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말신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말신정은 1900년 의화단 운동 이후 청나라가 추진한 일련의 개혁 정책으로, 정치, 경제, 사회, 교육,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시도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과거제 폐지, 서양식 학교 설립, 입헌 운동, 군대 개혁 등이 있으며, 1901년 독판정무처 설치를 시작으로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진행되었다. 하지만 개혁의 내용적 모순, 만주족과 한족 간의 갈등, 재정 부족 등으로 인해 한계를 보였고, 결과적으로 신해혁명의 원인이 되었다. 청말신정은 중국 근대화의 출발점으로 평가받으며, 현재 중국의 재편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개혁 - 남순강화
남순강화는 1989년 천안문 사건과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중국 내 개혁개방 논쟁이 심화되자 덩샤오핑이 1992년 중국 남부 지역을 순방하며 시장경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개혁·개방을 촉구한 활동으로, 중국 경제 성장과 공산당 내 개혁파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중국의 개혁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 서태후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서태후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청나라의 정치 - 의정왕대신회의
의정왕대신회의는 청나라 초기에 설립된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초기에는 황족과 고위 관리들이 군사 문제를 심의했으나 옹정제 시대에 대각원에 의해 기능이 대체되며 권한이 축소되었다. - 청나라의 정치 - 향신
향신은 군주제 중국에서 과거를 통해 직함을 얻은 사람들로, 지방 사회에서 관원과 민중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토지개혁으로 소멸되었다.
| 청말신정 | |
|---|---|
| 개요 | |
| 유형 | 정치 체제 및 경제 개혁 운동 |
| 기간 | 1901년 - 1911년 |
| 결과 | 1911년 신해혁명으로 인한 실패 |
| 다른 중국어 이름 | 청말신정(清末新政) |
| 다른 영어 이름 | 서태후의 신정책 (Cixi's New Policies) 광서제의 신정책 (Guangxu's New Policies) 경자 신정책 (Gengzi New Policies) 청나라 말기의 신정책 (New Policies of the late Qing dynasty) 청나라 말기의 뉴딜 정책 (New Deal of the late Qing dynasty) |
2. 추진 배경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청 조정의 권위가 크게 실추되었다. 서양 선교사와 기독교 신자 살해에 대응하여 대영제국, 프랑스,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열강 8국이 연합군을 결성하여 톈진에 파병하였다. 서태후는 의화단을 지원하고 서구 열강에 선전포고를 했으나, 동남부 성을 중심으로 이를 거부하는 동남호보(東南互保) 움직임이 일어났다. 의화단 운동 진압 후, 베이징을 탈출하여 서안으로 도피한(서안몽진) 서태후는 보수파를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하였다.[22]
1901년 청조는 중앙 업무 기구인 독판정무처를 설치하여 신정을 실시하였다. 1905년 서태후는 오대신에게 서양 정치 제도를 답사하고 오도록 명령하고, 이들을 "오대신출양고찰(五大臣出洋考察)"이라 칭하며 서양으로 파견하였다. 다만, 출발 당일 혁명가 오월의 폭탄 테러로 암살 기도가 있어 출발이 연기되었다.
3. 정치 개혁
오대신이 일본과 구미 열강을 시찰하고 돌아온 후, 1906년 이들이 수집한 자료와 보고서를 정리하기 위해 고찰정치관(考察政治館)이 신설되었다. 같은 해 9월 1일, 예비 방행입헌 조서가 내려졌다. 1907년 고찰정치관은 헌정편사관(憲政編査館)으로 개칭되었으며, 의회 준비기구인 자정원(資政院)이 설립되었다. 1908년 8월 27일 중국 최초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흠정헌법대강(欽定憲法大綱)이 반포되었다.
1908년 11월 14일 광서제가 사망하고 다음날 서태후가 사망한 뒤, 선통제가 즉위하였다. 이 시기 재풍(載灃)은 섭정을 맡았으며, 1911년 새 내각을 수립하고 경친왕 혁광(奕劻)을 총리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새 내각은 황족내각이라며 비판받았다.
