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성술의 별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성술의 별자리는 서양, 인도, 중국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각 문화권마다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서양 점성술은 황도 12궁을 기반으로 하며, 각 별자리는 고유한 특성과 원소, 양상, 행성의 지배 관계를 갖는다. 인도 점성술은 서양 점성술과 유사하게 황도 12궁을 사용하지만, 항성황도대를 기반으로 한다. 중국 점성술은 12개의 띠를 음력의 년 주기와 결합하여 사용하며, 오행과 60년 주기를 통해 운세를 예측한다. 한국의 황도대 별자리는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으며, 현대에는 서양 점성술의 영향을 받아 별자리 운세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 - 십이진법
십이진법은 12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시간 측정이나 단위계에서 역사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 3, 4, 6으로 나누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현재는 십진법이 주로 쓰이나 일부 언어에서 그 흔적이 남아 있으며 0-9와 X, E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방식이 널리 쓰인다. - 12 - 쌍어궁
물고기자리는 황도 좌표 330°에서 0° 사이의 영역에 있는 별자리로, 두 마리 물고기가 끈으로 이어진 모습으로 표현되며,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황도대 별자리로 여겨졌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프로디테와 에로스가 물고기로 변신한 이야기, 점성술에서는 특정 기간에 태어난 사람들의 별자리, 그리고 기독교와 관련된 '물고기자리 시대'와 연관되어 해석된다. - 점성술의 별자리 - 마갈궁
마갈궁은 염소와 물고기 꼬리 형상의 별자리로, 힌두교 신화의 괴어 마카라를 의미하며 인도 점성술에서 유래하여 동아시아에 전해져 토성의 거주지로 여겨지고 인도에서는 축제로 기념된다. - 점성술의 별자리 - 천칭궁
천칭궁은 9월 23일부터 10월 23일(혹은 24일) 사이의 별자리로 저울로 상징되며 공정성, 균형, 조화를 나타내고 쌍둥이자리, 물병자리와 함께 공기 별자리에 속하며 금성이 다스리는 별자리로 여겨진다. - 점성술 - 별자리
별자리는 하늘에서 보이는 별들의 집합으로, 동아시아에서는 삼원과 이십팔수를 기반으로, 서양에서는 그리스 신화를 바탕으로 체계화되었으며, 현대에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88개를 공식 인정하고 천문학, 신화, 점성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점성술 - 마갈궁
마갈궁은 염소와 물고기 꼬리 형상의 별자리로, 힌두교 신화의 괴어 마카라를 의미하며 인도 점성술에서 유래하여 동아시아에 전해져 토성의 거주지로 여겨지고 인도에서는 축제로 기념된다.
| 점성술의 별자리 |
|---|
2. 서양의 황도대 별자리
서양 점성술에서 황도대는 바빌로니아에서 기원하여 그리스 신화 체계에 통합되었고, 인도를 거쳐 중국과 일본에 전래되었다. 한자식 별자리 이름은 서양 점성술 용어가 의역된 것이며, 천문학의 별자리와는 다르지만 혼용되기도 한다. 십이지와 유사하나, 그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실제 황도십이궁은 크기가 다르지만, 점성술의 사인(sign)은 황도를 12등분한 것이다. 초기에는 실제 별자리와 사인이 일치했지만, 세차에 의해 어긋나게 되었다. 히파르코스가 발견한 세차는 춘분점을 72년에 1°씩 이동시키며, 현재는 사인 하나 정도 차이가 난다.
이에 대한 대처는 학파에 따라 다르다.
- 트로피컬 방식: 사인은 춘분점에 고정. 황경은 일정하나, 사인과 별자리는 어긋남.
- 사이데리얼 방식: 사인은 별자리에 고정. 사인과 별자리는 위치는 유사하나 폭이 다르고, 황경은 변함.
13궁점은 뱀주인자리를 포함하여 13개의 별자리를 사용하며, 사이데리얼 방식과 유사하나 크기가 불균등하다. 이는 현대에 새롭게 등장한 점술이다.
