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포외기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포외기질은 다세포 생물의 세포 사이를 채우는 물질로, 세포의 지지, 세포 간 통신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섬유성 단백질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으로 구성되며,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 등이 주요 성분이다. 세포외기질은 세포의 강성, 탄성에 영향을 미쳐 세포의 이동, 유전자 발현,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조직 재생과 치유, 세포 부착, 성장인자 저장 등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임상적으로는 조직 공학 및 세포 배양, 상처 치유 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바깥 바탕질 - 뼈아교질
    뼈아교질은 뼈에서 추출되어 젤라틴 생산, 동물성 접착제 제조, 골탄 제조, 비료 및 동물 사료 보충제 활용 등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 바탕질 - 미토콘드리아 기질
    미토콘드리아 기질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시트르산 회로, 요소 회로, β-산화, 아미노산 생성 및 대사와 같은 주요 대사 과정이 일어나며, 전자전달계를 통해 생성된 NADH와 FADH2는 ATP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대사 경로와 관련된 효소, 대사 산물,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곳이다.
  • 조직 (생물학) - 체관부
    체관부는 식물의 유기 양분 수송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체관 요소, 체관부 섬유, 체관부 유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광합성 산물을 압력 흐름설에 따라 수송한다.
  • 조직 (생물학) - 상피 조직
    상피 조직은 세포 간 결합, 극성, 다양한 세포 형태를 특징으로 하며, 신체 내부 표면을 구성하고, 세포 층의 수와 기능에 따라 분류되며, 보호, 흡수, 분비, 수송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에서 유래하고, 암종과 관련된다.
세포외기질
개요
이름세포외 기질
라틴어 이름matrix extracellularis
약칭ECM
설명세포 외부의 단백질 및 분자 네트워크로, 세포에 구조적 지지 제공
관련 용어기저막
간질 기질
상피
내피
결합 조직
구조
주요 구성 요소콜라겐
당단백질 (예: 라미닌, 피브로넥틴)
프로테오글리칸
기능세포 지지
세포 부착
세포 이동
세포 증식
세포 분화
기능
세포 행동 조절세포외 기질은 세포의 형태, 분화, 생존, 증식 및 세포 이동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행동을 조절함
세포 신호 전달세포외 기질은 세포와 통신하고 세포 신호 전달을 조절함
조직 형태 유지세포외 기질은 조직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임상적 중요성
질병 관련세포외 기질의 기능 장애는 암, 섬유증 및 혈관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과 관련됨
치료 표적세포외 기질은 이러한 질병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표적으로 간주됨

2. 세포외기질의 구조

세포외기질의 구성 요소는 세포 내에서 생성되어 세포외유출을 통해 세포외기질로 분비된다.[11] 분비된 후에는 기존 기질과 응집된다. 세포외기질은 섬유성 단백질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의 상호 연결된 그물로 구성된다.

미세섬유, 인지질 이중층, 인테그린,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 콜라겐, 엘라스틴


쉽게 설명하면, 다세포 생물을 구성하는 많은 세포는 세포 외 기질의 침대 또는 둥지에 묻혀서 생활한다. 그에 따라 세포는 안정된 생존 환경을 얻는다.

척추동물무척추동물에도 세포 외 기질이 존재한다.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에서 가장 흔한 성분은 콜라겐이다. 그 외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 라미닌과 같은 당단백질(일부는 세포 부착 분자)이 있다.

간질에는 I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버시칸, 데코린 등), 피브로넥틴 등이 있다. 연골을 만드는 세포 외 기질의 주요 성분은 II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아글리칸), 히알루론산, 링커 단백질 등이다. 간질(결합 조직)과 상피(실질) 사이 등에 존재하는 기저막에는 IV형 콜라겐,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펄칸 등), 라미닌, 엔탁틴 등이 있다. 뇌의 주요 세포 외 기질 성분은 콘드로이틴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 테네신 등의 당단백질이다.

