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담은 히브리어로 '흙'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창세기에 등장하는 최초의 인간의 이름이다. 그는 흙으로 창조되었으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유대교 전승에서는 아담의 첫 번째 아내로 릴리트가 등장하기도 하며, 기독교에서는 아담의 죄가 원죄의 기원이 된다고 본다. 이슬람교에서는 알라가 창조한 최초의 인간이자 예언자로, 바하이교에서는 신의 현현으로 묘사된다. 현대 유전학에서는 인류의 가장 최근 공통 조상을 'Y-염색체 아담'과 '미토콘드리아 이브'로 지칭하며, 창세기의 아담과 이브가 역사적 인물인지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란의 예언자 - 무함마드
무함마드는 570년경 메카에서 태어나 이슬람교를 창시하고 최종 예언자로 여겨지며, 610년경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고 메디나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건설, 아라비아 반도 통일에 기여했으나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 쿠란의 예언자 - 슈아이브
슈아이브는 이슬람교에서 미디안 백성의 예언자로, 그들의 부정직함과 우상 숭배를 경고하고 알라의 길을 따르도록 촉구했지만 거부당했으며, 그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장소가 여러 곳에 존재한다. - 아담과 하와 - 아담의 창조
아담의 창조는 미켈란젤로가 시스티나 성당 천장에 그린 프레스코화로, 하느님이 아담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장면을 묘사하며, 인간의 뇌 해부학적 구조, 여성, 인류의 영혼 등을 상징한다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담과 하와 - 실낙원
존 밀턴의 《실낙원》은 창세기를 바탕으로 사탄의 반란과 인류의 타락, 구원의 가능성을 다룬 5음보격 암시경 서사시로, 자유 의지, 선악, 죄와 구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기독교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지만 논쟁적인 해석과 비평의 역사를 지닌다. - 영지주의 - 데미우르고스
데미우르고스는 그리스어로 장인을 의미하며, 플라톤 철학에서 물질 세계를 창조한 선량한 존재를 지칭하며, 유대교, 기독교, 영지주의, 신플라톤주의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영지주의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아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에덴 및 홍수 이전 시대 |
배우자 | 하와 |
자녀 | 카인, 아벨, 셋 |
종교적 관점 | |
기독교 |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
이슬람교 | 해당사항 없음 |
드루즈교 | 해당사항 없음 |
바하이 신앙 | 해당사항 없음 |
만다야교 | 해당사항 없음 |
생애 | |
출생일 | 1년 6일 |
사망일 | 기원전 930년 경 |
출생지 | 에덴 동산 |
주요 성지 | 예루살렘, 성묘 교회, 아담의 예배당 |
칭호 | 총대주교 |
축일 | 12월 24일 (가톨릭 교회) 성 조상의 주일 (동방 정교회) |
수호 성인 | 정원사, 재단사 |
이름 | |
히브리어 | (ʾAdam, ʾĀḏām) |
아람어 | ܐܕܡ |
아랍어 | آدم (ʾĀdam) |
그리스어 | Ἀδάμ (Adám) |
라틴어 | Adam |
2. 어원
'''아담'''(אֲדָמָה|아다마he)이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흙'을 의미하는 '아다마'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동시에 '사람'이라는 뜻도 가지는데, 사람 개인이나 인류 전체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사용된다.[39] 창세기 1장에서는 보통명사로 사용되고 있으며 2장, 3장에서는 보통명사이자 고유명사로 사용된다. 그러나 4장 25절, 5장 3절 이전에서는 한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사용되었는지 그 용례는 확인할 수 없다.
유대교에서 아담은 야훼가 천지를 창조한 여섯째 날에 만들어졌으며, 영혼은 첫째 날에 만들어졌다고 본다. 아담은 자웅동체 또는 양면적인 존재로 창조되었으며, 완벽한 몸과 할례된 상태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50][51]
창세기 2장 7절에서는 흙으로 사람을 지었다는 이야기로 이 이름의 어원을 소개한다.[40] 3장 19절에서는 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죽으면 흙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도 나타난다.[41] 이는 라틴어의 homo|호모la나 humanus|후마누스la, 그리스어의 έπιχθόνιος|에피크토니오스el, 독일어의 gam|감de, 영어의 'groom'의 어원과도 일치한다.
