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트라무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트라무로스는 필리핀 마닐라에 위치한 역사적인 성벽 도시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건축 양식을 보존하고 있다. 마닐라만과 파시그강 하구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정치, 군사, 종교의 중심지였다. 1571년 스페인에 의해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1606년 성벽이 완성되었다. 2차 세계 대전 중 큰 피해를 입었지만, 현재는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어 복원 및 재건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인트라무로스 관리청이 도시의 복원과 관리를 담당하며, 5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닐라 - 마닐라 대학살
    마닐라 대학살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마닐라에서 일본군이 저지른 조직적인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성폭행과 고문이 포함되었으며, 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의 전쟁 범죄 재판의 주요 쟁점이 되었다.
  • 마닐라 - 스모키 마운틴
    스모키 마운틴은 필리핀 마닐라에 50년간 운영된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이자 빈민촌이었으나, 폐쇄 후 공공 주택 단지로 재개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삶의 터전을 잃은 빈민들의 이야기는 필리핀 빈곤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인트라무로스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플라자 모리오네스
플라자 모리오네스
발루아르테 데 산 디에고
발루아르테 데 산 디에고
산티아고 요새
산티아고 요새
아유untamiento 데 마닐라
아유untamiento 데 마닐라
플라자 산 루이스 단지
플라자 산 루이스 단지
산 아구스틴 교회
산 아구스틴 교회
별칭올드 마닐라, 성곽 도시
표어"Insigne y siempre leal" (뛰어나고 영원히 충실한)
일반 정보
국가필리핀
지역국립 수도 지역
도시마닐라
행정 구역마닐라 제5구
바랑가이5개
설립1571년 6월 12일
설립자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책임자인트라무로스 관리관 변호사 조안 M. 파딜라
면적 및 인구
면적0.67 km²
인구 (2020년)6,103명
시간대 및 코드
시간대필리핀 표준시 (UTC+08:00)
우편 번호0900, 1002
지역 번호2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인트라무로스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596년에 부여된 마닐라의 문장


인트라무로스가 위치한 곳은 원래 말레이계 이슬람교도들의 주요 거주지였던 '마이니라드(Maynilad)'였다. 이곳은 파시그강마닐라만에 접한 전략적 위치 덕분에 아시아 여러 지역과의 교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1570년 스페인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이끄는 군대가 루손섬에 도착하여 현지 세력과의 충돌 끝에 1571년 6월 24일 마닐라스페인 식민지의 수도로 선언했다. 외부의 침략, 특히 중국 해적의 습격으로부터 정부 중심지를 보호하기 위해 성벽 도시 건설이 시작되었다. 1573년 펠리페 2세의 왕령에 따라 이탈리아식 요새 설계(성형 요새)를 기반으로 계획되었으며, 두꺼운 석조 성벽으로 둘러싸인 인트라무로스는 1606년경 완성되었다.

완성된 인트라무로스는 스페인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필리핀의 정치, 군사, 종교 중심지로서 기능했다. 성벽 안에는 마닐라 대성당, 산 아구스틴 교회 등 주요 로마 가톨릭 교회와 수도원, 대학 등 교육 기관들이 자리 잡았다. 총독의 관저도 초기에는 이곳에 위치했다. 그러나 성벽 도시에 거주하는 것은 스페인인과 메스티소에게만 허용되었으며, 다른 민족 집단은 성벽 밖에서 살아야 했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결과 필리핀의 통치권이 스페인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면서 인트라무로스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미국 통치 하에서 성벽 일부가 철거되거나 개방되고 해자가 매립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1945년 마닐라 전투 당시 인트라무로스는 격렬한 시가전과 미군의 대규모 포격으로 인해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전쟁 이후 필리핀 정부는 인트라무로스를 역사 기념물로 지정하고 복원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1979년 인트라무로스 관리청(IA) 설립 이후 체계적인 복원 작업이 진행되어 성벽, 성문, 주요 건물들이 점차 옛 모습을 되찾고 있다. 오늘날 인트라무로스는 스페인 식민 시대의 유산을 간직한 마닐라의 중요한 역사 유적지이자 교육, 문화, 관광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

2. 1. 스페인 이전 시대

인트라무로스가 세워진 자리는 원래 말레이계 이슬람교도들이 모여 살던 곳으로, "마이니라드(Maynilad)"라고 불렸다.[1] 이곳은 다투, 라자 또는 술탄이라는 칭호를 가진 군주들이 다스리는 중심지였으며,[2][3] '마이니라드'라는 이름은 "may nilad", 즉 '닐라드가 자라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닐라드(nilad 또는 nila)는 별 모양의 꽃을 피우는 수생 식물로 당시 파시그강 주변 저지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다.[1][4]

파시그강마닐라만에 인접한 마이니라드의 전략적인 지리적 위치 덕분에, 이곳에 정착한 타갈로그족은 다른 아시아 지역과 교역하기에 유리했다.[5] 특히 중국, 보르네오, 인도네시아 등에서 온 상인들과 활발한 무역 활동을 벌였다.[1][2] 이처럼 마이니라드는 유럽인들이 루손섬에 도착하기 전까지 지역 토착 세력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으며,[1] 당시 원주민인 타갈로그족말레이인과 동화되어 살아가고 있었다.[3]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71-1898)

1564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이끄는 콩키스타도르들은 누에바 에스파냐(멕시코)에서 항해를 시작하여, 이듬해 1565년 2월 13일 세부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필리핀 최초의 스페인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원주민들로부터 마닐라 지역의 풍부한 자원에 대해 들은 레가스피는 부관 마르틴 데 고이티와 후안 데 살세도를 북쪽 지역 탐사를 위해 파견했다.

1570년 스페인인들은 루손섬에 도착했다. 현지 이슬람 주민들과 스페인인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자, 레가스피의 군대는 주도권을 확보하고 영구 거주지를 마련하기 위해 원주민들과 전쟁을 벌였다. 1571년 전투에서 승리한 레가스피는 현지 족장들인 라자 술레이만, 라칸두라, 마탄다와 평화 조약을 맺고 마닐라를 넘겨받았다.

1571년 6월 24일, 레가스피는 마닐라의 전략적 위치와 풍부한 자원을 활용하여 이 지역을 스페인 식민지의 수도로 선포했다.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는 이러한 정복을 치하하며 마닐라에 문장과 함께 "Ciudad Insigne y Siempre Leal" (뛰어나고 영원히 충성스러운 도시)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필리핀 초대 총독이 된 레가스피는 마닐라 도시 계획을 시작하여 요새, 도로, 교회, 학교 건설을 구상했다.

