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이테쓰 미카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테쓰 미카와선은 아이치현의 사나게역과 헤키난역을 잇는 총 39.8km의 노선이다. 야마선과 우미선으로 나뉘며, 야마선은 도요타시를 중심으로 메이테쓰 도요타선과 연결되어 나고야 방면으로 운행되고, 우미선은 다카하마시와 헤키난시를 거쳐 지류역에서 도카이도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과거에는 사나게-니시나카네, 헤키난-키라요시다 구간이 운영되었으나 2004년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지류역에서 운행 계통이 나뉘며, 야마선은 15분 간격으로, 우미선은 약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6000계, 6500계 전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차량이 사용되며, 고가화 사업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바르셀로나 지하철
    바르셀로나 지하철은 바르셀로나 도시권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TMB와 FGC가 12개 노선을 운영하며, 1863년 개통 이후 1920년대 확장을 거쳐 100km가 넘는 연장 길이와 187개 이상의 역을 갖춘 광역 대중교통망이다.
  • 192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은 도요하시역과 메이테쓰 기후역을 잇는 나고야 철도의 주요 간선 노선으로, 아이치현과 기후현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복선 및 일부 복복선 구간과 전철화된 전 구간에서 다양한 종별의 열차가 운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쓰시마선
    메이테쓰 쓰시마선은 아이치현에 있는 11.8km의 철도 노선으로, 스가구치역에서 나고야 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복선 및 전철화되어 준급, 급행,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아이치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아이치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메이테쓰 미카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메이테쓰 미카와 선을 달리는 6000계 전동차.
메이테쓰 미카와 선을 달리는 메이테쓰 6000계 전동차
노선 색상(도요타 시/사나게 방면)
(헤키난 방면)
노선 이름메이테쓰 미카와 선
일본어 이름名鉄三河線
로마자 표기Meitetsu Mikawa-sen
노선 기호MY (도요타 시/사나게 방면)
MU (헤키난 방면)
노선 종류통근 철도
소유자나고야 철도
운영자나고야 철도
노선 길이39.8km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복선 구간전 구간 단선
역 수23개
최고 속도80km/h
일일 승차량 (2003년)73,556명
웹사이트미카와 선 (지류-헤키난)
미카와 선 (지류-사나게)
노선도
미카와 선 노선도
미카와 선 노선도
운행 정보
기점사나게 역
종점헤키난 역
역사
개통 (영업 구간)(사나게 역 - 헤키난 역)
전체 개통 (폐지 구간 포함)(니시나카가네 역 - 기라요시다 역)
전체 개통 (구 미카와 선 구간)(니시나카가네 역 - 가마고리 역)
폐지(니시나카가네 역 - 사나게 역, 헤키난 역 - 기라요시다 역)

2.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39.8 km
  • 궤간: 1067mm
  • 역 수: 23개 역 (기점역 · 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우메쓰보 - 도요타시 간, 지류 - 시게하라 간, 가리야 - 가리야시 간
  • 전철화 구간: 직류 1500V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교환 가능역: 히라토바시 역, 요시하마 역, 다카하마미나토 역, 헤키난추오 역을 제외한 각 역


나고야 본선 지류역에서 남북으로 분기되는 지선으로, 메이테쓰 노선 중에서는 나고야 본선 다음으로 노선 거리가 길다. 노선의 전신은 미카와 철도이며, 당초에는 전 노선이 일체로 운행되었지만, 1950년대에 지류역의 배선이 스위치백 형태로 변경된 이후부터는 해당 역을 경계로 운용이 분단되어, 이후 사루나게 방면의 산지로 향하는 북쪽을 '''야마선'''(山線), 헤키난 방면의 바다에 가까운 남쪽을 '''우미선'''(海線)으로 통칭하게 되었다[91][3]。2016년 3월에 도입된 역 번호는 야마선, 우미선으로 별도의 기호가 부여되었다[4]

미카와선에서는 스프링 포인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섬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는 일부 역(기타신카와역, 와카바야시역, 다케무라역)에서는 우측 통행으로 열차 교환을 한다. 이는 구내 건널목의 배치 관계상 좌측 통행보다 안전하다는 점 외에, 과거 태블릿 폐색을 실시했을 때의 잔재로, 우측 통행이 통과 열차의 통표 교환이 용이했기 때문이다.

운임 계산 구분은 '''C''' (운임 계산에 사용하는 거리는 영업 킬로미터의 1.25배)이다. 모든 역에서 manaca 등의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대응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야마 선''' 구간은 자동차 산업이 활발한 아이치현도요타시의 한가운데를 관통하고 있다. 도요타시의 현관역은 도요타시역이며, 한 정거장 북쪽인 우메쓰보 역에서 나고야의 중심을 향하는 도요타선(나고야 시내에서는 나고야 시영 지하철 쓰루마이선과 상호 운행)이 분기하고 있다. 미카와야쓰하시역 부근과 도요타시역 - 고시도역 간은 고가선이며, 도요타시역 - 우메쓰보역 간은 도요타선의 열차도 운행하기 때문에 복선으로 되어 있다. 고시도역에서 사나게역까지는 숲 속을 통과하는 듯한 로컬색이 짙은 구간이다. 2001년에 선구간의 합리화를 추진하기 위해, 가장 먼저 원맨 운전을 시작했다. 1973년까지는 가미고모역에서 고모선이 분기하고 있었다.

야마 선의 유인역은 도요타시역, 츠치바시역[5], 지류역의 3개 역이다. 승객의 흐름은 지류역에서 나고야 본선, 혹은 도요타시역·우메쓰보역에서 도요타선을 경유하여 나고야 등과의 왕래가 주체이지만, 도요타시내의 자동차 관련 공장으로의 통근 이용에 의한 흐름도 보인다. 최근 들어 이용자가 증가하여, 기존의 2량 편성 대신 4량 편성으로의 운행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연속 입체 교차 사업에 의한 지류역 부근 및 와카바야시역 부근의 고가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부수하여 미카와지류역의 이전도 2024년 3월에 실시되었다.

  • '''보통 열차'''만 운행하며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 지류역을 경계역으로 하여 야마 선과 우미 선은 각각 독립된 운행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양 노선을 직통하는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운행 계획상으로는 다른 열차로 취급되는 사실상의 직통 열차가 있다(지류행으로 운행 후, 지류역에서 헤키난행이나 사루토행으로 변경).


; 범례

: 선로 … |: 단선 구간 ◇: 단선 구간의 교환 가능역 ∧: 이보다 위는 단선 ∨: 이보다 아래는 단선

  • 역명, 소재지 등은 폐지 시점 기준.
  • 영업 거리는 니시나카네 역 기점 (각 지선은 생략).


