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이 금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이 금속은 주기율표의 3족부터 12족까지의 원소를 통칭하며, d-구역 원소와 일치한다. 전이 금속은 부분적으로 채워진 d 부껍질을 가지거나 불완전한 d 부껍질을 가진 양이온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화 상태, 색깔 있는 화합물 형성, 상자성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이 금속은 촉매 활성이 뛰어나며, 전기 전도성, 높은 밀도, 녹는점 및 끓는점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기율표 - 14족 원소
    14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 4개를 가지며 탄소, 규소, 저마늄, 주석, 납, 플레로븀으로 구성되고 원자번호 증가에 따라 비금속에서 금속으로 변하는 경향을 보이며 탄소는 유기화합물 골격, 규소는 지각에서 풍부, 주석과 납은 금속 자원, 플레로븀은 짧은 반감기를 갖는다.
  • 주기율표 - 에카
    에카는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에서 미발견 원소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한 명명법으로, 알려진 원소 아래 위치할 원소를 "에카 + 위쪽 원소 이름"으로 칭했으며, 이는 주기율표의 정확성을 입증하는 증거가 되었고 현재도 일부 사용되며 주기율표 발전 이해에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 전이 금속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전이 금속 - 백금
    백금은 은백색의 귀금속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촉매, 전기 접점 재료, 장신구, 자동차 배기가스 제어 장치 등에 사용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러시아에서 주로 생산된다.
  • 화학에 관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화학에 관한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이 금속
전이 금속
정의
정의부분적으로 채워진 d 껍질을 가진 원소 또는 그러한 껍질을 가진 양이온을 형성할 수 있는 원소
정의 설명족은 다르지만, 껍질이 전자로 채워지는 순서에 의해 정의된다.
특징
일반적 특징금속
높은 밀도, 녹는점, 끓는점
양이온 형성
전이 금속 화합물은 종종 색깔이 있다.
여러 개의 산화 상태를 가짐
강한 착화합물 형성
좋은 촉매
주기율표
위치주기율표의 d-구역
분류
분류제3족에서 제12족까지의 원소
란타넘족 및 악티늄족
포함 원소스칸듐
티타늄
바나듐
크로뮴
망가니즈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이트륨
지르코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테크네튬
루테늄
로듐
팔라듐

카드뮴
루테튬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레늄
오스뮴
이리듐
백금

수은
로렌슘
러더포듐
더브늄
시보귬
보륨
하슘
마이트너륨
다름슈타튬
뢴트게늄
코페르니슘
명명
역사적 배경초기의 전이 금속은 화학적으로 잘 정의되지 않았었다.
명칭 유래'전이'는 금속의 성질에서 비금속의 성질로 '전이'하는 개념에서 유래되었다.
화학적 성질
전자 배치최외각 전자 껍질에 전자가 1개 또는 2개 존재
d-궤도에 전자가 채워짐
이온다양한 산화 상태를 가짐
색깔 있는 이온 형성
촉매 작용표면에서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는 촉매 작용
화합물착화합물 형성 용이
응용 분야합금, 촉매, 도금, 안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2. 정의 및 분류

2011년 IUPAC의 *화학 명명법 원칙*에서는 주기율표의 3족부터 12족까지의 모든 원소를 "전이 금속"으로 정의한다.[3] 이는 d-구역 원소와 일치하며, 많은 과학자들이 이 정의를 사용한다.[4][5] 실제로는 f-구역 란타넘족악티늄족 계열을 "내부 전이 금속"이라고 따로 분류한다. 2005년 *레드북*에서는 12족 원소를 제외할 수 있지만, 2011년 *원칙*에서는 그렇지 않다.[6]

IUPAC 골드북[7]은 전이 금속을 "원자가 부분적으로 채워진 d 부껍질을 가지거나, 불완전한 d 부껍질을 가진 양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원소"로 정의하지만, 이는 레드북의 오래된 판에서 가져온 것이며 현재 판에는 더 이상 포함되어 있지 않다.[6]

d-구역에서 원소의 원자는 0개에서 10개의 d 전자를 가지고 있다.

d-구역의 전이 금속
3456789101112
주기 421Sc22Ti23V24Cr25Mn26Fe27Co28Ni29Cu30Zn
주기 539Y40Zr41Nb42Mo43Tc44Ru45Rh46Pd47Ag48Cd
주기 671Lu72Hf73Ta74W75Re76Os77Ir78Pt79Au80Hg
주기 7103Lr104Rf105Db106Sg107Bh108Hs109Mt110Ds111Rg112Cn



