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보니아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보니아 현은 1713년 러시아 제국에 의해 설립되어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이후 에스토니아 현으로 분할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다. 스웨덴령 리보니아를 러시아가 니스타드 조약을 통해 할양받은 후 설치되었으며, 발트 귀족에 의해 자율적으로 관리되었다. 19세기 말까지 농노 해방, 행정 구역 개편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점령, 에스토니아 자치현 형성 등을 거쳐 해체되었다. 리보니아 현은 지리적으로 다양한 지형과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었으며, 농업, 어업, 임업 등이 주요 산업이었다. 또한,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트비아어, 에스토니아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루터교가 가장 큰 종교였다. 리보니아 현은 법률, 사법, 교육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우편, 철도, 항만 등의 사회 기반 시설을 갖추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지리사 - 압레네 지역
    압레네 지역은 한국 사회의 산업화, 민주화, 지방 분권과 관련된 지역으로 정부 주도 개발과 수출 주도형 성장을 통해 발전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문제점에 직면해 있으며 민주당 지지율이 높고 수출 중심 성장 전략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진다.
  • 라트비아의 지리사 - 피탈로보
    피탈로보는 러시아 프스코프주에 위치한 도시이자 피탈로보군의 행정 중심지로, 철도 교통의 요충지이며 러시아와 라트갈레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민족지학 박물관과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티플리스현
    티플리스현은 1846년 러시아 제국이 조지아-이메레티 주를 해체하면서 설립된 행정 구역으로,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우예즈드와 오크루그로 재편되었고, 조지아 민주 공화국 존속 후 조지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며 해체되어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라이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바사주
    바사 주는 1634년에 설립되어 1997년에 폐지된 핀란드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오스트로보트니아 주에서 분리되었고 중앙수오미 주가 분리되는 등 변화를 거쳐 서핀란드 주 등으로 통합되었다.
리보니아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리보니아 현
로마자 표기Liflyandskaya guberniya
현지 이름러시아어: Лифляндская губерния
독일어: Livländisches Gouvernement
라트비아어: Vidzemes guberņa
에스토니아어: Liivimaa kubermang
위치러시아 제국
리보니아 현의 기
리보니아 현의 문장 (1856년)
문장 (1856년)
러시아 제국 내 리보니아 현 위치 (1914년)
러시아 제국 내 위치 (1914년)
수도리가
설립1796년
소멸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1918년)
지리
면적47,030.87km²
최고 고도318m
최고 지점수르 무나매기
인구
인구 (1897년)1,299,36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농촌 인구 비율70.69%
도시 인구 비율29.31%

2. 역사

1783년 리가와 레발 리에우테넌시의 지도


리보니아현의 비공식 국기


리보니아현은 1710년 에스토니아와 리보니아의 항복 이후 1713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리가현(Рижская губерния|리가 구베르니야ru)이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1721년 니스타드 조약으로 스웨덴령 리보니아가 러시아에 할양되었고, 1722년 도르파트 군(Tartumaa|타르투마et)이 리가 현에 추가되었다.

1726년 스몰렌스크현이 분리되고 리가, 벤덴, 도르파트, 페르나우, 외젤 5개 지방이 남았다. 1783년 슐로크 군이 추가되었고,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리가 부왕령으로 개편되었다. 1796년 제3차 폴란드 분할 이후 리보니아 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세기 후반까지 리보니아 현은 Landtag|리보니아 의회de를 통해 지역 독일 발트 귀족에 의해 자율적으로 관리되었다.[2] 1816년 알렉산드르 1세에 의해 리보니아 농노 해방이 이루어졌다.[3]

1917년 2월 혁명 이후 북부는 에스토니아 현과 결합하여 에스토니아 자치현이 되었고, 9월에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2월, 소비에트 러시아는 다우가프필스, 루자, 레제크네 군을 비테프스크 현에서 분리하여 이스콜라트 통제하의 비제메와 통합했다.

1918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이후 지방 의회(Baltische Landesrat|발트 지방 의회de)는 발트 지방을 독일 보호령으로 만들 것을 요청했다.[4]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베를린 협정에서 에스토니아 자치현과 리보니아 현의 상실을 인정했다.

발트 연합 공국은 1918년 9월 22일 빌헬름 2세에 의해 명목상 주권 국가로 인정받았다. 11월 5일, 아돌프 필라르 폰 필차우 남작이 이끄는 임시 섭정 위원회(Regentschaftsrat|섭정 위원회de)가 형성되었다.

