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은 그리스와 북마케도니아 간에 발생한 오랜 분쟁으로, 북마케도니아의 국호 '마케도니아' 사용에 대해 그리스가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반대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분쟁은 북마케도니아의 국제기구 가입과 유럽 연합,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을 지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1993년, 북마케도니아는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임시 명칭으로 유엔에 가입했고, 이후 국제사회의 중재 노력과 협상을 통해 2018년 프레스파 협정을 체결하여 북마케도니아는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국호 분쟁은 종결되었고, 북마케도니아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고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북마케도니아 관계 - 프레스파 협정
    프레스파 협정은 1991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 간의 국호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2018년 체결되었으며,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호를 변경하고, 마케도니아어의 국제 연합 인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국명 - 국호
    국호는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한반도에서는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대한민국의 경우 민주공화국으로서의 정체성과 대한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의미를, 일본의 경우 야마토에서 유래한 일본과 대일본제국 등의 국호가 존재한다.
  • 국명 - 인민공화국
    인민공화국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하는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회주의 국가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특정 국가에서는 통치 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지명에 대한 분쟁 - 충주호
    충주호는 충주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충주시와 제천시가 호수 명칭을 두고 논쟁 중이며 민간에서는 권역별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 지명에 대한 분쟁 - 유대 사마리아 지역
    유대 사마리아 지역은 이스라엘 방위군이 점령한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대한 행정 명칭으로, 성경 속 유대와 사마리아에서 유래했으나 국제적으로 이스라엘 영유권이 인정되지 않아 논쟁적인 지역이다.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
지도
개요
분쟁국호 분쟁
당사국그리스
북마케도니아
지역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
북마케도니아
배경
시작1991년
종료2019년
주요 쟁점마케도니아라는 국명 사용
마케도니아 지역에 대한 영유권 주장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 및 문화적 유산에 대한 소유권 주장
주요 사건
1991년마케도니아 공화국 독립 선언
1993년마케도니아 공화국, 유엔 가입 (임시 명칭: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1995년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 간 임시 합의 (국기 변경, 헌법 수정)
2008년부쿠레슈티 정상 회의: 그리스의 반대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NATO 가입 불발
2018년프레스파 협정 체결 (국명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
2019년프레스파 협정 발효, 국명 변경 완료
관련 인물
그리스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
안토니스 사마라스
알렉시스 치프라스
북마케도니아키로 글리고로프
니콜라 그루에프스키
조란 자에프
결과
국명 변경"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
북마케도니아NATO 가입그리스의 동의로 북마케도니아NATO 가입 가능
유럽 연합 가입 협상 진전그리스의 동의로 유럽 연합 가입 협상 진전 가능
관련 문서
관련 조약프레스파 협정

2. 역사적 배경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 당시 각국의 입장. 녹색: '마케도니아 공화국' 사용, 적색: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사용, 파란색: 입장 미확인, 회색: 외교 관계 없음.


1991년 9월 11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국호를 '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정하면서 그리스와의 오랜 국호 분쟁이 시작되었다. 그리스는 이 명칭이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와 문화를 전유하려는 시도이자, 자국 북부의 마케도니아주에 대한 영토적 야심을 내포한다고 주장하며 강력히 반대했다.

분쟁 초기, 그리스는 1992년 6월 유럽 연합(EU) 정상회담 등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명을 변경해야만 국가로 승인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1992년 8월 국명 변경 불가 입장을 재확인하며 양측의 갈등은 깊어졌다. 결국 1993년 4월 11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엔(UN)의 중재 하에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en: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약칭 FYROM)이라는 잠정적인 이름으로 UN에 가입했다. 이는 국제 사회에서 통용되는 임시 명칭이었으며, 헌법상 국호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인정하지 않는 국가와의 관계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잠정 명칭 사용에도 불구하고 갈등은 계속되었다. 1994년 1월,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대해 고대 마케도니아 왕가의 상징인 '베르기나의 태양' 문양이 들어간 국기 변경과 영토 관련 우려를 낳는 헌법 조항 삭제를 요구하며, 불응 시 국경을 폐쇄하겠다고 경고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이를 거부하자 그리스는 1994년 2월, 살로니카 항구를 봉쇄하는 등 경제 제재를 단행했다. 이 봉쇄는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1994년 5월 3일), 미국의 중재 노력 끝에 1995년 9월 14일 양국은 외교 관계 정상화와 경제 제재 해제에 합의하는 합의서에 서명했다. 이 합의 이후 1995년 9월 13일 미국은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전면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미국은 이미 마케도니아 정부를 승인하였으나, 그리스 입장을 고려해 대사 임명을 지연하고 있었다.) 1995년 11월 15일 마케도니아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 프로그램에 가입했다.

이후에도 국호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교착 상태에 빠졌다.[52] 수년에 걸쳐 "신 마케도니아", "상 마케도니아", "슬라보-마케도니아", "노바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스코페)" 등 다양한 대안 명칭이 제안되었으나, 초기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라는 용어 자체가 포함된 어떤 명칭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고, 마케도니아 공화국 역시 '마케도니아'를 제외하는 명칭("바르다르 공화국", "스코페 공화국" 등)을 거부했다.[27][53][54] 시간이 지나면서 그리스는 지리적 수식어가 붙은 복합 명칭, 즉 에르가 옴네스 (erga omnes, 라틴어로 '모든 관계에서'라는 뜻으로, 국내외 모든 공식적인 맥락에서 통일된 명칭을 사용하는 것) 원칙 하에 명칭을 구별하는 세부 사항을 사용하는 방식은 수용할 수 있다는 쪽으로 입장을 다소 완화했다.[55][2][56][57] 하지만 마케도니아 공화국 내에서는 국명 변경에 대한 반대 여론이 매우 높았다. 2007년 6월 여론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77%가 헌법상 국호 변경에 반대했고, 72%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 시에도 헌법상 국호를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임시 명칭으로 가입하는 것에 찬성하는 비율은 8%에 불과했다.[58]

국제 사회의 반응은 엇갈렸다. 2007년 9월까지 미국, 러시아, 중국을 포함한 118개국(UN 회원국의 61%)이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헌법상 국호로 인정했다.[59] 그러나 유럽 평의회 의회 등 국제기구에서는 그리스의 반대로 인해 여전히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임시 명칭이 주로 사용되었다.[61] 헌법상 국호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와의 관계에서는 항상 이 임시 명칭이 사용되었다.

그리스 내에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지칭할 때 '마케도니아'라는 단어 사용을 기피하고, 임시 명칭의 그리스어 약자인 'ΠΓΔΜ'(Πρώην Γιουγκοσλαβική Δημοκρατία της Μακεδονίας|프로인 유고슬라비키 디모크라티아 티스 마케도니아스ell)이나 수도 이름을 딴 '스코페'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스코페'나 주민들을 비하적으로 부르는 '스코피아인'(그리스어: ''Σκοπιανοί'')이라는 용어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국민들에게 모욕적으로 받아들여졌다.[63][64] 때때로 그리스 공식 소식통은 "슬라보마케도니아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65] "마케도니아 슬라브인" (Македонски Словени)이라는 명칭도 사용되었으나, 이 역시 마케도니아계 민족에게 모욕적으로 여겨질 수 있었다.[66]

이러한 국호 분쟁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의 실질적인 관계는 유지되었다. 특히 경제 분야에서는 협력이 활발하여, 2006년 기준으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외국인 투자자이자 경제 파트너 중 하나였다.[67] 국호 문제는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 북마케도니아조란 자에프 총리가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하고, 2019년 2월 12일 마케도니아의 공식 국명이 북마케도니아로 변경되기 전까지 수십 년간 양국 관계의 핵심 쟁점으로 남아 있었다.

2. 1.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기원전 200년경)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은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를 배출한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에서 유래했다. 이 왕국의 옛 영토는 현재 그리스 북부, 북마케도니아, 그리고 일부는 불가리아알바니아에 걸쳐 있으며, 면적의 절반 이상은 그리스에 속한다.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세운 나라로, 수도였던 펠라는 현재 그리스 영토 안에 있다.

고대 시대에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영토는 대부분 페오니아 왕국에 해당했으며, 이 왕국은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바로 북쪽에 위치했다. 반면, 오늘날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지역 서부와 중부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영토와 거의 일치하고, 동부 지역과 불가리아의 일부 지역은 대부분 고대 트라키아에 속했다.

로마 공화국이 기원전 168년에 이 지역을 정복한 후,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의 새로운 로마 속주를 설치했다. 이 속주는 기존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영토뿐만 아니라 페오니아와 고대 트라키아 동부 등 더 넓은 지역을 포함했다. 서기 4세기에는 이 속주가 남쪽의 '마케도니아 프리마'와 북쪽의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 (또는 '마케도니아 세쿤다')로 나뉘었다. 마케도니아 프리마는 고대 마케도니아 영토 대부분과 트라키아 남동부를 포함하여 현대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지역과 비슷했고,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는 페오니아 전체와 다르다니 일부, 북동부 트라키아를 포함하여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와 불가리아 남동부 대부분을 아우르는 지역이었다. 후기 로마 시대에는 속주 경계가 다시 조정되어 더 큰 마케도니아 교구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행정 구역은 약간의 변화를 거치며 7세기까지 유지되었다.

6세기 초부터 이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일부가 되었으나, 초기 슬라브족의 잦은 침입을 받으면서 인구 구성과 문화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슬라브족은 7세기 동안 불가르족이나 아바르족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비잔틴 제국을 계속 공격했다. 비잔틴 제국은 이에 대응하여 대규모 군사 작전을 벌여 많은 슬라브 부족을 제압하고, 테살로니키 인근에 새로운 테마(행정 구역)인 트라키아 테마를 설치했다. 8세기 말에는 이전 트라키아 테마에서 분리되어 마케도니아 테마가 만들어졌는데, 이 테마는 지리적으로 현재의 트라키아 지역에 해당했다. 한편, 현대 마케도니아 지역의 대부분은 9세기에 불가리아 제1제국의 지방인 쿠트미체비차가 되었다.[9] 남부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새로운 속주인 테살로니카와 스트리몬에 속했다.[10]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 지역은 11세기 초에 불가리아 테마라는 이름으로 다시 비잔틴 제국에 편입되었다.[11]

이러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은 서유럽인들과 발칸 지역 사람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서유럽인들에게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영토를 의미했지만, 발칸 지역의 기독교인들에게는 (드물게 사용될 때) 현재 터키의 에디르네와 네스토스 강 사이에 위치했던 옛 비잔틴 마케도니아 테마의 영토, 즉 현재의 트라키아 지역을 가리켰다.[12]

14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발칸 반도는 룸멜리아라는 큰 속주에 포함되었고,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의 별도 행정 구역은 없었다. 19세기 초까지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서 거의 잊혔으나, 1830년 그리스가 독립한 이후 수십 년 동안 메갈리 아이디어(대 그리스주의)와 같은 그리스 민족주의 운동 과정에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13][14][15][16][17] 이후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마케도니아 지역에 정착한 슬라브계 주민들 사이에서도 민족 의식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2. 2. 슬라브족의 남하와 마케도니아 지역의 변화

로마 공화국이 기원전 168년 고대 그리스를 정복한 후,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은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영토뿐만 아니라 페오니아, 고대 트라키아 일부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행정 구역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 속주는 서기 4세기에 남쪽의 ''마케도니아 프리마''와 북쪽의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로 나뉘었다. 마케도니아 프리마는 오늘날 그리스마케도니아 지역과 거의 일치했고,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는 현재의 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 남동부 일부를 포함했다.

6세기 초부터 이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일부였으나, 슬라브족의 빈번한 침입을 받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다음 몇 세기 동안 마케도니아 지역의 인구 구성과 문화는 크게 변화했다. 슬라브족은 7세기까지 단독으로 또는 불가르족, 아바르족과 연합하여 비잔틴 제국을 계속 공격했다. 이에 비잔틴 제국은 대규모 원정을 통해 많은 슬라브 부족을 제압하고 테살로니키 인근에 새로운 테마인 트라키아 테마를 설치했다. 8세기 말에는 이전 트라키아 테마에서 분리하여 마케도니아 테마가 만들어졌는데, 이 테마는 오늘날의 마케도니아 지역이 아닌 트라키아 지역(현재 튀르키예에디르네 부근)에 위치했다.[12]

한편,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를 포함한 마케도니아 지역의 상당 부분은 9세기에 불가리아 제1제국의 쿠트미체비차 지방으로 편입되었다.[9] 남부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테살로니카 테마와 스트리몬 테마에 속했다.[10] 11세기 초, 비잔틴 제국이 불가리아 제국을 정복하면서 북마케도니아 지역은 불가리아 테마라는 새로운 속주로 재편입되었다.[11] 이러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은 서유럽인들에게는 고대 마케도니아의 영토를 의미했지만, 발칸 반도의 기독교인들에게는 오늘날의 트라키아 지역에 위치했던 비잔틴의 마케도니아 테마를 가리키는 등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다.[12]

14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한 이후, 발칸 반도 전체는 룸멜리아라는 큰 속주로 편입되었고,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의 별도 행정 구역은 존재하지 않았다. '마케도니아'라는 지명은 19세기 초까지 이 지역에서 거의 잊혔으나, 1830년 그리스가 독립한 이후 메갈리 아이디어와 같은 그리스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13][14][15][16][17]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마케도니아 지역에 거주하던 슬라브계 주민들은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으로 칭하며 독자적인 민족 의식을 키워나가기 시작했다.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IMRO)과 같은 단체들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저항하며 활동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이 중심이 되어 마케도니아 지역 전체를 통일하려는 '통일 마케도니아' 사상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주장은 그리스인들에게 영토적 야심으로 비춰져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2. 3. 오스만 제국 시기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의 형성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있던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슬라브계 주민들은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으로 인식하며 민족 의식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1893년 오스만 통치에 반대하는 혁명 운동으로 이어졌고, 1903년 8월 2일에는 일리덴 봉기가 일어났다.

일리덴 봉기가 실패로 돌아가자,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 당시 명칭은 내부 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플 혁명 기구)는 활동 방향을 혁명적인 방식에서 제도적인 방식으로 전환했다. 이 과정에서 IMRO는 두 개의 파벌로 나뉘었다. 하나는 야네 산단스키가 이끄는 파벌로, 오스만 제국이나 발칸 연방 내에서의 마케도니아와 아드리아노플 지역의 자치를 목표로 삼았다. 다른 하나는 마케도니아와 남부 트라키아를 불가리아에 합병시키려는 최고주의 파벌이었다.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들 중 일부는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이 마케도니아 전 지역을 통일해야 한다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주장하기도 했는데, 이는 그리스인들에게 위협적인 주장으로 받아들여졌다. 일리덴 봉기 이후 혁명 운동이 주춤해진 사이, 마케도니아 지역에서는 마케도니아 투쟁이라 불리는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었다. 이 시기 불가리아, 그리스, 세르비아 등 주변국의 무장 세력들이 오스만 제국의 유럽 영토, 특히 마케도니아 지역의 영유권을 두고 충돌하며 잦은 분쟁을 일으켰다.

2. 4.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 군대는 1941년부터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추축국의 동맹국이었던 불가리아는 1941년에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영토와 그리스마케도니아 속주 지역으로 진격했다. 이로써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영토는 1941년 6월, 불가리아와 이탈리아령 알바니아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이에 맞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저항군은 1941년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활동을 개시했다. 1944년 8월 2일, 일리덴 봉기의 투사들을 기리는 의미에서 불가리아 점령 지역에서 열린 마케도니아 민족 해방 반파시스트 회의 (ASNOM)는 장차 수립될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틀 안에서 마케도니아 국가(민주 연방 마케도니아)를 비밀리에 선포했다.[19]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지도


전쟁이 끝난 후, 1946년에는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이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도 아래 새롭게 선포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의 연방 구성 공화국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마케도니아'라는 공화국의 이름은 즉시 그리스와의 갈등을 야기했다. 그리스는 이 명칭이 자국 영토인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지역에 대한 영토적 야심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러한 우려는 이미 1944년 미국 프랭클린 루스벨트 행정부에서도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국무장관을 통해 표명된 바 있었다.[327] 그리스 언론과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가 이끄는 그리스 정부는 1980년대와 1989년 혁명 시기까지 유고슬라비아 측의 입장에 반대하며 지속적으로 우려를 제기했다.[20]

196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이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경함에 따라,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 역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1991년 9월,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기 몇 달 전에 국명에서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삭제했다.

3. 분쟁의 전개

1963년부터 1991년까지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사용된 깃발. 독립 이후 국명과 상징을 둘러싼 분쟁의 배경이 되었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독립한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명과 국기(베르기나 태양 문양 사용) 문제로 그리스와 즉각적인 갈등을 겪었다. 그리스는 이것이 자국의 역사적 유산 침해 및 영토적 야심의 표현이라 주장하며 국제 사회 승인을 반대했고, 1994년에는 경제 제재를 단행했다.[52][43]



1995년 10월 5일에 채택된 현재 공화국 국기. 잠정 협정에 따라 베르기나 태양이 제거되었다.


