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무르불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무르불곰은 캄차카불곰과 유사하지만, 더 가늘고 긴 두개골 등의 특징을 가지는 불곰의 아종이다. 털 색깔은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하며, 수컷은 약 1.9~2.3m, 암컷은 1.6~1.8m의 몸길이를 가지며, 최대 480kg까지 나간다. 잡식성이며, 러시아, 중국 북동부, 한반도, 일본 홋카이도 등지에 분포한다. 아무르불곰은 호랑이에게 사냥당하기도 하며, 인간과의 충돌도 발생한다. 20세기 초 홋카이도에서는 곰의 공격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현재는 보호 및 관리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곰과 - 불곰
    불곰은 곰과에 속하는 잡식성 동물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곰아과에 속하는 다른 곰들과 계통적으로 가깝다.
  • 곰과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시베리아의 포유류 - 노루
    노루는 긴 목과 큰 귀를 가진 사슴과 동물로, 붉은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지며, 유라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잡초를 먹고 살지만, 서식지 감소와 개체 수 변동으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일본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일본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아무르불곰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노보리베츠 곰 목장의 아무르불곰 (2019년)
노보리베츠 곰 목장의 노보리베츠에 있는 아무르불곰 (2019년)
곰속
불곰
아종아무르불곰
보전 상태
IUCN멸종 위기 등급 - 관심 필요 (LC) (홋카이도)
IUCN멸종 위기 등급 - 취약 (VU) (중국 및 러시아)
학명
학명Ursus arctos lasiotus
명명자Gray, 1867
이명baikalensis Ognev, 1924
cavifrons (Heude, 1901)
ferox Temminck, 1844
macneilli Lydekker, 1909
melanarctos Heude, 1898
yesoensis Lydekker, 1897
이름
한국어아무르불곰
일본어에조히구마
영어Ezo brown bear
Hokkaido brown bear

2. 특징

캄차카불곰과 매우 유사하지만, 더 길쭉한 두개골, 덜 솟아오른 이마, 약간 더 긴 코뼈, 덜 벌어진 관골궁을 가지고 있다. 털 색깔은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하며, 과거에는 검은색 개체가 불곰과 반달가슴곰의 잡종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반증되었다. 성체 수컷의 두개골 길이는 평균 38.7cm이고, 폭은 23.5cm이다. 때때로 캄차카불곰보다 더 큰 크기에 도달할 수 있는데, 세르게이 오그네프 (1931)가 측정한 가장 큰 두개골은 당시 기록상 가장 큰 코디악곰 (불곰의 가장 큰 아종)의 두개골보다 약간 작았다.[4]

홋카이도에 있는 아무르불곰


아무르불곰


두개골


성체의 크기는 수컷과 암컷이 다르며, 수컷이 더 크다. 몸길이는 수컷이 약 1.9 - 2.3m, 암컷이 약 1.6 - 1.8m이다. 체중은 수컷 약 120 - 250kg, 암컷이 약 150 - 160kg[48]이며, 최대 480kg에 달하는 개체도 있다.[49] 최근 기록에 남아있는 최대 개체의 경우, 체중은 수컷이 520kg(2007년, 에리모정 추정 17세), 암컷이 160kg(1985년, 추정 8 - 9세)이다. 몸길이는 수컷이 243cm(1980년, 14 - 15세), 암컷이 186cm(1985년, 8 - 9세)[48]이다. 털색은 갈색에서 흑색까지 개체에 따라 다양하며[35], 그 색상에 따라 황갈색 계열은 '''금모''', 흰색 계열은 '''은모''', 목이나 가슴에 직사각형 모양의 흰색이 있는 개체는 '''달고리'''라고 불린다. 여름 털은 자모로, 겨울 털은 자모와 솜털로 구성되어 있다.[48]

