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식은 불교의 유식학에서 제시하는 마음의 작용을 여덟 가지로 분류한 개념이다. 전5식, 후3식으로 구분되며, 전5식은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으로 감각적 인식을 담당하고, 후3식은 의식, 말나식, 아뢰야식으로 구성된다. 팔식 중 아뢰야식은 모든 종자를 저장하는 근본 의식으로, 다른 식들의 작용 근거가 된다.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 등 대승불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팔식의 변환을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초기 불교 경전에서 감각 의식이 식별되었고, 아뢰야식은 업과 잠재적 성향을 설명하기 위한 종자 이론에서 발전했다. 중국과 한국 불교에서도 팔식 이론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선불교에서는 팔식이 지혜로 변환되는 과정을 강조한다.

2. 용어

모든 현존하는 불교 사상은 공통적으로 최초의 여섯 가지 기본 의식(vijñāna|비즈냐나sa)의 존재를 인정한다.[3] 그러나 미륵, 무착, 세친과 관련된 유가행파sa는 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추가적인 기본 의식인 ''kliṣṭamanovijñāna|클리슈타마노비즈냐나sa''와 ''ālayavijñāna|알라야비즈냐나sa''의 존재를 긍정한다.[15]

처음 여섯 가지 기본 의식은 다섯 가지 감각 기능과 여섯 번째로 간주되는 정신 의식으로 구성된다.[4] ''kliṣṭamanovijñāna|클리슈타마노비즈냐나sa''는 에고와 번뇌의 토대를 제공하는 지속적인 미묘한 자아 집착을 나타내는 번뇌 의식으로 묘사된다. 강유르에 따르면, 가규 학자 제3대 까르마빠 랑중 꾜르제는 이 의식이 여섯 가지 기본 의식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즉각적인 측면도 가져야 한다고 지적한다.[5]

유가행파sa 팔식 네트워크(산스크리트어 ''aṣṭavijñānāni|아슈타비즈냐나니sa'')는 다음 표와 같다.

'''팔식 네트워크'''[3]
하위 그룹의식이름관련된 비정적 현상세 가지 행위 원리
영어산스크리트어티베트어중국어인지 대상인지 유형인지 감각
I. – VI.I.cakṣurvijñāna[15]མིག་གི་རྣམ་ཤེས་|미기 람셰bo眼識중국어시각
II.śrotravijñāna[15]རྣའི་རྣམ་ཤེས་|내 람셰bo耳識중국어소리들음
III.ghrāṇavijñāna[18]སྣའི་རྣམ་ཤེས་|내 람셰bo鼻識중국어냄새냄새 맡음
IV.jihvāvijñāna[19]ལྕེའི་རྣམ་ཤེས་|쩨 람셰bo舌識중국어맛봄
V.kāyavijñāna[20]ལུས་ཀྱི་རྣམ་ཤེས་|뤼끼 람셰bo身識중국어느낌촉각
VI.manovijñāna[15]ཡིད་ཀྱི་རྣམ་ཤེས་|이끼 람셰bo意識중국어생각사유마음
VII.VII.manas, kliṣṭa-manassa, kliṣṭamanovijñāna[24]ཉོན་ཡིད་རྣམ་ཤེས་|뇬 이 람셰bo末那識중국어여덟 번째 의식(자신으로 파악하는) [25]번뇌 또는 태도(산스크리트어: kleśa)마음
VIII.VIII.ālāyavijñāna|알라야비즈냐나sa,[15] 또한 섭수 의식 (ādānavijñāna)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기본 의식 (mūla-vijñāna), "모든 씨앗을 가진 마음"(sarvabījakam cittam'')이라고도 알려져 있다.[27]ཀུན་གཞི་རྣམ་ཤེས་|꾄시 람셰bo藏識중국어,주변 세계, "용기" 또는 "컨테이너" (bhājana) 세계 [28]반사적 인식마음



전통적인 해석에 따르면, 바수반두는 8가지의 식(''vijñānāni|비즈냐나니sa'', 단수: ''vijñāna|비즈냐나sa'')이 있다고 말한다.


  • 다섯 가지 감각 의식
  • 마음 (지각)
  • 마나스 (자아 의식)
  • 아뢰야식(藏識, storehouse-consciousness).


칼루파하나에 따르면, 이 8가지 식의 분류는 후대 추종자들이 바수반두의 《삼십송(Triṃśikaikākārikā)》을 오해한 데 기반한다.

2. 1. 전5식·후3식

8식에서 앞의 5가지 식인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전5식(前五識) 또는 5식(五識)이라고 하며, 뒤의 3가지 식인 의식·말나식·아뢰야식후3식(後三識)이라고 한다.

전5식은 (물질)을 인식대상으로 하는 (識)으로, 그 인식대상들을 각각 색경(색깔, 모양, 크기)·성경(소리)·향경(냄새)·미경(맛)·촉경(감촉)이라 하며 이들을 5경(五境)이라 한다.

