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생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생수》는 이와아키 히토시의 만화 작품으로, 정체불명의 생명체인 '파라사이트'가 인간의 뇌를 장악하여 다른 인간을 잡아먹는 이야기를 다룬다. 평범한 고등학생 이즈미 신이치는 파라사이트에게 습격당하지만 오른팔에 기생하게 되고, '미기'라는 파라사이트와 공생하며 다른 파라사이트와 싸우게 된다. 작품은 인간과 환경, 도덕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며, 1993년 고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 1996년 성운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과 흥행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2014년과 2015년에는 실사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2014년에는 TV 애니메이션으로도 방영되었다. 2024년에는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 드라마 《기생수: 더 그레이》가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생물을 소재로 한 작품 - 테카맨 블레이드
    1992년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TV 애니메이션 테카맨 블레이드는 1975년작 《우주의 기사 테카맨》을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외계 생명체 라담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테카맨 블레이드(아이바 타카야)와 스페이스 나이츠의 활약을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의 비극적인 운명과 액션, 개성적인 캐릭터 등으로 인기를 얻어 TV 시리즈 외에 OVA,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도 제작되었다.
  • 기생물을 소재로 한 작품 - 기생여친 사나
    기생여친 사나는 린토가 집필하고 릿츠가 삽화를 담당한 라이트 노벨로, 기생생물 '사나'와 평범한 고등학생 '마스카와 카라토'의 공생 관계를 다룬 작품이며, 소설, 만화, 드라마 CD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독창적인 설정과 매력적인 캐릭터로 팬덤을 확보했지만, 폭력성 묘사, 선정적인 장면 등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기도 한다.
  • 1988년 만화 - 마스터 키튼
    마스터 키튼은 냉전 시대부터 탈냉전 시대의 국제 정세를 배경으로 로이즈 보험 조사원이자 고고학자, 전직 SAS 서바이벌 교관인 히라가 키튼 타이치가 고고학 지식과 생존 기술, 추리력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이야기를 그린 만화이자 애니메이션이다.
  • 1988년 만화 - 매지컬 타루루토군
    에가와 타츠야의 만화 《매지컬 타루루토군》은 초등학생 혼마루가 소환한 마법사 타루루토와 함께하는 이야기로, 《주간 소년 점프》 연재 후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TV 애니메이션과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 VAP 애니메이션 - 바라카몬
    바라카몬은 서예가 한다 세이슈가 혹평에 분노하여 섬으로 보내진 후, 섬 주민들과 교류하며 변화하는 이야기를 그린 요시노 사츠키의 만화 원작 일본 작품으로, TV 애니메이션과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VAP 애니메이션 - 썸머 워즈
    《썸머 워즈》는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2009년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로, 천재 수학 고등학생 코이소 겐지가 가상 세계 OZ에서 벌어진 인공지능 해킹 사건에 휘말려 시노하라 나츠키의 가족인 진노우치 일가와 함께 위기를 극복하는 이야기이며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넘나드는 영상미와 가족애를 주제로 한다.
기생수 - [영화]에 관한 문서
개요
신이치 이즈미와 미기가 등장하는 네 번째 단행본 표지
신이치 이즈미와 미기가 등장하는 네 번째 단행본 표지
로마자 표기Kiseijū
영어Parasyte
장르보디 호러
호러 스릴러
SF
만화
작가이와아키 히토시
출판사고단샤
한국어 출판사학산문화사
영어 출판사고단샤 USA
도쿄팝 (과거)
델 레이 만화 (과거)
게재지모닝 오픈 증간
월간 애프터눈
코믹 데이즈 (풀 컬러 재게재)
레이블애프터눈 KC
연재 기간1989년 8월 1일 ~ 1994년 12월 24일
권수10권
관련 작품네오 기생수
기생수 리버시
TV 애니메이션
제목기생수 세이의 격률
감독시미즈 켄이치
각본요네무라 쇼지
음악Ken Arai
제작사매드하우스
방송사닛폰 TV
한국어 방송사애니원
애니박스
챔프TV
방영 기간2014년 10월 9일 ~ 2015년 3월 26일
화수24화
실사 영화
파트 1기생수: 파트 1 (2014년)
파트 2기생수: 파트 2 (2015년)
실사 TV 시리즈
제목기생수: 더 그레이

2. 줄거리

어느 날 하늘에서 정체불명의 생명체가 떨어진다. 이 생명체에게 인식된 명령은 오로지 하나, "인간을 먹어라"였다. 이 생명체들은 순식간에 인간의 몸에 파고들어가 머리를 장악하고 인간의 겉모습을 한 채 다른 인간들을 잡아먹기 시작한다.

인간을 공격하려는 기생수의 만화 패널


평범한 고등학생이었던 '''이즈미 신이치'''는 한 마리의 파라사이트에게 습격당해 기생당하지만, 뇌까지 침투하는 것은 막아낸다. 파라사이트는 신이치의 오른팔에 기생하여 오른손과 교체되었고, "'''미기'''"라고 스스로를 부르며 신이치와 공생 생활을 시작한다. 그 무렵, 다른 파라사이트에 의한 포식(민치 살인)이 전 세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범인 불명의 동시 다발 살인 사건으로 처리된다.

신이치는 세상에 진실을 밝혀야 할지 갈등한다. 미기는 자기 보존만을 생각하며, 숙주인 신이치 외의 인명에는 관심이 없고, 진실(미기의 존재)을 밝히려 한다면 신이치에게 해를 가하는 것도 개의치 않겠다고 위협한다. 그러면서도 신이 죽으면 자신도 살 수 없는 미기는, 신이치를 지키기 위해 동족인 파라사이트를 죽이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이러한 신이치와 미기의 특수한 관계는 다른 파라사이트에게 경계받는다. 어느 날, 신이치의 고등학교에 파라사이트 "'''타무라 레이코'''"가 교사로 부임해 온다. 이후, 신이치를 위험하게 여긴 그녀의 동료 파라사이트 A가 학교에 쳐들어와 교사와 학생들을 참살한다. 신이치에 의해 격퇴된 A는 타무라 레이코에게 최후의 일격을 받는다. 그 후, 타미야는 미혼 임신에 대한 책임을 지고 학교를 떠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신이치의 어머니는 새로운 숙주를 찾던 파라사이트에게 살해당하고 기생당한다. 신이치는 집에 나타난 "어머니의 모습을 한" 파라사이트에게 동요하여 제대로 싸우지 못한 채 심장을 찔리지만, 미기가 신이치의 체내에 들어가 심장을 움직이고 몸을 회복시켜 심폐 정지 상태에서 소생한다. 이때, 미기의 세포가 체내로 확산된 영향으로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얻은 신이치는 어머니를 빼앗은 파라사이트에게 복수한다.

하지만 신이치의 변화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에도 나타나 그를 괴롭힌다. 한편 미기는 신이치와의 교류를 통해 차츰 인간의 가치관을 이해해 간다. 신이치의 여자 친구인 '''무라노 사토미'''는 그의 극적인 변화와 변함없는 상냥함에 혼란스러워한다.

그 후, '''시마다 히데오'''라는 남자 고등학생 파라사이트가 신이치의 고등학교에 전학 온다. 신이치의 반 친구 '''유코'''는 우연히 시마다가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습격해 온 시마다에게 염산을 던진다. 시마다는 혼란 상태가 되어 교사와 학생들을 습격하고, 신이치는 멀리서 돌을 던져 시마다의 가슴을 꿰뚫어 쓰러뜨린다. 이 사건으로 파라사이트의 검체가 경찰 조직의 손에 들어가, 사회 안에 파라사이트가 존재하며 인간을 잡아먹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이전부터 신이치에게 관심을 가져왔던 '''카나'''는 "파라사이트의 파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이치의 파장이라고 오인하여 파라사이트에게 접근했다가 살해당한다.

그 무렵, 신이치가 사는 지역의 옆 마을에서는 파라사이트야말로 지구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구세주라고 생각하는 정치인 '''히로카와 타케시'''가 시장에 당선되어, 사회성을 획득한 파라사이트들이 은밀하게 모인다. 학교를 떠나 "'''타무라 레이코'''"로 이름을 바꾼 "타미야 료코"는 히로카와의 시도에 협력하면서도, 인간의 아기를 임신·출산하고, 생식 능력이 없는 파라사이트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타무라 레이코"는 신이치와 미기의 존재가 파라사이트들의 장래에 지침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엇갈림 속에서 신이치는 여러 번 파라사이트와 싸우게 된다. 그 결과, 신이치의 주변 사람들이 희생되고, 신이치는 히로카와의 그룹과 대결할 결심을 굳힌다. "타무라 레이코" 역시 독자적인 사상으로 인해 다른 파라사이트에게 경계받고, 히로카와의 그룹에서 쫓겨난다. "타무라 레이코"를 적으로 간주한 파라사이트들은 그녀를 습격하지만, 역으로 당한다.

이후, 파라사이트에게 가족을 살해당한 흥신소 직원 '''쿠라모리'''가 타무라의 아기를 유괴한다. 아기를 되찾으려던 타무라는 경찰에 포위되어 정체를 드러내고 사격을 받지만, 반격하지 않고 신이치에게 아기를 맡긴 후 목숨을 잃는다.

일련의 사건을 거쳐, 경찰자위대는 파라사이트의 존재를 인지하고, 히로카와 일행의 거점인 시청에 대한 소탕 작전을 계획한다. 신이치는 미기에 기생당하고 있다는 것을 숨기면서도, 파라사이트와 조우해 온 경력을 인정받아 작전에 동행한다. 또 다른 협력자인 쾌락 살인자 '''우라카미'''는 인간과 파라사이트를 구별하는 초능력을 가지고 경찰에 협력한다.

치밀한 준비와 조직력, 그리고 일반인의 희생을 개의치 않는 작전을 통해 시청에 있던 파라사이트 대부분이 제거된다. 히로카와는 패배를 깨닫고, 자위대원들을 향해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인간이야말로 지구를 먹어치우는 "'''기생수'''"라고 연설하지만, 사살된다.

자위대원들은 "파라사이트의 수괴로 간주했던 히로카와가 인간이었다는 것"에 당황하지만, 곧이어 머리와 사지에 총 5체가 융합된 파라사이트 "'''고토'''"에게 습격당해 전멸한다. "고토"는 이전부터 악연이 있었던 신이치와 미기를 숙적으로 여기고, 재전을 선언한다. 우라카미는 혼란을 틈타 감시역을 살해하고 도주한다.

신이치와 미기는 "고토"에게 승산 없는 싸움을 피해 도망치지만, 마지막 수단마저 실패하고 미기는 신이치를 도주시키기 위해 희생되어 "고토"에게 흡수된다. 신이치는 실의에 빠지지만, 도주처에서 만난 노부인의 도움으로 재결전을 결심한다.

신이치는 산업 폐기물의 도움을 받아 "고토"에게 승리하고 미기를 되찾는다. 승리한 신이치는 필사적으로 살아남으려는 "고토"의 모습에 마음이 흔들리지만, 결국 손을 댄다.

히로카와 사건 이후 파라사이트들이 드러내놓고 행동하는 것을 자제하게 되자, 미기는 "고토"와의 일시적인 융합으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사색을 위한 긴 잠에 들 것을 선언하고 보통의 오른손으로 돌아간다.

1년 후, 신이치는 사토미와 교제를 계속하며 평온한 일상을 되찾는다. 그러던 중, 도주했던 우라카미가 다시 나타나 사토미를 인질로 잡고 신이치를 빌딩 옥상으로 불러들인다.

우라카미는 "쾌락 살인자인 자신이야말로 인간의 본질"이라고 주장하며, 인간과 파라사이트의 중간 존재인 신이치의 동의를 구한다. 신이치가 망설이는 사이, 사토미는 우라카미의 주장을 일축한다. 눈앞에서 옥상에서 밀려 떨어진 사토미를 구하기 위해 신이치는 우라카미를 쓰러뜨리고, 낙하하는 사토미에게 손을 뻗지만 닿지 않는다.

절망하는 순간, 신이치의 오른팔이 사토미를 붙잡는다. 잠들어 있었을 미기가 도와준 것이다. 신이치는 미기에게 감사하며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3. 등장인물

작가 이와아키는 본작을 집필하면서 먼저 결말까지의 플롯을 정한 다음 등장인물을 만들어가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는 이와아키에게 처음 시도하는 방식이었으나, 자신에게 잘 맞는 방식이었다고 회고한다. 다만, 예상보다 연재가 길어지면서 일부 등장인물의 최후나 주제성 등에는 변화가 있었다고 한다.

아래는 원작 등장인물에 대한 설명이며, 기생생물이라는 별도 주석이 없는 인물은 모두 인간이다.

; 이즈미 카즈유키 (泉 一之)

: 신이치의 아버지. 44세. 잡지 기자 출신의 프리랜서이다. 신이치의 오른손에 기생생물이 있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한다. 부부끼리 이즈여행을 갔을 때, 아내가 기생생물에게 잠식당하는 것을 목격하고 자신도 부상을 입어 입원한다. 퇴원 후 한동안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슬픔에 잠겨, 겉으로 슬픔을 드러내지 않는 신이치에게 "너는 쇠로 만들어진 게 아니냐"는 말을 하기도 했다.

: 이후, 자신이 겪은 사건에 대해 경찰의 조사를 받았지만, 기생생물의 존재를 세상에 알리려던 그의 바람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를 계기로 아내의 죽음을 신이치에게 조용히 알렸다.

; 이즈미 노부코 (泉 信子)

: 신이치의 어머니. 40세. 전업주부이다. 미기는 그녀의 살림 솜씨를 칭찬하며 "너의 어머니가 만드는 음식은 항상 영양의 균형이 잡혀 있었다"고 평가한다. 신이치가 어렸을 때 큰 화상을 입을 뻔하자 그를 감싸다가 자신이 손에 화상을 입었다. 이 기억 때문에 신이치는 이후 반항기 없이 자랐다.

: 남편 카즈유키의 말에 따르면, "집안에서 곱게 자란 아가씨" 같아서 겁이 많고 잘 우는 면도 있지만, 신이치를 생각하는 마음은 누구보다 강하다. 남편과 달리, 미기가 붙은 후 신이치의 변화를 알아차리고 그를 강하게 추궁한다.

: 카즈유키와 함께 간 이즈 여행에서 기분 전환을 하려 했으나, 인간 부분이 거부 반응을 일으켜 다른 육체를 원했던 기생생물에게 살해당하고 머리가 바뀌는 형태로 기생당한다.

; 미츠오 (光夫)

: 자칭 카나의 남자친구. 키타 고교 학생으로, 몸집이 크고 싸움도 잘한다. 신이치가 다니는 니시 고교 학생들과 자주 싸움을 벌인다. 동급생 간의 싸움을 중재하려던 신이치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결과적으로 신이치와 카나를 만나게 한다.

: 처음에는 신이치를 압도하며, 당시 신이치의 전투력이 10이라면 그는 18이라고 미기가 분석했다. 그러나 신이치가 변화한 후에는 싸움에서 전혀 상대가 되지 못한다. 카나가 신이치에게 마음을 돌리는 것에 초조함을 느끼며 신이치에게 강한 질투심을 느낀다. 신이치와 카나에게 얽히던 기생생물 시마다 히데오에게 시비를 걸려다 얻어맞고, 이후 동료들을 이끌고 보복을 시도했으나 신이치의 중재를 받기도 했다.

: 마지막까지 신이치의 사정을 알지 못한 채, 카나가 살해당한 후 장례식에서 통곡한다. 이후 카나의 죽음에 슬픈 기색을 보이지 않는 신이치에게 분노를 쏟아내며 카나를 지켜주지 못한 것을 책망한다.

