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래시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래 시제는 화자가 미래 사건에 대해 표현하는 방식으로, 불확실성과 화자의 의도를 반영한다. 언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며, 문법적 표지, 시간 부사, 조동사, 또는 문맥을 활용한다. 많은 언어에서 조동사를 사용하여 미래 시제를 나타내며, 영어의 'will'과 'shall', 독일어의 'werden', 로망스어군의 조동사 활용이 그 예시이다.

게르만어파 언어는 현재 시제와 조동사를 결합하거나 'going to' 구문을 사용하며, 중국어는 문맥이나 부사, 조동사 '会'를 활용한다. 슬라브어군 언어는 조동사를 사용하여 미래를 표현하며, 한국어는 어미 '-겠다'와 '-ㄹ/을'을 통해 미래를 나타낸다. 미래 시제를 표현하는 형식은 의도, 욕구, 의무, 이동 등을 나타내는 표현에서 문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제 - 미래완료
    미래완료는 미래 특정 시점까지 완료될 행위를 나타내는 시제로, 여러 언어에서 미래 시제 보조동사와 과거분사의 결합으로 표현되지만 미래 상황에 대한 추측이나 의문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언어마다 사용법이 다르고 한국어에는 정확히 대응하는 시제가 없어 다양한 표현으로 번역된다.
  • 시제 - 과거완료
    과거완료는 과거 특정 시점 이전에 시작되어 그 시점에 완료되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을 나타내는 시제로, 라틴어처럼 동사 활용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영어의 `had + 과거분사`나 한국어의 '-었었-' 어미처럼 조동사와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언어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드물게 사용되기도 한다.
  • 미래 - 미래완료
    미래완료는 미래 특정 시점까지 완료될 행위를 나타내는 시제로, 여러 언어에서 미래 시제 보조동사와 과거분사의 결합으로 표현되지만 미래 상황에 대한 추측이나 의문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언어마다 사용법이 다르고 한국어에는 정확히 대응하는 시제가 없어 다양한 표현으로 번역된다.
  • 미래 - 운명
    운명은 개인이나 집단에 영향을 주는 사건의 속성을 결정하는 힘으로 이해되며, 숙명과는 달리 노력으로 바뀔 수 있고, 다양한 문화와 철학에서 논의되어 온 핵심 개념이다.
미래시제
개요
언어 유형문법적인 미래를 나타내는 시제
사용 목적아직 발생하지 않은 사건을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데 사용
형태 및 사용법
일반적인 조작조동사나 특정 어미를 사용하여 형성
영어의 미래 시제조동사 'will' 또는 'shall'을 사용
'be going to' 구문 사용
현재 시제 또는 현재 진행 시제로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도 존재
다양한 언어의 미래 시제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로망스어 : 동사 어미 변화를 통해 미래 시제 표현
독일어 : 조동사 'werden'과 동사 원형을 함께 사용
러시아어 : 동사의 완료상과 미완료상에 따라 미래 시제 형태가 달라짐
참고
비문법적 미래미래를 나타내는 다른 방법 (예: '내일'과 같은 시간 부사 사용)

2. 미래 시제의 표현 방식

언어마다 미래를 표현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화자는 미래 사건을 양상의 확률(화자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것) 또는 의도(화자가 일어나게 하려는 것)로 언급할 수 있다.[2] 미래 표현이 현실법인지 비현실법인지는 객관적인 존재론적 미래 현실에 대한 개념보다는, 사건이 실제로 일어날 것이라는 화자의 확신 정도에 달려 있다.[6]

많은 언어에서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적 표시는 없다. 미래 의미는 "나중에", "내년" 등과 같은 시간 부사의 사용으로 문맥에서 제공된다. 영어의 ''will/shall''처럼 조동사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부 언어는 이러한 조동사를 본동사와 결합하여 형태론적 미래 시제를 만들기도 한다.

각 언어는 미래를 표현하는 방법이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는 ''will/shall'' 외에도 현재 시제 형태나 ''going-to'' 미래 같은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 미래 사건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미래 시제에 사용되는 동사 형태가 다른 의미를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2. 1. 형태론적 표시

많은 언어에서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적(형태론적) 표시는 없다. 그러나 일부 언어에서는 특정 표지가 미래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구조는 ''미래 시제''를 구성한다. 많은 경우, 영어에서와 같이 조동사가 사용되지만, 일부 언어는 이러한 조동사를 본동사와 결합하여 단순한(단어 하나로 된, 형태론적) 미래 시제를 생성한다.[2]

라틴어의 미래 시제 형태는 활용에 따라 달랐다. 다음은 첫 번째 활용 동사 ''amare''(사랑하다)의 미래 시제 예시이다.

