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향은 사상이나 신념을 바꾸는 행위를 의미하며, 특히 근대 이전 가톨릭 신자의 개종 강요, 근대 일본 사상사에서의 변화, 사회주의·공산주의에서 다른 사상으로의 전환 등 다양한 맥락에서 나타난다. 일본에서는 국가의 사상 통제 정책 하에 '변절'이 아닌 '전향'이라는 논리로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초 사회주의 운동 탄압 과정에서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전향했다. 전향은 개인적,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인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각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생각 - 계획
계획은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과 절차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개인적 목록 작성부터 국가적 자원 사용, 토지 이용 규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상위-하향식, 하위-상향식, PDCA 사이클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명확한 목표 설정, 효율적인 자원 관리, 위험 관리,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코나 커피
코나 커피는 하와이 섬 코나 지역의 화산토와 기후에서 재배되는 고급 커피로, 소규모 가족 농장 중심으로 생산되며 희소성으로 인해 코나 블렌드 제품이 유통되고, 최근 병충해 피해에도 불구하고 관광 명소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코나 커피
코나 커피는 하와이 섬 코나 지역의 화산토와 기후에서 재배되는 고급 커피로, 소규모 가족 농장 중심으로 생산되며 희소성으로 인해 코나 블렌드 제품이 유통되고, 최근 병충해 피해에도 불구하고 관광 명소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전향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사상적, 정치적 입장 변화 |
정의 | 좌파에서 우파로의 사상적, 정치적 입장 변화 |
시기 | 주로 쇼와 시대 (1926년-1989년) |
대상 | 마르크스주의자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 기타 좌파 지식인 및 활동가 |
원인 | 국가주의의 강화 전시 체제 하의 압력 사상 탄압 고문 전향 제도 천황제에 대한 굴복 대동아 공영권 지지 |
결과 | 좌익 운동의 쇠퇴 극우 사상의 확산 전쟁 협력 언론 통제 강화 |
관련 사건 | 사상 검찰 |
주요 인물 | |
대표 인물 | 나베야마 사다치카 사노 마나부 미키 키요시 기타무라 가츠조 가와카미 조타로 이노마타 쓰나오 다카쿠라 데루 가라사와 도시오 |
영향 | |
영향 | 정치적 순응주의 강화 전후 일본 사회에 대한 영향 반공주의 강화 극우 성향 강화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사상전향 국가 사회주의 파시즘 제국주의 전향문학 좌익 소탕 내선일체 애국심 자발적 복종 |
2. 전향의 개념과 역사
근세 가톨릭 신자를 불교, 신도로 개종, 배교하도록 강요한 일이 있었다. 이때 배교한 가톨릭 신자를 '''변절 가톨릭 신자'''라고 불렀다. 전전 일본에서는 특별고등경찰, 헌병, 검찰 등이 여러 수단을 동원해 "주의자"의 "극단적" 사상을 포기하게 하는 것을 국가의 사상 정책이자 사상 행정으로 삼았다. 이때 조직에서 이탈하는 것을 심리적으로 쉽게 하기 위해 "이는 '''변절'''이 아니라, '옳은 노선으로 '''전'''향'''하는''' 것이다"라는 논리가 사용되었다. 이것이 '전향'이라는 용어의 기원이다. 전후 사상·양심의 자유가 보장되면서부터는 "비겁하게 굴었다", "넘어졌다" 등으로 경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1]
2. 1. 전향의 어원과 의미 변천
근세에 가톨릭 신자를 불교, 신도로 개종, 배교하도록 강요한 일이 있었다. 이때 배교한 가톨릭 신자를 '''변절 가톨릭 신자'''라고 불렀다. 전전 일본에서는 특별고등경찰, 헌병, 검찰 등이 여러 수단을 동원해 "주의자"의 "극단적" 사상을 포기하게 하는 것을 국가의 사상 정책이자 사상 행정으로 삼았다. 이때 조직에서 이탈하는 것을 심리적으로 쉽게 하기 위해 "이는 '''변절'''이 아니라, '옳은 노선으로 '''전'''향'''하는''' 것이다"라는 논리가 사용되었다. 이것이 '전향'이라는 용어의 기원이다. 전후 사상·양심의 자유가 보장되면서부터는 "비겁하게 굴었다", "넘어졌다" 등으로 경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1]2. 2. 근대 이전의 전향
니치렌은 밀교를 평가했던 흔적이 있으나, 이후 "진언망국(真言亡国)"을 외쳤다.[5]안토쿠토산 시대부터 에도 시대 인물인 하비앙은 선승에서 기리시탄(크리스트교)으로, 다시 반(反)기독교로 전향했다.
