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소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소 문자는 음소를 나타내는 문자를 사용하는 문자 체계이다. 알파벳은 좁은 의미에서 자음과 모음을 모두 나타내는 문자를 사용하는 음소 문자를 의미하며, 압자드와 아부기다와 구별된다. 알파벳의 기원은 페니키아 문자를 거쳐 그리스 문자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스 문자는 서유럽 알파벳의 기초가 되었으며, 라틴 문자, 키릴 문자, 한글 등이 알파벳에 해당한다. 알파벳은 문자의 표준 순서인 알파벳순을 가지며, 철자법과 발음 사이의 관계는 언어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음소문자 | |
---|---|
문자 체계 | |
유형 | 음소 문자 |
정의 | |
설명 | 언어의 음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자 집합 |
문자소 | 각 문자가 하나의 음소를 나타냄 |
특징 | |
효율성 | 비교적 적은 수의 문자로 많은 단어를 표현 가능 |
학습 용이성 | 문자-소리 대응 관계가 비교적 명확하여 학습이 용이함 |
유연성 | 새로운 단어 및 외국어 표기에 용이함 |
역사 | |
기원 | 고대 이집트 문자에서 유래 |
발전 |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등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발전 |
종류 | |
주요 알파벳 | 라틴 문자 키릴 문자 그리스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
기타 알파벳 | 조지아 문자 타이 문자 한글 |
음소 문자 시스템 | |
알파벳 | 알파벳 (문자) |
아브자드 | 아브자드 |
아부기다 | 아부기다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문자 체계 표음 문자 표의 문자 음소 문자 |
2. 역사
문자 체계의 유형으로서, 알파벳은 아부기다나 아브자드와 함께 음소 문자에 속한다. 알파벳은 원칙적으로 음성 언어의 음소 중 자음과 모음을 모두 별개의 자모(字母)로 표기하는 반면, 자음만을 표기하고 모음은 대부분 생략하는 아브자드나, 자음 자모가 특정 모음을 포함한 음절을 나타내고 다른 모음은 보조 기호로 표기하는 아부기다와는 구별된다.
알파벳의 기원은 중동의 셈어를 표기하기 위해 탄생한 압자드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페니키아 문자가 그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진다.
영어 단어 'alphabet'는 중세 영어로 들어왔으며, 이는 후기 라틴어 단어 alphabetumla에서 유래했다. 이 라틴어 단어는 다시 그리스어 ἀλφάβητος|알파베토스grc에서 왔는데, 이는 그리스 알파벳의 첫 두 글자인 알파(α)와 베타(β)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12] 이 그리스 문자들의 이름은 페니키아 알파벳의 첫 두 글자인 알레프(황소)와 베트(집)에서 유래했다.[13]
고대 그리스인들은 셈어족 계통의 페니키아 문자(압자드)를 받아들여, 페니키아 문자에는 없던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추가하고 일부 자음 문자도 늘려 최초의 완전한 알파벳으로 여겨지는 그리스 문자를 만들었다. 이 그리스 문자는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페니키아 문자와 관련된 알파벳
알파벳의 직접적인 기원은 자음만을 표기하는 문자 체계인 압자드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셈어족 계통의 페니키아 문자를 받아들여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추가함으로써, 최초의 완전한 알파벳으로 여겨지는 그리스 문자를 만들었다.페니키아 문자의 조상격인 북셈 문자는 기원전 1700년에서 1500년경 지중해 동부 연안에서 발달했으며, 설형 문자와 상형 문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북셈 문자는 이후 남셈 문자, 가나안 문자, 아람 문자, 그리고 그리스 문자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를 기반으로 모음 문자를 도입하고 일부 자음 문자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기원전 500년경부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방식이 정착되었다. 그리스 문자는 지중해 세계로 퍼져나가 에트루리아 문자, 라틴 문자 등 후대 여러 문자의 모태가 되었다. 특히 로마 제국의 공용어인 라틴어를 표기하던 라틴 문자는 이후 서유럽 대부분 언어의 알파벳으로 발전하며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가 되었다.
하나의 알파벳이 다른 언어권으로 전파될 때는 각 언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문자의 수나 모양이 바뀌기도 하고, 특정 기호를 덧붙여 원래와 다른 소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문자 'c' 아래에 작은 꼬리 모양 기호(¸)를 붙인 세디유(ç)는 프랑스어나 포르투갈어에서는 흔히 쓰이지만 영어에서는 외래어 표기를 제외하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같은 'ç'라도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에서는 's' 소리를, 터키어에서는 'ch' 소리를 나타내는 등 언어마다 그 쓰임새가 다르다. (오래된 스페인어에서는 'ts' 소리를 나타냈다.)
알파벳은 본래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소리에 대응하도록 만들어졌지만, 실제 언어 사용에서는 이러한 원칙이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말은 시간이 흐르면서 발음이 자연스럽게 변하는 반면, 글자는 인위적인 개혁이 없는 한 잘 변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일치는 특히 영어에서 두드러지는데, 대모음 추이와 같은 역사적 음운 변화를 겪으면서 철자와 실제 발음 사이에 큰 차이가 생겼다. 예를 들어 '기사'를 뜻하는 영어 단어 'knight'는 과거 'k'와 'gh' 소리가 모두 발음되었으나 현대에는 발음되지 않는 묵자가 되었음에도 철자는 그대로 남아 '/naɪt/'(나이트)로 소리 난다.
