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시청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시청률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자 수를 측정하는 지표로, 과거에는 일기나 면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현재는 피플 미터와 같은 전자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시청률은 가구 시청률과 개인 시청률로 나뉘며, 광고 타겟팅을 위해 인구 통계 정보가 활용된다. 일본에서는 1954년 NHK가 시청률 조사를 시작했으며, 비디오 리서치가 주요 조사업체로 활동하고 있다. 시청률은 프로그램 제작, 광고, 방송국 간 경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시간대와 프로그램 간의 시청률 경쟁 역사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시청률 측정 방식에 대한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송 - 데이터 방송
    데이터 방송은 뉴스, 기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로, 양방향 요소와 EPG를 포함하며, 디지털 방송 표준에서 지원되지만 최근 인터넷 기반 서비스 발전으로 중요성이 감소했음에도 재난방송 등 특정 분야에서 유용하며 개인정보 보호에 장점이 있다.
  • 방송 - 긴급경보방송
    긴급경보방송은 재난 발생 시 국민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특정 조건 충족 시 발령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신호를 사용하고, 시스템 오류 및 규정 위반 사례에도 불구하고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스템 오작동 방지와 규정 준수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 측정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측정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시청률
개요
측정 대상시청자, 청취자, 독자
측정 목적프로그램/콘텐츠의 인기, 광고 효과 측정
측정 방법표본 조사
온라인 조사
데이터 분석
시청률 (텔레비전)
정의특정 시간대에 특정 채널/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개인의 비율
측정 기관닐슨 코리아 (대한민국)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 (글로벌)
측정 방법피플미터
온라인 조사
VOD 시청 데이터
주요 지표평균 시청률
최고 시청률
점유율
참고 용어세대 시청률
개인 시청률
실시간 시청률
청취율 (라디오)
정의특정 시간대에 특정 채널/프로그램을 청취한 가구/개인의 비율
측정 기관닐슨 코리아 (대한민국)
측정 방법전화 조사
온라인 조사
주요 지표평균 청취율
점유율
구독률 (신문, 잡지)
정의특정 신문/잡지를 구독하는 가구/개인의 비율
측정 기관ABC 협회 (대한민국)
측정 방법발행 부수 조사
구독자 조사
웹사이트 방문자 수
정의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 수
측정 도구구글 애널리틱스
네이버 애널리틱스
주요 지표페이지뷰 (PV)
순 방문자 수 (UV)
체류 시간
온라인 동영상 시청률
정의특정 온라인 동영상을 시청한 사용자 수
측정 플랫폼유튜브 분석
네이버 TV 통계
주요 지표조회수
시청 시간
좋아요/싫어요 비율
중요성 및 영향
프로그램 제작시청률/청취율은 프로그램 기획, 제작, 편성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침
광고 시장광고 단가 결정 및 광고 집행 전략 수립에 활용됨
콘텐츠 유통콘텐츠 판매 및 해외 수출 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됨
비판 및 한계
표본 대표성표본 집단의 대표성 부족으로 인한 왜곡 가능성
측정 방법론측정 방법의 한계로 인한 정확성 문제
시청률 지상주의시청률 경쟁 과열로 인한 프로그램 질 저하 우려

2. 조사 방법

과거에는 시청률 조사를 위해 편성표 책자에 시청 여부를 기록하거나 면접조사를 진행하였으나, 최근에는 TV에 부착하여 전자적으로 조사하는 '피플 미터'를 이용하고 있다.[1]

2. 1. 일기

일기는 정보를 기록하는 최초의 방법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는 오류, 망각 및 주관성에 취약하다. 데이터는 올디스 및 믹스 형식의 방송국이 후원하는 청취 세션에서 연령, 인종 및 경제적 지위에 따라 개별 곡에 대한 청취자 의견 수준까지 수집된다. IBOPE는 1942년 상파울루에서 시작하여 세계 최초의 실시간 시청률 측정 서비스였다.

2. 2. 전자 방식

과거에는 시청률 조사를 위해 편성표 책자에 시청 여부를 기록하여 제출하거나 면접 조사를 진행하였으나, 최근에는 TV에 부착하여 전자적으로 조사하는 '피플 미터'를 이용하고 있다.[1] 미국 텔레비전의 시청률 측정은 광고주가 구매 가치를 결정하는 추정 시청자 규모를 얻기 위해 표본 추출에 의존해 왔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닐슨은 전화선을 사용하여 시청 정보를 회사 컴퓨터로 전송하는 장치인 스토리지 즉시 오디미터를 도입하여 1973년까지 전국 일일 시청률을 제공했다.[1] 오디미터는 시청자 인구 통계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았지만, 닐슨이 시청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일지 보고서를 구축할 수 있게 했다.[1]

2000년대 중반, 닐슨은 자동화된 지역 피플 미터(LPM) 기술을 구현했다.[2] LPM은 일지 기반의 능동적인 지역 측정을 지역 시장의 수동적인 미터 모니터링 측정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으며,[3][4] 분기별 "집계" 기간이 아닌 연중 측정을 가능하게 했다. 연구자들은 LPM이 채널 변경을 포함하여 시청한 모든 프로그램의 범위를 더 정확하게 보고한다고 믿었다. Arbitron의 휴대용 피플 미터는 각 방송국 또는 방송 네트워크의 인코더가 방송에 삽입한 가청 신호를 수집하고 기록하기 위해 마이크를 사용하며, 매장 내 라디오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었다.[5]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DTT)의 도입은 시청률 측정을 복잡하게 만들었다.[6] 기술적 융합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콘텐츠가 등장하는 다중 신호 환경에서, 시청 행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방법론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디지털 텔레비전 시청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론(오디오 또는 비디오 매칭, 워터마케팅)이 필요하다.[6] 오디미터를 사용한 측정은 혼합된 텔레비전 방송에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측정이라는 이중적인 과제에 직면한다.[7]

인터넷으로 인해 많은 기업이 지역 시장 밖에서도 판매할 수 있게 되면서, 특정 시장 지역에서 고객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2. 3. 소프트웨어

새로운 디지털 기술은 초기 가정 내 측정 시스템에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 DVR은 텔레비전 신호 주파수를 측정하는 닐슨 박스와 호환되지 않았는데, 이는 DVR이 항상 동일한 주파수를 생성했기 때문이다.[8] 이 문제는 특정 프로그램의 오디오 트랙을 읽는 능동-수동(A/P) 미터를 개발하여 해결되었다.[9] 디지털 케이블, 인터넷, 텔레비전 외 시청 장치의 등장은 또 다른 과제였다. 다양한 기술로 시청 행태가 분산되면서 콘텐츠 시청자 수를 정확히 보고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2010년, 닐슨은 DVR 시청을 포함하는 "언제 어디서나 미디어 측정"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10] GTAM(Global Television Audience Metering)은 여러 플랫폼(TV, 인터넷, 모바일 장치)에서 시청 행태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A/P 미터는 GTAM 미터로 대체될 예정이었으며, GTAM 미터는 능동 및 수동 측정 기술을 조합하여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미디어 장치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11]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는 시청자 측정의 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위키팩터를 결정하기 위해 HitCounters 확장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웹 세미나와 화상 회의가 인기를 얻으면서, 멘티미터 및 Actymeter와 같은 직접적이고 익명적인 시청자 참여 도구 세트가 인기를 얻었다.[12]

3. 뉴 미디어

닐슨//넷레이팅스는 전화 및 인터넷 설문 조사를 통해 인터넷 및 디지털 미디어 시청자를 측정한다.[13] 닐슨 버즈메트릭스는 소비자 제작 미디어를 측정한다.[13] 컴스코어(comScore), 와쿠파, 히트와이즈(Hitwise) 등은 인터넷 페이지 조회수를 측정한다.[13] 비저블 메져스는 모든 비디오 광고 및 콘텐츠에 걸쳐 온라인 비디오 소비 및 배포를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13] GfK의 크로스 미디어 측정 솔루션은 TV, 인터넷 및 모바일 노출 후 오프라인 판매를 측정한다.[13]

사이트코프, 트루미디어, 퀴비디, 릴아이블, 스티키픽셀, 코그니텍, 고카운트 및 코그노비전(CognoVision)은 비디오 분석을 사용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 시청자를 감지, 추적 및 분류하여 크기, 주목 시간, 인구 통계를 포함한 실시간 시청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네트워키드 인사이트는 온라인 시청자를 측정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소셜 미디어 상호 작용별로 순위를 매긴 보고서를 발표했다.[14] 연구에 따르면 네트워키드 인사이트의 상위 10개 목록에 있는 프로그램 중 절반이 닐슨 미디어 리서치(Nielsen Media Research, NMR) 목록에 나타나지 않았다.

4. 인구 통계

시청률의 인구 통계는 연령, 성별 등으로 측정되며, 광고 타겟팅에 활용된다.[15] 측정되는 인구 통계는 약어 형태로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P2+는 2세 이상, P12-34는 12세에서 34세, P18-49는 18세에서 49세를 의미한다.[15] A18-34는 18세에서 34세 성인을, 남성 18-34세, 여성 18-34세와 같이 성별을 구분하여 나타내기도 한다.[15]

5. 시청률 포인트

시청률 포인트(Rtg 또는 TVR)는 특정 분 동안 조사 대상 지역의 텔레비전 가구의 1%를 나타낸다. 2004년 미국에는 약 1억 960만 가구의 텔레비전 가구가 있었으며, 전국 시청률 포인트 1개는 2004-05 시즌 동안 1,096,000가구를 나타냈다. 시청률 포인트는 가구뿐 아니라 특정 인구 통계를 기준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18세에서 49세 사이의 시청률 포인트는 해당 국가의 모든 18세에서 49세 사이 인구의 1%에 해당한다.

Rtg 또는 TVR은 전체 가구의 비율이라는 점에서 점유율 포인트와는 다르다. 점유율 포인트는 해당 시간에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모든 가구의 1%이다. 방송의 점유율은, 특히 전체 TV 시청이 낮을 때, 시청률보다 훨씬 높은 경우가 많다. 낮은 점유율은 TV 프로그램의 종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총 시청률(GRPs) 또는 타겟 시청률(TRPs)은 주로 TV 기반 광고 캠페인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캠페인의 각 광고 방영의 TVR의 합이다. 광고 캠페인은 캠페인 기간 동안 특정 인구 통계에서 특정 수의 GRP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캠페인의 GRP는 시청자 비율에 평균 광고 시청 횟수를 곱한 값이다.

순 도달률은 중복 시청을 제외하고, 어떤 매체에 노출된 모든 시청자의 총합이다.

주간총 도달률총 도달 범위중복총 중복순 도달률
1주차1,0001,000----1,000
2주차2,0003,000(300)(300)2,700
3주차1,5004,500(900)(1,200)3,300
4주차1,2005,700(1,000)(2,200)3,500


6. 비판

청중 조사 표준은 청중 규모와 기본적인 인구 통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청중 참여도는 측정하지 않는다.[18]

1990년대 뉴미디어의 등장과 대중 매체 습관의 변화는 기존 조사 방법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피플미터는 새로운 시청 습관(녹화, 팟캐스트, 다른 장치에서의 시청 등)을 포착하지 못했다.[19] 주문형 비디오(VoD)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시청 시간과 장소의 선택권이 소비자에게 넘어가면서,[19] 미디어 연구 회사는 다양하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새롭고 전례 없는 시청 습관을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고안해야 했다.[20]

청중은 종종 여러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지만, 이에 대한 측정은 미흡하다.[21]

피플 미터로 수집된 데이터는 빠르게 ലഭ്യ하지만, 일기 형식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분석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일기 기반 데이터 수집 방법의 정확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

선호도에 대한 청취자 조사는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미국에서는 청취자들이 새로운 음악보다 옛날 노래를 듣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비틀즈의 노래와 같이 인지도 높은 노래로 이어진다.[22][23]

7. 국가별 측정 회사

대부분의 국가에서 광고 업계는 시청률 측정을 제공하는 미디어 연구 회사를 승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AGB 닐슨(구 미디어 서비스 코리아)과 TNmS 미디어(구 TNS 코리아)가 텔레비전 시청률을 측정한다.[30] AGB 닐슨은 CJ ENM 스마트 미디어 부문의 도움을 받아 인터넷 콘텐츠 측정도 처리한다.[30]

다른 국가의 시청률 측정 회사는 다음과 같다.


  • 오스트레일리아 : OzTAM (수도권 지역), Regional TAM (세 개의 상업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라디오 조사는 GfK
  • 이스라엘 : MBER (라디오 및 TV 측정)
  • 아르헨티나 : Ibope와 Infortecnica (라디오 및 텔레비전 측정)
  • 아르메니아 : Admosphere-Armenia CJSC (텔레비전 시청률)
  • 오스트리아 : GfK (Verein Arbeitsgemeinschaft TELETEST(AGTT) 요청)
  • 벨기에 : GfK (Centrum voor Informatie over de Media(CIM) 요청, TV 및 라디오 측정)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Mareco Index Bosnia (TAM 시청률(TV 미터 및 일기) 제공)
  • 브라질 : IBOPE (TV 시청률 측정 서비스)
  • 불가리아 : Taylor Nelson Sofres TV PLAN (TV 미터 TAM 시청률 제공)
  • 캐나다 : Numeris (TV와 라디오 측정), NLogic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제공)
  • 콜롬비아 : IBOPE와 닐슨 (텔레비전 시청률), ECAR (라디오 측정)
  • 핀란드 : Finnpanel (라디오 및 TV 측정)
  • 체코 : Mediaresearch (텔레비전 시청률)
  • 덴마크 : TNS Gallup (라디오 측정)
  • 프랑스 : Médiamétrie (라디오 및 텔레비전 측정), EPIQ (신문 구독률)
  • 독일 : GfK (TV 시청률 측정)
  • 그리스 : AGB Hellas (닐슨 시청률 측정)
  • 인도 : 방송 시청률 연구 위원회 (텔레비전 시청률), IRS (신문 및 잡지 구독률)
  • 이탈리아 : Auditel (1986년 11월부터 TV 시청률 측정)
  • 일본 : 비디오 리서치 (라디오 및 텔레비전 측정)
  • 카자흐스탄 : TNS (TV 측정)
  • 사우디 아라비아 : GfK (사우디 미디어 측정 회사(SMMC) 요청)
  • 리투아니아 : TNS Gallup (TV 및 라디오 측정)
  • 말레이시아 : GfK 말레이시아와 칸타 미디어 (데이터 제공), GfK 말레이시아 (라디오 조사)
  • 네덜란드 : GfK (언론, TV 및 라디오 측정)
  • 뉴질랜드 : GfK (라디오 시청자 측정), ACB McNair (TV 시청자 측정)
  • 필리핀 : 칸타 미디어 필리핀과 AGB 닐슨 필리핀 (TV 측정), AGB 닐슨, Kapisanan ng mga Brodkaster ng Pilipinas(KBP)와 라디오 연구 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칸타 미디어 필리핀,[26] 및 필리핀 설문 조사 및 연구 센터(PSRC) (라디오 측정),[27] AGB 닐슨, TNS,[28] 및 Strategic Consumer and Media Incorporated(SCMI) (인쇄 측정)[29]
  • 파키스탄 : Gallup BRB & Medialogic Pakistan (TV 시청률 측정)
  • 포르투갈 : GfK (TV 시청률 측정)
  • 폴란드 : 닐슨 시청률 측정 (TV 시청률 측정), Gemius (인터넷 시청률 측정)
  • 러시아 : TNS Gallup (TV, 라디오, 언론, 인터넷 측정), ESPAR Analytics (TNS Gallup과 협력하여 옥외 광고 측정), gocount.net (디지털 사이니지 측정)
  • 싱가포르 : GfK (Infocomm Media Development Authority(IMDA) 요청)
  • 슬로바키아 : TNS (TV 시청률 측정)
  • 스페인 : aiTech (디지털 사이니지 시청률 측정), Infortecnica (라디오 및 텔레비전 측정)
  • 남아프리카 공화국 : TNS (라디오 설문 조사 데이터 수집), 닐슨 미디어 (텔레비전 시청자 데이터 수집)
  • 스웨덴 : MMS(Mediamätning i Skandinavien) (TV 시청률 측정)
  • 터키 : TNS (칸타 미디어, TV 측정), 닐슨 (라디오 측정)
  • 영국 : 방송사 시청률 조사 위원회 (미터 패널을 통해 텔레비전 시청률 측정), RAJAR (일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라디오 관리), NRS (전국 구독자 조사, 신문잡지 구독률 측정)
  • 미국 : 닐슨 미디어 리서치 (TV 및 라디오 측정, 라디오는 이전에는 Arbitron에서 수행), TruMedia 및 CognoVision (디지털 사이니지 측정), Stratacache (시청률 측정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보고서 작성)
  • 베트남 : VIETNAM-TAM (MIC, 닐슨 및 AMI)과 칸타 미디어 (TV 측정)


