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시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시트인은 기원전 18세기부터 바빌로니아에 등장하여 기원전 16세기부터 세력을 확장한 민족이다. 자그로스 산맥 기원설이 유력하며, 바빌론 제1왕조 멸망 후 바빌로니아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카시트 왕조는 바빌론 제3왕조로 불리며, 이집트, 히타이트, 미탄니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강국으로 성장했다. 쿠리갈주 1세 치세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시리아와 엘람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기원전 1155년 멸망했다. 카시트어는 미분류 언어로, 아카드어와 수메르어를 행정 및 종교 언어로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고대사 - 아케메네스 제국
키루스 2세가 건설한 아케메네스 제국은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이집트까지 아우르는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며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 사트라프를 통한 지방 통치, 조세 및 화폐 제도 정비, 관용 정책 등을 시행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반란으로 쇠퇴하여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멸망했다. - 이란의 고대사 - 우라르투
우라르투는 기원전 13세기부터 6세기 초까지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존재했던 고대 왕국으로, 아시리아 문헌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통일 왕국으로 발전하여 전성기를 누리다 킴메르족과 메디아의 공격으로 멸망했다. - 쿠웨이트의 역사 - 쿠웨이트 침공
쿠웨이트 침공은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기습 침공하여 점령한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규탄과 다국적군의 개입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쿠웨이트가 해방되었다. - 쿠웨이트의 역사 - 쿠웨이트 공화국
쿠웨이트 공화국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후 세워진 괴뢰 정부로, 이라크의 합병 선언과 국제 사회의 반대로 단기간에 소멸되었으며, 이는 걸프 전쟁의 발발 원인이 되었다.
카시트인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카사이트 |
다른 이름 | 카시트, 카슈슈 |
역사 | |
존속 기간 | 기원전 1531년경 - 기원전 1155년경 |
수도 | 두르-쿠리갈주 |
이전 | 바빌로니아 제1왕조 |
이후 | 바빌로니아 제2왕조 |
지리 | |
위치 | 카르두니아시 |
언어 | |
사용 언어 | 카사이트어 |
종교 | |
종교 | 카사이트 신화, 후대에 메소포타미아 종교로 통합 |
2. 역사
카시트인의 원래 고향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자그로스 산맥 내 로레스탄 지역으로 추정된다.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기원전 18세기로, 함무라비의 아들 삼수일루나(기원전 1749년~1712년 재위) 통치 시기 바빌로니아를 공격하였다가 격퇴당했다. 이후 기원전 1595년 히타이트가 바빌론을 함락시킨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워 북부 바빌로니아를 장악했고, 기원전 1475년에는 남부까지 정복하여 바빌로니아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들은 히타이트가 약탈해 간 바빌론의 주신 마르둑의 신상을 되찾아와 다시 안치하는 등 기존 메소포타미아 문화를 존중하고 계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카시트 시대의 역사는 주로 니푸르 등지에서 발굴된 수천 개의 점토판과 파편들을 통해 연구된다. 이 점토판에는 행정, 법률, 외교 문서뿐만 아니라 문학 텍스트 등 다양한 기록이 남아있으나, 상당수는 아직 해독되거나 출판되지 않았다.[8][9] 이 외에도 여러 도시 유적에서 점토판, 건축 비문, 인장[15][16], 그리고 '쿠두루'라고 불리는 경계석[17] 등이 발견되어 카시트 시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10][11][12][13][14]
카시트인들은 니푸르, 우르, 이신 등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도시들에서 신전과 건물을 재건하거나 새로 건설하는 등 활발한 건축 활동을 벌였다.[20][21][22] 약 400년간 바빌로니아를 통치했던 카시트 왕조는 기원전 1155년 엘람의 침입으로 멸망했지만, 이들이 구축한 행정 시스템 등은 이후 이신 제2왕조에게 계승되었다.[23]
2. 1. 초기 카시트
카시트인의 원래 고향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자그로스 산맥 주변에서 메소포타미아로 들어왔다는 설이 유력하다.[25] 고대에 같은 지역에 살았던 엘람인과는 다른 언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 카시트인으로 추정되는 이름이 기원전 2112년경부터 기원전 2004년경까지의 우르 제3왕조 시기 남부 바빌론 경제 문서에 등장하지만, 그들의 정확한 기원은 여전히 불분명하다.[24]카시트인이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원전 18세기 바빌론 제1왕조 시대로, 주로 용병이나 농업 노동자로 언급되며, 특히 시파르 주변 지역에서 그들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함무라비의 아들인 바빌론 왕 삼수일루나(기원전 1749년 ~ 기원전 1712년 재위)의 통치 9년차 연호에는 "샴수일루나 왕이 카시트 군대의 모든 힘을 (물리친) 해"라는 기록이 남아있어,[26] 당시 카시트인과의 충돌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수일루나가 이들을 격퇴했지만, 카시트 세력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기원전 18세기 이후 카시트인들은 유프라테스강 중류 지역의 테르카를 거점으로 삼았다. 기원전 1595년, 히타이트가 바빌론을 함락시켜 바빌론 제1왕조가 멸망하자 바빌로니아는 혼란에 빠졌다. 카시트인들은 이 시기를 틈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북부 바빌로니아의 지배권을 장악했다. 이후 기원전 1475년경, 카시트 왕 울람-부리아슈가 남부의 해안 제1왕조(바빌론 제2왕조)를 정복하면서 마침내 바빌로니아 전역을 통일하였다. 히타이트는 바빌론 함락 시 마르둑 신상을 약탈해갔으나, 카시트 지배자들은 이를 되찾아와 바빌론에 다시 안치했다.