1902년 자오얼쉰(趙爾巽)은 지방행정 개혁안을 건의하였으며, 1905년 청 조정은 현(縣)급 이하 행정관제를 개정하는 조서를 발표하였다. 1907년 순찰권은 민정부(民政部)에 이임되고, 군사권과 재정권이 축소되었다. 한편 지방자치도 확대되어, 1908년 청 조정은 각급 자치연구소를 설립하고 성(省) 단위의 지방의회인 자의국(諮議局) 설립을 추진하였다.
1911년 5월 18일, 경친왕 혁광이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면서 중국 역사상 최초의 내각인 경친왕내각이 구성되었다. 신해혁명 발발 후, 같은 해 11월 1일 혁광은 총리직에서 사퇴하였고, 경친왕내각은 해체되었다. 1911년 11월 16일 원세개(袁世凱)가 총리대신에 올라 원세개내각이 성립되었다. 1912년 2월 12일 융유황태후가 선통제 대신 퇴위 조서를 반포했고, 청제손위(淸帝遜位)가 되면서 원세개내각도 해체되었다.
3. 1. 독판정무처 설치
1901년 4월, 청나라는 중앙 업무 기구인 독판정무처(督辦政務處)를 설치하여 신정을 실시하였다. 영록, 혁광(奕劻), 이홍장, 곤강(昆岡), 왕문소(王文韶), 구홍기(瞿鴻禨), 녹전림(鹿傳霖) 등을 독판정무대신으로 임명하였다.[6] 독판정무처는 '신정' 기간 동안 근대적 성격의 개혁 조치들을 내놓았고, 1906년 회의정무처(會議政務處)로 개칭되었다. 1911년 독판정무처는 해체되었다.
3. 2. 오대신출양고찰(五大臣出洋考察)
1905년 9월 24일, 서태후는 오대신에게 서양의 정치 제도를 답사하고 올 것을 명령하였다. 진국공(鎭國公) 재택(載澤), 호부시랑(戶部侍郞) 대홍자(戴鴻慈), 병부시랑(兵部侍郞) 서세창(徐世昌), 호남순무(湖南巡撫) 단방(端方), 상부우승(商部右丞) 소영(紹英)이 서양으로 파견될 예정이었다.[23] 그러나 출발일에 혁명가 오월(吳樾)의 폭탄 테러로 암살 기도가 있어, 오대신의 출발은 연기되었고 서세창·소영은 이성탁·상기형으로 교체되었다.
1905년 11월 26일, 청나라 조정은 각국의 헌법을 연구하고 헌정개혁을 자문하기 위한 정치체제 개혁기구인 고찰정치관(考察政治館)을 설치하였다.[7] 12월 7일에는 시찰단 제1조 대홍자, 단방이 미국으로 출발하여[8] 독일 제국, 이탈리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을 방문하였다. 1906년 1월 14일에는 시찰단 제2조 재택, 상기형, 이성탁이 일본 제국으로 출발하여 대영제국, 프랑스, 벨기에를 방문하였다.
파견된 대신들은 국회, 경찰기구, 감옥, 공장, 은행, 우체국, 박물관, 교회, 동물원, 농장 등 다양한 시설을 둘러보았으며 파견국의 각종 정치제도를 시찰하였다. 고찰단은 1906년 귀국 후 국가가 부강해지기 위해서는 헌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보고를 올렸으며, 열국정요(列國政要), 구미정치요의(歐美政治要義), 고찰정치일기(考察政治日記)를 편찬하였다. 특히 재택과 단방은 헌정을 옹호하였으며, 오대신출양고찰은 입헌 운동 및 흠정헌법대강 반포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3. 3. 입헌 운동
1906년 9월 1일, 예비 방행입헌 조서가 내려졌다. 방행헌정(倣行憲政)은 "헌정을 본떠서 시행한다"는 뜻이다.[9] 1907년 고찰정치관은 헌정편사관(憲政編査館)으로 개칭되었으며, 경친왕(慶親王) 혁광(奕劻)이 헌정편사관 대신을 겸임하였고, 형부우시랑(刑部右侍郞) 심가본(沈家本), 양도(楊度) 등이 편사관원으로 활동하였다. 혁광은 헌법 입법을 지지하였으며, 양도는 "중국 헌정대강은 마땅히 동서양 각국의 장점을 흡수하여야 한다(中國憲政大綱應吸收東西各國之所長)"와 헌정실행정서(實行憲政程序) 등을 집필하였다.