세차로 인해 별자리는 이웃한 십이궁으로 이동한다.[54]
| 정식 명칭・읽는 법・라틴어식 영어 명칭 | 별자리에 의한 일반적인 명칭 | 십이진[55][56] | 기호 | 황경 | 태양이 통과하는 기간(대략) | ||||||
|---|---|---|---|---|---|---|---|---|---|---|---|
| 이미지 | 문자 | 코드 | 열대황도 방식 | 항성황도 방식 | 이십사절기 | ||||||
| 양자리 | 백양궁(白羊宮) | Aries | 양자리 | 유(酉) | ♈ | U+2648 | 0–30° | 3월 21일 | 4월 14일 | 춘분–청명–곡우 직전 | |
| 황소자리 | 금우궁(金牛宮) | Taurus | 황소자리 | 신(申) | ♉ | U+2649 | 30–60° | 4월 20일 | 5월 15일 | 곡우–입하–소만 직전 | |
| 쌍둥이자리 | 쌍자궁(雙児宮) | Gemini | 쌍둥이자리 | 미(未) | ♊ | U+264A | 60–90° | 5월 21일 | 6월 15일 | 소만–망종–하지 직전 | |
| 게자리 | 거해궁(巨蟹宮) | Cancer | 게자리 | 오(午) | ♋ | U+264B | 90–120° | 6월 22일 | 7월 17일 | 하지–소서–대서 직전 | |
| 사자자리 | 사궁(獅子宮) | Leo | 사자자리 | 사(巳) | ♌ | U+264C | 120–150° | 7월 23일 | 8월 17일 | 대서–입추–처서 직전 | |
| 처녀자리 | 처녀궁(處女宮) | Virgo | 처녀자리 | 진(辰) | ♍ | U+264D | 150–180° | 8월 23일 | 9월 17일 | 처서–백로–추분 직전 | |
| 천칭자리 | 천칭궁(天秤宮) | Libra | 천칭자리 | 묘(卯) | ♎ | U+264E | 180–210° | 9월 24일 | 10월 18일 | 추분–한로–상강 직전 | |
| 전갈자리 | 천갈궁(天蝎宮) | Scorpio | 전갈자리 | 인(寅) | ♏ | U+264F | 210–240° | 10월 24일 | 11월 17일 | 상강–입동–소설 직전 | |
| 궁수자리 | 인마궁(人馬宮) | Sagittarius | 궁수자리 | 축(丑) | ♐ | U+2650 | 240–270° | 11월 23일 | 12월 16일 | 소설–대설–동지 직전 | |
| 염소자리 | 마갈궁(磨羯宮) | Capricorn | 염소자리 | 자(子) | ♑ | U+2651 | 270–300° | 12월 22일 | 1월 15일 | 동지–소한–대한 직전 | |
| 물병자리 | 봉혜궁(寶瓶宮) | Aquarius | 물병자리 | 해(亥) | ♒ | U+2652 | 300–330° | 1월 20일 | 2월 13일 | 대한–입춘–우수 직전 | |
| 물고기자리 | 쌍어궁(雙魚宮) | Pisces | 물고기자리 | 술(戌) | ♓ | U+2653 | 330–360° | 2월 19일 | 3월 15일 | 우수–경칩–춘분 직전 | |
열두궁은 인도를 거쳐 중국 밀교에도 도입되었으며, 『숙요경』에 관련 기록이 있다.[57]
| 숙요경에서의 이름 | 읽는 법 | 다른 이름 | 이십칠수[58] |
|---|---|---|---|
| 사자궁 | 사자궁(獅子宮) | 사자신주(獅子神主) | 성수、장수、익수 |
| 처녀궁 | 처녀궁(處女宮) | 소녀궁、실녀궁(室女宮) | 익수、진수、각수 |
| 천칭궁 | 칭궁(秤宮) | 천칭궁(天秤宮)、칭량궁(秤量宮) | 각수、항수、저수 |
| 전갈궁 | 갈궁(蝎宮) | 갈충궁(蝎蟲宮)、천갈궁(天蝎宮) | 저수、방수、심수 |
| 궁궁 | 궁궁(弓宮) | 천궁궁(天弓宮)、인마궁(人馬宮) | 미수、기수、두수 |
| 마갈궁 | 마갈궁(摩竭宮) | 마갈궁(摩蝎宮) | 두수、우수、허수 |
| 현병궁 | 현병궁(賢瓶宮) | 병궁(瓶宮)、봉혜궁(寶瓶宮) | 허수、위수、실수 |
| 쌍어궁 | 쌍어궁(雙魚宮) | 어궁(魚宮)、이어궁(二魚宮) | 실수、벽수、규수 |
