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지역은 34개 선거구에서 치러졌으며, 무소속 후보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선거 결과, 무소속 후보가 21석을 차지하며, 대한청년단 5석, 대한국민당 3석, 민주국민당 2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독립노농당, 중앙불교위원회, 일민구락부가 각각 1석씩을 얻었다. 주요 당선자로는 대구의 조경규, 박성하, 이갑성, 포항의 김판석, 김천의 우문 등이 있으며, 무소속 후보들의 당선은 당시 정당 정치의 취약성과 지역 기반의 선거 경향을 보여준다.

2. 경상북도 선거구

선거구선거구역
대구시 갑 (제1선거구)대구시 동인동1,2,3,4가 교동 태평로1,2가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1가 화전동 북성로1가 향촌동 북성로2가 서동 북내동 대안동 포정동 서문로1,2가 사일동 남일동 종로1,2가 전동 동일동 장관동 동성로3가 상서동 하서동 가동 남성로 계산동1,2가 삼덕동1,2,3가 칠성동1,2가 신암동 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검단동 동성로2가 동문동
대구시 을 (제2선거구)대구시 태평로3가 가창동 도원동 달성동 대신동 동산동 시장북로 서야동 인교동 서성로1,2가 성당동 내당동 비산동 평리동 중리동 상리동 이현동 원대동 노곡동 조야동
대구시 병 (제3선거구)대구시 남산동 덕산동 봉산동 대봉동 신천동 효목동 만촌동 지산동 범물동 두산동 상동 중동 하동 봉덕동 대명동
포항시 (제4선거구)포항시 일원
김천시 (제5선거구)김천시 일원
달성군 (제6선거구)달성군 일원
군위군 (제7선거구)군위군 일원
의성군 갑 (제8선거구)의성군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옥산면
의성군 을 (제9선거구)의성군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동군 갑 (제10선거구)안동군 안동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산면, 풍천면
안동군 을 (제11선거구)안동군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월곡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영양군 (제12선거구)영양군 일원
청송군 (제13선거구)청송군 일원
영덕군 (제14선거구)영덕군 일원
영일군 갑 (제15선거구)영일군 흥해면, 신광면, 곡강면, 청하면, 송라면, 죽장면
영일군 을 (제16선거구)영일군 구룡포읍, 달전면, 연일면, 대송면, 조천면, 동해면, 지행면
경주군 갑 (제17선거구)경주군 경주읍, 감포읍, 내동면, 양남면, 양북면, 외동면
경주군 을 (제18선거구)경주군 안강읍, 내남면, 산내면, 서면, 강동면, 현곡면, 천북면
영천군 갑 (제19선거구)영천군 영천읍, 청통면, 신녕면, 대창면, 금호면
영천군 을 (제20선거구)영천군 자양면, 임고면, 고경면, 북안면, 화산면, 화북면
경산군 (제21선거구)경산군 일원
청도군 (제22선거구)청도군 일원
고령군 (제23선거구)고령군 일원
성주군 (제24선거구)성주군 일원
칠곡군 (제25선거구)칠곡군 일원
금릉군 (제26선거구)금릉군 일원
선산군 (제27선거구)선산군 일원
상주군 갑 (제28선거구)상주군 상주읍, 사벌면, 중동면, 낙동면, 청리면, 공성면, 외남면
상주군 을 (제29선거구)상주군 내서면,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서면, 화북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함창면, 이안면
문경군 (제30선거구)문경군 일원
예천군 (제31선거구)예천군 일원
영주군 (제32선거구)영주군 일원
봉화군 (제33선거구)봉화군 일원
울릉군 (제34선거구)울릉군 일원


2. 1. 대구

선거구선거구역
대구시 갑 (제1선거구)대구시 동인동1,2,3,4가 교동 태평로1,2가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1가 화전동 북성로1가 향촌동 북성로2가 서동 북내동 대안동 포정동 서문로1,2가 사일동 남일동 종로1,2가 전동 동일동 장관동 동성로3가 상서동 하서동 가동 남성로 계산동1,2가 삼덕동1,2,3가 칠성동1,2가 신암동 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검단동 동성로2가 동문동
대구시 을 (제2선거구)대구시 태평로3가 가창동 도원동 달성동 대신동 동산동 시장북로 서야동 인교동 서성로1,2가 성당동 내당동 비산동 평리동 중리동 상리동 이현동 원대동 노곡동 조야동
대구시 병 (제3선거구)대구시 남산동 덕산동 봉산동 대봉동 신천동 효목동 만촌동 지산동 범물동 두산동 상동 중동 하동 봉덕동 대명동