초기 카시트 왕들은 바빌론을 직접 통치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왕위 계승 방식이나 통치 체계는 이후 바빌론의 카시트 왕들에게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초기 카시트 왕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카시트인의 초기 역사에 대해서는 남아있는 문서 기록이 매우 적어 불명확한 부분이 많다. 이 때문에 이 시기는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일종의 공백기로 여겨지기도 한다. 니푸르 등지에서 발굴된 수천 개의 점토판과 파편들이 카시트 시대 연구의 주요 자료이지만, 상당수가 아직 해독되거나 출판되지 않은 상태이다.[8][9]
카시트인들은 비록 외부에서 온 세력이었지만, 바빌로니아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들은 바빌로니아의 신들을 숭배하고 신전을 활발히 건축했으며, 공문서 등에는 대부분 바빌로니아어(아카드어)를 사용했다.
2. 2. 카시트 왕조 (바빌론 제3제국)

카시트인의 기원은 자그로스 산맥 주변에서 메소포타미아로 이동해 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그들의 언어는 고대 엘람인과는 다른 것으로 여겨진다. 카시트인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18세기경 바빌론 제1왕조 시대에 처음 등장하는데, 당시에는 용병이나 농업 노동자로 언급되거나 전투 대상으로 기록되었다. 초기 역사는 관련 기록이 부족하여 불명확한 점이 많다.
카시트인이 본격적으로 역사의 주역으로 등장한 것은 기원전 16세기 이후이다. 기원전 1595년, 히타이트의 침공으로 바빌론 제1왕조가 멸망하자, 카시트인들은 혼란한 바빌로니아 지역에서 점차 세력을 확장했다. 정확한 지배 확립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1500년경에는 바빌로니아에서 상당한 세력을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475년경, 카시트 왕 울람부리아쉬가 해안 왕조(바빌론 제2왕조)를 멸망시키고 바빌로니아를 통일하면서 '''바빌론 제3왕조'''(카시트 왕조, 카슈 왕조)를 열었다.[27] 이 왕조는 바빌로니아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비록 외래 세력이었지만, 카시트인들은 바빌로니아 문화를 깊이 존중하고 수용했다. 그들은 바빌로니아의 신들을 숭배하며 신전을 적극적으로 건축했고, 공문서 등에는 대부분 바빌로니아어(아카드어)를 사용했다. 히타이트인들이 약탈해 간 마르두크 신상을 되찾아 바빌론으로 돌려보냈으며, 마르두크를 카시트 고유의 신 슈카무나와 동일시하기도 했다. 또한 바빌론의 이름을 '카란두니아쉬'로 바꾸고, 도시를 메소포타미아의 정치적, 군사적 중심지로 다시 부상시켰다.