; 범례

: 선로 (폐지 시) … |: 교환 불가 ◇: 교환 가능

야마 선 폐지 구간 (2004년 4월 1일 폐지)
역명역간
킬로
영업
킬로
접속 노선소재지
니시나카네 역-0.0 도요타시
미카와히로세 역2.82.8 
에다시타 역1.34.1 
미카와미후네 역3.07.1 
사루토 역 (현존)1.58.6 



우미 선 폐지 구간 (2004년 4월 1일 폐지)
역명역간
킬로
영업
킬로
접속 노선소재지
헤키난 역 (현존)-48.4 헤키난시
타마츠우라 역0.749.1오하마 린코 선 화물 (1959년12월 3일 폐지)
타나오 역0.950.0 
미카와아사히 역0.750.7 
나카하타 역1.552.2 니시오시
미카와히라사카 역1.053.2나고야 철도: 히라사카 지선 (1960년3월 27일 폐지)
(히라사카구치 역)
미카와쿠스 역1.154.3 
키타테라즈 역*1.555.8 
테라즈 역0.556.3 
니시잇시키 역2.358.6 하즈군잇시키정
미카와잇시키 역1.560.1 
마츠키지마 역2.062.1 
키라요시다 역 (현존)2.764.8나고야 철도: 니시오 선・가마고리 선하즈군키라정



*키타테라즈 역은 1969년4월 25일 폐지.

신카와구치 지선 (1955년 2월 1일 폐지)
역명역간
킬로
접속 노선소재지
신카와마치 역-나고야 철도: 미카와 선헤키난시
(화) 신카와구치 역0.6 



오하마구치 지선 (1946년 8월 1일 폐지)
역명역간
킬로
접속 노선소재지
오하마항 역-나고야 철도: 미카와 선헤키카이군오하마정
(화) 오하마구치 역0.4 


3. 역 목록

메이테쓰 미카와선은 야마선(山線)과 우미선(海線)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각 구간별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노선역 번호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
야마선MY11사나게역-0.0도요타시
MY10히라토바시역1.11.1
MY09고시도역1.12.2
MY08우메쓰보역2.04.2나고야 철도 도요타선
MY07도요타시역1.45.6아이치 환상 철도 아이치 환상 철도선 (신토요타역)
MY06우와고로모역1.87.4아이치 환상 철도 아이치 환상 철도선 (신우와고로모역)
MY05쓰치하시역2.810.2
MY04다케무라역2.612.8
MY03와카바야시2.315.1
MY02미카와야쓰하시역2.417.5
MY01미카와치류역3.120.6지류시
NH19지류역0.721.3나고야 철도 나고야 본선
우미선MU01시게하라역2.223.5아이치현
MU02가리야역1.725.2도카이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가리야시
MU03가리야시역1.626.8
MU04오가키에역2.629.4
MU05요시하마2.031.4다카하마시
MU06미카와타카하마역1.933.3
MU07다카하마미나토역1.034.3
MU08기타신카와역1.836.1헤키난시
MU09신카와마치역1.037.1
MU10헤키난추오역1.138.2
MU11헤키난역1.639.8



2004년 4월 1일에 폐지된 구간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야마선 폐지 구간 (2004년 4월 1일 폐지)
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소재지
니시나카가네역-0.0도요타시
미카와히로세역2.82.8
에다시타역1.34.1
미카와미후네역3.07.1
사나게역 (현존)1.58.6



우미선 폐지 구간 (2004년 4월 1일 폐지)
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소재지
헤키난역 (현존)-0.0헤키난시
다마쓰우라역0.70.7
다나오역0.91.6
미카와아사히역0.72.3
나카하타역1.53.8니시오시
미카와히라사카역1.04.8
미카와쿠스역1.15.9
기타데라즈역1.57.4
데라즈역0.57.9
니시잇시키역2.310.2하즈군 잇시키정
미카와잇시키역1.511.7
마쓰키지마역2.013.7
기라요시다역 (현존)2.716.4하즈군 기라정


3. 1. 야마선 (사나게-지류)

메이테쓰 미카와선 야마선(사나게-지류) 구간은 도요타시 내에 위치하며, 사나게역, 우메쓰보역, 도요타시역, 와카바야시역, 미카와 지류역 등이 주요 역이다.

이 구간은 메이테쓰 도요타선과 일부 직결 운행을 하며, 우메쓰보역에서는 나고야 시영 지하철 쓰루마이선을 경유하여 나고야 철도 이누야마선 방면으로, 도요타시역에서는 아이치 환상 철도선과 연결된다.

야마선은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차량은 야마선과 공통으로 운용된다.

역 번호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선로소재지
MY11사나게역-0.0도요타시
MY10히라토바시역1.11.1
MY09고시도역1.12.2
MY08우메쓰보역2.04.2나고야 철도 豊田線|도요타선일본어 (일부 직결 운행)
MY07도요타시역1.45.6아이치 환상 철도 愛知環状鉄道線|아이치 환상 철도선일본어 (신토요타역 경유)
MY06우와고로모역1.87.4아이치 환상 철도 愛知環状鉄道線|아이치 환상 철도선일본어 (신우와고로모역 경유)
MY05쓰치하시역2.810.2
MY04다케무라역2.612.8
MY03와카바야시역2.315.1
MY02미카와 야쓰하시역2.417.5
MY01미카와 지류역2.319.8지류시
NH19지류역1.521.3나고야 철도 三河線|미카와선일본어 (碧南|헤키난일본어 방면), 名古屋本線|나고야 본선일본어


3. 2. 우미선 (지류-헤키난)

메이테쓰 미카와선은 크게 2개의 운행 계통으로 나뉘는데, 그 중 우미선(바다선)은 지류역에서 헤키난역 사이 구간을 말한다. 이 구간은 복선화되어 있으며, 주로 메이테쓰의 다른 노선과 직결 운행을 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행된다.

우미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 번호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
NH19지류역-21.3나고야 철도: 미카와선(사나게 방면), 나고야 본선지류시
MU01시게하라역2.223.5아이치현
MU02가리야역1.725.2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도카이도 본선가리야시
MU03가리야시역1.626.8
MU04오가키에역2.629.4
MU05요시하마역2.031.4다카하마시
MU06미카와타카하마역1.933.3
MU07다카하마미나토역1.034.3
MU08기타신카와역1.836.1헤키난시
MU09신카와마치역1.037.1
MU10헤키난추오역1.138.2
MU11헤키난역1.639.8



4. 역사

1941년 6월, 나고야 철도(메이테쓰)는 미카와 철도를 합병했다.[2] 그 결과, 니시나카네역-가마고리역 구간이 메이테쓰 미카와선이 되었다. 1943년에는 미카와 요시다-키라 요시다 구간이 개통되어 가마고리선, 니시오선과 연결되었다.

1930년대에 니시나카가네에서 아스케까지 약 8km를 연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태평양 전쟁 발발과 물자 부족으로 인해 철도 부설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1958년에 이 연장 제안은 공식적으로 폐기되었고, 노반은 공공 도로로 전환되었다.

1984년에는 화물 운송이 중단되었다. 이후 승객 감소로 인해 1985년에는 사나게-니시나카가네 구간, 1990년에는 헤키난-키라요시다 구간의 전철화가 해제되었다. 이 구간들에는 디젤 동차(DMU)가 여객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승객 감소는 계속되었고 결국 두 구간 모두 2004년에 폐쇄되었다.

미카와 철도의 자회사였던 신미카와 철도가 취득했던 야고토(나고야시)-고로마 간 철도 부설 면허는 회사 합병으로 미카와 철도, 메이테쓰로 이어졌고, 여러 우여곡절 끝에 메이테쓰 도요타선의 아카이케-우메쓰보 구간으로 개통되었다.