라틴어한국어
amabo나는 사랑할 것이다
amabis너(단수)는 사랑할 것이다
amabit그, 그녀, 그것은 사랑할 것이다
amabimus우리는 사랑할 것이다
amabitis너희(복수)는 사랑할 것이다
amabunt그들은 사랑할 것이다



속 라틴어의 음운 변화로 인해 미래 시제 형태를 다른 동사 형태와 구별하기 어려워졌고, 라틴어 단순 미래 시제는 점차 주변구문적 구조로 대체되었다.[2] 라틴어에는 미래 시제가 동사의 활용형으로 존재한다(완료형과 미완료형으로 나뉜다).[2] 라틴어에서 파생된 로망스어군에도 미래 시제가 있지만, 라틴어의 미래형이 그대로 남은 것은 아니다. 속라틴어에서는 동사의 부정사 뒤에 소유 동사 ''habere''의 활용형을 붙인 형태가 발달했고, 로망스어(루마니아어 등을 제외)에서는 ''habere'' 부분이 접미사화되어 미래 어미가 되었다.[2]

한국어에는 미래 시제가 있다(어미 '-겠다', 관형사형 어미 '-ㄹ/-을'). 다만 미래 어미 '-겠다'는 미래 표현보다는 추측이나 완곡법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2]

2. 2. 조동사 사용

영어에서는 미래 표현으로 일반적으로 법 조동사 ''will'' 또는 ''shall''을 사용한다.[2] 다만 단순한 현재형으로 확정적인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비과거 시제라고 할 수 있다. ''will''은 역사적으로 주어의 의지·희망을 표현하는 동사였지만, 현재는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보통 사용된다. ''shall''은 역사적으로 당연·당위를 나타내며 (과거형인 ''should''는 지금도 이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아 특수한 용법에 한정되어 있다.[2] 또한 기타 다른 법 조동사 ''may'', ''might'', ''can'' 등도 미래의 사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미래 표현으로 ''be going to'' + 원형 동사가 구어에서 자주 사용된다. 또한 현재 진행형이나 ''be to'' + 원형 동사도 예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즉, 영어에서 미래를 나타내는 것은 크게 ''will'', ''shall'', "''be going to'' + 동사 원형"의 3가지가 있다 (사용법에 주의).

독일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조동사 ''werden''에 의해 미래를 표현하지만, 이는 추량의 의미가 강하며, 기본적으로는 비과거 시제이다.[2] ''Werden''에는 "~이 되다"의 의미가 있으며, 조동사로서는 동사의 부정사와 함께 사용하면 미래, 과거 분사와 함께 사용하면 수동태를 표현한다.

로망스어군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에서는 조동사로 「바라다·원하다」라는 동사를 사용한다. 이 점은 영어의 ''will''과 유사하다.

슬라브어파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에서는 조동사가 인칭 변화하여 부정사와 결합하지만, 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부정사가 없기 때문에 현재형과 결합하며, 조동사는 인칭 변화를 잃는다(직설법 미래의 경우).[2] 완료체 동사의 현재형은 원칙적으로 종속절에서 사용되며, 주절에서는 그것만으로는 미래를 나타낼 수 없다. 러시아어의 быть의 미래형에 해당하는 활용형은 코퓰라 동사의 완료체로 간주되며,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에서는 완료 분사(과거 분사, L 분사라고도 함)와 결합하여 "제2 미래형"을 만든다(미래 완료형에 해당). 또한, 이러한 "바라다·원하다"에서 유래하는 미래 시제의 표현은 현대 그리스어 등의 다른 발칸 언어 연합 언어와도 공유하고 있다.

힌디어에서 동사는 세 가지 문법적 상(습관상, 완료상, 진행상)과 다섯 가지 문법적 양상(직설법, 추정법, 가정법, 반사실법, 명령법)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13] 세 가지 상 중에서 힌디어의 습관상은 미래 시제로 활용될 수 없다. 직설법 미래는 가정법 미래 형태에서 구성된다. 힌디어의 명령형도 미래 시제로 만들 수 있다.

현대 힌두어에는 두 가지 미래 가정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정규 가정법이고 두 번째는 동사의 완료형 형태와 표면적으로 동일하지만 여전히 미래 사건을 표현하는 완료 가정법이며, 이는 if 절과 관계절과 함께 사용된다.[14] 의미론적 분석에서, 이 완료형 지표의 사용은 완료형으로 간주되지 않는데, 이는 가정법 용법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면적인 형태만 완료형과 동일하다. 이 완료 가정법은 양상 분사에 대한 연결사로 사용할 수 없다.

미래 직설법 형태는 수와 문법적 인칭의 성에 따라 굴절되는 미래 접미사 गा (गा|-gāhi)를 추가하여 동사의 미래 가정법 형태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아래 표는 동사 करना (करना|karnāhi) (하다)의 미래 가정법과 직설법 형태를 보여준다.

미래 굴절
단수복수
गा|-gāhiगे|-gēhi
गी|-gīhi



인칭
대명사
미래
가정법
미래
직설법
가정법
완료형
인칭복수격식대명사
1인칭단수मैं|ma͠ihiकरूँ|karū̃hiकरूँगा|karū̃gāhiकरूँगी|karū̃gīhiकिया|kiyāhiकी|kīhi
복수हम|ham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ē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ēhiकीं|kī̃hi
2인칭단수친밀तू|tū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ā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āhiकी|kīhi
복수친숙तुम|tumhiकरो|karohiकरोगे|karogēhiकरोगी|karogīhiकिये|kiyēhiकी|kīhi
격식आप|āp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ē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ēhiकीं|kī̃hi
번역 (2인칭만 해당)(그) 당신이 하다.당신이 할 것이다.(만약) 당신이 한다면.



지시
대명사
미래
가정법
미래
직설법
가정법
완료형
복수용법근접원격
단수문어체यह|yahhiवह|vah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ā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āhiकी|kīhi
구어체ये|yehiवो|vohi
단수
복수करें|karē̃hiकरेंगे|karē̃gē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ēhiकीं|kī̃hi
복수문어체ये|yehiवे|vehi
번역 (3인칭 여성만 해당)(그) 그녀가 하다.그녀가 할 것이다.(만약) 그녀가 한다면.



