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의 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의 지리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약 7,641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육지 면적은 300,000km²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섬나라이다. 루손섬과 민다나오섬이 전체 육지 면적의 95%를 차지하며, 해안선 길이는 36,289km에 달한다. 지형은 루손, 비사야, 민다나오의 세 지역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산맥, 평야, 강, 호수를 포함한다. 필리핀은 지질학적으로 필리핀 이동대에 속하며, 잦은 지진과 화산 활동이 특징이다. 기후는 열대 해양성으로, 건기, 우기, 서늘한 건조 계절로 나뉘며,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필리핀은 81개의 주와 38개의 독립시로 구성된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뉘며, 17개의 지역으로 행정 구역이 구분된다.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지만, 삼림 벌채, 오염, 기후 변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지리 - 필리핀의 기후
    필리핀의 기후는 몬순, 태풍, 기온, 습도, 계절, 기후 변화 등의 영향을 받으며, 강수량 분포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고, 우기와 건기로 구분되며,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에 취약하다.
  • 필리핀의 지리 - 비콜반도
    비콜 반도는 루손 섬 남동부에 위치하며 여러 해역에 둘러싸여 있고 활화산이 존재하며 다에트, 나가, 레가스피 등이 주요 도시인 반도이다.
필리핀의 지리
지도 정보
일반 정보
필리핀 지도
필리핀
대륙아시아
지역동남아시아
좌표북위 13° 00', 동경 122° 00'
면적 순위72위
면적300,000 km²
육지 비율99.38%
해안선 길이36,289 km
배타적 경제 수역2,263,816 km²
지리적 중심알려진 바 없음
최고점아포 산 (2,954m)
최저점엠덴 해구 (해수면 기준 10,540m)
가장 긴 강카가얀 강
가장 큰 호수라구나데바이 호
섬의 수7,641개
지리
면적300,000 km²
가경지105,000 km²
경작지95,000 km²
국경 길이 총합0 km
해안선 길이36,289 킬로미터
기타 정보
참고섬의 수는 1945년에 7,107개로 고정되었으나, 2017년에 필리핀 국립 지도 및 자원 정보청(NAMRIA)이 섬으로 간주될 수 있는 400~500개의 추가적인 지형지물을 확인한 후 7,641개로 업데이트되었다.

2. 지리

필리핀 군도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하며 약 7,641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이다.[7][8][66][67][68] 국토는 북위 4° 40'과 21° 10' 사이, 동경 116° 40'과 126° 34' 사이에 걸쳐 남북으로 약 1850km에 걸쳐 펼쳐져 있다.[18][71][82] 총 육지 면적은 약 300000km2로,[1][9][10][2][3][73]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섬나라이다.[12] 필리핀은 크게 루손, 비사야, 민다나오의 세 주요 지역으로 나뉜다.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해안선 길이가 36289km에 달하며, 이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길다.[13][14] 동쪽으로는 필리핀해,[16] 서쪽으로는 남중국해,[17] 남쪽으로는 셀레베스해와 접한다.[18] 북쪽으로는 대만, 남서쪽으로는 보르네오섬, 남쪽으로는 몰루카 제도 및 술라웨시, 동쪽으로는 팔라우와 가깝다.[20]

필리핀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어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77] 과거에는 국토 대부분이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었으나, 불법 벌목 등으로 인해 삼림 면적이 크게 감소했다.

2. 1. 지형

필리핀 군도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하며 약 7,641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7][8][66][67][68] 국토는 북위 4° 40'과 21° 10' 사이, 동경 116° 40'과 126° 34' 사이에 걸쳐 남북으로 약 1850km에 걸쳐 펼쳐져 있다.[18][71][82] 총 육지 면적은 약 300000km2로,[1][9][10][2][3][73]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섬나라이다.[12] 필리핀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77]

필리핀은 크게 루손, 비사야, 민다나오의 세 지역으로 나뉜다. 11개의 큰 섬이 전체 육지 면적의 95% 이상을 차지하며,[75][76] 가장 큰 두 섬은 루손섬(약 105000km2)과 민다나오섬(약 95000km2)이다. 이 섬들은 바다로 나뉘어 있어 해안선 길이가 36289km에 달하며, 이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길다.[13][14] 동쪽으로는 필리핀해, 서쪽으로는 남중국해, 남쪽으로는 셀레베스해와 접한다.[16][17][18]

국토의 약 60%는 산악 지형이며,[84] 평지는 주로 해안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82] 주요 산맥으로는 루손섬의 코르디예라 산맥, 시에라 마드레 산맥, 카라발로 산맥, 잠발레스 산맥과 민다나오섬의 디와타 산맥, 중부 민다나오 고지 등이 있다. 코르디예라 산맥과 시에라 마드레 산맥 등 고지대에는 열대 우림이 분포하며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가 된다. 필리핀 최고봉은 민다나오섬에 있는 아포 산으로 해발 2954m이다.[81] 마욘산, 탈 화산 등 약 220개의 화산이 있으며, 이 중 24개가 활화산으로 분류된다.[77][83] 민다나오 동쪽 해안에는 최대 깊이 10430m의 필리핀 해구가 있다.

주요 평야로는 루손섬의 중부 루손 평야와 카가얀 계곡, 민다나오섬의 다바오-아구산 분지와 코타바토 분지가 있다. 필리핀에서 가장 긴 강은 루손섬 북부를 흐르는 카가얀 강(약 520km)이며,[21] 가장 큰 호수는 라구나 데 바이이다.[23] 이 호수는 파시그 강을 통해 마닐라 만과 연결된다.[24] 민다나오섬에는 민다나오 강(리오 그란데 드 민다나오)과 아구산 강 등 큰 강이 흐른다. 팔라완섬의 푸에르토프린세사 지하강(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카르스트 지형 아래 8.2km를 흘러 바다로 나간다.[29]

필리핀의 간석지 면적은 2126km2에 달한다.[30] 과거에는 국토 대부분이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었으나, 불법 벌목으로 인해 삼림 면적이 크게 감소하여 현재는 전체 토지 면적의 10%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2. 1. 1. 루손

위성 사진으로 본 루손


바탄 제도와 바부얀 제도대만을 마주보고 있는 루손 해협에 위치한 필리핀 최북단 섬들이다. 바탄 제도에 있는 야미 섬은 필리핀의 최북단 지점이며, 바시 해협(약 80.47km)을 사이에 두고 대만과 분리되어 있다.

