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비빔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비빔밥은 다양한 재료를 섞어 먹는 한국 전통 음식으로, 밥에 여러 가지 나물, 고기, 고추장 등을 넣어 비벼 먹는 형태를 띤다. 기원은 정확하지 않으나, 제사 음식에서 유래되었거나, 섣달 그믐에 남은 반찬을 처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 시대 문헌에 '혼돈반', '골동반'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전주비빔밥, 진주비빔밥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비빔밥은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로, 한식 세계화에 기여하며, 현대에는 퓨전 비빔밥도 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빔밥 - 전주비빔밥
  • 비빔밥 - 진주비빔밥
  • 음식에 관한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음식에 관한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국민 음식 - 에마 다치
    에마 다치는 고추와 치즈를 주재료로 하는 부탄의 전통 요리로, 티베트 요리에서 유래하여 부탄에서 발전되었으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주로 붉은 쌀과 함께 제공되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 국민 음식 - 불고기
    불고기는 얇게 썬 쇠고기를 간장 양념에 재워 굽거나 끓여 먹는 한국의 대표 음식이며, 고구려 시대 맥적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비빔밥 - [음식]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돌솥비빔밥
한국어 이름비빔밥
로마자 표기bibimbap
섞은 밥
기원
출신 국가한국
지역동아시아
관련 요리한국 요리
요리 정보
종류
변형돌솥비빔밥
전주비빔밥
진주비빔밥
통영비빔밥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ビビンバ
가타카나 표기ピビムパプ
알파벳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bibimbap
알파벳 표기 (매큔-라이샤워식)pibimpap

2. 역사

비빔밥의 기원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몇 가지 설이 존재한다. 산신제나 동신제와 같이 집 밖에서 제사를 지낼 때, 여러 사람이 그릇 하나에 이것저것 받아 섞어 먹던 풍습이나,[47][48] 제사 후 음복을 위해 여러 제찬을 섞어 비벼 먹던 것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49]

이 외에도 음력 설 전날 남은 반찬을 처리하기 위해 비빔밥을 해 먹었다는 설,[12] 농번기에 여러 사람을 위한 음식을 간편하게 준비하기 위해 비빔밥을 먹었다는 설,[13] 조선 시대에 왕에게 점심이나 간식으로 비빔밥을 올렸다는 설도 있다.[14]

조선 시대 문헌에는 비빔밥이 "혼돈반(混沌飯)",[47][48] "골동반(骨董飯)"[49] 등의 이름으로 등장한다. 19세기 말 조리서인 《시의전서》에는 "부븸밥"이라는 명칭과 함께 비빔밥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다.[46] 이규경(1788~1856)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채소, 잡채, 회, 전어, 대하, 새우젓갈, 새우알, 게장, 달래, 생오이, 김가루, 고추장, 황두 등을 넣은 다양한 비빔밥이 소개되어 있으며, 평양의 특산물로 비빔밥을 언급하기도 했다.[47][49]

20세기 후반에는 한국 문화가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비빔밥도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1] 대한항공은 국제선 기내식으로 비빔밥을 제공하여 1998년 국제여행케이터링협회(ITCA) 머큐리상 최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돌솥비빔밥은 한국에서 인기 있는 비빔밥의 한 종류이다.

2. 1. 명칭의 변천

비빔밥은 시대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혼돈반(混沌飯)', '골동반(骨董飯)', '골동(骨董)' 등으로 불렸으며,[49] 19세기 문헌에는 '브뷔음', '부빔밥', '부배반' 등의 표기가 나타난다.[48][49] 현대 한국어에서는 '비빔밥'으로 표기하며, 실제 발음은 '피빔빱'에 가깝다.

