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레니즘 미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레니즘 미술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시대에 번성한 미술 양식으로, 건축, 조각, 회화, 모자이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징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건축에서는 대규모 도시 계획과 공공 건축물이 발달했으며, 조각은 감정 표현과 사실적인 묘사를 강조하며 '바로크' 양식과 '로코코' 양식 등 다양한 양식을 선보였다. 회화와 모자이크는 풍경 묘사, 트롱프뢰유 기법 등을 통해 발전했으며, 도기 및 금속 공예, 유리 공예, 보석 세공 등에서도 새로운 기술과 양식이 나타났다. 헬레니즘 미술은 로마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간다라 미술 등 다른 지역 미술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레니즘 미술 - 마투라 헤라클레스
    마투라에서 발견된 마투라 헤라클레스 조각상은 사자를 목 졸라 죽이는 남성을 묘사하며, 처음에는 헤라클레스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바수데바로 해석되기도 하고, 쿠샨 왕조 시대 헬레니즘 문화와 인도 문화의 융합을 보여주는 권력과 통치력의 상징으로, 고대 그리스 조각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
  • 헬레니즘 미술 - 간다라 미술
    간다라 미술은 헬레니즘 문화와 불교 문화의 융합으로 탄생하여 사실적인 인물 표현과 헬레니즘 건축 양식을 특징으로 하며, 불상을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하기 시작하여 동아시아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미술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고대 그리스의 미술 - 고대 그리스 미술
    고대 그리스 미술은 기원전 1050년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 도기, 금속 세공, 조각, 건축, 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서양과 동양의 여러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헬레니즘 미술
헬레니즘 미술
밀로의 비너스 앞모습
그리스 밀로스섬에서 발견된 밀로의 비너스, 기원전 130–100년, 루브르 박물관
사모트라케의 니케
사모트라케 섬에서 발견된 사모트라케의 니케, 기원전 200–190년, 루브르 박물관
페르가몬 제단
페르가몬 제단, 페르가몬 박물관, 베를린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하는 모습
베르기나, 마케도니아, 왕릉의 프레스코, 기원전 340년경
시대적 배경
시기기원전 323년 ~ 기원전 31년
이전 시기고대 그리스 미술
이후 시기로마 미술
특징
주요 특징개별성과 표현 강조
극적이고 감정적인 표현
다양한 문화의 융합
사실적 묘사
기념비적 규모
영향 받은 문화그리스
이집트
페르시아
인도
주요 분야
조각밀로의 비너스
사모트라케의 니케
라오콘 군상
건축페르가몬 제단
로도스의 거상
회화파윰 미라 초상
주요 중심지

2. 역사적 배경

헬레니즘 미술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건설 이후부터 그리스 지역이 로마 제국에 완전히 편입되기 전까지, 즉 기원전 323년부터 기원전 31년경까지의 그리스 미술을 지칭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그리스 문화는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이는 그리스 본토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에 헬레니즘 미술이 뿌리내리는 계기가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그의 제국은 여러 왕국으로 분열되었고, 이들 왕국은 각자 독자적인 헬레니즘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은 미술에도 영향을 미쳐, 지역별로 다양한 양식의 헬레니즘 미술이 나타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페르가몬 왕국에서는 역동적이고 극적인 조각이 발달했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알렉산드리아에서는 이집트 미술의 영향을 받은 혼합적인 양식이 나타났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이전 시대보다 훨씬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미술을 향유하게 되었다. 왕족과 귀족뿐만 아니라 부유한 상인, 도시민들도 미술품을 소장하고, 공공장소에 조각상을 세우는 등 미술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미술의 주제와 표현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 신화 속 영웅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생활, 노인, 어린이, 동물 등 다양한 소재가 미술 작품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헬레니즘 미술은 그리스 고전 미술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여 다양하고 역동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는 헬레니즘 미술이 고대 로마 미술에 큰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서양 미술사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3. 건축

헬레니즘 시대 건축은 이전 시대와 비교하여 몇 가지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도시 계획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났는데, 이전에는 공간의 결함을 수정하는 방식이었다면, 헬레니즘 시대에는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방식으로 도시를 건설했다. 또한, 극장과 공원과 같은 오락 및 레저를 위한 공공 시설이 증가했다.

고대 마케도니아의 묘인 팔메트 묘는 색색의 도리아식과 이오니아식 몰딩으로 장식되었으며, 박공에는 남녀가 함께 기대어 있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4]

3. 1. 도시 계획과 공공 건축물

건축 분야에서 헥토르 이후의 왕조들은 광대한 도시 계획과 대규모 단지를 조성했는데, 이는 기원전 5세기까지 도시 국가에서 대부분 사라졌던 것이다.[5] 도리아식 신전은 사실상 버려졌다.[6] 이러한 도시 계획은 그리스 세계에서 상당히 혁신적이었다. 공간의 결함을 수정하여 공간을 조작하는 대신, 건축 계획은 자연 환경에 순응했다. 특히 극장과 공원의 증가, 즉 많은 오락 및 레저 장소의 등장을 주목할 수 있다. 헬레니즘 군주정은 넓은 공간을 가지고 대도시를 건설할 수 있었기에 이 점에서 유리했다. 예를 들어 안티오크, 페르가몬, 셀레우키아 등이 있다.

