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키야 항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키야 항공은 2001년 설립된 리비아의 국영 항공사로,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지역을 운항한다. 2001년 12월에 운항을 시작했으며, 에어버스 항공기를 주로 사용한다.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운항이 중단되었으나, 이후 재개되어 현재는 미티가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운항하고 있다. 2010년 발생한 아프리키야 항공 771편 추락 사고를 비롯하여 여러 차례 사고 및 납치 사건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항공사 - 리비아 항공
리비아 항공은 1964년 리비아 왕국 항공으로 설립되어 1965년부터 운항을 시작한 리비아의 국영 항공사로, 왕정 폐지 후 사명 변경, 국제 제재와 내전으로 인한 운항 중단 및 재개를 거쳐 2014년 트리폴리 국제공항 전투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리비아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 - 리비아의 항공사 - 리비아 아랍 에어 카고
리비아 아랍 에어 카고는 1979년 설립되어 사명 변경과 합병을 거쳐 2002년 안토노프 An-124를 도입했으나, 2011년 리비아 내전 이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19년 기준으로 일리신 Il-76 1대를 보유한 리비아의 화물 항공사이다. - 2001년 설립된 항공사 - 독일 체펠린 선사
독일 체펠린 선사는 1935년 설립되어 비행선 운항을 했으나 힌덴부르크 폭발 사고와 2차 대전으로 해체, 2001년 재설립되어 체펠린 NT 비행선으로 관광 사업을 운영 중이며, DELAG의 후신으로 나치 정권의 영향을 받은 비행선 기술의 발전과 몰락, 재건의 상징이다. - 2001년 설립된 항공사 - 골 항공
골 항공은 2000년에 설립되어 2001년 브라질에서 저가 항공사로 운항을 시작하여 브라질 대표 항공사로 성장했지만, 2024년 높은 부채로 인해 미국에서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 IATA 회원 - 스칸디나비아 항공
스칸디나비아 항공(SAS)은 1946년 3개국 국영 항공사 컨소시엄으로 설립되어 세계 최초 북극 항로를 개설하고 스타얼라이언스를 창립했으나,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에어프랑스-KLM 컨소시엄에 인수되어 스카이팀에 가입했다. - IATA 회원 - 일본항공
일본항공은 1951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국적 항공사로, 경영 위기와 회사 정리법 신청 후 민영화되었으며, 현재는 원월드 회원사로서 최신 기종을 도입하여 국제선 및 국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고객 편의성 증대에 힘쓰고 있다.
아프리키야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IATA | 8U |
ICAO | AAW |
콜사인 | AFRIQIYAH |
설립 | 2001년 |
본사 | 트리폴리, 리비아 |
주요 인사 | 모스바 파달 (총괄 매니저) |
웹사이트 | 아프리키야 항공 |
운영 | |
모회사 | 리비아 아프리카 항공 지주 회사 (리비아 정부) |
허브 공항 | 미티가 국제공항 베니나 국제공항 미스라타 공항 세바 공항 |
중점 도시 | 해당 사항 없음 |
상용 고객 프로그램 | Rahal |
제휴 | 해당 사항 없음 |
자회사 | 해당 사항 없음 |
직원 수 | 해당 사항 없음 |
라운지 | 해당 사항 없음 |
항공기 | |
보유 항공기 수 | 14대 |
취항지 정보 | |
취항지 수 | 14곳 |
2. 역사
아프리키야 항공은 2001년 4월 설립되어 같은 해 12월 1일부터 운항을 시작했다. 아랍어로 "아프리카"를 뜻하는 "아프리키야"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리비아 정부가 전액 출자한 항공사이다.[1] 2007년 3월 기준 287명의 직원을 두고 있었다.[2] 초기에는 보잉 737-400 기종으로 운항을 시작했으나, 2003년부터 에어버스 기종으로 전환했다.[3] 이탈리아 항공사 블루 파노라마가 리비아 정부와 함께 이 항공사를 공동 설립했으며,[4] 기내에서 알코올 음료를 제공하지 않는다.[5]
2006년에는 1.2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6] 이후 에어버스 A320 6대, 에어버스 A319 3대(5대 옵션), 에어버스 A330-200 3대(3대 옵션)를 구매하는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7] 이 항공기들은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중동, 그리고 파리, 브뤼셀, 런던, 로마, 암스테르담 등 유럽 17개 도시를 연결하는 국제선 노선에 투입되었다.