1907년 청 조정에서는 의회 준비기구인 자정원(資政院)을 설립하였는데,[10] 같은 해 상해에 장건(張謇)과 탕수잠(湯壽潛)에 의해 예비입헌공회(預備立憲公會)가 세워졌고, 이후 각지에서 다양한 입헌공회가 설립되었다.
1908년 8월 27일, 중국 최초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흠정헌법대강(欽定憲法大綱)이 반포되었다.[11] 흠정헌법대강은 전제주의적 성격이 짙었지만, 신민의 언론, 저작, 출판, 집회, 결사, 사유재산, 선거권과 피선거권 등 삼권분립의 원칙을 구현하였다.
1908년 11월 14일 광서제가 사망하고 다음 날인 11월 15일에 서태후가 사망한 후,[12] 순친왕(醇親王) 재풍(載灃)의 장남인 부의(溥儀)가 3세의 나이로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宣統帝)로 즉위하였다.
3. 4. 지방행정 개혁
1902년 산서순무(山西巡撫) 자오얼쉰(趙爾巽)은 보갑제도(保甲制度) 개편, 경찰 제도 수립, 지방 조직 기능 확대를 포함한 지방행정 개혁안을 건의하였다.[1] 1905년 청 조정에서는 현(縣)급 이하 행정관제를 개정하는 조서를 발표하였고,[1] 1907년 순찰권은 민정부(民政部)에 이임되고, 군사권과 재정권이 축소되었다.[1]
한편 지방자치도 확대되었다. 1908년 청 조정은 성(城)·진(鎭)·향(鄕)에서 청(廳)·주(州)·현(縣)에 이르기까지 각급 자치연구소를 설립하고, "각 성 자의국 헌정(各省諮議局章程)"을 입안하여 성(省) 단위의 지방의회인 자의국(諮議局) 설립을 추진하였다.[1] 자의국은 중앙의 헌정 준비 기구이자 의회인 자정원(資政院)과 함께 헌정 준비에 임하였다.[1] 또한 총독(總督)과 순무(巡撫)에게 자문, 입법 참여, 하급 기구 간 분쟁 조정, 민간 청원 접수 및 중앙 전달, 총독과 순무에게 행정 질의 등 그 역할이 확대되었다.[1] 자의국 의원 자격은 재산, 학력, 명망, 출신 및 연령 등에 제한이 있었으며, 선거는 간접적인 복식선거법(複式選擧法)에 의해 행해졌다.[1]
3. 5. 입법, 사법, 책임내각제 수립
1911년 5월 18일(선통 3년 4월 초열흘), 경친왕 혁광이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면서 중국 역사상 최초의 내각인 경친왕내각이 구성되었다. 신해혁명 발발 후, 혁광은 같은 해 11월 1일(선통 3년 9월 열하루) 총리직에서 사퇴하였고, 경친왕내각은 해체되었다.[24]
청 조정은 새 내각 관제를 시행하지는 않았으나, "내각 사무 임시 규정(內閣辦事暫行章程)"에 따라 경친왕내각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내각총리대신은 군사 통수권이 없었으며, 군 관련 모든 문제는 군자부(軍諮府) 대신 재도(載濤)가 처리하였다.[24]
신해혁명 발발 후, 1911년 11월 16일 원세개(袁世凱)가 총리대신에 올라 원세개내각이 성립되었다. 원세개내각은 한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원세개는 중화민국 남경 임시정부의 임시 대총통 손문(孫文)에게서 공화정 수립 후 총통 자리를 넘겨받기로 밀약하고, 군벌을 동원해 선통제의 섭정 융유황태후(隆裕皇太后)를 압박하였다. 1912년 1월 30일 내각에 공화정 선포 지침이 내려졌고, 2월 12일 융유황태후가 선통제 대신 퇴위 조서를 반포하면서 청제손위(淸帝遜位)가 이루어져 원세개내각도 해체되었다.[24]
4. 경제 개혁
1906년 탁지부는 "재정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올바르게 밝히기 위한 여섯가지 조치(淸理財政明定辦法六項)"를 반포하여 중앙과 지방 각 아문의 수입과 지출 책임을 통일하고, 외채 상환 계획을 세우며, 각 성의 은호[25]를 감독하고자 하였다. 재택 탁지부대신은 독판염정대신(督辦鹽政大臣)을 겸하며 전국의 염정(鹽政) 사무 및 인사행정권을 총괄하였고, 1902년 체결된 영중 통상조약의 관세 면제 비율을 논의하였다.
