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념은 고대 그리스어 '이데아'에서 유래된 단어로, 형태나 유형을 의미한다.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통해 감각적 대상이 아닌 인지 요소를 강조하며 관념에 대한 논쟁을 시작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에 반박하며 경험적 세계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이러한 논쟁은 관념론과 경험론의 대립으로 이어졌으며, 근대 철학에서는 로크, 흄, 칸트 등이 관념에 대한 각기 다른 정의를 제시했다. 불교에서는 지혜로 대상을 식별하고 정신을 집중하는 것을 관념으로 보며, 지적 재산권 분야에서는 특허와 저작권의 관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 내용 - 개념
    개념은 사물이나 사상의 추상적인 일반화 또는 표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명사로 표현되며, 추상적 객체 또는 정신적 표상으로 여겨지는 존재론적 지위와 함께 철학, 심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아이디어 - 창의성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결과물을 생산하거나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뇌의 상호작용, 확산적 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 등과 관련되며, 훈련 등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 아이디어 - 상상력
    상상력은 심상을 만들고 조작하는 마음의 능력으로, 심리학, 철학, 인지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창의성과 예술적 표현은 물론 고차원적인 정신 기능으로 간주되고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새로운 가능성과 과제를 제시한다.
  • 관념론 - 이성
    이성은 인간의 사고, 추론, 판단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고대 그리스어 로고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지식, 진리, 행복 추구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이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관념론 - 디그나가
    디그나가는 5세기에서 6세기 인도에서 활동한 불교 논리학자이자 철학자로, 인식론 연구, 특히 지각과 추론 분석에 기여했으며, 그의 철학은 인식론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관념
관념
철학적 개념
정의사고, 지각, 또는 이해의 결과로 마음속에 형성되는 정신적인 표상 또는 개념.
추상적인 사상, 의견, 또는 신념.
심리학적 관점
특징주관적인 경험에 기반함.
개인의 인지 구조와 관련됨.
언어, 문화, 교육 등의 영향을 받음.
철학적 논의
주요 쟁점관념의 기원: 경험론 vs. 합리론
관념의 대상: 실재론 vs. 반실재론
관념의 종류: 단순 관념, 복합 관념, 추상적 관념
관련 개념
관련 개념이데아
개념
사고
지각
인식
지식
신념
의미
정보
표상
스키마
영어
영어idea
독일어
독일어Idee
그리스어
그리스어ιδέα

2. 어원

'이데아'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ἰδέα|이데아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ἰδεῖν|이데인|'보다'grc 동사의 어근에서 파생되었다.[3] ἰδέα는 원래 '형태', '유형' 등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3. 역사

플라톤은 여러 대화편을 통해 이데아론을 제시하면서,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εἶδος)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물질적 또는 객관적 대상이 없는 인지 요소(ἰδέα)를 강조했다. 플라톤은 지각되지만 비물질적인 인식의 대상들이 물질 세계가 발원하는 불멸의 형상 또는 관념의 영역을 구성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관념의 현상적 세계는 기억된 관찰의 정신적 합성물로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플라톤의 주장에 반론을 제기했다. 플라톤을 관념론자로, 아리스토텔레스를 경험론자로 부른다면 이 둘의 논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경험론관념론 사이의 대립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분석철학과 대륙철학 학파의 분열로 나타난다. 고전역학양자역학 사이의 지속적인 모순은 두 학파의 사고방식 사이의 격차에 대한 비유로 볼 수 있다.

논자에 따라 '관념'의 정의는 다르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객체적이고 형상적인 원형을 의미하지만, 데카르트에 의해 인식이 의식하는 주관의 내적인 문제로 재해석되면서 주관의 의식 내용이 되었고, 이후 이러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을 '관념'으로 번역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관념'이라는 번역어가 사용된다. 일본어의 '관념'은 본래 불교 용어이며, "이데아" 외의 의미도 갖는다.

로크는 관념과 물건 자체를 구별하고, 물건 자체는 관념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보았다. 은 관념과 지각 인상을 구별했다. 버클리는 관념만이 실재한다고 여겼으며, 외적인 물질의 존재를 부정했다.

