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월어는 베트남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의 일종으로, 베트남 역사 속에서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유입되었다. 초기에는 정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며, 베트남 고유의 발음으로 변화하여 베트남어의 일부가 되었다. 한월어는 고대 한월어와 한월어 두 가지 계층으로 나뉘며, 중세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한월어는 한국어, 일본어의 한자어와 유사하게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며, 베트남어 특유의 표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현대 베트남어에서는 한자 사용이 줄어들면서 한월어 사용도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인명 표기나 격식 있는 문맥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국가 이름 표기에도 사용되어, 중국어 발음을 베트남어식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 베트남어 - 베트남 문학
    베트남 문학은 베트남의 역사, 문화, 사회상을 반영하는 문학 작품들을 통칭하며, 한문 문학, 쯔놈 문학, 쯔꾸옥응 문학으로 구분되고, 격동의 역사를 거치면서 다양한 주제와 기법으로 발전해 왔다.
  •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한자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한월어

2. 역사

초기 베트남 역사에서 중국의 지배와 지속적인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한국이나 일본과 마찬가지로 정치, 교육, 과학, 학문 등 여러 분야에서 한자어가 쓰였다. 중국에서 유입된 한자어는 점차 베트남식으로 읽히며 베트남어의 일부로 흡수되었다.

베트남어족의 조상은 무성조이며 이음절로, 많은 자음군을 특징으로 하며 접사를 사용했다. 베트남어와 므엉어의 조상인 북부 베트남어는 타이어족 및 중국어와 오랫동안 접촉해 왔으며, 이는 동남아시아 대륙 언어 지역으로 알려진 수렴 지역의 일부이다. 그 결과, 중세 중국어와 베트남어를 포함한 이 지역의 대부분의 언어는 분석 언어이며, 거의 모든 형태소가 단음절이고 굴절이 없다. 음절의 음운 구조 또한 유사하다. 원래 자음군의 흔적은 17세기 자료에서 발견되지만, 현대 베트남어에서는 사라졌다.

15세기 전반 레 왕조 시대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형률이 만들어졌고, 과거 제도도 완성되었다.[15] 한자를 폐지한 후, 한어를 고유어로 대체하기도 했지만(예: 비행기를 (비기)에서 máy bayvi로 개정)[12], 새로 만들어진 한어도 있다(예: (무선전형, 텔레비전) 등).[16]

한월어에서도 다른 언어의 한자어와 마찬가지로, 원래 중국에는 없는 단어와 표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목사"는 "linh mụcvi (靈牧)"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다른 한자 문화권에는 없는 표현이다. 또한,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의 "이론"에 해당하는 단어를 "lý thuyết|理說vi)"로 표기하는데, 이는 고대 중국어에 있던 단어를 "theory영어"의 번역어로 사용한 것이다. 미국의 공식 명칭은 "Hoa Kỳvi (花旗)"로 불리며, 이는 중국어에서는 미국의 국기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베트남어의 "giám đốc|監督vi"은 "이사"를 의미하며, "sinh viênvi (生員)"은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의미했지만, 지금은 "대학생"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식 한자어는 베트남에 도입되어 중국어 및 베트남어와 공통점을 가지지만, 이미 어휘가 존재했던 경우에는 일본식 한자어가 도태되기도 했다. 이 경우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만 공통적인 어휘가 사용되고, 중국어 및 베트남어에서는 다른 어휘가 사용된다. 서양에서 유래된 개념 어휘와 추상 어휘는 공통적인 반면, 구체적인 어휘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와 베트남어에서 의미가 다른 "동형 이의어"의 예
일본어베트남어
쯔 꾸옥 응으한자
의사bác sĩvi博士
지도bản đồvi版圖
박물관bảo tàngvi寶藏
데모biểu tìnhvi表情
학사cử nhânvi舉人
능력khả năngvi可能
배신phản phúcvi反復
수단phương tiệnvi方便
대학생sinh viênvi生員
사고tai nạnvi災難
날씨thời tiếtvi時節
도서관thư việnvi書院
박사tiến sĩvi進士


2. 1. 고대 한월어

안남에 유입된 한자음 중 당나라 이전 시기에 들어온 것을 고한월음(古漢越音)이라 한다. 예를 들어 'bay'(날다)는 飛(날 비)자의 옛 소리가 변한 것으로, 현대 독음인 'fei'와 구별된다. 이는 한국어의 (←필筆)이나 (←묵墨)과 비슷한 경우이다.

중국어(왼쪽) 어휘와 만다린어 및 광둥어 발음을 비교하고, 베트남어 고유 어휘(오른쪽)를 비교한 그림


중국의 천 년 지배 결과, 소수의 한자어가 베트남어로 차용되었는데, 이를 고대 한월어 계층이라고 부른다. 독립 이후 천 년 동안 한문 사용으로 상당수의 한자어가 차용되었으며, 이를 한월어 계층이라고 부른다. 언어학자 왕리는 이러한 계층을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2]

고대 한월어 계층은 기원전 111년 베트남 북부를 포함한 남월 왕국의 중국 정복 이후 도입되었다. 중국어의 영향은 동한 시대(25–190 AD)에 특히 두드러졌는데, 이는 중국 이민의 증가와 영토를 한화하려는 공식적인 노력 때문이었다. 이 계층은 약 400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완전히 동화되어 베트남어 화자에게 고유어로 간주된다. 또한 일부 고대 한월어 단어는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에 거주했던 안남 중세 중국어 화자에게서 proto-Viet-Muong으로 언어가 이동하면서 유래했다는 이론도 있다.[2]

훨씬 더 광범위한 한월어는 절운과 같은 중국 운서와 함께 당나라 말기(618–907)에 도입되었다. 베트남 학자들은 베트남어 음운론 내에서 중세 중국어를 체계적으로 렌더링하여 전체 중국어 어휘에 일관된 발음을 도출했다. 880년에 중국인을 몰아낸 후, 베트남은 중국 모델을 기반으로 국가를 건설하려 했고, 행정 및 학문을 포함한 모든 공식 문서를 위해 20세기 초까지 한문을 사용했다. 이 기간 동안 약 3,000개의 단어가 베트남어에 유입되었다. 이 중 일부는 고대 한월어 단계에서 차용된 단어의 재도입으로, 베트남어와 중국어의 음운 변화로 인해 다른 발음을 가지며, 종종 의미 변화를 동반했다.

여러 번 차용된 한자어의 예
중국어
(고대 > 중세)
고대 한월어한월어
mùi '냄새, 향기'vị '맛, 풍미'
vốn '자본, 자금'bản '뿌리, 기초'
việc '일, 사건'dịch '서비스, 부역'
'모자'mạo '모자'
giày '신발'hài '신발'
gả '결혼하다'giá '결혼하다'
vợ '아내'phụ '여자'
cúi '절하다, 엎드리다'quỳ '무릎을 꿇다'
lạy '머리를 조아리다'lễ '의식'
phép '규칙, 법'pháp '규칙, 법'



왕리는 앙리 마스페로를 따라 "g-'', ''gi'', ''d-'' 및 ''v-''와 같은 "부드러워진" 첫머리를 가진 형태의 문제 그룹을 베트남어 구어체 변화의 영향을 받은 한월어 차용어로 식별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현재 앙드레 조르주 오드리쿠르를 따라 이러한 단어를 고대 한월어 계층에 할당한다.

현재 베트남 북부는 기원전부터 중국계 왕조의 지배를 받아 한(漢) 문화가 베트남에 전해졌다. 그러나 고대 시대에는 베트남에서의 한어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수(隋)·당(唐) 시대에는 불교 승려들 사이에 한문 지식이 보급되었다. 본격적으로 한어가 사용되게 된 것은 10세기 이후, 오히려 베트남이 독립 왕조를 개창하고부터였다.[14]

2. 2. 한월어



중국의 천 년 지배 결과로, 소수의 한자어가 베트남어로 차용되었으며, 이를 고대 한월어 계층이라고 부른다. 또한 독립 이후 천 년 동안 한문 사용으로 상당수의 한자어가 차용되었으며, 이를 한월어 계층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계층은 언어학자 왕리에 의해 처음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다.[2]

고대 한월어 계층은 기원전 111년 베트남 북부를 포함한 남월 왕국의 중국 정복 이후 도입되었다. 중국어의 영향은 동한 시대(25–190 AD)에 특히 두드러졌는데, 이는 중국 이민의 증가와 영토를 한화하려는 공식적인 노력 때문이다. 이 계층은 약 400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완전히 동화되어 베트남어 화자에게 고유어로 간주된다. 일부 고대 한월어 단어는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에 거주했던 안남 중세 중국어 화자에서 proto-Viet-Muong으로의 언어 이동에서 유래했다는 이론도 있다.