미래 시제는 접미사 वाला(-वाला|-vālāhi)를 추가하여 사격 부정사로 구성되며, 이 접미사는 대명사의 수와 성에 따라 변화한다. 이 분사는 항상 보조 동사 होना (होना|honāhi)의 활용형이 뒤따른다.[15] 조동사 होना (होना|honāhi)는 네 가지 문법적 분위기, 즉 직설법, 추정법, 가정법, 반사실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 표는 동사 करना (करना|karnāhi) (하다)의 미래 시제 직설법 형태를 보여준다.

미래 시제 굴절
단수복수
नेवाला|-nēvālāhiनेवाले|-nēvālēhi
नेवाली|-nēvālīhi



인칭직설법
현재과거 불완료미래
인칭격식대명사
1인칭단수मैं|m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ā hū̃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ū̃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ā thā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ā rahū̃gā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ī rahū̃gīhi
복수हम|ham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ē h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a͠i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ē thē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ē rahẽge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evālī rahẽgīhi
2인칭단수친밀तू|tū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ā h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ai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ā thāhiकरनेवाली थी|kar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ā rahegā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ī rahegīhi
복수친근तुम|tum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ē ho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o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ē thē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ē rahogē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ī rahogīhi
격식आप|āp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ē h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a͠i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ē thē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ē rahẽge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evālī rahẽgīhi
번역...할 것이다....할 작정이었다....할 것이다.



힌디어에서 명령법은 현재 시제와 미래 시제로 활용될 수 있다. 동사 करना (करना|karnāhi) (하다)에 대한 활용은 아래 표에 나와 있다. 힌디어에는 또한 2인칭 존칭 आप (आप|āphi)과 3인칭 대명사의 가정법 형태를 사용하여 간접 명령을 표현하는 명령형 형태가 있다.[16][17]

대명사명령법가정법
현재미래현재미래
2인칭친밀한तू|tūhiकर|karhiकरियो|kariyohi
친숙한तुम|tumhiकरो|karohiकरना|karnāhi
존칭आप|āphiकरिये|kariyēhiकरियेगा|kariyēgāhiकरें|karẽhi
번역해라!나중에 해!(제발) 해!


2. 3. 시간 부사 및 문맥 활용

많은 언어에서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적 표시는 없다. 미래 의미는 "나중에", "내년" 등과 같은 시간 부사의 사용으로 문맥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부사는 때때로 문법화된 미래 시제 표지로 발전한다.[2]

중국어는 문법적 시제가 없으며, 대신 문맥이나 부사를 사용하여 동작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나, "할 수 있다", "할 줄 안다"는 의미의 조동사 會()는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다.[24] 어휘적 미래를 위해서는 동사 "원하다"의 의미를 지닌 단어 가 부사로 사용되어 "곧"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25] 예를 들어, 는 "나는 목욕하고 싶다" 또는 "나는 목욕하려 한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即 ''jí''와 將 ''jiāng''는 시제를 표시하는 부사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일본어에는 미래 시제가 없고, 비과거 시제 언어이다. 미래를 나타내기 위해 고어에서는 조동사 "む" (부정은 "じ", "まじ")가 사용되었지만, 이것은 기본적으로 미래가 아닌 추량의 용법이며, 게다가 의지나 권유도 포함하는 넓은 기능이 있었다. "む"에서 유래된 중세 이후의 "う・よう" (부정 "まい")는 현재·과거를 포함한 추량과 의지·권유의 기능이 있다. 현대어의 "だろう"는 추량 용법만이 독립된 것이지만, 역시 시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2. 4. 기타 표현 방식

영어 문법은 미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영어는 미래 시제를 갖추고 있지 않다는 주장도 있지만,[3] 점진적인 발전을 통해 현재는 미래 시제 표시 언어로 여겨진다.[4]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will'' 또는 ''shall''은 미래 시제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현재 조동사와 미래 시제 마커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3]

  • 미래형 현재 시제 형태: "The trains leave at five" (기차는 5시에 떠날 것이다)와 같이 사용되며, 미래 시제로 묘사되지 않고 "미래적 의미를 가진 현재 시제"로 묘사될 수 있다.
  • ''going-to'' 미래: "John is going to leave tonight." (존은 오늘 밤 떠날 것이다)와 같이 사용된다.
  • ''be'' + ''to''-부정사: "John ''is to leave'' tonight" (존은 오늘 밤 떠날 예정이다)와 같이 사용된다.
  • ''to be about to'': "John is about to leave" (존은 곧 떠날 것이다)와 같이 예상되는 즉각적인 미래를 나타낸다.
  • 미래적 의미를 가진 조동사 사용: "I ''must'' do this" (나는 이것을 해야 한다), "We ''may'' win" (우리는 이길지도 모른다)와 같이 미래 시간 표현과 특정 양상을 결합한다.