인트라무로스의 구체적인 계획은 1573년 7월 3일 산 로렌소에서 발표된 펠리페 2세의 왕령에 근거한다. 초기 계획은 1574년 리마홍이 이끄는 중국 해적의 습격 이후 더욱 견고하게 변경되었다.[8] 이 공격으로 도시는 파괴되었으나 스페인군은 결국 해적을 몰아냈다. 생존자들은 도시 재건에 나섰고, 이러한 공격은 견고한 성벽 건설의 필요성을 높였다.

석조 도시 건설은 총독 산티아고 데 베라 재임 기간에 시작되었다.[11] 예수회 신부 안토니오 세데노가 인도법에 따라 계획을 세웠고,[8] 이는 펠리페 2세의 칙령으로 승인되었다. 후임 총독 고메스 페레스 다스마리냐스는 "도시를 돌로 둘러싸고 바다와 강이 만나는 지점에 적절한 요새를 세우라"는 국왕의 구체적인 지시를 가져왔다. 요새화 전문가인 스페인 군사 기술자 레오나르도 이투리아노가 건설을 지휘했으며, 중국인과 필리핀인 노동자들이 동원되었다. 산티아고 요새가 재건되었고, 도시 남서쪽 방어를 위해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기아(Nuestra Señora de Guia)라는 원형 요새가 세워졌다. 건설 자금은 트럼프 카드 독점과 도박 벌금, 2년간의 중국 상품 과세 등으로 충당되었다. 헤로니모 통코와 페드로 후세페가 설계를 맡았으며,[9] 성벽 건설은 1590년에 시작되어 1872년까지 여러 총독을 거치며 계속되었다. 1592년 중반, 다스마리냐스는 국왕에게 성벽과 요새 건설이 만족스럽게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했다.[10] 건설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단속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통일된 계획보다는 필요에 따라 확장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1]

이후에도 개선 작업은 계속되었다. 총독 후안 데 실바(1609년), 후안 니뇨 데 타보라(1626년), 디에고 파하르도 차콘(1644년) 등이 요새를 보강했다. 특히 1644년에는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기아를 대체하는 ''발루아르테 데 산 디에고''(Baluarte de San Diego)가 완공되었다.[12] 스페이드 에이스 모양의 이 보루는 성벽 최남단에 위치하며, 성벽을 따라 건설된 주요 보루 중 첫 번째였다.[13] 취약 지점 보강과 외부 방어를 위해 라발린(ravelin)과 ''레두토''(reduto)가 추가되었고, 도시 주변에는 해자가 건설되었다. 파시그강은 자연적인 방어선 역할을 했다. 18세기까지 도시는 완전히 성벽으로 둘러싸였으며, 마지막 건설 작업은 19세기 초에 완료되었다.[10]

1734년 인트라무로스 지도, ''필리핀 군도 수로도 및 지리지도''에서 발췌


1851년 인트라무로스 지도


인트라무로스는 1606년경 완성되어 스페인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필리핀의 정치, 군사, 종교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성벽 내부에는 마닐라 대성당, 산 아구스틴 교회와 같은 로마 가톨릭 교회와 수도원, 그리고 산토 토마스 대학, 산 후안 데 레토란 대학, 아테네오 무니시팔 데 마닐라 대학(현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 등 교회가 운영하는 학교들이 자리 잡았다. 이들 기관은 주로 도미니코회,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프란치스코회, 예수회수도회에 의해 운영되었다.

총독의 공식 관저 역시 원래 인트라무로스 내에 있었으나, 1863년 발생한 지진으로 파괴된 후 성벽 밖의 말라카냥 궁전으로 이전했다. 스페인인과 메스티소만이 성벽 도시에 거주할 수 있었으며, 정치 참여도 이들에게만 허용되었다. 기독교로 개종한 원주민이나 중국인은 도시에 출입할 수는 있었지만 거주는 금지되어 성벽 밖에 별도의 거주지를 형성했다. 강에 면한 서쪽 부두는 마닐라 갤리온 무역의 중심지로, 아카풀코와의 교역이 이루어졌으며 많은 주민이 무역 관련 일에 종사했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하면서 필리핀에 대한 스페인의 통치는 막을 내리고 미국의 관리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2. 3. 미국 통치 시대 (1898-1946)

1902년 미국 군인이 촬영한 스페인 포병


1939년 성벽 도시의 항공 사진


미국-스페인 전쟁이 끝나자 스페인은 2000만달러를 받고 파리 조약 조건에 따라 필리핀과 기타 여러 영토를 미국에 양도했다. 1898년 8월 13일 산티아고 요새에 미국 국기가 게양되면서 도시에 대한 미국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아유타미엔토는 1901년 미국 필리핀 위원회의 소재지가 되었고, 산티아고 요새는 미국 육군의 필리핀 사령부 본부가 되었다.

미국은 마닐라에 대대적인 변화를 가했다. 1903년에는 산토 도밍고 문에서 알마세네스 문까지의 성벽을 철거하고 파시그 강 남쪽 제방의 부두를 개선했다. 철거된 돌은 도시 주변의 다른 건설 공사에 사용되었다.

도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성벽 네 곳을 뚫었다. ''칼레 아두아나''(현재 안드레스 소리아노 주니어 대로)의 남서쪽 끝, ''칼레 안다''의 동쪽 끝, ''칼레 빅토리아''(이전 ''칼레 데 라 에스쿠엘라'')의 북동쪽 끝, 그리고 ''칼레 팔라시오''(현재 제너럴 루나 거리)의 남동쪽 끝이 개방되었다. 인트라무로스를 둘러싼 이중 해자는 비위생적이라는 이유로 마닐라 만에서 준설한 진흙으로 채워졌고, 이 자리는 시립 골프장으로 바뀌었다. 현재 마닐라 항이 이곳에 위치한다.

마닐라 항, 마닐라 호텔, 리잘 공원 건설을 위한 간척 사업으로 인해 마닐라 만에서 바라보는 인트라무로스의 옛 성벽과 스카이라인이 가려지게 되었다.[16] 또한 미국은 1906년 6월 11일 빅토리아 거리에 신정부 하의 첫 학교인 마닐라 고등학교를 설립했다.[17]

1936년에는 코먼웰스 법 171호가 통과되어, 인트라무로스 내 모든 신축 건물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 건축 양식을 따라야 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 점령 (1941-1945)

마닐라 전투 이후 성벽 도시의 파괴.