훨씬 더 광범위한 한월어는 절운과 같은 중국 운서와 함께 당나라 말기(618–907)에 도입되었다. 베트남 학자들은 베트남어 음운론 내에서 중세 중국어를 체계적으로 렌더링하여 전체 중국어 어휘에 일관된 발음을 도출했다. 880년에 중국인을 몰아낸 후, 베트남은 중국 모델을 기반으로 국가를 건설하려 했고, 행정 및 학문을 포함한 모든 공식 문서를 위해 20세기 초까지 한문을 사용했다. 이 기간 동안 약 3,000개의 단어가 베트남어에 유입되었다. 이 중 일부는 고대 한월어 단계에서 차용된 단어의 재도입으로, 베트남어와 중국어의 음운 변화로 인해 다른 발음을 가지며, 종종 의미 변화를 동반했다.

여러 번 차용된 한자어의 예
중국어
(고대 > 중세)
고대 한월어한월어
}} *mjəts > mjɨjHmùi '냄새, 향기'vị '맛, 풍미'
}} *pənʔ > pwonXvốn '자본, 자금'bản '뿌리, 기초'
}} *wjek > ywekviệc '일, 사건'dịch '서비스, 부역'
}} *muks > mawH '모자'mạo '모자'
}} *gre > giày '신발'hài '신발'
}} *kras > kæHgả '결혼하다'giá '결혼하다'
}} *bjəʔ > bjuwXvợ '아내'phụ '여자'
}} *gjojʔ > gjweXcúi '절하다, 엎드리다'quỳ '무릎을 꿇다'
}} *rijʔ > lejXlạy '머리를 조아리다'lễ '의식'
}} *pjap > pjopphép '규칙, 법'pháp '규칙, 법'



왕리는 앙리 마스페로를 따라 "g-'', ''gi'', ''d-'' 및 ''v-''와 같은 "부드러워진" 첫머리를 가진 형태의 문제 그룹을 베트남어 구어체 변화의 영향을 받은 한월어 차용어로 식별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현재 앙드레 조르주 오드리쿠르를 따라 이러한 단어를 고대 한월어 계층에 할당한다.

한월어는 중세 중국어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적인 발전을 보여준다.


  • 한월어는 초기 중세 중국어의 구개음 및 권설음을 구별하며, 이는 모든 현대 중국어에서 식별되며, 후기 중세 중국어 시대에는 이미 병합되었다.
  • 한월어는 초기 중세 중국어 단계에서는 순음 파열음과 구별되지 않았던 후기 중세 중국어의 순치음을 반영한다.
  • 중세 중국어 2급 종성은 북부 중국어와 같이 구개음 매개 ''-y-''를 생성하지만 남부 중국어와는 다릅니다. 예를 들어 중세 중국어 交| ''kæw''는 SV giaovi, 광둥어 ''gaau'' 및 베이징어 를 생성한다.


20세기 초까지 문언어는 중국뿐만 아니라 베트남, 한국, 일본에서도 행정 및 학문의 수단이었으며, 중세 유럽의 라틴어와 유사했다. 구어는 아니었지만, 이 공유된 문어는 중국어 중고 발음에서 파생된 현지 전통에 따라 각 지역에서 소리 내어 읽혔다. 즉,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문어체로, 다른 나라에서는 한자어 발음으로 읽혔다.

서양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서양의 저작물이 문어체 중국어로 번역되어 지식인들에게 읽혔다. 새로운 개념(정치, 종교, 과학, 의학 및 기술 용어)의 단어를 번역하기 위해, 이들 국가의 학자들은 중국어 형태소로 구성되고 한자로 쓰인 새로운 합성어를 만들었다. 이 합성어의 현지 발음은 일본, 한국, 베트남의 각 현지 구어에 쉽게 채택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수학자 이산란은 '대수'에 해당하는 ('대체-숫자-학')을 포함하여 수백 개의 수학 용어를 번역하여 현대 중국어 ''dàishùxué'', 베트남어 ''đại số học'', 일본어 ''daisūgaku'', 한국어 ''대수학''을 만들었다. 종종 동일한 개념에 대한 여러 합성어가 한동안 유통되다가 최종적으로 선택된 단어가 등장했으며, 최종 선택은 국가마다 달랐다.

상당히 많은 수의 한월어(Sino-Vietnamese) 합성어는 다른 중국어 어휘 사용법과 상당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 ''bác sĩ''는 '의사' 또는 '의료진'이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박사 학위를 의미한다.
  • ''tiến sĩ'' (進士)는 '박사 학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최고 과거 시험의 합격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 ''bạc'' '은'은 고대 중국어 *''bra:g'' '흰색'의 옛 한월어 반사형으로, 후기 한월어 ''bạch'' '흰색' 및 비 한월어 ''bệch'' '(얼굴색이) 핏기 없는'과 관련이 있지만, 중국어 은 '얇은 금속 시트'(변형: , )를 의미하고 铂 (pinyin: ''bó'')은 '백금'의 의미를 얻었으며, 그 한월어 이름은 ''bạch kim''으로 문자 그대로 '흰 금'을 의미한다.
  • ''luyện kim'' ()은 원래 의미인 '연금술' 대신 '야금'을 의미한다.
  • ''giáo sư'' ()는 중국어에서는 '교사'를 의미하지만, 현재 베트남어에서는 '교수'와 관련이 있다.
  • 영어 "club"은 일본에서 ''kurabu''가 되었고, 중국으로 차용된 후 베트남으로 건너가 ''câu lạc bộ''로 읽히며, 클럽의 약어일 수 있는 ''CLB''로 축약된다.
  • ''linh miêu'' ()는 중국어에서는 '사향고양이'를 의미하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스라소니'를 의미한다.
  • ''ân nghĩa'' ~ ''ơn nghĩa'' ()는 원래 중국어 의미인 "감사하는 마음"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호의, 친절"의 확장된 의미를 얻는다.
  • ''thời tiết'' (時節)은 '날씨'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계절'을 의미한다(주로 특정 계절과 관련된 특정 기간을 의미한다).
  • ''thư viện'' (書院)은 베트남어에서는 '도서관'을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서재' 또는 '아카데미'를 의미한다.
  • ''phương phi'' (芳菲)는 '뚱뚱한' 또는 '비대한' 형용사이지만, 중국어에서는 '향기로운' 또는 '신선한 냄새가 나는'을 의미한다.
  • ''ung thư'' (癰疽)는 베트남어에서는 '암'을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피부 농양'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 ''thập phân'' (十分)은 베트남어에서는 '소수'를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매우', '극도로'를 의미한다.
  • ''thương'' (傷)은 '좋아하다, 사랑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부상하다, 다치다'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공유한다.
  • ''thư'' (書)는 편지를 가리키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책을 의미한다. (베트남어는 ''sách'' (冊)을 대신 사용한다.)


또한 한자 문화권 언어에서 사용되지만, 용어가 다른 한월어(Sino-Vietnamese) 합성어가 상당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베트남어중국어광둥어일본어한국어
university studentsinh viên 生員大學生/大学生 dàxuéshēng大學生/大学生 daaihhohksāang大学生 daigakusei대학생 (大學生) daehaksaeng
professorgiáo sư 教師教授 jiàoshòu教授 gaausauh教授 kyōju교수 (敎授) gyosu
bachelor (academic degree)cử nhân 舉人學士/学士 xuéshì學士/学士 hohksih学士 gakushi학사 (學士) haksa
doctorate (academic degree)tiến sĩ 進士博士 bóshì博士 boksih博士 hakushi박사 (博士) baksa
librarythư viện 書院圖書館/图书馆 túshūguǎn圖書館/图书馆 tòuhsyūgún図書館 toshokan도서관 (圖書館) doseogwan
officevăn phòng 文房事務所/事务所 shìwùsuǒ事務所/事务所 sihmouhsó事務所 jimusho사무소 (事務所) samuso
mapbản đồ 版圖地圖/地图 dìtú地圖/地图 deihtòuh地図 chizu지도 (地圖) jido
clockđồng hồ 銅壺鐘/钟 zhōng, 時計/时计 (literary) shíjì鍾/钟 jūng時計 tokei시계 (時計) sigye
hotel; innkhách sạn 客棧酒店 jiǔdiàn, 旅館/旅馆 lǚguǎn酒店 jáudim, 旅館/旅馆 léuihgúnホテル hoteru, 旅館 (traditional inn) ryokan여관 (旅館) yeogwan
demonstrationbiểu tình 表情示威 shìwēi示威 sihwāi示威 shii시위 (示威) siwi
autismtự kỷ 自己自閉症/自闭症 zìbìzhèng自閉症/自闭症 jihbaijing自閉症 jiheishō자폐증 (自閉症) japyejeung



베트남어에서 사용되는 일부 한월어 복합어는 베트남어에서 완전히 만들어졌으며, 중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linh mụcvi ( '영혼'과 '목자'에서 유래) '사제', 또는 '연금술'을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된 ''giả kim thuật'' ( '인공 금속의 기술')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하이에나'를 의미하는 ''linh cẩu'' (, '경계하는 개')가 있다. 다른 것들은 현대 중국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다른 의미를 갖는다.