2000년 3월 이후, 일본에서는 시청률을 측정하는 유력 회사가 '비디오 리서치' 한 곳으로 줄어들면서, 이 회사의 조사 결과가 세대의 실시간 시청률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1950년대 이후 시청률 조사를 닐슨 미디어 리서치가 독점하고 있다.[42] 조사 방법은 미국 전국 조사는 1987년부터 피플미터 방식(그 이전은 일기식 앙케이트), 지역 조사는 1주일 분의 일기식 앙케이트를 우편으로 보내는 방식에 더하여 2003년 후반부터 2004년 전반에 피플미터 방식을 도입했다.[42]

8. 종류 및 분류 (일본)

모니터 가구에 설치된 텔레비전에 접속된 전용 기기에서 얻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청률을 측정한다. 지역이나 조사 내용에 따라 일기식 설문 조사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시청률에는 '''가구 시청률'''과 '''개인 시청률'''이 있다. 과거 텔레비전은 고가였고 브라운관의 영향으로 컸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보통 1대의 텔레비전밖에 소유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그 1대의 텔레비전이 어떤 채널을 수신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되어, 당시의 "시청률"은 "가구 시청률"을 가리켰다.

이후 텔레비전은 저렴해졌고, 얇아졌다. 또한, 여러 사람이 있는 가구에서는 여러 개의 방에 여러 대의 텔레비전 수신기를 소유하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가족이 각자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도 늘었다. 그 결과, 1대의 텔레비전만을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실제 시청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지적과 비판이 생겨났다.

2020년 4월의 시청률 조사 리뉴얼 이후, 일본 각 텔레비전 방송국이 사용하는 사내 지표는 '''개인 시청률로 이행'''하고 있으며, 주간지·스포츠 신문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가구 시청률은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32][33] 텔레비전 방송국이나 스폰서는 "코어 시청률"(후술)이나 TVer 등의 "다시보기 재생 수"를 중요시하는 등, 프로그램 제작을 복합적으로 평가하게 되었다.[34]

8. 1. 가구 시청률

조사 지역 내 텔레비전을 소유한 가구 중 텔레비전을 켜고 있는 가구의 비율을 나타낸다. 널리 보급된 시청률 개념으로 오랫동안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2020년부터 시청률 조사 방법이 크게 변화하고, 더욱 정밀한 지표가 등장하면서 2022년 현재는 방송국과 스폰서 간의 거래 지표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8. 2. 개인 시청률

개인 시청률은 세대가 아닌 개인 단위로 TV를 시청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개인 전체 시청률'''은 대상 세대에 거주하는 전체 인원 중 누가 얼마나 시청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성별, 연령, 직업 등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집계할 수 있다.[38] 2010년대 후반 이후, 스폿 CM의 새로운 거래 지표로 중시되고 있다.[39]

8. 3. 코어 시청률

방송국에서는 "패밀리층"의 개인 시청률을 나타내는 용어로 코어 시청률을 사용한다. 방송국마다 정의하는 기준은 서로 다르지만, 대체로 13세에서 49세 사이의 개인 시청률을 의미한다.[38] 이 연령대는 행동 반경이 넓고, 상품 구매에 대한 의욕이 높은 시청자층으로 분류되어 TV 광고를 게재하는 스폰서들이 중요하게 생각한다.[38]

8. 4. 평균 시청률

매분 0초 시청률(순간 시청률)의 평균으로 산출되며, 한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높았던 순간 시청률을 언론 용어로 "순간 최고 시청률"로 간주하기도 한다.

8. 5. 순간 시청률

순간 시청률과 순간 최고 시청률이라는 말은 매스 미디어에 의해 만들어진 조어이며[40], 비디오 리서치에서는 각각 매분 시청률, 매분 시청률의 최고치를 의미한다.

8. 6. 타임 시프트 시청률

2014년 7월에 처음으로 녹화율을 나타내는 "녹화 시청률"이 공개된 이후, 일본에서는 하드 디스크 방식 녹화 장치에 녹화해두었다가 나중에 재생하여 시청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41] 2022년 현재, 비데오 리서치는 방송 후 7일(168시간 이내) 동안의 녹화 시청을 타임 시프트 시청률로 집계하고 있다.[41]

8. 7. 종합 시청률

종합 시청률은 실시간 시청과 타임 시프트 시청 중 어느 쪽으로든 시청된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비데오 리서치에서는 실시간과 타임 시프트를 모두 시청한 경우, 여러 번 카운트하지 않고 1회 시청으로 처리한다.[41]

9. 각국의 시청률 (일본)

일본에서는 비디오 리서치(Video Research, Ltd.)가 시청률 조사를 담당하고 있다. 간토, 간사이, 나고야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며, 세대 시청률과 개인 시청률을 함께 측정한다.

10. 일본의 시청률 역사

1954년 NHK 방송 문화 연구소가 연 2회 방문 면접법에 의한 시청률 조사를 시작한 것이 일본 최초이다[48]. 1961년 닐슨이 측정 기계에 의한 가구 시청률 조사를 시작했고, 1962년 비디오 리서치도 조사를 시작했다[54]. 당시에는 오프라인 미터 방식[55]으로 조사원이 기록 테이프를 회수[56]한 후에 집계했기 때문에, 전주의 시청률이 다음 주에 판명되는 상태였다[57].

1977년 9월 26일, 간토 지방에서 비디오 리서치가 개발한 "미노루 미터"[59][60]를 사용하여, 통신 회로(전화 회선)를 경유하여 정보를 자동 회수하는 온라인 미터 방식[55]에 의한 조사를 시작함으로써, 다음 날에 시청률이 판명되게 되었다[56][57].

2000년 3월, 닐슨이 일본 국내의 시청률 조사에서 철수했고[61], 그 이후에는 가구 시청률은 비디오 리서치가 측정한 결과만 사용하게 되었다.

비디오 리서치는 2020년 3월 30일부터 새로운 시청률 계획에 따라 시청률 조사를 대폭 개편했다.[81] 기계식(PM) 개인 시청률 조사, 타임 시프트 시청률 조사를 전국에 적용하고, 간토 지역의 조사 대상 가구를 900가구에서 2,700가구로, 긴키 지역에서는 600가구에서 1,200가구로 확대했다.[81][82]

10. 1. 2020년 이후의 새로운 시청률 조사 (일본)

비디오 리서치는 2020년 3월 30일부터 새로운 시청률 계획에 따라 시청률 조사를 대폭 개편했다.[81] 다양화, 분산화되는 시청자상을 밝히기 위해 기계식(PM) 개인 시청률 조사, 타임 시프트 시청률 조사를 전국에 적용하고, 간토 지역의 조사 대상 가구를 900가구에서 3배인 2,700가구로, 간사이 지역에서는 600가구에서 1,200가구로 확대했다.[81][82] "52주 PM화"라고 불리는 이러한 시책을 통해 전국 가구 및 개인 시청률을 안정적으로 공표하고, 시청자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81] 또한, 프로그램 전체 시청 인원을 추계한 "평균 시청 인원", 프로그램을 1분 이상 시청한 인원을 추계한 "도달 인원"의 제공도 시작되었다.[83]

저출산 고령화의 진전에 따라 최근에는 고령층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일수록 가구 시청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각 텔레비전 방송국은 광고의 거래 지표를 가구 시청률에서 개인 시청률로 변경하고, "'''코어 타겟'''"이라고 불리는 소비 의욕이 높은 층을 설정함으로써 광고주의 니즈에 부응하려 하고 있다.[84] 예를 들어, 니혼 TV는 13~49세를 "코어 타겟", 후지 텔레비전은 13~49세를 "키 특성", TBS 텔레비전은 13~59세를 "패밀리 코어"로 설정했으며, 또한 동 방송국은 4세~49세를 "새로운 패밀리 코어"로 설정하고 중점 타겟으로 할 것을 발표하여, 이러한 세대를 위한 프로그램 제작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85][86] TV 아사히 계열의 준 키 방송국인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 (ABC 텔레비전·오사카부)는 2019년부터 49세 이하를 타겟으로 하는 독자적인 지표인 "U49"를 설정하고, U49에서의 시청률이 낮은 장수 프로그램의 종영을 실시하는 등, 새로운 기준에 따른 프로그램 편성을 진행하고 있다.[87][88]

한편, TV 아사히는 액티브 시니어 층이 포함된 50세 이상이 일본 총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현 상황을 감안하여, 19시대부터 22시대의 골든·프라임 타임이 계속해서 전 연령층을 타겟으로 한 편성 및 프로그램 제작에 힘쓸 것이라고 명언하며, 다른 재경 키 방송국 3사를 시작으로 계열국이기도 한 ABC 텔레비전의 전략과는 차별성을 두고 있다.[89][90]

비디오 리서치가 자사 웹사이트에서 발표하는 개인 시청률은 전 세대를 합산한 "개인 전체 시청률"이며, 코어 시청률에 대해서는 외부 공표하지 않는다.[91]

텔레비전 방송국 측의 시청률 지표는 개인 시청률 및 각 방송국이 설정하는 "'''코어 시청률'''"로 이행하여, 장수 프로그램이라도 주저 없이 종영하는 자세로 전환했지만[92], 시청률을 보도하는 신문 기사나 인터넷 뉴스에서는 여전히 가구 시청률을 전제로 보도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점에 대해서는 방송 관계자나 연예인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 개그맨 마츠모토 히토시는 "대前提으로, 인터넷 뉴스에서 시청률을 기사화하는 것 자체가, 하지 않아도 된다", "가구 시청률을 이용한 인터넷 뉴스 프로그램이나 탤런트 깎아내리기 기사는 무시하십시오"라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언급했다.[93]
  • 일본방송협회 (NHK) 방송총국장 마사카키 사토시도 2021년 섣달 그믐날에 방송된 『제72회 NHK 홍백가합전』의 가구 평균 시청률이 역대 최저 시청률이었던 것에 대해 정례 회견에서 녹화나 동영상 배포 서비스 "NHK 플러스" 등, 시청 매체의 다양화를 언급한 후 "가구 평균 시청률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가구 시청률 온리로는 일면적이 되어 버리고, 시청자의 니즈에 부응할 수 없게 된다"라고 답변했다.[94][95][96]
  • 산케이 신문도 2024년 1월 18일부터 동지에 게재하고 있는 시청률 프로그램 랭킹의 집계 대상을 지금까지의 가구 시청률에서 개인 시청률로 변경했다.[97]
  • 요미우리 신문도 2024년 1월 21일에 배포한 기사에서, 2023년 섣달 그믐날에 방송된 『제74회 NHK 홍백가합전』 제2부와 2024년 NHK 대하 드라마 『빛나는 너에게』 첫 회의 가구 시청률이 모두 과거 최저를 기록했지만, NHK 플러스를 경유한 시청 수가 양 프로그램 모두 높은 것을 언급한 후, 가구 시청률을 "가족이 함께 텔레비전을 보던 시대의 잔재"라고 비판했다.[97][98]


실제로 코어 시청률의 높이는 스폰서의 광고 게재 금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TV 아사히는 2023년의 가구 시청률, 개인 전체 시청률 모두 민영 방송 1위였지만, 영업 성적에서는 니혼 TV의 6~7할에 머물고 있다.[99]

11. 시간대 구분 (일본)

닐슨의 조사에서는, 월요일~토요일 20시부터 23시 및 일요일 19시부터 23시를 특히 시청률이 높은 "프라임 타임"으로 하고 있다.[47] 이는 일본의 조사에서의 "프라임 타임"과는 다르다.

== 골든 타임・프라임 타임 ==

닐슨은 1961년 4월 조사 개시 당시부터 월요일~토요일 20시부터 23시 및 일요일 19시부터 23시를 시청률이 높은 "프라임 타임"으로 정의했다.[47] 비디오 리서치는 1962년 12월 조사 개시 당시부터 19시부터 22시까지를 "골든 타임"으로 정의했으나, 1971년부터는 "프라임 타임" 조사도 시작했다.[47]

== 삼관왕・사관왕 ==

일본 방송국은 시청률을 평가할 때 골든 타임(19시-22시), 프라임 타임(19시-23시), 전일(6시-24시) 평균 시청률이 모두 1위인 방송국을 "삼관왕"이라고 부른다.[118] 니혼 TV는 논프라임(6시-19시, 23시-24시) 시청률까지 1위이면 "사관왕"이라고 불렀으나, 2012년부터 내부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고 있다.[118] TV 아사히는 '''프라임 2'''[119](23시-다음날 1시) 시청률이 1위이면 "사관왕"이라고 부른다. NHK, TBS, TV 도쿄, 후지 TV는 공식적으로 "사관왕" 표현을 사용하지 않지만, 후지 TV는 과거 논프라임 방송 구분을 사용하여 사관왕을 칭한 적이 있다.

