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까시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까시나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활엽수로, 콩과에 속하며 학명은 ''Robinia pseudoacacia''이다. '아카시아'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지만, 실제 아카시아속과는 다른 종이다. 17세기에 유럽에 도입되었으며, 한국에는 1891년 처음 들어왔다. 다 자라면 높이 15~25m까지 자라며, 흰색 꽃과 꼬투리 열매를 맺는다. 꿀, 목재, 사방·치산용으로 활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나무 - 수양버들
    수양버들은 아래로 처지는 가지와 가늘고 긴 잎이 특징인 버드나무속 낙엽활엽 교목으로, 잎은 가축 사료로, 목재는 건축 및 공예 재료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별, 신성함, 생명력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국의 나무 - 미루나무
    미루나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성 큰 키 나무로, 빠른 성장, 굵은 톱니 모양 잎, 솜털로 덮인 씨앗이 특징이며, 목재는 가구 재료나 펄프재로, 껍질은 약용으로 사용되고, 일부 주에서는 상징적인 나무로 지정되기도 한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목본식물 - 카카오
    카카오는 아욱과에 속하는 열대 식물로, 열매인 카카오콩을 가공하여 코코아, 초콜릿 등을 만들며, 아동 노동, 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품종 개발과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목본식물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아까시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분포
원산지
기본 정보
학명Robinia pseudoacacia L.
국명니세아카시아
하리엔주
영어 이름Locust tree
일본어 이름ニセアカシア(ハリエンジュ)
한국어 이름아까시나무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콩목
콩과
아과콩아과
아까시나무족
아까시나무속
아까시나무
보전 상태
IUCNLC
TNC미정
기타
PLANTS 데이터베이스 IDROPS
BONAP 속Robinia
BONAP 종pseudoacacia
생물다양성 탐험가Robinia pseudoacacia
잡초 오스트레일리아Black Locust, False Acacia, Locust Tree, Yellow Locust, Robinia, White Acacia
BSBI 2007미정
YList ID5029
한반도의 생물다양성120000062142

2. 이름

학명인 pseudoacaciala는 ‘아카시아와 비슷하다’는 뜻이다. 아카시아(''Acacia'')는 동남아시아와 남반구에 서식하는 나무로, 아까시나무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한다. 영어권과 일본어권에선 아까시나무를 ‘가짜 아카시아(false acacia영어, ニセアカシア일본어)’로 부르기도 한다. 아카시아가 자라지 않는 대한민국에서는 아까시나무를 그냥 ‘아카시아’로 부르기도 한다.[15]

표준 일본어 명칭은 하리엔주(ハリエンジュ)이지만, 니세아카시아(ニセアカシア)라는 이름이 더 잘 알려져 있다. 니세아카시아는 종소명(種小名)인 pseudoacaciala(偽のアカシア)의 직역이다. 아카시아는 열대에 분포하는 콩과 식물이지만, 아까시나무는 잎 모양이 아카시아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가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속명(属名)인 Robiniala(로비니아)는 프랑스의 식물학자 로빈(Robin)의 이름에서 유래하며, 이 때문에 프랑스에서는 로비니에(Robinier)라는 이름이 더 흔하게 쓰인다.

'''하리엔주'''는 옛부터 귀하게 여겨지는 회화나무와 비슷한 잎을 가지고 있지만, 가지 밑부분에 가시가 발달한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 이 일본어 이름은 식물학자 마츠무라 진조가 명명한 것으로, 식물학적으로는 이 이름이 비교적 많이 사용된다. 홋카이도에서는 "아카시아"라고 부르며 친숙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

영어 이름은 black locust(검은 메뚜기 나무)이다. 형태적 특징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종의 콩꼬투리는 진한 갈색이며, 이것이 가지 끝에 많이 달리는 모습이 마치 메뚜기가 떼지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많이 이야기된다. locust는 메뚜기, 사막 메뚜기와 같은 머리가 네모난 메뚜기류를 가리킨다. 그 외에도 false acacia(가짜 아카시아), Pioneer tree(개척자의 나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중국어 명칭은 刺槐[52]이다. 중국에서는 洋槐라는 글자도 쓰이는데, 이것은 중국에 많은 회화나무(槐樹)에 대한 구분이다. 또한, 德国槐라는 글자도 쓰이는데, 이것은 독일(德国)이 조차했던 칭다오(青島)에 대규모로 심어진 데서 유래한다.