네덜란드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미래를 표현할 수 있다.[8]

  • '''gaan'' + 부정사''': Ik ga het boek lezen|나는 그 책을 읽을 것이다nl. "''Gaan''"은 "to go"의 어근이다. 영어의 "going to"와 비교할 수 있다.
  • '''zullen'' + 부정사''': Ik zal het boek lezen|나는 그 책을 읽을 것이다nl. "''Zullen''"은 "shall"의 어근이다. ''will''보다 ''shall''에 더 가깝다.
  • '''현재 시제'' + 문맥 또는 시간 부사 또는 절''': Hoe lang blijft hij in Nederland|그는 얼마나 오래 네덜란드에 머물 것인가?nl 영어의 해당 표현은 진행형 또는 미완료상을 사용한다.


스웨덴어[2]에서 '''skall'''은 강한 의도를 내포하지만, "아마"와 같은 부사와 함께 사용하면 의도성을 피할 수 있다. Det här skall nog gå bra|이건 아마 잘 될 거야sv와 같이 사용된다. 의도와 관계없이 순수한 미래는 일반적으로 ''kommer att'' (직역: "오다")로 표현된다. Det här kommer att gå bra|이건 잘 될 거야sv와 같이 사용된다.

3. 언어별 미래 시제

게르만어파 언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서 미래를 표현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현재 시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미래 시제는 미래의 행위를 암시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이 언어에는 단순한 (형태론적) 미래 시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미래는 현재 시제의 특정 조동사와 본동사의 단순 부정사(어간)를 결합하는 조동사 구성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동사 형태는 언어마다 다르다.

라틴어의 미래 시제 형태는 활용에 따라 달랐다. 속 라틴어의 음운 변화로 인해 미래 시제 형태를 다른 동사 형태와 구별하기 어려워졌고, 라틴어 단순 미래 시제는 점차 부정사와 조동사 ''habere''("가지다")를 포함하는 주변구문적 구조로 대체되었다.

고대 히브리어는 아랍어, 아람어와 같은 다른 셈어족 언어와 유사하게 과거와 미래 시제를 구분했다.

중국어는 문법적 시제가 없으며, 대신 문맥이나 부사를 사용하여 동작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나, "할 수 있다", "할 줄 안다"는 의미의 조동사 는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다.

크리올어는 어휘는 상위 언어에 크게 기반하지만, 문법은 하위 언어 및/또는 보편적인 언어 경향에 기반하는 언어이다. 일부 크리올어는 상위 언어에서 "go"를 기반으로 미래 시제/비현실법 표지를 모방한다(영어의 "am going to"와 유사).

3. 1. 게르만어파

게르만어파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현재 시제를 사용하여 미래를 표현하며, 필요에 따라 시간 부사나 조동사를 활용한다.[3][4] 예를 들어, "I go to Berlin ''tomorrow''" (나는 내일 베를린에 간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영어'''의 경우, 'will/shall + 동사원형', 'be going to + 동사원형', 현재 시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래를 표현한다.
  • '''네덜란드어'''의 경우, 'gaan + 부정사', 'zullen + 부정사', '현재 시제 + 시간 부사/절' 등의 방식으로 미래를 표현한다.
  • '''스웨덴어'''의 경우, 'kommer att + 동사원형'을 사용하거나, 현재 시제에 시간 부사를 덧붙여 미래를 나타낸다.

3. 1. 1. 영어

영어는 'will/shall + 동사원형', 'be going to + 동사원형', 현재 시제, 진행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래를 표현한다.[3][4] 'will/shall'은 미래 시제뿐 아니라 화자의 의지, 습관, 명령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3]

  • '''will/shall + 동사원형''': 조동사 ''will'' 또는 ''shall''과 본동사의 단순 부정사로 구성된다. (예: "He will win", "I shall win") 규범 문법학자는 2인칭과 3인칭에서는 ''will''을, 1인칭에서는 ''shall''을 선호하지만, 실제로는 ''will''이 더 흔하게 사용된다.[5]
  • '''현재 시제''': "The trains leave at five" ( "The trains ''will'' leave at five"의 의미)와 같이 미래를 나타낼 수 있다.
  • '''going-to + 동사원형''': "John is going to leave tonight."와 같이 미래를 나타낸다.
  • '''be + to 부정사''': "John ''is to leave'' tonight"와 같이 미래를 나타낸다.
  • '''be about to + 동사원형''': "John is about to leave"와 같이 예상되는 즉각적인 미래를 나타낸다.
  • '''기타 조동사''': "I ''must'' do this", "We ''may'' win"과 같이 미래 시간 표현과 특정 양상을 결합하여 미래를 나타낼 수 있다.


''will/shall'' 미래 시제와 ''going-to'' 미래 시제는 사용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정확한 해석은 문맥에 따라 달라진다.[6][7]

영어에서 미래 표현으로 법 조동사 will 또는 shall을 사용한다. 단순한 현재형으로 확정적인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비과거 시제라고 할 수 있다. will은 역사적으로 주어의 의지·희망을 표현하는 동사였지만, 현재는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보통 사용된다. shall은 역사적으로 당연·당위를 나타내며 현재는 일반적으로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다.

이 외에도 be going to + 원형 동사가 구어에서 자주 사용되며, 현재 진행형이나 be to + 원형 동사도 예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즉, 영어에서 미래를 나타내는 것은 크게 will, shall, "be going to 동사 원형"의 3가지가 있다.