거대주의의 시대였다. 예를 들어 이오니아의 밀레투스에서 20킬로미터 떨어진 디디마의 두 번째 아폴론 신전이 그러했다. 기원전 4세기 말에 밀레투스의 다프니스와 에페소스의 파이오니오스가 설계했지만, 건설은 2세기까지 완료되지 못했다. 이 신전은 지중해 지역에서 건설된 것 중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이다. 광대한 안뜰(21.7m x 53.6m) 안에 ''켈라''는 높이가 거의 20미터에 달하는 108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이루어진 이중 열주로 둘러싸여 있으며, 풍부하게 조각된 받침대와 주두가 있다.[7]

헬레니즘 시대의 알렉산드리아는 장식의 자유로운 사용과 구조적 요소를 장식적 요소로 재활용하는 경향 때문에 바로크 양식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건축 형태 언어를 만들어냈다. 전통 이집트 건축에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았을 수도 있는 알렉산드리아 건축가들은 분절형, 파손형, 속이 빈 형태, 소용돌이형 페디먼트와 곡선 아치형, 오목형, 파손형 엔타블레이처와 같은 새로운 형태를 개발했다.[8] 이러한 바로크 형태는 적어도 기원전 2세기까지 알렉산드리아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9] 이 중 많은 부분이 나중에 로마 제국 전역에 채택되었으며, 페트라의 암벽 묘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알렉산드리아 건축은 또한 외부와 내부에 모두 코린트식 기둥머리를 많이 사용했다. (알렉산드리아에서 코린트식 기둥머리가 외부에 사용된 가장 초기의 예는 프톨레마이오스 3세가 기원전 246-221년 사이에 건설한 사라피스 신전의 사라페이온으로, 프톨레마이오스 2세가 기원전 285-246년 사이에 후원한 사모트라케의 사모트라케에 있는 위대한 신들의 성소의 정문에도 이미 한쪽 파사드에 코린트식 기둥이 사용되었다.) 코린트식 기둥머리는 때때로 도리스식 엔타블레이처와 함께 사용되었는데, 이는 헬레니즘 세계에서는 드문 조합이었다. 알렉산드리아 코린트식 기둥머리는 역사가들이 네 가지 뚜렷한 유형으로 나눈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보여주었다.

헬레니즘 알렉산드리아 건축의 다른 전형적인 특징으로는 일반적인 아티카식 기둥 받침과 코린트식 기둥의 기둥 축 사이에 삽입된 아칸서스 잎 기둥 받침과 독특한 알렉산드리아식 평평한 홈이 파인 및/또는 속이 빈 사각형 모딜리온을 특징으로 하는 처마 장식이 있었다.

로마의 제2 양식 프레스코는 알렉산드리아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8]

3. 2. 주거 건축

고대 도시 올린토스는 고전 세계와 헬레니즘 세계를 잇는 건축 및 예술적 기반 중 하나였다.

올린토스 유적에서는 100채가 넘는 가옥이 발견되었다. 이 가옥들과 기타 건축물들은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당시 가옥에서 이루어진 활동과 내부 공간의 구성 및 활용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10]

올린토스의 가옥은 대체로 사각형 모양이었다. 헬레니즘 시대와 그 이후 그리스 문화에서 문명화된 삶은 튼튼한 생활 공간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했기에, 가옥은 크거나 사치스럽기보다는 편안하고 실용적인 것을 추구했다. 돌, 나무, 흙벽돌 등 다양한 재료가 주거지 건축에 사용되었다.[10]

헬레니즘 시대에는 가옥에 안뜰을 추가하는 것이 인기를 끌었다. 그리스 가옥은 프라이버시를 위해 외부와 차단되었기 때문에, 안뜰은 집안의 광원 역할을 했다. 일부 가옥에서 창문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대개 지면에서 높이 떨어져 있고 크기가 작았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집 안의 채광을 포기해야 했다. 빛이 잘 드는 공간은 오락이나 공적인 활동에 사용되었고, 집의 사적인 부분은 어둡고 폐쇄적으로 유지되어 집안일을 어렵게 만들었다.[10]

안뜰은 가옥의 중심 공간으로, 오락 공간이자 집 내부에 빛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안뜰은 주로 조약돌이나 자갈로 포장되었지만, 모자이크로 장식된 안뜰도 발견되었다. 모자이크는 가족의 관심사와 신념을 표현하고 가옥에 장식을 더해 시각적으로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훌륭한 방법이었다. 올린토스 가옥의 이러한 예술적 요소는 헬레니즘 사회에 문명화된 삶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10]

3. 3. 대표적인 건축물

헬레니즘 시대는 건축 분야에서 거대주의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시 계획은 이전 시대에 비해 혁신적이었는데, 공간의 결함을 수정하고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극장과 공원 등 오락 및 레저 시설이 증가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안티오크, 페르가몬, 셀레우키아와 같은 대도시들이 헬레니즘 군주정에 의해 건설되었다.

디디마의 아폴론 신전은 헬레니즘 건축의 거대주의를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기원전 4세기 말에 설계되었지만 2세기에 이르러서야 완공된 이 신전은 지중해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였다. 광대한 안뜰 안에는 ''켈라''가 있었고, 높이가 거의 20미터에 달하는 108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이루어진 이중 열주로 둘러싸여 있었다. 기둥 받침대와 주두는 풍부하게 조각되어 있었다.[7]

고대 도시 올린토스는 헬레니즘 시대의 건축 및 예술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유적지이다. 잘 보존된 100채 이상의 가옥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사각형 모양이었다. 이 가옥들은 편안하고 실용적인 주거 공간을 중시하는 헬레니즘 시대의 문명화된 삶의 특징을 보여준다. 헬레니즘 시대 가옥의 또 다른 특징은 안뜰의 존재였다. 안뜰은 집 안에 빛을 제공하고, 오락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일부 가옥에서는 모자이크로 장식된 안뜰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는 가족의 관심사와 신념을 표현하고 가옥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소였다.[10]

페르가몬은 헬레니즘 건축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아탈로스 왕조는 아크로폴리스에 위치한 단순한 요새를 거대한 건축 단지로 발전시켰다. 건물들은 지형에 맞춰 부채꼴 모양으로 배치되었고, 아고라는 열주(기둥)가 있는 갤러리인 '스토아'로 둘러싸여 있었다. 아크로폴리스를 가로지르는 거리는 행정, 정치, 군사 건물과 신성한 장소를 분리했다. 특히, "열두 신" 또는 "신과 거인"으로 알려진 기념비적인 페르가몬 제단은 그리스 조각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 거의 10,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극장은 언덕의 측면에 벤치가 설치되어 있었다.[11]

헬레니즘 조각은 이른바 "제2의 고전주의"의 혁신을 이어받았다. 누드 조각인 입상 조각은 모든 각도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옷의 드레이핑과 투명 효과, 유연한 포즈 등이 특징이다. 밀로의 비너스는 고전적인 모델을 따르면서도 허리의 뒤틀림으로 인해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21]

4. 조각

헬레니즘 시대의 조각은 이전 시대와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겪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고전 시대 조각을 묘사한 후 "Cessavit deinde ars"("그때 예술은 사라졌다")라고 언급하며, 기원전 296~293년 이후 조각이 쇠퇴했다고 평가했다.[12] 그러나 헬레니즘 시대에 조각은 다시 부활하여 새로운 특징을 보이며 발전했다.

