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지역은 34개 선거구에서 치러졌으며, 무소속 후보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선거 결과, 무소속 후보가 21석을 차지하며, 대한청년단 5석, 대한국민당 3석, 민주국민당 2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독립노농당, 중앙불교위원회, 일민구락부가 각각 1석씩을 얻었다. 주요 당선자로는 대구의 조경규, 박성하, 이갑성, 포항의 김판석, 김천의 우문 등이 있으며, 무소속 후보들의 당선은 당시 정당 정치의 취약성과 지역 기반의 선거 경향을 보여준다.
2. 경상북도 선거구
선거구 선거구역 대구시 갑 (제1선거구) 대구시 동인동1,2,3,4가 교동 태평로1,2가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1가 화전동 북성로1가 향촌동 북성로2가 서동 북내동 대안동 포정동 서문로1,2가 사일동 남일동 종로1,2가 전동 동일동 장관동 동성로3가 상서동 하서동 가동 남성로 계산동1,2가 삼덕동1,2,3가 칠성동1,2가 신암동 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검단동 동성로2가 동문동 대구시 을 (제2선거구) 대구시 태평로3가 가창동 도원동 달성동 대신동 동산동 시장북로 서야동 인교동 서성로1,2가 성당동 내당동 비산동 평리동 중리동 상리동 이현동 원대동 노곡동 조야동 대구시 병 (제3선거구) 대구시 남산동 덕산동 봉산동 대봉동 신천동 효목동 만촌동 지산동 범물동 두산동 상동 중동 하동 봉덕동 대명동 포항시 (제4선거구) 포항시 일원 김천시 (제5선거구) 김천시 일원 달성군 (제6선거구) 달성군 일원 군위군 (제7선거구) 군위군 일원 의성군 갑 (제8선거구) 의성군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옥산면 의성군 을 (제9선거구) 의성군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동군 갑 (제10선거구) 안동군 안동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산면, 풍천면 안동군 을 (제11선거구) 안동군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월곡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영양군 (제12선거구) 영양군 일원 청송군 (제13선거구) 청송군 일원 영덕군 (제14선거구) 영덕군 일원 영일군 갑 (제15선거구) 영일군 흥해면, 신광면, 곡강면, 청하면, 송라면, 죽장면 영일군 을 (제16선거구) 영일군 구룡포읍, 달전면, 연일면, 대송면, 조천면, 동해면, 지행면 경주군 갑 (제17선거구) 경주군 경주읍, 감포읍, 내동면, 양남면, 양북면, 외동면 경주군 을 (제18선거구) 경주군 안강읍, 내남면, 산내면, 서면, 강동면, 현곡면, 천북면 영천군 갑 (제19선거구) 영천군 영천읍, 청통면, 신녕면, 대창면, 금호면 영천군 을 (제20선거구) 영천군 자양면, 임고면, 고경면, 북안면, 화산면, 화북면 경산군 (제21선거구) 경산군 일원 청도군 (제22선거구) 청도군 일원 고령군 (제23선거구) 고령군 일원 성주군 (제24선거구) 성주군 일원 칠곡군 (제25선거구) 칠곡군 일원 금릉군 (제26선거구) 금릉군 일원 선산군 (제27선거구) 선산군 일원 상주군 갑 (제28선거구) 상주군 상주읍, 사벌면, 중동면, 낙동면, 청리면, 공성면, 외남면 상주군 을 (제29선거구) 상주군 내서면,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서면, 화북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함창면, 이안면 문경군 (제30선거구) 문경군 일원 예천군 (제31선거구) 예천군 일원 영주군 (제32선거구) 영주군 일원 봉화군 (제33선거구) 봉화군 일원 울릉군 (제34선거구) 울릉군 일원
2. 1. 대구
선거구 | 선거구역 |
---|---|
대구시 갑 (제1선거구) | 대구시 동인동1,2,3,4가 교동 태평로1,2가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1가 화전동 북성로1가 향촌동 북성로2가 서동 북내동 대안동 포정동 서문로1,2가 사일동 남일동 종로1,2가 전동 동일동 장관동 동성로3가 상서동 하서동 가동 남성로 계산동1,2가 삼덕동1,2,3가 칠성동1,2가 신암동 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검단동 동성로2가 동문동 |
대구시 을 (제2선거구) | 대구시 태평로3가 가창동 도원동 달성동 대신동 동산동 시장북로 서야동 인교동 서성로1,2가 성당동 내당동 비산동 평리동 중리동 상리동 이현동 원대동 노곡동 조야동 |