카시트 시대의 역사는 주로 니푸르에서 발굴된 수천 개의 점토판과 파편들을 통해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행정 및 법률 문서, 서신, 인장 명문, 개인 서약문, 문학 텍스트 등이 포함된다.[8][9] 두르-쿠리갈주에서도 약 100개의 점토판이 발견되었고,[10][11] 키쉬에서는 쿠리갈주 1세의 이름이 새겨진 건축 자재가, 딜문(칼라트 알-바흐레인)에서는 아굼 3세 시기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12][13] 카시트 시대 문서는 총 12,000여 점이 발견되었으나, 아직 일부만 연구, 출판되었다. 건축 비문은 대부분 수메르어로 작성되었으며, 다수의 인장과 토지 기증 문서인 쿠두루 석비도 중요한 자료이다.[14][15][16][17][18][19]
카시트 왕들은 니푸르, 라르사, 시파르, 수사, 우르, 이신 등 여러 도시에서 활발한 건설 활동을 펼쳤다. 특히 니푸르는 쿠리갈주 1세 시기부터 멜리-쉬팍 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종교 및 행정 건물이 개축되었다.[20][21] 이신에서는 굴라 신전을 포함한 종교 구역이 대대적으로 재건되었다.[22]
기원전 14세기 초, 히타이트가 미탄니를 멸망시키면서 아시리아가 강성해졌고, 카시트 왕조는 히타이트, 아시리아와 함께 세력 균형을 이루었다. 동쪽의 엘람과 남쪽의 이집트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시기 강대국들은 아마르나 문서에 기록된 것처럼 활발한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무역, 조약, 왕실 간 혼인을 통해 국제적 네트워크를 형성했다.[28][29][30] 대표적인 예로 카시트 왕 카라인다쉬와 아시리아 왕 아슈르벨니세슈 간의 조약(기원전 1410년경)이 있다.
기원전 14세기 중반, 쿠리갈주 1세 치세에 카시트 왕조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엘람을 정복하고 수도 수사를 약탈했으며, 새로운 수도 두르-쿠리갈주를 건설했다.[31][32][33][34] 또한 페르시아만의 칼라트 알바레인까지 세력을 확장했다.[35]
그러나 이후 아시리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잦은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쿠리갈주 2세는 엘람을 침공하여 성과를 거두기도 했으나, 아시리아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영토 일부를 상실했다.[36][37] 점차 아시리아가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기원전 1225년경 아시리아 왕 투쿨티-닌우르타 1세가 카시트 왕 카슈틸리아쉬 4세를 사로잡아 아시리아로 끌고 가면서 바빌로니아는 한동안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후 카슈틸리아슈 4세의 아들 아다드-슈마-우수르가 다시 자립하여 아시리아의 침공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그의 사후에도 아시리아 및 엘람과의 분쟁은 계속되었다. 기원전 1160년, 자바바-슈마-이딘 왕은 아시리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영토를 크게 잃었다. 곧이어 엘람 왕 슈트루크-나훈테의 침공으로 수도 바빌론이 함락되었고, 마르두크 신상과 함무라비 법전을 비롯한 수많은 보물이 엘람의 수도 수사로 약탈당했다. (이때 옮겨진 함무라비 법전 비는 20세기에 수사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1157년, 마지막 왕 엔릴-나딘-아히가 왕조 부흥을 위해 엘람과 싸웠으나 패배하고 전사하면서, 기원전 1155년 바빌론 제3왕조는 멸망했다. 왕조 멸망 후에도 지방 행정 체계는 유지되었으며, 바빌로니아는 이신 제2왕조로 이어졌다.[23]
초기 카시트 통치자들에 대해서는 바빌론과 아시리아 왕 목록에 이름이 불분명한 8명 또는 9명의 왕이 언급되어 있다.[44][45] 또한, 니푸르 지역 비문에서 하슈마르-갈슈라는 또 다른 카시트 왕의 이름이 확인되었다.[46][47] 바빌론 제3왕조의 주요 통치자들은 다음과 같다.
