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속줄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땅속줄기는 식물의 지하 줄기로, 형태와 기능에 따라 근경, 구경, 괴경, 인경 등으로 분류된다. 횡주근경, 직립근경과 같이 뻗는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1차 근경과 2차 근경으로 나뉘기도 한다. 구경은 지상 줄기 기부에 형성된 비대해진 형태이며, 괴경은 덩어리 모양으로 비대해진 땅속줄기이다. 인경은 지하경을 중심으로 육질 잎이 밀생한 구조로, 층상 인경과 인상 인경으로 구분된다. 땅속줄기는 측면 분지를 통해 번식하며, 다년생 초본은 지하경이 분단되어 영양 번식하기도 한다. 고사리, 생강, 감자, 양파 등 다양한 종류가 식용 또는 약용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의 생식 - 포자
포자는 단세포 또는 소수의 세포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넓게 분산되어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며, 생식세포와 달리 단독으로 발달하고, 균류와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에서 생존 전략 및 생물 분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식물의 생식 - 포자체
포자체는 반수체 포자를 생성하고 배우체로 발달하는 이배체 세대로, 육상식물과 다세포 조류에서 세대교번을 하며, 종자식물에서는 배우체보다 두드러진다. - 식물해부학 - 체관부
체관부는 식물의 유기 양분 수송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체관 요소, 체관부 섬유, 체관부 유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광합성 산물을 압력 흐름설에 따라 수송한다. - 식물해부학 - 꽃자루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땅속줄기 | |
|---|---|
| 개요 | |
| 유형 | 변태줄기 |
| 기능 | 무성생식 영양분 저장 |
| 특징 | 땅속 또는 땅 표면에서 수평으로 성장 마디와 엽액에서 뿌리와 싹을 생성 |
| 설명 | |
| 정의 |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 줄기 |
| 형태 | 잎, 마디, 엽액, 싹, 부정근 등의 구조를 가짐 비늘잎으로 덮여 있기도 함 |
| 성장 방향 | 수평으로 뻗으며, 때로는 비스듬히 또는 수직으로 자람 |
| 다년생 | 여러 해 동안 생존하며, 매년 새로운 싹을 냄 |
| 생태 및 기능 | |
| 번식 | 꺾꽂이를 통해 새로운 개체를 만들 수 있음 식물 생존에 유리한 조건 제공 |
| 적응 | 건조한 환경에서 수분 저장 화재 후 재생 양분 저장 |
| 분류 | |
| 유형 구분 | 생김새, 땅속에서의 위치, 뻗는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 |
| 예시 | |
| 식물 예시 | 아이리스 고사리 잔디 생강 포테이토 대나무 토끼풀 미나리 연꽃 갈대 억새 둥굴레 죽순 강황 양치식물 닭의장풀 둥굴레속 식물 삿갓사초 골풀 마 바람꽃 참나리 매발톱 삿갓사초 골풀 박하 |
| 활용 | |
| 식용 | 연근 생강 강황 |
| 약용 | 둥굴레 강황 |
| 기타 | |
| 문화적 의미 |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철학: 수평적 연결망, 탈중심적 구조의 은유 |
2. 다양한 땅속줄기
땅속줄기는 땅속에 있는 줄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 형태와 기능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19][26] 이러한 구분은 편의상 하는 것이며,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덩이줄기를 덩이뿌리에 포함시키기도 하고,[25] 땅속줄기와 뿌리줄기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24]
땅속줄기는 크게 근경, 구경, 괴경, 인경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1. 근경 (Rhizome)