아담과 땅(''아다마'') 사이의 유대 관계는 반복되는 문학적 모티프이다. 하느님은 창조 설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흙으로 아담을 빚어 창조한다. 무죄함을 잃은 후, 하느님은 아담과 땅을 그의 불순종에 대한 벌로 저주한다. 아담과 인류는 죽어 그가 만들어진 땅(또는 토지)으로 돌아가도록 저주받았다. 이 "세속적인" 측면은 아담 정체성의 한 요소이며, 아담이 땅으로부터 소외된 저주는 땅에 속하면서도 자연과 분리된 인간의 분열된 본성을 설명하는 듯하다.
아시리아 왕의 이름에서도 ''Adamu''라는 서명이 남아 있으며, 중근동에서는 옛날부터 개인 이름으로 드물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3. 유대교
야훼는 아담을 창조하기 전에 천사들과 의논했는데, 이는 왕이 법을 만들기 전에 현인들과 의논하는 것과 같은 이치였다. 천사들과 토라는 인간이 야훼의 법과 가르침을 잘 따르지 않을 것이라며 반대했지만, 야훼는 인간 창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야훼는 땅에게 사람의 형태를 만들라고 명령했지만, 땅은 아담과 그의 후손들이 자신을 더럽힐 것이라며 거절했다. 이에 야훼는 직접 흙으로 아담의 각 부분을 만들었다. 붉은 흙으로 피를, 검은 흙으로 창자를, 하얀 흙으로 뼈와 혈관을, 녹색 흙으로 피부를 만들었다.
아담에게는 다음과 같은 6가지 계명이 주어졌다.[52][53]번호 계명 1 우상숭배 금지 2 신성모독 금지 3 살인 금지 4 간음 금지 5 도둑질 금지 6 공정한 재판정 세우기
이 계명들은 후에 '살아있는 동물 섭취 금지' 계명이 추가되어 노아에게 주어진 노아의 7법이 되었다.
야훼는 아담에게 선악과를 제외한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을 수 있도록 허락했지만, 아담은 하와와 함께 선악과를 먹고 에덴 동산에서 추방당했다.[54] 윌리엄 블레이크의 그림 ''And Elohim Created Adam''은 이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3. 1. 릴리트
일부 유대교 전승에서는 하와 이전에 릴리트라는 여성이 아담의 첫 번째 아내였다고 한다. 릴리트는 아담과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며 갈등을 겪었고, 결국 아담을 떠나 악마가 되었다고 전해진다.[10]
4. 기독교
기독교에서 아담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최초의 인간으로,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 아도나이・엘로힘(히브리어로 '주'라는 의미로 읽는 발음)은 흙으로 아담을 빚어 창조하고, 그의 코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아담은 에덴 동산을 경작하고 지키는 역할을 맡았으며, "동산의 모든 나무에서 따서 먹어도 좋지만, 선과 악을 아는 나무에서는 먹지 마라.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을 것이다"라는 명령을 받았다.[52]
그 후, 아담의 갈비뼈에서 여자(이브)가 창조되어 그를 돕는 아내로 삼아졌고,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그리고 그것을 정복하라. 또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 위를 기어 다니는 생물을 다스려라"라는 축복을 받았다.[53]
하지만 뱀(후에 『요한 묵시록』 12:9에서 사탄으로 여겨졌다)의 유혹으로 하와가 먼저 선악과를 따 먹었고, 아담에게도 갖은 핑계와 협박을 하여 열매를 먹였다. 그 결과, 두 사람은 자신들이 벌거벗었음을 깨닫고 무화과나무 잎으로 몸을 가렸다. 바이런에 따르면 이때 아담에게 수염이 생겼으며, 이는 죄의 표식이라고 한다.
