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식민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식민주의는 정치적 독립을 획득한 국가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지배를 의미하는 용어로, 가나의 콰메 은크루마가 처음 사용했다. 이는 과거 식민 지배 대신 경제 원조, 투자, 군사 동맹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며, 정치적 형태와 경제적 형태로 구분된다. 신식민주의는 다국적 기업, 국제 금융 기구, 문화적 영향력 등을 통해 비판받으며, 프랑스의 프랑사프리크, 벨기에의 콩고 지배, 미국의 외교 정책,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 러시아의 해외 개입 등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식민주의 -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는 식민 지배 이후 사회의 사회, 문화, 정치적 현실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인한 정체성 문제, 지식 체계, 권력 관계를 연구하며, 이론적 비판과 과제도 함께 다룬다.
  • 신식민주의 - 워싱턴 합의
    워싱턴 합의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워싱턴 D.C. 소재 국제기구들이 개발도상국 및 체제 전환 국가의 경제 발전을 위해 제시한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패키지로, 적용 결과와 비판적 평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유럽의 아프리카 식민화 - 대서양 노예 무역
  • 유럽의 아프리카 식민화 - 알카소바스 조약
    알카소바스 조약은 1479년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왕국 간 전쟁을 종식시키며, 카스티야 왕위 계승 분쟁 해결, 카나리아 제도 지배권 및 특정 해역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규정했으나, 향후 영토 분쟁의 씨앗이 되었고 토르데시야스 조약의 계기가 되었다.
  • 식민주의사 - 탈식민지화
    탈식민지화는 식민지 지배로부터의 해방과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60년 결의안을 통해 식민지화된 국가들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
  • 식민주의사 - 대항해시대
    대항해시대는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유럽 국가들이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고 식민지를 건설하며 세계를 탐험한 시기로, 유럽의 영향력 확대를 가져왔지만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 파괴, 노예 무역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신식민주의
지도
개요
특징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다른 나라를 간접적으로 지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군사적 점령 대신 경제 원조, 정치적 압력, 문화적 영향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용어
어원"새로운"을 뜻하는 접두사 "neo-"와 "식민주의"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용어이다.
역사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식적인 식민 지배가 끝나고 나서 새로운 형태의 지배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가나의 대통령이었던 크와메 은크루마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특징
정치적 지배개발도상국 정부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나 영향력 행사
선진국 정부가 개발도상국의 국내 정치에 개입
경제적 지배다국적 기업을 통한 경제적 착취
국제 원조나 대출을 이용한 경제적 의존 심화
불공정한 무역 조건 강요
문화적 지배서구 문화나 가치관을 강요하여 개발도상국 고유의 문화를 훼손
대중매체를 통한 문화적 제국주의
군사적 지배군사적 개입보다는 정치적 압력을 통해 지배력을 강화
무기 판매나 군사 원조를 통한 영향력 행사
관련 이론
종속 이론세계 체제 이론에서 중심부와 주변부 간의 불평등한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종속되어 경제적으로 착취당하는 상황을 분석
세계 체제 이론국가들을 중심부, 주변부, 반주변부로 나누어 세계 경제 체제를 설명하는 이론
자본주의 체제에서 국가 간 불평등한 권력 관계를 강조
문화 제국주의한 국가의 문화가 다른 국가의 문화를 지배하거나 압도하는 현상
대중매체를 통해 서구 문화가 전파되면서 문화적 종속이 심화
주요 사례
아프리카과거 식민 지배에서 벗어났지만, 경제적 및 정치적으로 서구 열강에 종속된 상태
다국적 기업의 자원 개발 및 착취 문제 심각
아시아서구 열강의 경제적 지배 및 영향력 확대
개발도상국은 경제적으로 선진국에 의존하는 경향
라틴 아메리카미국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 아래에 놓임
개발도상국들의 자원 개발 및 정치적 불안정 지속
비판
경제적 착취개발도상국의 자원을 선진국이 저렴하게 수입하고 고가로 판매하는 불공정한 무역 구조 비판
정치적 간섭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국내 정치에 개입하여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
문화적 침략서구 문화가 확산되면서 개발도상국의 전통 문화가 훼손된다는 비판
관련 문서
관련 주제제국주의
식민주의
종속 이론
세계 체제 이론
문화 제국주의
탈식민주의
참고 문헌
참고 도서Matthew G. Stanard, European Overseas Empire, 1879 – 1999: A Short History, 2018
Jean-Paul Sartre, Colonialism and Neocolonialism, 2001
Noam Chomsky and Edward S. Herman, The Washington Connection and Third World Fascism, 1979
참고 자료John Scott and Gordon Marshall, neo-colonialism, A Dictionary of Sociology, 2009
Sandra Halperin, Neocolonialism | Definition, Examples, & Facts | Britannica, 2023
Philippe Ardant, Le néo-colonialisme: thème, mythe et réalité, Revue française de science politique, 1965
Jean-Paul Sartre, La Mystification néo-colonialiste, Les Temps Modernes, 1956

2. 용어

"신식민주의"라는 용어는 가나의 전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가 처음 사용했다. 이 용어는 1963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 헌장 서문에 등장했으며, 1965년 은크루마의 저서 ''신식민주의, 제국주의의 마지막 단계''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07]

콰메 은크루마 (소련 우표에 묘사됨), 가나 대통령 (1960-1966), "신식민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은크루마는 블라디미르 레닌제국주의론을 바탕으로 신식민주의를 제국주의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했다. 그는 저서에서 국제 독점 자본주의가 아프리카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폭로하며, 신식민주의가 구식 식민주의보다 더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경제적 독립 없이는 정치적 자유가 무의미하다고 강조했다.

