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성 콩팥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성 콩팥병은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 등이 주요 원인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나 신장 기능 저하에 따라 혈압 상승, 요독증, 고칼륨혈증, 부종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신장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사구체 여과율(GFR) 수치에 따라 5단계로 심각도를 구분한다. 치료는 콩팥병 진행을 늦추고 위험 요소를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약물 요법, 식이 요법, 투석 및 신장 이식 등의 치료법이 사용된다. 만성 콩팥병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며, 환자의 사망 원인 중 심혈관 질환이 가장 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기 부전 - 다발성 장기 부전
    다발성 장기 부전은 감염, 부상 등으로 유발되는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해 둘 이상의 장기가 기능 부전을 일으키는 상태이며, 조기 진단과 공격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 장기 부전 - 호흡부전
    호흡 부전은 혈액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상태이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 심장, 신경근육 질환 등으로 분류되고, 동맥혈 가스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산소 요법, 기계 환기 등의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
  • 신장 비뇨기 질환 - 신장염
    신장염은 콩팥에 발생한 염증으로, 자가면역질환, 요로감염, 루푸스, 격렬한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혈뇨, 핍뇨, 요독증, 고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 X레이, 초음파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
  • 신장 비뇨기 질환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만성 콩팥병
개요
만성 콩팥병 그림
만성 콩팥병 환자의 콩팥 그림
분야신장학
증상 (초기)없음
증상 (후기)다리 부종
피로감
구토
식욕 부진
혼란
합병증심장 질환
고혈압
빈혈
지속 기간장기적임
원인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
다낭성 신장 질환
위험 요인유전적 경향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진단혈액 검사
소변 검사
치료혈압, 혈당 관리 약물, 콜레스테롤 저하
신대체요법
신장 이식
빈도7억 5300만 명 (2016년)
사망자 수120만 명 (2015년)
임상 정보
초기 증상특이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음.
진행된 증상피로
부종 (특히 다리, 발목, 발)
식욕 부진
구역질
구토
가려움증
근육 경련
소변량 변화
기타 증상수면 장애
빈혈
말초 신경 병증
원인
주요 원인당뇨병
고혈압
기타 원인사구체신염
신우신염
다낭성 신장 질환
요로 폐쇄
낭창
신장 결석
진단
검사 방법사구체 여과율 (GFR) 측정
단백뇨 검사
추가 검사신장 초음파
신장 생검 (필요한 경우)
병기
1단계신장 손상과 정상 또는 증가된 GFR (≥90 mL/min/1.73 m2)
2단계신장 손상과 약간 감소된 GFR (60-89 mL/min/1.73 m2)
3a단계GFR이 약간에서 중간 정도로 감소 (45-59 mL/min/1.73 m2)
3b단계GFR이 중간에서 심각하게 감소 (30-44 mL/min/1.73 m2)
4단계GFR이 심각하게 감소 (15-29 mL/min/1.73 m2)
5단계신부전 (GFR <15 mL/min/1.73 m2) 또는 투석
치료
일반적 치료혈압 조절
혈당 조절 (당뇨병 환자의 경우)
콜레스테롤 조절
생활 습관 개선 (식이 요법, 운동)
약물 치료ACE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혈압 조절 및 신장 보호)
이뇨제 (부종 조절)
에리스로포이에틴 자극 제제 (빈혈 치료)
비타민 D 및 인 결합제 (미네랄 및 뼈 질환 관리)
신대체요법혈액 투석
복막 투석
신장 이식
역학
전 세계 유병률 (2016년)7억 5300만 명
성별 차이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더 높은 유병률을 보임
사망 원인 (2015년)120만 명 사망
기타 정보
관련 질환심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병
미네랄 및 뼈 질환
빈혈
만성 콩팥병 환자의 줄기세포 치료
효과만성 콩팥병 환자의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모세포생성

2. 원인

만성 콩팥병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이다.[42][43] 고혈압 성인 5명 중 약 1명, 당뇨병 성인 3명 중 1명이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다.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 이를 ''특발성''이라고 한다.[44]


  • 당뇨병성 신증 (투석 도입의 가장 많은 원인 질환)
  • 만성 사구체 신염 (두 번째로 많은 원인 질환)
  • 악성 신 경화증 (세 번째로 많은 원인 질환)
  • 다낭성 신장 질환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장 질환/ADPKD 등)

2. 1. 주요 원인

만성 콩팥병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이다.[42][43] 고혈압 성인 5명 중 약 1명, 당뇨병 성인 3명 중 1명이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다.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 이를 ''특발성''이라고 한다.[44]

혈관 질환에는 양측 신동맥 협착과 같은 대혈관 질환과 허혈성 신병증, 용혈성 요독 증후군, 혈관염과 같은 소혈관 질환이 포함된다. 사구체 질환은 일차성 (국소 분절 사구체 경화증 및 IgA 신병증) 및 이차성 (당뇨병성 신병증 및 루푸스 신염)으로 분류된다. 세뇨관-간질성 질환에는 약물 및 독소 유발 만성 세뇨관-간질성 신염, 역류성 신병증이 포함된다.

폐쇄성 신병증은 양측 신장 결석과 전립선 전립선 비대증으로 나타난다. 드물게 요충이 신장을 감염시켜 폐쇄성 신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성 신증은 투석 도입의 가장 많은 원인 질환이며, 만성 사구체 신염은 두 번째, 악성 신 경화증은 세 번째로 많은 원인 질환이다. 다낭성 신장 질환(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장 질환/ADPKD 등)도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2. 2. 기타 원인

만성 콩팥병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이다.[42][43] 고혈압 성인 5명 중 약 1명, 당뇨병 성인 3명 중 1명이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다.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는 '특발성'이라고 한다.[44]

다낭성 신장 질환 또는 17q12 미세 결손 증후군과 같은 유전성 선천성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중앙아메리카 신장병증은 "농업 신장병증"이라고 불릴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신장 질환이다.[45] 중앙아메리카 신장병증으로 불리는 만성 콩팥병(CKD)의 새로운 사례는 아직 설명되지 않은 높은 수치로 중앙 아메리카, 주로 엘살바도르니카라과 저지대의 사탕수수 밭에서 일하는 남성 노동자들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평균 36°C의 높은 온도에서 조각별 임금 작업의 장시간으로 인한 열 스트레스[46][47][48][49]가 의심되며, 농화학 물질도 의심된다.[51]

만성 노출도 만성 콩팥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은 만성 콩팥병을 원인 불명의 만성 콩팥병(CKDu)이라고 한다. 2020년 기준으로 당뇨병과 고혈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급속히 진행되는 만성 콩팥병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중앙 아메리카와 멕시코의 여러 지역에서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 CKDu는 중미 신장병증(MeN)이라고 불린다. 2013년에는 최소 2만 명의 남성이 젊은 나이(20대, 30대)에 사망했으며, 2020년에는 연간 4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일부 피해 지역에서는 CKD 사망률이 전국 평균의 5배에 달했다. MeN은 주로 사탕수수 노동자로 일하는 남성에게 영향을 미친다.[47] 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2020년 과학 연구를 통해 고온에서의 격렬한 노동과 CKDu 발생 사이의 더 명확한 연관성이 밝혀졌다. 규칙적인 물 섭취, 휴식, 그늘 제공과 같은 개선 사항은 CKDu 발생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102] CKDu는 스리랑카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병원 사망 원인 중 8번째를 차지한다.[103]