3족의 무거운 원소들에 대한 구성에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다.[8] 란타넘악티늄을 배치하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및 전자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9][10][11] 이러한 증거들은 루테튬로렌슘을 그 자리에 배치하는 것을 압도적으로 지지한다.[12][13] 일부에서는 이트륨 아래의 공간을 세 번째 옵션으로 비워두는 것을 선호하지만, 이 형식이 3족에 스칸듐과 이트륨만 포함되는지, 아니면 모든 란타넘족과 악티늄족도 포함되는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19][14][15][16][17] 또한, 양자역학이 f-구역은 14개의 원소만 포함되어야 한다고 명시하는 경우 15개의 원소로 구성된 f-구역이 생성된다.[19] 루테튬과 로렌슘을 3족에 포함하는 형태는 1988년 IUPAC 보고서[18]와 2021년 IUPAC 예비 보고서에서 다시 지지받고 있다. 이는 (1) 증가하는 원자 번호 순서를 유지하고, (2) 14개 원소로 구성된 f-구역을 가지며, (3) d-구역의 분할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형태이기 때문이다.[19]

12족 원소인 아연, 카드뮴, 수은은 완전한 전자 배열 [ ]d10s2을 가지고 있고, 알려진 모든 산화 상태에서 여전히 완전한 d 껍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때때로 전이 금속에서 제외된다.[22][23] 그러나 전이 원소에 대한 논의에서 이러한 원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가 많다.

2007년 합성은 일부 사람들에 의해 12족 원소를 전이 금속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견해를 강화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지만,[27] 일부 저자들은 여전히 이 화합물을 예외적인 것으로 간주한다.[28]

3. 역사



"전이금속"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기 무렵이며, 당시에는 주기율표의 VIII족(현재의 8족-10족)에 속하는 원소들을 가리켰다.[43]

당시의 주기율표는 "단주기율표"라고 불리는 것으로, 현재의 1족-7족과 11족-17족이 모두 I족-VII족으로 분류되었다. 18족(희가스)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고, 8족-10족은 같은 주기 내에서 서로 성질이 비슷하다는 점 때문에 VIII족으로 묶였다. 이 VIII족이 VII족과 I족을 잇는 원소 그룹이라는 의미에서 "전이금속"(독일어: 위베르강스메탈레/Übergangsmetallede/영어: 트랜지셔널 메탈/transitional metal영어)이라고 불리게 되었다.[43]

그 후, 양자화학에 의해 원소가 지닌 전자껍질의 구조가 이해되고, K, L, M 전자껍질이나 그것을 구성하는 s, p, d, f전자궤도 등 전자 블록 분류를 기반으로 하는 장주기율표와 확장 주기율표에서 원소가 분류되면서, 3족-11족 원소를 가리켜 "전이원소"라고 부르게 되었다.

4. 전자 배치

전이 금속의 오비탈 준위 순서는 일반적으로 (n-1)p<스핀-궤도 상호작용 등 몇몇 요인으로 인해 일반적인 전이 금속, 즉 (n-1)p⁶이상의 결합한 원자의 원자가 오비탈, p블록과 d블록에서의 올바른 에너지 순서는 (n-1)p<<(n-1)d
d-구역 원소의 일반적인 전자 배열은 [비활성 기체](''n'' − 1)d0–10''n''s0–2''n''p0–1이다. 여기서 "[비활성 기체]"는 해당 원소 바로 앞에 있는 비활성 기체의 전자 배열을 나타내고, ''n''은 그 원소에서 채워진 오비탈의 가장 높은 주양자수이다. 예를 들어, Ti (''Z'' = 22)는 주기 4에 있으므로 ''n'' = 4이며, 처음 18개의 전자는 주기 3의 끝에 있는 Ar과 같은 배열을 가지며, 전체 배열은 [Ar]3d24s2이다. 주기 6과 7의 전이 금속은 또한 내부 (''n'' − 2)f14 전자를 추가하는데, 이는 아래 표에서 생략되었다. p 오비탈은 자유 원자에서는 거의 채워지지 않지만(매우 높은 ''Z''에서 중요해지는 상대론적 효과로 인해 로렌슘이 유일한 예외임), 전이 금속 화합물의 화학 결합에 기여할 수 있다.

마델룽 규칙은 내부 d 오비탈이 원자가 껍질 s 오비탈 이후에 채워진다고 예측한다. 전이 금속 원자의 일반적인 전자 구조는 [비활성 기체]''n''s2(''n'' − 1)d''m''으로 표기된다. 이 규칙은 근사적이지만 대부분의 전이 금속에 적용된다. 중성 기저 상태에서 실패하더라도 낮은 에너지의 여기 상태를 정확하게 설명한다.

d 부껍질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 부껍질이며 (''n'' − 1)d 부껍질로 표시된다. 최외각 s 부껍질의 s 전자 수는 팔라듐(Pd)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1 또는 2개이며, 팔라듐은 기저 상태에서 s 부껍질에 전자가 없다. 원자가 껍질의 s 부껍질은 ''n''s 부껍질, 예를 들어 4s로 표시된다. 주기율표에서 전이 금속은 10개의 그룹(3~12)에 존재한다.