2. 1. 설립 배경

1710년 에스토니아와 리보니아의 항복 이후, 러시아 제국의 표트르 대제는 1713년 7월 28일 리가현(Рижская губерния|리가 구베르니야ru)을 창설했다.[2] 이 지역에는 스몰렌스크현의 스몰렌스크 우예즈드, 도로고부시 우예즈드, 로슬라블 우예즈드 및 뱌지마 우예즈드가 포함되었다. 1726년 스몰렌스크 현은 리가 현에서 분리되었다.

스웨덴은 1721년 니스타드 조약을 통해 스웨덴령 리보니아를 러시아에 공식적으로 할양했다.[2] 1722년 도르파트 군(Tartumaa|타르투마et)이 리가 현에 추가되었다.

2. 2. 러시아 제국 시기

1721년 니스타드 조약을 통해 스웨덴은 스웨덴령 리보니아를 러시아에 공식적으로 할양했다. 1722년 도르파트 군(Tartumaa|타르투마et)이 리가현에 추가되었다. 1726년 스몰렌스크현이 리가 현에서 분리되었고, 리가, 벤덴, 도르파트, 페르나우, 외젤의 5개 지방이 리가 현에 남았다. 1783년에는 슐로크 군이 추가되었다.[2]

1783년 7월 3일, 예카테리나 2세는 행정 개편을 통해 리가 현을 리가 부왕령으로 변경하였다. 1796년 제3차 폴란드 분할 이후에야 이 영토는 리보니아 현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2]

19세기 후반까지 리보니아 현은 러시아 법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지 않고, Landtag|리보니아 의회de를 통해 지역 발트 독일 귀족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관리되었다.[2] 이들은 자신들의 특권과 독일어 사용 유지를 주장했다. 1816년에는 알렉산드르 1세에 의해 리보니아 농노 해방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러시아 제국 전체의 농노 해방 계획의 전조로 여겨진다.[3]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해체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이후, 리보니아 현의 북부는 에스토니아 현과 결합하여 새로운 에스토니아 자치현을 형성하였다.[2] 1917년 9월, 리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3] 같은 해 12월 14일, 소비에트 러시아의 볼셰비키 정부는 다우가프필스, 루자, 레제크네 군을 비테프스크 현에서 분리하여 당시 볼셰비키 이스콜라트의 통제하에 있던 비제메와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1918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이후, 발트 독일인 35명, 에스토니아인 13명, 라트비아인 11명으로 구성된 지방 의회(Vereinigter Landesratde)는 독일 황제에게 발트 지방을 군주국으로 인정하고 독일 보호령으로 만들 것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4] 같은 해 8월 27일 베를린에서 체결된 협정에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은 에스토니아 자치현과 리보니아 현의 상실을 인정했다.

발트 연합 공국은 1918년 9월 22일 빌헬름 2세에 의해 명목상 주권 국가로 인정받았다. 같은 해 11월 5일, 남작 아돌프 필라르 폰 필차우가 이끄는 새로운 국가의 임시 섭정 위원회(Regentschaftsratde)가 지역 토지 의회의 공동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3. 지리

이 현은 비교적 직사각형 모양으로, 최대 길이는 262km, 너비는 211km였다. 북쪽으로는 에스토니아 현, 동쪽으로는 페이푸스 호와 프스코프 호를 연결하는 해협, 남쪽으로는 프스코프 현과 비테프스크 현, 서쪽으로는 쿠를란트 현과 리가 만이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서쪽 국경(해안선)의 길이는 299km이다. 리보니아 현의 면적은 (스트렐비츠키에 따르면) 47030.87km2이다.[5]

리보니아 현과 섬은 지질학적으로 실루리아기, 데본기, 현대의 홍적세에 속한다.

3. 1. 지형

이 현은 비교적 직사각형 모양으로, 북쪽으로는 에스토니아 현, 동쪽으로는 페이푸스 호와 프스코프 호를 잇는 해협, 남쪽으로는 프스코프 현과 비테프스크 현, 서쪽으로는 쿠를란트 현과 리가 만에 접해 있었다.

