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 도독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도독부는 1574년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행정 기구이다. 16세기 초 마젤란의 탐험 이후 스페인은 필리핀을 정복하여 세부, 마닐라 등을 중심으로 통치했다. 필리핀 총독부는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일부로 시작하여 1821년 멕시코 독립 이후 마드리드에서 직접 통치되었다. 총독은 행정, 사법, 군사 권한을 행사했으며, 지방 정부는 주, 시, 바랑가이로 구성되었다. 스페인 통치는 토착 반란, 네덜란드, 중국, 일본, 영국의 침략으로 위협받았으며, 마닐라 갤리온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었지만, 강제 노동과 세금 징수로 인해 사회적 갈등도 발생했다. 19세기 후반에는 프리메이슨이 개혁 운동을 주도했으며, 미국-스페인 전쟁으로 스페인 통치가 종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필리핀 관계 - 스페인령 동인도
    스페인령 동인도는 1565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통치했던 식민지로, 필리핀, 괌, 마리아나 제도 등을 포함하며, 마닐라 갤리온 무역을 통해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미국의 점령과 독일 제국으로의 일부 섬 매각으로 지배가 끝났다.
  • 괌의 역사 - 스페인령 동인도
    스페인령 동인도는 1565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통치했던 식민지로, 필리핀, 괌, 마리아나 제도 등을 포함하며, 마닐라 갤리온 무역을 통해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미국의 점령과 독일 제국으로의 일부 섬 매각으로 지배가 끝났다.
  • 괌의 역사 -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코로나19 범유행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초 항공모함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에서 발생한 집단 감염 사건으로, 확진자 급증, 함장 해임, 해군 수뇌부 대응 비판, 해군 장관 대행 사임 등의 논란을 낳으며 미 해군의 위기 관리 능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필리핀 도독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필리핀 총독령 지도
필리핀 총독령
기본 정보
공식 명칭스페인어: es
타갈로그어: tl
일반 명칭필리핀
긴 명칭필리핀 총독령
지위스페인 제국의 총독령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영토 (1565년–1821년)
표어Plus Ultra (더 멀리)
국가국왕 행진곡 (1770년–1899년)
수도세부 시 (1565년–1569년)
마닐라 (1571년–1898년)
일로일로 시 (1898년)
공용어스페인어
공통어필리핀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호키엔어
기타 이민족 언어
종교가톨릭교 (국교)
이슬람교
필리핀 전통 종교
통화스페인 달러
스페인 페세타
국기 및 문장
스페인 국기
국기
부르고뉴 십자가 깃발
깃발
필리핀 총독령 문장 (대형)
문장 (대형)
필리핀 총독령 문장 (소형)
문장 (소형)
정치 체제
정부 형태군주제
국왕펠리페 2세 (1565년–1598년, 처음)
알폰소 13세 (1886년–1898년, 마지막)
총독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1565년–1572년, 처음)
디에고 데 로스 리오스 (1898년, 마지막)
입법부코르테스 헤네랄레스
역사
스페인 정복1565년 4월 27일
네덜란드 침공1646년 3월 15일
영국 침공1762년 9월 24일
카비테 반란1872년 1월 20일
필리핀 혁명1896년 8월 23일
독립 선언1898년 6월 12일
마닐라 전투1898년 8월 13일
미국 합병1898년 12월 10일, 미국이 필리핀과 괌을 합병
시간대
시간대GMT -16 ~ -12시간 (1565년 4월 27일 – 1844년 12월 30일)
GMT +8 ~ +12시간 (1845년 1월 1일 이후)
현재 국가
현재 국가필리핀

타이완 (이전의 포르모사, 1575년부터 네덜란드 침공이 있었던 1646년까지 스페인이 통제)
팔라우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인도네시아 (북 술라웨시 주)
미크로네시아 연방

2. 역사

페르디난드 마젤란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항해 끝에 1521년 3월 6일 에 도착하여 우마탁 만에 함대를 정박한 후 필리핀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막탄 전투에서 사망했다.[1] 1565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우마탁에 도착하여 괌 섬을 스페인 영토로 선언한 후 필리핀으로 향했다. 그는 세부, 사마르, 레이테, 보홀을 스페인 제국에 편입한 후 마닐라를 정복했다.