| 양궁 | 양궁(羊宮) | 백양궁(白羊宮)、지양신(持羊神) | 루수、위수、묘수 |
| 우궁 | 우궁(牛宮) | 우밀궁(牛密宮)、금우궁(金牛宮) | 묘수、필수、자수 |
| 부부궁 | 부부궁(夫婦宮) | 음궁(婬宮)、음양궁(陰陽宮)、남녀궁(男女宮) | 자수、삼수、정수 |
| 해궁 | 해궁(蟹宮) | 거해궁(巨蟹宮) | 정수、귀수、유수 |
서양 점성술에서 개인의 출생 시 태양 위치를 나타내는 '''태양 사인'''(sun sign)은 삶의 방향성과 의지를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태양 사인 점성술(태양 별자리 운세)은 이를 간략화한 점술이다.
2. 1. 황도대의 역사와 상징
서양 점성술은 2세기 프톨레마이오스의 《테트라비블로스》에 기록된 헬레니즘 점성술의 직접적인 연장선상에 있다.[78] 헬레니즘 점성술은 바빌로니아 전통의 개념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했다.[79] 특히 황도를 12개의 동일한 구역으로 나눈 것은 바빌로니아의 개념적 구성이다.기원전 4세기까지 바빌로니아 천문학과 그 천체 징후 체계는 고대 그리스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원전 2세기 후반에는 이집트의 천문학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인의 출생 차트에 대한 강한 초점과 항성점성술의 창조로 이어졌으며, 상승점(출생 시 황도의 상승하는 정도)과 12개의 하우스를 사용했다. 점성술 기호와 엠페도클레스의 4가지 고전적인 원소의 연관성은 12개 기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또 다른 중요한 발전이었다.
2세기까지 존재했던 헬레니즘 점성술 전통의 내용은 프톨레마이오스의 ''테트라비블로스''에 설명되어 있다. 이는 서구뿐만 아니라 인도와 이슬람권에서도 이후 천문학 전통의 중요한 작품이며, 후대의 전통이 핵심 가르침에 거의 실질적인 변화를 가하지 않으면서 거의 17세기 동안 참고 자료로 남아 있다.
| 별자리 | 백양궁 (Aries) | 금우궁 (Taurus) | 쌍아궁 (Gemini) | 거해궁 (Cancer) | 사자궁 (Leo) | 처녀궁 (Virgo) | 천칭궁 (Libra) | 천갈궁 (Scorpio) | 인마궁 (Sagittarius) | 마갈궁 (Capricorn) | 보병궁 (Aquarius) | 쌍어궁 (Pisces) |
|---|---|---|---|---|---|---|---|---|---|---|---|---|
| 황경 구간 (λ) | [0º, 30º[ | [30º, 60º[ | [60º, 90º[ | [90º, 120º[ | [120º, 150º[ | [150º, 180º[ | [180º, 210º[ | [210º, 240º[ | [240º, 270º[ | [270º, 300º[ | [300º, 330º[ | [330º, 360º[ |
| 상징 | ||||||||||||
| 해설 | 숫양 | 황소 | 쌍둥이 | 게 | 숫사자 | 아가씨 | 저울 | 전갈 | 활 쏘는 괴물 | 염소 | 물동이 운반인 | 물고기 두마리 |
점성술의 별자리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다만, 그 순서나 명칭은 현대와 약간 달랐다. 이것이 서쪽으로 전파되면서 그리스 신화 체계에 통합되었고, 인도에는 그리스에서 기원전후에 전해졌다. 고대 중국에도 십이차라는, 별자리와 유사한 것이 있지만, 이것이 전파에 의해 성립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후에 불교 경전을 통해 인도에서 중국으로 별자리가 전해지고, 더 나아가 일본에도 전해졌다.