리보니아 현과 섬은 실루리아기, 데본기, 홍적세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루리아기는 현 최북단과 섬에 분포하며, 백운암, 마사토, 석회암,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 북부 중간 부분은 실루리아기 중층에 속한다. 나머지 지역은 홍적세 퇴적물 아래 데본기 석회암, 백운암, 석고를 포함한 점토, 마사토, 사암, 모래가 분포한다. 데본기 사암층은 동굴로 유명하며, 현 중부 대부분을 차지한다. 현 남부 지역은 백운암, 석회암, 석고를 포함한 점토와 마사토로 구성된 데본기 중층이 분포한다. 제데 강[5], 압제 강, 오구레 강 사이에서 서부 드비나 강까지는 사암, 모래, 점토, 마사토로 구성된 데본기 상층이 분포하며, 어류 화석이 많이 발견된다. 해안 지형과 표면을 덮고 있는 부유석은 홍적세에 속하며, 석회질 응회암, 이탄질 마사토, 습지 철광석, 결정질 암석(편마암, 화강암, 시에나이트, 다이오라이트, 반암) 등이 있다.

에스토니아 고원 지대의 연장선은 리보니아 현에서 높이 최대 121m의 넓은 고원을 형성하며, 중앙부는 비르츠-에르브 저지대에 가려진다. 가장자리에서는 펠린 분기와 추드스키 호수 사이의 분수령을 형성하는 동부 분기로 나뉜다. 펠린 분기는 높이 133m에 달하며, 동쪽으로 아 강, 남쪽으로 렘살까지 뻗어 렘살 고원을 형성한다. 여기에는 라트비아인들이 존경하는 "푸른 산"이 있다. 동부 분기는 엠바흐 강에 의해 절단되며, 남쪽은 오덴페 고원이라 불린다. 아랄 근처에는 문나-메기 산(최대 244m)이 있다. 리보니아 현에서 가장 높은 고원인 강고프는 베로 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마리엔부르크 호수로 내려가며, 남서쪽 지맥은 피에발가 고원과 연결된다. 강고프 고원 북부에는 동유럽 평원에서 가장 높은 지점 중 하나인 문나-메기 산(높이 323m)이 있고, 근처에 벨라-메기(228m)가 있다. 강고프 고원은 남동쪽으로 악마의 산을 지나 프스코반드 비테브스크 현까지 이어진다.

피에발가 고지는 수백 개의 호수로 덮여 있으며, 가장 높은 지점은 가이싱-칼른 산(312m)이다. 시굴다, 투라이다, 크리물다 근처의 가우야 강 경사면과 젤부르크와 코크네세 근처의 서부 드비나 강둑은 특히 아름답다. 이 지역에는 많은 성 유적이 있다. 피에발가 고지에는 가우야 강과 서부 드비나 강의 발원지가 있다. 숲, 초원, 이탄 습지로 덮인 리보니아 현의 풍요로운 관개 저지대는 페이푸스 호수, 비르츠-에르바 호수, 페르노브스코예 호수 주변, 리가 만 연안, 페르나바 강과 살리스 강 유역, 아 강과 자파드나야 드비나 강 하류에 있다. 이 저지대는 북쪽으로 에스토니아 현, 남쪽으로 쿠를란트 현으로 이어진다. 리가 만 해안에는 모래 언덕이 있으며, 가장 큰 곳은 구트만스바흐 근처로 높이가 129m이다. 현 동부 저지대는 늪이 많다. 비르츠-예르브 저지대는 북쪽으로 확장되고, 남쪽으로 좁아지며, 테라스와 같은 고지대를 분리한다. 현 동쪽과 남동쪽의 언덕은 깊은 곳에 주요 강과 시내의 발원지를 가진다. 에스토니아 현의 주요 섬인 에젤과 문은 에스토니아 현과 연결되어 지형이 유사하다. 평평한 언덕이 두 섬을 통과하고, 북쪽 경사면 해안은 갑자기 바다 위로 끊어져 글린트를 형성한다. 문 섬은 에젤 섬처럼 많은 작은 섬으로 둘러싸여 있다.