'''대구시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조경규무소속8,33524.00%
서동진무소속6,51218.75%
최희송무소속6,35418.29%
장영모무소속2,4587.07%
최윤동민주국민당2,0525.90%
이응수무소속1,9525.62%
권헌길무소속1,5024.32%
이재영민주국민당1,2653.64%
김한용무소속9252.66%
김성국무소속8292.38%
이병주무소속7412.13%
방한상독로당5011.44%
이팔수무소속4081.17%
엄익재무소속3470.99%
김종열무소속2860.82%
구입본무소속2550.73%
합계34,722표



'''대구시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성하중앙불교위원회8,96727.88%
서상일민주국민당8,92127.74%
손인도대한국민당5,65817.59%
김중학대한국민당3,1669.84%
채수한노농청년연맹2,8548.87%
최영호독로당1,4964.65%
김종원무소속1,0973.41%
합계32,159표



'''대구시 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갑성무소속8,26323.14%
이우줄무소속5,14114.39%
조용기대한노동총연맹4,22211.82%
조태영무소속4,05611.36%
백남채민주국민당2,7797.78%
서병무무소속1,7804.98%
서진수무소속1,3683.83%
전병희무소속1,2633.53%
조병관무소속1,1233.14%
도경훈무소속1,0863.04%
주학진무소속9742.72%
강진국무소속8502.38%
우근호무소속7952.22%
김용한무소속7282.03%
류시태민주국민당4591.28%
최영조무소속4381.22%
박상학무소속3250.91%
서만준무소속530.14%
합계35,703표


2. 2. 포항시

포항시 선거구는 제4선거구로 지정되었으며, 관할 구역은 '''포항시''' 일원이었다.

2. 3. 김천시

선거구선거구역
김천시 (제5선거구)김천시 일원


2. 4. 달성군, 군위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달성군 (제6선거구)달성군 일원
군위군 (제7선거구)군위군 일원


2. 5. 의성군

선거구선거구역
의성군 갑 (제8선거구)의성군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옥산면
의성군 을 (제9선거구)의성군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2. 6. 안동군

선거구관할 구역
안동군 갑 (제10선거구)안동군 안동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산면, 풍천면
안동군 을 (제11선거구)안동군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월곡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2. 7. 영양군, 청송군, 영덕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영양군 (제12선거구)영양군 일원
청송군 (제13선거구)청송군 일원
영덕군 (제14선거구)영덕군 일원


2. 8. 영일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영일군 갑 (제15선거구)영일군 흥해면, 신광면, 곡강면, 청하면, 송라면, 죽장면
영일군 을 (제16선거구)영일군 구룡포읍, 달전면, 연일면, 대송면, 조천면, 동해면, 지행면


2. 9. 경주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경주군 갑 (제17선거구)경주읍, 감포읍, 내동면, 양남면, 양북면, 외동면
경주군 을 (제18선거구)안강읍, 내남면, 산내면, 서면, 강동면, 현곡면, 천북면


2. 10. 영천군

선거구선거구역
영천군 갑 (제19선거구)영천군 영천읍, 청통면, 신녕면, 대창면, 금호면
영천군 을 (제20선거구)영천군 자양면, 임고면, 고경면, 북안면, 화산면, 화북면


2. 11. 경산군, 청도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경산군 (제21선거구)경산군 일원
청도군 (제22선거구)청도군 일원


2. 12. 고령군, 성주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고령군 (제23선거구)고령군 일원
성주군 (제24선거구)성주군 일원


2. 13. 칠곡군, 금릉군, 선산군

선거구 번호선거구 명칭관할 구역
제25선거구칠곡군칠곡군 일원
제26선거구금릉군금릉군 일원
제27선거구선산군선산군 일원


2. 14. 상주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상주군 갑 (제28선거구)상주군 상주읍, 사벌면, 중동면, 낙동면, 청리면, 공성면, 외남면
상주군 을 (제29선거구)상주군 내서면,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서면, 화북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함창면, 이안면


2. 15. 문경군, 예천군

wikitext

선거구선거구역
문경군 (제30선거구)문경군 일원
예천군 (제31선거구)예천군 일원


2. 16. 영주군, 봉화군

선거구선거구역
영주군 (제32선거구)영주군 일원
봉화군 (제33선거구)봉화군 일원


2. 17. 울릉군

울릉군 선거구는 제34선거구로, 관할 구역은 '''울릉군''' 일원이다.