갈등 완화를 위해 양국은 유엔(UN) 및 미국 등의 중재 하에 1995년 9월 뉴욕에서 잠정 협정(Interim Accord영어)을 체결했다.[47][48]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 문양 변경 및 헌법 일부 조항 수정에 합의했고,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기구에서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영어, FYROM)이라는 임시 명칭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가입 반대 입장을 유보했다.[49] 이 협정으로 양국 관계는 일부 정상화되었으나, 핵심 쟁점인 국명 문제는 미해결 상태로 남았다.[21][38][50] 협정 체결에는 사이러스 밴스 유엔 사무총장 특별 특사가 증인으로 참여했다.[51]

잠정 협정 이후에도 국명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장기간 교착 상태에 빠졌다.[52] 유엔 중재자 매튜 니미츠 주도로 여러 차례 협상이 시도되었으나[68][70], 양측의 입장 차이와 마케도니아 공화국 내 국명 변경 반대 여론[58] 등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시간이 지나며 많은 국가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헌법상 국명으로 인정했지만[59], 그리스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및 유럽 연합(EU) 가입 문제와 연계하여 국명 변경을 계속 요구했다.[73][74][75]

마케도니아 로마 속주의 지도, '마케도니아 프리마'와 '마케도니아 세쿤두스' 또는 '살루타리스'로 분할됨


2006년 이후 마케도니아 공화국 VMRO-DPMNE 정부는 공항 명칭 변경[71] 및 고대사 인물 동상 건립 등 이른바 'Antiquisation' 정책을 추진하며[137] 그리스와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142] 결국 2008년 부쿠레슈티 NATO 정상회담에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초청에 거부권을 행사했다.[123][124][125]

"1995년 9월 13일 임시 협정 적용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 그리스)" 사건에 대한 국제사법재판소 심리


이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그리스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고, 2011년 ICJ는 그리스의 NATO 가입 반대가 잠정 협정 위반이라고 판결했으나[156][157], 분쟁 해결에는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159] 이후에도 협상은 계속되었지만[166][171], 2010년대 중반까지 뚜렷한 진전 없이 교착 상태가 이어졌다.[175]

3. 1. 그리스의 주장

그리스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사용하는 "마케도니아"라는 국명이 자국의 영토에 대한 야욕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지역 안정을 위해 국명 변경을 요구했다.[13][14][15][16][17]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알렉산드로스 3세와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가 다스렸던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적 계승을 내세워 그리스 북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것을 우려하였다.

역사적으로 "마케도니아"라는 광역 지명은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옛 영토를 가리키지만, 현재 이 지역은 그리스,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불가리아, 알바니아 등 여러 나라에 걸쳐 있으며 그 면적의 절반 이상은 그리스에 속한다.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은 고대 그리스인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수도였던 펠라 역시 현재 그리스 영토 내에 위치한다. 이후 이 지역에 슬라브족이 정착하게 되었는데, 그리스는 슬라브계 민족이 고대 마케도니아의 역사적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정당성이 부족하다고 보았다. 특히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 하에서 슬라브계 주민들이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 칭하며 민족 의식을 키우고 "통일 마케도니아"와 같은 주장을 펼친 것은 그리스에게 영토적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199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국명 문제는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명 사용이 자국의 역사와 문화 유산을 침해하고, 잠재적인 영토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강력히 반대했다. 그리스는 유럽 연합(EU) 정상 회담 등 국제 사회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명을 변경하지 않으면 승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21][22]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의 비공식 국기. 중앙의 베르기나의 태양 문양은 고대 마케도니아 왕가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리스는 국명뿐만 아니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사용한 국기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 국기에 사용된 베르기나의 태양 문양은 고대 마케도니아 왕가의 상징으로, 그리스는 이를 자국의 역사적 상징물로 간주하여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사용을 도발로 받아들였다.[330] 또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헌법의 일부 조항이 주변국 영토에 대한 주장을 암시하거나 소수 민족 문제에 개입할 여지를 준다며 삭제를 요구했다.

이러한 우려를 바탕으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제 사회 진출을 적극적으로 저지했다. 그리스의 반대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유엔(UN) 가입과 유럽 공동체(EC)의 승인이 지연되었다.[21] 그리스 정부는 EC가 "이웃 공동체 국가에 대한 영토 주장, 적대적 선전 및 영토 주장을 암시하는 명칭 사용"을 금지하는 조건을 채택하도록 설득했다.[22] 1992년 4월 13일, 그리스의 주요 정당들은 새로운 공화국의 이름에 어떤 방식으로든 "마케도니아"라는 단어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합의했다.[27]

그리스 국내에서도 국명 문제에 대한 반대 여론이 거셌다. 1992년 테살로니키에서는 약 100만 명의[23] 그리스 마케도니아인들이 "마케도니아를 위한 집회"(el)에 참여하여 "마케도니아는 그리스 것이다"(el)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23] 그리스 디아스포라 역시 호주 멜버른 등지에서 약 10만 명이 참여하는[25][26]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며 그리스 정부의 입장을 지지했다.[24]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그리스의 요구(국기 문양 및 헌법 조항 삭제 등)에 응하지 않고 UN 가입을 추진하자, 그리스는 1994년 1월 국경 봉쇄를 경고했고, 2월에는 테살로니키 항구를 폐쇄하는 경제 제재를 단행했다. 이로 인해 내륙국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원유, 식량 수입과 농산물, 철강 수출에 큰 타격을 입으며 경제적으로 극심한 어려움을 겪었다.[52][43] 이 제재는 약 18개월간 지속되었고, 1995년 9월 양국 간 잠정 협정이 체결된 후에야 해제되었다.[46]

잠정 협정 이후에도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기구에서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유럽 연합(EU) 가입 논의에서도 국명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했다.[73][74][75] 그리스는 점차 지리적 한정어가 붙은 복합 명칭을 모든 경우(erga omnes)에 사용해야 한다는 쪽으로 입장을 수정했지만[55][2][56][57],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헌법상 국명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고수하는 한 가입을 반대한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그리스 내에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지칭할 때 공식적으로는 유엔의 임시 명칭인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Πρώην Γιουγκοσλαβική Δημοκρατία της Μακεδονίαςel, ΠΓΔΜ)을 사용하거나, 비공식적으로는 수도 이름을 딴 '스코페' 또는 주민들을 비하하는 의미를 담은 '스코피아인'(e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63][64]

3. 2.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주장



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는 그리스의 주장에 대해 "마케도니아"라는 국명이 과거 수 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 시절에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고유 국명을 사용했다는 점을 들어 그리스의 요구를 거절했다. 국호 분쟁 속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1993년 4월,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영어, FYROM)이라는 임시 명칭으로 유엔에 가입했다.

양국 관계는 1994년 2월 그리스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무역 제재를 가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 이는 북쪽 국경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대한 UN 제재와 맞물려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큰 타격을 주었다.[52] 가장 가깝고 중요한 항구인 테살로니키 이용이 막혔고, 주요 남북 무역로가 차단되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개발되지 않은 동서 무역로를 통해 물품을 조달해야 했으며,[43] 특히 석유는 불가리아의 바르나 항구를 통해 수입했는데, 이는 수도 스코페에서 700km 이상 떨어진 곳으로 산길을 이용한 유조 트럭 운송에 의존해야 했다.[44] 이 무역 제재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약 20억달러의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45] 국제적인 비판 속에 그리스의 제재는 18개월간 지속되었고, 1995년 10월 양국 간 잠정 협정이 체결된 후에야 해제되었다.[46]

1995년 9월 13일,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뉴욕에서 사이러스 밴스 유엔 사무총장 특별 특사의 중재 하에 잠정 협정을 체결하여 양자 관계를 공식화했다.[47][48][51] 이 협정에 따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에서 베르기나 태양 문양을 제거하고 헌법에서 영토 회복주의 관련 조항을 삭제했으며, 양국은 유엔의 지원 아래 국명 문제 협상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817호 2항에 명시된 명칭, 즉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사용하는 한 국제기구 가입에 반대하지 않기로 동의했다. 이를 통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등 여러 국제 기구에 가입할 수 있었다.[49] 특이하게도 이 협정은 당사국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고, 수도가 아테네인 "제1 당사자"(그리스)와 수도가 스코페인 "제2 당사자"(마케도니아 공화국)로 지칭했다.[21][38] 이후 선언에서도 이러한 관행이 이어졌다.[50]

국명 문제는 2018년 협상 타결 전까지 오랫동안 교착 상태에 머물렀다.[52] "신 마케도니아", "상 마케도니아", "슬라보-마케도니아", "노바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스코페)" 등 다양한 이름이 제안되었지만, 그리스는 초기에 "마케도니아"라는 용어 자체를 포함하는 어떤 영구 명칭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기에 모두 거부되었다.[27][53] 그리스는 "바르다르 공화국"이나 "스코페 공화국" 같은 이름을 역제안했지만, 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와 야당은 국명에서 "마케도니아"를 제외하는 어떤 해결책도 일관되게 거부했다.[54] 이후 그리스는 점차 입장을 바꿔 지리적 수식어가 붙은 복합 명칭(예: 상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국제적 및 정부 간 사용(erga omnes|에르가 옴네스la, 즉 모든 경우에 적용)을 위해 수용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였다.[55][2][56][57] 그러나 마케도니아 공화국 국민 대다수는 국명 변경에 반대했다. 2007년 6월 여론조사에서는 77%가 헌법상 명칭 변경에 반대했고, 72%는 헌법상 명칭으로만 NATO 가입을 찬성했으며,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명칭으로 가입하는 데 찬성하는 비율은 8%에 불과했다.[58]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을 포함한 많은 국가(2007년 9월 기준 118개국, UN 회원국의 61%)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헌법상 명칭(Republic of Macedonia영어)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59] 일부 관측통은 이를 그리스 입장의 약화로 보기도 했지만,[60]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기구에서 임시 명칭 대신 헌법상 명칭을 사용하도록 설득하려는 노력은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예를 들어, 유럽 평의회 의회는 관련 문서에서 임시 명칭을 헌법상 명칭으로 대체하려는 제안을 거부했다.[61] 헌법상 명칭을 인정하지 않는 국가와의 관계에서는 여전히 임시 명칭이 사용되었다.

그리스 내에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마케도니아"로 부르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Πρώην Γιουγκοσλαβική Δημοκρατία της Μακεδονίας|프로인 유고슬라비키 디모크라티아 티스 마케도니아스el(ΠΓΔΜ, FYROM의 그리스어 약칭) 또는 수도 이름을 딴 ''스코페''라고 불렀다. 특히 '스코페'라는 환유적 명칭은 마케도니아 공화국 국민 다수가 모욕적으로 여겼다. 그리스인들은 해당 국가 국민을 비하하는 의미로 ''스코피안''(Σκοπιανοί|스코피아니el)이라고 부르기도 했다.[63][64] 그리스 공식 소식통은 때때로 "슬라보마케도니아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미국 국무부도 그리스 내 마케도니아계 소수 민족을 지칭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65] "마케도니아 슬라브인"(Македонски Словени|마케돈스키 슬로베니mk)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었으나, 이 역시 마케도니아계 민족에게는 모욕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66]

명칭 논쟁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경제 관계는 점차 회복되어, 2006년 기준으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외국 경제 파트너이자 투자국 중 하나가 되었다.[67]

2005년, 유엔 특별대표 매튜 니미츠는 공식적인 목적으로 Republika Makedonija-Skopjemk 사용을 제안했다. 그리스는 이를 "건설적인 협상의 기반"으로 평가했지만 즉각 수용하지는 않았고,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블라도 부치코프스키 총리는 이를 거부하며 국제 사회는 Republic of Macedonia영어를, 그리스는 "FYROM"을 사용하는 "이중 명칭 공식"을 역제안했다.[68][69] 니미츠는 2005년 10월,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헌법상 명칭으로 인정한 국가는 그대로 사용하고, 그리스는 Republika Makedonija – Skopjemk를 사용하며, 국제기구는 Republika Makedoniamk를 로마자 표기로 사용하는 새로운 제안을 내놓았으나,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긍정적으로 검토한 반면 그리스는 거부했다.[70]

2006년 12월, VMRO-DPMNE가 이끄는 새 정부는 스코페 국제공항의 이름을 "알렉산더 대왕 공항"(알렉산더 대왕)으로 변경하겠다고 발표하여 그리스의 반발을 샀다.[71] 이로 인해 니미츠의 중재 노력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72]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헌법상 명칭으로 유럽 연합(EU)과 NATO 가입을 추진하면서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그리스는 1995년 잠정 협정에도 불구하고, 국명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EU 및 NATO 가입을 거부권 행사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73][74][75] 그리스 외무부 장관 도라 바코야니스는 "명칭 문제가 사전에 해결되지 않으면 그리스 의회는 이웃 국가의 EU 및 NATO 가입을 비준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74][75]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당시 그리스 총리도 2007년 10월,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 없이는 NATO나 EU 가입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77]

2008년 초, 니미츠는 양측에 새로운 협상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언론에 유출된 내용에 따르면, 이는 모든 국제적 목적을 위한 "복합 명칭 해결책"을 골자로 했으며, "마케도니아 헌법 공화국", "마케도니아 민주 공화국", "마케도니아 독립 공화국", "마케도니아 신 공화국", "상 마케도니아 공화국" 등 5가지 구체적인 명칭을 포함했다.[78] 마케도니아 공화국 내에서는 국명 변경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고,[79] 그리스에서도 대중 정교 집회 주도로 "마케도니아" 명칭 사용에 반대하는 시위가 있었다.[80] 2008년 3월, 니미츠는 회담 실패를 선언했고,[83][84] 그리스는 2008년 부쿠레슈티 NATO 정상회담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초청에 거부권을 행사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86][87] 그리스 내 여론도 복합 명칭 수용 쪽으로 다소 기울었으나, 여전히 대다수는 NATO 가입 거부권 행사를 지지했다.[87][88]

2008년 부쿠레슈티 정상회담


NATO 정상회담을 앞두고 야프 데 후프 스헤퍼 NATO 사무총장과 올리 렌 EU 확대 담당 집행위원 등 국제 사회 인사들은 마케도니아 공화국 측에 타협을 촉구했다.[90][91][92][93] 마케도니아 공화국 내 알바니아계 정당(알바니아 민주당)과의 연정 불안정 문제도 불거지면서,[97] 니콜라 그루에프스키 총리의 협상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99][100]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국명 문제보다 EU 및 NATO 가입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였다.[101]

미국의 중재 노력 속에[102] 니미츠는 2008년 3월 말, "지리적 차원을 가진, 모든 목적을 위한" 단일 명칭을 포함하는 최종 제안을 내놓았다.[114] 그리스 언론은 이것이 2005년 제안인 "마케도니아-스코페 공화국"의 부활이라고 보도했으나,[115] 마케도니아 언론은 키릴 문자 표기 헌법상 명칭(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mk)은 국내용으로 유지하고, 국제 관계에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스코페)"를 사용하며, 양자 관계에서는 후자를 권장하되 강제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보도했다.[116] 그러나 이 제안 역시 양측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했고,[117][118] 마케도니아 외무장관 안토니오 밀로쇼스키는 그리스가 NATO 가입을 거부할 경우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119][120][121]

2008년 10월, 니미츠는 새로운 제안을 내놓았다. 주요 내용은 국내에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사용하되, 모든 국제 공식 명칭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레푸블리카 세베르나 마케도니야mk)으로 하고, UN 안보리가 제3국에 양자 관계에서도 이 명칭 사용을 권고하며, "FYROM" 명칭은 폐기하는 것이었다. 또한 "마케도니아" 단독 사용은 양측 모두 공식 명칭으로 사용할 수 없지만, 비공식적으로는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146][147] 여권에는 영어(Republic of North Macedonia영어), 프랑스어(République de Macédoine du Nord프랑스어), 마케도니아어(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mk) 표기가 포함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과 그루에프스키 총리는 이 제안이 수용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148] 그리스 측에서는 외교관들이 비공식적으로 환영했지만, 외무장관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야당은 에르가 옴네스 원칙에 어긋난다며 반발했다.[149][150] 이 제안을 둘러싸고 미국이 배후에서 조정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151][152][153][154]

2011년경부터 마케도니아 공화국 내에서도 타협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츠르벤코프스키 대통령은 민족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NATO 가입과 EU 가입 장애물 제거를 위한 합리적 타협을 지지한다고 밝혔고,[2][111][112] 야당인 신 사회 민주당 대표 티토 페트코프스키도 국제적 사용 명칭 변경 가능성을 시사했다.[2][112] 그러나 당시 총리였던 그루에프스키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2][112]

2018년 6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조란 자에프 총리와 그리스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는 마침내 역사적인 합의에 도달했다. 프레스파 협정으로 알려진 이 합의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412] 양국 내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2019년 1월 11일 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가 헌법 개정안을 승인했고(찬성 81, 반대 39),[413] 같은 해 1월 25일 그리스 의회도 이 합의를 비준(찬성 153, 반대 146, 기권 1)하면서 오랜 국호 분쟁은 마침내 종결되었다.[414] 국호 변경은 2019년 2월 12일 공식 발효되었고, 다음 날 국제 연합에 통보되었다.[415]

3. 3. 그리스의 보복 조치와 EU의 개입

1994년 1월,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국기의 문양(베르기나 태양)과 헌법의 일부 조항 삭제를 요구하며, 응하지 않을 경우 국경을 봉쇄하겠다고 경고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이 요구에 응하지 않자, 그리스는 같은 해 2월 테살로니키 항구를 폐쇄하는 경제 제재를 단행했다.