3. 2. 수자원

리가 만이 현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325개의 강이 현 전체에 걸쳐 흐르고 있다. 호수는 1,000여 개에 달하며, 이 중 절반 이상이 벤덴 군에 있다. 동쪽의 페이푸스 호는 리보니아 현을 117km 이상 씻어내고 있다. 현의 중심에는 비르츠예르브 호가 있고, 그 외에도 부르트네크 호수, 루반 호수, 마리엔부르크 호수 등이 있다. 이러한 호수들은 현재까지는 어업 외에 상업적, 산업적으로 중요하지 않지만, 수로 시스템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리가 만에는 두 개의 주요 항구가 있는데, 서부 드비나 강 어귀의 리가 항과 페르나바 강 어귀의 페르나바 항이다. 이 항구들은 대형 선박이 접근할 수 있지만, 모래톱과 좁고 굴곡진 항로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리보니아 섬 해안의 발트 해에는 작은 항구들이 많지만, 얕은 물과 암초, 여울 때문에 불편하며, 아렌스부르크를 제외하면 더 나은 정박지가 없다.

리가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주요 강으로는 페르나바 강(나바스트 강, 할리스트 강, 레이오 강이 지류), 살리스 강(루이엔 강과 제데 강이 흘러듦), 스벤트-우페 강 등이 있다. 리가 아 강은 숲에만 떠다니며 봄에 현 남부 대부분을 관개한다. 서부 드비나 강은 에브스타 합류 지점부터 리가 항이 형성하는 어귀까지 147km 동안 리보니아 현에 속하며, 대 에바흐 강이 비르츠예르브 호를 페이푸스 호와 연결한다.

3. 3. 토양 및 식생

리보니아 현의 토양은 일반적으로 모래, 점토, 석회암, 백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옥도가 낮은 편이다. 흑토는 특정 지역에서만 나타난다. 저지대에서는 토양이 초원과 이끼 늪으로 변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탄 늪으로 변한다.[5]

주요 산림 수종은 가문비나무, 소나무(선박용 숲의 크기에 달함), 자작나무, 오리나무, 물푸레나무, 참나무, 버드나무이다. 과거에는 참나무 숲이 현을 지배했음을 증명하는 거대한 크기의 참나무들이 보존되어 있다. 현재 참나무 숲은 몇몇 장소에서만 보존되어 있다. 현재 리보니아 현에서는 산림 관리 및 보존 작업이 모든 곳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인공적인 산림 재배도 발전하고 있다. 국유림의 임업은 특히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210000ha 면적을 차지한다.

리보니아 현 전체 면적의 3분의 1은 저지대로 덮여 있다. 저지대 초원 늪지(독일어: Wiesenmoor, 에스토니아어: Soo, 리투아니아어: Purr)는 여름에만 통과할 수 있으며, 페이푸스 호와 리가 만을 따라 뻗어 있고, 페르나바 강, 엠바추 강, 드비나 강 등을 따라 뻗어 있다. 늪지대 초원(Sumpfwiesen)은 주로 현 북부에서 강을 따라 흐르고 있다. 이끼 늪(Hochmoor)(독일어, 에스토니아어 Hochmoor, 에스토니아어 Rabba, 리투아니아어 Tirrul), 즉 이탄 늪은 주로 리가 및 페르노바 군, 그리고 페발가 고지의 남서쪽 경사면의 우울증과 구덩이에서 발견된다. 매년 늪을 배수하면 늪이 차지하는 공간이 크게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늪은 대부분 황무지이고 이끼가 많으며 약 360000ha, 즉 현 전체 면적의 1/10을 차지한다.

4. 행정 구역

1710년 에스토니아와 리보니아의 항복 이후, 표트르 대제는 1713년 7월 28일 리가현()을 창설했다. 1721년 니스타드 조약을 통해 스웨덴은 스웨덴령 리보니아를 러시아에 공식적으로 할양했다. 1722년 도르파트 군()이 리가 현에 추가되었다. 1726년 스몰렌스크현이 분리되었고, 리가, 벤덴, 도르파트, 페르나우, 외젤의 5개 지방이 리가 현에 속하게 되었다. 1783년 슐로크 군이 추가되었다. 1783년 7월 3일 예카테리나 2세는 리가 현을 리가 부왕령으로 개편했다. 1796년 제3차 폴란드 분할 이후에야 이 영토는 리보니아 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세기 후반까지 리보니아 현은 러시아 법에 따라 통치되지 않고 봉건적인 Landtag|란트타크de (Vidzemes landtāgs|리보니아 의회lv)를 통해 지역 독일 발트 귀족에 의해 자율적으로 관리되었다.[2] 1816년 알렉산드르 1세에 의해 리보니아 농노 해방이 이루어졌다.[3]