이 시기 조각은 더욱 자연스러워지고 표현력이 풍부해졌다. 격렬한 감정을 묘사하는 데 관심이 쏠렸으며, 해부학적 사실성뿐만 아니라 고통, 잠, 노년과 같은 주제를 통해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려 했다. 평범한 사람들, 여성, 어린이, 동물, 가정 장면과 같은 일상적인 주제들이 부유한 가문의 집과 정원을 장식하기 위한 조각의 소재로 채택되었다. 가시를 뽑는 소년이 그 예시이다.

모든 연령대의 남녀의 사실적인 초상화가 제작되었으며, 조각가들은 더 이상 사람들을 미의 이상이나 육체적 완벽함으로 묘사할 의무를 느끼지 않았다.[14] 디오니소스의 세계, 즉 사티로스, 마이나데스, 님프 및 실레노스로 가득 찬 목가적 전원시가 이전의 도자기 그림과 조각상에서 자주 묘사되었지만, 전신 조각에서는 드물었다. 뮌헨의 늙은 술꾼은 늙고 야위고, 술병을 움켜쥔 노파를 거리낌 없이 묘사한다.[15]

헬레니즘 시대에는 여러 인물 군상 조각이 등장했는데, 이는 이전 시대의 서사적인 전투 장면을 실물 크기의 조각상 군상으로 배치한 혁신이었다. 이들의 양식은 종종 "바로크"라고 불리며, 과장되게 뒤틀린 신체 자세와 격렬한 표정이 특징이다.[22] 라오콘 군상은 헬레니즘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22] 1506년 로마에서 발견된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 조각상은 미켈란젤로를 비롯한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28] 대 플리니우스는 이 조각상을 로도스의 조각가 아게산드로스, 아테노도로스, 폴리도로스의 작품으로 보았다.[28] 스페를롱가 조각 역시 헬레니즘 양식의 "바로크" 조각으로, 티베리우스 황제를 위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28]

4. 1. 양식의 다양성과 변화

헬레니즘 시대 조각은 고전 시대의 이상적인 아름다움에서 벗어나 더욱 자연스럽고 표현력이 풍부해졌다. 감정의 극단을 묘사하는 데 관심이 쏠렸으며, 해부학적 사실성 외에도 고통, 잠, 노년과 같은 주제를 통해 대상의 성격을 표현하려 했다.[14] 평민, 여성, 어린이, 동물, 가정 장면과 같은 일상적인 주제가 조각의 주요 소재가 되었다.[15]

헬레니즘 시대는 초상화로 유명하다. 뮌헨 글립토테크의 바르베리니 파우누스는 잠자는 사티로스를 묘사하는데, 편안한 자세와 불안한 표정에서 악몽에 시달리는 듯한 모습을 표현했다.[16] 벨베데레의 토르소, ''휴식을 취하는 사티로스'', 푸리에티 켄타우로스 및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16]

바르베리니 파우누스, 기원전 2세기 헬레니즘 시대 또는 기원후 2세기 로마 시대의 초기 청동 복제품


눈을 상감한,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1세기의 신원 불명의 모델의 청동 조각 초상화, 델로스 섬의 팔레스트라 호수에서 발견됨


알렉산드로스 석관의 한 장면


헬레니즘 시대에는 여러 인물 군상 조각이 등장했는데, 이는 이전 시대의 서사적인 전투 장면을 실물 크기의 조각상 군상으로 배치한 혁신이었다. 이들의 양식은 종종 "바로크"라고 불리며, 과장되게 뒤틀린 신체 자세와 격렬한 표정이 특징이다.[22] 라오콘 군상은 헬레니즘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22]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 바티칸 박물관, 로마


페르가몬은 페르가몬 바로크라는 독자적인 조각 양식을 발전시켰다.[23] 페르가몬의 조각가들은 고통스러운 순간들을 3차원 구도와 해부학적 극사실주의로 표현했다. 바르베리니 파우누스가 그 예이다.

루도비시 골족이 아내와 함께 자살하는 모습, 헬레니즘 원본의 로마 복제품, 국립 로마 박물관 (팔라초 마시모 알레 테르메).


스페를롱가 조각상의 중앙 그룹,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함'을 묘사. 그룹의 캐스트 재구성, 오른쪽에 캐스트 버전 앞에 보이는 "가죽 부대 지지자"의 원래 모습이 있다.


헬레니즘 미술에서는 "바로크" 양식 외에도 "로코코" 양식이라 불리는 경향이 나타났다. 사티로스님프와 같은 유쾌한 모티프를 강조한 "로코코" 양식은 빌헬름 클라인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다.[31] 그는 조각상 그룹 "춤에의 초대"를 이 경향의 대표적인 예시로 간주했다.[32][33]

헬레니즘 조각상 그룹 "춤에의 초대"의 사티로스. 이 조각상 그룹은 헬레니즘 조각의 "로코코" 경향의 대표적인 예시로 여겨진다. 조각상 그룹에서 사티로스는 앉아있는 여성과 함께 묘사되었다. 이 조각상은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세기부터는 신 아티카 또는 신고전주의 양식이 등장하여 바로크 양식의 과도함을 거부하고 고전주의 양식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였다.[35] 이 양식의 작업장은 주로 로마 시장을 위한 복제품을 생산했으며, 로마 시장은 헬레니즘 조각보다는 고전 조각의 복제품을 선호했다.[36]