절지동물(곤충)이나 선충과 같은 동물에도 유사한 성분이 발견되지만, 척추동물의 것과는 구조나 성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갑각류를 포함한 절지동물의 세포 외 기질에서 두드러진 것은 키틴이다. 세포 외 기질은 해면동물이나 볼복스와 같은 단순한 다세포 생물에도 존재한다.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콜라겐척추동물에서 가장 흔한 성분 (포유류에서는 28종류)
프로테오글리칸콘드로이틴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케라탄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데르마탄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
피브로넥틴
라미닌
테네신
엔탁틴
엘라스틴
피브릴린


2. 1.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은 탄수화물 중합체로, 대부분 세포외기질 단백질에 결합하여 프로테오글리칸을 형성한다(히알루론산은 예외). 프로테오글리칸은 음전하를 띠고 있어 양전하를 띤 나트륨 이온(Na+)을 끌어들이는데, 이는 삼투 현상으로 물 분자를 끌어들여 세포외기질과 그 안의 세포들을 수분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프로테오글리칸은 세포외기질 내에서 성장인자를 포획하고 저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세포외기질에서 발견되는 프로테오글리칸에는 헤파란 황산, 콘드로이틴 황산, 케라탄 황산 등이 있다.

2. 1. 1. 헤파란 황산

헤파란 황산(HS)은 모든 동물 조직에서 발견되는 선형 다당류이다. 세포 표면 또는 세포외기질 단백질에 두세 개의 HS 사슬이 근접하게 결합된 프로테오글리칸(PG) 형태로 존재한다.[12][13] 이러한 형태에서 HS는 다양한 단백질 리간드에 결합하여 발생 과정, 혈관신생, 혈액 응고 및 종양 전이를 포함한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동을 조절한다.

세포외기질, 특히 기저막에서는 퍼레칸, 아그린, 콜라겐 XVIII 등의 다중 도메인 단백질이 헤파란 황산이 부착되는 주요 단백질이다.

2. 1. 2. 콘드로이틴 황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의 일종인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연골, 힘줄, 인대 및 대동맥 벽의 인장 강도에 기여하며, 신경가소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프로테오글리칸의 한 종류로, 세포외기질 단백질에 결합하여 프로테오글리칸을 형성한다.

2. 1. 3. 케라탄 황산

케라탄 황산은 황산기 함량이 다양하며, 다른 많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과 달리 우론산(uronic acid)을 포함하지 않는다. 케라탄 황산은 각막, 연골, 뼈, 그리고 동물의 뿔에서 발견된다.

2. 2. 비프로테오글리칸 다당류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은 탄수화물 중합체이며, 대부분 세포외기질 단백질에 결합하여 프로테오글리칸을 형성한다(히알루론산은 예외). 프로테오글리칸은 음전하를 띠고 있어 양전하를 띤 나트륨 이온(Na+)을 끌어들인다. 이는 삼투 작용으로 물 분자를 끌어들여 세포외기질과 그 안의 세포들을 수분 상태로 유지한다. 프로테오글리칸은 세포외기질 내에서 성장인자를 포획하고 저장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2. 2. 1.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또는 히알루로난)은 D-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번갈아 나타나는 잔기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다른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와는 달리 프로테오글리칸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세포외기질의 히알루론산은 상당량의 물을 흡수하여 팽압(팽창)을 통해 조직이 압축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따라서 히알루론산은 하중을 지지하는 관절의 세포외기질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간질 젤의 주요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히알루론산은 세포막 안쪽 표면에서 발견되며 생합성 과정 동안 세포 밖으로 이동한다.[15]

히알루론산은 배아 발생, 치유 과정, 염증 및 종양 발달 과정에서 세포 행동을 조절하는 환경 신호로 작용하며, 막관통 수용체인 CD44와 상호 작용한다.[16] 연골을 만드는 세포 외 매트릭스의 주요 성분에는 II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아글리칸), 히알루론산, 링커 단백질 등이 있다. 뇌의 주요 세포 외 매트릭스 성분은 콘드로이틴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 테네신 등의 당단백질이다.

2. 3. 단백질

세포외기질 구성 요소는 세포 내에서 생성되어 세포외유출을 통해 세포외기질로 분비된다.[11] 분비된 후에는 기존 기질과 응집된다. 세포외기질은 섬유성 단백질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의 상호 연결된 그물로 구성된다.