1941년 12월, 일본 제국 육군은 필리핀을 침공했다. 이 침략 과정에서 인트라무로스에서는 산토 도밍고 교회와 당시 인트라무로스에 있던 산토 토마스 대학교 캠퍼스가 파괴되는 첫 피해가 발생했다. 마닐라 방어가 어렵다고 판단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도시 전체를 개방 도시로 선언했다.

1942년 일본군은 필리핀 전역을 점령했으며, 1927년까지 인트라무로스에 있었던 산토 토마스 대학교 건물 내에 산토 토마스 수용소를 설치했다.

1945년 1월, 필리핀 탈환을 목표로 한 미국군을 포함한 연합군의 반격이 시작되면서 마닐라 해방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는 미국 육군, 필리핀 연방군, 그리고 인정된 게릴라 부대를 포함한 미국-필리핀 연합군과 약 3만 명의 일본 수비대 사이의 격렬한 시가전으로 전개되었다. 전투가 격화되면서 양측 모두 도시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으며, 특히 일본군은 마닐라 학살을 자행하며 수많은 민간인을 희생시켰다.[18]

결국 일본군은 연합군에 밀려 인트라무로스 지구로 후퇴했다. 맥아더 장군은 처음에는 성벽 도시 폭격을 반대했으나, 결국 대규모 포격을 승인했다. 이 포격으로 인트라무로스 내에서만 16,665명이 넘는 일본군이 사망했다.[18] 인트라무로스의 8개 성문 중 2개가 미군 전차에 의해 크게 파괴되었고, 성벽의 약 40%가 포격으로 무너졌다. 도시 구조물의 약 5%만이 겨우 형태를 유지할 정도로 인트라무로스 대부분이 폐허로 변했다.[19][20] 1945년 2월 3일부터 3월 3일까지 이어진 마닐라 전투 기간 동안 약 10만 명 이상의 필리핀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났을 때, 인트라무로스 내의 거의 모든 건물과 구조물은 파괴되었으며, 유일하게 마닐라의 산 아구스틴 교회만이 심하게 손상된 채로 남아 있었다.[20][21][22] 살아남은 건물들도 대부분 큰 피해를 입어 전쟁 이후 철거되었다.

2. 5. 현대 (1946-현재)

마닐라 시청


2018년 인트라무로스와 사우스 하버


베이리프 인트라무로스 호텔은 이 지역의 전후 건물 적응적 재사용의 한 예이다.


1951년 인트라무로스는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필리핀 공화국 법률 597호에 따라 산티아고 요새는 인트라무로스의 복원, 재건, 도시 계획을 목표로 국가 사원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956년, 필리핀 공화국 법률 1607호는 인트라무로스를 "상업, 주거, 교육 지구"로 선언하며 이 지역의 역사성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을 추진했다. 이 법은 기존의 보존 관련 법률(필리핀 연방 법률 제171호, 필리핀 공화국 법률 제597호)을 폐지했다. 이후 여러 법률과 법령이 제정되었으나, 자금 부족으로 인해 복원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다.[23]

1979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은 대통령령 제1616호를 통해 인트라무로스 관리청(IA)을 설립했다.[24] 1980년대에는 당시 영부인이었던 이멜다 마르코스의 지휘 아래 인트라무로스 관리청이 도시 복구 작업을 진행했다. IA 설립 이후, 성벽, 요새의 부속 구조물, 도시 내부가 점진적으로 복원되었다. 원래 있던 5개의 문(이사벨 2세 문, 파리안 문, 레알 문, 산타 루시아 문, 포스티고 문)이 복원되거나 재건되었고, 미국인들이 벽을 뚫어 만든 4곳의 입구는 현재 보행로로 연결되어 원래 벽의 디자인과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전쟁으로 파괴되었던 주요 건물들도 재건되었다. 마닐라 대성당은 1958년에 재건되어 다시 문을 열었고, 마닐라 시청은 2013년에 재건되었다. 산 이그나시오 교회와 수도원은 현재 인트라무로스 박물관으로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다.

2015년 1월, 프란치스코 교황의 필리핀 방문 기간 동안 교황은 마닐라 대성당에서 필리핀 가톨릭 교회의 주교, 사제, 종교 지도자 약 2,0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사를 집전했다.[25] 2016년 6월부터는 건축 및 디자인 축제인 '앤솔로지(Anthology)'가 매년 인트라무로스에서 열리고 있다. 이 축제는 산티아고 요새를 주요 행사장으로 활용하며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한다.[26]

관광부 (필리핀)는 인트라무로스 관리청과 협력하여 인트라무로스의 역사적, 문화적, 종교적 가치를 조명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2018년 사순절 기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비시타 이글레시아''(Visita Iglesia, 7개 교회 방문 순례)가 다시 열렸다. 방문객들은 마닐라 대성당, 산 아구스틴 교회, 산 이그나시오 교회, 산티아고 요새의 과달루페 신사, 콜럼버스 기사단 프. 윌만 채플, 필리핀 국립대학교 채플, 마푸아 대학교 채플 등 7곳의 종교적 장소를 순례할 수 있었다. 이 행사는 전쟁 전 인트라무로스에 있던 7개 교회를 기리는 의미를 가지며,[27][28] 100만 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했다.[29][30] 같은 해 3월 19일에는 산티아고 요새 내 발루아르데 데 산타 바르바라에 세계 최초의 역사 기반 레고 교육 센터인 'iMake History Fortress'가 문을 열었다.[31]

2020년 3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인트라무로스 관리청은 산티아고 요새, 인트라무로스 박물관, 카사 마닐라 등 인트라무로스 내 주요 명소를 일시적으로 폐쇄하기도 했다.[32]

오늘날 인트라무로스는 과거 스페인 시대의 영향을 보존하고 있는 마닐라의 유일한 지역으로 남아 있다. 대부분의 도시 개발은 성벽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벽 내에는 졸리비, 맥도날드, 스타벅스와 같은 현대적인 상점들이 일부 교육 기관 옆에 들어섰지만, 성벽, 거리, 교회 등 역사적 구조물에 대한 현대화의 영향은 최소화되고 있다. 과거 인트라무로스를 둘러싸던 해자는 메워져 현재는 골프 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산티아고 요새는 잘 가꾸어진 정원과 함께 스페인 시대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주요 관광 명소이다. 2003년 필리핀 관광의 해에는 리차드 J. 고든 당시 관광청장이 이곳의 조명 설치와 빛과 소리 미술관 건립 자금을 마련하고, 학생 및 시민 자원봉사자들과 협력하여 인트라무로스를 정비하기도 했다.