불교에서 '관념'은 부처나 정토 등을 지혜로써 대상을 올바르게 식별하고, 정신을 집중하여 생각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상이라고도 한다. 나아가, 일반적으로는 생각을 깊이 하여 올바른 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3. 1. 플라톤의 이데아론

플라톤은 이데아를 감각적 경험 세계를 초월하는 불변의 실재로 보았다. 그는 이데아를 개별 사물의 원형이자, 참된 지식의 대상으로 간주했다. 플라톤은 《국가》, 《파이돈》, 《향연》 등의 저서에서 이데아론을 전개했다. 그는 이데아를 통해 의견과 지식을 구별하고, 이데아만이 진정한 지식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선(善)의 이데아'와 개별 사물의 이데아(예: 1의 이데아, 삼각형의 이데아)로 구분했다.[1] 선의 이데아는 철학의 최고 목표이며, 변증법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고 보았다.[1] 플라톤에 따르면, 감각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개별 사물들은 이데아를 모방하고 분유(分有)하며,[1] 이데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한다.[1]

《국가》의 내용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둘 다," 내가 말했다. "많은 아름다운 것, 많은 좋은 것 등이 각 종류의 사물에 대해 있다고 말하고 구별합니다."

:"네, 그렇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또한 아름다움 그 자체, 선 그 자체 등이 우리가 많은 것으로 규정하는 모든 사물에 대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이제 다시, 우리는 각 사물에 대해 하나의 '이데아'라고 언급합니다. 마치 그 '이데아'가 하나인 것처럼 말이죠.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진정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지칭합니다."

:"그렇습니다."

:"더 나아가, 우리는 전자는 보이지만 이해되지 않고, '이데아'는 이해되지만 보이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3. 2.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데아의 현상적 세계가 기억된 관찰의 정신적 합성물로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스승인 플라톤이데아론을 비판했다. 관념론자인 플라톤과 경험론자인 아리스토텔레스 사이의 논쟁은 이 둘을 비교하여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3. 3. 근대 철학에서의 이데아

르네 데카르트는 '이데아'를 "마음속에" 있는 이미지 또는 표상으로 묘사했다.[4] 그는 《성찰》에서 "내 생각 중 일부는 사물의 이미지와 같으며, '관념'이라는 이름이 적절하게 속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것들뿐이다."라고 말하며, 이데아가 생득적인[4]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관념"이라는 용어를 원래의 주된 스콜라 철학적 사용법과 다르게 정의하고, 여러 종류의 실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5] 그에게 지식은 관념의 형태를 취했으며, 철학적 탐구는 이러한 실체에 대한 고찰이었다.

존 로크는 《인간 오성론》 서문에서 ''관념''을 "사람이 생각할 때 이해의 대상이 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하며, 환영, 개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했다.[7]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인간의 능력을 검토하고 이해가 다루기에 적합한 대상과 그렇지 않은 대상을 식별하는 데 관념 개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로크는 '상식'을 믿고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았으며, '온순하고 절제되고 현실적인' 상식적 관념을 우선시했다.

로크는 "인간 오성론"에서 "우리가 확실한 지식이 없는 어떤 것에 관여할 때, 우리의 의견이 옳다고 얼마나 확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이 되는 규칙이나 기준은 무엇인가?"[8]라는 질문을 던지며, 인간이 어떻게 자신의 관념을 검증하고 서로 다른 유형의 관념 간의 차이점을 고려할 수 있는지 탐구했다. 그는 "마음에는 선천적인 원리가 없다."[10]는 것을 보여주며, "우리의 관념은 모두 본성에서 경험된다."[11]고 결론지었다. 즉, 관념은 인간의 마음이 무언가를 인식하는 경험이었다.

로크는 복합 관념과 단순 관념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관념을 제시했다. 단순 관념은 더 복잡한 관념의 구성 요소이며, 복합 관념은 ''양태'', ''실체'', ''관계''가 될 수 있다.[12]

  • '''양태''': 더 단순한 관념을 결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아름다움은 색상과 형태의 조합으로 구성된 양태이다.[13]
  • '''실체''': 개, 고양이, 테이블과 같은 특정 대상의 근본적인 형식적 통일성을 전달한다.
  • '''관계''': 근본적인 형식적 통일성을 의미하지 않고 서로 유사한 요소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관념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림과 음악 작품은 모두 '예술'이라는 형태로 관련되어 있다.