은크루마는 ''신식민주의, 제국주의의 마지막 단계''에서 신식민주의의 결과로 외국 자본이 세계의 덜 발전된 지역의 발전보다는 노동 착취에 사용되며, 이로 인해 부유한 국가와 빈곤한 국가 간의 격차가 커진다고 비판했다. 그는 신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이 개발도상국을 빈곤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선진국의 재정적 힘이 사용되는 것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11]

아르헨티나의 혁명가 체 게바라도 1961년 연설에서 신식민주의를 비판하며, 제국주의가 경제 지배를 위해 사용하는 공식이라고 말했다.[12] 그는 1965년에는 제국주의가 다른 나라에 대한 지배를 추구하며, 오늘날 그 지배는 신식민주의라고 불린다고 언급했다.[86]

2. 1. 용어의 기원

메디 벤 바르카는 1962년 인민행동연합 회의에서 1960년대 초 아프리카의 정치적 동향을 설명하기 위해 "al-isti'mar al-jadid"(الاستعمار الجديد|신식민주의ar)라는 용어를 사용했다.[8] 그는 신식민주의를 정치적 독립을 부여하면서도, 실제로는 아프리카 대륙 외부에 기반을 둔 경제적 '원조'를 제공하는 정책으로 정의했다.

3. 신식민주의의 유형

신식민주의는 크게 정치적 형태와 경제적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2017년 5월 브리즈번에서 열린 시위대가 동티모르 석유에 대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장에 항의하는 모습


정치적 형태는 민족 해방 운동을 분열시키고 독립을 무력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경제적 형태는 과거 식민지 국가들이 정치적으로 독립했으나,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선진국에 종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체 게바라종속 이론은 이러한 경제적 신식민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106][12][13]

3. 1. 정치적 형태

신식민주의의 정치적 목표는 민족 해방 운동을 분열시키고, 독립을 형식적인 것으로 만들어 반(半)식민지적 형태로 지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형식적인 독립을 부여하고 공동체의 평등한 구성국으로 만들어 중요 사항에 관한 지배권을 유지함으로써 독립을 무의미하게 만든다.
  • 군사적 동맹 등을 체결하여 군사적 지배하에 둔다. 구 식민지국이 지배를 유지할 수 없게 된 지역을 군사 블록에 편입시키고, 방위 조약을 체결하여 군사 기지를 두고 군대를 주둔시킨다.
  • 제국주의 국가가 식민지의 독립을 인정할 수밖에 없을 때, 정치적·군사적·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분리하여 통일을 저해함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유지하려 한다. 이는 '분할 지배(devide and rule)' 원칙의 변화된 형태로, 종교적·부족적 대립 등을 이용하여 민족 내부에 적대 관계를 유발시켜 민족의 통일을 파괴하고 과격한 독립 운동을 약화시킨다.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에서 강대국들은 그 지배에 편리하도록 정한 경계에 의하여 식민지를 독립시키며 그들을 서로 대립시키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 한 국가의 힘으로 식민 경영이 곤란할 경우, 다른 제국주의 국가와 협력하여 공동으로 지배한다.


정치·군사적 종속의 전형적인 예로는 1958년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 당시의 프랑스공동체가 있다. 1960년 5월 헌법 개정으로 독소 조항은 삭제되었으나, 그 본질은 식민지적 지배 체제의 영속화였다.[106] 종교적·부족적 대립을 이용한 사례로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의 분할 독립을 들 수 있는데, 아프리카 지역의 내란·내전 사태 또한 이에 기인하는 비극적 결과이다.[106]

3. 2. 경제적 형태

경제적 종속은 신식민주의의 핵심적인 형태이다. 과거 식민지였던 국가들이 정치적으로 독립했으나,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선진국에 종속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선진국들은 각종 원조 제공, 자본 및 상품 수출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과의 종속적 관계를 유지하고 경제적 지배를 강화한다.[106] 그 결과, 개발도상국들은 자체적인 경제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선진국에 대한 의존성이 심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106]

1961년, 아르헨티나 혁명가 체 게바라는 신식민지 지배의 경제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설 “쿠바: 역사적 예외인가, 반식민 투쟁의 선봉인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는 정중하게 “저개발국”이라고 불리지만, 사실은 식민지, 반식민지 또는 종속국입니다. 우리는 경제가 제국주의에 의해 왜곡된 국가들입니다. 제국주의는 그 복잡한 경제를 보완하는 데 필요한 산업이나 농업 부문을 비정상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저개발” 또는 왜곡된 발전은 원자재에 대한 위험한 특화를 가져오며, 그 안에는 우리 모든 사람들의 기아의 위협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우리 “저개발국”은 또한 단일 작물, 단일 생산품, 단일 시장을 가진 나라들입니다. 불확실한 판매가 조건을 부과하고 고정하는 단일 시장에 의존하는 단일 생산품. 그것이 제국주의 경제 지배의 위대한 공식입니다.[12]

종속 이론은 경제적 신식민주의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 이론은 세계 경제 시스템이 중심부의 부유한 국가들과 주변부의 가난한 국가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경제적 신식민주의는 가난한 국가의 인적 및 자연 자원을 착취하여 부유한 국가의 경제로 이전시킨다. 그리고 주변부 국가들의 빈곤은 세계 경제 시스템에 통합되는 방식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종속 이론은 세계 경제 시스템 내의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에서 비롯되며, 따라서 주변부의 저개발은 중심부의 발전의 직접적인 결과이다.[13] 여기에는 19세기 후반의 반식민지 개념이 포함된다.[13]

