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U 세계 대학 경기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SU 세계 대학 경기 대회는 1923년 시작된 국제 대학 스포츠 대회로, 2020년 FISU가 공식 명칭을 변경하면서 현재 명칭으로 불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는 서방과 동구권이 각각 대회를 개최하다가 1957년 파리 대회부터 통합되어 유니버시아드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계와 동계 대회로 나뉘어 2년마다 번갈아 개최되며, 17세 이상 28세 이하의 대학생 및 졸업생이 참가 자격을 갖는다. 대한민국은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시작으로 2003년,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했으며, 2027년에는 충청권에서 하계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니버시아드 - 대한민국 유니버시아드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유니버시아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생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76년 세계대학축구선수권대회 우승과 1991년 유니버시아드 금메달을 획득하고 준우승 4회, 3위 1회를 기록했다. - 유니버시아드 -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은 1949년 설립된 국제 대학 스포츠 기구로서, 유니버시아드와 세계 대학 선수권 대회를 주관하며 대륙별 연맹을 통해 대학 스포츠 발전을 지원하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단의 참가 금지 및 대회 취소 등의 제재를 가했다. - 195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U-20 아시안컵
AFC U-20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국제 대회이며, 1959년에 시작되어 명칭 변경을 거쳐 2023년부터 AFC U-20 아시안컵으로 개최되고, FIFA U-20 월드컵의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5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데이토나 500
매년 플로리다주 데이토나 비치에서 열리는 데이토나 500은 NASCAR 컵 시리즈의 개막전이자 가장 권위 있는 레이스 중 하나로, 약 800km를 주행하는 스톡 카 레이싱 경주이며, 리처드 페티가 최다 우승 기록을, 윌리엄 바이런이 가장 최근 우승자이다. - 국제 스포츠 대회 - 올림픽
올림픽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근대에 부활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로, 하계 및 동계 올림픽, 패럴림픽, 청소년 올림픽 등으로 나뉘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총괄하지만, 개최 비용, 정치적 이용, 도핑, 인권 문제 등의 논란이 있다. - 국제 스포츠 대회 -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회원국이 참가하는 4년 주기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 국가 간 화합과 스포츠 발전을 위해 창설되어 1980년대 이후 안정화 및 규모가 확대되었다.
| FISU 세계 대학 경기 대회 | |
|---|---|
| FISU 월드 유니버시티 게임 | |
![]() | |
| 장르 | 스포츠 행사 |
| 빈도 | 격년 |
| 조직 | FISU |
| 웹사이트 | https://www.fisu.net/fisu-events/%7Cfisu.net |
| 역사 | |
| 첫 대회 | 1959년 (여름), 1960년 (겨울) |
| 기타 정보 | |
| 관련 행사 | FISU 월드 유니버시티 챔피언십 |
2. 역사
피에르 드 쿠베르탱이 창시한 올림픽에 영향을 받아 20세기 초부터 대학생들을 위한 국제 스포츠 대회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프랑스의 장 프티장은 "대학생들의 올림픽"을 만들고자 피에르 드 쿠베르탱과 논의했고, 쿠베르탱은 긍정적이었지만 대회 명칭에 '올림픽'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19]
이후, 프티장과 국제학생연합(CIE)은 1923년 프랑스 파리에서 첫 국제대학선수권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는 1924년 하계학생세계선수권대회(Summer Student World Championships영어)로 명칭을 변경하여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되었고, 1930년 국제대학경기대회(International University Games영어)로 다시 명칭을 변경하여 1947년까지 개최되었다.[20][21] 나치 독일의 안슐루스 이후 민족사회주의 독일 학생동맹이 CIE에서 탈퇴해 1939년 8월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CIE의 국제대학경기대회와 별개로 1939년 8월 빈에서 국제대학경기대회를 개최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주요 국제 학생 스포츠 활동들은 모두 중단되었다.[2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학생 스포츠는 주최 단체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국제학생연맹(UIE)은 1947년부터 1962년까지 세계청년학생축전에 대학 스포츠 경기를 통합하여 동유럽 국가 학생들을 중심으로 대회를 개최했다.[22] 1949년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이 창설되어, 같은 해 이탈리아 메라노에서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Summer International University Sports Week영어)을 개최했다. 이 대회는 서유럽 국가 학생들을 중심으로 1955년까지 2년마다 개최되었다.[20]
1957년, 파리에서 FISU와 UIE 양측이 모두 참가하는 1957년 세계 대학 경기 대회가 열리면서 통합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 대회는 양대 기구가 아닌 중립적인 입장이었던 장 프티장과 파리 위니베르시테 클뤼브(Paris Université Club, Paris UC, PUC프랑스어)가 주관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동서유럽 국가 학생들이 함께 참가한 대회였다.