아도나이・엘로힘이 에덴 동산을 거닐 때, 아담과 하와는 숨었다. 하느님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자, 아담은 자신이 벌거벗었기 때문에 두려워서 숨었다고 대답했다. 선악과를 먹었냐는 질문에 아담은 하와가 줘서 먹었다고 답했다. 결국 아담과 하와는 생명 나무의 열매를 먹고 영생할까 하는 염려로 에덴 동산에서 추방당하고,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는 저주를 받았다.[54]
성서비평학에서는 창세기에 두 개의 창조 기사가 기록된 것에 주목한다. 역사학자와 언어학자들은 이를 엘로힘 문서와 제사장 문서라는 별도의 출전을 가진 것으로 해석한다. 이 관점에서 창세기 1장~2장 3절의 창조 기사는 제사장 문서, 2장 4절~24절의 창조 기사는 엘로힘 문서에서 온 것으로 여겨진다.
4. 1. 원죄
사도 바울은 헬레니즘 유대 사상의 영향을 받아 아담의 죄가 세상에 죽음과 죄를 가져왔다고 보았다.[8] 바울은 죄가 모든 인간을 지배하는 힘이지만, 그리스도가 옴으로써 의로운 사람들이 아담의 죄로 인해 쫓겨났던 낙원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했다.[8]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원죄가 남성의 정액을 통해 유전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고 부끄러움을 느껴 생식기를 가린 것이 최초의 죄가 모든 후손에게 전해지는 지점이라고 보았다.[8] 인간의 정액으로 잉태되지 않은 예수 그리스도만이 아담으로부터 전해진 오염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8] 이러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생각은 남성의 정액이 태어나지 않은 아기를 모두 포함하고, 어머니의 자궁은 아기가 자라는 양육 공간에 불과하다고 여겼던 고대 세계의 생물학적 관점에 기초한 것이었다.[8]
5. 이슬람교
꾸란에서 아담(آدم|아담ar)은 한 방울의 정액에서 시작하여 덩어리진 피가 되었고, 마침내 알라에 의해 사람이 되었다고 여겨진다.[43] 알라의 첫 번째 예언자로 여겨지는 아담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아내(기독교의 하와)에게 유혹받아 선악과를 먹고 알라를 속이려 했지만, 충분한 회개를 통해 죄를 용서받았다고 기록된다.[43] 아담의 아내를 유혹한 것은 이블리스로, 이는 낙원에서 추방된 이블리스가 인류에게 한 최초의 복수로 여겨진다.[43]
아담은 최초의 인간이자 최초의 예언자이기 때문에 최초의 무슬림으로도 인식된다.[43]
이슬람에서 알라는 전 세계에서 가져온 한 줌의 흙으로 아담(아랍어: '''آدم''')을 창조했는데, 이것이 세계 사람들이 다양한 피부색을 갖게 된 이유를 설명해준다.[21] 이슬람 창조 신화에 따르면, 그는 최초의 이슬람 예언자이자 최초의 무슬림이었다. 코란은 모든 예언자들이 신에 대한 복종이라는 동일한 믿음을 설파했다고 명시하고 있다. 알라가 천사들에게 그가 땅에 대리인(خليفة|칼리파ar)을 세울 것이라고 알리자, 천사들은 "그 안에서 부패와 유혈 사태를 퍼뜨릴 자를 세우시렵니까?"라고 질문했다. 알라는 "나는 너희가 알지 못하는 것을 안다"(코란 2:30)고 대답했고, 천사들에게 아담에게 엎드리라고 명령했다.[21]
아담과 하와는 알라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모두 영생의 나무(شَجَرَةُ الْخُلْد|샤자라 알-훌드ar)에서 열매를 먹었으며, 둘 다 동등하게 죄책감을 공유했는데, 하와가 아담을 유혹하거나 그보다 먼저 먹은 것도 아니고, 하와가 출산의 고통에 대해 비난받을 이유도 없기 때문이다.[22] 알라는 결코 다른 사람의 죄로 한 사람을 벌하지 않는다.[22] 시아파 이슬람은 심지어 그들의 행동을 죄로 여기지도 않는데, 복종과 불복종은 천국이 아닌, 지상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키사스 알-안비야''에 따르면, 아담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천국과 가장 가까운 스리랑카 중앙에 위치한 아담스 피크에 떨어졌고, 그곳에서 알라는 그를 메카로 보냈으며, 그곳에서 그는 회개하고 용서받았다.[21] 메카에서 그는 최초의 성소(카바 - 나중에 이브라힘에 의해 재건됨)를 건설했고, 하즈 의식을 배웠으며, 자신을 위한 최초의 망토와 하와를 위한 최초의 베일과 옷을 짰고, 이후 930세에 죽기 전, 그의 자녀의 자녀의 아들들을 모두 1400명이나 보았다.