4. 2. 주제와 표현의 확장

헬레니즘 시대에는 신과 영웅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 노인, 어린이, 동물 등 다양한 주제가 조각에 등장했다. 뮌헨의 글립토테크에 있는 바르베리니 파우누스는 잠자는 사티로스를 묘사하며 악몽에 시달리는 듯한 불안한 표정을 보여준다. 벨베데레의 토르소, ''휴식을 취하는 사티로스'' 등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16] 폴리에우크토스가 제작한 데모스테네스 초상화는 맞잡은 손과 훌륭하게 표현된 얼굴이 특징이다.[13]

조각의 사유화[17][18]는 헬레니즘 시대의 또 다른 현상으로, 장식 조각에서 이전의 공공 양식을 되찾는 모습에서 나타난다.[19] 로마 미술의 영향을 받은 초상화는 자연주의적인 경향을 띤다.[20] 이집트, 시리아, 아나톨리아 등지에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들이 생겨나면서 신전과 공공 장소를 위한 조각상 수요가 증가했다. 이는 조각의 산업화를 가져왔고, 표준화와 품질 저하를 초래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레니즘 조각상은 고전 시대보다 훨씬 더 많이 남아 있다.

다수의 인물 군상 조각은 헬레니즘 시대의 혁신이다. 기원전 3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전 사원 박공 부조의 서사적인 전투 장면을 실물 크기의 조각상 군상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양식은 종종 "바로크"라고 불리며, 과장되게 뒤틀린 신체 자세와 격렬한 표정이 특징이다. 라오콘 군상은 헬레니즘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예시이다.[22]

헬레니즘 미술, 특히 조각에서의 "바로크"적 특징은 "로코코"로 묘사되는 동시대 경향과 대비된다. 빌헬름 클라인은 "춤에의 초대" 조각상 그룹을 헬레니즘 "로코코" 경향의 대표적인 예시로 보았다.[31][32][33] 아프로디테에로스의 가볍고 경쾌한 묘사 역시 "로코코"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헬레니즘 조각에서 "로코코" 모티프가 선호된 것은 사적인 조각 수집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34]

2세기부터 신 아티카 또는 신고전주의 양식은 바로크 양식의 과도함을 거부하고 고전주의 양식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인다.[35] 이 양식의 작업장은 주로 로마 시장을 위한 복제품을 생산했으며, 로마 시장은 헬레니즘 조각보다는 고전 조각의 복제품을 선호했다.[36]

4. 3. 대표적인 조각 작품



헬레니즘 시대의 조각은 격렬한 감정 표현, 해부학적 사실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평범한 사람들, 여성, 어린이, 동물, 가정의 모습 등이 조각의 주제로 채택되어 부유층의 집과 정원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14]

  • '''밀로의 비너스''': 루브르 박물관에 있으며, 아프로디테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죽어가는 갈리아인''': 로마 카피톨리니 미술관에 있으며, 헬레니즘 시대 작품의 로마 시대 복제품이다.
  • '''바르베리니 파우누스''': 뮌헨의 글립토테크에 있으며, 잠자는 사티로스를 묘사한다. 편안하면서도 불안한 표정으로 악몽을 꾸는 듯한 모습을 표현했다.[16]
  • '''루도비시 골족''': 국립 로마 박물관에 있으며, 아내를 죽이고 자살하는 골족 전사의 모습을 묘사했다.
  • '''라오콘 군상''': 바티칸 박물관에 있으며, 뱀에게 질식당하는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의 고통을 생생하게 표현했다. 미켈란젤로 등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28] 대 플리니우스는 이 조각상을 로도스의 조각가 아게산드로스, 아테노도로스, 폴리도로스의 작품으로 보았다.[28]


헬레니즘 시대에는 여러 인물이 등장하는 군상 조각이 발달했는데, 이전 시대 사원 박공 부조의 서사적 전투 장면을 실물 크기 조각상 군상으로 재현한 것이다. 이러한 조각상은 "바로크" 양식으로 불리며, 과장된 신체 표현과 격렬한 감정이 특징이다.[22] 페르가몬은 페르가몬 바로크라는 독자적인 조각 양식을 발전시켜 고통스러운 순간을 3차원적이고 극사실적으로 표현했다.[23]

4. 4. 초상 조각

헬레니즘 시대는 초상 조각으로 유명하다. 뮌헨의 글립토테크에 있는 바르베리니 파우누스는 잠자는 사티로스를 편안한 자세와 불안한 표정으로 묘사했는데, 아마도 악몽에 시달리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벨베데레의 토르소, ''휴식을 취하는 사티로스'', 푸리에티 켄타우로스,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역시 유사한 아이디어를 반영한다.[16]

폴리에우크토스가 제작한 데모스테네스의 초상화는 훌륭하게 표현된 얼굴과 맞잡은 손이 특징이다.[13] 헬레니즘 시대의 초상화는 로마 미술의 영향을 받아 자연주의적인 경향을 띤다.[20]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들이 이집트, 시리아, 아나톨리아 전역에 걸쳐 생겨났고, 이 도시들은 신전과 공공 장소를 위해 그리스의 신들과 영웅들을 묘사한 조각상을 필요로 했다. 이로 인해 조각은 도자기와 마찬가지로 산업이 되었고, 그 결과 표준화가 이루어졌으며 품질이 다소 낮아졌다. 이러한 이유로 헬레니즘 조각상은 고전 시대의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이 남아 있다.