이후 FISU는 1957년 대회를 계승하여, 2년마다 대회를 개최하는 형식을 유지하며 1959년 토리노에서 첫 번째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했다. 1959년 대회에는 유럽뿐만 아니라 브라질, 일본, 미국 대학생들도 참가하여 국제적인 대학 스포츠 대회로 발돋움했으며, 참가국 증가는 유니버시아드가 전 세계 대학생들의 주요 국제 스포츠 선수권 대회가 되는 데 기여했다.[19][20]
1959년 토리노에서 열린 첫 번째 하계 유니버시아드 이후, 대회는 점차 규모가 커져 전 세계 대학생들의 스포츠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대한민국은 1997년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시작으로,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027년에는 충청권에서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할 예정이다.


2. 1. 유니버시아드 이전의 국제 대학 경기 대회
피에르 드 쿠베르탱이 창시한 올림픽의 영향을 받아, 1923년 프랑스 파리에서 국제학생연합(CIE) 주최로 제1회 국제대학선수권대회가 열렸다.[19] 이후 CIE는 대회 명칭을 여러 차례 변경하며 대회를 이어갔다. 1924년에는 하계학생세계선수권대회로,[20][21] 1930년에는 국제대학경기대회로 명칭을 변경하여 1947년까지 대회를 개최하였다.[20][2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국제 학생 스포츠 활동은 중단되었다.[20]전후, 국제학생연맹(UIE)은 세계청년학생축전에 대학 스포츠 경기를 통합하여 동유럽 국가 학생들을 중심으로 대회를 개최했다.[22] 1949년,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이 창설되어 서유럽 국가 학생들을 중심으로 메라노에서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을 개최했다.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은 1955년까지 2년마다 개최되었다.[20]
1957년, 파리에서 FISU와 UIE 양측이 모두 참가하는 1957년 세계 대학 경기 대회가 열리면서 통합의 계기가 마련되었다.[19][20] 이 대회는 양대 기구가 아닌 중립적인 입장이었던 장 프티장과 파리 위니베르시테 클뤼브(Paris Université Club, Paris UC, PUC프랑스어)가 주관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동서유럽 국가 학생들이 함께 참가한 대회였다.