신식민주의 관행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다국적 기업(multinational corporation)의 투자가 저개발 국가의 소수에게만 부를 가져다주고, 인구에게 인도주의적, 환경적, 생태적 피해를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이것이 지속 가능한 개발이 아닌 지속 불가능한 개발로 이어져 영구적인 저개발 상태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이들 국가는 값싼 노동력과 원자재의 보고로 남는 반면, 자국 경제 발전을 위한 첨단 생산 기술에 대한 접근은 제한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천연자원의 독점이 처음에는 투자 유입으로 이어지지만, 종종 실업 증가, 빈곤 증가, 1인당 소득 감소로 이어진다.[21]

서아프리카의 기니비사우, 세네갈, 모리타니에서는 어업이 역사적으로 경제의 중심이었다. 1979년부터 유럽연합은 서아프리카 연안 어업에 대한 정부와의 계약을 협상하기 시작했다. 외국 어선의 지속 불가능한 상업적 과잉 어업은 지역 전역에서 대규모 실업과 이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2] 이는 해양법에 관한 유엔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을 위반하는 것인데, 이 협약은 지역 사회에 대한 어업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외국 기업과의 정부 어업 협정은 잉여 어족 자원만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3]

옥스팜(Oxfam)의 2024년 보고서 "불평등, 주식회사(Inequality, Inc)"는 선진국(Global North)에 위치한 다국적 기업들이 구남(Global South) 전역에서 "식민지 스타일의 '수탈적' 모델"을 영속시키고 있으며, 구남의 경제는 구리에서 커피에 이르기까지 일차 상품 수출에 묶여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24]

4. 신식민주의와 관련된 이론 및 비판

메흐디 벤 바르카는 1962년 인민행동연합 회의에서 "al-isti'mar al-jadid"(الاستعمار الجديد|신식민주의ar)라는 용어를 사용해 1960년대 초 아프리카의 정치적 동향을 설명했다.[8] 그는 신식민주의를 정치적 독립을 부여하면서도 번영을 약속하는 원조를 제공하지만, 그 기반은 아프리카 외부에 있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크와메 은크루마는 1963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 헌장 서문에 "신식민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1965년 저서 ''신식민주의, 제국주의의 마지막 단계''를 통해 이 용어를 널리 알렸다.[9] 그는 이 책에서 국제 독점 자본주의가 아프리카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폭로하며, 신식민주의가 구식 식민주의보다 더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경제적 독립 없이는 정치적 자유가 무의미함을 강조했다. 은크루마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제시된 사회경제적, 정치적 주장을 20세기 후반까지 확장, 발전시켰다.[10]

은크루마는 ''신식민주의, 제국주의의 마지막 단계''에서 신식민주의의 결과로 외국 자본이 세계의 덜 발전된 지역의 발전보다는 노동 착취에 사용되고, 부유한 국가와 빈곤한 국가 간의 격차가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신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은 개발도상국을 빈곤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선진국의 재정적 힘이 사용되는 것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11]

체 게바라는 1961년 연설에서 "저개발국"은 식민지, 반식민지 또는 종속국이며, 이들 국가의 경제는 제국주의에 의해 왜곡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저개발" 또는 왜곡된 발전은 원자재에 대한 위험한 특화를 가져오며, 이는 기아의 위협을 내재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단일 생산품, 단일 시장에 의존하는 것이 제국주의 경제 지배의 공식이라고 비판했다.[12]

신식민주의 개념은 원래 마르크스주의 이론 틀 안에서 발전했지만, 좌익 세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제공해 왔다.

4. 1. 종속 이론

종속 이론은 신식민주의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세계 경제 시스템은 중심부(선진국)와 주변부(개발도상국)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부 국가들의 빈곤은 세계 경제 시스템에 통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주변부의 저개발은 중심부의 발전의 직접적인 결과이며, 이는 19세기 후반의 반식민지 개념을 포함한다.[13]

종속 이론은 세계 경제 시스템 내의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에서 비롯되었다. 이 이론은 주변부의 저개발이 중심부 발전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주장한다. 이는 빈곤이 가난한 국가가 세계 경제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는 과정의 발전 단계라고 주장하는 자유 시장 경제학자들의 관점과 대비된다.

베네수엘라의 역사가 페데리코 브리토 피게로아(Federico Brito Figueroa)는 식민주의와 신식민주의를 모두 사회경제학적 관점에서 광범위하게 분석했으며, 그의 저서와 이론들은 우고 차베스(Hugo Chávez) 전 베네수엘라 대통령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2. 냉전 시기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친 냉전 시기에, 미국과 소련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내정 간섭을 이유로 서로를 신식민주의라고 비난했다.[96][97][98][99][100] 이 시기, 과거 식민 지배를 받았던 많은 국가에서 벌어진 대리 전쟁은 양측의 자금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동시에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에 대한 비판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쿠바나세르 정권 하의 이집트를 비롯한 아프리카 신흥 독립 국가들은 미국이 반미 정권을 타도하고, 자국민의 의지에 반하는 정권을 지원한다고 비난했다.

