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블론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롬블론주는 필리핀의 주로서, 비사야 제도에 속하며, 롬블론섬, 타블라스섬, 시부얀섬 등 3개의 주요 섬과 여러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롬블론이라는 이름은 여러 설이 있으며, 스페인 연대기 작가의 기록, 스페인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이 지역은 네그리토족과 망얀족이 정착했으며, 1569년 스페인 군대가 도착하면서 식민지 시대를 겪었다. 이후 필리핀 혁명과 미국 식민 시대를 거쳐, 1946년 필리핀이 독립하면서 롬블론주는 독립 주가 되었다. 롬블론주는 17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롬블론어, 온한어, 아시어를 사용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 어업, 대리석 채석이며, 특히 대리석은 롬블론의 유명한 특산품이다. 관광 명소로는 해변, 다이빙 포인트, 산, 유적지 등이 있으며, 산토 니뇨 축제와 같은 다양한 축제도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마로파 지방 - 팔라완주
팔라완주는 필리핀의 팔라완 섬과 주변 섬들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닌 "마지막 생물 다양성 전선"이라 불리며, 역사적으로 여러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미마로파 지방에 속하고 푸에르토 프린세사를 주도로 두고 있으며 농업, 어업과 함께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 미마로파 지방 - 서민도로주
필리핀 민도로 섬 서쪽에 위치한 서민도로주는 맘부라오를 주도로 하며 아포 암초가 있고 농업이 중심 산업이며 타갈로그어와 망얀어를 사용하는 지역이다. -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롬블론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필리핀의 대리석 수도 |
국가 | 필리핀 |
소속 지역 | 미마로파 지방 |
설립일 | 1901년 3월 16일 |
첫 번째 카피스 합병 | 1907년 7월 2일 |
재설립 | 1918년 2월 22일 |
두 번째 카피스 합병 | 1942년 9월 30일 |
복원 | 1946년 10월 1일 |
중심지 | 롬블론 |
가장 큰 자치체 | 오디온간 |
행정 구역 | 지방 정부 |
주지사 | 호세 R. 리아뇨 (PFP) |
부주지사 | 아르만도 구티에레스 (PDP–Laban) |
하원 의원 | 엘레안드로 헤수스 F. 마드로나 (NP) |
입법부 | 롬블론 지방 의회 |
면적 | 1,533.45 km² |
면적 순위 | 81개 중 68위 |
최고 고도 | 2,058m |
최고 지점 | 구이팅구이팅 산 |
인구 | 308,985 명 (2020년) |
인구 순위 | 81개 중 66위 |
인구 밀도 | 200 명/km² |
인구 밀도 순위 | 81개 중 46위 |
행정 구역 | 도시: 0개 지방 자치체: 17개 바랑가이: 219개 선거구: 롬블론 선거구 |
시간대 | PHT |
UTC 오프셋 | +08:00 |
언어 | 롬블로마논어 오난어 아시어 힐리가이논어 타갈로그어 영어 |
추가 정보 | |
![]() | |
![]() | |
![]() | |
![]() | |
![]() | |
![]() |
2. 어원
전설에 따르면 "롬블론(Romblon)"이라는 이름은 롬블로마논 단어 ''Nagalumyom''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둥지에서 알을 품는 닭을 의미한다.[5] 이 단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Lomlom''으로 변했고, 이후 1582년 스페인의 연대기 작가 미겔 데 로아르카가 그의 저서 ''Relacion de las Islas Filipinas''에서 기록한 ''Donblon''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최종적으로 현재의 롬블론(Romblon)이 되었다고 한다.[6]
다른 한편으로, 지역 역사가인 롤랜드 마데자와 에블린 레예스는 "롬블론"이라는 이름이 롬블론 섬의 모양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마데자는 이 이름이 스페인어 단어 ronblonsp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tornillospa" 즉, 나사를 의미하는 다른 용어라고 설명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스페인인들이 롬블론 섬의 모양이 나사와 비슷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7] 반면 레예스는 롬블론이라는 이름이 두블론(doubloon)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두블론은 모로족 해적들이 미래의 신부에게 지참금으로 지불할 때 사용했던 스페인 동전을 가리키는데, 스페인인들이 이 동전의 모양을 따서 섬의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다.[8]
3. 역사
롬블론주의 역사는 네그리토족과 망얀족의 초기 정착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은 스페인 식민 통치 이전부터 섬에 거주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다. 특히 반톤 섬의 구양안 동굴에서 발견된 고대 유물들은 이 지역의 풍부했던 고대 문명을 증명한다.[10]
16세기 후반, 스페인 탐험대가 도착하면서 롬블론은 식민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6] 아우구스티누스 재수도회 선교사들이 가톨릭을 전파하고 정착촌을 건설했으며,[11] 반복되는 모로족의 습격에 대비하기 위해 산 안드레스 요새와 같은 방어 시설을 구축했다.[11][12] 행정적으로는 여러 차례 소속 변경을 거쳐 19세기 중반 독자적인 정치-군사 행정 단위인 ''Comandancia|코만단시아es''로 조직되었다.[14]
19세기 말 필리핀 혁명 시기에는 카티푸난 군대가 진주하여 스페인 세력을 몰아내고 해방을 맞이했다.[16][17] 그러나 곧이어 발발한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미국의 통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미국 식민 시대에는 민간 정부가 수립되고 주(州)로서의 지위가 설정되었으나, 재정 문제로 카피스 주의 하위 주로 편입되었다가 다시 독립적인 주로 복원되는 과정을 겪었다.[19][20] 1940년에는 행정 구역이 4개의 특별 지방 자치 단체로 재편되기도 했다.[2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게 점령되었으나, 롬블론은 필리핀 저항 운동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였다.[12][24] 이 시기 롬블론 인근 해역에서는 태평양 전쟁의 주요 해전 중 하나인 시부얀 해 해전이 벌어지기도 했다.[25] 1945년 미군에 의해 해방되었으며,[26] 이후 필리핀 독립과 함께 현재의 롬블론주로 이어져 오고 있다.