후3식 중 의식(意識)은 5경(五境)에 법경(法境)을 더한 6경(六境)을 인식대상으로 하는 으로 제6의식이라고도 불리는데, 제7식인 말나식(末那識)에 근거하여 생겨나는 이며, 다시 말나식은 제8식인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거하여 생겨나는 이다.

전통적인 해석에 따르면, 바수반두는 8가지의 식(識, ''vijñāna'', 단수: ''vijñāna'')이 있다고 말한다.

칼루파하나에 따르면, 이 8가지 식의 분류는 후대 추종자들이 바수반두의 《삼십송(Triṃśikaikākārikā)》을 오해한 데 기반한다.

미륵, 무착, 세친과 관련된 युगाचार|유가행파sa는 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번뇌 의식''과 ''아뢰야식''의 존재를 긍정한다. 이 기본 의식 중 처음 여섯 가지는 다섯 가지 감각 기능과 여섯 번째로 간주되는 정신 의식으로 구성된다. ''번뇌 의식''은 에고와 번뇌의 토대를 제공하는 지속적인 미묘한 자아 집착을 나타낸다. 강유르에 따르면, 가규 학자 제3대 까르마빠 랑중 꾜르제는 또한 이 의식이 여섯 가지 기본 의식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즉각적인 측면도 가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युगाचार|유가행파sa 팔식 네트워크는 다음 표에 대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팔식 네트워크'''
하위 그룹의식이름관련된 비정적 현상세 가지 행위 원리
영어산스크리트어티베트어중국어인지 대상인지 유형인지 감각
I. – VI.
I.cakṣurvijñānaམིག་གི་རྣམ་ཤེས་|미기 람셰bo眼識중국어시각
II.śrotravijñānaརྣའི་རྣམ་ཤེས་|내 람셰bo耳識중국어소리들음
III.ghrāṇavijñānaསྣའི་རྣམ་ཤེས་|내 람셰bo鼻識중국어냄새냄새 맡음
IV.jihvāvijñānaལྕེའི་རྣམ་ཤེས་|쩨 람셰bo舌識중국어맛봄
V.kāyavijñānaལུས་ཀྱི་རྣམ་ཤེས་|뤼끼 람셰bo身識중국어느낌촉각
VI.manovijñānaཡིད་ཀྱི་རྣམ་ཤེས་|이끼 람셰bo意識중국어생각사유마음
VII.VII.manas, kliṣṭa-manassa, kliṣṭamanovijñānaཉོན་ཡིད་རྣམ་ཤེས་|뇬 이 람셰bo末那識중국어여덟 번째 의식(자신으로 파악하는)번뇌 또는 태도(산스크리트어: kleśa)마음
VIII.VIII.ālāyavijñānasa, 또한 섭수 의식 (ādānavijñāna)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기본 의식 (mūla-vijñāna), "모든 씨앗을 가진 마음"(sarvabījakam cittam'')이라고도 알려져 있다.ཀུན་གཞི་རྣམ་ཤེས་|꾄시 람셰bo藏識중국어,주변 세계, "용기" 또는 "컨테이너" (bhājana) 세계반사적 인식마음


2. 2. 전6식

말나식아뢰야식을 제외한 안식(눈으로 보는 것), 이식(귀로 듣는 것), 비식(코로 냄새 맡는 것), 설식(혀로 맛보는 것), 신식(몸으로 느끼는 것), 의식(생각하는 것)을 전6식이라고 한다.

모든 불교 사상은 최초의 여섯 가지 기본 의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의 존재를 공통적으로 인정한다.[3] 이 여섯 가지 의식은 다섯 가지 감각 기관(눈, 귀, 코, 혀, 몸)과 정신(마음)의 작용으로 구성된다.[4]

게룩 전통( 아티샤의 Kadam 학파에 대한 종카파의 개혁에 의해 설립되었다)의 몇몇 학자들은 유가행파 철학적 교리 체계에서만 긍정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티베트 불교의 모든 비게룩 학파는 다양한 중관파 학파에 의해 받아들여진다고 주장한다.[6]

이 여섯 가지 의식은 모든 수행자가 자신의 신체 감각 기능을 통해 경험하는 감각 데이터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유효한 직접 인지'를 기반으로 한다.[16] 이 여섯 가지 의식은 팔리 경전의 두 번째 부분인 니까야에서 기원하며, 기원전 83년에 스리랑카에서 열린 상좌부 학파의 제4차 결집에서 처음 기록되었다.[17]

'''전6식'''[3]
순서이름산스크리트어티베트어중국어대상인지 유형감각 기관
I.안식cakṣurvijñāna[15]眼識중국어시각
II.이식śrotravijñāna[15]耳識중국어소리들음
III.비식ghrāṇavijñāna[18]鼻識중국어냄새냄새 맡음
IV.설식jihvāvijñāna[19]舌識중국어맛봄
V.신식kāyavijñāna[20]身識중국어느낌촉각
VI.의식manovijñāna[15]意識중국어생각사유마음