모로코의 정치가 메흐디 벤 바르카가 의장을 역임했던 아프리카-아시아-라틴아메리카 연대 회의는 제3세계 운동의 한 축으로서, 혁명적인 반식민주의 세력을 지원하여 미국과 프랑스의 분노를 샀다. 벤 바르카는 1965년 의장 퇴임 때까지 "신식민지주의 위원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탈식민지화를 달성한 국가들에 대한 구 종주국의 개입에 초점을 맞춰 서방 진영의 맹주인 미국을 제1의 신식민지주의 세력이라고 강력히 주장했다.

이후, 이 회의의 정신은 쿠바의 아시아·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 인민 연대 기구 등의 조직에 계승되어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친 비동맹 운동으로 이어졌다.

4. 3. 다국적 기업

신식민주의 비판론자들은 다국적 기업의 투자가 개발도상국 국민 대다수에게는 빈곤, 환경 파괴, 생태적 피해를 야기하고, 소수의 엘리트에게만 부를 가져다준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투자는 지속 가능한 개발이 아닌 지속 불가능한 개발로 이어져 개발도상국을 저개발 상태에 머무르게 한다고 비판한다.[21] 이들 국가는 값싼 노동력과 원자재의 보고로 남는 반면, 자국 경제 발전을 위한 첨단 생산 기술에 대한 접근은 제한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천연자원의 독점이 처음에는 투자 유입으로 이어지지만, 종종 실업 증가, 빈곤 증가, 1인당 소득 감소로 이어진다.[101]

서아프리카의 기니비사우, 세네갈, 모리타니에서는 어업이 역사적으로 경제의 중심이었다. 1979년부터 유럽 연합은 서아프리카 연안 어업에 대한 정부와의 계약을 협상하기 시작했다. 외국 어선의 지속 불가능한 상업적 과잉 어업은 지역 전역에서 대규모 실업과 이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2] 이는 해양법에 관한 유엔 협약을 위반하는 것인데, 이 협약은 지역 사회에 대한 어업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외국 기업과의 정부 어업 협정은 잉여 어족 자원만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3] Oxfam영어의 2024년 보고서 "불평등, 주식회사(Inequality, Inc)"는 선진국(Global North)에 위치한 다국적 기업들이 개발도상국(Global South) 전역에서 "식민지 스타일의 '수탈적' 모델"을 영속시키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의 경제는 구리에서 커피에 이르기까지 일차 상품 수출에 묶여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24]

4. 4. 국제 금융 기관

반신식민주의자들은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세계은행(WB)과 같은 국제 경제 기구의 대출, 특히 제3세계에 대한 막대한 채무를 거부할 권리를 요구한다. 이들은 소규모 국가들이 대출이나 경제 원조를 받기 위해 IMF나 WB에 유리하고 자국 경제에는 해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하며, "구조 조정 계획"이 오히려 국내 빈곤을 심화시킨다고 비판한다.[25]

세계은행(World Bank)에 항의하는 사람들(2004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또한, WB와 같은 특정 국가 연합이 최빈국을 지배하고 착취한다고 강조하며, 실제로 제3세계 정부가 뇌물의 대가로 외국 기업에 특권이나 독점권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최빈국에 대한 대출금 대부분이 외국 기업에 상환되기 때문에 사실상 보조금 취급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유착 상태는 "기업 지배(corporatocracy)"라고 불리며, WB, IMF, 세계무역기구(WTO),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 세계경제포럼과 같은 조직은 신제국주의를 구현하는 존재로 비난받는다.

신식민주의가 구식 식민주의의 재탕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오늘날 아프리카가 IMF와 WB에 빌린 돈보다 훨씬 많은 돈을 갚아야 하기 때문에 국민들이 생필품조차 살 수 없는 빈곤 상태에 놓이고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IMF와 WB로부터 복지, 교육, 사회 기반 시설의 민영화를 중심으로 하는 구조 조정 계획을 강요받아 생활 수준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제프리 삭스 교수는 유엔 사무총장의 특별 경제 고문이자 아프리카 전체의 2000억달러에 달하는 대외 채무 탕감을 요구하는 인물이다.[104]

IMF에 대한 비판은 통화 절하 정책에도 미친다. 상환 조건으로 통화 절하를 요구하면서도 저개발국 통화가 절하된 이상 달러 또는 기타 선진국 통화로 대출금을 갚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태도는 비판받는다. 이는 통화를 절하할수록 부채가 늘어나 제3세계를 빚, 빈곤, 신식민주의적 종속 체제에 머물게 한다는 것이다.

4. 5. 문화적 접근

신식민주의는 문화적 영역에서도 나타난다. 부유한 국가들이 매체, 언어, 교육[81], 종교 등 문화적 수단을 통해 다른 국가의 가치관과 인식을 통제하려 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는 '식민지 사고방식'을 조장하여 후식민 사회가 외국 문화에 대한 열등감을 갖게 만들고, 자국의 문화를 폄하하게 만든다. 외국의 방식이 토착 방식보다 더 높이 평가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네그리튀드 운동과 같이 식민 지배 문화에 대한 거부는 이러한 경향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포스트콜로니얼 사회에서 문화적 관습이나 요소를 받아들이는 것은 신식민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포스트콜로니얼리즘영어 이론은 식민 통치의 문화적 유산을 다룬다. 문학을 포함한 포스트콜로니얼 연구는 식민 지배가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식민지 주민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식민 지배자의 이익에 이용되었는지, 식민주의 문학이 식민지 주민을 열등한 존재로 묘사하여 식민 지배를 정당화했는지 등을 조사한다.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대한 서브얼터너 연구, 식민주의의 정신병리학(파농에 의해 제시됨), 제3세계 영화와 같은 영화 제작자들의 영화(예: 토마스 구티에레스 알레아, 키드랫 타히믹)를 포함한다.

