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마 (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마는 '악령을 몰아낸다'는 의미로, 종교적 의식이나 행위를 통해 악령이나 악마를 쫓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도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구마 의식이 존재하며, 각 종교와 문화에 따라 구마 방법과 절차는 다르다. 기독교에서는 구마사라는 특별한 사람이 정해진 기도문과 종교적 자료를 사용하여 악령을 쫓아내며, 가톨릭은 교회 당국의 허가와 구마 사제의 신앙심을 요구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구마를 명목으로 한 학대나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며, 정신 의학적 관점에서는 악령 들림을 질병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구마는 영화, 문학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 - 빙의
    빙의는 영혼, 악령, 신 등의 존재가 사람의 몸에 들어와 행동이나 의식을 지배하는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종교, 문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 학문적으로 정의와 분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 이루어진다.
  • 구마 - 구마예식
    구마예식은 악령을 쫓아내는 종교 의식으로, 기독교 시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나, 가톨릭교회는 엄격한 규정을 따르지만 과학적 근거 부족, 사회적 문제, 비판적 시각, 논란 사례 또한 존재한다.
구마 (종교)
기본 정보
이름구마
유형종교적 행위
목적악령, 악마 또는 기타 악한 영혼을 제거하거나 쫓아내는 것
관련 종교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기타 토착 신앙
기독교
특징악령에 사로잡힌 사람을 치료하기 위한 종교적 의식 또는 주문
시술자엑소시스트 (일반적으로 성직자)
방법기도, 주문, 성물 사용, 명령
목적악령을 쫓아내고 피해자를 해방시키는 것
관련 성경 구절마가복음 16:17, 마태복음 10:1, 누가복음 9:1
다양한 기독교 종파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유대교
특징영혼을 쫓아내는 의식
시술자경험이 풍부한 랍비
방법기도, 주문, 샤머니즘적 관행
목적악령을 쫓아내고 피해자를 해방시키는 것
이슬람교
특징진(jinn)을 쫓아내는 의식
시술자이맘 또는 종교적 지식이 있는 사람
방법코란 구절 암송, 기도, 주문
목적진을 쫓아내고 피해자를 해방시키는 것
기타 종교 및 문화
특징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샤머니즘, 애니미즘, 토착 신앙과 관련될 수 있음
시술자샤먼, 주술사, 영매
방법기도, 주문, 춤, 음악, 희생
목적악령을 쫓아내고 피해자를 해방시키는 것
논란 및 비판
문제점정신 질환 오진 및 부적절한 치료
플라시보 효과 또는 제안의 효과
악령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거 부족
의식 중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학대 가능성
같이 보기
관련 주제악마
빙의
오컬트
종교
초자연 현상

2. 용어

'구마'라는 용어는 한자 驅(몰 구)와 魔(마귀 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악령을 몰아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영어 'Exorcism'은 그리스어 'exorkismo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엄숙하게 질문하다' 또는 '권고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명사이다.[94] 동사 'exorkizo'는 '서약'을 의미하는 'horkos'에서 파생된 단어로, 종교사학자 제프리 배튼 러셀에 따르면 원래는 기독교가 아닌 그리스 이교에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진심으로 진지하게 청하다, 기도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악령뿐만 아니라 선한 것에 대한 호소에도 적용될 수 있었다.[95] 기독교에서는 3세기경부터 '고위의 영적 권위의 힘을 빌려 사람이나 물건에서 유해한 영을 쫓아내는 의식'을 의미하게 되었다.[96]

3. 종교별 구마

''벙어리를 고치는 예수'' (귀스타브 도레, 1865)


종교별 구마 의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기독교''': 예수가 악령을 쫓아낸 성경 기록에 따라 구마가 행해진다.[97] 구마사는 기독교 교회의 구성원이거나 특별한 은사를 받은 개인이다. 개신교 기독교 구마사들은 삼위일체로부터 받은 권위가 악마를 몰아내는 유일한 원천이라고 믿는 경우가 많다.[5]
  • '''가톨릭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구마를 행한다.[8] 축성 소금과 같은 성사를 만드는 사제가 포함된 소 구마와 예비신자의 성찰 의례에서 발견되는 소 구마, 그리고 주요 구마로 구분된다. 해방 사역은 악령에 의해 초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정서적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기도인 반면, 구마는 가톨릭교회로부터 특별한 허가를 받은 사제가 수행한다.[9]
  • '''동방 정교회''': 예수가 귀신을 쫓아내고 제자들에게 "귀신을 쫓아내라"고 권고하신 성경 기록에 기반한 축귀 전통을 가지고 있다.[17] 모든 정교회 사제는 세례 성사 집행 등 구마를 행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
  • '''루터교''': 16세기부터 루터교 목회 지침서는 악령에 씌이는 주요 증상으로 비밀스러운 것에 대한 지식, 배운 적 없는 언어에 대한 지식, 초자연적인 힘을 묘사하고 있다.[22] 루터교 세례 예식에는 소축귀가 포함된다.[23][24]
  • '''유대교''': 독성이 있는 뿌리 추출액 등의 물질과 희생 제물을 통해 구마를 행했다.[110] 에세네파에서 구마를 행했다는 기록이 쿰란의 《사해 두루마리》에 남아있다.
  • '''이슬람교''': ''ruḳya''(주문 또는 정화)[37]를 통해 다양한 정령을 퇴치한다.[38] 무함마드는 추종자들에게 꾸란의 마지막 세 수라를 읽도록 가르쳤다.
  • '''불교''': '''구병시식'''(救病施食)이라는 의식을 통해 귀신을 불법에 귀의시킨다.[43]
  • '''도교 및 중국 민간 신앙''': 희생자가 유령을 방해하여 복수를 추구하거나, 흑마법의 표적이 된 경우에 구마를 수행한다.[47] 법사(Fashi)는 구마를 위한 특정 의식을 수행하며, 이는 종파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빙의된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그 자체로 악하다고 여겨지거나 그들의 행동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영적 빙의는 악마에 의한 원치 않는 조작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행자들은 구마를 처벌보다는 치료에 가깝게 여긴다. 주류 의식에서는 폭력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만 묶어두는 것을 제외하고는 빙의된 자에게 폭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6]