이처럼 철자와 발음의 차이가 큰 언어에서는 때때로 철자법을 현실 발음에 맞추려는 개혁 운동이 일어나기도 한다. 미국 영어에서 영국식 철자 'colour', 'gaol' 대신 'color', 'jail'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이러한 철자 개혁의 한 예이다.
2. 1. 1. 고대 근동 알파벳
고대 이집트 문자 체계에는 음소를 나타내는 24개의 상형 문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기호들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로, 표어 문자의 발음 안내, 문법적 굴절 표기, 외래어 및 외국 이름 표기 등에 사용되었다. 서기 4세기까지 사용되었으나, 이후 잊혀졌다가 로제타석 발견으로 해독되었다. 한편, 쐐기 문자는 수메르어 등 여러 고대 언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서기 75년을 마지막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청동기 시대인 기원전 1840년경, 시나이 반도의 이집트 터키석 광산에서 원시 시나이 문자로 알려진 초기 알파벳 체계가 등장했다. 이는 가나안 노동자들이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1999년에는 존 콜먼 다넬과 데보라 다넬이 와디 엘-홀 계곡에서 기원전 1800년경으로 추정되는 더 오래된 형태의 알파벳 문자를 발견했다. 이 문자는 기원전 2000년경의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영향을 받은 증거를 보여주며, 최초의 알파벳이 이 시기에 개발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초기 알파벳은 이집트 상형 문자를 기반으로 글자 모양과 이름을 만들었으며,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는 없었다. 초기에는 음절 문자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청동기 시대의 또 다른 중요한 알파벳으로는 우가리트 문자가 있다. 이는 기원전 15세기 이전에 우가리트에서 발명된 쐐기 문자 형태의 알파벳으로, 뒤따르는 모음을 나타내는 세 문자를 포함하여 총 30개의 기호를 사용했다. 그러나 기원전 1178년 우가리트가 파괴되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원시 시나이 문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하여, 기원전 1050년경 이전에 원시 가나안 문자라고 불리는 페니키아 문자로 이어졌다. 페니키아 문자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아히람 왕의 석관 비문이다. 페니키아 문자는 모든 서구 알파벳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10세기경에는 가나안 문자와 아람 문자라는 두 가지 형태로 분화되었으며, 아람 문자는 이후 히브리 문자의 기원이 되었다.
페니키아 문자는 자음만을 표기하는 ''아브자드'' 체계에 속한다. 아랍어, 히브리어, 시리아 문자 등도 아브자드의 예이다. 아브자드에서는 필요에 따라 "약한" 자음을 모음 표기에 사용하기도 했다. 페니키아 문자는 약 24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비교적 배우기 쉬웠고, 음소적으로 단어를 기록했기 때문에 다른 언어를 표기하는 데도 유리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페니키아 문자는 페니키아 상인들을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페니키아 문자의 자매 문자 체계로는 남아라비아 문자가 있으며, 이는 게에즈 아부기다의 기원이 되었다. 아부기다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하나의 문자로 음절을 표기하는 문자 체계이다.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 문자(압자드)를 받아들여 그리스 알파벳을 만들었다. 그리스 알파벳의 가장 큰 특징은 모음을 자음과 동등한 별개의 문자로 표기했다는 점이다.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어에 없는 소리를 나타내던 문자들을 모음 표기에 활용했다. 이로써 그리스 알파벳은 완전한 음소 표기가 가능한 최초의 알파벳이 되었다. 초기 그리스 알파벳에는 여러 변형이 있었으며, 이는 후대 여러 알파벳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2. 1. 2. 유럽 알파벳
유럽에서 사용되는 알파벳들의 주요 기원은 그리스 문자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스 문자는 셈어족의 압자드(자음 문자)인 페니키아 문자를 바탕으로 모음 문자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이 그리스 문자가 에우보이아 형태를 통해 이탈리아 반도로 전파되어 기원전 800~600년경 이탈리아어파 언어를 표기하는 다양한 문자를 낳았으며, 그 중 하나가 에트루리아 문자이다.[29] 이 중 라틴 문자가 발전하여 로마 제국의 확장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라틴 문자는 지적, 종교적 저술에 사용되었으며, 로망스어군을 비롯한 서유럽 및 중부 유럽 언어 대부분에서 사용되어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문자가 되었다.[30]에트루리아 문자는 수백 년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에트루리아어의 변화에 따라 진화했다. 사용되지 않는 음소의 문자는 사라졌고,[31] 최종적인 고전 형태는 모음 4개(a, e, i, u)를 포함한 20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 이 형태는 서기 1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종교적 목적으로 쓰이기도 했다.[32]
라틴 문자의 일부 변형에는 두 문자를 합쳐 하나로 만드는 합자가 있는데, 예를 들어 덴마크어와 아이슬란드어의 æ, 알곤킨어족 언어의 Ȣ가 있다. 또한 푸사크 룬 문자에서 유래된 고대 영어와 아이슬란드어의 쏜 þ과 같은 다른 문자의 차용, 그리고 고대 영어와 아이슬란드어의 에스 ð와 같이 기존 문자를 수정한 경우도 있다. 에스는 변형된 "d"이다. 다른 알파벳은 라틴 문자의 하위 집합만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하와이어와 이탈리아어는 외래어에만 문자 ''j, k, x, y,'' 및 ''w''를 사용한다.[34]
