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오스의 시모니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오스의 시모니데스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으로, 생애는 기원전 556년에서 468년 사이로 추정된다. 그는 다양한 장르의 시를 썼으며, 특히 기념 시와 비문으로 명성을 얻었다. 페르시아 전쟁에서 활약한 인물들을 기리는 시를 썼으며, 기억술의 창시자로도 알려져 있다. 시모니데스는 간결하고 균형 잡힌 시어와 인본주의적 관점을 통해 칭송받았으며, 한국에서도 그의 시가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 인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56년 출생 - 좌구명
    좌구명은 춘추 시대의 사상가로, 《춘추좌씨전》과 《국어》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며, 공자와 동시대 또는 그 이전 시대의 인물로 추정되는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사상가이다.
  • 기원전 469년 사망 - 송 경공
    송 경공은 춘추 시대 송나라의 군주로, 재위 기간 동안 조나라를 멸망시키는 군사적 활동을 펼쳤으나 환퇴의 난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었으며, 후계 구도와 재위 기간 등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쉬라쿠사이의 시인 - 바킬리데스
    바킬리데스는 기원전 6세기 후반부터 5세기 초반에 활동한 케오스 섬 출신의 고대 그리스 서정 시인으로, 시모니데스의 조카이자 핀다로스와 함께 당대 최고의 서정 시인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승리를 기념하는 송가와 디티람보스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 쉬라쿠사이의 시인 - 테오크리토스
    테오크리토스는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목가, 서사시, 연애시 등을 포함하는 30개의 소품으로 구성된 시집을 통해 그리스 문학에 기여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목가》가 있다.
케오스의 시모니데스
기본 정보
원어 이름 (그리스어)Σιμωνίδης ὁ Κεῖος
로마자 표기Simōnidēs ho Keios
직업시인
장르서정시
활동 시기고대 그리스
출생기원전 556년경, 케오스섬
사망기원전 468년, 시라쿠사
친척바킬리데스 (조카)

2. 생애

시모니데스의 삶에 대한 명확한 사실은 현대에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 고대 자료들은 그의 출생 연도조차 확실하지 않다고 전한다. 수다에 따르면, 그는 제56회 올림피아드(기원전 556/552년)에 태어났거나, 일부 작가들에 따르면 제62회(기원전 532/528년)에 태어났으며, 제78회(기원전 468/464년)까지 생존하여 89세를 살았다고 한다.[8]

시모니데스는 개정된 알파벳의 네 글자를 발명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낭송하기보다는 읽기 위해 시를 쓴 최초의 주요 시인이었다.[9] 그는 페르세우스를 주제로 한 디튀람보스를 작곡하기도 했다.[10]

현대 학자들은 그의 생애를 기원전 556~468년으로 대체로 받아들인다. 다만, 이렇게 되면 그가 조카인 바킬리데스보다 약 50세 더 많고, 80세경에도 국제적으로 매우 활동적이었다는 점이 다소 어색하다. 파리아 대리석 기록에 따르면 시모니데스는 기원전 468/467년에 90세 나이로 사망했지만, 그의 할아버지가 기원전 489/488년에 아테네에서 열린 시 경연 대회에서 우승했다는 기록도 있어 혼란을 준다. 파리아 대리석에 기록된 할아버지 이름 또한 시모니데스였으며, 일부 학자들은 고대 자료에서 시모니데스에 대한 초기 언급이 사실 이 할아버지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파리아 대리석은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수다에 따르면, 이 손자는 족보에 관한 책을 저술한 족보학자 시모니데스였다.[12]

시모니데스는 젊은 시절 시와 음악을 가르치며 아폴론 축제에서 파이안을 만들었다. 하지만 고향에서는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없다고 깨닫고, 문학 후원자였던 히파르코스(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들)의 궁정이 있는 아테네로 이주했다. 기원전 514년 히파르코스가 암살되자, 시모니데스는 테살리아로 물러나 스코파스 가문 및 알레우아스 가문의 보호와 지원을 받으며 유유자적하게 살았다.