2009년 무아마르 카다피 전용기가 아벨바세트 알-메그라히를 글래스고 공항에서 트리폴리로 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9] 같은 해 인도된 3대의 A330은 다카, 요하네스버그, 킨샤사 노선 개설에 사용되었으며,[10] 2010년 겨울에는 베이징과 누악쇼트 노선이 추가되었다.[11] 2010년 10월 리비아 항공과의 합병이 발표되었으나 연기되었다.[12]
제1차 리비아 내전과 나토의 비행 금지 구역 설정으로 2011년 3월 17일 운항이 중단되었다.[15]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73에 따라 리비아 등록 항공기의 운항이 금지되었으나, 2011년 9월 제재가 해제되었다. 그러나 EU의 금지 조치는 지속되어 2012년 7월에야 런던 노선 운항이 재개되었다.
내전 이후, 아프리키야 항공은 2012년 11월 에어버스 A350 항공기 추가 주문을 통해 사업 확장을 발표했고,[18] 2012년 12월에는 새로운 항공기 도색을 공개했다. 2014년 7월 트리폴리 국제공항이 폐쇄되면서 현재는 미티가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운영하고 있다.[19]
2. 1. 설립 및 성장 (2001년 ~ 2011년)
아프리키야 항공은 2001년 4월에 설립되어 2001년 12월 1일에 정기 운항을 시작했다. "아프리키야"라는 이름은 아랍어로 "아프리카"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1] 리비아 정부가 100% 소유하고 있으며, 2007년 3월 기준 287명의 직원을 두고 있었다.[2] 이 항공사는 보잉 737-400 항공기로 시작했지만, 2003년에는 모든 에어버스 기종으로 구성된 항공기를 도입했다.[3] 이탈리아 항공사 블루 파노라마가 리비아 정부와 함께 이 항공사를 공동으로 설립했다.[4] 아프리키야 항공은 기내에서 알코올 음료를 제공하지 않는 몇 안 되는 항공사 중 하나이다.[5] 2006년 이 항공사는 1.2억달러의 매출을 올렸다.[6]아프리키야 항공은 양해 각서를 체결하여 에어버스 A320 6대와 에어버스 A319 3대, 그리고 5대에 대한 옵션, 또한 에어버스 A330-200 3대와 3대에 대한 옵션을 구매하기로 했다.[7] 새로운 A320 및 A319 항공기는 아프리키야 항공의 성장하는 국제선 네트워크에 투입되었으며, 트리폴리를 기점으로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중동 지역의 17개 목적지와 파리, 브뤼셀, 런던, 로마, 암스테르담과 같은 유럽 목적지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다. 아프리키야 항공의 A319는 2개의 클래스로 구성되어 124명의 승객을 수용하며,[8] A320은 2개의 클래스 (J16/Y128)로 144석을 갖추고 있다. A330은 남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노선의 장거리 운항에 투입되며, 230석 (J30/Y200)의 2개 클래스 구성으로 운항한다.
2009년 8월 20일, 무아마르 카다피 대령의 전용기였던 아프리키야 항공기(등록번호 5A-IAY)가 글래스고 공항으로 날아가 아벨바세트 알-메그라히(1988년 록비 폭탄 테러로 유죄 판결을 받고 스코틀랜드 정부의 법무부 장관에 의해 인도적 사유로 석방된 인물)를 태웠다. 그는 글래스고에서 트리폴리로 직행했다.[9]
2009년에 인도된 3대의 A330은 다카, 요하네스버그, 킨샤사로 가는 새로운 노선을 개설하는 데 사용되었다.[10] 2010년 겨울에는 베이징과 누악쇼트로 가는 2개의 새로운 노선이 항공사 네트워크에 추가되었다.[11]
2010년 10월 중순, 아프리키야 항공과 리비아 항공(리비아의 또 다른 국영 국책 항공사)은 하나의 항공사로 합병될 예정이었으나,[12] 연기되었다. 하지만 합병은 여전히 계획 중이다.[13][14]
2. 2. 운항 중단 (2011년)
제1차 리비아 내전과 그로 인한 나토의 비행 금지 구역 설정으로 인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73에 따라 아프리키야 항공의 모든 운항은 2011년 3월 17일에 중단되었다.[15]유엔 결의안 17항은 리비아(5A)에 등록된 항공기의 유엔 회원국으로의 비행을 금지했다. 이는 2011년 9월 22일 아프리키야 항공이 공식적으로 '제재 해제'되면서 풀릴 예정이었고, 리비아에 등록된 항공기가 다시 EU 영공에 진입하는 것이 허용되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2013년 3월 5일까지도 리비아에 등록된 항공기는 유럽 상공 통과 비행조차 금지되었다. 트리폴리-이스탄불 노선은 알렉산드리아를 경유하여 동쪽으로 우회해야 했으며, 이 때문에 편도 운항 시간이 한 시간씩 늘어났다.[16] 아프리키야 항공은 항공 운송 및 보안 허가가 발급되면 A320 기종을 사용하여 연말까지 트리폴리와 런던 간 운항을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실제 운항 재개는 2012년 7월 3일에 이루어졌다. EU의 금지 조치를 우회하기 위해 아프리키야 항공은 EU 요건을 준수하는 Air Moldova의 A320 (ER-AXP)을 습식 임대했다.[17]