통치자 | 이미지 | 재위 (단기 연대기) | 비고 |
---|---|---|---|
아굼-카크리메 | ![]() | 마르두크 조각상을 바빌론으로 반환 | |
부르나부리아쉬 1세 | 기원전 1500년경 | 아시리아의 푸주르-아슈르 3세와 조약 | |
카슈틸리아쉬 3세 | 부르나부리아쉬 1세의 아들, 아굼-카크리메의 손자 | ||
울람부리아쉬 | 기원전 1480년경 | 최초의 해안 왕조 정복 | |
아굼 3세 | 기원전 1470년경 | "해안"과 "딜문" 원정 가능성 | |
카라인다쉬 | 기원전 1410년경 | 아시리아의 아슈르-벨-니셰슈와 조약 | |
카다쉬만-하르베 1세 | 기원전 1400년경 | 수테안 원정 | |
쿠리갈주 1세 | ![]() | 기원전 x–1375년경 | 두르-쿠리갈주 창건자, 투트모세 4세와 동시대 |
카다쉬만-엔릴 1세 | ![]() | 기원전 1374–1360년경 | 아마르나 서신의 아멘호테프 3세와 동시대 |
부르나부리아쉬 2세 | ![]() | 기원전 1359–1333년경 | 아크나톤 및 아슈르-우발리트 1세와 동시대 |
카라-하르다쉬 | 기원전 1333년경 | 아시리아 아슈르-우발리트 1세의 손자 | |
나지-부가쉬 | 기원전 1333년경 | 찬탈자, "이름 없는 자의 아들" | |
쿠리갈주 2세 | ![]() | 기원전 1332–1308년경 | 부르나부리아쉬 2세의 아들, 수가기 전투에서 엔릴-니라리와 싸움 |
나지-마루타쉬 | ![]() | 기원전 1307–1282년경 | 아시리아의 아다드-니라리 1세와 동시대 |
카다쉬만-투르구 | 기원전 1281–1264년경 | 히타이트의 하투실리 3세와 동시대 | |
카다쉬만-엔릴 2세 | ![]() | 기원전 1263–1255년경 | 히타이트의 하투실리 3세와 동시대 |
쿠두르-엔릴 | 기원전 1254–1246년경 | 니푸르 부흥기 주도 | |
샤가라크티-슈리아쉬 | 기원전 1245–1233년경 | 투쿨티-닌우르타 1세에 따르면 "쿠두르-엔릴의 적자가 아닌 아들" | |
카슈틸리아쉬 4세 | ![]() | 기원전 1232–1225년경 | 아시리아 투쿨티-닌우르타 1세에게 폐위됨 |
엔릴-나딘-슈미 | 기원전 1224년경 | 엘람 왕 키딘-후트란 3세에게 폐위됨 | |
카다쉬만-하르베 2세 | 기원전 1223년경 | ||
아다드-슈마-이디나 | 기원전 1222–1217년경 | 카슈틸리아슈 4세의 아들 | |
아다드-슈마-우수르 | ![]() | 기원전 1216–1187년경 | 아시리아 왕 아슈르-니라리 3세와 일리-파다에게 무례한 편지 발송 |
멜리-쉬팍 2세 | -- | 기원전 1186–1172년경 | 닌우르타-아팔-에쿠르와 서신 교환 |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1세 | -- | 기원전 1171–1159년경 | 멜리-쉬팍 2세의 아들 |
자바바-슈마-이딘 | 기원전 1158년경 | 엘람의 슈트루크-나훈테에게 패배 | |
엔릴-나딘-아히 | ![]() | 기원전 1157년경–1155년경 | 엘람의 쿠티르-나훈테 2세에게 패배하고 사망 |
- '''참고''': 카다쉬만-투르구와 카다쉬만-엔릴 2세의 재위 순서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이견이 존재한다.[48] 또한, 위에 제시된 연대기는 주로 사용되는 단기 연대기를 따른 것이며, 다른 연대기 체계에서는 연대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2. 3. 카시트 왕조의 멸망
기원전 14세기 중반 이후, 카시트 왕조는 강성해진 북쪽의 아시리아와 관계가 악화되었고, 동쪽의 엘람과도 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1345년에 즉위한 쿠리갈주 2세는 엘람을 침공하여 수도 수사를 함락시키는 등 군사적 성과를 거두기도 했으나, 아시리아와의 전투에서는 패배하여 영토 일부를 상실했다.이후에도 아시리아와의 국경 분쟁은 계속되었고, 점차 아시리아가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마침내 기원전 1225년, 카시트 왕 카슈틸리아슈 4세는 아시리아 왕 투쿨티-닌우르타 1세에게 패배하여 아시리아로 끌려갔다. 그 후 바빌로니아는 아시리아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이 시기의 아시리아의 통치 형태가 직접적인 것이었는지, 간접적인 것이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윽고 카슈틸리아슈 4세의 아들 아다드-슈마-우수르 아래에서 바빌로니아는 다시 자립하게 되었다. 아다드-슈마-우수르는 아시리아의 침공을 막는 데 성공했지만, 그의 사후에도 아시리아와 국경 분쟁이 이어졌다.
기원전 1160년, 자바바-슈마-이딘이 즉위하여 아시리아와 싸웠지만 패배하여 크게 영토를 잃었다. 이어서 엘람 왕 슈트루크-나훈테의 공격을 받아 바빌론이 함락되고, 바빌론에 모셔져 있던 마르두크의 신상, 함무라비 법전 등 많은 보물이 수사로 옮겨졌다(이때 옮겨진 함무라비 법전 비가 20세기에 수사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1157년, 엔릴-나딘-아히가 즉위하여 왕조 부활을 목표로 엘람과 싸웠으나 패배하여 사망했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시리아 연대기에 따르면, 마지막 카시트 왕인 엔릴-나딘-아히는 기원전 1155년에 수사로 끌려가 그곳에서 감금되었고, 그곳에서 죽었다고 한다.[39] 기원전 1155년 바빌론 제3왕조는 멸망했다.[38]
이후 엘람을 격퇴하고 바빌로니아를 지배한 이신 제2왕조 시대에는 카시트 시대의 제도가 많이 계승되었다.[23] 그 관계도 있어, 카시트인은 바빌로니아의 주요 주민의 일부로 남았으며, 기원전 9세기경까지 많은 고관 등을 배출했고,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까지 기록에 남아 있었다.