3. 1. 초기 역사
롬블론의 원주민은 식민지 시대 이전 파나이에서 온 네그리토족과 민도로에서 온 망얀족이었으며, 이들이 섬에 처음 정착했다.[9] 1936년 반톤 섬의 구양안 동굴 시스템에서 발견된 고대 나무 관은 1569년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 이 지역의 풍부한 고대 문명과 문화를 보여준다. 이 유물들은 현재 마닐라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0] 네그리토족과 망얀족 원주민의 후예들은 1870년대부터 힐리가이논족, 아클라논족, 비콜라노족, 타갈로그족 이주민들의 유입으로 인해 밀려나 현재 타블라스와 시부얀의 산악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9]
3. 2. 스페인 식민 시대
역사학자 엠마 헬렌 블레어와 제임스 알렉산더 로버트슨에 따르면, 스페인군은 1569년 정복자 마틴 데 고이티가 이끄는 탐험대가 롬블론에 처음 도착했다. 이는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롬블론과 민도로를 포함한 비사야 제도 서부 및 북부 지역 탐험의 일환이었다. 이후 이 섬들은 3개의 ''엔코미엔다''(스페인 식민지에서 원주민 노동력과 공물을 수취할 권리를 부여한 제도)로 조직되었으며, 행정적으로는 아레발로의 관할 아래에 놓였다. 1582년, 데 로아르카는 롬블론을 방문하여 섬의 첫 번째 인구 조사를 실시했다.[6]
1635년, 아우구스티누스 재수도회 선교사들이 롬블론에 도착하여 가톨릭 선교 활동을 시작하고 정착촌을 건설했다. 이들은 스페인 당국이 섬에 지배력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1868년까지 롬블론, 바다호스(현재의 산 아구스틴), 카히디오칸, 반톤, 루옥, 오디온간, 마갈라네스(현재의 마그디왕) 등 7곳에 선교 센터를 설립했다. 또한, 1646년 네덜란드의 공격으로 수도가 파괴된 이후 반복되는 모로족의 습격에 대비하기 위해, 반톤의 산 호세 요새와 롬블론의 산 안드레스 요새와 같은 견고한 요새, 교회, 망루 등을 건설했다.[11][12]
1716년 카피즈 주가 설립되면서 롬블론은 아레발로의 관할에서 분리되어 카피즈에 편입되었다. 1850년에는 총독 나르시소 클라베리아가 1849년 11월 21일 발표한 ''성씨 알파벳 목록'' 칙령에 따라, 주의 주민들은 스페인식 성씨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때 아시어 사용 원주민에게는 F, 롬블로마논어 사용 원주민에게는 M, 시부야논 방언을 사용하는 롬블로마논어 사용자에게는 R, 온한어 사용 원주민에게는 G로 시작하는 성씨가 할당되었다.[13]
1853년, 롬블론 섬들은 카피즈에서 분리되어 독자적인 정치-군사 행정 단위인 ''코만단시아''(Comandancia|코만단시아es, "부주"로 번역됨)로 조직되었다. 이 체제는 1898년 스페인 통치가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14] 코만단시아는 대령 계급의 육군 장교가 지휘했으며, 롬블론 시가 수도 역할을 했다. 당시 롬블론 코만단시아에 속했던 다른 자치체로는 아사그라, 바다호스(현 산 아구스틴), 반톤, 카히디오칸, 코르쿠에라, 루옥, 마갈라네스(현 마그디왕), 오디온간, 데스푸홀스(현 산 안드레스), 산타페 등이 있었다.[12]
3. 3. 필리핀 혁명
1898년, 필리핀 혁명이 진행되는 동안 카티푸난의 지도자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혁명 정부의 영향력을 비사야 지방으로 넓히기 위해 여러 장군들을 파견했다.[15] 이 중 카티푸난 소속 마리아노 리에고 데 디오스 장군과 그의 부대는 롬블론으로 진격하여 해방시켰다. 1898년 7월 25일, 리에고 데 디오스는 롬블론의 수도를 점령하고 스페인 관리들을 체포했다.[16] 나흘 뒤인 7월 29일, 스페인의 정치 군사 총독 돈 카를로스 멘도사는 롬블론 지구 정부의 항복 문서에 공식적으로 서명하였고, 이로써 300년 이상 지속된 스페인의 롬블론 통치가 막을 내렸다.[17]
스페인 통치 종식 후, 롬블론 타운 출신의 돈 웬세슬라오 몰로가 지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1898년 5월 31일부터 1899년 2월 28일까지 재임하며, 혁명 정부의 전쟁 비용으로 롬블론이 분담해야 할 금액인 총 22765.21PHP를 징수하는 책임을 맡았다. 또한 이 시기 롬블론 타운에서는 법무 장관과 바리오 관리를 선출하기 위한 지방 선거가 실시되기도 했다.[18] 그러나 몰로 지사의 임기는 몇 달 후 미국인들이 롬블론주에 도착하면서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는 짧은 과도기가 되었다.[18]
3. 4. 미국 식민 시대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이 지역에 평화와 질서가 회복되자, 미국은 1901년 3월 16일 이 섬들에 민간 정부를 수립했다. 롬블론 주는 같은 해 정규 주로 창설되었지만, 수입 부족으로 인해 1907년 7월 15일부터 카피스 주의 하위 주로 편입되었다.[19] 이후 1918년 2월 22일 법률 제2724호에 따라 다시 주로 재설립되었다.[20][21]
1940년 6월 8일, 대통령의 승인 없이 제정된 연방 법률 제581호에 따라, 주는 4개의 특별 지방 자치 단체로 재편되었다.[22][12][23] 재편된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3. 5. 일본 점령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군은 1942년 3월 21일 롬블론에 주둔지를 설치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지했다. 이 섬들은 일본 제국주의에 맞선 필리핀 저항 운동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저항 운동은 마카리오 페랄타 주니어 대령이 이끄는 제6군사지구 소속의 자유 파나이 게릴라 부대가 주도했다.[12][24]레이테 만 해전의 주요 전투 중 하나인 시부얀 해 해전은 1944년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롬블론 해역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는 싱가포르에서 출발한 일본의 구리타 제독 함대와 당시 필리핀 동쪽에 주둔한 미국 제3함대 소속 할시 제독의 항공모함 함대 사이에서 벌어졌다.[25]
1945년 3월 11일 밤, 미국 육군 제24보병사단 제19보병연대 C중대 소속 부대가 롬블론 사왕에 상륙했다. 3월 18일까지 이 주는 일본군으로부터 해방되었다.[26][27]
4. 지리
롬블론주는 필리핀 군도의 중앙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지리적으로는 비사야 제도에 속하며, 3개의 주요 섬(타블라스, 시부얀, 롬블론)과 17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롬블론주는 깊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쪽으로는 마스바테섬, 서쪽으로는 민도로섬, 북쪽으로는 마린두케섬, 남쪽으로는 파나이섬과 접한다. 마닐라에서는 남쪽으로 약 187nmi 또는 약 271.98km 정도 떨어져 있다. 이 섬들은 흩어져 있어, 알칸타라 시에 국내선 공항이 있는 타블라스 섬을 제외하고는 주로 해상 교통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12][31]
롬블론주의 총 면적은 약 1533.45km2로, 미마로파 지역 전체 면적의 약 5.3%를 차지한다. 지형은 대체로 산악 지형이며, 토지 면적의 약 40%가 50% 이상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전체 면적 중 4%만이 3~8%의 경사를, 10%만이 0~3%의 완만한 경사를 보인다. 일부 섬에서는 좁은 해안 저지대, 낮은 구릉, 평야 지형도 나타난다.[9][12][32]
주요 섬들의 지형은 다음과 같다.
- 롬블론섬은 해발 약 400m 높이의 언덕이 많은 지형이다.
- 타블라스섬은 다양한 지형을 보인다. 서쪽 해안은 평탄하거나 완만한 반면, 동쪽 해안은 거칠고 험하다. 남부의 산타페를 포함한 지역과 중서부 지역은 완만한 구릉 지형이며, 섬 중앙부는 매우 험준하다. 가장 높은 곳은 해발 약 500m이다.
- 시부얀섬은 빽빽한 숲으로 덮인 산악 지형이다. 섬 서쪽은 60% 이상의 경사를 가진 험준한 지역이 넓게 분포하며, 동쪽은 비교적 완만하거나 구릉지다. 섬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구이팅구이팅 산은 해발 약 2058m에 달한다.[9][12][32][33]
생산성이 높고 건설 가능한 주요 지역은 주로 타블라스 섬(오디옹안, 산안드레스, 루옥, 산타페)과 시부얀 섬에 분포한다. 개발 가능한 양질의 토지는 주 전체 면적의 약 13%를 차지한다.[9][12][32]
4. 1. 동식물
롬블론, 특히 시부얀 섬은 필리핀에서 자연 환경이 잘 보존된 지역 중 하나이다. 섬 면적의 75%가 끊임없는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으며, 필리핀에서 가장 깨끗한 내륙 수역으로 평가받는 칸티가스 강과 34개의 폭포가 있다.[34] 시부얀 섬은 수많은 고유종 동식물의 서식지이기 때문에 '아시아의 갈라파고스'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비교적 최근에 발견되었다. 확인된 고유종으로는 포유류 9종, 도마뱀 7종, 양서류 2종, 조류 3종, 그리고 112종의 관다발 식물이 있다.[34]대표적인 고유종은 다음과 같다.