3. 역사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17세기에 유럽에 도입되었다.[91]

1891년 일본우선 인천지점장인 사카키(坂木)가 상하이로부터 인천에 묘목을 들여왔다는 기록이 있다.[92][93] 한편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에 있는 아까시나무는 1890년 전후에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94] 1900년대용산구 육군본부 자리와 경인선 철도변에 처음 도입되었는데,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독일 총영사 크루프의 추천으로 심었다. 경성제국대학 불어 교사 E. 마텔은 번식력이 왕성하여 심지 말 것을 건의했으나 총독부는 따르지 않았다. 그 결과 아까시나무는 빠른 속도로 전국에 퍼졌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 정부 주도의 산림녹화사업을 통해 전국에 심어졌다.

4. 형태

다 자라면 높이는 15~25m 정도, 줄기 단면의 지름은 80cm 정도가 된다. 예외적으로 아주 오래된 아까시나무는 높이가 27m, 줄기 단면의 지름이 1.6m쯤 되기도 한다.

13개의 작은잎을 가진 아까시나무 잎 하나


잎은 홀수깃꼴겹잎으로, 작은 잎 9~19개가 깃털 모양으로 잎대에 붙어 있는데, 그 길이가 10~25cm이다. 각 잎의 아래 부분에는 작은 가시 한 쌍이 있다. 어린 아까시나무의 가시는 2cm 정도 되며, 나이가 들면 가시가 없어지거나 1~2mm 정도로 작아진다. 짙은 청록색 잎은 뒷면이 더 밝고, 각 잎은 길이 약 15.24cm이고 9~19개의 소엽을 포함하며, 각 소엽은 길이 약 2.54cm, 너비 약 1.65cm이다. 소엽은 끝이 둥글거나 약간 오목하며, 기부는 일반적으로 둥글다.

아까시나무의 은 흰색과 노란색이고 강한 향기가 나며 먹을 수 있다. 꽃이 여러 개 모여 꽃대에 주렁주렁 자라는데, 이 길이는 8~20cm이다. 열매는 5~10cm의 꼬투리와 꼬투리 안의 씨앗 4~10개로 이루어져 있다.

아까시나무의 열매


아까시나무의 뿌리에는 뿌리혹이 있어 질소를 고정할 수 있다.

5. 생태

뿌리에는 질소 고정을 하는 박테리아가 있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12]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기 때문에 어떤 토질에서도 잘 자라며, 거의 손질이 필요 없고, 벌채되거나 부러져도 여러 번 새싹이 돋아나는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아까시나무는 꽃을 통한 유성생식과 뿌리 흡지(root suckers)를 통한 무성생식 모두로 번식한다. 꽃은 주로 벌목 곤충에 의해 수분되는 충매화이다. 꽃의 구조는 수술과 암술이 분리되어 있어 자가 수분은 일반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12] 아까시나무는 자신의 꽃가루로는 결실하기 어려운 자가불화합성을 보이며, 도쿄에서의 관찰에서는 꽃을 찾은 것은 꿀벌이 가장 많았다.[59] 묘목은 빠르게 자라지만, 두꺼운 종피 때문에 모든 종자가 발아하는 것은 아니다. 뜨거운 물, 황산 또는 기계적인 긁힘(scarification)을 통해 종피를 약화시키면 더 많은 종자가 발아할 수 있다.[16][11] 종자는 매년 또는 격년으로 풍부하게 생산된다.

뿌리 흡지는 아까시나무의 국지적 번식에 중요한 방법이다. 뿌리는 손상(잔디깎이에 부딪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손상되는 경우)을 입거나 손상을 입지 않았을 때도 흡지를 생성할 수 있다. 흡지는 뿌리에서 자라 직접 공기 중으로 자라는 줄기이며, 완전한 나무로 자랄 수 있다. 주요 줄기 또한 맹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잘린 후에도 맹아가 돋아난다.[8] 이 때문에 아까시나무 제거가 어려운데, 흡지를 줄기와 뿌리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나무가 다시 자라기 때문이다. 이것은 무성 번식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맹아갱신 능력이 뛰어나다.