정의한자베트남어 알파벳
농장trang trại
도시thành phố
tuần lễ
참석하다hiện diện
즐겁게 하다giải trí
부족하다thiếu thốn
자랑스럽다hãnh diện
보기 좋다ngoạn mục
정돈된; 적절한chân phương
(공손한, 존경하는) 당신quý vị
전통적인cổ truyền
축제lễ hội
전설huyền thoại
만족시키다thoả mãn
공손한lịch sự
중요한; 의미있는quan trọng
백만장자triệu phú
억만장자tỷ phú
온도계nhiệt kế
(수학) 행렬ma trận
생물학sinh học
과목môn học
평균trung bình
화장품mỹ phẩm
수술phẫu thuật
알레르기dị ứng
청각 장애인khiếm thính
박테리아; 미생물; 세균vi trùng
업데이트하다cập nhật
데이터; 정보dữ liệu
포럼diễn đàn
스무디 (음료)sinh tố
도장; 무술 학교võ đường
묘지nghĩa địa
수술용 마스크khẩu trang
온도계nhiệt kế
텔레비전 (매체)truyền hình
방송phát thanh
애니메이션hoạt hình
자막phụ đề
전사하다phiên âm
음역하다chuyển tự
비자thị thực
(비공식) 간호사; 의료 보조원y tá
인문학 전문가; 예술가, 화가, 음악가, 배우, 만화가 등nghệ sĩ
가수ca sĩ
음악가, 특히 작사가 또는 작곡가nhạc sĩ
시인thi sĩ
치과 의사nha sĩ
예술가 (화가)hoạ sĩ
모든 입법 기관의 구성원.nghị sĩ
감옥trại giam
피해자nạn nhân
특수 부대đặc công



한월어는 거의 모든 한자를 베트남어 형식으로 제공하므로, 모든 중국어 단어나 이름의 베트남어 형식을 파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지도자 시진핑의 이름은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자에 한월어 발음을 적용하면 그의 이름의 베트남어 번역인 ''Tập Cận Bình''이 생성된다.

일부 서양 이름과 단어는 중국어를 통해, 종종 만다린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 일본어로 근사하게 표현된 후 중국어로 차용되어 베트남어에서 더욱 근사하게 표현되었다. 예를 들어, 포르투갈은 로 음역되었으며 베트남어에서는 ''Bồ Đào Nha''가 된다. 잉글랜드는 ''Anh Cát Lợi'' ()가 되었고, ''Anh'' ()로 축약되었으며, 미국은 ''Mỹ Lợi Gia'' ()가 되어 ''Mỹ'' ()로 축약되었다. 베트남에서 미국의 공식 명칭은 ''Hoa Kỳ'' ()이며, 이는 미국의 이전 한자식 이름으로 문자 그대로 "꽃 깃발"로 번역된다.

국가한자 이름만다린 병음광동어 예일베트남어 이름
오스트레일리아Àodàlìyǎ'Oudaaihleiha''Úc ()
오스트리아ÀodìlìOudeihleihÁo ()
벨기에BǐlìshíBéileihsìhBỉ ()
체코JiékèJithāakTiệp Khắc ()
프랑스Fǎlánxī (중국), Fàlánxī (대만)FaatlàahnsāiPháp ()
독일DéyìzhìDākyijiĐức ()
이탈리아YìdàlìYidaaihleihÝ ()
네덜란드 (Holland에서 유래, 오칭)HélánHòhlāanHà Lan ()
프로이센PúlǔshìPóulóuhsihPhổ ()
러시아ÉluósīNgòhlòhsīNga ()
스페인XībānyáSāibāanngàhTây Ban Nha ()
유고슬라비아Nán SīlāfūNàahm SīlāaifūNam Tư ()



가장 오래되고 깊이 뿌리내린 한월어 이름을 제외하고, 현대 베트남어는 원본 철자와 발음을 유지하기 위해 외국 이름에 직접 음역을 사용한다. 오늘날, 이러한 음역 이름의 표기 형태는 거의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베트남에서 영어 철자와 발음의 숙련도가 높아짐에 따라, 독자들은 더 이상 일반적인 외국 이름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지시를 받을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한월어 Luân Đônvi이 베트남어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영어 동등어 London도 흔하다. 캘크도 일부 한월어 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했다. 예를 들어, 백악관은 베트남에서 일반적으로 Nhà Trắngvi (문자 그대로 "하얀 집")로 불리지만, Tòa Bạch Ốcvi (을 기반으로 함)은 해외 베트남인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통용된다.

그러나 ''Trung Quốc'' (중국, )과 같은 중국 관련 이름, 중국어 뿌리를 가진 한국 이름은 다른 언어에서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 시스템 대신 한월어로 계속 렌더링된다. 예로는 한국 전체와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Triều Tiên'' (조선, ), 대한민국에 대한 ''Hàn Quốc'' (한국, ), 평양에 대한 ''Bình Nhưỡng'' (평양, ), 그리고 ''Bàn Môn Điếm'' (판문점, )이 있다. 대부분의 한국 지명과는 달리 서울에는 해당 한자가 없다. 따라서 ''Xê-un''으로 음역된다.

베트남어는 일본어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많은 수의 한자어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어휘는 베트남 고유의 전승 한자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차용어와는 다르다.

현재 베트남에서는 한자 자체가 사용되지 않지만, 한자어의 수는 오히려 증가했으며, 현재도 베트남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신문 등에서는 70%의 어휘가 한자어라는 보고가 있다.

베트남어는 중국어와 친연 관계가 인정되지 않지만, 일본어 및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와 유사한 성조를 가진 복잡한 음절 구조를 가진 단음절 언어적인 고립어이기 때문에, 한자를 쉽게 받아들였고, ''nhân''(因, …때문에), ''tuy''(雖, …이지만), ''do''(由, …에 의해), ''cùng''(共, …과 함께) 등과 같은 문법적인 어휘에도 한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절어에도 (況乎, 하물며), (大概, 대개), (不得已, 부득이) 등이 있다. 친족 명칭(타인에 대한 호칭으로도 사용)에도 ''ông''(翁, 할아버지·성인 남자), ''bà''(婆, 할머니·성인 여자), ''cô''(姑, 아버지 쪽 고모·젊은 여성)와 같이 한자가 많이 사용되지만, 한자라는 의식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그에 반해, 어순이 중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전차"를 "(車電)", "학교"를 "(場學)"과 같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이는 현상이 많이 보인다.

대학생을 "sinh viênvn(生員)"이라고 부르는 것은 과거가 20세기까지 행해졌다는 베트남 고유의 사정이 원인이다.

과거에는 서양의 고유 명사조차도 중국의 한자 음역을 베트남 전승 한자음으로 읽어, 나폴레옹을 (拿破倫)처럼 불렀지만, 최근에는 직접 서양의 음에서 차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가와모토 구니에는 현대 베트남어의 한자어를 중국 고전에서의 차용이라는 좁은 의미로 보고, 그 외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어휘를 "한자어"라고 칭하고 있다(이 기사에서는 "한자어"를 포함한다). 가와모토는 한자어를 다음 5가지 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1. 고전적 한자어(일본 한자어からの차용을 포함)

2. 근대 중국에서 발전한 어휘. (화차)는 기차를 의미한다.

3. 고전적 한자어이지만, 베트남에서 현저하게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

4. 베트남에서 형성된 한자어: (북사)는 중국의 역사를 의미한다

5. 중복 읽기・탕통 읽기: áo dàivi (아오자이)의 áovi는 "襖(단어)"이지만, dàivi는 고유어이다. 또한, áo sơ-mivi (셔츠)에서는 sơ-mivi프랑스어 chemise의 차용어이다.

현재 베트남 북부는 기원전부터 중국계 왕조의 지배를 받아 한(漢) 문화가 베트남에 전해졌다. 그러나 고대 시대에는 베트남에서의 한어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수(隋)·당(唐) 시대에는 불교 승려들 사이에 한문 지식이 보급되었다. 본격적으로 한어가 사용되게 된 것은 10세기 이후, 오히려 베트남이 독립 왕조를 개창하고부터였다. 베트남의 전승 한자음도 주요한 부분은 이때에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15세기 전반 레 왕조 시대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형률이 만들어졌고, 과거 제도도 완성되었다.

한자를 폐지한 후, 한어를 고유어로 대체하는 것도 이루어졌지만 (비행기를 (비기)에서 máy bayvi로 개정하는 등), 새로 만들어진 한어도 있다( (무선전형, 텔레비전) 등).

