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혈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 혈통 가설은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가 결혼하여 후손을 두었다는 주장으로, 20세기 말과 21세기 초에 『성혈과 성배』, 『다 빈치 코드』 등의 책과 영화를 통해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주장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며, 주류 기독교 교리와 상반된다. 예수 혈통 가설은 영지주의, 중세 카타리파 등에서 그 기원을 찾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역사학자와 신학자들은 이를 가짜 역사로 간주한다. 또한, 통계적 불가능성과 종교적 관점에서의 비판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예수 혈통 | |
---|---|
계보 주장 | |
주제 | 예수의 혈통 |
설명 | 역사적 예수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가상의 혈통 |
주장된 혈통의 근원 | |
기원 | 베렌저 소니에르 성배와 잃어버린 장미 신성한 혈통, 신성한 성배 |
대중 문화에서의 영향 | |
영향 | 다 빈치 코드 마지막 유혹 (영화) |
2. 예수의 결혼과 후손에 대한 주장
예수의 결혼과 후손에 대한 주장은 역사적, 신학적, 대중문화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제기되어 왔다. 역사적 기록은 이 주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1] 기독교 신학에서는 예수가 결혼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바트 D. 어먼은 일부 역사학자들이 예수의 결혼 가능성을 주장하지만, 대다수의 신약성경 및 초기 기독교 학자들은 그러한 주장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본다고 언급했다.[70]
영지주의 문헌인 ''필립 복음서''는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를 "동반자"라고 칭하며 "그녀에게 자주 입을 맞추었다"고 기록하여,[2]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가 종교적 관계뿐만 아니라 애정 관계도 공유했다는 믿음을 보여준다. 13세기 카타리파 관련 문헌에는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와 부부 관계였다는 주장이 나타난다.[3]
19세기 후반, 프랑스 사회주의 정치인 루이 마르탱은 역사적 예수를 사회주의자이자 무신론자로 묘사하며,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힌 후 막달라 마리아가 베다니의 라자로 가족과 함께 예수 시신을 프로방스로 옮겨 아들 막시민을 낳았다고 주장했다.[6]
20세기 후반에는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결혼과 가족 형성을 주장하는 대중적인 책들이 출간되었다.[7][8] 2014년 심차 야코보비치와 배리 윌슨은 《잃어버린 복음서》에서 6세기 이야기 "요셉과 아세넷"의 등장인물이 실제로는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했지만,[21] 리처드 보캄을 비롯한 주류 성서학자들에게 일축되었다.[24] 잉글랜드 교회는 이 책을 몬티 파이톤의 스케치에 비유하며 종교 문맹의 사례로 언급했다.[25]
예수 후손을 묘사한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2003년 소설 ''다빈치 코드''이다. 가톨릭 교회는 이 소설의 의사 역사적 배경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경고했다.[49] 2008년 다큐멘터리 ''블러드라인''은[54] 예수에게 후손이 있었다는 가설을 확장했다.[55]
일본 아오모리현 신고 마을에는 キリストの墓|Kirisuto no haka|예수의 무덤일본어 전설이 있는데, 예수가 십자가형을 피하고 일본에서 가족을 이루었다고 주장한다.[60] 남아시아에서는 아흐마디야교 창시자 미르자 굴람 아흐마드가 예수가 십자가형에서 살아남아 카슈미르 계곡 로자 발 신전에 묻혔다고 주장했다.[61]
초기 몰몬교 신학은 예수가 일부다처주의자였다고 주장하며, 초기 지도자들은 예수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했다.[27][28][29]
2. 1. 역사적 배경
예수 그리스도가 결혼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은 기독교 신학에서 주변적인 주장이었지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 기록은 이 주제에 대해 아무것도 언급하지 않는다.[1] 바트 D. 어먼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종교학과 학과장은, 일부 역사학자들이 예수의 결혼 가능성을 주장하지만, 대다수의 신약성경 및 초기 기독교 학자들은 그러한 주장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본다고 언급했다.[70]2014년, 심차 야코보비치와 종교 연구사학자 배리 윌슨은 《잃어버린 복음서》에서 6세기 이야기 "요셉과 아세넷"의 등장인물이 실제로는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1] 이 이야기는 가짜 자카리아스 레토르가 편집한 선집에 실렸으며, 원본 그리스어 필사본의 발견과 시리아어로의 번역을 설명하는 표지글이 함께 실렸다. 이 중 하나에서 번역가 잉길라의 모세는 이 이야기를 "그리스도와 영혼의 결혼에 대한 알레고리"로 설명했다.[22] 야코보비치와 윌슨은 이를 예수가 결혼하여 아이를 가졌다고 믿는 공동체가 만들어낸 예수의 실제 결혼에 대한 알레고리적 언급으로 해석한다. 이스라엘 성서학자 리브카 니르는 그들의 연구를 "진지하고, 생각을 자극하며, 흥미롭다"고 평가했지만, 이 주장에 대해 반대했다.[23] 이 책은 리처드 보캄을 비롯한 주류 성서학자들에게 일축되었다.[24]