아무르불곰의 신체 특징
구분내용
이빨 수총 42개 (incisor|앞니영어 위 6개, 아래 6개, canine|송곳니영어 위 2개, 아래 2개, premolar|작은 어금니영어 위 8개, 아래 8개, molar|큰 어금니영어 위 4개, 아래 6개)
젖꼭지 수총 6개 (가슴 2쌍, 서혜부 1쌍, 배에는 없음)
지절 수 (손가락 수)총 20개 (앞다리 5개, 뒷다리 5개)[50]
신생아 크기몸길이 25 - 35cm, 체중 300 - 600g, 시력 없음, 이빨 없음, 솜털이 드문드문 나 있음[48]


3. 행동 방식과 활동

시레토코반도에서 반야(Banya)라고 불리는 지역에는 새끼를 데리고 있는 많은 암컷 곰들이 종종 어부들에게 접근해 사람들 근처에서 시간을 보내는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은 반세기 이전에 처음으로 기록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사상자나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공격적인 성체 수컷과의 만남을 피하기 위해 암컷 곰들이 새끼를 데리고 어부들에게 접근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94]

3. 1. 식습관

아무르불곰은 잡식성이지만 주로 채식을 한다. 서식지에 따라 다양한 식물, 곤충, 어류, 포유류 등을 섭취한다.

홋카이도에서는 농작물을 섭취하여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98] 크고 작은 포유류, 물고기, , 개미와 같은 곤충들을 먹는다.[96]

아무르불곰은 영양 섭취와 변비 예방 및 소화 촉진, 두 가지 목적으로 식물을 섭취한다. 영양 섭취를 위해 부들이나 산형과 등의 풀과 나무 열매를 섭취한다. 식물 섬유를 분해하는 장내 세균과 공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초속 등의 식물 섬유가 많은 식물은 변비 예방과 소화 촉진을 위해 섭취한다.

주로 조류, 포유류, 곤충류가재연어 등의 수생 동물을 섭취하며, 동족 포식도 한다. 곤충류나 가재의 외골격, 깃털, 털 등은 분해할 수 없어 소화되지 않은 채 배설된다.

식성은 매우 다양하며,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수지도 먹는다. 풀류는 약 60종, 나무 열매는 약 40종, 동물은 약 30종을 먹는다.[55]

다음은 아무르불곰이 먹는 대표적인 먹이이다.

종류상세
머위를 가장 많이 먹고, 참취도 먹는다.[56] 산형과 식물(백산미치광이풀, 시라네당근)은 자생 지역이 식사 장소가 된다.[58][56] 앉은부채를 좋아하며, 앉은부채가 없는 경우 물부추를 먹는다.[59] 홋카이도에서는 골풀과, 벼과, 사초과의 이용 비율은 적다.[56]
나무 열매떨어진 나무 열매를 주워 먹거나 나무에 올라가서 먹는다.[58] 6월 중순에는 뽕나무 열매, 9-10월에는 좀고산마루, 가래나무, 풀고사리, 검은말채나무 열매를 먹는다.[58] 홋카이도에서는 떡갈나무 견과를, 오시마반도에서는 너도밤나무 견과를 먹는다.[60]
어류시레토코반도 일부 지역에서만 연어·송어류를 먹는다.[61] 10월에 뎃판베츠강으로 거슬러 올라온 연어포식하고, 11월에도 연어를 포식한다.[64]
절지동물 (곤충 등)개미 굴을 파서 개미를 핥아 먹는다. 개미산 맛을 좋아하며, 대량으로 있고 공격성이 낮은 개미를 선택적으로 먹는다.[62] 땅 속 풍뎅이 유충을 파내어 먹고,[47] 개울 주변 돌을 치워 가재를 찾아 먹는다.[47]
포유류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에조사슴을 연중 먹이로 이용하며, 주로 적극적으로 포식한다.[61] 가축이나 사람을 포식하는 경우도 있다.[64] 내장부터가 아닌 근육부터 먹기 시작하고, 마지막으로 사지를 먹지만, 팔꿈치무릎 앞부분은 먹지 않는 경우가 많고, 머리는 더욱 먹지 않는다.[63]
시체부패 냄새가 나는 시체도 먹는다. 해안에 떠밀려 죽은 바다 동물이나 어류 등이 먹이가 된다.[64]
농작물옥수수, 사탕무, 멜론, 수박, 등 다양한 채소, 과일, 곡물을 먹는다.[65]