흡지 덕분에 아까시나무는 종종 다른 종들을 배제하는 군락을 형성한다. 이러한 군락은 빽빽한 덤불을 형성하여 경쟁 종들을 그늘지게 한다.[13]

아까시나무는 흡수하지 않는 휴면하는 매토종자(땅속에 묻힌 종자)에 의한 토양 시드뱅크를 형성한다. 종피가 상처났을 때 발아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홍수나 토석류와 같은 토사와 물의 혼합물이 흘러내리면서 적당한 교란이 일어나는 곳을 선호하고,[55] 반대로 교란이 거의 없는 장소에는 침입할 수 없다고 여겨진다.[56]

종피에 상처가 나지 않아도 발아 능력을 가진 비휴면성 종자도 맺는다. 두 종류의 종자를 가지는 것, 맹아갱신 능력이 높은 것, 성장이 빠른 것이 하천변에서 우세해지는 큰 요인으로 여겨진다.[57][58]

하천변에서의 관찰에서는 아까시나무가 침입하면 식물 군락의 구조가 변화하여 습지 환경에서 산지에 가까운 환경으로 변화한다는 것이 여러 곳에서 보고되고 있다.[60][61][62]

아까시나무는 음수(陰樹)에 속하지 않는 종[17]이며, 햇빛이 풍부하고 토양이 건조한 젊은 삼림과 교란된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아까시나무는 잡초 나무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지하 뿌리줄기나 흡지(sucker)를 통해 번식하는데, 이는 이 종의 잡초 같은 특성에 기여한다.[16]

모래 지역에서 자랄 때 질소 고정 뿌리혹을 통해 토양을 비옥하게 하여 다른 종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8] 모래 토양에서는 질소를 고정할 수 없는 다른 식물을 대체할 수 있다.[11]

아까시나무는 전형적인 초기 천이 식물이자 선구종이다. 밝은 햇빛에서 가장 잘 자라며 그늘을 잘 견디지 못한다.[17] 교란된 지역과 숲 가장자리에 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결국 더 키가 크거나 그늘에 더 강한 종으로 대체된다. 건조한 석회암 토양을 선호하지만 습하거나 배수가 불량하지 않은 대부분의 토양에서 자란다.[17] 이 나무는 4.6~8.2의 토양 pH 범위를 견딘다.[11] 원산지에서는 인셉티솔(Inceptisols), 울티솔(Ultisols), 알피솔(Alfisols) 토양에서 자라지만, 다져진 점토질 토양이나 침식된 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아까시나무는 애팔래치아 혼합 중생식림(Appalachian mixed mesophytic forests)의 일부이다.

아까시나무는 최대 67종의 나비목(Lepidoptera) 곤충의 서식지[19]이며, 이전에 개방된 지역에 심었을 때 귀중한 피난처를 제공한다. 그 씨앗은 흰턱멧닭(bobwhite quail) 및 기타 사냥용 조류와 다람쥐가 먹는다. 오래된 나무는 심재 부패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무의 줄기에 딱따구리가 둥지를 틀 수 있다. 깊게 패인 나무껍질은 일부 박쥐의 휴식처로서 선호되는 종이 되도록 한다.[20]

잎, 열매, 나무껍질에는 독성이 있으며, 나무껍질을 먹은 말이 중독 증상을 일으킨 사례가 있다.[54]

6. 분포

원산지는 미국 동부 애팔래치아 산맥 주변이다.[63] 정확한 원산지 범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펜실베이니아에서 조지아주 북부까지의 애팔래치아 산맥 중심 지역과 아칸소주, 오클라호마주, 미주리주 서쪽의 오자크 고원과 우아치타 산맥 중심 지역의 두 개체군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퍼져 있으며, 파키스탄, 인도, 호주, 캐나다, 중국, 유럽,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시아의 온대 지역,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남부 등지에 분포한다.[18] 일본에서는 하천 상류 지역의 사방 사업에 사용되어 하천을 따라 분포하는 경우가 많다.[63]