루손섬 서부 지역은 북쪽 일로코스 노르테주의 파구푸드 마이라이라 포인트에서 남쪽 바탕가스주 마리벨레스의 코치노스 포인트까지 뻗어 있다. 지형은 서쪽의 남중국해와 동쪽의 코르디예라 중앙 산맥 및 잠발레스 산맥에 접한 해안 평야에서 험준한 산악 지대까지 다양하다. 서부 루손은 해변, 서핑 명소 및 역사적인 도시로 유명하다.

칼링가의 파실 계곡, 코르딜례라 중앙 산맥의 일부


서쪽의 코르디예라 산맥과 동쪽의 시에라 마드레 산맥 사이에 자리 잡은 카가얀 계곡은 필리핀에서 가장 긴 강인 카가얀 강이 북쪽 방향으로 흘러 루손 해협의 아파리에서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유역이다.

코르디예라 산맥과 카라발로 산맥은 시에라 마드레 산맥과 함께 루손 북부의 주요 산맥 시스템을 형성한다. 코르디예라 산맥은 루손 중서부에 위치하며, 때때로 세 개의 산맥으로 나뉜다. 첫 번째 산맥인 카라발로 델 수르(Caraballo del Sur)는 이 시스템의 중심부를 이루며, 아브라주, 일로코스 노르테주, 카가얀주 경계에 가장 높은 봉우리가 있다. 카라발로 오시덴탈레스(Caraballo Occidentalles)는 코르디예라 노르테(Cordillera Norte)와 코르디예라 센트랄(Cordillera Central) 두 개의 산맥으로 더 나뉜다.[48] 이 산맥들은 코르디예라 행정구의 중앙 부분을 따라 뻗어 있다. 카라발로 산맥(Caraballo de Baler)은 시에라 마드레 산맥과 코르디예라 산맥이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되며, 카가얀 계곡 남쪽, 중부 루손 평야 동북쪽에 위치한다.

루손섬 동부에 위치한 시에라 마드레 산맥은 필리핀에서 가장 긴 산맥으로, 남쪽의 케손 주에서 북쪽의 카가얀까지 뻗어 있다. 산맥의 80%는 열대 우림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무분별한 불법 벌목으로 인해 그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이 산맥은 루손섬의 동쪽 방벽 역할을 하며 태평양에서 오는 태풍으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한다.

필리핀에서 가장 큰 평원은 중부 루손 지역에 위치하며, 국가 쌀 공급량의 대부분을 생산하여 "필리핀의 쌀 그릇(Rice Bowl of the Philippines)"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평원은 불라칸주, 누에바에시하주, 팜팡가주, 타를락주, 팡가시난주를 포함한다.

중부 루손 평야의 남쪽에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내륙 담수호인 라구나 데 바이가 있다. 호수의 서쪽에는 마닐라 만까지 뻗어나가는 평야가 있으며, 큰 강들이 이 평야를 가로지른다. 마닐라리살주가 위치한 이 지역 북부 평야의 대부분은 도시와 마을로 변모하여 산업화되었다. 호수 동쪽에는 시에라 마드레 산맥의 남쪽 끝이 케손주 북부에 자리 잡고 있다. 라구나 데 바이의 남서쪽에는 국가에서 세 번째로 큰 호수인 탈 호수가 있으며, 북쪽은 남쪽 카비테주에서 북쪽 바탕가스주까지 뻗어 있는 타가이타이 산맥에 접해 있다.

본독 반도는 케손주의 남동부에 위치해 있다. 라구나 데 바이 남동쪽에는 타야바스 지협을 통해 루손 본토와 연결된 비콜 반도가 있다. 주로 평평한 지형에는 이리가 산, 마욘 화산, 불루산 산 등 활화산인 고립된 봉우리들이 여러 개 솟아 있다. 이 반도는 불규칙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북쪽에는 라몬 만, 산 미구엘 만, 라고노이 만, 알바이 만 등이 있고, 남쪽에는 타야바스 만, 라가이 만, 소르소곤 만 등이 있다.

2. 1. 2. 민다나오

필리핀 제도 아틀라스(1900)에 나온 민다나오의 옛 지도


민다나오 동부 해안에는 동부 태평양 코르디예라라는 긴 산맥이 있으며, 북쪽 수리가오의 빌라르 곶(Bilar Point)에서 남쪽 다바오의 산 아구스틴 곶(Cape San Agustin)까지 뻗어 있다. 산맥의 북쪽 부분은 디와타 산맥(Diwata Mountains 또는 ''Diuata'')을 이루며, 중간에 있는 낮은 고개에 의해 남쪽과 분리된다. 산맥의 동쪽에는 좁은 저지대가 여러 개의 만과 해안을 이루고 있으며, 그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리앙가 만(Lianga Bay)과 비스리그 만(Bislig Bay)이다.[49][50]

태평양 코르디예라의 서쪽에는 광대한 저지대인 다바오-아구산 분지가 있다. 이 분지의 북쪽에는 아구산 계곡이 있는데, 이곳은 아구산 강의 하류 유역을 형성한다. 아구산 강은 북쪽으로 흘러 부투안 만으로 유입된다. 저지대 남쪽 지역에는 타굼 강(Tagum River)을 포함한 여러 다른 강들이 있는데, 타굼 강은 남쪽으로 흘러 다바오 만으로 유입된다.[49][50]

다바오-아구산 해구의 서쪽에는 중부 민다나오 고지(Central Mindanao Highlands, 중앙 코르디예라라고도 함)라는 복잡한 산맥이 있다. 이 산맥에서는 리오 그란데 드 민다나오 강(Rio Grande de Mindanao), 풀랑이 강(Pulangi River), 마리다가오 강(Maridagao River), 타골로안 강(Tagoloan River) 등 여러 강의 발원지가 형성된다.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산인 아포 산(Mount Apo)을 포함한 여러 높은 산들이 이 산맥에 있다.[49]

