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개 접근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구개 접근음은 활음 또는 반모음으로 불리며, 혀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나는 소리이다. 한국어의 'ㅑ', 'ㅒ', 'ㅕ', 'ㅖ', 'ㅛ', 'ㅠ'와 같은 소리에 해당하며,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후경구개 접근음과 같이 변이음이 존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경구개음 -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은 혀 앞부분과 경구개 사이에서 혀 중앙의 틈새로 기류를 내보내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 '힘'의 'ㅎ', 일본어 '히'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 접근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접근음 - 무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경구개 접근음 | |
---|---|
일반 정보 | |
이름 | 경구개 접근음 |
영어 이름 | Voiced palatal approximant |
일본어 이름 | 硬口蓋接近音 (こうこうがいせっきんおん) |
음성 정보 | |
IPA 기호 | j |
IPA 번호 | 153 |
10진수 | 106 |
X-SAMPA | j |
브라유 | j |
특징 | |
조음 방법 | 접근음 |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발성 | 유성음 |
기류 메커니즘 | 폐장기류음 |
추가 정보 | |
관련 항목 | 구개음화 (음성학) |
예시 (후아스테코어) | j̟ |
2. 조음 방법
경구개 접근음의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기류: 폐 기류 기구로부터의 호기를 사용한다.
- 발성: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유성음이다.
- 조음 위치: 혀 앞부분과 경구개에 의한 경구개음이다.
- 조음 방법:
- 구강 내 기류: 혀 중앙의 틈새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마찰이 생길 정도는 아닌 좁힘에서 생기는 접근음이다.
- 연구개 위치: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이 접근음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활음'' 또는 ''반모음''이다. ''활음''이라는 용어는 j가 i 모음 위치에서 다음 모음 위치로 이동하는 (또는 '활주하는') 특징을 강조한다. ''반모음''이라는 용어는 이 소리가 본질적으로 모음성이지만 '음절적'이지 않다는 점(음절의 핵을 형성하지 않음)을 강조한다.[9]
스페인어에서는 j와 ʝ̞ 두 가지 경구개 접근음이 구별된다. j는 둥글지 않은 접근음 반모음이고, ʝ̞는 둥글림이 지정되지 않은 접근음 자음이다. j는 더 짧고 일시적인 소리이며, 음절 시작 부분에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ʝ̞는 진폭이 더 낮고, 주로 F2에서 낮으며, 음절 시작 부분에서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j는 둥글게 될 수 없는 반면, ʝ̞는 후설 모음 또는 후설 반모음 앞에서 둥글게 된다.[9]
일부 언어에는 '''후경구개 접근음'''도 있는데, 이는 전형적인 경구개 접근음보다 약간 뒤에서 조음되지만, 전형적인 연구개 접근음보다는 앞에서 조음된다. 이는 중설 비원순 고모음 ɨ의 반모음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9]
3. 음성적 특징
경구개 접근음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활음' 또는 '반모음'이다. '활음'이라는 용어는 가 모음 위치에서 다음 모음 위치로 이동하는 (또는 '활주하는') 특징을 강조한다. '반모음'이라는 용어는 이 소리가 본질적으로 모음성이지만 '음절적'이지 않다는 점(음절의 핵을 형성하지 않음)을 강조한다.[9] 예를 들어 스페인어에서 사용되는 '접근 자음' 변형에 대한 설명은 상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그 외에는 동일한 후경구개 변이가 경구개 뒤쪽에서 약간 발음되어, 연구개 접근음에 약간 더 가깝게 들린다.[9]
4. 언어별 사용 예시
경구개 접근음은 많은 언어에서 나타나는 자음이다.
=== 한국어 ===
한국어에서 경구개 접근음은 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의 첫 자음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여섯'은 여섯|yósót한국어으로 표기되며, 발음은 [jʌsʌt̚]이다. 한국어 음운론 참고.