잉글랜드 교회는 《잃어버린 복음서》를 몬티 파이톤의 스케치에 비유했으며, 대주교 위원회 홍보 이사는 이 책을 종교 문맹의 사례로 언급하며, 2003년 《다빈치 코드》 출판 이후 "음모론자, 위성 채널 다큐멘터리, 기회주의적인 출판사가 수익성 있는 수입원을 파악하여 산업을 구축했다"고 지적했다.[25] 《잃어버린 복음서》는 마르쿠스 복뮐에 의해 역사적 허무주의로 묘사되었다.[26]
초기 몰몬교 신학은 예수가 결혼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번 결혼했다고 주장했다. 초기 몰몬교 지도자들인 제데다이아 M. 그랜트, 올슨 하이드, 조셉 F. 스미스, 올슨 프랫은 예수 그리스도가 일부다처주의자였다는 것을 종교적 신념의 일부로 언급하며 각자 설교에서 이를 인용했다.[27][28] 초기 교회 지도자들 중 다수는 그러한 결혼을 통해 예수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했다.[29] 몰몬교는 또한 2세기 그리스 철학자 켈수스에게 귀속된 외경 구절을 사용했다. "이방인들과 그의 학파의 철학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박해한 주된 이유는 그가 너무 많은 아내를 두었기 때문이다. 엘리자베스와 마리아 외에도 그를 따르는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30] 이것은 교부 오리겐의 변증서 켈수스 반박("''켈수스 반박''")에 보존된 플라톤주의자 켈수스의 인용문에 대한 왜곡되거나 간접적인 언급의 요약인 것으로 보인다. "예수의 말씀은 너무나 매력적이어서 남자들뿐만 아니라 여자들 또한 자신의 성적 약점을 잊고, 스승을 따라 광야로 가는 일에 대한 외적인 체면도 잊을 정도였다."[31]
2. 1. 1. 초기 기독교와 영지주의
영지주의 문헌인 ''필립 복음서''는 예수가 "그녀에게 자주 입을 맞추었다"고 말하며 막달라 마리아를 그의 "동반자"라고 칭한다.[2] 이는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가 종교적 관계뿐만 아니라 애정 관계도 공유했다는 믿음을 보여준다.13세기 여러 문헌은 카타리파 신학의 한 측면으로 지상의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 사이에 가족 관계가 있었다는 믿음을 제시한다.[3] 발도파 신자였다가 가톨릭 교회와 화해를 모색한 베지에의 에르멩고드는 1213년 이전 저술에서 카타르 이단 신념 중 "비밀 회의에서 마리아 막달레나가 그리스도의 아내라고 가르쳤다"는 주장을 언급했다.[3] 익명의 다른 작품도 이 주장을 반복한다.[3] 시토회 수도사이자 연대기 기록자인 보 드 세르네의 피터는 1212년에서 1218년 사이 저술에서 마리아 막달레나가 예수의 첩이었다는 믿음을 카타르파에 귀속시켰다.[3][4]
하지만 이런 문헌은 알려진 두 저자가 카타르파가 아니었고, 적극적으로 억압받는 이단에 대해 썼다는 점에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에 대한 초기 영지주의 전통에서 이러한 믿음이 유래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카타르파 전통은 20세기 대중 저술에서 예수 후손의 존재를 주장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3][5]

2. 1. 2. 중세 카타리파
카타리파 관련 13세기 문헌에는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가 부부 관계였다는 주장이 나타난다.[3] 1213년 이전에 작성된 발도파 신자 베지에의 에르멩고드의 ''알비겐스와 발도파 이단에 대한 폭로''에는 "비밀 회의에서 마리아 막달레나가 그리스도의 아내라고 가르쳤다"는 내용이 있다.[3] 제목이 없고 익명으로 작성된 두 번째 작품도 에르멩고드의 주장을 반복한다.[3] 시토회 수도사이자 연대기 기록자인 보 드 세르네의 피터는 1212년에서 1218년 사이에 ''알비겐시스 역사''를 통해 마리아 막달레나가 예수의 첩이었다고 주장했다.[3][4]하지만, 이러한 주장을 한 두 저자는 카타리파가 아니었고, 억압받고 있는 이단에 대해 글을 쓰고 있었기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3] 카타리파 전통은 20세기 대중 저술 중 예수의 후손의 존재를 주장하는 많은 저술에 영향을 미쳤다.[3][5]
2. 2. 현대의 주장
예수 그리스도가 결혼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은 기독교 신학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역사적 기록은 이 주제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는다.[1] 바트 D. 어먼은 예수의 결혼 가능성을 주장하는 일부 역사학자들이 있지만, 대다수의 신약성경 및 초기 기독교 학자들은 그러한 주장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본다고 언급했다.[70]영지주의에는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가 종교적 관계뿐만 아니라 애정 관계도 공유했다는 믿음의 징후가 있다. 영지주의 ''필립 복음서''는 예수가 "그녀에게 자주 입을 맞추었다"고 말하며 마리아를 그의 "동반자"라고 칭한다.[2] 13세기 여러 출처는 카타리파 신학의 한 측면이 지상의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 사이에 가족 관계가 있었다는 믿음이라고 주장한다.[3] 이러한 카타리파 전통은 20세기 대중 저술 중 예수의 후손 존재를 주장하는 많은 저술에 영향을 미쳤다.[3][5]