2954


민다나오섬 중북부는 키탕글라드 산맥(Kitanglad Mountain Range)과 칼라퉁간 산맥(Kalatungan Mountain Range)을 포함하는 광활한 고원 지대인 부키드논-라나오 고원(Bukidnon-Lanao Plateau)이 차지하고 있다. 이 고원에는 해발 700m에 위치한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라나오 호(Lake Lanao)가 있으며, 이 호수는 아구스 강(Agus River)을 통해 북쪽으로 흘러 일리간 만(Iligan Bay)으로 유입된다.[49]

부키드논-라나오 고원의 남쪽에는 대규모 함몰지인 코타바토 분지가 있다. 이 분지는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강인 민다나오 강의 하류 유역을 형성한다. 세 개의 산맥으로 둘러싸인 이 분지는 북서쪽의 일라나 만에서 바다로 열려 있으며, 민다나오 강이 바다로 유입된다.[49][50] 주 분지의 남동쪽에는 코로나달 계곡(Koronadal Valley)과 알라 계곡(Allah Valley)이라는 두 개의 큰 계곡이 있다.[49]

코타바토 분지의 남쪽과 서쪽에는 코타바토 분지를 남쪽 해안선으로부터 차단하는, 티루라이 고지(Tiruray Highlands)라는 중간 높이의 산맥이 있다.[50] 고지의 남쪽에는 좁은 해안선이 있다.[49]

민다나오섬 북서쪽 끝에는 일반적으로 산악 지형인 잠보앙가 반도가 있다. 이 지역의 산맥은 ''잠보앙가 산맥''이라고 불리며, 가장 높은 봉우리는 2617m 높이의 다피산(Mount Dapi)이다. 남쪽 해안선은 불규칙하며, 남쪽으로 모로 만까지 이어지는 두 개의 작은 반도인 시부게이 반도와 바가니안 반도가 특징이다.[49]

2. 1. 3. 비사야

비사야 제도의 섬들: 서비사야(빨강), 네그로스섬(초록), 중비사야(하늘색), 그리고 동비사야(분홍).


필리핀 중앙에 위치한 군도로, 파나이섬, 네그로스섬, 세부섬, 보홀섬, 레이테섬, 사마르섬(''Samar''), 시키호르섬, 빌리란섬, 기마라스섬 등으로 구성된다.

  • 파나이섬: 민다나오루손에 이어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다. 근처의 다른 섬으로는 남쪽의 기마라스, 남동쪽의 네그로스, 북쪽의 반타얀 섬과 롬블론 제도, 그리고 북동쪽의 보라카이가 있다.
  • 네그로스섬: 필리핀의 활화산 중 하나인 칸라온 화산이 있다.
  • 세부섬: 길고 좁은 섬이며 세계에서 126번째로 큰 섬이다.

2. 2. 지질

필리핀의 주요 화산


1900년부터 2016년까지 필리핀 주변에서 발생한 M5.5 이상 지진의 진앙 분포도


필리핀 제도는 지질학적으로 필리핀해판, 유라시아판의 남중국해 분지, 순다판 사이에 위치한 필리핀 이동대의 일부이다. 필리핀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지진이 잦다.[77] 팔라완섬 등 남서부의 안정적인 지역을 제외한 국가 대부분은 지각 변동이 활발한 필리핀 이동대에 해당한다.[78]

동쪽에서는 필리핀해판섭입하고 있으며, 동루손 해구와 필리핀 해구로 나뉘어 섭입대가 발달해 있다. 필리핀 해구(민다나오 해구라고도 함)는 필리핀 이동대의 동쪽에 위치한 길이 약 1320km의 해저 해구로, 지각판 충돌의 결과이다. 필리핀해판은 연간 약 16cm의 속도로 필리핀 이동대 아래로 섭입하고 있다. 민다나오 동쪽 해안에는 10430m 깊이까지 내려가는 필리핀 해구가 있으며, 해구 내 갈라테아 해연은 필리핀에서 가장 깊은 지점이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깊다. 해구는 필리핀해에 위치한다.[31] 서쪽에서는 유라시아판이 섭입하고 있으며, 마닐라 해구, 네그로스 해구, 코타바토 해구로 나뉘어 섭입대가 발달해 있다.

주요 활성단층으로는 루손섬에서 민다나오섬까지 약 1200km에 걸쳐 이어지는 필리핀 단층(Philippines Fault Zone)이 있다. 필리핀 단층계는 여러 지진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일 약 20회의 지진이 기록되지만 대부분 감지되지 않을 정도로 약하다. 1976년 민다나오 지진이나 바기오 대지진(1990년)과 같이 큰 피해와 쓰나미를 동반하는 지진도 자주 발생한다.[80] 1973년부터 2011년 11월 말까지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195회 발생했으며, 이 중 30회는 규모 7급이었다. 마지막 대규모 지진은 1990년 루손 지진이었다.[37] 이 외에도 마리키나 계곡 단층대 등의 활성단층 존재가 지적되고 있다.

태평양 불의 고리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필리핀은 빈번한 화산 활동을 경험한다.[35] 필리핀은 활화산으로 특징지어지는 서태평양 호상열도의 일부이다. 많은 활화산이 있으며, 그중 마욘 화산, 피나투보 산, 탈 화산 등이 유명하다.[38] 가장 주목할 만한 봉우리로는 레가스피 시티 근처의 마욘산, 마닐라 남쪽의 탈 화산, 민다나오의 아포산이 있다. 피나투보 산은 1991년 6월 15일 파괴적인 화산폭발지수(VEI) 6단계 규모의 분화로 악명이 높으며, 이는 20세기 두 번째로 큰 육상 분화였다.[39] 탈 화산은 10년 화산 중 하나이며, 2020년 1월 12일 화산폭발지수 3.7단계 규모의 분화를 일으켰다. 마욘 화산은 거의 완벽한 원뿔 모양으로 유명하지만, 1616년 이후 47회의 분화를 일으킨 격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897년 6월 23일에는 화산폭발지수 4단계 규모의 분화로 7일 동안 화산재를 쏟아냈다. 필리핀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지열 에너지 생산국이며, 국가 전력 수요의 18%를 지열 발전으로 충당한다.[40] 필리핀해 동쪽의 벤햄 해저대는 지각 섭입이 활발한 해저 지역이다.[36]