구마 요청 및 수행은 18세기에 미국에서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20세기 후반까지 드물게 발생했다. 그러나 구마가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급증했는데, 1960년대 초부터 1970년대 중반 사이에 구마 횟수가 "50% 증가"했다.[7]

3. 1. 기독교의 구마

기독교에서는 예수가 악령을 쫓아낸 성경 기록에 근거하여 구마가 행해진다.[97] 구마를 행하는 사람을 구마사(Exorcist)라고 부르며, 이들은 교회 구성원이거나 특별한 은사를 받았다고 여겨지는 개인이다.

동방 정교회예수가 귀신을 쫓아내고 제자들에게 "귀신을 쫓아내라"고 권고하신 성경 기록에 기반한 축귀 전통을 가지고 있다.[17] 정교회는 악마의 지배가 인류를 노예로 만드는 주요 수단이라고 보며,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도 지배될 수 있다고 믿는다.[18] 정교회 구마 사제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느님께 간구하여 악마를 몰아내며,[19] 모든 정교회 사제는 세례 성사 집행 등 구마를 행할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 모든 정교회 전례서에는 성 바실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의 기도문을 포함한 축귀 기도문이 있다.

16세기부터 루터교 목회 지침서는 악령에 씌이는 주요 증상으로 비밀스러운 것에 대한 지식, 배운 적 없는 언어에 대한 지식, 초자연적인 힘을 묘사하고 있다.[22] 루터교 전례문은 주요 축귀 의식을 행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여 의학적 또는 정신과적 질병을 배제해야 한다고 명시한다.[22] 축귀 의식은 주로 "기도와 경멸"로 악마를 몰아내는 데 중점을 두며, 사도신경주기도문을 포함한다.[22] 루터교회의 세례 예식에는 소축귀가 포함된다.[23][24]

가톨릭 교회의 구마는 서품 성사를 통해 사제에게 주어진 권능이지만, 교회의 판단에 따라 엑소시스트가 임명되기도 한다.[98] 세례에서는 악마를 거부하는 엑소시즘이 행해지고,[99][93] 축성 기도에서는 악한 힘을 배제하는 광의의 엑소시즘이 행해진다.[100] 악령에 씌인 사람에게 행해지는 협의의 가톨릭 엑소시즘은 성의 구마식이라고 불린다.[92] 가톨릭 백과사전은 가톨릭 엑소시즘이 민족 종교 등의 악마 쫓기와 달리 미신이 아니라고 설명한다.[101]

3. 1. 1. 가톨릭의 구마

가톨릭 교회법에 따르면 구마는 세례성사, 고해성사 등과 같은 성사는 아니지만, 가톨릭 의식 중 하나이다. 구마 예식이 효력을 발휘하려면 교회 당국의 허가와 엑소시스트(구마 사제)의 신앙심이 필요하다.[107][108]

1999년 1월에 개정된 가톨릭 교회의 현행 구마 예식은 전통적인 라틴어 의식도 허용한다. 가톨릭에서 구마 예식은 악령에 의해 육체적 자유를 빼앗겼지만 자유 의지는 여전히 존재하는 사람에게 행해지며, 기도, 축복, 《Of Exorcisms and Certain Supplications》 문헌을 이용한 기도문 등을 활용한다. 가톨릭 주교들은 구마 예식을 거의 허가하지 않으며, 의심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정신 질환이나 육체적 질병의 가능성에 더 중점을 두고 접근한다.

정식 구마 예식은 규정된 성직자나 고위 성직자만이 행할 수 있으며, 주교의 서면 허가와 정신 장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밀한 의학적 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109]가톨릭 백과사전(1908)에서는 "신앙과 미신은 역사적으로 많은 부분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미신은 반드시 신앙과 구분되어야 하고 마술은 (백마술이라 할지라도) 합법적인 종교적 예식과 구분되어야만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가톨릭 의식서 (Roman Ritual)》에는 악령 들림으로 의심되는 징후로, 전혀 알지 못하는 외국어 또는 고대어로 말하는 것, 초자연적인 능력, 숨겨진 물건을 알아맞히는 것, 성스러운 것에 대한 혐오와 불경 등을 제시하고 있다.

가톨릭교회에서 구마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행해진다.[8] 축성 소금과 같이 성사를 만드는 사제가 포함된 일부 축복에 포함되는 소 구마와 예비신자의 성찰 의례에서 발견되는 소 구마, 그리고 주요 구마 사이에는 구분이 있다. 관련된 행위로는 해방 사역이 있다. 해방 사역은 악령에 의해 초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것을 포함하여 정서적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기도인 반면, 구마는 가톨릭교회로부터 특별한 허가를 받은 사제가 수행한다는 차이점이 있다.[9]

성 아지라의 필립의 동상. 리미나, 시칠리아에서 열리는 5월 축제에서 구마사들의 상징인 왼손에 복음서를 들고 있다.