19세기 후반, 프랑스 사회주의 정치인 루이 마르탱은 역사적 예수를 사회주의자이자 무신론자로 묘사하며,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힌 후 막달라 마리아가 베다니의 라자로 가족과 함께 예수 시신을 프로방스로 옮겼으며, 그곳에서 마리아는 예수와 사랑의 결실인 아들 막시민을 낳았다고 주장했다.[6]
2014년, 심차 야코보비치와 배리 윌슨은 《잃어버린 복음서》에서 6세기 이야기 "요셉과 아세넷"의 등장인물이 실제로는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1] 그러나 이 주장은 리처드 보캄을 비롯한 주류 성서학자들에게 일축되었다.[24] 잉글랜드 교회는 《잃어버린 복음서》를 몬티 파이톤의 스케치에 비유했으며, 대주교 위원회 홍보 이사는 이 책을 종교 문맹의 사례로 언급했다.[25]
예수 후손을 묘사한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2003년 베스트셀러 소설이자 세계적인 현상인 ''다빈치 코드''이다. 작가 댄 브라운은 소설의 역사적 맥락을 제공하는 후손 세부 사항의 진실성을 텍스트와 공개 인터뷰에서 모두 증언했다. 이 작품은 매우 유명해져서 가톨릭 교회는 그 의사 역사적 배경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신자들에게 경고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49]
2008년 다큐멘터리 ''블러드라인''[54]은 브루스 버지스가 제작했으며, 예수에게 후손이 있었다는 가설과 ''성혈과 성배''의 다른 요소들을 확장했다.[55]
예수 혈통에 대한 주장은 유럽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일본 아오모리현 신고 마을에는 キリストの墓|Kirisuto no haka|예수의 무덤일본어이 있는데, 이 전설에 따르면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할 때 그의 형제가 대신 자리를 차지했고, 예수는 러시아와 시베리아를 거쳐 일본으로 도망쳐 벼농사를 지으며 많은 가족을 두었고 114세에 사망했으며, 현재까지 후손이 있다고 주장된다.[60]
남아시아에서는 아흐마디야교 창시자인 미르자 굴람 아흐마드(1835-1908)가 예수가 십자가형에서 살아남아 스리나가르 카슈미르 계곡에 있는 로자 발 신전에 묻힌 성자 유자사프(Yuzasaf)라고 주장했다.[61]
예수 후손이 등장하는 다른 소설로는 해리 해리슨의 1996년 소설 『왕과 황제(King and Emperor)』,[62] 1995년 만화책 『프리처(Preacher)』와 2016년 TV 드라마(Preacher) 각색 등이 있다.[63]
2. 2. 1. 20세기 후반의 저작들
20세기 후반에는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가 결혼하여 가족을 이루었다는 주장을 담은 대중적인 책들이 쏟아져 나왔다.[7][8] 도노반 조이스는 1972년 베스트셀러 《예수의 두루마리(The Jesus Scroll)》에서 신비한 문서에서 유래했다는 예수의 또 다른 연대기를 제시했다. 조이스에 따르면, '예수의 두루마리'는 하스몬 왕조의 상속자이자 이스라엘의 정당한 왕인 80세의 ''예슈아 벤 야아콥 벤 겐네사렛''이 쓴 개인적인 편지였다. 이 편지는 그가 결혼했고, 십자가형을 목격한 아들을 두었다고 묘사했다. 조이스는 이 글쓴이를 나사렛 예수와 동일시했는데, 그는 자신의 십자가형에서 살아남아 마사다에서 결혼하여 정착했으며, 사해 문서의 내용을 숨겨 기독교 정통성에 대한 이 반대되는 이야기를 억압하려는 음모가 있었다고 주장했다.[7][8]바바라 티어링은 1992년 저서 《예수라는 남자(Jesus the Man (book))》 (《예수와 사해 문서의 수수께끼: 그의 삶의 비밀을 풀다》, 《예수라는 남자》로 재출판)와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공사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사해 문서의 수수께끼》에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가족 관계 시나리오를 발전시켰다. 티어링은 이른바 페셰르 기법 (고대 주석을 기반으로 한 해석)을 신약 성경에 적용하여 자신의 역사적 결론을 내렸다.[9][10] 티어링은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약혼 날짜를 서기 30년 6월 30일 오후 10시로 정확하게 특정했다. 그녀는 예수의 생애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베들레헴, 나사렛, 예루살렘에서 쿰란으로 옮겼고, 예수가 기절 가설에 따라 살아났으며, 이미 그에게 임신한 막달라 마리아와 결혼하여 딸 타마르와 아들 예수 유스투스를 서기 41년에 낳았고, 예수는 이후 마리아와 이혼하고 리디아라는 유대인 여성과 결혼하여 로마로 가서 죽었다고 말했다.[11][12]
2007년 다큐멘터리 《예수의 잃어버린 무덤(The Lost Tomb of Jesus)》과 책 《예수 가족의 무덤(The Jesus Family Tomb)》[13]에서, 심차 야코보비치와 찰스 R. 펠레그리노는 1980년 예루살렘에서 발견된 탈피오트 무덤의 납골당이 예수와 그의 가족의 것이라고 주장했다. 야코보비치와 펠레그리노는 "예수의 아들 유다", "요셉의 아들 예수", "마리아므"라는 아람어 비문, 즉 막달라 마리아와 연관된 이름들이 예수, 그의 아내 막달라 마리아, 그리고 아들 유다로 구성된 가족 그룹의 기록을 보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4]
같은 해 실비아 브라운은 《두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와 아내의 숨겨진 역사》라는 책을 출판했다.[16]