2. 3. 1. 콜라겐

콜라겐은 세포외기질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며, 인체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기도 하다.[17][18] 뼈 기질 단백질 함량의 90%를 차지한다.[19] 콜라겐은 세포외기질에서 섬유상 단백질로 존재하며, 세포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프로콜라겐이라는 전구체 형태로 세포외 배출되며, 이후 프로콜라겐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되어 세포외 조립이 가능해진다.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골형성부전증, 수포성 표피박리증과 같은 질환은 콜라겐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유전적 결함과 관련이 있다.[11]

콜라겐은 형성하는 구조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섬유상 (I형, II형, III형, V형, XI형)
  • FACIT (IX형, XII형, XIV형)
  • 짧은 사슬 (VIII형, X형)
  • 기저막 (IV형)
  • 기타 (VI형, VII형, XIII형)


척추동물에서 현저한 세포외기질 성분은 콜라겐이다.

2. 3. 2. 엘라스틴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달리 조직에 탄력성을 부여하여 필요에 따라 늘어났다가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이는 혈관, 폐, 피부, 항인대와 같이 엘라스틴을 다량 함유한 조직에서 유용한 기능이다.[11] 엘라스틴은 섬유아세포와 평활근 세포에 의해 합성된다.[11] 엘라스틴은 매우 불용성이며, 트로포엘라스틴은 샤페론 단백질 내부에서 분비되는데, 성숙한 엘라스틴 섬유와 접촉하면 전구체 분자를 방출한다.[11] 그 후 트로포엘라스틴은 탈아미노화되어 엘라스틴 가닥에 통합된다.[11] 느슨한 피부 증후군(cutis laxa) 및 윌리엄스 증후군(Williams syndrome)과 같은 질환은 세포외기질에서 엘라스틴 섬유가 결핍되거나 없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11]

2. 4. 세포외 소포

2016년, Huleihel 외 연구진은 세포외기질(ECM) 생체지지체 내에 DNA, RNA, 그리고 기질 결합 나노소포(MBV, Matrix-bound nanovesicles)가 존재한다고 보고하였다.[20] MBV의 형태와 크기는 이전에 보고된 엑소좀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BV의 내용물에는 다양한 단백질 분자, 지질, DNA 단편 및 마이크로RNA(miRNA)가 포함된다. 세포외기질 생체지지체와 마찬가지로 MBV는 대식세포의 활성 상태를 변화시키고 증식, 이동, 세포 주기와 같은 다양한 세포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MBV는 이제 세포외기질 생체지지체의 필수적이고 기능적인 핵심 구성 요소로 여겨진다.

3. 세포 부착 단백질

인테그린이라고 알려진 특정 세포 표면 세포 부착 분자(CAM)는 세포-세포외기질 부착을 조절한다. 인테그린은 피브로넥틴 및 라미닌과 같은 세포외기질 구조와 다른 세포 표면의 인테그린 단백질에 세포를 결합시키는 세포 표면 단백질이다.

피브로넥틴은 세포외기질 거대분자에 결합하고 막관통 인테그린과의 결합을 촉진한다. 세포외 영역에 대한 피브로넥틴의 부착은 액틴과 같은 일련의 어댑터 분자를 통한 세포골격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시작한다.[8]

세포 부착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하나는 세포외기질을 세포의 액틴 필라멘트에 연결하는 부착반이고, 다른 하나는 세포외기질을 케라틴과 같은 중간 필라멘트에 연결하는 반헤미데스모좀이다.

3. 1. 피브로넥틴

세포외기질(ECM)에서 세포를 콜라겐 섬유와 연결하는 당단백질로, 세포가 세포외기질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11] 피브로넥틴은 콜라겐과 세포 표면의 인테그린에 결합하여 세포의 세포골격을 재구성하여 세포 이동을 촉진한다.[11] 피브로넥틴은 세포에 의해 펼쳐지지 않은 비활성 형태로 분비된다.[11] 인테그린과의 결합은 피브로넥틴 분자를 펼쳐서 이합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대로 기능할 수 있게 한다.[11] 피브로넥틴은 또한 조직 손상 부위에서 혈액 응고 중에 혈소판에 결합하고 상처 치유 중에 영향을 받은 부위로 세포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도움을 준다.[11]

3. 2. 라미닌

라미닌은 거의 모든 동물의 기저막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이다. 콜라겐과 같은 섬유를 형성하는 대신, 기저막에서 장력에 저항하는 그물과 같은 구조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한 세포 부착에도 도움이 된다. 라미닌은 콜라겐 및 니도겐(nidogen)과 같은 다른 세포외기질(ECM) 성분과 결합한다.[11]

4. 세포외기질의 생리적 기능

세포외기질(ECM)은 지지, 조직 분리, 세포 간 통신 조절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세포의 역동적인 행동을 조절한다. 또한 다양한 세포 성장인자를 저장하고 국소 저장소 역할을 한다.[7] 생리적 조건의 변화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유발하여 이러한 저장소의 국소 방출을 일으킨다. 이를 통해 ''신생합성'' 없이 세포 기능의 신속한 국소 성장인자 매개 활성화가 가능합니다.