TBS는 1978년에 NHK를 포함한 모든 재경 TV 방송국 중 처음으로 삼관왕을 달성했다.[120] 당시 『만화 일본 옛날 이야기』, 『퀴즈 더비』, 『8시! 전원 집합』, 『G 맨 '75』 등 토요일 저녁 인기 프로그램과 평일 「퀴즈 100인에게 물었습니다」, 「더 베스트 텐」 등 고시청률 프로그램이 주요 요인이었다. 당시 NHK의 연속 TV 소설과 대하 드라마 시청률이 현재보다 훨씬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민방국의 삼관왕 달성은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1980년대 후반, 후지 TV는 1982년부터 1993년까지 12년 연속 삼관왕을 달성했다.[120] 이는 재경 민방 5개국 중 달성한 기록이며, NHK를 포함해서는 1987년과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총 5년간 삼관왕을 차지했다.

이후 니혼 TV는 "사관왕" 표현을 사용하며 1994년부터 2003년까지 10년 연속 연간 시청률 사관왕을 차지했다.[121] 2004년부터 2010년까지는 후지 TV가 7년 연속 연간 및 연도 시청률 삼관왕을 차지했다.[122] 2011년에는 니혼 TV가 8년 만에 연간 시청률 삼관왕을 탈환했다.[122] 2012년에는 TV 아사히가 개국 이래 처음으로 프라임 시청률 1위를 차지하며 니혼 TV의 삼관왕 달성을 저지했다.

개인 시청률에서는 2011년부터 니혼 TV가 삼관왕을 11년 연속 획득하고 있다.

11. 1. 골든 타임・프라임 타임

닐슨은 1961년 4월 조사 개시 당시부터 월요일~토요일 20시부터 23시 및 일요일 19시부터 23시를 시청률이 높은 "프라임 타임"으로 정의했다.[47] 비디오 리서치는 1962년 12월 조사 개시 당시부터 19시부터 22시까지를 "골든 타임"으로 정의했으나, 1971년부터는 "프라임 타임" 조사도 시작했다.[47]

11. 2. 삼관왕・사관왕

일본 방송국은 시청률을 평가할 때 골든 타임(19시-22시), 프라임 타임(19시-23시), 전일(6시-24시) 평균 시청률이 모두 1위인 방송국을 "삼관왕"이라고 부른다.[118] 니혼 TV는 논프라임(6시-19시, 23시-24시) 시청률까지 1위이면 "사관왕"이라고 불렀으나, 2012년부터 내부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고 있다.[118] TV 아사히는 '''프라임 2'''[119](23시-다음날 1시) 시청률이 1위이면 "사관왕"이라고 부른다. NHK, TBS, TV 도쿄, 후지 TV는 공식적으로 "사관왕" 표현을 사용하지 않지만, 후지 TV는 과거 논프라임 방송 구분을 사용하여 사관왕을 칭한 적이 있다.

TBS는 1978년에 NHK를 포함한 모든 재경 TV 방송국 중 처음으로 삼관왕을 달성했다.[120] 당시 『만화 일본 옛날 이야기』, 『퀴즈 더비』, 『8시! 전원 집합』, 『G 맨 '75』 등 토요일 저녁 인기 프로그램과 평일 「퀴즈 100인에게 물었습니다」, 「더 베스트 텐」 등 고시청률 프로그램이 주요 요인이었다. 당시 NHK의 연속 TV 소설과 대하 드라마 시청률이 현재보다 훨씬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민방국의 삼관왕 달성은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1980년대 후반, 후지 TV는 1982년부터 1993년까지 12년 연속 삼관왕을 달성했다.[120] 이는 재경 민방 5개국 중 달성한 기록이며, NHK를 포함해서는 1987년과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총 5년간 삼관왕을 차지했다.

이후 니혼 TV는 "사관왕" 표현을 사용하며 1994년부터 2003년까지 10년 연속 연간 시청률 사관왕을 차지했다.[121] 2004년부터 2010년까지는 후지 TV가 7년 연속 연간 및 연도 시청률 삼관왕을 차지했다.[122] 2011년에는 니혼 TV가 8년 만에 연간 시청률 삼관왕을 탈환했다.[122] 2012년에는 TV 아사히가 개국 이래 처음으로 프라임 시청률 1위를 차지하며 니혼 TV의 삼관왕 달성을 저지했다.

개인 시청률에서는 2011년부터 니혼 TV가 삼관왕을 11년 연속 획득하고 있다.

12. 시청률 경쟁 (일본)

국가, 시대, 시간대를 불문하고 경쟁 프로그램 간의 시청률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 시청률 경쟁 (일본) ==

=== 토요일 밤 전쟁 (일본) ===

TBS의 『8시라고! 전원 집합』(1969년 - 1985년)은 "괴물 프로그램"이라 불릴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타 방송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각 방송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했지만, 번번이 고전을 면치 못했다.

후지 TV는 초반에는 『컨트 55호의 세계는 웃는다』로 경쟁했으나, 이후 『컨트 55호의 할 거야 봐줘!』를 기획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시대극 드라마 노선으로 변경했지만, 모두 방송 종료되어 토요일 20시대는 "귀문"이라고까지 불렸다. 1975년에는 『킨짱의 돈과 해보자!』가 성공하여 『전원 집합』을 위협했지만, 시무라 켄의 "히가시무라야마 음두" 히트로 다시 격차가 벌어졌다. 1981년 『우리들은 효킨족』(1981년 - 1989년)이 등장할 때까지 대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

일본 TV는 1972년부터 『전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방송했지만 시청률이 좋지 않았다. 이후 『토요 스페셜』, 『폭소 히트 대진격!!』, 『단토츠 폭소대!!』 등을 방송했지만 단명했다. 1982년부터 다시 『토요 톱 스페셜』을 부활시켰다.

TV 아사히는 시대극이나 현대극을 방송했지만 대항할 수 없었다. 1972년부터 어린이 대상 특촬물(『인조인간 키카이다』, 『키카이다 01』)과 애니메이션(『데빌맨』, 『마이크로이드 S』, 『큐티 허니』)을 편성했지만, 시청률은 회복되지 않았다. 1978년부터 마츠다이라 켄 주연의 시대극 『폭주 대장군 시리즈』가 히트할 때까지 고전했다.

NHK 종합 텔레비전은 1970년 『스테이지 101』, 1972년 『웃음 온 스테이지』를 방송했지만, 『전원 집합』을 따라잡지 못했다. 1974년 해외 드라마 『형사 콜롬보』를 도입하여 대히트시켰고, 이는 『토요 드라마』로 이어졌다.

TV 도쿄는 1970년대 중반부터 단기 프로그램을 방영했고, 1978년부터 단발 특별 프로그램 시간대 『토요 특번』을 시작했다. 1980년에는 『국제 프로레슬링 아워』를 방송했지만, 시청률 부진으로 레귤러 방송이 중단되었다.

1981년, 후지 TV는 『우리들은 효킨족』을 시작했고, 나카모토 코지와 시무라 켄의 불상사 등으로 인해 시청률이 상승, 1984년 연간 시청률에서 『전원 집합』을 역전시켰다. 1985년 『전원 집합』은 종료되었지만, 1986년 후속 프로그램 『카토짱 켄짱 기분 좋은 텔레비전』이 시청률을 회복, 비트 다케시의 프라이데이 습격 사건으로 인해 1987년 『효킨족』을 역전했다.

1990년대에는 『매지컬 두뇌 파워!!』(일본 TV), 『웃짱난짱의 할 거면 하지마!』(후지 TV), 『폭주 대장군』(TV 아사히) 등이 경쟁했다. 1992년 『카토짱 켄짱 기분 좋은 텔레비전』은 리뉴얼 후 시청률이 급락하여 종료되었고, 『웃짱난짱의 할 거면 하지마!』는 사고로 방송이 중단되었다. 『매지컬 두뇌 파워!!』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프로 야구 중계로 인해 목요일로 시간대를 이동했다.

TBS는 『동물 기상천외!』를 시작하여 안정적인 시청률을 확보했다. 후지 TV는 1996년 『메차×2 이케테루!』를 시작하여 시청률을 회복했다.

2000년대에는 『세상에서 가장 받고 싶은 수업』(일본 TV)이 인기를 얻으면서 『메차×2 이케테루!』의 시청률이 하락했다. 2008년 TBS는 드라마 시간대를 설치하고 『ROOKIES』, 『MR.BRAIN』 등을 방송했다.

2010년 이후에는 TV 도쿄의 『토요 스페셜』, NHK의 『브라타모리』, 『데가와 테츠로의 충전시켜 주지 않겠습니까?』(TV 도쿄) 등이 인기를 얻으면서 『메차×2 이케테루!』는 2018년 종료되었다.

=== 평일 아침 어린이 프로그램 전쟁 (일본) ===

1965년 11월 8일부터 니혼 TV에서 아침 어린이 프로그램인 안녕! 어린이 쇼(이하 『어린이 쇼』)가 월요일~토요일에 방송을 시작하여 1개월 만에 10%의 시청률을 기록했다.[132] 1966년 10월, 후지 TV에서 엄마와 놀자! 뿅뿅 팡(이하 『뿅뿅 팡』)이 방송을 시작했다.[133] 처음에는 두 프로그램 간 방송 시간이 겹치지 않았지만,[133] 1968년 4월, 『뿅뿅 팡』이 방송 시간을 5분 연장하면서 일부 시간대에서 『어린이 쇼』와 겹치게 되어 시청률 경쟁이 시작되었다. 당시 『뿅뿅 팡』은 시청률이 3% 정도에 머물렀다.[134]

1969년 4월, 『어린이 쇼』는 방송 시간을 15분 연장하여 모든 요일에 7:15 - 8:30의 1시간 15분짜리 프로그램이 되어 『뿅뿅 팡』과 중복되는 시간이 30분으로 확대되었다. 같은 해 10월, 『어린이 쇼』가 프로그램 편성상의 이유로 7:15 - 8:00으로 방송 시간을 축소하면서 『뿅뿅 팡』과의 방송 시간대 중복이 해소되어 시청률 경쟁은 일단 휴전 상태가 되었다.

1972년 1월, 『어린이 쇼』가 7:25 - 8:15로 방송 시간대를 이동하면서 다시 『뿅뿅 팡』과 일부 시간대(8:00 - 8:15)에서 중복되면서 시청률 경쟁이 재개되었다. 니혼 TV는 『어린이 쇼』의 대대적인 개편을 실시, 1972년 4월 24일 방송부터 사회자를 츠루마 에리로 변경하고, 프로그램 내용도 일부 코너를 폐지하고 체조 코너인 「변신 체조」나 특촬 코너 드라마를 도입했다. 이는 『레드맨』을 시작으로, 『가라! 갓맨』, 『가라! 그린맨』, 『가라! 우시와카 코타로』와 같이 시리즈화되었다.[132]

1974년 4월, 『어린이 쇼』는 방송 시간을 7:00 - 7:45로, 『뿅뿅 팡』도 8:00 - 8:40으로 변경하여 중복되는 시간이 해소되어, 시청률 경쟁은 다시 휴전이 되었다.

1975년 10월, 후지 TV는 열려라! 퐁키키(이하 『퐁키키』)의 방송 시간대를 아침으로 이동하여 『뿅뿅 팡』의 다음 프로그램으로 8:15 - 8:45의 시간대에 방송하게 되었다. 『퐁키키』는 가챠핀과 무크의 참신한 캐릭터와 「헤엄쳐라! 붕어빵 군」과 같은 히트곡으로 화제가 되었다.[139]

1977년 4월, 『뿅뿅 팡』이 7:30 - 8:00으로, 『퐁키키』도 8:00 - 8:30으로 이동하고, 『어린이 쇼』도 평일・토요일판을 7:45 - 8:25로 이동하면서, 니혼 TV의 『어린이 쇼』의 방송 시간대가 후지 TV의 두 프로그램과 모든 시간대에서 중복되면서 시청률 경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어린이 쇼』는 1975년부터 1977년에 걸쳐 코너를 리뉴얼하고, 핑크 레이디의 초등학생판인 리틀 핑크[140]를 1977년 6월 27일 방송분부터 레귤러로 기용[141]하는 등 개편을 꾀했지만, 『퐁키키』와 『뿅뿅 팡』의 인기를 넘어서지 못했다. 1978년 4월부터 『어린이 쇼』는 방송 시간을 후지 TV의 두 프로그램과 완전히 같은 7:30 - 8:30으로 하여 경쟁하였으나, 시청률은 최하위로 전락했다.

결국 『어린이 쇼』는 1979년 3월 2일에 평일판을 종료하고, 후속 프로그램으로 『줌인!! 아침!』이 방송되었다. 토요일판과 일요일판도 1980년에 종료되었다.

1973년 4월에는 NET TV → TV 아사히에서도 나고야 방송(현: 나고야 TV)이 제작한 『붕붕 뱅뱅』을 방송하여 삼파전이 되었지만, 2년 만에 종료되었다.

=== 일요일 19시 퀴즈 프로그램 전쟁 (일본) ===

마이니치 방송의 『업다운 퀴즈』(이하 『업다운』)와 아사히 방송의 『세계 일주 주사위 게임』(이하 『주사위 게임』)은 간사이 광역권 방송국이 제작한 전국 네트워크 퀴즈 프로그램으로,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150]

1963년 10월부터 방송을 시작한 『업다운』은 10문제를 정답하면 하와이 여행을 얻을 수 있는 퀴즈로 인기를 끌었다.[150] 1960년대에는 TBS의 『타케다 아워』, 1970년대 전반에는 후지 TV의 애니메이션 시간대와 경쟁했으며, 특히 『유도 일직선』과 『어택 No.1』의 영향으로 시청률이 하락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포츠 근성 드라마와 애니메이션의 시청자층이 달랐고, TV 시청자 수 증가로 인해 시청률 저하는 적었다. 『유도 일직선』과 『어택 No.1』의 종영 이후, 『업다운』은 시청률이 상승하고 시청자층이 넓어졌다.

1975년 3월 31일 장 꼬임 해소로 『업다운』이 NET(현 TV 아사히)에서 TBS로 이동한 후, NET는 인기 저하를 겪었다. 1977년 4월, TV 아사히로 사명을 변경한 후, 토요일 19시에서 아사히 방송 제작 일본 메나드 화장품 일사 제공 퀴즈 프로그램 『미에다의 결혼 게임』을 이동시켰지만, 역부족이었다. 이후 퀴즈 프로그램 노선을 중단했다가, 1982년 4월부터 『삼각 게임 피타고라스』로 부활했다.