7. 인간과의 관계

아까시나무는 인간과 여러 방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콩과 식물 특유의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여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과거 한국의 황폐지 복구에 크게 기여했다.[71] 아름다운 꽃은 가로수공원의 관상용으로 심어졌고,[70] 꽃에서 채취하는 꿀은 일본 등에서 유용한 밀원식물로 활용된다.[70] 목재는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과거에는 철도 침목, 나무못, 땔감 등으로, 최근에는 가구, 마루판, 야외 시설물 등으로 사용된다.[70][48][50] 한편, 번식력이 강해 일본 등에서는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한다.[76][77]

7. 1. 사방 및 치산

아까시나무는 건조하거나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성질이 있어 사면 붕괴 지대, 절벽, 해안 등의 녹화에 사용된다. 콩과 식물 특유의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여 성장이 빠르며, 다른 나무가 자랄 수 없는 척박한 땅이나 해안가 모래땅에서도 잘 자란다.[71]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과거 한국의 벌거숭이산, 황폐지, 광산 주변 복구에 크게 기여했다.[71] 곰솔을 심을 때 비료목으로 섞어 심기도 했다.[65]

7. 2. 조경 및 밀원

조경수로 심어진 금빛 'Frisia' 품종


아르메니아 예레반 아라랏 브랜디 공장의 조경수


아까시나무는 아름다운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아 가로수공원용으로 심었다.[70] 얕은 뿌리 성질 때문에 강풍에 뿌리 부분부터 쓰러지기 쉬워[71] 가로수 용도로는 단점으로 여겨져 새로운 식재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70] 유럽에서는 특히 대도시에서 오염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도로변과 공원에 자주 심는다.[31]

여러 품종이 존재하며, 'Frisia'는 가장 많이 심는 품종 중 하나이다.

  • 'Decaisneana'는 품종으로 여겨졌지만, 더 정확하게는 잡종 (''R. pseudoacacia'' x ''R. viscosa'')이다. 연한 장미 분홍색 꽃과 작거나 없는 가시를 가지고 있다.[32]
  • 밝은 황록색 잎과 붉은 가시를 가진 'Frisia'는 때때로 조경수로 심어진다.[16]
  • 'Purple robe'는 진한 장미 분홍색 꽃과 청동색 붉은 새순을 가지고 있다. 꽃은 야생 나무보다 오래가는 경향이 있다.[16]
  • 'Tortuosa'는 구부러지고 뒤틀린 가지를 가진 작은 나무이다.[16][33]
  • 'Unifoliola'는 소엽이 적고, 가시가 없으며, 키가 작은 식물이다.


꽃봉오리와 꽃, 어린 싹은 식용으로 사용된다.[72] 홋카이도에서는 꽃 이삭을 튀김이나 샐러드로 먹고,[72] 새싹은 나물이나 기름에 볶아 먹을 수 있다.[72] 꽃을 소주 등에 담가 만드는 아카시아주는 강한 달콤한 꽃 향기가 나며, 정신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꽃에서 질 좋은 꿀이 채취되며, 유용한 밀원식물이다.[70] 아까시나무를 밀원으로 이용하는 지역은 일본 동일본에 많으며, 2005년 꿀 생산량의 44%가 아까시나무에 의한 것이다.[70] 특히 나가노현에서는 꿀의 74%가 아까시나무 꽃을 "꿀의 근원"으로 하고 있다.[70]

7. 3. 목재

아까시나무는 나이테가 뚜렷하고[73], 기건비중이 0.77로 떡갈나무와 비슷하게 무겁고[74], 강도가 높다.[70] 이러한 특성 때문에 마루판으로도 사용된다.[70]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과거에는 철도 침목, 나무못, 목탄, 선박용 재료, 스키판 등에 사용되었다.

아까시나무 목재는 매우 단단하고, 얀카 경도 시험 결과 1,700 lbf (7,560 N)의 경도[46]와 0.733의 비중(733 kg/m³ 또는 45.7 lb/ft³)을 나타낸다. 부패에 매우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가구, 마루판, 벽판, 울타리 기둥 및 소형 선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50년 이상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해 화학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유기농 목재이다.[47] 심재에 있는 플라보노이드 덕분에 토양에서 100년 이상 지속될 수 있다.[48] 최근에는 야외 가구와 놀이터 시설에도 사용되고 있다.[50]

땔감으로 사용할 때 연소 속도가 느리고, 연기가 적으며, 열량이 높아 무연탄의 열량과 비슷하다.[43] 젖은 상태에서도 잘 타는 특성이 있다.[44] 1950년대까지 일반 가정의 난방, 취사, 목욕의 불쏘시개 등에 사용되는 열량은 대부분 땔나무나 숯에 의존했기 때문에 아까시나무는 매우 유용한 식물이었다.