1910년 반포된 국폐칙례(國幣則例) 이십사개조는 은화 및 동전의 중량과 순도를 획일화하였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던 구 화폐의 총 가치가 15억 냥에 달해 청나라 정부가 구 화폐 회수 비용을 모두 감당하기 어려웠다. 이에 청조는 1911년 4월 15일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제국 4개국에 1000만파운드의 차관을 요청하였다.
1900년~1905년 기간 동안 철도는 총 5150km 증가하였는데, 이 중 청나라가 건설한 것은 京張線|경장선중국어 201.2km[26]뿐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외국에서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다. 1906년에는 농업 및 공업 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새 부문(部門)이 설치되었다.
4. 1. 재정 개혁
1906년 탁지부는 중앙과 지방 각 아문의 수입과 지출 책임을 통일하고, 외채 상환 계획을 수립하며, 각 성의 은호[25]를 감독하는 등의 목적으로 "재정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올바르게 밝히기 위한 여섯 가지 조치(淸理財政明定辦法六項)"를 반포하였다.4. 2. 세제 개혁
탁지부대신 재택은 독판염정대신(督辦鹽政大臣)을 겸하며 전국의 염정(鹽政) 사무 및 인사행정권을 총괄하였고, 1902년 체결된 영중 통상조약의 관세 면제 비율을 논의하였다.4. 3. 화폐제도 개혁
1910년에 반포된 국폐칙례(國幣則例) 이십사개조는 은화 및 동전의 중량과 순도를 획일화하였다. 다만 당시 시중에 유통되고 있던 구 화폐의 총 가치는 15억 냥에 달하고 있었기 때문에, 청나라 정부가 구 화폐 회수 비용을 모두 감당하기 어려웠다. 청조는 결국 화폐제도 개혁 시행을 위해 1911년 4월 15일에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제국 4개국에 1000만파운드의 차관을 요청하였다.4. 4. 철도 발전
1900년~1905년 기간 동안 철도는 총 5150km 증가하였다. 이 중 청나라가 건설한 것은 京張線|경장선중국어 201.2km뿐이었고, 나머지 철도는 모두 외국에서 지분을 소유하고 있었다.[26]4. 5. 공업 진흥
1906년에 농업 및 공업 발전을 장려하기 위하여 새 부문(部門)을 설치하였다.5. 사법 개혁
청말신정 시기에는 형법을 새로 제정하고, 능지형 등 고문을 폐지하는 등 사법 제도 개혁이 이루어졌다.