1569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스페인 본부를 세부 섬에서 파나이로 옮겼다.[26] 1570년 5월 8일, 마르틴 데 고이티와 후안 데 살세도는 루손 북부 지역을 정복했다.[28]

1574년, 필리핀 총독부가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종속국으로 설립되었다. 1584년, 펠리페 2세는 마닐라 왕립 고등법원을 설립하고, 필리핀 총독부의 총독을 그 원장으로 임명했다. 총독부는 1565년부터 1595년까지는 세부에, 1595년부터 1898년까지는 마닐라에 수도를 두었다.

1784년 7월 17일 왕립 칙령에 따라 정부 재정을 관리하고 경제를 증진하기 위한 감독관(Intendencia)이 마닐라에 설립되었다.

1822년부터 모든 총독은 군인이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수많은 섬과 지구의 광대한 면적으로 인해 수많은 종속 지방 정부 사무소와 군사 정착지가 설립되었다.

세부의 라자 파티스 이후에도 스페인에 대한 저항은 멈추지 않았다.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마드리드와 마닐라 정부는 수많은 반란에 직면했고, 대부분은 성공적으로 진압했지만, 일부는 반란 지도자들과의 합의를 통해 승리했다.[21]

마닐라의 영국 점령 (1762–1764) 동안 디에고 실랑은 영국군에 의해 일로코스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암살된 후 그의 아내 가브리엘라 실랑은 일로카노족을 계속 이끌었다. 스페인 통치에 대한 저항은 민족언어학적 집단을 기반으로 지역적인 특성을 띠었다.[24]

프리메이슨은 19세기에 유럽과 아메리카에서 상당한 추종자를 얻었고 필리핀에도 전파되었다. 최초의 필리핀 메이슨 로지는 ''레볼루시온''이었으며, 그라시아노 로페스 이에나에 의해 바르셀로나에 설립되어 1889년 4월에 인정받았다. 필리핀 혁명 동안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같이 혁명을 지지했던 많은 이들이 프리메이슨이었다.

2. 1. 초기 탐험

1590년경 마닐라 갤리온이 라드로네스 제도에서 차모로인의 환영을 받는 모습 Boxer Codex


페르디난드 마젤란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길고 고된 항해 끝에 1521년 3월 6일 에 도착하여 함대의 남은 세 척의 배를 우마탁 만에 정박한 후 필리핀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막탄 전투에서 사망했다.[1] 탐험대의 기록자이자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세계 일주 항해에서 살아남은 18명의 원래 선원 중 한 명인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항해의 모든 세부 사항을 기록했다.

마젤란의 우마탁 만 상륙지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1565년 우마탁에 도착하여 괌 섬을 스페인 영토로 선언한 후 필리핀으로 향했다. 그는 짧은 기간 동안 세부, 사마르, 마자우, 레이테, 보홀을 성공적으로 스페인 제국에 편입한 후 마닐라를 정복했다.

이후(1569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스페인 본부를 세부 섬에서 파나이로 옮겼다. 그곳에서 그들은 스페인에 정복된 적은 없지만 조약, 평화 조약 및 상호 동맹을 통해 신하로서 성공한 동맹을 찾았다.[26] 1569년 6월 5일, 군도의 왕실 재무관인 귀도 데 라베사리스는 필리페 2세에게 지난 가을 세부에 대한 포르투갈의 공격에 대해 보고했다. 3일 후(6월 8일)에 작성된 또 다른 관리인 안드레스 데 미란다올라의 편지에서도 포르투갈과의 이 만남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했다. 또 다른 공격의 위험으로 인해 스페인군은 캠프를 세부에서 더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파나이로 옮겼다. 레가스피 자신도 뉴 스페인의 부왕에게 보낸 보고서(1569년 7월 1일자)에서 스페인인들이 파나이로 이주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를 언급했다.[27] 루손 정복은 파나이에서 계획되었고 1570년 5월 8일에 시작되었다.[28] 레가스피의 부사령관 두 명인 마르틴 데 고이티와 후안 데 살세도는 루손의 북부 지역을 정복했다.