당뇨병성 신증은 투석 도입의 가장 많은 원인 질환이며, 만성 사구체 신염은 두 번째로 많은 원인 질환, 악성 신 경화증은 세 번째로 많은 원인 질환이다. 다낭성 신장 질환(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장 질환/ADPKD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3. 증상

만성 콩팥병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인 혈액 검사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나 단백뇨로 발견된다.[22] 신장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혈압 증가는 체액 과다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을 통해 신장에서 생성되는 혈관 활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고혈압 및 심부전 발병 위험을 높인다.[23] 만성 콩팥병 환자는 동맥경화증과 심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이는 요독소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23] 만성 콩팥병과 심혈관 질환을 모두 앓는 환자는 예후가 더 나쁘다.[24]
  • 요소 축적은 요독증을 유발하며, 요독증은 무기력증, 심낭염, 뇌병증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22] 요소는 땀샘을 통해 고농도로 배설되어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에 결정화되기도 한다(요독증).[22]

요독증이 있는 환자의 머리에 나타나는 요독증

  • 혈중 칼륨 축적(고칼륨혈증)은 불쾌감, 심장 부정맥 등을 유발할 수 있다.[25] 사구체 여과율이 20–25 mL/min/1.73 m2 미만으로 떨어지면 신장의 칼륨 배설 능력이 감소하여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며, 산혈증과 인슐린 부족은 이를 악화시킬 수 있다.[25]
  • 체액 평형 이상은 경미한 부종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폐부종까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고인산혈증은 신장의 인산 제거 능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혈관 석회화를 유발하여 심혈관 위험을 증가시킨다.[26]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23(FGF-23) 농도 증가는 만성 콩팥병 환자의 좌심실 비대 및 사망률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27][28]
  • 저칼슘혈증은 1,25 디히드록시비타민 D3 결핍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칼슘 작용에 대한 골격 저항으로 인해 발생한다.[29][30] FGF-23은 1-알파-하이드록실라제를 억제하여 25-hydroxycholecalciferol이 1,25 디히드록시비타민 D3로 전환되는 것을 막는다.[31] 이는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신성 골이영양증, 혈관 석회화를 유발하며, 심한 경우 석회증이 발생할 수 있다.[32]
  • 만성 콩팥병-미네랄 및 뼈 질환(CKD-MBD)은 칼슘, 인산염, 부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 대사 이상, 골 회전율, 뼈의 광화, 부피, 선형 성장 또는 강도 이상, 혈관 또는 기타 연조직 석회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좋지 않은 결과와 관련이 있다.[4][19]
  • 대사성 산증은 근위 세뇨관 세포의 암모니아 생성 능력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25] 효소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고칼륨혈증을 촉진하여 심장 및 뉴런 막의 흥분성을 증가시킨다.[33]
  • 철 결핍성 빈혈은 염증 증가, 에리트로포이에틴 감소, 고요산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혈액 투석이 필요한 사람에게 흔하다. 신장에서는 에리트로포이에틴생산이 저하되어 신성 빈혈 즉,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이 발생한다.[34]
  • 후기 단계에서는 악액질이 발생하여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근육 소모, 쇠약, 식욕 부진을 유발할 수 있다.[35]
  • 만성 콩팥병 환자는 인지 기능 저하 또는 치매 발생 위험이 35–40% 더 높다.[36][37] 이러한 관계는 만성 콩팥병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며, 모든 단계의 환자에게서 인지 문제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39][40][37]
  • 성 기능 장애는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흔하며, 남성은 성욕 감소, 발기 부전, 오르가즘 도달 능력 감소를, 여성은 성적 흥분 어려움, 월경통, 성관계 수행 및 즐거움 문제를 경험한다.[41]
  • 만성 콩팥병의 단계에 따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 제1기(신 예비능 감소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 제2기(보상성 신부전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 제3기(신부전기, 비대상기): 신성 빈혈, 고인산혈증, 저칼슘혈증 등이 나타난다.
  • * 제4기(요독증기, 말기 신부전): 부종, 요독증 (호흡 곤란, 신성 빈혈, 폐수종, 중추 증상), 섬유성 골염 등이 나타난다.
  • ** 섬유성 골염의 경우, X선 사진에서 골낭포가 관찰된다.

3. 1. 일반적인 증상

만성 콩팥병(CKD)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인 혈액 검사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나 단백뇨로 발견된다.[22] 신장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혈압 증가는 체액 과다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을 통해 신장에서 생성되는 혈관 활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고혈압 및 심부전 발병 위험을 높인다.[23] 만성 콩팥병 환자는 동맥경화증과 심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이는 요독소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23] 만성 콩팥병과 심혈관 질환을 모두 앓는 환자는 예후가 더 나쁘다.[24]
  • 요소 축적은 요독증을 유발하며, 요독증은 무기력증, 심낭염, 뇌병증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22] 요소는 땀샘을 통해 고농도로 배설되어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에 결정화되기도 한다(요독증).[22]

  • 혈중 칼륨 축적(고칼륨혈증)은 불쾌감, 심장 부정맥 등을 유발할 수 있다.[25] 사구체 여과율이 20–25 mL/min/1.73 m2 미만으로 떨어지면 신장의 칼륨 배설 능력이 감소하여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며, 산혈증과 인슐린 부족은 이를 악화시킬 수 있다.[25]
  • 체액 평형 이상은 경미한 부종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폐부종까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고인산혈증은 신장의 인산 제거 능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혈관 석회화를 유발하여 심혈관 위험을 증가시킨다.[26]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23(FGF-23) 농도 증가는 만성 콩팥병 환자의 좌심실 비대 및 사망률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27][28]
  • 저칼슘혈증은 1,25 디히드록시비타민 D3 결핍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칼슘 작용에 대한 골격 저항으로 인해 발생한다.[29][30] FGF-23은 1-알파-하이드록실라제를 억제하여 25-hydroxycholecalciferol이 1,25 디히드록시비타민 D3로 전환되는 것을 막는다.[31] 이는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신성 골이영양증, 혈관 석회화를 유발하며, 심한 경우 석회증이 발생할 수 있다.[32]
  • 만성 콩팥병-미네랄 및 뼈 질환(CKD-MBD)은 칼슘, 인산염, 부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 대사 이상, 골 회전율, 뼈의 광화, 부피, 선형 성장 또는 강도 이상, 혈관 또는 기타 연조직 석회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좋지 않은 결과와 관련이 있다.[4][19]
  • 대사성 산증은 근위 세뇨관 세포의 암모니아 생성 능력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25] 효소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고칼륨혈증을 촉진하여 심장 및 뉴런 막의 흥분성을 증가시킨다.[33]
  • 철 결핍성 빈혈은 염증 증가, 에리트로포이에틴 감소, 고요산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혈액 투석이 필요한 사람에게 흔하다. 신장에서는 에리트로포이에틴생산이 저하되어 신성 빈혈 즉,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이 발생한다.[34]
  • 후기 단계에서는 악액질이 발생하여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근육 소모, 쇠약, 식욕 부진을 유발할 수 있다.[35]
  • 만성 콩팥병 환자는 인지 기능 저하 또는 치매 발생 위험이 35–40% 더 높다.[36][37] 이러한 관계는 만성 콩팥병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며, 모든 단계의 환자에게서 인지 문제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39][40][37]
  • 성 기능 장애는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흔하며, 남성은 성욕 감소, 발기 부전, 오르가즘 도달 능력 감소를, 여성은 성적 흥분 어려움, 월경통, 성관계 수행 및 즐거움 문제를 경험한다.[41]
  • 만성 콩팥병의 단계에 따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 제1기(신 예비능 감소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 제2기(보상성 신부전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 제3기(신부전기, 비대상기): 신성 빈혈, 고인산혈증, 저칼슘혈증 등이 나타난다.
  • * 제4기(요독증기, 말기 신부전): 부종, 요독증 (호흡 곤란, 신성 빈혈, 폐수종, 중추 증상), 섬유성 골염 등이 나타난다.
  • ** 섬유성 골염의 경우, X선 사진에서 골낭포가 관찰된다.