5. 1. 고문 폐지
새로이 형법을 제정하면서, 능지 등의 물리적 고문을 폐지하였다. 또한 연좌제를 폐지하고 서양처럼 개인책임제를 이행하였다.6. 교육 개혁
1901년 장지동의 과거 제도 개혁 청원을 시작으로, 1905년 과거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기까지 일련의 교육 개혁이 이루어졌다. 과거제 폐지 이후에는 서양식 학교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각 성에는 군사 학교가 설립되었다.[17] 전통적인 서원들은 서구식 학교로 바뀌었고,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교과서가 출판되었다.[17]
6. 1. 과거제도 개혁
1901년 6월 3일, 장지동은 과거 제도의 개혁을 청원하였다.[17] 7월 26일, 장지동은 유곤일과 함께 서양 학문을 가르치는 학교 설립, 문과(文科) 개혁, 무과(武科) 폐지를 상소하였다.[17] 8월 29일, 청 조정은 1902년부터 문과를 개혁하고 무과를 폐지한다는 칙령을 내렸다.[17]1903년 3월 13일, 원세개와 장지동은 과거제의 정원을 점차 줄일 것을 건의하였다.[17] 1904년 7월, 마지막 과거 시험(전시)이 실시되었고,[17] 1905년 9월 2일, 과거제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17]
6. 2. 학교 설립
과거제가 폐지된 이후, 서양식 학교 제도를 시행하였다. 학제는 5년제 유치원인 몽양원(蒙養院), 8년제 소학당, 5년제 중학당, 3년제 고등학당이었다. 역사, 문학, 산술, 지리, 체조, 회화, 외국어, 물리, 화학, 이재(理財), 법학, 세계사, 동식물학, 지질, 광산 등을 가르쳤다. 그리고 고등교육으로는 정치, 문학, 상업, 농업, 물리, 공예, 의술, 역사를 전공으로 가르쳤다.[17]7. 군사 개혁
1901년 무과가 폐지되고, 1903년 각 성의 자체 훈련이 금지되면서 전국의 군대 훈련은 중앙 연병처(練兵處)로 일원화되었다. 청 조정은 군관 훈련 제도를 마련하고, 무기 제조를 위해 한양, 상해, 광주에 대 병공창(兵工廠)을 건립하였다.[27] 1905년에는 북양군을 신군으로 개편하고, 참모부 아래 육군부를 설치하여 육군 개혁을 추진하였다.
1902년, 북양수사 재건을 위해 살진빙은 해군 사관 일본 유학, 강음 해군사관학교 설치 등을 제안하였다. 1908년에는 엄복이 소형 함선 구매, 해군학당 재정비 등의 내용을 담은 해군 진흥 계획 초고를 작성하였다. 1909년 주판해군사무처가 설치되었고, 1910년 해군부로 개칭되면서 해군 개혁이 본격화되었다.
7. 1. 군관 훈련
1901년 청 조정은 무과를 폐지하고, 1903년 각 성에 자체 훈련을 금지시켰다. 전국의 군대 훈련은 중앙 연병처(練兵處)에 일원화하여 통제하기로 하였다. 군관 훈련 제도는 3년 동안 각 성의 초급 군사학당(軍事學堂)에서 훈련을 한 뒤, 2년 동안 전국 4개소의 국립 육군중학당(陸軍中學堂)에 진학하여 배우고, 마지막으로 6개월 동안 견습으로 군대에서 복무한 후 육군고등학당(陸軍高等學堂)으로 승진하는 방식이었다. 학당에서의 교습은 주로 일본인들이 하였다.[13]
7. 2. 군계(軍械): 무기(武器)
1901년, 의화단의 난 이후 서구 열강은 중국의 무기 수입을 금지했다. 이에 청 조정은 한양, 상해, 광주에 대규모 병공창(兵工廠)을 건립하여 자체적으로 무기를 제조하였다. 1910년에는 중국 내 산포(山砲)[27], 탄약, 연발 라이플, 기관총 수요를 감당할 만큼 생산량이 증가하였다.7. 3. [[육군]] 개혁
1905년, 북양군은 신군으로 개편되었다. 20세 청년은 25세까지 3년간 정규군으로 복무하고, 이후 2년간 예비군으로 복무하는 것이 규정되었다.[15] 청조는 참모부 아래 육군부를 설치하고, 10년 내에 1개 진(鎭) 당 12,500명씩, 총 50만 명의 정규군을 편성할 계획이었다. 1911년까지 14개 진, 20개 군, 약 19만 명을 편성했으나, 원래 계획은 1912년 이후에야 완성되었다.[14]
1904년 여름, 육군 개편 위원회는 육군 개편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중앙 정부 관리를 지방에 파견하여 황제 칙령 준수 여부 확인
- 새로운 군대는 지방 정부가 통제, 모집하지만 최종적으로 황실에 책임
- 훈련된 전문 장교, 참모, 최전선 장교 필요성 강조
- 장교 급여 인상, 부패 처벌 강화[15]
- 신병 문맹률 20% 제한, 진급/강등 제도 도입
- 용기와 공헌에 대한 포상, 퇴역/사망/장애 연금 제도 재도입
- 서구식 의료, 물류 시스템 권장, 무기 표준화 추진[15]
새로운 육군은 상비군, 1급 예비군, 2급 예비군으로 구분되었다. 복무 기간은 정규군 3년, 1급 예비군 3년, 2급 예비군 4년이며, 각 단계별로 급여와 훈련이 감소했다.[15]
새로운 편제는 2개 사단으로 구성된 군단이 기본이었다. 각 부대별 구성과 정원은 다음과 같다.