한자로 된 별자리 이름은 서양에서 전래되었을 당시 의역된 점성술 용어로 생각된다. 천문학에서 정한 별자리 및 별자리 이름과는 다르지만,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된 십이지와도 매우 유사하지만, 상호 관계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실제 황도십이궁은 크기가 제각각이지만, 사인(sign)은 실제 별자리와는 별개로 황도를 12등분한 것이다. 초기에는 실제 별자리와 사인이 대략 일치했지만, 세차에 의해 어긋나게 되었다. 세차를 발견한 사람은 고대 그리스의 히파르코스이다.
세차에 의해 춘분점은 별자리에 대해 72년에 1°의 비율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 각도는 히파르코스 시대 이후로 보면 대략 사인 하나 분에 가까운 20° 이상에 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처는 학파에 따라 다르다.
- 트로피컬 방식에서는 사인은 춘분점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인의 황경은 일정하다. 반면, 사인과 별자리는 대략 하나씩 어긋나 있다.
- 사이데리얼 방식에서는 사인은 별자리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인과 별자리는 폭은 다르지만 대략적인 위치는 일치한다. 반면, 사인의 황경은 변한다.
13궁점은 황도상에 새롭게 뱀주인자리가 이동해왔다고 하여 12가 아닌 13개의 별자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세차의 처리 방식은 사이데리얼 방식에 가깝지만, 실제 별자리의 크기를 그대로 황도에 맞춰 사용하기 때문에 13사인은 크기가 제각각인 불균등한 것이 된다. 이것은 고대에는 전혀 없던 것으로, 현대인의 발상에서 나온 새로운 점술이다.
세차(歲差) (시간의 흐름)에 의해 춘분점이 이동했기 때문에 별자리가 이웃한 열두궁으로 이동하고 있다. 북쪽 천정(천구의 북극)을 향하여 북극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관측하면 십이차(별자리에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의 명칭을 적용한 것)는 서쪽에서 동쪽(시계 반대 방향)으로 늘어선다.[54]
| 정식 명칭・읽는 법・라틴어식 영어 명칭 | 별자리에 의한 일반적인 명칭 | 십이진(十二辰)[55][56] | 기호 | 황경 | 태양이 통과하는 기간(대략) | ||||||
|---|---|---|---|---|---|---|---|---|---|---|---|
| 이미지 | 문자 | 코드 | 열대황도 방식 | 항성황도 방식 | 이십사절기 | ||||||
| 양자리 | 백양궁(白羊宮) | Aries | 양자리 | 유(酉) | ♈ | U+2648 | 0–30° | 3월 21일 | 4월 14일 | 춘분–청명–곡우 직전 | |
| 황소자리 | 금우궁(金牛宮) | Taurus | 황소자리 | 신(申) | ♉ | U+2649 | 30–60° | 4월 20일 | 5월 15일 | 곡우–입하–소만 직전 | |
| 쌍둥이자리 | 쌍자궁(雙児宮) | Gemini | 쌍둥이자리 | 미(未) | ♊ | U+264A | 60–90° | 5월 21일 | 6월 15일 | 소만–망종–하지 직전 | |
| 게자리 | 거해궁(巨蟹宮) | Cancer | 게자리 | 오(午) | ♋ | U+264B | 90–120° | 6월 22일 | 7월 17일 | 하지–소서–대서 직전 | |
| 사자자리 | 사궁(獅子宮) | Leo | 사자자리 | 사(巳) | ♌ | U+264C | 120–150° | 7월 23일 | 8월 17일 | 대서–입추–처서 직전 | |