인트라무로스는 현재 마닐라 시립 대학교, 마푸아 공과 대학교, 필리핀 리세움 대학교,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 등 여러 고등 교육 기관과 마닐라 고등학교, 산타 로사 학원 같은 중등학교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중세 요새 설계를 따라 인트라무로스의 높은 성벽에는 능보(baluarte), 반월보(revellin), 요새(reducto) 등이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로 통하는 문(puerta)들 대부분은 복원되거나 재건되었으며, 발루아르테 데 산디에고, 발루아르테 데 산 프란시스코 데 디라오, 발루아르테 데 산 가브리엘, 발루아르테 데 산타 바르바라, 발루아르테 데 산 안드레스, 푸에르타 레알, 푸에르타 이사벨 라 세군다, 푸에르타 델 파리안, 푸에르타 알마세나스, 포스티고 델 팔라시오, 푸에르타 산타 루시아 등 각 구조물에는 고유한 이름이 붙어 있다.

3. 성벽 및 방어 시설

1571년 6월 24일,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마닐라필리핀스페인 식민지 수도로 선언하고 도시 건설을 시작했다. 인트라무로스 건설 계획은 1573년 7월 3일 스페인펠리페 2세의 왕령에 따라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3], 이는 중국 해적 등의 외부 침략으로부터 스페인 식민 정부의 중심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인트라무로스의 성벽, 즉 무랄라(Murallaes)는 마닐라 만의 해안선과 파시그 강의 굴곡을 따라 불규칙한 형태로 건설되었다. 성벽은 64ha 면적의 지역을 둘러싸고 있으며, 두께는 약 2.44m, 높이는 6.7m에 달하는 석조 구조물이다. 전체 성벽의 길이는 약 3km에서 5km 정도였다. 성벽 외부에는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내부 해자(fosoes)와 외부 해자(contrafosoes)가 설치되었다.

푸에르타 레알 인근 인트라무로스 성벽


1606년 완공된 인트라무로스는 스페인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필리핀의 정치, 군사, 종교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성벽 안에는 마닐라 대성당, 산 아구스틴 성당과 같은 주요 로마 가톨릭 교회와 수도원, 그리고 산토 토마스 대학교,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 등 종교 단체가 운영하는 학교들이 자리 잡았다. 필리핀 총독의 관저 역시 초기에는 인트라무로스 내에 위치했다. 그러나 성벽 안 거주는 스페인인과 메스티소에게만 허용되었으며, 기독교로 개종한 중국인 상인 등은 출입은 가능했지만 거주는 제한되는 등 차별적인 정책이 시행되었다. 대부분의 비(非)스페인계 주민과 중국계 주민들은 성벽 바깥 지역에서 살아야 했다. 성벽에는 여러 개의 문(puerta|푸에르타es)과 보루(baluarte|발루아르테es) 등 다양한 방어 시설이 설치되어 도시의 안전을 지켰다.

3. 1. 방어 구조물

이 보루들은 건설 시기가 서로 달라 건축 양식에 차이를 보인다.[35]

인트라무로스 요새는 여러 부분으로 나뉘는데, 바다와 강을 마주보는 정면은 상대적으로 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육지를 향한 3면은 보루 등으로 방어력을 강화했다.
산티아고 요새는 인트라무로스 북서쪽 끝, 즉 바다와 파시그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성채이다. 이곳은 필리핀 역사 동안 스페인뿐만 아니라 영국, 미국, 일본의 군사 본부로 사용되기도 했다. 산티아고 요새는 삼각형 형태로, 각 모서리에 다음과 같은 보루를 두었다.

  • ''산타 바르바라 요새''(Baluarte de Santa Bárbara|발루아르테 데 산타 바르바라es): 마닐라 만과 파시그 강 방면을 방어한다.
  • ''산 미겔 요새''(Baluarte de San Miguel|발루아르테 데 산 미겔es): 마닐라 만 방면을 방어한다.
  • ''메디오 산 프란시스코 요새''(Medio Baluarte de San Francisco|메디오 발루아르테 데 산 프란시스코es): 파시그 강 방면을 방어한다.[33]


도시로 들어가는 출입구 역할을 하는 (puerta|푸에르타es)들도 중요한 방어 시설이었으며, 현재 대부분 복원되거나 재건되었다. 대표적인 문으로는 Puerta Real|푸에르타 레알es, Puerta Isabel II|푸에르타 이사벨 라 세군다es, Puerta del Parian|푸에르타 델 파리안es, Puerta Almacenas|푸에르타 알마세나스es, Postigo del Palacio|포스티고 델 팔라시오es, Puerta Santa Lucia|푸에르타 산타 루시아es 등이 있다.

3. 2. 문 (Gates)

1780년에 건설된 푸에르타 레알(왕립 문)


미국 시대 이전에는 8개의 문 또는 "푸에르타"(Puertaes)를 통해 도시에 들어갈 수 있었다. 이 문들은 산티아고 요새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다음과 같았다.[34]

  • 푸에르타 알마세네스(Puerta Almaceneses)
  • 푸에르타 데 라 아두아나(Puerta de la Aduanaes, 세관 문)
  • 푸에르타 데 산토 도밍고(Puerta de Santo Domingoes)
  • 푸에르타 이사벨 II(Puerta Isabel IIes)
  • 푸에르타 델 파리안(Puerta del Parianes)
  • 푸에르타 레알(Puerta Reales, 왕립 문)
  • 푸에르타 스타. 루시아(Puerta Sta. Luciaes)
  • 푸에르타 델 포스티고(Puerta del Postigoes)


이 중 세 개의 문은 파괴되었다. 알마세네스 문과 산토 도밍고/세관 문은 미국 엔지니어들이 부두로 가는 길을 내기 위해 성벽 북쪽 부분을 허물면서 파괴되었다.[35] 반데라스 문(Puerta Banderases)은 지진으로 파괴된 후 다시 건설되지 않았다.