알제리지식인인 카테브 야신(Kateb Yacine)은 1966년에 “프랑코포니는 신식민지주의적인 정치 장치이며, 우리의 불화를 오래 끌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지만,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외세의 앞잡이인 것은 아니다. 나는 프랑스인이 아님을 프랑스인들에게 알리기 위해 프랑스어로 집필한다”[92][93]라고 말했다.

5. 신식민주의 사례

제프리 삭스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부채 탕감을 주장하며, 세계은행이나 국제통화기금(IMF)에 상환하지 않고 그 돈을 보건, 교육 등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5]

대한민국 정부와 대기업들은 식량 확보를 위해 개발도상국의 농지를 매입하고 있다.[75]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사무총장은 이러한 토지 거래 증가가 가난한 국가의 식량 생산을 부유한 국가들이 통제하는 "신식민주의"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77] 2008년 대우로지스틱스는 마다가스카르에서 130만 헥타르의 농지를 확보하여 옥수수와 바이오연료 작물을 재배하려 했으나, 마다가스카르 국민들의 반발로 안드리 라조엘리나 대통령에 의해 계약이 취소되었다.[78] 이후 현대중공업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농지를 인수했고, 전라남도는 해외 농지 개발을 위한 중앙 정부 기금을 지원받았다.[79] 한국 기업과 정부는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몽골 등에서도 토지를 매입했다.[75]

5. 1. 프랑스와 아프리카 (프랑사프리크)

'''프랑사프리크'''(''Françafrique|프랑사프리크프랑스어'')는 프랑스와 과거 아프리카 식민지들 간의 긴밀한 관계를 의미하며, 신식민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28][29] 1955년 코트디부아르 대통령 펠릭스 우푸에-보익니가 처음 사용했을 때는 긍정적인 의미였으나, 이후 프랑스와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불균형적인 관계를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베르샤브와 베티는 프랑스가 독립 이후에도 옛 식민지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프랑스 기업들이 광물 자원 채취 등 경제적 이권을 독점하며,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프랑스의 이익을 대변하는 대리인 역할을 한다고 비판했다.[91]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가봉오마르 봉고, 코트디부아르의 펠릭스 우푸에-보익니, 토고의 그나싱베 에야데마, 콩고 공화국드니 사수 응게소, 차드이드리스 데비, 니제르하마니 디오리 등이 프랑스의 이익에 봉사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거론된다.

샤를 드골(1958~1969)과 조르주 퐁피두(1969~1974) 프랑스 대통령 시절 아프리카 문제 고문이었던 자크 포카는 '프랑사프리크'의 주요 지지자로 알려져 있다.[30]

5. 2. 벨기에와 콩고

벨기에는 콩고가 공식적으로 독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콩고를 통제하기 위해 콩고의 빠른 탈식민화를 추진했다. 이는 새로 독립한 콩고가 벨기에에 의존할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것이었다.[1]

벨기에령 콩고가 탈식민화된 이후, 벨기에는 소시에테 제네랄 드 벨지크를 통해 콩고 경제의 약 70%를 통제했다. 특히 카탕가 주는 소시에테 제네랄 드 벨지크의 자회사인 위니옹 미니에르 뒤 오 카탕가가 광물 자원을 장악하여 가장 큰 논란이 되었다. 1960년대에 광업 국유화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이후 외국인 투자에 다시 문을 열었다.

5. 3. 미국

노엄 촘스키미국 제국주의를 비판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다.[33] 그는 미국 외교 정책의 기본 원칙이 미국 기업이 번영할 수 있도록 미국이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제하는 "개방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미국이 자국의 이익에 반하는 국가 내 움직임을 억압하고 친미 정부가 권력을 잡도록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미국의 해외 작전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이 미국의 행동을 민주주의 확산이라는 자선적인 동기를 가진 것으로 미화한다고 비판한다. 그가 자주 언급하는 예시는 베트남, 필리핀, 라틴 아메리카, 중동에서의 미국의 행동이다.

채머스 존슨은 2004년에 미국의 식민지 형태는 군사 기지라고 주장했다.[34] 그는 자신이 미국 제국이라고 부르는 것의 결과에 대한 세 권의 책을 저술했다.[35] 칩 피츠는 2006년에 이라크에 미국의 기지가 계속 존재하는 것은 이라크를 식민지로 보는 관점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36]

"미국 해외 군사기지: 미국과 세계에 미치는 해악"(2015)의 저자인 데이비드 바인은 미국이 45개의 "덜 민주적인" 국가와 지역에 기지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치학자 켄트 캘더의 말을 인용하여 "미국은 기지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에서 독재자[및 기타 비민주적 정권]를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말했다.[37]

5. 4.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라틴 아메리카 여러 국가들과 점점 강력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이는 식민주의 비판으로 이어졌다.[38][39] 1980년대와 90년대에 중국은 중국 경제를 촉진하고 국제 사업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아프리카에서 석유와 광물 등 천연자원을 계속 구매했다.[42][43] 2006년에는 무역액이 500억달러로 증가했고, 2016년에는 5000억달러로 늘어났다.[44] 2007년 8월 기준으로 약 75만 명의 중국인들이 아프리카에서 장기간 일하거나 거주하고 있었다.[40][41]