3. 2. 호랑이와의 상호작용

아무르불곰은 시베리아호랑이에게 잡아먹히기도 하는데, 호랑이 먹이의 약 1%를 차지한다. 매우 드문 경우지만, 반달가슴곰과 함께 18.5%까지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99][100] 시베리아호랑이는 주로 새끼 불곰을 노리지만, 성체 암컷 아무르불곰도 사냥 대상이 된다.[95][101][102] 일반적으로 호랑이는 겨울철 곰의 동면 장소에서 불곰을 공격한다.[103]

큰 불곰은 개활지에서 생활하고 나무를 잘 타지 못하기 때문에, 몸집이 작은 반달가슴곰보다 호랑이의 공격을 더 자주 받는다. 호랑이는 곰을 사냥할 때 바위나 쓰러진 나무의 바람 그늘에 자리 잡고 곰이 지나가기를 기다린다. 곰이 지나가면 위를 보는 자세에서 튀어 올라 앞발 하나로 뺨 아래를 붙잡고 다른 발로 목을 잡아 척추를 물어 죽인다. 곰을 죽인 후에는 등, 다리, 사타구니 등 지방이 많은 부위를 집중적으로 먹는다.[107]

호랑이는 유제류의 개체 수가 줄어들 때 곰을 공격하는 경향을 보인다. 1944년부터 1959년까지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호랑이가 곰을 공격한 사례가 32건 이상 기록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불곰이 암컷 호랑이나 새끼 호랑이를 죽인 사례도 4건 보고되었는데, 이는 먹이 경쟁이나 자기 방어를 위한 싸움으로 추정된다.[107][104][105][106]

1972년, 게픈터 등은 곰이 일반적으로 호랑이를 두려워하며 호랑이 발자국을 만나면 진로를 바꾼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1970년부터 1973년 겨울, 유다코프와 니콜라예프는 불곰이 호랑이를 두려워하지 않은 사례 1건과 호랑이 발자국을 따라 진로를 바꾼 사례들을 기록했다.[99][107][108][109] 큰 불곰은 호랑이가 사냥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호랑이의 존재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도 있다.[110]

시호테알린 자연보호구역에서 실시된 원격 조사 연구에서는 두 포식자 간의 직접적인 대립이 총 44건 관찰되었는데, 곰이 희생된 경우는 22건, 호랑이가 희생된 경우는 12건이었다.[111]

블라디보스토크 박물관에 전시된 갈색곰과 시베리아 호랑이의 박제 전시물

4. 분포 및 서식 현황

아무르불곰은 러시아우수리 지방, 사할린, 아무르주, 샨타르스키예 제도, 이투루프섬중국 북동부, 한반도, 일본 홋카이도쿠나시르섬에서 발견되었다. 13세기까지 라페루즈 해협을 건너 일본의 레분섬리시리섬에도 서식했다.[112] 마지막 빙하기 동안은 혼슈에서도 서식했으나 반달가슴곰과의 경쟁에서 밀려났거나 기후 변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로 인해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113]

한반도에서 불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북부 지역에서 서식했던 기록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소수의 아무르불곰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 곰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북한에서 큰곰이 서식하는 지역은 개마고원함경산맥이며, 이들은 각각 룡림큰곰(천연기념물 124호)과 관모봉큰곰(천연기념물 330호)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16][117] 룡림큰곰은 평균 150~250kg, 개마고원 북쪽의 큰곰은 평균 500~600kg 정도이다.[116]

중국 헤이룽장성에는 500~1,500마리 정도의 아무르불곰이 존재하며 감소종으로 분류된다. 불법 사냥과 포획은 곰의 신체 부위가 높은 경제적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개체수 감소의 심각한 요인이다.[118]