또 다른 주목할 만한 문자는 고대 이탈리아 문자 중 하나에서 진화했다고 여겨지는 엘더 푸사크이다. 엘더 푸사크는 집합적으로 룬 문자로 알려진 다른 문자를 낳았다. 룬 문자는 서기 100년부터 중세 시대 말까지 게르만어군에 사용되었으며, 석재와 보석에 새겨졌지만, 뼈와 나무에서 발견되는 비문도 가끔 나타난다. 이 문자들은 이후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다. 룬 문자는 20세기까지 장식용으로 사용된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35]

고대 헝가리어 문자는 헝가리인들의 문자 체계였다. 비록 공식적인 문자 체계는 아니었지만, 헝가리의 역사 전체에서 사용되었다. 19세기부터 이 문자는 다시 점점 더 인기를 얻었다.[36]
글라골 문자는 전례어인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초기 문자였으며, 그리스의 안샬 문자와 함께 키릴 문자의 기초가 되었다. 키릴 문자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현대 알파벳 문자 중 하나이며, 슬라브어와 옛 소련 내 다른 언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키릴 문자 알파벳에는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가 포함된다. 글라골 문자는 성 키릴과 성 메토디우스가 만들었고, 키릴 문자는 그들의 제자인 오흐리드의 클레멘트가 만들었다고 여겨진다. 이 문자들은 그리스 문자와 히브리어에서 차용되었거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많은 문자를 특징으로 한다.[37]
2. 1. 3. 아시아 알파벳
아시아에는 많은 음소 문자가 존재한다. 아랍 문자, 히브리 문자, 시리아 문자 및 기타 중동의 압자드는 아람 문자에서 발전한 것이다.[38][39]인도와 동아시아의 대부분의 알파벳 문자는 아람 문자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었다.[40]
유럽의 알파벳, 특히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는 아시아의 많은 언어에 적용되었다. 아랍 문자는 우르두어와 페르시아어와 같이 압자드로 사용되기도 하고, 쿠르드어와 위구르어와 같이 완전한 알파벳으로 사용되기도 한다.[41]
2. 2. 기타 알파벳
(작성할 내용 없음)2. 2. 1. 한글
대한민국에서는 세종대왕이 1443년에 한글을 창제하였다. 한글은 세계적으로도 독창적인 문자로 평가받으며, 각 글자의 모양이 소리를 낼 때의 발음 기관 모양을 본떠 만들어진 음소 문자라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자음 'ㅁ'은 입 모양을, 'ㄴ'은 혀가 입천장에 닿는 모양을 본떴다.[42] 한글 창제는 조선 정부에 의해 주도적으로 계획되었으며,[43] 이는 문자가 없던 백성들을 위해 세종대왕이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한 결과이다. 일부 지배층의 반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43],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고 고유한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위대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한글은 각각의 자음과 모음 글자를 중국어의 한자처럼 하나의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로 인해 한 음절을 이루는 글자의 수가 다르더라도 시각적으로는 일정한 크기의 네모 틀 안에 들어가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44] 이러한 특징은 한글의 시각적 균형미를 높이는 동시에, 정보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
2. 2. 2. 주음 부호
주음 부호(또는 "주음")는 주로 대만에서 표준 중국어의 음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반음절 문자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1956년 한어 병음을 채택한 이후, 중국 본토에서는 주음 부호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주음 부호는 1900년대 초 중국 문자를 기반으로 한 중국어 속기에서 발전했으며, 알파벳과 음절 문자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 알파벳처럼 음절 초성의 음소는 개별 기호로 표시되지만, 음절 문자처럼 음절 종성의 음소는 그렇지 않다. 가능한 각 종성(음절 중성 제외)은 자체 문자를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luan''은 ㄌㄨㄢ (''l-u-an'')으로 표기된다. 여기서 마지막 기호 ㄢ은 전체 종성 ''-an''을 나타낸다. 주음 부호는 주류 문자 체계는 아니지만, 발음을 돕거나 컴퓨터와 휴대폰에서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같이 로마자 표기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자주 사용된다.[45]3. 알파벳의 유형
문자 체계의 유형으로서, 알파벳은 아부기다나 압자드와 함께 음소 문자에 속한다.[111] 다만 서양에서는 이 세 가지 유형을 통틀어 '알파벳'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에서 '알파벳'은 보통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라틴 문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언어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알파벳"이라는 용어를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사용한다. 넓은 의미에서 알파벳은 음소 수준의 분절 문자로, 개별 소리(음소)에 대해 별도의 기호(글자)를 가지는 문자 체계를 의미한다. 이는 음절 문자나 표어 문자처럼 더 큰 단위(음절, 단어)를 표기하는 문자와 구별된다.