내륙국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주로 테살로니키 항구를 통해 원유, 식량 등을 수입하고 농산물, 철강 등을 수출해왔기 때문에, 이 조치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수출입 길이 막히면서 경제는 파탄으로 치닫기 시작했고, 창고 및 냉동 시설 부족으로 주요 수출품인 양고기와 포도주를 대량 폐기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양국 간 분쟁이 심화되자, 유럽 연합(EU)은 1994년 5월 그리스의 무역 봉쇄 조치가 불법이라며 유럽 사법 재판소에 제소하며 중재에 나섰다. EU는 그리스의 조치가 역내 안정을 해칠 수 있다고 우려했는데, 당시 격화되던 보스니아 내전과 불안정한 코소보 상황 속에서 발칸 지역의 추가적인 분쟁 확산을 막으려 했다. 그리스가 EU 회원국이었기 때문에 조정이 비교적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

3. 4. 양국 간의 합의와 관계 정상화

러시아가 1994년에 마케도니아와 국교를 수립한 데 이어, 미국은 1995년 9월 13일에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전면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미국은 외교 관계 수립과 함께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간의 분쟁 해결을 위해 막후에서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보다 중요하게 여겼던 유럽 연합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했고, 국제 여론 또한 마케도니아에 동정적으로 흐르자 국호 분쟁이 자국에 불리하다고 판단하기 시작했다.

그리스는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마케도니아에 경제 제재 조치를 취하기도 했으나, 양국은 관계 정상화의 필요성을 점차 인지하게 되었다. 결국 1995년 9월 13일,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뉴욕에서 잠정 협정(Interim Accord영어)에 서명하며 양자 관계를 공식화했다.[47][48] 이 협정에는 유엔 사무총장의 특별 특사인 사이러스 밴스가 증인으로 참여했다.[51] 다음 날인 9월 14일에는 외교 관계 정상화와 그리스의 경제 제재 해제를 명시한 합의서에도 서명했다.

잠정 협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에서 베르기나 태양 문양을 제거하고, 헌법에서 영토 회복주의를 암시하는 조항을 삭제한다.
  • 양국은 유엔의 지원 하에 국명 문제에 대한 협상을 지속한다.
  •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817의 2항"에 명시된 임시 명칭, 즉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FYROM영어)을 사용하는 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제 기구 가입 신청에 반대하지 않는다.


이 합의를 통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NATO의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등 여러 국제 기구 및 이니셔티브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49]

이 협정은 영구적인 조약은 아니었지만, 국제법상 법적 구속력을 가졌다. 특이하게도 협정문에는 양 당사자의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다. 그리스는 "제1 당사자"(수도 아테네)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제2 당사자"(수도 스코페)로 간접적으로 지칭되었다.[21][38] 이는 그리스가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으며, 이후의 선언에서도 이러한 관행이 이어졌다.[50]

비록 잠정 협정으로 관계가 정상화되었지만, 국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2018년 프레스파 협정 체결 전까지 양국 관계의 주요 쟁점으로 지속되었다.[52] 양국은 국호 문제로 계속 대립하면서도, 경제 관계와 협력을 재개하는 등 실용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2006년 기준으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외국 경제 파트너이자 투자자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67]

3. 5. 프레스파 협정과 국호 변경

199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독립한 이래, 그리스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이 자국의 역사와 문화 유산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국호 사용에 반대해왔다. 이로 인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유럽 연합(EU) 가입에 어려움을 겪는 등 여러 분야에서 갈등이 지속되었다.[412]

수년간의 협상 교착 상태 이후,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조란 자에프 총리는 프레스파 호수 인근에서 역사적인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는 대신, 그리스는 북마케도니아의 NATO 가입에 대한 반대를 철회하고 이를 지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412]

양국 내부에서는 민족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협정에 대한 반대가 있었으나[414], 양국 정부는 협정 이행을 추진했다. 2019년 1월 11일, 마케도니아 의회는 국호 변경을 위한 헌법 개정안을 찬성 81표, 반대 39표로 승인했다.[413] 이어 2019년 1월 25일에는 그리스 의회에서도 프레스파 협정이 찬성 153표, 반대 146표, 기권 1표로 비준되었다.[414]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랜 기간 지속된 국호 분쟁은 마침내 종결되었다. 2019년 2월 12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명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공식 변경되었으며, 다음 날인 2월 13일에는 변경된 국호를 국제 연합(UN)에 공식 통보했다.[415]

4. 분쟁의 쟁점

그리스마케도니아 공화국 사이의 국호 분쟁은 단순히 이름 문제를 넘어 역사 해석, 민족 정체성, 영토 문제까지 얽힌 복합적인 갈등이었다. 분쟁의 핵심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국호 자체의 사용 문제이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이 알렉산드로스 3세와 필리포스 2세로 대표되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적 유산이며, 그리스 문화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슬라브계 민족이 주축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이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역사 왜곡이자 자국의 북부 영토에 대한 영토적 야심을 드러내는 것이라며 강력히 반대했다.[412] 반면, 마케도니아 공화국 측은 '마케도니아'가 지리적 명칭이자 자국민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이름이며, 구 유고슬라비아 시절부터 사용해 온 정당한 국호라고 맞섰다.

둘째, 역사적 정통성 문제이다. 그리스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이 그리스 문명권에 속하며 현대 그리스 국가의 역사적 뿌리임을 강조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베르기나 태양과 같은 고대 상징을 사용하고[330], Antiquisation 정책을 통해 알렉산드로스 대왕 등의 고대 인물과 국가적 연관성을 부각하려는 시도는 그리스에게 자국 역사 유산의 도용으로 비춰졌다.[137] 이는 양측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며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영토 분쟁의 가능성이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마케도니아' 국호를 사용함으로써, 과거 일부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했던 '통일 마케도니아' 개념처럼 그리스 북부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는 안보적 우려를 제기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 헌법의 일부 조항과 국기 사용[330] 등은 이러한 우려를 증폭시키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러한 쟁점들로 인해 양국 관계는 오랫동안 경색되었고,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NATO 및 유럽 연합 가입을 반대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도 갈등이 이어졌다.[73][74][75] 1995년 유엔의 중재로 국기 변경, 헌법 조항 수정 등을 담은 잠정 협정이 체결되었으나[47][48], 국호에 대한 근본적인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고 오랜 협상 과정을 거쳐야 했다.

4. 1. 명칭 사용 문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사용하는 "마케도니아"라는 국명이 자국의 영토에 대한 야욕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지역 안정을 위해 국경선 유지와 마케도니아의 국명 변경을 주변국과 유럽 연합에 요구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알렉산드로스 3세와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 시대의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역사를 근거로 그리스 북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것을 우려했다. 이미 터키, 키프로스, 알바니아와 영토 및 민족 분쟁을 겪고 있던 그리스는 마케도니아와의 분쟁 확대를 피하고자 하면서도, 유럽 연합 정상 회담 등에서 마케도니아가 국명을 변경하지 않으면 승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정부는 "마케도니아"라는 국명이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고, 구 유고 연방 시절에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고유 명칭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그리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1993년 4월, 마케도니아는 국호 분쟁을 의식하여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FYROM)이라는 임시 명칭으로 유엔에 가입했다.

1992년경 국제 통화 기금, 세계 은행 등 국제 기구들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지칭할 때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1993년 1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유럽 공동체(EC) 회원국인 프랑스, 스페인, 영국이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유엔 가입을 위해 같은 명칭을 제안했다.[31] 이 제안은 처음에는 양측 모두에게 거부되었다. 그리스 외무장관 미할리스 파파콘스탄티누는 국명 포기 없이 가입을 허용하는 것은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고,[32]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 키로 글리고로프 역시 '구 유고슬라비아'라는 표현이 세르비아의 영토적 야욕을 연상시킨다며 반대했다.[32][33]

하지만 양측은 국제 사회의 강한 외교적 압력을 받았다. 그리스에 대한 초기 지원은 그리스의 강경 노선에 대한 피로감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에 대한 제재 위반 의혹 등으로 약화되었다. 덴마크 외무장관 우페 엘레만-옌센은 그리스의 입장을 "우스꽝스럽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34] 그리스 총리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는 당내 강경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93년 3월 이 제안을 수용했고,[21][35] 마케도니아 정부도 마지못해 동의했다.

1993년 4월 7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817에서 공화국의 가입을 지지하며, "국가 명칭에 대해 발생한 차이가 해결될 때까지 유엔 내 모든 목적을 위해 임시적으로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지칭한다"고 명시했다.[36] 다음 날 유엔 총회도 결의안 225호를 통해 이를 승인하여,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엔의 181번째 회원국이 되었다.[37] 이 임시 명칭은 분쟁 해결 시까지만 사용되는 임시적 '참조' 용어이며, 유엔 내에서만 사용되고, 과거 유고슬라비아와의 연관성만을 나타낼 뿐 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의 관련성은 없음을 분명히 했다.[38][32] 유엔 총회 좌석 배치 시에도 'M'이나 'F'가 아닌 'T'(The former...) 아래에 배치되었다.[38]

이후 많은 국제기구와 국가들이 유엔의 방식을 따라 임시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1993년 10월 처음으로 헌법상 명칭('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인정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등 6개 EC 주요국이 유엔 지정 명칭(FYROM)으로 인정했다.[35] 일본, 러시아, 미국 등도 뒤따라 인정했다.[39]

그러나 이러한 타협안에도 불구하고 양국에서는 민족주의적 감정이 고조되었다. 그리스에서는 서방 파트너들에 대한 배신감으로 반서방, 반미 감정이 확산되었고,[34] 미초타키스 총리는 국명 문제에 대한 '약한 모습'을 보였다는 비판 속에 안토니스 사마라스 등 강경파 의원들의 탈당으로 과반수를 잃고 1993년 10월 총선에서 패배했다. 새로 집권한 PASOK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더욱 강경한 정책을 펴며 유엔 중재 협상에서 철수했다.[34][40]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도 스코페, 코차니, 레센 등지에서 임시 명칭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고, 의회는 가까스로 합의안을 통과시켰다.[41] 해외 이민자 사회에서도 갈등이 격화되어, 1994년 호주에서는 양측 공동체 간 보복성 폭탄 테러와 방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42]

1994년 2월, 그리스는 마케도니아에 대해 무역 제재를 단행하면서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52] 이로 인해 마케도니아는 주요 항구인 테살로니키 이용이 막히고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43][44] 약 20억달러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되는 이 제재는[45] 18개월간 지속되다가 1995년 10월 양국 간 잠정 협정 체결 후 해제되었다.[46]

1995년 9월 13일, 양국은 뉴욕에서 사이러스 밴스 유엔 특사의 중재 하에 잠정 협정을 체결했다.[47][48][51] 이 협정에 따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에서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상징인 베르기나 태양 문양을 제거하고, 헌법에서 영토 회복주의로 해석될 수 있는 조항을 삭제하기로 했다. 양국은 유엔의 지원 하에 국명 문제에 대한 협상을 계속하기로 합의했으며,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엔 결의안 817호에 명시된 임시 명칭(FYROM)을 사용하는 한 국제기구 가입에 반대하지 않기로 동의했다. 이 협정 덕분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 (OSCE) 및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포함한 다양한 국제 기구 및 이니셔티브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49] 특이하게도 이 협정은 당사국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고, 그리스를 '제1 당사자'(수도 아테네)이고, 제2 당사자를 수도가 스코페인 것으로 간접적으로 식별했다.[21][38]

이후 국명 문제는 2018년 협상 전까지 사실상 교착 상태에 있었다.[52] 여러 해에 걸쳐 "신 마케도니아", "상 마케도니아", "슬라보-마케도니아", "노바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스코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름이 제안되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27][53] 그리스는 점차 지리적 수식어가 붙은 복합 명칭, 즉 에르가 옴네스 (erga omnes, 모든 경우에 통용되는 단일 명칭)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케도니아 공화국 주민들은 국가명 변경에 압도적으로 반대했다. 2007년 6월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77%가 국가의 헌법상 명칭 변경에 반대했으며, 72%는 헌법상 명칭으로 NATO에 가입하는 경우에만 찬성했다.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명칭으로 가입하는 것에 찬성하는 비율은 8%에 불과했다.[58]

일부 국가들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헌법상 명칭으로 인정했다. 2007년 9월까지 118개국(UN 회원국의 61%)이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을 포함하여 헌법상 명칭으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인정했다.[59] 반면에, 임시 명칭을 삭제하도록 국제기구를 설득하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시도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61] 헌법상 명칭을 인정하지 않는 국가가 있는 관계에서는 항상 이 타협 명칭이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묘사하는 데 "마케도니아"라는 단어의 사용을 거부하고, 대신 "ΠΓΔΜ"(그리스어: Πρώην Γιουγκοσλαβική Δημοκρατία της Μακεδονίας, "FYROM"의 그리스어 번역) 또는 국가의 수도 이름을 딴 ''스코페''라고 불렀다. 후자의 환유법적 명칭은 그리스인이 아닌 사람들은 사용하지 않으며,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많은 주민들은 이를 모욕적이라고 여긴다. 그리스인들은 또한 해당 국가의 주민들을 비하하는 용어인 ''스코피안'' (그리스어: ''Σκοπιανοί'')이라고 부른다.[63][64] 그리스 공식 소식통은 때때로 "슬라보마케도니아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미국 국무부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마케도니아계 소수 민족과 관련하여 이 용어를 사용한 바 있다.[65] "마케도니아 슬라브인" (Македонски Словени)이라는 명칭도 사용되었으나, 이 역시 마케도니아계 민족에게 모욕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66]

두 국가는 명칭을 놓고 계속 논쟁을 벌였지만, 실제로는 서로 실용적으로 대처했다. 경제 관계와 협력이 2006년 기준으로 그리스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외국 경제 파트너이자 투자자 중 하나로 여겨질 정도로 재개되었다.[67]

2005년, 매튜 니미츠 유엔 특별 대표는 공식적인 목적으로 "Republika Makedonija-Skopje"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리스는 이를 "건설적인 협상의 기반"으로 보았으나 즉각 수용하지는 않았다. 블라도 부치코프스키 총리는 이 제안을 거부하고, 국제 사회가 "Republic of Macedonia"를 사용하고 그리스가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사용하는 "이중 명칭 공식"을 제안했다.[68][69]

니미츠는 2005년 10월에 새로운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내용은 "Republika Makedonija"라는 이름을 해당 국가를 그 이름으로 인정한 국가들이 사용하고, 그리스는 "Republika Makedonija – Skopje" 공식을 사용하며, 국제 기구와 단체는 "Republika Makedonia"를 로마자 표기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는 이 제안을 분쟁 해결을 위한 좋은 기반으로 받아들였지만, 그리스는 이 제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거부했다.[70]

2006년 12월, 새롭게 선출된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의 VMRO-DPMNE가 이끄는 공화국 정부는 스코페 공항의 이름을 "Petrovec"에서 "Aleksandar Veliki" (알렉산더 대왕)로 변경할 의향을 발표했다.[71] 매튜 니미츠는 2007년 1월 아테네로 초청받아 이름 문제에 대한 중재 노력이 "부정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72]

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는 2008년 4월 11일 의회 해산을 결의하고 60일 이내에 조기 선거를 치르기로 투표했다.[143] 4개의 주요 정당과의 회의 후,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대통령은 의회 해산에도 불구하고 국호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4] 정당들은 이 분쟁이 선거 전에 격렬한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다.[144]

매튜 니미츠는 2008년 4월 17일 스코페를 방문하고 다음 날 아테네를 방문하여 새로운 협상 주기를 시작했지만, 아직 새로운 제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다.[144] 협상은 2008년 4월 30일부터 5월 2일까지 뉴욕에서 계속되었지만, 니미츠는 다시 새로운 타협안을 제안하지 않았다.[145]

양측 언론에 따르면, 2008년 10월 8일 제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46][147]