2. 3. 전후 서비스 재건 (2012년 이후)

내전으로 큰 피해를 입은 아프리키야 항공은 2012년 11월 12일, 에어버스 A350 항공기 주문을 늘리면서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보였다. 4대의 A350-900을 추가로 확정 주문하고, 기존에 주문했던 6대의 A350-800을 더 큰 기종인 A350-900 6대로 변경하여 총 10대의 A350-900을 주문했다.[18] 2020년부터 항공기를 인도받을 예정이었으며, 미국, 중동, 아시아로 가는 새로운 노선에 투입할 계획이었다.[18]
2012년 12월 19일, 새로운 도색을 공개했는데, 흰색 동체에 비둘기 목 부분을 나타내는 파란색 줄무늬 3개가 있는 검은색 수직 미익이 특징이다. 이 디자인은 이전의 9.9.99 꼬리 날개 로고를 대체했다.
2014년 7월 13일, 항공사의 항공 허브인 트리폴리 국제공항이 폐쇄되었고, 2020년 7월까지 모든 여객 및 화물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었다. 이에 따라 아프리키야 항공은 현재 미티가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소규모 노선망을 운영하고 있다.[19]
3. 기업 정보
아프리키야 항공은 리비아의 국영 항공사로, 리비아 아프리카 항공 지주 회사(LAAHC)의 자회사이다. LAAHC는 리비아 항공의 지주 회사이기도 하며, 두 항공사의 합병이 추진되었으나 여러 차례 연기되어 2014년 6월에는 합병이 "현재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되었다.[20]
무아마르 카다피 시대에는 항공기 측면에 시르테 선언의 날짜인 9.9.99 로고가 새겨져 있었다.[1][21] 2012년, 카다피와의 연관성을 없애기 위해 새로운 로고를 도입했는데, 세 개의 파란색 줄무늬는 비둘기의 목 부분 표시를 기반으로 한다.[22]
2011년 내전 이전의 아프리키야 항공의 경영 데이터는 제한적이지만, AFRAA 보고서 등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의 사업 동향은 다음과 같다(12월 31일 기준).[2]
3. 1. 소유 구조
아프리키야 항공은 리비아 국민 사회 기금, 리비아 국민 투자 회사, 리비아-아프리카 투자 기금 및 리비아 해외 투자 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리비아 아프리카 항공 지주 회사(LAAHC)의 자회사이며, 궁극적으로는 리비아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18] LAAHC는 리비아 항공의 지주 회사이기도 하다. 두 항공사의 통합은 별개로 운영됨에도 불구하고 느리게 진행되어 왔지만, 2013년 상반기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합병은 여러 차례 연기되었으며,[18] 2014년 6월에는 합병이 "현재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되었다.[20]3. 2. 기업 아이덴티티
무아마르 카다피 시대의 9.9.99 로고는 아프리키야 항공기의 측면에 새겨져 1999년 9월 9일에 서명된 시르테 선언의 날짜를 나타냈다.[1][21] 이 선언은 아프리카 연합의 결성을 기념했다. 무아마르 카다피의 지시에 따라, 이 항공사가 설립되었을 때 모든 항공기 동체에 해당 날짜가 새겨졌다. ''리비아 헤럴드''의 톰 리틀은 "카다피는 이 선언을 자신의 가장 자랑스러운 업적 중 하나로 여겼다"고 말했다.[22]2001년 리비아 정부가 100% 주주인 국영 기업으로 창립되었다. 카다피 정권 시대의 구 로고 "9.9.99"는 아프리카 연합 설립의 계기가 된 시르테 조약(카다피의 제안)의 조인일 1999년 9월 9일에 기인한다.[39]
2012년 이 항공사는 카다피와의 연관성을 없애기 위해 새로운 브랜딩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기내 서비스 및 케이터링 매니저인 사에드 알-바루니는 60개의 제안 중에서 선택된 새로운 로고를 만들었다. 세 개의 파란색 줄무늬로 구성된 이 로고는 비둘기의 목 부분 표시를 기반으로 한다. 새로운 브랜딩은 2012년 12월 19일 트리폴리에 있는 Rixos 알 나스르 호텔에서 공개되었다.[22] 새로운 로고와 새로운 도장은 흰색 동체에 수직 꼬리 날개는 검은색 바탕에 파란색 세 줄의 스트라이프가 들어간 것으로 변경되었다.