1917년 9월, 리가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17년 12월 14일, 소비에트 러시아의 볼셰비키 정부는 다우가프필스, 루자, 레제크네 군을 비테프스크 현에서 분리하여 당시 볼셰비키 이스콜라트의 통제하에 있던 비제메와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1918년 4월 12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이후, 발트 독일인 35명, 에스토니아인 13명, 라트비아인 11명으로 구성된 지방 의회(Vereinigter Landesratde)는 독일 황제에게 발트 지방을 군주국으로 인정하고 독일 보호령으로 만들 것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4] 1918년 8월 27일 베를린에서 체결된 협정에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은 에스토니아 자치현과 리보니아 현의 상실을 인정했다.

발트 연합 공국은 1918년 9월 22일 빌헬름 2세에 의해 명목상 주권 국가로 인정받았다. 1918년 11월 5일, 아돌프 필라르 폰 필차우 남작이 이끄는 새로운 국가의 임시 섭정 위원회(Regentschaftsratde)가 지역 토지 의회의 공동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4. 1. 변천사

1917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 정부는 1917년 3월 30일에 "에스틀란트 자치에 관한" 선언을 발표했는데, 이에 따라 리보니아 현이 분할되었다. 에스토니아인 인구(도르파트, 페르나우, 펠린, 베로 및 외젤) 및 발크 군의 에스토니아인이 거주하는 읍은 모두 5개의 북부 군(Kreis|크라이스de)으로 인접한 에스토니아 현의 구성원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에스토니아와 리보니아 현 사이의 새로운 경계는 제대로 경계가 정해지지 않았다.[2]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이후, 리보니아 현의 북부는 에스토니아 현과 결합하여 새로운 에스토니아 자치현을 형성했다.[3]

4. 2. 1914년 기준

(1897년 인구 조사)[9]독일어 이름러시아어 이름1897[7]발크Валкский발크 (발카)10,922
6030.2km2120,585벤덴Венденский벤덴 (체시스)6,356
5637.6km2124,208베로Верроский베로 (보루)4,152
4261.1km297,185볼마르Вольмарский볼마르 (발미에라)5,050
4959.7km2112,836페르나우Перновский페르나우 (페르누)12,898
5343km298,123리가Рижский리가282,230
6223.3km2396,101펠린Феллин펠린 (빌얀디)7,736
4569.5km299,747외셀Эзельский아렌스부르크 (쿠레사레)4,603
2862.7km260,263도르파트Юрьевский도르파트 (유리예프) (타르투)42,308
7143.2km2190,317



각 우예즈드는 우차스토크(하위 군)로 나뉘었으며, 각 구역의 보조 책임자가 감독했다. 각 우차스토크에는 2개의 상부 농민 법원 구역이 있었으나, 외젤스키 우예즈드는 예외적으로 1개의 우차스토크만 있었다. 리보니아 현에는 총 17명의 우차스토크 위원이 있었고, 이들은 리보니아 농민 문제 위원회에 소속되었다.

리보니아 현은 5개의 사법 구역(리가-볼마르, 벤덴-발크, 유리예프-베로, 페르노프-펠리니, 외젤)과 42개의 선거 구역으로 나뉘었다.

볼로스트의 대표 기구는 볼로스트 총회(Gemeindeversammlungde)였으며, 볼로스트의 모든 납세자로 구성되거나 볼로스트 납세자가 선출한 총회였다. 볼로스트의 집행 기관은 볼로스트 포어맨이었다.[8]

5. 법률 및 사법 제도

법원은 리플란트 호프게리히트|Livland Hofgerichtde(리보니아 상소 법원, 최고 법원), 란트게리히트|Landgerichtde(상소 법원), 귀족을 위한 오르둥스게리히트|Ordnungsgerichtde(1심 법원), 농민을 위한 군 법원(크라이스게리히트|Kreisgerichtde), 농민을 위한 볼로스트 법원(게마인데게리히트|Gemeindegerichtde)과 교구 법원(키르히슈필게리히트|Kirchspielgerichtde)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법원 시스템의 최하위 단계였다.[6]