  • 조선 시대:
  • 혼돈반(混沌飯): 박지혜(1569~1635)의 《기재잡기》에 등장한다.[48][49]
  • 골동반(骨董飯): 권상일(1679~1760)의 《청대일기》, 이덕무(1741~1793)의 《청장관전서》, 이학규(1770~1835)의 《낙하생집》에 언급된다.[49]
  • 골동(骨董): 이익(1681~1764)의 《성호전집》, 이학규(1770~1835)의 《낙하생집》에 나타난다.[47][49]

  • 19세기:
  • 브뷔음: 1810년 장혼의 《몽유편》에 등장하는 한글 표기이다.[48]
  • 부빔밥(捊排飯/부배반): 1870년 《명물기략》에 따르면, 한자로는 '골동반(骨董飯)'으로 쓰지만 '부빔밥'으로 읽는다고 한다.[49]

  • 19세기 후반 ~ 현대:
  • '부뷔움밥', '부비음밥', '부뷤밥', '부븸밥', '부뷘밥', '부빔밥', '부배반', '골동반'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 한자로는 '골동반(骨董飯, 汨董飯)', '혼돈반(混沌飯)', '부배반(捊排飯)', '반유반(盤遊飯)' 등으로 표기되었다.


일부 지역 한국 요리점 등에서는 '피빔밥'이라는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3. 종류

비빔밥은 지역별 특색, 재료, 조리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전주비빔밥, 진주비빔밥 등이 유명하며, 최근에는 퓨전 비빔밥이 등장하거나, 잊혀져 가는 지방의 비빔밥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도 한다.[50][51]

일반적으로 채 썬 오이, 애호박, , 버섯, 더덕, , 시금치, 콩나물, 고사리 줄기 등을 넣으며, 두부, 상추를 넣거나, 소고기 대신 닭고기나 해산물을 넣기도 한다.[3] 채소는 인접한 색깔이 서로 보색을 이루도록 배치하며, 참기름, 고추장, 참깨를 첨가한다.[20]

식당이나 가정에서는 “보통 비빔밥”(보통 비빔밥한국어)을 흔히 볼 수 있다. 재료를 늘어놓고 손님이 직접 고를 수 있도록 하는 곳도 있으며, 육회를 올린 “육회비빔밥”, 문어나 조개 등을 올린 해산물 비빔밥, 채소를 많이 올린 채소 비빔밥, 매운 된장 양념을 얹은 된장비빔밥 등이 있다.

3. 1. 지역별 비빔밥

전주비빔밥


진주비빔밥


전주비빔밥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의 대표 음식으로, 콩나물, 황포묵, 고추장 등을 넣어 만든다. 쇠머리 육수로 밥을 짓고, 콩나물국을 곁들여 먹는 것이 특징이다. 달걀 노른자는 생으로 올라가며, 육회가 올려지기도 한다.[55] 전주에서는 매년 전주비빔밥축제도 개최한다.[23]

진주비빔밥경상남도 진주시의 향토 음식으로, 숙주나물, 해초나물, 육회 등을 놋그릇에 담아낸다. 선짓국을 곁들여 먹는다.[56] 그 모습이 아름다워 화반(花飯)이라고도 불린다.

통영비빔밥은 경상남도 통영의 비빔밥으로, 방풍초(防風草)로 만든 방풍나물과 볶은 조개를 두부에 섞어 만든 톳나물 등 10가지 이상의 나물을 넣어 만든다. 생합자와 바지락 볶은 것을 넣는 것도 특징이다.[57]

마산비빔밥은 경상남도 마산의 비빔밥으로, 미더덕조개의 육즙으로 무친 나물을 넣고 만든다.

해주비빔밥은 황해도 해주의 비빔밥으로, 닭고기, 돼지고기, 여러 채소를 볶아 밥 위에 얹고 간장으로 비벼 먹는다. 모양이 아름다워서 교반(交飯)이라고도 불렸다.

헛제삿밥경상북도 안동의 향토 음식으로, 제사 음식을 활용하여 간장으로 비벼 먹는다. 전이나 구운 생선 토막, 또는 산적을 곁들인다.

평양비빔밥은 평양의 비빔밥으로, 전주비빔밥과 유사하나 육회 대신 볶은 소고기를 사용하고 콩나물 대신 숙주나물을 사용한다.

이 외에도 꼬막비빔밥(전라남도 순천시, 벌교), 멍게젓비빔밥(거제도), 육회비빔밥(함평) 등이 있다.