3. 카시트의 통치와 문화
카시트 시대에 대한 정보는 주로 니푸르에서 발굴된 수천 개의 행정, 법률, 문학 텍스트가 담긴 점토판과 파편들에 의존한다.[8][9] 또한 두르-쿠리갈주, 딜문 등지에서도 관련 점토판이 발견되었으며,[10][11][13] 건축 비문, 인장, 그리고 토지 기증 기록인 쿠두루 석비 역시 중요한 자료이다.[14][15][16][17]
카시트인들은 바빌로니아가 쇠퇴하던 시기에 등장하여 점차 영향력을 확대했고, 때로는 바빌론에 군대를 지원하기도 했다.[27] 히타이트인들이 약탈해 간 신 마르두크의 우상을 되찾아 바빌론으로 돌려보냈으며, 마르두크를 카시트의 신 슈카무나와 동격으로 여기며 바빌로니아의 전통을 존중했다. 카시트 통치 아래 바빌론은 도시 이름을 '카란두니아쉬'로 바꾸고 메소포타미아의 정치적, 군사적 강국으로 다시 부상했다. 이 시기 바빌로니아는 비교적 안정된 시대를 맞이했으며, 하나의 통일된 영토로서 '''카르두니아슈'''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카시트 왕들은 니푸르, 라르사, 시파르, 수사, 우르, 이신 등 바빌로니아 주요 도시들에서 활발한 건설 활동을 펼쳤다.[20][21][22] 특히 쿠리갈주 1세는 엔릴, 닌릴, 닌우르타 등 바빌로니아 신들을 모시는 사원과 여러 궁전을 갖춘 새로운 수도 두르-쿠리갈주를 건설하여 카시트 왕조의 위상을 높였다.[33][34]
기원전 14세기 미탄니 왕국이 멸망하고 아시리아가 강성해지면서, 카시트 바빌로니아는 히타이트, 아시리아와 함께 삼각 권력 구도를 형성했다. 이 시기 이집트, 히타이트, 아시리아, 엘람 등 주변 강대국들과 활발한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아마르나 서한에 기록된 파라오와 카시트 왕 사이의 서신 교환(14통)을 통해 확인된다.[28] 카시트 왕가는 엘람 등 주변국 지배층과 정략결혼을 맺고[29][30] 아시리아와 조약을 체결하는 등[28] 국제적인 관계망을 구축하며 교역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카시트 통치의 특징 중 하나는 왕족이나 관료 등에게 토지를 수여한 내용을 기록한 쿠두루라는 경계석을 세운 것이다. 이 유물은 카시트 시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17]
문화적으로 카시트인들은 주로 아카드어(바빌로니아어)를 사용했지만, 바빌로니아 문화를 존중하여 수메르 문화를 부흥시키기도 했으며, 종교 문학 등에는 수메르어를 사용하기도 했다.[14] 건축 비문 대부분은 수메르어로 작성되었으나, 아카드어로 작성된 예외도 존재한다.[14]
카시트 왕조는 쿠리갈주 1세 치세에 엘람을 정복하고 수도 수사를 약탈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31] 이후 아시리아의 투쿨티-닌우르타 1세와의 경쟁에서 열세에 놓이기도 했다. 결국 기원전 12세기, 엘람의 슈트루크 왕조 침입으로 마르두크 상을 다시 약탈당하고 수도가 함락되면서 멸망했다.[38] 마지막 카시트 왕 엔릴나딘아히는 기원전 1155년 수사로 끌려가 감금되어 생을 마감한 것으로 전해진다.[39] 카시트 왕조 멸망 후에도 지방 행정 시스템은 유지되었으며, 바빌로니아는 이신 제2왕조 아래 통일된 상태를 유지했다.[23] 후대에 아시리아의 산헤립 왕은 기원전 702년 원정 당시 디얄라 강 유역의 카시트인들을 정벌했다고 기록했다.[40][41][42]
3. 1. 쿠두루
쿠두루(Kudurru)는 카시트 시대에 토지 기증이나 관련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세운 석비이다.[17] 이는 카시트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활용된다.[17] 쿠두루를 세우는 관행은 카시트 왕조가 끝난 이후에도 수 세기 동안 이어졌다.[18] 땅 표면에 있던 많은 쿠두루가 일찍 발견되어 세계 여러 박물관으로 옮겨졌다.[19]쿠두루 설치는 카시트 시대 바빌로니아 통치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석비는 주로 왕족이나 관료 등에게 토지를 주었음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과거에는 쿠두루의 존재를 근거로 카시트 시대가 봉건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통치되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소수의견으로 여겨진다. 실제로는 10개 이상의 주를 설치하고 중앙 정부에서 장관을 임명하는 방식으로 통치한 것으로 보인다.