3. 1. 2.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미래를 표현할 수 있다.[8]

  • '''gaan + 부정사''': "Ik ga het boek lezen" (나는 그 책을 읽을 것이다). "''Gaan''"은 "to go"의 어근이다.
  • '''zullen + 부정사''': "Ik zal het boek lezen" (나는 그 책을 읽을 것이다). "''Zullen''"은 "shall"의 어근이다.
  • '''현재 시제 + 문맥 또는 시간 부사 또는 절''': "''Hoe lang blijft hij in Nederland''?" (그는 얼마나 오래 네덜란드에 머물 것인가?) 영어의 해당 표현은 진행형 또는 미완료상을 사용한다.


''Zullen'' + 부정사는 ''will''보다 ''shall''에 더 가깝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9]

  • 약속 또는 제안을 표현할 때
  • 무언가가 확실히 일어날 것임을 강조할 때
  •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표현할 때 (확률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여)


영어의 ''will''과 네덜란드어의 ''wil''은 어근 관계에 있지만, 수 세기 동안 의미가 바뀌어 ''will''은 ''shall''과 거의 동일하게 되었고, 네덜란드어의 ''wil''은 ''want''와 같은 의미로, "''Ik wil het doen''" (나는 그것을 하고 싶다)과 같이 사용된다.

''Gaan'' + 부정사는 영어의 "going to"와 비교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의도적인 행동을 표현할 때 (약속, 제안 또는 엄숙한 계획이 아닌)
  • 어떤 사건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할 때 (확실성을 강조하거나 확률을 언급하지 않고)

3. 1. 3. 스웨덴어

스웨덴어[2] ''skall''은 강한 의도를 내포하지만, "아마"와 같은 부사(예: ''nog'')와 함께 사용하면 의도성을 피할 수 있다. "이건 아마 잘 될 거야"(Det här skall nog gå bra|데트 헤르 스칼 노그 고 브라sv). 그러나 ''skall''의 과거형인 ''skulle''는 그러한 부사 없이 과거의 예측을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페테는 오후에 따뜻해질 거라고 말했어"(Pelle sa, att det skulle bli varmt på eftermiddagen|펠레 사, 아트 데트 스쿨레 블리 바름트 포 에프테르미다겐sv).

의도와 관계없이 순수한 미래는 일반적으로 ''kommer att'' (직역: "오다")로 표현된다. "이건 잘 될 거야"(Det här kommer att gå bra|데트 헤르 콤메르 아트 고 브라sv), "넌 이걸 이겨낼 거야"(Du kommer att överleva det här|두 콤메르 아트 외베를레바 데트 헤르sv).

일반적으로 미래 시제는 구어 스웨덴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동사를 현재 시제로 놓고 명확한 시간 지정을 함께 사용한다. "나는 금요일에 스페인으로 가"(Jag åker till Spanien på fredag|야그 오케르 틸 스파니엔 포 프레다그sv), "그럼 내일 보자"(Då ses vi imorgon.|도 세스 비 이모론sv).

3. 2. 로망스어군

라틴어의 미래 시제 형태는 활용에 따라 달랐다. 속 라틴어의 음운 변화로 인해 미래 시제 형태를 다른 동사 형태와 구별하기 어려워졌고, 라틴어 단순 미래 시제는 점차 부정사와 조동사 ''habere''("가지다")를 포함하는 주변구문적 구조로 대체되었다.[10]

고대 프랑스어가 ''estre'' ("be")의 원래 라틴어 미래 형태를 보존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현대 로망스어군은 미래 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주변구문 구조 중 하나를 문법화했다.

고전 라틴어는 미래 시제를 위해 동사 어미의 집합을 사용했지만, 이후의 속 라틴어는 무한정사(infinitive)와 함께 ''habere''("가지다")를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 구조에서 주요 서부 로망스어는 "가지다" 동사(라틴어 ''habere'')의 활용형 뒤에 무한정사가 따라오는 단순 미래 시제 형태를 갖게 되었다. 조동사가 그 양태적 힘(의무, 욕망 또는 의도를 나타내는 동사에서 단순한 시제 표시어로)을 잃으면서, 구문론적 자율성과 음운론적 실체 또한 잃게 되었다.

따라서 라틴어 동사 ''amare habeo'' ("나는 사랑해야 한다")는 프랑스어 ''aimerai'', 스페인어 ''amaré'' 등 "나는 사랑할 것이다"로 이어졌다.[11][12]

로망스어 미래 시제 예시
언어인칭 대명사어근 동사haber 계열 활용미래 시제
프랑스어jeaimeraiaimerai
tuasaimeras
il/elle/onaaimera
nousavonsaimerons
vousavezaimerez
ils/ellesontaimeront
오크어ieuaimaraiaimarai
tuasaimaràs
el/ela/òmaaimarà
nosavèmaimarem
vosavètzaimaretz
eles/elasanaimaràn
포르투갈어eucomerheicomerei
tuháscomerás
ele/ela/vocêcomerá
nóshemoscomeremos
vósheiscomereis
eles/elas/vocêshãocomerão
스페인어yocomprarhecompraré
hascomprarás
él/ella/ustedhacomprará
nosotroshemos/habemoscompraremos
vosotroshabéiscompraréis
ellos/ellas/ustedeshancomprarán



음운론적 변화는 이 형태의 진화 과정에서 무한정사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언어에서 미래 어간은 항상 무한정사와 동일하지 않다.