3. 2. 병태별 증상 (일본어 문서 기반)

만성 콩팥병(CKD)은 초기에 증상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 또는 단백뇨로 발견된다.[22] 신장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혈압 증가''': 체액 과다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을 통해 신장에서 생성되는 혈관 활성 호르몬의 생성으로 인해 고혈압 및 심부전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23] 만성 콩팥병 환자는 일반 인구보다 동맥경화증과 심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이는 요독소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24]
  • '''요소 축적''': 요독증을 유발하고, 요독증(무기력증에서 심낭염 및 뇌병증에 이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요소는 땀샘에서 고농도로 배설되어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에 결정화된다("요독증").[23]

  • '''칼륨 축적''': 혈액에 칼륨이 축적(고칼륨혈증)되면 불쾌감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과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심장 부정맥을 유발한다.[25] 고칼륨혈증은 사구체 여과율이 20–25 mL/min/1.73 m2 미만으로 떨어질 때까지 발생하지 않으며, 산혈증과 인슐린 부족으로 악화될 수 있다.[25]
  • '''체액 평형 이상''': 경미한 부종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폐부종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 '''고인산혈증''': 신장의 인산 제거 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며, 혈관 석회화를 유발하여 심혈관 위험을 증가시킨다.[26]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23(FGF-23)의 순환 농도는 인산 배설에 대한 신장 능력 감소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만성 콩팥병 환자의 좌심실 비대 및 사망률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27][28]
  • '''저칼슘혈증''': 1,25 디히드록시비타민 D3 결핍(높은 FGF-23 및 감소된 신장 질량으로 인해 발생)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칼슘 작용에 대한 골격 저항으로 인해 발생한다.[29][30] 1-알파-하이드록실라제는 25-hydroxycholecalciferol을 1,25 디히드록시비타민 D3로 전환시키는 효소인데, 골세포는 FGF-23의 생산 증가에 기여하며, FGF-23은 이 효소의 강력한 억제제이다.[31] 나중에는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신성 골이영양증, 혈관 석회화로 진행된다. 극단적인 결과는 석회증이라는 희귀 질환이다.[32]
  • '''CKD-MBD''': 칼슘, 인산염(인), 부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 대사 이상, 골 회전율, 광화, 부피, 선형 성장 또는 강도의 이상, 혈관 또는 기타 연조직 석회화를 유발할 수 있다.[4]
  • '''대사성 산증''': 근위 세뇨관 세포에서 충분한 암모니아 생성 능력 감소로 발생한다.[25] 산혈증은 효소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고칼륨혈증을 촉진하여 심장 및 뉴런 막의 흥분성을 증가시킨다.[33]
  • '''철 결핍성 빈혈''': 염증 증가, 에리트로포이에틴 감소, 골수 억제를 유발하는 고요산혈증 등이 원인이다. 신장에서 에리트로포이에틴의 부적절한 생성으로 인해 조혈 부전성 빈혈이 발생한다.[34]
  • '''악액질''': 후기 단계에서 발생하며,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근육 소모, 쇠약 및 식욕 부진을 유발한다.[35]
  • '''인지 기능 저하''': 만성 콩팥병 환자는 인지 기능 저하 또는 치매 발생 가능성이 35–40% 더 높다.[36][37]
  • '''성 기능 장애''': 남성은 성욕, 발기 부전, 오르가즘 도달 능력 감소를 경험하고, 여성은 성적 흥분에 어려움을 겪고, 월경통과 성관계 수행 및 즐기는 데 문제가 흔하다.[41]


만성 콩팥병의 병기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제1기(신 예비 능력 감소기): 사구체 여과율(GFR)이 정상~50% 사이로 감소하지만, 생체의 항상성은 거의 정상이며 무증상이다.
  • 제2기(보상성 신부전기): GFR이 50~30%로 저하되어 뇨 농축 기능 저하, 경도의 고질소혈증, 경도의 빈혈을 보인다.
  • 제3기(신부전기, 비보상기): GFR이 30~5%로 저하되어 고질소혈증(고암모니아혈증), 등장성 뇨, 야간뇨, 대사성 산증, 저칼슘혈증, 고인산혈증, 저나트륨혈증 등이 나타난다.
  • 제4기(요독증기, 말기 신부전): GFR이 5% 이하로 되어, 다채로운 증상(요독증 증상)이 나타나며 방치하면 사망에 이른다.


제3기부터 신성 빈혈이 나타나는데, '''신성 빈혈'''은 신부전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빈혈을 말한다. 신장은 적혈구를 생성하는 호르몬인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생산하므로 만성 신부전에서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부족하여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이 발생한다. 고인산혈증은 사구체 여과량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저칼슘혈증은 고인산혈증에 반응한 이차성 부갑상선 호르몬 항진증과 신장에서의 비타민 D 활성 장애에 의한 저비타민 D혈증, 두 가지 이유로 제3기부터 발병한다.

제4기부터는 부종요독증이 나타난다. 요독증은 요독소에 의한 증후를 말하며, 호흡 곤란, 신성 빈혈, 폐수종, 중추 증상(의식 장애, 두통 등)을 일으킨다. 섬유성 골염은 부갑상선 호르몬(PTH) 과잉으로 뼈가 희박해지는 질병으로, 신부전에서의 인산 배설 정체로 인한 고인산혈증과 혈중 Ca농도를 높이는 비타민 D 부족, 두 가지 원인에 의한 만성적인 저Ca혈증이 지속되어 발생한다. PTH는 뼈에서 Ca를 혈중으로 흡수하여 뼈가 앙상해진다. X선 사진에서는 '''골낭포'''가 보인다.

4. 진단

만성 콩팥병(CKD)의 진단은 주로 병력, 신체 검사,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측정과 함께 요 시험지 검사를 기반으로 한다.[52][53] CKD와 급성 신장 손상(AKI)을 구별하는 것은 AKI가 가역적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CKD와 AKI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한 가지 진단 단서는 혈청 크레아티닌의 급격한 증가(며칠에서 몇 주)와 대조적으로 혈청 크레아티닌의 점진적인 상승(수개월 또는 수년)이다.[52][53] CKD 환자 중 상당수는 이전에 신장 질환 또는 기타 기저 질환이 이미 알려져 있다. 상당수는 원인 불명의 CKD로 나타난다.

CKD 환자의 12유도 심전도와 심각한 전해질 불균형: 고칼륨혈증 (7.4 mmol/L) 및 저칼슘혈증 (1.6 mmol/L). T파가 뾰족하고 QT 간격이 연장되어 있다.

4. 1. 검사

만성 콩팥병(CKD)의 진단은 주로 병력, 신체 검사,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측정, 요 시험지 검사를 기반으로 한다.[52][53] CKD와 급성 신장 손상(AKI)을 구별하는 것은 AKI가 가역적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데, 혈청 크레아티닌의 점진적인 상승(수개월 또는 수년)은 CKD를 시사한다.[52][53] CKD 환자 중 상당수는 이미 신장 질환이나 기저 질환을 앓고 있거나, 원인 불명의 CKD로 나타나기도 한다.