한월어에서도 다른 언어의 한자어와 마찬가지로, 원래 중국에는 없는 단어와 표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목사"는 "linh mụcvi (靈牧)"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다른 한자 문화권에는 없는 표현이다. 또한,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의 "이론"에 해당하는 단어를 " (理說)"로 표기하는데, 이는 고대 중국어에 있던 단어를 "theory영어"의 번역어로 사용한 것이다. 미국의 공식 명칭은 "Hoa Kỳvi (花旗)"로 불리며, 이는 중국어에서는 미국의 국기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단어의 의미가 완전히 다르거나 어휘의 의미가 새롭게 바뀐 경우도 있다. 베트남어의 " (監督)"은 "이사"를 의미한다. 또한, "sinh viênvi (生員)"이라는 표현은 옛날에는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지금은 "대학생"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식 한자어는 베트남에도 도입되었으며, 중국어 및 베트남어와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어휘가 이미 존재했던 경우에는 일본식 한자어가 도태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만 공통적인 어휘가 사용되고, 중국어 및 베트남어에서는 다른 어휘가 사용된다. 전체적으로 서양에서 유래된 개념 어휘와 추상 어휘는 공통적인 반면, 구체적인 어휘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class="wikitable"

|+

일본어와 베트남어에서 의미가 다른 "동형 이의어"의 예

! rowspan="2" |'''일본어'''

! colspan="2" |'''베트남어'''

|-

!'''쯔 꾸옥 응으'''

!'''상용한자'''

|-

|의사

|

|박사

|-

|지도

|

|판도

|-

|박물관

|

|보장

|-

|데모

|

|표정

|-

|학사

|

|거인

|-

|능력

|

|가능

|-

|배신

|

|반복

|-

|수단

|

|방편

|-

|대학생

|

|생원

|-

|사고

|

|재난

|-

|날씨

|

|시절

|-

|도서관

|

|서원

|-

|박사

|{{lang|

3. 한월어의 특징 및 타 언어 한자어와의 비교

한월어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지만, 베트남 고유의 특징과 다른 언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독자적인 어휘 체계를 발전시켰다.

중국의 천 년 지배와 독립 이후 한문 사용은 한월어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초기에는 소수의 한자어가 차용되었으나(고대 한월어), 당나라 말기에는 절운과 같은 중국 운서의 영향으로 체계적인 한자음 도입이 이루어졌다. 20세기 초까지 한문은 행정 및 학문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중세 유럽의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졌다.

일본제 한자어는 베트남에도 도입되어 중국어, 베트남어와 공통된 어휘가 존재한다. 그러나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별도로 어휘를 만들거나 이미 존재하던 경우에는 일본제 한자어가 도태되어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서만 공통되는 경우도 있다. 서구와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서양의 저작물이 문어체 중국어로 번역되었고,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합성어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합성어는 일본, 한국, 베트남에서 각자의 구어에 맞게 채택되었으며, 때로는 동일한 개념에 대해 여러 합성어가 경쟁하다가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월어는 영어에서 라틴어 기반 단어와 유사하게 격식 있는 맥락에서 주로 사용된다. 중국어와 베트남어의 어순 차이로 인해 한월어 복합 단어나 구절이 베트남어 문장에서 어색하게 보일 수 있다.

베트남어 알파벳으로 한월어 단어를 표기할 때 동음이의어가 많아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inh'은 '밝음(明)'과 '어둠(冥)' 두 가지 상반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오늘날 한월어 텍스트는 주로 불교 승려들이 사용하며, 영혼을 달래는 경전과 같은 중요한 텍스트는 여전히 한월어 발음으로 낭독된다.

한, 중, 일, 월 어휘 비교
한국어, 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
비행기(飛行機|hikōki일본어)飞机|fēijī중국어Máy bay|hn=𣛠𩙻vi (고유어), phi cơ|hn=飛機|eum=비기vi
기차(汽車|kisha일본어)火车|huǒchē중국어Tàu hỏa|hn=艚火|eum=조화vi
야구(野球|yakyū일본어)棒球|bàngqiú중국어Bóng chày|hn=𣈖持vi (고유어), Banh chày|hn=棒球|eum=봉지vi
회사(會社|kaisha일본어)公司|gōngsī중국어Công ty|hn=公司|eum=공사vi
사진(寫眞|shashin일본어)照片|zhàopiàn중국어Nhiếp ảnh|hn=攝影|eum=섭영vi
영화(映畵|eiga일본어)电影|diànyǐng중국어Điện ảnh|hn=電影|eum=전영vi
공항(空港|kūkō일본어)机场|jīchǎng중국어Sân bay|hn=𡓏𩙻vi (고유어), phi trường|hn=飛場|eum=비장vi
(驛|eki일본어)站|zhàn중국어gavi (← 프랑스어 gare|가르프랑스어)



한중일월 어휘 비교
일본어한국어중국어베트남어
비행기비행기|h=飛行機한국어飞机|fēijī중국어máy bay|hn=𣛠𩙻vi, phi cơ|hn=飛機|eum=비기vi
기차기차|h=汽車한국어火车|huǒchē중국어tàu hỏa|hn=艚火|eum=조화vi
야구야구|h=野球한국어棒球|bàngqiú중국어bóng chày|hn=𣈖持|eum=봉지vi
회사회사|h=會社한국어公司|gōngsī중국어công ty|hn=公司|eum=공사vi
사진사진|h=寫眞한국어照片|zhàopiàn중국어nhiếp ảnh|hn=攝影|eum=섭영vi
영화영화|h=映畵한국어电影|diànyǐng중국어điện ảnh|hn=電影|eum=전영vi
공항공항|h=空港한국어机场|jīchǎng중국어sân bay|hn=𡓏𩙻|eum=산바vi이, phi trường|hn=飛場|eum=비장vi
시간시간|h=時間한국어时间|shíjiān중국어thời gian|hn=時間|eum=시간vi
역|h=驛한국어站|zhàn중국어gavi (프랑스어 gare|가르프랑스어에서 유래)


3. 1. 베트남 고유 한자어

한국 한자어에 원래 중국어에 없는 낱말이나 표현이 있는 것처럼 한월어에도 베트남에서만 쓰는 낱말이 있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목사를 linh mục|靈牧|영목vi이라 하는데, 이는 중국어에는 없는 표현이다.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 이론(理論)에 해당하는 말을 lý thuyết|理說|이설vi이라 하는데, 이는 고대 중국어에 있던 단어를 theory의 번역어로 쓰는 것이다. 미국의 공식 명칭은 Hoa Kỳ|花旗|화기vi라고 하는데, 이는 중국어에서는 미국의 국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밖에 명왕성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冥王星이 아닌 불교, 도교 설화에서 유래된 염라대왕에서 따온 염왕성(閻王星)이란 표현을 쓴다.[2]

단어가 같지만 뜻이 전혀 다르거나 어휘의 의미가 새롭게 바뀐 경우가 있다. 베트남어의 監督(감독)은 한국어로 회사나 기업을 대표하는 사람인 사장(社長)에 해당한다. 또한, 生員(생원)이란 말은 옛날에는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지금은 대학생(大學生)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2]

일본제 한자어들은 중국과 베트남에도 도입되었기 때문에 중국어나 베트남어와도 공통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별도로 어휘를 만들거나, 중국에서 어휘들이 이미 존재하던 경우는 일본제 한자어가 경쟁에서 밀려 도태되었기 때문에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서만 공통되며 중국어나 베트남어에는 다른 어휘가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서구 유래의 개념 어휘-추상 어휘들은 공통적인 반면, 구체적인 사물들에 대해서는 다른 이름이 많다.[2]

한국어, 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
비행기(飛行機|hikōki일본어)飛機|fēijī|비기중국어Máy bay|𣛠𩙻vi (고유어) phi cơ|飛機|비기vi
기차(汽車|kisha일본어)火車|huǒchē|화차중국어Tàu hỏa|艚火|조화vi
야구(野球|yakyū일본어)棒球|bàngqiú|봉구중국어Bóng chày|𣈖持vi (고유어) 베트남어: Banh chày/棒球봉지
회사(會社|kaisha일본어)公司|gōngsī|공사중국어Công ty|公司|공사vi
사진(寫眞|shashin일본어)照片|zhàopiàn|조편중국어Nhiếp ảnh|攝影|섭영vi
영화(映畵|eiga일본어)電影|diànyǐng|전영중국어Điện ảnh|電影|전영vi
공항(空港|kūkō일본어)機場|jīchǎng|기장중국어Sân bay|𡓏𩙻vi (고유어) phi trường|飛場|비장vi
역(驛|eki일본어)站|zhàn|참중국어ga(← 프랑스어 gare)



3. 2. 의미 변화

한국 한자어에 중국어에 없는 낱말이나 표현이 있듯이, 한월어에도 베트남에서만 쓰는 낱말이 있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목사를 뜻하는 '린묵(linh mục|靈牧|영목vi)'은 중국어에 없는 표현이다.[12] 또한,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 '이론(理論)'에 해당하는 말을 '리튀엇(lý thuyết|理說|이설vi)'이라 하는데, 이는 고대 중국어에 있던 단어를 theory영어의 번역어로 쓰는 것이다.[12] 미국의 공식 명칭은 '화끼(Hoa Kỳ|花旗|화기vi)'라고 하는데, 이는 중국어에서는 미국의 국기를 가리키는 말이다.[12] 이 밖에 명왕성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冥王星이 아닌 불교, 도교 설화에서 유래된 염라대왕에서 따온 염왕성(閻王星)이란 표현을 쓴다.