3. 1. 주요 등장인물


  • '''이즈미 신이치'''


: 본작의 주인공. 평범한 고등학생이었으나, 오른손에 기생한 파라사이트 '미기'에 의해 기구한 운명을 겪게 된다. 미기와의 공생은 파라사이트를 탐지하는 능력과 동시에 탐지당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이 때문에 인간과 기생 생물의 중간자로서 파라사이트에 관한 일련의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 신이치의 오른손에 정착한 기생 생물. 학습의 생물. 신이치를 죽이면 자신도 죽기 때문에 함부로 죽이지 못한다. 자신이 어떤 생물인지, 왜 존재하는지는 자신도 모르고 있다. 처음에는 다른 파라사이트와 마찬가지로 감정이 부족했지만, 신이치와 공존하며 점차 인간의 가치관을 이해하게 된다.

  • '''무라노 사토미'''


: 신이치와 같은 학교에 다니는 여학생. 신이치의 여자친구이다. 신이치에게 기생생물이 붙어있다는 사실은 모르지만, 점점 신이치의 성격이 변해가는 것을 느끼며 불안감을 느낀다.

  • '''키미시나 카나'''


: 다른 고등학교의 여학생. 신이치를 짝사랑한다. 기생생물끼리만 느끼는 파장을 약간이나마 감지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 능력 때문에 신이치의 오른쪽이에게서 나오는 파장을 느끼며 자신은 이 능력을 '운명의 상대를 느끼는 힘'이라고 착각하고 짝사랑하게 된다. 원작만화에서는 성씨가 불명이였지만 애니메이션에서 '키미시마(君島) 카나'로 풀네임이 정해졌다.

  • '''타미야 료코(타무라 레이코)'''


: 어느 여성의 머리를 장악한 기생 생물. 매우 지능이 높아 인간을 포식하는 데에만 관심이 있는 다른 기생 생물과 달리, 인간 자체에 대한 관심을 갖고 독자적인 연구를 진행한다. 심지어 사회생활에도 잘 적응해 신이치가 다니는 학교에 선생님으로 일도 한다.

  • '''고토'''


: 어느 남성의 머리를 장악한 기생 생물. 다섯 마리의 기생 생물이 머리, 양팔, 양다리를 장악하고 있다. 전투력은 기생 생물 중에서는 최강이다.

  • '''이즈미 이치'''


: 신이치의 아버지.

  • '''이즈미 노부코'''


: 신이치의 어머니.

  • '''A'''
  • '''우라가미'''
  • '''카미조'''
  • '''하야세 마키코'''
  • '''나가이 카즈키'''
  • '''스즈키 아키호'''
  • '''우다 마모루'''
  • '''미츠오'''
  • '''히로카와 다케시'''

3. 2. 기생생물

기생생물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정체불명의 생물이다. 이 생물은 콧구멍이나 귓구멍을 통해 인간의 머리에 침투하여 를 포함한 머리 전체를 교체하는 형태로 기생하여 전신을 지배하고 다른 인간을 포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자유자재로 변형되는 기생 후의 머리는 다양한 인간의 얼굴로 의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날처럼 날카로워지거나 채찍처럼 유연해지며, 수 명 이상의 인간을 순식간에 베어버린다. 게다가 이들 "'''파라사이트'''(기생 생물)"는 높은 학습 능력으로 급속도로 지식과 언어를 습득하여 인간 사회에 섞여 들어갔다.

; 미기와의 만남

: 평범한 고등학생이었던 '''이즈미 신이치'''는 한 마리의 파라사이트에게 습격, 기생당하지만, 어떻게든 머리 침투(뇌 탈취)는 면한다. 파라사이트는 신이치의 오른팔에 기생하여 오른손과 교체되었다. 오른손에 연관되어 "'''미기'''"라고 자칭하게 되었고, 신이치와 미기의 공생 생활이 시작된다. 그 무렵, 다른 파라사이트에 의한 포식(민치 살인)이 전 세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범인 불명의 동시 다발 살인 사건으로 처리되었다.

: 신이치는 세상에 진실을 밝히지 않아도 되는가 갈등한다. 한편 미기는 자기 보존만을 생각하고 있으며, 숙주인 신이치 외의 인명에는 관심이 없고, 진상(미기의 존재)을 밝히려고 한다면 신이치에게 해를 가하는 것도 개의치 않는다고 위협한다. 그러면서도 신이 죽으면 자신도 살 수 없는 미기는, 필요하다면 신이치를 지키기 위해 동족인 파라사이트를 죽이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 파라사이트 A에 의한 학교 습격 사건

: 하지만, 그런 신이치와 미기의 특수한 관계는 다른 파라사이트에게 경계받는다. 어느 날, 신이치의 고등학교에 파라사이트 "'''타미야 료코'''"가 교사로 부임해 온다. 그 후, 신이치를 위험하게 여긴 그녀의 동료 파라사이트 A가 학교에 쳐들어와 교사와 학생들을 참살한다. 신이치에 의해 격퇴된 A는 타미야 료코에게서 최후의 일격을 받는다. 그 후, 타미야는 미혼이면서 임신한 것에 대해 다른 교원들에게 책임을 물어 학교를 떠난다.

; 어머니를 살해한 파라사이트와의 대결

: 이윽고, 불행하게도 그의 어머니는 새로운 숙주를 찾고 있던 파라사이트와 여행지에서 만나 살해당하고, 기생당한다. 신이치는, 집에 나타난 "어머니의 모습을 한" 파라사이트에 동요하여 제대로 싸우지도 못한 채 심장을 찔려 치명상을 입지만, 미기가 신이치의 체내에 들어가 심장을 움직이면서 몸을 수복한 것으로 심폐 정지 상태에서 소생한다. 그 때, 미기의 세포가 체내로 확산된 영향으로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얻은 신이치는 어머니를 빼앗은 파라사이트와 재회하여 복수를 한다.

: 하지만 신이치의 변화는 신체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신에도 나타나 그를 괴롭히게 된다. 한편 미기는 신이치와의 교류를 통해 차츰 인간의 가치관을 이해해 간다. 신이치의 여자 친구인 '''무라노 사토미'''는 그의 극적인 변화와 변함없는 상냥함에 혼란스러워한다.

; 시마다 히데오와의 싸움

: 그 후, '''시마다 히데오'''라고 자칭하는 남자 고등학생 파라사이트가 신이치의 고등학교에 전학 온다. 신이치의 반 '''유코'''는 우연히 시마다가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습격해 온 시마다에게 가까이 있던 염산을 던졌고, 시마다는 혼란 상태가 되어 교사와 학생들을 습격하여 순식간에 학교는 패닉 상태가 된다. 신이치는 멀리서 돌을 던져 시마다의 가슴을 꿰뚫어 쓰러뜨린다. 이 사건으로 파라사이트의 검체가 경찰 조직의 손에 들어가 사회 안에 파라사이트가 있고 인간을 잡아먹고 있다는 것이 판명된다.

; 카나의 죽음

: 이전부터 신이치에게 관심을 갖고 다가왔던 '''카나'''는 "파라사이트의 파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이치의 파장이라고 오인하여 파라사이트에게 접근하여 살해당한다.

; 타무라 레이코의 최후

: 그 무렵, 신이치가 사는 지역의 옆 마을에서는 파라사이트야말로 지구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구세주라고 생각하는 정치인 '''히로카와 타케시'''가 시장에 당선되어 불완전하지만 사회성을 획득한 파라사이트들이 은밀하게 모이게 된다. 학교를 떠나 "'''타무라 레이코'''"로 이름을 바꾼 "타미야 료코"는 히로카와의 시도에 협력하면서도, 생물학적으로는 평범한 인간에 불과한 아기를 임신·출산하고, 생식 능력이 없는 파라사이트의 정체성에 대해 사색을 거듭한다.

: "타무라 레이코"는 신이치와 미기의 존재를 파라사이트들의 장래에 있어 지침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다른 파라사이트나 인간을 조사하기 위해 보냈지만, 엇갈림을 거쳐 신이치는 여러 번 파라사이트와 싸우게 된다. 그 결과, 신이치의 주변 사람들이 휘말려 희생되고, 신이치는 히로카와의 그룹과 대결할 결심을 굳혀간다. 또한, "타무라 레이코"도 독자적인 사상을 다른 파라사이트에게 경계받고, 동족 간의 싸움으로 히로카와의 그룹에서 쫓겨난다. "타무라 레이코"를 적으로 간주한 파라사이트들은 결탁하여 그녀를 습격하지만, 역습을 당한다.

: 그 후, 파라사이트에게 가족을 살해당한 흥신소원 '''쿠라모리'''에게 타무라는 아기를 유괴당한다. 아기를 되찾으려던 타무라는 경찰에 포위되어 정체를 드러내고, 사격을 받지만 반격하지 않고, 사색 끝에 내놓은 "한 파라사이트로서의 결론"을 신이치에게 고하고, 아기를 맡긴 후에 목숨을 잃는다.

; 히로카와 그룹 섬멸 작전

: 일련의 사건을 거쳐, 이미 파라사이트의 존재는 경찰자위대가 알고 있으며, 히로카와들의 거점인 시청에 대한 소탕 작전이 계획되었다. 신이치는 자신이 미기에 기생당하고 있다는 것을 숨기면서도, 파라사이트와 조우해 온 경력을 인정받아, 또 한 명의 협력자이자, 쾌락 살인자로 경찰에 구류되면서도 그 경력으로 인간과 파라사이트를 구별하는 초능력을 가진 '''우라가미'''와 함께 작전에 동행한다.

: 치밀한 준비와 인간으로서의 조직력, 그리고 일반인의 희생을 개의치 않는 작전에 의해, 시청에 있던 파라사이트들의 대부분은 제거된다. 히로카와는 패배를 깨닫고, 돌입해 온 자위대원들을 향해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 아니라, 지구를 먹어치우는 "'''기생수'''"라고 연설하지만, 그들에게 사살된다.

: 자위대원들은 "파라사이트의 수괴로 간주했던 히로카와가 인간이었다는 것"을 깨닫고 당황하지만, 그 직후, 머리와 사지에 총 5체가 융합된 파라사이트 "'''고토'''"에게 습격당해 전멸한다. "고토"는 이전부터 악연이 있었던 신이치와 미기를 숙적으로 여기고, 재전을 선언한다. 또한, 우라카미는 혼란을 틈타 감시역을 살해하고, 현장에서 도주한다.

; 고토와의 대결

: 신이치와 미기는 "고토"에게 승산 없는 싸움을 걸려 도망 다니게 되고, 마지막 수단에도 실패한 결과, 미기는 신이치를 도주시키기 위한 희생이 되어 "고토"에게 흡수되어 버린다. 신이치는 잃어버린 미기의 존재의 크기와 우정에서 실의에 빠지지만, 도주처에서 어떤 노부인의 도움을 받아 재결전을 결심한다.

: 신이치는 반쯤 자포자기 상태였기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불법 투기된 유독한 산업 폐기물의 도움을 받는 형태로 승기를 잡고, 미기를 되찾아 역전한다. 승리한 신이치는, 필사적으로 살아남으려고 하는 "고토"의 모습에 마음이 움직여 멈칫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손을 댄다.

: 히로카와 건을 계기로 파라사이트들이 드러내놓고 행동하는 것을 자제하게 되자, 미기는 "고토"와의 일시적인 융합으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사색을 위한 긴 잠에 들 것을 선언하고, 보통의 오른손으로 돌아간다.

; 기생체의 탄생 과정

: 극 중 묘사는, 공 모양의 알과 같은 것이 세계 상공에서 갑자기 날아와 지상으로 떨어지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들이 어떤 경위로 탄생했는지는 극 중에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으며, 이후 묘사에서도 외계 생명체 설, 돌연변이 설, 질병 설, 생물학적 무기 설 등이 섞여 결론이 나지 않았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작가는 지구상의 어딘가에서 발생하여 바람에 실려온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 극 중에서는 알과 같은 것에서 태어나 뇌를 빼앗긴 기생체들이 포식한 인간의 유해(먹다 남은 것)가 각지에서 발견되었지만, 기생체의 정체를 아는 인간은 처음에는 신이치뿐이었다고 언급된다. 극 중 뉴스에서는 "민치(다진 고기) 살인 사건"으로 다뤄졌으며, 처음에는 맹수나 변태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다. 피해의 중심은 인구가 많은 도시부였으며,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희생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며, 타액이 검출되어 카니발리즘이 예상된 점과 5개월이 지나도 범인이 한 명도 잡히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컬트, 사탄 숭배, 악마 숭배 등 조직적인 범죄로 인식되었다. 이후 몇몇 사건을 거치며 여러 설이 제기되는 가운데, 점차 기생체의 존재가 드러나 극 중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다.

; 기생 전 형태

::; 알과 같은 것

:: 털로 덮인 테니스 공 정도 크기의 알과 같은 것에서 유생 기생체가 태어난다. 극 중에서는 낙하 시에도 충격으로 파손되지 않고, 착지 시에 바운스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 유생 기생체의 형태

::: 부화 직후에는, 꽤 큰 거머리지렁이와 같은 형태(신이치와 우다는 처음에는 으로 오인했다).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끝이 드릴 모양이며, 상반신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작은 돌기물이 사방팔방에 여러 개 나 있다. 닫힌 미닫이 문이나, 문 틈새로 침입하는 묘사도 있다. 도약력도 있으며, 신이치에게 기생한 미기는 찬장 정도 높이에서 목표를 향해 뛰어들었고, 우다에게 기생한 죠는 얼굴 높이까지 지면에서 점프하는 묘사가 있다.

; 인간에게의 침입 방법

: 부화하면 바로 본능에 따라 땅을 기어 다니며 인간을 찾는다. 그리고 드릴 모양의 끝 부분을 뻗는 동작 후, 인간의 코나 귀 등 머리 부분의 구멍으로 침입한다. 이때 드릴 부분은 강한 힘을 발휘하며, 귀로의 침입에 실패한 미기나 죠의 경우, 피부나 입고 있던 폴로셔츠를 뚫고 체내로 침입하고 있다. 이후에는 뇌를 향해 진행하고, 기생에 성공하면 숙주의 머리 및 목 부근까지 완전히 기생체의 조직으로 대체된다. 극중에 등장하는 학자 유이가 섬다의 해부 결과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물질에 의해 세포막을 순식간에 변화시킨 세포 융합이라고 해야 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의사소통 방법

: 기생생물은 스스로 인간에게 기생하여 뇌를 대신하기 때문에 언어 등은 계승되지 않고, 기생 후 각자 독자적인 방법과 주변 상황에 따라 학습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언어에 의한 대화, 문자, 기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모든 통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 의사소통에서 가장 큰 특징은 독자적인 통신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점으로, 미약하지만 특수한 뇌파 같은 것을 항상 발신 및 수신하여, 근처에 있는 동종의 존재를 서로 감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수신의 유효 반경은 약 300미터이지만, 발신원의 개체를 구별하는 것은 기생생물끼리도 어렵다. 다만, 미리 발신 패턴을 동료끼리 정해두면 모스 부호처럼 간단한 통신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기생생물이 가장 강하게 발하는 신호는 '적의'나 '살의'라고 한다.

: 이 뇌파는 일반적인 인간은 수신할 수 없다. 작중 인간 중에서는 카나만이 미약하게나마 감지하며, 게다가 카나로부터도 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듯한 묘사가 있었다.

; 식사

: 일반적인 기생생물은 본능에 의해 숙주와 동종의 생물(인간이라면 인간, 개라면 개)을 주식으로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소화기를 포함한 내장은 숙주의 것을 유용하므로, 그 생물의 본래 식사만으로도 (공식(共食)을 하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으며, 타무라는 그것을 실증했다. '인간을 잡아먹어라'는 최초의 본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포식하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은 타무라에게 자기 실존의 의문이 되었다.

: 또한, 알코올 등을 섭취하면 일반적인 인간과 마찬가지로 취하며, 인간의 얼굴로 되돌린 셈이 무심코 얼굴이 일그러진다. 그 외에도 담배나 마약, 기타 약물 등 '유해 물질'을 포함한 인간의 고기는 좋아하지 않는다.