2. 2. 스페인 정착과 총독부 설립

1826년경 식민지 마닐라


1574년, 필리핀 총독부가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종속국으로 설립되었다. 1584년, 펠리페 2세는 마닐라 왕립 고등법원을 설립하고, 필리핀 총독부의 총독을 그 원장으로 임명했다. 총독부는 1565년부터 1595년까지는 세부에, 1595년부터 1898년까지는 마닐라에 수도를 두었다.

광범위한 정부 개혁의 일환으로, 1784년 7월 17일 왕립 칙령에 따라 정부 재정을 관리하고 경제를 증진하기 위한 감독관(Intendencia)이 마닐라에 설립되었다. 치리아코 곤잘레스 카르바할은 마닐라 고등법원의 오이도르(Oidor)로 임명되었으며, 라플라타에서 제정된 1782년 시장 왕령을 준수하도록 지시받았다. 카르바할은 일로코스, 카마리네스, 일로일로, 세부에 더 많은 감독관 설치를 제안했고, 1786년 11월 24일에 설치되었지만, 이후 1787년 11월 20일의 왕립 칙령에 의해 폐지되었다.[2] 한 달 전인 10월 23일, 마닐라 감독관은 필리핀 총독부에 부속되었다.[3]

1822년까지 모든 총독은 민간인이었지만, 그해 이후부터는 항상 군인 중에서 선출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많은 섬과 지구의 광대한 면적으로 인해 수많은 종속 지방 정부 사무소와 군사 정착지가 설립되었다.

2. 3. 스페인 통치에 대한 저항

세부의 라자 파티스 이후에도 스페인에 대한 저항은 즉시 멈추지 않았다. 일부 원주민 필리핀 귀족들은 스페인 통치에 저항했다.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마드리드와 마닐라 정부는 전국적으로 수많은 반란에 직면했고, 대부분은 성공적으로 진압했지만, 일부는 반란 지도자들과의 합의를 통해 승리했다.[21]

스페인-모로 분쟁은 수백 년 동안 지속되었다. 19세기 마지막 4분의 1세기 동안 스페인은 민다나오와 홀로 일부 지역을 정복했고, 술루 술탄국모로 무슬림들은 공식적으로 스페인 주권을 인정했다.[22][23]

마닐라의 영국 점령 (1762–1764) 동안 디에고 실랑은 영국군에 의해 일로코스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동료 필리핀인에 의해 암살된 후 그의 아내 가브리엘라 실랑은 스페인 통치에 맞서 일로카노족을 계속 이끌었다. 스페인 통치에 대한 저항은 민족언어학적 집단을 기반으로 지역적인 특성을 띠었다.[24]

프리메이슨은 19세기에 유럽과 아메리카에서 상당한 추종자를 얻었고 필리핀에도 전파되었다. 최초의 필리핀 메이슨 로지는 ''레볼루시온''이었으며, 그라시아노 로페스 이에나에 의해 바르셀로나에 설립되어 1889년 4월에 인정받았다. 1889년 12월, 마르셀로 H. 델 필라르는 훌리오 A. 요렌테의 도움을 받아 마드리드에 ''솔리다리다드''를 설립했다. 1891년, 델 필라르는 페드로 세라노 락타우를 필리핀으로 보내 메이슨 로지를 설립하도록 했고, 락타우는 1892년 1월 6일, 필리핀 최초의 로지인 ''닐라드''를 설립했다. 최초의 필리핀 여성 프리메이슨은 로사리오 비야루엘이었다.

필리핀 혁명 동안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같이 노골적인 혁명을 지지했던 많은 이들이 프리메이슨이었으며, 개혁 운동을 추진하고 선전 활동을 수행했기 때문에 프리메이슨은 중요했다.