단어가 같지만 뜻이 전혀 다르거나 어휘의 의미가 새롭게 바뀐 경우도 있다. 베트남어의 '감독(監督)'은 한국어로 회사나 기업을 대표하는 사람인 '사장(社長)'에 해당한다. 또한, '생원(생원)'이란 말은 옛날에는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지금은 '대학생(大學生)'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11]

일본제 한자어들은 중국과 베트남에도 도입되었기 때문에 중국어나 베트남어와도 공통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별도로 어휘를 만들거나, 중국에서 어휘들이 이미 존재하던 경우는 일본제 한자어가 경쟁에서 밀려 도태되었기 때문에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서만 공통되며 중국어나 베트남어에는 다른 어휘가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서구 유래의 개념 어휘나 추상 어휘는 공통적인 반면, 구체적인 사물들에 대해서는 다른 이름이 많다.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어휘 비교
한국어, 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
비행기(飛行機 hikōki일본어)Máy bay|𣛠𩙻vi (고유어), phi cơ|飛機|비기vi
기차(汽車 kisha일본어)Tàu hỏa|艚火|조화vi
야구(野球 yakyū일본어)Bóng chày|𣈖持vi (고유어), Banh chày|棒球|봉지vi
회사(會社 kaisha일본어)Công ty|公司|공사vi
사진(寫眞 shashin일본어)Nhiếp ảnh|攝影|섭영vi
영화(映畵 eiga일본어)Điện ảnh|電影|전영vi
공항(空港 kūkō일본어)Sân bay|𡓏𩙻vi (고유어), phi trường|飛場|비장vi
(驛 eki일본어)gavi (프랑스어 gare프랑스어에서 유래)



한중일월 어휘 비교
일본어한국어중국어베트남어
비행기비행기/飛行機한국어máy bay|𣛠𩙻vi, phi cơ|飛機|비기vi
기차기차/汽車한국어tàu hỏa|艚火|조화vi
야구야구/野球한국어bóng chày|𣈖持|봉지vi
회사회사/會社한국어công ty|公司|공사vi
사진사진/寫眞한국어nhiếp ảnh|攝影|섭영vi
영화영화/映畵한국어điện ảnh|電影|전영vi
공항공항/空港한국어sân bay|𡓏𩙻|산바vi이, phi trường|飛場|비장vi
시간시간/時間한국어thời gian|時間|시간vi
역/驛한국어gavi (프랑스어 gare프랑스어에서 유래)



일본어와 베트남어에서 의미가 다른 "동형 이의어"의 예
일본어베트남어
쯔 꾸옥 응으한자
의사bác sĩ, bác sỹvi博士|박사vi
지도bản đồvi版圖|판도vi
박물관bảo tàngvi寶藏|보장vi
데모biểu tìnhvi表情|표정vi
학사cử nhânvi舉人|거인vi
능력khả năngvi可能|가능vi
배신phản phúcvi反覆|반복vi
수단phương tiệnvi方便|방편vi
대학생sinh viênvi生員|생원vi
사고tai nạnvi災難|재난vi
날씨thời tiếtvi時節|시절vi
도서관thư việnvi書院|서원vi
박사tiến sĩ, tiến sỹvi進士|진사vi



베트남어는 중국어와 친연 관계가 인정되지 않지만, 일본어 및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와 유사한 성조를 가진 복잡한 음절 구조를 가진 단음절 언어적인 고립어이기 때문에, 한자를 쉽게 받아들였고, nhân|因|…때문에vi, tuy|雖|…이지만vi, do|由|…에 의해vi, cùng|共|…과 함께vi 등과 같은 문법적인 어휘에도 한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8] 다음절어에도 huống hồ|況乎|하물며vi, đại khái|大概|대개vi, bất đắc dĩ|不得已|부득이vi 등이 있다.[9] 친족 명칭(타인에 대한 호칭으로도 사용)에도 ông|翁|할아버지·성인 남자vi, bà|婆|할머니·성인 여자vi, cô|姑|아버지 쪽 고모·젊은 여성vi와 같이 한자가 많이 사용되지만, 한자라는 의식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10]

어순이 중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전차"를 "xe điện|車電vi", "학교"를 "trường học|場學vi"과 같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이는 현상이 많이 보인다.[11]

3. 3. 일본 제 한자어와의 관계

한월어는 일본제 한자어의 영향을 받아 한국어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베트남 고유의 한자어와 중국어의 영향으로 차이점도 존재한다.

일본제 한자어는 중국과 베트남에도 도입되었기 때문에 중국어나 베트남어와도 공통된 부분이 있다. 그러나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별도로 어휘를 만들거나, 중국에서 이미 어휘가 존재하던 경우에는 일본제 한자어가 경쟁에서 밀려 도태되었기 때문에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서만 공통되며 중국어나 베트남어에는 다른 어휘가 쓰이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서구에서 유래한 개념이나 추상적인 어휘는 공통적인 반면, 구체적인 사물에 대해서는 다른 이름이 많은 편이다.

한, 일, 중, 월 어휘 비교
한국어, 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
비행기(飛行機|hikōki일본어)飞机|fēijī중국어Máy bay|𣛠𩙻vi (고유어), phi cơ|飛機vi
기차(汽車|kisha일본어)火车|huǒchē중국어Tàu hỏa|艚火vi
야구(野球|yakyū일본어)棒球|bàngqiú중국어Bóng chày|𣈖持vi (고유어), Banh chày|棒球vi
회사(會社|kaisha일본어)公司|gōngsī중국어Công ty|公司vi
사진(寫眞|shashin일본어)照片|zhàopiàn중국어Nhiếp ảnh|攝影vi
영화(映畵|eiga일본어)电影|diànyǐng중국어Điện ảnh|電影vi
공항(空港|kūkō일본어)机场|jīchǎng중국어Sân bay|𡓏𩙻vi (고유어), phi trường|飛場vi
역(驛|eki일본어)站|zhàn중국어gavi(← 프랑스어 gare|가르프랑스어)


3. 4. 현대 복합어

20세기 초까지 문언어는 중국뿐만 아니라 베트남, 한국, 일본에서도 행정 및 학문의 수단이었으며, 중세 유럽의 라틴어와 유사했다. 구어는 아니었지만, 이 공유된 문어는 중국어 중고 발음에서 파생된 현지 전통에 따라 각 지역에서 소리 내어 읽혔다. 즉,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문어체로, 다른 나라에서는 한자어 발음으로 읽혔다.

서양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서양의 저작물이 문어체 중국어로 번역되어 지식인들에게 읽혔다. 새로운 개념(정치, 종교, 과학, 의학 및 기술 용어)의 단어를 번역하기 위해, 이들 국가의 학자들은 중국어 형태소로 구성되고 한자로 쓰인 새로운 합성어를 만들었다. 이 합성어의 현지 발음은 일본, 한국, 베트남의 각 현지 구어에 쉽게 채택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수학자 이산란은 '대수'에 해당하는 ('대체-숫자-학')을 포함하여 수백 개의 수학 용어를 번역하여 현대 중국어 ''dàishùxué'', 베트남어 ''đại số học'', 일본어 ''daisūgaku'', 한국어 ''대수학''을 만들었다. 종종 동일한 개념에 대한 여러 합성어가 한동안 유통되다가 최종적으로 선택된 단어가 등장했으며, 최종 선택은 국가마다 달랐다.

상당히 많은 수의 한월어(Sino-Vietnamese) 합성어는 다른 중국어 어휘 사용법과 상당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 ''bác sĩ''는 '의사' 또는 '의료진'이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박사 학위를 의미한다.
  • ''tiến sĩ'' (進士)는 '박사 학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최고 과거 시험의 합격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 ''bạc'' '은'은 고대 중국어 *''bra:g'' '흰색'의 옛 한월어 반사형으로, 후기 한월어 ''bạch'' '흰색' 및 비 한월어 ''bệch'' '(얼굴색이) 핏기 없는'과 관련이 있지만,[14] 중국어 은 '얇은 금속 시트'(변형:, )를 의미하고 铂 (pinyin: ''bó'')은 '백금'의 의미를 얻었으며, 그 한월어 이름은 ''bạch kim''으로 문자 그대로 '흰 금'을 의미한다.
  • ''luyện kim''()은 원래 의미인 '연금술' 대신 '야금'을 의미한다.
  • ''giáo sư''()는 중국어에서는 '교사'를 의미하지만, 현재 베트남어에서는 '교수'와 관련이 있다.
  • 영어 "club"은 일본에서 ''kurabu''가 되었고, 중국으로 차용된 후 베트남으로 건너가 ''câu lạc bộ''로 읽히며, 클럽의 약어일 수 있는 ''CLB''로 축약된다.
  • ''linh miêu''()는 중국어에서는 '사향고양이'를 의미하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스라소니'를 의미한다.
  • ''ân nghĩa'' ~ ''ơn nghĩa''()는 원래 중국어 의미인 "감사하는 마음"[3][4][5]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호의, 친절"의 확장된 의미를 얻는다.[6]
  • ''thời tiết'' (時節)은 '날씨'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계절'을 의미한다(주로 특정 계절과 관련된 특정 기간을 의미한다).
  • ''thư viện'' (書院)은 베트남어에서는 '도서관'을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서재' 또는 '아카데미'를 의미한다.
  • ''phương phi'' (芳菲)는 '뚱뚱한' 또는 '비대한' 형용사이지만, 중국어에서는 '향기로운' 또는 '신선한 냄새가 나는'을 의미한다.
  • ''ung thư'' (癰疽)는 베트남어에서는 '암'을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피부 농양'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 ''thập phân'' (十分)은 베트남어에서는 '소수'를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매우', '극도로'를 의미한다.
  • ''thương'' (傷)은 '좋아하다, 사랑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부상하다, 다치다'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공유한다.
  • ''thư'' (書)는 편지를 가리키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책을 의미한다. (베트남어는 sách (冊)을 대신 사용한다.)


