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정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정치는 1945년 태평양 전쟁 종전 이후 미국의 점령 정책과 일본국 헌법 제정, 55년 체제 성립 등 정치사 변천을 겪었다. 1993년 자유민주당 분열 이후 연립 정권 시대를 거쳐 자민당과 공명당의 연립 정권이 장기 집권했다. 2020년 아베 신조 총리 사임 이후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가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이 집권하고 있다. 일본은 국민 주권, 권력 분립, 의원 내각제, 상징 천황제, 지방 자치를 헌법에 명시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국회, 내각, 사법부로 구성된 통치 기구를 갖는다. 외교적으로는 미국과의 동맹을 기축으로 하여 유엔, G7, APEC 등 국제 기구에서 활동하며, 주변국과의 관계는 역사 문제, 영토 분쟁 등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군사적으로는 자위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정치 - 천황제 폐지론
천황제 폐지론은 일본의 천황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자유민권운동 시기부터 제기되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었지만, 여론조사에서는 상징 천황제 유지를 지지하는 여론이 높게 나타난다. - 일본의 정치 - 네지레 국회
네지레 국회는 일본 의원내각제 하에서 여당이 참의원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해 정치적 교착 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 일본에 관한 - 소카시
소카시는 사이타마현 남동부에 위치하며 과거 역참 마을로 발전했고 현재는 도쿄의 베드타운이자 소카 센베이로 유명하며 2004년 특례시로 지정된 인구 약 25만 명의 도시이다. - 일본에 관한 - 최고재판소 (일본)
일본 최고재판소는 1947년에 설립된 일본의 최고 사법기관으로, 상고 및 소송법에서 정하는 항고에 대한 최종심 판결을 내리고, 법령 해석의 통일 및 헌법 위반 여부 판단(위헌심사)을 담당하며, 내각이 임명하는 15명의 재판관과 재판소장으로 구성된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일본의 정치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일본 |
로마자 표기 | Nihon (니혼), Nippon (닛폰) |
공식 명칭 | 일본국 (日本国, Nihon-koku 또는 Nippon-koku) |
정치 체제 | 단일제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 |
헌법 | 일본국 헌법 |
입법부 | 국회 |
의회 형태 | 양원제 |
국회 의사당 | 국회의사당 |
상원 | 참의원 |
상원 의장 | 세키구치 마사카즈 |
상원 의장 직책 | 참의원 의장 |
하원 | 중의원 |
하원 의장 | 누카가 후쿠시로 |
하원 의장 직책 | 중의원 의장 |
국가 원수 | 일왕 |
현재 국가 원수 | 나루히토 |
국가 원수 임명 방식 | 세습 |
정부 수반 | 내각총리대신 |
현재 정부 수반 | 이시바 시게루 |
정부 수반 임명 방식 | 일왕 (국회 지명) |
내각 | 내각 |
현재 내각 | 제2차 이시바 내각 |
내각 수장 | 내각총리대신 |
내각 임명 방식 | 내각총리대신 |
내각 본부 | 내각총리대신 관저 (일본 총리 관저) |
사법부 | 사법부 |
최고 법원 | 최고재판소 |
최고 법원장 | 이마사키 유키히코, 최고재판소 장관 |
최고 법원 소재지 | 최고재판소 청사 |
정치 | |
정치 제도 | 민주주의 의원내각제 상징 천황제 단일 국가 |
법 제도 | 법치주의 일본국 헌법 일본 법률 |
국민 | 국민 (주권자) |
선거 | 선거 |
국정 선거 |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
중의원 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참의원 선거 |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지방 선거 | 도도부현 의회 의원 선거 시정촌 의회 의원 선거 특별구 의회 의원 선거 도도부현 지사 선거 시정촌장 선거 특별구장 선거 통일지방선거 |
재선거 | 재선거 |
보궐 선거 | 보궐 선거 |
증원 선거 | 증원 선거 |
정당 | 정당 |
정당 목록 | 목록 |
정당별 국회의원 수 | 정당별 국회의원 수 |
정부 | |
정부 | 정부 |
국가 기관 | 국가 기관 |
입법부 | |
국회 | 국회 - 국회의원 (목록) |
양원제 | 양원제 |
하원 | 중의원 (중의원 의장, 의원 목록) |
상원 | 참의원 (참의원 의장, 의원 목록) |
국립국회도서관 | 국립국회도서관 |
행정부 | |
내각 | 내각 (목록) |
현 내각 | 제2차 기시다 제2차 개조 내각 |
내각총리대신 | 내각총리대신 (목록) |
현 내각총리대신 | 기시다 후미오 |
국무대신 | 국무대신 |
부대신 | 부대신 - 대신 정무관 |
행정기관 | 행정기관 |
회계검사원 | 회계검사원 |
사법부 | |
법원 | 재판소 - 재판관 - 재판원 |
최고 재판소 | 최고재판소 (최고재판소 장관, 최고재판소 재판관) |
하급 법원 | 하급 법원 |
지방 자치 | |
지방공공단체 | 지방공공단체 |
보통 지방공공단체 | 보통 지방공공단체 |
도도부현 | 도도부현 |
시정촌 | 시정촌 |
정령지정도시 | 정령지정도시 - 행정구 - 종합구 |
중핵시 | 중핵시 |
특별 지방공공단체 | 특별 지방공공단체 |
특별구 | 특별구 |
일부 사무 조합 | 일부 사무 조합 |
광역 연합 | 광역 연합 |
지방 의회 | 지방 의회 - 지방 의회 의원 |
도도부현 의회 | 도도부현 의회 |
시정촌 의회 | 시정촌 의회 (또는 특별구 의회) |
수장 | 수장 |
도도부현 지사 | 도도부현 지사 |
시정촌장 | 시정촌장 (또는 특별구장) |
2. 정치사
1945년 일본이 항복하고 태평양 전쟁이 종결된 후, 일본의 전후사는 미국의 대일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1945년 미국의 점령군정이 실시되어 군국주의 일본의 해체와 전범 처리가 진행되었고, 1947년 5월 일본국 헌법이 발효되었다. 이 헌법은 주권재민, 전쟁 포기, 기본권 존중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1947년부터 1948년까지는 사회당이 일시적으로 집권하여 군국주의 시절 불법화되었던 일본 공산당이 합법화되고 사회당 혁신 정부가 출범하기도 했다.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은 주권을 회복하였다.
