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년법은 특정 사건이나 시점을 기준으로 연도를 계산하는 체계로, 크게 무한 시스템, 유한 시스템, 순환식 시스템으로 나뉜다. 기원과 연호는 시작 연도를 1년으로 정하며, B.P., 율리우스일, 유닉스 시간, 홀로세 달력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역사적으로는 비잔틴 달력, 순교자 시대, 그리스도 탄생 기원 등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서기가 널리 쓰인다. 각 지역과 문화권에 따라 고유한 기년법이 존재하며, 역법과 함께 달력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년법 - 0년
    0년은 천문학에서 서력기원의 불연속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원후 1년 직전 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ISO 8601에서도 사용되며 다른 기년법에서 기점이 되는 해나 상징적 사건이 일어난 해를 지칭하기도 한다.
  • 기년법 - 로마 건국 원년
    로마 건국 원년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753년으로 여겨지며,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가 확립한 이 연대는 로마 국가의 공식 연대기로 채택되어 로마 건국 설화와 함께 로마인들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기년법

2. 종류

기년법에는 크게 다음 3가지 종류가 있다.


  • 서력/그리스도 기원, 이슬람력, 불력/불멸기원, 인류기원 등 어떤 해를 시점으로 하여 경과년과 소급년을 세는 무한 시스템(기원)이다.
  • 군주의 즉위나 사건 등에 의해 리셋되는 유한 시스템(연호)이다.
  • 간지(60년 주기) 및 인딕션(15년 주기, 로마력의 연기 계산법) 등 일정한 연수로 반복되는 순환식 시스템이다.


또한 일부 기년법을 제외하고 기원연호 모두 시작이 되는 해를 "0년"이 아닌 "1년"으로 정한다. 즉 기원으로부터 경과년수나 소급년수를 나타내는 기수년(주년)이 아니라 서수년(만 나이)으로 센다.

3. 역사적 기년 체계

기년법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 서력/그리스도 기원, 이슬람력, 불력/불멸기원, 인류기원 등 어떤 해를 시점으로 하여 경과년과 소급년을 세는 무한 시스템(기원)
  • 공통 기원(Common Era, CE)
  • 군주의 즉위나 사건 등에 의해 리셋되는 유한한 시스템(연호)
  • 간지(60년 주기) 및 인딕션(15년 주기, 로마력의 연기 계산법) 등 일정한 연수로 반복되는 순환식 시스템.


일부 기년법을 제외하고 기원연호 모두 시작되는 해를 "0년"이 아닌 "1년"으로 정한다. 즉, 기원으로부터 경과년수나 소급년수를 나타내는 기수년(주년)이 아니라 서수년(헤아리는 해)으로 센다.

고대 로마 제국에서는 연호(○○ 황제 재위 N년), 로마 건국 기원, 인딕션의 세 종류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4~5세기경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기원이 기독교도 사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년법이었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서유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년을 원년으로 하는 기독교 기원(서기)이 서서히 사용되었고(군주의 즉위년을 기준으로 하는 기년법도 병행하여 사용된 나라도 있었다), 15세기 이후에 일반화되어 현재에 이른다.

동유럽의 정교회권에서는 중세부터 근대까지 10세기 이후의 동로마 제국에서 사용된 세계 창조 기원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서기가 일반적이다. 중동이슬람권에서는 히지라 기원이, 동남아시아불교 국가에서는 불멸기원이 각각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오랫동안 연호와 간지가 사용되어 왔다.

  • 중국: 신해혁명으로 연호가 폐지되고 민국 기원이 시행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민국 기원이 폐지되고 서기가 사용되고 있다.
  •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연호를 기본으로 했지만, 한때 신무 기원이 많이 사용되기도 했다. 전후 일본에서는 민간의 서기로의 이행이 진행되었다.
  • 한반도: 전후 연호가 폐지되고 서기와 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정일 체제 시기부터 주체 기원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 베트남: 전후 연호가 폐지되고 서기와 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1. 고대

아시리아는 천 년 이상 동안 각 연도를 식별하기 위해 기년법 체계를 사용했다. 매년 아키투 축제(메소포타미아의 새해를 기념)에서 소수의 고위 관리(후기에는 왕 포함) 중 한 명이 제비뽑기를 통해 그 해의 ''림무''로 선택되었다. 이는 그가 아키투 축제를 주재하고 그 해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될 것임을 의미했다. 가장 초기에 증명된 ''림무'' 기년법은 기원전 2천년 초에 아나톨리아의 카룸 카네쉬에 있는 아시리아 무역 식민지에서 유래되었으며,[2] 신아시리아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아시리아의 서기관들은 ''림무'' 목록을 작성했는데, 기원전 1천년 초부터 거의 250개의 기년법이 중단 없이 이어졌다. 이는 매우 귀중한 연대기적 보조 자료인데, 구자나의 총독인 부르-사가레의 ''림무''에 일식이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이 일식을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일식으로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기원전 892년부터 648년까지의 절대 연도를 해당 기년법 시퀀스에 할당할 수 있었다.[3] 이 절대 연도 목록을 통해 신아시리아 시대의 많은 사건들을 특정 연도로 연대 측정할 수 있었으며, 메소포타미아 역사의 초기 시대를 특징짓는 연대기적 논쟁을 피할 수 있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들과 학자들은 연도를 표시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기원전 776년에 처음 개최된 올림픽 경기를 사용했다. 올림픽은 다양한 독립 도시 국가들에게 상호 인식 가능한 연대기 시스템을 제공했다. 올림피아드 연대기는 일상생활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 시스템은 기원전 3세기부터 사용되었다. 현대 올림픽(또는 1896년부터 시작된 하계 올림픽)은 고대 그리스의 4년 주기를 따르지 않는다. 669번째 올림피아드는 1897년 여름에 시작되었겠지만, 현대 올림픽은 1896년에 처음 개최되었다.[4]