- 사단: 참모, 2개 보병 여단, 1개 기병 연대, 1개 포병 연대, 1개 공병 및 수송 대대, 밴드 (총 12,512명: 장교 748명, 부사관 및 사병 10,436명, 지원 인원 1,328명)
- 군단: 1,595명의 장교, 23,760명의 사병, 4,469마리의 말과 노새, 108문의 대포[16]
새로운 급여 체계는 다음과 같았다.
| 직책 | 월 급여 (냥) |
|---|---|
| 군단장 | 1,600 |
| 사단장 | 1,000 |
| 여단장 | 500 |
| 연대장 | 400 |
| 대대장 | 180~260 |
| 중대장 | 58~64 |
| 소위 | 25 |
| 하사 | 5.1 |
| 부사관 | 4.8 |
| 1급 사병 | 4.5 |
| 사병 | 4.2 |
| 초과 인원 | 3.3 |
7. 4. [[해군]] 개혁
1902년, 북양수사 재건을 위해 살진빙은 해군 부흥을 위한 4개 조항을 제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군 사관의 일본제국 유학
- 강음 해군사관학교 설치
- 마미진 조선소를 건설 및 수리기지 운용
- 연태 및 복주 해군 주둔 사령부 설치
1908년 직례총독 겸 북양대신 양사양은 엄복에게 해군 진흥 계획 초고를 작성하게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소형 함선 구매
- 해군학당 재정비 및 인재 육성
- 군항 집중 중건 및 구미(歐美) 방어
- 팽호제도 및 대만 섬 주시[28]
- 해군 발전 계획 및 체제 증강
청나라는 분기별 모금 및 각 성 분담의 방법으로 경비문제를 해결하고, 1909년 주판해군사무처(籌辦海軍事務處)를 설치하였다. 주판해군사무처는 숙친왕(肅親王) 선기(善耆), 경친왕(慶親王) 혁광(奕劻), 육군부 상서(尙書) 철량(鐵良), 광동수사 제독(提督) 살진빙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1910년, 청나라는 해군 업무의 전문 독립과 중앙 직접 통수를 명하며 주판해군사무처를 해군부(海軍部)로 개칭하였다.

8. 청말신정의 한계
개혁 초기에는 과거제 폐지, 서양식 학교 설립, 유학생 파견 정도의 성과만 있었다. 이는 무술정변으로 변법자강 운동이 실패하면서 많은 개혁파 인사들이 탄압을 받았기 때문이다. 담사동 등이 처형되고, 캉유웨이, 량치차오 등이 일본으로 망명하면서, 중국에 남아있는 인사들 중에는 개혁을 이끌 인물이 부족했다. 심지어 개혁을 피할 수 없는 화근으로 여기는 등, 개혁을 성실히 이행하는 인사들이 드물었다. 사실상 개혁의 목적은 청나라 조정과 만주족의 정치적 지위를 유지하는 것이었고, 개혁 내용은 모순적인 것이 많았으며, 만주족과 한족 간의 갈등도 심화되었다.