만성 콩팥병의 증상이나 위험 요인이 없는 사람에게는 선별 검사가 권장되지 않지만,[52][53] 고혈압, 심혈관 질환, 당뇨병, 현저한 비만, 60세 이상, 아프리카계 미국인 조상, 과거 신장 질환 병력, 투석이 필요한 신장 질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선별 검사가 필요하다.[52][53]

선별 검사에는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를 이용한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 계산, 아침 첫 소변 검체에서 요 알부민 대 크레아티닌 비율(ACR) 측정, 혈뇨에 대한 요 스틱 검사가 포함되어야 한다.[54] 사구체 여과율(GFR)은 혈청 크레아티닌으로부터 계산되며 1/크레아티닌에 비례한다. 정상 사구체 여과율은 90–120 ml/min이다.

신장 초음파 검사는 만성 콩팥병의 진단 및 예후에 유용하다.[55] 신피질의 에코 증가는 기저 병리 변화(사구체 경화증, 세뇨관 위축, 간질 섬유증, 염증 등)와 관계없이 나타나는 일반적인 소견이다.[55] 신장 에코는 간 또는 비장의 에코와 비교하여 평가하며, 질병 진행에 따라 신장 크기 감소와 신피질 얇아짐이 관찰될 수 있다.[55] 그러나 신장 크기는 키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키가 작은 사람은 신장도 작을 수 있어 신장 크기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다.[55]

추가적인 검사로 혈류 확인 및 두 콩팥 간 기능 차이 파악을 위한 핵의학 MAG3 스캔이 있다.[56] 디메르캡토석신산 (DMSA) 스캔 역시 콩팥 영상 검사에 사용되며, MAG3와 DMSA 모두 방사성 원소인 테크네튬-99로 킬레이트화되어 사용된다.[56]

4. 2. 심각도 단계

사구체 여과율(GFR)이 3개월 간 60 mL/min/1.73 m2 미만의 환자는 신장 위해의 존재 여부에 관계 없이 만성 신부전 환자로 분류된다.[59] 콩팥 손상은 혈액, 소변 또는 영상 검사에서 나타나는 손상의 징후로 정의되며, 여기에는 실험실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ACR) ≥ 30이 포함된다.[59] GFR이 60mL/min/1.73m2 이상인 경우 콩팥 손상이 없으면 만성 콩팥병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단백뇨는 콩팥 기능 악화 및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지표로 간주되어, 영국 지침에서는 단백질 손실이 심각한 경우 만성 콩팥병 단계에 "P" 문자를 추가한다.[58]

만성 콩팥병은 GFR 수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분된다.[59]

CKD 단계GFR 수준 (mL/min/1.73 m2)
단계 1≥ 90 (콩팥 손상 동반)
단계 260 – 89 (콩팥 손상 동반)
단계 330 – 59
단계 415 – 29
단계 5< 15 (또는 신장 투석)



영국 지침에서는 3단계를 선별 검사 및 의뢰를 위해 3A단계(GFR 45–59)와 3B단계(GFR 30–44)로 구분한다.[58] 4단계에서는 신장 대체 요법 준비를 시작하며, 5단계는 확립된 콩팥 부전으로, 영구적인 신장 대체 요법이 필요하거나 요독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비투석 의존성 만성 콩팥병"(NDD-CKD)은 신장 대체 요법을 아직 필요로 하지 않는 CKD 환자를, 신장 투석 또는 장기 이식을 포함한 신장 대체 요법이 필요한 CKD 환자는 말기 콩팥 질환(ESKD)이라고 한다.

한편, 만성 콩팥병은 제1기(신 예비 능력 감소기)부터 제4기(요독증기, 말기 신부전)까지 나뉘기도 한다. 제1기는 사구체 여과율(GFR)이 정상~50% 사이로 감소한 시기, 제2기는 GFR이 50~30%로 저하된 시기, 제3기는 GFR이 30~5%로 저하된 시기, 제4기는 GFR이 5% 이하의 시기이다.

5. 치료

만성 콩팥병의 치료 목적은 콩팥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중단시키고, 다른 위험 요소를 제어하는 것이다.[60] 가능하다면 본래의 질병을 치료하고, 혈압을 통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리 방법이다.

만성 콩팥병의 치료에는 보존 요법과 약물 요법이 있다.

'''보존 요법'''


  • '''식사 요법''': 영양사 등의 전문가의 식사 지도를 받아 식사 요법을 실천한다.
  • * '''수분 섭취'''
  • ** 핍뇨가 없는 경우: 수분 섭취 제한은 하지 않는다. 이는 신부전에 의한 등장성 요로 탈수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 핍뇨가 있는 경우: 수분 섭취는 "전날 소변량 + 0.5''l''"로 한다. 이는 부종에 의한 폐수종이나 심부전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 * '''단백질''': 저단백질 식단으로 한다. 이는 요독소의 원료가 되는 단백질 섭취를 줄이기 위함이다.
  • * '''탄수화물''': 에너지 부족으로 인한 단백질 분해를 피하기 위해 고칼로리 식단을 한다.
  • * '''염분(염화나트륨)''':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염분 섭취량을 7''g/일'' 이하로 한다. 단, 신부전에서의 고혈압은 일반적인 140/90보다 엄격한 130/85''mmHg''로 한다. 이는 고혈압이 신장사구체에 부담을 주어 더욱 신부전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약물 요법'''

  • ACE 억제제·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사구체 혈압을 낮춰 신부전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 사구체 혈압을 너무 낮추면, 반대로 사구체 혈류량이 감소하여 신전성 신부전이 되므로 크레아티닌이 2.0mg/dL 이상일 때는 신중하게 투여한다. 간 배설성인 테모카프릴이나 텔미사르탄의 사용을 고려한다. 또한, 칼륨 상승에도 유의하여 이뇨제를 병용한다.
  • 감염증 대책: 감염증에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를 사용할 때는 용량에 주의한다.


'''만성 신부전 치료법'''

  • 만성 신부전 치료법에는 인공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의 치료법이 있다. 신성 빈혈은 에리스로포이에틴 투여로 개선되는 경우가 많지만, 반응성이 저하된 경우에는 다른 원인을 고려해야 한다.
  • 만성 콩팥병 5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신장 대체 요법이 필요하며, 이는 투석 또는 신장 이식의 형태로 이루어진다.[60]
  • 만성 콩팥병 환자는 혈액에 다수의 요독소가 축적된다. 투석으로 말기 신부전(ESKD)을 치료하더라도 투석 효율성이 완벽하지 않아 독소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신장 이식 후에도 이식된 신장이 100% 기능하지 못하면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 이식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면 크레아티닌 수치는 종종 정상이다. 요독소는 세 가지 그룹(작은 수용성 용질, 중간 분자량 용질, 단백질 결합 용질)으로 분류된다.[83] 고유속 투석막을 사용한 혈액 투석, 장시간/빈번한 치료, 증가된 혈액/투석액 흐름은 수용성 작은 분자량 요독소 제거를 향상시켰다. 중간 분자량 분자는 고유속 막을 사용한 혈액 투석, 혈액 투석 여과법 및 혈액 여과법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기존 투석 치료는 단백질 결합 요독소를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84]
  •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I)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는 신장 기능 저하를 늦추는 것으로 밝혀져 1차 치료제로 권장된다.[10] 이 약물들은 신장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고,[10] 심근 경색, 뇌졸중, 심부전 등 주요 심혈관 사건의 위험을 감소시킨다.[10] ACEI는 신부전으로의 진행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에 대한 보호 측면에서 ARB보다 우수할 수 있다.[10] 적극적인 혈압 강하는 사망 위험을 감소시킨다.[61]