아까시나무 난간

7. 4. 외래종 문제

아까시나무는 뿌리에서 많은 맹아가 나오고 그루터기에서도 맹아력이 매우 높아 제거가 어려운 나무로 여겨진다. 종자를 이용해 클론을 대량으로 생성하여 다른 식물을 제거하고 번식하기 때문에 침입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75]

일본에는 메이지 시대 초(1873년)에 도입되었다.[76] 일본과 유럽의 자연 환경에 정착한 아까시나무는 외래종으로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아까시나무가 침입함으로써 곰솔이나 해송 등의 소나무 숲, 버드나무 숲이 감소하고 해안 지역이나 계곡 주변의 경관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77] 아까시나무는 단독으로 목본의 생물다양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질소를 좋아하는 초본이나 덩굴식물과 함께 우점하여 식생을 독자적인 구성으로 바꿔 버린다.[77] 또한 강가국화나 갯버들 등의 희귀종의 생육을 방해한다.[78]

이러한 악영향을 우려하여 일본생태학회는 본 종을 일본의 침입 외래종 워스트 100에 선정했다. 일본에서는 외래생물에 의한 생태계 등에 관한 피해의 방지에 관한 법률의 "주의해야 할 외래생물 목록"에서 "별도로 종합적인 검토를 진행하는 녹화 식물"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주의해야 할 외래생물 목록"은 "생태계 피해 방지 외래종 목록" 작성에 따라 2015년 3월에 폐지되었으므로, 현재는 후자의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 각지의 하천부지 등에 맹렬한 기세로 야생화하고 있으며, 2007년 가을에는 덴류가와, 지곡가와 유역의 하천부지에서 벌채 작업이 실시되었다.[79] 한편, 주의해야 할 외래생물로 지정된 근거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는 반론도 있다.[80]

번식력이 강하기 때문에 아까시나무의 제거는 쉽지 않으며, 제초제의 적절한 처리가 최적이라고 생각된다.[70][81][82] 환상박피에 의한 고사[83], 수위 조절에 의한 갱신 저해[84] 등의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맹아 능력이 높기 때문에 맹아의 베어내기만으로 제거하는 경우에는 수년 이상 실시해야 하며[85], 베어내는 시기는 한여름이 가장 효과적이다.[86]

8. 문화

아까시나무의 꽃말은 "무정"으로 여겨진다.[1]

9. 이름

학명인 pseudoacaciala는 ‘아카시아와 비슷하다’는 뜻이다. 아카시아(''Acacia'')는 동남아시아와 남반구에 서식하는 나무로, 아까시나무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한다. 영어권과 일본어권에선 아까시나무를 ‘가짜 아카시아(false acacia영어, ニセアカシア일본어)’로 부르기도 한다. 아카시아가 자라지 않는 대한민국에서는 아까시나무를 그냥 ‘아카시아’로 부르기도 한다.

표준 일본어 명칭은 하리엔주(ハリエンジュ)이지만, 가짜아카시아(ニセアカシア)라는 이름이 더 잘 알려져 있다. 이 이름은 종소명(種小名)인 pseudoacaciala (偽のアカシア)의 직역이다[52]. 속명(属名)인 Robiniala (로비니아)는 프랑스의 식물학자 로빈(Robin)의 이름에서 유래한다[52]. '''하리엔주'''는 회화나무와 비슷한 잎을 가지고 있지만, 가지 밑부분에 가시가 발달한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52]. 이 일본어 이름은 식물학자 마츠무라 진조가 명명한 것이다[52]. 홋카이도에서는 "아카시아"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52].

영어 이름은 black locust(검은 메뚜기 나무)이다. 이 종의 콩꼬투리는 진한 갈색이며, 이것이 가지 끝에 많이 달리는 모습이 마치 메뚜기가 떼지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많이 이야기된다. 그 외에도 false acacia(가짜 아카시아), Pioneer tree(개척자의 나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52].