2. 3. 7전식·전식·전7식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대승불교에서는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의 7식(七識), 즉 7가지 은 모두 제8식인 아뢰야식으로부터 생긴 것 또는 아뢰야식이 전변하여 나타난 것이라고 본다. 이들을 통칭하여 '''7전식'''(七轉識) 또는 '''전식'''(轉識)이라 부른다.[49]

'''8식 네트워크'''[3]
하위 그룹영어산스크리트어티베트어중국어
I. – VI.I. 안식cakṣurvijñāna[15]眼識중국어
II. 이식śrotravijñāna[15]耳識중국어
III. 비식ghrāṇavijñāna[18]鼻識중국어
IV. 설식jihvāvijñāna[19]舌識중국어
V. 신식kāyavijñāna[20]身識중국어
VI. 의식manovijñāna[15]意識중국어
VII.VII. 미혹된 깨달음manas, kliṣṭamanovijñāna[24]末那識중국어



말나식아뢰야식을 제외한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을 '''전6식'''(前六識)이라고도 한다. 한편, 미륵 → 무착 → 세친 → 덕혜(德慧, Gunamati: 5세기 후반~6세기 전반) → 안혜(安慧, Sthiramati: 475~555 또는 510~570) → 진제(眞諦: 499~569)의 섭론종으로 이어진 무상유식파(無相唯識派)[50]의 논서들에서 '''전식'''(轉識)은 제7 말나식을 제외한 전6식(前六識)만을 의미한다.

2. 4. 식의 명명법

8식 중 안식(眼識) · 이식(耳識) · 비식(鼻識) · 설식(舌識) · 신식(身識) · 의식(意識)의 6식은 모두 각자의 소의근(所依根), 즉 안근(眼根) · 이근(耳根) · 비근(鼻根) · 설근(舌根) · 신근(身根) · 의근(意根)을 따라 그 이름이 붙여졌다.[3] 달리 말하면, 본래 하나인 마음(심왕, 심법)을 구분할 때 소의근에 따라 6가지 (識)으로 구분한 것이다.

8식 중 말나식(末那識)과 아뢰야식(阿賴耶識)은 그 본질적 성질 즉 자성(自性)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3] 말나식(末那識)의 본질적 성질은 언제나 심세하게 생각하는 것[恆審思量]으로, 전통적으로 '''사량'''(思量) 또는 ''''''(意)라고 하며, 이 두 낱말은 모두 산스크리트어 마나스(manas|마나스sa)를 번역한 것이다. 마나스를 음역하여 말나(末那) 또는 말나식(末那識)이라 한다.[3][4] 아뢰야식(阿賴耶識)의 본질적 성질은 인과의 종자를 함장하고 인연에 따라 그 종자를 현행 상태로 일으키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집기'''(集起: 쌓고 일으킴) 또는 ''''''(心)이라고 하며, 이 두 낱말은 모두 산스크리트어 치타(citta|치타sa)를 번역한 것이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을 아뢰야(阿賴耶) 또는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 한다.[3][5][6]

3. 전5식과 의식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을 '''전5식'''(前五識)이라고 하며, 의식을 '''제6식'''(第六識) 또는 '''제6의식'''(第六意識)이라고도 한다.

대승불교의 8식 중 전5식과 의식(제6의식)은 아뢰야식말나식을 근거로 하여 전개된다고 대승불교에서는 주장한다. 비록 이 차이가 사상적인 면에서 아주 커다란 차이이기는 하지만, 이들 6식의 성질과 작용에 대한 대승불교의 견해는 부파불교의 6식에 대한 견해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모든 현존하는 불교 사상은 "공통적으로" 최초의 여섯 가지 기본 의식의 존재를 받아들인다.[3] 그러나 미륵, 무착, 세친과 관련된 유가행파는 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추가적인 기본 의식인 ''kliṣṭamanovijñāna''와 ''''의 존재를 독특하게 긍정한다.[15]

'''팔식 네트워크'''[3]
하위 그룹의식이름관련된 비정적 현상세 가지 행위 원리
영어산스크리트어티베트어중국어인지 대상인지 유형인지 감각
I. – VI.
I.cakṣurvijñāna[15]眼識중국어시각
II.śrotravijñāna[15]耳識중국어소리들음
III.ghrāṇavijñāna[18]鼻識중국어냄새냄새 맡음
IV.jihvāvijñāna[19]舌識중국어맛봄
V.kāyavijñāna[20]身識중국어느낌촉각
VI.manovijñāna[15]意識중국어생각사유마음
VII.VII.manas, '',[15] kliṣṭamanovijñāna,[24]末那識중국어여덟 번째 의식(자신으로 파악하는) [25]번뇌 또는 태도(산스크리트어: kleśa)마음
VIII.VIII.ālāyavijñāna,[15] 섭수 의식 (ādānavijñāna), 기본 의식 (mūla-vijñāna), "모든 씨앗을 가진 마음"(sarvabījakam cittam'')[27]藏識중국어,주변 세계, "용기" 또는 "컨테이너" (bhājana) 세계 [28]반사적 인식마음