예수 세미나는 자유주의 기독교적 관점에서 역사적 예수 탐구에 참여하는 학자들의 모임으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가 결혼 관계를 맺었는지 여부는 역사적 증거의 부족으로 인해 확정할 수 없었다. 그들은 역사적인 막달라 마리아가 회개한 매춘부가 아니라 예수의 중요한 제자이자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권위자였다고 결론 내렸다.[17]
2. 2. 2. 몰몬교의 관점
초기 몰몬교 신학에서는 예수가 결혼을 했고, 심지어 여러 번 결혼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제데다이아 M. 그랜트, 올슨 하이드, 조셉 F. 스미스, 올슨 프랫과 같은 초기 몰몬교 지도자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일부다처주의자였다는 것을 종교적 신념으로 언급하며 설교에서 이를 인용했다.[27][28] 초기 교회 지도자들 중 다수는 그러한 결혼을 통해 예수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했다.[29]몰몬교는 2세기 그리스 철학자 켈수스의 외경 구절을 인용하기도 했다. "이방인들과 그의 학파의 철학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박해한 주된 이유는 그가 너무 많은 아내를 두었기 때문이다. 엘리자베스와 마리아 외에도 그를 따르는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30] 이는 교부 오리겐의 변증서 켈수스 반박에 보존된 플라톤주의자 켈수스의 인용문을 왜곡하거나 간접적으로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켈수스 반박에는 "예수의 말씀은 너무나 매력적이어서 남자들뿐만 아니라 여자들 또한 자신의 성적 약점을 잊고, 스승을 따라 광야로 가는 일에 대한 외적인 체면도 잊을 정도였다."[31]라는 구절이 있다.
2006년에는 미술사학자 버른 그로스베너 스완슨이 "성배의 왕조: 몰몬교의 성스러운 혈통"을 출판하여 몰몬교적 맥락에서 유사한 개념을 제시했다.[53] 이 책은 거의 30년에 걸친 연구의 결과물로, "모호한 영지주의, 좌익, 자유주의, 그리고 단호한 여성주의적 편향"에 대한 대응으로 제작되었다.[29][53] 스완슨은 영국 이스라엘주의, 초기 몰몬교 지도자들의 신념, 현대 유전자 계보학을 결합하여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29][53]
스완슨은 예수가 잉글랜드 또는 아일랜드 출신의 마리아의 아들이었으며, 드루이드교를 공부하기 위해 잉글랜드를 방문한 후 마리아 막달레나와 결혼했다고 묘사한다.[53] 예수 사후, 스완슨은 그의 미망인이 예수의 자녀들(스완슨은 '실로 왕조'라고 칭함)을 데리고 잉글랜드로 갔으며, 그 중 한 명이 조셉 스미스의 부계 조상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스완슨은 또한 조셉 스미스가 같은 실로 왕조에서 모계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29] 그는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의 결혼으로 부계와 모계 후손이 결합되어 유다와 에브라임 가문 사이의 오랜 갈등이 치유되었으며, 조셉 스미스는 예언자일 뿐만 아니라 '모든 이스라엘의 다윗 왕'이었고, 모든 몰몬교 대통령과 주요 관료들이 출생 또는 의식적 입양을 통해 이 혈통의 일원이라고 주장한다.[29]
3. 예수 혈통 가설과 대중문화
예수 혈통 가설은 19세기 후반부터 대중문화, 특히 소설과 영화에서 빈번하게 다뤄지는 소재였다. 1886년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치인 루이 마르탱은 자신의 저서에서 예수가 십자가형에서 살아남아 막달라 마리아와 함께 프로방스로 가서 아들 막시민을 낳았다고 주장했다.[6]
20세기 후반에는 도노반 조이스의 1972년 베스트셀러 《예수의 두루마리(The Jesus Scroll)》를 필두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결혼 및 가족 형성을 주장하는 책들이 다수 출간되었다. 조이스는 마사다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되는 '예수의 두루마리'를 통해 예수가 십자가형에서 살아남아 결혼하여 아들을 두었다고 주장했다.[7][8] 바바라 티어링은 1992년 저서 《예수라는 남자(Jesus the Man (book))》에서 페셰르 기법을 통해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와 결혼하여 딸 타마르와 아들 예수 유스투스를 낳았다고 주장했다.[9][10]
2007년에는 다큐멘터리 《예수의 잃어버린 무덤(The Lost Tomb of Jesus)》과 책 《예수 가족의 무덤(The Jesus Family Tomb)》에서 심차 야코보비치와 찰스 R. 펠레그리노가 탈피오트 무덤의 납골당이 예수와 그의 가족의 것이라고 주장하며 논란을 일으켰다.[13] 이들은 납골당에 새겨진 아람어 비문들을 근거로 예수, 막달라 마리아, 그리고 아들 유다로 구성된 가족 그룹의 기록이라고 주장했지만,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를 부정했다.[14][15]
예수 세미나는 역사적 증거 부족으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결혼 여부를 확정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지만, 막달라 마리아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는 점은 인정했다.[17]
2014년, 심차 야코보비치와 배리 윌슨은 《잃어버린 복음서》에서 6세기 이야기 "요셉과 아세넷"의 등장인물이 실제로는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1] 그러나 이 주장은 잉글랜드 교회를 비롯한 주류 학계에서 비판을 받았다.[25]