: 기생생물이 나타나기 시작했을 때는, 즉흥적으로 그 자리에서 인간을 죽여 먹고, 먹다 남은 것(시체)을 방치했다. 이후, 일반인에게 발각되면 여러 가지로 귀찮아진다는 것을 학습하여, 헌팅을 가장하는 등 인간에게 접근하여 인적이 드문 곳에서 습격하여 먹고, 먹다 남은 것도 처분하게 되었다.

: 일부 기생생물들은 히로카와 타케시를 중심으로 그룹을 결성하여, 인간을 먹는 장소를 '식당'이라고 칭하고, 기본적으로 시내에 지정된 몇 군데 장소에서 '식사'한다는 규칙을 만들었다. 이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민치 살인 사건'이 줄어든 것처럼 보였지만, 그 대신 행방불명자 수가 늘어나게 된다. 히로카와 그룹은 이후 붕괴되었고, 그 외에 기생생물이 그룹을 결성하고 있는 모습은 없다. 또한, 서로 잡아먹는 것을 그만두고 보통 인간과 같은 식사로 이행한 기생생물도 있었다.

; 생식 활동·수명

: 기생생물에게는 생식 능력이 없어, 새로운 세대를 만들 수 없다. 기생체의 남녀가 숙주 부분끼리 성교를 해도, 태어나는 것은, 일반적인 숙주와 동종의 아이이다.

: 기생생물의 수명은 불명이지만, 신이치가 처음 만난, 인간에게 기생한 기생생물은 '우리(자신과 미기)가 관리하는 이 육체라면 140년은 살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미기를 자신의 육체에 초대했다.

; 기생 실패

: 이 생물은 본능적으로 "인간의 몸속에 침투하여 뇌를 빼앗아 기생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기생 실패"가 되는 경우가 있다. 실패한 파라사이트는 본능적으로 "인간의 뇌를 빼앗아 기생하지 못하고 실패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 침투 시의 어떤 사고로 인해 머리 이외의 부위에 기생(주변 조직과 동화하는 경우도 있다)한 패턴 - 미기와 죠가 이 유형이다.

:::* 뇌를 "먹은" 파라사이트와 달리 "숙주가 된 종을 포식한다"는 본능이 깨어나지 않는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그들은 기생 부위에 숙주와는 독립된 의사를 가지며, 눈이나 입 등의 기관도 있기 때문에 숙주와 대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다른 파라사이트가 "기생한 뇌"가 변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생한 부위(미기라면 오른팔)가 자유자재로 변형될 수 있다. 전투 시에는 미기는 신이치와 대화를 하면서 둘이서 작전을 짜고, 협력하여 공격과 방어를 섞어가며 싸운다. 우다의 경우에는 기생 부위가 "입에서 가슴 부근"이라 변형되면 대화는 할 수 없고, 코로만 호흡하기 때문에 답답해지지만, 반대로 장기의 위치를 바꿔 치명상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 식사에 관해서, 동종의 생물을 공생한다는 본능이 없기 때문에, 인간으로부터 영양을 얻고 있으며, 애초에 식욕이라는 것이 없다. 미기의 경우에는 음식의 맛은 전혀 상관없고, 오히려 영양 밸런스를 신경 썼다. 또한, 보통보다 영양분이 필요해지기 때문인지, 신이치는 기생된 이후 식욕이 왕성해졌다.

:::* 뇌에 기생한 타입과 조우했을 경우,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어, 말살될 위험성이 높다. 게다가 신이치는 후술할 개에 기생한 타입에게서도 공격받고 있다.

::* 인간 이외의 생물에 잘못 기생한 패턴 - 작중에서는 에 기생한 것이 등장하고 있다.

:::* "동종의 생물을 포식하는(공생)" 본능은 이어받아, 기생한 생물(개라면 개)을 먹는다.

:::* 지능이나 전투 능력은 인간형에 비해 상당히 떨어졌지만, 인어를 이해하면서 서투르지만 말을 한다. 또한, 민첩함을 살려 약간 강압적이긴 하지만, 기생 부분인 머리를 날개로 바꿔 비행하는 등 원래 개의 능력을 뛰어넘는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3. 3. 인간



''기생수''는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의 조용한 동네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와 함께 사는 17세의 남자 고등학생 이즈미 신이치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어느 날 밤, 기생수라고 불리는 드릴 모양의 머리를 가진 작은 벌레 모양의 외계인들이 지구에 도착하여 귀나 코를 통해 침투하여 숙주의 뇌를 장악한다. 한 기생수가 잠자는 신이치의 코로 들어가려 하지만, 신이치가 깨어나면서 실패하고 대신 팔을 뚫고 들어가 그의 몸에 들어간다. 일본어 버전에서는 그의 오른손을 장악하고 "오른쪽"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에서 따온 미기|ミギー일본어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79][5]

신이치는 미기가 뇌 속으로 더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었기 때문에, 두 존재는 각자의 지성과 개성을 유지한다. 신이치와 미기는 다른 기생수들을 만나면서, 그들의 기이한 상황을 이용하여 점차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며 함께 살아남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신이치의 인간의 뇌가 여전히 온전하다는 것을 깨닫고 자주 그들을 공격하는 다른 기생수들과의 싸움에서 유리함을 제공한다. 신이치는 먹이로 다른 종의 구성원을 잡아먹는 다른 기생수들과 싸우기 위해 미기의 도움을 받는다.

이 시리즈는 인류의 의미, 인간과 환경 및 다른 종과의 관계, 본능과 사랑의 역할, 그리고 도덕의 내재된 인간 중심주의와 같은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질문을 탐구한다. 신이치는 미기와의 경험을 통해 인류가 기생수보다 도덕적 우위를 주장할 권리가 있는지 의문을 품게 되며, 미기와 타무라 레이코의 인간에 대한 경험은 그들로 하여금 사랑과 희생과 같은 더 인간적인 특성을 갖게 한다.[79][5]

어느 날 갑자기 정체불명의 다수의 생물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그 생물은 콧구멍이나 귓구멍을 통해 인간의 머리에 침투하여 를 포함한 머리 전체를 교체하는 형태로 기생하여 전신을 지배하고 다른 인간을 포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자유자재로 변형되는 기생 후의 머리는 다양한 인간의 얼굴로 의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날처럼 날카로워지거나 채찍처럼 유연해지며, 수 명 이상의 인간을 순식간에 베어버린다. 게다가 그들 "'''파라사이트'''(기생 생물)"는 높은 학습 능력으로 급속도로 지식과 언어를 습득하여 인간 사회에 섞여 들어갔다.

; 미기와의 만남

: 평범한 고등학생이었던 '''이즈미 신이치'''는 한 마리의 파라사이트에게 습격, 기생당하지만, 어떻게든 머리 침투(뇌 탈취)는 면한다. 파라사이트는 신이치의 오른팔에 기생하여 오른손과 교체되었다. 오른손에 연관되어 "'''미기'''"라고 자칭하게 되었고, 신이치와 미기의 공생 생활이 시작된다. 그 무렵, 다른 파라사이트에 의한 포식(민치 살인)이 전 세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범인 불명의 동시 다발 살인 사건으로 처리되었다.

: 신이치는 세상에 진실을 밝히지 않아도 되는가 갈등한다. 한편 미기는 자기 보존만을 생각하고 있으며, 숙주인 신이치 외의 인명에는 관심이 없고, 진상(미기의 존재)을 밝히려고 한다면 신이치에게 해를 가하는 것도 개의치 않는다고 위협한다. 그러면서도 신이 죽으면 자신도 살 수 없는 미기는, 필요하다면 신이치를 지키기 위해 동족인 파라사이트를 죽이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 파라사이트 A에 의한 학교 습격 사건

: 하지만, 그런 신이치와 미기의 특수한 관계는 다른 파라사이트에게 경계받는다. 어느 날, 신이치의 고등학교에 파라사이트 "'''타미야 료코'''"가 교사로 부임해 온다. 그 후, 신이치를 위험하게 여긴 그녀의 동료 파라사이트 A가 학교에 쳐들어와 교사와 학생들을 참살한다. 신이치에 의해 격퇴된 A는 타미야 료코에게서 최후의 일격을 받는다. 그 후, 타미야는 미혼이면서 임신한 것에 대해 다른 교원들에게 책임을 물어 학교를 떠난다.

; 어머니를 살해한 파라사이트와의 대결

: 이윽고, 불행하게도 그의 어머니는 새로운 숙주를 찾고 있던 파라사이트와 여행지에서 만나 살해당하고, 기생당한다. 신이치는, 집에 나타난 "어머니의 모습을 한" 파라사이트에 동요하여 제대로 싸우지도 못한 채 심장을 찔려 치명상을 입지만, 미기가 신이치의 체내에 들어가 심장을 움직이면서 몸의 수복을 한 것으로 심폐 정지 상태에서 소생한다. 그 때, 미기의 세포가 체내로 확산된 영향으로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얻은 신이치는 어머니를 빼앗은 파라사이트와 재회하여 복수를 한다.

: 하지만 신이치의 변화는 신체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신에도 나타나 그를 괴롭히게 된다. 한편 미기는 신이치와의 교류를 통해 차츰 인간의 가치관을 이해해 간다. 신이치의 여자 친구인 '''무라노 사토미'''는 그의 극적인 변화와 변함없는 상냥함에 혼란스러워한다.

; 시마다 히데오와의 싸움

: 그 후, '''시마다 히데오'''라고 자칭하는 남자 고등학생 파라사이트가 신이치의 고등학교에 전학 온다. 신이치의 반 '''유코'''는 우연히 시마다가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습격해 온 시마다에게 가까이 있던 염산을 던졌고, 시마다는 혼란 상태가 되어 교사와 학생들을 습격하여 순식간에 학교는 패닉 상태가 된다. 신이치는 멀리서 돌을 던져 시마다의 가슴을 꿰뚫어 쓰러뜨린다. 이 사건으로 파라사이트의 검체가 경찰 조직의 손에 들어가 사회 안에 파라사이트가 있고 인간을 잡아먹고 있다는 것이 판명된다.

; 카나의 죽음

: 이전부터 신이치에게 관심을 갖고 다가왔던 '''카나'''는 "파라사이트의 파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이치의 파장이라고 오인하여 파라사이트에게 접근하여 살해당한다.

; 타무라 레이코의 최후

: 그 무렵, 신이치가 사는 지역의 옆 마을에서는 파라사이트야말로 지구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구세주라고 생각하는 정치인 '''히로카와 타케시'''가 시장에 당선되어 불완전하지만 사회성을 획득한 파라사이트들이 은밀하게 모이게 된다. 학교를 떠나 "'''타무라 레이코'''"로 이름을 바꾼 "타미야 료코"는 히로카와의 시도에 협력하면서도, 생물학적으로는 평범한 인간에 불과한 아기를 임신·출산하고, 생식 능력이 없는 파라사이트의 정체성에 대해 사색을 거듭한다.

: "타무라 레이코"는 신이치와 미기의 존재를 파라사이트들의 장래에 있어 지침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다른 파라사이트나 인간을 조사하기 위해 보냈지만, 엇갈림을 거쳐 신이치는 여러 번 파라사이트와 싸우게 된다. 그 결과, 신이치의 주변 사람들이 휘말려 희생되고, 신이치는 히로카와의 그룹과 대결할 결심을 굳혀간다. 또한, "타무라 레이코"도 독자적인 사상을 다른 파라사이트에게 경계받고, 동족 간의 싸움으로 히로카와의 그룹에서 쫓겨난다. "타무라 레이코"를 적으로 간주한 파라사이트들은 결탁하여 그녀를 습격하지만, 역습을 당한다.

: 그 후, 파라사이트에게 가족을 살해당한 흥신소원 '''쿠라모리'''에게 타무라는 아기를 유괴당한다. 아기를 되찾으려던 타무라는 경찰에 포위되어 정체를 드러내고, 사격을 받지만 반격하지 않고, 사색 끝에 내놓은 "한 파라사이트로서의 결론"을 신이치에게 고하고, 아기를 맡긴 후에 목숨을 잃는다.

; 히로카와 그룹 섬멸 작전

: 일련의 사건을 거쳐, 이미 파라사이트의 존재는 경찰자위대가 알고 있으며, 히로카와들의 거점인 시청에 대한 소탕 작전이 계획되었다. 신이치는 자신이 미기에 기생당하고 있다는 것을 숨기면서도, 파라사이트와 조우해 온 경력을 인정받아, 또 한 명의 협력자이자, 쾌락 살인자로 경찰에 구류되면서도 그 경력으로 인간과 파라사이트를 구별하는 초능력을 가진 '''우라카미'''와 함께 작전에 동행한다.

: 치밀한 준비와 인간으로서의 조직력, 그리고 일반인의 희생을 개의치 않는 작전에 의해, 시청에 있던 파라사이트들의 대부분은 제거된다. 히로카와는 패배를 깨닫고, 돌입해 온 자위대원들을 향해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 아니라, 지구를 먹어치우는 "'''기생수'''"라고 연설하지만, 그들에게 사살된다.

: 자위대원들은 "파라사이트의 수괴로 간주했던 히로카와가 인간이었다는 것"을 깨닫고 당황하지만, 그 직후, 머리와 사지에 총 5체가 융합된 파라사이트 "'''고토'''"에게 습격당해 전멸한다. "고토"는 이전부터 악연이 있었던 신이치와 미기를 숙적으로 여기고, 재전을 선언한다. 또한, 우라카미는 혼란을 틈타 감시역을 살해하고, 현장에서 도주한다.

; 고토와의 대결

: 신이치와 미기는 "고토"에게 승산 없는 싸움을 걸려 도망 다니게 되고, 마지막 수단에도 실패한 결과, 미기는 신이치를 도주시키기 위한 희생이 되어 "고토"에게 흡수되어 버린다. 신이치는 잃어버린 미기의 존재의 크기와 우정에서 실의에 빠지지만, 도주처에서 어떤 노부인의 도움을 받아 재결전을 결심한다.

: 신이치는 반쯤 자포자기 상태였기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불법 투기된 유독한 산업 폐기물의 도움을 받는 형태로 승기를 잡고, 미기를 되찾아 역전한다. 승리한 신이치는, 필사적으로 살아남으려고 하는 "고토"의 모습에 마음이 움직여 멈칫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손을 댄다.

: 히로카와 건을 계기로 파라사이트들이 드러내놓고 행동하는 것을 자제하게 되자, 미기는 "고토"와의 일시적인 융합으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사색을 위한 긴 잠에 들 것을 선언하고, 보통의 오른손으로 돌아간다.

; 에필로그

: 1년 후, 신이치는 싸움 속에서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던 사토미와 교제를 계속하면서 평온한 일상을 되찾고 있었다. 그러던 중, 그들 앞에 도주했던 우라카미가 다시 나타난다. 신이치가 파라사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간파한 우라카미는, 사토미를 인질로 신이치를 빌딩 옥상으로 불러들인다.

: 우라카미는 "쾌락 살인자인 자신이야말로 인간의 본질의 체현자"라고 주장하며, 인간과 파라사이트의 중간 존재로 본 신이치의 견해로부터의 동의를 구한다. 신이치는 말을 망설였지만, 사토미는 우라카미의 주장을 일축한다. 눈앞에서 옥상에서 밀려 떨어진 사토미를 구출하기 위해 신이치는 재빨리 우라카미를 쓰러뜨리고, 빌딩에서 낙하하는 사토미에게 손을 뻗지만, 닿지 않는다.

: 절망하는 신이치였지만, 문득 깨닫자, 왠지 신이치의 오른팔은 사토미를 잡고 있었고, 잠자고 있었을 미기가 도와준 것이라고 신이치가 감사하며,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작가 이와아키는 본작을 집필함에 있어, 먼저 결말까지의 플롯을 정한 다음 등장인물을 만들어가는 형태로 본작을 집필했다. 이와아키에게는 처음 시도하는 방식이었지만, 그러한 제작 방식이 자신에게 맞았다고 술회하고 있다. 다만, 당초 예상보다 연재가 장기화되면서 일부 등장인물의 최후나 주제성 등에는 변천이 있었다고 한다.