라틴어에는 미래 시제가 동사의 활용형으로 존재한다. 라틴어에서 파생된 로망스어군에도 미래 시제가 있지만, 라틴어의 미래형이 그대로 남은 것은 아니다. 속 라틴어에서는 동사의 부정사 뒤에 소유 동사 habere의 활용형을 붙인 형태가 발달했고, 로망스어에서는 habere 부분이 접미사화되어 미래 어미가 되었다.

3. 3. 인도아리아어군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힌디어는 동사가 세 가지 문법적 상(습관상, 완료상, 진행상)과 다섯 가지 문법적 양상(직설법, 추정법, 가정법, 반사실법, 명령법)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13] 힌디어의 습관상은 미래 시제로 활용될 수 없지만, 직설법 미래는 가정법 미래 형태에서, 명령형은 미래 시제로 만들 수 있다.[13]

현대 힌두어에는 두 가지 미래 가정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정규 가정법이고 두 번째는 동사의 완료형 형태와 표면적으로 동일하지만 여전히 미래 사건을 표현하는 완료 가정법이며, 이는 if 절과 관계절과 함께 사용된다.[14] 의미론적 분석에서 이 완료형 지표는 완료형으로 간주되지 않는데, 이는 가정법 용법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14]

미래 직설법 형태는 수와 문법적 인칭의 성에 따라 굴절되는 미래 접미사 गा (-'''''gā''''')를 추가하여 동사의 미래 가정법 형태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3. 3. 1. 힌디어

힌디어는 동사의 세 가지 문법적 상(습관상, 완료상, 진행상)과 다섯 가지 문법적 양상(직설법, 추정법, 가정법, 반사실법, 명령법)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13] 힌디어의 습관상은 미래 시제로 활용될 수 없지만, 직설법 미래는 가정법 미래 형태에서 구성되며, 명령형도 미래 시제로 만들 수 있다.[13]

현대 힌디어에는 두 가지 미래 가정법이 있다. 첫 번째는 정규 가정법이고, 두 번째는 완료 가정법인데, 동사의 완료형 형태와 표면적으로 동일하지만 여전히 미래 사건을 표현하며 if 절과 관계절과 함께 사용된다.[14] 의미론적 분석에서 이 완료형 지표는 완료형으로 간주되지 않는데, 이는 가정법 용법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면적인 형태만 완료형과 동일하다.[14]

미래 직설법 형태는 수와 문법적 인칭의 성에 따라 굴절되는 미래 접미사 गा (-'''''gā''''')를 추가하여 동사의 미래 가정법 형태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미래 굴절
단수복수
गा|gāhiगे|gēhi
गी|gīhi



아래 표는 동사 करना '''''karnā''''' (하다)의 미래 가정법, 직설법, 가정법 완료형 형태를 보여준다.

동사 करना '''''karnā''''' (하다)의 미래 시제 양상별 형태
인칭
대명사
미래
가정법
미래
직설법
가정법
완료형
인칭복수격식대명사
1인칭단수मैं|ma͠ihiकरूँ|karū̃hiकरूँगा|karū̃gāhiकरूँगी|karū̃gīhiकिया|kiyāhiकी |kīhi
복수हम|ham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ē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ēhiकीं|kī̃hi
2인칭단수친밀तू|tū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ā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āhiकी |kīhi
복수친숙तुम|tumhiकरो|karohiकरोगे|karogēhiकरोगी|karogīhiकिये|kiyēhiकी |kīhi
격식आप |āp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ē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ēhiकीं|kī̃hi
번역 (2인칭만 해당)(그) 당신이 하다.당신이 할 것이다.(만약) 당신이 한다면.



동사 करना '''''karnā''''' (하다)의 지시대명사 미래 시제
지시
대명사
미래
가정법
미래
직설법
가정법
완료형
복수용법근접원격
단수문어체यह|yahhiवह|vahhiकरे|karēhiकरेगा|karēgā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āhiकी |kīhi
구어체ये|yehiवो|vohi
단수
복수करें|karē̃hiकरेंगे|karē̃gēhiकरेंगी|karē̃gīhiकिये|kiyēhiकीं|kī̃hi
복수문어체ये|yehiवे|vehi
번역 (3인칭 여성만 해당)(그) 그녀가 하다.그녀가 할 것이다.(만약) 그녀가 한다면.



미래 시제는 접미사 वाला(-'''''vālā''''')를 추가하여 사격 부정사로 구성되며, 이 접미사는 대명사의 수와 성에 따라 변화한다. 이 분사는 항상 보조 동사 होना ('''''honā''')''의 활용형이 뒤따른다. 조동사 होना ('''''honā''')''는 네 가지 문법적 분위기, 즉 직설법, 추정법, 가정법, 반사실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15]

미래 시제 굴절
단수복수
नेवाला|nēvālāhiनेवाले |nēvālēhi
नेवाली|nēvālīhi



아래 표는 동사 करना '''''karnā''''' (하다)의 미래 시제 직설법 형태를 보여준다.