미군정기, 주권 회복, 재무장, 경제 부흥 단계를 거친 일본 정치에서 전후 10년간은 군소 정당의 난립이 계속되었다. 1956년 12월 유엔에 가입한 후 보수파가 세력을 정비하여 좌파를 축출하고 집권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의 항복과 연합군 점령이 시작되자마자 거의 즉시 정당들이 부활하기 시작했다. 일본 사회당과 일본 공산당과 같은 좌익 단체들은 여러 보수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빠르게 재건되었다. 옛 헌정자유당과 헌정민정당은 각각 자유당과 일본 진보당으로 돌아왔다. 1946년 총선 (여성에게 최초로 참정권이 주어진 해)에서 자유당 부총재인 요시다 시게루가 수상이 되었다.
1947년 총선을 위해 요시다 반대 세력은 자유당을 탈퇴하여 진보당과 합쳐 민주당을 설립했다. 보수 진영의 분열은 일본 사회당에게 다수를 안겨주었고, 1년도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내각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사회당은 선거에서 꾸준히 의석이 감소했다. 민주당의 짧은 집권 이후, 요시다가 1948년 말에 복귀하여 1954년까지 수상직을 유지했다.
일본이 완전한 주권을 회복하기도 전에 정부는 숙청되었던 약 8만 명을 복권시켰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이전의 정치 및 정부 직책으로 돌아갔다. 군사비 지출에 대한 제한과 천황의 주권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면서 1952년 총선에서 자유당의 다수당 지위가 크게 감소하는 데 기여했다. 1954년 여러 차례의 군대 재편성 끝에 민간 감독하에 일본 자위대가 설립되었다. 냉전 현실과 인근 한국에서의 한국 전쟁 또한 미국의 영향을 받은 경제 재건, 공산주의 억압, 그리고 이 기간 동안 일본에서의 조직 노동 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 1. 55년 체제
1955년 일본사회당의 좌파와 우파가 통합하고, 일본민주당과 자유당이 보수합동하여 자유민주당(자민당)이 성립되면서 55년 체제가 확립되었다.[47] 55년 체제에서 자민당은 항상 여당이었고, 국회에서는 자민당 총재가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었다.[47] 이후 자민당 일부 의원이 탈당해 만든 신자유클럽과 연립 정권을 구성한 1983년부터 1986년까지를 제외하고는 오랫동안 자민당 단독 내각이 지속되었다.[47] 1980년대 들어 자민당 장기 집권과 정당색에 염증을 느낀 국민의 지지 감소로 좌파인 사회당 의석이 크게 신장되었으나, 정권 교체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했다.[47]2. 2. 55년 체제 붕괴와 연립 정권
1993년 자유민주당이 분열하고,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의 불신임 결의안이 중의원에서 가결되면서 중의원이 해산되었다. 이때 자유민주당의 일부 의원이 탈당하여 신당 사키가케와 신생당을 결성했고, 이후 치러진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1993년 7월 총선거 이후 소집된 국회에서는 일본신당의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총리로 지명하면서, 일본사회당, 신생당, 공명당, 일본신당, 민사당, 신당 사키가케, 사회시민연합이 연립하여(비자민 연립) 호소카와 내각이 구성되었다. 호소카와 내각은 8개월 만에 좌초되었고, 이후 하타 쓰토무가 총리로 지명되었으나 2개월 만에 물러났다. 비자민 연립은 하타 내각에서도 유지되었지만, 소수 여당 내각이었다.[47]1994년 하타 내각이 총사직하면서 국회는 일본사회당의 무라야마 도미이치를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했다. 이를 통해 자유민주당, 일본사회당, 신당 사키가케의 연립 내각(자·사·사 연립 정권)이 구성되었다. 이 연립은 이후 제1차 하시모토 류타로 내각에서도 유지되었다. 1996년 하시모토 자민당 총재가 총리에 임명되어 1998년까지 집권하였다.[47]
2. 3. 자공 연립 정권과 민주당 정권
1999년 1월, 오부치 내각은 자유민주당과 자유당의 연립 내각(오부치 제1차 개조내각)을 출범시켰고, 같은 해 10월에는 공명당도 합류했다(오부치 제2차 개조내각, 자자공 연립내각).[47] 2000년에는 자유당이 분열하고, 탈당한 일부 의원은 보수당(후에 보수신당)을 결성해 제1차 모리 내각에 잔류했다(자공보 정권).[47] 이 연립은 이후의 고이즈미 내각에서도 유지되었지만,[47] 2003년 11월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보수신당이 자민당에 흡수되면서, 자민당과 공명당의 연립 정권(자공 연립 정권)이 되었다.[47] 자민당·공명당의 연립 정권은 2009년 8월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크게 패하여 야당이 될 때까지 계속되었다.[47]2. 4. 현재의 정치 상황 (2020년 이후)
2020년 8월 28일, 아베 신조 총리가 건강 문제를 이유로 사임하면서, 후임 총리를 선출하기 위한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가 시작되었다.[25] 아베 신조는 일본 정치 역사상 최장수 총리였다.[26]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집권 자유민주당의 새 총재로 선출되어 2020년 9월 16일 일본의 제99대 총리로 취임하였다.[27] 그러나 스가 요시히데는 2021년 9월 2일, 자유민주당 총재 재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여, 총리직 임기를 사실상 마무리했다.[28] 2021년 10월 4일, 기시다 후미오가 새로운 총리로 취임했다.[29]2022년 7월 8일, 아베 신조 전 총리가 나라시에서 2022년 일본 참의원 선거 유세 중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2] 아베 신조의 국장은 9월 27일 일본무도관에서 거행되었다.[33]
2024년 10월 1일, 일본 국회는 집권 자유민주당의 새로운 지도자인 이시바 시게루를 기시다 후미오의 후임 총리로 승인했다.[34]
현재 국회에 의석을 가진 정당은 다음과 같다.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지수에 따르면, 일본은 비교적 청렴한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2023년 기준 180개국 중 벨기에, 우루과이와 공동 16위를 기록했다.[36]
3. 정치 체제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전까지 천황이 다스리는 '신권 국가'로 불린 입헌군주제 국가였다. 당시 일본제국 헌법에서는 통치하는 천황과 통치받는 신민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현행 일본국 헌법은 1947년에 공포되었으며, 국민 주권, 권력 분립, 의원내각제, 상징 천황제, 지방 자치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 국민 주권: 헌법에 따라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
- 민주적 제도: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에 번성했던 민주적 제도를 부활시켰다.