데이비드 흄은 '관념'(idea)을 '인상'(impression)과 구별되는, 덜 생생한 지각으로 보았다. 인상은 "우리가 듣거나, 보거나, 느끼거나, 사랑하거나, 미워하거나, 욕망하거나, 의지할 때" 갖는 지각이다.[14][15][16] 흄은 로크와 기본적인 경험론적 전제를 공유하며, 인간은 자신의 경험으로부터만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성만으로는 단순히 '정념의 노예'일 뿐이다"라는 생각을 옹호했다.[17][18]

관념의 길의 "현대적인 책 인쇄"


이마누엘 칸트는 '관념'을 개념과 구분하여 정의했다. '개념'은 경험을 추상적인 범주적 표상으로 구성하지만, '관념'의 기원은 경험에 앞선다. '조절적 관념'은 추구해야 할 이상이지만, 경험적 대상으로서 완전히 실현될 수 없다. 칸트는 자유를 '관념'의 예로 들고, 자율성을 가진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주체는 결정론적인 경험적 주체와 대립된다고 보았다.[19] 칸트는 철학의 역할은 규칙 제시가 아닌 건전한 상식의 사적 판단 분석이라고 생각했다.

3. 4. 현대 철학에서의 이데아

루돌프 슈타이너는 관념을 마치 눈이 빛을 감지하듯이 마음이 파악하는 "경험의 대상"으로 보았다. 그는 『괴테적 과학』(1883)에서 "사고는 ... 눈이나 귀와 다름없이 지각 기관이다. 지각의 눈이 색을, 귀가 소리를 지각하듯이 사고는 관념을 지각한다"라고 말했다.[15]

분트는 이 용어를 "외부 세계의 어떤 대상이나 과정을 의식적으로 표상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기억과 상상뿐만 아니라 지각 과정도 포함시켰다.[15]

퍼스는 "우리 생각을 명료하게 하는 방법(1878)"과 "믿음의 고정(1877)"에서 실용주의에 대한 최초의 완전한 설명을 발표했다.[21] 그는 ''명확한 아이디어''를 어디에서 만나든 인식되고 다른 것으로 오해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했다. 퍼스는 우리가 '관찰자'가 아닌 '참여자'로서 지식을 습득한다고 주장했다.

발터 벤야민은 그의 저서 ''독일 비극의 기원'' 서문에서 "관념은 [지각]의 대상에 별자리가 별에 비유되는 관계이다."라고 썼다. 조지 스타이너는 벤야민의 말을 요약하며, "관념은 단어의 본질과 존재에서 이 단어가 상징으로서 되었고 수행하는 그 순간이다."라고 설명한다.[23]

4. 철학적 관점

플라톤은 여러 대화편을 통해 이데아론을 제시하면서,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εἶδος)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물질적 또는 객관적 대상이 없는 인지 요소(ἰδέα)를 강조했다. 플라톤은 저서 『국가(Republic)』 제5권에서 철학을 이러한 형식적(시각적 반대) 방식으로 사물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지각되지만 비물질적인 인식의 대상들이 물질 세계가 발원하는 불멸의 형상 또는 관념의 영역을 구성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이론에 반론을 제기하며, 관념의 현상적 세계는 기억된 관찰의 정신적 합성물로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을 관념론자로, 아리스토텔레스를 경험론자로 부른다면 둘 사이의 논쟁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경험론관념론 사이의 대립은 오늘날까지 관념론 논쟁의 역동성을 전반적으로 특징짓는다. 이 이론적 분열은 양측 사상가들을 만족시킬 정도로 해결된 적이 없으며, 분석철학과 대륙철학 학파의 분열로 나타난다. 고전역학양자역학 사이의 지속적인 모순은 두 학파 사고방식 사이의 격차에 대한 비유로 지적될 수 있다.

로크는 관념과 물건 자체를 구별하고, 물건 자체는 관념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보았다. 은 관념과 지각 인상을 구별했다. 관념은 논자에 따라 감각적 이미지만을 의미하기도 하고, 개념적이고 감각적이지 않은 관념을 포함하기도 한다. 버클리는 관념만이 실재한다고 여겼으며, 외적인 물질의 존재는 부정했다.[3]

일본에서 번역어로 '''관념'''이 사용된다. 일본어의 '''관념'''은 본래 불교 용어이며, 이데아 외의 의미를 가진다. 불교에서 '''관념'''은 부처나 정토 등을 지혜로써 올바르게 식별하고, 정신을 집중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관불삼매경』 등에서 권장되며, 관상이라고도 한다.

4. 1. 관념론

플라톤은 이데아를 세계의 근본적인 실재로 보았다. 그는 개개의 이데아(예: 1의 이데아, 삼각형의 이데아)와 유일한 선(善)의 이데아를 구분했다. 선의 이데아는 철학의 최고 목표이며, 변증법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플라톤에 따르면, 이데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항상 존재하며, 감각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것은 이데아를 모방하거나 분유(分有)하는 것이다.