1983년 3월, 아사히 방송은 『세계 일주 주사위 게임』을 『업다운』과 같은 시간대로 이동시켜 전국 네트워크화하면서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었다. 『주사위 게임』은 퀴즈와 게임을 결합한 구성으로 큰 인기를 얻었고, 『업다운』은 시청률이 급감했다.[151]

1983년 10월, 『업다운』은 사회자를 사이고 테루히코로 교체하고 퀴즈 규칙을 변경하는 등 대폭적인 리뉴얼을 단행했으나 실패했다. 반면 『주사위 게임』은 이누이 히로아키[151]의 진행으로 시청률을 올렸다. 1984년에도 『업다운』의 시청률 하락은 계속되었고, 1985년 가을에 종료되었다.

『업다운』과의 경쟁에서 승리한 『주사위 게임』도 1985년 3월에 시작한 후지 TV의 애니메이션 『터치』에 시청자를 빼앗겨 1986년 봄에 종료되었다.

마이니치 방송은 『업다운』 종료 후 『퀴즈!! 반짝임 패스워드』를 시작했다.[152] 이 프로그램은 연예인 출연형으로 리뉴얼된 후, 노무라 게이지[152]의 토크로 호평을 받아 시청률이 상승, 1992년 3월까지 높은 시청률을 유지했다.

=== 목요일 21시 전쟁 및 톤네루즈 포위망 (일본) ===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목요일 21시는 TBS의 『더 베스트 텐』(이하 『베스트 텐』)이 독주했지만, 1988년경부터 시청률이 하락하기 시작했다.[153] 1988년 10월, 후지 텔레비전은 톤네루즈의 『톤네루즈 여러분 덕분입니다』[154](→『라스타 톤네루즈'94』→『톤네루즈의 진짜 속내를 보여주세요!!』→『톤네루즈 여러분 덕분이었습니다』)를 시작, 1989년 연간 평균 시청률 24.4%를 기록하며 『베스트 텐』을 제치고 그해 10월 방송 종료로 몰아넣었다. 『덕분입니다』는 1994년[155]까지 6년 연속 연간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평균 시청률 1위를 차지했다.

TBS는 『베스트 텐』 종료 후 1989년 10월부터 13년 만에 연속 드라마 시간대로 전환, 『사랑하는 방법을 몰라』, 『세상 밖으로』, 『HOTEL』, 『3학년 B반 킨파치 선생님』 등을 인기 드라마로 정착시켰다.[156] 텔레비 아사히는 『목요 드라마』, TV 도쿄는 『목요 양화 극장』으로 코어 시청층을 확보했다.

2000년대 이후, 텔레비 아사히는 요네쿠라 료코 주연작 (협상인, 닥터 X, 리갈 V 등)의 히트로, NTV는 요미우리 텔레비전 방송 제작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빛나라! 소문의 텐 베스트 SHOW, 어느 쪽 요리 쇼, 일본 여행×여행 쇼, 비밀의 켄민 SHOW 등)으로 시청률 경쟁이 격화되었다. TV 도쿄는 2009년 4월 『목요 양화』를 종영했고, TBS는 2015년 10월 연속 드라마 시간대를 폐지하고 『닌겐 관찰 버라이어티 모니터링』을 확대했다. 후지 텔레비전은 2018년 4월 『덕분입니다』를 종료하고 『직격! 심층 사카가미』, 『치도리의 쿠세가 심한 네타 GP』, 『나의 바보 좁은 사학』, 오도오도×하라하라를 거치며[157] 시청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 평일 22시 뉴스 전쟁 (일본) ===

1985년, TV 아사히는 23시대에 방송되던 심야 뉴스 프로그램을 22시로 앞당겨 『뉴스 스테이션』(이하 N스테)을 시작했다. 사회자로는 TBS의 인기 음악 프로그램 『더 베스트텐』의 사회자였던 쿠메 히로시를 낙점했다. 쿠메는 캐스터 취임을 승낙했지만, 비밀리에 진행된 계획이었기 때문에, 공동 출연자인 구로야나기 테츠코에게도 알리지 않고 『더 베스트텐』에서 하차했다.

『N스테』는 중고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뉴스를 콘셉트로 하여 높은 시청률을 획득했다. TBS는 "보도의 TBS"라는 체면과 사운을 걸고 『N스테』를 타도하기 위해 22시대의 뉴스 프로그램 제작을 기획했다. 처음에는 구로야나기 테츠코를 캐스터로 고려했으나 거절당했고, 츠쿠시 테츠야에게 캐스터 취임을 요청했지만 TV 아사히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이후 TBS는 모리모토 타케로를 캐스터로 기용하여 1987년 10월부터 『JNN 뉴스 22 프라임 타임』을 시작했지만, 시청률에서 『N스테』에 밀렸고, 모리모토의 스캔들로 1년 만에 하차했다. 오가와 쿠니오를 캐스터로 영입하고 프로그램명을 『JNN 뉴스 데스크'88 (→'89)』로 변경했지만, 1989년 9월 22시대 뉴스 프로그램에서 철수했다. 이후 츠쿠시 테츠야를 캐스터로 한 『NEWS23』을 시작했다.

2000년 3월, NHK 종합은 『NHK 뉴스 10』을 신설했고, 『N스테』는 방송 시간을 21:54로 앞당겨 대응했다. 2004년, 『N스테』는 캐스터를 후루타치 이치로로 교체하고 『보도 스테이션』으로 변경했다. 『뉴스 10』은 2006년 종영되고 『뉴스 워치 9』로 변경되어 TV 아사히의 독무대가 되었다.

NHK는 22시대에 『클로즈업 현대+』를 방송하여 『보도 스테이션』에 대항했으나, 2022년 4월 개편으로 19시대로 이동했다.

2021년, TV 도쿄는 『월드 비즈니스 새틀라이트』를 22시로 앞당겨 방송한다고 발표했다. TV 도쿄의 이시카와 이치로 사장은 "22시대는 채널을 돌리는 행위가 많다"며, "오늘의 경제 사안을 정리해 내일 이후의 생활, 경제 활동에 도움이 되는 재료를 전달하고 싶다"고 말했다.

=== 삿포로 전쟁 (일본) ===

홋카이도 지역의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 시청률 경쟁은 삿포로 TV 방송(STV)이 1991년 10월에 시작한 『도산코 와이드 120』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166]

1989년 10월, 홋카이도 문화 방송(UHB)이 도내 최초의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인 『TV 포테이토 저널』을 시작했으나, 초기에는 고전했지만 점차 두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했다. 2년 후인 1991년 STV는 『도산코 와이드』를 시작하여 시청률이 점차 향상되었다. 홋카이도 방송(HBC)은 1993년 10월에 『HBC 유우야케 와이드・텔레비전 이치반보시』를 시작했지만, STV도 『도산코 와이드』의 방송 시간을 확대하면서 "이치반보시"는 1년 만에 종료되었다. 이후 HBC는 여러 프로그램을 시도했지만 모두 "도산코"에 패배했다.

이후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은 HBC・STV・UHB의 삼파전이 이어졌지만, UHB는 1994년 9월에 『포테이토』를 종료하고 드라마 재방송 시간대로 돌아갔다. 홋카이도 텔레비전 방송(HTB)은 1999년 4월에 『정보 와이드 저녁 Don!Don!』을 시작하며 경쟁에 참전했다. 2002년에는 NHK 홋카이도가, 2003년에는 TVh도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 경쟁에 참전했지만, 둘 다 철수했다. 2003년 4월 HTB는 『이치오시!(현・이치오시!!)』로 리뉴얼했고, 2005년 4월부터는 16시대에도 방송 시간을 확대하여 스포츠 정보를 도입하는 등 젊은 층을 겨냥하여 궤도에 올렸다.[167] 2006년 4월, HBC는 『Hana*텔레비전』을 시작했고, 2010년에는 『굿치의 오늘 도키!(현・오늘 도키!)』를 시작하여 시청률을 끌어올렸다.[167]

2011년 4월, UHB는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 『U형 텔레비전』을 시작했다. 2014년에는 『U형 라이브 EXPRESS』・『U형 라이브』・『Super NEWS U』를 편성했지만, 같은 해 10월 『U형 라이브 EXPRESS』의 종영을 발표하며 대규모 개편은 실패로 끝났다. 2015년, UHB는 신 프로그램 『모두의 텔레비전』을 시작했고, 2019년4월 1일에는 『'''민텔레'''』를 정식 타이틀로 변경했다. 2020년 4월 개편에서 『민텔레』는 16시대에서 철수했고, HBC도 2022년 4월 개편부터 『오늘 도키!』를 16시대에서 철수했다. 이에 따라, 자체 제작으로 16시대부터 18시대까지 방송하고 있는 것은 STV 『도산코 와이드』와 HTB 『이치오시!!』뿐이 되었다.

=== 금요일 20시 전쟁 (일본) ===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금요일 20시에는 니혼 TV의 『태양에 어서오세요!』와 TV 아사히의 『월드 프로레슬링』, 그리고 TBS의 드라마 및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치열한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168] 『태양에 어서오세요!』와 『월드 프로레슬링』은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하여 비슷한 시기에 종료되거나 방송 시간대가 변경되었다.[168]

당시 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는 니혼 TV와 NET(현 TV 아사히) 두 방송국에서 담당했는데, 일본 프로레슬링의 의향에 따라 니혼 TV는 자이언트 바바의 경기를, NET는 안토니오 이노키의 경기를 중심으로 방송했다. 이후 이노키가 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제명되자, NET는 바바의 경기 중계를 요구했고, 일본 프로레슬링 간부가 이에 응하면서 니혼 TV는 1972년 5월 『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중단하고 7월 21일부터 『태양에 어서오세요!』를 시작했다.

한편, NET는 일주일 뒤인 7월 28일부터 『NET 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시작, 이듬해 4월부터는 이노키가 설립한 신일본 프로레슬링 경기 중계를 방송하며 『월드 프로레슬링』으로 개칭했다. 니혼 TV는 『태양에 어서오세요!』를 1쿨만 방송하고[169] 10월부터 전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월드 프로레슬링』에 맞붙일 계획이었으나,[170] 『태양에 어서오세요!』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태양에 어서오세요!』는 신인 배우를 주연으로 내세워 성장시키는 패턴으로 안정적인 시청률을 확보했고, 『월드 프로레슬링』은 이노키를 중심으로 스트롱 스타일을 내세워 이종 격투기 노선 등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두 프로그램에 밀려 침체되었던 TBS는 1979년 가을부터 『3학년 B반 긴파치 선생님』(이하 『긴파치 선생님』)을 방송하여 삼파전 구도를 형성했다. 『긴파치 선생님』은 방송 시작과 함께 큰 화제를 모으며 시청률이 급상승, 최종회는 간토 지방에서 39.9%의 시청률을 기록했다.[171] 같은 날 400회 특집을 방송한 『태양에 어서오세요!』는 18.8%의 시청률에 그쳤다.[172] 『긴파치 선생님』 종료 후에도 TBS는 사쿠라 중학교 시리즈를 통해 우위를 유지했다.

하지만 『태양에 어서오세요!』는 순직[173], 신참 형사 등장 등으로 반격을 꾀했고, 『월드 프로레슬링』은 타이거 마스크(초대) 등장, 국제 군단 및 쵸슈 리키가 이끄는 유신 군단[174]의 등장, 후지나미 타츠미와 쵸슈의 대결 등으로 인기를 얻었다. 특히 고바야시 구니아키가 타이거 마스크의 가면을 벗기려는 장면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75] 이러한 경쟁 속에서 사쿠라 중학교 시리즈는 점차 시청률이 하락, 1983년 3월 『3학년 B반 칸파치 선생님』을 끝으로 금요일 20시 시간대에서 방송을 종료했다.[176]

이후 TBS는 1986년 비트 타케시를 내세운 『풍운! 타케시 성』(이하 『타케시 성』)을 시작하여 시청률 경쟁에서 다시 우위를 점했다. 니혼 TV는 주연 이시하라 유지로의 건강 악화로 『태양에 어서오세요!』를 종료했고(이시하라는 1987년 7월 사망), TV 아사히는 『월드 프로레슬링』을 월요일 20시로 옮기고 『뮤직 스테이션』(이하 『M스테』)을 시작했다.

『타케시 성』은 프라이데이 습격 사건으로 인해 주춤했으나, 『M스테』는 타모리가 사회를 맡은 후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M스테』에는 쟈니스 사무소 소속 아이돌 등 다양한 게스트가 출연했으며, 이시하라 유지로가 출연하여 응원을 보내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니혼 TV와 TV 아사히의 양강 구도가 이어졌으나, 결국 『M스테』가 승리하여 2002년 3월 『웃짱난짱의 우리나리!!』를 종영시켰다. 『M스테』는 2019년 10월 금요일 21시로 시간대를 이동했다.[177][178]

한편, 후지 TV는 1979년 『빅 베스트 텐』을 시작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조기 종영했고, 이후에도 여러 프로그램을 시도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 평일 정오 전쟁 (일본) ===

1960년대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TBS의 『벨트 퀴즈 Q&Q』와 TV 아사히의 『애프터눈 쇼』가 경쟁했다.[179] 1980년대, 만자이 붐에 편승한 후지 TV의 『웃고 있을 때예요!』와 후속 프로그램 『웃어도 괜찮아!』가 큰 인기를 얻었다.[179] 『웃어도 괜찮아!』는 2002년에 사회자 타모리가 "생방송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단독 사회자에 의한 생방송 장수 기록"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고,[179] 2014년에는 "생방송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단독 사회자 최다 기록"과 "생방송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방송 횟수 최다 기록"으로 다시 기네스에 인정되었다.[179]

1985년, 『애프터눈 쇼』가 조작 린치 사건으로 종영되면서,[179] 정오 시간대는 『웃어도 괜찮아!』가 독주하게 되었고, 니혼 TV, TBS, TV 아사히는 2위 경쟁을 벌였다.[179] 미노 몬타는 『오모잇키리 텔레비전』의 사회를 맡으면서, 목표를 『웃어도 괜찮아!』가 아닌 당시 2위였던 TBS의 『신고의 오마치도사마』로 설정할 정도였다.[179]

1987년, 니혼 TV는 『오모잇키리 텔레비전』을 시작하여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어 2위로 올라섰고,[179] 때로는 『웃어도 괜찮아!』를 능가하기도 했다.[179] TV 아사히는 1996년 『와이드! 스크램블』을 통해 다시 시청률 경쟁에 합류하여,[179] 2004년에는 호사카 나오키의 이혼 기자 회견 독점 생중계로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179]

TBS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여러 프로그램의 잇따른 종영으로 고전했지만,[180] 2000년 『베스트 타임』, 2012년 『히루오비!・오후』를 통해 시청률을 회복했다.[179]

이후, 니혼 TV의 『오모잇키리 시리즈』는 2010년까지 계속되었고,[179] 이후 『DON!』을 거쳐 2

12. 1. 토요일 밤 전쟁 (일본)

TBS의 『8시라고! 전원 집합』(1969년 - 1985년)은 "괴물 프로그램"이라 불릴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타 방송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각 방송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했지만, 번번이 고전을 면치 못했다.