- 선거권 확대: 여성에게 선거권을 확대하여 남녀 평등권을 보장했다.
- 평화 조항: 헌법 제9조는 전쟁을 포기하고 군대 보유를 금지한다.[34]

일본국 헌법에서는 국회를 “국권의 최고 기관으로, 국가의 유일한 입법 기관”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내각에도 법안 제출권을 부여하여 실질적으로는 내각의 권한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내각이 제출하는 법안은 실제로는 행정 조직의 관료들이 만들기 때문에, '''관료국가'''적인 성격이 강하다.
재판소는 법률 및 행정행위에 대해 위헌 심사권을 가지며, 이는 국가 행위의 적법성을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강력한 권한이다. 이러한 체제를 '''사법국가'''라고도 한다. 그러나 재판소는 정치적인 통치행위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현행 헌법 제정과 비준은 많은 지정학 분석가와 역사가들에 의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에 의해 일본에 강요된 것으로 널리 인식되어 왔다.[8] 이러한 "강요" 주장은 1950년대 헌법 개정을 지지하는 보수 정치인들의 구호로 처음 등장했으며, 헌법이 "본래 일본적인 것"이 아니라는 주장과 함께 당시 미국과 일본의 여러 독립 역사가들의 연구를 통해 뒷받침되었다.[8][9] 1950년대 개정 논쟁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등장한 또 다른 주장은 비준 결정이 실제로 미군 점령 당국, 당시 일본의 역대 정부, 그리고 민간 부문 "행위자들" 간의 명백한 "협력"의 결과라는 것이다.[10]
일본은 대의제를 채택한 민주주의 국가이며,[38] 헌법주의에 기반한 국가(헌법 국가)이자 법치국가이다.
3. 1. 입헌군주제 논란
일본이 입헌군주제인지 공화제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일반 대중이 선거를 통해 대통령 등의 수반을 선출하지 않고, 세습 군주인 천황이 존재하며, 근대적인 의미의 헌법을 가지고 전제군주제 국가가 아니므로 입헌군주제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공화제라고 보는 입장에서는 주로 군주에 해당하는 천황이 국정에 대한 권능이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실제로 정치상의 권력을 행사하는 것은 사법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반 대중에 의해 선출된 자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공화제에 준하는 체제를 가진다. 또한 법률에 의해 내각총리대신 또한 국민들이 선출하게 되면, 대통령이 존재하는 공화제 국가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일본은 공화제를 채택한 국가라고 보는 것이다.
다만 일본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한 입헌군주국이라는 주장이 우세하다. 또한 ‘일본은 입헌군주제 국가’라는 1973년 6월 28일 참의원에서의 내각법제국 장관의 답변이 있으므로,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견해도 입헌군주제 국가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37]
3. 2. 국가원수 논란
일본의 국가원수에 대해서는 천황, 내각총리대신 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37] 일본 정부는 천황을 국가원수로 보고 있으며, 외교 관계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지위에 있다고 표현한다.3. 3. 정치 제도
일본은 대의제를 채택한 민주주의 국가이다.[38] 일본의 정치는 일본국헌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본은 헌법주의에 기반한 국가(헌법 국가)이자 법치국가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행정·사법은 헌법과 국회가 정하는 법률 및 명문화된 법령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일본국헌법은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국민주권을 규정한다. 또한 정치적 권력을 입법권·행정권·사법권의 삼권으로 나누고, 각각 국회·내각·재판소에 배분하는 권력분립 체제를 규정한다. 국회를 "국권의 최고 기관"으로 하는 의회 민주주의가 행해지고, 국회와 내각의 협력에 의한 의원내각제가 채택된다. 헌법 제1장에서는 주권자인 일본 국민의 총의에 기초하여 "일본국의 상징이며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의 지위에 있는 천황을 둔다(상징 천황제).