한자 문화권 언어에서 사용되지만, 용어가 다른 한월어(Sino-Vietnamese) 합성어도 상당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영어베트남어중국어광둥어일본어한국어
university studentsinh viên 生員大學生/大学生 dàxuéshēng大學生/大学生 daaihhohksāang大学生 daigakusei대학생 (大學生) daehaksaeng
professorgiáo sư 教師教授 jiàoshòu教授 gaausauh教授 kyōju교수 (敎授) gyosu
bachelor (academic degree)cử nhân 舉人學士/学士 xuéshì學士/学士 hohksih学士 gakushi학사 (學士) haksa
doctorate (academic degree)tiến sĩ 進士博士 bóshì博士 boksih博士 hakushi박사 (博士) baksa
librarythư viện 書院圖書館/图书馆 túshūguǎn圖書館/图书馆 tòuhsyūgún図書館 toshokan도서관 (圖書館) doseogwan
officevăn phòng 文房事務所/事务所 shìwùsuǒ事務所/事务所 sihmouhsó事務所 jimusho사무소 (事務所) samuso
mapbản đồ 版圖地圖/地图 dìtú地圖/地图 deihtòuh地図 chizu지도 (地圖) jido
clockđồng hồ 銅壺鐘/钟 zhōng, 時計/时计 (literary) shíjì鍾/钟 jūng時計 tokei시계 (時計) sigye
hotel; innkhách sạn 客棧酒店 jiǔdiàn, 旅館/旅馆 lǚguǎn酒店 jáudim, 旅館/旅馆 léuihgúnホテル hoteru, 旅館 (traditional inn) ryokan여관 (旅館) yeogwan
demonstrationbiểu tình 表情示威 shìwēi示威 sihwāi示威 shii시위 (示威) siwi
autismtự kỷ 自己自閉症/自闭症 zìbìzhèng自閉症/自闭症 jihbaijing自閉症 jiheishō자폐증 (自閉症) japyejeung



베트남어에서 사용되는 일부 한월어 복합어는 베트남어에서 완전히 만들어졌으며, 중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혼'과 '목자'에서 유래한 ''linh mục'' '사제', 또는 '연금술'을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된 ''giả kim thuật''('인공 금속의 기술')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하이에나'를 의미하는 ''linh cẩu''('경계하는 개')가 있다. 다른 것들은 현대 중국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다른 의미를 갖는다.

정의한자베트남어 알파벳
농장莊寨trang trại
도시城庯thành phố
旬禮tuần lễ
참석하다現面hiện diện
즐겁게 하다解智giải trí
부족하다少寸thiếu thốn
자랑스럽다倖面hãnh diện
보기 좋다玩目ngoạn mục
정돈된; 적절한眞方chân phương
(공손한, 존경하는) 당신貴位quý vị
전통적인古傳cổ truyền
축제禮會lễ hội
전설玄話huyền thoại
만족시키다妥滿thoả mãn
공손한歷事lịch sự
중요한; 의미있는關重quan trọng
백만장자兆富triệu phú
억만장자秭富tỷ phú
온도계熱計nhiệt kế
(수학) 행렬魔陣ma trận
생물학生學sinh học
과목門學môn học
평균中平trung bình
화장품美品mỹ phẩm
수술剖術phẫu thuật
알레르기異應dị ứng
청각 장애인欠聽khiếm thính
박테리아; 미생물; 세균微蟲vi trùng
업데이트하다及日cập nhật
데이터; 정보與料dữ liệu
포럼演壇diễn đàn
스무디 (음료)生素sinh tố
도장; 무술 학교武堂võ đường
묘지義地nghĩa địa
수술용 마스크口裝khẩu trang
온도계熱計nhiệt kế
텔레비전 (매체)傳形truyền hình
방송發聲phát thanh
애니메이션活形hoạt hình
자막附題phụ đề
전사하다翻音phiên âm
음역하다轉字chuyển tự
비자視實thị thực
(비공식) 간호사; 의료 보조원醫佐y tá
인문학 전문가; 예술가, 화가, 음악가, 배우, 만화가 등藝士nghệ sĩ
가수歌士ca sĩ
음악가, 특히 작사가 또는 작곡가樂士nhạc sĩ
시인詩士thi sĩ
치과 의사牙士nha sĩ
예술가 (화가)畫士hoạ sĩ
모든 입법 기관의 구성원.議士nghị sĩ
감옥寨監trại giam
피해자難人nạn nhân
특수 부대特攻đặc công



베트남어는 중국어와 친연 관계가 인정되지 않지만, 일본어 및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와 유사한 성조를 가진 복잡한 음절 구조를 가진 단음절 언어적인 고립어이기 때문에, 한자를 쉽게 받아들였다. ''nhân''(因, …때문에), ''tuy''(雖, …이지만), ''do''(由, …에 의해), ''cùng''(共, …과 함께) 등과 같은 문법적인 어휘에도 한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8] 다음절어에도 (況乎, 하물며), (大概, 대개), (不得已, 부득이) 등이 있다.[9] 친족 명칭(타인에 대한 호칭으로도 사용)에도 ''ông''(翁, 할아버지·성인 남자), ''bà''(婆, 할머니·성인 여자), ''cô''(姑, 아버지 쪽 고모·젊은 여성)와 같이 한자가 많이 사용되지만, 한자라는 의식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10]

그에 반해, 어순이 중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전차"를 "(車電)", "학교"를 "(場學)"과 같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이는 현상이 많이 보인다.[11] 대학생을 sinh viênvn(生員)이라고 부르는 것은 과거가 20세기까지 행해졌다는 베트남 고유의 사정이 원인이다.

과거에는, 서양의 고유 명사조차도 중국의 한자 음역을 베트남 전승 한자음으로 읽어, 나폴레옹을 (拿破倫)처럼 불렀지만, 최근에는 직접 서양의 음에서 차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12]

가와모토 구니에는 현대 베트남어의 한자어를 중국 고전에서의 차용이라는 좁은 의미로 보고, 그 외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어휘를 "한자어"라고 칭하고 있다(이 기사에서는 "한자어"를 포함한다). 가와모토는 한자어를 다음 5가지 종류로 분류하고 있다.[13]

# 고전적 한자어(일본 한자어からの차용을 포함)

# 근대 중국에서 발전한 어휘. (화차)는 기차를 의미한다.

# 고전적 한자어이지만, 베트남에서 현저하게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

# 베트남에서 형성된 한자어: (북사)는 중국의 역사를 의미한다

# 중복 읽기・탕통 읽기: áo dàivi (아오자이)의 áovi는 "襖(단어)"이지만, dàivi는 고유어이다. 또한, áo sơ-mivi (셔츠)에서는 sơ-mivi프랑스어 chemise의 차용어이다.

한월어에서도 다른 언어의 한자어와 마찬가지로, 원래 중국에는 없는 단어와 표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목사"는 linh mụcvi (靈牧)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다른 한자 문화권에는 없는 표현이다. 또한,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의 "이론"에 해당하는 단어를 (理說)로 표기하는데, 이는 고대 중국어에 있던 단어를 theory영어의 번역어로 사용한 것이다. 미국의 공식 명칭은 Hoa Kỳvi (花旗)로 불리며, 이는 중국어에서는 미국의 국기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단어의 의미가 완전히 다르거나 어휘의 의미가 새롭게 바뀐 경우도 있다. 베트남어의 (監督)은 "이사"를 의미한다. 또한, sinh viênvi (生員)이라는 표현은 옛날에는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지금은 "대학생"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식 한자어는 베트남에도 도입되었으며, 중국어 및 베트남어와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어휘가 이미 존재했던 경우에는 일본식 한자어가 도태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만 공통적인 어휘가 사용되고, 중국어 및 베트남어에서는 다른 어휘가 사용된다. 전체적으로 서양에서 유래된 개념 어휘와 추상 어휘는 공통적인 반면, 구체적인 어휘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베트남어
쯔 꾸옥 응으상용한자
의사박사
지도판도
박물관보장
데모표정
학사거인
능력가능
배신반복
수단방편
대학생생원
사고재난
날씨시절
도서관서원
박사진사