세포외기질 형성은 성장, 상처 치유, 섬유증과 같은 과정에 필수적이다. 세린 프로테아제, 트레오닌 프로테아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와 같은 효소에 의한 세포외기질 파괴는 암 생물학에서 종양 침윤 및 전이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7][28]

세포외기질의 강성과 탄성은 세포 이동, 유전자 발현,[29]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30] 세포는 세포외기질의 강성을 적극적으로 감지하고 강성주성에서 더 단단한 표면으로 이동한다.[31] 또한 탄성을 감지하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며, 이는 분화와 암 진행에 영향을 미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32]

뇌에서 히알루론산은 주요 세포외기질 성분으로, 구조적 및 신호 전달 특성을 모두 나타낸다. 고분자량 히알루론산은 세포외 공간에서 확산을 조절하는 장벽 역할을 하며, 기질 분해 시 방출되는 히알루론산 조각은 염증성 분자로 작용하여 미세아교세포 등의 면역 세포 반응을 조율한다.[33]

4. 1. 강성 및 탄성

세포외기질(ECM)은 부드러운 뇌 조직부터 단단한 뼈 조직까지 다양한 정도의 강성과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세포외기질의 탄성은 여러 차수의 크기만큼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농도에 의존한다.[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세포외기질의 강성 및 탄성은 수많은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1.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세포외기질의 다양한 기계적 특성은 세포 행동과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25] 이러한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반부착반과 같은 부착 복합체와 수축력이 세포간 구조를 통해 전달되는 액틴-미오신 세포골격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분자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2]

4. 1. 2. 분화에 미치는 영향

섬유아세포는 결합 조직 ECM에서 가장 흔한 세포 유형이며, 세포외기질을 합성하고 유지하며 구조적 틀을 제공한다. 섬유아세포는 기질을 포함한 ECM의 전구체 성분을 분비한다. 연골세포는 연골에서 발견되며 연골 기질을 생성한다. 골아세포는 골 형성을 담당한다.[4]

세포외기질(ECM)의 탄성은 세포의 분화, 즉 한 세포가 다른 세포 유형으로 변하는 과정을 유도할 수 있다. 세포는 힘을 가하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반발력을 측정하여 주변 환경의 기계적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21] 이것은 세포 수축,[22] 세포 이동,[31] 세포 증식,[23] 분화[30] 및 세포 사멸(아포토시스)[24]을 포함한 많은 중요한 세포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근육 미오신 II의 억제는 이러한 효과의 대부분을 차단하는데,[30][31][22] 이는 세포가 실제로 세포외기질의 기계적 특성을 감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초기 중간엽 줄기세포(MSCs)는 조직 수준의 탄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특정 계통으로 분화하고 표현형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를 모방한 부드러운 기질에 배치된 MSC는 뉴런과 유사한 세포로 분화하여 유사한 모양, RNA 간섭(RNAi) 프로파일, 세포골격 마커 및 전사 인자 수준을 보인다. 마찬가지로 근육을 모방하는 더 단단한 기질은 근육세포 형성을 유도하며, 콜라겐성 뼈를 모방하는 탄성을 가진 기질은 뼈세포 형성을 유도한다.[30]

4. 1. 3. 주향성

세포의 강성과 탄성은 세포 이동을 유도하는데, 이 과정을 주향성이라고 한다. 이 용어는 Lo CM과 그의 동료들이 단일 세포가 강성 기울기(더 단단한 기질 방향)를 향해 이동하는 경향을 발견했을 때 만들어졌으며,[31] 그 이후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주향성의 분자 메커니즘은 주로 세포와 세포외기질(ECM) 사이의 주요 접촉 지점 역할을 하는 큰 단백질 복합체인 부착반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6] 이 복합체에는 구조적 고정 단백질(인테그린)과 신호 전달 단백질(부착 키나아제(FAK), 탈린, 비닐쿨린, 팍실린, 알파-액티닌, GTPase 등)을 포함하여 주향성에 필수적인 많은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세포 모양과 액토마이오신 수축성을 변화시킨다.[27] 이러한 변화는 방향성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세포골격 재배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5. 세포외기질의 기능

세포외기질(ECM)은 지지, 조직 분리, 세포 간 통신 조절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세포외기질은 세포의 역동적인 행동을 조절하며, 다양한 세포 성장인자를 저장하는 국소 저장소 역할을 한다.[7] 생리적 조건 변화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유발하여 이러한 저장소의 국소 방출을 일으키며, ''신생합성'' 없이 세포 기능의 신속한 국소 성장인자 매개 활성화를 가능하게 한다.