대구시 병 (제3선거구) | 대구시 남산동 덕산동 봉산동 대봉동 신천동 효목동 만촌동 지산동 범물동 두산동 상동 중동 하동 봉덕동 대명동 |
'''대구시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경규 | 무소속 | 8,335 | 24.00% |
서동진 | 무소속 | 6,512 | 18.75% |
최희송 | 무소속 | 6,354 | 18.29% |
장영모 | 무소속 | 2,458 | 7.07% |
최윤동 | 민주국민당 | 2,052 | 5.90% |
이응수 | 무소속 | 1,952 | 5.62% |
권헌길 | 무소속 | 1,502 | 4.32% |
이재영 | 민주국민당 | 1,265 | 3.64% |
김한용 | 무소속 | 925 | 2.66% |
김성국 | 무소속 | 829 | 2.38% |
이병주 | 무소속 | 741 | 2.13% |
방한상 | 독로당 | 501 | 1.44% |
이팔수 | 무소속 | 408 | 1.17% |
엄익재 | 무소속 | 347 | 0.99% |
김종열 | 무소속 | 286 | 0.82% |
구입본 | 무소속 | 255 | 0.73% |
합계 | 34,722표 |
'''대구시 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성하 | 중앙불교위원회 | 8,967 | 27.88% |
서상일 | 민주국민당 | 8,921 | 27.74% |
손인도 | 대한국민당 | 5,658 | 17.59% |
김중학 | 대한국민당 | 3,166 | 9.84% |
채수한 | 노농청년연맹 | 2,854 | 8.87% |
최영호 | 독로당 | 1,496 | 4.65% |
김종원 | 무소속 | 1,097 | 3.41% |
합계 | 32,159표 |
'''대구시 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갑성 | 무소속 | 8,263 | 23.14% |
이우줄 | 무소속 | 5,141 | 14.39% |
조용기 | 대한노동총연맹 | 4,222 | 11.82% |
조태영 | 무소속 | 4,056 | 11.36% |
백남채 | 민주국민당 | 2,779 | 7.78% |
서병무 | 무소속 | 1,780 | 4.98% |
서진수 | 무소속 | 1,368 | 3.83% |
전병희 | 무소속 | 1,263 | 3.53% |
조병관 | 무소속 | 1,123 | 3.14% |
도경훈 | 무소속 | 1,086 | 3.04% |
주학진 | 무소속 | 974 | 2.72% |
강진국 | 무소속 | 850 | 2.38% |
우근호 | 무소속 | 795 | 2.22% |
김용한 | 무소속 | 728 | 2.03% |
류시태 | 민주국민당 | 459 | 1.28% |
최영조 | 무소속 | 438 | 1.22% |
박상학 | 무소속 | 325 | 0.91% |
서만준 | 무소속 | 53 | 0.14% |
합계 | 35,703표 |
2. 2. 포항시
포항시 선거구는 제4선거구로 지정되었으며, 관할 구역은 '''포항시''' 일원이었다.2. 3. 김천시
2. 4. 달성군, 군위군
wikitext
2. 5. 의성군
선거구 | 선거구역 |
---|---|
의성군 갑 (제8선거구) | 의성군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옥산면 |
의성군 을 (제9선거구) | 의성군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
2. 6. 안동군
선거구 | 관할 구역 |
---|---|
안동군 갑 (제10선거구) | 안동군 안동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산면, 풍천면 |
안동군 을 (제11선거구) | 안동군 일직면, 남후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월곡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
2. 7. 영양군, 청송군, 영덕군
wikitext
2. 8. 영일군
wikitext선거구 | 선거구역 |
---|---|
영일군 갑 (제15선거구) | 영일군 흥해면, 신광면, 곡강면, 청하면, 송라면, 죽장면 |
영일군 을 (제16선거구) | 영일군 구룡포읍, 달전면, 연일면, 대송면, 조천면, 동해면, 지행면 |
2. 9. 경주군
wikitext
2. 10. 영천군
2. 11. 경산군, 청도군
wikitext
2. 12. 고령군, 성주군
wikitext
2. 13. 칠곡군, 금릉군, 선산군
2. 14. 상주군
wikitext선거구 | 선거구역 |
---|---|
상주군 갑 (제28선거구) | 상주군 상주읍, 사벌면, 중동면, 낙동면, 청리면, 공성면, 외남면 |
상주군 을 (제29선거구) | 상주군 내서면, 모동면, 모서면, 화동면, 화서면, 화북면, 외서면, 은척면, 공검면, 함창면, 이안면 |
2. 15. 문경군, 예천군
wikitext
2. 16. 영주군, 봉화군
2. 17. 울릉군
울릉군 선거구는 제34선거구로, 관할 구역은 '''울릉군''' 일원이다.3. 경상북도 선거 결과
