함께 고려시대의 뛰어난 예술적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도자 |
| 재료 | 백자 |
| 크기 | 높이 45.2cm, 입지름 19.8cm, 밑지름 21.5cm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백자대호 정보 |
| 내용 | 백자대호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커다란 백자 항아리로, 넉넉한 크기와 아름다운 형태가 특징이다. 이 백자는 조선시대 백자 기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
| 시대 | 고려시대 |
| 구분 | 도자 |
| 재료 | 청자 |
| 크기 | 높이 32.7cm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음각 연화문 매병 정보 |
| 내용 | 청자 음각 연화문 매병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청자 매병으로, 연꽃 무늬가 섬세하게 음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청자는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뛰어난 조형미와 섬세한 장식 기법이 돋보인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도자 |
| 재료 | 분청사기 |
| 크기 | 높이 28.5cm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 상감 모란문 매병 정보 |
| 내용 | 분청사기 상감 모란문 매병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분청사기 매병으로, 모란 무늬가 상감 기법으로 장식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분청사기는 조선시대 도자기의 다양성과 독창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 시대 | 대한제국 |
| 구분 | 서예 |
| 재료 | 종이 |
| 크기 | 33.0 x 64.6cm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안중근 의사 유묵 ‘경천’ 정보 |
| 내용 | 안중근 의사 유묵 ‘경천’은 안중근 의사가 남긴 붓글씨 작품으로, ‘하늘을 공경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유묵은 안중근 의사의 애국심과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소중한 유물이다. |
| 시대 | 일제강점기 |
| 구분 | 서예 |
| 재료 | 종이 |
| 크기 | 32.4 x 44.0cm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윤봉길 의사 유묵 ‘장부출가생불환’ 정보 |
| 내용 | 윤봉길 의사 유묵 ‘장부출가생불환’은 윤봉길 의사가 남긴 붓글씨 작품으로, ‘대장부가 집을 나가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는 굳은 결의를 담고 있다. 이 유묵은 윤봉길 의사의 용기와 헌신을 기리는 중요한 자료이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김홍도 필 병풍 정보 |
| 내용 | 김홍도 필 병풍은 조선시대 화가 김홍도가 그린 병풍으로, 그의 뛰어난 화풍과 예술적 감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 병풍은 조선시대 풍속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책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국립중앙박물관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자치통감강목 정보 |
| 내용 | 《자치통감강목》은 중국의 역사서인 《자치통감》을 강목체로 정리한 책으로, 조선시대 학자들이 역사 연구에 활용했던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 역사학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책 |
| 재료 | 종이 |
| 크기 | 34.4 x 22.3cm |
| 소장 | 국립한글박물관 |
| 참고 | 국립한글박물관 동국정운 정보 |
| 내용 | 《동국정운》은 조선 세종 때 편찬된 운서로, 한국 한자음의 표준을 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책은 한국어의 역사와 발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127.0 x 67.0cm |
| 소장 | 고성 박씨 종중 |
| 내용 | 박동진 초상은 조선시대 문신 박동진의 초상화로, 그의 인품과 위엄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137.5 x 70.5cm |
| 소장 | 전주 이씨 종중 |
| 내용 | 이재 초상은 조선시대 학자 이재의 초상화로, 그의 학문적 깊이와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개인 |
| 내용 | 채제공 초상은 조선시대 문신 채제공의 초상화로, 그의 강직한 성품과 뛰어난 능력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개인 |
| 내용 | 김정희 초상은 조선시대 학자이자 예술가인 김정희의 초상화로, 그의 학문적 깊이와 예술적 재능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근대 |
| 구분 | 가옥 |
| 재료 | 목재 |
| 위치 |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송용리 59 (현 세종특별자치시 장욱진로 92-12) |
| 내용 | 장욱진 화가 생가는 한국 근대 화가 장욱진이 태어나고 자란 집으로, 그의 예술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 곳이다. 이 생가는 한국 근대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동시에, 장욱진 화가의 삶과 예술을 기리는 중요한 장소이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옥산서원 |
| 내용 | 이언적 초상은 조선시대 학자 이언적의 초상화로, 그의 학문적 업적과 인품을 기리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김해 김씨 종중 |
| 내용 | 김장생 초상은 조선시대 학자 김장생의 초상화로, 그의 학문적 업적과 사상을 기리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송씨 종중 |
| 내용 | 송시열 초상은 조선시대 학자 송시열의 초상화로, 그의 학문적 업적과 정치적 영향력을 기리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지정/미상 |
| 소장 | 개인 |