  •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은 국내(자국어)에서 공식 명칭으로 유지된다.
  • 모든 공식적인 목적(예: UN, EU, NATO)에서 국가의 명칭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마케도니아어: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이 된다.
  • UN 안전 보장 이사회는 제3국에 공식적인 양자 관계에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을 제안할 것이다.
  •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명칭은 더 이상 국가의 허용 가능한 명칭이 아니다.
  • "마케도니아" 단독으로는 양 당사자 모두 국가 또는 지역의 공식 명칭으로 사용할 수 없다.
  • 양 당사자는 어떠한 종류의 배타적 권리도 주장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마케도니아"와 "마케도니아인"을 사용할 수 있다.
  • 북마케도니아 여권의 앞면에는 영어로 ''Republic of North Macedonia'', 프랑스어로 ''République de Macédoine du Nord'', 마케도니아어로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라는 국가 이름이 포함될 것이다.
  • 그리스는 이웃 국가의 EUNATO 가입을 지지할 것이다.
  • 양국은 서로에 대한 영토적 주장이 없음을 확인할 것이다.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의 내각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최신 제안에 "심각한 변화"를 원하며, 제시된 일련의 아이디어가 분쟁 해결의 기초가 될 수 없다고 발표했다. 니콜라 그루예프스키 총리도 츠르벤코프스키와 의견을 같이 했다.[148]

그리스 신문 카티메리니(Kathimerini)의 영어판은 그리스 외교관들이 제안을 비공식적으로 환영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그리스 외무부 장관 도라 바코야니스(Dora Bakoyannis)는 최신 제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아테네는 스코페 전에 입장을 밝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149] 한편, 모든 주요 야당은 제안이 그리스가 에르가 옴네스(erga omnes)로 사용될 단일 명칭에 대해 설정한 "레드 라인"을 넘었다며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150]

아테네나 스코페가 제안에 공식적으로 응답하기 전에, 아테네 일간지 ''에스노스''(Ethnos)는 미국 국무부(U.S. Department of State)의 비밀 외교 서신으로 추정되는 내용을 게재했다. 2018년까지 기밀로 분류되었던[151] 유출된 문서는 7월 초부터 워싱턴과 스코페 사이에 니미츠 제안의 주요 조항에 대한 뒷거래를 자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52] 신문에 따르면, 유엔이 후원하는 최신 아이디어는 3개월 전에 콘돌리자 라이스(Condoleezza Rice) 미국 국무장관이 스코페를 기쁘게 하기 위해 비밀리에 구상한 것이라고 한다.[153] 이 보도는 그리스에서 분노를 촉발하여, 야당은 정부가 유엔 중재 과정에서 "미국의 간섭"을 용인하고 협상에서 그리스의 철수를 요구한다고 비난했다.[154] 스코페는 워싱턴과의 비밀 거래 존재에 대한 모든 주장을 "강력하고 단호하게" 부인했다.[153]

"'''마케도니아'''"라는 광역 지명은 알렉산드로스 3세 (대왕)를 배출한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옛 영토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는 그리스령 및 북마케도니아 공화국령으로 걸쳐 있는 지역 (그 외 일부는 불가리아령 및 알바니아령)이 이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그 면적의 절반 이상은 그리스에 속한다.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은 고대 그리스인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며, 왕도 펠라는 현재 그리스령에 존재한다.

이후 "마케도니아" 지역에는 슬라브인이 정착하게 되었다.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마케도니아에서 슬라브계 주민들은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칭하며 민족 의식을 키워나갔다.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 참조). 그들 중에는 마케도니아 지역을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에 의해 통일하려는 "통일 마케도니아"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나타났다. 이러한 주장은 그리스인들에게 공격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국으로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된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1991년에 독립한 이래, 그리스는 자국의 문화 유산이라고 주장하며 국호 사용에 반대해 왔다. 게다가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유럽 연합 가입을 막는 등, 대립은 여러 분야에 걸쳐 발생했다.[412]

2018년 6월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조란 자에프 총리가 주도하여, 해당 국가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국호를 변경하는 것에 대해 그리스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 프레스파 협정에 합의했다. 양국 내에서 국호 변경 합의에 반대하는 세력이 존재하는 가운데, 야당 세력의 와해 등이 이루어졌고, 우선 2019년 1월 11일에 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가 국호 변경을 위해 필요한 헌법 개정안을 승인(찬성 81표, 반대 39표)했으며[413], 같은 해 1월 25일에는 그리스 의회에서 개명 합의가 승인(찬성 153표, 반대 146표, 기권 1표)되어, 마케도니아의 국호 변경에 대한 논쟁은 종결되었다.[414] 같은 해 2월 12일에 개명이 발효되었고, 다음 날인 13일에는 국호 변경을 국제 연합에 통보했다.[415]

4. 2. 역사적 정통성 문제

그리스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마케도니아'라는 국호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알렉산드로스 3세와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로 대표되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와 유산을 자국의 것으로 전유하려는 시도이자 그리스 북부 영토에 대한 잠재적 야심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강력히 반대했다.[412] 그리스는 이러한 행위가 지역 안정을 해칠 수 있다고 우려하며,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명 변경을 요구했다.

역사적으로 '마케도니아'라는 지명은 복잡한 변천 과정을 거쳤다.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고대 그리스인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수도 펠라를 포함한 핵심 영토는 현재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지역에 위치한다. 반면,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영토 대부분은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북쪽에 있던 페오니아 왕국의 영역과 거의 일치한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의 속주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영토뿐만 아니라 페오니아와 고대 트라키아 일부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행정 구역이었다. 이후 이 속주는 남부의 '마케도니아 프리마'(현대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과 유사)와 북부의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현대 북마케도니아 지역과 유사)로 나뉘었다.

비잔틴 제국 시기에는 슬라브족이 대거 이주하면서 이 지역의 인구 구성과 문화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비잔틴 제국은 제국 동부, 즉 현재의 트라키아 지역에 '마케도니아 테마'라는 행정 구역을 설치했는데, 이로 인해 발칸 지역의 기독교인들에게 '마케도니아'는 점차 고대 왕국과는 다른 지역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2] 서유럽인들이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영토를 '마케도니아'로 인식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는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의 별도 행정 구역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 지역은 룸멜리아 속주의 일부였다. '마케도니아'라는 지명은 19세기 그리스 독립 이후 민족주의 부상과 함께 다시 강조되기 시작했다.[13][14][15][16][17] 같은 시기, 오스만 제국 내 슬라브계 주민들 사이에서는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으로 인식하는 민족 정체성이 발달했으며(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참조), 일부는 마케도니아 지역 전체를 슬라브계 민족 국가로 통일하려는 '통일 마케도니아' 사상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러한 주장은 그리스에게 영토적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현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지형도


20세기 초 발칸 전쟁을 거치며 마케도니아 지역은 그리스, 세르비아, 불가리아 등에 의해 분할되었고,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지역은 세르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을 거쳐, 1946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으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그리스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 공화국의 이름에 '마케도니아'가 사용된 것 자체를 즉각 문제 삼으며, 이를 그리스 영토에 대한 잠재적 주장으로 해석하고 반발했다. 이러한 우려는 이미 1944년 미국 정부에 의해서도 제기된 바 있었다.[327] 그리스 정부와 언론은 유고슬라비아 시기 내내 이러한 입장을 견지했다.[20]

199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국호 문제는 본격적인 국제 분쟁으로 떠올랐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호와 더불어 고대 마케도니아 왕가의 상징인 베르기나의 태양을 국기에 사용하자[330], 그리스는 이를 자국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에 대한 도용이자 영토적 야심의 표현으로 간주하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러한 역사적 정통성 논란은 국호 분쟁의 핵심 쟁점 중 하나로 작용했으며, 오랜 외교적 갈등 끝에 2018년 프레스파 협정을 통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면서 공식적으로 해결되었다.[412][413][414][415]

4. 3. 영토 분쟁 가능성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사용하는 "마케도니아"라는 국명이 자국 영토에 대한 야욕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알렉산드로스 3세와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 시절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역사를 근거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그리스 북부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가능성을 우려했다.[412] 또한,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서 일부 슬라브계 주민들이 주장했던 마케도니아 지역 통일 개념인 "통일 마케도니아" 역시 그리스에게는 위협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에 그리스는 지역 안정을 위해 현재 국경선을 유지하고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명을 변경할 것을 유럽 연합 등 국제사회에 요구했다.

1991년 독립한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사용한 국기에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상징인 베르기나 태양을 포함시킨 것[330]과 헌법의 일부 조항은 그리스 측에서 영토 회복주의적 의도로 해석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그리스에 대한 영토적 야욕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나[21], 그리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조치가 필요했다.

결국 양국은 1995년 9월 유엔의 중재 하에 잠정 협정을 체결했다.[47][48] 이 협정에 따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에서 베르기나 태양 문양을 제거하고, 헌법에서 영토 회복주의로 해석될 수 있는 조항을 수정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영토적 야심이 없음을 명확히 하려는 조치였다. 그 대가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기구에서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이라는 임시 명칭을 사용하는 조건 하에,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 등 여러 국제기구 가입에 반대하지 않기로 동의했다.[49] 이 잠정 협정은 양국 간 영토 분쟁의 가능성을 낮추는 데 기여했지만, 국호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갈등은 해결되지 않은 채 남게 되었다.

5. 국제사회의 입장과 중재 노력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독립 이후 국호 문제는 그리스와의 외교적 마찰을 넘어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는 양국 간의 분쟁 해결을 위해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

유엔(UN)은 분쟁 초기부터 중재에 나섰고, 사이러스 밴스 등의 중재를 통해 1995년 9월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관계 정상화를 위한 잠정 협정을 체결했다.[47][48] 이 협정으로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와 헌법 일부를 수정하는 대신,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이라는 임시 명칭을 사용하는 조건 하에 국제기구 가입을 반대하지 않기로 했다.[49] 이를 통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등에 가입할 수 있었다.[49] 이후에도 유엔 특별 대표 매튜 니미츠가 지속적으로 중재안을 제시했지만[53][78] 최종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국제 사회의 입장은 엇갈렸다. 미국, 러시아, 중국 등 다수 국가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헌법상 명칭으로 인정했지만[59], 유럽 연합 회원국 등은 임시 명칭을 사용하며 그리스 입장을 고려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NATOEU 가입을 추진하면서 그리스와의 갈등은 다시 심화되었다. 그리스는 국호 문제 해결을 가입의 전제 조건으로 내세우며[73][74][75], 2008년 부쿠레슈티 NATO 정상회의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초청을 실제로 무산시켰다.[94][95]

이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그리스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고, 2011년 ICJ는 그리스의 NATO 가입 반대가 잠정 협정 위반이라고 판결했다.[156][157] 그러나 이 판결이 국호 문제 해결이나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즉각적인 국제기구 가입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59]

이처럼 국제 사회는 유엔을 중심으로 중재 노력을 지속했으나, 양국의 입장 차이로 인해 분쟁 해결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분쟁 기간 동안 경제 협력 등 실용적인 관계는 유지하기도 했다.[67]

5. 1. 유엔과 유럽 연합

양국의 분쟁이 심화되자 유럽 연합(EU)은 1994년 5월, 그리스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취한 무역 봉쇄 조치를 유럽 사법 재판소에 제소했다. EU는 그리스의 조치가 불법이며 지역 안정을 해치는 행위라고 판단했다. 당시 보스니아 내전이 격화되고 코소보 지역도 불안정한 상황이었기에, EU는 발칸반도에서 더 이상의 분쟁 확산을 원치 않았다. 그리스가 EU 회원국이었기 때문에 조정은 비교적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

유엔(UN)의 중재 노력 끝에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1995년 9월 13일 미국 뉴욕에서 잠정 협정에 서명하며 양자 관계를 공식화했다.[47][48] 이 협정에 따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에서 베르기나 태양 문양을 제거하고 헌법에서 영토 회복주의 관련 조항을 삭제하기로 했다. 양국은 유엔의 지원 하에 국호 문제에 대한 협상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817호 2항에 명시된 임시 명칭, 즉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을 사용하는 한, 국제기구 가입 신청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기로 동의했다. 이를 통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NATO의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등 여러 국제기구 및 협력체에 가입할 수 있었다.[49] 이 협정은 국제법상 구속력을 가지나, 특이하게도 당사국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고 그리스를 '제1 당사자'(수도 아테네),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제2 당사자'(수도 스코페)로 지칭했다.[21][38] 사이러스 밴스가 유엔 사무총장 특별 특사 자격으로 협정 서명에 증인으로 참여했다.[51]

그러나 국호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교착 상태에 빠졌다.[52] 유엔 특별 대표 매튜 니미츠는 여러 차례 중재안을 제시했다. 2005년에는 공식 명칭으로 'Republika Makedonija-Skopje'를 제안했으나 마케도니아 공화국 총리 블라도 부치코프스키는 이를 거부하고, 국제 사회에서는 'Republic of Macedonia'를, 그리스와의 관계에서는 'FYROM'을 사용하는 '이중 명칭 공식'을 역제안했다.[68][69] 같은 해 10월 니미츠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인정한 국가는 'Republika Makedonija'를, 그리스는 'Republika Makedonija – Skopje'를, 국제기구는 라틴 문자 표기 'Republika Makedonia'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그리스가 거부했다.[70] 이후에도 니미츠는 "신 마케도니아", "상 마케도니아" 등 지리적 한정어를 포함한 복합 명칭을 제안했지만[78]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헌법상 국호로 유럽 연합NATO 가입을 추진하자 그리스와의 갈등은 다시 고조되었다. 그리스는 잠정 협정에도 불구하고 국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가입을 거부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73][74][75] 그리스 외무장관 도라 바코야니스는 "국호 문제가 사전에 해결되지 않으면 그리스 의회는 이웃 국가의 EU 및 NATO 가입을 비준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언했다.[74][75] 그리스 총리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역시 2007년 10월,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 없이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NATO나 EU에 가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77]

결국 2008년 4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NATO 정상회의에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초청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고,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은 무산되었다.[94][95] 유럽 이웃 관계 및 확대 담당 위원이었던 올리 렌은 그리스의 거부권 행사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EU 가입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91][92][93]

이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2008년 11월, 그리스가 NATO 가입을 막음으로써 1995년 잠정 협정 제11조를 위반했다며 그리스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다. 2011년 12월 5일, ICJ는 그리스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NATO 가입에 반대한 것은 잠정 협정 제11조 1항 위반이라고 판결했다.[156][157] 마케도니아 공화국 외무장관 니콜라 포포스키는 판결을 환영하며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158] 반면, 그리스 외무부는 판결 내용을 검토하겠다면서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선린 관계 원칙 등 협정상의 의무를 위반했다고 비난하며 "해결에 관심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158][160][161] ICJ는 그리스에게 향후 유사한 행동을 자제하라고 명령해달라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요청은 기각했으며, EU가 국호 문제 해결을 가입 협상 개시의 전제 조건으로 삼는 입장에도 변화는 없었다.[159]

ICJ 판결 이후에도 유엔 중재자 니미츠의 중재 하에 협상은 계속되었으나[166], 양측의 입장 차이로 인해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지는 못했다. 2009년 2월 협상 재개 시 니미츠는 새로운 제안을 내놓지 않았고, 양국 선거 이후 협상을 이어가기로 합의했다.[167]

5. 2. 미국과 러시아

러시아는 1994년에 마케도니아와 국교를 수립했으며, 미국은 이듬해인 1995년 9월 13일에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전면적인 외교 관계를 맺었다. 미국은 외교 관계 수립과 함께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 간의 국호 분쟁을 막후에서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당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던 유럽 연합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하고, 국제 여론 또한 마케도니아에 동정적으로 흐르자 분쟁이 자국에 불리하다고 판단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미국의 중재 노력 등에 힘입어 1995년 9월 13일 뉴욕에서 잠정 협정에 서명했다.[47][48] 이 협정은 양국 관계를 공식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협정에 따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에서 베르기나의 태양 문양을 제거하고 헌법에서 영토 회복주의 관련 조항을 삭제하기로 했으며, 양국은 유엔(UN)의 지원 아래 국명 문제에 대한 협상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817호에 명시된 임시 명칭(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사용하는 한, 국제 기구 가입 신청에 반대하지 않기로 동의했다. 이 합의 덕분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 등 여러 국제 기구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49] 당시 유엔 사무총장 특별 특사였던 사이러스 밴스가 잠정 협정의 증인이었다.[51]

이후에도 미국과 러시아는 마케도니아 국호 문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07년 9월까지 미국, 러시아, 중국을 포함한 118개국(UN 회원국의 61%)이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헌법상 명칭으로 인정했다.[59] 러시아는 유엔의 중재를 통해 도출되는 어떠한 해결책도 지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모스크바 주재 그리스 대사 안드레이 브도빈은 "그렇게 하는 데 문제가 있는 다른 국가가 있는 것 같다"고 언급하며 그리스 측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62]

2008년 NATO 가입 문제로 갈등이 다시 고조되었을 때도 미국은 중재 노력을 이어갔다. 당시 미국 국무부의 유럽 및 유라시아 담당 차관보였던 대니얼 프리드는 스코페를 방문하여 양측이 유엔 중재자 매슈 니미츠와 협력하여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도록 촉구했다.[96] 또한 미국 NATO 대사였던 빅토리아 눌런드도 분쟁 해결을 위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102] 이러한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았으나, 미국과 러시아 등 주요국들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인정 및 중재 노력은 국호 분쟁 해결 과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5. 3. 국제사법재판소(ICJ)



2008년 11월, 마케도니아 공화국그리스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그리스가 2008년 부쿠레슈티 정상회담에서 자국의 NATO 가입을 반대한 것이, 1995년 9월 13일 양국이 서명한 임시 협정 제11조에 따른 의무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60][161]

양측은 각자의 입장을 담은 기억 각서와 반박 각서를 제출하고 공개 심리를 거쳤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법원이 그리스의 협정 위반을 인정하고, 향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국제기구에 가입 신청할 경우 그리스가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명령해 줄 것을 요청했다. 반면 그리스는 법원이 이 사건에 대한 관할권이 없으므로 기각하거나, 설령 관할권이 인정되더라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판결해 줄 것을 요청했다.