키케로는 저서 『웅변가에 관하여』에서 시모니데스와 스코파스 가문의 관계가 끝나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시모니데스의 후원자였던 스코파스가 전차 경주에서 승리하고 축제를 열었는데, 시모니데스는 승리 축하 오드를 불렀다. 그런데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에 대한 찬미에 많은 부분을 할애했기 때문에 스코파스는 화가 났다. 보수를 지불할 때가 되자 스코파스는 일부만 지불하고 나머지는 쌍둥이 신에게 청구하라고 말했다. 그 직후, 두 명의 젊은 남자가 시모니데스를 찾아왔다는 소식을 듣고 연회장을 나섰는데 천장이 무너져 스코파스와 손님들을 덮쳤다.[86] 시모니데스는 잔해 속에서 죽은 손님들의 신원을 자리(loci) 기억을 통해 특정할 수 있었다(Method of loci|장소법영어). 그는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가 남은 돈 대신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것이라고 감사하며, 이 경험을 "기억의 극장" 또는 "기억 궁전"으로 발전시켰다. 이 기억술은 르네상스 시대까지 널리 구전되었다.[87] 시모니데스는 이러한 고대 기억술 방법을 발명했다고 믿어진다.[88]

마라톤 전투(기원전 490년) 이후 시모니데스는 아테네로 돌아왔지만 곧 시켈리아로 갔다. 히에론 1세의 초대를 받았기 때문인데, 남은 생을 그 궁정에서 보내게 된다.

학자로서 시모니데스의 평판은 다음과 같은 전설에서도 알 수 있다. 모음 (ε, η, ο, ω)의 장단 구분을 도입한 것은 시모니데스였으며, 이후 이오니아 문자에 채택되어 에우클레이데스가 아테네 집정관이었던 시대(기원전 403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시모니데스는 정치 세계에서도 영향력을 가졌다. 히에론 왕과 테론을 중재한 것도 시모니데스였다. 그는 아테네의 테미스토클레스, 스파르타파우사니아스 두 장군과 개인적인 친구였으며, 페르시아 전쟁에 대해 노래한 그의 시는 민족주의적 애국심에 강한 충격을 주었다.

시모니데스는 자신의 시에 거의 어떤 가격이라도 요구할 수 있었다. 아리스토파네스 이후 작가들은 그가 탐욕스러웠다고 주장한다. 히에론 왕의 왕비가 그에게 부자로 태어나는 것과 천재로 태어나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좋냐고 묻자, "부자입니다. 왜냐하면 천재는 언제나 부자의 문 앞에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다.[89] 또 다른 일화로, 찬미 시를 써달라고 부탁했지만 감사는 얼마든지 할 수 있지만 돈은 낼 수 없다고 말한 사람에게 시모니데스는 자신은 두 개의 상자를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감사를, 다른 하나는 돈을 넣기 위한 상자인데, 감사 상자는 텅 비어 쓸모가 없고, 돈 상자는 내용물이 가득 찼다고 대답했다.[90]

2. 1. 초기 생애와 아테네

시모니데스는 레오프레페스의 아들이자 힐리쿠스의 손자 혹은 후손으로, 키클라데스 제도의 케오스(이울리스)에서 태어났다.[13] 케오스는 음악과 육상 경기(특히 달리기와 권투)로 유명했다.[15] 시모니데스는 초기에 합창단을 훈련시키는 학교인 코레기온에서 교사로 일했을 가능성이 있다.[14]

고대 아크로폴리스 유적을 포함한 케이아(고대 그리스어로는 케오스)의 현재 수도인 이울리스.