일본국헌법은 지방자치도 규정한다. 일본의 지방자치는 전국을 47개 지역으로 나눈 도도부현과 도도부현을 여러 지역으로 나눈 시정촌의 2단계 지방 공공 단체에 의해 담당된다. 모든 도도부현과 시정촌에는 각각 의사 기관인 지방 의회와 행정 기관인 수장(도도부현지사, 시정촌장)이 설치된다. 지방 공공 단체는 법률의 범위 내에서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
일본국헌법의 3대 원리는 국민주권, 기본적 인권의 존중, 평화주의이다.
일본에서는 엘리트층 내부의 비공식적인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가 논의, 발전된 후, 보다 공식적인 정책 개발 단계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종종 심의회(''shingikai'')에서 이루어졌는데, 각 부처에 약 200개의 심의회가 있었으며, 구성원은 관료, 기업, 교육 및 기타 분야의 저명한 민간인들이었다. 심의회는 평소에는 만날 일이 없는 사람들 간의 소통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일본에서는 실제 협상이 비공개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합의 형성 과정인 ''네마와시'' ), 심의회는 종종 정책 입안의 상당히 진전된 단계를 나타냈으며, 비교적 사소한 차이점을 해결하고 그 결과 나온 결정을 모든 사람이 받아들일 수 있는 언어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구는 법적으로 설립되었지만 정부가 권고 사항을 채택하도록 의무화할 권한은 없었다.
3. 3. 1. 의원내각제
일본은 양원제 의원내각제 대의민주주의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총리는 천황이 임명하며[11], 내각의 수장으로서 내각 각료 임명 및 해임, 중의원 해산 권한을 갖는다. 총리는 국회에서 선출되며, 내각은 국회와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3. 3. 2. 상징천황제
일본국 헌법에 규정된, 천황을 일본국과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하는 제도이다.일본국 헌법 제1조는 천황을 일본국과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한다. 그 지위는 주권(주권재민)자인 일본 국민의 총의에 기초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헌법 전문, 제1조), 국회가 의결하는 황실전범에 따라 세습으로 계승된다(제2조). 천황의 직무는 국사행위를 하는 것으로 한정되며(제7조), 내각의 조언과 승인을 필요로 한다(제3조). 국정에 관한 권능을 전혀 가지지 않는다(제4조).[34]
4. 통치 기구
일본국 헌법은 국회를 “국권의 최고 기관”이자 “국가의 유일한 입법 기관”으로 규정하여(일본국헌법 제41조) 가장 큰 정치적 권력을 부여한다. 그러나 내각총리대신에게 내각을 대표하여 의안(내각 제출 법안)을 제출할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며(일본국헌법 제72조), 국회에서 성립하는 법안의 대부분은 내각 제출 법안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내각의 권한이 국회보다 크다. 또한 내각 아래에 있는 행정기관의 영향력도 매우 크다. 행정기관 내부에서는 자격임용제로 채용되는 간부 공무원(캐리어 공무원)이 정치 임용되는 장관, 차관, 장관정무관 등 정무삼역보다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오랫동안 “관료 국가”로 여겨졌지만, 내각인사국을 통해 캐리어 공무원의 인사권을 정무삼역이 장악하면서 정무삼역의 권한이 강화되고 있다.
헌법은 사법부에 위헌법률심사권을 부여하여(일본국헌법 제81조) 법률, 국가 법령, 행정 행위의 위헌 여부를 심사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일본 사법부는 사법소극주의에 따라 정치적 판단에 신중한 경향을 보인다. 특히 “통치행위론”에 따라 고도의 정치성을 가진 국가 행위에 대한 합헌성 심사는 사법부 권한 밖으로 하는 경우가 있어, 당시 정권에 추종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한편, 최고재판소재판관에 대한 “국민 심사” 제도와 형사 재판의 “배심원” 제도 등을 통해 국민의 의견을 사법에 반영하기도 한다.
4. 1. 입법부
국회는 일본의 입법부로, 양원제를 채택하여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된다. 국회는 국권의 최고 기관이자 국가의 유일한 입법 기관이다.[39] 헌법상 국회에 가장 큰 정치적 권력이 부여되지만, 실제로는 내각이 법안 제출권을 가지고 있으며 국회에서 가결되는 법안의 대부분이 내각 제출 법안이라는 점에서 내각의 권한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행정국가'''화라고 부른다.[3]또한, 내각 하의 행정 조직에서 법안이 만들어지므로, 행정 조직의 간부급 공무원, 즉 관료가 실권을 가지는 '''관료국가'''화가 두드러진다. 그러나 내각인사국을 통해 캐리어 공무원의 인사권을 정무삼역이 장악함으로써 정무삼역의 캐리어 공무원에 대한 권한이 크게 강화되고 있다.
일본국 헌법은 사법부에 위헌입법심사권을 부여하여 법률 및 국가 법령, 행정 행위의 위헌 여부를 심사할 수 있도록 한다.[40] 이러한 체제를 '''사법국가'''라고도 부르지만, 일본 사법부는 정치적 통치행위에 대한 판단에 소극적인 사법소극주의 경향을 보이며, 통치행위론에 따라 고도의 정치성을 띤 국가 행위에 대한 합헌성 심사는 사법부의 권한 밖으로 하는 경우가 있어 비판을 받기도 한다.[41]
4. 1. 1. 국회의원
일본 국회는 일본 중의원(하원)과 일본 참의원(상원)으로 구성된다. 중의원 의원의 임기는 4년이지만, 중의원이 해산되면 임기 만료 전에 자격을 상실한다. 중의원 해산은 내각이 결정하고 천황이 실시한다.[39] 참의원 의원의 임기는 6년이며, 3년마다 의원의 절반을 선출한다.[44]중의원 의원 선거는 일반적으로 총선거라고 하며, 참의원 의원 선거는 통상선거라고 한다. 중의원 총선거는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함께 사용하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로 치러지며, 참의원 통상선거는 대선거구제, 중선거구제와 자유명부식 비례대표제를 함께 사용한다.