20세기 말과 21세기 초에 걸쳐, 예수 혈통 가설은 실증적인 근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사람들에게 흥미를 끌게 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이를 뉴에이지적인 영지주의 기독교 이단으로 여기기도 한다.[70][71]
많은 근본주의 기독교인들은 요한 계시록에 예언된 적그리스도가 자신이 다윗의 혈통에서 나왔다고 주장하여 자신이 유대인 메시아라는 거짓 주장을 강화하려 한다고 믿는다.[72]
3. 1. 성혈과 성배
마이클 베이전트, 리처드 레이, 헨리 링컨은 1982년 저서 ''성혈과 성배''(미국에서는 ''성혈, 성배''로 출판)에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후손에 대한 가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다.[32] 이들은 중세 시대 전설 속 ''상그랄''(sangraal)이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된 잔인 ''산 그랄''(San Graal), 즉 성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막달라 마리아의 자궁과 예수의 왕족 혈통인 ''상 레알''(Sang Real)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막달라 마리아는 십자가형 이후 프랑스로 가서 예수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낳았고, 그 아이의 후손은 수 세기 후 프랑크 왕국의 메로빙거 통치자와 결합하는 혈통을 시작했다. 알비 십자군이 카타르파를 거의 전멸시킨 중세 왕조를 거쳐, 시온 수도회라는 비밀 결사에 의해 이 혈통의 작은 잔재가 보호되었다고 이들은 주장했다.[33][34]3. 2. 다빈치 코드
댄 브라운의 2003년 베스트셀러 소설이자 세계적인 현상이었던 ''다빈치 코드''는 예수 혈통 가설을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49] 2006년에는 동명의 영화 <다빈치 코드>로도 제작되었다. 이 소설은 이전의 많은 예수 후손 관련 주제들을 통합하여 음모론 소설 작품의 배경으로 사용했다. 작가 댄 브라운은 소설의 역사적 맥락을 뒷받침하는 세부 사항들이 사실이라고 주장했다.[49]''다빈치 코드''는 매우 유명해져서 가톨릭 교회는 신자들에게 이러한 의사 역사적 배경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경고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미국 역사상 11번째로 많이 팔린 소설이 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 부가 판매되었다. 댄 브라운은 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실, 실제로는 사실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사실적인 세부 사항, 그리고 노골적인 추측을 섞어서 사용했다. 이 작품의 인기는 수많은 아류작들이 이 작품을 모방하거나 반박하려는 시도를 불러일으켰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49]
소설에서 주인공은 성배가 실제로는 막달라 마리아를 지칭하며, 이 사실과 예수와 마리아의 후손에 대한 지식이 비밀리에 숨겨져 왔다는 것을 발견한다.[49] 이는 마이클 베이전트, 리처드 레이, 헨리 링컨의 ''성혈과 성배''의 주장과 매우 유사하지만, 숨겨진 지식을 카타르파와 연관시키지는 않는다.[3] 댄 브라운은 또한 도노반 조이스, 바바라 티어링, 마가렛 스타버드의 저서와 1965년 휴 J. 숀필드의 ''유월절 음모''의 내용을 통합했는데, 여기서 숀필드는 나사로와 아리마태아 요셉이 예수의 부활을 위조했다고 주장했다.[50]
댄 브라운이 ''성혈과 성배''에 크게 의존했기 때문에, 해당 저서의 저자 중 두 명인 베이전트와 레이는 랜덤 하우스를 상대로 표절 소송을 제기했다. 댄 브라운은 자신의 작품에서 예수 후손 관련 자료가 주로 ''성혈과 성배''에서 가져온 것임을 숨기지 않았고, 자신의 책에서 이 작품을 직접 인용하고 소설 속 역사 전문가의 이름을 베이전트(애너그램 형태로)와 레이의 이름을 따서 지었지만, 랜덤 하우스는 베이전트와 레이가 그들의 아이디어를 역사적 사실로 구성된 비소설로 제시했기 때문에, 브라운은 다른 역사 소설 작품이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것처럼 이러한 개념을 자유롭게 재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베이전트와 레이는 댄 브라운이 그 이상을 했고, 그들의 작품의 "구조를 차용"하여 "납치"하고 "악용"했다고 주장했다.[51] 한 판사는 ''성혈과 성배''가 정말 사실을 나타내는지, 아니면 매우 추측적인 특성으로 인해 소설에 가까운지 의문을 제기했지만,[52] 법원은 랜덤 하우스와 댄 브라운의 손을 들어주었다.[51]
3. 3. 기타 작품들
해리 해리슨(Harry Harrison)의 1996년 소설 『왕과 황제(King and Emperor)』[62], 1995년 만화책 『프리처(Preacher)』와 2016년 TV 드라마 각색[63] 등 다양한 소설과 만화에서도 예수의 후손이 등장한다.4. 예수 혈통 가설에 대한 비판적 시각
예수 혈통 가설은 역사학계와 신학계에서 대부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 가설은 주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결혼 및 후손에 대한 주장을 담고 있으며, 다양한 책과 영화 등을 통해 대중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역사적, 통계적, 종교적 관점에서 여러 비판에 직면해 있다.