지류-시게하라 구간은 1976년에, 가리야-가리야시 구간은 1980년에, 우메쓰보-도요타시 구간은 1986년에 각각 복선화되었다. 도요타시-지류 구간의 복선화는 제안되어 일부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지방 정부와의 자금 문제로 인해 현재 추가 작업은 중단된 상태이다. 시게하라-가리야 구간의 복선화를 위한 부지는 확보되어 있지만, 메이테쓰는 이 구간의 이용객 수준이 현재 복선화를 정당화할 만큼 충분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나고야 철도 합병 이후 발생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년도날짜내용
1941년8월 1일도요하시선(현, 나고야 본선) 신지리역과 미카와선 지리역(초대)을 지리역(2대)에 통합.
1943년2월 1일니시오선 키라요시다역(초대)을 이전하여 미카와요시다역에 통합[83]
12월카리야 승무구 설치[83]
1944년기타테라쓰역 휴지.
1945년8월 14일오후 1시경, 타케무라역으로 향하는 열차가 도착 100m 앞에서 미국군의 P-51 전투기로부터 총격을 받음. 즉사 2명, 중경상자 75명[84]
1946년8월 1일오하마구치 지선 폐지[73]
1948년5월 16일미카와요시다역-가마고리역 간을 가마고리선으로 분리.
1949년12월 1일카미야역을 마쓰키지마역으로 개칭.
1950년9월 17일다이어 개정. 지리 연락선을 경유하여 나고야 본선과의 직통 운전을 개시[85]
1952년3월 1일카리야정역을 카리야시역으로 개칭.
1953년9월 25일태풍 13호 피해로 해선 구간 침수.
1954년4월 1일오하마항역을 헤키난역으로 개칭.
1955년2월 1일신카와구치 지선 폐지[73]
1956년3월 23일아부라가와 연 배수로 교량 개축 공사 준공[86]
1958년6월 27일아스케역-니시나카네역 간 면허 실효, 연장 계획 포기.
1959년4월 1일다이어 백지 개정. 지리역(2대)을 미카와지리역·히가시지리역으로 하고, 새롭게 지리역(3대) 설치, 배선 변경[87]。최고 속도 65km/h에서 75km/h로 인상[88]。카리야 승무구를 지리 승무구로 이전[89]
10월 1일고모역을 도요타시역으로 개칭.
11월 1일미카와요시다역을 키라요시다역으로 개칭.
12월 3일이세만 태풍 피해로 오하마 린코선 운송 전용선 폐지[90]
1964년9월 14일다이어 개정. "쾌속 특급" 운전 개시(5000계(초대)·5200계 사용, 미카와선 내는 보통 운전)[91]
1966년3월 25일다이어 개정. "쾌속 특급" 노선 내 특급 운전 개시[92]
1969년4월 5일기타테라쓰역 폐지.
1972년7월 13일쇼와 47년 7월 호우로 니시나카네역-사루나와역 간 불통, 8월 10일 복구.
1975년시게하라역-미카와지리역 간 구선 폐지[25]
1976년4월 11일지리역-시게하라역 간 복선화.
1977년3월 20일다이어 개정. 정기 특급 전폐[93]
1979년3월 26일우메쓰보역 주변 고가화[112]
1980년12월 14일카리야역-카리야시역 간 복선 고가화[118]
1981년12월 14일신스마역(4대)을 이전, 헤키난추오역으로 개칭.
1983년10월요시하마역·타카하마항역 봉선화[94]
1984년1월 1일화물 영업 폐지.
4월 1일지리 연락선 폐지.
1985년3월 14일다이어 개정. 니시나카네역-사루나와역 간 전기 운전 폐지, 레일 버스 투입, 원맨 운전 개시[95]
9월 15일키라요시다역-헤키난역 간 폐색 방식을 태블릿 폐색식에서 표권 폐색식으로 변경.
12월 1일우메쓰보역-도요타시역 간 단선 고가화[112]
1986년10월 1일우메쓰보역-도요타시역 간 복선화[112]
1990년7월 1일헤키난역-키라요시다역 간 전기 운전 폐지, 레일 버스 투입, 원맨 운전 개시.
1993년8월 12일다이어 개정. 지리역-헤키난역 간 낮 시간 20분 간격에서 15분 간격으로 증편[96]
1994년7월미카와타카하마역 교상역사화.
1996년4월 8일다이어 개정. 사루나와역-지리역 간 낮 시간 20분 간격에서 15분 간격으로 증편[97]
10월 4일고시도역-우메쓰보역 간 1.1km 고가화[98]
1998년11월 30일미카와난-테라쓰 간 고가화(테라쓰 고가교)[119]
1999년7월 3일고시도역 주변 고가화[110]
2001년10월 1일다이어 개정. 사루나와역-지리역 간 역 집중 관리 시스템 도입, 원맨 운전 개시[99]
2002년마에카와 하천 개수 공사로 코가이에역 북쪽 300m 복선화.
2003년10월 1일사루나와역-지리역 간 각 역에 트랜스 패스 도입[100]
2004년4월 1일니시나카네역-사루나와역 간, 헤키난역-키라요시다역 간 폐지[27]
2005년9월 14일지리역-헤키난역 간 각 역에 역 집중 관리 시스템, 트랜스 패스 도입.
2006년4월 29일다이어 개정. 지리역-헤키난역 간 원맨 운전 개시[101]
2009년12월 12일미카와야하시역 주변 고가화, 역 남쪽 약 500m 복선화[116]
2010년3월 27일도바시역 교상역사화.
2011년2월 11일IC 카드 승차권 「manaca」공용 개시.
2012년2월 29일트랜스 패스 공용 종료.
2020년10월 1일헤키난역-키라요시다역 간 대체 버스 프렌드 버스에서 manaca 사용 가능[102]
2021년2월 1일와카바야시역 종일 무인화[103]
2023년3월 4일와카바야시역 부근 고가화 사업으로 와카바야시역 전후 구간 가선 이행[104], 지리역-사루나와역 간 홈 센서 운용 종료[105]
7월 1일사루나와역 종일 무인화[106]
2024년3월 16일미카와지리역 약 900m 미카와야하시쪽 이전[107](영업 킬로미터 19.8 km 지점[108])
2026년3월와카바야시역 부근 고가화 완료 예정[109]



4. 1. 미카와 철도 시대

1910년 11월, 카리야 출신의 국회의원 미우라 잇페이와 카리야의 유력자 오노 케이조, 오타 헤이에몬, 타카노 마츠지로 등과 오사카의 사이가 전기상회의 사이가 토키치 등 총 31명이 발기인이 되어, 오하마(현재의 헤키난시)에서 타카하마를 잇고, 카리야역에서 도카이도선에 접속하여 헤키카이 군청이 있는 지류를 잇는 헤키카이 경편철도[51](궤간 762mm, 동력 증기)를 신청했다.

1911년 7월에 면허가 내려졌지만, 같은 해 8월에 지류 - 코토(토요타시)의 부설 면허가 내려진 사이가가 발기인 총대인 지쿄 경편철도[52](궤간 762mm, 동력 증기)와 합병하게 되어, 1912년 5월에 창립 총회를 열고 사장은 지역의 타케야마 칸시치가 취임[54]했다. 사명을 '''미카와 철도'''로 하고, 궤간을 762mm에서 1067mm로 변경할 것을 결의했다.