3. 경상북도 선거 결과

'''대구시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조경규무소속8,33524.00%
서동진무소속6,51218.75%
최희송무소속6,35418.29%
장영모무소속2,4587.07%
최윤동민주국민당2,0525.90%
이응수무소속1,9525.62%
권헌길무소속1,5024.32%
이재영민주국민당1,2653.64%
김한용무소속9252.66%
김성국무소속8292.38%
이병주무소속7412.13%
방한상독립노농당5011.44%
이팔수무소속4081.17%
엄익재무소속3470.99%
김종열무소속2860.82%
구입본무소속2550.73%
34,722



'''대구시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성하중앙불교위원회8,96727.88%
서상일민주국민당8,92127.74%
손인도대한국민당5,65817.59%
김중학대한국민당3,1669.84%
채수한노농청년연맹2,8548.87%
최영호독립노농당1,4964.65%
김종원무소속1,0973.41%
32,159



'''대구시 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갑성무소속8,26323.14%
이우줄무소속5,14114.39%
조용기대한노동총연맹4,22211.82%
조태영무소속4,05611.36%
백남채민주국민당2,7797.78%
서병무무소속1,7804.98%
서진수무소속1,3683.83%
전병희무소속1,2633.53%
조병관무소속1,1233.14%
도경훈무소속1,0863.04%
주학진무소속9742.72%
강진국무소속8502.38%
우근호무소속7952.22%
김용한무소속7282.03%
류시태민주국민당4591.28%
최영조무소속4381.22%
박상학무소속3250.91%
서만준무소속530.14%
35,703



'''포항시'''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판석대한청년단3,15716.83%
강주석무소속2,67114.24%
박순석무소속2,46513.14%
배수인무소속1,90510.15%
김일조대한노동총연맹1,7179.15%
최이봉무소속1,3917.41%
최준봉무소속9705.17%
변석화무소속9575.10%
이병곤무소속9094.84%
김민돈대한청년단8074.30%
박동주대한독립촉성국민회7564.03%
백홍기무소속7534.01%
황갑이무소속2961.57%
18,754



'''김천시'''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우문대한국민당8,17648.57%
정열모대한국민당2,94317.48%
이병관무소속2,80416.66%
권태희무소속1,99411.84%
이돈근무소속9135.42%
16,830



'''달성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권오훈무소속8,17216.92%
김찬기무소속5,02110.40%
박노익유도회4,3469.00%
이인세대한국민당3,3466.93%
양기식무소속3,0816.38%
김우식조선민주당3,0776.37%
이정우무소속3,0336.28%
배동갑민주국민당2,5595.30%
조기승무소속2,0914.33%
박성현대한청년단2,0744.29%
유근수대한청년단1,8253.78%
김명조무소속1,6373.39%
강문휘조선민주당1,4482.99%
박황무소속1,3842.86%
허체무소속1,3842.86%
구자연무소속1,2262.53%
김박영무소속1,1472.37%
김두권무소속1,0622.20%
김우만무소속3580.74%
48,271



'''군위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만원무소속3,93914.62%
이순무소속2,6609.87%
하공환무소속2,4969.26%
홍일흠무소속2,3398.68%
이상택무소속1,8706.94%
장간환무소속1,7036.32%
박두인민주국민당1,6866.26%
김휘필민주국민당1,5715.83%
천서봉무소속1,4375.33%
이원호무소속1,1984.44%
최두경무소속1,1204.15%
은두기무소속1,0794.00%
이태룡무소속1,0233.79%
정대린무소속8733.24%
유세형무소속7862.91%
문명호무소속5452.02%
이영우무소속4711.74%
박천우무소속1300.48%
26,926



'''의성군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영출대한국민당5,16814.40%
김규만대한청년단4,77613.31%
신기훈무소속4,50112.54%
박노수정경연구회4,13311.51%
오기수대한청년단3,99511.13%
박대환무소속3,3849.43%
오윤근민주국민당2,5507.10%
김돈무소속1,8025.02%
정우일대한국민당1,5424.29%
신홍기무소속1,3143.66%
권중수대한청년단1,0402.89%
김충한무소속8302.31%
유정훈무소속6201.72%
오동근무소속2270.63%
35,882