195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가 시작되기 이전에 진행되었던 국제 대학 경기 대회 목록은 다음과 같다.[23]
| # | 연도 | 대회 명칭 | 주최 단체 | 주최 도시 | 주최 국가 |
|---|---|---|---|---|---|
| 1 | 1923 | 국제대학선수권대회 | CIE | 파리 | 프랑스 |
| 2 | 1924 | 하계학생세계선수권대회 | CIE | 바르샤바 | 폴란드 |
| 3 | 1927 | 하계학생세계선수권대회 | CIE | 로마 | 이탈리아 |
| 4 | 1928 | 하계학생세계선수권대회 | CIE | 파리 | 프랑스 |
| 5 | 1930 | 국제대학경기대회 | CIE | 다름슈타트 | 독일 |
| 6 | 1933 | 국제대학경기대회 | CIE | 토리노 | 이탈리아 |
| 7 | 1935 | 국제대학경기대회 | CIE | 부다페스트 | 헝가리 |
| 8 | 1937 | 국제대학경기대회 | CIE | 파리 | 프랑스 |
| 9 | 1939 | 국제대학경기대회 | CIE | 몬테카를로 | 모나코 |
| 10 | 1939 | 국제대학경기대회 | NSDStB | 빈 | 독일 |
| 11 | 1947 | 국제대학경기대회 | CIE | 파리 | 프랑스 |
| 12 | 1947 | 세계청년학생축전 | UIE | 프라하 | 체코슬로바키아 |
| 13 | 1949 | 세계청년학생축전 | UIE | 부다페스트 | 헝가리 |
| 14 | 1949 |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 | FISU | 메라노 | 이탈리아 |
| 15 | 1951 | 세계청년학생축전 | UIE | 동베를린 | 동독 |
| 16 | 1951 |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 | FISU | 룩셈부르크 | 룩셈부르크 |
| 17 | 1953 | 세계청년학생축전 | UIE |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
| 18 | 1953 |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 | FISU | 도르트문트 | 서독 |
| 19 | 1955 | 세계청년학생축전 | UIE | 바르샤바 | 폴란드 |
| 20 | 1955 |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 | FISU | 산세바스티안 | 스페인 |
| 21 | 1957 | 세계청년학생축전 | UIE | 모스크바 | 소련 |
| 22 | 1957 | 세계대학경기대회 | Paris UC | 파리 | 프랑스 |
| 23 | 1959 | 세계청년학생축전 | UIE | 빈 | 오스트리아 |

2. 2. 유니버시아드의 시작과 발전
피에르 드 쿠베르탱이 창시한 올림픽의 영향을 받아 "대학생들의 올림픽"을 만들고자 했던 프랑스의 장 프티장은 쿠베르탱과 이 বিষয়টি에 대해 논의했고, 쿠베르탱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대회 명칭에 '올림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19] 이후 프티장과 국제학생연합(CIE)은 1923년 프랑스 파리에서 제1회 국제대학선수권대회를 개최했다.이후 대회는 1924년 하계학생세계선수권대회로 명칭을 변경하여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되었고, 1930년 국제대학경기대회로 다시 명칭을 변경하여 1947년까지 개최되었다.[20][21] 나치 독일의 안슐루스 이후 민족사회주의 독일 학생동맹이 CIE에서 탈퇴하여 1939년 8월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CIE의 국제대학경기대회와 별개로 1939년 8월 빈에서 국제대학경기대회를 개최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주요 국제 학생 스포츠 활동은 중단되었다.[20]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와 국제 학생 연합의 해체, 다른 국제 대학 경기 대회 관련 단체들의 등장으로 국제 학생 스포츠는 주최 단체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947년부터 1962년까지 국제학생연맹(UIE)은 세계청년학생축전에 대학생 스포츠 경기들을 통합하여 동유럽 국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제대학경기대회를 진행했다.[22] 1949년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이 창설되었고, FISU는 그 해에 이탈리아 메라노에서 하계국제대학스포츠주간이라는 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는 1955년까지 2년마다 개최되었으며, 세계청년학생축전과는 달리 서유럽 국가 학생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20]
FISU 주관 대회와 UIE 주관 대회는 1957년 파리에서 열린 1957년 세계 대학 경기 대회를 계기로 통합될 조짐을 보였다. 이 대회는 FISU와 UIE 양 단체에 소속되지 않았던 장 프티장과 파리 위니베르시테 클뤼브가 주관했으며, 서유럽과 동유럽 국가 학생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함께 참가했다. 이후 FISU가 1957년 대회를 계승했고, 2년 주기로 대회를 개최하는 형식을 유지하며 1959년 첫 번째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했다. 1959년 대회에는 유럽뿐만 아니라 브라질, 일본, 미국의 대학생들도 참가하여 국제적인 대학 스포츠 대회로 발돋움했으며, 참가국 증가는 유니버시아드가 전 세계 대학생들의 주요 국제 스포츠 선수권 대회가 되는 데 기여했다.[19][20]
1959년 토리노에서 열린 첫 번째 하계 유니버시아드 이후, 대회는 점차 규모가 커져 전 세계 대학생들의 스포츠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대한민국은 1997년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시작으로,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027년에는 충청권에서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할 예정이다.