세포외기질 형성은 성장, 상처 치유, 섬유증 등에 필수적이다. 종양 침윤 및 전이는 종종 세린 프로테아제, 트레오닌 프로테아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같은 효소에 의한 세포외기질 파괴를 포함하기 때문에, 세포외기질의 구조와 구성에 대한 이해는 암 생물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7][28]

세포외기질의 강성과 탄성은 세포 이동, 유전자 발현,[29] 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30] 세포는 세포외기질의 강성을 적극적으로 감지하고 강성주성 현상에서 더 단단한 표면으로 이동한다.[31] 또한 탄성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데, 이는 분화와 암 진행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점점 더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32]

세포는 힘을 가하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반발력을 측정하여 주변 환경의 기계적 특성을 감지한다.[21] 이는 세포 수축,[22] 세포 이동,[31] 세포 증식,[23] 분화,[30] 세포 사멸(아포토시스)[24] 등 많은 세포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 비근육 미오신 II 억제는 이러한 효과의 대부분을 차단하여,[30][31][22] 세포외기질의 기계적 특성 감지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세포외기질의 다양한 기계적 특성은 세포 행동과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25] 이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반부착반 같은 부착 복합체와 수축력이 세포간 구조를 통해 전달되는 액틴-미오신 세포골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22]

뇌에서 히알루론산은 주요 세포외기질 성분이며, 기질은 구조적 및 신호 전달 특성을 모두 나타낸다. 고분자량 히알루론산은 세포외 공간에서 국소적으로 확산을 조절하는 확산 장벽 역할을 한다. 기질 분해 시 히알루론산 조각은 세포외 공간으로 방출되어 염증성 분자로 작용, 미세아교세포 등 면역 세포 반응을 조율한다.[33]

5. 1. 세포 부착

많은 세포가 세포외기질의 구성 요소에 결합한다. 세포 부착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하나는 세포외기질을 세포의 액틴 필라멘트에 연결하는 부착반이고, 다른 하나는 세포외기질을 케라틴과 같은 중간 필라멘트에 연결하는 반헤미데스모좀이다. 이러한 세포-세포외기질 부착은 인테그린이라고 알려진 특정 세포 표면 세포 부착 분자(CAM)에 의해 조절된다. 인테그린은 피브로넥틴 및 라미닌과 같은 세포외기질 구조와 다른 세포 표면의 인테그린 단백질에 세포를 결합시키는 세포 표면 단백질이다.

피브로넥틴은 세포외기질 거대분자에 결합하고 막관통 인테그린과의 결합을 촉진한다. 세포외 영역에 대한 피브로넥틴의 부착은 액틴과 같은 일련의 어댑터 분자를 통한 세포골격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시작한다.[8]

6. 세포외기질의 임상적 의의

섬유아세포는 결합 조직 ECM에서 가장 흔한 세포 유형이며, 세포외기질을 합성하고 유지하며 구조적 틀을 제공한다. 섬유아세포는 기질을 포함한 ECM의 전구체 성분을 분비한다. 연골세포는 연골에서 발견되며 연골 기질을 생성한다. 골아세포는 뼈 형성을 담당한다.[20][34]

세포외기질은 조직의 재생과 치유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포외기질이 조직의 재구성을 촉진하는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연구원들은 기질 결합 나노소포(MBV)가 치유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인간 태아의 경우 세포외기질은 줄기세포와 함께 인체의 모든 부분을 성장시키고 재생시키며, 태아는 자궁 내에서 손상된 부분을 재생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세포외기질이 완전한 발달 후에는 기능을 멈춘다고 믿어왔다. 과거에는 말의 찢어진 인대 치유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인간 조직 재생 장치로서 추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5]