"주요 구마"라고 불리는 공식적인 구마를 위한 가톨릭 예식은 로마 예식서 제11절에 제시되어 있다.[10][11] 예식서는 구마를 수행하고 공식적인 구마가 필요할 때를 결정하기 위한 지침을 나열한다.[12] 사제들은 진행하기 전에 상태의 본질이 실제로 심리적 또는 신체적 질병이 아닌지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지시받는다.[8]

가톨릭 관행에서 구마를 수행하는 구마사는 서품된 사제여야 한다. 구마사는 예식의 예문에 따라 기도를 낭송하고, 성상, 성사 (예: 성수), 성 유물과 같은 종교적 자료를 사용한다. 구마사는 하느님—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성명—뿐만 아니라 동정 마리아, 교회의 성인들과 대천사 미카엘에게 구마에 개입하도록 간청한다. 가톨릭의 이해에 따르면, 깊이 뿌리박힌 악마를 몰아내기 위해서는 여러 해 동안 매주 구마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12][13]

사탄과 반역적인 천사들에 대한 성 미카엘의 기도는 교황 레오 13세의 것으로 여겨지며, 악마 들림의 경우에 가톨릭교회의 가장 강력한 기도이다.[14] 성 묵주 또한 구마적이며 전구의 힘을 가지고 있다.[15]

성수는 구마에 흔히 사용되는 보조물이며, 그 사용은 성 미카엘 기도에 속한다.

성경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악령을 쫓아낸 기사가 있으며, 기독교에서는 엑소시즘이 오늘날에도 행해지고 있다.[97] '''가톨릭교회의 엑소시즘''',(구마)은 서품의 성사에 의해 사제에게 주어진 권능이지만, 교회의 판단에 따라 엑소시스트가 임명되는 경우가 있다.[98] 세례에서는 악마를 거부하는 엑소시즘이 행해지고,[99][93] 축성의 기도에서는 악한 힘을 배제하는 광의의 엑소시즘이 행해진다.[100] 악령에 씌인 사람에게 행해지는 협의의 가톨릭 엑소시즘은 성의 구마식이라고 불린다.[92] 가톨릭 백과사전은 가톨릭 엑소시즘은 민족 종교 등의 악마 쫓기와 달리, 미신이 아니라고 하고 있다.[101] 현대의 개신교 일부 교파에서 행해지는 "귀신 쫓아내기"도 광의의 엑소시즘이다.

3. 1. 2. 개신교의 구마

개신교에는 특별한 구마 예식이나 구마 사제는 없다. 다만 목사가 귀신을 쫓기 위하여 기도를 하며 이를 축사(逐邪) 또는 축사 행위라 한다. 개신교 내에서는 축사 행위가 성경적이냐 아니냐 하는 논쟁이 있으나, 축사를 인정하는 쪽은 마가복음 16장 17절을 근거로 들어 축사를 인정하고 있다.[16]

3. 1. 3. 정교회의 구마

동방 정교회는 풍부하고 복잡한 구마 전통을 가지고 있다.[16] 정교회에서는 성수를 뿌리고 기도한 후 유황과 소금을 뿌리는 것으로 구마를 마무리한다. 정교회는 악마의 지배가 인류를 노예로 만드는 주요 수단이라고 보며, 사람뿐만 아니라 물건도 지배될 수 있다고 믿는다.[18]

정교회 구마 사제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느님께 간구하여 악마를 몰아낸다.[19] 로마 가톨릭교회와 달리 정교회의 모든 사제는 구마, 특히 세례 성사를 집행하도록 훈련받고 준비되어 있다. 모든 정교회 전례서에는 구마 기도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성 바실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의 기도문이 중요하다.

동방 정교 신학은 구마에 대해 독특하고 포괄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그리스도인이 죄와 악에 맞서 싸우면서 구마를 행한다고 믿는다. 많은 정교회 신자들은 타인에 대해 강한 질투심과 시기를 품은 사람들이 그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바스카니아'' , 즉 "악마의 눈"이라는 미신을 믿는다.[16]

3. 2. 유대교의 구마

유대교 문헌에 따르면, 구마는 독성이 있는 뿌리 추출액 등의 물질과 희생 제물을 통해 이루어졌다.[110] 에세네파에서 구마를 행했다는 기록이 쿰란의 《사해 두루마리》에 남아있다.

랍비 예후다 페타야(Yehuda Fetaya)는 저서 《Minchat Yehuda》에서 구마에 대해 상세히 기술했다. 1859년부터 1942년까지 이라크에서 살았던 그는 이 책에서 악령에 사로잡힌 사람들을 치료한 경험과 유대교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책은 히브리어로 쓰여진 후 영어로 번역되었다.

3. 3. 이슬람교의 구마

이슬람교에서 구마는 ''ruḳya''(주문 또는 정화)[37]를 통해 다양한 정령을 퇴치하는 행위를 말한다.[38] 구마 행위에 사용되는 용어로는 ''ṭard'' (또는 ''dafʿ'') ''al-shayṭān/al-jinn'' (악마/정령 추방), ''ʿilāj'' (치료), ''ibrāʾ al-maṣrūʿ'' (빙의 치료) 등이 있다.[38]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는 추종자들에게 꾸란의 마지막 세 수라인 알 이클라스 수라(성실), 알 팔라크 수라(새벽), 안 나스 수라(인류)를 읽도록 가르쳤다. 구마의 허용성과 실행 모델은 무함마드와 예수가 구마 의식을 행했다는 하디스에서 유래한다.[38]