- 식물: ''네펜테스 아르겐티이''[35][36], ''네펜테스 시부야넨시스''[35][36], ''네펜테스 아르민''[35][36]
- 포유류: 시부얀 줄무늬 땃쥐쥐[37], 시부얀 땃쥐[38], 필리핀 관코 과일 박쥐[39]
- 조류: 인디고띠 물총새[40], 롬블론 매부엉이[41]
한편, 타블라스 섬에서도 최소 두 종류의 고유 조류인 타블라스 드롱고와 타블라스 부채꼬리가 서식한다.[42][43]
4. 2. 행정 구역
롬블론 주는 17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9개는 타블라스 섬(산 아구스틴, 칼라트라바, 산 안드레스, 오디온간, 페롤, 산타 페, 로옥, 알칸타라, 산타 마리아)에 위치해 있으며, 3개는 시부얀 섬(마그디왕, 카자디오칸, 산 페르난도)에, 나머지 5개(롬블론, 산 호세, 반톤, 콩셉시온, 코르쿠에라)는 각각 섬으로 이루어진 자치체이다.[9][12][32]지방 자치체 | 인구 (2020)[12] | 면적 (km²) | 인구 밀도 (/km²) (2020) | 바랑가이 수 |
---|---|---|---|---|
알칸타라 | 17,171 | 60.12km2 | 290 | 12 |
반톤 (존스) | 5,737 | 32.48km2 | 180 | 17 |
카자디오칸 | 23,259 | 201.85km2 | 120 | 14 |
칼라트라바 | 11,342 | 86.7km2 | 130 | 7 |
콩셉시온 | 3,561 | 19.82km2 | 180 | 9 |
코르쿠에라 | 10,112 | 28.53km2 | 350 | 15 |
페롤 | 8,005 | 26.72km2 | 300 | 6 |
로옥 | 21,799 | 132.82km2 | 160 | 12 |
마그디왕 | 15,385 | 100.75km2 | 150 | 9 |
오디온간 | 49,284 | 185.67km2 | 270 | 25 |
롬블론 † | 40,554 | 86.87km2 | 470 | 31 |
산 아구스틴 | 24,115 | 140.48km2 | 170 | 15 |
산 안드레스 | 15,940 | 112km2 | 140 | 13 |
산 페르난도 | 24,171 | 196.87km2 | 120 | 12 |
산 호세 | 11,759 | 22.05km2 | 530 | 5 |
산타 페 | 17,802 | 63.52km2 | 280 | 11 |
산타 마리아 (이멜다) | 8,989 | 36.2km2 | 250 | 6 |
합계 | 308,985 | 1533.45km2 | 200 | 219 |
† 주도
4. 3. 기후
롬블론 주는 1920년에 고안된 코로나 기후 분류 시스템의 III형에 속한다. 이 유형은 뚜렷한 건기와 우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우기는 6월부터 11월까지이며, 때로는 남서 몬순이 우세한 12월까지 연장되기도 한다. 건기는 1월부터 5월까지이지만, 때때로 변덕스러운 강우로 인해 중단될 수 있다. 연평균 기온은 27°C이며, 2월이 20°C까지 떨어지는 최저 기온을 보이는 달이고, 5월이 35°C까지 올라가는 최고 기온을 보이는 달이다. '하바갓'(Habagat)이라 불리는 남서 몬순 바람은 6월부터 10월까지 이 지역을 통과하며, 북동풍 또는 '아미한'(Amihan)은 12월부터 2월까지 섬들을 통과한다.[9][12][32]'''롬블론 (1981–2010, 극값 1904–2012)의 기후 데이터'''
5. 인구
2020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롬블론주의 인구는 308,985명이었다.[46] 인구 밀도는 약 200명/km²로, 미마로파 지역 5개 주 중 4위를 차지하며 지역 전체 인구의 9.9%에 해당한다.[46]
산호세와 롬블론은 각각 약 490명/km²와 450명/km²의 인구 밀도를 보여 주 내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다. 반면, 카진디오칸은 약 110명/km²로 가장 낮은 인구 밀도를 기록했다.[46]
201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롬블론주의 성비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많아 102:100의 비율을 보였다. 당시 총 가구 인구 283,482명 중 남성은 144,091명(50.8%), 여성은 139,391명(49.2%)이었다. 투표 가능 연령인 18세 이상 인구는 전체 가구 인구의 56.6%를 차지했으며, 이는 2000년의 52.7%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투표 가능 연령 인구 내에서는 여성이 50.2%로 남성(49.8%)보다 약간 더 많았다.[12][32]
인구 조사 자료는 필리핀 통계청에서 제공되었다.[107][46]
5. 1. 언어
롬블론의 언어는 필리핀 고유의 모든 언어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1,257개의 언어를 포함하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언어족으로, 1,538개 언어를 가진 니제르콩고어족 다음으로 크다. 사말어를 제외한 필리핀의 모든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필리핀 언어로 분류된다. 필리핀 언어 그룹은 크게 북부, 남부, 중부 세 분파로 나뉘며, 중부 필리핀어군은 다시 비사야어군, 비콜어군, 타갈로그어 등으로 구성된다.[50][51]
다른 필리핀 섬이나 주와 달리, 롬블론주의 세 가지 주요 토착 언어인 롬블론어, 온한어, 아시어는 비사야어군 내에서도 서로 다른 하위 그룹에 속한다. 롬블론어는 중부 비사야어 하위 그룹에 속하며, 이 그룹에는 사마르와 레이테의 와라이와라이어, 마스바테뇨어, 남부 소르소곤어, 그리고 파나이의 힐리가이논어와 카피즈논어 등이 포함된다. 롬블론어는 롬블론섬, 시부얀섬, 그리고 타블라스섬의 산아구스틴시에서 주로 사용된다.[50][51]
온한어는 서부 비사야어 하위 그룹에 속한다. 이 그룹에는 키나라야어와 아클라논어를 비롯하여 민도로, 팔라완 및 그 주변 작은 섬들에서 사용되는 소수 언어들이 포함된다. 온한어 화자는 주로 타블라스섬 남부의 산안드레스, 산타마리아, 알칸타라, 페롤, 로옥, 산타페시와 카라바오섬의 산호세시 출신이다.[50]
아시어는 비사야어군의 특정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고, 비사야어의 독자적인 직접 분파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50][51] 호주 국립 대학교의 언어학자인 데이비드 폴 조르크는 아시어 화자가 이 지역 최초의 비사야어 화자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아시어가 세부아노어 기층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단어가 롬블론어와 같은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52] 아시어는 반톤섬, 코르쿠에라섬, 콘셉시온섬과 타블라스섬의 오디옹안 및 칼라트라바시에서 사용된다.[50] 힐리가이논어는 카피즈주와 아클란주 인근 지역에서 사용된다. 롬블론주는 미마로파 지역(남서 타갈로그 지역)의 일부이므로, 주민들은 서로 다른 비사야어 사용자 간의 공용어로서 타갈로그어/필리피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5. 2. 종교

롬블론주 주민들은 대부분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다. 2012년, 필리핀 대학교 경제학부는 가구의 75%가 가톨릭 신자(로마 가톨릭 및 ''필리핀 독립 교회'' 포함), 9%가 무슬림, 3~5%가 예수 그리스도 교회 신자라고 보고했다.[53] 2011년 다른 정부 소식통은 주류 개신교와 복음주의 신자들이 당시 인구의 최대 8%를 차지하는 상당한 소수를 형성했다고 보도했다.[54]
6. 경제
롬블론주는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까지 필리핀에서 가장 가난한 주 중 하나였으며, 당시 빈곤율은 38.63%를 기록했다.[110][111][112][113][114][115] 이 주의 빈곤율은 2018년에 28.28%로 감소했다.[116][117] 롬블론주의 경제는 주로 농업, 관광, 광물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 구조는 매년 이 지역을 자주 통과하는 태풍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55][56] 주요 산업인 농업, 어업, 광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6. 1. 농업
롬블론주는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코코넛은 가장 많이 재배되는 작물로 총 재배 면적은 58270.44ha이다. 산 아구스틴이 코코넛 재배 면적이 가장 넓고, 그 다음은 롬블론과 카지디오칸이다. 쌀은 그 다음으로 중요한 작물이며, 특히 오디옹안, 로옥, 카지디오칸, 산타페에서 주로 재배된다. 다른 주요 재배 작물로는 뿌리 작물, 채소, 과일 등이 있다. 오디옹안, 반톤, 마그디왕은 뿌리 작물 재배 면적이 가장 넓고 생산량도 가장 많다. 채소 생산은 대부분 자가 소비를 위한 소규모 재배 형태로 이루어진다.[12][32]