아흐마디야 종파에 따르면, 아담은 지구상의 최초의 인간이 아니었지만, 인류가 존재하게 되어 전 세계로 퍼져 나가 계시를 받을 능력을 갖게 되었을 때, 알라는 아담을 각 문명의 모든 지부로 보냈다. 이 의견은 또한 다양한 종파의 이슬람 학자들에 의해 언급되고 받아들여졌다. 미르자 굴람 아흐마드가 받은 계시에 따르면, 꾸란에 언급된 아담은 무함마드보다 4,598년 전에 태어났다.[23]
무슬림 사상가 나시르 호스로는 이슬람 종교 전통에서 아담의 중요성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을 제시한다. 그는 아담이 신성한 계시의 최초의 선포자(ناطق|나틱ar)였고, 세트가 그의 유산자(وصي|와시ar)였다고 기록한다. 그는 세트의 후손들이 이맘이고, 일곱 번째 이맘 누/노아로 절정에 달하며, 그는 이맘직을 유지하는 것 외에도 선포자이자 예언자(نبي|나비ar)의 지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24]
이슬람 전통(아하디스)에서 아담은 알라로부터 아담 알-사피(آدم ألصافي|아담, 선택받은 자ar)라는 이름을 받았다.[25][26]
6. 기타 종교
영지주의 오피스파의 『바르크서』에 따르면, 두 번째 남성 원리 엘로힘(만물의 아버지)의 천사가 세 번째 여성 원리 에덴 또는 이스라엘(몸은 여성, 다리는 뱀)의 여성 신체 부분의 흙으로 아담을 창조하고(뱀의 몸의 흙으로 동물을 창조), 에덴이 혼을, 엘로힘이 영을 두었다.[45][46]
바하이교에서 아담은 역사상 기록이 남아있는 최초의 신의 현현으로 여겨진다. 바하이교도들은 6,000년마다 아담이 환생하여 무함마드 시대에 절정에 달했다고 믿는다. 또한 바하이 신앙에서는 성경에 묘사된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는 압두르 바하에 의해 설명이 덧붙여져 우화화되었다고 여겨진다.
19세기에 미국에서 성립한 말일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통칭·몰몬교)에서는[47] 아담과 대천사 미가엘을 동일시한다. 미가엘은 인간 탄생 이전에 낙원에서 사탄과 싸워 물리쳤으며, 그 후 아담으로 다시 태어났다고 여겨진다.
6. 1. 드루즈교
드루즈교에서 아담과 하와는 이원적인 우주의 힘으로 여겨지며, 서로를 보완하는 존재이다. 아담은 우주의 의지를, 하와는 우주의 정신을 구현한다고 본다.[27][28]드루즈교는 아담을 유일신 사상(tawhid)의 기본적인 가르침을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준 최초의 대변자(natiq)로 여긴다. 그는 또한 드루즈교에서 하나님의 중요한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서로 다른 시대에 나타난 일곱 명의 예언자 중 한 명이다.[27][28]
6. 2. 만다교
만다교에서 아담은 종교의 창시자이자 최초의 예언자로 여겨진다. 그는 ''만다''(지식)와 진정한 깨달음의 길을 알린다. 그는 ''쿠쉬타'' 또는 신성한 진리의 전파자로 여겨진다.[18] 만다교 달력에 따르면 서기 2021–2022년은 만다교 445391 AA년(AA = 아담 창조 이후)에 해당한다.[19]6. 3. 영지주의
영지주의 문서인 세계의 기원에서 아담은 원래 선견지명이라고 알려진 아이온이 쏟아낸 빛에서 태어난 원시 존재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그의 원시적인 형태는 빛의 아담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그가 여덟 번째 천국에 도달하려 했을 때, 그의 빛에 섞인 타락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그는 여섯 개의 우주와 그들의 세계를 포함하는 자신의 영역을 창조하는데, 이는 혼돈의 천국보다 일곱 배나 더 낫다. 이 모든 영역은 여덟 번째 천국과 그 아래의 혼돈 사이의 지역 안에 존재한다.그러나 아르콘들이 그를 보았을 때, 그들은 물질 세계의 수석 창조자(얄다바오트)가 그들에게 자신이 유일한 신이라고 주장하며 거짓말을 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나 그들은 영적인 아담의 형상으로 아담의 육체적 버전을 창조하기로 결정한다. 소피아는 나중에 자신의 딸 조에(영적인 이브)를 보내 육체적인 아담에게 생명을 부여한 후, 육체적인 이브를 아담과 함께 남겨두고 지식의 나무로 들어간다. 그러나 아르콘의 위격에 따르면, 영이 육체적인 아담에게 내려와 그에게 살아있는 영혼을 부여한다.