  • 고지혈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권장된다.[62] 저단백, 저염 식이요법은 만성 콩팥병의 진행을 늦추고 단백뇨를 감소시키며, 말기 만성 콩팥병의 증상을 조절하여 투석 시작을 늦출 수 있다.[63] 산도를 낮추도록 설계된 맞춤형 저단백 식이요법은 만성 콩팥병 환자의 신장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64] 염분 섭취를 조절하면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발생률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며, 알부민뇨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65]

  • 빈혈의 경우, 목표 헤모글로빈 수치는 100–120 g/L이 권장된다.[66][67] 헤모글로빈 수치를 정상 범위로 높이는 것은 이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68] 가이드라인은 정맥 철분 치료를 에리스로포이에틴 치료 전에 권장한다. 말기 질환 환자에게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69] 안드로겐이 빈혈을 개선하는지는 불분명하다.[70] 정맥(IV) 철분 요법은 경구 철분 보충제보다 목표 헤모글로빈 수치에 도달하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IV-철분 요법 후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도 더 높을 수 있다.[80]

  • 칼시트리올은 비타민 D 결핍 및 대사성 골 질환 관리에 권장된다. 인산염 결합제는 혈청 인산염 수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말기 만성 콩팥병에서 상승한다. 포스포디에스터레이스-5 억제제와 아연은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41]

  • 비만은 신부전으로의 질병 진행 위험을 증가시켜 만성 콩팥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71] 진행 단계에서는 콩팥 이식 대상자격을 방해할 수도 있다.[72] 예를 들어, 고칼로리 및 고과당 음료를 섭취하면 만성 콩팥병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73][74] 만성 콩팥병 환자 중 과체중 및 비만 성인을 위한 체중 관리 중재에는 생활 습관 중재, 약리학적 중재 및 수술 중재가 포함된다.[75] 이러한 중재는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사망이나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75]

  • 고나트륨 식이는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만성 콩팥병 환자의 경우, 염분 섭취를 줄이면 알부민뇨뿐만 아니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76] EHealth 중재는 만성 콩팥병 환자의 식이 나트륨 섭취와 체액 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77]

  • 혈액 투석이 필요한 만성 콩팥병 환자의 경우, 혈관 막힘이 발생하여 응고로 인해 투석 치료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응고를 줄이는 에이코사노이드 분자의 생성에 기여하지만, 만성 콩팥병 환자의 혈관 막힘 예방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78] 경구 단백질 기반 영양 보충제의 규칙적인 섭취는 만성 콩팥병 환자, 특히 혈액 투석이 필요하거나 영양실조인 사람들의 혈청 알부민 수치를 약간 증가시킬 수 있다.[79]

  • 만성 콩팥병 환자는 수면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운동은 수면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만성 콩팥병 환자의 피로감과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수면 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81]
  • 신장내과 의뢰에 대한 지침은 국가마다 다르다. 대부분의 지침은 만성 콩팥병 4단계(eGFR/1.73m2가 30 mL/min 미만; 또는 연간 3 mL/min 이상 감소)에서 신장내과 의뢰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82]

  • 소변 알부민 대 크레아티닌 비율이 30 mg/mmol 이상일 때, 혈압 조절이 어려울 때, 또는 혈뇨나 기타 소견이 주로 사구체 질환 또는 특정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이차 질환을 시사할 때 더 이른 단계(예: 만성 콩팥병 3단계)에서도 유용할 수 있다. 조기 신장내과 의뢰의 다른 이점으로는 신장 대체 요법에 대한 적절한 교육, 선제적 이식, 그리고 향후 혈액 투석을 선택하는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동정맥루의 적절한 검사와 삽입 등이 있다.

5. 1. 일반적인 치료

만성 콩팥병(CKD)의 치료 목적은 콩팥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중단시키고, 다른 위험 요소를 제어하는 것이다.[60] 가능하다면 본래의 질병을 치료하고, 혈압을 통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리 방법이다.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I) 또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는 신장 기능 저하를 늦추는 것으로 밝혀져 1차 치료제로 권장된다.[10] 이 약물들은 신장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고,[10] 심근 경색, 뇌졸중, 심부전 등 주요 심혈관 사건의 위험을 감소시킨다.[10] ACEI는 신부전으로의 진행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에 대한 보호 측면에서 ARB보다 우수할 수 있다.[10] 적극적인 혈압 강하는 사망 위험을 감소시킨다.[61]

고지혈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권장된다.[62] 저단백, 저염 식이요법은 만성 콩팥병의 진행을 늦추고 단백뇨를 감소시키며, 말기 만성 콩팥병의 증상을 조절하여 투석 시작을 늦출 수 있다.[63] 산도를 낮추도록 설계된 맞춤형 저단백 식이요법은 만성 콩팥병 환자의 신장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64] 염분 섭취를 조절하면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발생률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며, 알부민뇨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65]

빈혈의 경우, 목표 헤모글로빈 수치는 100–120 g/L이 권장된다.[66][67] 헤모글로빈 수치를 정상 범위로 높이는 것은 이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68] 가이드라인은 정맥 철분 치료를 에리스로포이에틴 치료 전에 권장한다. 말기 질환 환자에게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69] 안드로겐이 빈혈을 개선하는지는 불분명하다.[70] 정맥(IV) 철분 요법은 경구 철분 보충제보다 목표 헤모글로빈 수치에 도달하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IV-철분 요법 후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도 더 높을 수 있다.[80]

칼시트리올은 비타민 D 결핍 및 대사성 골 질환 관리에 권장된다. 인산염 결합제는 혈청 인산염 수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말기 만성 콩팥병에서 상승한다. 포스포디에스터레이스-5 억제제와 아연은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41]

비만은 신부전으로의 질병 진행 위험을 증가시켜 만성 콩팥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71] 진행 단계에서는 콩팥 이식 대상자격을 방해할 수도 있다.[72] 예를 들어, 고칼로리 및 고과당 음료를 섭취하면 만성 콩팥병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73][74] 만성 콩팥병 환자 중 과체중 및 비만 성인을 위한 체중 관리 중재에는 생활 습관 중재, 약리학적 중재 및 수술 중재가 포함된다.[75] 이러한 중재는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사망이나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75]

고나트륨 식이는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만성 콩팥병 환자의 경우, 염분 섭취를 줄이면 알부민뇨뿐만 아니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76] EHealth 중재는 만성 콩팥병 환자의 식이 나트륨 섭취와 체액 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77]

혈액 투석이 필요한 만성 콩팥병 환자의 경우, 혈관 막힘이 발생하여 응고로 인해 투석 치료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응고를 줄이는 에이코사노이드 분자의 생성에 기여하지만, 만성 콩팥병 환자의 혈관 막힘 예방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78] 경구 단백질 기반 영양 보충제의 규칙적인 섭취는 만성 콩팥병 환자, 특히 혈액 투석이 필요하거나 영양실조인 사람들의 혈청 알부민 수치를 약간 증가시킬 수 있다.[79]

만성 콩팥병 환자는 수면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운동은 수면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만성 콩팥병 환자의 피로감과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수면 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81]

만성 콩팥병의 치료에는 보존 요법과 약물 요법이 있다. 보존 요법에는 영양사 등의 전문가의 식사 지도를 받아 식사 요법을 실천하는 것이 포함된다. 수분 섭취는 핍뇨 유무에 따라 조절하며, 단백질 섭취는 제한하고, 탄수화물 섭취를 통해 충분한 칼로리를 확보해야 한다. 염분 섭취는 고혈압 여부에 따라 조절한다.