중국어 명칭은 刺槐[52]이다. 중국에서는 洋槐라는 글자도 쓰이는데, 이것은 중국에 많은 회화나무(槐樹)에 대한 구분이다[52]. 또한, 德国槐라는 글자도 쓰이는데, 이것은 독일(德国)이 조차했던 칭다오(青島)에 대규모로 심어진 데서 유래한다[52].

10. 아까시나무와 아카시아

pseudoacaciala는 '아카시아와 비슷하다'는 뜻이다. 아카시아(''Acacia'')는 동남아시아와 남반구에 서식하는 나무로, 아까시나무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한다. 영어권과 일본어권에선 아까시나무를 ‘가짜 아카시아(false acacia영어, ニセアカシア일본어)’로 부르기도 한다. 아카시아가 자라지 않는 대한민국에서는 아까시나무를 그냥 ‘아카시아’로 부르기도 한다.

「가짜」라는 접두어가 붙어 있지만 일본에서는 원래의 아카시아보다 유명하며, 「아카시아」 가로수나 「아카시아」 꿀이라고 하면 가시 아카시아를 가리킨다. 메이지 시대에 일본에 수입되었을 당시에는 이 가시 아카시아를 아카시아라고 불렀다. 후에 원래의 아카시아(미모사속 아카시아속)의 식물이 일본에 수입되면서 구별하기 위해 가시 아카시아라고 부르게 되었다. 원래 아카시아의 꽃은 방사대칭형으로 노란색이며, 가시 아카시아의 흰색 나비 모양 꽃과는 완전히 다르다. 하지만 후에 들어온 아카시아는 「미모사」라는 다른 이름으로 유통되거나, 주로 열대 건조 지방의 수종으로 일본 환경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고 식재가 성행하지 않아, 지금도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가요곡이나 소설 등에는 「아카시아」라는 이름이 사용되어 잘못 통용되고 있지만, 원래는 가시 아카시아(ハリエンジュ)를 가리킨다.[89] 아래는 모두 '''가시 아카시아'''로 여겨진다.


  • 삿포로의 아카시아 가로수길
  • 삿포로 마쓰자카야 개점 당시의 광고 카피 「아카시아 꽃 하얗게 지금 피어나는 마쓰자카야」
  • 아카시아 꿀로 판매되는 것
  • 니시다 사치코의 히트곡 「아카시아의 비가 그칠 때」에 나오는 「아카시아」
  • 이시하라 유지로의 히트곡 「붉은 손수건」「사랑의 거리 삿포로」에 나오는 「아카시아 꽃」[89]
  • 기타하라 하쿠슈의 「이 길」에 나오는 「아카시야의 꽃」[89]。아카시아가 피어 있는 삿포로의 길을 노래한 것이다.
  • 키요오카 타쿠유키의 소설 「아카시아의 다롄」[89]로 알려진 중국의 다롄시를 대표하는 나무[89]
  • 마쓰토야 유미의 「다롄 무정」에 나오는 「아카시야의 향기」, 「acacia[아카시아]」(2001년)
  • 레미오로멘의 「아카시아」
  • 아이카츠 스타즈!의 「숲의 빛의 피루엣」에 나오는 「아카시아」