'''대구시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경규 | 무소속 | 8,335 | 24.00% |
서동진 | 무소속 | 6,512 | 18.75% |
최희송 | 무소속 | 6,354 | 18.29% |
장영모 | 무소속 | 2,458 | 7.07% |
최윤동 | 민주국민당 | 2,052 | 5.90% |
이응수 | 무소속 | 1,952 | 5.62% |
권헌길 | 무소속 | 1,502 | 4.32% |
이재영 | 민주국민당 | 1,265 | 3.64% |
김한용 | 무소속 | 925 | 2.66% |
김성국 | 무소속 | 829 | 2.38% |
이병주 | 무소속 | 741 | 2.13% |
방한상 | 독립노농당 | 501 | 1.44% |
이팔수 | 무소속 | 408 | 1.17% |
엄익재 | 무소속 | 347 | 0.99% |
김종열 | 무소속 | 286 | 0.82% |
구입본 | 무소속 | 255 | 0.73% |
계 | 34,722 |
'''대구시 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성하 | 중앙불교위원회 | 8,967 | 27.88% |
서상일 | 민주국민당 | 8,921 | 27.74% |
손인도 | 대한국민당 | 5,658 | 17.59% |
김중학 | 대한국민당 | 3,166 | 9.84% |
채수한 | 노농청년연맹 | 2,854 | 8.87% |
최영호 | 독립노농당 | 1,496 | 4.65% |
김종원 | 무소속 | 1,097 | 3.41% |
계 | 32,159 |
'''대구시 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갑성 | 무소속 | 8,263 | 23.14% |
이우줄 | 무소속 | 5,141 | 14.39% |
조용기 | 대한노동총연맹 | 4,222 | 11.82% |
조태영 | 무소속 | 4,056 | 11.36% |
백남채 | 민주국민당 | 2,779 | 7.78% |
서병무 | 무소속 | 1,780 | 4.98% |
서진수 | 무소속 | 1,368 | 3.83% |
전병희 | 무소속 | 1,263 | 3.53% |
조병관 | 무소속 | 1,123 | 3.14% |
도경훈 | 무소속 | 1,086 | 3.04% |
주학진 | 무소속 | 974 | 2.72% |
강진국 | 무소속 | 850 | 2.38% |
우근호 | 무소속 | 795 | 2.22% |
김용한 | 무소속 | 728 | 2.03% |
류시태 | 민주국민당 | 459 | 1.28% |
최영조 | 무소속 | 438 | 1.22% |
박상학 | 무소속 | 325 | 0.91% |
서만준 | 무소속 | 53 | 0.14% |
계 | 35,703 |
'''포항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판석 | 대한청년단 | 3,157 | 16.83% |
강주석 | 무소속 | 2,671 | 14.24% |
박순석 | 무소속 | 2,465 | 13.14% |
배수인 | 무소속 | 1,905 | 10.15% |
김일조 | 대한노동총연맹 | 1,717 | 9.15% |
최이봉 | 무소속 | 1,391 | 7.41% |
최준봉 | 무소속 | 970 | 5.17% |
변석화 | 무소속 | 957 | 5.10% |
이병곤 | 무소속 | 909 | 4.84% |
김민돈 | 대한청년단 | 807 | 4.30% |
박동주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756 | 4.03% |
백홍기 | 무소속 | 753 | 4.01% |
황갑이 | 무소속 | 296 | 1.57% |
계 | 18,754 |
'''김천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우문 | 대한국민당 | 8,176 | 48.57% |
정열모 | 대한국민당 | 2,943 | 17.48% |
이병관 | 무소속 | 2,804 | 16.66% |
권태희 | 무소속 | 1,994 | 11.84% |
이돈근 | 무소속 | 913 | 5.42% |
계 | 16,830 |
'''달성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오훈 | 무소속 | 8,172 | 16.92% |
김찬기 | 무소속 | 5,021 | 10.40% |
박노익 | 유도회 | 4,346 | 9.00% |
이인세 | 대한국민당 | 3,346 | 6.93% |
양기식 | 무소속 | 3,081 | 6.38% |
김우식 | 조선민주당 | 3,077 | 6.37% |
이정우 | 무소속 | 3,033 | 6.28% |
배동갑 | 민주국민당 | 2,559 | 5.30% |
조기승 | 무소속 | 2,091 | 4.33% |
박성현 | 대한청년단 | 2,074 | 4.29% |
유근수 | 대한청년단 | 1,825 | 3.78% |
김명조 | 무소속 | 1,637 | 3.39% |
강문휘 | 조선민주당 | 1,448 | 2.99% |
