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어 기원의 영어 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 기원의 영어 단어는 한국어에서 유래하여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영어 사전에 등재된 단어로는 재벌, 한글, 고려, 원 등이 있으며, 문화 및 무술 관련 단어로는 합기도, 기생, 온돌, 시조, 태권도 등이 있다. 음식 관련 단어로는 비빔밥, 불고기, 김치, 고추장, 소주 등이 있다. 또한, 영어 사전에 등재되지 않았지만 널리 사용되는 단어로는 전세, 만화, 먹방, 한복, 갈비, 막걸리, 무니, 주체사상, 성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초보, 강남, 고수, 한탄 바이러스, 화병, 민중 등 다양한 단어들이 한국어에서 유래하여 영어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현대, LG, 삼성, SK와 같은 한국 기업의 브랜드도 널리 알려져 있다.

2. 영어 사전에 등재된 단어

영어권의 주요 사전에 공식적으로 등재되어 사용되는 한국어 유래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일반

전세
(傳貰한국어)세입자가 보통 2년 동안 목돈을 지불하는 장기 임대 계약
고려
고려
(高麗한국어)한국의 역사적인 왕조 (참고: 한국의 명칭)
[4][5]


2. 1. 1. 재벌 (Chaebol)

'재벌'(, 재벌한국어, 財閥한국어)은 대한민국의 규모가 크고 대개 가족이 소유하는 기업 집단을 의미한다.[1][2] 이는 일본어의 '자이바츠'()와 같은 어원을 가진다.[1][2] 이 단어는 Merriam-Webster 사전[1]과 옥스퍼드 사전[2]에 등재되어 있다.

2. 1. 2. 한글 (Hangul)

영어 단어 'Hangul'은 한글을 가리키며, 한국어에서 유래했다. 한글은 15세기 조선의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 고유의 문자 체계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구조를 가져 배우기 쉬우며, 이는 한국의 높은 문해율에 기여했다.

2. 1. 3. 원 (Won)

(won, 원, 圓)은 남한북한의 기본 통화 단위이다. 메리엄-웹스터[6]와 옥스퍼드 영어 사전[7]에 등재되어 있다.

2. 2. 문화 및 무술

합기도한국어
(合氣道한국어)한국 무술[8][9]기생
기생한국어
(妓生한국어)(고어) 손님에게 술을 따르고 노래와 춤으로 즐겁게 하는 여성 연예인[10]--만화
만화한국어
(漫畫한국어)한국 만화, 카툰 및 애니메이션 스타일 (일본어 만화와 유사)----먹방
먹방한국어호스트가 청중과 상호 작용하면서 음식을 먹는 온라인 방송----온돌
온돌한국어
(溫突/溫堗한국어)바닥 난방 시스템--[11]시조
시조한국어
(時調한국어)비운율의 3행 시 (일반적으로 영어 번역본에서는 6개의 짧은 줄)[12]--태권도
태권도한국어
(跆拳道한국어)한국 무술[13][14]


2. 2. 1. 합기도 (Hapkido)

영어 단어 '''Hapkido'''는 한국어 합기도|합기도한국어(合氣道한국어)에서 유래했으며, 한국의 무술을 의미한다.[8][9] 메리엄-웹스터 사전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2. 2. 2. 기생 (Kisaeng)

기생|기생한국어(, )은 역사적으로 손님에게 술을 따르고 노래와 춤으로 즐겁게 하던 한국의 여성 예능인을 가리킨다.[10] 특히 조선 시대에는 시, 서예, 음악, 춤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능통한 이들이 많았다. 이 단어는 메리엄-웹스터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으나,[10]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2. 2. 3. 온돌 (Ondol)

온돌(溫突/溫堗)은 한국의 전통적인 바닥 난방 시스템이다.[11]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으나,[11] 메리엄-웹스터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2. 2. 4. 시조 (Sijo)

시조(Sijo)는 한국의 전통적인 정형시 양식 중 하나인 시조한국어(時調한국어), )를 영어식으로 표기한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3행으로 구성되며, 영어로 번역될 때는 종종 6개의 짧은 줄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 단어는 메리엄-웹스터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다.[12]

2. 2. 5. 태권도 (Taekwondo)

태권도는 한국어 태권도|Taekwondo한국어(跆拳道)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로, 한국 고유의 무술이다. 한국의 국기(國技)로 지정되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도 채택되었다.[13][14]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메리엄-웹스터 사전()[13]과 옥스퍼드 사전()[14] 모두에 등재되어 있다.