기독교 신학에서는 예수가 결혼했다는 주장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역사적 기록은 이 주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1] 바트 D. 어먼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종교학과 학과장은, 일부 역사학자들이 예수의 결혼 가능성을 주장하지만, 대다수의 신약성경 및 초기 기독교 학자들은 그러한 주장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본다고 언급했다.[70]
영지주의 문헌에서는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가 종교적 관계뿐만 아니라 애정 관계를 공유했다는 믿음이 나타난다. 필립 복음서는 예수가 마리아에게 자주 입을 맞추었다고 언급하며 그녀를 그의 "동반자"라고 칭한다.[2] 13세기 카타리파 신학에서는 지상의 예수와 마리아 막달레나 사이에 가족 관계가 있었다는 믿음이 있었다.[3] 그러나 이러한 출처는 당시 이단으로 억압받던 카타리파에 대한 기록이므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3][4]
19세기 후반부터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결혼과 자녀에 대한 주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프랑스 사회주의 정치인 루이 마르탱은 예수가 십자가형 이후 프로방스로 옮겨져 아들 막시민을 낳았다고 주장했다.[6] 20세기 후반에는 도노반 조이스의 《예수의 두루마리(The Jesus Scroll)》, 바바라 티어링의 《예수라는 남자(Jesus the Man (book))》 등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결혼 및 가족 관계를 주장하는 책들이 출판되었다.[7][8][9][10][11][12] 심차 야코보비치와 찰스 R. 펠레그리노는 《예수의 잃어버린 무덤(The Lost Tomb of Jesus)》에서 탈피오트 무덤의 납골당이 예수와 그의 가족의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거부했다.[13][14][15]
마이클 베이전트, 리처드 레이, 헨리 링컨은 《성혈과 성배》에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후손이 메로빙거 왕조와 연결된다고 주장했다.[32][33][34] 그러나 이 주장은 피에르 플랑타르의 사기극에 기반한 것으로 밝혀졌다.[35][36][37][38][39][40]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는 예수 혈통 가설을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나,[49]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한 것으로 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기독교 교파들은 예수 혈통 가설을 교리나 숭배의 대상으로 승인하지 않는다. 그들은 예수가 성자 예수이며, 독신이고 교회와 형이상학적으로 결혼했다고 믿는다.[64]
4. 1. 역사적 근거 부족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예수 혈통 가설이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70] 신약성경 및 초기 기독교 학자들은 그러한 주장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본다.[70]예수 세미나는 자유주의 기독교적 관점에서 역사적 예수 탐구에 참여하는 학자들의 모임으로,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가 결혼 관계를 맺었는지 여부를 역사적 증거의 부족으로 인해 확정할 수 없었다. 이들은 역사적인 막달라 마리아가 회개한 매춘부가 아니라 예수의 중요한 제자이자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권위자였다고 결론 내렸다.[17]
피츠버그 로마 가톨릭 교구의 커뮤니케이션 담당 이사인 로버트 록우드는 교회가 예수 혈통에 대한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공모했다는 생각은 의도적인 반 가톨릭 선전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이것을 미국 개신교 상상력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지만 1517년 종교 개혁이 시작될 때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반 가톨릭 정서의 전통의 일부로 간주한다.[77]
궁극적으로, 수천 년 전에 살았던 사람이 현재 소수의 후손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통계적으로 불가능하다.[78] ''인류 역사의 지도: 유전자, 인종, 그리고 우리의 공통 기원''의 저자인 스티브 올슨은 통계적 확률의 문제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네이처''에 발표했다.
> 오늘날 살아있는 사람 중 누구라도 예수의 후손이라면, 지구상에 있는 우리 대부분도 그럴 것이다.[79]
역사가 켄 몬드셰인은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분명한 혈통이 보존될 수 있다는 생각을 조롱했다.