중의원과 참의원의 의원 정수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소선거구 | 비례대표 | 합계 |
---|---|---|---|
중의원 | 289명 | 176명 | 465명 |
참의원 | 146명 | 96명 | 242명 |
4. 1. 2. 국회의 회기
일본 국회는 매년 1회 정기국회(통상국회)를 개최한다. 또한 내각이 필요에 따라, 또는 일정 수 이상 국회의원 요구가 있을 경우 임시로 국회 소집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를 임시국회라고 한다. 보통 1월에 통상국회가 소집되며, 9월에 임시국회가 소집된다. 총리 지명을 위해 총선거 후에는 특별국회(특별회)가 소집된다.[39]국회는 회기가 있으며, 회기불계속의 원칙과 일사부재의의 원칙이 적용된다. 회기불계속의 원칙은 회기 중에 의결되지 않은 의안은 다음 회기에 계속 심의하자는 의결이 없는 한 폐기되는 원칙이다. 일사부재의의 원칙은 한 번 의결된 의안은 같은 회기 중에는 다시 제출할 수 없는 원칙이다.[40]
통상국회의 회기는 150일이며, 1회 연장할 수 있다. 임시국회와 특별국회는 내각이 필요에 따라 회기를 정하며, 2회까지 연장할 수 있다.[41]
4. 1. 3. 입법 과정
법률안은 국회의원이나 내각이 제출한다. 국회의원이 제출한 법안은 의원 입법, 중의원 의원이 제출한 법안은 중법, 참의원 의원이 제출한 법안은 참법이라고 부른다. 내각이 제출한 법안은 내각제출법안(정부제출법안) 또는 각법이라고 부른다.[3] 현재 한 회기에서 제출되는 법안의 약 30%가 의원 입법이며, 나머지 70%는 내각제출법안이다. 제출된 법안이 가결되어 성립하는 비율은 의원 입법이 약 20%인 반면, 내각제출법안은 80% 이상이다.[3] 이는 국회에서 내각총리대신을 선출하고, 그 내각총리대신이 내각을 구성하는 의원 내각제를 채택한 결과이다. 내각총리대신을 배출한 여당과 내각은 협력하여 내각이 제출한 법안의 성립을 위해 노력한다.[3]내각제출법안의 성립 과정[3]
# 소관 성청이 '''제1차안'''을 작성하며, 이를 관계 성청과 여당이 의견을 조정하며 심의회에 자문하거나,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청취하는 등의 수정을 거친다.
# 법률안을 제출하기로 결정하면 소관 관청은 법령에 어울리는 문안으로 법문화(法文化)를 실시해, 법률안의 '''원안'''을 작성한다.
# 소관 관청에 의해 작성된 원안은 내각법제국의 예비심사를 거친다. 내각법제국에서는 헌법이나 타 법령과 위배되는 부분이 없는지, 용어나 문구가 적절한지 등에 대해 살핀다.
# 예비심사가 끝난 법안은 국회에 제출하기 위한 절차인 내각회의의 청의(請議)를 위하여, 주임 국무대신이 내각총리대신에게 관련 수속을 요청한다. 내각관방은 접수한 '''청의안'''을 내각법제국으로 송부한다. 내각법제국에서는 필요에 따라 수정하는 등의 최종 심사를 거쳐 법안을 다시 내각관방으로 회부한다.
# 내각회의에서 청의된 청의안은 내각법제국 장관이 내각회의에 그 개요를 설명한다. 내각회의에서 이의가 없다고 결정되면 '''법률안'''이 된다. 이 법률안은 내각총리대신이 국회(중의원, 참의원)에 제출한다.
의원 입법의 성립 과정[3]
# 의원은 비서관이나 의원법제국, 국립국회도서관의 직원, 관계 성청이나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 그 외의 사람이나 민간기업, 단체 등과 협의하여 법률안을 만든다. 특히 의원법제국은 전문적인 입법의 절차나, 헌법과 타 법령과의 합치 여부 조사, 법률안의 요강 작성, 법률안의 조문화 등을 실시하여 법률안을 심사하고 법제국장의 결재를 실시한다.
# 의원법제국의 심사를 거친 법률안은 심사를 의뢰한 의원에게 다시 전달되어 소속 정당의 법안 심사 수속을 거치게 된다.
# 의원이 의안을 발의하기 위해서는 중의원에서는 20명 이상의 의원, 참의원에서는 10명 이상의 의원의 찬성을 요한다. 다만 예산이 필요한 법률안에 대해서는 중의원에서는 50명 이상의 의원, 참의원에서는 20명 이상의 의원의 찬성을 요한다.
# 의원법제국의 심사를 거치고, 정해진 찬성자의 숫자를 채운 법률안은 의장에게 제출된다.
국회에 제출된 법률안의 성립 과정[3]
# 제출된 법률안은 양원 중 먼저 제출된 원(院)의 의장에 의하여, 적당한 위원회에 회부된다.
# 법률안이 회부된 위원회에서는, 먼저 주임 국무대신이 법률안을 제안한 이유 등을 설명하고 심사를 시작한다. 심사는 의원이 국무대신·부대신·대신정무관 등의 공무원 등에게 법률안에 대해 질의·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위원회의 질의·토론이 끝났을때는 위원장이 종료를 선언하고, 표결에 들어간다.
# 위원회에서 법률안의 심사가 끝난 뒤에는, 법률안이 본회의에서 심의된다. 본회의에서는 법률안이 회부된 위원회의 위원장이 심사에 대해 보고한다. 필요에 따라 법률안에 대한 찬·반에 대해 연설하는 식으로 토론한다. 토론이 끝난 뒤에는 의장이 위원회 표결의 결과를 보고하고, 본회의 표결에 들어간다.