| 회수 | 개최 연도 | 개최지 | 개최국 |
|---|---|---|---|
| 제1회 | 1959년 | 토리노 | 이탈리아 |
| 제2회 | 1961년 | 소피아 | 불가리아 |
| 제3회 | 1963년 | 포르투알레그리 | 브라질 |
| 제4회 | 1965년 | 부다페스트 | 헝가리 |
| 제5회 | 1967년 | 도쿄 | 일본 |
| 제6회 | 1970년 | 토리노 | 이탈리아 |
| 제7회 | 1973년 | 모스크바 | 소비에트 연방 |
| 제8회 | 1975년 | 로마 | 이탈리아 |
| 제9회 | 1977년 | 소피아 | 불가리아 |
| 제10회 | 1979년 | 멕시코시티 | 멕시코 |
| 제11회 | 1981년 |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
| 제12회 | 1983년 | 에드먼턴 | 캐나다 |
| 제13회 | 1985년 | 고베 | 일본 |
| 제14회 | 1987년 | 자그레브 | 유고슬라비아 |
| 제15회 | 1989년 | 두이스부르크 | #전송 |
| 제16회 | 1991년 | 셰필드 | |
| 제17회 | 1993년 | 버펄로 | 미국 |
| 제18회 | 1995년 | 후쿠오카 | 일본 |
| 제19회 | 1997년 | 시칠리아 | 이탈리아 |
| 제20회 | 1999년 | 팔마데마요르카 | 스페인 |
| 제21회 | 2001년 | 베이징 | 중국 |
| 제22회 | 2003년 | 대구 | 대한민국 |
| 제23회 | 2005년 | 이즈미르 | 튀르키예 |
| 제24회 | 2007년 | 방콕 | 태국 |
| 제25회 | 2009년 | 베오그라드 | 세르비아 |
| 제26회 | 2011년 | 선전 | 중국 |
| 제27회 | 2013년 | 카잔 | 러시아 |
| 제28회 | 2015년 | 광주 | 대한민국 |
| 제29회 | 2017년 | 타이베이 | |
| 제30회 | 2019년 | 나폴리 | 이탈리아 |
| 제31회 | 2023년 | 청두 | 중국 |
| 제32회 | 2025년 | 라인-루르 | |
| 제33회 | 2027년 | 충청 | 대한민국 |
| 제34회 | 2029년 | 리서치 트라이앵글 | 미국 |
FISU 세계 대학 경기 대회의 참가 자격은 대회 개최 연도의 1월 1일을 기준으로 17세 이상 28세 이하의 대학생, 대학원생 및 대회 개최 직전 연도에 학위를 받은 졸업생에게 주어진다.[24]
하계 유니버시아드와 동계 유니버시아드는 2년마다 번갈아 개최된다. 2020년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은 대회 공식 명칭을 변경하였고, 2021년 하계 대회부터 'FISU 세계 대학 경기 대회'라는 명칭이 적용되었다.[25]
3. 참가 자격 및 종목
하계 대회 종목으로는 육상, 수영, 수구, 테니스, 축구, 펜싱, 농구, 배구, 체조, 유도 등이 있으며, 동계 대회 종목으로는 스키, 스케이트 등이 있다.
4. 역대 개최지 및 개최 연도
개최 종목은 최소 실시 종목과 개최 측 결정에 따른 선택 종목으로 나뉜다.
4. 1. 하계 유니버시아드
Summer Universiade영어는 1959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처음 개최되었다.[25] 2021년 중화인민공화국 청두 대회까지 총 31번의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3년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대회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취소되었다.[25] 대한민국은 2003년 대구, 2015년 광주에서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하였다. 2027년에는 충청권에서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할 예정이다.