'''의성군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권병노무소속6,12618.03%
김진항무소속5,43115.98%
박영교무소속5,18115.25%
정운수무소속4,92114.48%
박석홍독립노농당4,21212.40%
김제우무소속3,45610.17%
이철희무소속2,7778.17%
오상환무소속1,1363.34%
김응도민주국민당7272.14%
33,967



'''안동군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시현민주국민당9,50823.67%
권중순무소속8,42620.97%
윤필영대한청년단5,52013.74%
강철희대한국민당5,36413.35%
윤태혁대한청년단5,10512.71%
박종완무소속1,6394.08%
오성무소속1,5773.92%
김태룡무소속1,5023.73%
권오연무소속1,0622.64%
이령독립노농당4601.14%
40,163



'''안동군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익기독립노농당13,06643.13%
유림독립노농당9,43831.15%
정휘양대한청년단3,39711.21%
김중희대한국민당2,6678.80%
김두화독립노농당1,7245.69%
30,292



'''영양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조헌영무소속10,14059.62%
이갑호무소속4,79028.16%
권영우민주국민당2,07612.20%
17,006



'''청송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봉조무소속6,19723.54%
윤용구대한청년단4,44516.88%
조강소대한독립촉성국민회3,69514.03%
권용준무소속3,68013.98%
황세영무소속2,82210.72%
윤병덕무소속1,9767.50%
신수대무소속1,8667.09%
심선열무소속1,6376.22%
26,318



'''영덕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한국원무소속7,18420.67%
김영수무소속6,15517.71%
박치호무소속5,81316.72%
김중한민주국민당4,41212.69%
오택열대한독립촉성국민회4,07511.72%
박상호민주국민당2,3126.65%
김응조무소속2,3076.63%
김구연제일동포거류민단1,4894.28%
서호무소속9992.87%
34,746



'''영일군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원수무소속7,97022.78%
이은우무소속6,28517.96%
최태능무소속6,21817.77%
최홍준대한청년단4,45712.74%
박권조무소속4,35012.43%
김용규무소속2,0875.96%
이홍규무소속2,0575.88%
김두수무소속1,5564.44%
34,980



'''영일군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익노무소속6,98820.80%
하태환무소속6,10018.16%
서연순무소속5,33415.88%
최장수대한청년단5,20915.50%
김헌수무소속4,43113.19%
장도수무소속2,8738.55%
박광윤무소속1,4994.46%
정원영무소속1,1513.42%
33,585



'''경주군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안용대무소속12,72031.51%
최현순대한독립촉성국민회7,52118.63%
김영락무소속4,38810.87%
김철일민구락부2,8297.00%
허목무소속2,7856.90%
박수생대한독립촉성국민회2,5026.19%
강학부무소속1,8724.63%
김종선대한독립촉성국민회1,8184.50%
김주향무소속1,7594.35%
최병량무소속1,0322.55%
임진규무소속8612.13%
이승태무소속2730.67%
40,360



'''경주군 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협우대한청년단7,82516.60%
이대곤무소속4,6969.96%
김재섭대한국민당4,6709.90%
박래승대한국민당3,9238.32%
한상진민주국민당3,8708.21%
손석호대한독립촉성국민회3,3827.17%
최범수민주국민당3,2376.86%
정병한무소속2,3214.92%
이석관무소속2,1974.66%
손학익일민구락부2,0634.37%
최식무소속1,9984.23%
박화준대한독립촉성국민회1,7603.73%
최상호민주국민당1,5393.26%
이석일민구락부1,4763.13%
김병준민주국민당1,2112.56%
정진구무소속9582.03%
47,126



'''영천군 갑'''