아프리카에서 중국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여러 국가에 955억달러의 대출을 제공했으며, 대부분 발전 및 인프라 구축에 사용되었다.[45] 이로 인해 중국이 외국 토지를 획득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빚 함정 외교"라는 비난을 받았다.[46][47][48] 다른 분석가들은 중국의 활동이 "후속 투자 기회를 위한 호의 또는 논쟁적인 정치적 문제에 대한 국제적 지지 확보 노력"이라고 말한다.[49]

2018년, 말레이시아 총리 마하티르 모하맛은 중국이 자금을 지원한 두 개의 프로젝트를 취소했다. 그는 또한 말레이시아가 "빚에 묶일" 가능성과 "새로운 형태의 식민주의"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50][51] 그는 나중에 일대일로 또는 중국을 언급한 것이 아니라고 명확히 했다.[52][53]

Mark Langan은 2017년 보고서에서 중국, 서구 행위자, 그리고 다른 신흥 강국들이 아프리카의 이익을 희생하여 자국의 이익을 추구한다고 주장했다. 서구 행위자들은 중국을 아프리카에 대한 위협으로 묘사하는 반면, 유럽과 미국의 아프리카 개입은 미덕으로 묘사한다.[54]

5. 5. 러시아

러시아는 현재 트란스니스트리아(몰도바의 일부), 압하지야남오세티야(조지아의 일부), 그리고 불법적으로 병합한 우크라이나 5개 주를 포함하여 인접 국가의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다.[55] 역사학자 티머시 스나이더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쟁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그 국민을 정복하고, 지배하고, 몰아내고, 착취하려는 의도를 가진 식민지 전쟁"으로 정의한다.[56] 러시아는 2014년에 병합한 크림반도에서 강제 러시아화, 여권 발급, 크림반도에 러시아 시민을 정착시키고 우크라이나인과 크림 타타르족을 몰아내는 행위를 통해 식민주의로 비난받았다.[57]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경비 중인 러시아 용병들


와그너 그룹은 러시아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58] 민간 군사 기업(PMC)으로, 2017년 이후 아프리카의 여러 독재 정권에 군사 지원, 보안 및 보호를 제공해왔다. 그 대가로 러시아와 와그너 관련 기업들은 금광과 다이아몬드 광산에 대한 권리와 같은 해당 국가의 천연자원에 대한 특혜를 받았으며, 러시아군은 공군 기지와 항구와 같은 전략적 위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었다.[59][60] 이는 신식민주의적이고 신제국주의적인 국가 장악의 일종으로 묘사되어 왔는데, 러시아는 집권 정권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그들을 러시아의 보호에 의존하게 만들어 경제적, 정치적 이익을 얻으면서 지역 주민들에게는 이익을 주지 않는 방식이다.[61][62][63] 러시아 PMC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리비아,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모잠비크 등 여러 국가에서 활동해 왔다. 이들은 인권 침해와 민간인 살해 혐의를 받고 있다.[59] 2024년 아프리카의 와그너 그룹은 러시아 국방부의 직접 통제하에 있는 새로운 '아프리카 군단'으로 통합되었다.[66]

5. 6.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와 대기업들은 식량의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의 농지를 매입하고 있다.[75]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사무총장 자크 디우프는 이러한 토지 거래 증가가 부유한 국가들이 가난한 국가의 식량을 생산하게 함으로써 "신식민주의"의 한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이로 인해 가난한 국가의 굶주린 사람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77]

2008년, 한국의 대우로지스틱스는 마다가스카르에서 옥수수와 바이오연료 작물 재배를 위해 130만 헥타르의 농지를 확보했다. 마다가스카르 경작 가능 토지의 약 절반과 열대우림이 팜유와 옥수수 단일경작으로 전환되어 수출용 식량을 생산하게 되었는데, 이는 인구의 3분의 1과 5세 미만 아동의 50%가 영양실조에 시달리는 국가에서 현지인 대신 남아프리카공화국 노동자를 사용했기에 논란이 되었다. 이 계약은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장기간의 반정부 시위의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75] 마르크 라발로마나나 대통령의 퇴진에 영향을 주었다. 새로운 대통령 안드리 라조엘리나는 이 계약을 취소했다.[78] 이후 탄자니아는 한국이 식량 생산 및 가공을 위해 10만 헥타르를 개발하는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7000억~8000억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2010년 완공 예정으로, 한국이 해외에 건설하는 최대 규모의 단일 농업 인프라가 될 예정이었다.[75]

2009년, 현대중공업은 러시아 극동 지역 1만 헥타르 농지를 경작하는 회사의 지분 대부분을 인수했고, 한국의 한 지방 정부는 필리핀 중부 민도로주에서 옥수수 재배를 위해 9만 5천 헥타르의 농지를 확보했다. 전라남도는 해외 농지 개발을 위한 중앙 정부 기금의 혜택을 받은 첫 번째 지방 정부가 되어 19억의 대출을 받았다. 이 프로젝트는 첫 해에 1만 톤의 사료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었다.[79] 한국의 다국적 기업과 지방 정부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캄보디아, 몽골 불간주 등에서 토지를 매입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파라과이우루과이에 300억을 투자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2009년 기준으로 라오스, 미얀마, 세네갈과의 협상이 진행 중이었다.[75]