3. 2. 예술
카시트 시대의 예술은 주로 건축 활동, 쿠두루라는 독특한 석비, 그리고 다양한 조각 및 공예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예술 활동의 흔적은 니푸르, 두르-쿠리갈주, 이신 등 메소포타미아의 여러 고대 도시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을 통해 확인된다.[8][9][10][11][20][22]카시트인들은 특히 니푸르의 재건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쿠리갈주 1세 시기부터 시작된 종교 및 행정 건물의 개축은[20] 이후 카다슈만-엔릴, 쿠두르-엔릴, 샤가락티-슈리아슈 왕들의 통치 기간 동안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또한, 아다드-슈마-우수르와 멜리-쉬팍 시대에도 꾸준히 보수 작업이 진행되었다.[20] 오랫동안 버려져 있던 이신에서도 굴라 여신의 신전을 포함한 종교 구역을 대대적으로 재건하는 등 활발한 건축 활동을 벌였다.[22] 우루크의 이슈타르 신전 정면 장식이나 두르-쿠리갈주에서 발견된 건축 자재 등은 당시 건축 양식과 장식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

쿠두루는 카시트 시대를 대표하는 독특한 예술 형식이자 중요한 역사 기록물이다.[17] 주로 토지 기증이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제작된 이 석비에는 왕이나 신들의 모습, 다양한 상징들이 정교하게 새겨져 있어 당시의 신앙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쿠두루 제작 전통은 카시트 왕조가 멸망한 이후에도 수 세기 동안 이어졌다.[18] 멜리시팍 2세의 쿠두루는 왕이 자신의 딸을 여신에게 봉헌하는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여러 신들의 상징을 함께 새겨넣어 당시의 종교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43]
이 외에도 카시트 시대의 예술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카시트 예술 연구는 주로 니푸르 등지에서 발굴된 수천 개의 점토판과 파편, 건축 비문, 인장, 쿠두루 등에 의존하고 있다.[8][9][15][16][17] 이 유물들은 행정, 법률, 종교, 문학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카시트 시대의 미적 감각과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건축 비문은 대부분 수메르어로 작성되었으나, 단 하나는 아카드어로 작성된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14]
3. 2. 1. 도자기
카시트인들은 상당한 양의 도자기를 생산했다.[53] 이 도자기는 에리두와 텔 카이버를 포함한 많은 메소포타미아 도시에서 발견된다. 고고학자들은 카시트 도자기를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시기로 구분한다.[54]- '''초기 카시트 시대''': 기원전 1415년 이전
- '''중기 카시트 시대''': 기원전 1415년 ~ 기원전 1225년
- '''후기 카시트 시대''': 기원전 1225년 ~ 기원전 1155년
바빌론 도시 딜바트에서는 지름이 2m를 넘지 않고 돔형 상단을 가진 작은 도자기 가마가 많이 발견되었다. 카시트 도자기 퇴적층에서는 잔과 물결 모양의 그릇이 흔히 발견되며, 작은 동물을 잡는 덫이나 과일 받침대로 추정되는 용기 등 다른 도자기 제품들도 발견되었다.[55] 이러한 카시트 도자기 퇴적층은 페르시아 만 지역의 알 코르 섬과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확인된다.