과거에는 문에 도개교가 설치되어 있었고, 밤 11시부터 오전 4시까지는 문을 닫고 보초병이 감시했다. 이러한 방식은 1852년까지 유지되었으나, 그 해 발생한 지진 이후로는 문을 밤낮으로 열어두게 되었다.[35]

현재 인트라무로스의 문들 중 상당수는 복원되거나 재건되었다. 대표적인 문으로는 푸에르타 레알, 푸에르타 이사벨 라 세군다(이사벨 2세 문), 푸에르타 델 파리안, 푸에르타 알마세나스, 포스티고 델 팔라시오, 푸에르타 산타 루시아 등이 있다.

4. 현재의 인트라무로스

아두아나 빌딩 유적


인트라무로스는 마닐라에서 스페인 시대의 영향이 가장 잘 보존된 유일한 구역이다. 대표적인 유적인 산티아고 요새는 현재 잘 관리된 공원이자 인기 있는 관광 명소로 운영되고 있다. 요새 옆에는 1903년 미국인들이 부두 확장을 위해 철거했던 마에스트란자 벽(Maestranza Wall)이 재건되어 있다. 인트라무로스 관리청은 도시를 둘러싼 성벽 전체를 복원하여, 벽 위를 따라 걸으며 도시 전체를 순환할 수 있는 보행로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6]

1980년대, 당시 영부인이었던 이멜다 마르코스의 주도로 인트라무로스 관리국이 도시 복구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곳은 과거 스페인 시대의 모습을 간직한 마닐라의 중요한 역사 지구로 자리매김했다. 오늘날 마닐라의 대규모 개발은 대부분 인트라무로스 성벽 밖에서 이루어진다. 성벽 내에는 주요 교육 기관들 옆에 졸리비, 맥도날드, 스타벅스와 같은 일부 현대적인 상업 시설이 들어서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인트라무로스의 역사적인 성벽, 거리, 교회 등에 대한 현대화의 영향은 최소한으로 유지되고 있다. 과거 인트라무로스를 둘러싸고 있던 해자는 메워져 현재는 현지인과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골프 코스로 변모했다.

복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구역 내 상업화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1세기 초에 문을 연 몇몇 패스트푸드점은 주로 인트라무로스 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일부 해운 회사들이 사무실을 두고 있다. 또한, 콘서트, 투어, 전시회 등이 종종 열려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인트라무로스는 현재 필리핀의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의 거점이기도 하다. 또한 중세 요새 설계에 따라 높은 성벽을 따라 능보(baluarte), 반월보(revellin), 요새(reducto) 등이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도시로 들어가는 여러 개의 문(puerta) 역시 대부분 복원되거나 재건되었다.

4. 1. 양식 등록 (Register of Styles)

인트라무로스 양식 등록(Intramuros Register of Styles)은 필리핀 마닐라의 역사 지구인 인트라무로스의 주요 건축 규정이다. 이 규정은 2022년 6월 17일 필리핀 관보(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s)에 공고되면서 개정된 대통령령 제1616호의 일부가 되었다.[37] 인트라무로스 관리청(Intramuros Administration)은 양식 등록의 시행을 담당하는 필리핀 정부 기관이다.

마닐라의 인트라무로스는 문화적 중요성 때문에 필리핀 내에서 유일하게 모든 신축 및 개발의 용도, 높이, 규모, 미관 등이 국가법의 효력 하에 미리 결정되고 엄격하게 규제되는 지역이다. 양식 등록은 대통령령 제1616호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인트라무로스 내 전쟁 이전 시대의 건축 양식을 규정하고 그 시행을 안내하는 주요 법적 문서로 기능한다.[38][39]

양식 등록은 인트라무로스의 역사적 양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최초의 문서이다. 이는 당시 인트라무로스 관리청의 기록 보관 담당자였던 란초 아르실라가 작성했으며, 전 인트라무로스 관리자였던 길러 아시도(Guiller Asido)의 주도로 추진되었다.[38] 양식 등록은 대통령령 제1616호의 필수적인 부분이므로, 필리핀에서 국가법의 효력을 가지는 유일한 건축 양식 관련 서적이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인트라무로스의 도시 경관은 대부분의 건물이 연립 주택과 같이 테라스 형태로 이어져 있어 건물 앞뒤로 별도의 공간(셋백)이 거의 없었다. 안뜰이나 뒷마당은 필리핀의 기후에 매우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양식적인 면에서 인트라무로스는 토착 건축 양식과 국제적인 면모를 동시에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교회나 국가 건물 등은 유럽 양식의 영향을 받았지만 현지화되었고, 그 외 대부분의 건물은 바하이 나 바토(Bahay na bato)로 대표되는 열대 토착 건축 양식을 받아들였다. 유럽 양식으로 지어진 교회, 요새, 궁전 등은 수는 적었지만 인트라무로스를 상징하는 중요한 건축물로 여겨졌다. 반면, 대다수 건물이 채택한 토착 양식인 바하이 나 바토는 건축물의 수적인 측면에서 우위를 점했다. 특정 예외 경우를 제외하고, 양식 등록은 인트라무로스 내 신축 건물의 기본 양식으로 바하이 나 바토를 규정하고 있다.[39]

양식 등록은 인트라무로스 신축 건물의 기본 양식으로 바하이 나 바토를 명시하고 있다. 이 규정은 바하이 나 바토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5년 도시가 파괴될 때까지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인트라무로스의 지배적인 건축 유형이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인트라무로스 양식 등록에 따르면, 바하이 나 바토 유형을 따르지 않는 신축 건물은 과거에 비-바하이 나 바토 구조(예를 들어 신고전주의 양식 건물)가 존재했던 특정 위치에서만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그 외의 모든 신축 건물은 바하이 나 바토 유형을 따라야 한다.[39]

4. 2. 교육

인트라무로스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필리핀의 여러 주요 대학과 칼리지, 그리고 가장 오래된 학교들이 이곳에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 소속 수도회가 운영하는 학교들이 주를 이루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도미니코회가 운영한 산토토마스 대학교(1611년 설립)와 산 후안 데 레트란 칼리지(1620년 설립), 그리고 예수회가 운영한 아테 네오 무니시빠루 데 마닐라 대학(1859년 설립, 현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등이 있다.[1]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대학은 인트라무로스를 떠나 새로운 곳에 자리를 잡았다. 산토토마스 대학교는 1927년 삼팔록 지역으로 캠퍼스를 이전했고,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는 1952년 케손 시티의 로욜라 하이츠로 이전했지만, 학교 이름에 '데 마닐라'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폐허가 된 인트라무로스에는 새로운 학교들이 설립되었다.