손상 복구 및 조직공학 측면에서 세포외기질은 두 가지 주요 목적을 수행한다. 첫째, 손상으로 인한 면역 체계의 활성화를 방지하여 염증 및 흉터 조직 형성을 억제한다. 둘째, 주변 세포가 흉터 조직을 형성하는 대신 조직을 복구하도록 촉진한다.[35]

의료 응용의 경우, 필요한 세포외기질은 일반적으로 돼지 방광에서 추출되는데, 이는 쉽게 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원천이다. 현재는 위벽 조직의 구멍을 막아 궤양을 치료하는 데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대학과 미국 정부에서 부상당한 군인을 위한 응용 분야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 중이다. 2007년 초에는 텍사스의 한 군 기지에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과학자들은 이라크 전쟁에서 손이 손상된 참전 용사들에게 분말 형태의 세포외기질을 사용하고 있다.[36]

모든 세포외기질 장치가 방광에서 유래하는 것은 아니다. 돼지 소장 점막하층에서 유래한 세포외기질은 "심방 중격 결손"(ASD), "난원공 개존"(PFO) 및 서혜부 탈장 수술에 사용되고 있다. 1년 후, 이 패치의 콜라겐 세포외기질의 95%는 심장의 정상적인 연조직으로 대체된다.[37]

세포외기질 단백질은 세포 배양 중 줄기세포와 전구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하고, 시험관 내 상피세포, 내피세포 및 평활근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세포외기질 단백질은 또한 종양 발달 모델링을 위해 시험관 내 3차원 세포 배양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8]

인간 또는 동물 조직을 처리하여 세포외기질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만든 생체 재료의 한 종류를 세포외기질 생체재료라고 한다.

7. 식물, 다형류, 필로조아에서의 세포외기질



세포외기질의 구성 요소는 세포 내에서 상주 세포에 의해 생성되고 세포외유출을 통해 세포외기질로 분비되며,[11] 분비된 후에는 기존 기질과 응집된다. 세포외기질은 섬유성 단백질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의 상호연결된 그물로 구성된다.

세포외기질의 중요성은 오랫동안 인지되어 왔지만(Lewis, 1922), 이 용어의 사용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Gospodarowicz 외, 1979).[40][41][42][43]

다세포 생물( 동물, 식물)의 경우, 세포 외 공간을 채우는 물질이면서 동시에 물리적 지지체 역할(예: 동물의 연골이나 ) 및 세포-기질 부착에서 발판 역할(예: 콜라겐이나 피브로넥틴)을 한다. 척추동물무척추동물 모두 세포외기질을 가지며,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에서 두드러진 성분은 콜라겐이다. 그 외에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 라미닌과 같은 당단백질(일부는 세포 부착 분자)이 있다.

간질에는 I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버시칸, 데코린 등), 피브로넥틴 등이 현저하다. 연골을 만드는 세포외기질의 주요 성분은 II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아글리칸), 히알루론산, 링커 단백질 등이다. 기저막에는 IV형 콜라겐,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펄칸 등), 라미닌, 엔탁틴 등이 존재한다. 뇌의 주요 세포외기질 성분은 콘드로이틴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히알루론산, 테네신 등의 당단백질이다.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
종류성분
구조 단백질콜라겐(포유류에서는 28종류의 콜라겐), 엘라스틴, 피브릴린
프로테오글리칸콘드로이틴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케라탄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데르마탄 황산 프로테오글리칸
기타히알루론산(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 피브로넥틴, 라미닌, 테네신, 엔탁틴



절지동물(곤충)이나 선충과 같은 동물에도 유사한 성분이 발견되지만, 척추동물의 것과는 구조나 성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갑각류를 포함한 절지동물의 세포외기질에서 두드러진 것은 키틴이다. 세포외기질은 해면동물이나 볼복스와 같은 단순한 다세포 생물에도 존재한다.