3. 정치

스페인은 필리핀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식민 지배 체제를 구축했다. 정치 체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스페인 식민 관료 기구[4]
정부 레벨수장설명
스페인 제국스페인 국왕왕실 후원을 통한 민사 및 정신적 권위
인디아스 평의회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1821년 멕시코 독립 후 폐지)누에바에스파냐 부왕국왕을 대신하여 누에바에스파냐 통치
마닐라의 중앙 정부총사령관
마닐라 대주교
마닐라 왕립 아우디엔시아
지방 정부
Provincia/Alcaldía Mayor주교
Alcalde Mayor (주)
Corregidor (구역)
지방 위원회 (1893–1898)
푸에블로/자치구고베르나도르실료
시장 (1893–1898)
자치구 재판소 (1893–1898)자치구 시장, 치안 부관, 경찰 부관, 들판 부관 및 가축 부관으로 구성된 자치구 의회, 이들은 모두 자치구 주민이 선출
바랑가이카베사 데 바랑가이



권력 남용을 막기 위해 ''레시덴시아''(Residencia)와 ''비시타''(Visita)라는 제도가 있었다.[31] ''비시타''는 스페인에서 파견된 ''비시타도르 헤네랄''(visitador-general)이 은밀하게 관리의 임기 중 언제든지 사전 통보 없이 실시할 수 있었다.[31]

3. 1. 중앙 정부

스페인 국왕은 인디아스 평의회를 통해 필리핀 총독에게 필리핀 통치를 위임했다. 총독은 마닐라 왕립 아우디엔시아의 수장, 육군 및 해군 사령관, 경제 계획자 등 다양한 권한을 가졌다. 그는 지방 정부의 모든 행정권을 가졌고, 선교 사업과 교회 임명을 감독했다. 총독의 연봉은 40,000페소였으며, 식민지의 충성을 보장하기 위해 보통 스페인 본토 출신 스페인인(페닌술라레스)이 임명되었다.[4]

마닐라 대주교는 군사 및 해군에 대한 종교적 권한을 가졌으며, 총독에게 조언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필리핀 교회 통치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조언했다. 마닐라 왕립 아우디엔시아는 대법원 역할 및 총독에게 조언을 제공하고, 총독 사망 시 후임자가 올 때까지 정부를 담당했다. 처음에는 4명의 판사(오이도레스), 검찰총장(피스칼), 경찰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판사와 검찰총장의 수가 늘어났다.[4]

스페인 식민지 관료 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4]

스페인 식민 관료 기구
정부 레벨수장설명
스페인 제국스페인 국왕왕실 후원을 통한 민사 및 정신적 권위
인디아스 평의회
마닐라의 중앙 정부총사령관
마닐라 대주교
마닐라 왕립 아우디엔시아


3. 2. 지방 정부

스페인 통치 시기 필리핀의 지방 정부는 여러 단계로 구성되었다. 평화로운 지역은 '알칼디아'(alcaldías)라고 불렸으며, '알칼데 마요르'(alcalde mayor)라는 지방 장관이 통치했다. 마리벨레스나 민도로와 같이 평화롭지 않은 군사 지역은 '코레히미엔토'(corregimiento)라고 불렸으며, '코레히도르'(corregidores)가 관리했다.[5]

알칼데 마요르와 코레히도르는 행정, 사법, 군사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다. 이들은 판사, 엔코미엔다 감찰관, 경찰청장, 조세 징수관, 지방 총사령관 등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심지어 부왕을 대리하기도 했다.[5] 이들의 연봉은 1847년 이전에는 300~2000페소, 1847년 이후에는 1500~1600페소 수준이었으며, '상업 면제'(indulto de commercio)라는 특권을 통해 수입을 늘릴 수 있었다.[5]

'푸에블로'(pueblo) 또는 마을은 '고베르나도르실로(Gobernadorcillo)'가 이끌었다. 고베르나도르실로는 조세 목록 작성, 징집, 공공사업 관리, 우편 업무, 사소한 민사 소송 판결 등 다양한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5] 25세 이상으로 스페인어에 능통하고 4년 이상 '카베사 데 바라가이(cabeza de barangay)'를 역임한 원주민 또는 중국계 혼혈인은 고베르나도르실로가 될 수 있었다.[5]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카윗의 고베르나도르실로였다.[6]

1893년 마우라 법이 공포되면서 필리핀 지방 정부는 개편되었다. 이 법은 지방 정부를 더욱 효과적이고 자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이후 미국과 필리핀 정부에 의해 수정 및 강화되었다.