  • 마닐라 시립 대학교(Pamantasan ng Lungsod ng Maynila): 1965년 마닐라 시 정부가 옛 스페인 병영(Cuartel España|쿠아르텔 에스파냐es) 부지에 설립한 공립 대학이다.[1]
  • 필리핀 대학교 리세움(Lyceum of the Philippines University): 1952년 필리핀 제3공화국 대통령을 지낸 호세 P. 로렐이 설립한 사립 대학으로, 과거 산 후안 데 디오스 교육 재단이 있던 자리에 세워졌다. 산 후안 데 디오스 병원은 이후 파사이의 록사스 대로로 이전했다.[1]
  • 마푸아 대학교(Mapúa University): 1925년 마닐라 퀴아포에서 처음 설립되었으며, 전쟁 후 인트라무로스로 이전했다. 현재 캠퍼스는 전쟁으로 파괴된 산 프란시스코 교회와 관련 수도회 건물이 있던 자리에 위치한다.[1]


이들 새로운 교육 기관 중 산 후안 데 레트란 칼리지, 마닐라 시립 대학교, 필리핀 대학교 리세움, 마푸아 대학교는 '인트라무로스 컨소시엄'을 결성하여 학문적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1] 현재 인트라무로스에는 이들 대학 외에도 마닐라 고등학교나 산타 로사 학원(Colegio de Santa Rosa)과 같은 고등학교도 위치해 있다.[1]

4. 3. 교회

인트라무로스는 식민지 시대 필리핀의 종교적, 정치적 권력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수도회에서 지은 8개의 웅장한 교회가 있었다. 인트라무로스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예: 마닐라 대성당, 산 아구스틴 교회), 수도원, 그리고 교회가 운영하는 학교(예: 산토 토마스 대학교,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 아테네오 무니시팔 데 마닐라 대학교(현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등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 시설들은 주로 도미니코회,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프란치스코회, 예수회와 같은 수도회에 의해 운영되었다.

산 아구스틴 교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필리핀의 바로크 양식 교회군'' 중 하나이다.


이들 교회 중 1607년에 완공된 마닐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건물인 산 아구스틴 교회를 제외한 모든 교회가 1945년 마닐라 전투 중에 파괴되었다. 산 아구스틴 교회는 전쟁 중 성벽 도시 내부에서 유일하게 파괴되지 않은 구조물이었다. 마닐라 가톨릭 대교구의 소재지인 마닐라 대성당은 1958년에 재건되었다.

다른 수도회들은 전쟁 후 인트라무로스 외부에서 교회를 재건했다.

  • 도미니코회는 케손 시티의 케손 애비뉴에 산토 도밍고 교회를 재건했다.
  • 아우구스티누스 재속회는 인트라무로스에서 북동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산 세바스티안 교회(현재 바실리카)로 이전했다.
  • 카푸친 작은 형제회는 1951년에 루르드 교회를 케손 시티의 칸라온 거리와 레티로 거리(현재 아모란토 애비뉴) 모퉁이로 옮겼다. 이 교회는 1997년에 국립 성지로 지정되었다.
  • 성 요한 수도회는 록사스로 이전했다.
  • 가난한 클라라 수녀회는 아우로라 대로로 이전했다.
  • 산 이그나시오 교회 및 수도원 유적은 현재 무세오 데 인트라무로스(인트라무로스 박물관)라는 이름의 교회 박물관으로 재건되고 있다.


인트라무로스 내 주요 종교 시설 및 현재 상태 (과거 위치)
시설현재 상태 (과거 위치)
마닐라 대성당재건됨
루르드 교회엘 알마세네스 (El Almacenes)
산 아구스틴 교회보존됨
산토 도밍고 교회필리핀 제도 은행 (Bank of the Philippine Islands)
산 프란시스코 교회마푸아 공과대학교 (Mapúa Institute of Technology)
산 이그나시오 교회무세오 데 인트라무로스로 재건 중 (과거 폐허)
산 니콜라스 데 트렌티노 교회마닐라 불레틴 (Manila Bulletin) 신문사
베아테리오 데 라 콤파니아 데 헤수스빛과 소리의 미술관 (Light and Sound Museum)
산타 클라라 여자 수도원공터
제3회 예배당 (Venerable Third Order Chapel)마푸아 예배당 (Mapúa Chapel)


4. 4. 기념물 및 조각상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역사적인 기념물과 조각상이 파괴되었지만, 일부는 오늘날까지 남아 인트라무로스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이 지역의 풍부한 역사를 보여주기 위해 새로운 조각상과 기념물들이 추가되었다.

이름사진위치설계자연도비고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 조각상--멕시코 광장루이스 A. 상기노 - 조각가앉아있는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 (멕시코 대통령, 1958년~1964년 재임)의 조각상.
안다 기념비
안다 기념비
안다 서클1871원래 산티아고 요새 근처 플라자 마에스트란자에 있었으나, 1957년 인트라무로스 외곽의 보니파시오 드라이브로 이전되어 현재 안다 서클에 있다. 최근 페인트가 덧칠되고 하단부가 낙서로 훼손되었다.
베나비데스 기념비--산토 토마스 광장토니 노엘1889복제품. 원본 조각상은 1946년 산토 토마스 대학교의 샘팔록 캠퍼스로 옮겨져 현재 본관 앞에 있다. 원래의 대리석 받침대는 1945년 마닐라 전투 중 파괴되었다.
카를로스 4세 기념비
카를로스 4세 기념비
로마 광장카를로스 4세를 기리는 기념비.
펠리페 2세 조각상
펠리페 2세 조각상
에스파냐 광장펠리페 2세를 기리는 기념비. 필리핀 국명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레가스피-우르다네타 기념비
레가스피-우르다네타 기념비
마닐라 호텔 맞은편 보니파시오 드라이브아구스티 케롤 수비라츠19292012년 일부 금속 장식이 도난당해 고철로 판매되었다.
메모라레 – 마닐라 1945 기념관 (자유의 사당)
메모라레 – 마닐라 1945 기념관
산타 이사벨 광장1995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군의 점령 기간 동안 희생된 이들을 추모하는 기념관이다. 비문은 필리핀 국민 예술가 닉 호아킨이 작성했다.
이사벨 2세 여왕 조각상
이사벨 2세 여왕 조각상
푸에르타 이사벨 2세폰시아노 폰자노1860원래 말라테 교회 앞 라자 술라만 광장에 있었으나, 1975년 당시 스페인 왕자였던 후안 카를로스 1세의 방문 기간에 현재 위치인 푸에르타 이사벨 2세 앞으로 옮겨졌다.
리잘 조각상
리잘 신사 내 리잘 조각상
리잘 신사필리핀의 국민 영웅인 호세 리잘을 묘사한 조각상.
리잘 사안의 내부
리잘 신사 내부의 리잘 조각상
리잘 신사리잘 신사 내부에 있는 호세 리잘 조각상.