인딕션 주기는 로마 이집트에서 시행된 농업 세금 주기였다. 15개의 인딕션이 주기를 구성하며, 각 인딕션은 1년의 기간이었다. 4세기부터 문서와 사건의 연도를 주기의 해(예: "다섯 번째 인딕션", "열 번째 인딕션")로 표기하기 시작했으며, 이 시스템은 세금 징수가 중단된 후에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 시스템은 , 이집트에서는 이슬람 정복까지, 그리고 동로마 제국에서는 1453년 정복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모든 해당 연도를 제공하는 유용한 차트는 샤인의 연대기 책에 있으며,[5] 134페이지부터 172페이지까지의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AD 연도에서 인딕션을 계산하는 규칙은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제시했다. 연도에 3을 더하고 15로 나눈다. 나머지가 인딕션이며, 0은 15번째 인딕션으로 간주한다.[4] 따라서 2001년의 인딕션은 9였다.[6] 인딕션 연도의 시작일은 다양했다.[4]

셀레우코스 시대는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6세기까지 중동 지역의 대부분에서 사용되었으며, 동방 기독교도 사이에서는 서기 10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대는 기원전 312년의 기원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그 해 8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바빌론을 점령하고 알렉산드로스 3세 제국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통치를 시작했다. 따라서 달력이 1 티슈리 또는 1 니산에 시작하는지에 따라 (각각 유대교의 민간 및 종교적 연도의 시작) 셀레우코스 시대는 기원전 311년 (유대식 계산) 또는 기원전 312년 (그리스식 계산: 10월–9월)에 시작된다.

초창기부터 널리 사용된 방식은 로마의 '집정관' 기년법이었다. 이 기년법은 해당 민간 연도의 1월 1일 (기원전 153년 이후)에 집정관 직을 맡은 두 명의 ''정규 집정관''의 이름을 명명하는 방식이었다.[4] 때때로 한 명 또는 두 명의 집정관이 전년도 11월 또는 12월까지 임명되지 않을 수 있었고, 임명 소식이 로마 제국의 일부 지역에 몇 달 동안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어떤 해는 한 쌍의 집정관의 "집정관직 수행 이후"로 정의된 비문도 발견된다. 집정관 기년법은 서기 541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집정관 임명을 중단하면서 종료되었다. 마지막으로 임명된 집정관은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알비누스 바실리우스였다. 그 직후 제국 통치 기년법이 이를 대체하여 사용되었다.

또 다른 기년법으로는 ''로마 건국 기원''(라틴어: ab urbe condita, "도시 건국으로부터") 또는 anno urbis conditaela (라틴어: "도시 건국 년도")가 있었으며, 둘 다 AUC로 줄여 썼다. 로마 역사가들은 이 기원에 대해 몇 가지 시대를 사용했는데, 모두 불완전하게 남아있는 로마 집정관 목록과 로마 신화에서 로물루스와 레무스에 의한 로마 건국 신화에 근거했다.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기원전 1세기에 집정관들의 몇 년, 무정부 상태의 기간, 그리고 로마의 모든 전 왕들의 표준화된 통치 기간을 바로의 연대기에 삽입하여 기원전 754년~753년을 6번째 올림피아드의 3년과 동일하게 만들었다.[7] 그는 파릴리아가 그 당시 도시의 건국과 연관되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날짜를 기원전 753년 4월 21일로 잡았다. 이 날짜는 최소한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부터 제국의 공식 연대기가 되었으며, 그는 서기 47년에 도시 건국 8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세속 게임을 개최했다. 900주년과 1000주년은 각각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치하의 148년과 필리푸스 아라부스 황제 치하의 248년에 기념되었다.

AUC 시대는 로마력이나 율리우스력 초기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각 해를 집정관 두 명의 이름이나 황제의 재위년도로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아우레우스[8]세스테르티우스[9]는 AUC 874년에 로마이아를 표시한 것이 주목할 만한 예외였다. AUC 기년법은 후기 로마 시대에 더 흔해졌으며, 켄소리누스, 파울루스 오로시우스 등에서 나타났다. 중세 초기에 보니파시오 4세와 같은 일부 교회 관계자들은 AUC와 AD 기년법을 함께 사용했다.