3. 3. 바랑가이 정부

바랑가이는 더 작은 "바리오"로 세분화되었으며, 바리오 정부(마을 또는 구역)는 바리오 행정관( ''cabeza de barangay'')에게 위임되었다. 바리오 행정관은 치안 유지, 공동체 공공 사업을 위한 인력 모집, 그리고 바리오의 세금 징수 업무를 담당했다. ''카베자''는 스페인어를 읽고 쓸 줄 알아야 했으며, 훌륭한 도덕성과 재산을 소유해야 했다. 25년 동안 복무한 카베자는 강제 노동에서 면제되었다.[31]

또한, "미 바리오(Mi Barrio)"라는 정서가 처음 나타난 곳이 바로 여기다.

3. 4. 감시 제도

권력 남용을 감시하기 위해 5세기에 시작된 ''레시덴시아''(Residencia)와 ''비시타''(Visita)라는 두 가지 고대 카스티야 제도가 필리핀에 도입되었다.[31] ''비시타''는 스페인에서 파견된 ''비시타도르 헤네랄''(visitador-general)에 의해 은밀하게 수행되었으며, 관리의 임기 중 언제든지 사전 통보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 ''레시덴시아''와 달랐다.[31] ''비시타''는 특정 사안에 국한되거나 일반적인 조사가 가능했다.[31]

4. 행정 구역

18세기 후반까지 필리핀에는 24개의 주, 19개의 알칼디아 마요레스 그리고 5개의 코레히미엔토가 있었다.[7] 1893년 5월 19일, 마우라 법이 공포되면서 필리핀 국내 지방 자치 단체의 법적 기반이 구축되었다. 이 법은 당시 스페인 식민지부 장관이었던 안토니오 마우라의 이름을 딴 것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자율적인 필리핀 마을 정부를 재편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마우라 법은 이후 스페인 정부를 계승한 미국 정부와 필리핀 정부에 의해 채택, 개정, 강화될 지방 자치 단체 조직의 기틀을 마련했다.

스페인의 해외 및 인접 섬의 모든 소유물을 포함한 "사령관령"의 헌장. 1858년, 조각.


무리요 벨라르데 지도 (''필리핀 제도 수로 및 지리 지도, 국왕 폐하께 헌정, 산티아고 기사단 기병대장 D. 페르난도 발데스 타몬, 총독 및 사령관''), (마닐라, 1734)

4. 1. 18세기 행정 구역

주(알칼디아 마요레스)코레히미엔토
|

[7]

4. 2. 19세기 행정 구역

19세기 후반까지 필리핀에는 다음과 같은 행정 구역이 존재했다.

행정 구역
루손톤도, 불라칸, 팜팡가, 삼발레스, 바탄, 누에바에시하, 라유니온, 카비테, 라구나, 바탕가스, 팡가시난, 북일로코스, 남일로코스, 타야바스, 아브라, 카가얀 (바부얀 제도 포함), 이사벨라, 누에바비스카야, 알바이, 북카마리네스, 남카마리네스
민도로, 마린두케, 루방, 일린민도로
바탄바타네스
파나이카피스, 일로일로, 안티케
네그로스네그로스
사마르사마르
레이테레이테
칼라미안칼라미안
세부세부
민다나오카라가, 미사미스, 삼보앙가, 누에바기푸스코아
기타술루 제도, 홀로, 마리아나 제도 ( 섬의 아가냐에 수도), 팔라우, 오가사와라 제도, 난사 군도, 캐롤라인 제도, 마셜 제도
특별 구역벵게트, 티카오 및 마스바테, 코레히도르, 아그노의 하위 지역



1898년 필리핀 제도 행정 구역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필리핀의 스페인 통치는 종식되었지만, 행정 구역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후 태평양에 남아있던 대부분의 스페인 영토는 1899년 독일-스페인 조약을 통해 독일에 매각되었다.[1]