동사 करना '''''karnā''''' (하다)의 직설법 미래 시제
인칭직설법
현재과거 불완료미래
인칭격식대명사
1인칭단수 मैं|m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ā hū̃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ū̃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ā thā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ā rahū̃gā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ī rahū̃gīhi
복수हम|ham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ē h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a͠i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ē thē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ē rahẽge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evālī rahẽgīhi
2인칭단수친밀तू|tū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ā h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ai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ā thāhiकार्नेवाली थी|kar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ā rahegā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ī rahegīhi
복수친근तुम|tum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ē ho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o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ē thē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ē rahogē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ī rahogīhi
격식आफ |āp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ē ha͠ihiकार्नेवाली हैं|karnēvālī ha͠i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ē thēhiकार्नेवाली थीं|karnēvālī thī̃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ēvālē rahẽgehiकार्नेवाली रहेंगी|karnevālī rahẽgīhi
번역...할 것이다....할 작정이었다....할 것이다.



힌디어에서 명령법은 현재 시제와 미래 시제로 활용될 수 있다. 동사 करना '''''karnā''''' (하다)에 대한 활용은 아래 표에 나와 있다. 힌디어에는 또한 2인칭 존칭 आप (āp)과 3인칭 대명사의 가정법 형태를 사용하여 간접 명령을 표현하는 명령형 형태가 있다.[16][17]

동사 करना '''''karnā''''' (하다)의 명령법
대명사명령법가정법
현재미래현재미래
2인칭친밀한तू|tūhiकर|karhiकरियो|kariyohi
친숙한तुम|tumhiकरो|karohiकरना|karhi
존칭आप|āphiकरिये|kariyēhiकरियेगा|kariyēgāhiकरें|karhi
번역해라!나중에 해!(제발) 해!


3. 4. 셈어파

고대 히브리어는 아랍어, 아람어와 같은 다른 셈어족 언어와 유사하게 과거 시제와 미래 시제를 구분했다.

아랍어에서 미래 시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현재 시제 동사 앞에 접두사 (سـ) "sa" 또는 (سوف) "sawfa"를 붙인다.[22] 예를 들어, "나는 사과를 먹는다"는 아래와 같다.

آكلُ تفاحاً|Akulu tuffahan|나는 사과를 먹는다ar

미래를 표현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동사 일부로 쓰여짐미래를 나타내기 위해 동사 앞에 오는 분철사
سـآكلُ تفاحاً|Saakulu tuffahan|나는 사과를 먹을 것이다arسوف آكلُ تفاحاً|Sawfa akulu tuffahan|나는 사과를 먹을 것이다ar



고전 아랍어에서, sawfa(سوف)는 보통 sa(سـ)보다 더 먼 미래에 일어나는 개별적인 미래 행동을 나타내며, sa(سـ)는 다른 행동과 관련된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주로 비교적 가까운 미래의 행동을 지칭한다. 그러나, 현대 표준 아랍어(MSA)에서는 이 구분이 최소화된다.

아랍 방언에서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방식은 방언마다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원하다"(بدي / أريد أن), "가다"(أروح), "의도하다"(ناوي /نويت) 등의 단어들이 미래의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 매일 사용된다.[23] 모로코 아랍어에서는 "Ghad"(غاد)라는 단어가 미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거기에"(또는 일어날 일이 있다)를 의미하며, 영어의 "there I go.."와 어느 정도 유사하다.

3. 4. 1. 히브리어

고대 히브리어는 아랍어, 아람어와 같은 다른 셈어족 언어와 유사하게 과거와 미래 시제를 구분했다. 게세니우스는 과거와 미래 동사 형태를 각각 완료형과 미완료형으로 불렀으며,[18] 완료된 동작과 완료되지 않은 동작을 구분했다. 그러나 이러한 동사 형태는 인도유럽어와 항상 같은 시간적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었다. 접두사 "와우 연쇄" (ו' ההיפוך)를 사용해 시간 참조를 반전시키는 구문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 구문에서 완료형 연쇄는 미래를 가리키고,[19] 미완료형 연쇄는 과거를 가리켰다.

미완료형을 미래 사건을 논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성경 히브리어에서는 다소 드물었는데, 성경은 주로 과거 사건을 다루기 때문이다. 이는 모세의 말과 같은 인용된 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완료형 연쇄는 이사야서와 같이 불특정 미래를 묘사하는 예언 텍스트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현대 히브리어는 항상 미래 시제로 미완료형을 사용한다(과거 시제로는 완료형을 사용). "와우 연쇄"의 사용은 성경 및 시적 언어의 인용문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졌다.

3. 5. 중국어

중국어는 문법적 시제가 없으며, 대신 문맥이나 부사를 사용하여 동작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러나, "할 수 있다", "할 줄 안다"는 의미의 조동사 는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다.[24] "곧"의 의미를 갖는 부사 는 동사 "원하다"의 의미를 지니며, 어휘적 미래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25] 예를 들어, 는 "나는 목욕하고 싶다" 또는 "나는 목욕하려 한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와 는 시제를 표시하는 부사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3. 6. 크리올

크리올은 상위 언어의 어휘와 하위 언어 및 보편적인 언어 경향의 문법을 결합한 언어이다. 일부 크리올은 'go' 동사를 기반으로 미래 시제 표지를 사용한다.[26]

언어예시설명
자메이카 크리올어/de go hapm/일어날 것이다
자메이카 크리올어/mi a go ɹon/나는 달릴 것이다
벨리즈 크리올어/(w)a(n)/, /gwein/, 또는 /gouɲ/(동사 앞에 오는 입자)
굴라어'Uh gwine hep dem''나는 그들을 도울 것이다
하와이 크리올어Ai gon bai wan pikap[27]나는 픽업트럭을 살 것이다
아이티 크레올어Mwen va fini[28]나는 끝낸다
아이티 크레올어Li pral vini jodi a[28]그는 오늘 올 것이다