좁은 의미에서 일부 학자들은 "진정한" 알파벳을 다른 두 종류의 분절 문자인 압자드와 아부기다와 구별한다.[46] 이 세 가지 유형은 주로 모음을 처리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난다.
- 압자드 (Abjad): 자음 문자만을 가지며, 모음은 대부분 표기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특정 자음 글자를 모음 표기에 사용하기도 한다("약한" 자음).[26][27] 현재 사용되는 압자드의 예로는 아랍 문자와 히브리 문자가 있다.[49] 대부분의 알파벳은 셈어를 표기하기 위해 중동에서 탄생한 압자드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 아부기다 (Abugida): 자음 문자가 기본적으로 특정 모음(주로 'a')을 포함한 소리를 나타내며, 다른 모음을 나타낼 때는 자음 문자에 분철 기호를 추가하거나 변형하는 방식으로 표기한다.[46] 아부기다 역시 압자드에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의 게에즈 문자, 인도계 문자(데바나가리 문자 등), 태국 문자,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등이 아부기다에 해당한다.[50]
- 알파벳 (Alphabet, "진정한" 알파벳): 원칙적으로 자음과 모음을 모두 별개의 동등한 글자로 표기한다.[47][48] 그리스 문자는 모음을 자음과 동등한 문자로 표기한 최초의 알파벳으로 여겨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라틴 문자, 키릴 문자, 한글 등이 있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들이 있으며, 서양에서는 'Korean alphabet'이라고 부른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분절 문자 사이의 경계가 항상 명확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소라니 쿠르드어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는데, 다른 언어에서 아랍 문자는 압자드로 쓰이지만 쿠르드어에서는 모음을 반드시 표기하므로 진정한 알파벳처럼 기능한다. 또한, 파스파 문자는 티베트 문자(아부기다)에 기반했지만, 모음 표기 방식이 약간 다르다.[56]
성조 언어의 경우, 성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알파벳을 추가로 분류할 수 있다. 어떤 알파벳은 성조를 전혀 표기하지 않기도 하고(소말리어 등),[57][58] 많은 경우 분철 기호를 사용하여 성조를 표시한다(베트남어, 태국 문자 등). 드물게는 성조를 위한 별도의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좡어 등).[59]
결론적으로, 알파벳(넓은 의미의 분절 문자)의 주요 분류는 모음을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따라 압자드, 아부기다, 진정한 알파벳으로 나뉜다.
4. 알파벳순
알파벳은 문자의 표준 순서를 가지며, 이는 단어 등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하는 대조에 사용된다.[60] 라틴 문자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의 순서는 북서 셈족의 "Abgad" 순서에서 유래했으며,[61] 오랫동안 확립되어 왔다.
하지만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마다 변형된 문자나 특정 문자 조합(복자)을 처리하는 방식은 다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는 ''é'', ''à'', ''ô'' 같은 문자를 정렬 시 별도의 문자로 취급하지 않는다. 반면 아이슬란드어에서는 ''á'', ''í'', ''ö''와 같은 강세 문자를 별개의 문자로 간주하는데, 이는 강세 없는 문자와 다른 모음 소리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스페인어에서는 ''ñ''를 별도 문자로 취급하지만, ''á'', ''é'' 같은 강세 모음은 그렇지 않다. 과거에는 ''ll''과 ''ch''도 각각 ''l''과 ''c'' 뒤에 오는 별개의 문자로 간주했으나, 1994년 스페인어 학술원 협회 결정으로 정렬 순서가 변경되어 ''ll''은 ''lk''와 ''lm'' 사이, ''ch''는 ''cg''와 ''ci'' 사이에 오게 되었다. 이 이중 자음들은 2010년 스페인 왕립 학술원 결정으로 더 이상 공식적인 문자로 간주되지 않는다.[62][63]
독일어에서는 'sch-' (독일어 음소 /ʃ/를 표기)로 시작하는 단어를 정렬할 때, 'sca-'와 'sci-' 사이에 넣는다. 이는 'sch'를 마치 하나의 문자처럼 취급하지 않고, 's' 다음에 'c', 그 다음에 'h'가 오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는 각 음소를 나타내는 이중 자음(dh, ë, gj, ll, rr, th, xh, zh)이 각각 d, e, g, l, n, r, t, x, z 문자를 따르는 별도의 단일 문자로 간주되는 알바니아어 알파벳과 헝가리어, 웨일스어와 대조된다. 또한 독일어에서는 움라우트가 있는 문자(ä, ö, ü)를 정렬 시 움라우트가 없는 문자(a, o, u)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이는 'ö'와 'ü'를 별개의 문자로 채택하여 사전에서 'tüfek'이 'tuz' 뒤에 오는 터키어 알파벳과 다르다. 단, 독일 전화번호부에서는 예외적으로 움라우트를 'ä'='ae''처럼 처리하는데, 이는 'Jäger'와 같은 이름이 'Jaeger'로도 표기되기 때문이다.[64]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 알파벳은 æ, ø, å로 끝나지만,[65][66] 스웨덴어는 관례적으로 å, ä, ö를 마지막에 둔다. 그러나 æ는 음성적으로 ä에 해당하고, ø는 ö에 해당한다.[67]
알파벳의 가장 초창기 형태가 정해진 순서를 가지고 있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오늘날의 몇몇 알파벳, 예를 들어 하나우노어 문자는 특정한 순서 없이 한 글자씩 배우며, 명확한 순서가 요구되는 정렬에는 사용되지 않는다.[68] 하지만, 기원전 14세기의 우가리트 점토판 12개에는 두 가지 순서로 알파벳이 보존되어 있다. 하나는 'ABCDE' 순서로, 이후 페니키아 문자에서 사용되었으며, 히브리 문자, 그리스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고딕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변화만 거쳐 계속 사용되었다. 다른 하나는 'HMĦLQ' 순서로, 남부 아라비아에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게에즈 문자에 보존되어 있다.[69] 따라서 두 순서 모두 최소 3000년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왔다.[70]
룬 문자는 관련이 없는 푸타크 순서를 사용했으며, 이후 단순화되었다.[71] 아랍 문자는 일반적으로 자체 순서를 사용하지만, 숫자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압자드 순서를 유지하고 있다.