| 처녀자리 | 처녀궁(處女宮) | Virgo | 처녀자리 | 진(辰) | ♍ | U+264D | 150–180° | 8월 23일 | 9월 17일 | 처서–백로–추분 직전 | |
| 천칭자리 | 천칭궁(天秤宮) | Libra | 천칭자리 | 묘(卯) | ♎ | U+264E | 180–210° | 9월 24일 | 10월 18일 | 추분–한로–상강 직전 | |
| 전갈자리 | 천갈궁(天蝎宮) | Scorpio | 전갈자리 | 인(寅) | ♏ | U+264F | 210–240° | 10월 24일 | 11월 17일 | 상강–입동–소설 직전 | |
| 궁수자리 | 인마궁(人馬宮) | Sagittarius | 궁수자리 | 축(丑) | ♐ | U+2650 | 240–270° | 11월 23일 | 12월 16일 | 소설–대설–동지 직전 | |
| 염소자리 | 마갈궁(磨羯宮) | Capricorn | 염소자리 | 자(子) | ♑ | U+2651 | 270–300° | 12월 22일 | 1월 15일 | 동지–소한–대한 직전 | |
| 물병자리 | 봉혜궁(寶瓶宮) | Aquarius | 물병자리 | 해(亥) | ♒ | U+2652 | 300–330° | 1월 20일 | 2월 13일 | 대한–입춘–우수 직전 | |
| 물고기자리 | 쌍어궁(雙魚宮) | Pisces | 물고기자리 | 술(戌) | ♓ | U+2653 | 330–360° | 2월 19일 | 3월 15일 | 우수–경칩–춘분 직전 | |
또한 이 열두궁은 동서로 전파되어,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밀교에도 도입되었다. 밀교의 경전 『숙요경』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으며, 별만다라나 태장계만다라의 최외원에 그 모습이 보인다.[57] 참고로, 『숙요경』에서는 사자궁(獅子宮)이 제1궁으로 여겨진다.
| 숙요경에서의 이름 | 읽는 법 | 다른 이름 | 이십칠수[58] |
|---|---|---|---|
| 사자궁 | 사자궁(獅子宮) | 사자신주(獅子神主) | 성수、장수、익수 |
| 처녀궁 | 처녀궁(處女宮) | 소녀궁、실녀궁(室女宮) | 익수、전수、각수 |
| 천칭궁 | 칭궁(秤宮) | 천칭궁(天秤宮)、칭량궁(秤量宮) | 각수、항수、저수 |
| 전갈궁 | 갈궁(蝎宮) | 갈충궁(蝎蟲宮)、천갈궁(天蝎宮) | 저수、방수、심수 |
| 궁궁 | 궁궁(弓宮) | 천궁궁(天弓宮)、인마궁(人馬宮) | 미수、기수、두수 |
| 마갈궁 | 마갈궁(摩竭宮) | 마갈궁(摩蝎宮) | 두수、여수、허수 |
| 현병궁 | 현병궁(賢瓶宮) | 병궁(瓶宮)、봉혜궁(寶瓶宮) | 허수、위수、실수 |
| 물고기자리 | 쌍어궁(雙魚宮) | 어궁(魚宮)、이어궁(二魚宮) | 실수、벽수、규수 |
| 양궁 | 양궁(羊宮) | 백양궁(白羊宮)、지양신(持羊神) | 루수、위수、묘수 |
| 우궁 | 우궁(牛宮) | 우밀궁(牛密宮)、금우궁(金牛宮) | 묘수、필수、자수 |
| 부부궁 | 부부궁(夫婦宮) | 음궁(婬宮)、음양궁(陰陽宮)、남녀궁(男女宮) | 자수、삼수、정수 |
| 해궁 | 해궁(蟹宮) | 거해궁(巨蟹宮) | 정수、귀수、류수 |
2. 2. 양극과 사원소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철학자 엠페도클레스는 불, 흙, 공기, 물을 원소로 간주하였다. 그는 우주의 본질을 사원소를 다루는 사랑과 갈등이라는 두 가지의 상반되는 원리들로 설명했으며, 그 네 가지 원소들은 모두 동등하고, 각각 자신의 범위를 다스리며, 각각 자신의 개인 성격을 지닌다고 서술했다. 엠페도클레스는 사원소의 거의 동등한 비율을 갖고 태어난 사람들은 더 지적이며 대단히 정확한 지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80]