7. 1. 식물

식물 세포는 조직을 형성하도록 짜여져 있다. 세포벽은 식물 세포를 둘러싸는 비교적 단단한 구조이다. 세포벽은 삼투압 팽압에 저항하는 측면 강도를 제공하지만, 필요할 때 세포 성장을 허용할 만큼 유연하며, 세포 간 의사소통의 매개체 역할도 한다. 세포벽은 글리코단백질(glycoproteins)의 기질(matrix)에 포함된 여러 층의 셀룰로오스 미세섬유(microfibril)로 구성된다.[15] 여기에는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펙틴(pectin), 익스텐신(extensin)이 포함된다. 글리코단백질 기질의 구성 요소는 인접한 식물 세포의 세포벽이 서로 결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세포벽의 선택적 투과성은 주로 글리코단백질 기질의 펙틴에 의해 조절된다. 원형질연락사(plasmodesmata) (단수: plasmodesma)는 인접한 식물 세포의 세포벽을 통과하는 기공이다. 이러한 통로는 엄격하게 조절되며 특정 크기의 분자가 세포 사이를 통과하도록 선택적으로 허용한다.[15]

7. 2. 다형류와 필로조아

동물(후생동물)의 세포외기질 기능은 다형류와 필로조아의 공통 조상에서 이크티오스포리아가 분기된 후에 발달했다.[39]

8. 세포외기질 관련 질병

세포외기질(ECM)은 부드러운 뇌 조직부터 단단한 뼈 조직까지 다양한 정도의 강성과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세포외기질의 탄성은 여러 차수의 크기만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 농도에 의존하며,[4] 최근에는 수많은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는 힘을 가하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반발력을 측정하여 주변 환경의 기계적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21] 이것은 세포 수축,[22] 세포 이동,[31] 세포 증식,[23] 분화[30] 및 세포 사멸(아포토시스)[24]을 포함한 많은 중요한 세포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근육 미오신 II의 억제는 이러한 효과의 대부분을 차단하며,[30][31][22] 이는 실제로 세포외기질의 기계적 특성을 감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지난 10년 동안 연구의 새로운 초점이 되었다.

9. 마트릭스 공학

세포외기질은 조직의 재생과 치유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포외기질이 조직 재구성을 촉진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질 결합 나노소포(MBV)가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0][34] 인간 태아의 경우 세포외기질은 줄기세포와 함께 신체 모든 부분을 성장시키고 재생시키며, 자궁 내에서 손상된 부분을 흉터 없이 재생할 수 있다. 과거에는 말의 찢어진 인대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인간 조직 재생 장치로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5]

손상 복구 및 조직공학 측면에서 세포외기질은 두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째, 손상으로 인한 면역 체계 활성화를 억제하여 염증 및 흉터 조직 형성을 막는다. 둘째, 주변 세포가 흉터 조직을 형성하는 대신 조직을 복구하도록 돕는다.[35]

의료 분야에서는 돼지 방광에서 추출한 세포외기질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쉽게 구할 수 있고 비교적 활용도가 낮은 자원이기 때문이다. 현재 위벽 조직의 구멍을 막아 위궤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대학과 미국 정부에서 부상당한 군인을 위한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7년 초에는 텍사스의 한 군 기지에서 이라크 전쟁에서 손이 손상된 참전 용사들에게 분말 형태의 세포외기질을 사용하는 실험이 진행되었다.[36]

모든 세포외기질 장치가 방광에서 유래하는 것은 아니다. 돼지 소장 점막하층에서 유래한 세포외기질은 "심방 중격 결손"(ASD), "난원공 개존"(PFO) 및 서혜부 탈장 수술에 사용되고 있다. 1년 후, 이 패치의 콜라겐 세포외기질의 95%는 심장의 정상적인 연조직으로 대체된다.[37]

세포외기질 단백질은 세포 배양 중 줄기세포와 전구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하고, 시험관 내 상피세포, 내피세포 및 평활근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종양 발달 모델링을 위해 시험관 내 3차원 세포 배양을 지원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38]

세포외기질 생체재료는 인간 또는 동물 조직을 처리하여 세포외기질의 일부를 보존하도록 만든 생체 재료의 한 종류이다.

마트릭스 공학은 세포외기질의 세포 부착 활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조직 및 세포의 기능을 제어하려는 시도로, 1980년대에 제안되었다.