| 내용 | 조헌 초상은 조선시대 의병장 조헌의 초상화로, 그의 충절과 용기를 기리는 작품이다. 이 초상화는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책 |
| 재료 | 종이 |
| 크기 | 29.3 x 19.7cm |
| 소장 | 도산서원 |
| 내용 | 《퇴계선생언행록》은 조선시대 학자 퇴계 이황의 언행을 기록한 책으로, 그의 학문적 사상과 인품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 유학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
| 시대 | 조선시대 |
| 구분 | 책 |
| 재료 | 종이 |
| 크기 | 29.5 x 20cm |
| 소장 |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 내용 | 《근사록》은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주희가 편찬한 책으로, 유학의 핵심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시대 학자들이 유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유학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
| 시대 | 근대 |
| 구분 | 회화 |
| 재료 | 종이 |
| 크기 | 35.5 x 51.4cm |
| 소장 | 개인 |
| 내용 | 이중섭 작 ‘황소’는 한국 근대 화가 이중섭이 그린 그림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은 힘찬 황소의 모습을 통해 한국인의 강인한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
2. 2000년 지정 보물
2000년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승려 사인비구가 제작한 동종 7점이 보물로 지정되었는데, 각각 포항 보경사 서운암, 문경 김룡사, 홍천 수타사, 안성 청룡사, 서울 화계사, 양산 통도사, 의왕 청계사에 소장되어 있다. 안중근 의사의 유묵 2점도 보물로 지정되었는데, 각각 국가안위노심초사(國家安危勞心焦思)와 위국헌신군인본분(爲國獻身軍人本分)이다.
이 외에도 고려시대 석탑인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보물 제1299호)과 조선시대 건축물인 합천 해인사 홍제암(보물 제1300호),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보물 제1301호)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또한, 청룡사감로탱(보물 제1302호)과 같은 불화,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보물 제1303호)과 같은 전적, 유몽인위성공신교서(보물 제1304호), 그리고 김완초상(보물 제1305호)과 같은 초상화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2. 1. 사인비구 제작 동종
2. 1. 1. 포항 보경사 서운암 동종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보경사 서운암에 소장된 동종이다.2. 1. 2. 문경 김룡사 동종
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동종이다.2. 1. 3. 홍천 수타사 동종
강원도 홍천군 수타사에 소장된 동종이다.
2. 1. 4. 안성 청룡사 동종
안성 청룡사에 소장된 동종이다.
2. 1. 5. 서울 화계사 동종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에 소장된 동종이다.2. 1. 6. 통도사 동종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동종이다.2. 1. 7. 의왕 청계사 동종
경기도 의왕시 청계사에 소장된 동종이다.
2. 2. 안중근 의사 유묵
2. 2. 1. 국가안위노심초사
국가안위노심초사는 안중근 의사의 유묵으로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유묵에는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는 안중근 의사의 마음이 담겨 있다.2. 2. 2. 위국헌신군인본분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된 유묵으로, 나라를 위해 몸 바치는 것이 군인의 본분임을 강조하고 있다.2. 3. 기타 보물
3. 2001년 지정 보물
2001년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불교 관련 유물로는 경전, 건축물, 불화, 불상, 석탑 등이 지정되었고, 일반 유물로는 고문서, 고지도, 천문도, 도자기 등이 포함되었다.
2001년 1월 2일에는 묘법연화경이, 2001년 8월 3일에는 금강경삼가해 권2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건축물로는 2001년 2월 23일 고흥 능가사 대웅전이, 2001년 4월 17일 나주 불회사 대웅전이, 2001년 6월 8일 순천 선암사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1년 8월 3일에는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같은 날 율곡사괘불탱과 운흥사괘불탱및궤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1년 4월 17일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이, 2001년 9월 21일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1년 2월 23일 홍진 호성공신교서가, 2001년 8월 3일 무예제보번역속집이, 2001년 10월 25일 기영회도가 각각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1년 8월 3일 신·구법천문도와 경진년대통력이, 2001년 10월 25일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1년 8월 3일 예념미타도량참법 권7이, 2001년 9월 21일 파주 공효공 박중손묘 장명등,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입상, 전 낙수정 동종이, 2001년 10월 25일 함창상원사사불회탱과 석조지장보살좌상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3. 1. 불교 문화재
3. 2. 기타 보물
4. 2002년 지정 보물
2002년에는 삼국유사, 대동여지도 등 중요한 기록유산을 비롯하여 불교 문화재, 도자기, 고문서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삼국유사는 여러 판본이 보물로 지정되었는데, 그 중 권2는 서울 성암고서박물관에, 권4~5는 부산 범어사에, 권3~5는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3년 4월 14일에는 국보 제306-2호로 승격된 판본도 있다.