신카와를 건너는 미카와 철도의 화물 열차


1913년 1월 카리야에서 오하마항까지의 공사에 착수했지만, 불황으로 주식 불입이 부진했고, 또한 주주들로부터 경영자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면서 타케야마 칸시치는 사장직을 사임했다. 쿠보 후소로 바뀌었다. 마침내 1914년 2월에 카리야 신역 - 오하마항역 구간, 1915년 10월 카리야 신역 - 지류역 구간과 구 헤키카이 경편철도의 구간이 개업했다. 다만 그 사이 사내에서는 1914년 9월에 쿠보가 사망하고, 더 나아가 사업 부진의 책임을 지고 임원 전원이 사임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곤란해진 주주들은 카미야 덴베에에게 사장 취임을 요청하여 1916년 4월에 카미야가 사장이 되었다[18]

개업 당시에는 오하마항(현재의 헤키난), 신카와초, 타카하마항, 요시하마, 코가이에, 카리야초(현재의 카리야시), 카리야 신(현재의 카리야)의 각 역과 키타신카와의 정류장이 설치되었으며, 14.5km의 구간을 1시간 이상 걸려 운행했다[19]

카미야는 1916년 11월에 임시 주주 총회를 열어 사루토고에토까지 노선을 연장할 것과 자본금을 125만 엔으로 할 것을 제안하여 결의를 얻었다. 그리고 스스로 연선 町村을 돌아다니며 주식 인수를 의뢰했고 응모는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노선은 1920년 7월부터 순차적으로 개통되어 1922년 1월 코에토역까지 개통되었다. 개통 직후 재정을 회복한 카미야는 4월에 사망했다[20]。 잠시 동안 사장은 공석 상태가 지속되었고, 전무로 도쿄 와타나베 은행의 와타나베 카츠사부로가 취임했다. 1924년 2월에는 증자하여 자본금을 525만 엔으로 하고 북쪽은 아스케초, 남쪽은 하마마츠초로의 연장과 기존선의 전철화를 결정했다[22]1926년 11월에 2대 카미야 덴베에가 사장으로, 전무에는 전기 철도 경영의 전문가로서 이나 전기 철도 사장 이하라 고로베에가 취임했다[23]1926년 9월에 카미야역(후의 마츠키시마역)까지 연장되었고, 1928년에는 미카와 요시다역(현재의 키라 요시다역)까지 개통되었다[24]。 개통 시에 카미야역이라고 불린 마츠키시마역은, 카미야 덴베에의 출생지로, 그 공적을 기리기 위해 역명을 카미야로 했다. 1941년에 미카와 철도는 나고야 철도에 합병되었다.

미카와 철도가 건설, 개통한 연혁은 아래와 같다.

년도날짜내용
1911년7월 18일헤키카이 경편 철도에 철도 면허장 하부(지리-오하마 간)[51]
8월 5일지코 경편 철도에 철도 면허장 하부(지리-고모 간)[52]
1912년5월 30일미카와 철도 설립[53][54]
1914년2월 5일미카와 철도가 카리야신역-오하마항역(현, 헤키난역) 간 개업[55]
9월 4일철도 면허장 하부(니시카모 군 고모정-동군 사루나와 촌 간)[56]
1915년7월 10일임시역으로 신스마역(초대) 개업. 연내 폐지[57]
8월 17일신카와정역-신카와구치역 간(신카와구치 지선) 개업(화물 운송)[58]
10월 28일지리역(초대)-카리야신역 간 개업[59]
11월 29일오하마항역-오하마구치역 간(오하마구치 지선)이 개업[60]
1916년6월 9일임시역으로 신스마역(2대) 개업 신고. 연내 폐지[57]
1918년2월 15일임시역으로 신스마역(3대) 개업[57]
3월 2일신스마역(3대) 폐지.
4월 20일미카와타카하마역 개업[61]
1920년7월 5일지리역(초대)-도바시역 간 개업[62]
8월 31일도바시역-가미고모역 간이 개업[63]
11월 1일가미고모역-고모역(현, 도요타시역) 간이 개업[64]
12월 2일철도 면허장 하부(헤키카이 군 오하마정-호이 군 가마고리정 간)[65]
1921년11월 2일철도 면허장 하부(니시카모 군 사루나와 촌-히가시카모 군 아스케정 간)[66]
1922년1월 17일고모역-고시도역 간 개업[67]
1923년4월 6일시게하라역 개업[68]。임시역[69]
10월 26일우메쓰보역 개업[70]
1924년10월 31일고시도역-사루나와역 간 개업[72]
1926년2월 5일오하마항역-사루나와역 간 전철화[53]。상설역으로 신스마역(4대) 개업[73]。시게하라역이 상설역으로 승격[69]
9월 1일오하마항역-카미야역(후의 마쓰키지마역) 간 개업, 오하마구치 지선의 마일리지를 0.1마일(약 160m) 단축[74]
1927년3월 25일테라쓰역 이전.
5월 19일요사미 송신소 건설의 자재 수송을 위한 요사미 촌 오아자 타카스야마노다까지의 임시 전용선이 개통.
7월 11일임시 전용선의 운전 개시.
7월 25일기타테라쓰역 개업[68]
8월 26일사루나와역-에다시타역 간 개업[75]
9월 17일에다시타역-미카와히로세역 간 개업[76]
9월 30일임시 전용선 폐지.
10월 25일아지하마역을 니시잇시키역으로 개칭[68]
11월 10일카리야신역을 이전하여 카리야역으로 개칭, 국철과의 공동역으로 함[68]
1928년1월 22일미카와히로세역-니시나카네역 간 개업[77]
4월 1일와카바야시역 부근에서 브레이크 고장으로 인해 돌진한 열차가 대향 열차와 정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78][79](일본의 철도 사고 (1949년 이전) 참조).
6월 1일아이치 전기 철도가 지리역(초대)-분기점 신호소(후의 지리 신호소) 간(지리 연락선) 개업.
8월 25일카미야역-미카와요시다역 간이 개업[80]
1935년타마쓰우라역의 역외 측선으로 오하마 린코선 운송 전용선 개통[73]
1936년11월 10일가마고리 방면 연장선(미카와요시다역-가마고리역 간) 전구간 개통[81]
1941년6월 1일나고야 철도가 미카와 철도를 합병, 니시나카네역-가마고리역 간을 미카와선으로 함[82]



송신소 건설용 전용선


카리야정역

4. 2. 나고야 철도 합병 이후

1941년 6월에 나고야 철도(메이테쓰)와 합병되었고,[2] 1943년에 미카와 요시다-키라 요시다 구간이 개통되어 가마고리선니시오선과 연결되었다.

1930년대에는 니시 나카가네에서 아스케까지 약 8km 연장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태평양 전쟁 발발 및 물자 부족으로 인해 철도가 부설되지 못했다. 1958년에 연장 제안은 공식적으로 폐기되었고, 노반은 공공 도로로 전환되었다.

1984년에 화물 운송이 중단되었고, 승객 감소로 인해 1985년에는 사나게-니시 나카가네 구간, 1990년에는 헤키난-키라 요시다 구간의 전철화가 해제되었다. 이후 디젤 동차(DMU)가 여객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승객 감소는 계속되어 두 구간 모두 2004년에 폐쇄되었다.