개화한 가지


화서

참조

[1] IUCN Robinia pseudoacacia 2021-11-19
[2] 웹사이트 Robinia pseudoacacia https://explorer.nat[...] 2024-08-21
[3] PLANTS 2015-10-22
[4] BONAP
[5] 웹사이트 Robinia pseudoacacia http://www.biodivers[...]
[6] 웹사이트 Black Locust, False Acacia, Locust Tree, Yellow Locust, Robinia, White Acacia https://weeds.org.au[...] 2023-10-30
[7] BSBI 2014-10-17
[8] 웹사이트 Robinia pseudoacacia https://www.eddmaps.[...] 2016-07-14
[9] eFloras 2016-07-14
[10] 서적 Our Native Trees and How to Identify Them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11] 웹사이트 Robinia psudeoacacia factsheet https://plants.usda.[...] 2016-07-14
[12] 웹사이트 Genetically Mediated Leaf Chemistry In Invasive And Native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Ecosystems https://libres.uncg.[...] 2016-07-15
[13] 웹사이트 Black locust invasive species control https://mnfi.anr.msu[...] Michigan DNR 2016-07-14
[14] 논문 Flavonoid glycosides of the black locust tree, ''Robinia pseudoacacia'' (Leguminosae)
[15]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Western Region Knopf
[16] 서적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Stipes Publishing Company 1990
[17] Silvics 2016-07-14
[18] 웹사이트 Robinia pseudoacacia http://keyserver.luc[...] 2016-07-14
[19] 웹사이트 Rethinking Black Locust https://www.ecolands[...] 2019-04-15
[20] 논문 Characteristics of Day-Roosts Used by Northern Long-Eared Bats (Myotis septentrionalis) in Coastal New York https://bioone.org/j[...] 2024-03-10
[21] 보고서 Internationally dangerous forest tree diseases, Issues 911-940 https://books.google[...] USDA
[22] 웹사이트 Polyphagous shot-hole torer https://www.agric.wa[...]
[23] 웹사이트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Fabales: Fabaceae (Leguminosae)): Invasive Plant Atlas of the United States http://www.invasivep[...] 2016-07-14
[24] 웹사이트 PCA Alien Plant Working Group –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https://www.nps.gov/[...] 2016-07-14
[25] 웹사이트 Agricultural Research Council - Legal obligations regarding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Africa https://web.archive.[...] 2011-10-05
[26] 웹사이트 Toxicity of Black Locust http://www.woodweb.c[...] 2016-07-05
[27] 서적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28] 웹사이트 Black locust or Robinia pseudoacacia : Toxic plant https://equipedia.if[...] 2023-10-30
[29] 논문 Poisoning of horses by the bark of the false acacia (Robinia pseudoacacia) https://pubmed.ncbi.[...] 2023-10-30
[30] 보고서 Hardwoods of North America http://dx.doi.org/10[...]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Forest Products Laboratory 1995
[31] 논문 The Properties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to Selectively Accumulate Chemical Elements from Soils of Ecologically Transformed Areas 2022
[32] 웹사이트 Ornamental Cultivar Details https://web.archive.[...] 2016-07-14
[33] 웹사이트 Robinia pseudoacacia 'Tortuosa' – Plant Finder http://www.missourib[...] 2016-07-14
[34] 웹사이트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http://www.beeclass.[...]
[35] 논문 Natural product agonist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 review
[36] 웹사이트 Recipe of the week: Acacia Jam (Robinia Jam) https://www.italyriv[...] 2023-10-30
[37] 웹사이트 Pseudoacacia...The Flower Jam of the Black Locust https://hedgewitchad[...] 2023-10-30