각각의 별자리는 고대 원소들 중의 하나와 관련있고[81], 그것들은 극성에 따라 조화된다. 즉, 불과 공기의 별자리들은 양(陽) 또는 외향성, 남성의 별자리들이며, 반면에 물과 흙의 별자리들은 음(陰) 또는 내향성, 여성의 별자리들로 여겨진다. 현대적 접근은 그 원소들을 "경험의 에너지 물질"로 보며[74], 다음의 표는 핵심어들을 통하여 그것들의 묘사를 요약한다.[82][83]
| 극성 | 원소 | 기호[84] | 핵심어 | 별자리 |
|---|---|---|---|---|
| 양(陽) (자기표현적) | 불 | 열광, 주장, 신념, 추진 | 양자리, 사자자리, 사수자리 | |
| 공기 | 의사소통, 사회화, 개념화 | 쌍둥이자리, 천칭자리, 물병자리 | ||
| 음(陰) (자기억제적) | 흙 | 실용성, 조심, 물질 세계 | 황소자리, 처녀자리, 염소자리 | |
| 물 | 정서, 공감, 감성 | 게자리, 전갈자리, 물고기자리 | ||
2. 3. 세 가지 양상
사원소는 각각 가동적(Cardinal), 고정적(Fixed), 변통적(Mutable)의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81] 각각의 양상은 네 개의 별자리를 포함하는데, 그것들은 각각의 사궁(四宮, quadruplicity)으로도 알려져 있다.[81] 때때로, 그것은 황도대에서 서로 맞은편끼리 연결되는 모양으로 인해 십자가라고도 불린다.| 양상 | 기호[86] | 핵심어[87][88] | 별자리 |
|---|---|---|---|
| 가동적 | 행동, 솔선, 역동성, 위대한 힘 | 양자리, 게자리, 천칭자리, 염소자리 | |
| 고정적 | 변화에 대한 저항, 큰 의지력, 비융통성 | 황소자리, 사자자리, 전갈자리, 물병자리 | |
| 변통적 | 적응성, 순응성, 유연성, 순환 | 쌍둥이자리, 처녀자리, 사수자리, 물고기자리 | |
요소와 양상의 조합은 기본 별자리 성격묘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염소자리는 가동적 흙의 별자리로써, 그것은 물질계(땅의 속성)에서의 행동(가동적 양상)과 연관된 의미가 있다. 이것은 야망 또는 삶에서 매일마다 필요한 것들인 고체의 실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89]
12궁은 기본궁(Cardinal), 고정궁(Fixed), 변동궁(Mutable)의 세 가지 성질로 분류된다.[60] 같은 그룹에 속한 별자리는 서로 상성이 좋지 않다고 여겨진다.[60]
| 성질 | 기호[72] | 키워드[59][60] | 별자리 |
|---|---|---|---|
| 기본궁(활동궁) | 활동적, 행동적·외교적·활력적 | 양자리, 게자리, 천칭자리, 염소자리 | |
| 고정궁 | 완고·인내심, 내성적·자기중심적 | 황소자리, 사자자리, 전갈자리, 물병자리 | |
| 변동궁(가변궁) | 수동적·영향, 적응력, 지구력 부족 | 쌍둥이자리, 처녀자리, 사수자리, 물고기자리 | |
2. 4. 행성의 주인지위
행성의 주인지위(主人地位, rulership)는 행성과 상관 있는 별자리 및 하우스 간의 관계이다.[90] 전통적 서양 점성술에서, 각각의 별자리는 일곱 개의 가시적 행성 중 단 하나에 의해 통치된다. 여기서 가시적 행성이란 점성술에서 태양과 달을 발광체(Light)로 칭하고, 다른 천체들은 항성(the fixed stars)과 대조적으로 떠도는 별을 의미하는 행성으로 부르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전통적인 통치자의 지위는 다음과 같다.[91]
심리 지향 점성가들은 종종 토성 대신에 천왕성을 보병궁의 주인 또는 공동 주인으로, 목성 대신에 해왕성을 쌍어궁의 주인 또는 공동 주인으로, 화성 대신에 명왕성을 천갈궁의 주인 또는 공동 주인으로 여긴다.