2011년 12월 5일, ICJ는 최종적이고 항소할 수 없는 판결을 내렸다.[156] 법원은 이 사건을 다룰 관할권이 있다고 판단했으며, 그리스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NATO 가입에 반대한 것은 1995년 임시 협정 제11조 1항에 따른 의무를 위반한 것이라고 판결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제기한 다른 주장들(예: 향후 가입 방해 금지 명령)은 기각했다.[157]

마케도니아 공화국 외무장관 니콜라 포포스키는 ICJ의 결정을 환영하며, 그리스와의 국호 문제에 대한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스 외무부는 결정을 검토 중이며, 국호 문제 해결을 위해 성실하게 협상할 것이라고 반응했다.[158] 하지만 ICJ 판결에도 불구하고,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EU 가입 협상은 국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시작될 수 없다는 EU의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159]

판결 이후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해결에 관심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비난하며,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협정에 명시된 기본적인 의무와 선린 관계의 원칙을 노골적으로 위반했다고 주장했다.[160][161] 반면 마케도니아 공화국 총리 니콜라 그루에프스키는 그리스를 제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국호 협상을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62] 한편,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는 ICJ 제소가 "귀중한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며 정부의 결정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소송 과정이 몇 년이 걸릴 수 있고, ICJ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유리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이를 강제할 방법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와 다른 입장을 보였다.[165]

6. 프레스파 협정 이후의 상황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조란 자에프 총리는 오랜 국호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역사적인 프레스파 협정에 정식으로 서명했다. 이 협정의 핵심 내용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는 대신, 그리스는 북마케도니아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 추진에 동의한다는 것이었다. 이 합의는 수십 년간 양국 관계를 경색시키고 북마케도니아의 국제기구 가입을 가로막았던 핵심적인 장애물을 제거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6. 1. 북마케도니아의 NATO 가입

북마케도니아(구 마케도니아 공화국)는 독립 이후 NATO 가입을 주요 외교 목표 중 하나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그리스와의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이 오랜 기간 동안 가입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이 자국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이웃 국가가 해당 명칭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강력히 반대했고, 국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NATO 가입을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했다.[412]

1995년 9월, 양국은 유엔의 중재 하에 잠정 협정을 체결했다.[47][48] 이 협정에 따라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국기에서 베르기나 태양 문양을 제거하고 헌법에서 영토 회복주의적 함의를 가질 수 있는 조항을 삭제하기로 약속했다. 대신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기구에서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이라는 임시 명칭을 사용하는 조건 하에, 해당 국가의 국제기구 가입을 반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 덕분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유럽 평의회,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NATO의 평화를 위한 파트너십(PfP)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국제 조직 및 이니셔티브에 참여할 수 있었다.[49]

하지만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헌법상 국호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NATO 정식 회원국 가입을 추진하자, 그리스는 다시 강경한 입장으로 돌아섰다. 그리스 정부는 국호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으면 NATO 가입에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여러 차례 공언했다.[73][74][75] 결국 2008 부쿠레슈티 정상 회담에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NATO 가입 초청을 공식적으로 반대하며 거부권을 행사했고, 이로 인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NATO 가입은 무산되었다.[94][95] 당시 그리스 총리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해결책이 없으면 초청도 없다"고 발언하며 그리스의 단호한 입장을 재확인했다.[85] 이 사건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큰 좌절을 안겼으며, 당시 집권 중이던 민족주의 성향의 VMRO-DPMNE 정부는 이후 고대 마케도니아 역사를 강조하며 알렉산더 대왕 등의 이름을 공항이나 고속도로 명칭에 사용하는 등 이른바 'Antiquisation' 정책을 강화했다. 이는 그리스와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고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137][142]

오랜 교착 상태를 깨고 국호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한 것은 2017년 출범한 조란 자에프 총리의 사회민주주의 정부였다. 자에프 총리는 그리스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의 적극적인 대화와 협상을 통해 역사적인 합의를 이끌어냈다. 2018년 6월, 양국 정상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했다.[412] 이 협정은 양국 내 민족주의 세력의 극심한 반대에 직면했지만, 양국 정부는 정치적 부담을 감수하며 협정 비준을 추진했다. 2019년 1월, 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413]그리스 의회[414]가 차례로 프레스파 협정을 비준하면서 국호 변경이 최종 확정되었고, 2019년 2월 12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새로운 국호가 공식 발효되었다.[415]

프레스파 협정을 통해 수십 년간 지속된 국호 분쟁이 해결되면서 북마케도니아의 NATO 가입을 가로막던 가장 큰 장애물이 제거되었다. 그리스는 더 이상 북마케도니아의 NATO 가입을 반대하지 않았으며, 가입 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되었다. 마침내 2020년 3월 27일, 북마케도니아는 NATO의 30번째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오랜 숙원을 이루게 되었다.

6. 2. 북마케도니아의 EU 가입 협상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럽 연합(EU)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헌법상의 국호로 가입하려는 시도는 수년간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으로 인해 난항을 겪었다. 1995년 9월 체결된 잠정 협정에 따라,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제 사회에서 잠정 명칭인 '구 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을 사용하는 조건 하에 국제기구 가입을 반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49] 그러나 그리스의 주요 정치인들은 국호 분쟁이 해결되지 않으면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EU 및 NATO 가입에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73][74][75] 그리스 외무부 장관이었던 도라 바코야니스는 "명칭 문제가 사전에 해결되지 않으면 그리스 의회는 어떤 구성 하에서도 이웃 국가의 EU 및 NATO 가입을 비준하지 않을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74][75] 당시 그리스 총리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처음에는 거부권 행사 가능성을 부인하며,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헌법상의 이름인 '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가입하려 할 경우에만 반대할 것이라고 했으나,[76] 2007년 10월에는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 없이는 NATO나 EU 가입이 불가능하다고 입장을 바꾸었다.[77]

양국 간 협상은 2007년 11월과 12월, 그리고 2008년 1월에 재개되었다. 2008년 2월 19일, 유엔 중재자인 매튜 니미츠는 아테네에서 양국 대표단에게 새로운 협상안을 제시했다. 이 제안은 비밀에 부쳐질 예정이었으나 언론에 유출되었다. 제안의 핵심은 모든 국제적 목적을 위한 "복합 명칭"을 찾는 것이었으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구체적인 이름이 포함되었다.[78]

제안된 국호 (니미츠, 2008년 2월)
마케도니아 헌법 공화국
마케도니아 민주 공화국
마케도니아 독립 공화국
마케도니아 신 공화국
상 마케도니아 공화국



이 제안에 대해 마케도니아 공화국 내에서는 국호 변경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고,[79] 그리스에서도 대중 정교 집회와 같은 민족주의 세력이 '마케도니아' 명칭 사용에 반대하는 시위를 조직했다.[80] 2008년 3월, 니미츠는 회담이 교착 상태에 빠졌음을 인정했고,[83][84] 그리스는 2008년 NATO 부쿠레슈티 정상회의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초청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임을 시사했다.[86][87] 그리스 내 여론도 변화하여, '마케도니아'를 포함하는 복합 명칭에 대한 지지가 이전의 강경 입장보다 약간 높아졌지만, 여전히 대다수는 해결책 없이는 NATO 가입에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87][88]

NATO 사무총장 야프 데 후프 스헤퍼와 EU 확대 담당 집행위원 올리 렌 등 국제 사회 인사들은 마케도니아 공화국 측에 타협을 촉구했다.[90][91][92][93] 2008년 3월 6일, 그리스 외무장관 바코야니스는 NATO 외무장관 회의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완고함"과 "민족주의적 행동"을 이유로 가입 초청에 동의할 수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94][95] 미국의 다니엘 프리드 차관보 등 외교적 노력이 이어졌으나[96], 마케도니아 공화국 내부에서는 알바니아계 정당과의 연정 불안정 문제까지 겹치며 협상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97][101]

니미츠는 2008년 3월 말, "지리적 수식어를 포함하고 모든 목적에 적용되는" 최종 제안을 내놓았으나,[114] 이 역시 양측 모두에게 완전히 수용되지 못했다. 그리스는 제안이 자국의 목표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고,[117][118]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민족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의 해결책을 모색하되, 그리스가 NATO 가입을 거부하면 협상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19][120][121]

한편, 2006년 이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VMRO-DPMNE 정부가 추진한 "Antiquisation" 정책은 고대 마케도니아 역사를 강조하며 알렉산드로스 대왕 등의 이름을 공항, 고속도로, 광장 등에 사용하고 관련 동상을 건립하는 등,[137] 그리스를 자극하고 국호 분쟁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는 국내외적으로 비판을 받았으며, EU 및 NATO 가입 노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42][138]

2008년 조기 총선 이후에도 협상은 간헐적으로 계속되었으나 큰 진전을 보지 못했다. 2009년, 니미츠는 그리스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명칭을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고,[170][173] 협상은 다시 교착 상태에 빠졌다.[175]

이러한 오랜 대립 끝에, 2018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조란 자에프 총리와 그리스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는 프레스파 협정에 합의했다. 이 협정은 양국 의회의 비준을 거쳐 2019년 2월 발효되었고,[413][414][415] 마침내 국호 분쟁이 해결되면서 북마케도니아의 EU 및 NATO 가입 협상에 가장 큰 걸림돌이 제거되었다.[412] 이후 북마케도니아는 NATO에 가입했으며, EU 가입 협상도 계속 진행 중이다.

6. 3. 양국 관계의 개선과 과제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조란 자에프 총리는 역사적인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하며 오랜 국호 분쟁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했다. 이 협정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는 대신, 그리스는 북마케도니아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에 동의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합의는 1995년 체결된 잠정 협정 이후 교착 상태에 빠졌던 양국 관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47][48]

프레스파 협정은 양국 내 민족주의 세력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2019년 1월 북마케도니아 의회그리스 의회에서 연이어 비준되었다.[413][414] 2019년 2월 12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새로운 국호가 공식 발효되었고, 다음 날 국제 연합에도 통보됨으로써 국호 분쟁은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415] 이를 통해 북마케도니아는 NATO 가입의 길을 열게 되었고, 양국 관계는 과거의 대립에서 벗어나 협력의 시대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프레스파 협정 체결에도 불구하고 양국 관계에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역사 인식과 민족주의 문제는 잠재적인 갈등 요인이다. 과거 북마케도니아의 민족주의 정당 VMRO-DPMNE 정부는 소위 'Antiquisation'(고대화) 정책을 추진하며 알렉산더 대왕과 필리포스 2세 등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유산을 강조했다.[137] 스코페 국제공항을 '알렉산더 대왕 공항'으로 명명하고[71], 수도 중심 광장에 거대한 알렉산더 대왕 동상("말을 탄 전사")을 세우는[139][140] 등의 조치는 그리스의 강한 반발을 샀으며[141], 이는 2008년 NATO 부쿠레슈티 정상회담에서 그리스가 북마케도니아의 가입 초청을 거부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126][340][127] 당시 그리스 총리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국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NATO나 유럽 연합 가입을 허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77]

이러한 Antiquisation 정책은 북마케도니아 내부에서도 슬라브계 정체성을 중시하는 이들과 알바니아계 주민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137], 국제 사회의 공감을 얻는 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37] 프레스파 협정 이후 이러한 노골적인 정책은 중단되었지만, 국호 변경에 대한 북마케도니아 내부의 반발 여론은 여전히 존재하며[58] 이는 정치적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스 내에서도 여전히 북마케도니아를 '스코페'라고 부르거나 주민들을 '스코피아노이'(Σκοπιανοίel)와 같은 비하적인 명칭으로 부르는 경향이 남아있다.[63][64]

결론적으로 프레스파 협정은 수십 년간 지속된 국호 분쟁을 해결하고 양국 관계 개선의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지만, 역사 해석을 둘러싼 민족주의적 감정과 국내 정치 상황 등은 여전히 양국 관계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7. 한국의 관점

(내용 없음)

7. 1. 한반도 문제와의 유사성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은 단순히 국가의 명칭을 정하는 문제를 넘어, 관련된 국가들의 정체성과 존엄성이 걸린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전개되었다. 2009년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컨퍼런스에서 조란 요레브스키 당시 마케도니아 대사는 그리스의 입장 변화를 비판하며 "여기에는 한 국가 전체의 존엄성과 정체성이 걸려 있으며, 이는 타협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문제의 본질을 지적했다.[170]

이러한 국호 문제는 국내 정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2008년에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가 해산되고 조기 총선이 치러지기도 했다.[143] 당시 주요 정당들은 국호 분쟁이 선거 국면에서 지나친 정치적 논쟁거리가 되지 않도록 합의하기도 했으나,[144] 이는 문제의 민감성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국제 사회의 중재 노력(매튜 니미츠의 활동[144][145])에도 불구하고 협상은 난항을 겪었으며, 그리스는 2008년 부쿠레슈티 정상회의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초청을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182] 이에 대해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그리스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고, ICJ는 2011년 12월 그리스의 행위가 양국 간의 잠정 협정 위반이라고 판결했다.[185] 재판소는 그리스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NATO 가입을 막은 것이 잘못이라고 판단했지만, 향후 유사한 행동을 금지할 강제력은 없다고 덧붙였다.[185]

이처럼 국가의 이름과 정체성을 둘러싼 갈등은 당사국 간의 첨예한 대립과 국제적인 개입을 동반하며 복잡하게 전개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비단 마케도니아 지역만의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 역사적·정치적 배경이 얽힌 다른 여러 분쟁 지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는 갈등의 성격을 보여준다.

7. 2. 국제 관계와 외교적 노력

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는 2008년 4월 11일 의회 해산을 결의하고 60일 이내에 조기 선거를 치르기로 결정했다.[143] 하지만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당시 대통령은 4개 주요 정당과의 회의 후, 의회 해산에도 불구하고 국호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4] 정당들은 이 분쟁이 선거 기간 동안 정치적 논쟁의 중심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다.[144]

유엔 중재자 매튜 니미츠(Matthew Nimetz)는 2008년 4월 17일 스코페를 방문하고 다음 날 아테네를 방문하여 새로운 협상을 시작했으나, 새로운 제안을 하지는 않았다.[144] 협상은 2008년 4월 30일부터 5월 2일까지 뉴욕에서 계속되었지만, 니미츠는 여전히 새로운 타협안을 제시하지 못했다.[145]

2009년 4월 14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발칸 지역 관련 컨퍼런스에서 마케도니아 대사 조란 요레브스키(Zoran Jolevski)는 그리스가 협상 조건을 계속 바꾸고 있다고 비판하며 국가의 존엄성과 정체성은 타협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리스는 본질적으로 골대를 더 멀리 옮겼고, 우리의 우려는 그들이 계속해서 골대를 또, 또, 계속해서 옮길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그들이 멈출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친애하는 친구 여러분, 여기에는 한 국가 전체의 존엄성과 정체성이 걸려 있으며, 이는 타협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같은 자리에서 미국 주재 그리스 대사 알렉산드로스 말리아스(Alexandros Mallias)는 유엔 중재자 매튜 니미츠가 제안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명칭을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그리스가 수용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170]

2010년 4월 초, 그리스 정부는 "북마케도니아"를 타협 가능한 국호로 고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였으나,[176] 니콜라 그루예프스키 마케도니아 총리는 이를 거부하고 새 국호에 대한 국민투표를 요구했다.[177] 같은 해 6월, 그리스 언론 ''카티메리니''는 양국이 바르다르 강의 이름을 사용하여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지칭하는 방안("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공화국" 등)에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178][179][180] 그러나 마케도니아 디아스포라 단체들은 마케도니아 내에서 그리스와의 국명 협상 중단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벌였다.[181]

UN 중재자 매튜 니미츠와 2012년 11월 협상 라운드 후 기자 회견에서 협상가 조란 욜레브스키와 아다만티오스 바실라키스


한편, 그리스 신민주주의당 대표 안토니스 사마라스가 1995년 잠정 협정을 위반한 혐의로 국제사법재판소(ICJ) 재판에 소환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는 그가 2008년 NATO 정상회의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초청을 그리스 정부가 거부했다고 인정한 발언 때문이었다.[182] 또한, 스코페에 고대 그리스 조각가 리시푸스의 작품을 모방한 알렉산드로스 대왕 기마상이 세워지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의 이름을 딴 경기장이 개장되면서 양국 간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당시 퇴임하던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는 국명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차기 정부의 우선 과제 중 하나로 꼽았다.[183]

2011년 12월 5일, 국제사법재판소(ICJ)는 그리스가 1995년 체결된 잠정 협정을 위반했으며, 2008년 NATO 정상회의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가입 신청을 거부한 것은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재판관 16명 중 15명이 찬성했으며, 그리스 출신 재판관만이 반대 의견을 냈다.[184] 그러나 ICJ는 그리스가 향후 다른 국제회의에서 마케도니아의 가입을 반대하지 못하도록 명령할 관할권은 없다고 덧붙였다.[185] 이후에도 유엔 중재 하에 협상은 계속되었다.