영지주의 오피스파의 『바르크서』에 따르면, 두 번째 남성 원리 엘로힘(만물의 아버지)의 천사가, 세 번째 여성 원리 에덴 또는 이스라엘(몸은 여성, 다리는 뱀)의 여성 신체의 부분의 흙으로 아담을 창조하고(뱀의 몸의 흙으로 동물을 창조), 에덴이 혼을, 엘로힘이 영을 두었다.[45][46]
7. 현대적 해석
창세기에서 "아담"이라는 이름은 최초의 인간에게 주어졌다.[8] 히브리어 단어 '아담'은 성경에서 "인간"으로 개별적으로, 그리고 "인류"로 집단적으로 대명사로도 사용된다.[8] 창세기 1장에는 하느님의 세상 창조와 그 안에 있는 피조물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여기에는 인류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아담'도 포함된다. 창세기 2장에서 하느님은 "흙의 먼지"로 "아담"을 형성하는데, 이때 아담은 단일 남성 인간을 의미하며, 그를 에덴 동산에 두고, 그의 동반자로서 여자 이브를 형성한다. 창세기 3장에서 아담과 이브는 지식의 나무 열매를 먹고 하느님은 아담에게 그의 음식을 위해 땅에서 노동하고 죽을 때 땅으로 돌아가도록 저주한다. 창세기 4장은 아담의 아들들의 출생을 다루고 있으며, 창세기 5장은 셋부터 노아까지 그의 후손들을 열거한다.
히브리어 성경 전체에서 아담은 창세기의 1–5장에만 등장하며, 역대기의 시작 부분에서 언급되는 것을 제외하면, 창세기에서처럼 이스라엘 조상 목록의 맨 앞에 있다.[9] 학자들 사이의 다수 의견은 창세기의 최종 텍스트가 페르시아 시대(기원전 5세기)에 쓰여졌다는 것이지만, 창세기 1–11장에 언급된 다른 모든 등장인물들과 사건들이 나머지 히브리어 성경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상당수의 소수 의견이 이 장들이 그 이후 장들보다 훨씬 나중에, 아마도 기원전 3세기에 쓰여졌다는 결론을 내리게 했다.
창세기 1장에서 하느님은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의 이름을 아담이라 하셨다(창세기 5:2). 하느님은 인류에게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명령하시며, 그들에게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어 다니는 모든 것을 다스리라"고 말씀하신다(창세기 1:26-27).
창세기 2장에서 하느님은 "아담"을 만드셨는데, 이 때는 단일 남성 인간을 의미하며, "흙으로" 그를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창세기 2:7) 그가 생령이 되었다. 하느님은 이 첫 번째 사람을 에덴 동산에 두시고 그에게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고 말씀하신다(창세기 2:16-17). 하느님은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창세기 2:18)라고 생각하시고 아담에게 동물들을 데려오시니, 아담은 그들에게 이름을 지어주었지만, 그 모든 동물들 중에서 그에게 맞는 짝이 없었다(창세기 2:20). 하느님은 아담을 깊은 잠에 빠지게 하시고 여자(창세기 2:21-22)를 만드셨다. 아담이 깨어나 그녀를 그의 돕는 배필로 맞이한다.