축산업 개발과 가금류 생산은 롬블론주 농부들에게 유망한 소규모 사업 기회를 제공한다. 지방 정부는 농부들이 축산업과 가금류 생산을 통해 소득을 늘릴 수 있도록 장려하며, 이를 위해 주 전역의 전략적 위치에 번식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관심 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축산 및 가금류 관리 교육과 세미나를 제공한다.[12][32]
롬블론주의 지리적 조건 때문에 작물과 축산 생산량은 일반적으로 주민들의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부족한 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인접 지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채소, 가금류 고기, 과일 등은 대부분 루손에서 공급받는다.[12][32]
6. 2. 어업
어업은 롬블론이 사방이 물로 둘러싸여 있어 주요 산업이다. 롬블론의 어장은 술루해와 비사얀해에서 타블라스 해협, 시부얀해 및 롬블론 해협을 지나가는 어류의 이동 경로에 해당한다. 또한 섬 주변의 산호초 덕분에 저서 어류가 풍부하다.[12][32]이 지역은 해양 개발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되어, 해안 및 자원 관리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각 지방 자치 단체는 어류 보호 구역을 설치하고 어업 관련 법률을 제정했다. 지방 자치 단체 해역 내에서의 공기 압축기 사용은 규제 대상이며, 일부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사용을 완전히 금지하기도 했다.[12][32]
6. 3. 광물 자원
대리석은 롬블론에서 가장 중요한 광물 매장량이며, 이 지역의 가장 유명한 제품이다. 통계에 따르면 롬블론은 불라칸 주에 이어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대리석 생산지이다. 롬블론 대리석은 매우 높은 품질을 자랑하며 흰색, 녹색, 분홍색, 빨간색 및 검은색 음영으로 제공된다. 광산지질국은 롬블론에 약 1.5억ton의 대리석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채굴 속도로 볼 때, 이 매장량은 3세기 이상 지속될 수 있다. 타블라스 섬 역시 막대한 양의 대리석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32]
대리석 채석 및 가공은 롬블론의 주요 활동이다. 가장 흔한 대리석 제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참신한 품목(선물, 재떨이, 테이블 바), 가구(식탁, 세례반) 및 건축 자재(타일, 난간, 대리석 조각). 상당한 양의 다른 광물 자원으로는 주로 시부얀 섬에서 발견되는 니켈 광석과 금이 있다. 사금 채취 및 영세 광업은 마그디왕에서 수익성 있는 사업이다.[12][32]
7. 관광
롬블론주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풍부한 문화 유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광 명소를 제공한다.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백사장 해변과 스쿠버 다이빙 명소가 많으며, 특히 산호초가 잘 보존되어 있어 다이버들에게 인기가 높다. 산 안드레스의 사파토스 포인트에 있는 신발 모양 암석이나 반톤의 타부난 해변과 같은 독특한 자연 지형과 아름다운 해변이 대표적이다.
또한,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건설된 요새와 성당 등 역사적인 건축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문화 유적 탐방도 가능하다. 반톤에서 발견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이캇 직물인 반톤 천은 필리핀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를 더한다.
지역 고유의 축제들도 열려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7. 1. 자연 명소

롬블론은 군도이기 때문에 수많은 해변과 다이빙 명소를 가지고 있다. 가장 아름다운 백사장으로는 롬블론의 본본 해변, 코브라더 해변, 티암반 해변, 반톤의 마카탕 해변, 타바난 해변, 탐박 해변, 산호세의 루나스 해변과 비그네이 해변, 그리고 산페르난도의 크레스타 델 갈로 해변 등이 있다.[57][58][59] 크레스타 델 갈로 주변 바다는 풍부한 해양 생물로 유명한 다이빙 장소이다.[60]
롬블론에는 또한 필리핀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블루 홀인 타블라스 섬 블루 홀이 있는데, 이는 산아구스틴에 위치해 있다.[61][62] 블루 홀 입구는 6m 너비의 화산 굴뚝이며, 20m 아래로 뻗어 내려가 총 깊이가 32m에서 40m에 달하는 거대한 챔버로 이어진다.[62]
시부얀의 구이팅구이팅 산은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가파르고 험준한 정상 때문에 필리핀에서 가장 등반하기 어려운 산 중 하나로 여겨지며, 현지 산악인들의 주요 목적지이다.[33] 하이킹과 트레킹에 적합한 또 다른 장소는 타블라스의 파야오파오 산이다.[63]
7. 2. 문화 유적
반톤의 식민지 이전 시대 유적인 가양안 동굴 시스템 외에도, 롬블론 주에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건설된 여러 중요한 문화 유적이 남아 있다. 대표적으로 롬블론의 쌍둥이 요새(산 안드레스 요새와 산티아고 요새)는 17세기에 이슬람 해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워진 요새이다. 또한 성 요셉 대성당과 그 종탑에는 수 세기 동안 보존되어 온 산토 니뇨 데 세부(성스러운 아기 예수상) 이미지가 있다.[67] 이 두 유적은 필리핀 국립 박물관에 의해 국가 문화 보물로 지정되었다.[67] 롬블론 타운에는 중요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식민지 시대의 다리도 있다.[67] 반톤 섬에는 1600년대에 건설된 산 호세 요새와 반톤 교회가 있는데, 이 역시 이슬람 해적에 대한 방어 시설로 사용되었다.[10]7. 3. 축제
매년 1월 둘째 주, 롬블론 시에서는 산토 니뇨 데 세부를 기리는 비니레이 축제가 열린다.[68] 이 축제 기간에는 산토 니뇨 상을 실은 배가 롬블론 만을 돌며 마을에 행운을 기원하는 선상 퍼레이드를 한다.[68] 또한 다양한 거리 춤, 음식, 음료, 음악이 함께하는 마르디 그라 축제도 열린다.[68] 비슷한 이름의 비니레이 축제가 반톤에서도 열리는데, 매년 9월 10일 섬의 수호성인인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를 기념한다.[11]이 외에도 알칸타라의 사기뇨간 축제,[69] 반톤의 산로칸 축제,[11] 루크의 탈라부콘 축제 등이 있다.[70][71] 탈라부콘 축제는 거대한 거인과 같은 모습의 서사시 영웅 탈라부콘을 기리는 축제로, 그는 해적으로부터 사람들을 구했다고 전해진다.[70][71]
7. 4. 스쿠버 다이빙
최근 몇 년 동안 롬블론 섬은 더 많은 스쿠버 다이버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롬블론, 로그본, 알라드, 코브라도르 섬 주변에는 거의 훼손되지 않은 산호초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이는 다양한 경산호와 연산호를 포함한다. 여러 해양 보호 구역과 민간 단체의 노력 덕분에 롬블론 주변의 해양 생물 대부분이 보호받고 있다. 이러한 산호초 외에도, 롬블론은 Melibe colemani|la, Cyerce nigra|la, Cyerce bourbonica|la와 같은 희귀하고 독특한 매크로 생물 서식지로 점차 알려지고 있다.8. 정부
롬블론 주 정부 (2019–2022) | |
---|---|
하원 의원 | |
엘레안드로 헤수스 마드로나 (국민당) | |
주지사 | |
호세 리아노 (PDP–Laban) | |
부지사 | |
펠릭스 일라간 (LAKAS) | |
주 의회 의원 | |
제1구역 | 제2구역 |
네네 솔리스 | 프레드 도라도 |
레이첼 바냐레스 | 로버트 모리온 |
준 베르나르도 | DJ 빙 솔리스 |
구즈 모텔 | 호세 마드리드 |
필리핀의 다른 주와 마찬가지로, 롬블론의 행정 수반은 주지사이다.[72] 주지사는 3년 임기로 세 번 연임할 수 있으며, 행정실, 공학실, 정보실, 법률실, 재무실 등 각 주 부서의 장을 임명할 권한을 가진다.[72] 2019년 6월 30일 기준 현직 주지사는 PDP–Laban 소속의 호세 리아노이다. 그는 2013년 부지사로 선출되었고 2016년에 재선되었다.[73]
부지사는 주지사가 자리를 비울 경우 주지사 대행 역할을 수행하며, 주지사 유고 시에는 자동으로 주지사직을 승계한다.[72] 또한 부지사는 주의 입법 기관인 주 의회(Sangguniang Panlalawigan)를 소집하는 역할을 한다.[72] 현직 부지사는 LAKAS 소속의 펠릭스 일라간으로, 전 주지사 페르페투오 일라간의 손자이다.