박황 | 무소속 | 1,384 | 2.86% |
허체 | 무소속 | 1,384 | 2.86% |
구자연 | 무소속 | 1,226 | 2.53% |
김박영 | 무소속 | 1,147 | 2.37% |
김두권 | 무소속 | 1,062 | 2.20% |
김우만 | 무소속 | 358 | 0.74% |
계 | 48,271 |
'''군위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만원 | 무소속 | 3,939 | 14.62% |
이순 | 무소속 | 2,660 | 9.87% |
하공환 | 무소속 | 2,496 | 9.26% |
홍일흠 | 무소속 | 2,339 | 8.68% |
이상택 | 무소속 | 1,870 | 6.94% |
장간환 | 무소속 | 1,703 | 6.32% |
박두인 | 민주국민당 | 1,686 | 6.26% |
김휘필 | 민주국민당 | 1,571 | 5.83% |
천서봉 | 무소속 | 1,437 | 5.33% |
이원호 | 무소속 | 1,198 | 4.44% |
최두경 | 무소속 | 1,120 | 4.15% |
은두기 | 무소속 | 1,079 | 4.00% |
이태룡 | 무소속 | 1,023 | 3.79% |
정대린 | 무소속 | 873 | 3.24% |
유세형 | 무소속 | 786 | 2.91% |
문명호 | 무소속 | 545 | 2.02% |
이영우 | 무소속 | 471 | 1.74% |
박천우 | 무소속 | 130 | 0.48% |
계 | 26,926 |
'''의성군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영출 | 대한국민당 | 5,168 | 14.40% |
김규만 | 대한청년단 | 4,776 | 13.31% |
신기훈 | 무소속 | 4,501 | 12.54% |
박노수 | 정경연구회 | 4,133 | 11.51% |
오기수 | 대한청년단 | 3,995 | 11.13% |
박대환 | 무소속 | 3,384 | 9.43% |
오윤근 | 민주국민당 | 2,550 | 7.10% |
김돈 | 무소속 | 1,802 | 5.02% |
정우일 | 대한국민당 | 1,542 | 4.29% |
신홍기 | 무소속 | 1,314 | 3.66% |
권중수 | 대한청년단 | 1,040 | 2.89% |
김충한 | 무소속 | 830 | 2.31% |
유정훈 | 무소속 | 620 | 1.72% |
오동근 | 무소속 | 227 | 0.63% |
계 | 35,882 |
'''의성군 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병노 | 무소속 | 6,126 | 18.03% |
김진항 | 무소속 | 5,431 | 15.98% |
박영교 | 무소속 | 5,181 | 15.25% |
정운수 | 무소속 | 4,921 | 14.48% |
박석홍 | 독립노농당 | 4,212 | 12.40% |
김제우 | 무소속 | 3,456 | 10.17% |
이철희 | 무소속 | 2,777 | 8.17% |
오상환 | 무소속 | 1,136 | 3.34% |
김응도 | 민주국민당 | 727 | 2.14% |
계 | 33,967 |
'''안동군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시현 | 민주국민당 | 9,508 | 23.67% |
권중순 | 무소속 | 8,426 | 20.97% |
윤필영 | 대한청년단 | 5,520 | 13.74% |
강철희 | 대한국민당 | 5,364 | 13.35% |
윤태혁 | 대한청년단 | 5,105 | 12.71% |
박종완 | 무소속 | 1,639 | 4.08% |
오성 | 무소속 | 1,577 | 3.92% |
김태룡 | 무소속 | 1,502 | 3.73% |
권오연 | 무소속 | 1,062 | 2.64% |
이령 | 독립노농당 | 460 | 1.14% |
계 | 40,163 |
'''안동군 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익기 | 독립노농당 | 13,066 | 43.13% |
유림 | 독립노농당 | 9,438 | 31.15% |
정휘양 | 대한청년단 | 3,397 | 11.21% |
김중희 | 대한국민당 | 2,667 | 8.80% |
김두화 | 독립노농당 | 1,724 | 5.69% |
계 | 30,292 |
'''영양군'''
'''청송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봉조 | 무소속 | 6,197 | 23.54% |
윤용구 | 대한청년단 | 4,445 | 16.88% |
조강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695 | 14.03% |
권용준 | 무소속 | 3,680 | 13.98% |
황세영 | 무소속 | 2,822 | 10.72% |
윤병덕 | 무소속 | 1,976 | 7.50% |
신수대 | 무소속 | 1,866 | 7.09% |
심선열 | 무소속 | 1,637 | 6.22% |
계 | 26,318 |