후지 TV는 초반에는 『컨트 55호의 세계는 웃는다』로 경쟁했으나, 이후 『컨트 55호의 할 거야 봐줘!』를 기획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시대극 드라마 노선으로 변경했지만, 모두 방송 종료되어 토요일 20시대는 "귀문"이라고까지 불렸다. 1975년에는 『킨짱의 돈과 해보자!』가 성공하여 『전원 집합』을 위협했지만, 시무라 켄의 "히가시무라야마 음두" 히트로 다시 격차가 벌어졌다. 1981년 『우리들은 효킨족』(1981년 - 1989년)이 등장할 때까지 대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

일본 TV는 1972년부터 『전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방송했지만 시청률이 좋지 않았다. 이후 『토요 스페셜』, 『폭소 히트 대진격!!』, 『단토츠 폭소대!!』 등을 방송했지만 단명했다. 1982년부터 다시 『토요 톱 스페셜』을 부활시켰다.

TV 아사히는 시대극이나 현대극을 방송했지만 대항할 수 없었다. 1972년부터 어린이 대상 특촬물(『인조인간 키카이다』, 『키카이다 01』)과 애니메이션(『데빌맨』, 『마이크로이드 S』, 『큐티 허니』)을 편성했지만, 시청률은 회복되지 않았다. 1978년부터 마츠다이라 켄 주연의 시대극 『폭주 대장군 시리즈』가 히트할 때까지 고전했다.

NHK 종합 텔레비전은 1970년 『스테이지 101』, 1972년 『웃음 온 스테이지』를 방송했지만, 『전원 집합』을 따라잡지 못했다. 1974년 해외 드라마 『형사 콜롬보』를 도입하여 대히트시켰고, 이는 『토요 드라마』로 이어졌다.

TV 도쿄는 1970년대 중반부터 단기 프로그램을 방영했고, 1978년부터 단발 특별 프로그램 시간대 『토요 특번』을 시작했다. 1980년에는 『국제 프로레슬링 아워』를 방송했지만, 시청률 부진으로 레귤러 방송이 중단되었다.

1981년, 후지 TV는 『우리들은 효킨족』을 시작했고, 나카모토 코지와 시무라 켄의 불상사 등으로 인해 시청률이 상승, 1984년 연간 시청률에서 『전원 집합』을 역전시켰다. 1985년 『전원 집합』은 종료되었지만, 1986년 후속 프로그램 『카토짱 켄짱 기분 좋은 텔레비전』이 시청률을 회복, 비트 다케시의 프라이데이 습격 사건으로 인해 1987년 『효킨족』을 역전했다.

1990년대에는 『매지컬 두뇌 파워!!』(일본 TV), 『웃짱난짱의 할 거면 하지마!』(후지 TV), 『폭주 대장군』(TV 아사히) 등이 경쟁했다. 1992년 『카토짱 켄짱 기분 좋은 텔레비전』은 리뉴얼 후 시청률이 급락하여 종료되었고, 『웃짱난짱의 할 거면 하지마!』는 사고로 방송이 중단되었다. 『매지컬 두뇌 파워!!』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프로 야구 중계로 인해 목요일로 시간대를 이동했다.

TBS는 『동물 기상천외!』를 시작하여 안정적인 시청률을 확보했다. 후지 TV는 1996년 『메차×2 이케테루!』를 시작하여 시청률을 회복했다.

2000년대에는 『세상에서 가장 받고 싶은 수업』(일본 TV)이 인기를 얻으면서 『메차×2 이케테루!』의 시청률이 하락했다. 2008년 TBS는 드라마 시간대를 설치하고 『ROOKIES』, 『MR.BRAIN』 등을 방송했다.

2010년 이후에는 TV 도쿄의 『토요 스페셜』, NHK의 『브라타모리』, 『데가와 테츠로의 충전시켜 주지 않겠습니까?』(TV 도쿄) 등이 인기를 얻으면서 『메차×2 이케테루!』는 2018년 종료되었다.

12. 2. 평일 아침 어린이 프로그램 전쟁 (일본)

1965년 11월 8일부터 니혼 TV에서 아침 어린이 프로그램인 안녕! 어린이 쇼(이하 『어린이 쇼』)가 월요일~토요일에 방송을 시작하여 1개월 만에 10%의 시청률을 기록했다.[132] 1966년 10월, 후지 TV에서 엄마와 놀자! 뿅뿅 팡(이하 『뿅뿅 팡』)이 방송을 시작했다.[133] 처음에는 두 프로그램 간 방송 시간이 겹치지 않았지만,[133] 1968년 4월, 『뿅뿅 팡』이 방송 시간을 5분 연장하면서 일부 시간대에서 『어린이 쇼』와 겹치게 되어 시청률 경쟁이 시작되었다. 당시 『뿅뿅 팡』은 시청률이 3% 정도에 머물렀다.[134]

1969년 4월, 『어린이 쇼』는 방송 시간을 15분 연장하여 모든 요일에 7:15 - 8:30의 1시간 15분짜리 프로그램이 되어 『뿅뿅 팡』과 중복되는 시간이 30분으로 확대되었다. 같은 해 10월, 『어린이 쇼』가 프로그램 편성상의 이유로 7:15 - 8:00으로 방송 시간을 축소하면서 『뿅뿅 팡』과의 방송 시간대 중복이 해소되어 시청률 경쟁은 일단 휴전 상태가 되었다.

1972년 1월, 『어린이 쇼』가 7:25 - 8:15로 방송 시간대를 이동하면서 다시 『뿅뿅 팡』과 일부 시간대(8:00 - 8:15)에서 중복되면서 시청률 경쟁이 재개되었다. 니혼 TV는 『어린이 쇼』의 대대적인 개편을 실시, 1972년 4월 24일 방송부터 사회자를 츠루마 에리로 변경하고, 프로그램 내용도 일부 코너를 폐지하고 체조 코너인 「변신 체조」나 특촬 코너 드라마를 도입했다. 이는 『레드맨』을 시작으로, 『가라! 갓맨』, 『가라! 그린맨』, 『가라! 우시와카 코타로』와 같이 시리즈화되었다.[132]

1974년 4월, 『어린이 쇼』는 방송 시간을 7:00 - 7:45로, 『뿅뿅 팡』도 8:00 - 8:40으로 변경하여 중복되는 시간이 해소되어, 시청률 경쟁은 다시 휴전이 되었다.

1975년 10월, 후지 TV는 열려라! 퐁키키(이하 『퐁키키』)의 방송 시간대를 아침으로 이동하여 『뿅뿅 팡』의 다음 프로그램으로 8:15 - 8:45의 시간대에 방송하게 되었다. 『퐁키키』는 가챠핀과 무크의 참신한 캐릭터와 「헤엄쳐라! 붕어빵 군」과 같은 히트곡으로 화제가 되었다.[139]

1977년 4월, 『뿅뿅 팡』이 7:30 - 8:00으로, 『퐁키키』도 8:00 - 8:30으로 이동하고, 『어린이 쇼』도 평일・토요일판을 7:45 - 8:25로 이동하면서, 니혼 TV의 『어린이 쇼』의 방송 시간대가 후지 TV의 두 프로그램과 모든 시간대에서 중복되면서 시청률 경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어린이 쇼』는 1975년부터 1977년에 걸쳐 코너를 리뉴얼하고, 핑크 레이디의 초등학생판인 리틀 핑크[140]를 1977년 6월 27일 방송분부터 레귤러로 기용[141]하는 등 개편을 꾀했지만, 『퐁키키』와 『뿅뿅 팡』의 인기를 넘어서지 못했다. 1978년 4월부터 『어린이 쇼』는 방송 시간을 후지 TV의 두 프로그램과 완전히 같은 7:30 - 8:30으로 하여 경쟁하였으나, 시청률은 최하위로 전락했다.

결국 『어린이 쇼』는 1979년 3월 2일에 평일판을 종료하고, 후속 프로그램으로 『줌인!! 아침!』이 방송되었다. 토요일판과 일요일판도 1980년에 종료되었다.

1973년 4월에는 NET TV → TV 아사히에서도 나고야 방송(현: 나고야 TV)이 제작한 『붕붕 뱅뱅』을 방송하여 삼파전이 되었지만, 2년 만에 종료되었다.

12. 3. 일요일 19시 퀴즈 프로그램 전쟁 (일본)

마이니치 방송의 『업다운 퀴즈』(이하 『업다운』)와 아사히 방송의 『세계 일주 주사위 게임』(이하 『주사위 게임』)은 간사이 광역권 방송국이 제작한 전국 네트워크 퀴즈 프로그램으로,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150]

1963년 10월부터 방송을 시작한 『업다운』은 10문제를 정답하면 하와이 여행을 얻을 수 있는 퀴즈로 인기를 끌었다.[150] 1960년대에는 TBS의 『타케다 아워』, 1970년대 전반에는 후지 TV의 애니메이션 시간대와 경쟁했으며, 특히 『유도 일직선』과 『어택 No.1』의 영향으로 시청률이 하락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포츠 근성 드라마와 애니메이션의 시청자층이 달랐고, TV 시청자 수 증가로 인해 시청률 저하는 적었다. 『유도 일직선』과 『어택 No.1』의 종영 이후, 『업다운』은 시청률이 상승하고 시청자층이 넓어졌다.

1975년 3월 31일 장 꼬임 해소로 『업다운』이 NET(현 TV 아사히)에서 TBS로 이동한 후, NET는 인기 저하를 겪었다. 1977년 4월, TV 아사히로 사명을 변경한 후, 토요일 19시에서 아사히 방송 제작 일본 메나드 화장품 일사 제공 퀴즈 프로그램 『미에다의 결혼 게임』을 이동시켰지만, 역부족이었다. 이후 퀴즈 프로그램 노선을 중단했다가, 1982년 4월부터 『삼각 게임 피타고라스』로 부활했다.

1983년 3월, 아사히 방송은 『세계 일주 주사위 게임』을 『업다운』과 같은 시간대로 이동시켜 전국 네트워크화하면서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었다. 『주사위 게임』은 퀴즈와 게임을 결합한 구성으로 큰 인기를 얻었고, 『업다운』은 시청률이 급감했다.[151]

1983년 10월, 『업다운』은 사회자를 사이고 테루히코로 교체하고 퀴즈 규칙을 변경하는 등 대폭적인 리뉴얼을 단행했으나 실패했다. 반면 『주사위 게임』은 이누이 히로아키[151]의 진행으로 시청률을 올렸다. 1984년에도 『업다운』의 시청률 하락은 계속되었고, 1985년 가을에 종료되었다.

『업다운』과의 경쟁에서 승리한 『주사위 게임』도 1985년 3월에 시작한 후지 TV의 애니메이션 『터치』에 시청자를 빼앗겨 1986년 봄에 종료되었다.

마이니치 방송은 『업다운』 종료 후 『퀴즈!! 반짝임 패스워드』를 시작했다.[152] 이 프로그램은 연예인 출연형으로 리뉴얼된 후, 노무라 게이지[152]의 토크로 호평을 받아 시청률이 상승, 1992년 3월까지 높은 시청률을 유지했다.

12. 4. 목요일 21시 전쟁 및 톤네루즈 포위망 (일본)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목요일 21시는 TBS의 『더 베스트 텐』(이하 『베스트 텐』)이 독주했지만, 1988년경부터 시청률이 하락하기 시작했다.[153] 1988년 10월, 후지 텔레비전은 톤네루즈의 『톤네루즈 여러분 덕분입니다』[154](→『라스타 톤네루즈'94』→『톤네루즈의 진짜 속내를 보여주세요!!』→『톤네루즈 여러분 덕분이었습니다』)를 시작, 1989년 연간 평균 시청률 24.4%를 기록하며 『베스트 텐』을 제치고 그해 10월 방송 종료로 몰아넣었다. 『덕분입니다』는 1994년[155]까지 6년 연속 연간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평균 시청률 1위를 차지했다.

TBS는 『베스트 텐』 종료 후 1989년 10월부터 13년 만에 연속 드라마 시간대로 전환, 『사랑하는 방법을 몰라』, 『세상 밖으로』, 『HOTEL』, 『3학년 B반 킨파치 선생님』 등을 인기 드라마로 정착시켰다.[156] 텔레비 아사히는 『목요 드라마』, TV 도쿄는 『목요 양화 극장』으로 코어 시청층을 확보했다.

2000년대 이후, 텔레비 아사히는 요네쿠라 료코 주연작 (협상인, 닥터 X, 리갈 V 등)의 히트로, NTV는 요미우리 텔레비전 방송 제작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빛나라! 소문의 텐 베스트 SHOW, 어느 쪽 요리 쇼, 일본 여행×여행 쇼, 비밀의 켄민 SHOW 등)으로 시청률 경쟁이 격화되었다. TV 도쿄는 2009년 4월 『목요 양화』를 종영했고, TBS는 2015년 10월 연속 드라마 시간대를 폐지하고 『닌겐 관찰 버라이어티 모니터링』을 확대했다. 후지 텔레비전은 2018년 4월 『덕분입니다』를 종료하고 『직격! 심층 사카가미』, 『치도리의 쿠세가 심한 네타 GP』, 『나의 바보 좁은 사학』, 오도오도×하라하라를 거치며[157] 시청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12. 5. 평일 22시 뉴스 전쟁 (일본)

1985년, TV 아사히는 23시대에 방송되던 심야 뉴스 프로그램을 22시로 앞당겨 『뉴스 스테이션』(이하 N스테)을 시작했다. 사회자로는 TBS의 인기 음악 프로그램 『더 베스트텐』의 사회자였던 쿠메 히로시를 낙점했다. 쿠메는 캐스터 취임을 승낙했지만, 비밀리에 진행된 계획이었기 때문에, 공동 출연자인 구로야나기 테츠코에게도 알리지 않고 『더 베스트텐』에서 하차했다.

『N스테』는 중고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뉴스를 콘셉트로 하여 높은 시청률을 획득했다. TBS는 "보도의 TBS"라는 체면과 사운을 걸고 『N스테』를 타도하기 위해 22시대의 뉴스 프로그램 제작을 기획했다. 처음에는 구로야나기 테츠코를 캐스터로 고려했으나 거절당했고, 츠쿠시 테츠야에게 캐스터 취임을 요청했지만 TV 아사히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이후 TBS는 모리모토 타케로를 캐스터로 기용하여 1987년 10월부터 『JNN 뉴스 22 프라임 타임』을 시작했지만, 시청률에서 『N스테』에 밀렸고, 모리모토의 스캔들로 1년 만에 하차했다. 오가와 쿠니오를 캐스터로 영입하고 프로그램명을 『JNN 뉴스 데스크'88 (→'89)』로 변경했지만, 1989년 9월 22시대 뉴스 프로그램에서 철수했다. 이후 츠쿠시 테츠야를 캐스터로 한 『NEWS23』을 시작했다.