3족 원소는 ''n''s2(''n'' − 1)d1 배열을 가지지만, 로렌슘(Lr)은 예외적으로 7s27p1 배열을 가지며 6d 오비탈이 전혀 채워지지 않는다. 첫 번째 전이 계열은 주기 4에 있으며, [Ar]4s2 배열을 가진 2족의 Ca (''Z'' = 20) 이후에 시작하거나, 사용되는 정의에 따라 원자 번호 ''Z'' = 21 및 [Ar]4s23d1 배열을 가진 3족의 첫 번째 원소인 스칸듐(Sc)에서 시작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전자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같은 d 부껍질에 전자가 추가된다. 추가된 전자가 (''n'' − 1)d 오비탈을 채우기 때문에 d-구역 원소의 특성은 원자가 껍질의 s 또는 p 오비탈에서 채워지는 s-구역 및 p-구역 원소의 특성과 상당히 다릅니다.

모든 d-구역 계열에 있는 개별 원소의 전자 배열은 아래에 나와 있다.[31]

첫 번째 (3d) d-구역 계열 (Sc–Zn)
그룹3456789101112
원자 번호21222324252627282930
원소ScTiVCrMnFeCoNiCuZn
전자
배열
3d14s23d24s23d34s23d54s13d54s23d64s23d74s23d84s23d104s13d104s2



두 번째 (4d) d-구역 계열 (Y–Cd)
원자 번호39404142434445464748
원소YZrNbMoTcRuRhPdAgCd
전자
배열
4d15s24d25s24d45s14d55s14d55s24d75s14d85s14d105s04d105s14d105s2



세 번째 (5d) d-구역 계열 (Lu–Hg)
원자 번호71727374757677787980
원소LuHfTaWReOsIrPtAuHg
전자
배열
5d16s25d26s25d36s25d46s25d56s25d66s25d76s25d96s15d106s15d106s2



네 번째 (6d) d-구역 계열 (Lr–Cn)
(Mt–Cn에 대한 예측된 배열)
원자 번호103104105106107108109110111112
원소LrRfDbSgBhHsMtDsRgCn
전자
배열
7s27p16d27s26d37s26d47s26d57s26d67s26d77s26d87s26d97s26d107s2



원소들의 전자 배열을 자세히 살펴보면 마델룽 규칙에 대한 몇 가지 예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Cr의 경우 이 규칙은 3d44s2 배열을 예측하지만, 관찰된 원자 스펙트럼은 실제 기저 상태가 3d54s1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예외를 설명하려면 핵전하의 증가에 따른 오비탈 에너지의 영향과 쿨롱 반발력과 교환 에너지를 포함한 전자-전자 상호 작용을 고려해야 한다.[31] 그러나 예외는 에너지 차이가 항상 매우 낮기 때문에 화학적으로는 거의 중요하지 않다.[32]

전이 금속에 관여하는 (''n'' − 1)d 오비탈은 자기적 특성, 가변 산화 상태, 색깔 있는 화합물의 형성 등과 같은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원자가 s 및 p 오비탈 (''n''s 및 ''n''p)은 전이 계열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여가 거의 없다.

전이 금속에서는 d 오비탈이 관여하지 않는 주기와 비교하여 주기 내 원소의 특성에서 수평적 유사성이 더 크다. 이는 전이 계열에서 원소의 원자가 껍질 전자 배열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그룹 유사성도 있다.

4. 1. 첫 번째 전이 금속 (3d 전이 금속)

첫 번째 전이 금속은 3d 전이 금속이라고도 하며, 스칸듐(Sc)부터 구리(Cu)까지의 원소들이 해당된다.[44] 이 원소들은 3d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지는 특징을 갖는다.

원소 기호 원소 이름전자 배치 (바닥 상태, 중성 원자)
Sc스칸듐(Sc)3d44s2
Ti티타늄(Ti)3d24s2
V바나듐(V)3d34s2
Cr크롬(Cr)3d54s1
Mn망간(Mn)3d54s2
Fe철(Fe)3d64s2
Co코발트(Co)3d74s2
Ni니켈(Ni)3d84s2
Cu구리(Cu)3d104s1



아연(Zn) (Zn [3d104s2])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45]

4. 2. 두 번째 전이 금속 (4d 전이 금속)

두 번째 전이 금속은 4d 전이 금속이라고도 하며, 이트륨(Y)부터 (Ag)까지의 원소들이 해당된다.[44] 이 원소들은 4d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지는 특징을 가진다.