6. 인구

리보니아 현의 인구 대다수는 과거 지주에게 예속된 농민으로, 주로 농경과 가축 사육에 종사했다. 1804년까지 지주의 의지에 종속되었으나, 이후 개인적인 권리를 얻었고 1819년 농노제에서 해방되었다. 1849년 농민의 토지 사용권이 부여된 후 부역은 공물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지방 농민 은행이 설립되어 농민의 토지 획득을 도왔다.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 결과, 리보니아 현 주민들은 라트비아어, 에스토니아어, 독일어, 러시아어 외 다양한 언어를 사용했다.[9] 종교적으로는 루터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유대교 신자도 있었다.[10]

6. 1. 1897년 인구 조사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리보니아 현의 인구는 1,299,365명으로 남성 629,992명, 여성 669,373명이 거주했다. 인구의 대다수는 라트비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에스토니아어, 독일어,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도 상당수 존재했다.[9]

1897년 리보니아 현의 언어 구성[9]
언어남성여성모국어 사용자%
라트비아어271,215292,714563,92943.40
에스토니아어247,348271,246518,59439.91
독일어44,77053,80398,5737.59
러시아어38,84429,28068,1245.24
유대어12,18911,53923,7281.83
폴란드어8,3216,81115,1321.16
리투아니아어4,1312,4636,5940.51
벨라루스어6991538520.07
우크라이나어555836380.05
집시어2712244950.04
타타르어428214490.03
스웨덴어2232014240.03
프랑스어982413390.03
영어1581533110.02
덴마크어129942230.02
기타6544061,0600.08
총계629,992669,3731,299,365100.00



1897년 리보니아 현의 종교 구성[10]
종교남성여성전체
%
루터교489,237541,7791,031,01679.35
동방 정교98,67689,064187,74014.45
로마 가톨릭17,39013,14930,5392.35
유대교15,18614,49729,6832.28
구파7,5539,22416,7771.29
개혁교6988591,5570.12
침례교4816051,0860.08
이슬람교506305360.04
성공회126852110.02
카라이파3256580.00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398470.00
메노파69150.00
아르메니아 가톨릭3360.00
기타 기독교 교파3635710.01
기타 비기독교 교파230230.00
총계629,992669,3731,299,365100.00


7. 경제

리보니아 현의 경제는 농업, 어업, 임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주민 대다수는 경작과 가축 사육에 종사했다. 1804년까지 농민들은 지주에게 예속되었으나, 이후 점진적으로 개인적 권리를 획득하고 농노제에서 해방되었다. 1849년에는 농민에게 토지 사용권이 부여되었고, 지방 농민 은행 설립을 통해 토지 획득을 지원하여 농민들의 경제적 자립을 도왔다.[12]

이 외에도 조선, 해운, 어업이 발달했다. 룬 섬과 쇠르베 반도에서는 물개잡이가 이루어졌으며, 덫 사냥, 가금류 사육, 무역 등 소규모 산업도 존재했다.

7. 1. 주요 산업

리보니아현의 주요 산업은 농업, 어업, 임업, 그리고 기타 소규모 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농업리보니아 현의 농업은 높은 수준으로 발전했다. 다작 영농, 과일 작물 교체 경제가 도입되었고, 비료 사용과 밭의 배수가 개선되었다. 인공 풀과 목초지, 배수된 늪지는 현 전체 면적의 41.5%를 차지했다. 1888년에는 216,870마리의 말, 401,498마리의 소, 1,020,800마리의 양, 478,649마리의 돼지가 있었다.[12] 주요 작물은 다음과 같다:

낙농업과 치즈 제조도 발전했으며, 가금류 사육은 큰 비중을 차지했고, 양봉은 작은 비중을 차지했다.
어업리보니아 현은 북부 러시아만큼 어류가 풍부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어종이 어획되었다. 주요 어종은 다음과 같다:

가재는 어디에나 풍부했다. 페이푸스 호에는 10만 명 이상의 어부(대부분 러시아인)가 연간 15만 배럴의 빙어를 잡았다.[11] 연어와 빙어는 대량으로 현 밖으로 수출되었다.[11]
임업리보니아 현의 주요 산림 수종은 가문비나무, 소나무(선박용 숲), 자작나무, 오리나무, 물푸레나무, 참나무, 버드나무였다. 페르노프 현은 거의 전적으로 숲으로 덮여 있었으며, 펠린 현의 인접 지역으로도 이어졌다. 현재 리보니아 현에서는 산림 관리 및 보존 작업이 보편화되었으며, 인공적인 산림 재배도 발전하고 있다. 국유림의 임업은 약 210,000데샤티나 (2294 km2) 면적에서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타 산업

8. 기후

리보니아 현의 기후는 북쪽 발트해 근처에 위치한 것치고는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더 많이 보였으며, 정기적으로 얼어붙었다. 기후는 또한 광대한 습지와 숲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봄 기온은 가장 크고 날카로운 변동을 겪었으며, 리보니아 현의 기후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했고 그 주된 이유는 폭풍이 드물었지만 거의 끊임없이 불었던 바람에서 찾을 수 있었다.