5. 경제

스페인 식민 통치 시기 필리핀의 경제는 마닐라 갤리온 무역과 왕립 필리핀 회사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마닐라 갤리온 무역은 1565년부터 1815년까지 250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마닐라를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을 잇는 무역 중심지로 만들었다. 중국산 비단, 몰루카 제도산 향신료, 일본칠기, 필리핀산 면직물 등이 마닐라에 모여 누에바에스파냐에서 가져온 은과 교환되었고, 다시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으로 수출되었다.[11] 이 무역을 통해 토마토, 아보카도, 구아바, 파파야, 파인애플 등의 새로운 작물과 말과 같은 동물들이 필리핀에 도입되기도 했다.[13]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는 1785년에 왕립 필리핀 회사를 설립하여 희망봉을 경유하는 무역로를 개척하려 했다.[15] 이 회사는 필리핀과 스페인 간의 직접 무역을 독점했으나, 네덜란드영국의 반발, 갤리언 무역 상인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1814년에 쇠퇴하였다.[16]

스페인은 필리핀에서 ''반달라''라고 불리는 강제 상품 징발, 관세, 소득세 등을 통해 세금을 징수했다.[18] 1884년부터는 ''세둘라 페르소날''(cedula personal)이라는 인두세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16세에서 60세 사이의 모든 필리핀 남성과 중국 이민자들은 "폴로"라고 불리는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19] 강제 노동은 도로, 다리, 공공 건물, 교회 건설 등에 투입되었으며, "폴리스타"라고 불리는 노동자들은 제대로 된 식량 배급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20]

5. 1.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 무역

마닐라는 태평양 횡단 무역의 서부 중심지였다.[8] 마닐라 갤리온은 비콜 지방카비테에서 건조되었다.[9][10] 스페인과 필리핀 간의 무역은 태평양을 거쳐 멕시코(마닐라에서 아카풀코까지)로 이어졌고, 그 다음 카리브해대서양을 건너 스페인(베라크루스에서 카디스까지)으로 이어졌다. 마닐라는 17세기와 18세기 동안 아시아 무역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중국, 일본, 브루나이, 몰루카 제도, 심지어 인도에서 온 온갖 종류의 상품들이 마닐라로 보내져 아카풀코에서 갤리온을 타고 온 은화 8 레알에 팔렸다. 이러한 상품들에는 실크, 도자기, 향신료, 칠기, 섬유 제품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후 아카풀코로 보내져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페루 부왕령, 유럽의 다른 지역으로 보내졌다.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 무역은 식민지의 초창기 주요 수입원이었다. 이 무역은 1565년에 시작되어 19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 갤리온 무역은 누에바에스파냐에서 은을 들여왔고, 이 은은 중국산 실크, 몰루카 제도산 향신료, 일본칠기, 필리핀산 직물과 같은 아시아 상품을 구매하는 데 사용되었다.[11] 이 상품들은 마닐라를 거쳐 누에바에스파냐로 수출되었고, 궁극적으로 유럽으로 수출되었다. 따라서 필리핀은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 무역을 통해 수입을 얻었다. 스페인에게 갤리온 무역은 필리핀을 자국에 묶어두는 고리였다.[12]

이 무역은 필리핀에 유익한 결과를 가져다주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영향은 불리했다.[13] 그러나 이 무역은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의 문화적, 상업적 교류를 가져왔고, 이를 통해 토마토, 아보카도, 구아바, 파파야, 파인애플과 같은 새로운 작물과 말과 같은 동물들이 필리핀에 도입되었다.[13] 이들은 식민지에 최초의 실질적인 수입을 안겨주었다. 이 무역은 200년 넘게 지속되었으며, 스페인으로부터 아메리카 식민지가 분리되기 직전인 1815년에 중단되었다.[14]

5. 2. 왕립 필리핀 회사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는 1785년 3월 10일, 25년 특허를 가진 왕립 필리핀 회사를 설립했다.[15] 이 회사는 바스크인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베네수엘라 무역 독점권을 가졌던 왕립 카라카스 기푸스코아 회사가 폐지된 후 중국 및 인도 상품을 필리핀으로 수입하고, 희망봉을 통해 스페인으로 직접 운송하는 독점권을 부여받았다. 네덜란드와 영국은 이 회사가 아시아 무역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라 보고 격렬히 반대했다. 또한 갤리언 무역 상인들도 경쟁자로 여겨 반대했다. 이로 인해 왕립 필리핀 회사는 1814년, 갤리언 무역은 1815년에 점차 쇠퇴했다.[16]

왕립 필리핀 회사의 첫 번째 선박은 후안 안토니오 자발레타 선장이 지휘한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로스 플라세레스"호였다.[17]