2. 3. 근대 일본 사상사에서의 전향
막말에 조이를 외치던 막부 타도 세력의 지도자들이 정권을 잡자, 돌연 구화정책(오화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사상가 중 잘 알려진 예로는 가토 히로유키가 계몽주의의 천부인권론에서 국권주의적인 사회진화론으로 주장을 바꾼 것, 삼국간섭에 충격을 받은 도쿠토미 소호가 평민주의에서 국가주의로 전향한 것 등이 있다.[1]2. 4. 세계사 속의 전향
고대 로마에서는 공화파가 제정파로 변하는 경우가 있었다. 옛날부터 혁명가에서 반혁명가로 전향하는 자가 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혁명가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나,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체포된 후 제정파로 전향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는 황제가 되었다. 근대 경찰 기구를 건설한 조제프 푸셰는 로베스피에르 지지자에서 반혁명가로 전향하여 여러 차례 정권을 옮겨 다니며 경찰 권력을 휘두른 점에서 전향자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1]16세기 종교 개혁을 한 마르틴 루터는 반가톨릭 관점에서 처음에는 반유대주의를 비판하고 유대인에게 동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대인의 기독교 개종이 잘 되지 않자 유대인에게 실망하여 강력한 반유대주의로 전향, 저서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에 관하여』에서 유대인의 박해와 노예화를 주장했다.[1]
3.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러시아 혁명과 독일 혁명으로 제정 국가들이 붕괴되자 사회주의 사상이 고조되었고, 1922년에 일본 공산당이 불법적으로 결성되었다. 그러나 각국 정부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항하였다.
1933년 6월, 일본 공산당 위원장 사노 마나부(佐野学)와 나베야마 사다치카(鍋山貞親)는 옥중에서 전향 성명을 발표했다.[6] 이들은 소련의 지도를 받는 공산주의·사회주의 운동은 잘못이며, 앞으로는 천황을 존중하는 공산주의·사회주의 운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성명은 세간과 옥중에 있던 운동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대량 전향을 가속화시켰다.[8]
쇼와 전기에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검거된 사람은 7만 명이 넘지만, 많은 사람들이 전향을 서약했다. 하인리히 힘러는 일본 공산당원이 쉽게 전향하는 것을 보고 "운덴크바르(믿을 수 없다)"라며 놀랐다.[15] 도쿠다 규이치, 미야모토 겐지, 하카마다 사토미 등 극소수만이 끝까지 신념을 지켰다.
당시 일본에서 국가 사회주의로 전향자가 많았던 배경에는 통제 경제 정책으로 대표되는 전체주의라는 점에서 소련형 사회주의와 국가 총동원 체제가 공통점을 가졌기 때문이다. 또한 전향자 중에는 만주국에 이상적인 새로운 땅을 찾아 대륙으로 건너간 사람들도 많았다.