러시아에서는 아무르불곰이 경기 동물로 간주되어 유라시아불곰만큼 광범위하게 사냥당하고 있지는 않다.[118]

일본 홋카이도에는 현재 5개의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시카리시 서부 고립지에 사는 작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서부 이시카리 지역에는 90~152마리, 테시오-마시케 산맥에는 84~135마리의 불곰이 서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의 서식지는 삼림 개발과 도로 건설 등 인간 활동으로 심하게 제약되어 왔으며, 과도한 수확 역시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118] 2015년에 홋카이도 정부 생물부는 불곰의 개체수를 10,600마리 정도로 추산했다.[119] 홋카이도 본섬 외에 쿠나시르섬이투루프섬에도 분포한다.[52]

에조불곰의 서식지

5. 인간과의 관계

20세기 초 57년간 홋카이도에서는 곰의 공격으로 141명이 사망하고 300명이 부상을 입었다.[21] 1915년 12월 산케이 지역에서 발생한 산케베츠 불곰 사건은 일본 역사상 최악의 곰 공격 사건으로, 7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22] 이 사건의 범인은 몸무게 380kg에 키 2.7m인 불곰으로, 토마마에 마을을 두 번이나 공격했고, 첫 번째 공격 이후 희생자들의 장례 전날 밤에 다시 그 지역으로 돌아왔다. 이 사건은 현대 일본의 곰 관련 사건에서 자주 언급되며, 곰을 식인 동물로 인식하게 된 일본의 시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21] 1962년부터 2008년까지 홋카이도에서 곰에 의한 공격이 86건 발생했고 33명이 사망했다.[23]

시레토코 반도에서는 특히 "반야"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어미 곰과 새끼 곰이 어부들에게 접근하여 사람 근처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독특한 행동은 반세기 전에 처음 관찰되었으며, 지금까지 사상자나 사고는 한 건도 기록되지 않았다. 어미 곰들은 공격적인 성체 수컷 곰과의 만남을 피하기 위해 새끼 곰들을 데리고 어부들에게 접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4]

에조불곰은 인간에게 있어 수렵의 대상, 인간을 살상하거나 농작물, 가축을 갉아먹는 유해 야생 동물, 사육·전시 및 문화적 대상 등 다양하고 오랫동안 관계를 맺어온 동물이다. 아이누는 수렵을 통해 곰고기나 모피 등을 가져다주는 불곰을 카무이|산의 신ain로서 존경하는 한편, 사람을 잡아먹은 개체는 웬카무이("나쁜 신")로서 사냥한 후에는 식용을 피했다.[72]

6. 보호 및 관리

1990년 봄철 곰 사냥 중단 이후, 홋카이도에서는 불곰과의 공존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79][80][81] 1988년 홋카이도 의회에서 당시 홋카이도 지사였던 요코미치 타카히로는 "불곰은 본도의 풍요로운 자연을 상징하는 야생 동물이며, 보호 측면에서도 대응하겠다"고 발언했다.[79] 유해 조수 구제는 계속되고 있지만, 2000년대 이후 홋카이도 각지에서 피해 방지와 공존을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82] 2000년에는 "오시마 반도 지역 불곰 보호 관리 계획"이 수립되어 과학적인 불곰 보호 관리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82] 세계 유산 지역인 시레토코에서도 "시레토코 불곰 보호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참조