남서풍이 우세했다. 강수량은 양, 분포, 유형 면에서 유리했으며, 폭우는 드물었고, 눈 덮개는 일반적으로 깊었으며, 해안 지대와 습지 및 저지대에서는 잦은 짙은 안개가 발생했다.

평균 기온 (°C)
도시/월1월4월7월10월연평균
리가-5.14.717.96.66.0
유리예프-6.73.217.14.74.4



리가와 유리예프는 리보니아 현의 남부 및 북부 저지대의 기후를 특징지었다. 현 북동부의 기후는 고지대에서 더 추웠고 섬(예: 소르베 등대, 북위 58°, 1월 -2.1 °C)에서는 훨씬 따뜻했다. 연간 강수량은 500mm 이상이었으며, 현의 남부와 서부가 북부와 동부보다 훨씬 많았다. 7월이 가장 비가 많이 오는 달이었지만, 다음 3개월도 꽤 비가 많이 왔으며, 이 달들에는 종종 비가 오는 날이 길게 이어졌다. 전반적으로, 리보니아 현은 과도한 강수량으로 고통받았다.

9. 교육

1890년, 학령기 아동의 86.61%가 정규 교육을 받았다. 같은 해 입영된 신병 중 문맹은 83명, 문맹과 준문맹은 2458명이었다. 1890년 교육 기관은 1959개였으며, 학생 수는 137,285명(남성 74,514명(54.23%), 여성 62,771명(45.77%))이었다. 성직자 감독하에 가정에서 공부하는 어린이는 48,443명이었으며, 총 학생 수는 185,728명이었다.[16]

13세기에는 가톨릭 교회와 학교 시스템이 에스토니아에 전파되었다. 처음에는 자유 인문학을 가르치는 대성당 학교가 설립되었으며(가장 오래된 학교는 1251년 페르누 대성당 학교), 이후 수도원 학교가 설립되었다. 당시 농민 교육은 '민속 교육' 수준에 머물렀다. 1630년에는 타르투 김나지움이, 1632년에는 타르투 대학교가 개교했다.

1786년, 러시아의 국립학교 규정이 발표되어 도청 소재지에 4년제 중등학교(5년 과정), 군 소재지에 2년제 초등학교(2년 과정)를 개설하도록 요구했다. 국립학교장 직책이 신설되었다.

1804년 11월 5일, 알렉산드르 1세 황제는 민족 교육에 대한 초기 규정을 승인했다. 타르투 스터디 서클이 큐레이터 프리드리히 막시밀리안 폰 클링거의 지도하에 설립되었다. 학교 유형이 정의되었고 학교에 대한 국가 감독 및 관리 기반이 마련되었다. 교구 학교(초등학교)(에스토니아어 사용), 군 학교(독일어 사용), 현립 김나지움(독일어 사용), 대학교의 4단계 공립 교육 기관 시스템이 영구적으로 확립되었다.[17]

리보니아 현의 주요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교육 기관학생 수
유리예프 대학교2095명
리가 공과대학교1025명
테르바트 수의학 연구소(타르투 수의학 연구소)290명
테르바트 수의학 연구소의 보조 의료 학교8명
리가 신학원145명
남성 김나지움16개
여성 김나지움11개
사범학교 ( 비드제메 교사 세미나리 발카, 테르바타 교사 세미나리)2개 (18명)
공예 학교 (리가)2개 (447명)
해양 학교3개 (245명)
군 학교48개
사립 학교222개
복음주의 루터교 교회 학교 및 교구 학교140개 및 1087개
정교회 교회 학교 및 교구 학교125개 및 242개
유대인 학교6개
일요 학교6개
농아 학교3개