창세기 3장, 타락 이야기: 뱀이 여자에게 하느님의 명령을 어기고 지혜를 주는 선악과를 먹도록 설득한다. 여자는 아담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설득했고, 그들은 자신들의 벌거벗음을 깨닫고, 자신들을 가리고, 하느님의 시야에서 숨었다. 하느님은 아담에게 질문하시고, 아담은 여자 탓을 한다. 하느님은 심판을 내리시는데, 먼저 뱀에게는 뱀의 배로 다니는 형벌을, 다음은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과 남편에게 종속되는 형벌을, 마지막으로 아담에게는 땅에서 수고하여 먹고 죽어서 땅으로 돌아가는 형벌을 내리신다.[8] 하느님은 그들이 생명 나무의 열매를 먹고 영생할까 봐 그 남자와 여자를 동산에서 내쫓으신다. 창세기 3장 19절에서 아담에게 주어진 죽음의 예언의 카이아즘 구조는 사람의 "흙"(창세기 2:7)에서 그가 시작되었던 "돌아감"을 연결한다.[9]
창세기 4장은 아담의 아들 카인과 아벨의 탄생과 첫 살인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셋째 아들 셋의 탄생을 다룬다. 창세기 5장은 셋부터 노아까지 아담의 후손들을 나열하고 그들이 첫 아들을 낳았을 때의 나이와 죽었을 때의 나이를 기록한다(아담은 930세까지 살았다).
루이 긴즈버그는 신이 세상의 네 모퉁이에서 흙을 가져와 각 색깔로 아담을 창조했다는 미드라쉬를 다시 이야기한다.[10] 아담의 영혼은 신의 형상이며, 신이 세상을 채우는 것처럼 영혼은 인간의 몸을 채운다. 유대 문헌에 따르면 아담은 첫째 날 신이 창조한 빛과 동일한 빛의 몸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담의 원래의 영광은 신에 대한 신비로운 묵상을 통해 되찾을 수 있다.[10]
뱀이 아담 대신 하와에게 접근했는데, 이는 아담은 하느님의 말씀을 직접 들었지만 하와는 아담의 전언만 들었기 때문이다. 하와는 열매를 맛보고 즉시 죽을 운명임을 깨달았고, 아담도 속여서 함께 죽게 하여 그가 자신을 대신할 다른 여자를 데려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 아담은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알지 못한 채 열매를 먹었고, 슬픔에 잠겼다. 아담이 금지된 열매를 먹은 후 하와를 탓하자, 하느님은 아담이 남자로서 아내에게 순종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꾸짖었다.
대천사 미카엘은 당시 생존해 있던 하와와 아들 셋과 함께 아담의 임종을 지켜보았고, 살해당한 아들 아벨과 함께 묻혔다. 그들이 회개했기 때문에, 하느님은 아담과 하와에게 빛의 옷을 주셨고, 비슷한 옷이 메시아가 올 때 그를 감쌀 것이다.
모세의 묵시록에 따르면, 솔로몬 성전의 제단은 세상의 중심이자 하느님의 에덴 동산으로 가는 문이었으며, 아담이 창조되고 묻힌 곳이 바로 이곳이었다.
7. 1. 유전학적 분석
현대 유전학에서 남성의 계통은 Y 염색체, 여성의 계통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하여 추적한다. 이때 인류의 가장 최근 공통 조상을 각각 Y-염색체 아담, 미토콘드리아 이브라고 부르는데, 이는 아담과 이브를 참조한 것이다. 그러나 이 명칭이 타나크에서 유래되었을 뿐, 이들이 같은 시대에 살았던 단일 부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36]7. 2. 역사성 논쟁
전통적으로 창세기는 모세가 썼으며 역사적이고 은유적인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학자들은 창세기 창조 이야기가 여러 고대 기원 신화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31][32] 문서 가설과 같은 분석은 텍스트가 이전의 여러 전통을 편집한 결과이며, 명백한 모순을 설명한다고 제안한다.[33][34] 창세기 홍수 설화와 같은 동일한 정경의 다른 이야기들도 더 오래된 문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되며, 더 오래된 ''길가메시 서사시''와 유사한 점이 있다.[35]참조
[1]
웹사이트
Saint Adam and Saint Eve (First Age of the world)
https://catholicism.[...]