세포외기질 성분 또는 그 복합체는 세포 배양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도 활발히 응용되고 있다. 특히 돼지의 방광에서 추출한 세포외기질은 미국에서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인간에게서도 사고로 절단된 손가락 끝을 재생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10. 세포외기질의 분해

배아 발생 과정이나 암세포가 침윤 및 전이될 때, 세포외기질이 특수한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세포의 이동이 조절된다고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Matrix - Definition and Examples - Biology Online Dictionary https://www.biologyo[...] 2021-12-24
[2] 웹사이트 Body Tissues {{!}} SEER Training https://training.see[...] 2023-01-12
[3] 논문 Extracellular matrix structure 2016-02-01
[4] 논문 Remodelling the extracellular matrix in development and disease 2014-12-01
[5] 논문 The cell wall polysaccharide metabolism of the brown alga Ectocarpus siliculosus.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extracellular matrix polysaccharides in Eukaryotes 2010-10-01
[6] 논문 Diverse evolutionary paths to cell adhesion 2010-12-01
[7]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8] 서적 Essential cell biology Garland Science
[9] 논문 Role of the extracellular matrix in cell-cell signalling: paracrine paradigms 2002-10-01
[10] 논문 Bacterial biofilms: development, dispersal, and therapeutic strategies in the dawn of the postantibiotic era 2013-04-01
[11] 서적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cell adhesion, in Cells (eds Lewin B, Cassimeris L, Lingappa V, Plopper G) https://archive.org/[...] Jones and Bartlett
[12] 서적 Proteoglycans: structure, biology and molecular interactions https://archive.org/[...] Marcel Dekker Inc. New York, New York
[13] 논문 Matrix proteoglycans: from molecular design to cellular function
[14] 서적 Neural Development
[15]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https://archive.org/[...] WH Freeman and Company
[16] 논문 Identification of hyaluronic acid binding sites in the extracellular domain of CD44 1993-07-01
[17] 논문 Mapping the ligand-binding sites and disease-associated mutations on the most abundant protein in the human, type I collagen 2002-02-01
[18] 논문 Regulation of type I collagen genes expression
[19] 논문 Cbfa1 contributes to the osteoblast-specific expression of type I collagen genes 2001-03-01
[20] 논문 Matrix-bound nanovesicles within ECM bioscaffolds 2016-06-01
[21] 논문 Force fluctuations within focal adhesions mediate ECM-rigidity sensing to guide directed cell migration 2012-12-01
[22] 논문 Tissue cells feel and respond to the stiffness of their substrate 2005-11-01
[23] 논문 Close dependence of fibroblast proliferation on collagen scaffold matrix stiffness 2009-02-01
[24] 논문 Substrate flexibility regulates growth and apoptosis of normal but not transformed cells 2000-11-01
[25] 논문 The critical effects of matrices on cultured carcinoma cells: Human tumor-derived matrix promotes cell invasive properties http://urn.fi/urn:nb[...] 2020-02-01
[26] 논문 ECM stiffness primes the TGFβ pathway to promote chondrocyte differentiation 2012-09-01
[27] 논문 Nanoscale architecture of integrin-based cell adhesions 2010-11-01
[28] 논문 Metastatic potential correlates with enzymatic degradation of basement membrane collagen 1980-03-01
[29] 논문 Mechano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fibroblasts 2007-04-01
[30] 논문 Matrix elasticity directs stem cell lineage specification 2006-08-01
[31] 논문 Cell movement is guided by the rigidity of the substrate 2000-07-01
[32] 논문 Matrix density-induced mechanoregulation of breast cell phenotype, signaling and gene expression through a FAK-ERK linkage 2009-12-01
[33] 논문 Synucleinopathy alters nanoscale organization and diffusion in the brain extracellular space through hyaluronan remodeling 2020-07-01
[34] 웹사이트 Pitt researchers solve mystery on how regenerative medicine works https://www.eurekale[...] 2017-03-01
[35] 뉴스 'Pixie dust' helps man grow new finger https://www.telegrap[...]
[36] 웹사이트 Humans Can Regrow Fingers? http://health.howstu[...] 2007-03-10
[37] 웹사이트 First Ever Implantation of Bioabsorbable Biostar Device at DHZB http://www.dhzb.de/i[...] DHZB NEWS 2007-12
[38] 논문 Use of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for cell culture 1987-10
[39] 논문 Insights into the origin of metazoan multicellularity from predatory unicellular relatives of animals 2020
[40] 논문 The adhesive quality of cells https://zenodo.org/r[...]
[41] 서적 Hormones and Cell Culture https://archive.org/[...] Coldspring Harbor Laboratory
[42] 서적 The extracellular matrix: an overview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
[43] 서적 Glossary of Genetics: Classical and Molecular Springer-Verlag 2012-12-06
[44]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45] 서적 Essential cell biology Garland Sci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