케오스는 아티카에서 남동쪽으로 약 24km 떨어져 있었는데, 시모니데스는 약 30세 무렵 예술 후원자였던 참주 히파르코스의 궁정에서 기회를 얻어 아테네로 향했다.[15] 그곳에서 시모니데스는 다른 합창단 훈련자이자 시인인 헤르미오네의 라수스와 경쟁했는데, 이는 훗날 아테네 사람들에게 농담거리가 되었다. 아리스토파네스는 이를 언급하며 시모니데스를 구두쇠형 전문 시인으로 묘사하기도 했다.[15]

2. 2. 테살리아 시기

기원전 514년 히파르코스 암살 사건 이후, 시모니데스는 테살리아로 이주하여 스코파다이와 알레우아다이 가문의 후원을 받았다.[17] 당시 테살리아는 문화적으로 낙후된 지역이었으며, 5세기 말까지 '암흑기'에 머물러 있었다. 플루타르코스는 이오니아 시인이 한때 테살리아인들을 시에 매료될 정도로 "너무 무지하다"고 폄하했다고 기록했다.[18]

시모니데스의 후원자 중 한 명인 스코파스는 술과 사교 모임을 즐기고 재산을 과시하기 좋아하던 귀족이었다. 키케로[19]와 퀸틸리아누스[20]는 시모니데스와 스코파스의 관계에 대한 일화를 전한다. 시모니데스는 스코파스의 복서 승리 찬가를 의뢰받았으나, 찬가에 복서의 영웅적 원형인 쌍둥이 카스토르와 폴룩스를 너무 많이 언급했다. 스코파스는 시모니데스에게 의뢰료의 절반만 지불하고, 나머지 절반은 카스토르와 폴룩스에게 받으라고 말했다.[21]

그러나 시모니데스는 신화 속 쌍둥이에게서 의뢰료 이상의 것을 얻었는데, 바로 자신의 목숨이었다. 시모니데스가 연회장에서 두 명의 방문객을 만나기 위해 밖으로 나간 사이, 연회장 건물이 무너져 안에 있던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다. 이 사건은 시모니데스가 이미지와 장소를 기반으로 하는 기억술 시스템인 장소 기억법을 개발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고 하며, 장소 기억법은 기억술의 한 요소이다.

2. 3. 페르시아 전쟁과 전성기

시모니데스는 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2년 ~ 기원전 449년) 중에 아테네로 돌아와 기념시와 비문을 쓰는 작가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22] 마라톤 전투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기리는 비문을 쓰는 작가로 아이스킬로스보다 시모니데스가 선택되었는데, 이는 그 전투에 참전했고 형제가 그곳에서 죽었던 아이스킬로스가 히에론 1세의 궁정으로 불만을 품고 물러나게 된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23][24]

그는 아르테미시움 해전, 살라미스 해전,[24] 플라타이아 전투[26] 등 주요 전투에 대한 시를 썼다. 또한, 레오니다스와 그의 부하들을 위한 기념가, 파우사니아스를 위한 헌정 비문 등을 남겼다.[26] 그의 군사적 주제에 대한 감각적이고 감동적인 작시 능력은 제2차 페르시아 침공에서 그리스 국가들이 승리한 후 큰 수요를 불러일으켰다.[26]

2. 4. 시칠리아에서의 말년

시모니데스는 말년을 시칠리아 시라쿠사의 히에론 1세의 궁정에서 보냈으며, 히에론의 친구이자 측근이었다.[29] 핀다로스주석 학자에 따르면, 히에론 1세와 아크라가스의 테론 사이의 평화를 중재하여 그들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기도 했다.[29] 헬레니즘 시인 칼리마코스는 그의 시 중 하나에서 시모니데스가 아크라가스 외부에 묻혔으며, 그의 묘비가 나중에 탑을 건설하는 데 잘못 사용되었다고 밝혔다.[34]

3. 작품

시모니데스의 시는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파피루스 조각과 고대 문헌의 인용을 통해 일부가 전해진다. 페르시아 전쟁 관련 시가 대표적이다.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전사한 스파르타 용사들을 기리는 유명한 경구시는 다음과 같다.[74]

Ὦ ξεῖν’, ἀγγέλλειν Λακεδαιμονίοις ὅτι τῇδε|오 케인’, 앙겔레인 라케다이모니오이스 호티 테데el

κείμεθα, τοῖς κείνων ῥήμασι πειθόμενοι.|케이메타, 토이스 케이논 레마시 페이토메노이.el

: 나그네여, 스파르타인에게 전하라. 우리는 여기 누워, 그들의 명령에 따랐노라고.