3. 3. 사업 동향
2011년 내전 이전에는 아프리키야 항공의 관리 데이터가 거의 공개되지 않았다. 주로 항공사나 정부 관계자의 진술, AFRAA 보고서를 참고해야 한다. 최근 몇 년간의 추세는 다음과 같다(12월 31일 기준).[2]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
매출액 (LDm) | 180 | 183 | 184 | 195 | 205 | |||||||
매출액 (US$m) | 124 | 130 | 135 | 138 | 140 | 145 | 163 | |||||
순이익 (LDm) | ||||||||||||
순이익 (US$m) | ||||||||||||
직원 수 | 287명 | 835명 | 1,080명 | 1,300명 | 1,463명 | 1,635명 | 1,880명 | 1,086명 | ||||
승객 수 (m) | 0.7 | 0.9 | 1.4 | 2.3 | 0.4 | 0.8 | 1.2 | 0.5 | ||||
승객 탑승률 (%)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76 | ||||
항공기 수 (연말 기준) | 12 | 6 | 15 | |||||||||
참고/출처 | [2] | [23][24] | 내전 3월→ | [25] | [26] | [27] | [28] |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매출과 승객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운항이 중단되면서 승객 수가 급감했다.[25] 2012년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였으며, 2018년에는 승객 탑승률 76%를 기록했다.[28]
4. 운항 노선
2011년 11월 현재 아프리키야 항공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의 여러 도시로 취항하고 있다. 2009년 에어버스 A330 기종을 도입하여 다카, 요하네스버그, 킨샤사 노선을 신설했고, 2010년 겨울에는 베이징과 누악쇼트 노선이 추가되었다.[10][11]
아프리키야 항공의 현재 및 과거 운항 노선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4. 1. 현재 운항 노선 (2024년 8월 기준)
다음은 2024년 8월 현재 아프리키야 항공이 운항하는 노선 목록이다.국가 | 도시 | 공항 | 비고 |
---|---|---|---|
이집트 | 카이로 | 카이로 국제공항 | |
이집트 | 알렉산드리아 | 보르그 엘 아랍 국제공항 | |
요르단 | 암만 | 여왕 알리아 국제공항 | |
리비아 | 벵가지 | 베니나 국제공항 | |
알 아브라크 국제공항 | 알 아브라크 국제공항 | ||
브라크 공항 | 브라크 공항 | ||
가다메스 | 가다메스 공항 | ||
가트 | 가트 공항 | ||
쿠프라 | 쿠프라 공항 | ||
미스라타 | 미스라타 공항 | ||
사브하 | 사브하 공항 | ||
리비아 | 토부르크 | 토부르크 공항 | |
리비아 | 트리폴리 | 미티가 국제공항 | |
니제르 | 니아메 | 디오리 하마니 국제공항 | |
수단 | 포트수단 | 포트수단 신 국제공항 | |
튀니지 | 스팍스 | 스팍스-티나 국제공항 | |
튀니지 | 튀니스 | 튀니스-카르타고 국제공항 | |
터키 | 이스탄불 | 이스탄불 공항 |
4. 2. 과거 운항 노선
아프리키야 항공은 과거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의 여러 도시로 취항했었다. 2009년에는 에어버스 A330 기종을 도입하여 다카, 요하네스버그, 킨샤사 노선을 신설했고, 2010년 겨울에는 베이징과 누악쇼트 노선이 추가되었다.[10][11] 그러나 2015년 기준으로, 이 항공사는 이들 목적지의 일부에는 더 이상 운항하지 않는다.다음은 아프리키야 항공의 과거 취항지 목록이다.