참조

[1] 서적 European Overseas Empire, 1879 – 1999: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8
[2] 백과사전 neo-colonialism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 백과사전 Neocolonialism | Definition, Exampl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02
[4] 학술지 Le néo-colonialisme: thème, mythe et réalité 1965
[5] 학술지 La Mystification néo-colonialiste https://socio13.word[...] "March–April 1956"
[6] 서적 Colonialism and Neocolonialism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 서적 The Washington Connection and Third World Fascism https://books.google[...] Black Rose Books
[8] 서적 alaikhtiar althawriu fi almaghrib دار الطليعة،
[9] 서적 The A to Z of the Non-Aligned Movement and Third World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4-06
[10]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https://www.marxists[...] 2021-08-27
[11] 서적 Neo-Colonialism, the Last Stage of Imperialism https://www.marxists[...] 2021-08-27
[12] 서적 Cuba: Historical exception or vanguard in the anticolonial struggle? https://www.marxists[...] 2021-08-27
[13] 학술지 Semicolonial Countries and Semi-Industrialised Dependent Countries
[14] 서적 Soviet Foreign Policy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04-02
[15] 서적 Christianity and Social Systems: Historical Constructions and Ethical Challeng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6] 서적 Anxieties of Empire and the Fiction of Intrigu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World-system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18] 서적 Neocolonialism American Style, 1960–2000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 서적 Nations and States: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Nations and the Politics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Methuen
[20] 백과사전 Colonialism and Neo-colonialism Simon & Schuster
[21] 뉴스 World Bank, IMF Threw Colombia Into Tailspin https://web.archive.[...] 2002-04-04
[22] 뉴스 Europe Takes Africa's Fish, and Boatloads of Migrants Follow https://www.nytimes.[...] 2021-08-27
[23] 기타 United Nations 2007
[24] 웹사이트 Inequality, Inc.: How corporate power divides our world and the need for a new era of public action https://www.oxfam.or[...] 2024-01-18
[25] 뉴스 Africa 'should not pay its debts' http://news.bbc.co.u[...] 2013-11-23
[26] 기타
[27] 뉴스 African protests over the CFA 'colonial currency' https://www.bbc.com/[...] 2017-08-30
[28] 서적 Africa: The Politics of Independence and U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9] 학술지 Reviewed work: Neocolonialism and African Politics: A Survey of the Impact of Neocolonialism on African Political Behaviour, Yolamu R. Barongo
[30] obituary The Man Who Ran Françafrique – French Politician Jacques Foccart's Role in France's Colonisation of Africa Under the Leadership of Charles de Gaulle "Fall 1997"
[31] 학술지 Walberg, Eric. Postmodern Imperialism: Geopolitics and the Great Games. https://journals.ope[...] 2012-03-26
[32] 학술지 Petroimperialism: US Oil Interests and the War in Iraq https://dk-media.s3.[...] 2014-11-25
[33] 뉴스 'US foreign policy is straight out of the mafia' https://www.theguard[...] 2017-06-03
[34] 뉴스 America's Empire of Bases https://www.tomdispa[...] 2004-01-15
[35] 뉴스 Chalmers Johnson, 1931–2010, on the Last Days of the American Republic https://web.archive.[...] 2010-11-22
[36] 뉴스 The Election on Empire http://nationalinter[...] The National Interest 2006-11-08
[37] 뉴스 How U.S. Military Bases Back Dictators, Autocrats, And Military Regimes https://www.huffingt[...] 2017-05-16
[38] 웹사이트 Asia Times Online :: China News – Military backs China's Africa adventure http://www.atimes.co[...]
[39] 뉴스 Mbeki warns on China-Africa ties http://news.bbc.co.u[...] 2006-12-14
[40] 웹사이트 Breaking News, World News & Multimedia http://www.iht.com/a[...]
[41] 웹사이트 Chinese imperialism in Africa | International Communist Current https://en.internati[...]
[42] 웹사이트 China in Africa http://www.cfr.org/p[...]
[43] 웹사이트 Green Left – CHINA: Is China Africa's new imperialist power? http://www.greenleft[...] 2007-03-12
[44] 뉴스 Is China the new colonial power in Africa? https://www.taipeiti[...] 2006-11-01
[45] 뉴스 Opinion {{!}} U.S. politicians get China in Africa all wrong https://www.washingt[...] 2018-04-12
[46] 뉴스 'We Cannot Afford This': Malaysia Pushes Back Against China's Vision https://www.nytimes.[...] 2018-08-20
[47] 뉴스 How China Got Sri Lanka to Cough Up a Port https://www.nytimes.[...] 2018-06-25
[48] 웹사이트 Why China remains greatest threat to Kenya's sovereignty https://www.standard[...]
[49] 웹사이트 China in Africa https://www.cfr.org/[...]
[50] 뉴스 Malaysia's Mahathir warns against 'new colonialism' during China visit http://www.abc.net.a[...] 2018-08-21
[51] 뉴스 Mahathir fears new colonialism, cancels 2 Chinese projects on Beijing visit https://timesofindia[...]
[52] 뉴스 Is China's belt and road colonialism? Mahathir: not at all https://www.scmp.com[...] 2018-10-02
[53] 웹사이트 Dr M: I didn't accuse the Chinese http://www.theedgema[...] 2018-10-03
[54] 서적 Neo-Colonialism and the Poverty of 'Development' in Af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10-11
[55] 학술지 The War in Ukraine and Eurasia's New Imperial Moment https://doi.org/10.1[...] 2022