이 외에도 ''테르모필레에서 전사한 자들을 위한 애가'', ''아르테미시움 해전'', ''살라미스 해전'' 등이 페르시아 전쟁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플라타이아 전투의 경과를 서술하고 파우사니아스아킬레우스에 비유한 비가도 전해진다.[77]

아테네 참주 히피아스의 딸 아르케디케를 위해 쓴 경구시에서 시모니데스는 "아버지, 남편, 형제, 자식들 모두 왕족이었지만, 그녀는 교만하지 않았다"라고 썼다.[73]

그의 작품에는 디티람보스 경연에서 57번 우승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뛰어났던 디티람보스와[70] 춤에 적합한 활기찬 하이포르케마[69], 그리고 유명한 복서 카리스투스의 글라우코스를 기념하며 헤라클레스나 폴리데우케스조차 그를 이길 수 없었을 것이라고 쓴 승리 송가도 있다.[64]

3. 1. 장르와 특징

시모니데스는 송가, 애가, 경구시 등 다양한 장르의 시를 썼다. 그의 시는 간결하고 명확한 표현, 절제된 수사, 균형 잡힌 구성이 특징이며, 인간의 운명, 덕, 명예, 기억 등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며 깊은 통찰과 감동을 전달한다.[60]

시모니데스는 이전의 사포알카이오스 같은 서정 시인들과 달리 대중 공연과 비문에 맞춰 시를 썼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의 시는 오늘날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파피루스 조각과 고대 논평가들의 인용문에 충분히 기록되어 있어, '잠정적으로' 많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62]

시모니데스는 이오니아 풍미가 있는 다양한 합창 가사와 도리스 어법의 비가 구절을 썼다. 그는 새로운 유형의 합창 서정시, 특히 찬가, 그중에서도 승리 송가 형식을 대중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R.C. Jebb에 따르면, 시모니데스 시대에 찬가를 받는 사람은 이전까지 신과 영웅에게만 주어졌던 특별한 영예를 받는다고 느꼈다.[63]

시모니데스는 합창 애가를 서정시의 정식 형태로 확립한 최초의 인물이었으며, 그의 재능은 퀸틸리아누스, 호라티우스, 카툴루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등에 의해 증명되었다.[65][66][67][68]

시모니데스는 춤에 적합한 활기찬 작품 (하이포르케마)에도 능했는데, 이는 플루타르코스에 의해 칭찬받았다.[69] 헬레니즘 시대의 익명의 격언에 따르면 그는 디티람보스 대회에서 매우 성공하여, 아마도 아테네에서 57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스트라본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디오니소스를 위해 불린 서정시 장르인 디티람보스는 나중에 영웅 신화를 설명하는 이야기로 발전했으며, 시모니데스는 이 확대된 형태로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시인이다.[70][71][72]

시모니데스는 페르시아 전쟁에서 죽은 사람들을 위한 묘비를 썼으며, 이로 인해 많은 간결한 구절들이 그에게 잘못 귀속되었다. 그는 페르시아 전쟁을 주제로 한 더 긴 작품을 썼는데, 여기에는 ''테르모필레에서 전사한 자들을 위한 애가'', ''아르테미시움 해전'', ''살라미스 해전''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 장르는 단편적인 유해에서 명확하지 않다.[73][75][76] 최근에 발견된 시의 상당한 조각은 플라타이아 전투의 전개 과정을 묘사하고 파우사니아스아킬레우스에 비유하면서, 그가 실제로 비가 시로 서술적인 이야기를 작곡했다는 것을 보여준다.[77]

고대 그리스 후기의 다른 서정 시인들처럼, 시모니데스는 복합 형용사와 장식적인 수식어를 두드러지게 사용했지만, 절제와 균형 감각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표현은 명확하고 단순하며, 직설적인 진술에 의존했다.[81][82]

시모니데스의 시로 현존하는 것은 2, 3개의 짧은 엘레게이아 (단, Fr. 85는 그 작풍과 시형으로 보아 아모르고스의 세모니데스의 것으로 보인다), 몇 개의 에피그램 (경구), 그리고 약 90개의 서정시 및 합창시의 단편이다. 엘레게이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언, 즉 서사시적인 색채를 띠는 이오니아 방언으로 쓰인 에피그램은 일부는 공적으로, 일부는 사적인 공적을 위해 만들어졌다.