베트남 특유의 "월제 한자어"의 예
일본어베트남어
쯔 꾸옥 응으상용한자
멀티미디어다방편
특수 부대특공
영해해분
자부심행면
마스크구장
성적 학대남용정욕
정중함력사
희생자난인
예술가예사
라디오 방송발성
음역번음
교통 수단방편교통
교도관관교
성교관계정욕
중요관중
또 보자, 안녕잠별
미용실심미원
교도소채감
텔레비전전형
간호사의좌



일본어한국어중국어베트남어
비행기비행기 / 飛行機한국어飞机 / 飛機중국어
기차기차 / 汽車한국어火车 / 火車중국어
야구야구 / 野球한국어棒球중국어
회사회사 / 會社한국어公司중국어
사진사진 / 寫眞한국어照片중국어
영화영화 / 映畵한국어电影 / 電影중국어
공항공항 / 空港한국어机场 / 機場중국어
시간시간 / 時間한국어时间 / 時間중국어
/ 驛한국어중국어프랑스어 gare프랑스어에서 유래)


4. 통사

베트남어는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줄 때 명사 뒤에 놓이기 때문에, 명사 앞에 놓이는 한자어와 어순이 다르다. 이 때문에 bạch mã|바익마vi는 ngựa trắng|응으어짱vi과 같이 나타낸다.[1]

5. 현대 베트남어에서의 한월어

현대 베트남에서는 글을 쓸 때 한자를 전혀 섞어 쓰지 않고, 한자 교육도 따로 하지 않아 한월어 사용이 줄고 있다. 한국어나 일본어의 한자어처럼 동음이의어 문제가 있지만, 베트남어는 중국어처럼 성조가 있어 표기 시 성조 부호를 모두 나타내므로 글로는 구별된다. 한월어는 주로 학문 용어에 많이 쓰여 동음이의어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

베트남 사람 이름은 대부분 한월어로 되어 있다. 20세기 초까지 문언어는 중국뿐 아니라 베트남, 한국, 일본에서도 행정과 학문의 수단으로, 중세 유럽의 라틴어와 비슷했다. 구어는 아니었지만, 이 공유된 문어는 중국어 중고 발음에서 나온 현지 전통에 따라 각 지역에서 소리 내어 읽혔다. 즉,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문어체로, 다른 나라에서는 한자어 발음으로 읽었다.

서양과 접촉이 늘면서 서양 저작물이 문어체 중국어로 번역되어 지식인들에게 읽혔다. 새로운 개념(정치, 종교, 과학, 의학, 기술 용어)의 단어를 번역하기 위해 이들 국가의 학자들은 중국어 형태소로 구성되고 한자로 쓰인 새로운 합성어를 만들었다. 이 합성어의 현지 발음은 일본, 한국, 베트남의 각 현지 구어에 쉽게 채택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 수학자 이산란은 '대수'에 해당하는 (대체-숫자-학)을 포함해 수백 개의 수학 용어를 번역하여 현대 중국어 ''dàishùxué'', 베트남어 ''đại số học'', 일본어 ''daisūgaku'', 한국어 ''대수학''을 만들었다. 종종 같은 개념에 대한 여러 합성어가 한동안 유통되다가 최종적으로 선택된 단어가 나왔으며, 최종 선택은 국가마다 달랐다.

꽤 많은 수의 한월어 합성어는 다른 중국어 어휘와 상당히 다른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bác sĩ''는 '의사' 또는 '의료진'이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지만, 중국어에서는 박사 학위를 의미한다.
  • ''tiến sĩ'' (進士)는 '박사 학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 중국어에서는 '최고 과거 시험 합격자'를 말한다.
  • ''bạc'' '은'은 고대 중국어 *''bra:g'' '흰색'의 옛 한월어 반사형으로, 후기 한월어 ''bạch'' '흰색' 및 비 한월어 ''bệch'' '(얼굴색이) 핏기 없는'과 관련이 있지만,[2] 중국어 은 '얇은 금속 시트'(변형: , )를 의미하고 (pinyin: ''bó'')은 '백금'의 의미를 얻었으며, 그 한월어 이름은 ''bạch kim''으로 문자 그대로 '흰 금'을 뜻한다.
  • ''luyện kim'' (煉金)은 원래 의미인 '연금술' 대신 '야금'을 의미한다.
  • ''giáo sư'' (教師)는 중국어에서는 '교사'를 뜻하지만, 현재 베트남어에서는 '교수'와 관련이 있다.
  • 영어 "club"은 일본에서 俱樂部|구락부일본어 ''kurabu''가 되었고, 중국으로 차용된 후 베트남으로 건너가 ''câu lạc bộ''로 읽히며, 클럽의 약어일 수 있는 ''CLB''로 줄여 쓴다.
  • ''linh miêu'' (靈貓)는 중국어에서는 '사향고양이'를 뜻하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스라소니'를 의미한다.
  • ''ân nghĩa'' ~ ''ơn nghĩa'' (恩義)는 원래 중국어 의미인 "감사하는 마음"[3][4][5] 외에 "호의, 친절"이라는 확장된 의미도 갖는다.[6]
  • ''thời tiết'' (時節)은 '날씨'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계절'을 의미한다(주로 특정 계절과 관련된 특정 기간을 의미한다).
  • ''thư viện'' (書院)은 베트남어에서는 '도서관'을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서재' 또는 '아카데미'를 의미한다.
  • ''phương phi'' (芳菲)는 '뚱뚱한' 또는 '비대한' 형용사이지만, 중국어에서는 '향기로운' 또는 '신선한 냄새가 나는'을 의미한다.
  • ''ung thư'' (癰疽)는 베트남어에서는 '암'을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전통 중국 의학에서 '피부 농양'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 ''thập phân'' (十分)은 베트남어에서는 '소수'를 의미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매우', '극도로'를 의미한다.
  • ''thương'' (傷)은 '좋아하다, 사랑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부상하다, 다치다'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공유한다.
  • ''thư'' (書)는 편지를 가리키는 반면, 중국어에서는 책을 의미한다. (베트남어는 ''sách'' (冊)을 대신 사용한다.)


또한 한자 문화권 언어에서 사용되지만, 용어가 다른 한월어 합성어가 상당히 많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영어베트남어중국어광둥어일본어한국어
university studentsinh viên 生員 dàxuéshēng daaihhohksāang大学生|대학생일본어 daigakusei대학생 (大學生) daehaksaeng
professorgiáo sư 教師 jiàoshòu gaausauh教授|교수일본어 kyōju교수 (敎授) gyosu
bachelor (academic degree)cử nhân 舉人 xuéshì hohksih学士|학사일본어 gakushi학사 (學士) haksa
doctorate (academic degree)tiến sĩ 進士 bóshì boksih博士|박사일본어 hakushi박사 (博士) baksa
librarythư viện 書院 túshūguǎn tòuhsyūgún図書館|도서관일본어 toshokan도서관 (圖書館) doseogwan
officevăn phòng 文房 shìwùsuǒ sihmouhsó事務所|사무소일본어 jimusho사무소 (事務所) samuso
mapbản đồ 版圖 dìtú deihtòuh地図|지도일본어 chizu지도 (地圖) jido
clockđồng hồ 銅壺, (literary) shíjì jūng時計|시계일본어 tokei시계 (時計) sigye
hotel; innkhách sạn 客棧 jiǔdiàn, lǚguǎn jáudim, léuihgúnホテル|호텔일본어 hoteru, 旅館|여관일본어 (traditional inn) ryokan여관 (旅館) yeogwan
demonstrationbiểu tình 表情 shìwēi sihwāi示威|시위일본어 shii시위 (示威) siwi
autismtự kỷ 自己 zìbìzhèng jihbaijing自閉症|자폐증일본어 jiheishō자폐증 (自閉症) japyejeung



베트남어에서 사용되는 일부 한월어 복합어는 베트남어에서 완전히 만들어졌으며, 중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靈|영vi '영혼'과 牧|목vi '목자'에서 유래한 ''linh mục'' '사제',[7] 또는 '연금술'을 가리키는 데 널리 사용된 ''giả kim thuật'' (假金術|가금술vi '인공 금속의 기술')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하이에나'를 의미하는 ''linh cẩu'' (靈狗|영구vi, '경계하는 개')가 있다. 다른 것들은 현대 중국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다른 의미를 갖는다.