이슬람 구마는 치료받는 사람이 누워 있는 동안 셰이크가 환자의 머리에 손을 얹고 꾸란의 구절을 낭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필수는 아니다.[39] 성수(잠잠 샘의 물)를 마시거나 뿌리고, 깨끗하고 알코올이 없는 향수인 ''아타르''를 바르는 행위도 동반될 수 있다.[40] 신을 찬양하고(예: 왕좌 구절 (آية الكرسي|translit=Ayatul Kursiar)) 신의 도움을 요청하는 꾸란의 특정 구절을 낭송한다. 어떤 경우에는 ''아단''(매일 기도 요청)을 읽기도 하는데, 이는 천사가 아닌 보이지 않는 존재 또는 ''''을 물리치는 효과가 있다.[41]

알레안 알-크레나위와 존 그레이엄의 연구에 따르면, 정령을 퇴치하기 위한 꾸란적 치유 과정은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42]

# 음악 악기, 부적 (타비즈), 금 장신구 등 (하람) 방해물을 제거한다. 천사가 들어올 수 있다고 (믿어지는) 방 안의 모든 사진을 제거한다. 치유자는 의뢰인과 가족에게 모든 일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일어나며 자신은 단순한 중재자일 뿐이라고 말하며, 마법과 같은 다른 형태의 치유는 이슬람에서 용납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 치유자는 의뢰인이 빙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령과 대화를 시도한다. 치유자는 정령에게 종류 (''자르'' ("붉은 바람"), ''아르와'' (유령), ''진'' (요정), ''샤야틴'' (악마), ''디브'' (악령)), 종교, 성별 또는 빙의 이유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 또한 정령이 아닌 의뢰인에게 꿈과 관련된 꿈과 감정에 대해 묻는다. 그 후, 치유자는 자신과 방을 깨끗이 하고 방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요청한다.

# 실제 구마는 정령의 종류에 따라 알 파티하, 알 바카라, 알 바카라 255, 알 진 및 세 개의 쿨 (알 이클라스, 안 나스, 알 팔라크)과 같은 꾸란 구절을 낭송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다른 치료법으로는 꿀과 물을 사용하여 죄로부터 영혼과 몸을 정화하는 정화 의식이 있다.

3. 4. 불교의 구마

불교에서는 '''구병시식'''(救病施食)이라는 의식이 있다. 이는 귀신이 몸에 달라붙어 병에 걸린 사람을 치료하기 위한 의식인데, 귀신을 없애거나 쫓아내는 것이 아닌 음식을 주고 법문을 알려주어 귀신을 불법에 귀의시키기 위한 의식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구마와는 조금 다르다. 이러한 의식은 그 사찰에서 가장 법력(法力)이 높은 승려만이 할 수 있다고 한다.[43]

3. 5. 도교 및 중국 민간 신앙의 구마

도교에서는 개인이 악령에 사로잡혔을 때, 두 가지 이유 중 하나로 구마를 수행한다. 희생자가 의도와 관계없이 유령을 방해하여 유령이 복수를 추구하는 경우이거나, 희생자가 흑마법의 표적이 되어 누군가가 유령을 불러내 씌우려 한 경우이다.[47] 법사(Fashi)는 중국의 의례 전문가이자 도교 사제로서, 구마를 위한 특정 의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의식은 종파마다 다르며, 도교도가 속한 지역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베이징의 정일 종파 도교도는 홍콩과 같은 남부 지역의 동일 종파 도교도와는 완전히 다른 의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마 의식의 지도자는 당기(tangki)인데, 신으로부터 신성한 힘을 초대하여 마을의 평화를 되찾기 위해 귀신에 맞서 외치는 극적인 공연을 한다. 지도자는 귀신을 물리치고 피를 흘리기 위해 다양한 날카로운 무기로 자신을 찌른다. 이 피는 신성하고 강력한 것으로 여겨져, 의식 후 부적에 피를 찍어 집 문에 붙여 악령으로부터 보호한다.[48] 이러한 피를 사용하는 의식은 여산(LuShan)과 같은 민간 종파에서 더 흔하며, 수도원적인 전진(QuanZhen)이나 정일(Zheng Yi)과 같은 정통 종파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시골 지역의 민간 도교도가 정통 종파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고, 지역 민간 종교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의식을 볼 수도 있다.

역사적으로, 모든 도교 구마에는 부적(Fulu) 사용, 주문 암송, 수인과 같은 신체적 제스처, 영혼을 쫓아내는 기도가 모든 종파에서 흔히 사용된다.[49]

4. 구마 방법

구마 방법은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검이나 도를 사용한다.
  • 소환수나 정령과 싸운다.
  • 기도, 성수, 신성력을 이용한다.
  • 동양에서는 부적을 사용한다.
  • 고대에는 자신의 영혼을 매개로 한 주술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금지되었다.


넓은 의미의 엑소시즘(악령 퇴치) 및 이와 유사한 행위는 고대부터 전 세계 다양한 사회에서 행해져 왔다.[102] 기독교 외 다른 종교 문화에서의 악령 퇴치에 관해서는 악령 축출, 악마 퇴치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악령을 쫓아내는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 'exorkismos'는 "엄숙하게 질문하는 것, 또는 권고하는 것"[94]과 같은 의미의 명사이다. 동사 'exorkizo'는 "서약"을 의미하는 'horkos'의 파생어이다. 악마 개념사 연구로 알려진 종교사학자 제프리 배튼 러셀에 따르면, 원래는 기독교가 아닌 그리스의 이교에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진심으로 진지하게 청하다, 기도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그 본래 의미는 "어떤 사람에게 엄숙하고 절실하게 호소하다"이다.[95] 여기에는 원래 "악령을 쫓아낸다"는 의미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비기독교인 그리스인에게도, 초기 기독교인에게도, 악한 것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선한 것에 대한 호소에도 적용할 수 있는 단어였다. 기독교에서는 엑소시즘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악령을 쫓아낸다는 형태의 그리스도에 대한 간접적인 기도이며, 3세기경까지는 명확하게 "고위의 영적 권위의 힘을 빌려 사람이나 물건에서 유해한 영을 쫓아내는 의식"을 의미하게 되었다.[96]