과거제가 폐지되고 새로운 교육제도가 시행된 후 도입된 신식 현대 학교는 서양 지식을 교육하였다. 이들은 자유 민주적인 사상으로 교육받았다. 1905년에서 1906년 사이에 국비 및 자비로 일본에 유학을 간 사람은 8천여 명에 달했고, 특히 일본 유학생 등의 해외유학생은 혁명 단체를 조직하거나 가입하여 중국을 구제하려 했으며, 청나라 정부를 타도하려 했다. 이는 헌법 운동 및 혁명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로 인하여 중국 내 지식인들의 마음은 점차 청나라 정부에서 멀어졌으며, 청나라 정부의 지위는 더욱 불확실해졌다.
개혁 및 현대화 계획은 막대한 경비를 필요로 했으나, 청나라 조정은 의화단 운동의 책임으로 외국에 지불해야 할 막대한 배상금, 신흥 열강에 비해 원숙하지 않은 생산력과 경제, 20세기 초의 황하 범람, 메뚜기떼 창궐 등의 자연재해, 외국의 경제적 침탈 등으로 인하여 신정 계획에 따른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위에서 아래로의 개혁 성과는 한계가 있었다.
이 외에 개혁이 야기한 또 다른 문제로, 적지 않은 한족의 반발이 있었다. 상부가 철도, 광산에 관한 법률을 반포하고 일부 조약 내용을 법제화하였으며, 각 성의 지방 유지들의 권리를 취소하자 한족 위주의 신사층의 불만이 가중되었다. 만한병용제(滿漢倂用) 폐지, 총독과 순무제의 폐지 및 지방관의 군사권 및 행정권 축소에 대하여서도 한족 위주의 지방관들이 반발하였다.[29] 1911년 내각이 발효된 이후 구성원 13명 중 8명이 만주족 황족 혹은 귀족이고 나머지 한족들은 중심적인 위치에 배당되지 않자, 만한(滿漢) 갈등은 절정에 이르렀다.
청조는 오대양출양고찰 이후 헌정을 논의하였는데, 1907년 흠정헌법대강을 발표하고 9년의 예비입헌기간 등을 설정하자 입헌의 즉각적인 추진을 요구하는 입헌 단체 및 개혁 단체의 설립으로 입헌 운동이 가속화되었다. 청조는 1910년 예비입헌 기간을 9년에서 5년으로 단축하였지만 동시에 각 입헌운동 단체를 해산하고 탄압하였다. 이러한 청조의 태도는 입헌파의 입헌운동이 실패한 계기가 되었으며, 청조에 의존하여 기존 질서를 유지한 채 개혁을 꾀하던 입헌파들은 청조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공화파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청나라 조정은 마지막 10년 간 서구식 자본주의 요소를 도입하고 근대 제도를 수용하고, 군사 · 재정 등의 행정권을 회수하여 중앙집권화를 시도하였으며, 정치, 경제, 사법, 교육, 군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결국 내용적 모순 및 만한 갈등, 그리고 내외적 역량 부재로 혁명파의 불만을 샀다. 마침내 1911년 10월 10일 무창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나 신해혁명이 발발하고, 이듬해 청나라가 공식적으로 멸망하면서, 개혁은 실패로 끝났다.
9. 평가
변법자강운동에서 제기되었던 여러 서구식 제도들을 수용하고, 후기에는 입헌개혁 및 의회제를 실시하여, 이 기간 동안 정치, 경제, 사회, 교육, 군사, 관직의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청조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어느 정도 근대화 개혁의 구상을 상당 부분 진행시킨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크게 보면 양무운동과 변법자강운동의 연속이라 볼 수 있다.[30]
일각에서는 신해혁명 발발로 중단된 것이며, 만약 당시 신해혁명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개혁이 성공하고 청나라가 자본주의적 현대화를 이뤄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30]
역사가 쉬 임마누엘(Immanuel C. Y. Hsu)는 과거 시험 제도의 폐지, 현대식 학교 설립, 유학생 파견을 제외하면, 개혁은 본질적으로 실질적인 내용이나 성과의 약속이 거의 없는 시끄러운 시위에 불과했다고 평가했다.[18] 그러나 다이애나 프레스턴과 같은 다른 역사가들은 이러한 개혁이 더 '발전된' 사회로의 진전에서 중국의 후기 발전에 미친 영향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1900년의 사건과 그 여파는 비록 늦고 마지못해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광범위하고 현대 국가의 토대를 마련한 개혁을 촉진했다고 주장한다.[19]
신정은 현재 중국의 재편을 위한 실질적인 시작으로 평가받고 있기도 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Modern East Asia
https://nol2.aca.ntu[...]