정의한자베트남어 알파벳
농장莊寨trang trại
도시城庯thành phố
旬禮tuần lễ
참석하다現面hiện diện
즐겁게 하다解智giải trí
부족하다少寸thiếu thốn
자랑스럽다倖面hãnh diện
보기 좋다玩目ngoạn mục
정돈된; 적절한眞方chân phương
(공손한, 존경하는) 당신貴位quý vị
전통적인古傳cổ truyền
축제禮會lễ hội
전설玄話huyền thoại
만족시키다妥滿thoả mãn
공손한歷事lịch sự
중요한; 의미있는關重quan trọng
백만장자兆富triệu phú
억만장자秭富tỷ phú
온도계熱計nhiệt kế
(수학) 행렬魔陣ma trận
생물학生學sinh học
과목門學môn học
평균中平trung bình
화장품美品mỹ phẩm
수술剖術phẫu thuật
알레르기異應dị ứng
청각 장애인欠聽khiếm thính
박테리아; 미생물; 세균微蟲vi trùng
업데이트하다及日cập nhật
데이터; 정보與料dữ liệu
포럼演壇diễn đàn
스무디 (음료)生素sinh tố
도장; 무술 학교武堂võ đường
묘지義地nghĩa địa
수술용 마스크口裝khẩu trang
온도계熱計nhiệt kế
텔레비전 (매체)傳形truyền hình
방송發聲phát thanh
애니메이션活形hoạt hình
자막附題phụ đề
전사하다翻音phiên âm
음역하다轉字chuyển tự
비자視實thị thực
(비공식) 간호사; 의료 보조원醫佐y tá
인문학 전문가; 예술가, 화가, 음악가, 배우, 만화가 등藝士nghệ sĩ
가수歌士ca sĩ
음악가, 특히 작사가 또는 작곡가樂士nhạc sĩ
시인詩士thi sĩ
치과 의사牙士nha sĩ
예술가 (화가)畫士hoạ sĩ
모든 입법 기관의 구성원.議士nghị sĩ
감옥寨監trại giam
피해자難人nạn nhân
특수 부대特攻đặc công



한월어는 영어에서 라틴어 기반 단어와 비슷한 지위를 갖는다. 일상생활보다는 격식 있는 맥락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 중국어와 베트남어는 주어와 수식어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한월어 복합 단어나 구절은 베트남어 문장에서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월어 구절 ''bạch mã''( 白馬|백마vi "백마")는 베트남어로는 ''ngựa trắng'' ("말 하얀")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유 베트남어와 한월어 단어를 포함하는 복합 단어는 매우 드물며 일부에서는 부적절하다고 여겨진다. 예를 들어, ''chung cư'' ("아파트")는 원래 ''chúng cư'' (眾居|중거vi "다중 거주")에서 파생되었지만, 음절 ''chúng'' "다중"이 ''chung''으로 대체되었다. ''chung''은 "공유된" 또는 "함께"를 의미하는 "순수한" 베트남어 단어이다. 마찬가지로, "United States"의 직역인 ''Hợp chúng quốc'' (合眾國|합중국vi)은 흔히 ''Hợp chủng quốc''으로 잘못 렌더링되는데, 여기서 ''chúng'' (眾|중vi - 많은)이 ''chủng'' (種|종vi - 민족, 인종)로 대체된다. 또 다른 예는 ''tiệt diện'' (截面|절면vi; "단면")이 ''tiết diện'' (節面|절면vi)으로 대체되는 경우이다.

흥미로운 예는 현재 베트남의 모토인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 Độc lập – Tự do – Hạnh phúc"이다. 이 단어는 모두 한월어이다(獨立|독립vi – 自由|자유vi – 幸福|행복vi).

베트남어 알파벳으로 한월어 단어를 표기하면, 한월어에 동음이의어가 많기 때문에 일부 용어의 기원에 대한 혼란이 생긴다. 예를 들어, 明|명vi (밝음)과 冥|명vi (어둠) 모두 ''minh''으로 읽히기 때문에, "minh"이라는 단어는 "밝은"과 "어두운"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의미를 갖는다(물론 "어두운" 의미는 현재 난해하며 몇몇 복합 단어에서만 사용된다). 아마도 이러한 이유로, 명왕성에 대한 베트남어 이름은 다른 동아시아 언어처럼 ''Minh Vương Tinh'' (冥王星|명왕성vi – 문자 그대로 "지하 세계 왕 별")이 아니라, 힌두교불교의 신인 야마의 이름을 따서 ''Diêm Vương Tinh'' (閻王星|염왕성vi)과 ''sao Diêm Vương''이다. 호 왕조 시대에 베트남은 공식적으로 ''Đại Ngu'' (大虞|대우vi "위대한 평화")로 알려졌다. 그러나 현대 베트남 사람들은 대부분 ''ngu'' (愚|우vi)를 "바보"로 알고 있다. 그 결과, 일부는 이를 "큰 바보"로 오해한다. 반대로, 대한민국한강은 종종 ''sông Hàn'' (韓|한vi)으로 잘못 번역되는데, 이는 이름이 국가 이름과 유사하기 때문에 ''sông Hán'' (漢|한vi)으로 번역되어야 한다. 그러나, 동형이의어/동음이의어 문제는 보이는 것만큼 심각하지 않다. 왜냐하면 많은 한월어 단어가 베트남어 알파벳으로 쓰여질 때 여러 가지 의미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하나뿐이며, 나머지는 잊혀진다. 또한, 한월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복합 단어로 사용되므로, 각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갖더라도 복합 단어의 의미는 유지된다.

오늘날 한월어 텍스트는 주로 불교 승려들만 배우고 사용한다. 영혼을 달래는 경전과 같은 중요한 텍스트(귀신 축제 - ''Trai đàn Chẩn tế''; 齋壇振濟|재단진제vi 의례 중에 낭독)가 여전히 한월어 발음으로 낭독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Nam mô A Di Đà Phật''은 南無阿彌陀佛|나무아미타불vi에서 유래되었다.

베트남어는 일본어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많은 수의 한자어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어휘는 베트남 고유의 전승 한자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차용어와는 다르다.

현재 베트남에서는 한자 자체가 사용되지 않지만, 한자어의 수는 오히려 증가했으며, 현재도 베트남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신문 등에서는 70%의 어휘가 한자어라는 보고가 있다.

현재 베트남 북부는 기원전부터 중국계 왕조의 지배를 받아 한(漢) 문화가 베트남에 전해졌다. 그러나 고대 시대에는 베트남에서의 한어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수(隋)·당(唐) 시대에는 불교 승려들 사이에 한문 지식이 보급되었다. 본격적으로 한어가 사용되게 된 것은 10세기 이후, 오히려 베트남이 독립 왕조를 개창하고부터였다.[14] 베트남의 전승 한자음도 주요한 부분은 이때에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15세기 전반 레 왕조 시대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형률이 만들어졌고, 과거 제도도 완성되었다.[15]

한자를 폐지한 후, 한어를 고유어로 대체하는 것도 이루어졌지만 (비행기를 飛機|비기vi ''phi cơ''에서 máy bayvi로 개정하는 등)[12], 새로 만들어진 한어도 있다(無綫傳形|무선전형vi ''máy vô tuyến truyền hình'' (무선전형, 텔레비전) 등).[16]

6. 나라 이름 표기

나라 이름베트남어 표기음역
인도Ấn Độ / 印度언도
이집트Ai Cập / 埃及아이껍
폴란드Ba Lan / 波蘭발란
오스트리아Áo / 奧아오
벨기에Bỉ / 比
포르투갈Bồ Đào Nha / 葡萄牙보다오냐
덴마크Đan Mạch / 丹麥단마잊
독일Đức / 德
네덜란드Hà Lan / 荷蘭할란
그리스Hy Lạp / 希臘힐랍
라오스Lào / 牢라오
노르웨이Na Uy / 挪威나우이
러시아Nga / 俄응아
핀란드Phần Lan / 芬蘭펀란
스페인Tây Ban Nha / 西班牙떠이반냐
터키Thổ Nhĩ Kỳ / 土耳其토니끼
스웨덴Thụy Điển / 瑞典튀디언/서전
스위스Thụy Sĩ / 瑞士튀시/서사
오스트레일리아Úc / 澳
이탈리아Ý / 意


참조

[1] 논문 Doctoral thesis 2007
[2] 웹사이트 Lacquered Words: the Evolution of Vietnamese under Sinitic Influences from the 1st Century BCE to the 17th Century CE https://ecommons.cor[...] 2013-01
[3] 서적 Bai Hu Tong - The Comprehensive Discussions in the White Tiger Hall https://ctext.org/ba[...] Brill 1949
[4] 웹사이트 Bai Hu Tong : 卷四 : 誅伐 - 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ba[...] 2024-05-18
[5] 사전 ân nghĩa https://www.informat[...] Hồ Ngọc Đức's Vietnamese dictionary
[6] 사전 ân nghĩa https://en.bab.la/di[...] bab.la
[7] 서적 1979
[8] 서적 1987
[9] 서적 1993
[10] 서적 1987
[11] 서적 1988
[12] 서적 1987
[13] 서적 1979
[14] 서적 1993
[15] 서적 東南アジア史 1.大陸部 山川出版社
[16] 서적 1987
[17] 간행물 중국(中國) 한자(漢字)의 베트남으로 유입 - 뜨 한비엣(漢越字)의 형성과정과 특징에 대한 고찰 https://papersearch.[...]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