> 근대 이전 시대의 유아 사망률은 터무니없이 높았고, 2,000년 동안 단 한 번의 어린 시절 사고나 질병만 있어도 혈통이 사라질 수 있다… 반면에, 그리스도의 자녀들이 서로 결혼하게 하면, 결국 근친 교배가 너무 심해져서 하나님의 아들이 발 대신 지느러미를 갖게 될 것이다.[80]
4. 2. 통계적 불가능성
수천 년 전에 살았던 사람이 현재까지 후손을 남기는 것은 통계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된다.[78] 스티브 올슨은 ''네이처''에 발표한 내용에서, 오늘날 살아있는 사람 중 누구라도 예수의 후손이라면 지구상 대부분의 사람도 그럴 것이라고 언급했다.[79]역사가 켄 몬드셰인은 근대 이전 시대의 유아 사망률이 매우 높았고, 2,000년 동안 단 한 번의 어린 시절 사고나 질병만으로도 혈통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혈통이 보존될 수 있다는 생각을 비판했다.[80] 또한, 그리스도의 자녀들이 서로 결혼하게 되면 결국 근친 교배가 심해져서 하나님의 아들이 발 대신 지느러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80]
4. 3. 종교적 관점
많은 근본주의 기독교 신자들은 요한 계시록에 예언된 적그리스도가 자신이 다윗의 혈통에서 나왔다고 주장하여 유대인 메시아라는 거짓 주장을 강화하려 한다고 믿는다.[72] 이러한 선전의 의도는 유대인과 친유대주의자들의 의견, 감정,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쳐 그의 사탄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것이다. 점점 더 많은 소수의 기독교 종말론자들은 적그리스도가 대중 사이에서 예수 혈통 가설에 대한 동조가 증가하는 점을 이용하여 자신을 예수 혈통에서 나왔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고 믿는다.[73]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New Testament, Gender, and Sex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
논문
The Deification of Mary Magdalene
[3]
논문
The Cathar Mary Magdalene and the Sacred Feminine: Pop Culture Legend vs. Medieval Doctrine
[4]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Albigensian Crusade: Peter of les Vaux-de-Cernay's "Historia Albigensis"
W.A. Sibly, M.D. Sibly
[5]
뉴스
The Unbelievable Tale of Jesus's Wife
https://www.theatlan[...]
2020-07-20
[6]
논문
Histoire et Philosophie de Religieuses
[7]
서적
The Jesus Scroll
Sphere Books
[8]
M.A.
The Role of Archaeology in the Jesus Industry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15-12
[9]
문서
For a discussion between Barbara Thiering and Geza Vermes surrounding this
http://www.nybooks.c[...]
[10]
웹사이트
The marriage of Jesus
http://www.peshertec[...]
2005-04
[11]
서적
The Rivers of Paradise: Moses, Buddha, Confucius, Jesus and Muhammad as Religious Founder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12]
M.A.
The Role of Archaeology in the Jesus Industry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15-12
[13]
서적
The Jesus Family Tomb: The Discovery, the Investigation, and the Evidence That Could Change History
HarperCollins
[14]
웹사이트
Jesus' Tomb Claim Slammed By Scholar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7-02-28
[15]
뉴스
'Lost Tomb of Jesus' Claim Called a Stunt
https://www.washingt[...]
2021-05-14
[16]
서적
The Two Marys: The Hidden History of the Mother and Wife of Jesus
Dutton Adult
[17]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 San Francisco
[18]
서적
Arthurian Literature in the Middle Ages. A collaborative history
Clarendon Press, Oxford
[19]
서적
The Glastonbury Legends: Joseph of Arimathea, the Holy Grail and King Arthur
Cresset Press, London
[20]
서적
Two Glastonbury Legends: King Arthur and St Joseph of Arimathea
University Press, Cambridge
[21]
서적
The Lost Gospel
Pegasus, New York
[22]
서적
Early Jewish Writings
SBL Press
2017-11-14
[23]
논문
Book Review, The Lost Gospel
2016-Fall
[24]
웹사이트
Assessing the Lost Gospel
http://markgoodacre.[...]
[25]
뉴스
Lost Gospel claims Jesus and Mary Magdalene were married and had children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4-11-12
[26]
서적
Ancient Apocryphal Gospel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7]
서적
Mormons: How to Witness to Them
Baker Academic
[28]
웹사이트
Did Jesus Christ Marry and Father Children? A Survey of Mormon Teachings on the Marital and Parental Status of the Son of God'
https://web.archive.[...]
[29]
논문
Review: Dynasty of the Holy Grail: Mormonism's Sacred Bloodline by Vern Grosvenor Swanson
[30]
서적
Dynasty of The Holy Grail: Mormonism's Sacred Bloodline
Cedar Fort
[31]
서적
The Wife of Jesus: Ancient Texts and Modern Scandals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2013-11-07
[32]
서적
The Holy Blood and the Holy Grail
Corgi
[33]
뉴스
On the grail trail
https://www.latimes.[...]
2019-11-29
[34]
AV media
The Secret of the Priory of Sion
http://www.cbsnews.c[...]