| 대회 | 연도 | 개최국 | 개최 도시 | 비고 |
|---|---|---|---|---|
| 1회 | 1959 | 이탈리아 | 토리노 | |
| 2회 | 1961 | 불가리아 | 소피아 | |
| 3회 | 1963 | 브라질 | 포르투알레그리 | |
| 4회 | 1965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
| 5회 | 1967 | 일본 | 도쿄 | |
| 6회 | 1970 | 이탈리아 | 토리노 | |
| 7회 | 1973 | 소련 | 모스크바 | |
| 8회 | 1975 | 이탈리아 | 로마 | |
| 9회 | 1977 | 불가리아 | 소피아 | |
| 10회 | 1979 | 멕시코 | 멕시코시티 | |
| 11회 | 1981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 | |
| 12회 | 1983 | 캐나다 | 에드먼턴 | |
| 13회 | 1985 | 일본 | 고베 | |
| 14회 | 1987 | 유고슬라비아 | 자그레브 | |
| 15회 | 1989 | 서독 | 뒤스부르크 | |
| 16회 | 1991 | 영국 | 셰필드 | |
| 17회 | 1993 | 미국 | 버펄로 | |
| 18회 | 1995 | 일본 | 후쿠오카 | |
| 19회 | 1997 | 이탈리아 | 시칠리아 | |
| 20회 | 1999 | 스페인 | 팔마데마요르카 | |
| 21회 | 2001 | 중국 | 베이징 | |
| 22회 | 2003 | 대한민국 | 대구 | |
| 23회 | 2005 | 튀르키예 | 이즈미르 | |
| 24회 | 2007 | 태국 | 방콕 | |
| 25회 | 2009 | 세르비아 | 베오그라드 | |
| 26회 | 2011 | 중국 | 선전 | |
| 27회 | 2013 | 러시아 | 카잔 | |
| 28회 | 2015 | 대한민국 | 광주 | |
| 29회 | 2017 | 타이베이 | 타이베이 | |
| 30회 | 2019 | 이탈리아 | 나폴리 | |
| 31회 | 2021 | 중국 | 청두 | 2023년 개최[25] |
| 32회 | 2023 | 러시아 | 예카테린부르크 | 취소[25] |
| 32회 | 2025 | 독일 | 라인-루르 지방 | |
| 33회 | 2027 | 대한민국 | 충청권 | |
| 34회 | 2029 | 미국 | 노스캐롤라이나 |
4. 2. 동계 유니버시아드
1960년 프랑스 샤모니에서 제1회 동계 유니버시아드가 개최된 이후, 2023년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대회까지 총 31번의 대회가 열렸다.[13] 2021년 스위스 루체른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13] 대한민국은 1997년 무주·전주에서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하였다.| 대회 | 연도 | 개최국 | 개최 도시 | 개회자 | 기간 | 참가국 | 참가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종합 우승국 |
|---|---|---|---|---|---|---|---|---|---|---|
| 1 | 1960 | 프랑스 | 샤모니 | 샤를 드 골 | 2월 28일 – 3월 6일 | 16 | 151 | 5 | 13 | 프랑스 |
| 2 | 1962 | 스위스 | 빌라르 | 폴 쇼데 | 3월 6일–12일 | 22 | 273 | 6 | 12 | 독일 |
| 3 | 1964 | 체코슬로바키아 | 슈핀들레루프 믈린 | 안토닌 노보트니 | 2월 11일–17일 | 21 | 285 | 5 | 15 | 독일 |
| 4 | 1966 | 이탈리아 | 세스트리에레 | 주세페 사라가트 | 2월 5일–13일 | 29 | 434 | 6 | 19 | 소련 |
| 5 | 1968 | 오스트리아 | 인스브루크 | 프란츠 요나스 | 1월 21일–28일 | 26 | 424 | 7 | 23 | 소련 |
| 6 | 1970 | 핀란드 | 로바니에미 | 우르호 케코넨 | 4월 3일–9일 | 25 | 421 | 7 | 24 | 소련 |
| 7 | 1972 | 미국 | 레이크플래시드 | 리처드 닉슨 | 2월 26일 – 3월 5일 | 23 | 351 | 7 | 25 | 소련 |
| 8 | 1975 | 이탈리아 | 리비뇨 | 조반니 레오네 | 4월 6일–13일 | 15 | 143 | 2 | 13 | 소련 |
| 9 | 1978 | 체코슬로바키아 | 슈핀들레루프 믈린 | 구스타프 후사크 | 2월 5일–12일 | 21 | 260 | 4 | 16 | 소련 |
| 10 | 1981 | 스페인 | 하카 | 후안 카를로스 1세 | 2월 25일–3월 4일 | 28 | 394 | 5 | 19 | 소련 |