토마스 불핀치는 시모니데스는 엘레게이아 장르에서 "특히 뛰어났다"고 적고 있으며, "그의 천재성은 가엾은 자들에게 향해져, 그 이상으로, 진정으로 다가가 사람들의 동정을 불러일으킨 자는 없었다"라고 평가했다.[91]

3. 2. 주요 작품

시모니데스는 페르시아 전쟁에서 그리스 국가들이 승리한 후, 군사적 주제에 대한 감각적이고 감동적인 시를 쓰는 능력으로 큰 명성을 얻었다. 그는 아테네인, 스파르타인, 코린토스인들을 위한 묘비명, 레오니다스와 그의 부하들을 위한 기념가, 파우사니아스를 위한 헌정 비문, 아르테미시움 해전, 살라미스 해전,[24] 플라타이아 전투에 관한 시들을 썼다.[26]

시모니데스의 작품 중 현존하는 것은 2~3개의 짧은 엘레게이아와 몇 개의 에피그램(경구), 그리고 약 90개의 서정시 및 합창시 단편들이다. 엘레게이아에 사용되는 방언은 서사시적인 색채를 띤 이오니아 방언이다. 에피그램은 공적인 목적과 사적인 목적으로 나뉘는데, 공적인 에피그램은 강력함과 숭고함을 지니며, 애조적 표현의 리듬과 양식에 완벽하게 숙달되어 있다.

가장 유명한 에피그램은 마라톤 전투테르모필레 전투의 영웅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Ὦ ξεῖν’, ἀγγέλλειν Λακεδαιμονίοις ὅτι τῇδε|오 케인’, 앙겔레인 라케다이모니오이스 호티 테데el

κείμεθα, τοῖς κείνων ῥήμασι πειθόμενοι.|케이메타, 토이스 케이논 레마시 페이토메노이.el

: 나그네여, 스파르타인에게 전하라. 우리는 여기 누워, 그들의 말/명령/법에 순종한다고.

토마스 불핀치는 시모니데스가 엘레게이아 장르에서 "특히 뛰어났다"고 평가하며, 그의 천재성은 "진정으로 다가가 사람들의 동정을 불러일으킨다"고 썼다.[91]

사적인 목적의 에피그램은 더 따뜻한 색채와 인상을 지니고 있다. 아테네의 참주 히피아스의 딸 아르케디케를 위해 쓰여진 에피그램은 "아버지, 남편, 형제, 자식들, 모두 왕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만의 마음이 솟아오르는 일은 없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정시의 단편들은 내용과 길이가 다양하다. 아르테미시온 해전을 노래한 시, 테르모필레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칭송한 시, 조각가 스코파스의 영예를 찬양한 합창시 등이 있다. 그 외에도 경기의 승리자에게 바치는 송가, 히포르케마타(무곡), 다쥬(장송가), 신들에 대한 찬가 등이 있다.

시모니데스는 플라타이아 전투의 전개 과정을 묘사하고 파우사니아스아킬레우스에 비유한 비가를 작곡하기도 했다.[77]

4. 기억술의 창시자

시모니데스는 스코파스라는 귀족의 연회에 참석했다가 큰 사고를 겪었다. 연회장 천장이 무너져 많은 사람이 죽고 다쳤는데, 시모니데스는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86] 시신들이 심하게 훼손되어 누가 누구인지 알아보기 힘들 정도였지만, 시모니데스는 연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의 자리(라틴어로 'loci')를 기억해 내어 각 사람이 누구였는지 알아낼 수 있었다.[38]

이 경험을 바탕으로 시모니데스는 기억해야 할 것을 특정한 장소와 연결시켜 기억하는 방법인 '기억 궁전'(memory palace) 또는 '기억 극장'(memory theatre)이라고도 불리는 장소법을 개발했다.[38] 이 방법은 르네상스 시대까지 널리 사용되었다.[87]