약물 요법으로는 ACE 억제제·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여 사구체 혈압을 낮춰 신부전의 진행을 억제한다. 단, 크레아티닌 수치와 칼륨 수치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투여해야 한다. 감염증에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를 사용할 때는 용량에 주의한다. 만성 신부전 치료법에는 인공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의 치료법이 있다. 신성 빈혈은 에리스로포이에틴 투여로 개선되는 경우가 많지만, 반응성이 저하된 경우에는 다른 원인을 고려해야 한다.

5. 2. 투석 및 신장 이식

만성 콩팥병 5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신장 대체 요법이 필요하며, 이는 투석 또는 신장 이식의 형태로 이루어진다.[60]

만성 콩팥병 환자는 혈액에 다수의 요독소가 축적된다. 투석으로 말기 신부전(ESKD)을 치료하더라도 투석 효율성이 완벽하지 않아 독소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신장 이식 후에도 이식된 신장이 100% 기능하지 못하면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 이식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면 크레아티닌 수치는 종종 정상이다. 요독소는 세 가지 그룹(작은 수용성 용질, 중간 분자량 용질, 단백질 결합 용질)으로 분류된다.[83] 고유속 투석막을 사용한 혈액 투석, 장시간/빈번한 치료, 증가된 혈액/투석액 흐름은 수용성 작은 분자량 요독소 제거를 향상시켰다. 중간 분자량 분자는 고유속 막을 사용한 혈액 투석, 혈액 투석 여과법 및 혈액 여과법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기존 투석 치료는 단백질 결합 요독소를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84]

만성 신부전 치료법에는 인공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이 있다.[60] 다른 위험 요소를 제어하는 것 외에, 치료의 목적은 만성 콩팥병의 진행을 1단계까지 떨어트리거나 중단시키는 것이다. 실현 가능하다면 본래의 질병 치료라든지 혈압을 통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리 방법이다.

만성 콩팥병의 보존요법에는전문가(영양사)의 식사 지도를 받아 식사 요법을 실천하는것이 포함된다.

  • 수분 섭취
  • * 핍뇨가 없는 경우 - 수분 섭취 제한은 하지 않는다. 이는 신부전에 의한 등장성 요로 탈수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 핍뇨가 있는 경우 - 수분 섭취는 "전날 소변량 + 0.5''l''"로 한다. 이는 부종에 의한 폐수종이나 심부전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 단백질 - 저단백질 식단으로 한다. 이는 요독소의 원료가 되는 단백질 섭취를 줄이기 위함이다.
  • 탄수화물 - 에너지 부족으로 인한 단백질 분해를 피하기 위해 고칼로리 식단을 한다.
  • 염분(염화나트륨) -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염분 섭취량을 7''g/일'' 이하로 한다. 단, 신부전에서의 고혈압은 일반적인 140/90보다 엄격한 130/85''mmHg''로 한다. 이는 고혈압이 신장사구체에 부담을 주어 더욱 신부전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 약물 요법
  • * ACE 억제제·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 사구체 혈압을 낮춰 신부전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 사구체 혈압을 너무 낮추면, 반대로 사구체 혈류량이 감소하여 신전성 신부전이 되므로 크레아티닌이 2.0mg/dL 이상일 때는 신중하게 투여한다. 간 배설성인 테모카프릴이나 텔미사르탄의 사용을 고려한다. 또한, 칼륨 상승에도 유의하여 이뇨제를 병용한다.

  • 감염증 대책
  • * 감염증에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를 사용할 때는 용량에 주의한다.

6. 예후

만성 콩팥병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환자는 종종 고지혈증과 같은 심장 질환의 다른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다. 만성 콩팥병 환자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신부전보다는 심혈관 질환이다.[85][86][87]

만성 콩팥병은 신장 기능이 감소함에 따라 악화되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을 초래한다.[85] 신장 대체 요법은 환자를 무기한 유지하고 생명을 연장할 수 있지만,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8][89] 신장 이식은 다른 옵션에 비해 5단계 만성 콩팥병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지만,[90][91] 수술 합병증으로 인해 단기 사망률이 증가한다. 이식을 제외하고, 고강도 자가 혈액 투석은 기존의 주 3회 혈액 투석 및 복막 투석에 비해 생존율 향상 및 더 나은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92]

말기 신부전(ESKD) 환자는 전반적인 암 위험이 증가한다.[93] 이러한 위험은 젊은 사람들에게 특히 높으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한다.[93] 의학 전문 분야 전문가 단체는 ESKD로 인해 기대 수명이 제한된 사람들에게 그러한 검사가 결과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의사가 정기적인 암 검진을 수행하지 않도록 권장한다.[94][95]

어린이의 경우, 성장 부전은 만성 콩팥병의 흔한 합병증이다. 만성 콩팥병이 있는 어린이는 같은 연령 및 성별의 어린이의 97%보다 키가 작을 것이며, 이는 추가적인 영양 지원 또는 성장 호르몬과 같은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96]

만성 콩팥병 환자의 생존율은 일반적으로 투석 치료를 받는 경우가 투석을 받지 않는 경우보다 더 길지만, 80세 이상, 그리고 동반 질환이 있는 노인 환자의 경우 두 그룹 간의 생존율에 차이가 없을 수 있다. 삶의 질은 투석을 받지 않는 사람들에게 더 좋을 수 있다.[97]

말기 만성 콩팥병에 도달했을 때 투석 치료를 받지 않기로 결정한 사람들은 수년간 생존할 수 있으며, 신체적 웰빙과 전반적인 삶의 질이 유지됨과 더불어 정신적 웰빙의 개선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급성 치료 서비스의 이용이 흔하며, 투석을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 임종 치료의 강도가 매우 다양하다.[98][99] 일단 만성 콩팥병에 빠지면 회복은 불가능하며, 인공 투석 등의 치료를 받지 않으면 요독증이 된다.

7. 역학

만성 콩팥병은 인구 10명 중 약 1명에게서 나타난다. 2008년 캐나다에서는 190만에서 230만 명이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68]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미국 성인(20세 이상)의 약 16.8%가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100] 2007년에는 영국과 북아일랜드 인구의 8.8%가 증상을 동반하는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었다.[101]

만성 콩팥병은 2013년 전 세계적으로 95만 6천 명의 사망 원인이 되었으며, 이는 1990년의 40만 9천 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21] 만성 콩팥병의 원인은 경우에 따라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를 원인 불명의 만성 콩팥병(CKDu)이라고 한다. 당뇨병과 고혈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급속히 진행되는 만성 콩팥병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중앙 아메리카와 멕시코의 여러 지역에서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 CKDu는 중미 신장병증 (MeN)이라고 불린다. 2013년에는 최소 2만 명의 남성이 젊은 나이(20대, 30대)에 사망했으며, 2020년에는 연간 4만 명으로 추산되었다. 일부 피해 지역에서는 CKD 사망률이 전국 평균의 5배에 달했다. MeN은 주로 사탕수수 노동자로 일하는 남성에게 영향을 미친다.[47] 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2020년 과학 연구를 통해 고온에서의 격렬한 노동과 CKDu 발생 사이의 더 명확한 연관성이 밝혀졌다. 규칙적인 물 섭취, 휴식, 그늘 제공과 같은 개선 사항은 CKDu 발생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102] CKDu는 또한 스리랑카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병원 사망 원인 중 8번째를 차지한다.[103]