근대에 이르러 이데아는 심리적인 관념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헤겔은 이념을 절대적 실재라고 보았다. 로크는 관념과 물건 자체를 구별하고, 물건 자체는 관념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보았다. 은 관념과 지각 인상을 구별했다. 버클리는 관념만이 실재한다고 보았으며, 외적인 물질의 존재를 부정하는 극단적인 관념론을 주장했다.[3]

4. 2. 경험론

존 로크는 인간 오성론 서문에서 ''관념''을 "사람이 생각할 때 이해의 대상이 되는 모든 것"[7]이라고 정의하며, 이는 환영, 개념 등을 모두 포함한다고 보았다.[6] 그는 인간의 능력을 검토하고 이해가 다루기에 적합한 대상과 그렇지 않은 대상을 식별하는 데 관념 개념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로크는 '상식'을 중시하며, '온순하고, 절제되고, 현실적인' 상식적 관념을 우선시했다.

로크는 "인간 오성론"에서 인간이 어떻게 자신의 관념을 검증하고, 서로 다른 유형의 관념을 구분할 수 있는지 탐구했다.[8] 그는 관념이 "단순한 종류의 야만적인 경험을 의미할 수 있다."[9]고 보았으며, "마음에는 선천적인 원리가 없다."[10]고 주장했다. 따라서 "우리의 관념은 모두 본성에서 경험된다."[11]고 결론지었다. 경험은 감각이나 반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상을 통해 관념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로크는 관념을 복합 관념과 단순 관념으로 구분했다. 단순 관념은 더 복잡한 관념의 구성 요소이며,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진다.[12] 반면 복합 관념은 능동적으로 구축되며, ''양태'', ''실체'', ''관계''로 나뉜다. ''양태''는 단순 관념을 결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고(예: 아름다움[13]), ''실체''는 특정 대상의 근본적인 형식적 통일성을 의미한다(예: 개, 고양이). ''관계''는 둘 이상의 관념 간의 유사성을 나타낸다(예: 예술).

데이비드 흄은 '관념'(idea)을 "인상"(impression)과 구별되는 지각의 한 유형으로 보았다. "인상"은 더 생생한 지각이며(예: 듣거나, 보거나, 느끼는 것), '관념'은 이러한 인상을 바탕으로 구축된 더 복잡한 것이다.[14][15][16] 흄은 인간이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을 경험(자신 또는 타인의 경험)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는 경험론적 전제를 공유했다. 그는 "이성만으로는 단순히 '정념의 노예'일 뿐이다"라고 주장하며, 감정적 욕구가 행동을 유발하고, 관념의 연상이 수단 선택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17][18]

로크는 관념과 물건 자체를 구별하고, 물건 자체가 관념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흄은 관념과 지각 인상을 구별했으며, 논자에 따라 관념은 감각적 이미지만을 의미하거나, 개념적 관념을 포함하기도 한다.

4. 3. 실용주의

C. S. 퍼스는 자신의 주요 저작인 "우리 생각을 명료하게 하는 방법(1878)"과 "믿음의 고정(1877)"에서 실용주의에 대한 최초의 완전한 설명을 발표했다.[21] "우리 생각을 명료하게 하는 방법"에서 그는 ''명확한 아이디어''(그의 연구에서 그는 개념과 '아이디어'를 동의어로 사용한다)는 어디에서 만나든 인식되고 다른 것으로 오해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때 정의된다고 제안했다. 이 명확성을 얻지 못하면 모호하다고 한다. 그는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이해하려면 그 적용이 현재 문제에 대한 제안된 해결책에 대한 우리의 평가에 어떤 차이를 만들지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용주의는 용어의 의미를 확인하는 방법(의미론)이라고 옹호했다. 그의 아이디어의 독창성은 약 250년 동안 과학자들이 받아들였던 지식에 대한 비개인적인 사실로서의 견해와 이해를 거부하는 데 있다. 퍼스는 우리가 '관찰자'가 아닌 '참여자'로서 지식을 습득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재"는 조만간 아이디어와 지식을 통해 습득되고 논리적 추론의 적용으로 정리된 정보로 구성된다고 생각했다. 다시 말해, 경험적 대상의 합리적인 구분은 지식이 있는 주체의 인식보다 우선하지 않는다. 그는 또한 '아이디어'와 관련된 논문에 대한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5. 인류학 및 사회 과학에서의 이데아