5. 회화와 모자이크

헬레니즘 시대 회화와 모자이크는 미술의 중요한 표현 수단이었지만, 판넬에 그려진 회화 작품은 로마 몰락 이후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다. 하지만 다른 관련 매체, 로마 시대 복사본, 헬레니즘 회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통해 당시 회화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몇몇 모자이크는 당시 "웅장한 회화"에 대한 상당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것들은 프레스코화의 복사본이다. 이러한 예술 형식은 주로 벽, 바닥, 기둥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54]

알렉산드로스 모자이크의 세부 묘사,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묘사, 기원전 100년경 로마 시대 복사본, 폼페이의 파우누스 저택 출토, 기원전 3세기 헬레니즘 시대 그림 원본, 아마도 에레트리아의 필록세노스의 작품

5. 1. 회화

헬레니즘 시대의 회화와 모자이크는 미술에서 중요한 표현 수단이었지만, 안타깝게도 판넬에 그려진 회화 작품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다른 관련 자료나 로마 시대의 복사본, 혹은 헬레니즘 회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통해 당시 회화의 모습을 추정해 볼 수 있다.[46]

헬레니즘 회화와 모자이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풍경 묘사가 늘어났다는 점이다.[46] 이 작품들 속 풍경은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신화적이고 목가적인 요소들을 담고 있었다.[37] 풍경 프리즈와 모자이크는 헤론다스나 테오크리토스와 같은 헬레니즘 시대 시인들의 작품 속 장면을 묘사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이러한 풍경 묘사는 가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교육 수준과 문학적 소양을 보여주는 역할을 했다.[38]

'성스러운 전원적(Sacro-idyllic)' 양식은 헬레니즘 미술에서 자주 나타나는 특징으로, 신성한 주제와 목가적인 주제를 결합하여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39][40] 이러한 경향은 로마 시대 모자이크인 "프레스네테의 나일 모자이크"에서도 나타나는데, 이 작품은 에티오피아에서 지중해까지 이어지는 나일강의 모습을 환상적인 색채 구성과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묘사하고 있다. 헬레니즘적 배경은 폼페이, 키레네, 알렉산드리아 등지의 작품에서도 발견된다. 특히 남부 러시아에서는 그리스 후기 양식의 영향을 받아 벽과 천장에 꽃무늬와 나뭇가지들이 자유로우면서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흩어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41] 보스코레알레 빌라에서 발견된 "큐비쿨룸(Cubiculum)" 회화는 웅장한 건축물을 배경으로 식물과 바위 등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보스코레알레의 P. 파니우스 시니스토르 빌라에서 가져온 "큐비쿨룸"(침실)으로 알려진 로마 프레스코 회화, 기원전 50–40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03.14.13a–g.


기원전 4세기, 테살로니키의 아기오스 아타나시오스 묘에서 발견된 연회 장면.
헬레니즘 시대 테라코타 장례 벽화, 기원전 3세기
폼페이 시대에는 벽화가 더욱 유행했는데, 이러한 벽화는 단순히 예배 장소나 무덤뿐만 아니라, 집을 장식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42] 델로스, 프리에네, 테라, 판티카파이온, 올비아, 알렉산드리아 등지의 개인 주택에서 벽화가 흔하게 발견되었다.[42]

그리스 벽화는 오랜 세월 동안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베르기나에 있는 마케도니아 왕족 무덤 벽화는 그리스 회화의 뛰어난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이다. 그리스 화가들은 삼차원 원근법,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입체감 표현, ''트롱프뢰유'' 사실주의와 같은 표현 방식을 서구 세계에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43] 헬레니즘 그리스 회화는 나무 피나케스 패널과 석재에 그려진 것 외에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가장 유명한 석재 회화는 [http://odysseus.culture.gr/h/2/eh251.jsp?obj_id=1428 아기오스 아타나시오스]에 있는 마케도니아 무덤에서 발견된다.[43]

연구자들은 폼페이헤르쿨라네움 등지의 로마 프레스코화를 통해 헬레니즘 회화의 영향을 연구해왔다. 빌라 보스코레알레에 있는 몇몇 그림들은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왕족 회화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44]

최근 지중해 지역 발굴을 통해 헬레니즘 회화에 사용된 기법들이 밝혀졌다.[45] 이 시대 벽화는 건식 벽화 기법과 프레스코 기법, 두 가지 방식으로 제작되었다.[45] 프레스코 기법은 석회 성분이 풍부한 여러 겹의 회반죽 층을 사용하여 벽과 석조 지지대를 장식하는 방식이다.[45] 반면 건식 벽화 기법은 대리석이나 기타 석재에 세부적인 묘사를 할 때 아라비아 고무와 달걀 템페라를 사용했기 때문에 별도의 바탕칠이 필요하지 않았다.[45] 델로스에서 발견된 석조 프리즈는 이러한 건식 벽화 기법의 예시이다.[45] 두 기법 모두 테라코타 골재, 천연 무기 안료, 합성 무기 안료, 유기 물질 등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했다.[45]
프레스코 기법으로 그려진 고대 마케도니아 군인 (토라키타이)은 사슬 갑옷을 착용하고 ''투레오스'' 방패를 들고 있다.


최근 옛 마케도니아 왕국의 베르기나에서 발견된 1987년의 묘실에서는 많은 프리즈가 발굴되었다.[46] 예를 들어, 묘실 II에서는 사자 사냥을 묘사한 헬레니즘 양식의 프리즈가 발견되었는데,[47] 필리포스 2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프리즈는 뛰어난 구성, 공간 속 인물 배치, 사실적인 자연 묘사가 특징이다.[48] 다른 프리즈들은 심포지엄과 연회, 또는 군사 행렬과 같은 사실적인 장면을 담고 있어, 아마도 역사적 사건을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47]

최근 요르단의 리틀 페트라에 있는 페인티드 하우스에서는 1세기 나바테아 천장 프레스코가 복원되었다.[49] 나바테아인들은 로마인, 이집트인, 그리스인과 교역했기 때문에, 그림에서 관찰되는 곤충과 다른 동물들은 헬레니즘 양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덩굴은 그리스 신 디오니소스와 관련되어 있다.[49]

현대 볼로스 근처 파가세스 묘지에서는 최근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몇몇 독창적인 작품들이 발견되었다. 아르바니토풀로스 박사가 진행한 이 유적지 발굴에서는 3, 4세기 그리스 화가들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통치를 암시하는 장면들이 발견되었다.[50][51]

1960년대에는 델로스에서 벽화 그룹이 발견되었다.[52] 발견된 프리즈 조각들은 후기 헬레니즘 시대에 살았던 화가 공동체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53] 벽화는 가정 장식을 강조하며, 델로스 기관이 오랫동안 주택 소유자들이 이 예술 작품을 즐길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이고 안전할 것이라는 이들의 믿음을 전달한다.[53]