5. 역사 속 구마 사례와 구마사

역사적으로 유명한 구마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630년, 프랑스 왕국 중서부의 여자 수도원에서 "루덩의 악마 빙의(Loudun possessions)" 사건이 발생했다. 수녀들이 퇴마 의식을 받은 결과, 악마로 예수회 사제 그랑디에교구 사제를 지목하여 그는 화형에 처해졌다. 그러나 그 후에도 악마 빙의가 계속되어 퇴마 의식이 행해졌다.[103] 이 사건을 바탕으로 올더스 헉슬리는 『루덩의 악마』(The Devils of Loudun)를 썼다.
  • 1578년, 마르타 브로시에는 구마 절차를 통해 발견된 악마에 사로잡힌 척한 것으로 악명이 높아졌다.
  • 1619년, 마드모아젤 엘리자베스 드 랑펭은 의사(나중에 마법사로 활동한 혐의로 사법 판결로 화형당함)의 결혼 제안을 거절한 후, 그에게 사랑의 물약을 받아 건강에 이상이 생겼다. 여러 의사들이 치료할 수 없었고, 결국 구마에 의존하게 되었다. 구마 중 그녀를 사로잡은 악마는 다양한 언어로 응답했으며, 그녀를 조사한 사람들의 생각과 죄를 알고 암송했다. 심지어 라틴어로 구마 의식을 암송하는 데 실수를 한 구마 사제를 조롱하기도 했다.
  • 1778년, 조지 루킨스[73]
  • 1842년–1844년, 요한 블룸하르트는 독일 뫼틀링겐에서 고틀리빈 디투스를 구마했다. 블룸하르트 목사의 교구는 그 후 고백과 치유로 특징지어지는 성장을 경험했는데, 그는 이를 성공적인 구마의 결과로 돌렸다.[74][75]
  • 1906년, 클라라 게르마나 셀레는 악마에 사로잡혔다고 주장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학생이었다.[76]
  • 1947년, 미술 전문가 아르만도 지네시는 살바도르 달 리가 프랑스에 있는 동안 이탈리아 수도사 가브리엘 마리아 베라르디로부터 구마를 받았다고 주장한다. 달리는 베라르디에게 감사의 표시로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의 조각상을 만들었을 것이다.[77]
  • 1949년, 로비 매니햄은 구마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는 윌리엄 피터 블래티의 소설 및 영화 ''엑소시스트''의 주요 영감이 되었다. 로비는 루터교 목사 루터 마일스 슐츠 목사의 보살핌을 받았고, 슐츠 목사는 소년을 에드워드 휴즈 목사에게 의뢰하여 첫 번째 구마를 수행했다. 그 후의 구마는 윌리엄 S. 보든 신부, 레이먼드 비숍 신부, 월터 할로란 신부에 의해 수행되었다.[80][81][82]
  • 1974년, 마이클 테일러[83]
  • 1975년, 안넬리제 미셸은 6명 이상의 악마에 사로잡혔다고 하는 독일 출신 가톨릭 여성이었으며, 10개월 동안 자발적인 구마를 받았다. ''에밀리 로즈의 엑소시즘''과 ''레퀴엠''은 안넬리제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다큐멘터리 영화 ''안넬리제 미셸의 엑소시즘''[84](폴란드어, 영어 자막)에는 구마 당시의 원본 오디오 테이프가 담겨 있다. 두 사제와 그녀의 부모는 거식증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를 부르지 못한 과실치사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85] 이 사건은 정신 질환, 과실, 학대 및 종교적 히스테리의 오인으로 분류되었다.[86]
  • 1976년, 서독의 안넬리제 미셸 사건에서는 퇴마를 위해 과학적인 의료 행위를 중단시킨 결과 안넬리제가 사망하여 부모와 신부가 과실치사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가 『엑소시즘: 23일의 악몽(The Exorcism of Emily Rose)』(2005년)이다.
  • 루이지애나의 전 주지사인 바비 진달은 1994년 대학 재학 중 "수잔"이라는 친밀한 친구에게 구마를 수행한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에세이를 썼다.[87][88]
  • 마더 테레사는 칼카타 대주교 헨리 D'수자의 지시에 따라 말년에 구마를 받았는데, D'수자는 그녀가 잠자는 동안 매우 흥분하고 "악마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고 두려워했기 때문이다.[89]
  • 2005년, 타나쿠 구마는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루마니아 수녀가 다니엘 페트레 코로제아누 신부에 의해 구마 중 사망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영화 ''비욘드 더 힐스''와 ''십자가형''에 영감을 주었다.
  • 2005년, 루마니아에서는 루마니아 정교회신부가 퇴마를 위해 수녀를 십자가에 못 박는 살인 사건이 있었다 (:en:Crucifixion#Crucifixion today)[104]
  • 2007년 10월 마쿠투 해제는 뉴질랜드 웰링턴 교외의 와이누이오마타에서 발생하여 여성의 익사 사망과 10대의 입원을 초래했다. 5명의 가족 구성원이 유죄 판결을 받고 집행 유예를 선고받았다.[90]
  • 2010년, 아프리카 콩고의 수도 킨샤사에서는 기독교 근본주의를 내세우는 신흥 종교 단체에 의한 어린이 대상의 퇴마 행위가 문제시되었다.[105] 나이지리아에서도 최근 목사를 자칭하는 남성이나 목사의 아내에 의해 아이들이 마녀나 흑마술사로 낙인 찍혀 퇴마로 불을 지르거나 못을 박는 등의 학대를 받거나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106]


저명한 구마사로는 다음 인물들이 언급되고 있다.