# 본회의에서 가결된 법률안은 의장이 법률안을 심의하지 않은 다른 원(院)으로 송부한다. 법률안을 송부받은 원(院)도 위원회의 심사, 본회의의 심의 등을 거쳐 표결한다.
# 법률안은 헌법으로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중의원과 참의원의 양원이 가결했을 때에 '''법률'''이 된다.
# 법률이 성립하였을 때에는, 나중에 법률을 심의한 원(院)의 의장이 내각을 경유해 천황에게 주달한다.
# 법률은 주달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공포되지 않으면 안 된다. 법률은 주임 국무대신이 서명하고, 내각총리대신이 연서한다. 법률은 관보에 게재하는 것으로 공포된다.
# 공포된 법률은 부칙이 정하는 날에 시행된다. 시행일은 ‘공포한 날로부터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범위내에서 정령으로 정하는 날’과 같이 규정할 수도 있다.
4. 2. 행정부

행정권은 내각총리대신을 수장으로 하는 내각에 속하며, 국회에 책임을 진다.[47]
내각총리대신은 국회가 국회의원 중에서 지명하고, 일본 천황이 임명한다. 현재 내각총리대신은 기시다 후미오이다.
행정권은 내각에 속하며(일본국헌법 제65조), 국회의 의결에 의해 국회의원 중에서 내각총리대신이 지명된다(일본국헌법 제67조 1항). 내각총리대신은 천황에게 임명된다.
내각은 다음의 경우에 총사직한다.
- 중의원의 내각 불신임 의결 후 중의원이 해산되지 않을 때
- 내각총리대신이 없을 때
- 중의원 의원 총선거 후 처음으로 국회가 소집되었을 때

4. 2. 1. 내각
내각총리대신과 국무대신으로 조직되며, 행정권 행사에 대해 공동 책임을 진다.[47] 내각은 행정 사무 외에도 법률 집행, 외교 관계 처리, 조약 체결, 예산 작성, 정령(政令) 지정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이러한 업무 분담을 위해 국무대신을 책임자로 하는 12개의 성(省)을 두고 있다.내각총리대신은 국회가 국회의원 중에서 지명하고, 일본 천황이 임명한다. 내각의 통일성을 위해 내각총리대신이 국무대신을 임명하며,[48] 내각총리대신과 국무대신의 합의체인 내각을 구성한다. 국무대신은 과반수가 국회의원이어야 한다.
내각총리대신은 국무대신을 임의로 파면할 수 있다. 내각은 중의원에 의해 내각불신임 결의안이 가결되었지만, 내각이 중의원을 해산하지 않을 때에는 총사직해야 한다. 또한 내각총리대신이 없을 때나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처음으로 국회가 소집되었을 때에도 총사직해야 한다.
4. 2. 2. 행정기관
일본의 행정기관은 일본의 국가 행정 사무를 담당하며, 주로 내각 아래에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대비해 중앙정부, 중앙관청, '''중앙성청'''이나 '''성청''' 등으로 불린다.일반적으로 국가행정조직법에서 "나라의 행정기관"으로 규정한 성(省)과 그 외국(外局: 위원회나 청) 및 내각부설치법에서 규정하는 내각부와 그 외국(外局)을 가리킨다. 내각부는 내각 기능 강화로 인해 다른 성보다 높은 지위에 있는 행정기관으로 간주된다.
내각총리대신이 장이 되는 내각부와 국무대신이 장이 되는 총무성, 법무성, 외무성, 재무성, 문부과학성,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환경성, 방위성, 국가공안위원회의 1부 12성청을 지칭하기도 한다.[3]
4. 3. 사법부
일본의 사법권은 최고재판소 및 법률에 의해 설치되는 하급 재판소에 속하며, 위헌법률심사권을 가진다.[47] 최고재판소는 최고재판소 장관과 그 외의 최고재판소 재판관으로 구성된다.
4. 3. 1. 재판관
최고재판소 장관은 내각이 지명하고 천황이 임명하며, 최고재판소 재판관은 내각이 임명한다.[47] 최고재판소 장관과 그 외의 최고재판소 재판관은 임명된 뒤, 국민심사를 받는다.[47] 그 뒤 10년이 경과할 때마다 재차 국민심사를 받는다.[47] 최고재판소의 재판관은 법률이 정한 연한(70세)에 이르면 퇴임한다.[47]하급재판소(고등재판소·지방재판소·가정재판소·간이재판소)의 재판관은 최고재판소가 지명한 명부에 따라 내각이 임명한다.[47] 이들 재판소의 재판관의 임기는 10년이며, 재임할 수 있다.[47] 간이재판소 재판관의 정년은 70세이며, 이 외의 재판소는 65세이다.[47]
5. 지방 자치
일본의 지방 자치는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과 시정촌(기초자치단체)의 2단계로 구성된다.