인도에서 사용되는 브라흐미 문자군은 음운론에 기반한 독특한 순서를 사용한다. 문자는 소리가 입 안에서 어떻게, 어디에서 생성되는지에 따라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은 동남아시아, 티베트, 한국의 한글, 심지어 알파벳이 아닌 일본의 가나에도 존재한다.[72]
5. 두음 문자
페니키아 문자에서는 각 문자가 해당 문자의 소리로 시작하는 단어와 연결되었는데, 이를 두음 문자 원리라고 한다. 예를 들어, 페니키아 알파벳의 첫 글자 이름은 '황소'를 뜻하는 ''알레프''였고, 두 번째 글자 이름은 '집'을 뜻하는 ''베트''였다.[13] 이러한 방식은 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히브리 문자, 그리스 문자, 아랍 문자 등에서 다양한 정도로 계속 사용되었다.[73][74]
그러나 라틴 문자에서는 두음 문자 원리가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자음에 특정 모음(주로 'e'지만 때로는 'a'나 'u')을 앞뒤로 붙여 문자를 지칭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예외적으로 Y와 Z는 에트루리아 문자가 아닌 그리스 문자에서 직접 가져왔기 때문에 이름도 다르게 붙여졌다. 각각 '그리스 Y'를 뜻하는 ''Y Graeca''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zeta''로 불렸다. 이 영향으로 영어권(미국식 영어 제외)에서 Z를 ''zed''라고 부르는 등 여러 유럽 언어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75] 시간이 지나면서 문자의 이름이 바뀌거나 새로 추가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W는 "double U" 또는 프랑스어 "double V"로 불리게 되었고, Y의 영어 이름이나 Z의 미국식 이름 "zee" 등이 생겨났다.
영어와 프랑스어의 문자 이름을 비교하면 대모음추이의 영향을 명확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D는 오늘날 영어에서는 /eɪ, biː, siː, diː/ 와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현대 프랑스어에서는 /a, be, se, de/ 와 비슷하게 발음된다.[76] 프랑스어 이름은 대모음추이 이전 영어 모음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는 반면, 영어 이름은 대모음추이를 겪으며 발음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반면 F, L, M, N, S의 이름(/ɛf, ɛl, ɛm, ɛn, ɛs/ 와 비슷)은 단모음이라 대모음추이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 두 언어에서 비슷하게 유지된다.[77]
키릴 문자에서도 초기에는 슬라브어 단어를 사용한 두음 문자가 존재했다. 첫 세 글자인 А, Б, В는 각각 아즈(Az), 부키(Buki), 베데(Vede)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하지만 이후 라틴 문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8]
6. 철자법과 발음
어떤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문자를 채택하거나 개발할 때, 일반적으로 철자법이 생겨나며, 이는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는 원칙에 따라 단어의 철자 규칙을 제공한다. 이러한 규칙은 알파벳의 문자를 구어의 음소에 매핑한다.[79] 완벽한 음소 문자에서는 문자와 음소 사이에 일관된 일대일 대응이 있어서, 화자는 발음을 알면 단어의 철자를 예측할 수 있고, 반대로 철자를 알면 항상 단어의 발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은 실제로 거의 달성되지 않는다. 스페인어와 핀란드어와 같이 이에 근접한 언어도 있지만,[80] 영어와 같은 다른 언어들은 이로부터 훨씬 더 크게 벗어난다.[80]
언어의 발음은 종종 그 문자 체계와 독립적으로 진화하며, 문자 체계는 원래 사용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은 언어에 차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알파벳의 문자가 언어의 음소에 해당하는 정도는 다양하다.[81]
언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문자 및 소리 간의 일대일 대응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 언어는 단일 문자 대신 문자의 조합으로 주어진 음소를 나타낼 수 있다. 두 글자 조합은 이중 자모라고 하며, 세 글자 그룹은 삼중 자모라고 한다. 독일어는 음소 [tʃ]에 대해 사중 자모(네 글자) "tsch"를 사용하고 (몇몇 차용어에서) [dʒ]에 대해 "dsch"를 사용한다.[82] 카바르딘어 역시 그 음소 중 하나인 "кхъу"에 대해 사중 자모를 사용한다.[83]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두 글자는 헝가리어에서도 여러 번 나타난다(예를 들어, 'cs'는 [tʃ], 'sz'는 [s], 'zs'는 [ʒ], 'dzs'는 [dʒ]를 나타낸다).[84]
- 언어는 동일한 음소를 두 개 이상의 다른 문자 또는 문자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 그리스어는 음소 [i]를 여섯 가지 다른 방식(ι, η, υ, ει, οι, 및 υι)으로 쓸 수 있다.[85]