롬블론주는 필리핀 하원에서 단일 선거구로 대표된다. 이 지역구 의원은 오랫동안 국민당 소속의 엘레안드로 헤수스 마드로가 맡고 있다.[74] 그는 1992년부터 2001년까지 3선 임기를 지냈고, 이후 다른 의원들이 선출되었다가 2007년에 다시 당선되어 의원직을 이어왔다.[74]
주 의회, 즉 ''상구니앙 판랄라위간''은 모든 주 조례를 제정하고, 주 예산을 배정하며, 면허와 허가를 발급하고, 주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는 등 1991년 지방 정부법에 명시된 여러 의무와 권한을 행사한다.[72] 롬블론주는 소득 기준으로 3등급 주에 해당하여, 2개의 의회 선거구에서 각각 4명씩 총 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주 의회를 운영할 자격이 있다.[72] 2013년 기준, 롬블론주의 두 선거구 의원은 제1선거구의 사무엘 로메로, 안토니 루가스, 아브너 페레즈, 넬슨 림과 제2선거구의 펠릭스 일라간, 줄리엣 피엘, 베니자르 마라빌라, 안드레스 폰데빌라였다.[73]
8. 1. 문장

롬블론주 문장은 두 개의 동심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깥쪽의 큰 흰색 원은 띠 형태를 이루며, 위쪽에는 ''Lalawigan ng Romblon'' (롬블론 주), 아래쪽에는 ''Pilipinas'' (필리핀)라는 글자가 각각 반원형으로 새겨져 있다. 안쪽의 작은 파란색 원은 바다로 둘러싸인 롬블론주의 지리적 특징을 상징한다.
파란색 원 중앙에는 5각형 모양의 흰색 방패가 자리 잡고 있다. 방패 중앙에는 팔을 서로 연결한 듯한 17개의 녹색 인물 형상이 원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롬블론주를 구성하는 17개의 자치체를 의미한다. 녹색은 섬의 풍부한 생태 및 농업 자원을 나타낸다.[75]
17개의 인물 형상 안쪽에는 다섯 가지 상징물이 배치되어 있다. 중앙에는 대리석 장인과 대리석으로 만든 ''알미레즈''(절구와 절구공이)가 그려져 있어 주의 주요 산업인 대리석 산업을 상징한다. 장인의 왼쪽에는 물고기가 그려져 어업을 나타내고, 오른쪽에는 코코넛이 그려져 코프라 산업을 나타낸다. 장인 뒤편으로는 롬블론주에서 가장 높은 산이 위치한 보호 자연 보호 구역인 구이팅구이팅 산 국립 공원을 상징하는 녹색 산의 윤곽이 보인다. 산 뒤에는 필리핀의 국기에 그려진 태양과 비슷한 모양의 떠오르는 태양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풍부한 천연자원에 대한 신의 섭리를 의미한다.[75]
9. 기반 시설
롬블론주의 주요 기반 시설은 교통, 전력, 수도 공급, 의료, 통신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섬 내 이동은 주로 국도와 지방도를 이용하며, 다른 지역과의 연결은 해상 운송과 항공편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력은 국립 전력 공사에서 생산하고 두 개의 지역 협동조합이 공급하며, 신재생 에너지 개발도 추진되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가정까지 직접 연결되는 수도 시스템을 이용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공동 시설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의료 서비스는 여러 국립 병원과 민간 병원, 지역 보건소를 통해 제공되며,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서비스를 통해 대부분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9. 1. 교통

롬블론주는 국도 및 지방도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국도는 이 네트워크의 상당 부분을 형성하며, 총 길이는 311.046km이다. 한편, 지방도로는 총 239.005km이다. 외딴 마을과 섬 자치구의 시립 및 바랑가이 도로는 이러한 수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롬블론주의 주요 육상 교통 수단은 시 간 이동 및 연결을 담당하는 지프니, 오토바이 택시, 미니버스 및 오토바이 삼륜차이다.[12][32]
해상 운송은 롬블론과 루손 및 비사야 제도의 섬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 수단이다. 마닐라, 루손 남부의 바탕가스, 케손주의 루세나, 오리엔탈 민도로주의 록사스, 카피스주의 록사스에서 출발하는 섬 간 페리, RORO, 화물선이 이 지역과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 수단이다. 몬테네그로 라인스, 2GO, 롬블론 해운은 모두 마닐라에서 오디옹안과 롬블론의 주요 항구로 페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반대 방향으로도 운행한다. 몬테네그로는 롬블론에서 시부얀의 마그디왕까지 운행하며, 롬블론 해운은 카히디오칸까지 운행한다.[76][77] 펌프 보트와 나무로 만든 발사체는 이 지역을 마린두케의 부에나비스타 및 오리엔탈 민도로의 피나말라얀 마을과도 연결한다. 이러한 펌프 보트는 도로 네트워크가 없는 바랑가이 또는 페리 서비스가 없는 지역 간의 자치구로 이동하는 데에도 사용된다.[12][32]
알칸타라의 투그단 공항은 이 지역의 유일한 공항이며, 메트로 마닐라에서 1시간 이내 거리에 있다. 필리핀 국적기인 필리핀 항공은 예산 항공사인 PAL 익스프레스를 통해 주 3회(일요일, 수요일, 금요일)[78] 이 공항으로 운항했으나, 일부 항공편을 팜팡가주의 클라크 국제공항으로 이전하면서 2016년 9월 1일부터 중단되었다.[81] 현재는 AirSWIFT만이 이 공항으로 주 2회 마닐라에서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82] 시부얀 섬의 산 페르난도에 있는 바랑가이 아자그라에는 관광 및 일반 항공에 사용되는 작은 활주로도 있다.[83]
9. 2. 전력
롬블론주의 전력은 국립 전력 공사(NPC)에서 생산하며, 두 개의 전력 협동조합이 공급을 담당한다.타블라스 섬 전력 협동조합(TIELCO)은 산호세를 포함한 타블라스 섬의 전력 수요를 책임진다. 이 협동조합은 오디온간에 5.07MW 용량의 디젤 발전소를, 산 아구스틴에 1.74MW 용량의 전력 바지선을 운영하고 있다.[84] TIELCO는 총 21,097가구에 전력을 공급한다.[12][32] 2013년, TIELCO는 섬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웨스트 워터 앤 일렉트릭 컴퍼니(SUWECO)와 15년 기한의 전력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후 2015년, SUWECO는 오디온간의 바랑가이 바티아노에 디젤 발전소를 열어 TIELCO에 8.8MW의 전력을 추가로 공급하기 시작했다.[85] 2019년에는 TIELCO와 SUWECO가 협력하여 오디온간에 7.5MW 규모의 피크 투민가드 태양광 발전소를 개설했다. 이 두 발전소는 오디온간, 산 안드레스, 칼라트라바, 산 아구스틴, 산타 마리아, 산타 페, 알칸타라, 루크, 페롤 등 타블라스 섬의 여러 지역에 전력을 공급한다.[86] 또한, TIELCO는 산호세 지역에도 전력을 공급하며, 최근 이 섬 자치구의 새로운 전력 공급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경쟁 선택 프로세스(CSP) 입찰을 진행했다.[87]