1941년, 치안유지법 개정으로 예방구금 제도가 시행되었다. 이는 징역형을 받은 비전향 좌익을 형기 만료 후에도 석방하지 않고 교도소 내 구금소에 머물게 하는 조치였다. 이로 인해 전향을 거부한 토쿠다 규이치 등 공산당 관계자들이 1945년 10월까지 구속되었다.[16]
파시즘을 창립한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 사회당 좌파 출신으로, 초기에는 공화주의와 사회주의적 경향이 강한 파시스트 선언을 내걸었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에도 헬만 에서나 오토 슈트라서와 같은 사회민주주의자 출신 전향자가 많았으며, 아돌프 히틀러도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에서 평의원이 된 후 정치에 관여하기 시작했다.[17][18][19][20]
아시아에서는 중화민국의 장징궈, 대한민국의 박정희, 남베트남의 응우옌 반 치우 등 냉전 시대 반공주의 독재자 중 일부가 공산주의자에서 전향한 인물이었다.[24]
3. 1. 전전(戰前) 일본의 전향
러시아 혁명과 독일 혁명으로 제정 국가들이 붕괴되자 사회주의 사상이 고조되었고, 1922년에 일본 공산당이 불법적으로 결성되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보통선거 실시와 맞바꾸는 조건으로 치안유지법(1925년)을 제정하여 이러한 움직임에 대항했다. 제1회 보통선거 이후 3·15사건(1928년), 4·16사건(1929년)과 함께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일제 검거가 이루어졌다.1933년 6월, 일본 공산당 위원장 사노 마나부(佐野学)는 나베야마 사다치카(鍋山貞親)와 함께 옥중에서 전향 성명을 발표했다.[6] 이들은 소련의 지도를 받는 공산주의·사회주의 운동에서 벗어나, 천황을 존중하는 공산주의·사회주의 운동을 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성명은 사회와 옥중 운동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대량 전향을 가속화시켰다.[8]
1933년 9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미결 피고의 30%, 기결의 36%가 전향을 표명했다. 오사카 교도소는 236명 중 109명, 토요타마 교도소(豊多摩刑務所)는 278명 중 182명이 전향하여 높은 비율을 보였다.[9]
고문에 의한 전향도 있었지만, 경찰관이나 사상검사에게 "고향의 부모님은 울고 있다" 등 감정에 호소하는 정신적인 방법으로 설득된 사람도 있었다. 전향한 학생은 대학 당국이나 문부성으로부터 복학을 권유받았고,[10][11] 사회 복귀를 위해 사법성에 보호되어 내무성이나 특고 경찰관으로부터 취업도 알선받는 등 다양한 좋은 조건으로 회유되었다.[12][13] 그러나 일본 공산당 등의 활동은 대중과의 유대가 약하고,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한 것이었기 때문에, 활동이 대중의 생활과 요구와 유리되어 있다는 고민으로 운동에서 멀어진 사람도 많았다. 전향하지 않은 194명이 고문으로 사망하고, 1503명이 옥중에서 병사했다고 한다.[14]
쇼와 전기에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검거된 사람은 7만 명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전향의 서약서를 작성했다. 하인리히 힘러는 일본 공산당원이 쉽게 전향하는 것을 알고 "운덴크바르(믿을 수 없다)"라며 놀랐다.[15]
당시 일본에서 주로 국가 사회주의로의 전향자가 많았던 배경에는 통제 경제 정책에 대표되는 전체주의라는 점에서 소련형 사회주의도 국가 총동원 체제도 공통점이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향한 사람들 중에는 만주국에 이상적인 새로운 땅을 찾아 대륙으로 건너간 사람들도 많았다.
1941년, 치안유지법이 개정되어 예방구금 제도가 시작되었다. 이것은 징역형을 받고 있는 비전향 좌익을 형기를 마친 후에도 석방하지 않고, 교도소 내 구금소에 머물게 하는 조치이며, 전향을 거부한 토쿠다 규이치(徳田球一) 등 공산당 관계자들이 1945년 10월까지 구속되는 계기가 되었다.[16]
특히 문학 분야에서는 전향 문제를 다룬 작품이 많이 쓰였는데, 무라야마 토모요시의 『백야(白夜)』, 나카노 시게하루의 『마을의 집(村の家)』 등이 알려져 있으며, 시마키 겐사쿠의 소설 『생활의 탐구(生活の探求)』(1937년)는 당시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였다.