[1] 웹사이트 IUCN Brown Bear subspecies status https://www.iucnredl[...] 2022-08-29
[2] 논문 Note on ''Ursus lasiotus'', a hairy-eared bear from North China https://www.biodiver[...] 1867
[3] 서적 California Grizz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https://archive.org/[...] Science Publishers, Inc.
[5] 논문 Denning ecology of brown bears and Asiatic black bears in the Russian Far East http://www.bearbiolo[...] 2009-10-30
[6] 논문 Ants as prey of the Yezo brown bear ''Ursus arctos yesoensis'' with consideration on its feeding habits http://ir.obihiro.ac[...] Obihiro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Veterinary Medicine 2009-05-05
[7] 웹사이트 体重400キロのヒグマ捕獲 なぜ巨大化?|日テレNEWS24 http://www.news24.jp[...]
[8] 웹사이트 ヒグマ・ベーリングヒグマ http://biggame.iza-y[...]
[9]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0] 서적 Feline Behaviour and Welfare CABI
[11] 논문 Denning ecology of brown bears and Asiatic black bears in the Russian Far East http://www.wcsrussia[...] 2023-03-19
[12] 서적 Tigers of Sikhote-Alin Zapovednik: Ecology and Conservation PSP
[13] 학위논문 The ecology, behavi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atus of brown bears in Sikhote-Alin http://uml.wl.dvgu.r[...] Far Eastern National University
[14] 논문 The Pleistocene lion Panthera spelaea (Goldfuss, 1810) from Poland – A review https://www.research[...] 2021-12-20
[15] 서적 The Ecology of the Amur Tiger based on Long-Term Winter Observations in 1970–1973 in the Western Sector of the Central Sikhote-Alin Mountains Institute of Biology and Soil Science, Far-Eastern Scientific Center,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2014-09-17
[16] 서적 Tigers in the Snow North Point Press
[17] 서적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ear Research & Managem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ear Research and Management
[18] 서적 Биоразнообразие и роль животных в экосистемах: Материалы IV Международной науч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Oles Honchar Dnipro National University 2015-07-15
[19] 논문 Brown Bear predation of Amur Tiger 1973 account http://animalsverses[...] 2009-10-20
[20] 논문 Survival rates and causes of mortality of Amur tigers on and near the Sikhote-Alin Biosphere Zapovednik
[21] 서적 Natural Enemies: People-Wildlife conflicts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Psychology Press
[22] 웹사이트 Fu Watto Tomamae http://www.hkd.mlit.[...] 2008-06-07
[23] 뉴스 The lowdown on Hokkaido bears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08-03-15
[24] 웹사이트 288回「知床ヒグマ親子 番屋に大集合!」│ダーウィンが来た!生きもの新伝説 http://cgi2.nhk.or.j[...] 2016-05-28
[25] 문서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p.356
[26] 서적 日本のクマ: 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University of Tokyo Press 2011
[27] 간행물 ヒグマ研究におけるユーラシア東部の重要性とサケとクマがつなぐ海と森 http://www.mofa.go.j[...]
[28] 웹사이트 ヒグマをとおしてみた北海道・極東・ユーラシア http://museum-sv.mus[...]
[29] 간행물 本州にかつて生息していたヒグマの起源の解明 https://www.yamanash[...] 2021
[30] 간행물 Chapter 7. Brown Bear Conservation Action Plan for Asia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Higuma Population Estimates http://www.pref.hokk[...]
[32] 간행물 Ursus arctos 2021-11-19
[33] 웹사이트 North Korean Human Geography, Ryonglim Big Bear http://www.cybernk.n[...]
[34] 웹사이트 North Korean Human Geography, Gwanmobong Big Bear http://www.cybernk.n[...]
[35] 문서 『日本の哺乳類 改訂2版』p.77
[36] 서적 天塩・増毛地方のエゾヒグマ ぎょうせい 2014
[37] 서적 石狩西部のエゾヒグマ ぎょうせい 2014
[38] 웹사이트 RDB種情報(動物)種の詳細情報 http://www.biodic.go[...] 環境省自然環境局生物多様性センター 2010-01-23