제2전이원소(4d 전이원소)[44]
원소 기호원소 이름전자 배위(바닥 상태, 중성 원자)
Y이트륨4d15s2
Zr지르코늄4d25s2
Nb나이오븀4d45s1
Mo몰리브덴4d55s1
Tc테크네튬4d55s2
Ru루테늄4d75s1
Rh로듐4d85s1
Pd팔라듐4d10
Ag4d105s1



카드뮴(Cd)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는데, 카드뮴의 전자 배위는 [4d105s2]이다.[45]

4. 3. 세 번째 전이 금속 (5d 및 4f 전이 금속)

제3전이원소는 란타넘(La)부터 (Au)까지의 원소를 말한다.[41][46][44] 불완전한 4f 껍질에 전자가 채워지는 란타넘족 원소를 내부전이원소로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제3전이원소 (5d, 4f 전이원소)
원소 기호원소 이름전자 배위 (바닥 상태, 중성 원자)
La란타넘5d16s2
Ce세륨4f15d16s2
Pr프라세오디뮴4f36s2
Nd네오디뮴4f46s2
Pm프로메튬4f56s2
Sm사마륨4f66s2
Eu유로피움4f76s2
Gd가돌리늄4f75d16s2
Tb테르븀4f96s2
Dy디스프로슘4f106s2
Ho홀뮴4f116s2
Er어븀4f126s2
Tm툴륨4f136s2
Yb이테르븀4f146s2
Lu루테튬4f145d16s2
Hf하프늄4f145d26s2
Ta탄탈럼4f145d36s2
W텅스텐4f145d46s2
Re레늄4f145d56s2
Os오스뮴4f145d66s2
Ir이리듐4f145d76s2
Pt백금4f145d96s1
Au4f145d106s1



수은(Hg [4f145d106s2])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45]

4. 4. 네 번째 전이 금속 (6d 및 5f 전이 금속)

제4주기 전이 원소는 악티늄(Ac)부터 로렌슘(Lr)까지의 원소를 말한다.[41][46] 이 원소들은 6d 오비탈과 5f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지며, 5f 껍질에 전자가 채워지는 악티노이드를 내부 전이 원소로 구분하기도 한다.

제4주기 전이 원소 (6d, 5f 전이 원소)
원소 기호원소 이름전자 배치 (바닥 상태, 중성 원자)
Ac악티늄(Actinium)6d7s2
Th토륨(Thorium)6d27s2
Pa프로트악티늄(Protactinium)5f26d7s2
U우라늄(Uranium)5f36d7s2
Np넵투늄(Neptunium)5f46d7s2
Pu플루토늄(Plutonium)5f67s2
Am아메리슘(Americium)5f77s2
Cm퀴륨(Curium)5f76d7s2
Bk버클륨(Berkelium)5f97s2
Cf캘리포늄(Californium)5f106d7s2
Es아인슈타이늄(Einsteinium)5f117s2
Fm페르뮴(Fermium)5f127s2
Md멘델레븀(Mendelevium)5f137s2
No노벨륨(Nobelium)5f147s2
Lr로렌슘(Lawrencium)5f147s27p


5. 전이 금속의 특성

전이 금속은 부분적으로 채워진 d 껍질로 인해 다른 원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여러 가지 특성을 공유한다.[47]


  • d-d 전자 전이로 인해 색깔을 띠는 화합물을 형성한다.
  • 서로 다른 가능한 산화 상태 사이의 에너지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많은 산화 상태의 화합물을 형성한다.[33]
  • 짝짓지 않은 d 전자의 존재로 인해 많은 상자성 화합물이 형성된다. (일산화질소, 산소 등 일부 주족 원소 화합물도 상자성을 띤다.)


대부분의 전이 금속은 다양한 리간드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이 금속 착물이 가능해진다.[34] 전이 원소는 d오비탈 또는 f오비탈이 닫힌 껍질(closed shell)을 이루지 않는다. 그리고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주로 변하는 것은 d오비탈 또는 f오비탈 전자이다.

d오비탈 또는 f오비탈 전자가 주양자수가 더 큰 s오비탈의 바깥쪽에도 분포한다는 것은, s오비탈 전자에 대한 핵전하 차폐 효과가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d오비탈 또는 f오비탈이 닫힌 껍질이 아닌 원소에서는 s오비탈 준위가 주양자수가 더 작은 d오비탈 또는 f오비탈보다 낮아진다.

d오비탈 또는 f오비탈의 외부에도 넓게 분포하는 전자가 많이 존재한다는 성질은 금속 결합에 관여할 수 있는 전자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많은 전자가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전이 금속은 대표 원소 금속에 비해 녹는점이 높은 것이 많고, 취할 수 있는 산화수도 많다.

전이 원소에서는 4주기와 5주기에 d오비탈에 전자가 존재하지만, 6주기와 7주기에는 d오비탈과 f오비탈에 전자가 존재한다. 이것은 란타넘족 원소와 악티늄족 원소가 존재한다는 이유 외에도 전자 배치와 핵 차폐에 의한 준위에 대한 영향의 정도가 4주기와 5주기의 경우와 6주기와 7주기의 경우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표 원소에서는 같은 족의 원소의 성질이 비슷했던 것에 비해, 전이 원소에서는 4주기와 5주기와 6주기와 7주기에서 성질이 다른 경우가 종종 관찰된다.

오히려 같은 주기라면 s오비탈 전자의 구조가 같은 인접한 족과 성질이 비슷한 면이 많고, 세 쌍 원소인 철족 원소나 백금족 원소처럼 같은 족뿐만 아니라 같은 주기에서도 구분되는 경우도 있다.

