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지상파DM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지상파DMB는 2005년 수도권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방송망이 확장된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이다. NTSC 방식의 6MHz 채널 대역 내에서 20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KBS, MBC, SBS, YTN 등이 사업자로 참여하고 있다. TPEG 기술을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지만, DMB 수신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2. 역사

지상파 DMB는 이동방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기술 발전이라는 사회·경제·기술적 배경 속에서 도입되었다.

지상파 DMB2005년 수도권 서비스를 시작으로 상용화되었으며, 이 시기에 초기 사업자 선정, 채널 구성, 기술 방식 등이 결정되었다.

2005년 12월, 관악산, 남산, 용문산에 수도권 송신소·중계소가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많은 기간급 송신소·중계소들이 설치되었다. 현재는 중형 규모 및 소출력 중계소들이 설치되고 있다.[1]

2009년에는 지상파DMB 사업자들의 중계기 사용료 및 유지비가 광고 수익에 비해 지나치게 높아 지하철에서 지상파DMB 수신이 불가능해질 위기를 맞기도 했다. 현재 수도권 지하철 중 서울 지하철 9호선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오금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지상파DMB 시청이 가능하다.[1][2]

2. 1. 도입 배경

지상파 DMB 도입의 사회·경제·기술적 배경에는 이동방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기술 발전 과정이 있었다.

2. 2. 도입 초기

지상파 DMB는 2005년 수도권 서비스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상용화되었다. 초기 사업자 선정, 채널 구성, 기술 방식 등이 이 시기에 결정되었다.

2. 3. 방송망 확장

2005년 12월에 수도권 관악산, 남산, 용문산 송신소·중계소를 시작으로 많은 기간급 송신소·중계소들이 설치되어 왔으며, 현재는 중형 규모, 소출력 중계소들이 설치되고 있다.[1]

2. 4. 위기

2009년 지상파DMB 사업자들의 중계기 사용료와 유지비가 광고 수익에 비해 턱없이 높아 지하철에서 지상파DMB 수신이 불가능해질 위기를 맞기도 했다. 현재 수도권 지하철 중에서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이나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오금 구간을 제외하고 지상파DMB 시청이 가능하다.[1][2]

3. 주파수 대역

대한민국에서는 NTSC 방식의 6 MHz 채널 대역 안에서 3개씩 블록을 지정하여, 총 20개 주파수를 지상파DMB 방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유럽의 DAB 주파수 대역과는 채널 번호가 다르다.

채널번호중심 주파수주파수 대역
7A174.512MHz~176.048MHz
7B177.008MHz~177.776MHz
7C178.736MHz177.968MHz~179.504MHz
8A180.512MHz~182.048MHz
8B183.008MHz~183.776MHz
8C184.736MHz183.968MHz~185.504MHz
9A186.512MHz~188.048MHz
9B189.008MHz~189.776MHz
9C190.736MHz189.968MHz~191.504MHz
11A198.512MHz~200.048MHz
11B201.008MHz~201.776MHz
11C202.736MHz201.968MHz~203.504MHz
12A204.512MHz~206.048MHz
12B207.008MHz~207.776MHz
12C208.736MHz207.968MHz~209.504MHz
13A210.512MHz~212.048MHz
13B213.008MHz~213.776MHz
13C214.736MHz213.968MHz~215.504MHz


4. 사업자 / 채널 현황 · 송출 시설망



대한민국의 지상파 DMB는 전국 권역별로 다양한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권역별 사업자, 채널 현황, 송출 시설망은 다음과 같다.

4. 1.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인구 밀집 지역으로, U-KBS, MBC DMB, SBS U, YTN DMB 등 4개 사업자가 다양한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사업자는 여러 비디오 채널과 V-Radio 채널을 운영한다. 또한, 교통 정보 서비스인 TPEG도 제공된다. 수도권 지역의 지상파 DMB 송출은 관악산 송신소, 남산 중계소, 용문산 중계소 등 여러 곳에서 이루어지며, 각 송신소는 특정 채널과 출력을 담당한다.