3. 2. 재료 및 조리법에 따른 분류


  • 돌솥비빔밥: 돌솥에 밥과 재료를 담아내는 비빔밥으로, 뜨겁게 달궈져 밥이 눌어붙어 누룽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1]
  • 육회비빔밥: 육회를 주재료로 하는 비빔밥이다. 함평의 육회비빔밥은 여러 야채와 배, 부드러운 생고기와 매콤한 양념장이 어우러져 독특하다.
  • 회덮밥: 생선회를 넣어 만든 비빔밥이다. 틸라피아, 연어, 참치, 문어 등 다양한 생선회가 사용되며, 주로 한 가지 종류의 해산물이 들어간다. 어획량이 많은 한국 해안 지역에서 인기가 많다.
  • 산채비빔밥: 산나물을 주재료로 하는 비빔밥이다.
  • 꼬막비빔밥: 꼬막을 주재료로 하는 비빔밥으로, 전라남도 순천, 벌교 지역의 향토 음식이다. 벌교 꼬막과 무순 등을 넣고 비벼 만든다.
  • 멍게젓비빔밥: 멍게젓을 넣어 만든 비빔밥으로, 경상남도 거제도의 향토 음식이다. 멍게를 잘게 썰어 젓갈로 숙성시킨 후 밥 위에 비벼 먹는다. 고추장 대신 김가루, 깨소금, 참기름에 비벼 먹는다.[52][53][54]
  • 알밥: 생선알을 넣어 만든 비빔밥이다.
  • 닭비빔밥: 닭고기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비빔밥이다. 평안도 지방의 닭비빔밥은 삶은 닭고기를 넣고 고추장 대신 참기름에 고춧가루를 개어 넣어 칼칼하며, 닭고기와 콩나물이 들어간 닭국을 곁들여 먹는다.
  • 해주비빔밥: 황해도 해주의 비빔밥으로, 모양이 아름다워 교반(交飯)이라고 불렸다.
  • 헛제삿밥: 경상북도 안동의 향토 음식으로, 제사 음식을 평상시에 비벼 먹는 비빔밥이다. 고추장 대신 간장으로 맛을 내며, 전, 구운 생선 토막, 산적 등을 곁들인다.
  • 마산비빔밥: 경상남도 마산의 비빔밥으로, 미더덕조개 육즙으로 무친 나물을 넣고 만든다.
  • 통영비빔밥: 경상남도 통영의 비빔밥으로, 명절 차례 및 기 제사, 잔치 등에 먹는다. 방풍초(防風草) 나물, 볶은 조개와 두부를 섞어 만든 톳나물, 10가지 이상의 나물, 생합자와 바지락 볶은 것을 넣는 것이 특징이다.[57]
  • 전주비빔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의 비빔밥으로, 콩나물이 중요하다. 서목태와 좋은 물로 길러서 오래 삶아도 질감이 좋은 임실군 콩나물을 사용한다. 쇠머리 고운 물로 밥을 짓고 뜸 들일 때 콩나물을 넣으며, 달걀 노른자를 생으로 올리고 콩나물국과 함께 먹는다. 육회가 올려지기도 한다.[55]
  • 진주비빔밥: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비빔밥으로, 놋그릇에 흰밥과 다섯 가지 나물을 담고 고추장을 얹어 화반(花飯)이라고 불린다. 콩나물 대신 숙주나물을 쓰며, 해초나물과 해물보탕국을 넣고 육회를 얹는다. 선짓국을 곁들여 먹는다.[56]
  • 평양비빔밥: 전주비빔밥과 유사하지만 육회 대신 볶은 쇠고기를, 콩나물 대신 숙주나물을 사용한다.

4. 풍속

섣달 그믐날에는 그해에 먹던 반찬이 해를 넘기는 것을 꺼려하여, 남은 밥에 먹다 남은 반찬을 모두 넣고 비벼서 밤참으로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었다.[46] 비빔밥을 "헛제삿밥"이라고도 하며, 밤참을 파는 집을 "헛제삿집"이라고도 불렀다.[46] 이는 밤참을 먹는 것이 마치 제례 후에 음복을 하고 종가에서 비벼주는 밥을 먹는 듯하다는 뜻에서 붙여진 말이다. 현대에도 제사를 지내는 집에서는 음복 후에 젯메(밥)와 제삿상에 올린 , 숙채, 간납 등을 넣고 밥을 비벼 먹는 경우가 있다.[46]

농촌에서는 들밥을 준비할 때 밥과 나물을 준비하고 그릇으로 쓸 자그마한 바가지를 많이 가지고 나가면, 일꾼들이 각자 바가지에 먹을 만큼 밥을 덜고 나물과 고추장을 덜어 넣어 비벼 먹기도 하였다.[46]

5. 상징성

비빔밥 재료에는 다음과 같은 상징성이 부여되기도 한다. 각 재료의 색깔은 인체의 각 부위와 방위를 상징한다.