2000-12-24
[2]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3]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4]
논문
Mythic Aspects of the Process of Adam's Creation in Judaism and Islam
2001
[5]
서적
The Qur'an and Its Interpreters, Volume 1
SUNY Press
1984
[6]
간행물
Die Glaubenslehren des Islam
F. Schöningh
1962
[7]
논문
Mythic Aspects of the Process of Adam's Creation in Judaism and Islam
2001
[8]
문서
1996
[9]
문서
1996
[10]
문서
1909
[11]
웹사이트
Jubilees 4:1
http://www.sacred-te[...]
[12]
문서
Jubilees 4:9
[13]
문서
Jubilees 4:10
[14]
문서
Parshat Chukat
[15]
문서
Zohar Chadash Parshat Beresheit 24a or in older versions 19
[16]
웹사이트
Raziel, Book of
http://www.jewishenc[...]
1906
[17]
웹사이트
The Creation of Eve: "And She Shall Be Called Woman", object 1 (Butlin 435) "The Creation of Eve: "And She Shall Be Called Woman""
http://www.blakearch[...]
William Blake Archive
[18]
웹사이트
Sacred Text and Esoteric Praxis in Sabian Mandaean Religion
http://isamveri.org/[...]
[19]
서적
The Mandaeans and the Jews
Living Water Books
[20]
서적
The Gnostic Bible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2009-06-30
[21]
웹사이트
Surah Al-Baqarah Ayat 30 (2:30 Quran) With Tafsir
https://myislam.org/[...]
2024-08-07
[22]
문서
[23]
웹사이트
Man Lived on Earth Even Before the Advent of Adam
http://www.alislam.o[...]
Al Islam
2000-02-16
[24]
학술지
The Days of Creation in the Thought of Nasir Khusraw
https://www.academia[...]
2005-01-01
[25]
학술지
Shaggy or Shaved? The Symbolism of Hair among Persian Qalandar Sufis
https://www.academia[...]
2010
[26]
웹사이트
The Christ of the Quran
https://biblicalstud[...]
[27]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28]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29]
서적
Day of Empire: How Hyperpowers Rise to Global Dominance–and Why They Fall
Doubleday (publisher)
[30]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Hebrew Bible Today: An Introduction to Critical Issue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2]
서적
Oxford Bible Commenta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Pentateuch: A Story of Beginnings
https://books.google[...]
T&T Clark
[34]
서적
The Pentateuch: A Social-science Commentary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5]
서적
The Ark Before Noah
https://books.google[...]
Hachette
2014
[36]
논문
Allelic genealogy and human evolution
1993-01
[37]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Genesis 9:6 血:blood:דם
http://interlinearbi[...]
[38]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Genesis 37:22 血:blood:דם
http://interlinearbi[...]
[39]
서적
旧約聖書 創世記
株式会社岩波書店
2007
[40]
문서
[41]
서적
ユダヤ古代誌1
株式会社筑摩書房
1999
[42]
서적
The Book of Adam and Eve, also called the conflict of Adam and Eve with Satan
Williams and Norgate
[43]
문서
[44]
웹사이트
ʿAnāq — Brill
https://referencewor[...]
브릴 (出版社)
2020-11-29
[45]
서적
天地創造99の謎―世界の神話はなぜ不滅か
サンポウ・ブックス
1976-02-20
[46]
서적
天地創造神話の謎 古代学ミニエンサイクロペディア
大和書房
1985-05
[47]
웹사이트
末日聖徒イエス・キリスト教会・聖句ガイド
https://www.lds.org/[...]
[48]
웹사이트
헤브라이어 대역 영어 성서 Genesis 9:6피: blood: □□
http://interlinearbi[...]
[49]
웹사이트
헤브라이어 대역 영어 성서 Genesis 37:22피: blood: □□
http://interlinearbi[...]
[50]
서적
What Really Happened in the Garden of Eden
Yale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Gender Equality at Creation
https://thetorah.com[...]
2015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