미카와 철도의 자회사 신미카와 철도가 취득했던 야고토(나고야시) - 고로마 간 철도 부설 면허는, 회사 합병으로 미카와 철도, 메이테쓰로 이어졌고, 우여곡절 끝에 메이테쓰 도요타 선의 아카이케 - 우메쓰보 구간으로 개통되었다.

4. 3. 양쪽 끝 구간 폐지

1984년에 화물 운송이 중단되었고, 승객 감소로 인해 1985년에 사나게-니시나카네 구간의 전철화가 해제되었으며, 1990년에는 헤키난-키라요시다 구간이 해제되어 디젤 동차(DMU)가 여객 서비스를 제공했다.[2] 승객은 계속 감소했고, 두 구간 모두 2004년에 폐쇄되었다.

야마선의 종착역은 니시나카네 역이었지만, 미카와 철도가 당초 아스케까지 연장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세계 대공황의 영향과 용지 매입의 난항 등으로 아스케 부근의 건설에 지장을 주었고, 노반 대부분이 완성되었을 때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다. 부설될 예정이었던 레일은 남방 전선에 공출되었고, 결국 전차가 달리지 못했던 과거 노반은 현재 좁은 시도로 남아 있다. 아스케는 단풍 명소로 알려진 고란케이가 있어, 매년 가을 시즌이 되면 국도 153호선(이다 가도)이 심한 교통 체증을 겪고 있다.

폐지 시점 기준 각 구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구간폐지 연도노선 거리
(영업 킬로)
궤간역 수복선 구간전철화 구간폐색 방식
니시나카나 - 사루토 구간2004년8.6km1067mm4[10]없음 (전 노선 단선)없음 (전 노선 비전철화)스태프 폐색식 (니시나카나 - 사루토 간에서 1폐색)
헤키난 - 키라요시다 구간2004년16.4km1067mm11[11]없음 (전 노선 단선)없음 (전 노선 비전철화)표권 폐색식[12]
신카와구치 지선1955년0.6km1067mm1[13]없음 (전 노선 단선)직류 1500V
오하마구치 지선1946년0.4km1067mm1[14]없음 (전 노선 단선)불명


4. 4. 복선화 계획

지류-시게하라 구간은 1976년에, 가리야-가리야시 구간은 1980년에, 우메쓰보-도요타시 구간은 1986년에 각각 복선화되었다. 도요타시-지류 구간 복선화는 제안되어 일부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지방 정부와의 자금 문제로 추가 작업은 중단된 상태이다. 시게하라-가리야 구간 복선화 부지는 확보되었지만, 메이테쓰는 이 구간 이용객 수가 복선화를 정당화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미카와 철도는 야마 선 종착역인 니시나카네 역에서 아스케까지 노선 연장을 계획했다. 그러나 세계 대공황과 용지 매입 난항으로 아스케 부근 건설에 차질이 생겼고, 노반 대부분이 완성되었을 때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다. 부설 예정이던 레일은 남방 전선에 공출되었고, 전차가 달리지 못한 노반은 현재 좁은 시도로 남아 있다. 아스케는 단풍 명소 고란케이가 있어, 가을마다 국도 153호선(이다 가도)의 심한 교통 체증이 발생한다.

미카와 철도 자회사 신미카와 철도가 취득했던 야고토(나고야시)-고로마 간 철도 부설 면허는, 회사 합병으로 미카와 철도, 메이테쓰로 이어져 메이테쓰 도요타 선 아카이케-우메쓰보 구간으로 개통했다.

도요타시에 본사를 둔 토요타 자동차나고야역 앞 미드랜드 스퀘어에 영업 부문을 집결시키고, 연선 공장 출퇴근 전차 이용을 추진하면서 야마 선 수송 인원 증가가 기대되었다. 메이테쓰는 2006년 신 3개년 경영 계획에서 메이테쓰 공항선과 함께 "고가화, 복선화, 고속화 등 수요에 따른 투자를 다각적으로 실시한다"라고 명시하고, 지리역-도요타시역 복선화 계획을 검토했다.

도요타시는 복선화 용지 취득 비용에 미온적인 메이테쓰를 대신해 독자적으로 구획 정리, 입체 교차 사업을 추진하여 고가화를 계획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다. 2009년 완성된 미카와 야츠하시역 부근 고가화, 2020년 현재 사업 중인 와카바야시역 부근 고가화는 모두 복선화 가능 폭을 확보했으며[49], 우와고모역-미카와 야츠하시역 간 평면 구간은 2027년 리니어 개업에 맞춰 복선화가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49]。 도바시역은 2010년 3월 27일 교상화가 완료되어 지리 방면 증선(2면 4선화)이 가능하며, 와카바야시역은 고가화 후 2면 4선으로 할 예정이다[50]

지리역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은 가역 정비, 주변 정비 사업이 시작되었지만, 전체 완성 예정은 2028년으로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다. 지리시 계획에서는 시게하라역까지 부분 복선화된 해선 측 고가화 공사는 복선 대응으로 실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단선인 야마 선 측은 미카와지리역까지 복선화 대응, 미카와지리역-미카와 야츠하시역 구간은 단선 고가화 계획이었다. 이는 사업비 절감을 위해 메이테쓰와 확약되지 않은 복선화를 선행하지 않는 소극적 판단 때문으로, 도요타시와 대조적이다. 그러나 지리시는 사업비 압축과 역세권 확대를 위해 미카와지리역 고가화 계획을 취소하고, 지리시 야마초 차우스야마로 이전하여 지리역-미카와지리역 사이를 복선화하게 되었다.

해선에서는 1967년 9월 연선 4개 시가 메이테쓰 미카와선 복선화 촉진 기성 동맹회를 결성, 1976년 지리역-시게하라역, 1980년 카리야시역 고가화에 따른 카리야역-카리야시역 간 복선화가 이루어졌다. 1981년 헤키난추오역 이설 개업에서는 1면 1선 구조로 복선화 대응이 보류되었다. 1984년 화물 영업 폐지 후 요시하마역, 타카하마항역도 봉선화되었다. 2002년 하천 개수에 따른 오가키에역 주변 공사에서 카리야시역 쪽 약 300m 복선 구간이 완성되었다. 시게하라역-카리야역 간은 전선 복선 용지가 확보되었고, JR 도카이도 본선 교량도 복선으로 준비되어 있다.

5. 운행 형태

메이테쓰 미카와선은 지류역을 경계로 야마선과 우미선으로 운행 계통이 나뉜다. 두 노선을 직통하는 열차는 없지만, 운행 계획상으로는 지류행 열차가 지류역에서 헤키난행이나 사루토행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나고야 본선 직통 열차는 계속 줄어들어 현재는 없으며, 모두 보통 열차로만 운행된다. 과거에는 야마선과 우미선 모두 본선 직통 특급이 운행된 적이 있다.