이하에서는 원작의 등장인물에 대해 설명하며, 특히 기생생물이라고 주석하지 않은 인물은 모두 기생생물에게 기생당하지 않은 인간으로 한다.

; 이즈미 신이치

: 본작의 주인공. 지극히 평범한 고등학생이었지만, 오른손에 기생한 파라사이트 '미기'에 의해 기구한 운명을 겪게 된다. 미기와의 공생은, 파라사이트를 탐지하는 능력과 동시에 탐지당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이 때문에 인간과 기생 생물의 중간자로서 파라사이트에 관한 일련의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또한, 자신의 안전만을 생각하는 미기의 의향을 거스를 수도 없어, 가족이나 친한 친구에게 자신의 처지를 밝힐 수 없는 딜레마를 안고, 이야기의 종반까지 그것에 고통받게 되었다.

: 변화 후에는 머리 스타일을 올백으로 하고 있었지만, 이야기의 종반에는 원래의 머리 스타일로 돌아온다. 성격은 지극히 평범한 고등학생으로, 히로인에게 짝사랑을 하거나, 에둘러 표현하거나, 불량배에게 시비를 걸리거나 싸움이 나면 떨거나 하는 등 평범한 소년이다.

: 이타적인 행동이나 타인을 위해 눈물을 흘릴 수 있는 것이 인간다움의 증거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치관을 들이대는 미기에 대해 인간답게 있으려고 노력하지만, 미기와의 융합과 함께 파라사이트 측의 가치관에 물들어가는 자신에 당황하며, 이야기를 통해 인간과 파라사이트의 경계에 서서 흔들린다. 미기와의 만남, 어머니의 죽음, 학우의 학살 등, 수많은 비극과 구원의 경험을 통해 차츰 생명에 대한 가치관사생관을 변화시키며, 우여곡절을 겪으며 성장해 나간다.

; 미기

: 신이치에게 기생한 파라사이트. 침대에 누워 헤드폰으로 음악을 듣고 있던 신이치의 귀에서 침입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콧구멍에서 침입을 시도했으나 실패한다. 그 후, 잠에서 깬 신이치의 오른손에 꽂히듯 침입하여 뇌를 목표로 하지만, 신이치가 자신의 팔뚝을 코드로 꽉 묶어 저지했기 때문에, 그대로 오른팔에 기생했다.

: 신이치와는 보통, 구두로 대화를 한다. 기생 초반에는 다른 파라사이트와 마찬가지로 감정이 부족하며, 숙주와 자신 이외의 생사에 대해 극히 냉담하고 담백하며, 인간을 방패 삼아 적과 싸우는 책략을 세우는 등, 인간 사회의 상식을 벗어나는 사고방식으로 신이치와의 사이에 큰 의식의 괴리가 있었다. 그 후, 공존 관계에 있는 신이치에게 점차 감정에 가까운 것을 이해하게 되어가며, 변화를 거쳐 서로 신뢰하게 된다.

: 호기심이 많고 독서가. 숙주의 신체에서 직접 영양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포식 활동을 할 필요는 없지만, 그만큼 신이치가 대식가가 된다. 우다에게 "고운 말을 쓴다"고 평가받지만, 이에 대해 신이치는 도감 등 주로 책으로 언어를 배운 결과가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 오른팔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미기가 주도권을 잡고 있다. 하지만, 그 위임을 통해 "평범한 오른팔"로서 신이치가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며, 신이치가 그것을 요구할 때 "수동권"이라고 부른 적이 있다.

: 고토에게 흡수되어 있던 시기에, 잠든 동안에도 정보가 머리를 스쳐 지나가는 경험을 함으로써 더욱 체질이 바뀌어, 한 번에 여러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타고난 호기심으로 그 "별세계"로 떠날 것을 결의하고, 신이치에게 일방적으로 작별을 고한 후 무기한의 "잠"에 들었다.

; 이즈미 카즈유키 (泉 一之)

: 제1화부터 등장. 신이치의 아버지. 44세. 잡지 기자 출신의 프리랜서. 신이치의 오른손이 기생생물이라는 것을 눈치채지 못한다. 부부끼리 이즈여행을 갔을 때, 아내가 기생생물에게 잠식당하는 것을 눈앞에서 목격하고 자신도 부상을 입어 입원한다. 퇴원 후 한동안 사건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슬픔에 잠겨 있으며, 슬픔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신이치에게 "너는 쇠로 만들어진 게 아니냐"는 말을 하기도 했다.

: 그 후, 자신이 겪은 사건에 대해 경찰로부터 조사를 받았을 때, 기생생물의 존재를 세상에 알리기를 원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를 계기로 아내의 죽음을 신이치에게 조용히 알렸다.

; 이즈미 노부코 (泉 信子)

: 제1화부터 제12화까지 등장. 신이치의 어머니. 40세. 전업주부. 살림 솜씨가 뛰어나, 미기는 "너의 어머니가 만드는 음식은 항상 영양의 균형이 잡혀 있었다"고 평가한다. 신이치가 어렸을 때 큰 화상을 입을 뻔하자 감싸다가, 자신이 손에 화상을 입게 된다. 이 기억 때문에 신이치는 그 후, 특히 반항기 없이 자랐다.

: 남편인 카즈유키 왈, "집안에서 곱게 자란 아가씨" 같아서, 겁이 많고 잘 우는 면도 있지만, 신이치를 생각하는 마음만은 누구보다 강하다. 남편과는 달리, 미기가 붙은 이후 신이치의 변화를 알아차리고, 신이치를 강하게 추궁한다.

: 기분 전환도 겸해서 카즈유키와 함께 간 이즈 여행에서, 인간 부분이 거부 반응을 일으키고 다른 육체를 원했던 기생생물에게 순식간에 살해당하고, 머리가 바뀌는 형태로 기생당한다. 그 후는 기생생물 「이즈미 노부코」를 참조.

; 무라노 사토미 (村野 里美)

: 신이치와 같은 고등학교에 다니는 여자친구. 중학생 시절부터 신이치를 알고 있었으며, 입시 시험장에서 함께 있었던 것을 계기로 접점이 생겨, 고등학교 진학과 동시에 신이치와 교제를 시작했다. 신이치가 품고 있는 미기의 비밀이나 어머니의 죽음과 같은 사건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지만, 그의 몸에 무언가 일어나서 계속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고 있다. 변해가는 신이치를 이해할 수 없는 것에 고민하며, 몇 번이나 신이치에게 신랄한 말을 던져 어색해지는 일도 있었지만, 이야기의 마지막까지 신이치를 믿고 걱정한다.

: 이야기 중반에 기생생물・시마다 히데오가 학교 내에서 난동을 부려, 살육 사건을 일으켰을 때, 참살당한 동급생들의 시체를 앞에 두고 공포에 질려 있을 때 신이치의 뛰어난 신체 능력에 의해 구출되었다. 종반에서는 고토와의 싸움에 겁을 먹는 신이치와 맺어지고, 그것이 신이치에게 살아남는 것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된다.

: 최종화에서는 우라가미에게 칼로 위협받으면서도 그 내면에서는, 자신을 내버려두는 듯이 '알지 못하는 세계'로 가버리는 신이치를 따라잡고 싶다는 마음을 품고 있으며, 우라가미로부터 신이치가 숨기고 있던 미기의 비밀을 폭로당했을 때, "보통과 다른 부분은 있어도 신이치는 인간이다"라고 되받아친다. 우라가미에 대해서는 꿋꿋하게 행동하는 강인함을 보이며, 드디어 신이치를 따라잡을 수 있었다는 실감을 느낀다. 우라가미에게 빌딩 옥상에서 밀쳐져 살해당할 뻔하지만 미기에 의해 구출되고, 신이치와 함께 안도하는 장면에서 이 이야기는 끝난다.

; 카나 (加奈)

: 제10화부터 제31화에 걸쳐 등장. 신이치가 사는 마을과 인접한 히가시후쿠야마시(東福山市)에 사는 키타 고교 여학생으로, 스케반. 등장 당시에는 미츠오와 사귀고 있었지만, 신이치의 눈에서 인간 이외의 것을 느끼고, 점차 신이치에게 이성으로서의 흥미를 품게 된다. 미기와 융합하기 전의 신이치의 인물에 대해서는 별로 알지 못하며, 융합 후의 그가 언뜻 보이는 묘함이나 야성미에 매력을 느끼고 있으며, 연적인 사토미가 신이치의 변화에 당황하는 것을 호기로 여기고 있다.

: 기생생물끼리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감지하는 특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녀 자신은 그 능력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신이치에게 깃든 미기에 대한 반응을 신이치와의 '운명의 붉은 실'이라고 믿게 되고, 자신의 분수에 맞지 않는 일이라 당황하면서도, 백마 탄 기사로 변장한 신이치에게 안기는 꿈을 꿀 정도로 마음을 키워나간다. 이 자신의 마음을 신이치에게 전하고 싶다는 일념에서, 마침내 미약하나마 기생생물과 같은 '신호'를 발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그녀가 사는 히가시후쿠야마시(東福山市)의 시장으로 히로카와가 취임하고, 그 일들에 위기감을 느낀 신이치로부터 미기의 비밀을 듣지만, 그 말을 믿으려 하지 않고, 자세한 설명을 하기 위해 히가시후쿠야마시(東福山市)를 방문하려 했던 신이치로부터 "갈 때까지 집에서 나오지 마라"라는 금지를 어기고, 신이치로 착각하고 지나가던 기생생물과 마주치게 된다. 포식 현장을 보게 되고, 카나를 위험한 존재로 인식한 기생생물의 공격에 의해 치명상을 입고, 한 발 늦게 달려온 신이치의 품에 안겨 숨을 거둔다.

; 미츠오 (光夫)

: 제10화부터 제31화에 걸쳐 등장. '자칭' 카나의 남자친구. 키타 고교 학생으로 몸집이 크고 싸움도 잘한다. 신이치들이 다니는 니시 고교 학생들과 자주 싸움을 한다. 동급생과의 싸움을 보다 못해 중재에 들어간 신이치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결과적으로 신이치와 카나를 만나게 한다.

: 처음에는 신이치를 압도하여, 당시 신이치의 전투력이 10이라면 그는 18이라고 미기가 분석 비교하고 있다. 그러나 신이치의 변화 후에는 싸움에서는 전혀 상대가 되지 않게 되고, 카나가 신이치에게 마음을 돌리는 것에 초조해하며, 신이치에게 격한 질투의 감정을 느낀다. 신이치와 카나에게 얽혀 있던 기생생물・시마다 히데오에게 시비를 걸려고 하다가 얻어맞고, 그 후 동료들을 이끌고 보복을 시도했으나 신이치의 중재를 받는 장면도 있었다. 마지막까지 신이치의 사정을 알지 못하고, 자신이 알지 못하는 곳에서 카나가 살해당했을 때, 장례식 자리에서 통곡한 후, 카나의 죽음에 슬픈 기색을 보이지 않는 신이치에게 분노를 쏟아내며, 카나를 지켜주지 못했던 것을 책망한다.

; 이즈미 신이치

: 성우 - 시마자키 노부나가

: 주인공. 용모에 변화가 주어져, 눈매는 원작을 따르고 있지만, 등장 초반에는 안경을 쓰고 있어, 원작과는 다른 인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 안경은 신이치의 변화와 성장을 표현하기 위한 소품으로, 제6화에서 미기와의 융합이 진행되면서는 안경을 벗게 되었다.

; 미기

: 성우 - 히라노 아야

: 신이치의 오른손에 기생한 파라사이트. 원작에서는 신이치의 협력으로 도서관에서 빌린 책으로 지식을 얻었지만, 시대 설정의 변경을 반영하여, 터치 패널식 스마트폰과 데스크톱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터넷에서도 지식을 얻는다는 묘사로 변경되었다.

; 이즈미 신이치

: 성우 - 아이자와 마사키

: 신이치의 아버지. 원작에 충실한 용모로 그려져 있다. 지면으로 신문을 읽던 원작과는 달리, 본작에서는 태블릿(슬레이트형 PC) 화면으로 신문을 읽고, 휴대 전화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지만, 제5화에서는 모두 기생생물에게 습격당해 바다에 빠졌을 때 수몰되어 파손되어, 신이치에게 도움을 요청할 때는 원작대로 공중전화를 사용하는 묘사가 있다.

; 이즈미 노부코

: 성우 - 사사이 치에코

: 제1화부터 제5화에 걸쳐 등장. 신이치의 어머니. 역할에 변경은 없지만, 원작과는 머리 모양과 복장이 다르다. 제5화에서 기생생물에게 뒤에서 습격당했을 때는, 길게 늘어뜨린 뒷머리가 목과 함께 절단되었음을 시사하는 묘사가 있으며, 기생생물에게 기생당한 이후에는, 머리를 어깨 부근에서 비스듬하게 잘라낸 머리 모양으로 등장한다.

; 무라노 사토미

: 성우 - 하나자와 카나

: 히로인. 신이치와 같은 학교에 다니는 여자친구. 원작 연재 당시 아이돌과 같은 머리 모양의 실루엣을 계승하면서도, 방송 시점의 현대적인 모습으로 변경되어 앞머리를 머리핀으로 정리하고 이마를 드러낸 포마도르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 키미시마 카나(きみしま かな)

: 성우 - 사와시로 미유키

: 제5화부터 제12화에 걸쳐 등장. 옆 마을의 여고생. 원작에서는 "스케반"이라고 묘사되는 쇼와 시대 불량 소녀로 그려졌다. 원작에서는 양말을 신지 않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흰 양말을 신고, 교복 치마 길이가 짧아지고 이어머프를 상용하는 등 용모와 복장이 변경되었으며, "키미시마"라는 성이 설정되었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신이치의 사진과 신이치의 머리카락을 소중히 간직하는 등 독자적인 묘사가 이루어졌으며, 미츠오로부터 "스토커"라고 묘사되는 장면도 그려졌지만, 기본적으로는 원작과 같은 역할을 연기한다. 원작에서는 카나가 외출했기 때문에 신이치와 유선 전화로 연락이 닿지 않아, 최후를 맞는 전개가 되었지만, 자신의 초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일부러 스마트폰을 방에 두고 가는 묘사로 바뀌었다. 또한, 원작에서는 최후까지 미기의 존재를 알지 못했지만, 본작에서는 마지막 순간에 미기의 모습을 보고 있다.

; 타치카와 유코(たちかわ ゆうこ)

: 성우 - 안노 키요노

: 원작에서는 이야기 중반에 시마다 히데오의 동급생으로 총 3화만 등장하는 인물이었지만, 본작에서는 제1화부터 레귤러 캐릭터로 등장하고 있다. 용모나, 미술부원이며 오빠가 경찰관 등의 설정은 원작을 답습하면서도, "타치카와"라는 성의 신이치의 동급생이라는 설정으로 변경되었으며, 시마다 히데오와는 반이 다르다.

: 사토미의 소꿉친구라는 설정이 되어, 신이치와 사토미의 관계를 중재하려고 한다. 아키호로부터는 사토미와 함께 신이치에게 호감을 품는 연적 중 한 명으로 인식되었지만 유코 자신은 당황하여 부정한다. 전학 온 시마다 히데오를 계속 관찰하던 중 정체를 깨닫고, 그 사실을 추궁하려다가 습격당해, 약품이 든 병을 던져 시마다로부터 도망치는 역할은 원작과 같지만, 본작에서는 시마다에게 이성으로서 호감을 품었기 때문에 관찰을 시작했다는 경위가 그려져 있다. 원작에서는 도망친 후의 모습은 언급되지 않지만, 본작에서는 최종화까지 등장하여 학교에 등교하여 신이치와 사토미와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스즈키 아키호(すずき アキホ)

: 성우 - 마에다 레나

: 신이치의 동급생.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 밝은 성격이며, 주근깨가 있는 포니테일의 여고생. 신이치에게 은밀한 호감을 품고 있지만, 그는 눈치채지 못한다. 제8화에서는 사토미와의 관계를 깊게 하는 신이치를 반쯤 포기하고, 전학 온 시마다 히데오에게 호감을 품었다. 그 외에도, 원작에서 단역이었던 여러 학생들의 대사를 담당하는 묘사가 있다.