=== 이온화 ===

전이 금속은 이온화되는 과정에서 4s 오비탈의 에너지가 3d 오비탈의 에너지보다 상당히 높아지는 특성을 보인다. 이로 인해 중성 원자 상태에서 에너지 준위가 3d보다 낮았던 4s 오비탈에서 전자가 먼저 나가게 된다.[47]

=== 착이온 형성 ===

전이 금속은 일반 금속처럼 광택, 전기 전도성, 열 전도성을 가진다. 전이 금속은 비금속과 이온 결합 화합물을 형성할 때, 일정 수의 리간드와 결합하여 착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착이온은 전이 금속과 리간드 간 결합으로 생성된 이온을 의미하며, 전이 금속 화합물의 다양한 색깔과 촉매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산화 상태 ===

전이 금속은 보통 1씩 차이 나는 두 가지 이상의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바나듐 화합물은 -1에서 +5까지의 모든 산화 상태로 알려져 있다. 13족부터 18족까지의 주족 원소도 여러 산화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들의 "일반적인" 산화 상태는 보통 2씩 차이가 난다. 반면 전이 원소는 단일 원소 원자와 하나 이상의 짝짓지 않은 전자가 있는 산화 상태가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주족 원소와 차이가 있다.[37][38]

전이 금속의 산화 상태. 실선 원은 일반적인 산화 상태를, 비어 있는 원은 가능하지만 드문 산화 상태를 나타낸다.


첫 번째 횡열 전이 금속에서 최대 산화 상태는 티타늄(+4)에서 망가니즈(+7)까지 원자가 전자 수와 같지만, 그 이후 원소에서는 감소한다. 두 번째 횡열에서는 루테늄(+8)에서 최대값을, 세 번째 횡열에서는 이리듐(+9)에서 최대값을 나타낸다.

가장 낮은 산화 상태는 금속 카르보닐 착물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18전자 규칙을 따른다.

이온성 화합물은 주로 +2와 +3의 산화 상태로 형성된다. 수용액에서 이온들은 팔면체 배열로 여섯 개의 물 분자에 의해 수화된다.

=== 자기적 성질 ===

전이 금속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짝짓지 않은 d 전자를 가질 때 상자성을 띤다.[39] 4개에서 7개의 d 전자를 가지는 팔면체 착물의 경우 고스핀 및 저스핀 상태가 모두 가능하다. 사면체 전이 금속 착물은 결정장 갈라짐이 작기 때문에 고스핀이다. 일부 화합물은 반자성이다.

강자성은 개별 원자가 상자성이고 스핀 벡터가 결정질 재료에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때 발생한다. 금속 철과 합금 알니코는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강자성 재료의 예이다. 반강자성은 고체 상태에서 개별 스핀의 특정 정렬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적 특성의 또 다른 예이다.

전이 원소는 안정적인 짝짓지 않은 전자를 가지기 쉬운데, 이는 많은 전이 원소가 자성을 갖는 이유 중 하나이다. 전이 금속에서는 짝짓지 않은 전자를 갖는 단체 또는 이온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대표 원소에 비해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전자 배치뿐만 아니라 자성은 결정 구조 및 착물 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전이 원소에서 다양한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촉매 활성 ===

전이 금속과 그 화합물은 균일 및 불균일 촉매 활성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은 여러 산화 상태를 채택하고 착물을 형성하는 능력에 기인한다.[40] 바나듐(V) 산화물(접촉법에서), 미세하게 분쇄된 (하버-보슈법에서), 그리고 니켈(촉매 수소첨가에서)이 그 예이다. 고체 표면의 촉매(나노물질 기반 촉매)는 반응물 분자와 촉매 표면의 원자 사이에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1주기 전이 금속은 결합에 3d 및 4s 전자를 이용하며, 이는 촉매 표면에서 반응물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반응 분자의 결합을 약화시킨다(활성화 에너지가 낮아짐).[40] 또한 전이 금속 이온은 산화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촉매로서 더욱 효과적이다.

흥미로운 유형의 촉매 작용은 반응 생성물이 촉매를 더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할 때 발생한다(자동촉매).

전이원소는 우수한 균일계 및 불균일계 촉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은 하버-보슈법의 촉매이다. 또한 오산화 바나듐은 황산 제조의 접촉법에, 니켈은 마가린 제조의 수소첨가에, 백금은 질산 제조에 각각 사용된다. 전이원소는 반응 중 다양한 산화 상태를 취하면서 착물을 형성하여 활성화 에너지가 낮은 경로를 제공한다.

=== 물리적 성질 ===

전이 금속은 금속이며 전기를 전도한다.

일반적으로 전이 금속은 높은 밀도와 높은 녹는점끓는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비편재화된 d 전자에 의한 금속 결합 때문이며, 공유 전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응집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12족 금속은 d-d 결합을 방해하는 가득 찬 d 오비탈 때문에 녹는점과 끓는점이 훨씬 낮다. 수은은 -38.83°C의 녹는점을 가지며 상온에서 액체이다.