3. 1. 자성분별·계탁분별·수념분별

8식 가운데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의 전5식은 심(尋)사(伺)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감성적 인식이다. 감성적 인식이란, 인식대상의 자성(본질적 성질, 예를 들어 빨간색의 경우 빨간색 그 자체)을 분별(지각)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자성분별'''(自性分別)이라고 한다. 여기서 심(尋)은 거친 살펴봄, 즉 개괄적으로 사유하는 마음작용으로 심구(尋求: 찾고 탐구함)라고도 한다. (伺)는 정밀한 살펴봄, 즉 세밀하게 고찰하는 마음작용으로 사찰(伺察: 정밀하게 살펴봄)이라고도 한다.[1]

반면, 의식(제6의식)은 혜(慧: 판단)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오성적 인식이며, 염(念: 기억)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기억 또는 재인식이다. 오성적 인식을 '''계탁분별'''(計度分別)이라 하는데, 이는 헤아리고 판단하여 분별한다는 뜻이다. 기억 또는 재인식을 '''수념분별'''(隨念分別)이라 하며, 이는 기억 또는 재인식을 바탕으로 분별한다는 뜻이다.[2]

3. 2. 무분별·유분별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전5식(前五識)은 (尋)과 (伺)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감성적 인식(感性的認識)이다. 감성적 인식은 전통적 용어로 '인식대상의 자성(自性: 본질적 성질, 예를 들어, 빨간색의 경우 빨간색 그 자체 또는 노란색의 경우 노란색 그 자체)을 분별(지각)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자성분별(自性分別)이라고 한다. 여기서, (尋)은 거친 살펴봄, 즉 개괄적으로 사유하는 마음작용으로, 전통적인 용어로는 심구(尋求: 찾고 탐구함)라고 한다. (伺)는 정밀한 살펴봄, 즉 세밀하게 고찰하는 마음작용으로, 전통적인 용어로는 사찰(伺察: 정밀하게 살펴봄)이라 한다.

이에 대해, 의식(意識), 즉 제6의식(第六意識)은 (慧: 판단)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오성적 인식(悟性的認識)이며, (念: 기억)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기억(記憶) 또는 재인식(再認識)이다. 오성적 인식은 전통적 용어로 '헤아리고 판단하여[計度] 분별한다'라는 뜻에서 계탁분별(計度分別)이라 하며, 기억 또는 재인식은 '기억[念] 또는 재인식[念]을 바탕으로 분별한다'라는 뜻에서 수념분별(隨念分別)이라 한다.

전5식은 감성적 인식일 뿐이므로 완전한 인식이라고 할 수 없으며, (慧: 판단)의 작용은 없고 (尋)과 (伺)의 작용만 있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불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이다. 불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을 전통적인 용어로 '[확정적인] 분별, 식별, 요별 또는 앎이 없다'는 뜻에서 무분별(無分別)이라 한다. 여기에 의식 즉 제6의식의 오성적 인식과 기억 또는 재인식이 더해짐으로써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비로소 대상에 대해 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을 가지게 된다. 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을 전통적인 용어로 '[확정적인] 분별, 식별, 요별 또는 앎이 있다'는 뜻에서 유분별(有分別)이라 한다. 한편, 전5식의 본질적 성질로서의 무분별(無分別: 불확정적인 인식)은 반야바라밀다의 무분별지(無分別智)와는 완전히 다르므로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제바설마(提婆設摩)는 《아비달마식신족론》에서 무분별(無分別) 즉 불확정적인 앎(요별)으로서의 전5식과 유분별(有分別) 즉 확정적인 앎(요별)으로서의 제6의식의 차이에 대해, 그리고 정신적 대상(즉 법경)을 인식하고 정신적 행위(즉 법경에 대한 작용)를 행하는 제6의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3. 3. 심려결탁·추탁·추구탁

8식 가운데 말나식(末那識)과 아뢰야식(阿賴耶識)은 그 본질적 성질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 (識)들이다.[49] 말나식(末那識)의 본질적 성질은 언제나 심세하게 생각하는 것[恆審思量]으로, 이것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사량'''(思量) 또는 ''''''(意)라고 하며, 이 두 낱말은 모두 산스크리트어 마나스(manassa)를 의역한 것이며 마나스를 음역하여 말나(末那) 또는 말나식(末那識)이라 한다.[49][50] 아뢰야식(阿賴耶識)의 본질적 성질은 인과의 종자를 함장하고 인연에 따라 그 종자를 현행 상태로 일으키는 것으로, 이것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집기'''(集起: 쌓고 일으킴) 또는 ''''''(心)이라고 하며, 이 두 낱말은 모두 산스크리트어 치타(cittasa)를 의역한 것이며, 이러한 성질을 가진 을 아뢰야(阿賴耶) 또는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 한다.[49]