섬들은 화산암, 산호, 주요 암석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질학적으로는 팔라완 지역, 서부 지역, 중앙부 지역, 동부 지역으로 4분류된다.[78] 고생대 지층이나 암석은 팔라완섬과 그 주변 지역에서만 확인되었고, 트라이아스계와 쥐라계 역시 제한적으로 발견된다. 널리 분포하는 것은 백악계 이후의 지층이다.[79] 대부분은 신생대 제3기 이후의 암석이나 퇴적물로 덮여 있다.[82] 가장 높은 산은 아포산으로, 해발 2954m에 달하며 민다나오섬에 위치한다.[33]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 또한 민다나오섬에 있는 두랑두랑산으로, 해발 2941m이다.[34]

복잡한 지질 구조와 높은 지진 활동으로 인해 상당한 광상이 존재한다.[41][42] 이 광상들은 매우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43] 필리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구리 매장량도 가지고 있다.[44] 남아메리카에서 처음 발견된 팔라듐 또한 필리핀에 세계 최대 매장량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5] 롬블론 섬은 고품질 대리석의 원산지이다.[46] 다른 광물로는 크로마이트, 니켈, 아연 등이 있다. 그러나 법 집행 미비, 관리 부실, 원주민 공동체의 반대, 과거의 환경 피해 및 재해 사례 등으로 인해 이러한 풍부한 광물 자원은 대부분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44][47]

2. 3. 수문

필리핀에서 가장 긴 강은 루손 북부를 흐르는 카가얀 강으로, 길이는 약 520km에 달한다.[21] 이 외에도 민다나오 강(리오 그란데 드 민다나오)으로 흘러드는 풀랑이 강, 민다나오의 아구산 강, 중앙 루손에서 마닐라 만으로 흘러드는 팜팡가 강 등 여러 강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수력 발전에 이용되고 있다. 수도 마닐라가 위치한 마닐라 만[22]은 파시그 강을 통해 필리핀 최대의 호수인 라구나 드 바이[23]와 연결된다.[24] 수빅 만[25], 다바오 만[26], 모로 만[27] 역시 주요 만이다. 산후아니코 해협은 사마르 섬과 레이테 섬을 나누며, 두 섬은 산후아니코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28]

필리핀에는 100개가 넘는 호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큰 호수는 라구나 드 바이(면적 91596.8ha)[85]이고, 가장 깊은 호수는 탈 호(깊이 200m)이다.[86]

독특한 수문 지형으로는 푸에르토프린세사 지하강이 있다. 이 강은 바다에 이르기 전 카르스트 지형 아래를 약 8.2km 동안 흐르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29]

국가수자원위원회(현 국가수자원평의회)는 1976년에 유역 면적이 40km2를 넘는 421개의 하천을 주요 하천 유역으로, 그중 카가얀 강, 민다나오 강 등을 포함하여 유역 면적이 1400km2를 넘는 18개 하천을 대하천 유역으로 지정했다. 대하천 유역의 총 면적은 108498km2이다. 필리핀의 하천은 남북으로 길고 중앙에 화산이 있는 섬 지형의 영향으로 길이가 30km에서 50km 정도로 짧고 경사가 급한 경우가 많다.[84] 또한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지역에서는 강물의 양(하황계수) 변동이 커서 안정적인 물 이용이 어려울 때도 있다.[84]

2018년 전 세계 원격 탐사 분석에 따르면, 필리핀의 간석지 면적은 약 2126km2로, 세계에서 15번째로 넓다.[30]

2. 4. 기후

필리핀의 쾨펜 기후 구분 지도




필리핀은 일반적으로 덥고 습한 열대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계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3월부터 5월까지는 건조하고 더운 계절인 'tag-init' 또는 'tag-araw'(여름), 6월부터 11월까지는 우기인 'tag-ulan', 그리고 12월부터 2월까지는 서늘한 건조 계절인 'tag-lamig'이다. 계절풍의 영향도 뚜렷한데, 5월부터 10월까지 부는 남서 몬순은 '하바가트'(Habagat)로 알려져 있으며 습한 공기를 몰고 온다. 반면 11월부터 4월까지 부는 북동 몬순의 건조한 바람은 '아미한'(Amihan)이라고 불린다.[91][92]

연평균 기온은 약 26.6°C이며, 월별 기온은 보통 21°C에서 32°C 사이에서 변동한다. 가장 서늘한 달은 1월이고, 가장 더운 달은 5월이다.[51] 고도가 기온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해발 1500m에 위치한 바기오의 연평균 기온은 18.3°C로, 더운 여름철 필리핀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피서지가 된다.[51] 연평균 해수면 온도는 27°C 이하로 거의 내려가지 않는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2030mm이지만 지역별 차이가 매우 크다. 국토 동쪽 산악 지대는 연간 강수량이 5000mm에 달하는 반면, 일부 보호된 계곡 지역은 1000mm 미만의 비가 내리기도 한다.[52][93] 강우량 패턴에 따라 필리핀 기후는 다음과 같이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93][94]

  • I형: 뚜렷한 우기(5월~10월)와 건기(11월~4월)로 나뉜다.
  • II형: 뚜렷한 건기가 없으며, 12월부터 2월 사이에 강수량이 가장 많다.
  • III형: 우기와 건기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12월~2월 또는 3월~5월에 비교적 건조한 짧은 기간이 있다.
  • IV형: 연중 강수량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한다.


필리핀 동해안 지역(태평양 연안)은 6월부터 9월까지 남서 계절풍, 10월부터 1월까지 북동 계절풍의 영향을 모두 받아 뚜렷한 건기가 없으며 서해안 지역보다 강수량이 많다.[94]

필리핀은 태풍대에 위치하여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7월부터 10월 사이에 매년 평균 15~20개의 태풍이 필리핀 책임 구역에 진입하며,[52][53] 이 중 8~9개가 상륙한다.[54][55] 역사적으로 태풍은 '바기오'(baguios)라고도 불렸다.[56] 1911년 7월에는 바기오에 2210mm의 기록적인 폭우를 쏟아낸 태풍이 있었다.[57] 이러한 태풍은 특히 루손 북부와 동부, 비콜 및 동비사야스 지역에 큰 피해를 주며, 수도 마닐라 역시 주기적으로 피해를 입는다. 1991년 피나투보 산의 분화는 중부 루손 지역에 광범위한 피해를 남겼으며, 라하르가 마을과 농지를 매몰시키기도 했다.