구경, 괴경, 인경과 같이 특별한 형태를 보이지 않는 땅속줄기는 근경(根莖, rhizome, root stock)이라고 통칭한다.[19][25] 쇠뜨기, 고사리, 약모밀, 옥잠화, 억새, 개양귀비, 고추냉이, 수영, 개울외 등 근경을 가진 식물은 근경 식물(rhizomatous plants)이라고도 부른다.[19] 우산고사리와 같이 착생식물에서 볼 수 있는 기물(수간 등) 위에 뻗어 있는 줄기는 땅속에 있지는 않지만 관습적으로 근경이라고 부른다.[19][26]근경은 위치나 뻗는 방향에 따라 횡주근경과 직립근경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의 근경 유형만 가지면 단일근경,[19] 여러 유형을 가지면 복합근경이라고 부른다.[19]
처음부터 땅속에 있는 근경은 1차 근경,[19] 지상에 있던 것이 땅속으로 들어가 근경이 된 것은 2차 근경이라고 하는데,[19] 보통 잎이나 꽃자루의 흔적이 있어 지상경이었음을 알 수 있다. 2차 근경은 창포나 환삼덩굴 등에서 볼 수 있다.[19]
마디에 살눈을 형성하는 근경은 산호상 지하경, 인편엽이 형성되어 가늘고 긴 솔방울 모양이 된 것은 비늘줄기라고 하며, 아키메네스속 등 제스네리아과에서 볼 수 있다.[40] 초석잠이나 리본그래스에서는 근경의 마디 사이가 부풀어 염주 모양이 되는데, 이를 염주경이라고 부른다.[19][40] 염주경은 괴경의 한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19]
2. 1. 1. 횡주근경
땅속을 수평 방향으로 뻗는 근경을 '''횡주근경'''(horizontal rhizome)이라고 한다.[19] 특히 마디 사이가 긴 횡주근경은 포복근경(匍匐根莖, creeping rhizome, stoloniform rhizome)이라고도 부른다.[19][25] 수평으로 뻗는 근경은 지표면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지표면을 기는 포복경 (creeping stem, repent stem)과 구별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25]2. 1. 2. 직립근경
지하를 수직 방향으로 뻗는 근경을 '''직립근경'''이라고 한다[19].
2. 2. 구경 (Corm)
지상 줄기의 기부에 형성되어 거의 구형으로 비대해진 땅속줄기는 '''구경'''이라고 불린다.[19][25][27][28] 싹을 1개만 내는 것으로 정의하거나,[29] 얇은 껍질로 싸인 것으로 정의하기도 하며,[40][30] 덩이줄기와 구분하지 않기도 한다.[25][29] 여러 개의 마디와 마디 사이가 비대해진 것으로, 환상의 마디와 마디 사이를 볼 수 있다. 토란, 천남성속(천남성과), 고랭이(택사과), 크로커스(붓꽃과), 지네고사리(난초과), 너도바람꽃 (양귀비과), 끈끈이주걱(끈끈이주걱과) 등에서 볼 수 있다.[19][27][31] 콜라비(배추과)의 식용 부분도 구경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32] 이것은 지상 줄기에 형성된 것이다.



2. 3. 괴경 (Tuber)
지하경에 측생 또는 선단에 형성되어 구형이나 부정형으로 비대해진 것은 '''괴경'''(塊茎, tuber, stem tuber)이라고 불린다[19][25][34][35]. 보통 여러 개의 싹을 가지고 있으며 얇은 껍질로 덮여 있지 않다[29][40][30]. 잘 알려진 예로 감자(가지과)가 있으며, 이 외에도 마(마과)[32], 에조시로네(꿀풀과), 돼지감자(국화과) 등이 있다.
칼라디움(천남성과)이나 아네모네(미나리아재비과), 감자(가지과)와 같이 매년 모구(母球)가 소모되어 자구(子球)로 갱신되는 것(갱신형)과, 시클라멘속(앵초과)이나 글록시니아(쥐꼬리망풀과)와 같이 매년 부가되어 갱신되지 않는 것(비갱신형)이 있다[31][40].
2. 4. 인경 (Bulb)
'''인경'''(鱗莖, bulb)은 짧은 땅속줄기에 잎이 변형된 비늘조각(인편)이 밀집하여 붙어 있는 형태이다.[19][25][38] 인경의 주체는 잎(인경엽)이며, 줄기가 아니다. 양파, 마늘(수선화과), 히아신스(아스파라거스과), 백합속, 튤립(백합과) 등에서 볼 수 있다.[19][25][38] 한 개체에 주인경 외에 복수의 소형 인경이 형성되는 경우, 소형은 소인경(小鱗莖, bulbil)이라고 불린다.[19][38][39]인경은 크게 층상 인경과 인상 인경으로 나뉜다. 층상 인경은 양파처럼 겹겹이 쌓인 형태이고, 인상 인경은 백합처럼 비늘 조각이 떨어진 형태이다.