부파불교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전5식'''(前五識)은 (尋)과 사(伺)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감성적 인식(感性的認識)이며, 감성적 인식을 전통적 용어로 '인식대상의 자성(自性: 본질적 성질, 예를 들어, 빨간색의 경우 빨간색 그 자체 또는 노란색의 경우 노란색 그 자체)을 분별(지각)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자성분별'''(自性分別)이라고 한다.[4] 여기서, (尋)의 마음작용은 거친 살펴봄의 마음작용 즉 개괄적으로 사유하는 마음작용으로 이 작용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심구(尋求: 찾고 탐구함)라고 한다. 그리고 사(伺)의 마음작용은 정밀한 살펴봄의 마음작용 즉 세밀하게 고찰하는 마음작용으로 이 작용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사찰(伺察: 정밀하게 살펴봄)이라 한다.[4][5][6]

이에 대해, '''의식'''(意識), 즉 '''제6의식'''(第六意識)은 (慧: 판단)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오성적 인식(悟性的認識)이며 또한 염(念: 기억)의 마음작용을 본질로 하는 기억(記憶) 또는 재인식(再認識)이다. 오성적 인식을 전통적 용어로 '헤아리고 판단하여[計度] 분별한다'라는 뜻에서 '''계탁분별'''(計度分別)이라 하며, 기억 또는 재인식을 전통적 용어로 '기억[念] 또는 재인식[念]을 바탕으로 분별한다'라는 뜻에서 '''수념분별'''(隨念分別)이라 한다.[4]

전5식은 감성적 인식일 뿐이기 때문에 완전한 인식이라고 할 수 없으며 또한 (慧: 판단)의 작용은 없고 (尋)과 사(伺)의 작용만 있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불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이다. 불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을 전통적인 용어로 '[확정적인] 분별, 식별, 요별 또는 앎이 없다'는 뜻에서 '''무분별'''(無分別)이라 한다. 여기에 의식 즉 제6의식의 오성적 인식과 기억 또는 재인식이 더해짐으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비로소 대상에 대해 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을 가지게 된다. 확정적인 인식 또는 앎을 전통적인 용어로 '[확정적인] 분별, 식별, 요별 또는 앎이 있다'는 뜻에서 '''유분별'''(有分別)이라 한다.[4] 한편, 전5식의 본질적 성질로서의 무분별(無分別: 불확정적인 인식)은 반야바라밀다의 무분별지(無分別智)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므로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제바설마(提婆設摩)는 《아비달마식신족론》에서 무분별(無分別) 즉 불확정적인 앎(요별)으로서의 전5식과 유분별(有分別) 즉 확정적인 앎(요별)으로서의 제6의식의 차이에 대해, 그리고 정신적 대상(즉 법경)을 인식하고 정신적 행위(즉 법경에 대한 작용)를 행하는 제6의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심려'''(審慮)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살피고 생각하다'로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생각하고 깊이 고찰하다)를 뜻한다. 《구사론》에 따르면 심려(審慮)는 '''결탁'''(決度: 확인 판단)과 함께, 정견(正見: 바른 견해)이건 악견(惡見: 잘못된 견해)이건 모든 (見: 견해)의 마음작용본질[性] 또는 공능(功能)을 이룬다.[7] 결탁(決度, saṃtīraṇasa)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판단하고[決] 헤아린다[度]'인데, 불교에서는 '확인 판단'의 뜻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어,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과는 차이가 있다.

《구사론》에서는 '''심려결탁'''(審慮決度)이 곧 (見: 견해)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보다 정확히는, "심려한 후 결탁하는 것을 (見: 견해)이라 이름한다[審慮為先決度名見]"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6식(六識) 중 전5식은 '심려한 후 결탁하는 능력', 즉 (見)의 능력을 지니고 있지 않으며 이 능력은 6식 중에서 오직 제6의식만이 가지고 있다고 말하여, 전5식과 제6의식을 분별하고 있다.[7] 정확히 말하자면, 세친은 《구사론》에서 '제6의식만이 견(見)의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지 않은데, 이런 표현은 마음마음작용의 이론, 즉 심 '''·''' 심소(心 '''·''' 心所) 이론에 어긋나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또한 《구사론》과 《성유식론》에서는 '심려한 후 결탁하는 것[審慮為先決度]'을 '''추탁'''(推度: 추리 판단, 추리하여 판단함) 또는 '''추구탁'''(推求度: 추리하고 탐구하여 판단함)이라고도 말하고 있다.[8][9][10] 추탁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추측하다, 미루어 짐작하다 헤아리다'인데, 불교 용어로서의 추탁의 의미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편, 부파불교대승불교에서는 모두 (見: 견해)이 (慧: 판단, 지혜)의 특수한 경우, 즉 따로 명칭을 붙일만한 일부인 것으로 본다. 즉, (慧)가 더 광범위한 개념인 것으로 본다.[9][10][11]

4. 말나식

말나식(末那識, manas|마나스sa)은 유식학(唯識學)에서 제7식으로,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나'라는 착각을 일으키는 의식이다.[15] 미혹된 깨달음이라고도 한다.