필리핀은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국가로, 기후변화 위험에 가장 취약한 세계 10개국 중 하나로 꼽힌다.[58][112] 1951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기온은 10년당 0.1°C의 속도로 상승했으며, 21세기 말까지 1°C에서 2°C 정도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111] 이로 인해 해수면 상승, 열대 저기압(태풍)의 강도 증가 등의 위험이 커지고 있으며,[113] 산림, 토양, 농업, 수자원에도 심각한 영향이 우려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저지대 침수 위험이 크며, 1m 상승 시 약 129114ha의 토지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필리핀 각 지역의 평년값 (통계 기간: 1991년~2020년)
평년값
(월 단위)
루손섬
아파리[95]라오아그[96]투게가라오[97]바기오[98]다구판[99]마닐라[100]레가스피[101]카바나투안[102]
평균 기온
(°C)
최고 기온월29.1(6월)29.2(5월)29.5(6월)20.3(4-5월)29.5(5월)30.3(5월)28.9(5월)29.9(5월)
최저 기온월24.5(1월)25.1(1월)23.7(1월)17.6(1월)26.0(1월)26.9(1월)26.0(1월)26.5(1월)
강수량
(mm)
최다 강수량월323.9(11월)601.3(8월)276.4(10월)929.9(8월)604.5(8월)555.9(8월)594.3(12월)356.0(8월)
최소 강수량월26.4(3월)2.3(2월)25.6(3월)25.8(1월)6.6(1월)16.1(4월)152.3(4월)16.6(2월)
평년값
(월 단위)
비사야 제도민다나오섬
막탄[103]타그빌라란[104]일로일로[105]타클로반[106]수리가오[107]Hinatuan|히나투안영어[108]헤네랄 산토스[109]삼보앙가[110]
평균 기온
(°C)
최고 기온월29.2(5월)28.8(5월)29.1(4-5월)28.9(5월)28.8(5,8월)28.3(5,8월)29.0(4월)28.8(5월)
최저 기온월26.7(1월)26.5(1월)26.4(1월)26.3(1월)26.2(1월)26.3(1-2월)26.2(1월)27.8(1월)
강수량
(mm)
최다 강수량월210.5(10월)177.3(12월)389.6(8월)445.5(12월)603.6(12월)846.0(1월)170.9(7월)206.0(10월)
최소 강수량월56.5(4월)77.0(4월)29.8(1월)113.5(4월)112.3(5월)192.1(9월)44.8(2월)56.0(2월)


3. 행정 구역

필리핀은 여러 단계의 지방 자치체(LGU)로 나뉘며, 최상위 행정 구역은 81개의 와 38개의 독립시이다. 주는 다시 구성시와 지방 자치체로 나뉘고, 이들은 모두 최소 행정 구역인 바랑가이로 구성된다.

행정 편의를 위해 필리핀은 17개의 지역으로 묶인다. 수도 마닐라가 포함된 마닐라 수도권(메트로 마닐라)은 국가 수도 지역(National Capital Region, NCR)으로 지정되어 있다. 대부분의 정부 기관은 소속 주들을 관할하기 위해 각 지역의 특정 도시에 지역 사무소를 설치하는데, 이 도시들을 "지역 중심지"라고 부른다. 방사모로를 제외하고는 지역 자체에는 별도의 지방 정부가 없다.

필리핀의 행정 구역

3. 1. 지역

필리핀은 17개의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권을 제외한 각 지역은 다시 여러 개의 주로 나뉜다. 수도권은 네 개의 특별구로 나뉜다.

대부분의 정부 기관은 소속 주들을 관할하기 위해 도시에 지역 사무소를 설치하며, 이러한 도시들은 "지역 중심지"로 지정된다. 방사모로를 제외하고는 지역 자체에는 별도의 지방 정부가 없다.

필리핀은 15개의 행정 구역과 마닐라 수도권, 방사모로 자치 지역을 포함하여 총 17개의 지방으로 나뉘며, 각 지방 아래에는 주, 시, 자치시, 그리고 바랑가이가 있다. 2020년 6월 말 기준으로 81개 주, 146개 시(이 중 33개 시는 고도로 도시화된 시), 1488개 자치시, 42,046개 바랑가이가 존재한다.

아래는 17개 지방의 면적과 인구(2020년 5월 1일 기준[114])를 나타낸 표이다.

지방별 면적·인구
지방면적(km²)인구
마닐라 수도권62013,484,462
일로코스 지방12,9655,301,139
카가얀 계곡 지방29,8373,685,744
중부 루손 지방21,90612,422,172
칼라바르손 지방16,57616,195,042
미마로파 지방29,6063,228,558
비콜 지방18,1146,082,165
코르딜례라 행정 지역19,8181,797,660
서비사야 지방20,7787,954,723
중부 비사야 지방15,8728,081,988
동비사야 지방23,2354,547,150
삼보앙가 반도 지방16,9043,875,576
북민다나오 지방20,4585,022,768
다바오 지방20,4335,243,536
소크사르헨 지방22,6104,901,486
카라가 지방21,1202,804,788
방사모로 자치 지역36,8274,404,288


3. 2. 주

수도권인 메트로 마닐라를 제외하고, 82개의 가 지역을 구성한다. 각 주는 주도를 가지고 있다.

필리핀의 82개 주 가운데 16개는 내륙 주이고 16개는 섬 주이다.