'''영덕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한국원 | 무소속 | 7,184 | 20.67% |
김영수 | 무소속 | 6,155 | 17.71% |
박치호 | 무소속 | 5,813 | 16.72% |
김중한 | 민주국민당 | 4,412 | 12.69% |
오택열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075 | 11.72% |
박상호 | 민주국민당 | 2,312 | 6.65% |
김응조 | 무소속 | 2,307 | 6.63% |
김구연 | 제일동포거류민단 | 1,489 | 4.28% |
서호 | 무소속 | 999 | 2.87% |
계 | 34,746 |
'''영일군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원수 | 무소속 | 7,970 | 22.78% |
이은우 | 무소속 | 6,285 | 17.96% |
최태능 | 무소속 | 6,218 | 17.77% |
최홍준 | 대한청년단 | 4,457 | 12.74% |
박권조 | 무소속 | 4,350 | 12.43% |
김용규 | 무소속 | 2,087 | 5.96% |
이홍규 | 무소속 | 2,057 | 5.88% |
김두수 | 무소속 | 1,556 | 4.44% |
계 | 34,980 |
'''영일군 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익노 | 무소속 | 6,988 | 20.80% |
하태환 | 무소속 | 6,100 | 18.16% |
서연순 | 무소속 | 5,334 | 15.88% |
최장수 | 대한청년단 | 5,209 | 15.50% |
김헌수 | 무소속 | 4,431 | 13.19% |
장도수 | 무소속 | 2,873 | 8.55% |
박광윤 | 무소속 | 1,499 | 4.46% |
정원영 | 무소속 | 1,151 | 3.42% |
계 | 33,585 |
'''경주군 갑'''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안용대 | 무소속 | 12,720 | 31.51% |
최현순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7,521 | 18.63% |
김영락 | 무소속 | 4,388 | 10.87% |
김철 | 일민구락부 | 2,829 | 7.00% |
허목 | 무소속 | 2,785 | 6.90% |
박수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502 | 6.19% |
강학부 | 무소속 | 1,872 | 4.63% |
김종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818 | 4.50% |
김주향 | 무소속 | 1,759 | 4.35% |
최병량 | 무소속 | 1,032 | 2.55% |
임진규 | 무소속 | 861 | 2.13% |
이승태 | 무소속 | 273 | 0.67% |
계 | 40,360 |
'''경주군 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협우 | 대한청년단 | 7,825 | 16.60% |
이대곤 | 무소속 | 4,696 | 9.96% |
김재섭 | 대한국민당 | 4,670 | 9.90% |
박래승 | 대한국민당 | 3,923 | 8.32% |
한상진 | 민주국민당 | 3,870 | 8.21% |
손석호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382 | 7.17% |
최범수 | 민주국민당 | 3,237 | 6.86% |
정병한 | 무소속 | 2,321 | 4.92% |
이석관 | 무소속 | 2,197 | 4.66% |
손학익 | 일민구락부 | 2,063 | 4.37% |
최식 | 무소속 | 1,998 | 4.23% |
박화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760 | 3.73% |
최상호 | 민주국민당 | 1,539 | 3.26% |
이석 | 일민구락부 | 1,476 | 3.13% |
김병준 | 민주국민당 | 1,211 | 2.56% |
정진구 | 무소속 | 958 | 2.03% |
계 | 47,126 |
'''영천군 갑'''
{| class="wikitable"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중돈''' || 무소속 || 7,239 || 25.12%
|-
| 최효향 || 무소속 || 5,318 || 18.46%
|-
| 김상도 || 무소속 || 4,573 || 15.87%
|-
|