- 언어는 역사적 또는 기타 이유로 발음되지 않는 문자로 일부 단어를 철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맥주'에 해당하는 태국어 단어 'เบียร์'의 철자는 차용된 영어 단어 'beer'에 있는 마지막 자음 /r/에 대한 문자를 유지하지만, 소리를 내지 않는다.[86]
- 개별 단어의 발음은 문장 내 주변 단어의 존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예: 연음).[87]
- 언어의 다른 방언은 동일한 단어에 대해 다른 음소를 사용할 수 있다.[88]
- 언어는 서로 다른 어휘 항목, 일반적으로 외래어에 대해 서로 다른 기호 또는 규칙 집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가타카나 음절 문자는 외래어에 사용되며, 영어에는 다른 언어에서 온 차용어를 사용하는 규칙이 있다.[89][90]
국어는 때때로 방언 문제를 국어 표준과 알파벳을 연결하여 해결하기로 결정한다. 핀란드어, 아르메니아어, 터키어, 러시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불가리아어와 같은 일부 국어는 문자 와 음소 사이에 거의 일대일 대응을 갖는 매우 규칙적인 철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91] 마찬가지로, '철자하다'에 해당하는 이탈리아어 동사 'compitare'는 이탈리아어 철자가 매우 음소적이기 때문에 많은 이탈리아인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92] 표준 스페인어에서는 철자에서 단어의 발음을 알 수 있지만, 그 반대는 항상 가능하지는 않다. 음소는 때때로 둘 이상의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지만, 주어진 문자는 일관되게 발음된다. 묵음, 비음 모음, 탈락을 사용하는 프랑스어는 철자와 발음 사이에 많은 대응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발음에 대한 규칙은 복잡하지만 일관적이며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93]
극단적인 예는 영어와 같은 언어인데, 발음이 철자와 일관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대부분 암기해야 한다. 영어의 경우, 이는 대모음 추이가 철자법이 확립된 후에 발생했고, 영어에 다양한 시기에 많은 수의 차용어가 유입되어 원래의 철자를 다양한 수준으로 유지했기 때문이다.[94] 그러나 영어조차도 철자에서 발음을 예측하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지만 복잡하며, 이 규칙들은 일반적으로 성공적이다. 하지만 발음에서 철자를 예측하는 규칙은 실패율이 더 높다.[95] 예를 들어, 영어에서 "기사"를 의미하는 단어의 철자가 "knight"임에도 불구하고 발음이 [naɪt]인 것은, 옛 영어에서는 "k"도 "gh"도 발음되었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그것이 묵자로서 발음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때때로 국가들은 현대 구어와 글쓰기를 다시 맞추기 위해 철자 개혁을 거친다. 이는 간단한 철자 변경과 단어 형태에서 전체 문자 체계를 전환하는 것까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키는 아랍 문자를 라틴 기반의 터키어 알파벳으로 전환했고,[96] 카자흐 알파벳은 소련의 영향으로 아랍 문자에서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가, 2021년에는 터키어와 유사하게 라틴 알파벳으로 전환했다.[97][98] 키릴 문자는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라틴 알파벳으로 전환하기 전까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은 아포스트로피로 표시된 문자와 이중 자모에 분음 부호를 사용하는 알파벳을 개혁하고 있다.[99][100] 철자와 발음 사이의 차이가 큰 언어에서는 역사의 고비에서 철자 개혁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영어에서는 "colour"→"color", "gaol"→"jail" 등 미국 영어의 일부 단어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철자법과 관계없이 모든 언어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언어학자가 사용하는 표준 기호 체계를 국제 음성 기호(IPA)라고 한다.[101]
참조
[1]
논문
Phoneme and Grapheme: A Parallel
[2]
서적
[3]
서적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1980
[4]
논문
First Alphabet Found in Egypt
2000
[5]
서적
[6]
논문
How the Alphabet was Born from Hieroglyphs
[7]
웹사이트
World's oldest alphabetic writing found in ancient Syrian city
https://cosmosmagazi[...]
2024-11-24
[8]
웹사이트
World's Oldest Alphabet Found on an Ancient Clay Gift Tag
https://www.scientif[...]