3. 2. 전향자의 그 후
1933년 6월, 일본 공산당 위원장 사노 마나부는 나베야마 사다치카와 함께 옥중에서 전향 성명을 발표했다.[6] 이 성명은 옥중에 있던 운동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대량 전향의 움직임을 가속화시켰다.[8]전향자 중에는 반공주의 입장으로 전향한 인물들이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사노 마나부, 나베야마 사다치카, 다나카 세이겐, 미즈노 시게오, 아카마츠 카츠마로, 아카오 빈, 요시가와 미츠사다 등이 대표적이다. 고노에 후미마로와 기시 노부스케는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였는데, 이들은 학생 시절 사회주의에 경도되었으나 이후 반공주의적인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오카자키 히사히코는 사노 마나부와 나베야마 사다치카의 전향 이유가 노동가치설 등 사회주의 이론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의문 때문이 아니라, 주로 천황제에 관한 것이었으며,[21] 사회주의의 근본 원칙을 양보한 것은 아니라고 평가했다.[22]
전후에도 사노 마나부, 나베야마 사다치카, 히라바야시 타이코 등은 반공주의 입장을 유지했다. 반면, 나카노 시게하루, 사다 이나코 등은 과거를 반성하고 일본사회당이나 일본 공산당에 다시 들어가 사회 진보 운동에 참여했다. 후쿠다 마사요시처럼 전향했던 과거를 숨겼다는 이유로 비판받은 사람도 있었다.
3. 3. 냉전 시기 이후의 전향
전후에는 공산당 운동과 학생운동의 성쇠에 따라 전향자가 속출했다. 린 켄타로, 와타나베 쓰네오, 코야마 켄이치, 사토 세이사부로, 이토 타카시, 니시베 스스무, 시모사토 마사키, 후지오카 신쇼, 사토 카츠미, 히요모토 타츠키치, 하기와라 료, 시노하라 조이치로, 요네나가 쿠니오 등이 전향 사례로 꼽힌다.[24] 이노세 나오키, 모리타 미노루, 하세가와 케이타로, 스가 히데미, 센자키 쿄지, 요시모토 타카아키 등은 명확하게 반공주의는 아니지만, 학생운동이나 공산당에서 멀어져 보수 쪽으로 기울었다고 평가받는 인물들이다. 하세가와 코요, 스에노부 요시마사 등 보수 논단에서 활동하는 인물 중에는 자신을 전 좌익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아베 신조와 가까운 타자키 시로, 미키 도시루도 전향자이다.[24]1960년 안보 투쟁과 평화 운동에서 활약한 사회학자 시미즈 이쿠타로는 1980년 저서 『일본아 국가가 되어라』에서 일본의 핵무장화를 주장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아시아에서는 중화민국의 장징궈, 대한민국의 박정희, 남베트남의 응우옌 반 치우 등 냉전 시대 반공주의적 독재자 중 일부는 공산주의자에서 전향한 인물이었다.
3. 4. 세계 각국의 전향
아시아에서는 장징궈, 대한민국의 박정희, 남베트남의 응우옌 반 치우 등 냉전 시대의 반공주의적인 독재자 중 일부는 공산주의자에서 전향한 인물이었다.[24]이와 같이 전향은 보편적이고 글로벌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4. 한국 근현대사 속의 전향
일제강점기에는 러시아 혁명과 독일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고조되었고, 1922년 일본 공산당이 불법적으로 결성되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은 치안유지법(1925년)을 제정하고, 3·15사건(1928년), 4·16사건(1929년) 등을 통해 공산주의자들을 탄압했다.