2. 3. 음식

한식의 세계적인 인기와 함께 여러 한국 음식 이름이 영어 단어로 자리 잡았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단어한국어 단어설명메리엄-웹스터옥스퍼드비고
비빔밥비빔밥한국어 ()볶은 채소, 고기, 계란, 고추장을 얹은 밥[15][16]하위 섹션 참조
불고기불고기한국어 ()얇게 썬 쇠고기를 양념하여 구운 요리[17][18]하위 섹션 참조
갈비갈비한국어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 갈비를 양념하여 구운 요리----
고추장고추장한국어 ()한국식 고추 페이스트[19]하위 섹션 참조
김치김치한국어 ()한국의 대표적인 채소 절임 요리[20][21]하위 섹션 참조
막걸리막걸리한국어 ()발효된 쌀로 만든 술--[22]
소주소주한국어 ()
(燒酒한국어)
보통 쌀이나 고구마로 만든 증류주[23][24]하위 섹션 참조


2. 3. 1. 비빔밥 (Bibimbap)

비빔밥( , 비빔밥한국어)은 볶은 채소, 고기, 계란, 고추장 등을 밥 위에 얹어 비벼 먹는 한국 요리이다. 이 단어는 메리엄-웹스터[15]와 옥스퍼드 영어 사전[16]에 등재되어 있다.

2. 3. 2. 불고기 (Bulgogi)

불고기는 얇게 썬 쇠고기를 양념하여 구운 한국 요리이다.[17][18] 영어 단어 'Bulgogi'는 메리엄-웹스터 사전[17]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18]에 등재되어 있다.

2. 3. 3. 김치 (Kimchi)

김치는 배추, 무 등 다양한 채소를 절여 만든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 식품이자 채소 절임 요리이다. 영어 단어 'Kimchi'는 메리엄-웹스터 사전[20]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21]에 등재되어 있다.

2. 3. 4. 고추장 (Gochujang)

고추장( gochu-jang|고추장한국어)은 고춧가루, 찹쌀, 메줏가루 등을 섞어 만든 한국 전통 장류로, '한국식 고추 페이스트'(Korean chili paste영어)로 설명된다. 메리엄-웹스터와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모두 등재되어 있다.[19]

2. 3. 5. 소주 (Soju)

소주(燒酒, )는 한국어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술 중 하나로, 보통 이나 고구마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증류주이다.[23][24] 영어 단어 'Soju'는 메리엄-웹스터 사전[23]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24]에 등재되어 있다.

3. 영어 사전에 등재되지 않았으나 널리 알려진 단어

영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아직 주요 영어 사전에 공식적으로 등재되지 않은 한국어 기원 단어들이 있다. 이러한 단어들은 한국 문화의 확산과 함께 점차 알려지고 있으며, 다음은 그 예시이다.



이 단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일반

3. 2. 문화 및 무술

3. 2. 1. 한복 (Hanbok)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국어로는 , 한복|한복한국어 또는 韓服|한복한국어으로 표기한다. 아직 메리엄-웹스터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 같은 주요 영어 사전에는 공식적으로 등재되지 않았다.

3. 3. 음식

3. 3. 1. 갈비 (Galbi)

영어 단어 'Galbi'는 한국어 갈비에서 유래했다.

3. 3. 2. 막걸리 (Makgeolli)

(원본 소스에 '막걸리'에 대한 정보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4. 이념 및 종교

한국의 정치, 사회, 종교와 관련된 개념 중 영어권에 알려져 사용되는 단어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문선명이 창시한 통일교 신자를 가리키는 무니(Moonie)[25][26], 북한의 통치 이념인 주체사상(Juche), 그리고 북한의 귀속 신분 제도인 성분(Songbun)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4. 1. 무니 (Moonie)

문선명이 창시한 통일교 신자를 가리키는 영어 단어이다. 통일교 창시자인 문선명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웹스터 사전[25]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26]에 등재되어 있다.

3. 4. 2. 주체사상 (Juche)

'Juche'는 한국어 주체사상(主體思想, 주체사상한국어, )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이는 북한의 전 지도자 김일성이 제시한 정치적 이념으로, 북한 주민이 국가 발전의 주체임을 강조한다. 주체사상은 북한의 공식적인 통치 이념이며, 자력갱생민족주의를 핵심 가치로 내세운다. 그러나 외부에서는 북한의 폐쇄적인 일당제 독재 체제를 정당화하고 김씨 일가의 권력 세습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현재 웹스터 사전이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3. 4. 3. 성분 (Songbun)

성분한국어(영어: Songbun, , 成分한국어)은 북한에서 사용되는 귀속 신분 제도이다. 개인의 직계 조상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과 친척들의 행적을 바탕으로 결정된다. 출신 성분에 따라 사회적 차별이 발생하여 인권 침해 요소가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웹스터 사전이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았다.