2024-11-24
[9]
웹사이트
Archaeologists Say These Mysterious Markings Could Be the World's Oldest Known Alphabetic Writing
https://www.smithson[...]
2024-11-24
[10]
웹사이트
Ancient clay cylinders reveal what may be world's oldest alphabetic writing
https://www.newsweek[...]
2024-11-22
[11]
웹사이트
Tell Umm el-Marra (Syria) and Early Alphabetic in the Third Millennium: Four Inscribed Clay Cylinders as a Potential Game Changer - Archaeology Bible Epigraphy - - Rollston Epigraphy
http://www.rollstone[...]
2024-11-24
[12]
웹사이트
alphabet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23-10
[13]
간행물
Alphabet
https://www.britanni[...]
2023-01-04
[14]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the Western Alphabet
https://www.bbc.co.u[...]
BBC
2008-08-04
[15]
웹사이트
Uniliteral Signs
https://www.bibalex.[...]
Bibliotheca Alexandrina
2023-01-24
[16]
서적
[17]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논문
Last Writing: Script Obsolescence in Egypt, Mesopotamia, and Mesoamerica
2003
[19]
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Sumerian
Universiteit Leiden
[20]
논문
The Graeco-Babyloniaca Once Again
2007-01-19
[21]
논문
The Miners Who Invented the Alphabet – A Response to Christopher Rollston
2012-09-12
[22]
논문
Two Early Alphabetic Inscriptions from the Wadi el-Ḥôl: New Evidence for the Origin of the Alphabet from the Western Desert of Egypt
[23]
서적
[24]
웹사이트
Ugaritic Writing
http://www.mazzaroth[...]
[25]
서적
[26]
서적
[27]
간행물
Matres lectionis
https://www.britanni[...]
2023-01-20
[28]
서적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Three Hundred Selected Tablets from Knossos, Pylos and Mycenae with Commentary and Vocabul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Etruscology
Walter de Gruyter
[30]
서적
The Local Scripts of Archaic Greece: A Study of the Origin of the Greek Alphabet and Its Development from the Eighth to the Fifth Centuries B.C.
Clarendon
[31]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2]
간행물
Etruscan alphabet
https://www.britanni[...]
2023-02-08
[33]
서적
Runes
Sterling
[34]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Modern Ital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4
[35]
문서
"Lepontische Studien: ''Lexicon Leponticum'' und die Funktion von ''san'' im Lepontischen"
[36]
논문
Contemporary Hungarian Rune-Writing Ideological Linguistic Nationalism within a Homogenous Nation
[37]
간행물
Glagolitic alphabet
https://www.britanni[...]
2022-11-30
[38]
웹사이트
Aramaic Alphabet
https://www.scribd.c[...]
2023-01-04
[39]
서적
Phonology and morphology of Biblical Hebrew: an introduction
Eisenbrauns
[40]
간행물
Brāhmī
https://www.britanni[...]
2023-01-04
[41]
문서
Sorani Kurdish— A Reference Grammar with Selected Readings
Harvard Faculty of Arts & Sciences
2006-01-01
[42]
웹사이트
Alphabet's Epitome: The Invention of Hangul and its Contribution to the Korean Society
https://thekootneeti[...]
2022-11-30
[43]
간행물
Hangul
https://www.britanni[...]
2022-11-30
[44]
서적
Processing of visible language
Plenum
[45]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the Bopomofo Chinese Phonetic System
https://www.thoughtc[...]
2022-11-30
[46]
문서
For critics of the abjad-abugida-alphabet distinction, see
[47]
간행물
Sinaitic inscriptions
https://www.britanni[...]
2022-11-30
[48]
웹사이트
The Phoenician Alphabet & Language
https://www.worldhis[...]
2022-11-30
[49]
서적
Studies in Aramaic inscriptions and onomastics
Leuven University Press
[50]
문서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2005-01-01
[51]
문서
The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1991-01-01
[52]
서적
A primer on Ugaritic: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웹사이트
КОПТСКОЕ ПИСЬМО •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электронная версия
https://bigenc.ru/li[...]
2022-11-30
[54]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55]
웹사이트
A Practical Sanskrit Introductory by Charles Wikner
https://sanskritdocu[...]
2022-11-30
[56]
서적
A Manual of Pahlavi: Glossary
Harrassowitz
[57]
서적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Computing, Instrumentation and Control Technologies (ICICICT)
2017-01-01
[58]
서적
Hikmaad Soomaali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Deixis and Anaphora and Prelinguistic Universal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01-01
[60]
뉴스
From A to Z — the surprising history of alphabetical order -AU
https://www.abc.net.[...]
2023-02-08
[61]
서적
The Idea of Writing
2012-01-01
[62]
문서
Exclusión de «ch» y «ll» del abecedario.
https://www.rae.es/e[...]
[63]
뉴스
La 'i griega' se llamará 'ye'
http://www.cubadebat[...]
Cuba Debate
2010-11-05
[64]
서적
DIN 5007-1:2005-08 Filing of Character Strings – Part 1: General Rules for Processing (ABC Rules)
German Institute for Standardisation (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65]
서적
Learn Danish (Alphabet and Numbers)
https://books.google[...]