5. 1. 야마선

야마선 구간은 5시대, 23시대를 제외하고 종일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이 구간에는 역 집중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으며, 2001년 10월 1일 개정부터 원맨 운전이 시작되었다[99]. 원맨 운전 개시 당초, 지류역, 도요타시역, 사나게역을 제외한 각 역에는 홈 센서라고 하는 적외선 센서[120]가 설치되어, 열차 출발 직후의 열차 접촉을 감지하게 되어 있었다[121]. 이 시스템은 야마선 구간에만 정비되었지만, 와카바야시역 고가화 사업에 따른 가선 이행이 2023년 3월에 실시되었을 때 홈 센서도 폐지되어, 해선 구간이나 다른 선구와 마찬가지로 역에 설치된 카메라 및 모니터에 의한 안전 확보로 전환되었다[105].

우메쓰보역 - 도요타시역 사이에는 메이테쓰 도요타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쓰루마이선, 메이테쓰 이누야마선 직통 열차가 운행된다. 아카이케 방면에서 오는 열차와 연결하기 위해, 지류행 열차는 도요타시역에서 5분에서 7분 정도 정차한다. 그 외, 도바시역에서 야간 체박하는 도요타선의 운용 차량 출고를 겸하여, 도바시 발 도요타시행이 6시대와 7시대에 1개씩 설정되어 있다(공휴일은 5시대와 6시대)[122]. 도요타 스타디움에서 이벤트 개최 시 등, 임시 열차를 증편할 때에는 선내의 열차 교환 설비를 모두 사용하여 편도만 매시 6개까지 증편이 가능하다[123]. 통상의 15분 간격 운행에서는 미카와지류역, 와카바야시역, 도바시역, 도요타시역, 고시도역에서 열차 교환이 이루어진다(1역마다).

야마선의 최장 편성은 지하철 직통용 6량 편성을 제외하면 4량이다(단, 사나게역에 유치선이 있어 차량 검사나 소외 유치로 야마선 전선에 걸쳐 6량 편성의 회송이 운전되는 경우가 있다). 평일 낮 시간대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2량 편성이 중심이지만, 평일 러시아워에는 4량 편성이 운행된다.

1993년 7월 29일에는 도요타시역에서 개최된 이벤트 참가자 수송을 위해, 도요타시역까지 본선에서 직통하는 쾌속급행이 운행되었다(6000계 등 사용)[124].

메이테쓰 표준 방향막에는 통상 미카와선 정기 열차에서 사용되는 지류, 사나게 외에 도요타시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벤트나 사고 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사고 등의 이상 시에는 방향막 설정이 없는 도바시행이 운행될 수 있다.

도요타 자동차와 그 관련 기업의 공장으로의 통근 노선이기도 하지만, 아이치 환상 철도와는 달리 도요타 캘린더로 가동일이 되는 공휴일은 평일 시간표가 아닌 통상의 공휴일 시간표로 운행된다.

5. 2. 우미선

2004년에 미카와선 양 끝 구간(니시나카가네역 - 사나게역 간, 헤키난역 - 키라요시다역 간)이 폐지되기 전[27], 폐지 구간에서는 레일 버스를 사용하여 구간 내 왕복 단독 운전으로 60분 간격 운행이 이루어졌다. 입출고를 위해 지류까지 직통하는 열차도 있었으며, 평일 아침에만 미카와히라사카역에서 회차 및 열차 교환이 이루어졌다.

폐지 전 운행 편수는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고 매시 1편 정도로, 모든 열차가 원맨 운전이었다. 승객이 많은 시간에는 최대 3량(키하 10형의 경우. 키하 20형・키하 30형에서는 2량)으로 운행되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 해선 구간에서는 약 15분 간격으로 선내 왕복 운행을 하고 있다. 평일 낮과 토요일, 휴일에는 2량 편성 위주로 운행하지만,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4량 편성으로 늘어난다. 2005년부터 역 집중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2006년 4월 29일부터 원맨 운전이 시작되었다[101]。 초기에는 고마키선에서 채택된 역 설치 카메라와 운전대 소형 액정 모니터를 이용한 원맨 운전이 이루어졌으나, 2021년부터는 역에 설치된 카메라 및 모니터를 통해 안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과거 운전대에 원맨 운전용 소형 액정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철거되었다.


이 구간의 최장 편성은 4량이다(가리야역은 6량 대응). 지류역 - 시게하라역 구간 및 기타신카와역에서 열차 교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가키에 - 미카와 타카하마 왕복에 10분 이상 소요되므로, 이 이상의 증편은 어렵다.

2005년 1월 29일 이전에는 나고야 본선 직통 열차가 다수 운행되었지만, 같은 날 개정으로 대부분 폐지되었다[125]。 정기 열차는 모두 지류역 - 헤키난역 구간을 운행하지만, 사고 등으로 가리야시역에서 회차하는 열차가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128]

가리야시역 회차 임시 열차

6. 사용 차량

메이테쓰 미카와선은 현재 6000계·6500계, 100계·200계, 3050형·N3000형 등을 운용하고 있다. 야마선의 우메쓰보 - 도요타시 구간은 도요타선 전동차가 운행하며, 그 외 구간은 기본적으로 원맨 운전 대응 차량이 운행한다.

원맨 운전 대응 차량은 자동 방송 장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 운전석 방송용 마이크, 데드맨 장치 등을 갖추고 있지만, 도시형 원맨이므로 정리권 발행기나 운임함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과거에는 7100계, 7700계, 6800계, 5000계, 3000형 등이 운행되었다. 이 외에도 3500계, 1800계, 5700・5300계, 7300계, 3730계, 키하 20・30형 등 다양한 차량들이 본선과의 직통 열차, 단체 열차, 비전철 구간 폐지 전 레일 버스 등으로 운행된 바 있다.[110]

6. 1. 현재 사용 차량

6000계·6500계, 100계·200계, 3050형·N3000형 등이 사용된다. 야마선의 우메쓰보 - 도요타시 구간은 도요타선 전철이 운행한다. 그 외 구간은 기본적으로 원맨 운전 대응 차량으로 운행되며, 차내 방송은 자동 방송으로 이루어진다.[129]

원맨 운전 대응 차량은 자동 방송 장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 운전석 방송용 마이크, 데드맨 장치 등을 갖추고 있지만, 도시형 원맨이므로 정리권 발행기나 운임함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차량들은 간이로 나고야 본선 등 다른 노선에서도 운용된다. 무인역에서는 승강장 쪽 모든 문이 열린다.

  • 6000계·6500계: 통근형 3도어 차량으로 원맨 사양은 전 좌석 롱시트이다. 2량 편성 및 4량 편성이 있다. 개폐 가능한 상향 창을 가진 편성은 승강장 센서 대응을 위해 원맨화에 따라 측창 하부에 보호봉이 설치되었다. 7100계와 7700계 운용 종료 후, 모든 열차가 6000계로 운행되었지만, 승강장 센서 폐지 후에는 원맨 대응 6500계도 운용된다.[130]

6000계(원맨 대응 차량)

  • 100계·200계, 나고야 시 교통국3050형·N3000형: 쓰루마이선 규격의 20m 4도어 차량으로 6량 편성이다. 전 좌석 롱시트이다. 미카와선에서는 기본적으로 도요타시 - 우메쓰보 간 1개 구간만 운행하지만, 메이테츠 차량만 이른 아침 2편 도바시도요타시 행 운용이 있다. 이 운용에서는 방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백막과 계통판 사용), 자동 방송도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2020년 12월 1일부터 방향막을 사용한다. 미카와선 내에서는 6000계와 편성 방향이 반대이다 (이누야마선 내 방향 기준, 미카와선 내 도요하시 측 선두차가 6000계는 사루토 방면, 100계·200계는 지류 방면). 교통국 차량은 통상 미카와선 내 상기 외 구간에서는 운용되지 않지만, 드물게 도바시 - 도요타시 등에서 시운전을 하기도 한다.