3. 5. 기타

초보
(初步)초심자----강남gangnam한국어
강남
(江南)2012년 싸이의 차트 1위 싱글 강남 스타일로 유명해진 서울의 지역구----고수gosu한국어
고수
(高手)뛰어난 기술을 가진 사람----한탄 바이러스한탄강
한탄강
(漢灘江)설치류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 종 (바이러스를 옮기는 설치류는 한탄강 근처에서 채집되었다.)[27][28]한타바이러스한탄강
한탄강
(漢灘江)설치류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 속 (바이러스를 옮기는 설치류는 한탄강 근처에서 채집되었다.)[29][30]화병hwabyeong한국어
화병
(火病)분출되지 못한 분노가 마음에 쌓일 때 발생하는 정신 질환----민중minjung한국어
민중
(民衆)대중 (참조: 민중 신학 및 민중 미술)----


3. 5. 1. 초보 (Chobo)

초보한국어(初步한국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영어로는 로 표기한다. 어떤 분야의 초심자를 의미한다. 아직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았다.

3. 5. 2. 강남 (Gangnam)

(江南|강남한국어)은 대한민국 서울의 한 지역구를 가리킨다. 2012년 가수 싸이의 세계적인 히트곡 ''강남 스타일''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아직 Merriam-Webster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았다.

3. 5. 3. 고수 (Gosu)

고수 (, 고수|한국어, 高手|한국어)는 한국어 '고수(高手)'에서 유래한 단어로, '뛰어난 기술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메리엄-웹스터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아직 등재되지 않았다.

3. 5. 4. 한탄 바이러스 (Hantavirus) / 한탄강 (Hantaan River)

한탄강
(漢灘江)설치류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 종 (바이러스를 옮기는 설치류는 한탄강 근처에서 채집되었다.)[27][28]한타바이러스한탄강
한탄강
(漢灘江)설치류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 속 (바이러스를 옮기는 설치류는 한탄강 근처에서 채집되었다.)[29][30]


3. 5. 5. 화병 (Hwabyeong)

화병(火病, )은 한국 특유의 문화 증후군으로 여겨지는 정신 질환의 일종이다. 주로 억울함이나 분노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마음에 쌓아둘 때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영어권의 주요 사전인 Merriam-Webster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아직 등재되지 않았다.

3. 5. 6. 민중 (Minjung)

minjung|민중한국어 (한글: 민중, 한자: 民衆)은 대중을 의미하는 한국어 단어이다. 민중 신학 및 민중 미술과 같은 용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잘 알려진 브랜드 고유명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한국 기업의 브랜드 이름들이 있다.

4. 1. 기업

대한민국의 여러 대기업 이름은 한국어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들 기업이 세계적인 규모로 성장하면서, 해당 기업의 이름 역시 영어권을 포함한 국제 사회에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게 되었다.

4. 1. 1. 현대 (Hyundai)

Hyundai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대기업 중 하나인 현대그룹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자동차, 건설, 중공업 등 다양한 사업 분야를 영위하며, 이 이름은 영어권에서도 널리 알려진 한국어 기원의 단어 중 하나이다.

4. 1. 2. LG

LG

4. 1. 3. 삼성 (Samsung)

Samsung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다국적 기업의 이름이다. 이 기업의 이름은 영어권에서도 널리 알려져 사용된다.

4. 1. 4. SK

SK

참조

[1] 웹사이트 chaebol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2] 웹사이트 chaebeol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3] 웹사이트 hangul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4] 웹사이트 Korea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5] 웹사이트 Kore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6] 웹사이트 "3won"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7] 웹사이트 won2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8] 웹사이트 hapkido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9] 웹사이트 hapkid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10] 웹사이트 kisaeng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11] 웹사이트 ondol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12] 웹사이트 sijo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13] 웹사이트 tae kwon do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14] 웹사이트 tae kwon d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15] 웹사이트 bibimbap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16] 웹사이트 bibimbap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17] 웹사이트 bulgogi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18] 웹사이트 bulgogi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19] 웹사이트 gochujang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4-15
[20] 웹사이트 kimchi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21] 웹사이트 kimchi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22] 웹사이트 makkoli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23] 웹사이트 soju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24] 웹사이트 soju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25] 웹사이트 Mooni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26] 웹사이트 Mooni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27] 웹사이트 Hantaan virus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28] 웹사이트 Hantaan viru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29] 웹사이트 hantavirus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7-01-12
[30] 웹사이트 hantaviru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