2021-03-28
[2]
논문
The births of International Studies in China
[3]
서적
Teacher Management in China: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al Syste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17
[4]
서적
China Review Internationa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Center for Chinese Studies and University of Hawaii Press
[5]
웹사이트
A Study of the Five Ministers' Overseas Study Tour at the End of Qing Dynasty
https://web.iss.u-to[...]
2011-03-23
[6]
논문
Reconsidering 1911: Lessons of a sudden revolution
2012
[7]
서적
Constitutionalism and legal reform in the late Qing Dynasty
China Social Sciences Press
2003
[8]
서적
The Trend of China's Political Reform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Movement in the Late Qing Dynasty
People's Publishing Press
1993
[9]
서적
Chinese History Dictionary
Yanbian People's Publishing Press
2001
[10]
서적
Perspective of Old Shanghai: A Study of Shanghai History of Chinese and Japanese Young Scholars
Shanghai Academy of Social Sciences Press
2004
[11]
서적
Xin hai : guo yun 1911
Zhongguo min zhu fa zhi chu ban she
2011
[12]
서적
Zhongguo zheng dang zheng zhi yan jiu, 1905–1949
Zhong yang bian yi chu ban she
2007
[13]
논문
Military Employment in Qing Dynasty China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3
[14]
서적
China
[15]
서적
The Rise of Chinese Military power 1895-19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Rise of Chinese Military power 1895-19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서적
Reinventing China
Sage Publications
[18]
서적
The Rise of Modern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Boxer Rebellion The Dramatic Story of China's War on Foreigners That Shook the World in the Summer of 1900
Bloomsbury Publishing
[20]
문서
Mongolia in the Twentieth Century: Landlocked Cosmopolitan
[21]
서적
Darjeeling: The Unhealed Wound
Blue Rose Publishers
[22]
서적
중국
늘품플러스
[23]
서적
천추흥망
따뜻한손
[24]
문서
'청제손위'는 "청나라 황제가 퇴위하다."라는 뜻이다. 청나라 황실은 [[원세개]]에게 전권을 부여하고 [[중화민국]] [[남경]] 임시정부와 협상을 통해, '대 청나라 황제 퇴위 후의 우대에 관한조약(關於大淸皇帝辭位後優待之條件)'을 받아들이면서 공화정 수립을 결단하고, '청제손위조서(淸帝遜位詔書)'를 발표하였다. 이로써 [[중국]]을 286년간 통치한 마지막 왕조 [[청나라]]는 [[1912]]년 공식적으로 멸망하였다.
[25]
문서
은호(銀號)는 개인이 [[은행업|은행]]을 겸하여 운영하던 [[환전상|환전]]인 전장(錢庄) 중 비교적 큰 규모의 가게를 말한다. 호(號)는 점(店)과 같은 뜻이다.
[26]
문서
경장선은 [[북경]](北京) 서직문(西直門)에서 [[허베이|하북성]] 장가구(張家口)까지 이어진 철도이다.
[27]
문서
산포(山砲)는 산악 지형 등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쓸 수 있도록 분해 운반이 가능하게 만든 대포를 말한다. 포신(砲身), 포가(砲架), 바퀴 등이 분해된다.
[28]
문서
"[[펑후 제도]](澎湖諸島)는 [[타이완 성]](臺灣省) [[펑후 현]](澎湖縣)에 속하는 제도이다. 1894년 청일전쟁 후 [[펑후 제도]]는 1895년 3월 일본에 점령당했으며, 같은 해 4월,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타이완]]이 일본에 할양되었다."
[29]
저널
"국외 청말신정 연구 논문 술평(國外淸末新政硏究專著述評)"
[30]
저널
"청말신정과 청조 통치의 멸망"(淸末新政與淸朝統治的滅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