=== 전기 전도성 ===

전이 금속은 전기를 잘 전달하는 양도체이다. 산화물은 배위수, 격자 간 거리 등에 따라 다양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PrNiO3와 NdNiO3는 저온에서는 절연체이지만, 상온이 되면 금속이 된다. 이들은 전형적인 모트 절연체이며, 저온에서는 원자가전자가 Ni 자리에 국재하고 있다. 그러나 온도가 상승하면 Pr과 Nd의 이온 반지름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정 구조에 왜곡이 생긴다. 이에 따라 Ni 자리에 국재되어 있던 전자가 파동성을 회복하여 결정 전체에 퍼지고, 금속으로 전이한다.

=== 색 ===

전이원소 화합물의 수용액. 왼쪽부터
Co(NO3)2 (적색), K2Cr2O7 (주황색), K2CrO4 (황색), NiCl2 (녹색), CuSO4 (청색), KMnO4 (자색)


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이며, 그 진동수가 다르면 눈을 통해 다른 색으로 인식된다. 색의 변화는 어떤 물질에 입사한 빛이 반사, 투과, 흡수됨으로써 일어난다. 전이 금속 이온이나 착물은 그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띤다. 같은 원소라도 구조가 다르면 색이 다르다. 예를 들어 7가 망가니즈 이온 MnO4는 자주색이지만, Mn2+는 연한 분홍색이다.

전이 금속 착물에서는 배위자가 화합물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가 되는데, 이는 배위에 의해 d 오비탈의 에너지가 변하기 때문이다. 배위자가 전이 금속 이온과 결합하면, 축퇴되어 있던 d 오비탈은 높은 에너지 준위의 집합과 낮은 에너지 준위의 집합으로 나뉜다. 배위자를 가진 이온, 즉 착물에 빛을 비추면, 낮은 에너지 준위에 있던 전자가 높은 에너지 준위로 전이한다. 이때 흡수되는 빛이 색으로 인식된다. 흡수되는 빛은 에너지 준위의 차이와 정확히 에너지를 가진 것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준위 차이의 차이는 흡수하는 빛의 파장, 즉 색의 차이로 나타난다.

착물의 색은 중심이 되는 전이 금속 이온의 성질(특히 d 전자의 수), 중심 이온 주위의 배위자의 위치, 그리고 배위자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다. 기하 이성질체는 다른 색을 나타낼 수 있다. 강한 배위자가 결합하면 에너지 준위의 분열 폭이 커진다.

아연의 경우, 3d 오비탈이 모두 채워져 있기 때문에, 낮은 에너지의 d 오비탈에서 높은 에너지의 d 오비탈로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연의 착물은 무색이다.

5. 1. 이온화

전이 금속은 이온화되는 과정에서 4s 오비탈의 에너지가 3d 오비탈의 에너지보다 상당히 높아지는 특성을 보인다. 이로 인해 중성 원자 상태에서 에너지 준위가 3d보다 낮았던 4s 오비탈에서 전자가 먼저 나가게 된다.[47]

5. 2. 착이온 형성

전이 금속은 일반 금속처럼 광택, 전기 전도성, 열 전도성을 가진다. 전이 금속은 비금속과 이온 결합 화합물을 형성할 때, 일정 수의 리간드와 결합하여 착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착이온은 전이 금속과 리간드 간 결합으로 생성된 이온을 의미하며, 전이 금속 화합물의 다양한 색깔과 촉매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3. 산화 상태

전이 금속은 보통 1씩 차이 나는 두 가지 이상의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바나듐 화합물은 -1에서 +5까지의 모든 산화 상태로 알려져 있다. 13족부터 18족까지의 주족 원소도 여러 산화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들의 "일반적인" 산화 상태는 보통 2씩 차이가 난다. 반면 전이 원소는 단일 원소 원자와 하나 이상의 짝짓지 않은 전자가 있는 산화 상태가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주족 원소와 차이가 있다.[37][38]

첫 번째 횡열 전이 금속에서 최대 산화 상태는 티타늄(+4)에서 망가니즈(+7)까지 원자가 전자 수와 같지만, 그 이후 원소에서는 감소한다. 두 번째 횡열에서는 루테늄(+8)에서 최대값을, 세 번째 횡열에서는 이리듐(+9)에서 최대값을 나타낸다. 와 와 같은 화합물에서 원소들은 공유 결합을 통해 안정적인 배열을 달성한다.

가장 낮은 산화 상태는 (산화 상태 0)과 (산화 상태 −2)와 같은 금속 카르보닐 착물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18전자 규칙을 따른다. 이러한 착물 또한 공유 결합성이다.

이온성 화합물은 주로 +2와 +3의 산화 상태로 형성된다. 수용액에서 이온들은 (보통) 팔면체 배열로 여섯 개의 물 분자에 의해 수화된다.