로마 시대의 역사적 기년법은 연초에 대해 몇 가지 다른 날짜를 사용했다. 현대 AUC 시대의 적용은 일반적으로 바로의 계산에서 알려진 실수[7], 그리고 파스티 카피톨리니와 후기 세속 게임에서 사용된 기원전 752년 시대를 무시하며, 서기 년은 일반적으로 AUC ( + 753)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다른 덜 흔한 방식으로는 로마 황제의 재위 연도를 사용하는 것이 있었다. 처음에는 아우구스투스가 집정관 직을 얼마나 많이 역임했는지, 로마 원로원이 그에게 얼마나 자주 호민관의 권한(, 약칭 TRP)을 부여했는지를 세는 방식으로 재위 연도를 표시했다. 그는 자신의 권력이 개인적인 능력이나 통제하에 있는 많은 로마 군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이러한 직책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허구를 신중하게 지켰다. 그의 후계자들은 로마 공화정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질 때까지(서기 200년경) 이 관행을 따랐고, 그 후 재위 연도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로마 제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로마 정복 또는 로마 지배가 시작된 날짜를 기준으로 연도를 계산했다. 스페인 기원 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기원은 기원전 38년부터 연도를 계산했으며, 정확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옥타비아누스가 알려진 세계에서 일반적인 세금을 징수한 것과 관련이 있거나 제2차 삼두정치의 내전 동안 이베리아 반도에 대한 로마 정복이 종료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어느 쪽이든 이 날짜는 전통적으로 스페인에서 로마의 지배가 시작된 것을 기념하며, 수에비 왕국서고트 왕국의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었고, 이후 포르투갈 왕국, 아라곤 왕국, 발렌시아 왕국, 카스티야 왕국, 그리고 남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다. 이 연도 계산 방식은 근세 초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오늘날의 ''서기''로 대체되었다.[10] 달과 연도는 율리우스력과 동일하다. 로마 시대와 비잔틴 시대 동안, 데카폴리스와 시리아 및 팔레스타인의 다른 헬레니즘 도시들은 폼페이 시대를 사용하여,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이 지역을 정복한 날짜부터 연도를 계산했다.

마야 달력의 다른 형태는 더 긴 기간을 추적하고 달력 날짜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예: 한 사건이 다른 사건과 관련하여 언제 발생했는지 식별). 롱 카운트로 알려진 이 형태는 신화적 기점 이후 경과된 일수를 기준으로 한다. 롱 카운트와 대부분의 마야 연구자들이 받아들이는 서양 달력 간의 보정(GMT 상관 관계라고 함)에 따르면, 이 기점은 섭씨 기원전 3114년 8월 11일(그레고리력) 또는 율리우스력 기원전 3113년 9월 6일(천문학적)에 해당한다.

수많은 지역적 체계 또는 기년법 역시 중요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도시의 건국 기원, 인접한 페르시아 황제의 재위년, 그리고 결국에는 통치하는 칼리프의 연도가 사용되었다. 고대로마 제국에서는 연호(○○ 황제 재위 N년), 로마 건국 기원, 인딕티오의 3종류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4, 5세기경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기원이 기독교도 사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년법이었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의 서유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생년을 원년으로 하는 기독교 기원(서기)이 서서히 사용되게 되었고 (군주의 즉위년을 기준으로 하는 기년법도 병행하여 사용된 나라도 있었다.), 15세기 이후에 일반화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세한 내용은 "서기" 항목 참조). 동유럽의 정교회권에서는, 중세부터 근대까지 10세기 이후의 동로마 제국에서 사용된 세계 창조 기원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서기가 일반적이다.

3. 2. 후기 고대와 중세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기년법은 대략 6세기에서 10세기 사이, 후기 고대에서 중세 초로 넘어가는 시기에 도입되었다.

  • 비잔틴 달력의 ''에토스 코스무''는 창세기에 묘사된 세계 창조로부터 시작하며, 수도사 기오르기오스가 계산한 이 날짜는 기원전 5509년 9월 1일이다. 그 기원은 서기 400년경에 개발되었지만, 알려진 최초 사용은 서기 7세기에 이루어졌다.
  • 순교자 시대 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통치 시작부터 계산된다. 이 시대의 첫 해는 284/5년이었다. 로마에서는 재위 연도를 사용하는 관습이 없었지만, 로마 제국의 속주였던 이집트에서는 관례였다. 연도 번호는 이집트 달력의 달인 토트의 첫날(4년 중 3년은 8월 29일, 로마 윤년 전 해는 8월 30일)에 변경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이집트의 특별 지위를 폐지했고, 그 이후로는 1월 1일에 시작하는 집정관 연도와 같은 일반적인 로마 달력을 따랐다. 이 시대는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기독교인을 박해한 악명 높은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퇴위한 후에도 알렉산드리아에서 준비된 부활절 표에 사용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는 콥트 달력에 의해 유지되어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643년까지 그 이름은 순교자 시대로 변경되었다.[4]
  • 성육신 시대는 에티오피아에서 사용된다. 그 기원은 율리우스력으로 서기 8년 8월 29일이다.
  • 아르메니아 달력의 기원은 서기 552년으로 고정되어 있다.


고대 로마 제국에서는 연호(○○ 황제 재위 N년), 로마 건국 기원, 인딕티오의 3종류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4, 5세기경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기원이 기독교도 사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년법이었다.

그러나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의 서유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생년을 원년으로 하는 기독교 기원(서기)이 서서히 사용되게 되었고 (군주의 즉위년을 기준으로 하는 기년법도 병행하여 사용된 나라도 있었다.), 15세기 이후에 일반화되어 현재에 이른다.

동유럽의 정교회권에서는, 중세부터 근대까지 10세기 이후의 동로마 제국에서 사용된 세계 창조 기원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서기가 일반적이다. 중동이슬람권에서는 히지라 기원이, 동남아시아불교 국가에서는 불멸기원이 각각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3. 현대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준으로 하는 기년법은 525년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다양한 개혁과 파생을 거치며 계속 사용되고 있다.[4] 현대에는 다음과 같은 기년법들이 사용된다.