아프리카인, 히스패닉, 남아시아인, 특히 파키스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인도 출신은 만성 콩팥병(CKD) 발생 위험이 높다. 아프리카인은 고혈압 환자 수가 많아 위험이 더 크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ESKD(말기 신부전) 사례의 37%는 고혈압과 관련이 있는 반면, 백인에서는 19%에 불과하다.[104] 치료 효과 역시 인종 집단에 따라 다르다. 항고혈압제 투여는 일반적으로 백인 인구의 질병 진행을 멈추게 하지만 흑인의 신장 질환 진행을 늦추는 데는 효과가 적으며, 탄산수소염 치료와 같은 추가 치료가 종종 필요하다.[104] 낮은 사회 경제적 지위가 만성 콩팥병 환자 수에 기여하지만, 환경적 요인을 통제하더라도 아프리카인과 백인 간의 만성 콩팥병 환자 수 차이는 여전히 뚜렷하다.[104]

CKDu(만성 신장 질환)는 1970년대 코스타리카의 사탕수수 노동자들 사이에서 처음 기록되었지만, 1600년대 카리브해에 사탕수수 농업이 도입된 이후 플랜테이션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식민지 시대에 설탕 플랜테이션의 노예 사망 기록은 다른 노동에 강제 동원된 노예보다 훨씬 높았다.[102]

만성 사구체 신염이 가장 많아 50%, 당뇨병성 신증이 두 번째로 15%를 차지한다. 투석 도입까지 이어진 사례에서는, 당뇨병성 신증 38%, 만성 사구체 신염 32%, 신 경화증 7.6%를 나타낸다. 변비가 있으면 만성 콩팥병이나 말기 신부전이 되기 쉽다는 보고가 있다.[112]

8. 사회와 문화

만성 콩팥병 치료 및 관리에서 진료 거부는 소수 민족에게 심각한 문제이다. 이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편견, 구조적 장벽, 건강 보험 보장 격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편견은 과소 진료, 오진, 또는 진단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보험 부족 및 제한된 의료 시설과 같은 구조적 장벽은 적시에 진료를 받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소수 민족이 적절한 보장을 받지 못하는 건강 보험 보장 격차는 이러한 불평등에 기여한다. 진료 거부는 건강 결과를 악화시키고 기존의 건강 불평등을 영속화한다.

인종 기반 신장 기능 지표, 특히 크레아티닌 정규화는 만성 콩팥병(CKD) 진단 및 관리에 윤리적인 과제를 제기한다. 특정 인종 및 민족 집단이 더 높은 위험에 처해 있지만, 인종을 참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은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건강 불평등을 영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고려하지 못한다. 인종 기반 지표에만 의존하면 소수 민족 집단에서 오진 또는 과소 진단이 발생할 수 있다. 신장 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CKD 관리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 경제적 지위, 환경 노출 및 유전적 취약성을 고려하는 대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8. 1. 관련 단체 (미국, 영국, 호주)

국제 신장 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Nephrology)는 신장 질환 전문가를 대표하는 국제 기구이다. 미국에는 전국 신장 재단(National Kidney Foundation), 미국 신장 기금(American Kidney Fund), 신장 지원 네트워크(Renal Support Network), [https://aakp.org 미국 신장 환자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Kidney Patients), 신장 의사 협회(Renal Physicians Association) 등 만성 콩팥병 관련 단체들이 있다.[105] 미국 신장 기금은 매년 투석 환자 5명 중 1명에게 치료 관련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전국적인 비영리 단체이다.[105] 신장 지원 네트워크는 만성 콩팥병(CKD)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게 비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자 중심의 비영리 단체이다.[105] [https://aakp.org 미국 신장 환자 협회]는 만성 콩팥병 환자와 투석을 받는 사람들의 건강과 웰빙 개선에 초점을 맞춘 환자 중심의 비영리 단체이다.[105] 신장 의사 협회는 신장학 전문가를 대표하는 협회이다.[105]

영국에는 신장 관리 UK(Kidney Care UK)와 영국 전국 신장 연맹(The UK National Kidney Federation)이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표한다.[105] 신장 협회(Renal Association)는 신장 전문의를 대표하며, 신장 질환에 대한 국가 서비스 프레임워크(National Service Framework)와 긴밀히 협력한다.[105] 2020년 기준, 만성 콩팥병은 영국 국민 보건 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에 연간 약 15억 파운드의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05]

호주에서는 호주 신장 건강 협회가 활동한다.

8. 2. 한국의 상황

만성 콩팥병의 원인으로는 만성 사구체 신염이 50%로 가장 많고, 당뇨병성 신증이 15%로 그 다음을 차지한다. 투석을 시작하게 된 환자의 경우, 당뇨병성 신증이 38%, 만성 사구체 신염이 32%, 고혈압으로 인한 신경화증이 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연구 동향