[56] 웹사이트 'Russia's war in Ukraine will be seen as colonial war' – interview with Timothy Snyder https://www.lrt.lt/e[...] 2023-11-21
[57] 학술지 The silent Russian colonisation of Crimea https://neweasterneu[...] 2021-08
[58] 웹사이트 Wagner mutiny: Group fully funded by Russia, says Putin https://www.bbc.co.u[...] 2023-06-27
[59] 뉴스 How Russia's Wagner Group funds its role in Putin's Ukraine war by plundering Africa's resources https://www.cbsnews.[...] 2023-05-16
[60] 웹사이트 Russia's Wagner Group in Africa: Influence, commercial concessions, rights violations, and counterinsurgency failure https://www.brooking[...] 2022-02-08
[61] 학술지 Proxy Neo-colonialism? The Case of Wagner Group i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https://journals.sag[...] 2024
[62] 웹사이트 How Russia is pursuing state capture in Africa https://blogs.lse.ac[...] 2022-03-21
[63] 뉴스 Russia 'destabilising the West' with mercenaries in Africa, defence chiefs warn https://www.telegrap[...] 2022-03-10
[64] 뉴스 Fact check: Russia's influence on Africa https://www.dw.com/e[...] 2023-07-27
[65] 웹사이트 Tracking Russian Interference to Derail Democracy in Africa https://africacenter[...] Africa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2023-06-21
[66] 뉴스 More control, less deniability: what next for Russia in Africa after Wagner? https://www.theguard[...] 2024-05-21
[67] 웹사이트 The Threat from Russia's Unconventional Warfare Beyond Ukraine, 2022–24 https://static.rusi.[...]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2024-02-20
[68] 서적 Beyond Crimea: The New Russian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2016
[69] 웹사이트 How the Islamic Republic colonised Iran https://www.newstate[...] 2023-09-25
[70] 학술지 Neo-colonialism in Africa and the Cases of Turkey and Iran http://journals.sage[...] 2019
[71] 논문 Iran Foreign Policy: Humanitarian Soft Power and the Search for Status in Ghana http://qspace.qu.edu[...] Qatar University 2023-01-01
[72] 뉴스 De 20 jaar lange strijd om het domein .nu raakt ook Nederlanders https://tweakers.net[...] 2021-08-27
[73] 웹사이트 The Government of Niue Launches Proceedings With ICANN to Reclaim Its .nu Top-Level Domain http://circleid.com/[...] 2021-08-27
[74] 뉴스 'Digital colonisation': A tiny island nation just launched a major effort to win back control of its top-level internet domain https://web.archive.[...] 2020-12-16
[75] 뉴스 Korea's Overseas Development Backfires https://koreatimes.c[...] 2009-12-04
[76] 뉴스 Coherent State Support Key to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https://www.koreatim[...] 2021-08-27
[77] 뉴스 Rich countries launch great land grab to safeguard food supply http://www.theguardi[...] 2022-03-11
[78] 뉴스 Madagascar scraps Daewoo farm deal http://www.ft.com/cm[...] 2021-08-27
[79] 뉴스 S. Korea Leases Philippine Farmland to Grow Corn https://www.koreatim[...] 2021-08-27
[80] 학술지 The Epistemic Decolonial Turn 2007-04-03
[81] 웹사이트 Exploring the Intellectual Foundations of Egyptian National Education https://getd.libs.ug[...] 2013-01-01
[82] 학술지 Locating Neocolonialism, 'Tradition', and Human Rights in Uganda's 'Gay Death Penalty' https://www.cambridg[...] 2012-09-01
[83] 학술지 Gender Construction and Neocolonialism 1993-01-01
[84] 뉴스 US imposes sanctions on Uganda for anti-gay law https://www.bbc.com/[...] 2014-06-19
[85] UN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1514 and 1541 http://wpik.org/Src/[...]
[86] 웹사이트 At the Afro-Asian Conference in Algeria http://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1965-02-24
[87] 서적 Debating the African Condition: Governance and leadership Africa World Press 2003-01-01
[88]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http://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1963-01-01
[89] 서적 Neo-Colonialism, The Last Stage of Imperialism http://www.marxists.[...] Thomas Nelson & Sons, Ltd., London (1965); International Publishers Co., Inc., (1966)
[90] 서적 (Unspecified, needs further information) (Unspecified, needs further information)
[91] 서적 フランサフリック - アフリカを食いものにするフランス 緑風出版
[92] 웹사이트 http://www.afrique-d[...]
[93] 웹사이트 http://www.arabesque[...]
[94] 웹사이트 http://www.thirdworl[...]
[95] 서적 Semicolonial Countries and Semi-Industrialised Dependent Countries
[96] 서적 Soviet new thinking o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continuity and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01-01
[97] 서적 Christianity and Social Systems: Historical Constructions and Ethical Challenges Rowman & Littlefield 2008-01-01
[98] 서적 Anxieties of Empire and the Fiction of Intrigu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01-01
[99]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world-system perspective Westview Press 1996-01-01
[100] 서적 Neocolonialism American style, 1960-2000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01-01
[101] 뉴스 World Bank, IMF Threw Colombia Into Tailspin http://www.commondre[...] 2002-04-04
[102] 뉴스 Europe Takes Africa’s Fish, and Boatloads of Migrants Follow http://www.nytimes.c[...] 2008-01-14
[103] UN United Nations 2007
[104] 연설 코피 아난 국연 사무총장(당시) 향한 담화
[105] 사전 상품작물
[106] 위키소스 신식민지주의 https://ko.wikisourc[...]
[107] 서적 The A to Z of the Non-Aligned Movement and Third World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