3. 7. 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의 많은 언어에서 미래 시제는 비슷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러시아어에서는 연결 동사 'быть'만이 미래 시제로 활용되며, 다른 동사들은 불완료체일 때 "быть의 미래형 + 부정사" 형태로, 완료체일 때는 현재 시제 형태가 미래 의미를 나타낸다.[1]

남슬라브어군은 '바라다/원하다'라는 동사를 조동사로 사용하여 미래를 표현하는데, 이는 영어의 will과 유사하다.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에서는 조동사가 인칭 변화하여 부정사와 결합하지만, 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는 부정사가 없어 현재형과 결합하며, 조동사는 인칭 변화를 잃는다(직설법 미래의 경우). 완료체 동사의 현재형은 원칙적으로 종속절에서 사용되며, 주절에서는 그것만으로는 미래를 나타낼 수 없다. 러시아어의 быть의 미래형에 해당하는 활용형은 코퓰라 동사의 완료체로 간주되며,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에서는 완료 분사(과거 분사, L 분사라고도 함)와 결합하여 "제2 미래형"(미래 완료형에 해당)을 만든다. 이러한 "바라다·원하다"에서 유래하는 미래 시제 표현은 현대 그리스어 등의 다른 발칸 언어 연합 언어와도 공유한다.

3. 7. 1. 러시아어

러시아어에서는 연결 동사 'быть'만이 미래 시제 활용을 가진다. 그 외의 동사는 불완료체 동사는 "быть의 미래형 + 부정사"라는 조합으로 미래를 나타내며, 완료체 동사는 현재 시제의 형태가 그대로 미래의 의미를 나타낸다.[1]

이는 러시아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브어파의 많은 언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1]

3. 7. 2. 남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은 '바라다/원하다'라는 동사를 조동사로 사용하여 미래를 표현한다. 이 점은 영어의 will과 유사하다.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에서는 조동사가 인칭 변화하여 부정사와 결합하지만, 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는 부정사가 없기 때문에 현재형과 결합하며, 조동사는 인칭 변화를 잃는다(직설법 미래의 경우). 완료체 동사의 현재형은 원칙적으로 종속절에서 사용되며, 주절에서는 그것만으로는 미래를 나타낼 수 없다. 러시아어의 быть의 미래형에 해당하는 활용형은 코퓰라 동사의 완료체로 간주되며,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에서는 완료 분사(과거 분사, L 분사라고도 함)와 결합하여 "제2 미래형"(미래 완료형에 해당)을 만든다. 또한, 이러한 "바라다·원하다"에서 유래하는 미래 시제의 표현은 현대 그리스어 등의 다른 발칸 언어 연합 언어와도 공유하고 있다.

4. 한국어의 미래 시제

한국어에는 미래 시제가 있다(어미 '-겠다', 관형사형 어미 '-ㄹ/-을'). 다만 미래 어미 '-겠다'는 미래 표현보다는 추측이나 완곡법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

5. 문법화

미래를 나타내는 형식은 종종 의도, 욕구, 의무, 이동을 나타내는 표현에서 문법화된다(영어의 will, be going to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1][2]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 간행물 Tense and Aspect Systems Blackwell 1985
[3] 학술지 The Conflict Between Future Tense and Modality: The Case of Will in English https://repository.u[...] 1998
[4] 웹사이트 Can language slow down time? https://www.bbc.com/[...] 2022-01-24
[5] 문서 Usage notes on "shall" New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1999 Oxford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The Future in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Univ. Press 1982
[7] 간행물 Tense Cambridge Univ. Press 1985
[8] 서적 Essential Dutch Grammar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8-05-09
[9] 웹사이트 Dutch Grammar • Using the simple future http://www.dutchgram[...] 2018-05-09
[10] 문서 St Augustine of Hippo
[11]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Lithuanian for Indo-European Linguistics - Antanas Klimas http://www.lituanus.[...]
[12] 서적 Morphologie du français médiéval PUF
[13] 서적 A Primer of Modern Standard Hindi Motilal Banarsidass
[14] 학술지 Aspect, Tense, and Mood in the Hindi Verb http://www.jstor.org[...] 1975
[15] 학술지 Aspect, Tense, and Mood in the Hindi Verb http://www.jstor.org[...] 1975
[16] 웹사이트 Future Imperatives - Hindi https://taj.oasis.un[...]
[17] 서적 Complete Hindi John Murray Learning
[18] 웹사이트 Gesenius' Hebrew Grammar (1909) https://en.wikisourc[...]
[19] 웹사이트 Gesenius' Hebrew Grammar (1909) https://en.wikisourc[...]
[20] 성경 Exodus 4:1
[21] 성경 Isaiah 2:2
[22] 웹사이트 future tense http://forum.wordref[...] 2018-05-09
[23] 웹사이트 All dialects: Future markers غاد ، باش ، ح ، راح http://forum.wordref[...] 2018-05-09
[24] 간행물 The Evolution of Grammar Univ. of Chicago Press 1994
[25] 간행물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1989
[26]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Pidgins and Creoles Cambridge Univ. Press 2000
[27] 간행물 Pidgin Grammar Bess Press 2003
[28] 간행물 Creole Made Easy Light Message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