5. 4. 자기적 성질

전이 금속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짝짓지 않은 d 전자를 가질 때 상자성을 띤다.[39] 4개에서 7개의 d 전자를 가지는 팔면체 착물의 경우 고스핀 및 저스핀 상태가 모두 가능하다. 사면체 전이 금속 착물은 결정장 갈라짐이 작기 때문에 고스핀이다. 일부 화합물은 반자성이다. 이러한 경우, 결정장 갈라짐은 모든 전자가 짝을 이루도록 한다.

강자성은 개별 원자가 상자성이고 스핀 벡터가 결정질 재료에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때 발생한다. 금속 철과 합금 알니코는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강자성 재료의 예이다. 반강자성은 고체 상태에서 개별 스핀의 특정 정렬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적 특성의 또 다른 예이다.

전이 원소는 안정적인 짝짓지 않은 전자를 가지기 쉬운데, 이는 많은 전이 원소가 자성을 갖는 이유 중 하나이다. 전이 금속에서는 짝짓지 않은 전자를 갖는 단체 또는 이온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대표 원소에 비해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전자 배치뿐만 아니라 자성은 결정 구조 및 착물 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전이 원소에서 다양한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요인이 되고 있다.

5. 5. 촉매 활성

전이 금속과 그 화합물은 균일 및 불균일 촉매 활성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은 여러 산화 상태를 채택하고 착물을 형성하는 능력에 기인한다.[40] 바나듐(V) 산화물(접촉법에서), 미세하게 분쇄된 (하버-보슈법에서), 그리고 니켈(촉매 수소첨가에서)이 그 예이다. 고체 표면의 촉매(나노물질 기반 촉매)는 반응물 분자와 촉매 표면의 원자 사이에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1주기 전이 금속은 결합에 3d 및 4s 전자를 이용하며, 이는 촉매 표면에서 반응물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반응 분자의 결합을 약화시킨다(활성화 에너지가 낮아짐).[40] 또한 전이 금속 이온은 산화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촉매로서 더욱 효과적이다.

흥미로운 유형의 촉매 작용은 반응 생성물이 촉매를 더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할 때 발생한다(자동촉매). 한 가지 예로 옥살산과 산성화된 과망간산칼륨(또는 망가네이트(VII))의 반응이 있다. 일단 소량의 Mn2+가 생성되면, MnO4와 반응하여 Mn3+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다음 C2O4 이온과 반응하여 다시 Mn2+를 형성한다.

전이원소는 우수한 균일계 및 불균일계 촉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은 하버-보슈법의 촉매이다. 또한 오산화 바나듐은 황산 제조의 접촉법에, 니켈은 마가린 제조의 수소첨가에, 백금은 질산 제조에 각각 사용된다. 전이원소는 반응 중 다양한 산화 상태를 취하면서 착물을 형성하여 활성화 에너지가 낮은 경로를 제공한다.

5. 6. 물리적 성질

전이 금속은 금속이며 전기를 전도한다.

일반적으로 전이 금속은 높은 밀도와 높은 녹는점끓는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비편재화된 d 전자에 의한 금속 결합 때문이며, 공유 전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응집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12족 금속은 d-d 결합을 방해하는 가득 찬 d 오비탈 때문에 녹는점과 끓는점이 훨씬 낮다. 수은은 -38.83°C의 녹는점을 가지며 상온에서 액체이다.

5. 7. 전기 전도성

전이 금속은 전기를 잘 전달하는 양도체이다. 산화물은 배위수, 격자 간 거리 등에 따라 다양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PrNiO3와 NdNiO3는 저온에서는 절연체이지만, 상온이 되면 금속이 된다. 이들은 전형적인 모트 절연체이며, 저온에서는 원자가전자가 Ni 자리에 국재하고 있다. 그러나 온도가 상승하면 Pr과 Nd의 이온 반지름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정 구조에 왜곡이 생긴다. 이에 따라 Ni 자리에 국재되어 있던 전자가 파동성을 회복하여 결정 전체에 퍼지고, 금속으로 전이한다.

5. 8. 색

Co(NO3)2 (적색), K2Cr2O7 (주황색), K2CrO4 (황색), NiCl2 (녹색), CuSO4 (청색), KMnO4 (자색)]]

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이며, 그 진동수가 다르면 눈을 통해 다른 색으로 인식된다. 색의 변화는 어떤 물질에 입사한 빛이 반사, 투과, 흡수됨으로써 일어난다. 전이 금속 이온이나 착물은 그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띤다. 같은 원소라도 구조가 다르면 색이 다르다. 예를 들어 7가 망가니즈 이온 MnO4는 자주색이지만, Mn2+는 연한 분홍색이다.

전이 금속 착물에서는 배위자가 화합물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가 되는데, 이는 배위에 의해 d 오비탈의 에너지가 변하기 때문이다. 배위자가 전이 금속 이온과 결합하면, 축퇴되어 있던 d 오비탈은 높은 에너지 준위의 집합과 낮은 에너지 준위의 집합으로 나뉜다. 배위자를 가진 이온, 즉 착물에 빛을 비추면, 낮은 에너지 준위에 있던 전자가 높은 에너지 준위로 전이한다. 이때 흡수되는 빛이 색으로 인식된다. 흡수되는 빛은 에너지 준위의 차이와 정확히 에너지를 가진 것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준위 차이의 차이는 흡수하는 빛의 파장, 즉 색의 차이로 나타난다.