말나식은 직접적인 감각 인지(I~VI)와 추론적인 인지(VIII)를 결합[15]하여 작동하며, 항상 4번뇌(四煩惱)와 함께 작용한다. 4번뇌는 아치(अविद्या|아비드야sa), 아견(आत्मदृष्टि|아트마드르슈티sa), 아만(आत्ममान|아트마마나sa), 아애(आत्मस्नेह|아트마스네하sa)이다. 이러한 번뇌는 자아에 대한 집착을 강화하여 중생이 윤회(輪廻)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제3대 까르마빠 랑중 도르제는 말나식이 여섯 가지 기본 의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을 발생시키는 힘을 가진 즉각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5]

말나식은 kliṣṭamanovijñāna|클리슈타마노비즈냐나sa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에고와 번뇌(煩惱)의 토대를 제공하는 지속적인 미묘한 자아 집착을 나타내는 번뇌 의식을 의미한다.[5]

4. 1. 4번뇌

말나식은 아치(अविद्या|아비드야sa), 아견(आत्मदृष्टि|아트마드르슈티sa), 아만(आत्ममान|아트마마나sa), 아애(आत्मस्नेह|아트마스네하sa)의 4번뇌(四煩惱)와 항상 함께 작용한다. 이들 4번뇌는 모두 무명(無明)에서 비롯된 근본번뇌(根本煩惱)이다.

  • 아치(अविद्या|아비드야sa): 무명(無明)이라고도 하며, 진리에 대한 무지를 의미한다. 즉, 연기(緣起)의 도리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 아견(आत्मदृष्टि|아트마드르슈티sa): 아집(我執)이라고도 하며, 자아에 대한 그릇된 견해를 의미한다. 오온(五蘊)을 실체적인 자아로 착각하는 것이다.
  • 아만(आत्ममान|아트마마나sa): 자만(自慢)이라고도 하며, 자아를 과대평가하고 교만하게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 아애(आत्मस्नेह|아트마스네하sa): 아탐(我貪)이라고도 하며, 자아에 대한 강한 애착을 의미한다.


이 4가지 번뇌는 끊임없이 자아에 대한 집착을 강화하고, 이로 인해 중생은 윤회(輪廻)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5. 아뢰야식

아뢰야식(阿賴耶識, ālayavijñāna|알라야비즈냐나sa)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근본 의식'[6]으로, 유식유가행파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이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여섯 가지 기본 의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 외에, 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아뢰야식과 말나식(末那識, manas|마나스sa)이라는 두 가지 의식을 추가로 제시한다.[15] 아뢰야식은 '근본 의식'(mūlavijñāna|물라비즈냐나sa) 또는 '원인 의식'이라고도 불린다.

아뢰야식은 모든 경험의 씨앗(種子, bīja|비자sa)을 저장하는 '창고'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씨앗들은 과거의 행위(업)로 인해 생겨난 잠재적 에너지로, 미래의 경험을 만들어내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아뢰야식을 '종자식'(種子識) 또는 '용기 의식'이라고도 부른다.

아뢰야식은 윤회의 근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새로운 존재가 탄생할 때, 아뢰야식에 저장된 씨앗들이 정신적(nāma|나마sa) 및 물질적(rūpa|루파sa) 현상(나마루파)을 일으켜 윤회가 시작된다.

상디니르모차나 경에서는 아뢰야식을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한다.[37]


  • 전유 의식(adana-vijñana|아다나 비즈냐나sa): 신체를 파악하고 전유하기 때문.
  • 알라야-비냐나: 공통의 운명으로 신체에 머물고 집착하기 때문.
  • 마음(citta|찟따sa): 시각적 형태, 소리, 냄새, 맛, 촉감, 법(dharmas|다르마sa) 등 여섯 가지 인지 대상에 의해 쌓이고 축적되기 때문.


무착의 마하야나삼그라하에 따르면, 아뢰야식은 다른 불교 종파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38]

  • 대중부: 근본 의식(mulavijñana|물라비즈냐나sa)
  • 화지부: 윤회만큼 오래 지속되는 집합체(asaṃsārikaskandha|아삼사리카스칸다sa)
  • 상좌부: 바왕가


아뢰야식은 본래 순수하지만, '순수함과 오염, 선과 악의 신비한 혼합'을 담고 있다. 이러한 혼합으로 인해 오염된 의식에서 순수한 의식으로의 변형, 즉 깨달음이 가능하다.[39] 수행을 통해 아라한이 되면, 말나식의 네 가지 오염된 정신 기능(자아 망상, 자아 견해, 자기 도취, 자애)이 정화된다.