2000년 3월, NHK 종합은 『NHK 뉴스 10』을 신설했고, 『N스테』는 방송 시간을 21:54로 앞당겨 대응했다. 2004년, 『N스테』는 캐스터를 후루타치 이치로로 교체하고 『보도 스테이션』으로 변경했다. 『뉴스 10』은 2006년 종영되고 『뉴스 워치 9』로 변경되어 TV 아사히의 독무대가 되었다.

NHK는 22시대에 『클로즈업 현대+』를 방송하여 『보도 스테이션』에 대항했으나, 2022년 4월 개편으로 19시대로 이동했다.

2021년, TV 도쿄는 『월드 비즈니스 새틀라이트』를 22시로 앞당겨 방송한다고 발표했다. TV 도쿄의 이시카와 이치로 사장은 "22시대는 채널을 돌리는 행위가 많다"며, "오늘의 경제 사안을 정리해 내일 이후의 생활, 경제 활동에 도움이 되는 재료를 전달하고 싶다"고 말했다.

12. 6. 삿포로 전쟁 (일본)

홋카이도 지역의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 시청률 경쟁은 삿포로 TV 방송(STV)이 1991년 10월에 시작한 『도산코 와이드 120』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166]

1989년 10월, 홋카이도 문화 방송(UHB)이 도내 최초의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인 『TV 포테이토 저널』을 시작했으나, 초기에는 고전했지만 점차 두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했다. 2년 후인 1991년 STV는 『도산코 와이드』를 시작하여 시청률이 점차 향상되었다. 홋카이도 방송(HBC)은 1993년 10월에 『HBC 유우야케 와이드・텔레비전 이치반보시』를 시작했지만, STV도 『도산코 와이드』의 방송 시간을 확대하면서 "이치반보시"는 1년 만에 종료되었다. 이후 HBC는 여러 프로그램을 시도했지만 모두 "도산코"에 패배했다.

이후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은 HBC・STV・UHB의 삼파전이 이어졌지만, UHB는 1994년 9월에 『포테이토』를 종료하고 드라마 재방송 시간대로 돌아갔다. 홋카이도 텔레비전 방송(HTB)은 1999년 4월에 『정보 와이드 저녁 Don!Don!』을 시작하며 경쟁에 참전했다. 2002년에는 NHK 홋카이도가, 2003년에는 TVh도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 경쟁에 참전했지만, 둘 다 철수했다. 2003년 4월 HTB는 『이치오시!(현・이치오시!!)』로 리뉴얼했고, 2005년 4월부터는 16시대에도 방송 시간을 확대하여 스포츠 정보를 도입하는 등 젊은 층을 겨냥하여 궤도에 올렸다.[167] 2006년 4월, HBC는 『Hana*텔레비전』을 시작했고, 2010년에는 『굿치의 오늘 도키!(현・오늘 도키!)』를 시작하여 시청률을 끌어올렸다.[167]

2011년 4월, UHB는 저녁 와이드 프로그램 『U형 텔레비전』을 시작했다. 2014년에는 『U형 라이브 EXPRESS』・『U형 라이브』・『Super NEWS U』를 편성했지만, 같은 해 10월 『U형 라이브 EXPRESS』의 종영을 발표하며 대규모 개편은 실패로 끝났다. 2015년, UHB는 신 프로그램 『모두의 텔레비전』을 시작했고, 2019년4월 1일에는 『'''민텔레'''』를 정식 타이틀로 변경했다. 2020년 4월 개편에서 『민텔레』는 16시대에서 철수했고, HBC도 2022년 4월 개편부터 『오늘 도키!』를 16시대에서 철수했다. 이에 따라, 자체 제작으로 16시대부터 18시대까지 방송하고 있는 것은 STV 『도산코 와이드』와 HTB 『이치오시!!』뿐이 되었다.

12. 7. 금요일 20시 전쟁 (일본)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금요일 20시에는 니혼 TV의 『태양에 어서오세요!』와 TV 아사히의 『월드 프로레슬링』, 그리고 TBS의 드라마 및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치열한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168] 『태양에 어서오세요!』와 『월드 프로레슬링』은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하여 비슷한 시기에 종료되거나 방송 시간대가 변경되었다.[168]

당시 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는 니혼 TV와 NET(현 TV 아사히) 두 방송국에서 담당했는데, 일본 프로레슬링의 의향에 따라 니혼 TV는 자이언트 바바의 경기를, NET는 안토니오 이노키의 경기를 중심으로 방송했다. 이후 이노키가 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제명되자, NET는 바바의 경기 중계를 요구했고, 일본 프로레슬링 간부가 이에 응하면서 니혼 TV는 1972년 5월 『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중단하고 7월 21일부터 『태양에 어서오세요!』를 시작했다.

한편, NET는 일주일 뒤인 7월 28일부터 『NET 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시작, 이듬해 4월부터는 이노키가 설립한 신일본 프로레슬링 경기 중계를 방송하며 『월드 프로레슬링』으로 개칭했다. 니혼 TV는 『태양에 어서오세요!』를 1쿨만 방송하고[169] 10월부터 전일본 프로레슬링 중계를 『월드 프로레슬링』에 맞붙일 계획이었으나,[170] 『태양에 어서오세요!』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태양에 어서오세요!』는 신인 배우를 주연으로 내세워 성장시키는 패턴으로 안정적인 시청률을 확보했고, 『월드 프로레슬링』은 이노키를 중심으로 스트롱 스타일을 내세워 이종 격투기 노선 등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두 프로그램에 밀려 침체되었던 TBS는 1979년 가을부터 『3학년 B반 긴파치 선생님』(이하 『긴파치 선생님』)을 방송하여 삼파전 구도를 형성했다. 『긴파치 선생님』은 방송 시작과 함께 큰 화제를 모으며 시청률이 급상승, 최종회는 간토 지방에서 39.9%의 시청률을 기록했다.[171] 같은 날 400회 특집을 방송한 『태양에 어서오세요!』는 18.8%의 시청률에 그쳤다.[172] 『긴파치 선생님』 종료 후에도 TBS는 사쿠라 중학교 시리즈를 통해 우위를 유지했다.

하지만 『태양에 어서오세요!』는 순직[173], 신참 형사 등장 등으로 반격을 꾀했고, 『월드 프로레슬링』은 타이거 마스크(초대) 등장, 국제 군단 및 쵸슈 리키가 이끄는 유신 군단[174]의 등장, 후지나미 타츠미와 쵸슈의 대결 등으로 인기를 얻었다. 특히 고바야시 구니아키가 타이거 마스크의 가면을 벗기려는 장면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75] 이러한 경쟁 속에서 사쿠라 중학교 시리즈는 점차 시청률이 하락, 1983년 3월 『3학년 B반 칸파치 선생님』을 끝으로 금요일 20시 시간대에서 방송을 종료했다.[176]

이후 TBS는 1986년 비트 타케시를 내세운 『풍운! 타케시 성』(이하 『타케시 성』)을 시작하여 시청률 경쟁에서 다시 우위를 점했다. 니혼 TV는 주연 이시하라 유지로의 건강 악화로 『태양에 어서오세요!』를 종료했고(이시하라는 1987년 7월 사망), TV 아사히는 『월드 프로레슬링』을 월요일 20시로 옮기고 『뮤직 스테이션』(이하 『M스테』)을 시작했다.

『타케시 성』은 프라이데이 습격 사건으로 인해 주춤했으나, 『M스테』는 타모리가 사회를 맡은 후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M스테』에는 쟈니스 사무소 소속 아이돌 등 다양한 게스트가 출연했으며, 이시하라 유지로가 출연하여 응원을 보내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니혼 TV와 TV 아사히의 양강 구도가 이어졌으나, 결국 『M스테』가 승리하여 2002년 3월 『웃짱난짱의 우리나리!!』를 종영시켰다. 『M스테』는 2019년 10월 금요일 21시로 시간대를 이동했다.[177][178]

한편, 후지 TV는 1979년 『빅 베스트 텐』을 시작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조기 종영했고, 이후에도 여러 프로그램을 시도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2. 8. 평일 정오 전쟁 (일본)

1960년대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TBS의 『벨트 퀴즈 Q&Q』와 TV 아사히의 『애프터눈 쇼』가 경쟁했다.[179] 1980년대, 만자이 붐에 편승한 후지 TV의 『웃고 있을 때예요!』와 후속 프로그램 『웃어도 괜찮아!』가 큰 인기를 얻었다.[179] 『웃어도 괜찮아!』는 2002년에 사회자 타모리가 "생방송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단독 사회자에 의한 생방송 장수 기록"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고,[179] 2014년에는 "생방송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단독 사회자 최다 기록"과 "생방송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방송 횟수 최다 기록"으로 다시 기네스에 인정되었다.[179]

1985년, 『애프터눈 쇼』가 조작 린치 사건으로 종영되면서,[179] 정오 시간대는 『웃어도 괜찮아!』가 독주하게 되었고, 니혼 TV, TBS, TV 아사히는 2위 경쟁을 벌였다.[179] 미노 몬타는 『오모잇키리 텔레비전』의 사회를 맡으면서, 목표를 『웃어도 괜찮아!』가 아닌 당시 2위였던 TBS의 『신고의 오마치도사마』로 설정할 정도였다.[179]

1987년, 니혼 TV는 『오모잇키리 텔레비전』을 시작하여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어 2위로 올라섰고,[179] 때로는 『웃어도 괜찮아!』를 능가하기도 했다.[179] TV 아사히는 1996년 『와이드! 스크램블』을 통해 다시 시청률 경쟁에 합류하여,[179] 2004년에는 호사카 나오키의 이혼 기자 회견 독점 생중계로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179]

TBS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여러 프로그램의 잇따른 종영으로 고전했지만,[180] 2000년 『베스트 타임』, 2012년 『히루오비!・오후』를 통해 시청률을 회복했다.[179]

이후, 니혼 TV의 『오모잇키리 시리즈』는 2010년까지 계속되었고,[179] 이후 『DON!』을 거쳐 2011년부터 『힐난데스!』가 방송되고 있다.[179] 후지 TV는 2014년 『웃어도 괜찮아!』를 종영하고 『바이킹』(이후 『바이킹 MORE』)을 시작했다.[179] TV 아사히는 『테츠코의 방』 시간대를 변경했다.[179] 2022년, 『바이킹 MORE』가 종영되고 『팝UP!』이 시작되었으나, 8개월 만에 종영되었고, 2023년부터 『포카포카』가 방송되고 있다.[179]

12. 9. 일요일 20시 전쟁 (일본)

1965년 1월, NHK 대하 드라마 '태합기'로 시작된 일본 최장 시청률 경쟁은 처음에는 치열한 드라마 전쟁이었다. 1965년 4월까지 6개 채널에서 동시에 드라마를 방송했다(도쿄 12 채널은 '87분서 시리즈').

일요 20시 시간대의 특징은 공백 기간이나 방송국 간의 장벽을 넘어 동일한 연예인이 여러 번 기용되는 사례가 있다는 것이다. 아츠미 키요시, 하기모토 킨이치, 사카이 마사아키 등이 그 예이다.

50년이 넘는 일요 20시 시간대의 민방국별 전적은 니혼 TV의 압승이며, '도호 청춘 학원 시리즈'부터 안정적인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다. 니혼 TV의 장기적인 부진은 '서유기 II' 종영부터 '쿠메 히로시의 TV 스크램블' 시작까지, 그리고 '특명 리서치 200X' 종영부터 '세상의 끝까지 잇테Q!' 시작까지 2번으로 여겨진다.

도쿄 12 채널 → TV 도쿄의 일요 20시 시간대는 '일요 텔레비전 요세'(1967년 10월 - 1969년 9월) '일요 와이드 쇼'(1969년 10월 - 1972년 9월)의 연예 프로그램을 방송한 후, 1972년 10월부터 '일요 특별 로드쇼', '일요 빅 스페셜', '일요 빅 버라이어티'와 50년 동안 특별 프로그램 시간대가 이어졌고, '집, 따라가도 괜찮습니까?'의 시간대 이동으로 2022년 10월부터 1시간 편성의 정규 프로그램이 부활했다.

1972년 10월 시작된 후지 TV '올스타 가족 대항 노래합전'이 드라마와의 차별화에 성공하여 장수 프로그램이 되면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전쟁으로 발전했다. 니혼 TV '천재! 타케시의 힘이 나는 텔레비전!!', 후지 TV '다운타운의 겡키 엣지', 니혼 TV '특명 리서치 200X', TBS 텔레비전 '동물 기상천외!', 니혼 TV '세상의 끝까지 잇테Q!', TV 아사히(ABC 텔레비전) '외딴집'으로 승자가 추이한다.

2021년, 니혼 TV '세상의 끝까지 잇테Q!'(2007년 2월 시작)가 후지 TV '올스타 가족 대항 노래합전'(1972년 10월 - 1986년 9월)의 방송 기간 14년을 넘어, 일요 20시 시간대의 최장수 프로그램이 되었다.

12. 10. 1993년 10월 28일 텔레비전 도쿄 역대 최고 (일본)

도하의 비극으로 알려진 『1994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일본 대 이라크』가 텔레비전 도쿄 역대 최고 시청률인 프로그램 평균 48.1%를 기록했다.[190][191] 전반 종료 직전인 22시 54분에는 순간 최고 58.4%를 기록했다.[190][191] 방송 당일인 1993년 10월 28일은 텔레비전 도쿄 개국 이후 첫 "일일 평균 시청률 삼관왕" (전일 9.4%, 골든 타임 14.8%, 프라임 타임 22.8%)도 획득했다.[190][191]

『1994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일본 대 이라크』 지역별 프로그램 평균 시청률은 다음과 같다.

지역방송국시청률
간토텔레비전 도쿄48.1%
칸사이텔레비전 오사카32.6%
나고야텔레비전 아이치34.8%
북부 규슈TVQ TXN 규슈37.9%
삿포로텔레비전 홋카이도38.3%


12. 11. 먼데이 나이트 워 (미국)

199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미국을 양분하는 프로레슬링 단체인 WWF(현 WWE)와 WCW(해산되어 현존하지 않음)가 월요일 밤 같은 시간대에 프로레슬링 중계(WWF의 'MONDAY NIGHT RAW', WCW의 'MONDAY NITRO')를 방송하면서 치열한 시청률 경쟁이 발생했다.[192][193]

이 시청률 경쟁은 매우 치열하여, 라이벌 단체의 방송을 보고 예고도 없이 대전 카드를 변경하거나 시청률에서 밀릴 것 같으면 현지 스태프가 레슬러에게 난입을 지시하는 등, 상식을 벗어난 연출도 자주 일어났다.