  • 에이브러햄 반 헬싱
  • 성철스님
  • 사명대사
  • 깐디도 신부 (Candido Amantini)
  • 밥 라슨 목사
  • 요한 데 베드로
  • 후지오 마코토

6. 현대 사회의 구마와 관련된 문제점

현대에도 구마를 목적으로 하거나 명목으로 삼아 사람을 학대하거나 죽음에 이르게 하는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

루마니아에서는 2005년 루마니아 정교회신부가 구마를 위해 수녀를 십자가에 못 박는 살인 사건이 있었다.[104]

서독의 안넬리제 미셸 사건(1976년 사망)에서는 구마를 위해 과학적인 의료 행위를 중단시킨 결과 안넬리제가 사망하여 부모와 신부가 과실치사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가 『엑소시즘: 23일의 악몽(The Exorcism of Emily Rose)』(2005년)이다.

2010년, 아프리카 콩고의 수도 킨샤사에서는 기독교 근본주의를 내세우는 것으로 알려진 신흥 종교 단체에 의한 어린이 대상의 구마 행위가 문제시되었다.[105] 나이지리아에서도 최근 목사를 자칭하는 남성이나 목사의 아내에 의해 아이들이 마녀나 흑마술사로 낙인 찍혀 구마 의식으로 불을 지르거나 못을 박는 등의 학대를 받거나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106]

7. 과학적 관점

악령 들림은 정신 의학이나 의학적 진단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DSM-5나 ICD-10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악령 들림을 믿는 사람들은 히스테리, 조증, 정신병, 뚜렛 증후군, 간질, 조현병, 해리성 정체성 장애 등의 증상을 악령 들림으로 오인하기도 한다.[50][51][52][53][54]

또한, 환자가 하나 이상의 악마에게 씌었다고 믿는 단일 증세 망상의 한 형태인 악마 망상 또는 악마 병이 있다.[55] 퇴마가 악령 들림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다는 환상은 일부에서 위약 효과와 암시의 힘으로 설명하기도 한다.[56][57] 일부 사례에서는 소위 씌인 사람들이 실제로는 자기애 성향이 있거나 자존감이 낮아 관심을 끌기 위해 악령에 씌인 것처럼 행동한다고 주장한다.[58]

8. 문화적 관점

구마는 특정 문화권에서 인정받는 현상이며, 종교 집단의 가치관에 따라 구마의 필요성이 결정된다. 종교 기관은 사회적 위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종교 지도자들은 개인의 행동을 종교적 이해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기독교에서 구마는 악마를 몰아내거나 제거하는 행위이다. 기독교에서 구마를 행하는 사람을 구마사라고 하며, 이들은 기독교 교회의 구성원이거나 특별한 능력, 기술을 은총받았다고 여겨지는 개인이다. 구마사는 정해진 기도문, 몸짓, 상징, 성상, 성사 등과 같은 기도문과 종교적인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2][3][4]

일반적으로, 빙의된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그 자체로 하다고 여겨지지 않으며 그들의 행동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영적 빙의는 악마에 의한 원치 않는 조작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행자들은 구마를 처벌보다는 치료에 가깝게 여긴다.[6]

가톨릭 교회에서 구마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행해진다.[8] 주요 구마와 소 구마 사이에는 구분이 있다. 소 구마는 축성 소금과 같은 성사를 만드는 사제가 포함된 일부 축복에 포함되며, 예비신자의 성찰 의례에서도 발견된다. 관련된 행위는 해방 사역이다. 해방 사역과 구마의 차이점은 구마는 가톨릭 교회로부터 특별한 허가를 받은 사제에 의해 수행되는 반면, 해방 사역은 악령에 의해 초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것을 포함하여 정서적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기도이다.[9]

성경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악령을 쫓아낸 기사가 있으며, 기독교에서는 엑소시즘이 오늘날에도 행해지고 있다.[97] '''가톨릭 교회의 엑소시즘''', 즉 구마는 서품 성사에 의해 사제에게 주어진 권능이지만, 교회의 판단에 따라 엑소시스트가 임명되는 경우가 있다.[98] 세례에서는 악마를 거부하는 엑소시즘이 행해지고,[99][93] 축성 기도에서는 악한 힘을 배제하는 광의의 엑소시즘이 행해진다.[100] 악령에 씌인 사람에게 행해지는 협의의 가톨릭 엑소시즘은 성의 구마식이라고 불린다.[92] 가톨릭 백과사전은 가톨릭 엑소시즘은 민족 종교 등의 악마 쫓기와 달리, 미신이 아니라고 하고 있다.[101]

9. 구마를 소재로 한 작품

구마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는 1973년 영화 엑소시스트가 팝 컬처에서 선두를 차지할 정도로 주목할 만하다.[64] 영화, TV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작품이 있다.

9. 1. 영화

9. 2. TV 드라마

9. 3. 애니메이션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신비아파트가 있다.