10. 사회 기반 시설

리보니아현의 사회 기반 시설로는 우편, 철도, 항구가 있었다. 17세기 중반부터 리보니아 기사단이 우편 교통을 관리했으며, 19세기부터는 총독부가 4개의 우편 노선을 통해 우편국 네트워크를 운영했다.[18][19] 철도는 에스토니아 남부 지역에 타파-타르투 철도, 타르투-발가 철도, 발가-페체리 철도, 리가-프스코프 철도 등이 있었다. 남부 에스토니아에는 발가-루흐야-패르누, 뫼이작퀼라-빌얀디 협궤 지선, 탈린-빌얀디 노선이 있었다. 주요 항구로는 리가 항, 페르나우 항, 쿠레사레 항, 소르베항, 무스틀라항, 마스항 등이 있었다.[1]

10. 1. 우편

리보니아의 우편 교통은 17세기 중반부터 리보니아 기사단에 의해, 그리고 19세기부터는 총독부 정부에 의해 관리되었다.[18][19] 총독부는 4개의 우편 노선으로 교차했으며, 이 노선을 따라 우편국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18][19]

10. 2. 철도

리보니아현 북부, 현재 에스토니아 남부 지역에는 에스토니아 공국 내 광궤 철도와 탈린-나르바 철도를 연결하는 타파-타르투 철도, 타르투-발가 철도, 발가-페체리 철도의 일부인 리가-프스코프 철도가 있었다. 남부 에스토니아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는 발가-루흐야-패르누, 뫼이작퀼라-빌얀디 협궤 지선, 그리고 에스토니아 지방과 연결되는 탈린-빌얀디 노선이 있었다.

10. 3. 항구

리가 항, 페르누강 하구에 위치한 페르나우 항, 사레마섬의 쿠레사레 항, 소르베항, 무스틀라항, 마스항이 있었다.[1]

11. 리보니아 현의 문장

리보니아 현의 문장은 1856년 12월 8일에 채택되었다.[14][15] 문장은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진홍색 바탕에 황금 검을 든 은색 날개 돋친 사자가 있고, 가슴에는 황제의 왕관 아래 붉은색 문장 ПВ ИВ (표트르 2세, 전 러시아 황제)가 있다. 방패는 황제의 왕관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성 안드레 훈장의 리본으로 묶인 황금 참나무 잎으로 둘러싸여 있다."

참조

[1] 간행물 The Baltic States from 1914 to 1923 By LtCol Andrew Parrott http://www.bdcol.ee/[...] 2009-03-19
[2] 서적 The Baltic States and Their Region https://books.google[...] Rodopi
[3] 서적 The Romanovs Weidenfeld & Nicolson 2016
[4] 서적 Griff nach der Weltmacht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ЭСБЕ/Зедде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2022-06-27
[6] 웹사이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ибалтикой — Студопедия https://studopedia.r[...] 2022-06-06
[7]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s://www.demoscop[...] 2024-09-23
[8] 웹사이트 § 61. Местное самоуправление Прибалтийских губерний. {{!}} Проект 'Исторические Материалы' http://istmat.info/n[...] 2016-10-28
[9]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2023-05-02
[10]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www.demoscope[...] 2023-05-02
[11] 웹사이트 Категория:ЭСБЕ:Лифляндская губерния — Викитека https://ru.wikisourc[...] 2022-06-27
[12] 웹사이트 Срок регистрации домена закончился http://kurlandia.ru/[...] 2022-06-27
[13] 웹사이트 21005-Pam-kn-Liflyandskoy-gub {{!}} BookLibrary http://book-olds.ru/[...] 2022-06-27
[14] 웹사이트 Gerb Liflyandskoy (Rizhskoy) gubernii Rossiyskoy imperii https://geraldika.ru[...] 2024-03-13
[15] 웹사이트 Gerby guberniy i oblastey Rossiyskoy imperii https://www.prlib.ru[...] 2024-03-13
[16] 웹사이트 Лифляндская губерния — ЭНЭ http://wiki.laser.ru[...] 2019-10-04
[17] 웹사이트 Koolide venestamisest Baltimail. http://www.kirjandus[...] 2022-06-27
[18] 서적 Geographischer Arbiss der Dreideutschen Ostsee-Provinzen Russlands; oder, der Gouvernemens Ehst-, Liv- und Kurland https://books.google[...] Deubner 1826
[19] 웹사이트 filateelia.ee Hobupostijaamad Suure-Jaani kihelkonnas https://www.filateel[...] 2022-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