내륙 주
행정구역
아파야오코르딜례라루손
아브라코르딜례라루손
칼링가코르딜례라루손
마운틴코르딜례라루손
이푸가오코르딜례라루손
벵겟코르딜례라루손
누에바 비스카야카가얀 밸리(II)루손
키리노카가얀 밸리(II)루손
누에바 에시하중부 루손(III)루손
탈락중부 루손(III)루손
라구나칼라바르존(IV-A)루손
리살칼라바르존(IV-A)루손
부키드논북부 민다나오(X)민다나오
코타바토속스크사르겐(XII)민다나오
아구산 델 수르카라가(XIII)민다나오
마긴다나오 델 수르방사모로민다나오



섬 주
행정구역섬 그룹
바타네스카가얀 밸리(II)루손
마린두케미마로파루손
롬블론미마로파루손
팔라완미마로파루손
카탄두아네스비콜(V)루손
마스바테비콜(V)루손
기마라스서부 비사야스(VI)비사야스
세부중부 비사야스(VII)비사야스
보홀중부 비사야스(VII)비사야스
시키호르중부 비사야스(VII)비사야스
빌리란동부 비사야스(VIII)비사야스
카미긴북부 민다나오(X)민다나오
디나가트 제도카라가(XIII)민다나오
바실란방사모로(BARMM)민다나오
술루방사모로(BARMM)민다나오
타위타위방사모로(BARMM)민다나오



4. 생물 다양성

필리핀은 대륙에서 고립되어 복잡한 형성 과정을 거쳤고, 지형과 환경이 다양하여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고유종의 비율도 높다.

그러나 이러한 풍부한 생물 다양성은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특히 산림 자원의 감소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1934년 국토의 60%에 달했던 산림 면적은 불법 벌채와 농지 확장을 위한 무분별한 개발 등으로 인해 1970년에는 50%, 1990년에는 27%까지 급감했다. 2000년대 이후 산림 면적 감소세는 멈추거나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2002년부터 2020년 사이에도 15만ha에 달하는 습윤 원시림이 사라지는 등 질적인 감소는 계속되고 있다.

2020년 기준 필리핀의 산림 면적은 국토의 약 24%인 71800km2이다. 이 중 원시림은 8600km2, 2차림은 59400km2, 인공림은 3800km2를 차지한다. 필리핀의 산림은 맹그로브 숲, 이탄 습지림, 저지대 상록수림, 저산지 상록수림, 고산지 상록수림, 2차림·조림지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산림 지역을 포함한 임야 158000km2는 국가 소유이며, 비산림 지역에서는 산림 복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1. 동식물상

필리핀은 대륙에서 고립된 복잡한 형성 과정을 거친 섬으로, 지형과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고유종의 비율도 높다.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으며, 2010년 4월판 IUCN 적색 목록에는 동식물 100종이 준위협종, 117종이 위기종, 480종이 취약종으로 지정되어 있고, 필리핀 국내법에서도 수백 종이 보호되고 있다.

자연보호단체인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Conservation International)의 2007년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에 서식하는 주요 동물 종과 고유종 수는 다음과 같다.

2007년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 조사 기준 필리핀 서식 동물 종 수
분류총 종 수고유종 수
포유류167종102종
조류535종186종
파충류237종160종
양서류89종76종
담수어류281종67종



연안 및 주변 해역의 생태계도 다양하여, 2009년 국가 보고서에 따르면 산호 468종, 암초 관련 어류 1755종, 연체동물 648종, 해초 19종, 해조류 820종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안·해양 생태계는 훼손되고 있으며, 2005년 세계은행 보고서에서는 남획과 개발로 인해 98%의 산호초가 위기에 처해 있다고 추정했다.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2007)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9,253종의 식물이 서식하며, 그중 6,091종이 고유종이다. 필리핀에서 볼 수 있는 주요 수종으로는 딥테로카르푸스과(Dipterocarpaceae) 숲의 쇼레아속(Shorea), 파라쇼레아속(Parashorea), 호페아속(Hopea) 등이 있다. 소나무 숲에서는 Pinus kesiya와 Pinus merkusii가 우점종이며, 맹그로브 숲에서는 주로 7종의 붉은나무과(Rhizophoraceae) 식물과 Vitex parviflora(모라베 숲) 등이 있다.

5. 환경 문제

필리핀은 여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주요 문제로는 유역 지역의 무분별한 삼림 벌채, 토양 침식, 마닐라대기수질 오염, 어류의 중요한 산란장인 연안 맹그로브 습지의 오염 증가 등이 있다. 심각한 수질 오염으로 인해 국가의 주요 강 중 하나가 생태 기능을 상실했으나, 현재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59]

산림 파괴는 오랜 기간 지속된 문제이다. 1934년 60%에 달했던 산림 비율은 불법 벌채와 농지 확장을 위한 개발 등으로 1970년 50%, 1990년에는 27%까지 감소했다. 2000년대 이후 산림 면적 감소 추세는 다소 둔화되거나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2020년 기준 필리핀의 산림 면적은 국토의 약 24%인 71800km2에 불과하다. 이 중 원시림은 8600km2, 2차림은 59400km2, 인공림은 3800km2를 차지한다. 산림 유형은 맹그로브 숲, 이탄 습지림, 저지대 상록수림, 저산지 상록수림, 고산지 상록수림, 2차림·조림지 등으로 다양하다. 산림 지역을 포함한 임야 158000km2는 국가 소유이며, 비산림 지역에서는 산림 복원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2002년부터 2020년 사이에도 습윤 원시림 150000ha가 사라졌다는 보고가 있어, 여전히 산림 보호는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기후 변화는 필리핀의 환경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필리핀은 기후 변화에 매우 취약하며, 기후 변화 위험에 가장 취약한 세계 10개국 중 하나로 꼽힌다.[58] 2017년 평가에서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기후 변화에 취약한 국가로 나타났다.[112] 1951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기온은 10년당 0.1°C의 속도로 상승했으며, 21세기 말까지 1°C에서 2°C 정도 더 상승하고 평균 강수량은 더욱 불안정해질 것으로 예측된다.[111]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열대 저기압 (태풍)의 강화는 특히 심각한 위협이다.[113] 필리핀은 태풍대에 위치하여 매년 평균 19개의 태풍[53]이 필리핀 책임 구역에 진입하고 이 중 8~9개가 상륙한다.[54][55] 이러한 태풍은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며, 2013년 11월 하이옌 태풍은 특히 심각한 피해를 남겼다. 해수면 상승 역시 큰 문제로, 국토지리정보원은 해수면이 1m 상승할 경우 약 129114ha의 토지가 물에 잠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외에도 기후 변화는 산림, 토양, 농업, 수자원 등 국가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건축 시 이를 고려하고 있다. 시골 지역의 많은 주택은 손상되기 쉽지만 교체가 용이한 니파(nipa) 오두막으로 지어지며, 도시 건물은 대부분 태풍과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철골과 콘크리트로 설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여전히 상당하며, 매년 많은 사람들이 이재민이 되고 있다. 1987년 한 해에만 사회복지개발부가 240만 명의 자연재해 피해자를 지원했을 정도이다.