요약하자면, 아뢰야식은 모든 경험의 씨앗을 저장하고 윤회를 일으키는 근본 의식으로, 유식유가행파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

6. 8식의 기원과 발전

8식 이론은 초기 불교 경전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초기 불교에서는 눈, 귀, 코, 혀, 몸, 마음의 여섯 가지 감각 의식과 각각에 대응하는 대상을 언급한다. 또한, 중생을 윤회에 묶는 무의식적 과정이자 고통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근본적 경향" 또는 "잠재적 성향"인 아누사야(anusayā)에 대해 이야기한다.[32]

유가행파아비달마 불교 사상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라야식(ālaya-vijñāna) 이론과 다른 의식들을 발전시켰다.[36] 상디니르모차나 수트라는 알라야비냐나를 "모든 종자를 가진 마음"(''sarvabījakam cittam'')으로 묘사하며, 이것이 자궁에 들어가 물질적 감각 기관과 개념적 팽창에 대한 성향을 기반으로 발달한다고 설명한다.[37] 이 의식은 "전유 의식"(adana-vijñana), "알라야-비냐나", "마음"(citta)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된다.[37] 상디니르모차나 수트라는 알라야비냐나가 항상 잠재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여섯 가지 감각 의식에 의해 지원되고 의존하며 동시에 발생한다고 본다.[2]

무착의 마하야나삼그라하에 따르면, 알라야비냐나는 대중부에서 “근본 의식”(''mulavijñana''), 화지부에서 “윤회만큼 오래 지속되는 집합체”(''asaṃsārikaskandha''), 상좌부에서 바왕가로 불린다.[38]

창고 의식은 다른 모든 의식의 기능으로부터 인상을 받아 잠재 에너지, 즉 ''비자'' 또는 "씨앗"으로 보존하여 추가적인 발현과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경험적 인상을 담는 그릇이기에 "씨앗 의식"(種子識) 또는 '''용기 의식'''이라고도 한다. 유가행(瑜伽行) 가르침에 따르면, 중생의 창고 의식에 저장된 씨앗은 순수하지 않다. 창고 의식은 본래 순수하지만, "순수함과 오염, 선과 악의 신비한 혼합"을 담고 있어 오염된 의식에서 순수한 의식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각성이 가능하다.[39] 정화 과정을 거치면 마나스 의식의 네 가지 오염된 정신 기능이 정화되어 아라한이 될 수 있다. 《능가경》과 선불교 및 선종아뢰야식이 근본적으로 순수한 ''여래장''(Tathagata-garbha, 如來藏)과 동일하다고 본다.

아뢰야식과 여래장의 동일시는 힌두교의 ''아트만''(영원하고 불변하는 자아)과 ''프라크리티''(모든 정신적, 감정적, 육체적 사물이 진화하는 근원적인 기질)와 유사하다는 논쟁을 낳았다.

6. 1. 초기 불교 경전

상윳타니카야(Saṃyuttanikāya) 35.23의 삽바수타(Sabbasutta)를 비롯한 수트라피타카(Suttapiṭaka)에서는 처음 다섯 가지 감각 의식과 여섯 번째 의식을 언급한다.[30]

삽바수타에서는 "모든 것"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여섯 가지 감각 의식을 설명한다. 즉, 눈과 형상, 귀와 소리, 코와 냄새, 혀와 맛, 몸과 감촉, 마음과 생각이다. 이 가르침을 벗어나는 것은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라고 말한다.[31]

초기 불교 경전에서는 중생들을 윤회에 묶는 "근본적 경향" 또는 "잠재적 성향"을 의미하는 아누사야(anusayā)(산스크리트어: anuśayāḥ)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러한 잠재적 성향은 일반적으로 의식 아래에 있는 무의식적 과정으로 여겨지며, 인지적, 정서적 고통(팔리어: ''kilesā'', 산스크리트어: ''kleśāḥ'')이 일어날 수 있는 잠재력을 나타낸다.[32]

6. 2. 유가행파

유가행 학파의 경전은 마음의 작용과 마음이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는 "존재론의 체계라기보다는 경험에 대한 설명"을 의미한다.[36] 아비달마 불교 사상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에서 알라야식(ālaya-vijñāna) 이론과 다른 의식들이 발전했다. 람베르트 슈미트하우젠에 따르면, 이 개념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미래의 인지 과정을 위한 씨앗을 포함하는 기저 의식을 상정하는 유가사지론에서 발견된다.[36] 이는 또한 해심밀경과 무착의 섭대승론에서도 설명된다.

세친은 유가행 사상의 체계화자로 여겨진다. 세친은 6식의 개념을 사용하여 이를 ''삼십송''에서 상세히 설명했다.

7. 불교에서의 8식 이해

불교의 8식 이론은 중국한국 등 동아시아 불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8식 이론은 인간 마음의 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며,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의 기반이 된다.

7. 1. 중국

법상종화엄종은 여러 개의 아뢰야식(아라야 비즈냐나) 대신 단일하고 보편적이며 영원한 아뢰야식 교리를 채택했다. 법상종에서는 이러한 아뢰야식을 "원초적 통일성"으로 묘사한다.[44]

백은의 사지(四智) 가르침은 팔식이 깨달음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가르침에서 불교 수행은 현실을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인식을 깨달음, 즉 "자신의 본성을 직접 보는 것"인 견성(見性)으로 바꾸는 것이다.

따라서 제8식은 대원경지(大圓鏡智)로, 제7식은 평등성지(平等性智)로, 제6식은 묘관찰지(妙觀察智)로, 제1식에서 제5식은 성소작지(成所作智)로 변환된다.