  • 서기(A.D. 또는 AD): 라틴어 ''Anno Domini''의 약자로, "우리 주님의 해에"라는 의미이다. 예수의 탄생부터 연도를 계산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나, 현대적 사고방식에 따르면 계산이 몇 년 차이가 난다. 서기 1년 이전의 연도는 기원전(BC) 시대를 사용하여 0 또는 음수를 사용하지 않는다.[4]
  • 기원전(B.C. 또는 BC): "그리스도 이전"을 의미한다. 서기 1년 이전의 연도에 사용되며, 거꾸로 계산하여 기원전 ''n''년은 서기 1년 전 ''n''년이다. 따라서 0년은 없다.
  • 서력 기원(C.E. 또는 CE) 및 서력 기원전(B.C.E. 또는 BCE): 각각 AD 및 BC와 수치적으로 동일한 "서력 기원"과 "서력 기원전"을 의미한다.[11] 19세기 유대 지식인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세속주의를 강조하려는 작가들에 의해 더 널리 사용되었다.[13][14]
  • A.H. (또는 AH): 라틴어화된 ''Anno Hegirae''로, "히즈라의 해에"라는 뜻이며, 무함마드가 622년 9월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것을 기점으로 하는 이슬람력에서 사용된다.
  • S.H. (또는 SH): 이란력에서 히즈라 이후의 "태양" 연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힌두력: 칼리 유가의 시작부터 계산하며, 율리우스력 기원전 3102년 2월 18일 (그레고리력 기원전 3102년 1월 23일)을 기점으로 한다.
  • 샤카력 (S.E.) 또는 (SE): 일부 힌두력과 인도 국민력에서 사용되며, 서기 78년 춘분점 부근을 기점으로 한다(0년).
  • 불멸기(B.E.): 1912년 라마 6세가 도입한 불교 시대로, 기원 (기점)은 기원전 544년이다.
  • 미얀마 시대(BE): 원래 기원 연도가 638년 3월 22일인 미얀마력에서 유래하였다.
  • B.E.: 바하이 달력은 바브의 선언 해를 기준으로 한다. 바하이 시대(BE)는 1844년 3월 21일부터 시작하여 연도를 계산한다.
  • A.M. (또는 AM): 라틴어 ''Anno Mundi''에서 유래되었으며, "세계의 해"라는 의미로 기원은 기원전 3761년이다. 이는 1178년 마이모니데스에 의해 현대 히브리력의 연도를 세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 조로아스터교 달력: 아르다시르 1세의 개혁 이후 통치 연도를 사용했지만, 사산 제국 멸망 후 마지막 사산 왕조 통치자인 야즈데게르드 3세가 632년 6월 16일에 즉위한 해를 기준 연도로 계속 사용했으며, 이를 줄여서 Y.Z. 또는 "야즈데게르드력"이라고 칭했다.
  • 프랑스 공화력: 프랑스 제1 공화국 선포일인 1792년 9월 22일부터 시작되었다.
  • 실증주의 달력: 1844년에 만들어졌으며 1789년을 기원으로 한다.
  • 민국력: 1912년부터 중화민국 (현재는 일반적으로 "대만"으로 알려짐)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공화국의 첫 해이다. 우연의 일치로, 이는 북한에서 사용되는 주체 연호와 동일하며, 북한의 창시자 김일성의 탄생 연도이다.
  • 파시스트 시대: 파시즘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1922년의 로마 진군 이후의 연도를 표시했다.
  • 단기: 한국에서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2333년을 첫 해로 간주했다.
  • 아시리아 달력: 1950년대에 도입되었으며 기원전 4750년을 기준으로 한다.
  • 일본 연호: 현재 일본 천황의 즉위에서 시작된다. 현재 천황은 2019년 5월에 즉위했으며, 이 해는 레이와 1년이 되었고, 그 전까지는 헤이세이 31년이었다.
  • 미국 독립: 미국 정부는 때때로 서기력과 함께 1776년 7월 4일에 고정된 독립 시대의 달력을 사용한다.[16]
  • A.D.: "다이어네틱스 이후". 사이언톨로지에서 연도는 책 ''다이어네틱스: 정신 건강의 현대 과학''(1950)의 초판 발행을 기준으로 한다.[18]
  • Y.O.L.D.: 디스코드교 달력에서 연도 표기의 표준은 YOLD(Year of 불화의 여신의 해)이다.
  • B.P.: 현재 이전을 나타내며, 특히 1950년 이전의 방사성 탄소 연도를 나타낸다.
  • 율리우스일: 년도가 아닌 날짜를 세는 데 사용되며, 기원은 그레고리우스력 소급 적용의 기원전 4713년 1월 1일 정오로 고정되어 있다.
  • 유닉스 시간: 협정 세계시 (UTC)의 유닉스 구현에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1970년 1월 1일 00:00:00 또는 자정 UTC를 기준으로 경과된 초를 세는 데 사용된다.
  • 홀로세 달력


동로마 제국에서 사용된 세계 창조 기원은 현재는 서기가 일반적이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오랫동안 연호와 간지가 사용되어 왔다.

중국에서는 신해혁명으로 연호가 폐지되고 민국 기원이 시행되었다. 그 후에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국 기원이 폐지되고 서기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연호를 기본으로 했지만, 한때 신무 기원이 많이 사용되기도 했다. 전후 일본에서는 민간의 서기로의 이행이 진행되었다.