롬블론 전력 협동조합(ROMELCO)은 롬블론의 수도 지역에 1.72MW 디젤 발전소와 1.3MW 전력 바지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시부얀 섬에는 산 페르난도에 위치한 3.006MW 디젤 발전소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84] ROMELCO는 롬블론 지역 5,288가구와 시부얀 섬의 세 자치구 5,150가구를 포함하여 총 10,438가구에 전력을 공급한다. 2010년에는 산 페르난도의 칸티가스 지역에 소수력 발전소를 설치하여 900kW의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다.[88][89][90] ROMELCO는 신재생 에너지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 2019년에는 롬블론의 바랑가이 아그나이, 바가카이, 로노스에 각각 300kW 용량의 풍력 터빈 3기로 구성된 롬블론 풍력 발전소를 개통했다. 이 발전소는 연간 2000100kWh의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섬 전체 연간 에너지 요구량의 약 25%에 해당한다. 42m 높이의 풍력 터빈은 일본 기업 코마이할테크(Komaihaltec Inc.)가 제작했으며, 일본 환경부의 지원을 받았다. 2020년에는 900kW 용량의 풍력 터빈이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다.[91][92] 이 외에도 ROMELCO는 반톤, 콘셉시온, 코르쿠에라 섬 자치구에는 NPC가 운영하는 디젤 발전소를 통해 24시간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12][32]
9. 3. 수도 공급
롬블론 주의 17개 지방 자치 단체 중 14곳은 레벨 III 수도 공급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주 전체 가구의 약 32.57%에 해당하는 18,590가구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레벨 III 시스템은 각 가정까지 직접 연결되는 저수지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한편, 5,252가구는 공동 수도꼭지가 설치된 저수지를 이용하는 레벨 II 수도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으며, 24,700가구는 지역 주민들이 심정이나 우물에서 물을 직접 길어 사용하는 공용 시설 형태의 레벨 I 수도 시스템을 이용한다.
2007년 지방 보건 사무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롬블론 주 전체 57,079가구 중 총 48,542가구, 즉 85.04%가 안전한 식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2][32]
9. 4. 의료
롬블론주에는 지역 주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8개의 국립 병원이 있다.[93] 이 외에도 민간 병원이 운영되고 있다.주요 의료 시설은 다음과 같다.
섬 | 병원 이름 | 위치 (자치구) | 종류 | 병상 규모 | 등급 및 특징 |
---|---|---|---|---|---|
타블라스 섬 | 롬블론 주립 병원 | 오디온간 | 국립 | 75 | 레벨 1 (응급실, 중환자실 보유)[94][95] |
타블라스 섬 지구 병원 | 산 아구스틴 | 국립 | 25 | [93] | |
돈 모데스토 포르밀레자 시니어 지구 병원 | 루크 | 국립 | 25 | [93] | |
산 안드레스 지구 병원 | 산 안드레스 | 국립 | 6 | [93] | |
타블라스 의사 병원 | 오디온간 | 민간 | - | [96] | |
ISIAH 병원 및 의료 센터 | 오디온간 | 민간 | - | [97] | |
롬블론 섬 | 롬블론 지구 병원 | 롬블론 | 국립 | 35 | 레벨 1[93][98] |
시부얀 섬 | 시부얀 지구 병원 | - | 국립 | 25 | 1958년 개원 (호세 모레노 국회의원, 공화국 법 2400호)[93][99] |
카라바오 섬 | 산 호세 지구 병원 | 산 호세 | 국립 | 10 | [93] |
시마라 섬 | 말리파욘 지구 병원 | 코르쿠에라 | 국립 | 10 | [93] |
롬블론 주립 병원과 롬블론 지구 병원은 주 내에서 유일하게 레벨 1 병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시부얀 지구 병원은 섬의 3개 자치구 주민들에게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구 병원이나 레벨 1 병원이 없는 자치구 주민들은 각 지역 보건소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는다.[100]
9. 5. 통신
롬블론주는 여러 통신 교환국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는 카유망기, 롬블론텔, 오디오난 전화 회사(OTELCO), 통신 사무소(TELOF), 전신 시스템, 리버티 텔레콤, 교통부 (DOTr) 산하 공중 전화국, 그리고 지방 통신 시스템(PCS) 무선 송수신기 등이 포함된다.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 선 셀룰러 및 글로브 텔레콤은 롬블론, 오디오난 및 카자디오칸에 중계 기지국을 설치하여, 대부분 지역에서 휴대폰 통신이 가능하다. 다만, 신호가 약하거나 산악 지형으로 인해 신호가 닿지 않는 일부 지역은 예외이다. 산타 마리아의 트리플 피크에는 PLDT와 리버티 텔레콤을 위한 중계 기지국이 있다.[12][32]10. 미디어
롬블론주에는 4개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이 중 2개는 라디오 나틴 네트워크에서 운영하며, 다른 하나는 필리핀 집단 미디어 공사 소유의 95.7 FMR 롬블론이다. 코타바토 및 아시아 공과 재단은 GM FM 100.5MHz를 소유하고 있다. 라디오 나틴 네트워크는 루옥에서 DWMM 호출 부호로 104.5MHz FM 방송을, 오디온간에서는 DZVG 호출 부호로 101.3MHz FM 방송을 마닐라 방송사를 통해 운영한다.[101][102]
인쇄 매체로는 ''롬블론 텍스트''와 ''롬블론 선''이 주에서 발행되는 두 개의 주요 신문이며, 이 외에도 마닐라에서 발행되는 대형 신문 및 타블로이드 신문이 유통된다.[12] 또한, ''롬블론 뉴스''는 웹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지방 및 국내 뉴스와 정보를 제공한다.[103]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산타 마리아에 있는 GMA 네트워크와 롬블론 커뮤니티 TV(PTV 계열사)의 중계 방송국을 통해 마닐라에서 송출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여러 지방 자치 단체에는 지역 케이블 방송국 및 제공업체가 운영되고 있다. 주요 업체로는 롬블론 케이블 공사(롬블론), 아큐트로닉스 시스템 Inc.(오디온간), 산 아구스틴 케이블 안테나 법인(산 아구스틴), 컨트리사이드 위성 텔레비전 시스템 Inc.(루옥 및 롬블론), 게이트웨이 케이블 TV 네트워크(칼라트라바), 산 안드레스 CATV 서비스 협동 조합(산 안드레스), 호세파 J. 마르티네스 CATV 서비스(알칸타라), 마그디왕 케이블 텔레비전(마그디왕), 시부얀 케이블 TV(산 페르난도 및 카히디오칸) 등이 있다. 이러한 케이블 방송 외에도 Cignal Digital TV, 드림 위성 TV, G 삿, 스카이 다이렉트와 같은 직접 가정(DTH) 위성 TV 배급업체들이 가입자에게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한다.[12][32]
11. 교육
교육부(DepEd) 롬블론 지부는 롬블론주의 공립학교 교육 제공과 운영을 감독하고 관리한다. 롬블론주에는 13개의 교육 구역이 있다.