3. 1. 정당별 당선자 현황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은 총 34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선거 결과, 특정 정당 소속 후보보다는 무소속 후보가 압도적으로 많이 당선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당시 신생 대한민국의 정당 정치가 아직 뿌리내리지 못했고, 유권자들이 정당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투표하는 경향이 강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승만 정부와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반영된 결과로도 해석될 수 있다.경상북도 지역의 정당별 당선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정당 | 당선자 수 | 주요 당선자 |
---|---|---|
무소속 | 21명 | 조경규(대구 갑), 이갑성(대구 병), 권오훈(달성), 박만원(군위), 권병노(의성 을), 조헌영(영양), 김봉조(청송), 한국원(영덕), 최원수(영일 갑), 김익노(영일 을), 안용대(경주 갑), 권중돈(영천 갑), 조규설(영천 을), 방만수(경산), 김준태(청도), 배상연(성주), 장택상(칠곡), 여영복(금릉), 박성우(상주 갑), 양재하(문경), 정문흠(봉화) |
대한청년단 | 4명 | 김판석(포항), 이협우(경주 을), 이호근(예천), 김정식(영주) |
대한국민당 | 3명 | 우문(김천), 박영출(의성 갑), 육홍균(선산) |
민주국민당 | 2명 | 김시현(안동 갑), 곽태진(고령) |
중앙불교위원회 | 1명 | 박성하(대구 을) |
독립노농당 | 1명 | 김익기(안동 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명 | 백남식(상주 을) |
일민구락부 | 1명 | 서이환(울릉) |
선거 결과를 보면, 전체 34석 중 21석을 무소속 후보가 차지하여 과반을 훌쩍 넘는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이는 당시 유권자들이 특정 정당의 이념이나 정책보다는 후보 개인의 인지도나 지역 기반에 더 큰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특히 장택상(칠곡)과 같이 거물급 정치인도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하는 세력이 중심이 된 대한국민당은 3석을 얻는 데 그쳤고,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일민구락부는 각각 1석씩을 확보하는 등 여권 성향 정당들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는 제1공화국 초기 정부 운영에 대한 민심 이반의 결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반면, 대한청년단은 4석을 확보하며 비교적 선전했고, 야당 성격의 민주국민당은 2석을 얻었다. 그 외 중앙불교위원회, 독립노농당 등 소수 정당 및 단체 소속 후보들이 각각 1석씩을 차지했다.
결론적으로 제2대 총선 당시 경상북도 지역은 무소속 후보들의 돌풍이 두드러졌으며, 이는 정당 정치의 미성숙과 함께 기존 정치 세력에 대한 유권자들의 평가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3. 2. 주요 정당 및 후보 분석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은 총 34개의 선거구에서 치러졌으며, 당시 복잡했던 정치 상황을 반영하듯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들과 특히 무소속 후보들이 난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신생 독립국가의 정당 정치가 아직 뿌리내리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승만 정부 초기 정치에 대한 지역 민심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드러내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경상북도 지역에서는 특정 정당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 못했으며,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는 특징을 보였다. 총 34명의 당선자 중 절반이 넘는 21명이 무소속 간판으로 당선되었다. 이는 중앙 정치의 이념 대립보다는 지역 기반을 둔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이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주요 무소속 당선자로는 대구시 갑의 조경규, 대구시 병의 이갑성, 달성군의 권오훈, 칠곡군의 장택상 등이 있다. 특히 장택상 후보는 58.65%라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어 개인적 영향력을 과시했다.