전후 한반도베트남에서는 연호가 폐지되고 서기와 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정일 체제 시기부터 주체 기원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4. 한국의 기년법

한국에서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단기 연도를 사용하여 연도를 계산했으며, 기원전 2333년을 첫 해로 간주했다.[16]

해방 이후 한반도에서는 연호가 폐지되고 서기와 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숭정 기원, 단군 기원, 베트남 민주 공화국(사연호) 등 사연호를 포함하여 독자적인 기원도 사용되고 있다(혹은 사용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정일 체제 시기부터 주체 기원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5. 暦法과의 관계

기년법은 원년과 1년이 지날 때마다 더하는 원칙만 있을 뿐, 몇 월 며칠을 원일로 할지는 정의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역법은 달과 태양의 운행에 따라 한 달의 날수를 정한 다음 1년의 길이와 원일을 정의한다. 즉, 년, 월, 일로 달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기년법과 역법이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개원에 의해 새로운 기년법을 채택한 날이 반드시 원일이 되는 것은 아니며, 달력의 날짜가 불연속이 될 수도 있다.

일본에서는 역법과 마찬가지로 기년법도 "○○력"이라고 불리거나, 기년법이 역법의 일부로 인식되어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서기는 과거 기년법으로는 "서양 기원", "서기"라는 말로 구분되었지만, 이윽고 혼동되어 둘 다 서기라고 불린다. 현재의 서기는 역법으로는 그레고리력을 가리키지만, 기년법으로는 그리스도 기원이다.

6. 참고: 각 지역의 기년법

서력/그리스도 기원, 이슬람력, 불력/불멸기원, 인류기원 등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경과년과 소급년을 계산하는 방식(기원)과, 군주의 즉위나 사건 등에 의해 초기화되는 유한한 시스템(연호), 그리고 간지(60년 주기) 및 인딕션(15년 주기, 로마력의 연기 계산법) 등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순환식 시스템이 있다.

대부분의 기년법은 시작 해를 "0년"이 아닌 "1년"으로 정한다. 즉, 기원으로부터 경과년수나 소급년수를 나타내는 기수년(주년)이 아니라 서수년(헤아리는 해)으로 계산한다.

고대 아시리아는 천 년 이상 동안 각 연도를 식별하기 위해 기년법 체계를 사용했다. 매년 아키투 축제(메소포타미아의 새해를 기념)에서 고위 관리 중 한 명이 제비뽑기를 통해 그 해의 ''림무''로 선택되었고, 그 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가장 초기에 증명된 ''림무'' 기년법은 기원전 2천년 초 카룸 카네쉬에서 유래되었으며,[2] 신아시리아 제국 멸망까지 사용되었다.

아시리아 서기관들은 ''림무'' 목록을 작성했는데, 기원전 1천년 초부터 거의 250개의 기년법이 중단 없이 이어졌다. 구자나 총독 부르-사가레의 ''림무''에 기록된 일식은 기원전 763년 6월 15일에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기원전 892년부터 648년까지의 절대 연도를 해당 기년법 시퀀스에 할당할 수 있었다.[3]

고대 그리스 역사가들과 학자들은 기원전 776년에 처음 개최된 올림픽 경기를 연도 표시 방법으로 사용했다. 올림픽은 다양한 독립 도시 국가들에게 상호 인식 가능한 연대기 시스템을 제공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 시스템은 기원전 3세기부터 사용되었다. 현대 올림픽(1896년 시작)은 고대 그리스의 4년 주기를 따르지 않는다.[4]

인딕션 주기는 로마 이집트에서 시행된 농업 세금 주기였다. 15개의 인딕션이 주기를 구성하며, 각 인딕션은 1년이었다. 4세기부터 문서와 사건의 연도를 주기의 해로 표기하기 시작했으며, 이 시스템은 세금 징수가 중단된 후에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 이집트에서는 이슬람 정복까지, 동로마 제국에서는 1453년 정복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는 AD 연도에서 인딕션을 계산하는 규칙을 제시했다. 연도에 3을 더하고 15로 나눈 나머지가 인딕션이며, 0은 15번째 인딕션으로 간주한다.[4] 2001년의 인딕션은 9였다.[6] 인딕션 연도의 시작일은 다양했다.[4]

셀레우코스 시대는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6세기까지 중동 지역 대부분에서 사용되었으며, 동방 기독교도 사이에서는 서기 10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대는 기원전 312년 8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바빌론을 점령하고 알렉산드로스 3세 제국의 아시아 지역 통치를 시작한 해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달력이 1 티슈리 또는 1 니산에 시작하는지에 따라 셀레우코스 시대는 기원전 311년 (유대식 계산) 또는 기원전 312년 (그리스식 계산)에 시작된다.

초창기부터 널리 사용된 방식은 로마의 '집정관' 기년법이었다. 해당 민간 연도의 1월 1일 (기원전 153년 이후)에 집정관 직을 맡은 두 명의 ''정규 집정관''의 이름을 명명하는 방식이었다.[4] 때때로 집정관 임명 소식이 로마 제국 일부 지역에 몇 달 동안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집정관 기년법은 서기 541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집정관 임명을 중단하면서 종료되었다. 마지막으로 임명된 집정관은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알비누스 바실리우스였다. 그 직후 제국 통치 기년법이 이를 대체하여 사용되었다.

로마 역사가들은 로마 건국 기원(AUC)에 대해 로물루스(Romulus)와 레무스(Remus)에 의한 로마 건국 신화에 근거한 몇 가지 시대를 사용했다.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기원전 1세기에 바로의 연대기에 기원전 754년~753년을 6번째 올림피아드의 3년과 동일하게 만들었다.[7] 그는 파릴리아가 도시 건국과 연관되었기 때문에, 기원전 753년 4월 21일을 구체적인 날짜로 잡았다. 이 날짜는 최소한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부터 제국의 공식 연대기가 되었다.