2019년 기준으로 만성 콩팥병(CKD) 치료를 위해 여러 화합물이 개발 중이다. 여기에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올메사르탄 메독소밀과 저분자량 헤파린과 데르마탄 설페이트의 혼합물인 술로덱시드가 포함된다.[109][110]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niddk.ni[...] 2017-12-19
[2] 논문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3] 웹사이트 Kidney Failure https://medlineplus.[...] 2017-11-11
[4] 간행물 KDIGO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Evalu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Mineral and Bone Disorder (CKD-MBD) http://www.kdigo.org[...] 2009-08
[5] 논문 Chronic kidney disease and the risks of death, cardiovascular events, and hospitalization 2004-09
[6] 웹사이트 What is renal failure? https://www.hopkinsm[...] 2017-12-18
[7] 웹사이트 Chronic Kidney Disease Tests & Diagnosis https://www.niddk.ni[...] 2017-12-19
[8] 논문 Summary of Recommendation Statements 2013-01
[9]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8 E-Book: 5 Books in 1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
[10] 논문 Renin-Angiotensin System Inhibitors and Kidney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CKD: A Bayesian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16-05
[11] 논문 Diuretics: a review 2012-09
[12] 논문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2014-02
[13] 웹사이트 Managing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niddk.ni[...] 2016-10
[14] 웹사이트 Eating Right for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niddk.ni[...] 2019-09-05
[15] 웹사이트 Anemia in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niddk.ni[...] 2017-12-19
[16] 웹사이트 Mineral & Bone Disorder in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niddk.ni[...] 2017-12-19
[17] 웹사이트 Kidney Failure https://www.niddk.ni[...] 2017-11-11
[18] 논문 Disparities in Chronic Kidney Disease Prevalence among Males and Females in 195 Countries: Analysis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16 Study https://zenodo.org/r[...] 2018-05-23
[19] 논문 Osteoblastogenesis of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 with regular hemodialysis 2022-12
[20]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2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5-01
[22] 논문 Patient-centred approaches for the management of unpleasant symptoms in kidney disease 2022-01-03
[23] 논문 Uremic Toxins Activate Macrophages 2019-01
[24] 논문 Renal impairment, worsening renal function, and outcom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 updated meta-analysis 2014-02
[25] 논문 Chronic Kidney Disease http://emedicine.med[...] 2018-09-16
[26] 논문 Hyperphosphatemia of chronic kidney disease 2008-07
[27] 논문 FGF23 induces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2011-11
[28] 논문 Fibroblast growth factor 23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2008-08
[29] 논문 Fibroblast growth factor 23 inhibits extrarenal synthesis of 1,25-dihydroxyvitamin D in human monocytes 2013-01
[30] 논문 The calcemic response to PTH in the rat: effect of elevated PTH levels and uremia 1994-08
[31]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012
[32] 논문 Calciphylaxis: a still unmet challenge
[33] 논문 Changes in plasma potassium concentration during acute acid-base disturbances 1981-09
[34] 서적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2021-01
[35] 논문 Wasting in chronic kidney disease 2011-03
[36] 논문 Vitamin K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in Adul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The Chronic Renal Insufficiency Cohort 2022-08
[37] 논문 Association between kidney function and incidence of dementia: 10-year follow-up of the Whitehall II cohort study 2022-01
[38] 논문 Cognition in People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Treated With Hemodialy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6
[39] 논문 Cognitive disorders and dementia in CKD: the neglected kidney-brain axis 2013-02
[40] 논문 Cognitive impairment in chronic kidney disease 2004-11
[41] 논문 Interventions for treating sexu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10-12
[42]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43] 웹사이트 Kidney Disease: Fact Sheet https://www.kidney.o[...] 2024-09-26
[44] 웹사이트 United States Renal Data System (USRDS) http://www.usrds.org[...]
[45] 논문 Epidemiology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of Salvadoran agricultural communities http://www.medicc.or[...] 2014-04
[46] 웹사이트 MesoAmerican Nephropathy: A New Entity http://ajkdblog.org/[...]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13-07-29
[47] 논문 The epidemic of chronic kidney disease of unknown etiology in Mesoamerica: a call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action 2013-11
[48] 논문 Chronic kidney disease: Mesoamerican nephropathy--new clues to the cause 2013-10
[49] 논문 Fructokinase activity mediates dehydration-induced renal injury 2014-08
[50] 웹사이트 Global heating 'may lead to epidemic of kidney disease' https://www.theguard[...] 2021-10-25
[51] 뉴스 Thousands of sugar cane workers die as wealthy nations stall on solutions http://www.icij.org/[...] 2012-11-26
[52] 논문 Screening, monitoring, and treatment of stage 1 to 3 chronic kidney disease: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2013-12
[53]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on-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in ambulatory care: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8-10
[54] 서적 Handbook of Chronic Kidney Disease Management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11-05-02
[55] 논문 Ultrasonography of the Kidney: A Pictorial Review 2015-12
[56] 웹사이트 Kidney scans https://www.singheal[...]
[57] 웹사이트 CKD Evaluation and Management https://kdigo.org/gu[...]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2019-07-06
[58] 간행물 Chronic kidney disease NICE 2008
[59] 웹사이트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chronic kidney disease http://www.kidney.or[...] 2008-06-29
[60] 논문 Chronic Kidney Disease https://researchonli[...] 2021-06-24
[61] 논문 Association Between More Intensive vs Less Intensive Blood Pressure Lowering and Risk of Mortality in Chronic Kidney Disease Stages 3 to 5: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10
[62] 논문 Dyslipidemia in chronic kidney disease: managing a high-risk combination 2009-11
[63] 논문 Nutritional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https://escholarship[...] 2017-11
[64] Review Reducing the Dietary Acid Load: How a More Alkaline Diet Benefit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17-05
[65] 논문 Altered dietary salt intake for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21-06
[66] 논문 Target haemoglobin to aim for with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s: a position statement by ERBP following publication of the Trial to reduce cardiovascular events with Aranesp therapy (TREAT) study 2010-09
[67] 논문 The impact of selecting a high hemoglobin target leve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9-06
[68]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2008-11
[69] 웹사이트 Anaemia management in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G114) http://guidance.nice[...] UK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2011-02
[70] 논문 Androgens for the anaemia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2014-10
[71] 논문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risk of incident stage ≥3 chronic kidney disease in a general japanese population: the Ibaraki prefectural health study (IPHS) 2014
[72] 논문 Obesity and the risk of cardiovascular and all-cause mortality in chronic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3
[73] 논문 High-fructose corn syrup-sweetened soft drink consumption increases vascular resistance in the kidneys at rest and during sympathetic activation 2020-04
[74] 논문 Associations of sugar-sweetened and artificially sweetened soda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2
[75] 논문 Interventions for weight loss in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who are overweight or obese 2021-03
[76] 논문 Altered dietary salt intake for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21-06
[77] 논문 eHealth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19-08
[78] 논문 Omega-3 fatty acids for dialysis vascular access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18-11
[79] 논문 Oral protein-based supplements versus placebo or no treatment for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requiring dialysis 2020-05
[80] 논문 Parenteral versus oral iron therapy for adults and childre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19-02
[81] 논문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leep quality in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2019-05
[82] 웹사이트 CKD Stage 4 https://www.davita.c[...]
[83] 논문 Review on uremic toxins: classification, concentration, and interindividual variability 2003-05
[84] 논문 Removal of uremic toxins by renal replacement therapies: a review of current progress and future perspectives 2016-09-14
[85] 논문 Increased mortality in chronic kidney disease: a call to action 2006-03
[86] 논문 Kidney disease as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s on Kidney in Cardiovascular Disease, High Blood Pressure Research, Clinical Cardiology, and Epidemiology and Prevention 2003-10
[87] 논문 Chronic kidney disease and mortality risk: a systematic review http://jasn.asnjourn[...] 2006-07
[88] 서적 Daily and Nocturnal Hemodialysis
[89] 논문 Challenges and future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2006-01
[90] 논문 Long-term outcomes of children with end-stage renal disease 2005-07
[91] 논문 Choice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patients with diabetic end stage renal disease
[92] 논문 Quotidian dialysis--update 2005 https://zenodo.org/r[...] 2005-03
[93] 논문 Cancer in patients on dialysis for end-stage renal disease: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1999-07
[94] 논문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choosingwisel[...] 2012-08-17
[95] 논문 Cost-effectiveness of cancer screening in end-stage renal disease 1996-06
[96] 웹사이트 Growth Failure in Childre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niddk.ni[...] 2022-12-09
[97] 논문 Does conservative kidney management offer a quantity or quality of life benefit compared to dialysis? A systematic review.
[98] 논문 Long-term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Advanced Kidney Disease Who Forgo Maintenance Dialysis: A Systematic Review.
[99] 논문 "Conservative Care for Kidney Failure-The Other Side of the Coin." 2022-03
[100] 논문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associated risk factors--United States, 1999-2004 https://www.cdc.gov/[...] 2007-03
[101] 웹사이트 Chronic Kidney Disease (stages 3–5) prevalence estimates using data from the Neoerica study (2007) http://www.apho.org.[...] Association of Public Health Observatories 2010-03-04
[102] 뉴스 The mystery epidemic striking Nicaragua's sugar cane workers – a photo essay https://www.theguard[...] 2020-11-27
[103] 논문 CKD of Unknown Etiology (CKDu) in Sri Lanka: A Multilevel Clinical Case Definition for Surveillance and Epidemiological Studies 2019-06
[104] 논문 Long-term effects of renin-angiotensin system-blocking therapy and a low blood pressure goal on progression of hypertensive chronic kidney disease in African Americans 2008-04
[105] 뉴스 Tackling the £1.5bn a year cost of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hsj.co.u[...] Wilmington Healthcare Limited 2020-05-16
[106] 서적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dog https://pub.epsilon.[...] 2018
[107] 논문 Incidence of and mortality from kidney disease in over 600,000 insured Swedish dogs http://researchonlin[...] 2015-06
[108] 웹사이트 Chronic Kidney Disease https://www.vet.corn[...] 2023-06-12
[109] 간행물 Olmesartan Medoxomil in Hypertension and Renal Impairment ClinicalTrialsGov
[110] 웹사이트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ARBs) https://www.medicine[...] 2019-12-20
[111] 웹사이트 腎臓病とは http://www.zjk.or.jp[...]
[112] 뉴스 腎不全予防のターゲットは便秘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7-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