3. 2. 2. 유리 공예
1964년 이란 북서부 하산루에서 발굴된 기원전 800년경의 파괴층에서는 카시트 시대의 유리 비커 잔해 두 점이 발견되었다. 이 모자이크 유리 비커는 유물로서, 아마도 사원에서 의례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밀 분석 결과, 이 비커를 만드는 데 사용된 유리 조각들은 매우 밝은 색상으로, 밝은 녹색, 파란색, 흰색, 붉은 오렌지색을 띠고 있었다.[56]두르-쿠리갈주에서 발견된 카시트 시대 문헌에는 궁궐 장식을 위해 장인들에게 유리 제품이 지급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실제로 유사한 유리가 그곳에서 발견되기도 했다.[57] 또한, 기원전 1500년경으로 추정되는 비슷한 유리가 텔 알-리마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58]
3. 2. 3. 인장


카시트 시대에는 근동 왕국 전역에서 실린더 봉인이 널리 사용되었다. 이 인장들은 공식적인 물품을 표시하거나 소유권을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9] 니푸르 등지에서 발굴된 점토판 중에는 인장 명문이 포함된 것들도 있어 카시트 시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8][9] 실제로 다수의 카시트 인장이 발견되었다.[15][16]
인장에 새겨진 그림은 각기 독특했지만, 공통된 주제를 공유하는 경우도 많았다. 주로 수염을 기른 남자, 종교적 상징, 뿔이 달린 네 발 동물, 그리고 다양한 동물들이 자주 등장하는 소재였다.[60]
인장은 주로 돌, 유리, 또는 점토로 만들어졌다.[61] 인장의 이미지는 젖은 점토에 인장을 찍거나 굴리는 방식으로 새겨졌다.[61]
4. 카시트어
카시트어는 현재까지 계통이 밝혀지지 않은 미분류 언어로 분류된다. 카시트어에 대해 알려진 자료는 매우 제한적으로, 주로 개인 이름, 일부 문서 조각, 그리고 말과 전차 기술과 관련된 용어들뿐이다.[49]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인도유럽어족이나 셈어족, 또는 다른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고립어일 가능성이 가장 높게 점쳐진다. 다만 일부 언어학자들은 아르메니아 고원과 메소포타미아 북부에서 사용되었던 후르-우라르투어족과의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한다.[50]
과거에는 일부 카시트 지도자들이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이름을 가졌다는 점과, 미탄니 왕국처럼 인도유럽인 엘리트 계층이 존재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지지받지 않는 설이다. 카시트인들은 수 세기에 걸쳐 바빌로니아 문화에 점차 동화되었으며, 카시트 왕조 후기의 마지막 여덟 왕은 모두 아카드어 이름을 사용했다. 쿠두르-엔릴과 같은 일부 이름의 어원에 대해 엘람어 유래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이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51][52]
카시트인들 스스로 행정 및 종교 언어로 아카드어와 수메르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카시트어로 작성된 문서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카시트어 연구의 거의 유일한 자료는 우연히 발견된 카시트어-아카드어 대역 사전이다. 이 외에는 인명이나 신의 이름 같은 고유 명사를 통해 일부 단어를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유 명사조차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아카드어로 대체되었다. 결국 카시트어는 극히 일부 단어만이 알려져 있을 뿐, 언어의 전체적인 모습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참조
[1]
논문
"1. Babylonia under the Kassites: Some Aspects for Consideration"
De Gruyter
[2]
논문
“THE OLD TO MIDDLE BABYLONIAN TRANSITION: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ESOPOTAMIAN DARK AGE.”
[3]
논문
"2. The Early Kassite Period"
De Gruyter
[4]
논문
“The Question of the Kassite Language.”
[5]
논문
"The Kassites of Babylonia: A Re-examination of an Ethnic Identity"
De Gruyter
[6]
간행물
"Šuqamuna und Šu/imalija."
http://publikationen[...]
[7]
논문
The elevation of Marduk revisited: Festivals and sacrifices at Nippur during the High Kassite period
[8]
논문
"Kassite Exercises: Literary and Lexical Extracts."
https://melc.berkele[...]
[9]
논문
“A Letter from Kassite Nippur.”
[10]
논문
Texts from Dur-Kurigalzu
[11]
논문
Further Texts from Dur-Kurigalzu
[12]
논문
“Kish in the Kassite Period (c. 1650-1150 B.C.).”
[13]
서적
Qala'at al-Bahrain/2 The central monumental buildings
Aarhus Univ. Press
[14]
서적
Materials and Studies for Kassite History. Vol. 1, pt. A, Catalogue of Cuneiform Sources Pertaining to Specific Monarchs of the Kassite Dynasty.
https://oi.u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Kassite Glyptic of Nippur
https://www.zora.uzh[...]
Universitätsverlag / Vandenhoeck Ruprecht
[16]
논문
“SEALS OF ‘DILMUN-TYPE’ FROM FAILAKA, KUWAIT.”
[17]
논문
"10. The Babylonian Kudurru Inscriptions and their Legal and Sociohistorical Implications"
De Gruyter
[18]
논문
“Babylonian Royal Land Grants, Memorials of Financial Interest, and Invocation of the Divine.”