AUC 시대는 로마력이나 율리우스력 초기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각 해를 집정관 두 명의 이름이나 황제의 재위년도로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AUC 기년법은 후기 로마 시대에 더 흔해졌으며, 중세 초기에 일부 교회 관계자들은 AUC와 AD 기년법을 함께 사용했다.

현대 AUC 시대의 적용은 일반적으로 바로의 계산에서 알려진 실수[7]를 무시하며, 서기 년은 일반적으로 AUC ( + 753)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로마 황제의 재위 연도를 사용하는 방식도 있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집정관 직을 얼마나 많이 역임했는지, 로마 원로원이 그에게 얼마나 자주 호민관의 권한(tribunicia potestasla, 약칭 TRP)을 부여했는지를 세는 방식으로 재위 연도를 표시했다. 그의 후계자들은 로마 공화정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질 때까지(서기 200년경) 이 관행을 따랐다.

로마 제국 일부 지역에서는 로마 정복 또는 로마 지배가 시작된 날짜를 기준으로 연도를 계산했다.

스페인 기원은 기원전 38년부터 연도를 계산했으며, 수에비 왕국서고트 왕국의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었고, 이후 포르투갈 왕국, 아라곤 왕국, 발렌시아 왕국, 카스티야 왕국, 남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다. 이 연도 계산 방식은 근세 초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오늘날의 ''서기''로 대체되었다.[10]

로마 시대와 비잔틴 시대 동안, 데카폴리스와 시리아 및 팔레스타인의 다른 헬레니즘 도시들은 폼페이 시대를 사용하여,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이 지역을 정복한 날짜부터 연도를 계산했다.

마야 달력의 롱 카운트 형태는 신화적 기점 이후 경과된 일수를 기준으로 한다. 롱 카운트와 대부분의 마야 연구자들이 받아들이는 서양 달력 간의 보정(GMT 상관 관계)에 따르면, 이 기점은 섭씨 기원전 3114년 8월 11일(그레고리력) 또는 율리우스력 기원전 3113년 9월 6일(천문학적)에 해당한다.

수많은 지역적 체계 또는 기년법 역시 중요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도시의 건국 기원, 인접한 페르시아 황제의 재위년, 그리고 결국에는 통치하는 칼리프의 연도가 사용되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기년법은 대략 6세기에서 10세기 사이, 후기 고대에서 중세 초로 넘어가는 시기에 도입되었다.


  • 비잔틴 달력의 ''에토스 코스무''는 창세기에 묘사된 세계 창조로 시작하며, 수도사 기오르기오스가 계산한 이 날짜는 기원전 5509년 9월 1일이다.
  • 순교자 시대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통치 시작부터 계산된다. 이 시대의 첫 해는 284/5년이었다. 황제는 총독(이집트의 왕)을 통해 이집트를 통치했다. 연도 번호는 이집트 달력의 달인 토트의 첫날(4년 중 3년은 8월 29일, 로마 윤년 전 해는 8월 30일)에 변경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이집트의 특별 지위를 폐지했고, 그 이후로는 1월 1일에 시작하는 집정관 연도와 같은 일반적인 로마 달력을 따랐다. 이 시대는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기독교인을 박해한 악명 높은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드리아에서 준비된 부활절 표에 사용되었다. 콥트 달력에 의해 유지되어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643년까지 그 이름은 순교자 시대로 변경되었다.[4]
  • 성육신 시대는 에티오피아에서 사용된다. 그 기원은 율리우스력으로 서기 8년 8월 29일이다.
  • 아르메니아 달력의 기원은 서기 552년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준으로 하는 기년법은 525년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다양한 개혁과 파생을 거치며 계속 사용되고 있다. 그리스도의 탄생이 수태고지인지, 예수의 탄생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9세기 말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4] 연도의 첫 날은 사용되는 달력에 따라 지역마다 달랐다. 1600년 스코틀랜드가 1월 1일을 연도의 첫 날로 채택했을 때, 이미 유럽 대륙의 많은 지역에서 이 날짜를 사용하고 있었다. 잉글랜드는 1752년에 이 관행을 채택했다.[4]