[39] 논문 Taxonomic differentiation of ''Ursus arctos'' (Carnivora, Ursidae) from south Okhotsk Sea islands on the basis of morphometrical analysis of skull and teeth https://doi.org/10.1[...] Russian Journal of Theriology 2004
[40] 논문 The Blue Bear of Tibet, with Notes on the Members of the ''Ursus arctus'' Group https://doi.org/10.1[...]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897
[41] 논문 "''Ursus arctos''" https://doi.org/10.2[...]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93
[42] 논문 日本産食肉目の種名検討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97
[43] 웹사이트 エゾヒグマ/札幌市円山動物園 http://www.city.sapp[...] 札幌市円山動物園 2010-01-24
[44] 서적 クマ科 平凡社 1986
[45] 웹사이트 北海道ヒグマ管理計画(第2期)資料編 https://www.pref.hok[...] 2023-06-22
[46]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47]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48]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49] 웹사이트 エゾヒグマ http://www.higashiya[...] 東山動植物園 2010-01-23
[50]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51]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52] 서적 第2章 ヒグマ―日本最大の食肉類 東京大学出版会 2018
[53] 웹사이트 旭山の動物たち http://www5.city.asa[...] 旭川市旭山動物園 2010-01-23
[54] 뉴스 マケンコ ご長寿35歳/のぼりべつクマ牧場 歴代記録を更新 読売新聞 2022-01-29
[55]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56] 서적 日本のクマ―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2011
[57] 웹사이트 シラネニンジン http://bean.bio.chib[...] 千葉大学理学部生物学科 2010-01-23
[58]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59]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60] 서적 日本のクマ―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2011
[61] 서적 日本のクマ―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2011
[62] 서적 日本のクマ―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2011
[63]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64]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65] 서적 日本のクマ―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2011
[66]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67]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2009
[68] 웹사이트 エゾヒグマ http://www5.city.kyo[...] 京都市動物園 2010-01-23
[69] 웹사이트 エゾヒグマ http://www.tobezoo.c[...] 愛媛県立とべ動物園 2010-01-23
[70] 웹사이트 エゾヒグマ -釧路市動物園- http://www.city.kush[...] 釧路市動物園 2010-01-23
[71] 웹사이트 山の花だより - 冬の森 http://www.kanko.met[...] 奥多摩観光協会 2010-01-23
[72] 뉴스 [ボーダー2.0]「山の神」人を襲えば「悪い神人間と」 人間とヒグマの適切な「境界」とは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4-04-22
[73] 서적 日本のクマ―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74] 서적 日本のクマ―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75] 웹사이트 牛を襲う 謎のヒグマ「OSO18」とは なぜ被害が? 追跡取材で迫る https://www.nhk.jp/p[...] 2022-10-23
[76] 웹사이트 ヒグマによる人身事件の概要一覧(1970年〜2000年12月) http://www.yasei.com[...] 北海道野生動物研究所 2012-08-04
[77] 서적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78] 뉴스 クマ「指定管理鳥獣」に 捕獲や生息調査に交付金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4-22
[79] 간행물 ヒグマをめぐる渡島半島地域住民の意識と行動 https://hdl.handle.n[...] 室蘭工業大学 2022-10-23
[80] 웹사이트 ヒグマ特集 保護政策へ転換 増加の要因:北海道新聞 どうしん電子版 https://www.hokkaido[...] 2022-10-23
[81] 웹사이트 フィールド紹介―――道南・渡島半島 http://higuma1979.sa[...] 2022-10-23
[82] 간행물 北海道のヒグマ保護管理への取り組み―特定計画化への課題― https://doi.org/10.1[...]
[83] 서적 ヒグマ学入門―自然史・文化・現代社会
[84] 뉴스 人恐れぬ新世代クマか 札幌7日も警戒続く 北海道新聞 2011-10-08
[85] 뉴스 目前10メートル住宅街騒然 北海道新聞 2012-04-20
[86] 뉴스 【ニュースの門】街の中クマに出会ったら…「アーバンベア」市街地周辺に生息 読売新聞 2022-04-14
[87] 서적 アーバンベア となりのヒグマと向き合う http://www.utp.or.jp[...] 東京大学出版会
[88] 뉴스 クマ警戒の連休初日 北海道新聞 2011-10-09
[89] 뉴스 クマ目撃札幌で続く 住宅地パトロール強化 北海道新聞 2011-10-07
[90] 뉴스 千歳市街クマ出没続く 北海道新聞 2011-10-08
[91] 저널 Note on ''Ursus lasiotus'', a hairy-eared bear from North China https://www.biodiver[...] 1867