문화 전파 연구는 아이디어가 문화 간에 어떻게 확산되는지 탐구한다. 일부 인류학 이론은 모든 문화가 성경의 아담과 같은 하나 또는 소수의 원형 문화, 또는 겹치는 여러 문화권에서 아이디어를 모방한다고 주장한다. 진화적 문화 전파 이론은 문화가 서로 영향을 받지만, 유사한 아이디어가 고립적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20세기 중반, 사회 과학자들은 아이디어가 한 사람이나 문화에서 다른 사람이나 문화로 어떻게, 왜 확산되는지 연구하기 시작했다. 에버렛 로저스는 혁신 확산 연구를 개척하여 연구를 통해 아이디어 채택 요인과 채택자 프로필을 입증했다. 1976년, 리처드 도킨스는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아이디어 확산에 생물학적 진화 이론을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진화 생물학에서 유전자에 해당하는 선택의 추상적인 단위에 대해 ''''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6. 지적 재산권과의 관계

지적 재산과 아이디어-표현 구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특허법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존 아이디어의 점진적인 개선에 기초한 발명의 기능적 구현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규제하므로, 특허는 아이디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Thomas Jefferson|토머스 제퍼슨영어은 아이디어가 자연적으로 배타적인 재산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이디어는 "인간의 도덕적이고 상호적인 교육과 그들의 조건 개선을 위해 지구상에서 서로 자유롭게 퍼져나가"야 하며, "발명은 본질적으로 재산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다만, 사회가 유용한 아이디어를 장려하기 위해 독점적 권리를 부여할 수는 있지만, 이는 사회의 편의에 따른 것이며, 다른 국가들은 이러한 독점이 이점보다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고 생각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특허 제도의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논의를 제기했다.[24]

저작권은 저작자에게 특정 저작물의 표현 방식에 대한 제한적인 법적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저작권' 대신에 지적 재산이라는 용어가 잘못 사용되기도 한다. 저작권법은 아이디어 자체가 아닌, 저작물의 기본적인 표현의 사용, 복제, 생산, 판매 및 기타 형태의 활용과 관련된 행위를 규제한다. 저작권은 아이디어가 아닌, 저작물의 표현 사용의 일부 측면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므로, 아이디어와 부정적인 관계를 갖는다.

저작물은 문학, 연극, 음악, 예술, 음반 등과 관련된 독창적이거나 파생적인 예술 작품과 같이 유형의 표현 매체를 의미한다. 베른 협약을 준수하는 국가에서는 저작권이 추가적인 절차 없이 원본 생성 및 고정 시점에 자동으로 적용된다. 창작에는 일반적으로 아이디어가 포함되지만, 아이디어 자체만으로는 저작권을 주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25][26][27][28][29]

기밀 유지 계약 및 비밀 유지 계약은 기업과 개인이 아이디어가 일반 대중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법적 문서이며, 일반적으로 계약법의 적용을 받는다.

6. 1. 특허

특허법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존 아이디어의 점진적인 개선에 기초한 발명의 기능적 구현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규제한다. 따라서 특허는 아이디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Thomas Jefferson|토머스 제퍼슨영어은 아이디어가 자연적으로 배타적인 재산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Thomas Jefferson|토머스 제퍼슨영어은 이어서 아이디어는 "인간의 도덕적이고 상호적인 교육과 그들의 조건 개선을 위해 지구상에서 서로 자유롭게 퍼져나가"야 하며, "발명은 본질적으로 재산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다만, 사회가 유용한 아이디어를 장려하기 위해 독점적 권리를 부여할 수는 있지만, 이는 사회의 편의에 따른 것이며, 다른 국가들은 이러한 독점이 이점보다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고 생각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특허 제도의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논의를 제기했다.[24]

6. 2. 저작권

어떤 경우에는 저작자에게 특정 저작물의 표현 방식에 대한 제한적인 법적 독점권이 부여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저작권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저작권' 대신에 지적 재산이라는 용어가 잘못 사용되기도 한다. 위에 언급된 독점권을 규제하는 저작권법은 일반적으로 실제 아이디어 자체를 다루지 않는다. 법은 아이디어 자체에 재산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는다. 대신, 법은 아이디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저작물의 기본적인 표현의 사용, 복제, 생산, 판매 및 기타 형태의 활용과 관련된 행위를 규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점에서 저작권법은 특허법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특허는 아이디어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한다.