야마선 연선에서 이벤트 개최로 열차 증편 시, 통상 미카와선용 원맨 차량만으로는 부족하여 3500계·3700계, 3300계, 9500계, 5000계 등이 투입되기도 한다. 단, 미카와선에서는 100계나 200계가 투입되는 사루토 - 도바시 간을 제외하고 VVVF 차량 투입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6. 2. 과거 사용 차량


  • 7100계: 원래 7000계 (파노라마카)의 중간차로 1975년에 12량이 제조되었다. 1984년에 2량(모7101호와 모7104호)이 6000계 8차차와 유사한 스타일의 선두차로 개조되었다. 1987년에 2량 편성으로 재편성되었고, 2001년에는 원맨화되어 7700계와 함께 운행되었다. 7700계와 마찬가지로 2도어 전환 크로스 시트 차량이었지만, 롱 시트 비율이 높았다. 2009년 11월 27일에 정기 운행을 중단하고, 이틀 뒤 작별 운전을 실시했다.[110]

7700계

  • 7700계: 세미 파노라마카로 불리며, 7000계가 진입할 수 없는 지선 구간의 특급 차량으로 운행되었다. 1973년에 4량 편성 4개, 2량 편성 4개가 도입되었다. 특급 운행 중단 후 미카와선을 중심으로 운행되었으며, 2001년에 8개 편성 모두 원맨화되었다. 2010년 3월 21일에 작별 운전이 실시되었다. 운행 종료 시점에서 메이테쓰에서 유일하게 방향막을 갖추지 않은 차량이었다.[110]
  • 6800계: 미카와선 전선 원맨화에 따라 정기 운행은 없어졌지만, 2009년 10월 5일 차량 운용 일부 변경으로 평일 오후 해선에 1왕복 정기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1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원맨 차량에 의한 운용으로 돌아가 정기 운행을 다시 중단했다.[110]
  • 5000계: 2008년 6월, 2009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사루나게 검차구(현 사루나게 검차 지구)로 소외 유치된 5000계 일부 편성에 의한 정기 운행이 주 1왕복 설정되었다.[110]
  • 3000형: 1979년 도요타선 개통 시부터 도요타시 - 우메쓰보 사이에 운행했다. 순차적으로 N3000형으로 교체되어 2023년에 운행을 종료했다.[110]
  • 기타: 3500계, 1800계, 5700・5300계 등이 본선과의 직통 열차로 정기 운행이 있었고, 1990년대 중반까지는 7300계, 3730계 등의 정기 운행도 있었다. 7000계도 과거 임시 특급으로 사루나게까지 운행했다. 단체 열차로는 8800계나 1000계도 운행한 적이 있다. 비전철 구간 폐지 전에는 레일 버스 키하 20・30형도 운행했다.[110]

7. 이용 현황

메이테쓰 미카와선의 2010년(헤이세이 22년) 수송 인원은 29,984천 명(1일 평균 82,147명)이었으며, 수송 밀도는 16,758명이였다.[131] 2004년에 폐지된 구간(니시나카 - 사나게, 헤키난 - 기라요시다)을 포함해도 2002년 1일 평균 72,424명, 2003년 1일 평균 74,200명으로, 전체 노선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25km 구간이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송 인원에 큰 변화가 없었다.