  • 검은색이나 어두운색: 콩팥과 북쪽을 나타낸다. 표고버섯, 고사리, 등이 있다.
  • 빨간색이나 주황색: 심장과 남쪽을 나타낸다. 고추, 당근, 대추 등이 있다.
  • 녹색: 간과 동쪽을 상징한다. 오이, 시금치 등이 있다.
  • 흰색: 폐와 서쪽을 의미한다. 숙주나물, , 밥 등이 있다.[26]

6. 현대적 의의

비빔밥은 간편하고, 저렴하며, 맛이 좋아 20세기 후반 서구 여러 국가에서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인천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많은 항공사들이 비빔밥을 기내식으로 제공하면서,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한국 요리로 인정받게 되었다.[20] 또한 비빔밥은 한국이 외국인과 다문화 전통에 대해 더욱 개방적이 됨에 따라 한국 문화의 상징으로 비한국인들에게 묘사되기도 했다.[21]

2021년 12월, 중국 지린성에서 "조선족 돌구이 비빔밥 제작 기예"를 "성급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2024년 9월, 한국 측은 이 사안을 인지하고, 관민이 함께 항의하였다.[44][45]

참조

[1]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국립국어원 2014-07-30
[1] 보도자료 http://www.korean.go[...] 2014-05-02
[2] 웹사이트 bibimbap https://en.oxforddic[...] OxfordDictionaries.com
[3] 웹사이트 Organic Vegetables Bibimbap http://www.visitseou[...]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4] 논문 Histor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bibimbap, a Korean ethnic food
[5] 웹사이트 Your pick: World's 50 best foods https://edition.cnn.[...] CNN 2017-07-12
[6] 논문 Origin names of gochu, kimchi, and bibimbap 2015
[7] 뉴스 http://news.donga.co[...] 2016-08-17
[8] 뉴스 http://weekly.hankoo[...] 2018-10-11
[9] 뉴스 http://www.foodbank.[...] 2015-10-02
[10]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11] 서적 Looking for a Mr. Kim in Seoul: A Guide to Korean Expressions https://books.google[...] Master Communications, Inc. 2007-09
[12] 웹사이트 Rice with Leftovers (1st Lunar Month) http://folkency.nfm.[...]
[13] 웹사이트 Origin of bibimbap http://koreancuisine[...]
[14] 웹사이트 Origin of Bibimbap http://koreancuisine[...] Bibimbap Globalization Foundation
[15] 서적 Limwon-sipyukji (林園十六志) Sŏul Taehakkyo Kojŏn Kanhaenghoe (서울大學校古典刊行會)
[16] 웹사이트 Bibimbap: High-nutrition All-in-one Meal http://www.clickkore[...] 한국국제교류재단
[17]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18] 웹사이트 http://jbfood.go.kr/[...]
[19] 논문 Histor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bibimbap, a Korean ethnic food 2015
[20] 논문 Does siwonhan-mat represent delicious in Korean foods?
[21] 논문 The Bibimbap Migration Theory? Challenges of Korea's Multicultural Mix and Social Integration Development 2017
[22] 논문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 locally cultivated in the Jeonju region, used for Bibimbap and Kongnamul-gukbap 2015