5. 1. 지방 자치 제도
도도부현 및 시정촌 의회 의원, 도도부현지사 및 시정촌장은 모두 주민에 의해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모두 4년이다.[1]- 광역자치단체
- * 도지사
- * 광역의회
- 기초자치단체
- * 시장/군수/구청장
- * 기초의회
6. 외교
태평양 전쟁 이후 현재까지 일본의 대외 관계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951년) 및 각국과의 배상・보상 조약을 거쳐 재구축되었다. 일본의 외교 정책은 미국과의 동맹을 기축으로 하여 서방 각 국가들과 긴밀하게 제휴하면서, 반공주의, 경제 중심주의 외교라는 특징을 가진다.[49] 또한 유엔을 지원함으로써 평화로운 안정과 번영을 이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은 유엔 회원국이며,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목표로 하는 G4 국가 중 하나이다. 주요 7개국 정상회의(G7) 및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회원국이며, 아세안과는 아세안+3으로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동아시아 정상회의에도 참가하고 있다. 국제 원조 및 개발 지원 분야에서도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2004년에는 국민총소득(GNI)의 0.19%를 원조 자금으로 사용했다.[45]
패전 이후 1956년 유엔에 가입함으로써 국제 사회에 복귀하였고,[49] 거의 모든 독립국과 국교를 맺고 외교를 행하고 있다. 기시 노부스케 내각은 유엔 중심주의, 자유주의 국가들과의 협조, 아시아의 일원으로서의 입장 견지라는 외교 3원칙을 발표하였다.[49]
일본은 전통적으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아시아 각국과 깊은 관계를 유지해 왔고,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을 비롯한 세계 각국과 국교가 활발하게 되었다. 국제적으로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은 대체로 우호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일본은 전 세계 국가와 우호 관계를 맺고 있는데, 현재 맹방인 미국과의 외교를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참조) 태평양 전쟁 이후 체결된 조약에 따라 일본에는 미군이 주둔하고 있으며, 2006년까지 미국은 일본의 최대 교역국이었다. 다만, 하토야마 내각 이후 미일 관계는 여러 마찰로 인해 약해지고 있다.[50][51][52]
주변국인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 러시아 등과는 일본의 역사왜곡문제 및 영토 문제로 인해 계속 마찰을 빚고 있다.[53][54][55]
6. 1. 주변국과의 관계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951년)과 여러 국가와의 배상 및 보상 조약을 통해 대외 관계를 재구축했다. 일본의 외교 정책은 미국과의 동맹을 중심으로, 서방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반공주의와 경제 중심주의를 특징으로 한다.[49] 또한, 유엔을 지원하여 평화와 번영을 추구한다.일본은 패전 후 1951년까지 주권을 상실하여 외교 자주권을 갖지 못하고 점령국인 미국의 정책을 따랐다.[49] 이후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에서 소비에트 연방 등 공산주의 국가들이 조인을 거부한 가운데, 미일 강화조약 및 안보조약, 중화민국과의 중일조약이 체결되어 외교권을 회복했다.[49] 1955년 GATT 가입을 시작으로, 일본은 민주주의 경제 정책을 취하는 선진 공업 국가들 사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956년에는 소비에트 연방과 국교를 회복하고 유엔에 가입하여 국제 사회에 복귀했으며,[49] 거의 모든 독립국과 국교를 맺었다. 기시 노부스케 내각은 유엔 중심주의, 자유주의 국가들과의 협조, 아시아의 일원으로서의 입장 견지라는 외교 3원칙을 발표했다.[49]
일본은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국가들과 깊은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을 비롯한 세계 각국과 활발한 국교를 맺었다. 국제적으로 일본에 대한 시각은 대체로 우호적이다. 일본은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에 따라 미국과의 외교를 가장 중요시하며, 미군이 일본에 주둔하고 있다. 2006년까지 미국은 일본의 최대 교역국이었으나, 하토야마 내각 이후 미일 관계는 여러 마찰로 약화되었다.[50][51][52]
일본은 유엔 회원국이자 G4 국가 중 하나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주요 7개국 정상회의(G7),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회원국이며, 아세안+3, 동아시아 정상회의 등에 참여하며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은 국제 원조 및 개발 지원 분야에서도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2004년에는 국민총소득(GNI)의 0.19%를 원조 자금으로 사용했다.[45]
일본국 헌법은 일본이 무력을 사용하여 다른 나라와 전투를 벌이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육해공군으로 구성된 자위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자위대가 이라크에 파병되기도 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첫 해외 무장 조직 파병이었다.
주변국들과는 일본의 역사왜곡문제 및 영토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6. 1. 1. 대한민국
대한민국과는 독도를 둘러싸고 영토 분쟁이 있으며, 일본의 역사왜곡문제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다.[53][54][55]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여 국교를 정상화했으나, 독도 문제와 역사 왜곡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한국은 일본 고유 영토인 다케시마(竹島)를 독도라고 부르며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고, 일본해 명칭을 동해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45]6. 1. 2.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중화민국과는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문제가 있으며, 중국과는 오키노토리시마의 지위를 둘러싼 논쟁이 있다. 이러한 영토 문제는 이들 섬 주변 해역에 매장되어 있다고 추정되는 석유와 천연가스와 같은 천연자원 및 해양 생물 자원을 자국의 지배하에 두기 위한 분쟁으로 볼 수도 있다.[45]6. 1. 3. 러시아
북방 영토(쿠릴 열도)를 둘러싸고 러시아와 영토 분쟁을 겪고 있다.[45] 이는 석유와 천연가스 등 천연자원 및 해양 생물 자원을 자국의 지배하에 두기 위한 분쟁으로 볼 수도 있다.6. 1. 4. 북한
북한과는 일본인 납치 및 핵무기 개발 의혹과 관련된 문제가 현재 진행 중이다.[45]6. 2. 군사 및 안보
일본국 헌법은 일본의 교전과 무력 사용을 금지하고 있지만, 일본은 육해공군으로 구성된 자위대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 전쟁 당시 자위대는 후방 지원을 하였고,[58]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이라크에 파병되었다.[59][60]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이 처음으로 해외에 무장 조직을 파병한 사건이었다.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에 따라 일본에는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Political system - National political system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06-11
[2]
웹사이트
Japan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0-06-11
[3]
서적
Parliaments in the Modern World
[4]
서적
Gendai seiji : 1955-nen igo
Tōkyō Daigaku Shuppankai
1985
[5]
웹사이트
Japan as a One-Party State: The Future for Koizumi and Beyond
https://www.wilsonce[...]