착물의 색은 중심이 되는 전이 금속 이온의 성질(특히 d 전자의 수), 중심 이온 주위의 배위자의 위치, 그리고 배위자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다. 기하 이성질체는 다른 색을 나타낼 수 있다. 강한 배위자가 결합하면 에너지 준위의 분열 폭이 커진다.

아연의 경우, 3d 오비탈이 모두 채워져 있기 때문에, 낮은 에너지의 d 오비탈에서 높은 에너지의 d 오비탈로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연의 착물은 무색이다.

참조

[1] 논문 Langmuir's theory of the arrangement of electrons in atoms and molecules https://zenodo.org/r[...]
[2] 백과사전 Bury, Charles Rugeley http://www.encyclope[...]
[3] 서적 Principles of Chemical Nomenclature https://iupac.org/wp[...]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1
[4] 서적 General chemistry: principles and modern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2002
[5]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Prentice-Hall
[6] 서적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http://old.iupac.org[...] RSC–IUPAC
[7] GoldBook transition element
[8] 서적 The Periodic Table: Its Story and Its Significance 2020
[9] 서적 Quantum Mechanics: Non-Relativistic Theory Pergamon Press
[10] 서적 Festkörper Probleme: Plenary Lectures of the Divisions Semiconductor Physics, Surface Physics, Low Temperature Physics, High Polymers, Thermodynamics and Statistical Mechanics, of the German Physical Society, Münster, March 19–24, 1973 Springer 1973
[11] 서적 Superconductivity Gordon and Breach 1969
[12] 논문 The Positions of Lanthanum (Actinium) and Lutetium (Lawrencium) in the Periodic Table
[13] 논문 The positions of lanthanum (actinium) and lutetium (lawrencium) in the periodic table: an update https://link.springe[...] 2021-01-28
[14] 서적 Handbook on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Rare Earths Elsevier 2011
[15]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greater than or equal to 113 (IUPAC Technical Report) 2011
[16]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Z = 113, 115 and 117 (IUPAC Technical Report) 2015-12-22
[17] 논문 An essay on periodic tables http://www.chem.hels[...] 2022-11-27
[18] 논문 New Notations in the Periodic Table https://www.iupac.or[...] 2012-03-24
[19] 논문 Provisional Report on Discussions on Group 3 of the Periodic Table https://iupac.org/wp[...] 2021-04-09
[20] 논문 Which Elements Belong in Group 3? https://pubs.acs.org[...] 2023-01-01
[21] 논문 Evolution of the periodic table through the synthesis of new elements 2019
[22] 논문 The Place of Zinc, Cadmium, and Mercury in the Periodic Table http://www.uv.es/~bo[...]
[23] 서적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Wiley
[24] 논문 Theoretical studies of valence orbital binding energies in solid zinc sulfide, zinc oxide, and zinc fluoride 1977-11-01
[25] 논문 Problems of the OPW Method. II. Calculation of the Band Structure of ZnS and CdS 1980
[26] 논문 Relativistic effects in mercury: Atom, clusters, and bulk 1994
[27] 논문 Mercury Is a Transition Metal: The First Experimental Evidence for HgF4
[28] 논문 Is Mercury Now a Transition Element?
[29] 논문 The Valence Orbitals of the Alkaline-Earth Atoms 2020
[30] 논문 Relativity and the Periodic System of Elements 1979
[31] 서적 Inorganic Chemistry Prentice-Hall
[32] 논문 The Loose Connection between Electron Configuration and the Chemical Behavior of the Heavy Elements (Transuranics) 1973
[33] 논문 Trends in Ionization Energy of Transition-Metal Elements
[34] 백과사전 Heavy metal http://www.eoearth.o[...]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35] 서적 Modern Coordination Chemistry Wiley Interscience
[36] 서적 An Introduction to Transition-Metal Chemistry, Ligand field theory Methuen
[37] 논문 Stable GaX2, InX2 and TlX2 radicals 2014-02-16
[38] 리다이렉트
[39] 서적 The Magnetochemistry of Complex Compounds Wiley Interscience
[40] 논문 Revising the Mechanism of the Permanganate/Oxalate Reaction
[41] 웹사이트 transition element http://goldbook.iupa[...] IUPAC 2006
[42] 서적 IUPAC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43] 논문 The Place of Zinc, Cadmium, and Mercury in the Periodic Table http://www.uv.es/~bo[...]
[44] 웹사이트 2022-01-26
[45] 웹사이트 2022-01-26
[46] 웹사이트 Chapter_7._d-Metal Complexes http://www.chem.late[...]
[47] 서적 201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