; 나가이 카즈키|나가이|후루야(ながい かずき)

: 성우 - 하마조에 신야

: 신이치의 동급생 불량 소년. 사토미에게 호감을 품고 있으며, 그녀와 친한 신이치에게 싸움으로 결투를 신청하지만, 미기의 반격을 받고 도망친다. 나중에 미츠오가 소속된 다른 학교 불량 그룹에게 두들겨 맞은 곳을 신이치가 돕지만, 나중에 신이치가 사토미를 인질로 잡혀 미츠오에게 두들겨 맞았을 때, 동료들을 데리고 돕는다. 그 후에도 신이치의 동급생으로 등장하며, 기생수·시마다 히데오가 전학 왔을 때, 신이치와의 대화에 끼어들려고 하다 시마다에게 맞는다. 최종화에서는, 고등학교 졸업 후 아키호에게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 언급된다.

: 원작에서는 제4화에, "후루야"라는 이름의 동급생이 사토미를 짝사랑하여 신이치에게 결투를 신청하는 장면이, 원작 제10화에는 "나가이"라는 성의 동급생과 미츠오의 에피소드가, 원작 제18화에는 시마다에게 맞는 상급생의 에피소드가 있어, 원작에서 단역이었던 여러 학생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본작에는 후루야 타쿠(성우 - 에노키 쥰야)라는 이름의 신이치의 동급생이 등장하고 있지만, 원작의 후루야와는 용모도 역할도 다르다.

; 미츠오

: 성우 - KENN

: 제5화부터 제12화에 걸쳐 등장. 옆 마을 불량 소년. 원작에서는 "미츠오"라는 이름으로 표기된 인물이지만, 본작에서는 한자가 아닌 가타카나로 역명이 표기되어 있다. 원작에서는 덩치가 큰 전형적인 쇼와 시대 불량 학생풍이었던 외모는, 마르고 니트 모자를 쓴 갈색 머리의 젊은이의 모습으로 변경되어 있으며, 학생인지 아닌지는 모호하게 묘사되어 있다. 니시고의 학생들에게 둘러싸였을 때 다수에게 겁먹지 않고 덤벼드는 등, 독자적인 묘사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원작의 미츠오와 같은 역할을 연기한다.

; 우다 마모루

: 성우 - 스즈키 타쿠마

: 제7화, 제14화, 최종화에 등장. 기생생물에게 기생당했음에도 뇌가 남아있는 인물. 대체로 원작에 준하는 묘사가 이루어졌다. 원작에서는 사선으로 표현되었던 뺨의 붉은 표현은 빨간 동그라미 뺨으로 표현되었다. 원작에서는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신이치와 연락을 주고받던 묘사에서 접이식 휴대전화(피처폰)를 통해 연락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지만, 원작과 마찬가지로 기생생물끼리의 신호를 이용하여 신이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는 모습도 묘사되었다.

;

: 성우 - 무라세 아유무

: 제7화, 제14화, 최종화에 등장. 우다의 아래턱에 기생하고 있는 기생생물. 원작의 컬러 페이지에서는 눈동자 색깔은 흑갈색이었지만, 본작에서는 선명한 녹색으로 묘사되었다.

;

4. 설정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의 조용한 동네에서 부모와 함께 사는 17세 고등학생 이즈미 신이치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어느 날 밤, '기생수'라 불리는 외계 생물들이 지구에 침투하여 인간의 뇌를 장악하려 한다. 신이치는 기생수가 뇌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내지만, 오른팔에 기생하게 된다. 일본어로 '오른쪽'을 뜻하는 '미기'라는 이름을 가진 기생수와 신이치는 공생하며 다른 기생수들과 맞서 싸우게 된다.[79][5]

이 시리즈는 인류의 의미, 인간과 환경 및 다른 종과의 관계, 본능과 사랑의 역할, 그리고 도덕의 내재된 인간 중심주의와 같은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질문을 탐구한다. 신이치는 미기와의 경험을 통해 인류가 기생수보다 도덕적 우위를 주장할 권리가 있는지 의문을 품게 된다.[79][5]

이야기는 인간의 머리에 기생하여 인간을 잡아먹는 '기생 생물' 측, 처음에는 포식당하다가 나중에 반격에 나서는 '인간' 측, 그리고 그 중간자로서 존재하는 '신이치와 미기' 측이라는 세 주체에 의해 성립되지만, 이야기의 초점은 신이치에게 맞춰져 있다. 표제인 "기생수"는 극중에서는 기생 생물의 호칭이 아니라, 지구 환경에 해를 끼치는 인간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이야기의 후반부에 등장한다.

작품은 과격한 묘사와 함께 철학적 주제, 의외성이 있는 극적인 전개, 이야기의 세계관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연재 완결 후 약 20년 동안 미디어 믹스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2014년에 TV 애니메이션과 실사 영화로 제작되었다. 단행본 누계 부수는 2013년 1100만 부[86], 2020년 2400만 부를 돌파했다[87].

오오타 모아레에 의한 스핀 오프 만화 『기생수 리버시』가 연재되기도 했다.[88]

4. 1. 기생생물

어느 날 갑자기 정체불명의 다수의 생물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그 생물은 콧구멍이나 귓구멍을 통해 인간의 머리에 침투하여 를 포함한 머리 전체를 교체하는 형태로 기생하여 전신을 지배하고 다른 인간을 포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79][5]

자유자재로 변형되는 기생 후의 머리는 다양한 인간의 얼굴로 의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날처럼 날카로워지거나 채찍처럼 유연해지며, 수 명 이상의 인간을 순식간에 베어버린다. 게다가 그들 "'''파라사이트'''(기생 생물)"는 높은 학습 능력으로 급속도로 지식과 언어를 습득하여 인간 사회에 섞여 들어갔다.[79][5]

; 기생체의 탄생 과정

: 극 중 묘사는, 공 모양의 알과 같은 것이 세계 상공에서 갑자기 날아와 지상으로 떨어지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들이 어떤 경위로 탄생했는지는 극 중에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으며, 이후 묘사에서도 외계 생명체 설, 돌연변이 설, 질병 설, 생물학적 무기 설 등이 섞여 결론이 나지 않았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작가는 지구상의 어딘가에서 발생하여 바람에 실려온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 극 중에서는 알과 같은 것에서 태어나 뇌를 빼앗긴 기생체들이 포식한 인간의 유해(먹다 남은 것)가 각지에서 발견되었지만, 기생체의 정체를 아는 인간은 처음에는 신이치뿐이었다고 언급된다. 극 중 뉴스에서는 "민치(다진 고기) 살인 사건"으로 다뤄졌으며, 처음에는 맹수나 변태에 의한 것으로 여겨졌다. 피해의 중심은 인구가 많은 도시부였으며,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희생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며, 타액이 검출되어 카니발리즘이 예상된 점과 5개월이 지나도 범인이 한 명도 잡히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컬트, 사탄 숭배, 악마 숭배 등 조직적인 범죄로 인식되었다. 이후 몇몇 사건을 거치며 여러 설이 제기되는 가운데, 점차 기생체의 존재가 드러나 극 중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다.

; 기생 전 형태

:; 알과 같은 것

:: 털로 덮인 테니스 공 정도 크기의 알과 같은 것에서 유생 기생체가 태어난다. 극 중에서는 낙하 시에도 충격으로 파손되지 않고, 착지 시에 바운스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 유생 기생체의 형태

:: 부화 직후에는, 꽤 큰 거머리지렁이와 같은 형태(신이치와 우다는 처음에는 으로 오인했다)이다.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끝이 드릴 모양이며, 상반신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작은 돌기물이 사방팔방에 여러 개 나 있다. 닫힌 미닫이 문이나, 문 틈새로 침입하는 묘사도 있다. 도약력도 있으며, 신이치에게 기생한 미기는 찬장 정도 높이에서 목표를 향해 뛰어들었고, 우다에게 기생한 죠는 얼굴 높이까지 지면에서 점프하는 묘사가 있다.

:; 인간에게의 침입 방법

:: 부화하면 바로 본능에 따라 땅을 기어 다니며 인간을 찾는다. 그리고 드릴 모양의 끝 부분을 뻗는 동작 후, 인간의 코나 귀 등 머리 부분의 구멍으로 침입한다. 이때 드릴 부분은 강한 힘을 발휘하며, 귀로의 침입에 실패한 미기나 죠의 경우, 피부나 입고 있던 폴로셔츠를 뚫고 체내로 침입하고 있다. 이후에는 뇌를 향해 진행하고, 기생에 성공하면 숙주의 머리 및 목 부근까지 완전히 기생체의 조직으로 대체된다. 극중에 등장하는 학자 유이가 섬다의 해부 결과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물질에 의해 세포막을 순식간에 변화시킨 세포 융합이라고 해야 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의사소통 방법

: 기생생물은 스스로 인간에게 기생하여 뇌를 대신하기 때문에 언어 등은 계승되지 않고, 기생 후 각자 독자적인 방법과 주변 상황에 따라 학습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언어에 의한 대화, 문자, 기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모든 통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 의사소통에서 가장 큰 특징은 독자적인 통신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점으로, 미약하지만 특수한 뇌파 같은 것을 항상 발신 및 수신하여, 근처에 있는 동종의 존재를 서로 감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수신의 유효 반경은 약 300미터이지만, 발신원의 개체를 구별하는 것은 기생생물끼리도 어렵다. 다만, 미리 발신 패턴을 동료끼리 정해두면 모스 부호처럼 간단한 통신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기생생물이 가장 강하게 발하는 신호는 '적의'나 '살의'라고 한다.

: 이 뇌파는 일반적인 인간은 수신할 수 없다. 작중 인간 중에서는 카나만이 미약하게나마 감지하며, 게다가 카나로부터도 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듯한 묘사가 있었다.

; 식사

: 일반적인 기생생물은 본능에 의해 숙주와 동종의 생물(인간이라면 인간, 개라면 개)을 주식으로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소화기를 포함한 내장은 숙주의 것을 유용하므로, 그 생물의 본래 식사만으로도 (공식(共食)을 하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으며, 타무라는 그것을 실증했다. '인간을 잡아먹어라'는 최초의 본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포식하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은 타무라에게 자기 실존의 의문이 되었다.

: 또한, 알코올 등을 섭취하면 일반적인 인간과 마찬가지로 취하며, 인간의 얼굴로 되돌린 셈이 무심코 얼굴이 일그러진다. 그 외에도 담배나 마약, 기타 약물 등 '유해 물질'을 포함한 인간의 고기는 좋아하지 않는다.

: 기생생물이 나타나기 시작했을 때는, 즉흥적으로 그 자리에서 인간을 죽여 먹고, 먹다 남은 것(시체)을 방치했다. 이후, 일반인에게 발각되면 여러 가지로 귀찮아진다는 것을 학습하여, 헌팅을 가장하는 등 인간에게 접근하여 인적이 드문 곳에서 습격하여 먹고, 먹다 남은 것도 처분하게 되었다.

: 일부 기생생물들은 히로카와 타케시를 중심으로 그룹을 결성하여, 인간을 먹는 장소를 '식당'이라고 칭하고, 기본적으로 시내에 지정된 몇 군데 장소에서 '식사'한다는 규칙을 만들었다. 이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민치 살인 사건'이 줄어든 것처럼 보였지만, 그 대신 행방불명자 수가 늘어나게 된다. 히로카와 그룹은 이후 붕괴되었고, 그 외에 기생생물이 그룹을 결성하고 있는 모습은 없다. 또한, 서로 잡아먹는 것을 그만두고 보통 인간과 같은 식사로 이행한 기생생물도 있었다.

; 생식 활동·수명

: 기생생물에게는 생식 능력이 없어, 새로운 세대를 만들 수 없다. 기생체의 남녀가 숙주 부분끼리 성교를 해도, 태어나는 것은 일반적인 숙주와 동종의 아이이다.

: 기생생물의 수명은 불명이지만, 신이치가 처음 만난, 인간에게 기생한 기생생물은 '우리(자신과 미기)가 관리하는 이 육체라면 140년은 살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미기를 자신의 육체에 초대했다.

## 분리・분열

: 앞서 언급했듯이, 모체에서 떨어진 기생생물은 죽지만, 훈련을 통해 익숙해지면 일시적으로 자신의 힘으로 모체에서 떨어져 움직이거나, 여러 개로 분열・사고할 수 있게 된다. 미기의 경우, 처음 시도했을 때는 최장 3분이었다. 단, 분열체가 작아질수록 분리 시간은 짧아지며, 미기는 30% 정도 작아진 후 분리했을 때, 예상했던 것보다 분리 시간이 짧아졌다. 또한, 지능도 떨어져 가며, 너무 작아지면 분리된 후 몇 초 만에 말라 죽는다. 미기의 경우, 분열 전에 "원래대로 하나로 돌아가" 등 간단한 의사 통일(암구호)을 함으로써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타무라 레이코의 경우, 분열시킨 기생체를 타인의 육체에 잠입시킴으로써 미기보다 더 오랫동안 분리하는 것이 가능했다.

: 미기는 세포를 만들어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한 신이치의 경우, 미기의 세포가 몸 안에 흩어져 흡수되었을 때, 신체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정신적인 면에도 영향이 있었던 듯한 묘사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 기생 부위의 타인으로의 이동・합체

:; 같은 부위끼리의 이동

:: 기생한 육체가 치명상을 입었을 때는 가까운 다른 인간의 머리를 베어내, 상대의 머리로 이동하여 연결하여 그 육체를 빼앗는 경우가 있다. 단, 성별이 다른 몸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생식기 부근을 조작하는 방법을 알 수 없어 오줌을 누는 등, 더욱 거부 반응이 일어난다.

:: 기생생물에 따르면 뇌만큼 복잡하지 않은 "팔에서 팔" 등으로의 이동은 간단하다고 한다. 단, 미기가 다른 기생생물로부터 자신의 오른팔로 이동(즉, 합체)해오도록 유혹받았을 때 "육체의 이동에 확신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 다른 부위로의 이동

:: 처음에 동화된 부위보다 복잡한 구조의 부위(예를 들어 "오른손"에서 "머리")로의 이동은 "조작 방법을 모른다"는 이유로 불가능하지만, "머리"에서 "손"이나 "다리" 등의 역 패턴은 간단하다.

:; 합체

:: 여러 기생생물이 동거하는 기생체는, 한 마리만 기생하는 것에 비해, 더욱 강력해지며, 앞서 언급했듯이 장수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

## 기생생물 구별법

: 기생생물은 머리에 기생하면, 머리카락 등의 머리털 한 올 한 올에 이르기까지 기생생물의 세포가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미세한 세포이기 때문에 머리카락에 의지는 없지만, 몸에서 떨어지면 돌아갈 수 없지만, 살려고 잠시 몸부림친다. 극 중에서는 이 성질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뽑아 "털이 몸부림치면 기생생물"이라는 식으로 인간과 기생생물을 판별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극 중에서는 그 방법이 경찰 등 일부 사정을 아는 정부 관계자에 의해, 특정 인간이 기생생물이라는 의심을 받아 린치나 학살을 당하는 것을 막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소문"으로 퍼뜨려,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 유행한 것이 묘사되어 있다. 단 그 결과로, 기생생물의 머리카락을 뽑은 인간이 살해되어 포식당하고 있다.