처음에는 WCW가 인기 레슬러를 기용하여 nWo 붐을 일으키는 등 우세했지만, WWF가 선수 및 사장 일가의 항쟁을 전면에 내세우는 애티튜드 노선으로 변경하면서 반격에 성공하여 결국 WCW를 해산에 이르게 했다.

12. 12. 선거 특별 프로그램

국정 선거가 치러질 때마다 선거 특별 프로그램에서도 치열한 시청률 경쟁이 벌어진다. 공영 방송인 NHK에 대항하기 위해 민영 방송에서는 프로그램 연출에 심혈을 기울이게 되었다.[194] 1980년대에 니혼 TV에서 방송된 『쿠메 히로시의 TV 선거 스크램블』에서는 낙선한 후보에게 「장송 행진곡」을 틀고, 후보의 얼굴 사진이 떨어져 가는 연출을 했다. 1989년 이후, 민영 방송 각국에서는 시청률 확보를 위해, 스포츠 중계와 개표 속보를 동시에 하는 프로그램 편성을 하거나, 많은 탤런트와 연예인을 코멘테이터로 출연시켰다. 또한 NHK를 비롯한 각 방송국이 출구 조사 등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사전 분석을 통해 다른 방송국보다 1초라도 빨리 선거구의 당락을 판명하여 방송하게 되었다.[194]

2010년, TV 도쿄가 이케가미 아키라를 사회자로 내세운 『이케가미 아키라의 선거 스페셜』을 시작한 결과, 시청자들에게 호평을 얻어 2010년 이후 민영 방송 1위의 시청률을 기록했다.[195]

13. Twitter TV 에코

비디오 리서치는 프로그램 가치를 측정하는 새로운 지표로 "Twitter TV 에코"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트위터에서 "임프레션 사용자 수", "임프레션 수", "1분당 트윗 게시 수", "트윗 게시 사용자 수"의 4가지 기본 지표를 사용한다.[196] 임프레션(트윗 확산)이 많은 것은 예능, 드라마 등이며, 적은 것은 스포츠 프로그램, 보도 프로그램 등이다.[197] 고령층보다 젊은층에서 시청률과 트윗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게시보다 임프레션(표시)에서 시청률과 트윗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198]

14. 시청률을 소재로 한 픽션

마츠모토 세이초의 소설 『소용돌이』[199], 네트워크(1976년, 미국 영화), 15분(2001년, 미국 영화) 등의 영화, 후지 TV 계열에서 방영된 드라마 미녀와 야수(2003년)가 시청률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199] 또한 세가스페이스 채널 5(1999년), 캡콤의 웃는 개의 모험 GB SILLY GO LUCKY!(2001년), 허드슨의 드림 믹스 TV 월드 파이터즈(2003년) 등의 게임에서도 시청률을 소재로 사용하였다.

15. 관련 서적


  • 비디오 리서치 편, 『시청률의 정체』 세이운샤, 1983년. ISBN 4795252084
  • 후지히라 요시키, 『시청률의 수수께끼에 다가가다 - 디지털 방송 시대를 맞이하여 텔레비전 사회와 우리 생활의 관계를 탐구하는 적절한 텔레비전론』 뉴턴 프레스, 1999년. ISBN 4315515329
  • 히키타 소야, 『전 기록 텔레비전 시청률 50년 전쟁 - 그 때 1억 명이 감동했다』 고단샤, 2004년. ISBN 4062122227
  • 후지히라 요시키, 『시청률의 올바른 사용법』 아사히 신문사, 2007년. ISBN 9784022731425
  • 이와모토 타로, "시청률의 역사와 '앞으로'" 『GALAC』2004년 3월호.
  • NPO 법인 방송 비평 간담회 50주년 기념 출판 『방송 비평의 50년』 가쿠분샤, 2013년, 761-767페이지. ISBN 978-4-7620-2380-4