몇몇 점성가들은 소행성 케이론이 처녀궁의 주인이 될 수도 있다고 믿는다. 반면에, 다른 현대 점성가들은 세레스가 금우궁의 주인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점성가들은 여전히 과거 행성들인 팔라스(Pallas), 베스타(Vesta), 유노(Juno), 하이기아(Hygiea)를 그들의 묘사와 주인지위(예를 들어 베스타를 금우궁에, 팔라스를 처녀궁)에 사용한다.
새롭게 발견된 행성을 특정 별자리의 주인 또는 공동 주인으로 여기는 것과 그러지 않는 것 사이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몇몇 점성가들은 점성학적 별자리들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점성학적 차트를 해석할 때 행성의 지위나 본질적 위계는 고려하지 않는다.
사자궁과 거해궁에서 시작한다면, 전통적인 행성의 지위들은 그것들이 자연의 태양계에서 존재하는 것과 같이 태양에서부터 같은 순서로 바깥을 향해 배열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발광체들은 사자궁과 거해궁을 통치하고, 수성은 처녀궁과 쌍아궁을 통치하고, 금성은 천칭궁과 금우궁을 통치하고, 화성은 천갈궁과 백양궁을 통치하고, 목성은 인마궁과 쌍어궁을 통치하고, 토성은 마갈궁과 보병궁을 통치한다. 이 결과는 사자궁과 보병궁 0° 축을 가로지르는 전통적인 주인지위들의 대칭이다. 천갈궁의 주인을 명왕성으로 돌리는 현대 점성술의 지위들은 이 대칭성을 깬다는 데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다음 표는 전통[91]과 현대[92]의 주인지위들을 보여준다.
2. 5. 위엄과 손상, 고양과 쇠퇴
본질적 위계는 태양, 달, 그리고 행성들이 특정 별자리에서 그 별자리와 기본적인 특성이 조화되어 다른 별자리에서보다 더 강력하고 효과적이라는 전통적인 점성술의 믿음이다. 반대로, 어떤 별자리에서는 그 본성이 상충하기 때문에 약해지거나 작동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범주에는 위엄, 손상, 고양, 쇠퇴가 있다.[93]- '''위엄'''과 '''손상''': 행성이 자신이 통치하는 별자리에 있으면 강해지거나 '''위엄'''을 갖는다. 다시 말해, 그 별자리의 주인으로 행세한다. 예를 들어, 거해궁(게자리)에 있는 달은 "강하다"(완전하게 위엄이 갖춰진다)고 여겨진다. 17세기 점성가 윌리엄 릴리는 위엄을 왕위에 오른 왕의 통치자로서의 지위에 비유했다. 만일 행성이 자신이 통치하는 별자리의 반대편 별자리에 있다면(예: 마갈궁(염소자리)에 있는 달), 약해지거나 "손상"을 입는다.[93]
전통적인 점성술에서는 통치자로서의 지위뿐만 아니라 다른 수준의 위엄도 인정한다. 그것들은 고양과 쇠퇴, 삼궁, 텀(Terms) 또는 바운드(Bounds), 십분각(페이스 또는 데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모두는 행성의 본질적 위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존 프라울리나 J 리 리먼과 같은 현대 전통 점성가들은 본질적 위계 개념을 추가로 설명한다.[93]
- '''고양'''과 '''쇠퇴''': 행성은 '''고양'''의 별자리에 있을 때도 강해진다. 전통적인 순간 점성술에서 고양은 주인 지위에 비해 다소 과장된 위엄의 수준을 나타낸다. 고양은 행성(또는 순간 차트에서 그것이 의미하는 것)에게 관심의 중심이지만 그 작용 능력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명예로운 손님의 위계를 부여한다. 고양되는 행성의 예는 다음과 같다. 토성(천칭궁), 태양(백양궁), 금성(쌍어궁), 달(금우궁), 수성(처녀궁, 이 분류에 약간의 불일치가 있음), 화성(마갈궁), 목성(거해궁). 이와 반대로, 고양되는 별자리의 반대편에 있는 행성은 "쇠퇴"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외면상으로는 손상에 있는 것보다 더 약해진다고 한다. 쇠퇴에 있는 행성은 그 별자리에 의해 수동적으로 거부되고 무시된다. 이것은 자신의 도시 운영 방식에 대해 주최측 시장에게 제안하려 애쓰는 시장에 비유된다. 주최측 시장은 그의 진심을 파악하기 어렵고 그의 정보가 도시에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알지 못한다. 도시 사람들은 통치자와 같은 기분이다. 그 결과 시장들과 도시 측 모두 교착 상태에 빠지고 실패한다.[93] 세 개의 토성 외곽 행성이 고양되는 별자리에 대해서는 동의가 없다.[94]
다음 표는 위에서 설명한 위치들을 정리한 것이다.