: 특수한 예로 위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구별할 수 있는 인간도 있다. 우라가미는 "인간"과 "인간 이외의 무언가"를 판별할 수 있었고, 후에 인간 이외의 무언가 = 기생생물임을 알고, 경찰에 협력하게 되었다. 야마기시는, 시청 전투에 동원된 우라가미에 의한 기생생물 감정을 보면서, 스스로도 우라가미에게 의존하지 않고 선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카나는 인간 집단 속에 "운명의 붉은 실"을 느끼는 자가 있었지만, 그것이 기생생물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는, 동물원에서 탈출한 사자가 "A"와 대치했을 때, 본능적으로 "자기보다 강한 것"으로 구별하고, 겁을 먹었다.

4. 2. 기생 실패

이 생물은 본능적으로 "인간의 몸속에 침투하여 뇌를 빼앗아 기생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기생 실패"가 되는 경우가 있다. 실패한 파라사이트는 본능적으로 "인간의 뇌를 빼앗아 기생하지 못하고 실패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 침투 시 어떤 사고로 인해 머리 이외의 부위에 기생(주변 조직과 동화하는 경우도 있다)한 패턴 - 미기와 죠가 이 유형이다.
  • 뇌를 "먹은" 파라사이트와 달리 "숙주가 된 종을 포식한다"는 본능이 깨어나지 않는다[79]는 큰 차이점이 있다. 그들은 기생 부위에 숙주와는 독립된 의사를 가지며, 눈이나 입 등의 기관도 있기 때문에 숙주와 대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다른 파라사이트가 "기생한 뇌"가 변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생한 부위(미기라면 오른팔)가 자유자재로 변형될 수 있다. 전투 시에는 미기는 신이치와 대화를 하면서 둘이서 작전을 짜고, 협력하여 공격과 방어를 섞어가며 싸운다. 우다의 경우에는 기생 부위가 "입에서 가슴 부근"이라 변형되면 대화는 할 수 없고, 코로만 호흡하기 때문에 답답해지지만, 반대로 장기의 위치를 바꿔 치명상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 식사에 관해서, 동종의 생물을 공생한다는 본능이 없기 때문에[79], 인간으로부터 영양을 얻고 있으며, 애초에 식욕이라는 것이 없다. 미기의 경우에는 음식의 맛은 전혀 상관없고, 오히려 영양 밸런스를 신경 썼다. 또한, 보통보다 영양분이 필요해지기 때문인지, 신이치는 기생된 이후 식욕이 왕성해졌다.
  • 뇌에 기생한 타입과 조우했을 경우,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어, 말살될 위험성이 높다. 게다가 신이치는 후술할 개에 기생한 타입에게서도 공격받고 있다.
  • 인간 이외의 생물에 잘못 기생한 패턴 - 작중에서는 에 기생한 것이 등장하고 있다.
  • "동종의 생물을 포식하는(공생)" 본능은 이어받아, 기생한 생물(개라면 개)을 먹는다.
  • 지능이나 전투 능력은 인간형에 비해 상당히 떨어졌지만, 인간의 말을 이해하면서 서투르지만 말을 한다. 또한, 민첩함을 살려 약간 강압적이긴 하지만, 기생 부분인 머리를 날개로 바꿔 비행하는 등 원래 개의 능력을 뛰어넘는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4. 3. 신이치와 미기의 변화

신이치는 미기가 뇌로 더 깊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냈기 때문에, 두 존재는 각자의 지성과 개성을 유지하며 공생 관계를 시작한다. 신이치와 미기는 다른 기생수들과 맞서 싸우면서, 서로의 기묘한 상황을 이용해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함께 생존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신이치의 뇌가 온전하다는 것을 알고 그들을 공격하는 다른 기생수들과의 싸움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79]

어머니의 몸을 빼앗은 파라사이트에게 심장을 찔려 치명상을 입었지만, 미기가 신이치의 체내에 들어가 심장을 움직이며 몸을 회복시켜 심폐 정지 상태에서 소생한다. 이때 미기의 세포가 체내에 확산되면서 신이치는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얻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에도 영향을 미쳐 그를 괴롭힌다. 한편, 미기는 신이치와의 교류를 통해 점차 인간의 가치관을 이해해 간다.

신이치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육체적 변화

  • "올림픽 선수급"의 빠른 발[79]
  • 도움닫기 없이 3미터 벽을 뛰어넘는 도약 능력[79]
  • 맨손으로 인체를 관통하고 심장을 도려내어, 한 손으로 어른을 던져 콘크리트 벽을 부술 정도의 괴력[79]
  • 사람을 안은 채 몇 미터 아래로 뛰어내려 발가락으로 착지해도 견디는 강인한 다리[79]
  • 기생생물의 공격을 간파하는 동체 시력[79]
  • 300미터 밖 인물의 특징을 파악하는 정지 시력[79]
  • 멀리 있는 대화를 구별하는 청력[79]
  • 영양분 흡수율과 체력 회복력 향상

정신적 변화

  • 감정 둔화
  • 빠른 감정 전환
  • 눈물 흘리는 능력 상실


미기의 세포가 신이치의 몸에 섞이면서, 신이치는 미기의 일부가 자신의 마음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고 뇌를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낀다. 그러나 미기는 자신의 세포가 의지를 갖지 않아 뇌에 도달하지 않을 것이며, 신이치가 강해진 영향이라고 추측한다.

미기 또한 변화를 겪는데, 치료 과정에서 기생생물로서의 성질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하루 4시간 정도 불규칙적으로 동족 감지 능력이 작동하지 않는 "완전한 잠"에 빠지게 된다. 이 시간 동안 미기는 동면 상태가 되고, 신이치에게 흩어진 기생 세포 일부를 회수할 수 없게 되어 기생 부위가 줄어든다.

5. 주제 및 평가

《기생수》는 연재 당시의 시대상과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면서도, 인간과 기생생물 간의 관계를 통해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시리즈는 인류의 의미, 인간과 환경 및 다른 종과의 관계, 본능과 사랑의 역할, 그리고 도덕의 근본적인 인간 중심주의와 같은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질문을 탐구한다.[79][5] 주인공 이즈미 신이치는 미기와의 경험을 통해 인류가 기생수보다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주장할 권리가 있는지 의문을 갖게 된다.

작품은 1993년 제17회 고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을 수상했고,[70] 1996년에는 제27회 성운상에서 그 해 최고의 만화로 선정되었다.[71] TV 아사히의 만화 총선거 2021 투표에서는 15만 명의 투표 결과 60위를 차지했다.[72] 2013년 11월까지 1,100만 부 이상, 2020년 12월까지 2,400만 부 이상, 2022년 8월까지 2,500만 부 이상 발행되는 등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73][74][75]

와세다 대학 교수이자 문학 평론가인 가토 노리히로|加藤典洋일본어는 "문학을 포함해 전후 베스트 10에 들어간다"고 극찬하며,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읽어볼 것을 권했다.[76][94] 철학자 쓰루미 슌스케는 "생애 읽은 가장 재밌는 책 중 하나"라고 평했다.[77] 만화가 사토나카 마치코는 "정체성 확립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걸작"이라고 칭찬했다.[78]

''Mania.com''의 코니 장은 《기생수》의 주요 초점이 신이치와 미기의 역동적인 관계와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이며, 철학적 접근 방식이 작품을 지적으로 만든다고 평가했다.[79] 매드하우스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역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80] Crunchyroll과 ''IGN''은 각각 "2010년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선정했다.[81][82]

5. 1. 주제

이 시리즈는 인류의 의미, 인간과 환경 및 다른 종과의 관계, 본능과 사랑의 역할, 그리고 도덕의 근본적인 인간 중심주의와 같은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질문을 탐구한다.[79][5] 주인공 이즈미 신이치는 미기와의 경험을 통해 인류가 기생수보다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주장할 권리가 있는지 의문을 갖게 된다. 미기와 타무라 레이코는 인간과의 경험을 통해 사랑과 희생 같은 인간적인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79][5]

작품 내에서 인간을 "기생수"라고 칭한 유일한 인물은 히로카와 타케시이다.[55] 그는 인간을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존재로 규정했으며, 이러한 관점은 작품 전체의 주제와 연결된다.

작품이 연재될 당시 환경 문제는 큰 사회적 이슈였으며, 작품 속에서도 환경 문제가 다루어졌다.[10] 그러나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단순한 환경 문제 제기를 넘어, 인간과 기생생물, 그리고 주인공 자신의 존재 의의를 추구하는 더 깊은 철학적 질문으로 이어진다.

5. 2. 평가

《기생수》는 1993년 제17회 고단샤 만화상 일반 부문을 수상했고,[70] 1996년에는 제27회 성운상에서 그 해 최고의 만화로 선정되었다.[71] TV 아사히의 만화 총선거 2021 투표에서 15만 명이 가장 좋아하는 만화 시리즈 100개를 투표한 결과, 《기생수》는 60위를 차지했다.[72]

2013년 11월까지 1,100만 부 이상, 2020년 12월까지 2,400만 부 이상, 2022년 8월까지 2,500만 부 이상 발행되었다.[73][74][75]

와세다 대학 교수이자 문학 평론가인 가토 노리히로|加藤典洋일본어는 "문학을 포함해 전후 베스트 10에 들어간다"고 평하며, "진로 선택에 망설여지거나, 대학교 수업이 지루하다고 느껴지거나, 이성에게 차여 슬플 때 읽어볼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76][94] 철학자 쓰루미 슌스케는 "인생, 두 번째 충격", "생애 읽은 가장 재밌는 책 중 하나"라고 평했으며, 저녁 식사 후 읽기 시작해 전권을 다 읽었을 때는 날이 밝았다고 한다.[77]

만화가 사토나카 마치코는 "정체성 확립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걸작"이라고 칭찬했다.[78] ''Mania.com''의 코니 장은 《기생수》 첫 번째 권에 A− 등급을 매기며, 시리즈의 주요 초점이 신이치와 미기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와 그들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라고 썼다. 또한 "이러한 사변적인 철학적 접근 방식이 《기생수》를 지적인 만화로 만든다. 기생수들이 점차 인간의 삶에 적응하고 진정한 정체를 숨기는 데 더 영리해지면서, 신이치는 점점 더 많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라고 평했다. 그녀는 "《기생수》는 세상을 구하는 십 대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성인으로 나아가는 십 대와 그의 냉소적이고 반항적인 오른손이 세상을 구하는 이야기이다. 강력 추천한다."라며 결론을 내렸다.[79]

매드하우스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각색은 애니메이션, 캐릭터 묘사, 속도 조절, 사운드트랙에 대한 칭찬을 받으며 비평가와 팬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80] 2019년 11월, Crunchyroll은 《기생수 -세이의 격률-》을 "2010년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100선"에 선정했고,[81] ''IGN''은 이 작품을 2010년대 최고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하나로 선정했다.[82]

6. 미디어 믹스

이와아키 히토시의 만화 《기생수》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할리우드와의 영상화 권리 계약 문제로 인해 연재 종료 후 약 20년 동안 미디어 믹스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85] 그러나 2014년에 들어서면서 영상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4년 10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일본 TV 등에서 TV 애니메이션 《기생수 세이의 격률》이 방영되었다.[135] 이와 동시에 야마자키 타카시 감독의 실사 영화 2부작이 제작되어 2014년 11월과 2015년 4월에 각각 개봉되었다. 2013년 당시 원작 만화의 누계 발행 부수는 1100만 부를 기록했으며,[86] 2020년에는 2400만 부를 돌파했다.[87]

이 외에도 다른 만화가들의 트리뷰트 작품집인 《네오 기생수》, 《네오 기생수 f》가 코단샤에서 공식 앤솔로지로 출간되었으며,[34][41][42] 오타 모아레의 스핀오프 만화 《기생수 리버시》가 코믹 DAYS에서 연재되었다.[88]

2024년에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기생수: 더 그레이》가 공개되었다.[67]

6. 1. 만화

이와아키 히토시가 쓰고 그린 《기생수》는 1989년 8월 1일부터 10월 3일까지 고단샤의 《모닝》 증간호인 《Morning Open Zōkan》에 처음 3개의 챕터가 게재되었다.[7][8][9][10] 이후 1989년 11월 25일부터 출판사의 《월간 애프터눈》으로 옮겨져 1994년 12월 24일에 완결되었다.[7][12] 고단샤는 64개의 챕터를 10권의 단행본으로 묶어 1990년 7월 23일부터[13] 1995년 3월 23일까지 발매했다.[14] 이후 2003년 1월 23일부터 6월 23일까지 8권의 완전판으로 재출간되었다.[15][16]

이 작품은 원래 토쿄팝에 의해 영어 번역 및 북미 유통에 대한 라이선스가 부여되었으며, 1998년부터 2002년까지 12권으로 출판되었다. 토쿄팝 버전은 《믹스진》에 연재되었고,[17] 아메리카 온라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인 재팬메이션 스테이션에서 연재되었다.[18] 토쿄팝 영어판 만화는 2005년 5월 2일에 절판되었다.[19] 이후 델 레이 망가가 이 시리즈의 판권을 획득하여[20] 2007년과 2009년 사이에 완전판 발매에 맞춰 8권을 출판했다. 고단샤 USA는 2011년과 2012년 사이에 북미에서 이 책들을 재출판했다.

다수의 만화가들이 쓰고 그림을 그린 다양한 원샷으로 구성된 헌정 프로젝트 ネオ寄生獣|네오 기생수일본어는 당시 방영 예정이던 애니메이션을 홍보하기 위해 원작 만화를 기반으로 2014년 9월 25일 ''월간 애프터눈''에서 연재를 시작했다.[21] 협력 작가 목록에는 히라모토 아키라,[22] 타키나미 유카리,[23] 니라사와 야스시,[24] 엔도 히로키,[25] 우에시바 리이치,[26][27] 미나가와 료지,[28] 쿠마쿠라 타카토시,[29] 피치핏,[30] 마시마 히로,[31] 太田モアレ|오타 모아레일본어,[32] 타케야 타카유키, 하고 모토가 포함된다.[33] 이 이야기들은 2016년 7월 22일 코단샤에서 단행본으로 묶여 출판되었다.[34] 북미에서는 2017년 11월 21일 코단샤 USA에서 이 단행본을 출판했다.[35]

또 다른 헌정 프로젝트 ネオ寄生獣f|네오 기생수 f일본어가 2014년 9월 27일 코단샤의 ''아리아''에서 시작되었다.[36] 협력 작가 목록에는 MikiMaki, 린노 미키,[36] 토야마 에마, 스루가 히카루,[37] 나카무라 아스미코, 유키 카오리, 나루시마 유리, 쿠로에 유이,[38] 킨다이치 렌지로, 쿠제 반코, 카시오,[39] 오바타 유키, 와타나베 아시아, 코지마 라라코, 신조 하지메가 포함된다.[40] 코단샤는 이 이야기들을 2015년 4월 24일에 디지털 방식으로 두 권의 단행본으로 묶어 출판했다.[41][42] 코단샤 USA는 이 이야기들을 2016년 10월 25일에 단행본으로 묶어 출판했다.[43]

스핀오프 만화 寄生獣リバーシ|기생수 리버시일본어가 2018년 3월 2일 코단샤의 ''코믹 데이즈'' 앱에서 연재를 시작했다. 이 만화는 오타 모아레가 쓰고 그림을 그렸다.[44] 이 시리즈는 2021년 5월 7일에 완결되었으며,[45][46] 8권으로 묶여 출판되었다. 코단샤는 자사의 K 망가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이 시리즈를 영어로 출판했다.[47] 코단샤 USA는 이 만화를 디지털로 출판할 라이선스를 획득했으며, 2024년 10월 8일에 첫 번째 단행본이 출시되었다.[48][49]

단행본은 애프터눈 KC에서 전 10권이 발행되었다. 2003년에는 연재 당시의 컬러 페이지를 수록한 완전판 전 8권이 KC 딜럭스로 새롭게 발매되었고, 그 후에도 신장판, 문고판 등이 발매되었다. 이후 전 64화가 『코믹 DAYS』에서 풀 컬러판으로 매주 목요일에 재게재되고 있다.