저작권은 아이디어가 ''아닌'', 저작물의 표현 사용의 일부 측면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저작권은 아이디어와 부정적인 관계를 갖는다.

저작물은 유형의 표현 매체를 의미한다. 문학, 연극, 음악, 예술, 음반 등에 관련된 독창적이거나 파생적인 예술 작품일 수 있다. 베른 협약을 준수하는 국가(최소한)에서는 저작권이 추가적인 절차 없이 원본 생성 및 고정 시점에 자동으로 적용된다. 창작에는 일반적으로 아이디어가 포함되지만, 아이디어 자체만으로는 저작권을 주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25][26][27][28][29]

6. 3. 기밀 유지 계약

기밀 유지 및 비밀 유지 계약은 기업과 개인이 아이디어가 일반 대중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법적 문서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서는 계약법의 적용을 받는다.

7. 한국어 '관념'

한국에서는 '이데아'라는 용어 외에 '관념'이라는 번역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관념'은 본래 불교 용어로, 부처나 정토 등을 지혜로써 올바르게 식별하고, 정신을 집중하여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불삼매경 등에서 권장되고 있으며, 관상이라고도 한다. 나아가, 일반적으로는 생각을 깊이 하여 올바른 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1]

일본에서는 '관념'이 불교 용어 외에 '이데아'를 번역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1]

참조

[1] 서적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The Power of Ideas https://medium.com/@[...] 2024-12-18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idea'' in English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4] 문서 Vol 4: 196–198
[5] 웹사이트 Descartes's Ideas http://plato.stanfor[...] 2007-05-15
[6] 문서 Vol 4: 487–503
[7] 웹사이트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8] 문서 Locke, John.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n.d.):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Book, I: Innate Notions.
[9] 서적 Starting with Mill Bloomsbury Publishing 2010
[10] 문서 Locke, John.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n.d.):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Book, I: Innate Notions
[11] 서적 Locke: A Guide for the Perplexed A&C Black 2010
[12] 서적 Locke: A Guide for the Perplexed A&C Black 2010
[13] 문서 Banach, David. "Locke on Ideas." Locke on Ideas. St. Anselm College, 2006
[14] 간행물 Of the Origin of Ideas https://oxfordworl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5] 문서
[16] 문서 Vol 4: 74–90
[17] 웹사이트 Hume's Moral Philosophy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Plato.stanford.edu 2013-06-15
[18] 문서 Hume, David: A Treatise of Human Nature: Being an Attempt to introduce the experimental Method of Reasoning into Moral Subjects. (1739–40)
[19] 문서 Vol 4: 305–324
[20] 문서 Vol 8: 349–351
[21] 문서 Peirce's pragmatism
[22] 웹사이트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http://psychclassics[...] 2007-05-15
[23] 서적 The origin of German tragic drama https://www.worldcat[...] Verso 2003
[24] 웹사이트 Article 1, Section 8, Clause 8Article 1, Section 8 http://press-pubs.uc[...] 2009-10-26
[25] 웹사이트 Protecting Ideas: Can Ideas Be Protected or Patented? http://www.ipwatchdo[...] 2019-08-21
[26] 웹사이트 "Copyright protection extends to a description, explanation, or illustration of an idea or system, assuming that the requirements of copyright law are met. Copyright in such a case protects the particular literary or pictorial expression chosen by the author. But it gives the copyright owner no exclusive rights concerning the idea, method or system involved. " https://www.copyrigh[...] 2019-01-28
[27] 웹사이트 "In the case of copyright law, it is the work that realizes the idea that is protected (i.e. a document), and it is the act of recording that work that fixes copyright in the item itself." https://www.copyrigh[...] 2019-03-31
[28] 웹사이트 "(…) there is likely to be an infringement of copyright if the way the information is expressed in the copyrighted work used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copyright owner and no exception to infringement applies to the use. This can sometimes occur even if the precise expression is not directly reproduced, but important elements of the work, such as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are copied." https://www.copyrigh[...] 2018-04-14
[29] 웹사이트 "Intellectual property consists of products, work or processes that you have created and which give you a competitive advantage. There are 3 subcategories: '''Industrial property''' : inventions (patents), trademarks, industrial designs, new varieties of plants and geographic indications of origin '''Artistic work''' protected by copyright: original literary and artistic works, music, television broadcasting, software, databases, architectural designs, advertising creations and multimedia '''Commercial strategies''' : trade secrets, know-how, confidentiality agreements, or rapid production." https://europa.eu/yo[...] 2018-10-09
[30] 문서 理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