WAGmob
2013-12-25
[66]
서적
Learn Norwegian (Alphabet and Numbers)
https://books.google[...]
WAGmob
[67]
서적
Swedish: a comprehensive grammar
Routledge
[68]
서적
Fine description: ethnographic and linguistic essays
Yale University Southeast Asia Studies
[69]
문서
Millard
[70]
웹사이트
ScriptSource – Ethiopic (Geʻez)
https://scriptsource[...]
2022-12-14
[71]
서적
Runes, an introduc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72]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웹사이트
The Samaritan Script
https://www.the-sama[...]
2022-12-13
[74]
서적
Learn The Aramiac Alphabet
[75]
서적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76]
서적
A simple approach to French pronunciation: a comprehensive guide
Two Harbors
[77]
웹사이트
The Great Vowel Shift
https://chaucer.fas.[...]
2022-12-13
[78]
서적
Old Church Slavonic grammar
Mouton de Gruyter
[79]
서적
Beyond Orthographic Depth in Reading: Equitable Division of Labor
Advances in Psychology
[80]
간행물
Standardization of Finnish Orthography: From Reformists to National Awakeners
[81]
간행물
Sociolinguistic factors in borrowed writing systems
https://twpl.library[...]
[82]
서적
The Effects of Historical German-Slovene Language Contact on the Slovene Languag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Department of Slavic Languages and Literature.
[83]
서적
Dictionaries,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exicography
Walter De Gruyter
[84]
서적
Empty signs, historical imaginaries: the entangled nationalization of names and naming in a late Habsburg borderland
Berghahn
[85]
서적
The Routledge Concise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86]
서적
The Bua Luang What You See is what You Say Thai Phrase Handbook Contemporary Thai-language Phrases in Context, WYSIWYS Easier-to-read Transliteration System
https://books.google[...]
Bua Luang
[87]
서적
Advances i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ities Research: Proceedings of the 2022 6th international Seminar, on Education, Management, and Social Sciences
Atlantis
[88]
웹사이트
4.5: English Accents
https://socialsci.li[...]
2022-12-15
[89]
서적
Workbook/laboratory manual to accompany Yookoso!: an invitation to contemporary Japanese
McGraw-Hill
[90]
서적
Borrowed words: a history of loanwords in English
Oxford Scholarship Online
[91]
서적
Handbook of Orthography and Literacy
Taylor & Francis
[92]
서적
Reassessing the role of the syllable in Italian phonology: an experimental study of consonant cluster syllabification, definite article allomorphy and segment duration
Routledge
[93]
서적
Easy French step-by-step: master high-frequency grammar for French proficiency
McGraw-Hill
[94]
서적
Linguistics for everyone: an introduction
Wadsworth
[95]
뉴스
English spellings don't match the sounds they are supposed to represent. It's time to change
http://www.theguardi[...]
2022-12-13
[96]
서적
Turkey: a modern history
I. B. Tauris
[97]
뉴스
https://egemen.kz/ar[...]
2022-12-13
[98]
문서
О переводе алфавита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с кириллицы на латинскую графику
https://www.akorda.k[...]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2017-10-26
[99]
웹사이트
ÖZBEK ALIFBOSI
https://www.evertype[...]
2022-12-13
[100]
뉴스
Uzbekistan Aims For Full Transition To Latin-Based Alphabet By 2023
https://www.rferl.or[...]
2022-12-13
[101]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문서
したがって、おおむね[[発音記号]]の仕組みと同等である。
[103]
문서
"[[Α]]、[[Ε]]、[[Ι]]、[[Ο]]、[[Υ]]。子音字と同じく[[페니키아 문자]]를 원본으로 고대[[그리스인]]은 모음 문자로 전용했다(다만[[Ϝ]]와[[Υ]]과는[[페니키아 문자]]에서는 동일 문자의 이형 문자였다)."
[104]
문서
「알파벳」이라는 어휘는 [[그리스 문자]]의 최초 2문자 {{lang|el|[[α]]}}, {{lang|el|[[β]]}} 의 읽는 방법인 「[[알파]]」({{lang|el|ἄλφα}})(모음)、「[[Β|베타]]」({{lang|el|βήτα}})(자음)에서 유래한다.
[105]
문서
다만 가명은 [[음절 문자|표음절 문자]]이므로, ''Japanese syllabary'' 등이 실태에 가깝다.
[106]
뉴스
30 hours of wonder: Shrines, temples and hot springs
https://www.japantim[...]
2019-11-24
[107]
웹사이트
ローマ字のつづり方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016-08-17
[108]
웹사이트
現行学習指導要領・生きる力 Q&A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6-08-17
[109]
웹사이트
ローマ字の導入(光村)
http://www.tos-land.[...]
TOSSランド
2016-08-17
[110]
문서
日本語の「イロハ」と同様。
[111]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12]
Youtube
「ウクライナ語とロシア語はどの程度違うのか」
https://tabiprogress[...]
[113]
문서
エジプト語が4世紀にギリシャ語の影響を大きく受けたも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