이야기의 구도는 인간의 머리에 기생하여 인간을 잡아먹는 '기생 생물' 측, 처음에는 포식당하기만 하다가 나중에 반격에 나서는 '인간' 측, 그리고 그 중간자로서 존재하는 '신이치와 미기' 측이라는 세 주체에 의해 성립되지만, 이야기의 초점은 신이치에게 맞춰져 있다. 표제인 "기생수"는 극중에서는 기생 생물의 호칭이 아니라, 지구 환경에 해를 끼치는 인간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이야기의 후반부에 등장한다. 인간이 처참하게 잡아먹히는 등, 과격한 묘사도 있는 반면, 이야기의 축에는 철학적인 주제가 있으며, 테마성의 높음, 의외성이 있는 극적인 전개, 이야기의 세계관 등이 평가되어 열성적인 팬을 확보했다.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도, 할리우드와의 영상화 권리 계약 기간에 얽힌 사정으로 인해, 연재 완결로부터 약 20년 동안은 미디어 믹스화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2014년에 들어서 영상화가 이루어졌다. 2014년 10월부터 2015년 3월에 걸쳐 일본 TV 외에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판이 방송되었으며, 2014년 11월 및 2015년 4월에는 야마자키 타카시 감독에 의해 2부작으로 구성된 영화로 실사 영화화되었다.

실사 영화화 및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된 2013년 시점에서의 단행본 누계 부수는 1100만 부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미디어 믹스화되지 않은 만화 작품이 완결 후 20년 가까이 팔리면서 1000만 부를 돌파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2020년 시점에서의 누계 발행 부수는 2400만 부를 돌파했다.

다른 만화가에 의한 트리뷰트 작품집 『네오 기생수』 『네오 기생수 f』가 코단샤의 공식 앤솔로지로 간행되었다.

오타 모아레에 의한 스핀 오프 만화 『기생수 리버시』가 『코믹 DAYS』에서, 2018년 3월 2일부터 2021년 5월 7일까지 연재되었다.

본작의 연재와 같은 시대인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가 무대가 되고 있다. 불량 학생의 묘사에는 당시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여학생의 치마 길이를 길게 한 여학생이나 펀치 파마를 한 앞머리를 높이 올린 머리의 남학생 등이 묘사되어 있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지명에는 주로 가상의 시정촌명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야기 초반에 기생생물에게 포식당한 일가는 주인공의 자택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고 하며, 그 후에 동명의 가족이 있는 일가가 "가나가와현 ××시"의 자택에서 참살되었다고 언급되고 있다. 또한 극중에서 주인공이 다니는 학교에 달려온 구급차에, 글씨로 "사가미하라(몇 글자 불명) 국"이라는 실존하는 지명이 쓰여 있는 것을 판독할 수 있는 장면이 있다.

주인공이 사는 지역과 인접한 자치체명으로 "토후쿠야마시"라는 가상의 지명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야기 후반에 주인공들의 적이 되는 히로카와가 시장으로 취임하는 외에, 등장인물 중 한 명인 카나의 자택과 클라이맥스의 무대가 되는 시청이 소재하고 있다고 언급되고 있다. 또한, 주인공의 어머니가 여행지에서 살해당해 복수의 싸움의 무대가 되는 지명으로 "사쿠라자키"라는 가상의 지명이 등장하지만, 극중에서는 시즈오카현의 이즈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며, 주인공의 집에서 향하기 위해서는 JR누마즈역에서 누마즈항을 거쳐 고속선으로 가는 것이 최단 거리이며, 미시마역에서 버스로 가는 것이 차선이라고 언급되고 있다.

주인공들이 다니고 있는 고등학교는 "니시코"라고 불리고 있으며, 주요 등장인물들의 학생 생활이 묘사되고 있지만, 원작 중에서는 정식 학교명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 외에 카나와 미츠오가 다니고 있는 "키타코"라는 이름의 옆 동네 고등학교와, "타무라 레이코"가 강의를 받고 있던 "토난 대학"이라는 이름의 대학이 등장한다.

본작을 연재하던 당시의 『월간 애프터눈』은 주류나 왕도에서 벗어난 독창적인 만화 작품을 게재하는 잡지 중에서는 가장 유명하다고 할 수 있는 위치의 잡지였다. 본작이 연재되던 1990년대 중반 무렵은 만화의 판매가 정점을 맞이함과 동시에 "요즘 만화는 재미없다"라는 설이 거론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했다. 본작은 그런 설 속에서도 예외적으로 평가받은 작품이기도 하다. 연재 당시의 본작은 후지시마 코스케의 『아! 나의 여신님』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애프터눈』의 간판 작품이었다. 잡지 편집부는 오랫동안 연재를 계속시키고 싶어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1995년 연재 종료 후에도 『애프터눈』의 콜라보레이션 기획에서는 비교적 큰 대우를 받고 있다. 또한 본작은, 뿌리 깊은 인기를 가지고 있으면서 인지도가 낮은 작품이라는 인상으로 이야기되기 쉽지만, 단행본은 롱런하여 누계 발행 부수가 많다.

본작의 연재 중에는 환경 문제가 큰 붐이 일어났으며, 또한 연재가 종료된 1995년 초는 한신·아와지 대지진과 지하철 사린 사건의 영향도 더해져 사회에 종말론이 감도는 시대이기도 했다. 본작은 보편적인 소재를 다루면서도, 연재 당시의 시대성이나 풍조, 젊은이들의 말투 등이 짙게 반영된 작품이기도 하다. 본작처럼 인

6. 2. TV 애니메이션

《기생수 세이의 격률》이라는 제목으로 닛폰 TV 등에서 2014년 10월 9일부터 2015년 3월 18일까지 방영되었다.[50][51] 매드하우스, Nippon Television, VAP 및 Forecast Communications에서 제작했으며, 시미즈 켄이치가 감독, 요네무라 쇼지가 시리즈 구성, 히라마츠 타다시가 캐릭터 디자인, 아라이 켄이 음악을 담당했다.[52] 오프닝 테마는 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가 부른 "Let Me Hear"이다. 엔딩 테마는 미우라 다이치가 부른 "It's the Right Time"이다. Anime Expo 2015에서 Sentai Filmworks는 이 애니메이션이 2015년 10월 4일에 Adult Swim의 Toonami 프로그래밍 블록에서 방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53][54]

이 시리즈는 아시아 외 지역에서는 Crunchyroll에서, 동남아시아남아시아에서는 Animax Asia에서 동시 방영되었다.[55][56][57] Sentai Filmworks는 북미, 남미, 영국, 호주 및 뉴질랜드 출시를 위해 이 애니메이션의 라이선스를 획득했다.[58] 영국 배급사인 Animatsu Entertainment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이 시리즈를 출시했다.[59]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Hanabee가 이 시리즈를 획득하여 해당 지역에서 출시했다.[60] Sentai Filmworks에서 제공하고 배급한 영어 더빙판은 2016년에 DVD와 블루레이로 두 부분으로 출시되었으며, 파트 1(1~12화)은 4월 5일에,[61] 파트 2(13~24화)는 7월 5일에 출시되었다.[62]

기생수 - 세이의 격률 에피소드 목록도 참조하십시오.

화수제목각본그림 콘티연출작화 감독방송일
stage:1변신요네무라 쇼지시미즈 켄이치야마시로 치에히라마츠 타다시2014년
10월 9일
stage:2육체의 악마쿠즈야 나오유키요시다 토오루
하가 히토시
10월 16일
stage:3향연후지타 신조사와이 코지시마 켄이치10월 23일
stage:4흐트러진 머리요네무라 쇼지사토 유조이시다 토오루아시야 코헤이10월 30일
stage:5이방인타카하시 토오루마타노 히로미치야마자키 노리요시11월 6일
stage:6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아오야마 히로시야마시로 치에사쿠라이 쿠니히코11월 13일
stage:7암야행로후지타 신조호소카와 히데키이나바 유키김봉덕
사유미 레이
하라다 리에
11월 20일
stage:8빙점요네무라 쇼지사와이 코지시마 켄이치11월 27일
stage:9선악의 피안후지타 신조하라 히로시카와무라 켄이치아시야 코헤이
하가 히토시
stage:10발광한 우주요네무라 쇼지산죠 나미미시라이시 미치타카와무라 유키
카와무라 유키노리
나카코지 요시타케
마츠시타 준코
쿠보 사토시
시노다 아키라
12월 4일
stage:11파랑새시시도 준마타노 히로미치야마자키 노리요시12월 11일
stage:12마음시미즈 켄이치야마시로 치에사쿠라이 쿠니히코12월 25일
stage:13슬픔이여, 안녕후지타 신조사야마 키요코쿠즈야 나오유키하라다 미네후미
사키구치 사오리
우에하라 후미야
쿠보 사토시
2015년
1월 8일
stage:14이기적인 유전자요네무라 쇼지사와이 코지시마 켄이치1월 15일
stage:15무언가 길을 찾아오다후지타 신조아오야마 히로시이시다 토오루
카와무라 켄이치
하가 히토시
아시야 코헤이
1월 22일
stage:16행복한 가정요네무라 쇼지산죠 나미미이나바 유키하라다 리에
가이 카쿠토
임승봉
1월 29일
stage:17빈사의 탐정후지타 신조사와이 코지마타노 히로미치야마자키 노리요시2월 5일
stage:18인간 이상요네무라 쇼지사야마 키요코야마시로 치에사쿠라이 쿠니히코2월 12일
stage:19냉혈시미즈 켄이치시라이시 미치타카와무라 유키
마츠시타 준코
나카코지 요시타케
이시이 유미코
키노시타 유미코
2월 19일
stage:20죄와 벌후지타 신조사와이 코지시마 켄이치2월 26일
stage:21성(性)과 성(聖)요네무라 쇼지이시다 토오루아시야 코헤이
하가 히토시
3월 5일
stage:22고요함과 깨어남산죠 나미미쿠즈야 나오유키하라다 미네후미3월 12일
stage:23생(生)과 맹세사토 유조마타노 히로미치야마자키 노리요시3월 19일
final stage기생수사야마 키요코야마시로 치에사쿠라이 쿠니히코3월 26일


6. 3. 영화

2부작으로 구성된 실사 영화 작품으로 제1부 《'''기생수'''》가 2014년에 공개되었고, 제2부 《'''기생수 완결편'''》이 2015년에 공개되었다.[66] 야마자키 타카시가 감독을 맡았으며, 주연 소메타니 쇼타가 신이치를 연기했다. 화면상으로는 CG로 표현되는 미기의 목소리와 퍼포먼스 캡처는 아베 사다오[165]가 담당했고, 그 외 주요 출연진으로는 후카츠 에리, 하시모토 아이 등이 출연했다. 각본은 야마자키와 코사와 료타가 공동으로 담당하여, 원작에 있던 설정을 변경하고 일부 인물을 생략했으며, 시대 설정을 공개 당시의 현대에 맞추는 등 각색이 이루어졌다.

제작에 이르기까지 할리우드뉴 라인 시네마가 영화화 권리를 10년 가까이 보유하고 있었으나,[64] 제작되지 않은 채 계약 기간이 종료되었고, 그 직후부터 일본 국내 수십 개 회사들의 쟁탈전 끝에 도호가 권리를 획득하여 영화화되었다.[66] 제1부 공개 후, 시마다 히데오를 연기한 히가시데 마사히로는 《크로우즈 익스플로드》의 연기와 함께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이시하라 유지로 신인상을 수상했다.[166]

6. 4. 드라마



2022년 8월, 넷플릭스는 한국 드라마 각색 작품 ''기생수: 더 그레이''를 발표했다.[67] 연상호가 연출하고 클라이맥스 스튜디오와 와우 포인트가 제작했으며, 전소니, 구교환, 이정현이 주연을 맡았다.[67] 2024년 4월 5일, 전 세계에 6개의 에피소드가 공개되었다.[68][69]

원작과 달리 완전 오리지널 스토리로, 일본과 마찬가지로 무수한 기생 생물이 한국에 떨어지는 것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하지만, 그 직후 기생 생물이 이벤트 행사장에서 무차별 살상 사건을 일으킨 것으로 인해, 처음부터 정부에 기생 생물의 존재가 알려지고 대책 조직 '그레이'가 설립된 것이 원작과 크게 다른 점이다.

주인공은 슈퍼마켓 점원으로 일하는 20대 여성으로, 범죄자에게 찔려 죽어가던 중 기생 생물에게 기생당한다. 뇌를 빼앗기지 않고 머리 부분이 변형되는 "변이종"으로, 인간에게도 기생 생물에게도 노려지게 된다.

7. 기타

기생 생물은 "기생 부분"과 원래 인간이나 생물의 육체인 "숙주"로 나뉜다. 기생 생물은 인간의 뇌를 빼앗으면 목 이상 부위와 동화되어 전신을 조종하며, 얼굴은 같아도 원래 숙주와는 전혀 다른 인격이 된다.[1] 기생 부분인 머리 전체는 "뇌세포" 상태가 되어[1][2] 뇌, 눈, 촉수, 입 등의 역할을 겸한다.[1]

겉보기에는 일반 인간과 같지만, 머리는 자유자재로 변형되어 고무처럼 늘어나거나 강철처럼 강하게 만들 수 있다.[1][2] 칼날 형태로 공격할 때는 쇠를 자를 정도로 강력하며,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는 완력과 움직임의 민첩함도 뛰어나 일반인의 동체 시력으로는 그 움직임을 포착하기 어렵다. 극중 학자 유이는 기생 세포체의 특징을 "생각하는 근육"이라고 표현한다.[2]

기생체는 통각에 대한 공포심이 없으며,[3] 신체 어느 부분을 공격받아도 아픔을 느끼지 않는다.[4] 다만 감각이 없는 것은 아니며,[3] 생명에 위협이 되는 피해는 인지한다. A는 통증에 약한 인간이나 동물을 "겁쟁이"라고 멸시한다.

인간 세포보다 강력한 성질을 가진 기생체는[5] 제거되거나 흡수되지 않는다. 머리가 잘려도 쉽게 재결합하며, 생명이나 사고력에 영향이 없고, 혈액이 순환하는 인체 내로 들어가면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생 생물"이기에 숙주의 주요 내장 기능이 상실되면 죽는다. 머리가 육체에서 잘리면 미라처럼 급속히 말라 죽는다.

기생체는 숙주의 몸을 신체 능력 한계에 가깝게 장기간 가동시킨다. 유이는 "전신 사령탑 역할을 150%나 해내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분석한다.[2] 작중 시마다는 뛰어난 신체 능력으로 슈퍼 플레이를 선보인다. 그러나 기생 부분 외에는 인간이므로, A는 콘크리트를 맨손으로 쳐서 팔이 부러지고, 타미야 료코는 인간을 한 손으로 던져 어깨가 탈골되는 등, 이성이나 통각이 작동하지 않아 한계를 넘어 부상을 입기도 한다.

미기는 신이치에게 기생한 지 1일 만에 일본어를 마스터하고,[6] 신이치가 모르는 사이 운전을 습득하는 등 학습 능력도 뛰어나다.[6]

기생 생물은 약간의 공격으로는 방어하거나 피해를 입지 않는다. 기생 생물을 죽이려면 숙주의 육체를 공격해야 하지만, 일반인이 무기 없이 싸우는 것은 자살 행위이다. 산탄총으로 지름 7.6mm의 1B탄을 심장에 쏘는 면적 파괴가 유효한 공격 방법으로 고안되었으며,[4] 시청 전투에서 이 방법으로 많은 개체가 처치되었다.