  • 서기(A.D. 또는 AD) – 라틴어 ''Anno Domini''의 약자로, "우리 주님의 해에"라는 의미이다. 이는 지배적인 또는 서방 기독교 시대이며, 그레고리력에서 사용된다. 서기 1년 이전의 연도는 기원전(BC) 시대를 사용하여 0 또는 음수를 사용하지 않는다. 서기는 기독교화된 율리우스력에서도 사용되었지만, 연도의 첫날은 3월 1일, 부활절, 3월 25일 (수태고지 축일), 9월 1일 또는 12월 25일 (성탄절)이었으며, 1월 1일은 아니었다.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을 구별하기 위해, 특히 두 달력이 모두 사용되던 17세기와 18세기에는 종종 날짜에 ''O.S.''와 ''N.S.''가 추가되었다. 구식 (O.S.)은 율리우스력과 1월 1일에 시작하지 않는 연도에 사용되었다. 신식 (N.S.)은 그레고리력과 1월 1일에 시작하는 율리우스력 연도에 사용되었다.
  • 기원전 (B.C. 또는 BC) – "그리스도 이전"을 의미한다. 서기 1년 이전의 연도에 사용되며, 거꾸로 계산하여 기원전 ''n''년은 서기 1년 전 ''n''년이다. 따라서 0년은 없다.
  • 서력 기원 (C.E. 또는 CE) 및 서력 기원전 (B.C.E. 또는 BCE) – 각각 AD 및 BC와 수치적으로 동일한 "서력 기원"과 "서력 기원전"을 의미한다 (표기 시, "AD"는 연도 번호 ''앞에'' 오지만 "CE"는 연도 번호 ''뒤에'' 온다: 서기 1년 = 1 CE.)[11] 영어 약어 C.E.와 B.C.E.는 19세기 유대 지식인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이는 그리스도를 암묵적으로 언급하는 ''dominus'' "주님"의 약어를 피하고자 했다.[13]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이 약어는 세속주의를 강조하려는 작가들에 의해 더 널리 사용되었다.[14]
  • A.H. (또는 AH)는 라틴어화된 ''Anno Hegirae''로, "히즈라의 해에"라는 뜻이며, 무함마드가 622년 9월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것을 기점으로 하는 이슬람력에서 사용된다. 이슬람력은 순수한 음력으로 약 354일 또는 355일이기 때문에 태양력태음태양력보다 연도 수가 빠르게 증가한다.
  • S.H. (또는 SH)는 이란력에서 히즈라 이후의 "태양" 연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춘분에 시작하는 해는 이전 1월 1일에 시작하는 그레고리력 연도에서 621을 뺀 숫자와 같다.
  • 힌두력, 칼리 유가의 시작부터 계산하며, 6세기 아리아바타에 근거하여 율리우스력 기원전 3102년 2월 18일 (그레고리력 기원전 3102년 1월 23일)을 기점으로 한다.
  • 비크라마 삼밧, 기원전 56~57년, 12세기경에 도입되었다.
  • 샤카력 (S.E.) 또는 (SE) - 일부 힌두력과 인도 국민력에서 사용되며, 서기 78년 춘분점 부근을 기점으로 한다(0년). 서기 1000년 전에 동남아시아로 사용이 퍼졌다. 이 시대는 인도 정부에서 발행하는 공보에 사용되는 공식 시민 달력인 인도 국민력에서 그레고리력과 함께 사용된다.
  • 락슈마나 시대, 벵골 통치자 락슈마나 세나가 1118–1119년을 기점으로 설립했다. 비하르와 벵골에서 최소 400년 동안 사용되었다.


힌두교 사카 시대는 동남아시아의 인도화된 왕국의 달력에 영향을 미친다.

  • 불멸기(B.E.) – 1912년 라마 6세가 도입한 불교 시대로, 기원 (기점)은 기원전 544년이다. 이 해는 스리랑카미얀마에서는 1년,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에서는 0년으로 불린다. 1888년 태국에서는 출라롱콘 국왕이 1782년 4월 6일 방콕 건립을 기점으로 하는 태국 국립 시대를 칙령으로 정했다. 1912년에는 새해 첫날이 4월 1일로 변경되었다. 1941년 플랙 피분송크람 총리는 기원전 543년부터 연도를 계산하기로 결정했다. 이것이 서양의 태양력에 맞춰진 태국 불교 시대를 사용하는 태국 태양력이다.
  • '''미얀마 시대(BE)''' - 원래 기원 연도가 638년 3월 22일인 미얀마력에서 유래
  • B.E. – 바하이 달력은 바브의 선언 해를 기준으로 한다. 바하이 시대(BE)는 1844년 3월 21일부터 시작하여 연도를 계산한다.
  • A.M. (또는 AM) – 라틴어 ''Anno Mundi''에서 유래되었으며, "세계의 해"라는 의미로 기원은 기원전 3761년이다. 이는 1178년 마이모니데스에 의해 현대 히브리력의 연도를 세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 조로아스터교 달력은 아르다시르 1세의 개혁 이후 통치 연도를 사용했지만, 사산 제국 멸망 후 마지막 사산 왕조 통치자인 야즈데게르드 3세가 632년 6월 16일에 즉위한 해를 기준 연도로 계속 사용했으며, 이를 줄여서 Y.Z. 또는 "야즈데게르드력"이라고 칭했다.