1933년 6월, 일본 공산당 위원장 사노 마나부(佐野学)와 나베야마 사다치카(鍋山貞親)는 옥중에서 천황을 존중하는 사회주의 운동을 주장하는 전향 성명을 발표했다.[6] 이는 옥중 운동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어 대량 전향을 가속화했다.[8] 1933년 9월, 오사카 교도소와 토요타마 교도소(豊多摩刑務所) 등에서 많은 수감자들이 전향을 표명했다.[9]
전향은 고문뿐만 아니라 "고향의 부모님은 울고 있다"는 식의 감정에 호소하는 정신적 설득으로도 이루어졌다. 전향한 학생들은 복학 및 취업 알선 등의 혜택을 받았다.[10][11][12][13] 그러나 일본 공산당 등의 활동은 지식인 중심이어서 대중과의 유대가 약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운동에서 멀어진 사람들도 있었다. 전향하지 않은 194명이 고문으로 사망하고, 1503명이 옥중에서 병사했다.[14]
쇼와 전기에는 7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검거되었고, 대부분 전향했다. 토쿠다 규이치(徳田球一) 등 극소수만이 전향을 거부했으며, 압박에 견디지 못한 '위장 전향'도 있었다. 당시 국가 사회주의로의 전향자가 많았던 것은 통제 경제 정책 등 전체주의적 측면에서 소련형 사회주의와 국가 총동원 체제가 유사했기 때문이다. 전향자 중 일부는 만주국에 이상적인 새로운 땅을 찾아 대륙으로 건너가기도 했다.
1941년, 치안유지법 개정으로 예방구금 제도가 도입되어, 징역형을 받고 있는 비전향 좌익을 형기 후에도 석방하지 않고 구금소에 머물게 했다. 토쿠다 규이치(徳田球一) 등은 1945년까지 구속되었다.[16]
4. 1. 일제강점기 전향
러시아 혁명과 독일 혁명으로 제정 국가들이 붕괴하면서 사회주의 사상이 고조되었고, 1922년에는 일본 공산당이 불법적으로 결성되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보통선거 실시와 맞바꾸는 조건으로 치안유지법(1925년)을 제정하여 이러한 움직임에 대항했다. 제1회 보통선거 이후 3·15사건(1928년), 4·16사건(1929년)과 함께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일제 검거가 이루어졌다.1933년 6월, 일본 공산당 위원장 사노 마나부(佐野学)는 나베야마 사다치카(鍋山貞親)와 함께 옥중에서 전향 성명을 발표했다.[6] 이들은 소련의 지도를 받는 공산주의·사회주의 운동은 잘못이며, 앞으로는 천황을 존중하는 공산주의·사회주의 운동을 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성명은 옥중에 있던 운동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대량 전향의 움직임을 가속화시켰다.[8]
1933년 9월 시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어 있는 미결 피고의 30%, 기결의 36%가 전향을 표명했다. 오사카 교도소는 236명 중 109명, 토요타마 교도소(豊多摩刑務所)가 278명 중 182명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9]
고문에 의한 전향도 있었지만, 경찰관이나 사상검사에게 "고향의 부모님은 울고 있다" 등 감정에 호소하는 정신적인 방법으로 설득된 사람도 있었다. 전향한 학생은 대학 당국이나 문부성으로부터 복학을 권유받았으며,[10][11] 사회 복귀를 위해 사법성에 보호되어 내무성이나 특고 경찰관으로부터 취업도 알선받는 등 다양한 좋은 조건으로 회유되었다.[12][13] 그러나 일본 공산당 등의 활동은 대중과의 유대가 약하고,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한 것이었기 때문에, 활동이 대중의 생활과 요구와 유리되어 있다는 고민으로 운동에서 멀어진 사람도 많았다. 전향하지 않은 194명이 고문으로 사망하고, 1503명이 옥중에서 병사했다고 한다.[14]
쇼와 전기에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검거된 사람은 7만 명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전향의 서약서를 작성했다. 끝까지 주의를 굽히지 않은 것은 일본 공산당에서도 토쿠다 규이치(徳田球一)・미야모토 켄지(宮本顕治)・하카마다 사토미(袴田里見) 등 극소수였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전향했다. 압박에 견디지 못한 '''위장 전향''', '''가장 전향'''이라고 불리는 것도 있었다.
당시 일본에서 주로 국가 사회주의로의 전향자가 많았던 배경에는 통제 경제 정책에 대표되는 전체주의라는 점에서 소련형 사회주의도 국가 총동원 체제도 공통점이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향한 사람들 중에는 만주국에 이상적인 새로운 땅을 찾아 대륙으로 건너간 사람들도 많다.