8. 주요 일지

날짜주요 내용
1991년 9월 11일마케도니아, 유고 연방으로부터 독립 선언.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국명 사용 및 독립에 반대.
1992년 6월그리스, 유럽 연합 정상회담에서 국명 변경을 조건으로 마케도니아 승인을 주장.
1992년 8월마케도니아, 국명 변경 불가 입장을 재확인.
1992년 11월그리스, 인접 국가 및 유럽 연합에 기존 국경선 보장을 요구.
1993년 4월 11일마케도니아,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이라는 임시 이름으로 유엔에 가입.
1994년 1월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해 국기 문양(베르기나의 태양) 변경 및 헌법 조항 삭제를 요구하며, 불응 시 국경선 폐쇄를 경고.
1994년 2월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한 경제 봉쇄 조치로 살로니카 항구 봉쇄 감행.
1994년 5월 3일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경제 봉쇄 승인을 거부.
1995년 6월 1일그리스 의회, 영해 확대를 허용하는 국제 해양 협약 비준.
1995년 9월 13일미국, 마케도니아와 전면적 외교 관계 수립. (미국은 이미 마케도니아 정부를 승인했으나, 그리스 입장을 고려해 대사 임명을 지연함)
1995년 9월 14일그리스마케도니아, 외교 관계 정상화 및 경제 제재 해제에 합의하는 임시 협정에 서명.
1995년 11월 15일마케도니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평화를 위한 동반자 관계(PfP) 프로그램에 가입.
2018년 6월 17일그리스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 북마케도니아조란 자에프 총리가 국호 변경 등을 포함한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
2019년 2월 12일마케도니아의 공식 국명이 북마케도니아로 변경됨.