구분 | 총 개수 | 공립 | 사립 |
---|---|---|---|
초등학교 | 228 | 216 | 12 |
중등학교 | 44 | 37 | 7 |
초등학교 중 공립 162개교와 사립 20개교에서 유치원 교육을 제공하며, 별도로 10개의 사립 유치원이 초등학교 이전 교육을 담당한다. 버지니아 센투리오네 브라첼리 학교는 초등 및 중등 교육을 모두 제공하는 기관이다. 또한, 주 내에는 13개의 직업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12][32]
고등 교육은 사립 롬블론 칼리지와 롬블론 주립 대학교(RSU)에서 제공한다. 특히 롬블론 주립 대학교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주립 대학교 중 하나로 꼽힌다.[12][32] 1915년에 설립된 RSU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농업 대학교이기도 하며, 롬블론, 오디오간, 카지디오칸, 칼라트라바, 산 아구스틴, 산 안드레스, 산 페르난도, 산타 페, 산타 마리아 등 여러 지역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104][105]
12. 유명 인물
- 피치 아르볼레다: 필리핀인 축구 선수로 카야 FC-일로일로와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고 있다.
- 플로란테 콘데스: 필리핀 프로 복싱 선수이자 전 국제복싱연맹(IBF) 최소 체중 세계 챔피언이다.
- 호세 달리세이 주니어: 작가, 시인,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로 팔랑카상 16회 수상자이다. 그는 1993년 10대 청년상(TOYM) 수상자이기도 하다.
- 가브리엘 파벨라: 필리핀 역사 협회의 공동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이자, 6월 12일 독립 기념일 운동의 아버지이며, 제1차 국민 의회(1935–1938)에서 롬블론의 유일한 대표였다.
- 에프라임 파유타가나: 전 필리핀 독립 교회의 오비스포 막시모(최고 주교)이다.
- 세스 페델린: 배우, 모델, 가수, 댄서로, 리얼리티 쇼 ''피노이 빅 브라더: 옥토'' (2018)에 하우스메이트로 처음 출연했으며, 이후 그의 연애 파트너 안드레아 브릴란테스와 함께 다양한 영화 및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했다.
- 로일로 골레즈: 파라냐케 제2선거구를 대표하는 전 필리핀 하원 의원이다. 그는 1982년 10대 청년상(TOYM) 수상자이다.
- N. V. M. 곤잘레스: 작가, 팔랑카상 수상자이자 문학 분야의 국가 예술가이다.
- 디누알도 구티에레즈: 로마 가톨릭 교회의 필리핀 고위 성직자이자 1982년부터 2018년까지 마르벨 교구의 주교였다.
- 살바도르 레아뇨: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이자 4스퀘어 교회 목사로, 1986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 감시원으로 자원했으며, 롬블론 산 안드레스에서 선거 관련 폭력으로 사망했다. 반타요그 응 마가 바이아니에서 영웅으로 추앙받았다.[106]
- 엘마 무로스-포사다스: 전 육상 선수로, 멀리뛰기를 전문으로 했으며 여러 동남아시아 게임에서 총 15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로드니 갈리차: 환경 운동가이자 2018년 10대 청년상(TOYM) 수상자이며, 환경 문제 센터 및 환경 천연 자원부가 수여하는 가와드 바이아니 칼리카산 국가 개인상 수상자이며, 전 기후 현실 프로젝트의 필리핀 지사장이다.
- 얀센 리오스: 필리핀 농구 협회 (PBA)의 NLEX 로드 워리어스에서 뛰는 필리핀 프로 농구 선수이다.
- 네네 타마요: ABS-CBN의 ''피노이 빅 브라더 (시즌 1)''의 최종 우승자이다.
참조
[1]
간행물
Executive Order No. 5, series of 1918
https://nlpdl.nlp.go[...]
1918-03-27
[2]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1-31
[3]
웹사이트
ROMBLON ISLAND TRAVEL GUIDE: The Marble Capital of the Philippines
https://outoftownblo[...]
2023-12-24
[4]
웹사이트
7 'Galapagos Islands' from around the world
https://www.wanderlu[...]
2023-12-24
[5]
서적
The History of Carmen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North-eastern Barangays of the Municipality of San Agustin, Romblon
Private publication
[6]
서적
Relacion de las Islas Filipinas by Miguel de Loarca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05-08-09
[7]
서적
Romblon Province, 1570–1946: Its History and Development
[8]
서적
Romblon During American Regime, 1898–1946
[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romblonpr[...]
Romblon Provincial Government
2015-09-08
[10]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Banton
http://www.yagting.c[...]
[11]
웹사이트
Romblon: History
http://www.oocities.[...]
2015-09-08
[12]
웹사이트
History
https://psa4bromblon[...]
2015-09-08
[13]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Philippines: for use in Philippine schools
https://archive.org/[...]
D. Appleton
[14]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15]
논문
The Making of a Philippine Province: Romblon During the American Colonial Period
https://www.academia[...]
[16]
문서
Harvnb Reyes
[17]
문서
Harvnb Madeja
[18]
문서
Harvnb Reyes
[19]
법령
An Act to Annex the Province of Romblon to the Province of Capiz
https://lawyerly.ph/[...]
1907-07-02
[20]
법령
An Act authorizing the separation of the SubProvince of Romblon from the province of Capiz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former province of Rombl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s://lawyerly.ph/[...]
1917-12-07
[21]
서적
Don Adriano N. Rios: Romblon's Patriarch.
[22]
논문
The Making of a Philippine Province: Romblon During the American Colonial Period
https://asj.upd.edu.[...]
[23]
문서
Harvnb Madeja
[24]
웹사이트
Declaring the Eighteenth Day of March of every year as Victory Day in the Islands of Panay and Romblon, including the Cities of Iloilo and Roxas
https://www.official[...]
2015-09-09
[25]
웹사이트
Battle of the Sibuyan Sea, 23–24 October 1944
http://www.historyof[...]
HistoryofWar.org
2015-09-09
[2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denames of World War II
[27]
서적
Romblon Landing
[28]
법령
An Act repealing Commonwealth Act numbered Five Hundred And Eighty-One, entitled, "An Act abolishing the existing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Romblon, and creating instead four Special Municipalities," restoring the regular Provincial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Romblon, and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Santa Fe
http://laws.chanrobl[...]
2015-10-22
[2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03: Dividing Region IV into Region IV-A and Region IV-B, Transferring the Province of Aurora to Region III and for Other Purposes
http://www.nscb.gov.[...]
2014-11-01
[30]
법령
Dividing Region IV into Region IV-A and Region IV-B, transferring the Province of Aurora to Region III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official[...]
2002-05-17
[31]
웹사이트
Location, Geography and Climate
http://mimaropa.neda[...]
2015-09-09
[32]
서적
Geo-Physical Environment
[33]
웹사이트
Mount Guiting-Guiting
http://www.pinoymoun[...]
Pinoy Mountaineer
2015-09-09
[34]
웹사이트
The Galapagos of Asia: Sibuyan Island
http://www.choosephi[...]
Choose Philippines
2016-05-02
[35]
논문
A skeletal revision of Nepenthes (Nepenthaceae).
[36]
서적
Pitcher Plants of the Old World (2 volumes)
Redfern Natural History Productions, Poole.
[37]
서적
Review of the Philippine genera Chrotomys and Celaenomys (Murinae) and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38]
서적
New species of shrew (Soricidae: Crocidura) from Sibuyan Island, Philippines
[39]
간행물
"''Nyctimene rabori''"
2008
[40]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6, Mousebirds to Hornbills
https://archive.org/[...]
"[[Lynx Edicions]]"
[41]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the Philippines
Oxford University Press
[42]
간행물
"''Dicrurus menagei''"
2017
[43]
서적
Molecular systematic and species limits in the Philippine fantails (Aves: Rhipidura)
[44]
웹사이트
Romblon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45]
웹사이트
Romblon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46]
웹사이트
Fact Sheet; Region IV-B; MIMAROPA' 2007 Census of Population
http://www.nso-r4b.w[...]