[92] 서적 California Grizz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04-04
[93]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https://archive.org/[...] Science Publishers, Inc.
[94] 웹인용 288回「知床ヒグマ親子 番屋に大集合!」│ダーウィンが来た!生きもの新伝説 http://cgi2.nhk.or.j[...] 2020-04-04
[95] 저널 Denning ecology of brown bears and Asiatic black bears in the Russian Far East http://www.bearbiolo[...] 2020-04-04
[96] 저널 Ants as prey of the Yezo brown bear ''Ursus arctos yesoensis'' with consideration on its feeding habits http://ir.obihiro.ac[...] Obihiro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Veterinary Medicine 2009-05-05
[97] 웹인용 ヒグマ・ベーリングヒグマ http://biggame.iza-y[...]
[98] 웹인용 体重400キロのヒグマ捕獲 なぜ巨大化?|日テレNEWS24 http://www.news24.jp[...]
[99] 저널 Relationship between tigers, brown bears, and Himalayan black bears
[100]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01] 서적 Feline Behaviour and Welfare CABI
[102] 서적 Amur tiger Russian Nature Press
[103] 문서 V.G. Heptner and N.P. Naumov.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2 IIa 1998. New Delhi, India: Amerind Publishing. p671
[104] 문서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ume 2, by V.G Heptner & A.A. Sludskii, p177
[105] 문서 Seryodkin, I. V., J. M. Goodrich, A. V. Kostyrya, B. O. Schleyer, E. N. Smirnov, L. L. Kerley, and D. G. Miquelle (2005). "Relationship between tigers, brown bears, and Himalayan black bears". pp. 95-202 in D. G. Miquelle, E. N. Smirnov, and J. M. Goodrich (eds.), ''Tigers of Sikhote-Alin Zapovednik: Ecology and Conservation''. Vladivostok, Russia: PSP.
[106] 웹사이트 Table 1 http://tigers.ru/art[...] 2012-03-29
[107] 서적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ume II, Part 2
[108] 서적 The Ecology of the Amur Tiger based on Long-Term Winter Observations in 1970-1973 in the Western Sector of the Central Sikhote-Alin Mountains http://sixote-alin.r[...] Institute of Biology and Soil Science, Far-Eastern Scientific Center,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2020-04-04
[109] 서적 The Ecology of the Amur Tiger based on Long-Term Winter Observations in 1970–1973 in the Western Sector of the Central Sikhote-Alin Mountains http://sixote-alin.r[...] Institute of Biology and Soil Science, Far-Eastern Scientific Center,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2020-04-04
[110] 서적 Tigers of Sikhote-Alin Zapovednik: ecology and conservation PSP
[111] 서적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ear Research & Management http://www.carnivor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Bear Research and Management 2020-04-04
[112] 문서 『野生動物調査痕跡学図鑑』
[113] 서적 日本のクマ: ヒグマとツキノワグマの生物学 University of Tokyo Press
[114] 간행물 ヒグマ研究におけるユーラシア東部の重要性とサケとクマがつなぐ海と森 http://www.mofa.go.j[...]
[115] 웹사이트 ヒグマをとおしてみた北海道・極東・ユーラシア http://museum-sv.mus[...] 2016-10-11
[116] 웹사이트 North Korean Human Geography, Ryonglim Big Bear http://www.cybernk.n[...]
[117] 웹사이트 North Korean Human Geography, Gwanmobong Big Bear http://www.cybernk.n[...]
[118] 서적 Chapter 7. Brown Bear Conservation Action Plan for Asia https://web.archive.[...] IUCN
[119] 웹사이트 Higuma Population Estimates http://www.pref.hokk[...] 2015-12-02
[120] 서적 Natural Enemies: People-Wildlife conflicts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https://www.amazon.c[...]
[121] 웹인용 Fu Watto Tomamae http://www.hkd.mlit.[...] 2008-06-07
[122] 뉴스 The lowdown on Hokkaido bears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08-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