4. 5.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의 건축물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일본군필리핀 전역을 점령했다. 1927년까지 인트라무로스에 위치했던 산토 토마스 대학교 건물에는 산토 토마스 수용소가 설치되었다.

이후 미국군을 포함한 연합군은 필리핀 탈환을 목표로 1945년 반격을 시작했다. 같은 해 벌어진 마닐라 전투에서 일본군과 미군의 격렬한 시가전으로 인해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으며, 약 1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 전투 과정에서 인트라무로스의 역사적인 건물 대부분이 포격과 화재로 파괴되어 폐허로 변했다. 다음은 전쟁 전후의 주요 건축물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구조이전 모습현재 구조 (전후 재건 또는 변경)현재 모습비고
교회
루르드 교회 (1892-1945)
파괴 전 루르드 교회 주변 거리
엘 아마네세르 빌딩 (El Amanecer Building)
엘 아마네세르 빌딩
산 프란시스코 교회 (1739-1945)
삼팔록의 성 삼위일체 아카데미 성당 (산 프란시스코 교회 관련 자료 이미지)
마푸아 대학교 (1956년 이후)
마푸아 대학교 인트라무로스 캠퍼스
산 이그나시오 교회와 수도원 (1899-1945)
파괴 전 산 이그나시오 교회
인트라무로스 박물관 (2018년 이후)
인트라무로스 박물관 (구 산 이그나시오 교회 부지)
교회와 수도원 터는 인트라무로스 박물관으로 재건되었다.
레콜레토스 교회 (1739-1945)
파괴된 레콜레토스 교회 터와 산 안드레스 보루
마닐라 불리틴 (Manila Bulletin) 본사
마닐라 불리틴 본사 건물
산토 도밍고 교회 (1868-1945)
파괴 전 산토 도밍고 교회 터 주변
필리핀 제도 은행 (Bank of the Philippine Islands), 벤라이프 빌딩, 투아손 빌딩
구 산토 도밍고 교회 부지의 현재 건물들
세 번째 존경스러운 교단 교회 (1733-1945)
1700년대 인트라무로스 지도상의 교회 위치 추정
마푸아 대학교
마푸아 공과대학교 내 가톨릭 예배당
학교와 수도원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1859-1932)
1899년 인트라무로스 산타 루시아 문과 아우구스티노회 수도원 앞
텐트 (임시 구조물 또는 공터)
구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부지 현재 모습
1932년 화재로 인트라무로스 캠퍼스가 파괴된 후 파드레 파우라 캠퍼스(현재 로빈슨스 마닐라)로 이전했다. 1976-77년에 학교는 다시 로욜라 하이츠 캠퍼스로 이전했다.
베아테리오 데 라 콤파니아 (Beaterio de la Compañia)이미지 없음빛과 소리 박물관 (Light and Sound Museum)이미지 없음빛과 소리 박물관으로 재건되었다.
베아테리오-콜레히오 데 산타 카탈리나 (Beaterio-Colegio de Santa Catalina)이미지 없음콜레히오 데 산 후안 데 레트란 (Colegio de San Juan de Letrán) 캠퍼스
콜레히오 데 산 후안 데 레트란 캠퍼스와 학생 기념비
학교와 수도원은 삼발록의 레가르다 거리의 새로운 캠퍼스로 이전했다. 인트라무로스 부지는 콜레히오 데 산 후안 데 레트란이 전후 캠퍼스를 확장하기 위해 인수했다.
콜레히오 데 산타 이사벨 (Colegio de Santa Isabel, 1632-1945)이미지 없음공터, 플라수엘라 데 산타 이사벨 (Plazuela de Santa Isabel)이미지 없음콜레히오 데 산타 이사벨은 도시 외곽의 타프트 애비뉴의 새로운 전후 캠퍼스로 이전했다.
레알 콜레히오 데 산타 포텐시아나 (Real Colegio de Santa Potenciana)
콜레히오 데 산타 포텐시아나 위치 표지판
필리핀 문화 예술 위원회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필리핀 적십자사 (Philippine Red Cross, 마닐라 지부), 필리핀 참전용사 빌딩, 보험 센터 빌딩이미지 없음
산타 클라라 수도원 (Monasterio de Santa Clara)이미지 없음공터이미지 없음
산토 토마스 대학교 (University of Santo Tomas)
인트라무로스 시절 산토 토마스 대학교
BF 콘도미니엄
구 산토 토마스 대학교 부지의 BF 콘도미니엄
산토 토마스 대학교는 1927년 삼발록 캠퍼스로 이전했다. 법학대학은 인트라무로스에 남아 있었으나, 전쟁 후 대학교는 인트라무로스 캠퍼스를 재건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기타 건물
쿠아르텔 데 에스파냐 (Cuartel de España, 스페인 병영)이미지 없음마닐라 시립 대학교 (Pamantasan ng Lungsod ng Maynila)
마닐라 호텔에서 바라본 마닐라 시립 대학교 전경
산 후안 데 디오스 병원 (Hospital de San Juan de Dios)이미지 없음필리핀 대학교 라이세움 (Lyceum of the Philippines University)
필리핀 대학교 라이세움 건물
팔라시오 데 산타 포텐시아나 (Palacio de Santa Potenciana)이미지 없음필리핀 적십자사 (Philippine Red Cross)
필리핀 적십자사 건물



마닐라 전투로 인해 파괴되지 않고 유일하게 살아남은 건물은 산 아구스틴 교회뿐이었다. 심하게 손상된 다른 건물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부분 철거되었다. 이로 인해 수백 년의 역사를 간직했던 인트라무로스의 스페인 식민지 시대 모습은 크게 훼손되었다.

5. 행정

1606년 완공된 인트라무로스는 스페인 식민지 시기 필리핀의 정치, 군사, 종교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이곳에는 마닐라 성당, 산 아구스틴 교회와 같은 로마 가톨릭 교회와 수도원, 그리고 산토 토마스 대학, 산 후안 데 레토란 대학,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 등 가톨릭 수도회(도미니코회,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프란치스코회, 예수회 등)가 운영하는 학교들이 자리 잡았다.