=== 그 외 언어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아디게어 | ятӀэ|야테ady | [jatʼa] | '흙' | ||
아프리칸스어 | ja|야af | [jɑː] | '예' | 아프리칸스어 음운론 참고 | |
아랍어 (표준 아랍어) | يوم|야움ar | [jawm] | '날' | 아랍어 음운론 참고 | |
아라곤어 | caye|카예an | [ˈkaʝ̞e̞] | '떨어진다' | 둥근 접근 자음은 지정되지 않음; 이 언어는 또한 둥글지 않은 구개 접근 반모음을 특징으로 함(/ʝ̞/가 /e/ 앞에 올 수 있음). | |
아르메니아어 (동아르메니아어) | յուղ|유그hy | [juʁ] | '지방' | ||
아삼어 | মানৱীয়তা|마노위요타as | [manɔwijɔta] | '인류' | ||
아시리아 신 아람어 | [jaːma] | '바다' | |||
아제르바이잔어 | [juχu] | '꿈' | |||
바스크어 | bai|바이eu | [baj] | '예' | ||
벵골어 | নয়ন|노욘bn | [nɔjon] | '눈' | 벵골어 음운론 참고 | |
불가리아어 | майка|마이카bg | [ˈmajkɐ] | '어머니' | 불가리아어 음운론 참고 | |
카탈루냐어 | 모든 방언 | feia|페이아ca | [ˈfejɐ] | '내가 했다' | 카탈루냐어 음운론 참고 |
일부 방언 | jo|요ca | [ˈjɔ] | '나' | ||
체첸어 | ялх|얄흐ce | [jalx] | '여섯' | ||
중국어 | 광둥어 | 日|얏yue | [jɐt˨ʔ] | '날' | 광둥어 음운론 참고 |
만다린어 | 鸭|야중국어 | [ja˥] | '오리' | 만다린어 음운론 참고 | |
추바슈어 | йывăç|이븨시cv | [jɯʋəɕ̬] | '나무' | ||
체코어 | je|예cs | [jɛ] | '이다' | 체코어 음운론 참고 | |
덴마크어 | jeg|얘da | [jɑ] | '나' | 덴마크어 음운론 참고 | |
네덜란드어 (표준) | ja|야nl | [jaː] | '예' | 강조된 말에서 마찰음 []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음.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고 | |
영어 | you|유영어 | [juː] | '당신' | 영어 음운론 참고 | |
에스페란토 | jaro|야로eo | [jaro] | '년' | 에스페란토 음운론 참고 | |
에스토니아어 | jalg|얄그et | [ˈjɑlɡ] | '다리' | 에스토니아어 음운론 참고 | |
핀란드어 | jalka|얄카fi | [ˈjɑlkɑ] | '다리' | 핀란드어 음운론 참고 | |
프랑스어 | yeux|유프랑스어 | [jø] | '눈' | 프랑스어 음운론 참고 | |
독일어 (표준 독일어) | Jacke|야케de | [ˈjäkə] | '재킷' | 마찰음 [] 및 마찰음과 접근음 사이의 가변음으로 묘사됨.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고 | |
그리스어 | 고대 그리스어 | εἴη|에이예grc | [ějːɛː] | '그/그녀가 올 것이다' | 고대 그리스어 음운론 참고 |
히브리어 | ילד|옐레드he | [ˈjeled] | '아이' |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고 | |
힌두스탄어 | यान|얀hi | [jäːn] | '차량' | 힌두스탄어 음운론 참고 | |
헝가리어 | játék|야테크hu | [jaːteːk] | '게임' | 헝가리어 음운론 참고 | |
아일랜드어 | ghearrfadh|얘르허흐ga | [ˈjɑːɾˠhəx] | '잘라낼 것이다' | 아일랜드어 음운론 참고 | |
잉구쉬어 | ялат|얄라트inh | ['jalat] | '곡물' | 잉구쉬어 음운론 참고 | |
이탈리아어 | ione|이오네it | [ˈjoːne] | '이온' | 이탈리아어 음운론 참고 | |
할라파 마사텍어 | 무성 , 평범한 유성 및 성문화된 유성 접근음을 대조한다. | ||||
일본어 | 焼く|야쿠일본어 | [jaku͍] | '굽다' | 일본어 음운론 참고 | |
카바르다어 | йи|이kbd | [ji] | '게임' | ||
카자흐어 | Яғни|야그니kk | [jaʁni] | '그래서' | ||
크메르어 | យំ|욤km | [jom] | '울다' | 크메르어 음운론 참고 | |
라틴어 | iacere|야케레la | [ˈjakɛrɛ] | '던지다' | 라틴어 철자법 및 발음 참고 | |
리투아니아어 | ji|이lt | [jɪ] | '그녀' | 마찰음 로도 묘사된다. 리투아니아어 음운론 참고 | |
마케도니아어 | крај|크라이mk | [kraj] | '끝' |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고 | |