5. 2. 모자이크

헬레니즘 시대에 모자이크 미술은 크게 발전했다. 기원전 5세기의 올린토스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조약돌 모자이크는 특별한 모양 없이 흰색과 검은색 조약돌을 사용하여 신화 속 장면을 묘사했다. 검은색 조약돌은 이미지의 윤곽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54]

기원전 4세기의 펠라 유적에서는 더 다양한 색상과 톤으로 음영 처리된 조약돌을 사용하고, 테라코타와 납선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윤곽과 세부 묘사를 더욱 뚜렷하게 표현하는 발전된 형태를 볼 수 있다.[54]

기원전 3세기에는 정교하게 잘린 돌, 조각난 조약돌, 유리, 소성 점토인 테세라 등 더 많은 재료가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예술가들은 더욱 뚜렷한 표현, 정교한 세부 묘사, 더 나은 조화, 더 넓은 범위의 색상과 톤을 만들 수 있었다.[54]

''오푸스 베르미쿨라툼''과 ''오푸스 테셀라툼''은 이 시대의 모자이크 제작에 사용된 두 가지 다른 기법이었다. ''오푸스 테셀라툼''은 테세라의 크기를 줄이고 모양, 색상, 재료의 다양성을 높였다. ''오푸스 베르미쿨라툼''은 종종 이 기법과 결합되었으며, 복잡하고 시각적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54]

대부분의 모자이크는 현장에서 제작되었지만, ''엠블레마'' 기법을 사용하여 이미지 패널을 테라코타나 돌 트레이에 현장 밖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 설치하기도 했다.[54]

델로스에서는 오푸스 베르미쿨라툼 모자이크에 유색 그라우트를 사용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았다.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납 스트립은 표면 기법의 특징을 정의하는 모자이크에서 발견되었지만, 모든 유형의 모자이크에 존재했기 때문에 특정 유형의 유일한 특징은 아니었다.[56]

폼페이의 파우누스 저택에서 발견된 알렉산드로스 모자이크는 이수스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다리우스 3세의 대결을 묘사한 작품이다. 이 모자이크는 에레트리아의 필록세노스 또는 아펠레스의 그림을 복사한 것으로 추정된다.[58],[59]

260px


펠라에서 발견된 그노시스의 사슴 사냥 모자이크는 모자이크 예술가의 최초 서명("Gnosis epoesen", 즉 그노시스가 제작)으로 알려져 있다.[60] 어두운 배경에 나타난 밝은 인물, 그림자의 사용, 인물 중첩을 통한 원근법 표현 등은 적색 figure 회화를 연상시킨다.[64]

페르가몬의 소소스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비둘기 분지"(카피톨린), 하드리아누스 별장(티볼리, 라치오, 서기 2세기)에서 출토


페르가몬의 소소스는 트롱프뢰유 (착시) 기법과 매체의 효과를 잘 활용한 것으로 유명한 모자이크 예술가였다. 플리니우스가 유일하게 언급한 모자이크 예술가이다.[65] 그의 작품으로는 바티칸 박물관에 소장된 "쓸지 않은 바닥",[66] 카피톨리노 박물관에 있는 "비둘기 분수" 등이 있다.[67] "비둘기 분수"는 하드리아누스 별장에서 발견된 복제품을 통해 알려졌으며,[68] 물이 담긴 금도금 청동 분수 가장자리에 앉아 있는 네 마리의 비둘기를 묘사하고 있다.

프랑수아 샤무에 따르면, 키클라데스에 있는 델로스 모자이크는 테세라를 사용한 헬레니즘 모자이크 미술의 정점을 보여준다.[69]

6. 도기 및 기타 공예

헬레니즘 시대에는 건축 등에 벽돌과 타일을 사용했다. 그리스 테라코타 조각상 생산이 중요해졌으며, 신과 현대 생활을 주제로 표현했다. 이전에는 종교적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헬레니즘 시대에는 장례 및 장식 목적으로 더 자주 사용되었다. 몰딩 기술이 정교해져서 높은 수준의 디테일을 가진 미니어처 조각상을 만들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채색되었다. 타나그라 조상은 보이오티아의 타나그라 등에서 유래되었으며 생생한 색상으로 칠해졌고, 매력적인 장면 속 우아한 여성들을 묘사했다.[76] 소아시아의 스미르나에서는 파르네세 파르네세 헤라클레스와 같은 훌륭한 조각의 걸작 복제품 등 두 가지 주요 양식이 나타났다.

여러 그리스 양식은 고대 에트루리아인을 통해 고대 로마 도자기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조각상에서 두드러졌다.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에서는 동방 정복 이후 원자재가 풍부해 금속 꽃병 작업이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예술가들은 뛰어난 기교를 보였는데, 트라키아의 파나기우리슈테 보물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두 마리의 켄타우로스가 있는 금 암포라와 같은 그리스 유물을 포함한다. 데르베니 크라테르는 기원전 320년경의 대형 청동 소용돌이 크라테르로 무게는 40kg이며, 디오니소스를 묘사한 정교한 장식이 있다.[78]

보석 예술도 발전하여, 당시 보석 세공인들은 세부 사항과 필리그리 작업을 훌륭하게 처리했다. 장례 화환은 매우 사실적인 나뭇잎이나 밀 이삭을 보여주었으며, 이 시기에는 보석 세공이 번성했다.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인들은 유리 불기 기술을 발견하여[79] 새로운 형태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유리는 특히 이탈리아에서 발전했다. 이전까지는 성형 유리만을 알았지만, 유리 불기 기술 발견으로 새로운 형태를 만들수 있게 되었다. 성형 유리는 인타글리오 보석을 제작하는 데 계속 사용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 보석 조각 기술은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대량 생산품에 머물렀지만, 카메오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카메오는 여러 색상의 층으로 구성된 돌에 부조로 조각하는 기법이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곤자가 카메오와 같은 걸작과 프톨레마이오스 컵과 같은 웅장한 경옥 조각들이 제작되었다.[80]

헬레니즘 시대의 주화는 초상화를 점점 더 많이 사용했다.[81]

6. 1. 도기

헬레니즘 시대는 고대 그리스 도기의 전성기 이후, 금속 제품의 사용 증가로 인해 정교하게 채색된 도기가 쇠퇴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대의 대부분의 도기는 검은색에 광택이 나는 외관을 가졌으며, 꽃이나 화환 같은 단순한 모티프로 장식되었다. 용기 형태는 금속 세공 형태를 기반으로 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 시대의 대표적인 술병으로는 라기노스가 있다. 헬레니즘 시대에도 하드라 꽃병과 파나테나이아 꽃병과 같이 채색된 꽃병 유형은 계속 생산되었다.