{| class="wikitable"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중돈''' || 무소속 || 7,239 || 25.12%

|-

| 최효향 || 무소속 || 5,318 || 18.46%

|-

| 김상도 || 무소속 || 4,573 || 15.87%

|-

|

3. 1. 정당별 당선자 현황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은 총 34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선거 결과, 특정 정당 소속 후보보다는 무소속 후보가 압도적으로 많이 당선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당시 신생 대한민국의 정당 정치가 아직 뿌리내리지 못했고, 유권자들이 정당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투표하는 경향이 강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승만 정부와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반영된 결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경상북도 지역의 정당별 당선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정당당선자 수주요 당선자
무소속21명조경규(대구 갑), 이갑성(대구 병), 권오훈(달성), 박만원(군위), 권병노(의성 을), 조헌영(영양), 김봉조(청송), 한국원(영덕), 최원수(영일 갑), 김익노(영일 을), 안용대(경주 갑), 권중돈(영천 갑), 조규설(영천 을), 방만수(경산), 김준태(청도), 배상연(성주), 장택상(칠곡), 여영복(금릉), 박성우(상주 갑), 양재하(문경), 정문흠(봉화)
대한청년단4명김판석(포항), 이협우(경주 을), 이호근(예천), 김정식(영주)
대한국민당3명우문(김천), 박영출(의성 갑), 육홍균(선산)
민주국민당2명김시현(안동 갑), 곽태진(고령)
중앙불교위원회1명박성하(대구 을)
독립노농당1명김익기(안동 을)
대한독립촉성국민회1명백남식(상주 을)
일민구락부1명서이환(울릉)



선거 결과를 보면, 전체 34석 중 21석을 무소속 후보가 차지하여 과반을 훌쩍 넘는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이는 당시 유권자들이 특정 정당의 이념이나 정책보다는 후보 개인의 인지도나 지역 기반에 더 큰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특히 장택상(칠곡)과 같이 거물급 정치인도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하는 세력이 중심이 된 대한국민당은 3석을 얻는 데 그쳤고,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일민구락부는 각각 1석씩을 확보하는 등 여권 성향 정당들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는 제1공화국 초기 정부 운영에 대한 민심 이반의 결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반면, 대한청년단은 4석을 확보하며 비교적 선전했고, 야당 성격의 민주국민당은 2석을 얻었다. 그 외 중앙불교위원회, 독립노농당 등 소수 정당 및 단체 소속 후보들이 각각 1석씩을 차지했다.

결론적으로 제2대 총선 당시 경상북도 지역은 무소속 후보들의 돌풍이 두드러졌으며, 이는 정당 정치의 미성숙과 함께 기존 정치 세력에 대한 유권자들의 평가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3. 2. 주요 정당 및 후보 분석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은 총 34개의 선거구에서 치러졌으며, 당시 복잡했던 정치 상황을 반영하듯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들과 특히 무소속 후보들이 난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신생 독립국가의 정당 정치가 아직 뿌리내리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승만 정부 초기 정치에 대한 지역 민심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드러내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특정 정당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 못했으며,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는 특징을 보였다. 총 34명의 당선자 중 절반이 넘는 21명이 무소속 간판으로 당선되었다. 이는 중앙 정치의 이념 대립보다는 지역 기반을 둔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이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주요 무소속 당선자로는 대구시 갑조경규, 대구시 병이갑성, 달성군권오훈, 칠곡군장택상 등이 있다. 특히 장택상 후보는 58.65%라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어 개인적 영향력을 과시했다.