4. 1. 1. 사업자 및 채널 현황

조합명비디오 채널(DMB)V-RadioTPEG주사업자
U-KBSKBS STAR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KBS MOZEN TPEG한국방송공사
MBC DMBmy MBC
HD my MBC
MBC RADIODMB Drive주식회사 문화방송
SBS USBS u TV
HD SBS u TV
SBS V-Radio주식회사 SBS
YTN DMBmYTN
HD mYTN
LOTTE Homeshop (임대 채널)
https://dmb.ytn.co.kr/tpeg/tpeg.php DTS주식회사 YTN


4. 1. 2. 송출 시설망

송신소송출 현황출력송신소 위치비고
MBC DMBU-KBSSBS UYTN DMB
관악산 송신소CH 12ACH 12BCH 12CCH 8B2kW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3동 산3-1
남산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2kW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
파평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20W경기 파주시 파평면 눌노리 산23-5
포천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20W경기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 산98-5
용문산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1kW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산2-1
불광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90W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 (매봉)
하점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90W인천 강화군 하점면 이강리 산173-3 (별립산)
계양산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90W인천 계양구 목상동 산57-1
팔미도 중계소CH 12A인천 중구 무의동 산373
안산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20W경기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산40-1 (노적봉)
광교산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1kW경기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52
운중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1kW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산83
광주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90W경기 광주시 경안동 산20-42
용인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90W경기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3-1
이동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90W경기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 산80-1
안성 중계소CH 12ACH 12BCH 12CCH 8B90W경기 안성시 당왕동 산26 (비봉산)


4. 2. 강원

강원 지역에서는 한국방송공사(KBS), 춘천문화방송(춘천MBC), G1방송이 지상파DMB 사업자로 참여하고 있다. U-KBS는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KBS MOZEN TPEG 등의 채널을, MY MBC는 MY MBC 채널과 DMB Drive를, G1방송 DMB는 Hi G1, Go G1, DTS(임대채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사업자는 강원도 내 여러 중계소를 통해 신호를 송출하는데, 대룡산, 대암산, 백운산, 태기산, 괘방산 중계소 등이 대표적이다.

4. 2. 1. 사업자 및 채널 현황

KBS HEARTKBS MUSICKBS MOZEN TPEG한국방송공사MY MBCMY MBCDMB Drive주식회사 춘천문화방송G1방송 DMBHi G1
Go G1https://dmb.ytn.co.kr/tpeg/tpeg.php DTS(임대채널)주식회사 G1방송


4. 2. 2. 송출 시설망

송신소송출 현황출력송신소 위치비고
MBC DMBU-KBSG1방송 DMB
대룡산 중계소CH 13BCH 13BCH 13B2kW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대암산 중계소CH 13BCH 13B50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백운산 중계소CH 13BCH 13BCH 13B2kW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태기산 중계소CH 13BCH 13BCH 13B2kW강원 횡성군 둔내면 태기리 산1-1
속초 중계소CH 13B×90W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321
청대산 중계소××CH 13B90W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151[3]
양양 중계소CH 13B90W강원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 산158-4
괘방산 중계소CH 13BCH 13BCH 13B2kW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봉황산 중계소CH 13C90W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3]
초록봉 중계소CH 13ACH 13B90W
1kW
강원 동해시 비천동 5-1(MY MBC)
(U-KBS)
호산 중계소CH 13A20W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함백산 중계소CH 13ACH 13B2kW강원 태백시 상장동 산176-1


4. 3.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권역에서는 한국방송공사(KBS), 대전문화방송(MY MBC), 대전방송(TJB) 3개 사업자가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사업자는 비디오, 오디오(V-Radio), 데이터(TPEG) 방송을 송출한다.

이 지역 DMB 방송은 식장산, 계룡산, 우암산 등 13개 송신소 및 중계소를 통해 송출된다.

4. 3. 1. 사업자 및 채널 현황

KBS HEARTKBS MUSICKBS MOZEN TPEG한국방송공사MY MBCmy MBC11DMB Drive주식회사 대전문화방송TJB uTJB-SBSu
CJB-mYTNhttps://dmb.ytn.co.kr/tpeg/tpeg.php DTS(임대채널)주식회사 대전방송


4. 3. 2. 송출 시설망

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 603-1(대전문화방송)
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300(대전방송)계룡산 중계소CH 11ACH 11B×2kW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우암산 중계소CH 11ACH 11BCH 11C2kW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3(한국방송공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5(MBC충북)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4(청주방송)금적산 중계소CH 11ACH 11B90W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서원리 산52-2(한국방송공사)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MBC충북)영동 중계소CH 11ACH 11B90W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회동리 산10황간 중계소CH 11B20W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노천리 산3-17향적산 중계소××CH 11C90W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산50-1옥마산 중계소CH 11ACH 11BCH 11C90W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산23-4흑성산 중계소CH 11ACH 11BCH 11C1kW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촌리 산32-4원효봉 중계소CH 11ACH 11BCH 11C1kW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산수리 산25-1가엽산 중계소CH 11ACH 11BCH 11C2kW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산11-4(한국방송공사)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 산59-1(MBC충북·청주방송)용두산 중계소CH 11ACH 11BCH 11C90W충청북도 제천시 신월동 산39-30단양 중계소CH 11ACH 11B90W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상리 산86-2 금수산


4. 4. 부산, 울산, 경남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지상파 DMB는 2008년 8월 1일부터 방송을 시작했다. 이 권역은 한국방송공사(KBS), 부산문화방송(MBC), KNN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사업자는 여러 채널을 통해 비디오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며, 교통 정보 서비스(TPEG)도 함께 제공한다.