| 11 | 1983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소피아 | 토도르 지브코프 | 2월 17일–27일 | 31 | 535 | 7 | 21 | 소련 |
| 12 | 1985 | 이탈리아 | 벨루노 | 산드로 페르티니 | 2월 16일–24일 | 29 | 538 | 7 | 30 | 소련 |
| 13 | 1987 | 체코슬로바키아 | 슈트르브스케 플레소 | 구스타프 후사크 | 2월 21일–28일 | 28 | 596 | 6 | 25 | 체코슬로바키아 |
| 14 | 1989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소피아 | 토도르 지브코프 | 3월 2일–12일 | 32 | 681 | 8 | 40 | 소련 |
| 15 | 1991 | 일본 | 삿포로 | 나루히토 | 3월 2일–10일 | 34 | 668 | 8 | 45 | 일본 |
| 16 | 1993 | 폴란드 | 자코파네 | 레흐 바웬사 | 2월 6일–14일 | 41 | 668 | 8 | 36 | 일본 |
| 17 | 1995 | 스페인 | 하카 | 후안 카를로스 1세 | 2월 18일–28일 | 41 | 765 | 8 | 35 | 대한민국 |
| 18 | 1997 | 대한민국 | 무주군-전주 | 김영삼 | 1월 24일–2월 2일 | 48 | 877 | 9 | 51 | 일본 |
| 19 | 1999 | 슬로바키아 | 포프라트-비소케 타트리 | 루돌프 슈스터 | 1월 22일–30일 | 40 | 929 | 9 | 52 | 러시아 |
| 20 | 2001 | 폴란드 | 자코파네 |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 | 2월 7일–17일 | 41 | 1,007 | 9 | 52 | 러시아 |
| 21 | 2003 | 이탈리아 | 타르비시오 | 렌초 톤도 | 1월 16일–26일 | 46 | 1,266 | 10 | 59 | 러시아 |
| 22 | 2005 | 오스트리아 | 인스브루크-제펠트 | 하인츠 피셔 | 1월 12일–22일 | 50 | 1,449 | 12 | 68 | 오스트리아 |
| 23 | 2007 | 이탈리아 | 토리노 | 조지 킬리안 | 1월 17일–27일 | 48 | 1,668 | 11 | 72 | 대한민국 |
| 24 | 2009 | 중국 | 하얼빈 | 류옌둥 | 2월 18일–28일 | 44 | 1,545 | 12 | 81 | 중국 |
| 25 | 2011 | 튀르키예 | 에르주룸 | 압둘라 귈 | 1월 27일–2월 6일 | 52 | 1,593 | 11 | 66 | 러시아 |
| 26 | 2013 | 이탈리아 | 트렌티노 | 우고 로시 | 12월 11일–21일 | 50 | 1,698 | 12 | 79 | 러시아 |
| 27 | 2015 | 슬로바키아 | 슈트르브스케 플레소–오스르블리에 | 안드레이 키스카 | 1월 24일–2월 1일 | 42 | 1,546 | 11 | 68 | 러시아 |
| 스페인 | 그라나다 | 펠리페 6세 | 2월 4일–14일 | |||||||
| 28 | 2017 | 카자흐스탄 | 알마티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1월 29일 – 2월 8일 | 57 | 1,620 | 12 | 85 | 러시아 |
| 29 | 2019 | 러시아 | 크라스노야르스크 | 블라디미르 푸틴 | 3월 2일–12일 | 68 | 1,692 | 11 | 76 | 러시아 |
| 30 | 2021 | 스위스 | 루체른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
| 31 | 2023 | 미국 | 레이크플래시드[13] | 캐시 호철 | 1월 12일–22일 | 47 | 1,417 | 12 | 85 | 일본 |
| 32 | 2025 | 이탈리아 | 토리노 | 1월 13일–23일 | 11 | 96 | ||||
| 33 | 2027 | 미정 | ||||||||
| 34 | 2029 | 미정 | ||||||||
5. 한국의 유니버시아드 참가 및 성과
한국은 1967년 도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여 유니버시아드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이후 동계 대회와 하계 대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특히 1997년에는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하였으며,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였다.