1941년, 치안유지법이 개정되어 예방구금 제도가 시작되었다. 이것은 징역형을 받고 있는 비전향 좌익을 형기를 마친 후에도 석방하지 않고, 교도소 내 구금소에 머물게 하는 조치이며, 전향을 거부한 토쿠다 규이치(徳田球一) 등 공산당 관계자들이 1945년 10월까지 구속되는 계기가 되었다.[16]
5. 전향에 대한 다양한 관점
근세 가톨릭 신자들이 불교나 신도로 개종하거나 배교하도록 강요받는 일이 있었는데, 이때 배교한 가톨릭 신자를 '변절 가톨릭 신자'라고 불렀다. 전전에는 특별고등경찰, 헌병, 검찰 등이 여러 수단을 동원하여 "주의자"들의 "극단적" 사상을 포기하게 만드는 것이 국가의 사상 정책이자 행정이었다. 이때, 조직에서 이탈하는 것을 심리적으로 쉽게 만들기 위해 "이는 변절이 아니라, '옳은 노선으로 전향하는 것'이다"라는 논리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전향의 기원이다.[1] 사상·양심의 자유가 보장된 전후에는 전향을 "비겁하게 굴었다"는 식으로 경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1]
5. 1. 전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
전향은 변절, 배신, 기회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특히 전향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시각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위장 전향이나 가장 전향 등이 있다.[15]일제강점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특별고등경찰, 헌병, 검찰 등에 의해 강제로 사상을 포기해야 했다. 이때 "이는 변절이 아니라, '옳은 노선으로 전향하는 것'"이라는 논리가 사용되었지만, 해방 이후에는 "비겁하게 굴었다"는 비판과 함께 경멸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6]
1933년 9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사람들 중 상당수가 전향을 표명했는데, 여기에는 고문뿐만 아니라 "고향의 부모님은 울고 있다"는 식의 감정적인 설득, 복학과 취업 알선 등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회유도 작용했다.[9][10][11][12][13]
일본 공산당 간부들조차 천황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전향 성명을 발표하면서 대량 전향이 가속화되었지만,[6][8] 압박에 견디지 못해 위장 전향이나 가장 전향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끝까지 전향하지 않은 사람들은 극소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남아 법 폐지로 석방된 사람들은 “인민전사”라고 불리며 당 간부가 되었다.[15]
5. 2. 역(逆)전향
오자와 이치로(小沢一郎)는 과거 군국주의자라고까지 불렸으나,[27] 자민당 탈당 후 신진당, 자유당에서 강력한 우파였지만, 민주당 입당 이후에는 자유주의·좌파로 전향했다.스즈키 쿠니오(鈴木邦男), 아마미야 쇼린(雨宮処凛), 후루야 케이코(古谷経衡), 코바야시 요시노리(小林よしのり)와 잡지 『월간 일본(月刊日本)』 등은 비즈니스 우익,[28] 넷 우익, 행동하는 보수의 증가에 따라 전향하거나 좌파 인맥과 교류를 시작한 예이다.
우파에서 좌파로의 "전향"은 비교적 소수이다. 좌에서 우로 전향한 토야마 코이치(外山恒一)는, 우파는 "이치는 상관없다"는 세계여서 시끄럽게 말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안하다고 말했다.[29] 또한, 토야마는 냉전에서 승리했어야 할 미국이 1968년적 가치관에 얽매여 간다는, 국가 자체의 전향을 지적하고 있다.[30]
5. 3. 전향에 대한 중도적 시각
근세에 가톨릭 신자에 대한 불교, 신도로의 개종, 배교 강요와 유사한 개념이 있었다. 배교한 가톨릭 신자를 '''변절 가톨릭 신자'''라고 불렀다. 전전에는 특별고등경찰, 헌병, 검찰 등이 온갖 수단을 사용하여 "주의자"의 "극단적" 사상을 포기하게 하려는 것이 국가의 사상 정책이자 사상 행정이었다. 그때 조직으로부터의 이탈을 심리적으로 쉽게 하기 위해, "이는 '''변절'''이 아니라, '옳은 노선으로 '''전'''향'''하는''' 것이다"라는 논리가 사용되었다. 이것이 전향의 기원이다.[1] 사상·양심의 자유가 보장된 전후에는 "비겁하게 굴었다", "넘어졌다" 등으로 경멸하는 경향이 있다.[1]참조
[1]
서적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2]
논문
The Empire Strikes Back? The 1968 Meiji Centennial Celebrations and the Revival of Japanese Nationalism
https://doi.org/10.1[...]