7. 2. 한국

원효는 화엄의 상호 융합(통달)과 체용 개념을 대승기신론에서 설명하였다. 《대승기신론》은 유식 사상의 아뢰야식 개념을 통해 무지와 깨달음의 근원에 대한 질문들을 다루었다. 《대승기신론》에서 상호 융합의 비유적 동의어로 사용된 전문 용어는 "침투" 또는 "훈습(薫)"으로, 오염(煩惱)이 진여(眞如)를 "훈습"하고, 진여가 오염을 훈습한다는 사실을 가리키며, 이는 마음의 현재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48]

참조

[1] 웹사이트 Sātyasiddhiśāstra http://gretil.sub.un[...]
[2] 서적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Alaya-vijña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Routledge Critical Studies in Buddhism 2003
[3] 웹사이트 Mind and Mental Factors: the Fifty-one Types of Subsidiary Awareness http://studybuddhism[...] Study Buddhism 2016-06-04
[4]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14
[5] 서적 Transcending Ego: Distinguishing Consciousness from Wisdom Namo Buddha Publications
[6] 웹사이트 English Glossart of Buddhist Terms: 'All-encompassing Foundation Consciousness'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7]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Name'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7
[8]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Consciousness'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9]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Nonstatic Phenomenon'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7
[10]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Three Circles'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7
[11]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Forms of Physical Phenomena'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12]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Cognition'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13]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Cognitive Sensor'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14] 논문 The Indian Yogācāra Master Sthiramati and His Views on the Ālayavijñāna Concept https://www.academia[...] 2016
[15] 서적 Yid daṅ kun gźi'i dka' ba'i gnas rgya cher 'grel pa legs par bśad pa'i legs par bśad pa'i rgya mdzo: Ocean of Eloquence: Tsong kha pa's Commentary on the Yogācāra Doctrine of Min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SUNY) 2013-02-06
[16]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Valid Straightforward Cognition'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7
[1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Buddhism in India before the Thirteenth-Century Invasions http://studybuddhism[...] Study Buddhism 2016-06-04
[18] 웹사이트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 鼻識 http://www.buddhism-[...] 2003-01-31
[19] 웹사이트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 舌識 http://www.buddhism-[...] 2002-05-11
[20] 웹사이트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 身識 http://www.buddhism-[...] 2002-06-13
[21]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Mental Consciousness'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7
[22]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Inferential Cognition'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7
[23]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Deluded Awareness'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24] 웹사이트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 八識 http://www.buddhism-[...] 1997-09-15
[25]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2008
[26]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Disturbing Emotion or Attitude'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27] 서적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Alaya-vijña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Routledge Critical Studies in Buddhism 2003
[28] 서적 Ālayavijñāna: on the origin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a central concept of Yogācāra philosoph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Studia Philologica Buddhica Monograph Series IVa. 1987
[29] 웹사이트 English Glossary of Buddhist Terms: 'Reflexive Awareness' http://www.berzinarc[...] The Berzin Archives 2013-02-06
[30] 웹사이트 Sabbasutta: The All https://suttacentral[...]
[31] 웹사이트 Sabba Sutta: The All http://www.accesstoi[...]
[32] 서적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Alaya-vijña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Routledge Critical Studies in Buddhism 2003
[33] 웹사이트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 心相續 http://www.buddhism-[...] 2004-09-11
[34] 서적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Alaya-vijña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Routledge Critical Studies in Buddhism 2003
[35] 서적 Ālayavijñāna: On the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of a Central Concept of Yogācāra Philosophy 1987
[36] 서적 Ālayavijñāna: On the Origin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a Central Concept of Yogācāra Philosoph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1987
[37] 논문 How Innovative is ALAYAVIJÑANA
[38] 서적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Alaya-vijña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Routledge Critical Studies in Buddhism 2003
[39] 웹사이트 The Lankavatara Sutra, A Mahayana Text http://lirs.ru/do/la[...]
[40] 간행물 Consciousness Mysticism in the Discourses of the Buddha Curzon Press 1989
[41] 웹사이트 What is and isn't Yogācāra http://www.acmuller.[...] 2016-01-12
[42] 서적 Buddhist and Freudian Psychology NUS Press 1992
[43] 서적 Buddhist and Freudian Psychology https://books.google[...] NUS Press 1992
[44]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Comparative Studies in Greek and Indian Philosophie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12-02-07
[45]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Comparative Studies in Greek and Indian Philosophie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12-02-07
[46] 웹사이트 Hakuin Ekaku (1685-1768). Selected Writings http://terebess.hu/z[...]
[47] 웹사이트 Master Hsu Yun (Xu Yun) - Daily Lectures at Two Ch'an Weeks 2011-10-08
[48] 웹사이트 The Key Operative Concepts in Korean Buddhist Syncretic Philosophy: Interpenetration (通達) and Essence-Function (體用) in Wŏnhyo, Chinul and Kihwa http://www.acmuller.[...] 1995-03
[49] 백과사전 아뢰야식 阿賴耶識 http://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
[50] 백과사전 유식파의 계보 http://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
[51] 사전 決度 http://zonmal.com/ha[...] 2012-11-20
[52] 사전 推度 http://cndic.naver.c[...] 201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