  • 프랑스 공화력의 공화 시대는 프랑스 제1 공화국 선포일인 1792년 9월 22일부터 시작되었다. 이는 1793년 10월 24일(그레고리력)부터 1805년 12월 31일까지 혁명 프랑스에서 사용되었다.
  • 1844년의 실증주의 달력은 1789년을 기원으로 한다.
  • 민국력은 1912년부터 중화민국 (현재는 일반적으로 "대만"으로 알려짐)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공화국의 첫 해이다. 우연의 일치로, 이는 북한에서 사용되는 주체 연호와 동일하며, 북한의 창시자 김일성의 탄생 연도이다.
  • 파시스트 시대('Era Fascista')는 파시즘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1922년의 로마 진군 이후의 연도를 표시했다. 이 시대는 1943년 7월 25일 이탈리아에서 파시즘이 몰락하면서 폐지되었지만,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기간 동안 국가 북부에서 부활했다. 그레고리력은 동시에 사용되었으며, 이중 연도 표기가 채택되었다. 서기의 연도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었고, 파시스트 시대의 연도는 로마 숫자로 표시되었다. 파시스트력의 새해는 10월 29일에 시작되었다.
  • 중국은 전통적으로 황제의 재위 연도를 기준으로 연도를 계산했다. 중국의 연호를 참조하라.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중국 달력의 연도에 숫자를 부여하지 않지만, 망명 중국인과 같이 그렇게 하는 소수의 사람들은 전설적인 황제의 재위부터 연도를 연속적으로 계산하여 기원전 2698년을 1년으로 사용한다. 서양 작가들은 이 계산을 기원전 2637년 또는 기원전 2697년부터 시작한다 (중국 달력 참조).
  • 한국에서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단기 연도를 사용하여 연도를 계산했으며, 기원전 2333년을 첫 해로 간주했다.
  • 1950년대에 도입된 아시리아 달력은 기원전 4750년을 기준으로 한다.
  • 일본 연호는 현재 일본 천황의 즉위에서 시작된다. 현재 천황은 2019년 5월에 즉위했으며, 이 해는 레이와 1년이 되었고, 그 전까지는 헤이세이 31년이었다.
  • 미국 정부는 때때로 서기력과 함께 1776년 7월 4일에 고정된 독립 시대의 달력을 사용한다.[16] 대통령 포고문 또한 이 방식으로 날짜가 표기된다.[17]
  • A.D. – "다이어네틱스 이후". 사이언톨로지에서 연도는 책 ''다이어네틱스: 정신 건강의 현대 과학''(1950)의 초판 발행을 기준으로 한다.[18]
  • Y.O.L.D. – 디스코드교 달력에서 연도 표기의 표준은 YOLD(Year of 불화의 여신의 해)이다.
  • e.v. – ''Era vulgaris'' (라틴어, "일반 시대"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소문자로 표기). 일부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추종자들이 크로울리가 1904년 3월 20일에 시작한 소위 호루스의 아이온 시점부터의 텔레마 달력 시대를 지정하는 데 사용한다.
  • B.P. – 현재 이전을 나타내며, 특히 1950년 이전의 방사성 탄소 연도를 나타낸다.
  • 율리우스일 – 년도가 아닌 날짜를 세는 데 사용되며, 기원은 그레고리우스력 소급 적용의 기원전 4713년 1월 1일 정오로 고정되어 있다. 년도를 세지 않으므로 엄밀히 말하면 기원은 없지만, 시점은 있다.
  • 유닉스 시간협정 세계시 (UTC)의 유닉스 구현에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1970년 1월 1일 00:00:00 또는 자정 UTC를 기준으로 경과된 초를 세는 데 사용된다.
  • 홀로세 달력


고대로마 제국에서는 연호(○○ 황제 재위 N년), 로마 건국 기원, 인딕티오의 3종류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후, 4, 5세기경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기원이 기독교도 사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년법이었다.

그러나,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의 서유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생년을 원년으로 하는 기독교 기원(서기)이 서서히 사용되게 되었고 (군주의 즉위년을 기준으로 하는 기년법도 병행하여 사용된 나라도 있었다.), 15세기 이후에 일반화되어 현재에 이른다.

동유럽의 정교회권에서는, 중세부터 근대까지 10세기 이후의 동로마 제국에서 사용된 세계 창조 기원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서기가 일반적이다.

중동이슬람권에서는 히지라 기원이, 동남아시아불교 국가에서는 불멸기원이 각각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오랫동안 연호와 간지가 사용되어 왔다. 민간에서는 간지 중 12지를 동물에 비유한 십이생초로 해를 세는 기년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중국에서는 신해혁명으로 연호가 폐지되고 민국 기원이 시행되었다. 그 후에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국 기원이 폐지되고, 서기(그리스도 기원)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연호를 기본으로 했지만, 한때 신무 기원이 많이 사용되기도 했다. 전후 일본에서는 민간의 서기로의 이행이 진행되어 연호는 행정 관련이 주요 용도가 되었지만, 자위대의 병기 명칭처럼 행정에서도 서기로 이행된 것도 있다.

전후 한반도베트남에서는 연호가 폐지되고 서기와 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숭정 기원, 단군 기원, 베트남 민주 공화국 (사연호) 등 사연호를 포함하여 독자적인 기원도 사용되고 있다(혹은 사용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정일 체제 시기부터 주체 기원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 Science Books 2013
[2] 웹사이트 CDLI: The Old and Middle Assyrian limmu officials http://cdli.ox.ac.uk[...] 2016-05-18
[3] 서적 The Eponyms of the Assyrian Empire, 910-612 BC (State Archives of Assyria Studies, Vol. 2) Neo-Assyrian Text Corpus Project 1994
[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Year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 문서 La chronologie des temps chrétiens de l’Égypte et de l’Éthiopie Librairie Orientaliste Paul Geuthner 1925
[6] 서적 The Nautical Almanac for the year 2001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0
[7] 간행물 "''Official site''" https://livius.nl/ Livius 2020
[8] 문서 RIC II 144
[9] 간행물 Following Hadrian https://followinghad[...] 2021-04-21
[10] 문서 Shalshelet Ha-Kabbalah 1962
[11] 서적 Associated Press Stylebook Basic Books 2007
[12] 문서 A 1635 English edition of that book has the title page in English – so far, the earliest-found usage of "Vulgar Era" in English. The English phrase "common Era" appears at least as early as 1708.
[13] 문서 Use of "C.E." and "B.C.E.": [[Morris Jacob Raphall]]. ''Post-Biblical History of The Jews'' (1856).
[14] 서적 The Conflict Between Secular and Religious Narratives in the United States: Wittgenstein, Social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2020-10-02
[15] 논문 Calendar reform https://www-nature-c[...] 1993
[16] 웹사이트 U.S. Constitution https://www.archives[...] 2017-08-25
[17] 웹사이트 Presidential Actions https://www.whitehou[...] 2020-01-11
[18] 뉴스 Costly Strategy Continues to Turn Out Bestsellers http://www.latimes.c[...] 2011-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