참조

[1] 서적 The Television Will Be Revolutionized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2] 서적 Audience Economics: Media Institutions and the Audience Marketplace Columbia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People Meter Technology Brings Miami More Accurate Ratings http://www.nielsen.c[...] 2014-10-13
[4] 서적 Managing Television News: A Handbook for Ethical and Effective Produc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 웹사이트 James G. Webster http://www.soc.north[...] 2014-03-16
[6] 웹사이트 The Television Audience Measurement in the Digital Age http://cuadernos.inf[...]
[7] 간행물 Television Audience Measurement: Proposals of the Industry in the Era of Digitalization http://www.tripodos.[...]
[8] 웹사이트 Why DVR Ratings Increases Matter, and Why They Don't – TVLine http://tvline.com/20[...] 2014-10-13
[9] 웹사이트 Dave Zornow Articles: Nielsen's Active/Passive Digital Meter http://www.tngresear[...] 2014-10-13
[10] 서적 Media Now: Understanding Media, Culture, and Technology Cengage Learning
[11] 웹사이트 Nielsen Unveiling Suite Of Next-Generation TV Meters: Designed To Enhance Compliance, Cross-Platform Measurement Too http://www.mediapost[...] 2014-10-13
[12] 웹사이트 Direct live engagement platform for small audiences https://actymeter.co[...]
[13] 웹사이트 Awards case study:The GfK NOP Media Efficiency Panel https://www.mrs.org.[...] The Market Research Society 2014-12-09
[14] 웹사이트 Measuring the Social Report #1: Network Television Ratings http://www.socialsig[...] 2008-10-28
[15] 간행물 NBC Universal Press release http://www.nbcuniver[...] 2010-09-23
[16] citation What is Television Rating Point TRP ? http://tech-bie.blog[...]
[17] 간행물 Estimation method for media audience duplication http://www.ibope.com[...] 2016-04-14
[18] 문서 The Advertising Handbook Routledge 1995
[19] 문서 Ratings Analysis: Audience Measurement and Analytics Routledge 2014
[20] 문서 The Advertising Handbook Routledge 1995
[21] 뉴스 Exclusive: Simultaneous media use rife, new study finds http://adage.com/art[...] 2018-01-04
[22] 서적 Something in the Air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23] citation The Songs You Want to Hear https://www.washingt[...] 2007-01-21
[24] 문서 The Advertising Handbook Routledge 1995
[25] 문서 The Advertising Handbook Routledge 1995
[26] 웹사이트 KBP commissions Kantar Media as radio audience measurement provider http://www.adobomaga[...]
[27] 웹사이트 Radyo5 92.3 News FM remains number one on the road http://www.interaksy[...]
[28] 웹사이트 Summit Media gains market share in latest TNS Survey - https://www.summitme[...]
[29] 웹사이트 PDI beats combined readership of 2 rivals http://newsinfo.inqu[...] 2014-11-03
[30] 뉴스 'High School: Love On' ranks #1 in content power for the 2nd week of July http://www.allkpop.c[...] 2014-07-28
[31] 문서 『[[週刊TVガイド]]』1969年9月5日号でこの名称を使用している。
[32] 웹사이트 今日から変わる「視聴率」 “世帯”から“個人”へ…テレビの価値提示狙う (1) https://news.mynavi.[...] 2020-11-18
[33] 웹사이트 世帯視聴率の記事がなくならない責任の一端はヤフトピにある(境治)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4-01-07
[34] 웹사이트 視聴率はもう古い!?テレビ業界が本当に気にする2つの数字とは? https://ntvpc.co.jp/[...] 2024-01-07
[35] URL コロナ禍で「テレビ離れ」に変化?YouTubeやNetflixなど動画配信とテレビ視聴数の実態 https://www.profutur[...]
[36] 웹사이트 視聴率調査、YouTubeやTVerにも拡大 ビデオリサーチが24年に試行 https://www.itmedia.[...] 2023-11-12
[37] 웹사이트 世帯視聴率と個人視聴率、スポンサーは番組ターゲット層のコア視聴率を重視 - 社会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22-11-15
[38] 웹사이트 「世帯視聴率」と「個人視聴率」ってなに?「コア視聴率」についても説明!|お役立ちコラム|tv asahi Ads|テレビ朝日セールスサイト(CMや広告などの営業メニューをご紹介) https://www.tv-asahi[...] 2022-11-15
[39] 웹사이트 世帯から個人へ、タイムシフトも反映。2018年、視聴率が変わる!(境治) - 個人 https://news.yahoo.c[...] 2022-11-15
[40] 뉴스 日刊スポーツ 2010-06-22
[41] 웹사이트 週間高視聴率番組 10. https://www.videor.c[...] 2022-11-15
[42] 뉴스 TV視聴率調査のニールセン社、問われる調査手法の信頼性 http://wired.jp/wv/a[...] WIRED.jp 2004-04-19
[43] 서적 技術とイノベーションの戦略的マネジメント
[44] 뉴스 第44回スーパーボウル、全米TV史上最多 1.06億人が視聴 http://www.tsp21.com[...] TSPスポーツ 2010-02-08
[45] 뉴스 第51回スーパーボウル、全米TV視聴者数歴代 4位 http://www.tsp21.com[...] TSPスポーツ 2017-02-06
[46] 뉴스 1億1440万人以上――これは何の数字? https://biztips.ohma[...] BIZトピックス 2015-02-25
[47] 서적 デジタルが変えるアニメビジネス
[48]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49]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50] 서적 放送五十年史 資料編 https://dl.ndl.go.jp[...] NHK出版 1977-03-10
[51] 뉴스 視聴率調査 足で電話で/テレビ創成期 電話帳 千枚通し刺し…担当者が証言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10-13
[52] 웹사이트 http://www.crs.or.jp[...]
[53]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54]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55] 웹사이트 テーマ別調べ方案内 / タイトル:テレビ視聴率(総論) http://www.ndl.go.jp[...]
[56] 간행물 視聴率調査について(視聴率ハンドブック) http://www.videor.co[...]
[57] 웹사이트 前代未聞!視聴率測定世帯買収事件 視聴率のためなら悪魔に魂を… https://web.archive.[...] 2003-10-26
[58] 서적 テレビ人間考現学 毎日新聞社
[59] 웹사이트 広告景気年表:1977年 http://www.dentsu.co[...]
[60] 웹사이트 沿革 1962年 - 69年 http://www.videor.co[...]
[61]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62] 서적 放送批評の50年
[63] 간행물 J:COM News Release 「デジタル視聴率」を番組供給事業者に 2006年8月より提供開始 http://www.jcom.co.j[...]
[64] 뉴스 ビデオリサーチ、録画番組再生などのタイムシフト視聴動向を調査。'15年1月からデータ提供へ https://av.watch.imp[...]
[65] 간행물 タイムシフト視聴動向把握に向けた取り組みについて <主な調査結果> http://www.videor.co[...]
[66] 뉴스 録画視聴率を初公表、ドラマ上位が鮮明 ビデオリサーチ https://web.archive.[...]
[67] 간행물 関東地区テレビ視聴率調査の仕様変更について ~ サンプル拡張とタイムシフト測定 ~ https://www.videor.c[...] 비데오리서치 2016-08-26
[68] 문서 すなわち、両視聴率の重複分は2重にカウントしない。
[69] 웹사이트 総合視聴率 http://www.videor.co[...]
[70] 뉴스 「タイムシフト視聴」関西・名古屋両地区でも測定開始へ ビデオリサーチ社発表 https://hochi.news/a[...] 스포츠호치 2018-02-27
[71] 간행물 『2018 FIFAワールドカップ ロシア』 日本代表戦テレビ生中継4試合日本全国で推計約8,014万人がリアルタイム自宅内テレビ視聴4試合合計: 延べリアルタイム自宅内テレビ視聴者数は推計約1億7,458万人〜『テレビ視聴率調査』から全国の「総視聴者数」を推計〜 https://www.videor.c[...] ビデオリサーチ 2018-07-23
[72] 간행물 2018-2019年の年末年始(12月30日~1月3日)恒例番組における日本全国 リアルタイム自宅内テレビ視聴人数を推計〜『テレビ視聴率調査』から全国の「総視聴者数」を推計〜 https://www.videor.c[...] ビデオリサーチ 2019-01-15
[73] 뉴스 VR、年末年始恒例番組における日本全国リアルタイム自宅内テレビ視聴人数を推計 https://www.screens-[...] Screens 2019-01-16
[74] 뉴스 紅白視聴は6183万人 ビデオリサーチ推計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9-01-23
[75] 웹사이트 地震速報で「格付け」休止も「相棒」元日SP放送「出川充電旅」なども異例の視聴率発表なし 対象番組限定 https://www.sponichi[...] 2024-01-02
[76] 문서 2021년2월까지는 동시바 영상 솔루션이 운영하고 있었다.
[77] 웹사이트 テレビ視聴分析サービス SMARTの正式サービスを提供開始 https://www.switch-m[...] 2014-10-06
[78] 웹사이트 2016年 春 大人アニメ集計 by TimeOn Analytics https://m.timeon.jp/[...] 2016-08-05
[79] 웹사이트 テレビ視聴データについて https://www.switch-m[...] 2022-07-25
[80] 웹사이트 よくあるご質問 http://www.regza.com[...] 2022-07-25
[81] 웹사이트 連載特別企画第一弾 新視聴率のスタートで変わること~来年4月全地区同一仕様に~ https://www.videor.c[...] 2020-01-28
[82] 웹사이트 視聴率調査、変わります~2020年3月30日より大幅リニューアル~ https://www.videor.c[...] 2020-02-06
[83] 웹사이트 連載特別企画第三弾 新視聴率のスタートで変わること~全国推計視聴数からみた朝ドラ「エール」~ https://www.videor.c[...] 2020-07-09
[84] 웹사이트 日テレとテレ朝、明暗を分ける決算のある数字 https://toyokeizai.n[...] 2020-08-14
[85] 웹사이트 テレビが遂に気づいた「視聴率より大切なこと」 https://toyokeizai.n[...] 2020-10-04
[86] 웹사이트 視聴率〇%のネット記事が的外れで無意味な訳 https://toyokeizai.n[...] 2021-02-20
[87] 웹사이트 朝日放送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2019年3月期決算説明会 https://corp.asahi.c[...] 2019-05-20
[88] 웹사이트 「アタック25」終了で注目 「新婚さんいらっしゃい!」の“打ち切り”はあるのか? https://www.tokyo-sp[...] 2021-09-27
[89] 웹사이트 テレビ朝日「視聴率トップ」目前も稼ぎが鈍いわけ https://toyokeizai.n[...] 2021-12-04
[90] 웹사이트 テレビ朝日 4月改編も全年齢層向け“ハイブリッド戦略”「すべてに楽しんでいただけるコンテンツを」 https://www.sponichi[...] 2022-03-11
[91] 웹사이트 松本人志言及の「コア視聴率」で分析 フジテレビとテレビ朝日の評価逆転も https://www.news-pos[...] 2021-10-10
[92] 웹사이트 『アタック25』も終了決定…いま、長寿番組の「打ち切り連鎖」が続々と噂されているワケ https://gendai.media[...] 2021-08-01
[93] 웹사이트 松本人志、視聴率報じるネットニュース「やらなくていい」 タレントの下げ記事“無視”呼び掛け https://www.oricon.c[...] 2021-06-20
[94] 웹사이트 NHK放送総局長、昨年の紅白に「多様性やジェンダーに一定の配慮を」 https://www.nikkansp[...] 2022-01-19
[95] 웹사이트 BSの不適切字幕問題でNHK放送総局長が改めて陳謝…再発防止へチェックルール徹底を指示 https://www.chunichi[...] 2022-01-19
[96] 웹사이트 NHK総局長 紅白が視聴率最低「世帯平均だけで判断するのは危険」 https://www.daily.co[...] 2022-01-19
[97] 웹사이트 またもテレ朝の弱点が露呈…「マルス-ゼロの革命-」の不振は深刻、道枝駿佑主演で視聴者はなぜ離れたのか https://www.dailyshi[...] 2024-02-14
[98] 웹사이트 録画にネット視聴、実は見られていた「光る君へ」…演歌冷遇・受信料宣伝の「紅白」はそれでも過去最低 https://www.yomiuri.[...] 2024-01-21
[99] 웹사이트 日テレ 春から土曜夜は有働MC「音楽番組」→「ドラマ2階建て」へ 大改編の狙いは(2ページ目) https://www.dailyshi[...] 2024-01-28
[100] 간행물 連載特別企画第一弾 新視聴率のスタートで変わること~来年4月全地区同一仕様に~ https://www.videor.c[...]
[101] 기타 BS(NHK衛星放送・WOWOW)・CS・CATVの視聴率は? http://www.videor.co[...] ビデオリサーチ
[102] 문서 조사기기 자체가 디지털 미대응이라는 사정도 있었지만 당시의 방송 에리어는 친국 수신 에리어의 일부에 한정되어 있던 것이나 수신 설비 자체가 상급 지향의 것에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103] 뉴스 〈視聴率のふしぎ・下〉デジタル化に対応できるか https://web.archive.[...] 朝日新聞社 2006-12-06
[104] 웹사이트 平野歩夢が金 NHK生中継19・1% 直後の“気象情報”26・3% サブチャン切り替え物議も高視聴率 https://www.sponichi[...] 2022-02-14
[105] 웹사이트 夏目三久「あさチャン!」が大ピンチ 半沢直樹と志らくのおかげで危機感ナシ!? https://www.dailyshi[...] 週刊新潮 2019-12-23
[106] 웹사이트 「NHKだからできる放送」とは何か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 2016-01-04
[107] 웹사이트 日本テレビ視聴率買収事件 https://kotobank.jp/[...]
[108] 뉴스 「毎分視聴率」を出す民放と出さぬNHK 番組制作の意識に差 https://www.news-pos[...] 2014-02-11
[109] 웹사이트 明菜、聖子、薬師丸って…若者は興味ゼロ歌手連発で視聴率低下の紅白 捨て合う若者とテレビ https://web.archive.[...] ビジネスジャーナル 2015-01-09
[110] 뉴스 〈回顧2010・放送〉 NHKに注目 民放連ドラ苦戦 http://www.asahi.com[...] 2010-12-25
[111] 뉴스 またしても一線級女優のキャスティング…来春NHK朝ドラ主演は堀北真希 https://npn.co.jp/ar[...] 2011-06-17
[112] 뉴스 杏&東出昌大“ごちそうさん愛”で視聴率アップ? NHKニンマリ (1/2ページ) https://www.zakzak.c[...] 夕刊フジ 2014-01-07
[113] 뉴스 半井小絵さん「NHKにいるときにはあんなに偏向報道をしているとは思いませんでした」言論テレビ討論会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7-09-19
[114] 서적 放送五十年史 資料編 https://dl.ndl.go.jp[...] 日本放送出版協会 1977-03-10
[115] 서적 放送五十年史 資料編 https://dl.ndl.go.jp[...] 日本放送出版協会 1977-03-10
[116]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講談社 2004
[117] 문서
[118] 문서
[119] 문서
[120]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121]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122] 뉴스 〈速報〉日テレが11年「視聴率3冠王」 http://www.asahi.com[...] asahi.com 2012-01-02
[123] 뉴스 スポーツニッポン 2004年5月15日号 スポーツニッポン 2004-05-15
[124] 문서
[125] 웹사이트 バックナンバー2012年度 VOL.36 2012年 8月27日(月) 〜 9月2日(日) http://www.videor.co[...]
[126] 문서
[127] 문서
[128] 문서
[129] 뉴스 読売新聞 1993年3月15日夕刊 読売新聞 1993-03-15
[130] 문서
[131] 문서
[132] 뉴스 ガップリ四つ ママとあそぼうピンポンパン おはよう!こどもショー 読売新聞 1972-06-08
[133] 문서
[134] 뉴스 子どもにもてもて ピンポンパンの金森勢 ママよりおにいさんの一言 読売新聞 1972-03-22
[135] 문서
[136] 뉴스 ピンポンパン体操の歌のレコード 二週間で三十万枚 視聴率も押し上げる 読売新聞 1972-01-21
[137] 문서
[138] 문서
[139] 문서
[140] 문서
[141] 문서 リトル・ピンクのデビューは1977年6月25日だが、デビュー当日は土曜日であったことと、平日版のレギュラーとして起用したので、実際の出演は同年6月27日からとなった。なお、平日版の終了と同時にリトル・ピンクはわずか2年足らずの活動期間で解散し、後に2人とも芸能界を引退した。
[142] 문서 「けでんと」とは「飛んでけ」を逆読みにした言葉で、17号は当時点での大場の年齢(17歳)が由来であった。
[143] 문서 実際に1979年に『[[ロンパールーム]]』を終了している。
[144] 문서 当時の夕方の番組は30分番組が基本であった。
[145] 문서 ただし、日本テレビ系列であっても[[日本における衛星放送|BS放送局]]である[[BS日本|BS日テレ]]では2000年12月の開局当初から『アンパンマン』の派生バラエティ番組として『[[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くらぶ|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くらぶ]]』と呼ばれる過去のアニメ本編(2009年3月以前の[[標準画質映像|SD製作エピソード]])と実写パートを組み合わせた30分番組(2023年3月までは1時間番組)を月曜〜金曜8時30分からの[[帯番組]]として放送している。こちらは現在も継続し、無料BS放送局の子供番組における最長寿番組でもある。
[146] 문서 1分遅いのは『[[レースガイド]]』が8:00 - 8:01に設置されているため(当時はNET→テレビ朝日が在京キー局での放送だった)、
[147] 문서 [[河童]]がモチーフであった。
[148] 문서 兎がモチーフだった。
[149] 문서 ただし終了直後の同年4月、土曜8:00に設置された単発枠『[[雑学百科]]』で『ピンポンパン』の派生番組を6回放送([[ママとあそぼう!ピンポンパン#備考|詳細]])、またこの『雑学百科』では『ポンキッキ』の派生番組も放送された。
[150] 문서 両名とも当時毎日放送アナウンサー。
[151] 문서 当時朝日放送アナウンサー。
[152] 문서 当時毎日放送アナウンサー。この番組の大ヒットで野村は前番組司会だった小池と同様に全国的に有名となった。
[153] 문서 1988年3月31日放送分関東地区・ビデオリサーチ社調べ
[154] 문서 ただし、1990年4月から9月までの半年間は、日本テレビ系の土曜ドラマ『[[火の用心]]』の出演に専念する為に番組を一旦終了し、その穴埋めには『[[ウッチャンナンチャンの誰かがやらねば!]]』が放送された。
[155] 문서 1994年は3月まで放送された第2期のみの平均でトップを獲得。10月から再開された第3期を含めた平均視聴率では5位となる。
[156] 문서 なお、『ベストテン』の「事実上の後番組」である『[[音楽派トゥギャザー]]』は、従来の放送時間より1時間繰り下がり、22時からの放送開始になったものの、わずか約3ヶ月(全10回)の短命で放送終了となった。
[157] 문서 2023年10月から半年間は、木曜20時に放送していた。
[158] 문서 番組開始当初は金曜に限り23時からのままであった。これは当時金曜22時枠に朝日放送制作の人気時代劇『[[必殺シリーズ]]』が存在していたからである。
[159] 서적 ザ・ベストテン ソニー・マガジンズ 2008-12-25
[160] 서적 ニュースキャスター 集英社 2002-06
[161] 웹사이트 「クローズアップ現代」6年ぶりゴールデン復帰 桑子真帆アナがキャスター就任に驚き「息が止まりそうに」 https://www.sponichi[...] 2022-02-09
[162] 문서 2021年4月2日以降も23時スタートを継続する金曜日を除く。
[163] 웹사이트 テレ東「WBS」4月から1時間繰り上げ午後10時 https://www.nikkansp[...] 2021-01-25
[164] 웹사이트 テレ東「WBS」1時間繰り上げ発表 大江麻理子キャスター「視聴者に寄り添うための選択」 https://encount.pres[...] 2021-01-25
[165] 웹사이트 テレ東「WBS」夜10時へ放送枠移動、大江麻理子キャスター「改めて気を引き締め直して」 https://thetv.jp/new[...] 2021-01-25
[166] 문서 "[http://www.tsukuru.co.jp/gekkan/gekkan94.html#anchor227845 自社制作ワイドで火花を散らす“札幌戦争”]」『[[創 (雑誌)|創]]』1994年7月号、[[創出版]]。
[167] 웹사이트 【今月号特選記事】HBC「今日ドキッ!」MC・グッチーが3月末降板の“確定情報” {{!}} 財界さっぽろ https://www.zaikaisa[...] 2022-03-31
[168] 문서 スタートは『太陽にほえろ!』が1972年7月21日、『ワールドプロレスリング』が1972年7月28日(放送開始時のタイトルは『NET日本プロレスリング中継』、1973年4月6日より[[新日本プロレス]]中継番組として『ワールドプロレスリング』に改題)、終了が『太陽にほえろ!』は1986年11月14日(第一期)、『ワールドプロレスリング』が1986年10月に放送枠移動
[169] 서적 弟
[170] 뉴스 日刊ゲンダイ 2008年10月18日号 日刊ゲンダイ 2008-10-18
[171] 문서 ビデオリサーチ社調べ
[172] 문서 関東地区・ビデオリサーチ社調べ
[173] 문서 希に事故死、病死、転勤、研修、退職による降板もあった。
[174] 문서 結成当初は「はぐれ狼軍団」、または「革命軍」とも呼ばれた。
[175] 뉴스 夕刊フジ 2013年5月6日号 夕刊フジ 2013-05-06
[176] 문서 『桜中学シリーズ』もスペシャル版を除くと、『金八先生』の第3シリーズ(ただし、ここでの舞台は「桜中学」ではなく、「松ヶ崎中学」である)として、1988年10月に月曜21時枠で放送を再開するまで約5年半中断したが、その後『金八先生』のみ、1995年10月からの第4シリーズ開始以降は、時折ブランクを挟みながら断続的に第8シリーズまで毎週木曜21時に放送され、前述の「木曜21時戦争およびとんねるず包囲網」に加わり、裏番組であるフジテレビ系のとんねるずのバラエティ番組と視聴率を争う事となる。ただし、2004年10月から放送の第7シリーズのみ、毎週金曜22時から放送された。
[177] 웹사이트 Mステが夜9時へ!テレビ朝日の金曜日が変わる https://post.tv-asah[...] テレビ朝日(2019年8月27日作成) 2019-12-27
[178] 웹사이트 『ミュージックステーション』10月から“金曜9時” 33年の歴史で初の枠移動 https://www.oricon.c[...] オリコン(2019年8月27日作成) 2019-12-27
[179] 문서 2004年4月2日ビデオリサーチ社発表より
[180] 문서 『人生ゲームハイ&ロー』の他に、放送時間や司会者を変更して放送された『社長ゲームハイ&ロー』の2本を指す。
[181] 문서 同日放送、テレビ朝日『[[西部警察 (PART1)|西部警察]]』12.8%
[182] 문서 19:20 - 20:20『1980年スポーツハイライト』、20:20 - 21:10『[[NHK特集 シルクロード]]』を放送
[183] 문서 『思い出のサンフランシスコ トニー・ベネット・イン・ジャパン』を放送
[184] 문서 同日放送、テレビ朝日『[[西部警察 (PART1)|西部警察]]』19.7%
[185] 문서 ビートたけしバイク事故から復帰初回
[186] 문서 同日放送、日本テレビ『[[誰も知らない明石家さんま]]』13.9%(19:00 - 21:54)
[187] 문서 同日放送、テレビ朝日『ポツンと一軒家』16.4%(19:00 - 20:56)
[188] 웹사이트 新指標「コア&個人視聴率」定着で明確にわかれた各テレビ局の明暗 https://friday.kodan[...] 2021-07-17
[189] 웹사이트 テレビ朝日が絶不調?新基準の視聴率で“最下位目前”の日も https://jisin.jp/ent[...] 2021-07-17
[190] 웹사이트 平均視聴率48.1%!ドーハの悲劇、テレビ東京の舞台裏 https://sportiva.shu[...] 集英社 2022-11-20
[191] 뉴스 視聴率は平均48% 朝日新聞東京本社 1993-10-29
[192] 서적 WWE マンデーナイトウォー ジェネオン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04-06-25
[193] 웹사이트 THE MONDAY NIGHT WARS: RAW vs. Nitro http://onlineonslaug[...] 2003-08-07
[194] 뉴스 衆院選:当選誤報相次ぐ テレビ3局謝罪 http://senkyo.mainic[...] 2014-12-21
[195] 뉴스 池上彰氏&テレ東が圧勝!民放選挙特番 http://www.asahi.com[...] 2014-12-21
[196] 웹사이트 サービス紹介 http://www.videor.co[...] 비デオリサーチ 2015-12-21
[197] 웹사이트 「Twitter TV エコー」サービスはじまる 「みえていなかったものがみえてくる」 https://www.videor.c[...] 비デオリサーチ 2015-12-21
[198] 웹사이트 高齢層より若年層で、視聴率とツイートは高い相関関係 http://www.videor.co[...] 비デオリサーチ 2015-12-21
[199] 문서 この作品の連載終了後に、ビデオリサーチ社長時代の森崎実はコメントを発表し、会社創立以降、ミノル・メーター導入までの、視聴率調査の実態について自ら概説している。「『渦』を脱出 視聴率調査 - 小説に書かれなかった調査会社のあれこれ」(『[[日本経済新聞]]』1977年1月13日付掲載、また『松本清張全集 第40巻』(1982年、[[文藝春秋]])付属の月報に全文が再掲されている)参照。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