난초과에서 지상 줄기(지하경이 아님)의 일부가 비대해진 것은 가짜 인경(가인경, pseudobulb; 가구경, 의구경, 가구, pseudocorm)이라고 불린다.[19] 벌브(bulb)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지만,[41][42] 인경(bulb)과는 달리 줄기 자체가 비대해진 것으로, 오히려 구경이나 근경과 비슷하다.[43]
2. 4. 1. 층상 인경
양파처럼 인경엽이 층층이 겹쳐진 것을 층상 인경(tunicated bulb)이라고 한다(아래 그림 5a–e).[40] 층상 인경은 최외층이 얇은 껍질로 덮여 있기 때문에 유피 인경이라고도 불린다.[31][40] 층상 인경 중에는 매년 모구가 소모되어 자구로 갱신되는 갱신형(예: 튤립)과 모구가 유지되어 매년 내부에 새로운 인경엽이 부가되는 비갱신형(예: 아마릴리스, 수선화, 히아신스)이 있다.[31][40]
2. 4. 2. 인상 인경
백합(백합과)처럼 비늘조각이 서로 포개지지 않고 떨어져 있는 형태를 띠는 인경을 인상 인경이라고 한다. 얇은 껍질로 덮여있지 않기 때문에 무피 인경이라고도 불린다[31][40]。 인상 인경은 개별 인경엽이 떨어져 나가, 거기서부터 새로운 식물체가 형성된다[19]。
3. 분지와 번식
지상 줄기와 마찬가지로 땅속줄기의 분지는 기본적으로 측면 분지이다. 하란(창포과) 등에서는 근경이 주축이 되어 측지로 지상 줄기를 낸다.[26] 이 경우 땅속줄기의 분지는 단축 분지이다. 산분꽃나무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이 경우에는 전년도 땅속줄기가 고사한다는 점에서 다르다.[26] 한편, 둥굴레(창포과) 등에서는 땅속줄기 주축의 끝이 지상 줄기가 되고, 그 기부의 측지가 땅속줄기로 신장해 간다.[26](그림 6a). 이 경우 땅속줄기의 분지는 가상 축 분지이다. 땅속줄기에서는 가상 축 분지하는 것이 많다.[26]
예외적으로, 석송강의 땅속줄기는 그 지상 줄기와 마찬가지로 이분 분지를 한다.[44] 이분 분지는 동등하게 분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쪽이 분명히 우세하여 주축 모양이 되는 경우도 있다(이분성 가상 축 분지).[45]
다년생 초본에서는 생육 부적기(겨울 등)에 지상부가 고사하고, 땅속줄기가 그 기간을 견디며, 그 후 다시 지상부를 내는 생활사를 가진 것이 많다.[46] 땅속줄기가 분단되면, 이들은 새로운 개체가 됨으로써 영양 번식을 한다.[47](그림 6b).
매년 땅속줄기의 일부가 잘려 나가고, 거기에서 새로운 지상부가 형성되지만, 모체는 고사하는 초본도 있으며, 분리형 지하 식물 (separated geophytic plant)이라고 불린다.[46] 분리형 지하 식물에는 투구꽃(미나리아재비과), 미즈타마소우(바늘꽃과), 모미지고사(국화과) 등이 있다.[46]
구경이나 덩이줄기, 인경에서는 매년 새로운 것이 형성되는 경우(갱신형; 아네모네, 감자, 튤립, 마늘 등)와, 갱신되지 않고 같은 것이 지속되는 경우(비갱신형; 시클라멘, 히아신스, 양파 등)가 있다.[26][31](그림 6c).
구경이나 덩이줄기에서는 측지가 뻗어 그 끝이 비대해지는 예(감자 등)와, 측지가 바로 비대해지는 예(토란 등)가 있다.[26] 후자의 경우, "어미 감자"와 "새끼 감자"가 밀접해 있다.