라기노스로 악기가 장식된 기원전 150~100년 작품, 루브르 박물관.


이 시기에는 돋을새김 장식의 틀로 제작된 메가라 도기가 유행했는데, 이는 귀금속 꽃병을 모방한 것이다. 꽃병 몸체에는 돋을새김 화환이 적용되었고, 동물이나 상상의 동물을 기반으로 한 복잡한 돋을새김 장식도 나타났다.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 니케가 무장하고 춤을 추는 그나티아 양식의 ''레키토스'' 병, 아풀리아 (대 그리스), 이탈리아


적색상 그림은 기원전 4세기 말 아테네에서 쇠퇴하고 서사면 도기(West Slope Ware)로 대체되었다. 서사면 도기는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서쪽 경사면에서 발견되었으며, 검은색 슬립 바탕에 황갈색 슬립과 흰색 페인트로 그림을 그리고 세부 묘사를 새겨 넣는 방식이었다.[73] 인물 표현은 줄고, 화환, 돌고래, 장미꽃 등 단순한 모티프가 사용되었다. 이 양식은 크레타와 아풀리아 등 그리스 세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3세기
경에 제작된, 카노사 디 푸글리아에서 출토된, 여신 니케, 메두사의 머리와 말을 묘사한 '''아스코스''']]

첸투리페 도기는 시칠리아에서 제작되었으며, 소성 후 채색 템페라 회화를 적용하는 특징을 가졌다. 안료의 취약성 때문에 주로 장례식이나 전시용으로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기원전 2세기까지 이어졌으며, 여성 인물들이 주로 묘사되었고, 색색의 의상을 입은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이 스타일은 폼페이를 연상시키며, 당대의 웅장한 회화에서 영향을 받았다.[1][75]

서사면 도기(West Slope Ware) ''칸타로스'', 기원전 330–300년, 케라메이코스 고고학 박물관, 아테네

6. 2. 금속 공예

데르베니 크라테르, 기원전 4세기, 테살로니키 고고학 박물관


청동 조각상의 용해로 인해 작은 물체들만이 남아 있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에서는 동방 정복 이후 원자재가 풍부했다.

금속 꽃병 작업은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예술가들은 뛰어난 기교로 서로 경쟁했다. 현대 불가리아에서 출토된 트라키아의 파나기우리슈테 보물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두 마리의 뒷발을 든 켄타우로스가 있는 금 암포라와 같은 그리스 유물을 포함한다.

테살로니키 근처에서 발견된 데르베니 크라테르는 기원전 320년경의 대형 청동 소용돌이 크라테르로 무게는 40kg이며, 높이는 32cm이다. 디오니소스를 묘사한 정교한 장식이 있는데, 높이 32cm 부조로 아리아드네와 그녀를 따르는 사티로스와 마이나데스의 행렬에 둘러싸여 있다.[78] 목 부분은 장식 모티프로 장식되어 있으며, 높은 부조의 네 명의 사티로스가 꽃병의 어깨에 편안하게 앉아 있다.

보석 예술의 발전도 이와 유사하다. 당시 보석 세공인들은 세부 사항과 필리그리 작업을 훌륭하게 처리했다. 따라서 장례 화환은 매우 사실적인 나뭇잎이나 밀 이삭을 보여준다. 이 시기에는 보석 세공이 번성했다.

6. 3. 유리 공예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인들은 이전까지는 성형 유리만을 알았지만, 유리 불기 기술을 발견하여 새로운 형태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시리아에서 시작된[79] 유리는 특히 이탈리아에서 발전했다. 성형 유리는 특히 인타글리오 보석을 제작하는 데 계속 사용되었다.

6. 4. 보석 세공

헬레니즘 시대에 보석 조각 기술은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독창성이 부족한 대량 생산품에 머물렀다. 하지만, 카메오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카메오는 여러 색상의 층으로 구성된 돌에 부조로 조각하는 기법으로, 여러 색상을 활용하여 돋보이게 표현할 수 있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에 소장된 곤자가 카메오와 같은 걸작과 파리의 프톨레마이오스 컵과 같은 웅장한 경옥 조각들이 제작되었다.[80]

유리 불기 기술이 발견되어 새로운 형태의 유리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시리아에서 시작된[79] 유리는 특히 이탈리아에서 발전했다. 성형 유리는 인타글리오 보석을 제작하는 데 계속 사용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주화는 초상화를 점점 더 많이 사용했다.[81]

7. 헬레니즘 미술의 영향

헬레니즘 미술은 헬레니즘 시대 이후, 특히 로마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로마는 그리스를 정복한 후 그리스 미술품을 대량으로 수입하고, 그리스 조각가들을 로마로 데려와 헬레니즘 양식의 작품을 제작하게 했다. 로마 시대에는 헬레니즘 시대의 유명 조각 작품들을 복제하는 것이 유행했는데, 죽어가는 갈리아인,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호메로스 흉상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82]

로마인들은 헬레니즘 조각의 형태를 모방하면서도, 로마의 초상 조각 전통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조각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예를 들어, 헬레니즘 시대 운동선수 조각상에 로마 황제의 얼굴을 붙이는 식이었다.[82] 네르바 포럼에서 발견된 마르스 조각상은 헬레니즘 그리스 모델을 사용한 아우구스투스 시대 원본을 기반으로 한 서기 2세기의 작품이다.[83]

이러한 로마 시대의 복제품들은 헬레니즘 미술의 걸작들을 로마 제국 전역에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

7. 1. 로마 미술

로마는 그리스를 정복하고 그리스 미술에 대한 엘리트들의 소비와 수요가 늘면서, 특히 로마 그리스 성립 이후 그리스와 로마의 예술가들은 고전 및 헬레니즘 시대의 대리석과 청동 작품을 재현하려 했다. 이들은 조각상의 틀을 제작하고 석고 주형을 만들어 지중해 각지의 조각가 작업장으로 보냈다. 이 석고 주형을 통해 예술 작품을 복제할 수 있었다.[82]

이러한 작품들은 원본을 충실하게 재현하기도 했지만, 여러 예술 작품의 요소를 융합하거나 기존 그리스 운동선수 조각상에 로마 초상화 머리를 추가하는 등 변형을 가하기도 했다.[82]

다음은 헬레니즘 원본을 바탕으로 한 로마 시대 복제품의 예시이다.