5. 3. 조세 제도

필리핀 도독부 시대에는 ''반달라''(타갈로그어 ''mandalâ'', 탈곡할 쌀 이삭의 둥근 더미에서 유래)라고 불리는, 쌀과 같은 재화를 강제로 매각하고 징발하는 연례 행사가 있었다. 관세소득세도 징수되었다. 1884년까지 공납은 18세 이상 모든 사람이 개인 신분증을 위해 지불해야 하는 ''세둘라 페르소날''(cedula personal)로 대체되었다.[18] 지역 ''고베르나도르실로''는 공납 징수를 담당했다. 세둘라 제도 하에서 납세자는 세금 납부에 대해 스페인 당국에 개별적으로 책임을 져야 했으며, 세둘라 영수증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즉시 체포될 수 있었다.[19]

공납을 지불하는 것 외에도 16세에서 60세 사이의 모든 필리핀 남성과 중국 이민자들은 "폴로"라고 불리는 강제 노동을 해야 했다. 이 노동은 연간 40일 동안 지속되었고, 나중에는 15일로 단축되었다. 도로와 다리 건설 및 수리, 공공 건물과 교회 건설, 숲에서 목재 벌채, 조선소에서 일하기, 군사 원정에 군인으로 복무하는 등 다양한 형태를 취했다. 강제 노동을 한 사람을 "폴리스타"라고 불렀다. 그는 돈을 지불하는 "파야"(falla)를 통해 면제될 수 있었다. 법에 따르면 폴리스타는 근무일 동안 일일 쌀 배급을 받아야 했지만, 종종 받지 못했다.[20]

6. 사회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필리핀 사회는 여러 변화를 겪었다.

6. 1. 종교

왼쪽부터 호세 리살, 마르셀로 H. 델 필라르, 마리아노 폰세.


19세기 유럽과 미국에서 확산되던 프리메이슨은 필리핀에도 전파되었다. 당시 서구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며 가톨릭 교회의 정치적 영향력 감소를 요구하는 분위기였다.

최초의 필리핀인 프리메이슨 로지는 그라시아노 로페스 이에나가 바르셀로나에 설립한 '레볼루시온'이었으나, 1889년 4월 인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해체되었다. 1889년 12월, 마르셀로 H. 델 필라르는 훌리오 A. 요렌테의 도움을 받아 마드리드에 '솔리다리다드'를 설립했다. 호세 리살, 페드로 세라노 락타우 등 여러 인물이 회원으로 참여하며 성장했다.

1891년, 델 필라르는 락타우를 필리핀으로 보내 메이슨 로지를 설립하게 했다. 락타우는 1892년 1월 6일, 필리핀 최초의 로지인 '닐라드'를 설립했다. 1893년까지 필리핀에는 35개의 메이슨 로지가 있었고, 그중 9개는 마닐라에 있었다. 로사리오 비야루엘은 최초의 필리핀 여성 프리메이슨이었다. 리잘의 누이들을 비롯한 많은 여성들이 메이슨 운동에 참여했다.

프리메이슨은 필리핀 혁명 당시 개혁 운동과 선전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를 비롯한 많은 혁명가들이 프리메이슨이었으며, 보니파시오가 카티푸난 조직 체계를 구성할 때 메이슨 구조를 참고하기도 했다.

7. 스페인-모로 분쟁

스페인-모로 분쟁은 수백 년 동안 지속되었다. 19세기 후반 스페인은 민다나오와 홀로 일부 지역을 정복했고,[21] 술루 술탄국모로 무슬림들은 공식적으로 스페인의 주권을 인정했다.[22][23]