주요 정당들의 성과를 살펴보면, 당시 제1야당 격이었던 민주국민당은 안동군 갑의 김시현과 고령군의 곽태진 등 2명의 당선자를 배출하는 데 그쳤으나, 여러 선거구에서 2위 또는 상위권 득표를 기록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김시현 후보는 독립운동가로서의 명망을 바탕으로 당선되었고, 곽태진 후보는 41.29%의 비교적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하는 세력이 중심이 된 대한국민당은 김천시의 우문, 의성군 갑의 박영출, 선산군의 육홍균 등 3명의 당선자를 확보했다. 우문 후보는 48.57%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민주국민당이나 무소속 후보들에게 밀리는 경향을 보이며 여당으로서의 지지 기반이 견고하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대한청년단은 포항시의 김판석, 경주군 을의 이협우, 예천군의 이호근, 영주군의 김정식 등 4명의 당선자를 배출하며 무소속 다음으로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이는 청년단 조직의 영향력이 선거에 상당 부분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이승만 정부의 또 다른 외곽 지지 세력으로 평가받는 일민구락부는 울릉군의 서이환 후보 1명만이 당선되어 상대적으로 미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 외에 중앙불교위원회 소속의 박성하(대구시 을), 독립노농당 소속의 김익기(안동군 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백남식(상주군 을) 등 다양한 군소 정당 및 사회단체 소속 후보들이 당선되기도 했다. 이는 당시 정치 세력이 매우 분화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경상북도에서의 제2대 총선 결과는 무소속 후보들의 압도적인 강세와 함께, 민주국민당, 대한국민당, 대한청년단 등 주요 정치 세력들이 각축을 벌이는 양상을 띠었다. 이는 중앙 정치 구도와는 별개로 지역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신생 정당들의 난립 속에서 유권자들이 특정 정당보다는 인물 자체에 대한 지지를 보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대구시 갑 (제1선거구) | 무소속 | 조경규 | 8,335 | 24.00% |
대구시 을 (제2선거구) | 중앙불교위원회 | 박성하 | 8,967 | 27.88% |
대구시 병 (제3선거구) | 무소속 | 이갑성 | 8,263 | 23.14% |
포항시 (제4선거구) | 대한청년단 | 김판석 | 3,157 | 16.83% |
김천시 (제5선거구) | 대한국민당 | 우문 | 8,176 | 48.57% |
달성군 (제6선거구) | 무소속 | 권오훈 | 8,172 | 16.92% |
군위군 (제7선거구) | 무소속 | 박만원 | 3,939 | 14.62% |
의성군 갑 (제8선거구) | 대한국민당 | 박영출 | 5,168 | 14.40% |
의성군 을 (제9선거구) | 무소속 | 권병노 | 6,126 | 18.03% |
안동군 갑 (제10선거구) | 민주국민당 | 김시현 | 9,508 | 23.67% |
안동군 을 (제11선거구) | 독립노농당 | 김익기 | 13,066 | 43.13% |
영양군 (제12선거구) | 무소속 | 조헌영 | 10,140 | 59.62% |
청송군 (제13선거구) | 무소속 | 김봉조 | 6,197 | 23.54% |
영덕군 (제14선거구) | 무소속 | 한국원 | 7,184 | 20.67% |
영일군 갑 (제15선거구) | 무소속 | 최원수 | 7,970 | 22.78% |
영일군 을 (제16선거구) | 무소속 | 김익노 | 6,988 | 20.80% |
경주군 갑 (제17선거구) | 무소속 | 안용대 | 12,720 | 31.51% |
경주군 을 (제18선거구) | 대한청년단 | 이협우 | 7,825 | 16.60% |
영천군 갑 (제19선거구) | 무소속 | 권중돈 | 7,239 | 25.12% |
영천군 을 (제20선거구) | 무소속 | 조규설 | 11,039 | 36.06% |
경산군 (제21선거구) | 무소속 | 방만수 | 11,954 | 25.16% |
청도군 (제22선거구) | 무소속 | 김준태 | 8,050 | 19.77% |
고령군 (제23선거구) | 민주국민당 | 곽태진 | 10,456 | 41.29% |
성주군 (제24선거구) | 무소속 | 배상연 | 4,916 | 11.93% |
칠곡군 (제25선거구) | 무소속 | 장택상 | 21,407 | 58.65% |
금릉군 (제26선거구) | 무소속 | 여영복 | 9,905 | 19.19% |
선산군 (제27선거구) | 대한국민당 | 육홍균 | 8,724 | 22.69% |
상주군 갑 (제28선거구) | 무소속 | 박성우 | 11,638 | 27.39% |
상주군 을 (제29선거구)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백남식 | 7,015 | 17.11% |
문경군 (제30선거구) | 무소속 | 양재하 | 6,824 | 15.91% |
예천군 (제31선거구) | 대한청년단 | 이호근 | 7,928 | 14.62% |
영주군 (제32선거구) | 대한청년단 | 김정식 | 10,289 | 23.34% |
봉화군 (제33선거구) | 무소속 | 정문흠 | 13,530 | 39.77% |
울릉군 (제34선거구) | 일민구락부 | 서이환 | 2,220 | 38.58% |
3. 3. 주요 인물 분석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은 총 34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특정 정당의 압도적인 우세 없이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당시 이승만 정부 초기 정치 구도 하에서 유권자들이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이나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주요 당선 인물들의 면면은 다음과 같다.대구시 및 주요 도시:
- 대구시 갑에서는 무소속 조경규 후보가 24.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대구시 을에서는 중앙불교위원회 소속의 박성하 후보가 27.88%를 얻어 당선, 종교계 인사가 원내에 진출하는 사례를 남겼다.