[38] 웹사이트 Black locust-Flowers: Robinia pseudoacacia https://flora-obscur[...] 2023-10-30
[39] 서적 The Forager's Harvest: A Guide to Identifying, Harvesting, and Preparing Edible Wild Plants Forager's Harvest
[40] 웹사이트 Beignets de fleurs d'acacia http://www.cuisine-c[...] 2007-05-07
[41] 웹사이트 初夏☆季節の味!アカシアの花の天ぷら♪ by たぬぴぃ★ http://cookpad.com/r[...] 2015-05-16
[42] 웹사이트 OSU: Managing Your Woodlot for Firewood http://www.forestry.[...]
[43] 웹사이트 Heating the Home with Wood http://pods.dasnr.ok[...]
[44] 웹사이트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s notes on Black Locust http://www.fao.org/d[...]
[45] 서적 Wood-using industries of North Carolina https://archive.org/[...] Mitchell Printing Company, State Printers 1923
[46] 웹사이트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https://www.wood-dat[...]
[47] 웹사이트 About the tree https://www.blackloc[...] 2023-11-01
[48] 웹사이트 Black Locust: A Multi-purpose Tree Species for Temperate Climates https://www.hort.pur[...] 2007-06-27
[49] 서적 The Shorter Dictionary of English Furniture: From the Middle Ages to the Late Georgian Period Spring Books
[50] 웹사이트 Robina / Locust wood, acacia wood for trellises and climbing-plant supports https://www.fassaden[...] 2024-12-16
[51] 웹사이트 Dalian Events and Festivals (Dalian, Liaoning, China) http://www.world-gui[...]
[52] YList
[53] 서적 アカシアの花
[54] 웹사이트 ニセアカシア http://niah.naro.aff[...]
[55] 논문 河川敷における洪水と草地への火入れがハリエンジュ''Robinia pseudoacacia'' L.の種子発芽に及ぼす影響
[56] 논문 北海道の旧産炭地における侵略的外来種ニセアカシアの分布現況とその歴史的背景
[57] 논문 なぜハリエンジュは日本の河川流域で分布を拡大したのか?
[58] 논문 ニセアカシアの非休眠種子は更新に貢献するのか
[59] 논문 多摩川におけるハリエンジュの結実と訪花昆虫
[60] 논문 河畔植生へのニセアカシア''Robinia pseudoacacia''の侵入とその影響
[61] 논문 外来樹木ニセアカシア河畔林への在来木本種の定着 : エノキとヌルデを例に
[62] 논문 猪名川中流域におけるニセアカシアの分布拡大
[63] 웹사이트 ハリエンジュ https://www.nies.go.[...]
[64] 논문 中国黄土高原半乾燥地におけるニセアカシア(''Robinia pseudoacacia'' L.)の植栽が植生および立地環境に及ぼす影響
[65] 웹사이트 庄内海岸の国有林 https://www.rinya.ma[...] 林野庁東北森林管理局庄内森林管理署
[66] 웹사이트 No.186:ハリエンジュ(Robinia pseudoacacia)に関する情報(案) https://www.env.go.j[...]
[67] 서적 最新樹木根系図説 誠文堂新光社
[68] 논문 北海道の旧産炭地における侵略的外来種ニセアカシアの分布現況とその歴史的背景 2007-11-30
[69] 논문 ニセアカシア(''Robinia pseudoacacia'')のカドミウム蓄積機構
[70] 서적 ニセアカシアの生態学
[71] PDF 長野県林業総合センター ミニ技術情報 http://www.pref.naga[...]
[72] 서적 旬の味覚 山菜料理 ほおずき書籍 1999
[73] 웹사이트 木材図鑑 ハリエンジュ(ニセアカシア) https://www.fuchu.or[...] 2017-03-23
[74] 간행물 ニセアカシア材の利用 長野県林業総合センター 1984
[75] 서적 ビジュアルで学ぶ木を知る図鑑 グラフィック社 2024-05-25
[76] 서적 外来種ハンドブック 地人書館 2002-09-30
[77] 논문 海岸砂地においてニセアカシア林の分布拡大がもたらす成帯構造と種多様性への影響 1997
[78] 서적 決定版 日本の外来生物 平凡社 2008-04-21
[79] 웹사이트 千曲川河川事務所の取り組み https://www.hrr.mlit[...] 国土交通省 千曲川河川事務所
[80] 논문 外来種ニセアカシアを取りまく言説とその科学的根拠 2013
[81] 논문 海岸林におけるニセアカシアの問題 2012
[82] 논문 海岸砂丘地に導入したニセアカシア(ハリエンジュ)の影響 2006
[83] 논문 巻き枯らしによるハリエンジュの管理 2015
[84] 논문 河川敷におけるニセアカシアの再生防止を目的とした「切り下げ工法」の効果 2014
[85] 논문 侵略的外来種ハリエンジュ (Robinia pseudoacacia L.) 若齢林の伐採後の刈り取りによる管理 2015
[86] 논문 伐採時期の異なるニセアカシアの萌芽枝の動態 2009
[87] 논문 山梨県におけるモモ炭疽病の発生と感染源について 1996
[88] 논문 ニセアカシア樹におけるリンゴ炭そ病菌の分生胞子飛散消長 1996
[89] 기타
[90] 기타
[91] 서적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Stipes Publishing Company 1990
[92] 뉴스 산 푸르게 한 일등공신인데, 불량수목이라니요 https://www.joongang[...] 2020-09-26
[93] 뉴스 제물포항으로 들어온 ‘플라타너스, 아까시’ http://enews.incheon[...] 인천광역시 2020-09-26
[94] 뉴스 [돈이 되는 생물자원④] 아카시아? 아까시?..알고 보면 바이러스 '천적' http://www.greenpost[...] 2020-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