KBS는 HD KBS STAR, KBS STAR, KBS HEART 등의 비디오 채널과 KBS MUSIC 오디오 채널, 그리고 KBS MOZEN TPEG 서비스를 제공한다. 부산문화방송은 myMBC TV 채널을, KNN은 KNNu와 ubc u 채널, 그리고 DTS TPEG 서비스를 제공한다(DTS는 임대 채널).

이 지역의 송출 시설망은 황령산, 무룡산, 불모산 송신소(각 2kW 출력)를 비롯하여, 녹산, 양산타워, 기장, 정관, 문수산, 미포, 연화산, 진례, 밀양, 통영, 거제, 함안, 장군대산, 삼천포, 감악산 등지의 중계소(대부분 90W 출력)를 포함한다.

4. 4. 1. 사업자 및 채널 현황

KBS HEARTKBS MUSICKBS MOZEN TPEG한국방송공사Busan MBCmyMBC TVDMB Drive주식회사 부산문화방송KNN DMBKNNu
ubc uDTS(임대채널)주식회사 KNN


4. 4. 2. 송출 시설망

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KNN)녹산 중계소CH 12B90W부산 강서구 생곡동 산10-1양산타워 중계소CH 12AXCH 12C90W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양산 중계소XCH 12BX90W경남 양산시 북정동 산39-1기장 중계소CH 12ACH 12BCH 12C90W부산 기장군 일광면 횡계리 산28-1정관 중계소CH 12ACH 12C90W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32-2무룡산 중계소CH 12ACH 12BCH 12C2kW울산 북구 화봉동 20-1(KBS·ubc)
울산 북구 연암동 산1-5(울산MBC)문수산 중계소CH 12BCH 12C90W울산 울주군 청량읍 율리 산339미포 중계소CH 12ACH 12BCH 12C90W울산 동구 동부동 산190[4]연화산 중계소CH 12B90W울산 울주군 두동면 은편리 산51-3불모산 중계소CH 12ACH 12BCH 12C2kW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진례 중계소CH 12B90W경남 김해시 진영읍 하계리 산123-12밀양 중계소CH 12A90W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통영 중계소CH 12C90W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거제 중계소CH 12A90W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함안 중계소CH 12ACH 12B90W경남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산83-1장군대산 중계소CH 9ACH 9BCH 9C2kW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4삼천포 중계소CH 9ACH 9B90W경남 사천시 동동 산15 각산감악산 중계소CH 9ACH 9BCH 9C2kW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산13


4. 5. 대구, 경북

대구, 경북 지역에서는 한국방송공사(KBS), 대구문화방송(myMBC), TBC 3개 사업자가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BS는 비디오 채널 3개와 라디오 채널 1개를, myMBC와 TBC는 각각 비디오 채널 1개씩을 송출한다.

이들 방송은 팔공산, 학가산, 조항산 등의 송신소와 구미, 경주, 울릉도, 독도 등지의 중계소를 통해 대구, 경북 전역 및 독도에 송출된다.

4. 5. 1. 사업자 및 채널 현황

KBS HEARTKBS MUSICKBS MOZEN TPEG한국방송공사myMBCmyMBCDMB Drive주식회사 대구문화방송TBC DMBTBCu
mYTNDTS(임대채널)주식회사 TBC


4. 5. 2. 송출 시설망

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대구문화방송 · TBC)앞산 중계소CH 7B90W대구 남구 대명9동 산227-1구지 중계소CH 7C50W대구 달성군 구지면 화산리 산10 대니산구미 중계소CH 7ACH 7BCH 7C90W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94 금오산김천 중계소CH 7B90W경북 김천시 신음동 866-1 달봉산상주 중계소CH 7C90W경북 상주시 만산동 산68문경 중계소CH 9C90W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산1-5학가산 송신소CH 9ACH 9BCH 9C2kW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일월산 중계소CH 9BCH 9C2kW
250W경북 영양군 청기면 당리 산118(U-KBS)
(TBC DMB)경주 중계소CH 7ACH 7BCH 7C90W경북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산14 벽도산(한국방송공사, 포항MBC)조항산 중계소CH 7ACH 7BCH 7C2kW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리 산94-1(한국방송공사)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금광리 산28-3(포항MBC)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죽정리 산94-1(TBC)울진 중계소CH 7ACH 7BCH 7C90W경북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산10울릉 중계소CH 7B100W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삼각산독도 중계소CH 7B50W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30