- 대구시 병에서는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자 독립운동가 출신인 무소속 이갑성 후보가 23.1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의 당선은 독립운동 세력의 정치 참여라는 의미를 지닌다.
- 포항시에서는 대한청년단 소속 김판석 후보가 16.83%라는 비교적 낮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대한청년단은 당시 관변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 김천시에서는 대한국민당 소속 우문 후보가 48.57%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경상북도 각 군 지역:
- 달성군에서는 무소속 권오훈 후보가 16.9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군위군에서는 무소속 박만원 후보가 14.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의성군 갑에서는 대한국민당 소속 박영출 후보가 14.40%로, 의성군 을에서는 무소속 권병노 후보가 18.03%로 각각 당선되었다.
- 안동군 갑에서는 민주국민당 소속의 독립운동가 김시현 후보가 23.67%로 당선되어 야당 인사의 원내 진출을 알렸다. 이는 당시 정부 여당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 안동군 을에서는 독립노농당 소속 김익기 후보가 43.13%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독립노농당은 당시 진보적 색채를 띤 정당으로, 그의 당선은 지역 유권자들의 다양한 정치적 요구를 반영한다.
- 영양군에서는 독립운동가이자 한의학자인 무소속 조헌영 후보가 59.62%라는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되었다. 그의 높은 득표율은 독립운동 경력에 대한 지역 사회의 존경과 지지를 보여준다.
- 청송군에서는 무소속 김봉조 후보가 23.54%로 당선되었다.
- 영덕군에서는 무소속 한국원 후보가 20.67%로 당선되었다.
- 영일군 갑에서는 무소속 최원수 후보가 22.78%로, 영일군 을에서는 무소속 김익노 후보가 20.80%로 각각 당선되었다.
- 경주군 갑에서는 무소속 안용대 후보가 31.51%로, 경주군 을에서는 대한청년단 소속 이협우 후보가 16.60%로 각각 당선되었다.
- 영천군 갑에서는 무소속 권중돈 후보가 25.12%로, 영천군 을에서는 무소속 조규설 후보가 36.06%로 각각 당선되었다.
- 경산군에서는 무소속 방만수 후보가 25.16%로 당선되었다.
- 청도군에서는 무소속 김준태 후보가 19.77%로 당선되었다.
- 고령군에서는 민주국민당 소속 곽태진 후보가 41.29%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성주군에서는 무소속 배상연 후보가 11.93%라는 매우 낮은 득표율로 신승하였다. 이는 후보 난립으로 인한 표 분산의 결과로 보인다.
- 칠곡군에서는 무소속 장택상 후보가 58.65%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장택상은 수도경찰청장과 외무장관 등을 역임한 거물급 정치인이었으나, 친일 논란과 해방 정국에서의 여러 활동으로 인해 비판적인 평가가 뒤따르는 인물이다. 그의 압도적 당선은 탄탄한 지역 기반과 정치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 정치 상황의 복잡성을 드러낸다.
- 금릉군에서는 무소속 여영복 후보가 19.19%로 당선되었다.
- 선산군에서는 대한국민당 소속 육홍균 후보가 22.69%로 당선되었다.
- 상주군 갑에서는 무소속 박성우 후보가 27.39%로, 상주군 을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백남식 후보가 17.11%로 각각 당선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이승만 대통령의 주요 지지 기반 중 하나였다.
- 문경군에서는 무소속 양재하 후보가 15.91%로 당선되었다.
- 예천군에서는 대한청년단 소속 이호근 후보가 14.62%로 당선되었다.
- 영주군에서는 대한청년단 소속 김정식 후보가 23.34%로 당선되었다.
- 봉화군에서는 무소속 정문흠 후보가 39.77%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울릉군에서는 일민구락부 소속 서이환 후보가 38.58%로 당선되었다. 일민구락부는 당시 친여 성향의 원내 교섭단체였다.
종합:경상북도 지역의 제2대 총선 결과는 무소속 후보들의 대거 당선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는 이승만 정부 초기 정치 구도 하에서 유권자들이 기존 정당보다는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을 보였거나,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가 분산되었음을 시사한다. 독립운동가 출신 인사들의 당선은 해방 이후 새로운 국가 건설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한편, 장택상과 같이 논란이 있는 인물의 높은 득표율은 당시 정치의 복잡한 단면을 보여준다.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의 국회 진출은 이후 정국 운영에 복잡성을 더하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다수의 무소속 당선자들은 이후 정계 개편 과정에서 다양한 정치 세력에 합류하거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며 한국 정치사의 흐름에 영향을 주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