| 행성 (상징) | 위엄 | 손상 | 고양 | 쇠퇴 |
|---|---|---|---|---|
| 태양 ( | 사자궁 | 보병궁 | 백양궁 | 천칭궁 |
| 달 ( | 거해궁 | 마갈궁 | 금우궁 | 천갈궁 |
| 수성 ( | 쌍아궁 | 인마궁 | 처녀궁 | 쌍어궁 |
| 금성 ( | 천칭궁 | 백양궁 | 쌍어궁 | 처녀궁 |
| 화성 ( | 백양궁 | 천칭궁 | 마갈궁 | 거해궁 |
| 목성 ( | 인마궁 | 쌍아궁 | 거해궁 | 마갈궁 |
| 토성 ( | 마갈궁 | 거해궁 | 천칭궁 | 백양궁 |
국제 알파벳
3. 인도 점성술
(한글 발음)산스크리트어
해석한글 이름 라틴어 그리스어 해설 타트바 (원소) 특성 주인 행성 1 मेष 메사 숫양 백양궁 Aries Κριός|크리오스grc 숫양 테자스 (불) 카라(Cara) (가동적) 화성 2 वृषभ 블사바 황소 금우궁 Taurus Ταῦρος|타우로스grc 황소 프리티비 (흙) 스티라(Sthira) (고정적) 금성 3 मिथुन 미투나 쌍둥이 쌍아궁 Gemini Δίδυμοι|디디모이grc 쌍둥이 바유 (공기) 드비스바바바(Dvisvabhava) (이중적) 수성 4 कर्कट 칼카타 게 거해궁 Cancer Καρκίνος|카르키노스grc 게 잘라 (물) 카라(Cara) (가동적) 달 5 सिंह 심하 사자 사자궁 Leo Λέων|레온grc 사자 테자스 (불) 스티라(Sthira) (고정적) 태양 6 कन्या 카냐 소녀 처녀궁 Virgo Παρθένος|파르테노스grc 처녀 프리티비 (공기) 드비스바바바(Dvisvabhava) (이중적) 수성 7 तुला 툴라 저울 천칭궁 Libra Ζυγός|지고스grc 저울 바유 (공기) 카라(Cara) (가동적) 금성 8 वृश्चिक 블스키카 전갈자리 천갈궁 Scorpio Σκoρπιός|스코르피오스grc 전갈자리 잘라 (물) 스티라(Sthira) (고정적) 화성 9 धनुष 다누스 활 인마궁 Sagittarius Τοξότης|톡소테스grc 궁수 테자스 (불) 드비스바바바(Dvisvabhava) (이중적) 목성 10 मकर 마카라 바다괴물 마갈궁 Capricorn Αἰγόκερως|아이고케로스grc 뿔달린 염소 프리티비 (공기) 카라(가동적) 토성 11 कुम्भ 쿰바 물주전자 보병궁 Aquarius Ὑδροχόος|히드로코스grc 물붓는 사람 바유 (Air) 스티라(Sthira) (고정적) 토성 12 मीन 미나 물고기 쌍어궁 Pisces Ἰχθεῖς|익티스grc 물고기 잘라 (물) 드비스바바바 (Dvisvabhava) (이중적) 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