CBS News
2006-04-30
[35]
서적
Les Mystères de Rennes-le-Château: Mèlange Sulfureux
CERT
[36]
France-Inter
Jacques Pradel
France-Inter
1982-02-18
[37]
간행물
Jesus Christ, his wife and the Merovingians
Nostra – 'Bizarre News' N° 584
1983
[38]
뉴스
The Secret of the Priory of Sion
CBS News '60 Minutes'
2006-04-30
[39]
뉴스
"Affaire Pelat: Le Rapport du Juge"
Le Point
1994-01-08
[40]
간행물
"Note sur l’actualité du Prieuré de Sion"
Politica Hermetica
1996
[41]
논문
"''Holy Blood, Holy Grail'': Two Reviews"
[42]
서적
The Woman with the Alabaster Jar: Mary Magdalen and the Holy Grail
Bear & Company
[43]
학위논문
The Role of Archaeology in the Jesus Industry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15-12
[44]
서적
Bloodline of the Holy Grail: The Hidden Lineage of Jesus Revealed
https://archive.org/[...]
Element Books
[45]
서적
Genesis of the Grail Kings: The Explosive Story of Genetic Cloning and the Ancient Bloodline of Jesus
Element Books
[46]
서적
Custodians of Truth: The Continuance of Rex Deus
Red Wheel/Weiser LLC
[47]
서적
Rex Deus: The True Mystery of Rennes-Le-Chateau
Element Books
[48]
웹사이트
What about the Rex Deus dynasty's influence on Freemasonry?
http://freemasonry.b[...]
2004-05-05
[49]
논문
Realism, Narrative History, and the Production of the Bestseller: The Da Vinci Code and the Virtual Public Sphere
https://www.academia[...]
[50]
학위논문
The Role of Archaeology in the Jesus Industry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15-12
[51]
뉴스
Brown wins Da Vinci Code case
https://www.theguard[...]
2019-11-28
[52]
뉴스
Closing Arguments Heard in 'Da Vinci Code' Case
https://www.npr.org/[...]
NPR All Things Considered
2019-11-28
[53]
논문
Review: Dynasty of the Holy Grail: Mormonism's Sacred Bloodline by Vern Grosvenor Swanson
[54]
기타
Bloodline
Cinema Libre
2008-05-09
[55]
서적
Invented Knowledge: False History, Fake Science and Pseudo-Religions
Reaktion Books
[56]
서적
Inside The Priory of Sion: Revelations From The World's Most Secret Society - Guardians of The Bloodline of Jesus
Watkins Publishing
[57]
인용
[58]
웹사이트
NightVision Radio
http://latalkradio.c[...]
2012-03-21
[59]
웹사이트
Statement of Ben Hammott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The Japanese Jesus trail
http://news.bbc.co.u[...]
BBC
2019-11-26
[61]
서적
Mary Magdalene from New Testament to the New Age and Beyond
https://www.academia[...]
Brill
[62]
서적
The Grail Legend in Moder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D.S. Brewer
2004
[63]
웹사이트
Preacher: "Dirty Little Secret" Review
https://www.ign.com/[...]
IGN
2024-03-28
[64]
웹사이트
"But you, who do you say that I am?" Proclaiming Jesus Christ after the Da Vinci tsunami
2006
[65]
서적
The Messianic Legacy
Henry Holt & Co
[66]
서적
The Secret Teachings of Mary Magdalene: Including the Lost Verses of The Gospel of Mary, Revealed and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Watkins
[67]
서적
Mary Magdalene and the Divine Feminine: Jesus' Lost Teachings on Woman
Summit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Cult of the Black Virgin
[69]
서적
The Woman with the Alabaster Jar: Mary Magdalen and the Holy Grail
Bear & Company
[70]
서적
Truth and Fiction in The Da Vinci Code: A Historian Reveals What We Really Know about Jesus, Mary Magdalene, and Constant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Gospel Code – Novel Claims about Jesus, Mary Magdalene and Da Vinci
InterVarsity Press
[72]
서적
Jerry Falwell and the Jews
Jonathan David Pub
[73]
간행물
The Merovingian Dynasty: Satanic Bloodline of the AntiChrist & False Prophet
https://web.archive.[...]
2009-11-11
[74]
서적
Breaking The Da Vinci Code: Answers To The Questions Everyone's Asking
Thorndike Press
[75]
웹사이트
Was Jesus Married?
http://www.leaderu.c[...]
[76]
방송
The Real Da Vinci Code
Channel Four Television
2005-02-03
[77]
웹사이트
'Da Vinci' proves Catholic
http://www.pittsburg[...]
Pittsburgh Catholic
2006-04-27
[78]
웹사이트
The Ancestor Paradox
http://www.genetic-g[...]
2022-10-11
[79]
뉴스
Why We're All Jesus' Children
http://www.slate.com[...]
Slate
2006-03-15
[80]
뉴스
How Da Vinci Code tapped pseudo-fact hunger
https://web.archive.[...]
2020-02-03
[81]
간행물
"The Magdalene & the Sangraal"
Journal of the Pendragon Society
1982
[82]
서적
The Jesus Family Tomb: The Discovery, the Investigation, and the Evidence That Could Change History
HarperCollins
[83]
서적
The Jesus Discovery: The New Archaeological Find That Reveals The Birth of Christianity
Simon & Schuster
[84]
뉴스
How the 'Jesus' Wife' Hoax Fell Apart
http://online.wsj.co[...]
2014-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