  • --
  • --
  • --
  • --
  • --
  • --
  • --
  • --
  • --
  • --
  • 데모스테네스. 대리석, 폴리에우크토스 (기원전 약 280년)의 원본을 바탕으로 한 로마 복사본.
  • --
  • --
  • --
  • --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The architecture of Alexandria and Egypt 300 c. BC - AD 700 Yale University Press 2011
[9] 서적 Art in the Hellenistic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0] 서적 Household and City Organization at Olynthus Yale University Press
[11] 서적
[12] 문서 Natural History
[13] 서적
[14] 문서
[15] 웹사이트 The Classical Nude https://issuu.com/li[...]
[16] 문서
[17] 서적
[18] 서적
[19] 웹사이트 Studies in the History of Art https://books.google[...] National Gallery of Art 1999-01-01
[20] 서적
[21] 웹사이트 The Classical Nude https://issuu.com/li[...]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웹사이트 Scientific American https://books.google[...] Munn & Company 1905-01-01
[27] 서적
[28] 서적
[29] 웹사이트 Lessing contra Winckelmann https://www.jstor.or[...]
[30] 서적
[31] 서적 Vom antiken Rokoko Österreichische Verlagsgesellschaft
[32] 간행물 Die Aufforderung zum Tanz. Eine wiedergewonnene Gruppe des antiken Rokoko 1909
[33] 간행물 The Invitation to the Dance. An intertextual reassessment http://ecsi.se/opath[...] 2021-11-01
[34] 서적 Original und Kopie. Formen und Konzepte der Nachahmung in der antiken Kunst Reichert Verlag
[35] 문서
[36] 문서 Smith
[37] 서적 A Companion to Greek Architecture http://dx.doi.org/10[...] 2016-07-18
[38] 논문 Origins of Roman Landscape Painting 1960
[39] 논문 Studius and the Beginnings of Roman Landscape Painting 1977
[40] 웹사이트 Wind Towers in Roman Wall Paintings https://www.metmuseu[...] 2018-11-16
[41] 논문 Ancient Decorative Wall-Painting https://zenodo.org/r[...] 1919
[42] 논문 Ancient Decorative Wall-Painting https://zenodo.org/r[...] 1919
[43] 문서 Painted Funerary Monuments from Hellenistic Alexandria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44] 문서 Art of the Hellenistic Age and the Hellenistic Tradition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7
[45] 논문 Late Classical and Hellenistic painting techniques and materials: a review of the technical literature https://www.academia[...]
[46] 문서
[47] 서적 The Hellenistic Court: Monarchic Power and Elite Society from Alexander to Cleopatra https://books.google[...] ISD LLC 2017-12-14
[48] 문서
[49] 뉴스 Discovery of ancient cave paintings in Petra stuns art scholars https://www.theguard[...] 2015-04-14
[50] 서적 A Handbook of Greek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Biblo & Tannen Publishers 1909
[51] 서적 The Britannica Year Book https://books.google[...] Encyclopœdia Britannica Company, Limited 1913
[52] 문서
[53] 문서
[54] 서적 Mosaic {{!}} Grove Art http://www.oxfordart[...] 2018-11-28
[55] 논문 Technique and Materials of Hellenistic Mosaics 1979
[56] 논문 Making and Meaning: The Hellenistic Mosaic from Tel Dor 2012
[57] 논문 Making and Meaning: The Hellenistic Mosaic from Tel Dor 2012
[58] 문서 Natural History
[59] 문서
[60] 웹사이트 Mosaic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 By Katherine M. D. Dunbabin pg. 14 https://books.google[...]
[61] 서적 Alexander's Lovers https://books.google[...] Raleigh, N.C.: Lulu 2006
[62] 문서 Kleiner and Gardner
[6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osaic art http://www.thejoyofs[...]
[64] 문서 Kleiner and Gardner
[65] 문서 Natural History
[66] 웹사이트 Asarotos oikos: The unswept room http://penelope.uchi[...]
[67] 뉴스 Art and sculptures from Hadrian's Villa: Mosaic of the Doves https://followinghad[...] 2018-11-26
[68] 문서
[69] 문서
[70] 간행물 Hellenes and Romans in Ancient China (240 BC – 1398 AD)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2012-08
[71] 서적 Cleopatra the Great: The Woman Behind the Legend Harper 2008
[72] 논문 2012
[73] 논문 2005
[74] 논문 2012
[75] 간행물 Greek vase painting http://libmma.conten[...]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N.Y.) 1987
[76] 논문 2015
[77] 웹사이트 Three Centuries of Hellenistic Terracottas http://www.ascsa.edu[...]
[78] 논문 2005
[79] 논문 2005
[80] 논문 1986
[81] 웹사이트 Hellenistic Coin Portraits https://www2.lawrenc[...]
[82] 간행물 Roman Copies of Greek Statues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10-17
[83] 웹사이트 Colossal statue of Mars Ultor also known as Pyrrhus - Inv. Scu 58. http://capitolini.in[...] Capitoline Museums 2016-10-08
[84] 웹사이트 Art of the Hellenistic Age and the Hellenistic Tradition.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3-05-27
[85] 웹사이트 Hellenistic Age http://www.britannic[...] 2013-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