참조

[1] 서적 A Concise Companion to the Jewish Religion
[2] 웹사이트 Are Head Coverings Really for Today? https://evangelicalf[...] Evangelical Focus 2022-05-02
[3] 서적 The Veil of Purity: The Supernatural Purpose of the Chapel Veil R. Richmond, Ph.D. 2018-11-11
[4] 웹사이트 Why We Wear a Headship Covering https://wilkesbarrem[...] Wilkes-Barre Mennonite Church 2023-04-21
[5] 간행물 "Investigating the Practice of Christian Exorcism and the Methods Used to Cast out Demons" http://journalofchri[...] Journal of Christian Ministry 2012
[6] 서적 Hostage to the Devil: the possession and exorcism of five living Americans Harpercollins 1976
[7] 서적 Hostage to the Devil: The Possession and Exorcism of Five Contemporary Americans Harper San Francisco
[8]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2-02-15
[9] 뉴스 Irish exorcist calls for extra help for people oppressed by evil spirits https://www.theguard[...] 2022-06-09
[10] 웹사이트 The Roman ritual http://www.ewtn.com/[...] 2017-11-03
[11] 웹사이트 Rituale Romanum http://www.liturgia.[...] 2013-12-02
[12] 서적 The Rite: the Making of a Modern Exorcist Doubleday 2010
[13] 서적 An Exorcist Tells His Story Ignatius Press 1999
[14] 서적 A History of Exorcism in Catholic Christianity https://www.worldcat[...] Palgrave Macmillan 2021-07-04
[15] 웹사이트 How the Rosary is a key weapon in the fight against Satan https://cruxnow.com/[...] cruxnow.com 2023-07-31
[16] 웹사이트 The Secrets Of Orthodox Exorcists https://www.huffpost[...] 2021-09-19
[17] 문서 Matt.10:8; Luke 10:17–20
[18] 웹사이트 Exorcism in the Orthodox Church – Theology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s://www.goarch.o[...] 2021-09-19
[19] 문서 Library of the Greek Fathers and Church Writers, Athens: Apostolike Diakonia 1955, Vol. 3, pp. 288–289
[20] 문서 Archbishop Iakovos, Exorcism and Exorcists in the Greek Orthodox Tradition, Sage Chapel, Cornell University, March 10, 1974
[21] 웹사이트 Exorcism in the Orthodox Church – Theology –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https://www.goarch.o[...] 2021-09-26
[22] 웹사이트 Quotes from Lutheran Pastoral Handbooks on the Topic of Demon Possession https://www.angelfir[...] 2018-04-22
[23] 서적 Supernatural Forces in Spiritual Warfare Destiny Image, Incorporated 2012-10-16
[24] 서적 Between Wittenberg and Geneva: Lutheran and Reformed Theology in Conversation Baker Publishing Group 2017-10-17
[25] 간행물 "'Satan Mourns Naked upon the Earth': Locating Mormon Possession and Exorcism Rituals in the American Religious Landscape, 1830–1977" https://www.cambridg[...] 2021-07-04
[26] 웹사이트 Mormon exorcism lore, with Stephen Taysom [MIPodcast #71] https://mi.byu.edu/m[...] 2021-07-04
[27] 웹사이트 3 Times Joseph Smith and Satan Went Head to Head https://thirdhour.or[...] 2019-10-06
[28] 웹사이트 The Knight Family: Ever Faithful to the Prophet https://www.churchof[...] 2019-10-06
[29] 문서 [[C.A.F. Rhys Davids]], ''Dialogues of the Buddha'', part 3, p. 186
[30] 서적 Discourse on Atanatiya Protection https://sasanarakkha[...] Sasanarakkha Buddhist Sanctuary 2021-06-16
[31] 웹사이트 Supernatural Traditional Days Around The World https://straightforw[...] Straight Forward Guidance 2022-05-10
[32] 서적 Indian witchcraf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09-05-14
[33] 웹사이트 bhut {{!}} Hinduism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12
[34] 웹사이트 Gods Against Ghosts: The Exorcisms of India's Mehandipur Balaji https://thediplomat.[...] 2021-12-12
[35]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Medicines (3 Volume Set) https://books.google[...] Pinnacle Technology
[36] 서적 Emotional Exorcism: Expelling the Four Psychological Demons That Make Us Backslide ABC-CLIO
[37] 서적 RUKYA https://referencewor[...] 2012-04-24
[38] 간행물 Exorcism https://referencewor[...] 2014-10
[39] 뉴스 Belgium court charges six people in deadly exorcism of Muslim woman http://english.alara[...] 2012-09-07
[40] 웹사이트 Belgium court charges six people in deadly exorcism of Muslim woman http://english.alara[...] 2016-07-18
[41] 문서 MacDonald, D.B., Massé, H., Boratav, P.N., Nizami, K.A. and Voorhoeve, P., "Ḏj̲inn", in: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Edited by: P. Bearman, Th. Bianquis, C.E. Bosworth, E. van Donzel, W.P. Heinrichs. Consulted online on 15 November 2019
[42] 간행물 Social work and Koranic mental health healers https://journals.sag[...] 1999
[43] 문서 Josephus, "B. J." vii. 6, § 3 http://www.earlyjewi[...]
[44] 웹사이트 Dybbuk – Spiritual Possession and Jewish Folklore http://www.ghostvill[...] 2003-11-29
[45] 서적 Wanted Undead Or Alive https://books.google[...] Citadel Press
[46] 서적 Religion, Belief and Social Work https://books.google[...] Policy Press
[47] 웹사이트 Taoist Exorcism by Taoist Master http://taoist-sorcer[...] 2020-09-23
[48] 웹사이트 Taoism Ritual, Worship, Devotion, Symbolism, Taoism Rites and Ceremonies https://www.patheos.[...] 2020-09-23