[23] 웹사이트 2020 전주비빔밥축제 http://www.bibimbapf[...]
[24] 웹사이트 http://korean.visitk[...]
[25] 웹사이트 Health Secret of Korea's Bibimbap, Prepared to Perfection http://english.visit[...] 2016-09-18
[26] 웹사이트 The Beginner's Guide To Bibimbap http://www.souschef.[...] Speciality Cooking Supplies Limited 2014-09-18
[27] 웹사이트 当たりの予感!「牛角監修 キムチビビンバ」日清カップメシから登場 https://ascii.jp/ele[...] 2024-05-03
[28] 웹사이트 ファミリーマート、「紅麹」使用の弁当に返金対応 「ビビンバ炒飯」など26万個対象 https://www.sankei.c[...] 2024-03-28
[29] 웹사이트 【セブン-イレブン】新発売のおむすび3選!「旨辛ビビンバおむすび」ピリ辛のコチュジャンが詰まってます https://limo.media/a[...] 2024-05-21
[30] 웹사이트 「ほっともっと」今年もやってきたアジアンフェア第一弾!甘旨ダレの牛焼肉とたっぷり野菜が混ざり合う絶妙な味わい『1/2日分の野菜が摂れる!焼肉ビビンバ』 https://prtimes.jp/m[...] 2024-03-27
[31] 웹사이트 「ビビンバ」?「ピビンパ」?「ビビンパ」? https://salon.mainic[...] 2014-01-25
[32] 웹사이트 「ビビンバ」?「ピビンパ」?「ビビンパ」? https://mainichi-kot[...] 毎日新聞 校閲センター 2019-10-26
[33] 웹사이트 グーグル検索世界1位「ビビンバ」【萬物相】 https://www.chosunon[...] 2023-12-31
[34] 웹사이트 전주비빔밥축제 2014 http://www.konest.co[...]
[35] 웹사이트 http://japanese.visi[...]
[36] 웹사이트 慶南(キョンナム)大伝統食生活文化研究院長 http://www.idomin.co[...]
[37] 웹사이트 ソウル市HP・総合観光情報・食べ物・グルメ http://japanese.seou[...]
[38] 웹사이트 韓国観光公社・グルメ・レシピ・ビビンバ http://japanese.visi[...]
[39] 웹사이트 石焼ビビンバ http://www.wowsokb.j[...]
[40] 기타 すき家のビビンバ牛丼、東京チカラメシの「ビビンバ焼き牛丼」など
[41]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料理網目調味抄 第二巻』「飯の部」「芳飯」 https://dl.ndl.go.jp[...] 1730-01
[42] 기타 江戸料理「なべ家」店主 キッコーマン 2012-09-19
[4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骨董飯』 https://dl.ndl.go.jp[...] 有朋堂 1908-12-11
[44] 웹사이트 韓国の「石焼きビビンバ」が中国の無形文化遺産?…徐坰徳教授「度を越した無理な主張」 https://japanese.joi[...] 2024-09-24
[45] 웹사이트 ‘돌솥비빔밥’ 중국 문화유산으로 지정…외교부 “단호하게 대응” https://www.chosun.c[...] 2024-09-20
[46] 웹인용 비빔밥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01-04
[47] 뉴스 [황광해의 역사속 한식]비빔밥 http://news.donga.co[...] 2019-01-04
[48] 뉴스 [이야기가 있는 맛집(344)] 비빔밥② http://weekly.hankoo[...] 2019-01-04
[49] 뉴스 비빔밥의 기록은 시의전서가 최초? http://www.foodbank.[...] 2019-01-04
[50] 웹인용 비빔밥이란 http://sanaeum.com/0[...] 2008-01-19
[51] 웹인용 지역별 비빔밥 http://www.gogung.co[...] 2007-11-17
[52] 뉴스 입 속에서 폭발하는 바다의 ‘날맛’…거제서 멍게 珍味를 찾다 http://spn.chosun.co[...] 조선일보 2007-03-14
[53] 웹사이트 거제 외도 졸복탕과 멍게 비빔밥 http://www.onlinedae[...]
[54] 뉴스 봄 먹으러 간다… 통영·거제의 봄 맛 3총사 http://spn.chosun.co[...] 조선일보 2007-03-14
[55] 웹인용 전주비빔밥 http://www.visitkore[...] 2008-01-19
[56] 웹사이트 김윤선의 약이 되는 한국음식:비빔밥 조리법과 종류 http://www.missyusa.[...]
[57] 웹사이트 통영비빔밥의 용어설명 http://jbfood.g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