4. 6. 광주, 전남, 전북

광주, 전남, 전북 지역에서는 한국방송공사(KBS), 광주문화방송(MBC), 광주방송(KBC) 3개 사업자가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사업자는 각자의 채널을 통해 비디오 채널, V-Radio, TPEG 서비스를 제공한다.[5]

4. 6. 1. 사업자 및 채널 현황

KBS HEARTKBS MUSICKBS MOZEN TPEG한국방송공사Honam MBCmyMBC TVDMB Drive주식회사 광주문화방송kbckbc-SBSu
JTV-mYTN[https://dmb.ytn.co.kr/tpeg/tpeg.php DTS](임대채널)주식회사 광주방송


4. 6. 2. 송출 시설망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광주문화방송·광주방송)영광 중계소CH 8ACH 8BCH 8C90W전남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산1-1 (물퇴봉)[5]대둔산 중계소CH 8ACH 8BCH 8C2kW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양을산 중계소CH 8ACH 8BCH 8B90W전남 목포시 상동 산55-12망운산 중계소CH 7ACH 7BCH 7C2kW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구봉산 중계소CH 7ACH 7BCH 7C90W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남산 중계소CH 7B90W전남 순천시 덕월동 1198-1


4. 7. 제주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한국방송공사(KBS), 제주문화방송(MBC), 제주방송(JIBS)이 지상파DMB 사업자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U-KBS, Jeju MBC, JIBS라는 이름으로 DMB 채널을 운영하며, 비디오 채널과 함께 TPEG 서비스를 제공한다.

KBS는 HD KBS STAR, KBS STAR, KBS HEART 채널과 KBS MUSIC(V-Radio)을, Jeju MBC는 my MBC 채널을, JIBS는 DMB1(JIBS), DMB2(JIBS+mYTN) 채널을 송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라.

4. 7. 1. 사업자 및 채널 현황

KBS HEARTKBS MUSICKBS MOZEN TPEG한국방송공사Jeju MBCmy MBCDMB Drive주식회사 제주문화방송JIBSDMB 1 (JIBS)
DMB 2 (JIBS+mYTN)DTS(임대채널)주식회사 제주방송


4. 7. 2. 송출 시설망

송신소송출 현황출력송신소 위치비고
MBC DMBU-KBSJIBS u
견월악 송신소CH 13ACH 13BCH 13C1kW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금악 중계소CH 13ACH 13BCH 13C90W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2
광해악 중계소CH 13ACH 13BCH 13C90W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937
삼매봉 중계소CH 8ACH 8BCH 8C1kW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5. TPEG

TPEG은 지상파DMB의 방송 주파수를 이용해 자동차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실시간 교통 정보, 유가 정보, 뉴스 정보, 여행 정보 등을 보여 주는 기술이다.

5. 1. 개요

지상파DMB의 방송 주파수를 이용해 자동차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실시간 교통 정보, 유가 정보, 뉴스 정보, 여행 정보 등을 보여 주는 기술이다.

5. 2. 사업자

한국방송공사, 문화방송, SBS U, YTN DMB가 있다.

5. 3. 요금

TPEG의 요금은 대부분 내비게이션 단말기 값에 포함되어 일괄 청구되는 방식이며, 일부 방송사는 월 사용료를 지불하고 이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1]

5. 4. 단점

DMB 수신 구역을 벗어날 경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다. 지역 이동 시 대부분의 단말기는 자동 채널 검색을 통해 수신하나, 일부 단말기는 수동 채널 검색을 하여 해당 지역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1]

참조

[1] 뉴스 '지상파DMB', 이제 지하철에서 못보나 https://news.naver.c[...] SBS 2009-10-20
[2] 문서 서울 지하철 9호선
[3] 웹사이트 DMB 방송권역 http://www.g1tv.co.k[...]
[4] 웹사이트 방송장비 2차 구매 (DMB송신ANT 2종) https://tender.kbs.c[...]
[5] 웹사이트 2016년 DMB 방송망 시설 확장 및 교체 공사 https://tender.kb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