2021-08-19
[3]
서적
The Policing of Politics in the Twentieth Century: Historical Perspectives
Berghahn Books
1997
[4]
논문
The Empire Strikes Back? The 1968 Meiji Centennial Celebrations and the Revival of Japanese Nationalism
https://doi.org/10.1[...]
2021-08-19
[5]
간행물
日蓮聖人の真言批判について 末法下種思想形成の一側面
http://hokkeshu-kenk[...]
[6]
뉴스
佐野・鍋山が転向理由を弁護団に説明
東京朝日新聞
1933-06-11
[7]
서적
思想検事
[8]
뉴스
三田村、高橋、中尾も転向声明
中外商業新報
1933-07-07
[9]
뉴스
転向相次ぎ、被告の三割越す
中外商業新報
1933-09-05
[10]
논문
左翼学生の転向と復学--東京帝国大学における事例
2006-03
[11]
논문
転向学生の復学とその後--東北帝国大学・京都帝国大学における事例
2009-03
[12]
뉴스
赤く汚れた思想を清める : 温い補導に、今こそ古巣の社会へ : 思想犯保護観察所を設け乗り出した司法省
0100286343 #url은 실제 [...]
東京日日新聞
1935-10-02
[13]
뉴스
左翼転向者の身の振方に内務省一肌脱ぐ : 全国警察署に職業紹介係設置
0100286806 #url은 실제 [...]
大阪毎日新聞
1935-04-23
[14]
간행물
文化評論
1976 # 월, 일 정보 없음.
[15]
웹사이트
「「國体の本義」はなぜ手ごわいのか(中)」/稲浜 昇 | 論壇/
http://gendainoriron[...]
[16]
뉴스
予防拘禁で非転向左翼を再収用
朝日新聞
1941-05-16 #쇼와 16년 5월 16일을 서기 연도로 변환
[17]
뉴스
ミュンヒナー・ポスト
1922-03-24
[18]
서적
Flight from Terror
http://mailstar.net/[...]
[19]
서적
Hitler. 1889–1936, Hitlers München – Aufstieg und Fall der Hauptstadt der Bewegung
Stuttgart, München #출판사와 출판장소를 구분하기 어려워 통합
1998, 2001 # 두 권의 책의 출판연도를 모두 기재
[20]
웹사이트
Sozialdemokratie und Nationalsozialismus: Heil Dir, Lassalle!
http://ef-magazin.de[...]
2013
[21]
서적
重光・東郷とその時代
PHP研究所
[22]
서적
重光・東郷とその時代
[23]
서적
重光・東郷とその時代
[24]
웹사이트
読書人WEB
https://dokushojin.c[...]
[25]
서적
レーガン
中公新書
[26]
뉴스
Putin: I Still Like Communist Ideas ‘Very Much’
https://www.cnsnews.[...]
CNS
2016-01-25
[27]
웹사이트
議員在職50年 小沢一郎「出世とキャリア」〈4〉 1990代~革命(2/7) | JBpress (ジェイビープレス)
https://jbpress.isme[...]
[28]
웹사이트
【悲報】実家に帰省したら親がネトウヨになってた…元凶の「ビジネス右翼」を生む歴史と構造。そして治療法はあるのか|古谷経衡(文筆家)|FINDERS
https://finders.me/a[...]
[29]
웹사이트
閉ざす小集団と、開く心 – ページ 2 – 集英社新書プラス
https://shinsho-plus[...]
[30]
웹사이트
学生運動入門 2.歴史篇
http://www.warewar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