2016-07-08
[47]
웹사이트
Romblomanon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6-03-29
[48]
웹사이트
Inonhan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6-03-29
[49]
웹사이트
Bantoanon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6-03-29
[50]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s of Romblon Province''"
http://sanrokan.com/[...]
Sanrokan News Magazine
2002-07-08
[51]
웹사이트
Philippine and North Bornean languages: issues in description,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http://www.ling.hawa[...]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16-03-29
[52]
문서
Zorc, R. David Paul. (1977)
[53]
웹사이트
Discussion Paper No. 2012-09 : Are improved water supply and sanitation always safe for children? Implications for attaining the MDGs in the Philippines.
http://www.econ.upd.[...]
School of Economics,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54]
웹사이트
Province Summary - Romblon 2011
http://philchal.org/[...]
philchal.org
[55]
웹사이트
MIMAROPA's poverty incidence declines further in 2018
http://mimaropa.neda[...]
2021-02-03
[56]
웹사이트
Romblon is out of PH's 20 poorest provinces since 2015
https://romblonnews.[...]
2021-02-03
[57]
웹사이트
Banton Island
http://tourism-phili[...]
Tourism Philippines
2012-04-14
[58]
웹사이트
The Beaches of Romblon
http://www.lakwatser[...]
Lakwatsero
2016-03-30
[59]
웹사이트
Top 8 Things to do and see in Romblon
http://outoftownblog[...]
Out of Town Blog
2016-03-30
[60]
웹사이트
Cresta de Gallo
http://divescover.co[...]
Divescover
2016-03-30
[61]
웹사이트
Scuba Diving in Romblon: Blue Hole and Gorda Wall
http://www.lakwatser[...]
Lakwatsero
2016-03-30
[62]
웹사이트
Seven Spectacular Romblon Dive Sites: From Blue Hole To The Giant Clam Sanctuary
http://www.justgotta[...]
JustGottaDive.com
2016-03-30
[63]
웹사이트
Mount Payaopao
http://visitromblon.[...]
Visit Romblon
2016-03-30
[64]
뉴스
Looking Back: History and design in Death Blankets
http://opinion.inqui[...]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4-04-24
[65]
웹사이트
15 Most Intense Archaeological Discoveries in Philippine History
http://www.filipikno[...]
Filipiknow.net
2015-08-14
[66]
웹사이트
Collections: Banton Cloth
http://www.nationalm[...]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2013-10-13
[67]
웹사이트
Romblon cathedral, ancient Hispanic forts declared National Cultural Treasures
http://lifestyle.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6-03-30
[68]
웹사이트
Biniray Festival Features Romblomanon's Faith to Patron Santo Nino
http://www.wowromblo[...]
Wow Romblon
2016-03-30
[69]
웹사이트
The Saginyongan Festival
http://alcantararomb[...]
The Official Website of Alcantara, Romblon
2016-03-30
[70]
웹사이트
Do you believe in genies? Join the Talabukon Festival in Looc, Romblon!
http://www.wowromblo[...]
Wow Romblon
2016-03-30
[71]
서적
Philippines, ebook Edition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6-03-30
[72]
웹사이트
An Act Providing for a Local Government Code of 1991
http://www.lawphil.n[...]
8th Congress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4-04-21
[73]
웹사이트
Provincial Election Results: Romblon
http://www.comelec.g[...]
2015-09-18
[74]
웹사이트
Congressional Election Results: Romblon
http://www.comelec.g[...]
2015-09-18
[75]
웹사이트
Romblon
http://philgovseals.[...]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2020-09-17
[76]
웹사이트
Trips
http://www.montenegr[...]
Montenegro Shipping Lines
2015-09-15
[77]
웹사이트
Destinations
http://www.romblonsh[...]
Romblon Shipping Lines
2015-09-15
[78]
웹사이트
Domestic Winter Schedule Effective October 25 2015 until March 26, 2016
http://www.philippin[...]
Philippines Airlines
2015-12-10
[79]
웹사이트
PAL opens Manila-Tablas service
http://www.philippin[...]
Philippine Airlines
2015-08-17
[80]
웹사이트
PAL bares new domestic routes
http://www.manilatim[...]
The Manila Times
2015-08-17
[81]
웹사이트
PAL cancels 29 flights, plans to operate new routes from Clark
http://www.bworldonl[...]
BusinessWorld
2017-03-13
[82]
웹사이트
Tablas, Romblon, Here We Come
https://air-swift.co[...]
2022-08-19
[83]
웹사이트
Sibuyan Island sa Romblon planong lagyan ng airport
http://news.pia.gov.[...]
2015-09-16
[84]
웹사이트
Missionary Electrification Plan (2012–2021)
http://www.spug.ph/M[...]
Small Power Utilities Group, National Power Corporation
2015-08-17
[85]
웹사이트
Tiny energy player to power off-grid island in Romblon
https://www.bworldon[...]
BusinessWorld
2020-03-03
[86]
뉴스
PRRD leads inauguration of the 7.5MWp solar power plant in Romblon
https://pia.gov.ph/n[...]
2020-03-03
[87]
뉴스
Carabao Island seeks power supply offers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0-03-03
[88]
웹사이트
2013 Accomplishment Report
http://www.napocor.g[...]
Small Power Utilities Group, National Power Corporation
2015-09-15
[89]
웹사이트
DBP-funded mini-hydro plant to provide electricity in Romblon
https://www.devbnkph[...]
Development Bank of the Philippines
2015-09-15
[90]
웹사이트
Hydro Power Injects Diversity Into Sibuyan Island's Economy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15-09-15
[91]
뉴스
Romblon goes for green power with launch of 3 wind turbines
https://businessmirr[...]
BusinessMirror
2020-03-03
[92]
뉴스
Romblon taps wind for cleaner, cheaper electricity
https://newsinfo.inq[...]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0-03-03
[93]
웹사이트
Status Report o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using CBMS Data – Province of Romblon
https://www.slidesha[...]
2021-02-18
[94]
웹사이트
Ona inaugurates new hospital buildings in Romblon
http://mimaropa.neda[...]
2021-02-18
[95]
웹사이트
DOH inaugurates new buildings at Romblon Provincial Hospital
https://www.official[...]
2021-02-18
[96]
웹사이트
Isiah hospital in Odiongan offers free online consultation
https://www.romblonn[...]
2021-02-18
[97]
웹사이트
About Us: Tablas Doctors' Hospital
https://sites.google[...]
2021-03-12
[98]
웹사이트
Romblon District Hospital classifies as Level 1
https://pia.gov.ph/n[...]
2021-02-18
[99]
웹사이트
History of Cajidiocan, Romblon
http://www.reference[...]
Reference.com
2014-08-18
[100]
웹사이트
MIMAROPA RHU/Health Center Facilities
https://itis.doh.gov[...]
[101]
웹사이트
List of Existing Radio and TV Stations
http://www.ntcr4.com[...]
National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 – Region IV-B
2015-09-15
[102]
웹사이트
List of Radyo Natin FM Stations
http://www.radyonati[...]
Radyo Nation Network
2015-09-15
[103]
웹사이트
About Us
http://romblonnews.n[...]
Romblon News
2015-09-16
[104]
웹사이트
History
http://www.rsu.edu.p[...]
Romblon State University
2016-03-29
[105]
웹사이트
Campuses
http://www.rsu.edu.p[...]
Romblon State University
2016-03-29
[106]
웹사이트
LEAÑO, Salvador Fabella
http://www.bantayog.[...]
2015-08-19
[107]
웹인용
Fact Sheet; Region IV-B; MIMAROPA' 2007 Census of Population
http://www.nso-r4b.w[...]
2016-07-08
[108]
웹인용
Romblon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109]
웹인용
Romblon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110]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11]
문서
2000
[112]
문서
2003
[113]
문서
2006
[114]
문서
2012
[115]
문서
2015
[116]
문서
2018
[117]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