참조

[1] 웹사이트 FYROM Name Issue http://www.mfa.gr/en[...]
[2] 서적 Μακεδονικό Ονοματολογικό Ζήτημα: Μία ανάλυση με βάση την διεθνή ιστορική εμπειρία (Macedonia Naming Dispute: An Analysis Based on International Historical Experience) (in Greek) https://www.academia[...] Bookstars (Athens) 2019
[3] 웹사이트 The man who has focused on one word for 23 years https://www.bbc.com/[...] BBC 2017-08-01
[4] 뉴스 Macedonia sets Sept. 30 for referendum on name deal with Greece https://www.channeln[...] 2018-10-19
[5] 뉴스 Macedonia name referendum fails to reach turnout threshold: election commission https://www.reuters.[...] 2018-09-30
[6] 뉴스 Welcome to North Macedonia: parliament votes for name change https://www.theguard[...] 2023-02-22
[7] 뉴스 Call me by my new name: Balkan nation is North Macedonia now https://www.apnews.c[...] Associated Press 2019-02-12
[8] 문서 North Macedonia Joins the NATO Alliance. Press Statement. Michael R. Pompeo, US Secretary of State. March 27, 2020 https://www.state.go[...]
[9] 서적 The entry of the Slavs into Christendom: an introduction to the medieval history of the Slavs' https://books.google[...] 1970
[10] 서적 Brill's Companion to Ancient Macedon: Studies i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acedon, 650 BC – 300 AD Brill 2011
[11]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Peter Lang 2010
[12] 서적 Macedonian identity: an overview of the major claims 1999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2009
[14] 간행물 D. Livanios' review of Vemund Aarbakke, Ethnic Rivalry and the Quest for Macedonia, 1870–1913 in The Slavonic and East European Review, Vol. 83, No. 1 (Jan., 2005), pp. 141–142
[1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6]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7] 서적 Modern Greece: A History since 1821. A New History of Modern Europe John Wiley & Sons 2009
[1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Cambridge 2002
[19]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20] 웹사이트 Radio Free Europe Archive http://www.osaarchiv[...] Osaarchivum.org 2012-01-20
[21] 서적 Greece C. Hurst & Co 2002
[22] 문서 Recognition of States – Annex 2 https://web.archive.[...]
[23]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9-04-21
[24] 서적 The Australian People: An Encyclopedia of the Nation, Its People and Their Origi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5] 뉴스 Macedonia enlarged http://www.neurope.e[...] 2009-05-07
[26] Youtube Shayne Mooney, head of SBS news in Melbourne, TV coverage of the Greek Macedonian Rally in Melbourne in 1994 https://www.youtube.[...]
[27] 서적 Greece in the Twentieth Century Routledge 2003
[28] 문서 European Council in Lisbon, 26/27 June 1992 http://www.europarl.[...]
[29] 서적 The Greek Paradox: Promise vs. Performance MIT Press 1997
[30] 문서 Former Yugoslavia – UNPROFOR https://www.un.org/D[...]
[31] 뉴스 Compromise Likely to Take Macedonia Into U.N.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32] 문서 Repertoire of the Practice of the Security Council Twelfth Supplement 1993–1995 https://www.un.org/f[...]
[33] 서적 Macedonia Taylor & Francis 2001
[34] 서적 The Balkans in the New Millennium: In the Shadow of War and Peace Routledge 2005
[35] 서적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17 http://www.nato.int/[...] 1993-04-07
[37] 간행물 Admission of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to membership in the United Nation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225 1993-04-08
[38] 서적 Max Planck Yearbook of United Nations Law 1997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8
[39] 서적 The Former Yugoslavia at the Turn of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2003
[40] 서적 European Integration and Disintegration: East and West Routledge 1996
[41] 서적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I.B. Tauris 2004
[42] 서적 Language, Community and the State Intellect Books 1997
[43] 웹사이트 Greek Blockade, U.N. Embargo Threaten Macedonia's Future https://www.washingt[...] 1994-05-25
[44] 서적 Macedonia and Greece: The Struggle to Define a New Balkan Nat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8
[45] 웹사이트 Во февруари 1994 година Грција воведе целосно трговско ембарго кон Македонија http://www.mn.mk/akt[...]
[46] 뉴스 Greece to Lift Embargo Against Macedonia if It Scraps Its Flag https://www.nytimes.[...] 1995-09-14
[47] 서적 The Former Yugoslavia at the Tur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 Guide to the Economies in Transition Routledge 2003
[48] 웹사이트 Interim Accord http://peacemaker.un[...] United Nations 1995
[49] 서적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Routledge 2002
[50] 웹사이트 Agreement on a five year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me 2002–2006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Party of the First Part to the Interim Accord 13 September 1995 and the Government of the Party of the Second Part to the Interim Accord 13 September 1995 https://web.archive.[...]
[51] 웹사이트 Interim Accord http://www.mfa.gov.m[...] United Nations 1995
[52] 논문 A Name for a Conflict or a Conflict for a Name? An Analysis of Greece's Dispute with FYROM https://www.research[...] 1996
[53] 서적 Echoes from the Past: Greece and the Macedonian Controversy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6
[54] 서적 The Human Geography of East Central Europe Routledge 2003
[55] 웹사이트 FYROM Name Issue http://www.mfa.gr/en[...]
[56] 뉴스 Συμβιβασμός ή βέτο (Compromise or Veto) http://www.skai.gr/m[...] 2007-10-14
[57] 웹사이트 Interview of FM Ms. D. Bakoyannis in the Athens daily Kathimerini, with journalist Ms. D. Antoniou (Sunday, 14 October 2007) https://web.archive.[...] Hellenic Republi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58] 뉴스 Macedonians in Favour of NATO Accession Under Constitutional Name A1 TV 2004-06-12
[59] 뉴스 New Draft Resolution Won't Change US Position Towards Macedonia http://www.vmacedoni[...] MIA news agency 2007-08-09
[60] 서적 The Republic of Macedonia: finding its w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61] 뉴스 Βρήκαν τοίχο τα Σκόπια στο Συμβούλιο της Ευρώπης http://enet.gr/onlin[...] 2008-01-22
[62] 뉴스 «Ναι» από τη Ρωσία στο όνομα που θα συμφωνηθεί http://news.kathimer[...] Kathimerini 2008-03-02
[63] 서적 Fields of Wheat, Hills of Blood: Passages to Nationhood in Greek Macedonia, 1870-199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64] 논문 The Politics of Constructing the Ethnic "Other": The Greek State and Its Slav-speaking Citizens, ca. 1912 - ca. 1949 2003
[65]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 2005 https://2001-2009.st[...] 2006-03-09
[66] 문서
[67]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03 http://www.nbrm.gov.[...]
[68] 뉴스 Greece considers Macedonia name http://news.bbc.co.u[...] 2005-04-08
[69] 뉴스 Nimetz Proposal For Macedonia's Name Sparks Debate http://www.balkan-in[...] 2005-04-14
[70] 뉴스 Matthew Nimetz Will Not Present a New Proposal on the Name http://see.oneworld.[...] OneWorld Southeast Europe 2005-10-14
[71] 웹사이트 Kathimerini http://www.ekathimer[...] 2006-12-29
[72] 웹사이트 Nimetz's talks in Athens included 'Alexander the Great' http://www.makfax.co[...] 2007-01-12
[73] 웹사이트 Greece to veto Macedonia's EU, NATO bids if name issue not resolved http://setimes.com/c[...] 2007-09-19
[74] 웹사이트 Embassy of Greece – Washington, DC http://www.greekemba[...] 2006-09-11
[75] 웹사이트 United Macedonian Diaspora http://umdiaspora.or[...] 2006-11-02
[76] 웹사이트 I Never Used the Word Veto http://www.tovimadai[...] 2007-09-11
[77] 웹사이트 Karamanlis: No accession without a solution for the name http://www.e-tipos.c[...] 2007-10-19
[78] 뉴스 Ολόκληρο το κείμενο της πρότασης Νίμιτς (''Whole text of the Nimetz proposal'') https://web.archive.[...] Enet News 2008-03-06
[79] 뉴스 Macedonians Rally 'To Protect Name https://web.archive.[...] Balkan Insight 2008-02-28
[80] 뉴스 Συλλαλητήριο ΛΑΟΣ την άλλη Τετάρτη στη Θεσσαλονίκη" ["LAOS Demonstration next Wednesday in Thessaloniki" https://web.archive.[...] Enet 2008-02-28
[81] 뉴스 Εκ του σύνεγγυς στη Νέα Υόρκη (''Concurrently in New York'')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2-28
[82] 뉴스 Χαμηλοί τόνοι (''Low tones'')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2-29
[83] 뉴스 "Ναυάγιο" στις διαπραγματεύσεις (''"Shipwreck" in the talks'')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2
[84] 뉴스 Στην Αθήνα με "μήνυμα" ο Σέφερ (''[[Jaap de Hoop Scheffer|Scheffer]] in Athens with a "message"'')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2
[85] 뉴스 "Μη λύση σημαίνει μη πρόσκληση" (''No Solution equals No Invitation'')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2
[86] 뉴스 Ώρα μηδέν για το Σκοπιανό (''Time Zero for the Skopjan issue'') https://web.archive.[...] Ant1 News 2008-03-02
[87] 뉴스 Στην Αθήνα τη Δευτέρα ο γγ του ΝΑΤΟ με φόντο το αδιέξοδο στο θέμα της ΠΓΔΜ (''NATO Secretary in Athens on Monday after FYROM issue deadlock'') http://www.in.gr/new[...] in.gr 2008-03-02
[88] 뉴스 Υπέρ του βέτο το 84% των Ελλήνων (''84% of Greeks Are For Veto'')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2
[89] 뉴스 Ενημέρωση για την πρόταση Νίμιτς (''Briefing on Nimetz's proposal'')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2
[90] 뉴스 Macedonia urged to solve name row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3-05
[91] 뉴스 "Παραμένει το χάσμα" (''"The gap remains"'')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5
[92] 뉴스 EU Warns Over Macedonia 'Name,' https://web.archive.[...] BalkanInsight 2008-03-05
[93] 뉴스 Rehn requested settling of the name issue https://web.archive.[...] Makfax Online 2008-03-05
[94] 뉴스 "Η Ελλάδα ανυπέρβλητο εμπόδιο" (''"Greece, an insuperable obstacle"'')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7
[95] 뉴스 "Λύση ή Βέτο" (''"Solution or Veto"'') http://www.skai.gr/m[...] Skai News Video 2008-03-07
[96] 뉴스 Επαφές στα Σκόπια (''Contacts in Skopje'')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08
[97] 뉴스 Albanian party threatens to bring down Macdonian govt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3-12
[98] 뉴스 Νέοι Ελιγμοί (''New Tactics'')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15
[99] 뉴스 Σκόπια: Έκκληση για πολιτική συναίνεση (''Skopje: Call for political cooperation'')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15
[100] 뉴스 Στηρίζουν Γκρουέφκσι (''[They] Support Gruevski'')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15
[101] 웹사이트 Biljali: Macedonia's ethnic balance at risk http://www.setimes.c[...] Southeast European Times, Skopje 2009-06-08
[102] 뉴스 "Η εντολή του Νίμιτς παραμένει ως έχει" (''"Nimetz's order remains unchanged"'')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18
[103] 뉴스 Ξεκίνησαν οι Συνομιλίες (''The Talks Began'')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18
[104] 뉴스 Αισιόδοξος ο Νιμιτς (''Nimetz is Optimistic'')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3-18
[105] 뉴스 По Виена Нимиц е поголем оптимист за името http://www.utrinski.[...] Utrinski Vesnik 2008-03-18
[106] 뉴스 http://www.tovimadai[...] 2008-03-19
[107]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3-19
[108]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3-18
[109]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3-22
[110]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3-22
[111]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3-22
[112] 뉴스 in.gr http://www.in.gr/new[...] 2008-03-22
[113] 뉴스 http://www.tovimadai[...] 2008-03-21
[114]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3-26
[115] 뉴스 http://www.skai.gr/m[...] 2008-03-26
[116] 뉴스 http://www.a1.com.mk[...] 2008-03-26
[117] 뉴스 Den ikanopoieí tēn Elláda ē prótasē http://www.ethnos.gr[...] 2008-03-26
[118] 뉴스 http://www.a1.com.mk[...] 2008-03-26
[119] 뉴스 http://www.dnevnik.c[...] 2008-03-26
[120] 뉴스 http://www.novamaked[...] 2008-03-26
[121] 뉴스 http://www.vest.com.[...] 2008-03-26
[122] 뉴스 Macedonia police examine death threats over name dispute http://iht.com/artic[...] 2008-03-27
[123]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4-03
[124] 뉴스 Mega channel https://web.archive.[...] 2008-04-03
[125] 간행물 NATO 2008 Bucharest summit http://www.summitbuc[...] 2008-04-13
[126] 웹사이트 Interview of FM Ms. Bakoyannis in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with journalist Michael Martens http://www.mfa.gr/ww[...] 2008-04-06
[127] 웹사이트 the picture at Greeksoccer.com https://web.archive.[...] 2008-04-06
[128] 뉴스 Telegraph.co.uk https://web.archive.[...] The Daily Telegraph
[129] 뉴스 Greece insists Macedonia will not be invited to join NATO if name issue is not resolved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8-04-06
[130] 뉴스 in.gr http://www.in.gr/inn[...] 2008-04-06
[131] 뉴스 News.bg https://web.archive.[...] 2008-04-06
[132] 뉴스 Greek fury over swastika poster http://news.bbc.co.u[...] BBC News
[133] 뉴스 Eleftherotypia https://web.archive.[...] 2008-04-05
[134] 뉴스 Eleftherotypia http://www.enet.gr/o[...] 2008-04-05
[135] 뉴스 Skai News http://www.skai.gr/m[...] 2008-04-06
[136] 뉴스 Washington Times http://www.washingto[...] 2008-04-30
[137] 웹사이트 Ghosts of the past endanger Macedonia's future http://www.balkanins[...] 2009-10-27
[138] 서적 Comparative Archaeologies: A Sociological View of the Science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
[139] 뉴스 Macedonia statue: Alexander the Great or a warrior on a hors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8-14
[140] 뉴스 Is Macedonia's capital being turned into a theme park? http://edition.cnn.c[...] CNN International 2011-10-10
[141] 뉴스 Athens complains about Skopje arch http://www.ekathimer[...] Kathimerini 2012-01-19
[142] 뉴스 Greece slates Skopje's provocative Alexander statue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1-06-15
[143] 뉴스 Early elections in FYROM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4-12
[144] 뉴스 Negotiations continue http://www.skai.gr/m[...] Skai News 2008-04-12
[145] 뉴스 Macedonia, Greece continue name dispute talks in New York http://www.setimes.c[...] Southeast European Times 2008-05-27
[146] 뉴스 Интегралната верзија на предлог-документот од медијаторот Нимиц https://web.archive.[...] Dnevnik 2008-10-10
[147] 뉴스 Παράθυρο για διπλή ονομασία http://www.tanea.gr/[...] Ta Nea 2008-10-10
[148] 뉴스 Makfax Online, internet daily newspaper Makfax Online
[149] 웹사이트 Kathimerini, English edition http://www.ekathimer[...] Ekathimerini.com 2012-01-20
[150] 웹사이트 (in Greek) http://www.in.gr/new[...] in.gr 2012-01-20
[151] 뉴스 Θα τα περάσουμε όλα σιωπηλά http://www.ethnos.gr[...] 2008-10-20
[152] 뉴스 Οι ιδέες ήταν τελικά της Ράις http://www.ethnos.gr[...] 2008-10-20
[153] 뉴스 Macedonia Denies 'Secret Work' with US http://balkaninsight[...] 2008-10-22
[154] 뉴스 Απροκάλυπτη παρέμβαση http://www.ethnos.gr[...] 2008-10-20
[155] 웹사이트 Sofia News Agency http://www.novinite.[...] Novinite.com 2012-07-08
[15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Press Release 2011/35 – The Court to deliver its Judgment on Monday 5 December 2011 at 10 a.m, 24.11.2011 http://www.icj-cij.o[...] 2012-01-20
[157] 웹사이트 eACI_Press_Communiques_2011-37_20111205_03p http://www.icj-cij.o[...] 2012-01-20
[158] 뉴스 ICJ rules Greece 'wrong' to block Macedonia's Nato bid https://www.bbc.co.u[...] BBC News 2011-12-05
[159] 뉴스 The Economist, 11 Dec. 2011 https://www.economis[...] Economist.com 2012-01-20
[160] 뉴스 Κουμουτσάκος: Η ΠΓΔΜ επιβεβαιώνει ότι δεν ενδιαφέρεται για επίλυση http://www.kathimeri[...] 2008-11-18
[161] 뉴스 Greece Pans Macedonia Over World Court Bid https://web.archive.[...] Balkan Insight 2008-11-18
[162] 웹사이트 Сарачини: Размената на искуства неопходна за создавање конкурентна економија https://vlada.mk/nod[...] 2012-03-14
[163] 뉴스 EU Quiet on Macedonia's World Court Bid https://web.archive.[...] Balkan Insight 2008-11-18
[164] 뉴스 Czech Republic keeps supporting Macedonia's accession to NATO https://web.archive.[...]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2010-08-14
[165] 뉴스 Τσερβένκοφσκι: Χάσιμο χρόνου η προσφυγή στο Διεθνές Δικαστήριο http://www.kathimeri[...] 2008-12-01
[166] 웹사이트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http://www.mia.com.m[...] Mia.com.mk 2012-01-20
[167] 웹사이트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http://www.mia.com.m[...] Mia.com.mk 2012-01-20
[168] 웹사이트 Macedonian Government web site http://www.vlada.mk/[...]
[169] 웹사이트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Greece rejects FM Milososki's initiative http://www.mia.com.m[...] Mia.com.mk 2012-01-20
[170] 웹사이트 Makfax News Agency of Macedonia – Greece – Good proposal over name finally on table http://makfax.com.mk[...]
[171] 웹사이트 Balkan Sight, No Progress in Macedonian Name Row http://www.balkanins[...] 2019-01-14
[172] 웹사이트 Kathimerini, Foreign Minister Bakoyannis calls for FYROM shift http://www.ekathimer[...] Ekathimerini.com 2012-01-20
[173] 웹사이트 Second Indictment Against Zeljko Jukic https://balkaninsigh[...] 2012-03-14
[174] 웹사이트 Macedonian negotiator meets with Nimetz http://macedoniadail[...] Macedoniadaily.blogspot.com 2012-01-20
[175] 웹사이트 Kanal 5: Matthew Nimetz plans to freeze Greek-Macedonian talks for a few months http://www.focus-fen[...] Focus-fen.net 2012-01-20
[176] 웹사이트 Greece could accept name Northern http://www.eurasiare[...] 2010-04-06
[177] Youtube MEGA ΓΕΓΟΝΟΤΑ - Όχι Γκρούεφσκι στο Βόρεια Μακεδονία - κόσμος https://web.archive.[...] Mega Tv 2010-04-24
[178] 웹사이트 Macedonia to add 'Vardar' to its name http://www.euractiv.[...] Euractiv.com 2010-06-16
[179] 웹사이트 Towards an agreement for the name "Macedonia of Vardar" http://greece.greekr[...] Greece.greekreporter.com 2010-06-14
[180] 뉴스 Solution in sight for name dispute http://www.ekathimer[...] Kathimerini
[181] 웹사이트 Our Name is Macedonia http://www.mhrmi.org[...] Mhrmi.org
[182] 웹사이트 Macedonia will Summon Fast Talking Samaras as Witness http://macedoniaonli[...] Macedonian International News Agency 2011-01-29
[183] 웹사이트 Greek government collapse not helping Macedonia, 9.11.2011 http://euobserver.co[...] EU Observer 2011-11-09
[184] 뉴스 The Guardian The Guardian 2011-12-05
[185] 웹사이트 JUDGMENT of ICJ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IM ACCORD OF 13 SEPTEMBER 1995 http://www.icj-cij.o[...]
[186] 웹사이트 MINA Breaking News - UN mediator Nimetz to meet with Jolevski and Vassilakis in New York http://macedoniaonli[...]
[187] 뉴스 New proposal reportedly tabled in Macedonia name dispute http://www.b92.net/e[...] B92 English 2013-04-15
[188] 뉴스 Macedonia calls for pressure on Greece in name dispute http://www.ft.com/cm[...] 2013-12-03
[189] 뉴스 Greece suggest "Slavic-Albanian Macedonia" to end dispute http://www.b92.net/e[...] B92 English 2013-10-29
[190] 웹사이트 Ex-Mediator Says Macedonia 'Name' Talks Failed http://www.balkanins[...] BalkanInsight 2013-11-04
[191]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 passes the Resolution on FYR Macedonia http://www.balkaneu.[...] Independent Balkan News Agency 2014-02-06
[192] 웹사이트 Utrinski Vesnik, Macedonia: Matthew Nimetz sets new round of name issue talks http://www.focus-fen[...] FOCUS News Agency 2014-03-21
[193] 웹사이트 UN mediator tables new proposal for Macedonia's name http://www.euractiv.[...] EurActiv 2013-04-16
[194] 웹사이트 UN Mediator: Gaps Remain on Greece-Macedonia Name Deal http://www.balkanope[...] Balkan Open Report 2013-09-13
[195] 뉴스 Macedonia's Ruling SDSM Claims Victory In Municipal Elections After Early Results https://www.rferl.or[...]
[196] 뉴스 Macedonia's PM hopes for quick solution to name dispute with Greece https://www.reuters.[...]
[197] 뉴스 Macedonia naming dispute: Balkan nation set to resolve 25-year-old row with Greece for seats in NATO, EU http://www.firstpost[...]
[198] 뉴스 Macedonia and Greece appear close to settling 27-year dispute over name https://www.theguard[...]
[199] 뉴스 Nimetz: Term 'Macedonia' to be included in name proposal http://www.ekathimer[...]
[200] 뉴스 UN presents new proposals on Greece-Macedonia name dispute https://www.washingt[...]
[201] 뉴스 Here are the 5 name variations UN Envoy Nimetz proposed to Greece and FYROM http://www.keeptalki[...] KeepTalkingGreece
[202] 뉴스 Greece and FYROM called to decide among five names http://neoskosmos.co[...] NeosKosmos
[203] 뉴스 Pros and cons of Nimetz proposals on FYROM http://news.in.gr/gr[...] NewsIn
[204] 뉴스 These are the five names of the Nimetz proposal according to a Macedonian website http://topradio.gr/%[...] Top Radio
[205] 뉴스 OI PROTASEIS NIMITS STO TRAPEZI – Poiá eínai ta onómata pou proteínei https://news.makedon[...] NewsMacedonias
[206] 뉴스 Five variations on name Macedonia tabled by Nimetz http://www.tovima.gr[...] ToVima
[207] 뉴스 FYROM media reports UN mediator's name proposals http://www.ekathimer[...]
[208] 뉴스 Macedonian Deputy PM In Athens For Talks On Name Dispute https://www.rferl.or[...] RFERL
[209] 뉴스 Greece and FYROM PMs to meet over 'Macedonia' name dispute http://neoskosmos.co[...]
[210] 뉴스 PMs to meet after 'Macedonia' name dispute rally in Greece https://www.sbs.com.[...]
[211] 뉴스 Tsipras and Zaev unblock Euro-integration process http://nezavisen.mk/[...] 2018-01-24
[212] 뉴스 Macedonia Extends Olive Branch To Greece In Name Dispute https://www.rferl.or[...] 2018-01-24
[213] 뉴스 Public awareness campaign the next step, following the positive Tsipras - Zaev meeting in Davos http://www.balkaneu.[...] BalkanEU 2018-01-24
[214] 뉴스 Macedonia to rename airport amid name row with Greece https://www.sbs.com.[...] SBS 2018-01-24
[215] 뉴스 PMs of Macedonia, Greece Announce Concessions on Name Dispute http://www.balkanins[...] BIRN 2018-01-24
[216] 뉴스 Zaev agrees to change name of Skopje's Alexander the Great Airport, Tsipras to advance FYROM-EU ties http://news.in.gr/en[...] In.gr 2018-01-24
[217] 뉴스 Zaev – Tsipras: "Alexander the Great" highway to be renamed "Friendship" https://europeanwest[...] European Western Balkans 2018-01-24
[218] 뉴스 Zaev's announcement: we are changing the name of the airport and the roads http://www.elefthero[...] Eleftheros Typos 2018-01-24
[219] 뉴스 Tsipras: First a solution to irredendism - Zaev: We change name at airport http://www.kathimeri[...] 2018-01-24
[220] 뉴스 Tsipras for Macedonia: "First we deal with the irredendism, then the name". Zaev: "We will change the name at Skopje airport" http://www.huffingto[...] 2018-01-24