[49] 웹사이트 Exorcism and Mental Illness Across Different Cultures – HOPES https://web.stanford[...] 2017-03-23
[50] 문서 Exorcism and Possession in Psychotherapy Practice
[51] 문서 Exorcism and Psychiatric Illness: Two Case Reports
[52] 문서 Belief in demons and exorcism in psychiatric patients in Switzerland
[53] 서적 Dissociative States: Possession and Exorcism
[54] 문서 Dissociation and symptoms of culture-bound syndromes in North America: A preliminary study
[55] 서적 The Encyclopedia of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56] 서적 Possession and Exorcism
[57] 웹사이트 Voice of Reason: Exorcisms, Fictional and Fatal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58] 서적 Possession and Exorcism
[59] 웹사이트 The Patient Is the Exorcist http://www.beliefnet[...]
[60] 뉴스 The devil you know http://www.natcath.o[...] National Catholic Reporter 2005-04-29
[61] 문서 Neurosurgical Exorcism
[62] 문서 Psychotherapy as exorcism
[63] 뉴스 'Spiritual abuse': Christian thinktank warns of sharp rise in UK exorcism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64] 웹사이트 Exorcism https://www.usccb.or[...] 2023-08-26
[65] 간행물 Religious interpretations of mental illness and help-seeking experiences among Muslim Americans: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http://doi.apa.org/g[...] 2023
[66] 간행물 Power and Authority in Organized Religion: Disaggregating the Phenomenological Core https://doi.org/10.2[...] 1987
[67] 간행물 Religious interpretations of mental illness and help-seeking experiences among Muslim Americans: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http://doi.apa.org/g[...] 2023
[68] 간행물 Mental illness, normal psychological processes, or attacks by the devil? Three lenses to frame demonic struggles in therapy. http://doi.apa.org/g[...] 2021
[69] 간행물 The Politics of Madness and Spirit Possession in Northern India https://www.tandfonl[...] 2021-02-17
[70] 간행물 "Just Some Spirits": The Erosion of Spirit Possession and the Rise of "Tension" in South India http://www.tandfonli[...] 2005
[71] 서적 Structural Anthropology Basic Books
[72] 서적 Exploring Medical Anthropology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7
[73] 서적 The Devil's Breath https://books.google[...] Kensington Books 2013-12-24
[74] 웹사이트 Blumhardt's Battle: A Conflict With Satan http://davidkeames.g[...] Thomas E. Lowe, LTD 2009-09-23
[75] 서적 The Awakening: One Man's Battle With Darkness http://www.plough.co[...] The Plough 2009-09-23
[76] 서적 The Encyclopedia of Demons and Demonolog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20-10-17
[77] 뉴스 Dali's gift to exorcist uncovered http://www.cathnews.[...] Catholic News 2005-10-14
[78] 서적 Powers of the mind https://books.google[...] TV Books 1999-05
[79] 서적 Paranormal Experiences https://books.google[...] Unicorn Books 2009-06-08
[80] 서적 A Faraway Ancient Country https://books.google[...] Lulu (company) 2007
[81] 웹사이트 Hell of a House http://www.riverfron[...] 2016-07-18
[82] 웹사이트 Part I – The Haunted Boy: the Inspiration for the Exorcist http://www.strangema[...] 2008-01-10
[83] 서적 Raising the Devil: Satanism, New Religions, and the Me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20-10-17
[84] Youtube y0Ak-3wS7cQ y0Ak-3wS7cQ
[85] 뉴스 Bizarre exorcism draws suspended prison terms https://news.google.[...] The Press-Courier 1978-04-22
[86] 서적 Lessons Learned: The Anneliese Michel Exorcism
[87] 웹사이트 FLASHBACK: Bobby Jindal's Exorcism Problem https://www.motherjo[...] 2018-07-09
[88] 웹사이트 Bobby Jindal's Story about Demons and Spiritual Warfare https://www1.cbn.com[...] 2009-02-24
[89] 웹사이트 Archbishop: Mother Teresa underwent exorcism http://archives.cnn.[...] 2001-09-07
[90] 웹사이트 Deadly curse verdict: five found guilty http://www.stuff.co.[...] 2009-06-13
[91] 문서 『現代カトリック事典』
[92] 서적 悪魔という救い 朝日新聞社
[93]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要約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14-02-10
[94] 서적 Arcana Mundi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5] 서적 悪魔の系譜 青土社
[96] 서적 ルシファー 中世の悪魔 教文館
[97] 문서 トレイシー・ウイルキンソン
[98] 문서 トレイシー・ウイルキンソン
[99] 문서 現在のカトリック教会の典礼では「悪霊の拒否」という形で、受け継がれている。
[100] 문서 『岩波 キリスト教辞典』
[101] 문서 Exorcism
[102] 문서 悪霊祓い
[103] 서적 超常現象大事典 成甲書房
[104] 웹사이트 Crucified nun dies in 'exorcism' http://news.bbc.co.u[...] 2005-06-18
[105] 웹사이트 「悪魔払い」で路上に追われる子どもたち、コンゴ https://www.afpbb.co[...] 2010-12-29
[106] 웹사이트 「魔女狩り」にあう子どもたち、父親から火をつけられた少年の体験談 ナイジェリア https://www.afpbb.co[...] 2009-03-05
[107] 서적 Hostage to the Devil: The Possession and Exorcism of Five Contemporary Americans Harper San Francisco 1976
[108] 웹사이트 가톨릭 교회법 1172조 http://www.intratext[...]
[109] 웹인용 THE ROMAN RITUAL Translated by PHILIP T. WELLER, S.T.D. http://www.ewtn.com/[...] 2010-12-05
[110] 웹사이트 Josephus, "B. J." vii. 6, § 3 http://www.earlyjew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