4. 한국에서의 이용
한국에서는 다양한 땅속줄기를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해 왔다. 고사리, 생강, 연 등은 식용으로, 생강, 강황, 천남성, 택사 등은 한약재로 널리 사용된다.[29][48]
4. 1. 식용
고사리(고비과), 생강, 울금, 카르다몸(생강과), 연(연과), 고추냉이(배추과)의 땅속줄기, 토란류(토란과), 곤약(천남성과), 마름(택사과)의 덩이줄기, 마류(마과), 감자(가지과), 돼지감자(국화과), 초석잠(꿀풀과)의 덩이줄기, 백합류(백합과), 양파, 샬롯, 락교, 마늘, 달래(석산과)의 비늘줄기 등이 식용으로 이용된다.[32]
4. 2. 약용
생강, 강황, 천남성, 택사, 청미래덩굴, 삽주, 백출 등은 한약재로 널리 사용된다.[29][48] 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까치고깔, 두루미천남성(백합과), 마 (마과), 무릇(백합과), 오니노야가라(난초과), 울금, 건강, 고량강(생강과), 승마(미나리아재비과), 황련(미나리아재비과), 현호색(양귀비과), 댕댕이덩굴(쥐방울덩굴과), 대황(마디풀과), 토근(꼭두서니과), 겐티아나, 용담(용담과), 지황(오로반케과), 파두(가지과), 오갈피, 삼(두릅나무과), 당귀, 방풍(미나리과), 길초근(인동과) 등의 땅속줄기(땅속줄기, 덩이줄기, 비늘줄기)는 생약으로 사용된다(뿌리와 함께 사용되는 예도 있다).[29][48]5. 갤러리
참조
[1]
LSJ
r(I/zwma|ῥίζωμα|ref
[2]
LSJ
r(izo/w|ῥιζόω
[3]
웹사이트
rhizome ! Description, Functions, & Examples
https://www.britanni[...]
2021-06-15
[4]
간행물
Functional classification, genomic organization, putatively cis-acting regulatory elements, and relationship to quantitative trait loci, of sorghum genes with rhizome-enriched expression.
[5]
서적
The Kew Gardener's Guide to Growing Bulbs: The art and science to grow your own bulbs
https://books.google[...]
Frances Lincoln
2019-09-03
[6]
간행물
Root Versus Rhizome: An 'Epistemological Break' in Francophone Caribbean Thought
https://www.jstor.or[...]
2000
[7]
서적
Biology of Adventitious Root Form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11
[8]
서적
Botany for B.Sc. Students Semester I: Introduction to Microbes and Plant Kingdom (NEP 2020 -Jammu)
https://books.google[...]
S. Chand Publishing
[9]
서적
Rhizomes: Hidden Stems with Unknown Divers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4-07-29
[10]
서적
Introductory Plant Biology
McGraw Hill
2002
[11]
간행물
Factors effecting in vitro microrhizome formation and growth in ''Curcuma longa'' L. and improved field performance of micropropagated plants
[12]
간행물
Role of ethylene and jasmonic acid on rhizome induction and growth in rhubarb (Rheum rhabarbarum L.)
[13]
웹사이트
Western Poison-oak (''Toxicodendron diversilobum'')
http://globaltwitche[...]
2008
[14]
웹사이트
Ecology and Physiology of the Giant Horsetails
http://www.fiu.edu/~[...]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03
[15]
서적
Edible Medicinal and Non-Medicinal Plants
Springer
2016
[16]
웹사이트
Ginger ! plant
https://www.britanni[...]
2020-12-15
[17]
웹사이트
turmeric ! Description, History, & Uses
https://www.britanni[...]
2020-12-15
[18]
간행물
Chinese Ginger. Alpinia Galanga, Willd.
https://www.jstor.or[...]
1891
[19]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20]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21]
Kotobank
地下茎
2024-06-18
[22]
Kotobank
地下茎
2024-06-18
[23]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24]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25]
서적
植物形態学
朝倉書店
[26]
서적
植物器官学
裳華房
[27]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28]
서적
植物解剖学入門 ―植物体の構造とその形成―
八坂書房
[29]
간행물
生薬の基原, 特に薬用部位および基原植物の学名について
[30]
간행물
日本人とイモ
http://ku-food-lab.c[...]
[31]
웹인용
ジャガイモは根っこか、それとも茎か?
http://www.ies.or.jp[...]
環境科学技術研究所
1998
[32]
문서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33]
서적
植物形態学
朝倉書店
[34]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35]
서적
植物解剖学入門 ―植物体の構造とその形成―
八坂書房
[36]
서적
植物器官学
裳華房
[37]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38]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39]
서적
園芸学用語集・作物名編
養賢堂
[40]
서적
最新園芸・植物用語集
淡交社
[41]
서적
野生らん (カラーブックス 585)
保育社
[42]
서적
失敗しない洋ラン入門
主婦の友社
[43]
서적
植物器官学
裳華房
[44]
서적
維管束植物の形態と進化
文一総合出版
[45]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46]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47]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48]
웹사이트
薬用植物総合情報データベース
http://mpdb.nibiohn.[...]
薬用植物資源研究センター
2024-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