[221] 뉴스 Tsipras, Zaev pledge herald steps to show good will, set red lines http://www.ekathimer[...] 2018-01-25
[222] 뉴스 The reactions of the Macedonian political parties to the Tsipras-Zaev meeting http://www.protothem[...] To Proto Thema 2018-01-25
[223] 뉴스 Macedonia to rename airport to end decades' long feud with Greece https://www.reuters.[...] 2018-03-06
[224] 뉴스 Macedonia—it's complicated http://www.euronews.[...] EuroNews 2018-03-06
[225] 뉴스 Kotzias, Dimitrov note progress, ply ahead with settlement talks http://www.tovima.gr[...] 2018-03-06
[226] 뉴스 Why Macedonians and Greeks Should Work Together https://www.balkanin[...] BalkanInsight 2018-01-24
[227] 뉴스 Kotzias announced revision of Macedonian textbooks from November http://macedonia-mk.[...] 2018-01-24
[228] 뉴스 Mobility with FYROM focusing on Confidence-Building Measures http://www.kathimeri[...] 2017-09-30
[229] 뉴스 Macedonia puts four options forward to resolve name dispute https://www.theguard[...]
[230] 뉴스 City of Skopje starting to take action on Skopje 2014 project: Mayor http://www.mia.mk/EN[...]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2018-03-09
[231] 뉴스 A "Skopje 2014" monument is removed http://www.balkaneu.[...] IBNA 2018-03-09
[232] 뉴스 Macedonia Removes the Skopje 2014 Statue of Andon Kyoseto https://www.euscoop.[...] EUscoop 2018-03-09
[233] 뉴스 Skopje starts removal of 'irredentist' statues put up by Gruevski government http://www.amna.gr/e[...] AMNA 2018-03-09
[234] 뉴스 Removal of monuments in Skopje, whose turn is next? http://www.balkaneu.[...] IBNA 2018-03-09
[235] 뉴스 Skopje authorities start to tear down nationalistic statues http://en.protothema[...] 2018-03-09
[236] 뉴스 Divisive Revolutionary's Statue Vanishes from Macedonian Capital http://www.balkanins[...] BIRN 2018-03-09
[237] 뉴스 New Dimitrov - Kotzias meeting in Thessaloniki this week http://english.repub[...] Republika.mk 2018-05-20
[238] 뉴스 Kotzias and Dimitrov report progress after name talks, say process is continuing https://www.amna.gr/[...] ANMA 2018-05-20
[239] 뉴스 Dimitrov-Kotzias Ohrid meeting: Progress made, but the hardest issues remain https://nezavisen.mk[...] nezavisen.mk 2018-05-20
[240] 뉴스 Republic Of Where? New Name In Play As Macedonia, Greece Seek To End Dispute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 - Radio Liberty 2018-05-20
[241] 뉴스 Tsipras holding talks with Zaev in Sofia http://www.ekathimer[...] 2018-05-20
[242] 뉴스 Athens and Skopje Discuss the Name "Republic of Ilinden Macedonia" http://www.novinite.[...] NoInvite.com 2018-05-20
[243] 뉴스 Skopje said to have proposed 'Republic of Ilinden Macedonia' http://www.ekathimer[...] 2018-05-20
[244] 뉴스 Zaev Cites Agreement With Greeks On 'Ilinden Macedonia' Name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 - Radio Liberty 2018-05-20
[245] 뉴스 Greece resumes flights to Macedonia https://www.bbc.com/[...] 2018-11-01
[246] 웹사이트 "'We have a deal,' Greek PM says over FYROM name row {{!}} Kathimerini" http://www.ekathimer[...] Η Καθημερινή 2018-06-12
[247] 웹사이트 p. 3. http://s.kathimerini[...] 2019-01-14
[248] 웹사이트 The Prespa Agreement (English) http://s.kathimerini[...]
[249] 웹사이트 Greece ends 27-year Macedonia name row https://www.bbc.com/[...] 2018-06-12
[250] 웹사이트 Republic of North Macedonia with Macedonian language and identity, says Greek media http://meta.mk/en/re[...] Meta 2018-06-12
[251] 웹사이트 Agreed on "Northern Macedonia" - Tsipra's speech to the nation about the deal http://www.kathimeri[...] Kathimerini 2018-06-12
[252] 웹사이트 Crashonline.gr https://www.crashonl[...] Crash Online 2018-06-14
[253] 웹사이트 Final Agreement for the Settlement of the Differences as Described 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817 (1993) and 845 (1993), the Termination of the Interim Accord of 1995,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he Parties http://s.kathimerini[...] 2018-06-13
[254] 웹사이트 Update: Macedonia, Greece sign historic name-change deal http://www.enca.com/[...] eNCA 2018-06-17
[255] 뉴스 Greece, Macedonia sign pact to change ex-Yugoslav republic's name https://www.reuters.[...] 2018-06-17
[256] 뉴스 Greece, Macedonia sign historic deal to end name row https://economictime[...] 2018-06-17
[257] 웹사이트 Macedonia, Greece Sign 'Historic' Name Deal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8-06-17
[258] 웹사이트 High Representative/Vice-President Federica Mogherini and Commissioner Johannes Hahn to attend the signing ceremony of the agreement on the name issue at Prespa lake https://eeas.europa.[...] Europa.eu 2018-06-17
[259] 뉴스 Prespa: Alexis Tsipras is the first Greek prime minister to visit Macedonia https://www.huffingt[...] 2018-06-17
[260] 웹사이트 Tsipras: a patriotic and mutually beneficial agreement for the two countries http://int.ert.gr/ts[...] ERT 2018-06-17
[261] 뉴스 License plates to be changed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efsyn.gr/[...] EfSyn.gr 2018-06-13
[262] 뉴스 Zaev: License plates NMK to avoid any provocations in Greece http://english.repub[...] Republika.mk 2018-06-12
[263] 뉴스 Βόρεια Μακεδονία it is – Αλλάζουν πινακίδες και διαβατήρια – Όλο το χρονοδιάγραμμα https://www.newsit.g[...] 2019-02-13
[264] 뉴스 Roth: The name agreement is a unique chance for opening of EU and NATO doors https://nezavisen.mk[...] Nezavisen.mk 2024-11-20
[265] 뉴스 Macedonia to Rename Divisive Statues That Irked Greece http://www.balkanins[...] BalkanInsight 2018-06-15
[266] 뉴스 Macedonia's Parliament Ratifies Historic Deal With Greece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8-06-20
[267] 뉴스 Macedonian assembly adopts amid tensions draft law on name deal with Greece http://www.xinhuanet[...] Xinhua 2018-06-19
[268] 뉴스 Stoilkovski: Are citizens now able to sing the anthem "Today over Macedonia is born"? https://makfax.com.m[...] MakFax 2018-06-21
[269] 뉴스 Macedonia President Refuses to Sign Greece Name Deal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8-06-26
[270] 뉴스 Macedonian dispute: What's next with the agreement after Ivanov's blockade https://www.elefther[...] Eleutheros Typos 2018-06-26
[271] 뉴스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threatens Zaev with a 5-year prison sentence http://www.news247.g[...] News247 2018-06-26
[272] 웹사이트 Ivanov fails to sign law ratifying name agreement https://europeanwest[...] European Western Balkans 2018-06-26
[273] 뉴스 Macedonia, Albania Hail EU Approval for Accession Talks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8-06-27
[274] 뉴스 Macedonia's parliament endorses name deal with Greece for second time https://www.reuters.[...] 2018-07-05
[275] 뉴스 NATO Invites Macedonia to Join the Western Alliance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8-07-11
[276] 뉴스 Macedonia to hold name-change referendum on September 30 https://www.sbs.com.[...] SBS News 2018-07-30
[277] 웹사이트 iVote DEMOKRA - Integrated Election Information System of the State Election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referendum.s[...] 2018-10-14
[278] 뉴스 Macedonia name referendum fails to reach turnout threshold: election commission https://www.reuters.[...] 2018-09-30
[279] 웹사이트 FYROM referendum: the day after https://neoskosmos.c[...] Neos Kosmos 2018-10-05
[280] 웹사이트 Albanian Vote Not Crucial in Macedonia Referendum Shortfall http://www.balkanins[...] Balkaninsight 2018-10-03
[281] 웹사이트 Referendumi/ Mbi 260 mijë shqiptarë votuan pro marrëveshjes https://balkanweb.co[...] BalkanWeb 2019-01-25
[282] 뉴스 Macedonia leader vows to press on with name change despite... https://www.reuters.[...] 2018-10-01
[283] 뉴스 'North' Macedonia parliamentary debates hit deadlock https://emerging-eur[...] 2018-10-17
[284] 웹사이트 Macedonia parliament to vote on name change https://www.aljazeer[...] 2018-10-18
[285] 뉴스 https://www.news247.[...] 2018-10-17
[286] 웹사이트 Welcome to North Macedonia: parliament votes for name change https://www.theguard[...] 2018-10-20
[287] 웹사이트 Macedonian Lawmakers OK Draft Language For Name-Change Amendment https://www.rferl.or[...] 2018-12-05
[288] 웹사이트 Macedonia MPs Pass Amendments to Change Country's Name http://www.balkanins[...] Balkaninsight 2019-01-25
[289] 웹사이트 Emri i Maqedonisë/ Parlamenti miraton ndryshimet kushtetuese, shqiptarët votojnë 'pro' http://www.panorama.[...] Panorama 2019-01-25
[290] 웹사이트 The Latest: Macedonia backs name change to North Macedonia https://apnews.com/a[...] 2019-01-11
[29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al revisions passed by the Macedonian parliament (original: Υπερψηφίστηκε η συνταγματική αναθέωρηση από τη Βουλή της ΠΓΔΜ http://www.kathimeri[...] 2019-01-11
[292]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by NATO and EU to Zoran Zaev for the approval of the Prespa Agreement (original: Συγχαρητήρια ΝΑΤΟ και ΕΕ σε Ζάεφ για την επικύρωση της Συμφωνίας των Πρεσπών http://www.kathimeri[...] 2019-01-11
[293]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by Tsipras to Zaev for the approval of the Agreement (original: Συγχαρητήρια Τσίπρα στον Ζάεφ για την κύρωση της συμφωνίας http://www.kathimeri[...] 2019-01-11
[294] 웹사이트 Macedonia MPs Pass Amendments to Change Country's Name http://www.balkanins[...] 2019-01-12
[295] 웹사이트 The reactions after the approval of the Prespa Agreement (original: Οι αντιδράσεις μετά την έγκριση της Συμφωνίας των Πρεσπών) http://www.gazzetta.[...] 2019-01-12
[296] 웹사이트 UK MP May: Positive vote for Prespa Agreement - historic moment for Macedonia https://mia.mk/2019/[...] 2019-01-13
[297] 웹사이트 Thaçi: the Prespa Agreement, a model for Kosovo (original: Θάτσι: Πρότυπο για το Κόσοβο η Συμφωνία των Πρεσπών) https://www.ethnos.g[...] 2019-01-12
[298] 웹사이트 Macedonian parliament agrees to change country's nam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9-01-25
[299] 웹사이트 Meta përshëndet marrëveshjen për emrin e Maqedonisë: Vjen në momentin e shumëpritur https://balkanweb.co[...] BalkanWeb 2019-01-25
[300] 웹사이트 Υπερψηφίστηκε με 153 "ναι" η συμφωνία των Πρεσπών http://www.kathimeri[...] Kathimerini 2019-01-25
[301] 웹사이트 Canada "welcomes" the Prespa agreement (Original: "Ο Καναδάς "χαιρετίζει" τη συμφωνία των Πρεσπών") http://www.kathimeri[...] Kathimerini 2018-01-25
[302] 웹사이트 Jens Stoltenberg welcomes the Prespa agreement's ratification (Original:"Την υπερψήφιση της συμφωνίας των Πρεσπών χαιρετίζει ο Γενς Στόλτενμπεργκ") http://www.kathimeri[...] Kathimerini 2018-01-25
[303] 웹사이트 Joint Declaration by Juncker, Mogherini and Commissioner Hahn on Prespa (Original: "Κοινή δήλωση Γιούνκερ, Μογκερίνι και του Επιτρόπου Χαν για τις Πρέσπες") http://www.kathimeri[...] Kathimerini 2018-01-25
[304] 웹사이트 Tusk's and Moskovski's messages on the ratification of the Prespa agreement (Original: "Τα μηνύματα Τουσκ και Μοσκοβισί για την ψήφιση της συμφωνίας των Πρεσπών") http://www.kathimeri[...] Kathimerini 2018-01-25
[305] 웹사이트 German Foreign Minister: The approval of the Prespa agreement, an amazing news for Europe (Original: "Γερμανός υπ. Εξωτερικών: Καταπληκτική είδηση για την Ευρώπη η έγκριση της συμφωνίας των Πρεσπών") http://www.kathimeri[...] Kathimerini 2018-01-25
[306] 웹사이트 Bulgaria's PM hails Greek Parliament decision to ratify Prespa Agreement https://mia.mk/2019/[...] MIA 2018-01-25
[307] 웹사이트 Albania, Kosovo applaud name deal adoption that will stabilize region http://www.ekathimer[...] Ekathimerini 2019-01-26
[308] 웹사이트 Zaev: Historic Victory (Original: Ζάεφ: Ιστορική νίκη) https://www.naftempo[...] Naftemporiki 2018-01-25
[309] 웹사이트 Zaef for Prespes: Congratulations Alexis, we have achieved an historic victory (Original: "Ζάεφ για Πρέσπες: Συγχαρητήρια φίλε μου Αλέξη, πετύχαμε ιστορική νίκη") http://www.skai.gr/n[...] Skai 2018-01-25
[310] 웹사이트 George Katroungalos signed the enacting law of the Prespa Agreement (Original: "Υπέγραψε τον κυρωτικό νόμο της Συμφωνίας Πρεσπών ο Γ. Κατρούγκαλος") https://www.naftempo[...] Kathimerini 2018-01-25
[31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ttps://www.un.org/d[...] 2006-07-17
[312] 뉴스 Katanoontas to Neo-Makedoniko https://www.insider.[...] 2019-01-30
[313] 웹사이트 Eleftherotypia http://www.enet.gr/o[...] 2007-06-25
[314] 웹사이트 The Academy of Athens public position on the Macedonian Issue http://www.academyof[...] Academyofathens.gr 2012-01-20
[315] 서적 The eye expanded: life and the arts in Greco-Roman antiqu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6]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in London http://www.macedonia[...] 2006-10-19
[317] 웹사이트 Kathimerini http://www.ekathimer[...] 2007-01-02
[318] 간행물 We are Slavs who came to this area in the sixth century ... we are not descendants of the ancient Macedonians Foreign Information Service Daily Report, Eastern Europe 1992-02-26
[319] 간행물 We are not related to the northern Greeks who produced leaders like Philip and Alexander the Great. We are a Slav people and our language is closely related to Bulgarian ... There is some confusion about the identity of the people of my country Ottawa Citizen 1999-02-24
[320] 간행물 The idea that [[Alexander the Great]] belong to us, was at the mind of some outsider political groups only! These groups were insignificant the first years of our independence but the big problem is that the old Balkan nations have been learned to legitimate themselves through their history. In Balkans, if you want to be recognised as a nation, you need to have history of 3000 years old. So since you made us to invent a history, we invent it! ... You forced us to the arms of the extreme nationalists who today claim that we are direct descendants of Alexander the Great! Mega Channel 2006-11
[321] 뉴스 Macedonia statue: Alexander the Great or a warrior on a horse? https://www.theguard[...] 2015-05-24
[322] 웹사이트 To Build Up Its Historical Image, Macedonia Is Going Baroque https://www.npr.org/[...] NPR 2015-05-24
[323] 뉴스 Alexander the Great's statue stirs Balkan passions http://www.thefreeli[...]
[324] 웹사이트 Macedonia's great Alexander statue vexes Greece https://www.google.c[...]
[325] 간행물 Scholars dismiss Skopje claims as 'silliness' in letter to Obama https://web.archive.[...] Athens News Agency
[326] 웹사이트 Invitation to Classical Scholars http://macedonia-evi[...]
[327] 간행물 Foreign Relations Vol. VIII Washington, D.C. Circular Airgram (868.014/ 26 December 194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s
[328] 뉴스 Greek Macedonia "not a problem" The Times 1957-08-05
[329] 서적 How can a woman give birth to one Greek and one Macedonian? http://www.gate.net/[...] 2007-01-02
[330] 서적 The New Balkans: Disintegration and Reconstruc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331] 간행물 Macedonia and NATO: The View from Athen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8-03-31
[332] 간행물 Patrides, Greek Magazine of Toronto 1988-09
[333] 뉴스 As Republic Flexes, Greeks Tense Up https://query.nytime[...] 1992-02-03
[334] 웹사이트 Greek Helsinki Monitor: Macedonians of Bulgaria http://www.greekhels[...] Greek Helsinki Monitor, Center for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on Minorities in Europe – Southeast Europe 2006-07-24
[335] 웹사이트 Rainbow – Vinozhito political party http://www.florina.o[...] 2006-07-22
[336] 웹사이트 Makedonija – General Information http://www.makedonij[...] 2006-07-22
[337] 간행물 Macedonia marks 30th anniversary of Dimitar Mitrev's death MIA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2006-02-24
[338] 간행물 Bishop Tsarknjas The Macedonian Times 1996-07
[339] 서적 Facts About the Republic of Macedonia Republic of Macedonia Secretariat of Information 1997
[340] 뉴스 All in a Name https://www.wsj.com/[...] 2008-04-01
[341] 웹사이트 Thicker than Water? Kin, Religion, and Conflict in the Balkans http://www.carlisle.[...] 1998
[342] 웹사이트 Stark message to Skopje ERT online 2007-01-24
[343] 웹사이트 Ελληνικές Γραμμές (Hellenic lines – official site of the LA.O.S. party) http://www.e-grammes[...] 2006-12-27
[344] 서적 Maps and Politics; a review of the ethnographic cartography of Macedonia Liverpool University Press
[34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stitutional Law http://www.oefre.uni[...] 2006-07-20
[346] 서적 Eastern Europe Lonely Planet Publications
[347] 웹사이트 Иванов, Любомир. Размисли за българите в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я (Ivanov, Lubomir. Reflections on the Bulgarians in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radkomk.c[...]
[348] 웹사이트 Macedonian Tribune http://www.makedonsk[...] 2009-11-16
[349] 웹사이트 Stat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www.stat.gov.[...] 2006-07-21
[350] 웹사이트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http://encarta.msn.c[...] 2006-09-09
[351] 웹사이트 General Secretariat of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http://www.statistic[...] 2006-07-21
[352] 문서 Official state number
[353] 웹사이트 Ethnologue http://www.ethnologu[...] 2006-08-03
[354] 웹사이트 Eurominority http://www.eurominor[...] 2007-01-02
[355] 문서 Council for Research into South-Eastern Europe of the Macedon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Skopje, 1993
[356] 웹사이트 About the Hellenization of Southern (Aegean) Macedonia - A Review of "Hills of Wheat, Fields of Blood" http://www.polliteco[...] Antonio Milososki, University of Duisburg. Pollitecon.com
[357] 서적 Macedonia and the Macedonians http://research.poli[...] Hoover Institution Press 2008
[358] 웹사이트 Greece's Macedonian Slavic heritage was wiped out by linguistic oppression – here's how https://theconversat[...] 2018-04-19
[359] 웹사이트 Διδακτικά Βιβλία του Παιδαγωγικού Ινστιτούτου http://www.greek-lan[...]
[360]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1] 서적 Macedonia Its Disputed History
[362] 웹사이트 Macedonians in Greece http://www.gate.net/[...] 2015-10-27
[363]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Greenwood Publishing Group
[364] 문서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ABC-CLIO
[365] 웹사이트 Country Report on Human Rights Practices in Greece https://2001-2009.st[...] 2008-03-11
[366] 웹사이트 Greece https://2001-2009.st[...] 2015-10-27
[367] 웹사이트 Greece https://2001-2009.st[...] 2015-10-27
[368] 뉴스 Greece's invisible minority - the Macedonian Slavs https://www.bbc.com/[...] 2019-02-24
[369] 서적 Macedonia: the politics of identity and difference Pluto Press 2000
[370] 문서 "Macedonia. (2006). In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71] 문서 ἐντόπιος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n Perseus
[372]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73]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374] 웹사이트 Greek Helsinki Monitor http://www.greekhels[...] 2007-01-02
[375] 간행물 "Macedonians in Greece and Albania: A Comparative study of recent developments" 1999-03-01
[376] 웹사이트 Eurominority http://www.eurominor[...] 2007-01-02
[377] 뉴스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 2007-01-02
[378] 문서 Report about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Greece) – GREEK HELSINKI MONITOR (GHM) http://dev.eurac.edu[...]
[379] 서적 Culture and Righ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11-29
[380] 웹사이트 Rainbow – Vinozhito political party http://www.florina.o[...] 2007-01-02
[381] 웹사이트 Ministry of Interiors, Greece http://www.ypes.gr/e[...] 2007-01-03
[382] 문서 Greek Helsinki Monitor & Minority Rights Group- Greece; Greece against its Macedonian minority http://www.greekhels[...]
[383] 문서 Amnesty International; Greece: Charges against members of the "Rainbow" party should be dropped https://www.amnesty.[...]
[384] 웹사이트 Greece https://2001-2009.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16-10-27
[385]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86] 서적
[387] 간행물 The State, Multiculturalism and Ethnic Leadership in Australia http://www.multicult[...] University of London 1995-06-26
[388]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9] 서적
[390] 서적 Class Actions and Govern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1] 서적
[392] 서적
[393] 서적 Tiles in a Multilingual Mosaic: Macedonian, Filipino and Somali in Melbourne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394] 웹사이트 Republic of Macedonia – Constitution http://www.b-info.co[...] 2012-01-20
[395] 웹사이트 Office for Democratic Institutions and Human Rights –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PRESIDENTIAL ELECTION – OSCE/ODIHR Election Observation Mission – Final Report https://web.archive.[...] 2018-10-14
[396]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Whole_Compendium.doc https://www.who.int/[...] 2012-01-20
[397]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8] 간행물 Romanian and the Balkans: Some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www.ling.ohio[...] John Benjamins
[399] 서적 Ιστορία της ελληνικής γλώσσας: (τέσσερις μελέτες) (History of the Greek language: four studies) Ίδρυμα Τριανταφυλλίδη
[400] 서적 Storia della letteratura neogreca Carocci
[401]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402] 서적 The Macedonian State. Origins, Institutions an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03] 서적 De Graecae linguae dialectis https://archive.org/[...] apud Vandenhoeck et Ruprecht
[404] 서적 Die Makedonen. Ihre Sprache und ihr Volkstum https://archive.org/[...] Göttingen Vandenhoeck und Ruprecht
[405] 서적 Facts about the world's major language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past and present
[406]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Inc.
[407] 서적 Une tablette de malédiction de Pella: s'agit-il du premier texte macédonien? Revue des Études Grecques (REG)
[408] 서적 Le Macédonien in: Langues indo-européennes
[409]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7-07
[41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3rd edition, Volume V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1] 웹사이트 Greek, Modern http://www.ling.ohio[...]
[412] 뉴스 「マケドニア」誰のもの? 長年の争い国名変更で解決か https://www.asahi.co[...] 2019-01-12
[413] 뉴스 「北マケドニア」へ国名変更、憲法改正を承認 野党切り崩しで解決へ前進 https://www.sankei.c[...] 2019-01-12
[414] 뉴스 「北マケドニア」ギリシャ国会も承認 国名論争に終止符 https://www.sankei.c[...] 2019-01-25
[415] 뉴스 「北マケドニア」への国名変更、国連に通知 https://www.afpbb.co[...] 2019-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