주요 정당들의 성과를 살펴보면, 당시 제1야당 격이었던 민주국민당안동군 갑김시현고령군곽태진 등 2명의 당선자를 배출하는 데 그쳤으나, 여러 선거구에서 2위 또는 상위권 득표를 기록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김시현 후보는 독립운동가로서의 명망을 바탕으로 당선되었고, 곽태진 후보는 41.29%의 비교적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하는 세력이 중심이 된 대한국민당김천시우문, 의성군 갑박영출, 선산군육홍균 등 3명의 당선자를 확보했다. 우문 후보는 48.57%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민주국민당이나 무소속 후보들에게 밀리는 경향을 보이며 여당으로서의 지지 기반이 견고하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대한청년단포항시김판석, 경주군 을이협우, 예천군이호근, 영주군김정식 등 4명의 당선자를 배출하며 무소속 다음으로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이는 청년단 조직의 영향력이 선거에 상당 부분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이승만 정부의 또 다른 외곽 지지 세력으로 평가받는 일민구락부울릉군서이환 후보 1명만이 당선되어 상대적으로 미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 외에 중앙불교위원회 소속의 박성하(대구시 을), 독립노농당 소속의 김익기(안동군 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백남식(상주군 을) 등 다양한 군소 정당 및 사회단체 소속 후보들이 당선되기도 했다. 이는 당시 정치 세력이 매우 분화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경상북도에서의 제2대 총선 결과는 무소속 후보들의 압도적인 강세와 함께, 민주국민당, 대한국민당, 대한청년단 등 주요 정치 세력들이 각축을 벌이는 양상을 띠었다. 이는 중앙 정치 구도와는 별개로 지역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신생 정당들의 난립 속에서 유권자들이 특정 정당보다는 인물 자체에 대한 지지를 보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선거구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대구시 갑 (제1선거구)무소속조경규8,33524.00%
대구시 을 (제2선거구)중앙불교위원회박성하8,96727.88%
대구시 병 (제3선거구)무소속이갑성8,26323.14%
포항시 (제4선거구)대한청년단김판석3,15716.83%
김천시 (제5선거구)대한국민당우문8,17648.57%
달성군 (제6선거구)무소속권오훈8,17216.92%
군위군 (제7선거구)무소속박만원3,93914.62%
의성군 갑 (제8선거구)대한국민당박영출5,16814.40%
의성군 을 (제9선거구)무소속권병노6,12618.03%
안동군 갑 (제10선거구)민주국민당김시현9,50823.67%
안동군 을 (제11선거구)독립노농당김익기13,06643.13%
영양군 (제12선거구)무소속조헌영10,14059.62%
청송군 (제13선거구)무소속김봉조6,19723.54%
영덕군 (제14선거구)무소속한국원7,18420.67%
영일군 갑 (제15선거구)무소속최원수7,97022.78%
영일군 을 (제16선거구)무소속김익노6,98820.80%
경주군 갑 (제17선거구)무소속안용대12,72031.51%
경주군 을 (제18선거구)대한청년단이협우7,82516.60%
영천군 갑 (제19선거구)무소속권중돈7,23925.12%
영천군 을 (제20선거구)무소속조규설11,03936.06%
경산군 (제21선거구)무소속방만수11,95425.16%
청도군 (제22선거구)무소속김준태8,05019.77%
고령군 (제23선거구)민주국민당곽태진10,45641.29%
성주군 (제24선거구)무소속배상연4,91611.93%
칠곡군 (제25선거구)무소속장택상21,40758.65%
금릉군 (제26선거구)무소속여영복9,90519.19%
선산군 (제27선거구)대한국민당육홍균8,72422.69%
상주군 갑 (제28선거구)무소속박성우11,63827.39%
상주군 을 (제29선거구)대한독립촉성국민회백남식7,01517.11%
문경군 (제30선거구)무소속양재하6,82415.91%
예천군 (제31선거구)대한청년단이호근7,92814.62%
영주군 (제32선거구)대한청년단김정식10,28923.34%
봉화군 (제33선거구)무소속정문흠13,53039.77%
울릉군 (제34선거구)일민구락부서이환2,22038.58%


3. 3. 주요 인물 분석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은 총 34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특정 정당의 압도적인 우세 없이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당시 이승만 정부 초기 정치 구도 하에서 유권자들이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이나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주요 당선 인물들의 면면은 다음과 같다.
대구시 및 주요 도시:

  • 대구시 갑에서는 무소속 조경규 후보가 24.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대구시 을에서는 중앙불교위원회 소속의 박성하 후보가 27.88%를 얻어 당선, 종교계 인사가 원내에 진출하는 사례를 남겼다.
  • 대구시 병에서는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자 독립운동가 출신인 무소속 이갑성 후보가 23.1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의 당선은 독립운동 세력의 정치 참여라는 의미를 지닌다.
  • 포항시에서는 대한청년단 소속 김판석 후보가 16.83%라는 비교적 낮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대한청년단은 당시 관변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 김천시에서는 대한국민당 소속 우문 후보가 48.57%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경상북도 각 군 지역:
종합:경상북도 지역의 제2대 총선 결과는 무소속 후보들의 대거 당선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는 이승만 정부 초기 정치 구도 하에서 유권자들이 기존 정당보다는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을 보였거나,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가 분산되었음을 시사한다. 독립운동가 출신 인사들의 당선은 해방 이후 새로운 국가 건설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한편, 장택상과 같이 논란이 있는 인물의 높은 득표율은 당시 정치의 복잡한 단면을 보여준다.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의 국회 진출은 이후 정국 운영에 복잡성을 더하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다수의 무소속 당선자들은 이후 정계 개편 과정에서 다양한 정치 세력에 합류하거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며 한국 정치사의 흐름에 영향을 주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