참조

[1] 서적 The Philippine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4-19
[2] 웹사이트 Philippine Population Density (Based on the 2015 Census of Population) https://psa.gov.ph/c[...] 2016-09-01
[3] 웹사이트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 DataBank http://databank.worl[...]
[4] 웹사이트 Philippines Mountain Ultra-Prominence http://www.peaklist.[...] peaklist.org 2009-06-19
[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Philippines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1-03-14
[6] 뉴스 More islands, more fun in PH https://web.archive.[...] CNN Philippines 2016-02-20
[7] 웹사이트 Namria discovers 400 to 500 new islands in PHL archipelago http://www.gmanetwor[...]
[8] 뉴스 More islands, more fun in PH https://web.archive.[...] CNN Philippines 2020-07-05
[9] 간행물 Land Use and Land Classification of the Philippines http://www.namria.go[...] 1991-12
[10]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17-12-16
[11] 웹사이트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Cadastral Survey Program of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DENR) https://www.dbm.gov.[...]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2021-01-17
[12] 웹사이트 Island Countries Of The World https://www.worldatl[...] WorldAtlas.com 2019-08-10
[13] 간행물 PHILIPPINE MUSIC http://aboutphilippi[...] Balikbayan family-union – AboutPhilippines 2015-06-20
[14] 웹사이트 Field Listing :: Coastline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11-07
[15] 웹사이트 Exclusive Economic Zones http://www.seaaround[...]
[16] 웹사이트 Philippine Sea https://www.webcitat[...] 2009-10-31
[17] 웹사이트 U.S. report details rich resources in South China Sea. https://web.archive.[...] 2013-02-13
[18] 웹사이트 Celebes Sea http://www.eoearth.o[...]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19] 웹사이트 An Awesome Island https://www.pbs.org/[...] PBS 2012-11-11
[20]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14-09-21
[21] 웹사이트 Climate-Responsive Integrated Master Plan for Cagayan River Basin; Volume I - Executive Summary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2020-07-30
[22] 서적 Manila Bay:Environment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Springer 2006
[23]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Laguna Lake Development Authority https://web.archive.[...] 2007-08-18
[24] 웹사이트 Pasig River Rehabilitation Program https://web.archive.[...] 2021-01-04
[25] 웹사이트 Subic Bay: From American Servicemen to Korean Businessmen http://geocurrents.i[...] GeoCurrents 2013-08-16
[26] 간행물 First Record of the dottyback Manonichthys alleni (Teleostei: Perciformes: Pseudochromidae) from the Philippines https://www.research[...] 2013
[27] 웹사이트 National Tuna Fishery Report - Philippines http://www.soest.haw[...] Marine Fisheries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5-05-04
[28] 뉴스 San Juanico Bridge, a symbol of love https://pia.gov.ph/n[...]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2020-07-27
[29] 웹사이트 Puerto-Princesa Subterranean River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0-07-18
[30] 간행물 The global distribution and trajectory of tidal flats https://www.nature.c[...] 2018-12-19
[31] 서적 The Galathea Deep Sea Expedition, 1950–1952, described by members of the expedition https://www.biodiver[...] Macmillan, New York 1956
[32]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2020-07-24
[33] 서적 Philippines: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20-07-27
[34] 웹사이트 The 10 highest mountains in the Philippines http://www.pinoymoun[...] Gideon Lasco 2023-09-17
[35] 서적 Ecological Liberation Theology https://link.springe[...] Springer, Cham 2020-08-17
[36] 웹사이트 Submissions, throug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to the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pursuant to article 76, paragraph 8,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of 10 December 1982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 2009-05-28
[37] 웹사이트 The 1990 Baguio City Earthquake http://www.cityofpin[...] 2003
[38] 웹사이트 Volcanoes of the Philippines https://www.phivolcs[...]
[39] 웹사이트 The Cataclysmic 1991 Eruption of Mount Pinatubo, Philippines (U.S. Geological Survey Fact Sheet 113-97) http://pubs.usgs.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2005-02-28
[40] 뉴스 Pricey oil makes geothermal projects more attractive for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https://www.nytimes.[...] 2008-06-29
[41] 학술지 Ore Deposits of the Philippines Their Geology 1969
[42] 학술지 Mineral Distribution and Geological Features of the Philippines 1974
[43] 뉴스 Philippines sits on $840B of mine—US Inquirer Business https://business.inq[...] 2012-03-01
[44] 뉴스 Miners shun mineral wealth of the Philippines https://www.nytimes.[...] 2008-05-14
[45] 뉴스 Firm sees metal costlier than gold in Romblon sea https://newsinfo.inq[...] 2016-06-03
[46] 뉴스 Marvelous marble https://www.manilast[...] 2014-01-16
[47]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a nation rich in precious metals, encounters powerful opposition to mining https://news.mongaba[...] Mongabay 2017-06-08
[48] 서적 Geography in the Changing World Rex Book Store 1998
[49] 서적 The Philippine Island World: A Physical, Cultural, and Regional Geograph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8
[50] 서적 Human Helminthiases in the Philippines the Epidemiological and Geomedical Situ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85
[51] 웹사이트 Climate of the Philippines http://bagong.pagasa[...]
[52] 간행물 Country Profile: Philippines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 Federal Research Division 2006-03
[53] 서적 Economics of the Philippine Milkfish Resource System http://www.unu.edu/u[...]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54] 웹사이트 Member Report to the ESCAP/WMO Typhoon Committee, 41st Session http://www.typhoonco[...] 2009-01
[55] 웹사이트 Monthly Typhoon Tracking Charts http://agora.ex.nii.[...]
[56]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Disasters in the Philippines A Listing of Major Typhoons by Month Through 1979 https://pdf.usaid.go[...]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57] 서적 Manual on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9