한국 선수단은 역대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종합 1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5. 1. 역대 한국 선수단 주요 성적
한국은 유니버시아드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스포츠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특히,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종합 1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하였다.| 구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 하계 대회 | 121 | 86 | 78 | 285 |
| 동계 대회 | 260 | 221 | 284 | 765 |
| 총합 | 381 | 307 | 362 | 1050 |
5. 2. 유니버시아드와 한국 스포츠 발전
유니버시아드 대회는 한국 스포츠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젊은 선수들에게 국제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특히, 2002년 한일 월드컵과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 및 성공적인 개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5. 3. 유니버시아드 개최의 사회·경제적 효과
유니버시아드 대회는 개최 도시와 지역에 인프라 개선, 관광 산업 활성화, 경제적 파급 효과 등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대구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6.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FISU finalises naming system for events
https://www.insideth[...]
2021-04-19
[2]
웹사이트
Chengdu 2021 FISU World University Games postponed to 2022
https://www.fisu.net[...]
2021-04-02
[3]
웹사이트
FISU suspends Yekaterinburg hosting rights for 2023 World University Games
https://www.insideth[...]
2022-04-29
[4]
웹사이트
FISU World University Summer Games (Universiade)
https://www.fisu.net[...]
[5]
웹사이트
Lucerne 2021 Winter Universiade postponed, will not take place in January 2021
https://www.fisu.net[...]
FISU
2020-08-31
[6]
웹사이트
Lucerne 2021 Winter Universiade rescheduled for December
https://www.insideth[...]
2020-11-26
[7]
웹사이트
Omicron forces student winter games to cancel
https://www.swissinf[...]
SwissInfo
2021-11-29
[8]
서적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Games
McFarland and Company, Inc. Publishers, Jefferson, North Carolina
2003
[9]
웹사이트
World Student Games (pre-Universiade)
http://www.gbrathlet[...]
2010-12-10
[10]
웹사이트
FISU History
http://www.fisu.net/[...]
2014-12-09
[11]
웹사이트
World Student Games (UIE)
http://www.gbrathlet[...]
2014-12-09
[12]
웹사이트
North Carolina Wins Bid for 2029 FISU World University Games
https://www.sportstr[...]
2023-01-14
[13]
웹사이트
Lake Placid set to host 2023 Winter Universiade after MoU signed with FISU
https://www.insideth[...]
2018-03-06
[14]
웹사이트
FISUワールドユニバーシティゲームズ
https://www.joc.or.j[...]
2023-01-14
[15]
뉴스
今夏のワールドユニバーシティゲームズが新型コロナの影響で来年に延期/国際大学スポーツ連盟が発表
https://www.rikujyok[...]
月刊陸上競技
[16]
간행물
Lucerne 2021 Winter Universiade no longer taking place
https://www.fisu.net[...]
국제대학스포츠연맹
2021-11-29
[17]
웹사이트
SPORTS
http://www.fisu.net/[...]
FISU
2015-01-29
[18]
웹인용
FISU finalises naming system for events
https://www.insideth[...]
2023-08-18
[19]
서적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Games
https://archive.org/[...]
McFarland
2003
[20]
웹인용
World Student Games (pre-Universiade)
http://www.gbrathlet[...]
2023-08-21
[21]
웹인용
FISU History
https://www.fisu.net[...]
2023-08-21
[22]
웹인용
World Student Games (UIE)
http://www.gbrathlet[...]
2023-08-21
[23]
문서
[24]
웹사이트
유니버시아드 소개
http://www.gwangju20[...]
[25]
웹인용
FISU World University Games
https://www.fisu.net[...]
2022-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