금강경삼가해 권1은 전남 장흥군 보림사에 소장되어 있다. 대동여지도는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동여도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불교 문화재로는 흥국사노사나불괘불탱, 흥국사수월관음도, 흥국사십육나한도 등이 전남 여수시 흥국사에 소장되어 있다. 오덕사괘불탱은 충남 부여군, 천은사괘불탱은 전남 구례군, 도림사괘불탱은 전남 곡성군, 미황사괘불탱은 전남 해남군, 다보사괘불탱은 전남 나주시, 금탑사괘불탱은 전남 고흥군, 만연사괘불탱은 전남 화순군에 각각 소재하고 있다. 통도사에는 통도사석가여래괘불탱, 통도사괘불탱, 통도사화엄탱, 통도사영산회상탱 등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과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은 각각 승려의 사리탑이다. 화엄사 서오층석탑 사리장엄구는 전남 구례군 화엄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곡성 태안사 동종은 고려시대의 범종이다.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고려시대 향로이다.
고성 건봉사 능파교와 고성 육송정 홍교는 무지개다리(홍예교)이다.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시대 석탑이다.
고문서로는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군공책과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교지(교첩)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장일람집은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초조본 아비달마계신족론 권하와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3은 서울역사박물관에,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은 전남 해남군 대흥사에 소장되어 있다.
4. 1. 기록유산
4. 2. 불교 문화재
4. 3. 기타 보물
5. 2003년 지정 보물
2003년에는 다양한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불교 문화재로는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제1360호),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1361호), 양양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제1362호) 등이 지정되었다.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보물 제1363호),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탱(보물 제1364호) 등 불화도 지정되었다.
안중근 의사 유묵 - 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보물 제569-25호)과 같은 고문서, 번역명의집(보물 제1369호)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보물 제1370호),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보물 제1371호) 등 불탑도 지정되었다.
함평 고막천 석교(보물 제1372호)와 같은 다리, 양산 통도사 금동천문도(보물 제1373호)와 같은 과학 유물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용흥사 삼불회괘불탱(보물 제1374호), 축서사 괘불탱(보물 제1379호) 등 괘불도 지정되었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 제1375호),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보물 제1376호) 등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영광 불갑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보물 제1377호),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제1378호),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381호) 등 불상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보물 제1380호)과 같은 문서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보물 제1382호), 청자 철화초충조문 매병(보물 제1383호) 등 다양한 도자기도 지정되었다. 
이암필 화조구자도(보물 제1392호), 김홍도필 추성부도(보물 제1393호), 경기감영도 병풍(보물 제1394호) 등 회화 작품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송광사 화엄전 화엄탱(보물 제1366호)은 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국보 제314호)로 승격되면서 보물에서 해제되었다.
5. 1. 불교 문화재
5. 2. 기타 보물
6. 2004년 지정 보물
2004년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초상화로는 송언신초상(보물 제941-2호)과 이중로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초상(보물 제1174-2호)이 지정되었다. 석조물로는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보물 제1395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보물 제1396호),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보물 제1401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보물 제1416호),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 제1417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보물 제1418호)이 있다.
불교 문화재로는 영국사영산회후불탱(보물 제1397호),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보물 제1407호), 금강반야바라밀경(보물 제1408호),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보물 제1409호), 금동 당간 용두(보물 제1410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보물 제1412호), 보은 법주사 철솥(보물 제1413호), 봉업사명청동향로(보물 제1414호), 선암사석가모니불괘불탱 및 부속유물일괄(보물 제1419호)이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보물 제1398호), 청자 퇴화선문 표주박모양 주전자(보물 제1399호),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보물 제1400호),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보물 제1420호),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보물 제1421호),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보물 제1422호),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보물 제1423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보물 제1425호) 등 다양한 도자기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봉사조선창화시권(보물 제1404호), 비해당소상팔경시첩(보물 제1405호), 이십삼 상대회도 및 김종한 교지(보물 제1406호), 삼현수간(보물 제1415호) 등 서적과 임신서기석(보물 제1411호)과 같은 유물도 지정되었다.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제1402호)와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보물 제1403호)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6. 1. 초상화
6. 2. 석조물
6. 3. 불교 문화재
6. 4. 도자기
6. 5. 기타 보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