5. 보유 기종
2011년 11월 기준으로 아프리키야 항공이 보유했던 항공기의 평균 기령은 2.9년이었다.[42]
과거 아프리키야 항공은 에어버스 A300-600R (VIP 전용기), 에어버스 A319-100 3기, 에어버스 A320-200 6기, 에어버스 A330-200 2기 (아프리키야 항공 771편 추락 사고로 1기 전손), 에어버스 A340-200 1기 (VIP 전용기), 에어버스 A350-900을 운용했었다.[40]
또한, 블루 파노라마 항공 및 라우다 항공에서 임차한 보잉 737-400 4대, 에어버스 A340-200 1대, 에어버스 A330-200 4대 (아프리키야 항공 771편 추락 사고로 1기 추락)를 운용한 적도 있다.
5. 1. 현재 사용 기종 (2023년 12월 기준)
, 아프리키야 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29][30]항공기 | 운용 대수 | 주문 | 승객 | 비고 | ||
---|---|---|---|---|---|---|
B | E | 합계 | ||||
에어버스 A319-100 | 1 | — | 16 | 96 | 112 | |
에어버스 A320-200 | 5 | — | 16 | 126 | 142 | |
에어버스 A330-300 | 2 | — | 28 | 263 | 291 | |
합계 | 8 | — | colspan="4" class="unsortable" | |
5. 2. 과거 사용 기종
기종 | 대수 | 도입 연도 | 퇴역 연도 | 비고 |
---|---|---|---|---|
에어버스 A300-600 | 1 | 2003년 | 2007년 | 정부 전용기로 운항 |
에어버스 A320-200 | 8 | 2003년 | 2015년 | 아드리아 항공, 우랄 항공에 매각 |
에어버스 A330-200 | 2 | 2009년 | 2009년 | |
에어버스 A340-200 | 1 | 2006년 | 2013년 | 정부 전용기로 운항 |
에어버스 A340-300 | 1 | 2005년 | 2010년 | |
보잉 737-400 | 4 | 2001년 | 2003년 |
6. 사건 및 사고
- 2010년 5월 12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리비아 트리폴리 공항에 착륙하던 아프리키야 항공 771편 여객기(에어버스 A330-200)가 추락했다. 이 사고로 네덜란드 소년 1명을 제외한 탑승객 103명이 사망했다.[31][32][41]

- 2011년 8월 25일, 트리폴리 전투 중 트리폴리 국제공항에서 아프리키야 항공 소속 항공기 2대가 파손되었다. 에어버스 A300B4(등록번호 5A-IAY)는 수류탄에 맞아 전손 처리되었고,[33][34] 에어버스 A320(등록번호 5A-ONK)는 RPG에 맞아 날개 부분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5]
- 2014년 7월 20일, 트리폴리 국제공항에서 교전 중이던 민병대 간의 교전으로 인해 아프리키야 항공 소속 에어버스 A330기 2대(등록번호 5A-ONF, 5A-ONP)가 로켓에 피격되었다.[36] 5A-ONF는 폭발하여 전소되었고, 5A-ONP는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37]
- 2016년 12월 23일, 세브하 공항에서 미티가 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아프리키야 항공 209편(기종: 에어버스 A320, 등록번호 5A-ONB)이 납치되어 몰타 루카 공항으로 강제 착륙했다. 이후 승객 및 승무원은 전원 석방되었다.[38]
참조
[1]
뉴스
Crash survivor's family arrives in Tripoli
http://www.cnn.com/2[...]
CNN
2010-05-13
[2]
간행물
Directory: World Airlines
Flight International
2007-03-27
[3]
웹사이트
About Afriqiyah Airways – Afriqiyah Airways
https://afriqiyah.ae[...]
2024-03-21
[4]
뉴스
Libya enters Africa airline dogfight
http://news.bbc.co.u[...]
BBC
2002-05-02
[5]
웹사이트
Major Airlines that Don't Serve Alcohol
http://shawnvoyage.c[...]
ShawnVoyage
2014-04-07
[6]
웹사이트
Political, visa issues driving Libya's Airbus orders
http://www.bi-me.com[...]
Business Intelligence Middle East
2008-05-30
[7]
웹사이트
Afriqiyah Airways Orders
http://www.airbus.co[...]
Airbus
2006-07-18
[8]
간행물
A319 for Afriqiyah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08-09-15
[9]
웹사이트
Photo 6650762
http://jetphotos.net[...]