물리적 공격에 강인한 반면, 강산을 뒤집어쓰거나, 독물을 섭취하거나, 불에 타는 등 세포 반응에 오류가 생기는 공격에는 내성이 없어[4] 허점을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Review] Parasyte: The Maxim Complete Collection" https://otakuusamaga[...] 2021-01-22
[2] 서적 Asian Horror Encyclopedia: Asian Horror Culture in Literature, Manga, and Folklore iUniverse
[3] 웹사이트 "Parasyte -the maxim- Blu-Ray - Review" https://www.animenew[...] 2019-12-05
[4] 웹사이트 "Parasyte -the maxim-" http://www.sentaifil[...] Sentai Filmworks 2018-05-27
[5] 웹사이트 "Parasyte GN 6 - Review" https://www.animenew[...] 2021-01-22
[6] 서적 Parasyte Volume 5 Del Rey Manga
[7] 웹사이트 https://mangapedia.c[...] Voyage Group 2023-09-09
[8] 웹사이트 https://kc.kodansha.[...] Kodansha 2024-01-13
[9] 웹사이트 https://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4-01-13
[10] 웹사이트 https://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4-01-13
[11] 간행물 Contents https://order.mandar[...] Kodansha 2024-01-13
[12] 간행물 Contents https://order.mandar[...] Kodansha 2024-01-13
[13] 웹사이트 http://bookclub.koda[...] Kodansha 2023-06-20
[14] 웹사이트 http://bookclub.koda[...] Kodansha 2023-06-20
[15] 웹사이트 http://shop.kodansha[...] Kodansha 2023-06-20
[16] 웹사이트 http://shop.kodansha[...] Kodansha 2023-06-20
[17] 웹사이트 Kodansha Comics Will Reprint Iwaaki's Parasyte Manga https://www.animenew[...] 2014-10-18
[18] 웹사이트 "Mixx Entertainment Collaborations with Central Park Media to Publisher Sailor Moon and Parasyte Comics in the Japanimation Station Section of America Online (AOL)" http://www.mixxonlin[...] Mixx Entertainment 1999-10-22
[19] 웹사이트 Tokyopop Inc. Out of Print Title http://tokyopop.com/[...] Tokyopop
[20] 웹사이트 Comic-Con News Wrap https://www.animenew[...] 2006-07-24
[21]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4-09-25
[22] 웹사이트 "Me and the Devil Blues' Hiramoto to Draw Parasyte 1-Shot" https://www.animenew[...] 2014-08-23
[23]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4-10-31
[24]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4-11-25
[25]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4-12-25
[26] 웹사이트 Mysterious Girlfriend X's Ueshiba Draws Parasyte One-Shot Manga https://www.animenew[...] 2015-04-22
[27]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5-02-25
[28]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5-03-25
[29]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5-04-25
[30] 웹사이트 "Rozen Maiden's Peach-Pit to Draw Parasyte One-Shot Manga" https://www.animenew[...] 2015-04-22
[31] 웹사이트 Fairy Tail's Mashima to Draw Parasyte One-Shot Manga https://www.animenew[...] 2015-07-22
[32]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6-02-25
[33]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6-03-25
[34] 웹사이트 https://kc.kodansha.[...] Kodansha 2020-05-25
[35] 웹사이트 Neo Parasyte m https://www.penguinr[...] Penguin Random House 2020-05-25
[36] 웹사이트 Parasyte Tribute Manga Will Also Run in Aria Magazine for Women https://www.animenew[...] 2014-08-29
[37] 웹사이트 ARIAでも寄生獣!第1弾は厘のミキ&ミキマキ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4-09-26
[38] 웹사이트 中村明日美子が「寄生獣」を描く!ARIAで表紙も執筆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4-11-28
[39] 웹사이트 ARIAの「K」新章は劇場版の後日譚、金田一蓮十郎、カシオらの寄生獣も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4-12-27
[40] 웹사이트 「僕等がいた」の小畑友紀、ARIAの寄生獣トリビュートに登場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5-01-28
[41] 웹사이트 ネオ寄生獣f(1) https://booklive.jp/[...]
[42] 웹사이트 ネオ寄生獣f(2) https://booklive.jp/[...]
[43] 웹사이트 Neo-Parasyte f https://kodanshacomi[...] Kodansha USA
[44] 웹사이트 講談社6誌合同のマンガアプリ「コミックDAYS」が本格始動、アプリ版もリリース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8-03-02
[45] 웹사이트 第76話 そこに還る少年 https://comic-days.c[...] Kodansha 2021-05-07
[46] 웹사이트 C'est fini pour Parasite Reversi https://www.manga-ne[...] 2021-06-24
[47] 웹사이트 Kodansha's K Manga app launches with 60 English simupubs among 400 titles https://soranews24.c[...] 2023-05-10
[48] 웹사이트 Kodansha USA Licenses Parasyte Reversi Manga https://www.animenew[...] 2024-09-25
[49] 웹사이트 North American Anime, Manga Releases, October 6–12 https://www.animenew[...] 2024-10-10
[50] 웹사이트 Hitoshi Iwaaki's Parasyte Sci-Fi Manga Also Gets TV Anime https://www.animenew[...] 2013-11-19
[51] 웹사이트 寄生獣 セイの格率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52] 웹사이트 寄生獣 セイの格率 http://vap.co.jp/kis[...] VAP
[53] 웹사이트 Ad At Anime Expo: Parasyte -the maxim- to Air on Toonami This Fall https://www.animenew[...] 2015-07-02
[54] 웹사이트 Toonami
[55] 웹사이트 Animax Asia Will Simulcast Parasyte -the maxim- TV Anime https://www.animenew[...] 2014-10-04
[56] 웹사이트 Parasyte -the maxim-
[57] 웹사이트 Crunchyroll to Stream "Parasyte -the maxim-" Anime http://www.crunchyro[...] 2014-10-07
[58] 웹사이트 Sentai Filmworks Licenses Parasyte -the Maxim- https://www.animenew[...] 2015-03-06
[59] 웹사이트 MCM Expo Announcements Parasyte, Sidonia, Madoka Movies, Aldnoah.Zero https://www.animenew[...] 2015-05-23
[60] 뉴스 Hanabee Acquires 'Parasyte' Anime Series http://www.fandompos[...] 2016-04-05
[61] 웹사이트 North American Anime, Manga Releases, April 3–9 https://www.animenew[...] 2016-04-05
[62] 웹사이트 North American Anime, Manga Releases, July 3–9 https://www.animenew[...] 2016-07-05
[63] 웹사이트 Anime Limited Release Announcements Include Re:Zero Season 2 Collector's Blu-ray https://www.animenew[...] 2023-10-28
[64] 웹사이트 Horror manga 'Parasyte' gets movie, anime television adaptation http://ajw.asahi.com[...] Asahi Shimbun 2013-11-28
[65] 웹사이트 Jim Henson Studios to produce Parasyte https://www.animenew[...] 2005-09-20
[66] 웹사이트 Hitoshi Iwaaki's Parasyte Sci-Fi Manga Gets 2 Live-Action Films in 2014–2015 https://www.animenew[...] 2013-11-19
[67] 웹사이트 Netflix Greenlights 'Parasyte: The Grey' Series From 'Hellbound' Creator Yeon Sang-ho https://www.hollywoo[...] 2022-08-23
[68] 웹사이트 Korean Live-Action Parasyte Series Premieres on April 5 on Netflix https://www.animenew[...] 2024-02-28
[69] 간행물 Behind the Scenes: Inside the Immersive Universe of 'Parasyte: The Grey' https://about.netfli[...] Netflix 2024-04-09
[70] 웹사이트 Parasyte - 17th Kodansha Manga Award - General category http://www.hahnlibra[...]
[71] 웹사이트 List of Seiun Award Winners http://www.sf-fan.gr[...] Seiun Award 2014-10-04
[72] 웹사이트 テレビ朝日『国民15万人がガチで投票!漫画総選挙』ランキング結果まとめ! 栄えある1位に輝く漫画は!? https://www.animatet[...] Animate 2021-01-03
[73] 웹사이트 寄生獣:テレビアニメ化が決定 実写映画に続き https://mantan-web.j[...] 2013-11-24
[74] 웹사이트 寄生獣 https://afternoon.ko[...] Kodansha 2020-12-25
[75] 웹사이트 寄生獣:韓国ドラマ化 原作と異なる新たな物語 「新感染」ヨン・サンホが監督 Netflixで配信 https://mantan-web.j[...] 2022-08-24
[76] 웹사이트 薦! http://www.waseda.jp[...] Waseda University 2006-04-27
[77]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1) http://www.bookclub.[...] Kodansha
[78] 웹사이트 生命と世界「寄生獣」これも学習マンガだ! https://gakushumanga[...] 2023-02-01
[79] 웹사이트 Parasyte (WideBan) Vol. #01 http://www.mania.com[...] 2007-06-08
[80] 웹사이트 Parasyte -the maxim- Series Review https://manga.tokyo/[...] 2018-04-28
[81] 웹사이트 Crunchyroll Names The Top 100 Anime of the 2010s http://animeuknews.n[...] 2019-11-27
[82] 웹사이트 The Best Anime of the Decade (2010–2019) https://www.ign.com/[...] 2020-01-01
[83] 웹사이트 China bans 38 anime & manga titles including ''Attack on Titan'' http://www.sbs.com.a[...] Special Broadcasting Service 2015-06-12
[84] 웹사이트 染谷将太「寄生獣」新バージョン、中国7000スクリーンで公開決定 http://natalie.mu/ei[...] Natasha, Inc. 2016-08-12
[85] 웹사이트 映画「寄生獣」公開直前に「頭から見せちゃう」 本編を10分以上放送決定 https://animeanime.j[...] イード 2014-11-30
[86] 웹사이트 本のご紹介 寄生獣〈完全版〉(1) http://www.bookclub.[...] 講談社 2011-08-05
[87] 웹사이트 累計2400万部突破! 映像化もされた伝説的大傑作! https://afternoon.ko[...] 2020-09-24
[88] 웹사이트 『寄生獣』はなぜ現代によみがえったのか? 時代を越えた“問い”を考察 https://realsound.jp[...] blueprint 2024-07-08
[89] 웹사이트 寄生獣リバーシ 第1話 そこに還る少年 https://comic-days.c[...] 講談社 2024-07-08
[90] 웹사이트 寄生獣リバーシ 第76話 そこに還る少年 https://comic-days.c[...] 講談社 2024-07-08
[91] 웹사이트 Stage.6 日はまた昇る http://www.kiseiju.j[...] アニメ『寄生獣 セイの格率』公式サイト 2014-11-24
[92] 웹사이트 3・11後の日本だからこそ伝わる映画『寄生獣』の世界観—ヒットメーカー・山崎貴監督 http://www.nippon.co[...] ニッポンドットコム 2015-05-07
[93] 기타 "(岩明さん推薦ベストワン映画はなんでしょうか?という問いに)'''映画というと、それぞれの良さがあってなかなかベスト1に絞れません。ハラハラドキドキの退屈しないのが好きです。最近見た中では「[[터미네이터2]]」。変形するところが「寄生獣」みたいで面白かったです。将来どっちが先だったかわからなくなって寄生獣がこれのマネだと言われたらいやですが。'''」[[아프터눈]]1992年3月号"
[94] URL 早稲田大学週刊広報紙『早稲田ウィークリー』 http://www.waseda.jp[...]
[95] URL 山竹伸二 『16.書評 加藤典洋「「関係の原的負荷」―二〇〇八、「親殺し」の文学」』。 http://yamatake.chu.[...]
[96] 기타 [[週刊少年「」|週刊少年「福本伸行」]]より
[97] 웹사이트 寄生獣 1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98] 웹사이트 寄生獣 2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99] 웹사이트 寄生獣 3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0] 웹사이트 寄生獣 4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1] 웹사이트 寄生獣 5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2] 웹사이트 寄生獣 6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3] 웹사이트 寄生獣 7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4] 웹사이트 寄生獣 8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5] 웹사이트 寄生獣 9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6] 웹사이트 寄生獣 10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7]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1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8]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2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09]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3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0]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4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1]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5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2]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6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3]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7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4] 웹사이트 寄生獣(完全版) 8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5]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1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6]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2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7]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3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8]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4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19]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5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20]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6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21]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7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22]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8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23]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9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24] 웹사이트 新装版 寄生獣 10 https://kc.kodansha.[...] 講談社 2022-11-24
[125]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1)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4-11-18
[126]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2)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4-11-18
[127]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3)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4-11-18
[128]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4)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4-11-18
[129]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5)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4-12-14
[130]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6)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4-12-14
[131]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7)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5-04-25
[132] 웹사이트 書誌情報 文庫版 寄生獣(8) https://bookclub.kod[...] 講談社 2015-04-25
[133] 간행물 日販 コンビニ版コミックス「寄生獣」を全国で販売 http://www.nippan.co[...] 日本出版販売 2014-12-14
[134] 웹사이트 「寄生獣」フルカラー版電子書籍、本日より全10巻で配信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14-11-19
[135] 뉴스 アニメ版「セイの格率」は10月8日スタート 2クール全24話放送へ https://mantan-web.j[...] 毎日新聞デジタル 2014-11-14
[136] 뉴스 寄生獣:話題のアニメ版で平野綾らが会見 新キャストに沢城みゆきら https://mantan-web.j[...] 毎日新聞デジタル 2015-03-30
[137] 뉴스 マンガ発映像化 ヒットを最大化する新セオリー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5-01-12
[138] 인터뷰 アニメ質問状 : 「寄生獣 セイの格率」 プレッシャーで胃痛の日々 https://mantan-web.j[...] 2015-01-12
[139] 웹사이트 「寄生獣 セイの格率」 https://ameblo.jp/ta[...] アメーバブログ 2014-11-13
[140] 문서 テレビアニメ版、第3話で田宮良子が赴任してきた際の校長の紹介による。
[141]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4話における父親(泉一之)の発言による。
[142]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4話で父親(泉一之)がタブレットで読んでいる新聞記事の文面による。
[143]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6話における泉一之の台詞による。
[144] 웹사이트 登場人物 村野 里美 http://www.kiseiju.j[...] アニメ『寄生獣 セイの格率』公式サイト 2014-11-27
[145]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3話。
[146]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8話。
[147]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2話。
[148]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9話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による。
[149]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話。
[150] 웹사이트 OA開始!キャストコメント http://www.kiseiju.j[...] アニメ『寄生獣 セイの格率』公式サイト 2014-10-22
[151] 웹사이트 Stage.9 善悪の彼岸 http://www.kiseiju.j[...] アニメ『寄生獣 セイの格率』公式サイト 2014-11-27
[152]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9話。
[153]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2話。
[154]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5話。
[155] 웹사이트 登場人物 ミツオ http://www.kiseiju.j[...] アニメ『寄生獣 セイの格率』公式サイト 2014-11-23
[156]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5話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による。
[157]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7話。
[158]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4話。
[159]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話、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
[160] 웹사이트 登場人物 B http://www.kiseiju.j[...] アニメ『寄生獣 セイの格率』公式サイト 2014-11-02
[161]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0話。
[162]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5話、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
[163]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7話、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
[164] 기타 テレビアニメ版、第19話。
[165] 뉴스 阿部サダヲ、「寄生獣」でミギーを演じ切り山崎貴監督にどうしても伝えたいこと https://eiga.com/mov[...] 映画.com 2014-11-23
[166] 뉴스 東出「恐れ多い」裕次郎新人賞/映画大賞 https://www.nikkansp[...] 2014-12-04
[167] 뉴스 「寄生獣」dビデオでムービーコミックを配信 アニメ・実写とも異なるキャストを起用 https://animeanime.j[...] アニメ!アニメ!(イード) 2014-11-13
[168] 웹사이트 寄生獣 | スペシャルサイト http://www.takaratom[...] タカラトミーアーツ 2014-11-06
[169] 웹인용 기생수 책소개(완전판) http://www.bookclub.[...] 고단샤 BOOK 글럽 2014-11-05
[170] 웹인용 伝説の漫画「寄生獣」を山崎貴監督が2部作で映画化!染谷将太×深津絵里が参戦 http://eiga.com/news[...] 영화.COM 2014-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