참조

[1] 서적 Cracks in the Parchment Curtain
[2] 웹사이트 Enciclopedia GER http://www.canalsoci[...]
[3] 서적 Biblioteca de legislación ultramarina en forma de diccionario alfabético Impr. de J. M. Alegria
[4] 서적 Philippine Electoral Almanac. –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https://archive.org/[...] Presidential Communications Development and Strategic Planning Office
[5] 서적
[6] 서적 Chinese and Chinese Mestizos of Manila: Family, Identity, and Culture, 1860s–1930s https://books.google[...] BRILL
[7] 서적 Memorias históricas y estadísticas de Filipinas y particularmente de la grande isla de Luzon Imprenta del Diario de Manila
[8] 서적 Hawaiʻ Chronicles: Island History from the Pages of Honolulu Magazin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웹사이트 Astilleros: the Spanish shipyards of Sorsogon http://www.themua.or[...] Archaeology Division,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2015-10-26
[10] 간행물 The Yards at Cavite: Shipbuilding in the Early Colonial Philippines 1995-12-01
[11] 웹사이트 South East Asia Pottery – Philippines http://www.seapots.c[...]
[12] 서적 The Manila Galleon https://books.google[...] Historical Conservation Society
[13] 서적 Philippine History Module-based Learning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14] 서적 Philippines Diplomatic Handbook https://books.google[...] Int'l Business Publications
[15] 간행물 Solidarity Solidaridad Publishing House
[16] 서적
[17] 웹사이트 Rostros de piedra; biografías de un mundo perdido http://www.santelmom[...] San Telmo Museoa 2014-10-06
[18] 서적
[19] 서적
[20] 문서 Polo y Servicio https://www.studymod[...]
[21] 서적 Annual Report of the Secretary of War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1-01-29
[22] 서적 The Sulu Zone, 1768–1898: The Dynamics of External Trade, Slavery, and Ethnicity in the Transformation of a Southeast Asian Maritime State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20-08-10
[23] 서적 Colección de los tratados, convenios y documentos internacionales celebrados por nuestros gobiernos con los estados extranjeros desde el reinado de Doña Isabel II. hasta nuestros días. Acompañados de notas histórico-críticas sobre su negociación y cumplimiento y cotejados con los textos originales... https://books.google[...]
[24] 서적
[25] 문서 8月13日 - 12月10日
[26] 서적 Cracks in the Parchment Curtain
[27]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Arthur H. Clark Company
[28]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Arthur H. Clark Company
[29] 웹사이트 Enciclopedia GER http://www.canalsoci[...] 2011-07-23
[30] 서적 Biblioteca de legislación ultramarina en forma de diccionario alfabético Impr. de J. M. Alegria
[31] 서적 Philippine Electoral Almanac. –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https://archive.org/[...] Presidential Communications Development and Strategic Planning Office 2015
[32] 서적
[33] 서적 Chinese and Chinese Mestizos of Manila: Family, Identity, and Culture, 1860s–1930s https://books.google[...] BRILL
[34] 서적 Memorias históricas y estadísticas de Filipinas y particularmente de la grande isla de Luzon Imprenta del Diario de Manila
[35] 서적 Hawaiʻ Chronicles: Island History from the Pages of Honolulu Magazin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6] 웹사이트 Astilleros: the Spanish shipyards of Sorsogon http://www.themua.or[...] Archaeology Division,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2015-10-26
[37] 논문 The Yards at Cavite: Shipbuilding in the Early Colonial Philippines 1995-12-01
[38] 웹사이트 South East Asia Pottery – Philippines http://www.seapots.c[...]
[39] 서적 The Manila Galleon https://books.google[...] Historical Conservation Society
[40] 서적 Philippine History Module-based Learning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41] 서적 Philippines Diplomatic Handbook https://books.google[...] Int'l Business Publications
[42] 간행물 Solidarity Solidaridad Publishing House
[43] 서적
[44] 웹사이트 Rostros de piedra; biografías de un mundo perdido http://www.santelmom[...] San Telmo Museoa 2014-10-06
[45] 서적
[46] 서적
[47] 웹사이트 Polo y Servicio https://www.studymod[...]
[48] 서적 Annual Report of the Secretary of War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1-01-29
[49] 서적 The Sulu Zone, 1768–1898: The Dynamics of External Trade, Slavery, and Ethnicity in the Transformation of a Southeast Asian Maritime State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20-08-10
[50] 서적 Colección de los tratados, convenios y documentos internacionales celebrados por nuestros gobiernos con los estados extranjeros desde el reinado de Doña Isabel II. hasta nuestros días. Acompañados de notas histórico-críticas sobre su negociación y cumplimiento y cotejados con los textos originales... https://books.google[...]
[5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