키케로의 책 『웅변가에 관하여』에는 이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자세히 나온다. 스코파스는 전차 경주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연회를 열었는데, 시모니데스가 축하 오드를 불렀다. 그런데 스코파스는 시모니데스가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라는 쌍둥이 신을 너무 많이 칭찬했다며 약속한 보수를 다 주지 않았다. 대신 쌍둥이 신에게 나머지를 받으라고 말했다. 얼마 후, 시모니데스는 두 젊은이가 찾는다는 말을 듣고 연회장 밖으로 나갔는데, 그 순간 천장이 무너져 스코파스와 손님들이 깔려 죽고 말았다. 시모니데스는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가 자신을 불러내 목숨을 구해준 것이라 생각했다.[86]

5. 평가 및 영향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시모니데스를 그리스 7현인 중 한 명으로 칭송했고, 프로타고라스에서는 호메로스헤시오도스와 함께 소피스트의 선구자로 평가했다.[52] 미카엘 프셀로스는 "말은 사물의 이미지이다"라는 말을 시모니데스의 것이라 했고,[53] 플루타르코스는 "말한 후에는 후회할 때가 많았지만, 침묵한 후에는 그렇지 않았다"는 그의 말을 칭찬하며, "시모니데스는 그림을 침묵하는 시라고 부르고, 시는 말하는 그림이라고 부른다"[55]라고 기록했다. 이 말은 훗날 호라티우스에 의해 "시는 그림과 같다"라는 유명한 표현으로 재해석되었다.[93]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클레오불로스의 묘비명에 대해 시모니데스가 "돌은 필멸자의 손으로도 부서진다. 그것은 어리석은 자의 판단이었다."라고 평했다고 전한다.[56] 플루타르코스는 시모니데스의 말을 인용하여 "천 년 또는 만 년은 결정할 수 없는 점, 혹은 점의 가장 작은 부분이다."라고 언급하며 그의 합리적인 세계관을 보여주었다.[57]

키케로는 시모니데스가 신에 대한 정의를 묻는 히에론 1세에게 "생각하면 할수록, 그 문제는 더욱 모호해 보인다"며 대답을 미뤘다는 일화를 전했다.[58] 스토바에우스는 시모니데스가 자신을 비방하는 사람에게 "제발 당신의 귀로 나를 비방하는 것을 멈춰주세요!"라고 답했다고 기록했다.[59]

시모니데스는 평범한 선을 기리고 인간의 삶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관대한 관점을 가졌다.[83] 그는 "진실로 훌륭한 사람이 되기란...확실히 어렵습니다; 오직 신만이 그 상을 가질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84][85] 그는 이 높고 험준한 언덕 위에 있다고 말하며, 쾌락주의와는 거리가 먼, "자기 제어"의 도덕을 강조했다.

시모니데스는 기억술의 방법 중 하나인 "장소법"을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다.[88] 키케로는 시모니데스가 테살리아의 귀족 스코파스와의 연회에서 천장 붕괴 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의 신원을, 그들이 앉았던 자리(loci)를 기억해 내어 확인했다는 일화를 소개하며, 이를 통해 시모니데스가 "기억의 극장" 또는 "기억 궁전"을 발전시켰다고 설명했다.[86][87]

시모니데스는 페르시아 전쟁을 노래한 시를 통해 민족주의적 애국심을 고취시켰고, 테미스토클레스, 파우사니아스와 같은 장군들과도 친분을 맺었다. 그는 자신의 시에 높은 가격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리스토파네스는 그를 탐욕스럽다고 비판하기도 했다.[89][90]

시모니데스의 시는 엘레게이아, 에피그램, 서정시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특히 마라톤 전투테르모필레 전투의 영웅들을 기리는 에피그램은 간결하면서도 숭고한 표현으로 유명하다. 토마스 불핀치는 시모니데스가 엘레게이아 장르에서 "특히 뛰어났다"고 평가하며, 그의 시가 사람들의 동정심을 불러일으켰다고 적었다.[91]