사나게역, 도요타시역, 카리야역, 카리야시역 등의 이용객은 최근 몇 년 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해당 역 주변 지역의 인구 증가 및 경제 발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도요타시는 도요타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한국의 울산과 유사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카리야시는 도요타시의 위성 도시로서, 한국의 창원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4)路線別1日当たり輸送人員 http://www.pref.aich[...] Aichi Prefecture 2007
[2] 서적 地下鉄の歴史首都圏・中部・近畿圏 グランプリ出版 2004-06-19
[3] 논문 輸送と運転 近年の動向 電気車研究会 2009-03
[4] PDF 名古屋鉄道の全駅で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s://web.archive.[...] 名古屋鉄道 2016-03-14
[5] 문서
[6] 문서
[7] 서적 名鉄時刻表 Vol.26 名古屋鉄道
[8] 문서
[9] 서적 名古屋鉄道 今昔―不死鳥「パノラマカー」の功績 交通新聞社 2017-08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名古屋鉄道社史 名古屋鉄道
[16]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17] 웹사이트 鉄道高架化通信 第23号 https://www.city.toy[...] 豊田市建設部街路課 2022-11
[18] 문서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第24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19] 문서
[20] 서적 名古屋鉄道社史 名古屋鉄道
[21] 문서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第31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22] 서적 名古屋鉄道社史 名古屋鉄道
[23] 문서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第35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24] 문서
[25] 서적 名古屋鉄道の貨物輸送 フォト・パブリッシング
[26] 뉴스 名鉄三河線 碧南 - 吉良吉田間 来年3月末で廃止 2003-02-28
[27] 뉴스 名鉄三河線 猿投-西中金間と碧南-吉良吉田間 2線区廃止 バス代替輸送 交通新聞社 2004-04-07
[28] 뉴스 三河線も一部ワンマンに 名鉄、来月レールバス投入 交通新聞社 1990-06-23
[29] 뉴스 名鉄が赤字鉄道廃止 岐阜・愛知両県の6線区 地元に意向 1998-11-25
[30] 뉴스 名鉄 三河線など赤字6線区 廃止、9月までに届け出 2000-03-03
[31] 뉴스
[32] 뉴스
[33] 뉴스 名鉄三河線碧南 - 吉良吉田間 バス化など代替交通検討へ 廃止視野に 西尾市長が検討 2001-02-28
[34] 뉴스 '『来年度にもバス化を』 名鉄三河線 碧南 - 吉良吉田間 西尾市長が表明' 2001-06-05
[35] 뉴스
[36] 뉴스 名鉄 廃線は予定通り 三河線猿投 - 西中金間 住民要望に回答 『中日新聞』 2002-11-26
[36] 뉴스 名鉄三河線の猿投 - 西中金間地元5市町 存続断念 『中日新聞』 2002-12-03
[37] 뉴스 三河線廃線を届け出 『中日新聞』 2003-03-28
[38] 뉴스 三河線の廃止届提出 『中日新聞』 2003-08-07
[39] 뉴스 県議会 委員会 三河線区間廃止方針 県側『遺憾』と不快感 国と県が大半出資 高架化間もない… 『中日新聞』 2000-03-17
[40] 서적 新・鉄道廃線跡を歩く3 北陸・信州・東海編 JTBパブリッシング
[41] 웹사이트 枝下町自治区 http://www.city.toyo[...] 豊田市 2016-03-21
[42] 간행물 名鉄三河線 “海線”と“山線”を語り継ぐ人たち 鉄道ジャーナル社 2012-06
[43] 웹사이트 平成26年度第12回猿投台地域会議 会議録 https://web.archive.[...] 豊田市 2015-01-15
[44] 웹사이트 廃線跡を利用した配送をテーマに無人飛行ロボットの実証実験を実施します https://www.nnk.co.j[...] 中日本航空 2019-10-23
[45] 웹사이트 名鉄跡地に作られる公園の名称を「碧南レールパーク」に決定しました http://www.city.heki[...] 碧南市 2016-03-21
[46] 웹사이트 名鉄跡地緑地整備事業の概要について http://www.city.heki[...] 碧南市 2016-03-21
[47] 웹사이트 碧南レールパーク http://www.city.heki[...] 碧南市 2020-10-31
[48] 웹사이트 公園 [碧南レールパーク] https://www.g-mark.o[...] 公益財団法人日本デザイン振興会 2020-10-31
[49] 문서 豊田市議会定例会 2018-06-13
[50] 웹사이트 平成27年第2回愛知県都市計画審議会 https://www.pref.aic[...] 愛知県 2016-02-08
[51] 웹사이트 「軽便鉄道免許状下付」『官報』1911年7月2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52] 웹사이트 「軽便鉄道免許状下付」『官報』1911年8月10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53] 웹사이트 『地方鉄道及軌道一覧 昭和10年4月1日現在』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54] 웹사이트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第21回』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55] 웹사이트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4年2月10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56] 웹사이트 「軽便鉄道免許状下付」『官報』1914年9月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57] 웹사이트 日本鉄道旅行地図帳 追加・訂補 7号 東海 http://www.railforum[...] 鉄道フォーラム 2014-10-20
[58] 웹사이트 「軽便鉄道貨物運輸開始」『官報』1915年8月23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59] 웹사이트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11月6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0] 웹사이트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12月1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1] 웹사이트 「軽便鉄道停留場設置」『官報』1918年4月2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2]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0年7月8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3]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0年9月6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4]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0年11月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5] 웹사이트 「鉄道免許状下付」『官報』1920年12月3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6] 웹사이트 「鉄道免許状下付」『官報』1921年11月3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7]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2年2月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68] 서적 神谷傳兵衛 中日新聞社
[69] 서적 碧海の今昔 樹林舎
[70] 서적 名古屋鉄道社史 名古屋鉄道
[71] 간행물 "「地方鉄道駅設置」『官報』1923年11月29日" "{{NDLDC|2955528/4}}[...]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72]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4年11月7日" "{{NDLDC|2955811/4}}[...]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73] 웹사이트 棚尾の歴史を語る会 テーマ81 「名鉄臨港線大浜口駅」 - 第50回 棚尾の歴史を語る会 次第 http://www.city.heki[...] 碧南市 2016-03-27
[74]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並営業哩程変更」『官報』1926年9月10日" "{{NDLDC|2956365/5}}[...]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75]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7年9月17日" "{{NDLDC|2956678/7}}[...]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76]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7年9月23日" "{{NDLDC|2956683/6}}[...]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77]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8年1月30日" "{{NDLDC|2956785/6}}[...]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78] 뉴스 新愛知 1928-04-02
[79] 뉴스 朝日新聞 1928-04-02
[80]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8年9月4日" "{{NDLDC|2956969/4}}[...]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20
[81]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36年11月18日" "{{NDLDC|2959447/11}[...]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4-10-19
[82]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83]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84]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85]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86]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87]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88]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89]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90] 웹사이트 棚尾の歴史を語る会 テーマ82 「大浜臨港線運送株式会社」 - 第50回 棚尾の歴史を語る会 次第 http://www.city.heki[...] 碧南市 2016-03-27
[91] 논문 名古屋鉄道各線相互の直通運転 電気車研究会 1971-01
[92]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93] 서적 三河を走って85年―三河線・挙母線とともに歩んだ郷土の歴史と文化 郷土文化社
[94] 서적 名鉄の支線、廃線 アルファベータブックス
[95]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96] 논문 1993年8月 地下鉄鶴舞線全通と名鉄ダイヤ改正 電気車研究会 1993-10
[97] 서적 名鉄時刻表 Vol.13 名古屋鉄道
[98] 뉴스 三河線越戸駅付近高架化が一部完成 名鉄 交通新聞社 1996-09-10
[99] 논문 2001年10月1日 名古屋鉄道ダイヤ改正 電気車研究会 2002-01
[100] 논문 鉄道記録帳2003年10月 鉄道友の会 2004-01-01
[101] 서적 まるごと名古屋の電車 激動の40年: 愛知・三重・岐阜 昭和後期 - 平成 鉄道の記録 河出書房新社
[102] 웹사이트 ふれんどバス - 西尾市役所 https://www.city.nis[...]
[103] 웹사이트 三河線 若林駅の窓口営業時間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0-12-21
[104] 웹사이트 三河線若林駅付近高架化事業に伴い2023年3月4日から仮線に切り替えて運行します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3-01-16
[105] 웹사이트 鉄道高架化通信 第24号 https://www.city.toy[...] 豊田市建設部街路課 2022-12
[106] 웹사이트 一部の駅における窓口係員配置時間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3-05-28
[107] 간행물 知立駅付近連続立体交差事業に伴う三河線三河知立駅の移設開業について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3-09-01
[108] 서적 JTB私鉄時刻表 関西 東海2024 JTBパブリッシング
[109] PDF 鉄道高架化通信 第41号 https://www.city.toy[...]
[110] 서적 名鉄120年:近20年のあゆみ 名古屋鉄道
[111] 학술지 名鉄の主要建設・改良工事 電気車研究会 1979-12
[112] 서적 三河を走って85年―三河線・挙母線とともに歩んだ郷土の歴史と文化 郷土文化社
[113] 웹사이트 連立事業パンフレット https://www.city.toy[...] 豊田市 2020-10-14
[114] 학술지 最近の鉄道施設改良工事の現状 電気車研究会 2009-03
[115] 웹사이트 安全報告書2010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0-10-14
[116] 웹사이트 名鉄三河線三河八橋駅が高架化され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09-12-15
[117] 웹사이트 知立駅付近連続立体交差事業パンフレットNO.1 (概要) https://www.pref.aic[...] 愛知県 2020-10-14
[118] 서적 刈谷市史 第4巻 現代 刈谷市
[119] 서적 名古屋近郊電車のある風景 今昔II JTB
[120] 문서
[121] 학술지 信号設備の概要 電気車研究会 2006-01
[122] 서적 名鉄時刻表 Vol.26 名古屋鉄道
[123] 웹사이트 鉄道高架化通信 第20号 https://www.city.toy[...] 豊田市建設部街路課 2022-08
[124] 학술지 名古屋鉄道 列車運転の興味 電気車研究会 2009-03
[125] 학술지 名古屋鉄道空港線開業―1月29日名鉄ダイヤ改正 電気車研究会 2005-05
[126] 서적 名鉄時刻表 Vol.20 名古屋鉄道
[127] 서적 名鉄時刻表 Vol.22 名古屋鉄道
[128] 뉴스 8月4日(金)発生のダイヤの乱れについて(お詫び)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3-08-04
[129] 문서
[130] 서적 私鉄車両年鑑2023 イカロス出版株式会社 2023-05-29
[13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