필리핀 총독의 공식 관저였던 총독 궁전(Palacio del Gobernadores) 역시 마라카날 궁전이나 산티아고 요새로 이전하기 전까지 인트라무로스 내에 위치했다. 당시 성벽 안 도시에 거주하며 정치 문제에 참여하는 것은 스페인인과 메스티소에게만 허용되었다. 기독교를 믿는 중국인은 도시 출입은 가능했지만 거주는 허용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타 국가 출신 및 중국계 주민들은 성벽 밖에서 살아야 했다.

5. 1. 인트라무로스 관리청 (Intramuros Administration)

인트라무로스 관리청(Intramuros Administration|인트라무로스 관리청eng, IA)은 현대 마닐라 시내에 위치한 역사적인 성벽 도시 인트라무로스를 질서 있게 복원, 관리 및 개발하고,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필리핀-스페인 건축 양식을 성벽 도시의 일반적인 건축 양식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임무로 하는 필리핀 관광부 산하 기관이다.[40] 인트라무로스 관리청은 건축 허가 발급, 교통 재지정 등 지구의 일상적인 관리를 감독한다. 사무실은 로마 광장의 팔라시오 델 고베르나도르에 위치해 있다.[41]

5. 2. 바랑가이 (Barangays)

인트라무로스는 654번부터 658번까지 번호가 매겨진 5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 5개의 바랑가이는 행정권이나 입법권이 없기 때문에 시의 구성원의 복지만을 담당한다.

654, 655, 656 바랑가이는 마닐라시의 69구역에 속하며, 657과 658 바랑가이는 70구역에 속한다.

바랑가이면적 (km2)인구 (2020년 인구 조사)
69구역
654 바랑가이0.08678km21,042
655 바랑가이0.2001km21,067
656 바랑가이0.321km2364
70구역
657 바랑가이0.3264km2982
658 바랑가이0.2482km22,108


참조

[1]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sults http://rssoncr.psa.g[...] 2021-08-16
[2] 간행물 Creating the "Intramuros Administration" for Purposes of Restoring and Administering the Development of Intramuros http://www.officialg[...] The Official Gazette 1979-04-10
[3] 서적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Volumes 17-18 https://archive.org/[...] American Folklore Society
[4] 서적 Manila, the Pearl of the Orient https://archive.org/[...] Manila Merchants' Association
[5] 웹사이트 SCHOOLS - INTRAMUROS JOURNEY https://discoverintr[...] 2020-06-18
[6] 뉴스 Intramuros, Fort San Antonio Abad declared National Cultural Treasures https://lifestyle.in[...] 2018-10-08
[7] 문서 Pending Philippine UNESCO Nominations or Applications https://docs.google.[...]
[8] 서적 Ciudad Murada, A Walk Through Historic Intramuros Vibal Publishing House
[9] 웹사이트 Escolta Maestros: 6 Filipino architects who shaped the old CBD http://bluprint.onem[...] 2018-04-16
[10] 서적 Ciudad Murada, A Walk Through Historic Intramuros Vibal Publishing House
[11] 문서 U.S. War Department 1903
[12] 웹사이트 Baluarte de San Diego http://intramuros.ph[...]
[13] 문서 U.S. War Department 1903
[14] 웹사이트 History http://www.ateneo.ed[...]
[15] 간행물 A History of the Philippines http://www.gutenberg[...]
[16] 문서 Annual Report of the City of Manila, 1905 https://archive.org/[...] City of Manila
[17] 웹사이트 Manila High School http://www.hmdb.org/[...]
[18] 문서 On Law & Country https://books.google[...] Braden Publishing Company, Boston 1993
[19]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AND GUIDE TO INTRAMUROS http://www.paclas.or[...] Philippine Academic Consortium for Latin American Studies
[20] 웹사이트 The Sack of Manila http://www.battlingb[...] The Battling Bastards of Bataan (battlingbastardsbataan.com)
[21] 웹사이트 Genocide in Manila http://www.palhbooks[...] Philippine American Literary House (palhbooks.com)
[22] 웹사이트 The Warsaw of Asia: How Manila was Flattened in WWII http://archive.arabn[...] Arab News Online (archive.arabnews.com) 2007-02-07
[23] 웹사이트 History of Intramuros http://intramuros.ph[...]
[24]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1616 http://www.lawphil.n[...]
[25] 뉴스 Manila Cathedral: The basilica of popes https://news.abs-cbn[...] 2014-12-06
[26] 웹사이트 Anthology: Stories About Architecture https://www.wtadesig[...] WTA Architecture + Design Studio 2019-04-06
[27] 뉴스 Seven stops for Visita Iglesia in Intramuros open for the first time since WWII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8-03-16
[28] 뉴스 3 big Lenten events lined up in Intramuros http://www.pna.gov.p[...] 2018-03-15
[29] 뉴스 Intramuros welcomed 1 million Catholic faithful during Holy Week https://businessmirr[...] 2018-04-03
[30] 뉴스 Faith tourism: 1 million people visited Intramuros during Holy Week http://news.abs-cbn.[...] 2018-04-02
[31] 웹사이트 iMake History Fortress LEGO Education Center opens in Intramuros http://intramuros.go[...] Intramuros Administration 2018-04-26
[32] 뉴스 Rizal Park, Intramuros sites temporarily closed amid COVID-19 spread https://news.mb.com.[...] 2020-03-16
[33] 웹사이트 Intramuros Walkthrough http://intramuros.ph[...]
[34] 웹사이트 IA Trivia - Eight main gates of Intramuros http://intramuros.ph[...]
[35] 문서 U.S. War Department 1903
[36] Youtube Maestranza Wall Restoration https://www.youtube.[...] philstarcom 2010-06-18
[37] 웹사이트 Rules and Regulations in Intramuros https://intramuros.g[...] 2023-05-01
[38] 웹사이트 Intramuros Register of Styles https://intramuros.g[...] 2023-05-01
[39] 웹사이트 Lawphil Intramuros Register of Styles https://lawphil.net/[...] 2023-05-01
[40] 서적 FY OPIF 2009 http://www.dbm.gov.p[...] Department of Budget and Management 2017-11-15
[41] 웹사이트 Contact Us https://intramuros.g[...] Intramuros Administration 2017-11-15
[42]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5-20
[43] 뉴스 Fire razes old COMELEC Building http://newsinfo.inqu[...]
[44] 웹사이트 This Intramuros Building Was Destroyed 3 Times Over 400 Years https://www.reallivi[...] realliving 2020-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