[19]
논문
“The Warwick Kudurru.”
[20]
논문
"Studies Concerning the Kassite Period Ekur of Nippur: Construction History and Finds"
De Gruyter
[21]
논문
"Ur:" The Kassite Period and the Period of the Assyrian Kings"."
[22]
논문
"18. Isin in the Kassite Period"
De Gruyter
[23]
논문
“Provincial Administration in Babylonia under the Second Dynasty of Isin.”
[24]
간행물
“Kassiten (Kassû),”
[25]
웹사이트
Kassites
https://iranicaonlin[...]
[26]
웹사이트
Year Names at CDLI
https://cdli.ucla.ed[...]
[27]
논문
Babylonian Encounters in the Upper Diyala River Valley: Contextualizing the Results of Regional Survey and the 2016–2017 Excavations at Khani Masi
https://eprints.gla.[...]
[28]
논문
"3. Political Interactions between Kassite Babylonia and Assyria, Egypt and Ḫatti during the Amarna Age"
De Gruyter
[29]
논문
“Diplomatic Marriage in the Egyptian New Kingdom.”
[30]
논문
"6. Kassite and Elamite Kings"
De Gruyter
[31]
서적
"Inscription of Kurigalzu I"
Blackwell Publishing Ltd
[32]
논문
"Ur in the Kassite Period"
De Gruyter
[33]
논문
"16. Dūr-Kurigalzu: New Perspectives"
De Gruyter
[34]
논문
"17. Dūr-Kurigalzu: Insights from Unpublished Iraqi Excavation Reports"
De Gruyter
[35]
논문
“Elamites and Kassites in the Persian Gulf.”
[36]
서적
"Archive und Bibliotheken in Babylon. Die Tontafeln der Grabung Robert Koldeweys 1899–1917."
Saarländische Druckerei und Verlag
[37]
간행물
"Babylon in the Second Millennium BCE: New Insights on the Transitions from Old Babylonian to Kassite and Isin II Periods"
De Gruyter
[38]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Assyrian and Babylonian Chronicles
J. J. Augustin
[40]
논문
"The Second Campaign of Sennacherib"
[41]
논문
"Geographical Studies in the Neo-Assyrian Zagros—I"
[42]
논문
"Geographical Studies in the Neo-Assyrian Zagros—II"
[43]
문서
Land grant to Ḫunnubat-Nanaya kudurru
[44]
서적
Study on the Synchronistic King List from Ashur
BRILL
[45]
논문
"The Name of the Ninth Kassite Ruler"
[46]
논문
"Cuneiform Texts in The Otago Museum: A preliminary report"
[47]
논문
'Ira Spar, Michael Jursa: "Cuneiform Texts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V: The Ebabbar Temple Archive and Other Texts from the Fourth to the First Millennium BC"'
[48]
논문
"A Middle Babylonian Legal Document Raising Problems in Kassite Chronology"
[49]
논문
"Foreign Relations of Babylonia from 1600 to 625 B. C.: The Documentary Evidence"
[50]
논문
"Kassitisch und Hurro-Urartäisch. Ein Diskussionsbeitrag zu möglichen lexikalischen Isoglossen"
[51]
간행물
The adaptation of the Kassites to the Babylonian Civilization
Peeters Publishers
[52]
논문
"Administration and Society in Kassite Babylonia"
[53]
서적
Karduniaš. Babylonia under the Kassites
De Gruyter
[54]
서적
Mesopotamian Pottery. A Guide to the Babylonian Tradition in the Second Millennium B.C.
The University of Ghent and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55]
논문
West of Edin: Tell al-Deylam and the Babylonian City of Dilbat
1992-12
[56]
논문
The Mosaic Glass Vessels from Hasanlu, Iran: A Study in Large-Scale Stylistic Trait Distribution
1991-12
[57]
논문
"Iraq Government Excavations at 'Aqar Qüf. Third Interim Report, 1944–5"
[58]
논문
"Mosaic glass from Hasanlu, Marlik, and Tell al-Rimah"
[59]
서적
Selves Engraved on Stone: Seals and Identity in the Ancient Near East, ca. 1415–1050 BCE
Brill
[60]
서적
"Principles of composition in Near Eastern glyphic of the later second millennium BC"
https://www.zora.uzh[...]
Universitätsverlag/Vandenhoeck & Ruprecht
[61]
논문
"On the Seal Impressions on Some Old Babylonian Tablets"
[62]
문서
カッシート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