[58] 간행물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SEAN International Affairs: Risk and Opportunity Multiplier https://www.research[...] Norweg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NUPI) and Myanmar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Strategic Studies (MISIS) 2017
[59] 웹사이트 Resuscitating the Pasig River http://www.adb.org/w[...] Asian Development Bank 2009-04
[60] 웹사이트 Regional Tourism Stakeholders to meet in Marinduque http://www.marinduqu[...]
[61] 웹사이트 STATE OF THE PROVINCE ADDRESS of Gov.JOSE ANTONIO N. CARRION, GOVERNOR OF MARINDUQUE http://www.marinduqu[...] 2008-07-07
[62] 웹사이트 Luzon Datum of 1911 http://www.marinduqu[...]
[63]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pain http://avalon.law.ya[...]
[64]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9522 http://www.lawphil.n[...]
[65] 웹사이트 Philippines : Geography https://www.cia.gov/[...]
[66] 웹사이트 Namria discovers 400 to 500 new islands in PHL archipelago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6-02-12
[67] 웹사이트 フィリピン共和国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3-01
[68] 웹사이트 Administrator Tiangco welcomes 2017 https://www.namria.g[...] The Central Mapping Agency of the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17-01-10
[69] 뉴스 フィリピン国防相:中国の台湾侵攻の脅威に注視 https://jp.rti.org.t[...] 2023-07-21
[70] 뉴스 What's behind the revived dispute between Philippines and Malaysia over Sabah? https://www.scmp.com[...] 2019-09-09
[71]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s://cadastraltem[...] 2023-08-30
[72] 웹사이트 The Philippines http://www.officialg[...]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2023-08-30
[73]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20 CPH) https://psa.gov.ph/c[...] 2023-08-30
[74] 웹사이트 Explore All Countries - Philippines https://www.cia.gov/[...] 2023-08-30
[75] 웹사이트 フィリピン(Philippines) https://www.mlit.go.[...] 2023-08-30
[76] 웹사이트 フィリピンの基礎知識 https://philippinetr[...] 2023-08-30
[77] 보고서 地球規模課題対応 国際科学技術協力(防災分野)フィリピン地震火山監視能力強化と防災情報の利活用推進プロジェクト 詳細計画策定調査報告書 https://libopac.jica[...] 2009-10
[78] 보고서 平成16年度資源開発環境調査 フィリピン共和国 https://mric.jogmec.[...] 2005-10-07
[79] 학술지 フィリピン群島の地質構造発達史 https://www.gsj.jp/d[...] 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 1989-01
[80] 보고서 地球規模課題対応 国際科学技術協力(防災分野)フィリピン地震火山監視能力強化と防災情報の利活用推進プロジェクト 詳細計画策定調査報告書 https://libopac.jica[...] 2009-10
[81] 웹사이트 アポ山 https://philippinetr[...] 2023-09-01
[82] 학술지 フィリピンにおける地下水水質について 日本水環境学会
[83] 웹사이트 Volcanoes of the Philippines https://www.phivolcs[...] 2023-08-31
[84] 학술지 フィリピンの水事情 日本治山治水協会
[85] 학술지 The Status of Philippine Lake Studies: Scholarly Deficit in Social Science and Small-Lake Research https://www.academia[...] De LaSalle University
[86] 학술지 Philippine Lakes: Status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www.nast.dos[...] National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Philippines
[87] 웹사이트 Know before you go: the Philippines https://www.national[...] 2023-09-17
[88] 웹사이트 フィリピンの基本情報1 https://philippinetr[...] 2023-09-17
[89] 뉴스 Namria 'discovers' 400 previously 'unknown' PHL islands using IfSAR https://businessmirr[...] 2016-02-10
[90] 뉴스 10 Things to Know About the Philippines https://www.usnews.c[...] 2019-06-20
[91] 뉴스 'Amihan' still prevails over Luzon, Western Visayas - PAGASA https://mb.com.ph/20[...] 2023-03-09
[92] 뉴스 'Summer' is here: Philippines' hot dry season begins https://www.rappler.[...] 2021-03-26
[93] 웹사이트 Climate of the Philippines https://bagong.pagas[...] 2023-09-02
[94] 학술지 フィリピン・ビコール地域の降水特性とその変化 専修大学出版局
[95]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アパリ https://www.data.jma[...] 2023-09-13
[96]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ラオアグ https://www.data.jma[...] 2023-09-13
[97]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トゥゲガラオ https://www.data.jma[...] 2023-09-13
[98]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バギオ https://www.data.jma[...] 2023-09-13
[99]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ダグパン https://www.data.jma[...] 2023-09-13
[100]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マニラ https://www.data.jma[...] 2023-09-13
[101]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レガスピ https://www.data.jma[...] 2023-09-13
[102]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カバナツアン https://www.data.jma[...] 2023-09-13
[103] 웹사이트 地点別データ・グラフ(MACTAN -フィリピン) https://www.data.jma[...] 2023-09-13
[104]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タグビララン https://www.data.jma[...] 2023-09-13
[105]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イロイロ https://www.data.jma[...] 2023-09-13
[106]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タクロバン https://www.data.jma[...] 2023-09-13
[107]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スリガオ https://www.data.jma[...] 2023-09-13
[108] 웹사이트 地点別データ・グラフ(HINATUAN -フィリピン) https://www.data.jma[...] 2023-09-13
[109]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ヘネラルサントス https://www.data.jma[...] 2023-09-13
[110]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サンボアンガ https://www.data.jma[...] 2023-09-13
[111] 간행물 Philippines Country Climate and Development Report http://hdl.handle.ne[...] World Bank Group 2022-11
[112]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mpacts https://niccdies.cli[...] 2023-09-17
[113] 웹사이트 COP26で気候変動対策への取り組み強化を発表(フィリピン) https://www.jetro.go[...] 2023-09-17
[114] 웹사이트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20 CPH) Population Counts Declared Official by the President https://www.psa.gov.[...] 2023-09-20
[115] 논문 フィリピン 一 人口ボーナスはしばらく続く(特集:人口センサスからみる東アジアの社会大変動)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 2015-07
[116] 뉴스 More islands, more fun in PH http://cnnphilippine[...] 2016-02-20
[117] 웹인용 Namria discovers 400 to 500 new islands in PHL archipelago http://www.gmanetwor[...]
[118] 웹사이트 Island Countries Of The World https://www.worldatl[...] WorldAtlas.com 2019-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