Wilson Center
2023-02-09
[6]
뉴스
Japan plunged into political uncertainty after voters deliver dramatic defeat to longtime ruling party
https://www.cnn.com/[...]
2024-10-28
[7]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V-Dem Institute
2023
[8]
논문
American Influence and Japan's No-War Constitution
https://www.jstor.or[...]
1952-12
[9]
논문
The American Role in Revising Japan's Imperial Constitution
https://www.jstor.or[...]
1989
[10]
웹사이트
Reasoning Revision: Is Japan's Constitution Japanese?
https://core.ac.uk/d[...]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Waseda University)
2014-03-22
[11]
서적
Forty Years of the Constitution and its Various Influences: Japanese, American, and European
Univ. Tokyo Press
1993
[12]
웹사이트
DPJ leader Ozawa hands in resignation over grand coalition controversy – Japan News Review
https://web.archive.[...]
2018-03-17
[13]
웹사이트
JT
http://search.japant[...]
2018-03-17
[14]
웹사이트
Critical election to come - 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2009-07-22
[15]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0-06-05
[16]
웹사이트
Japan's new PM Naoto Kan names cabinet
https://www.telegrap[...]
2010-06-08
[17]
웹사이트
JT
http://search.japant[...]
[18]
웹사이트
http://www3.nhk.or.j[...]
2018-03
[19]
웹사이트
http://www.japantime[...]
2022-01
[20]
웹사이트
Abe re-elected prime minister - News - NHK WORLD - English
https://web.archive.[...]
[21]
뉴스
Shinzo Abe gains big victory in Japan election
https://www.ft.com/c[...]
2017-10-22
[22]
뉴스
Japan's snap election explained
https://www.bbc.com/[...]
2017-10-22
[23]
뉴스
Japan's Abe hails landslide victory in snap election
https://edition.cnn.[...]
2017-10-22
[24]
뉴스
Shinzo Abe declares victory in Japan election but fails to win super majority
https://edition.cnn.[...]
2019-07-22
[25]
뉴스
Shinzo Abe: Japan's PM resigns for health reasons
https://www.bbc.co.u[...]
2020-08-28
[26]
뉴스
Japanese PM Shinzo Abe resigns for health reasons
https://www.bbc.com/[...]
2020-08-28
[27]
뉴스
Yoshihide Suga confirmed as Japan’s new PM, eyes continuity
https://www.aljazeer[...]
[28]
뉴스
Japan's Prime Minister Will Step Aside After Just a Year in Office
https://www.nytimes.[...]
2021-09-03
[29]
뉴스
Fumio Kishida takes office as Japan's new Prime Minister - CNN
https://edition.cnn.[...]
2021-10-04
[30]
뉴스
Japan PM Kishida, strengthened by election win, lays out broad policy plans
https://www.reuters.[...]
2021-11
[31]
웹사이트
Ne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2004
https://web.archiv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5-04-11
[32]
뉴스
Shinzo Abe: Japan ex-leader assassinated while giving speech
https://www.bbc.com/[...]
2022-07-08
[33]
서적
Contemporary Japanese Politics and Anxiety Over Governance
Routledge
2024-08-26
[34]
서적
Japanese Politics and Government
https://www.taylorfr[...]
[35]
웹사이트
CPI 2015 table
http://www.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21-04
[36]
웹사이트
2023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Explore the results
https://www.transpar[...]
2024-07-17
[37]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22 – Economist Intelligence Unit
https://www.eiu.com/[...]
2023-02-04
[38]
웹사이트
민주주의 지수
https://www.eiu.com/[...]
[39]
서적
要説コンメンタール 日本国憲法
三省堂
1991
[40]
서적
議会法
ぎょうせい
1987
[41]
서적
要説コンメンタール 日本国憲法
三省堂
1991
[42]
서적
新・国会事典―用語による国会法解説
有斐閣
2003
[43]
서적
演習憲法
青林書院
1984
[44]
웹사이트
総務省|選挙の種類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3-03-25
[45]
간행물
Ne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2004
http://www.oecd.or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6-05-14
[46]
백과사전
일본의 정치
[47]
백과사전
일본의 정치
[48]
서적
일본의 사회와 문화
2003
[49]
백과사전
동아 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1992
[50]
뉴스
일본 선거혁명 이후 - 민주 "대등한 美日관계" 표방… 담담한 美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9-08-31
[51]
뉴스
日정권교체 계기로 美日관계 조정기 맞나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9-09-12
[52]
뉴스
日 민주당의 외교적 선택 : 미일동맹에서 동아시아외교로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9-09-12
[53]
뉴스
일본 역사왜곡…갈길 먼 `역사 바로잡기`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03-26
[54]
뉴스
일본 초등교과서 역사왜곡은 민족주의 영토교육 강화 탓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3-31
[55]
뉴스
“日 일방적 해저자원 개발, 외교문제 부를 것”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0-04-28
[56]
뉴스
日, 유엔 비상임이사국 10번째 선출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8-10-20
[57]
뉴스
유엔 안보리 개혁 논의 개시..일본 상임국 도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2-20
[58]
뉴스
"6ㆍ25 전쟁 당시 자위대 후방참전" 아사히신문 보도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4-07-02
[59]
뉴스
日, 이라크서 육상자위대 철수…"자이툰은 뭐하나?"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06-06-20
[60]
뉴스
日, 아이티에 자위대 파견…7000만 달러 추가 지원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