2015-04-28
[10]
웹사이트
Libya to restructure air transport sector
http://www.flightglo[...]
FlightGlobal
2008-05-20
[11]
웹사이트
New Routes, Afriqiyah Website
https://web.archive.[...]
[12]
뉴스
Libya's airlines expect to merge soon
https://af.reuters.c[...]
Reuters
2018-03-05
[13]
웹사이트
Rebuilding Libya's aviation industry crucial to economic recovery | CAPA
http://centreforavia[...]
Centre for Aviation
2014-01-17
[14]
뉴스
Libya wants to merge national airlines: minister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1-05
[15]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Approves 'No-Fly Zone' over Libya, Authorizing 'All Necessary Measures' to Protect Civilians, by Vote of 10 in Favour with 5 Abstentions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16]
뉴스
EU implements latest UN decisions in support of Libya
http://europa.eu/rap[...]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2012-08-16
[17]
뉴스
Afriqiyah resumes flights to Libya despite Foreign Office warning
http://www.travelmol[...]
Travelmole.com
2012-08-16
[18]
뉴스
Libya's economy recovers as airlines restore networks post-revolution
http://centreforavia[...]
CAPA - Centre for Aviation
2013-01-29
[19]
웹사이트
Foreign travel advice Libya
https://www.gov.uk/f[...]
UK Government
2016-10-31
[20]
웹사이트
Arabian Aerospace - Afriqiyah shelves Libyan merger amid upsurge in violence
http://www.arabianae[...]
2015-04-24
[21]
웹사이트
Background Information
https://web.archive.[...]
A.I.C. Airline Industry Consultants GmbH for Afriqiyah Airways
2013-04-28
[22]
뉴스
Afriqiyah launches new logo
http://www.libyahera[...]
Libya Herald
2013-04-28
[23]
웹사이트
Afriqiyah Airways profile
http://www.arabaviat[...]
Arab Aviation
2013-01-30
[24]
웹사이트
Afriqiyah Airways: The Tripoli-Based Carrier Is Expanding Ahead of Its Planned Merger with Libya's Flag Carrier
https://www.questia.[...]
MEED Middle East Economic Digest Vol. 54, No. 25
2013-01-30
[25]
웹사이트
Afriqiyah Airways: Strategy and Outlook for the Second Largest Airlines in Libya
http://www.marcopoli[...]
Marcopolis.net
2013-08-28
[26]
웹사이트
AFRAA Annual Report 2017
https://afraa.org/wp[...]
AFRAA
2020-02-17
[27]
웹사이트
AFRAA Annual Report 2018
https://afraa.org/wp[...]
AFRAA
2018
[28]
웹사이트
AFRAA Annual Report 2019
https://afraa.org/wp[...]
AFRAA
2019
[29]
웹사이트
Afriqiyah Airways Fleet Details and History
https://www.planespo[...]
2021-01-27
[30]
웹사이트
Afriqiyah Airways fleet
https://www.flightra[...]
2018-02-28
[31]
뉴스
Libya plane crash 'kills all 105 on board'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12
[32]
웹사이트
Overlevende crash Libië geopereerd
http://www.nu.nl/vli[...]
2012-04
[33]
웹사이트
PICTURES: Two A300s destroyed in Tripoli conflict - 8/26/2011
http://www.flightglo[...]
Flight Global
2014-01-17
[34]
웹사이트
5A-IAY Hull-loss description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1-08-27
[35]
뉴스
Tripoli Airport Attacked by Qaddafi Force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1-08-26
[36]
웹사이트
[Photo] Afriqiyah Airways Airbus A330 hit by rocket is consumed by fire at Tripoli International airport
https://theaviationi[...]
2017-08-23
[37]
웹사이트
12 Airplanes Damaged At Tripoli Airport Civil Aviation Forum - Airliners.net
http://www.airliners[...]
2015-04-24
[38]
웹사이트
5A-ONB Hijacking description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16-12-23
[39]
웹사이트
Background Information
https://web.archive.[...]
A.I.C. Airline Industry Consultants GmbH for Afriqiyah Airways
2013-04-28
[40]
웹사이트
アフリキヤ航空機材詳細
http://www.ch-aviati[...]
[41]
뉴스
リビア機が着陸失敗、103人死亡=南ア発、8歳男児を救出
http://www.jiji.com/[...]
時事通信
[4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11-26
[43]
웹사이트
Afriqiyah signs for three more A330s
http://www.flightg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