참조

[1] 서적 Simonides: A Historical Study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 서적 Laocoon; Or The Limits of Poetry and Painting https://books.google[...] J. Ridgway & Sons
[3]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4] 서적 Choral lyric in the fifth century
[5] 서적 Inst. 10.1.64 Loeb Classical Library
[6] 서적 Book VII, 228
[7] 서적 fr. 64. 1-14 Loeb Classical Library
[8] 서적 Suda, Simonides (1st notice) Loeb Classical Library
[9] 서적 Choral lyric in the fifth century
[10] 서적 Loeb Classical Library
[11] 서적 Simonides: A Historical Study Balchazy-Caducci Publishers
[12] 서적 Suda, Simonides (4th notice) Loeb Classical Library
[13] 웹사이트 Histories 7.228 https://www.perseus.[...]
[14] 서적 Athenaeus 10.456c-57b
[15] 서적 Bacchylides: the poems and fragmen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Wasps Loeb Classical Library
[17] 서적 16.42-47 Loeb Classical Library
[18] 서적 aud. poet. 15c Loeb Classical Library
[19] 서적 de orat. 2.86.351-3 Loeb Classical Library
[20] 서적 Inst. 11.2.11-16 Loeb Classical Library
[21] 서적 Simonides: A Historical Study Bolchazy-Caducci Publishers
[22] 서적 Simonides: A Historical Study Bolchazy-Caducci Publishers
[23] 서적 Vit. Aesch. Loeb Classical Library
[24]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25] 서적 Simonides: A Historical Study Bolchazy-Caducci Publishers
[26] 서적 The New Simonides: contexts of praise and desir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m. 5.6-7 Loeb Classical Library
[28] 서적 Greek Lyric IV Loeb Classical Library
[29] 서적 Ol. 2.29d Loeb Classical Library
[30] 서적 The Odes of Pindar John Dent and Sons
[31] 서적 Bacchylides: the poems and frag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Pindar's Paeans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Greek Lyric IV: Bacchylides, Corinna and Others Loeb Classical Library
[34] 서적 fr.64.1-14 Loeb Classical Library
[35] 서적 Greek Lyric III
[36] 문서 A.P. 7.7 and 7.516
[37] 서적 Greek Lyric III
[38] 서적 The Art of Mem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40]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41]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42] 서적 Aristophanes: The Birds and Other Plays Penguin Books
[43] 서적 Greek Lyric III
[44] 문서 Isthmian 2, antistrophe 1
[45]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46]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47]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48]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49]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0]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51] 서적 Pindar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3]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4]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5]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6]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7]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8] 서적 De Natura Deorum (On the Nature of the Gods) https://en.wikipedia[...] Academica
[59]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60]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61] 서적 The New Simonides: Contexts of praise and desire Oxford University Press - USA
[62] 웹사이트 Bryn Mawr Classical Review http://bmcr.brynmawr[...]
[63] 서적 Bacchylides: The poems and fragmen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65] 서적 Bacchylides: The poems and fragmen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67]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68]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69] 서적 Bacchylides: the poems and frag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서적 Simonides: A Historical Study Bolchazy-Carducci Publishers
[71] 서적 Bacchylides: the poems and frag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73]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74] 서적 Simonides: A Historical Study Bolchazy-Carducci Publishers
[75]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76]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77] 서적 The New Simonides: Contexts of Praise and Desire OUP-USA
[78]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79] 서적 Bacchylides: The poems and frag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0]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8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Greek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83] 서적 Greek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4] 학술지 Nobody's Perfect: A new text and interpretation of Simonides PMG 542
[85] 시 Simonides PMG 542
[86] 웹사이트 http://www.bartleby.[...]
[87] 서적 The Art of Mem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8] 서적 弁論家の教育
[89] 서적 弁論術
[90] 웹사이트 Simonides Of Ceos http://www.1911encyc[...]
[91] 웹사이트 http://www.bartleby.[...]
[92] 서적 프로타고라스
[93] 서적 詩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