말레이어 | sayang|사양ms | [sajaŋ] | '사랑' | ||
몰타어 | jiekol|예콜몰타어 | [jɪɛkol] | '그는 먹는다' | ||
마푸체어 | kayu|카유arn | [kɜˈjʊ] | '여섯' | 마찰음 일 수 있다. | |
마라티어 | यश|야쉬mr | [jəʃ] | '성공' | ||
네팔어 | याम|얌ne | [jäm] | '계절' | 네팔어 음운론 참고 | |
노르웨이어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 | gi|이no | [jiː] | '주다' | 마찰음 일 수 있다.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고 | |
오디아어 | ସମୟ|사마야or | [sɔmɔjɔ] | '시간' | ||
페르시아어 | یزد|야즈드fa | [jæzd] | '야즈드' |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고 | |
폴란드어 | jutro|유트로pl | [ˈjut̪rɔ] | '내일' | 폴란드어 음운론 참고 | |
포르투갈어[10] | boia|보이아pt | [ˈbɔjɐ] | 부표, '뜨다' | 와 의 동소리, [11] 일부 방언에서 코다 자음 앞에서 매우 흔한 첨가음.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고 | |
펀자브어 | ਯਾਰ|야르pa | [jäːɾ] | '친구' | ||
루마니아어 | iar|야르ro | [jar] | '다시' |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고 | |
러시아어 | яма|야마ru | [ˈjämə] | '구덩이' | 러시아어 음운론 참고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 [jûɡ] | '남'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고 | |
슬로바키아어 | jesť|예스티sk | [jɛ̝sc] | '먹다' | 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참고 | |
슬로베니아어 | jaz|야스sl | [ˈjʌ̂s̪] | '나' | ||
스페인어 | ayer|아예르es | [aˈʝ̞e̞ɾ] | '어제' | 둥근 접근 자음은 지정되지 않음; 이 언어는 또한 둥글지 않은 구개 접근 반모음을 특징으로 함. 스페인어 음운론 참고 | |
스웨덴어 | jag|야그sv | [ˈjɑːɡ] | '나' | 구개 마찰음 로 실현될 수 있다. 스웨덴어 음운론 참고 | |
타갈로그어 | maya|마야tl | [ˈmajɐ] | '참새' | ||
타밀어 | யானை|야나이ta | [ˈjaːnaɪ] | '코끼리' | ||
텔루구어 | యాతన|야타나te | [jaːtana] | '고통' | ||
튀르키예어 | yol|욜tr | [jo̞ɫ̪] | '길' | 튀르키예어 음운론 참고 | |
투르크멘어 | ýüpek|유페크tk | [jypek] | '실크' | ||
우비흐어 | ајәушқӏa/ајәушқӏa|아예우시캬uby | '당신이 그것을 했다' | 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 ||
우크라이나어 | їжак|이좍uk | [jiˈʒɑk] | '고슴도치' |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고 | |
베트남어 (남부 방언) | de|데vi | [jɛ] | '계피' | 북부 에 해당한다. 베트남어 음운론 참고 | |
와쇼어 | dayáʔ|다야was | [daˈjaʔ] | '잎' | 무성 와 유성 접근음을 대조한다. | |
웨일스어 | iaith|야이흐cy | [jai̯θ] | '언어' | 웨일스어 음운론 참고 | |
서프리지아어 | jas|야스fy | [jɔs] | '코트' | 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고 | |
틸키아판 사포텍어 | 'y'an | [jaŋ] | '목' |
4. 1. 한국어
한국어에서 경구개 접근음은 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의 첫 자음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여섯'은 여섯|yósót한국어으로 표기되며, 발음은 [jʌsʌt̚]이다. 한국어 음운론 참고.4. 2. 그 외 언어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아디게어 | ятӀэ|야테ady | '흙' | |||
아프리칸스어 | ja|야af | [jɑː] | '예' | 아프리칸스어 음운론 참고 | |
아랍어 | 표준 아랍어 | يوم|야움ar | [jawm] | '날' | 아랍어 음운론 참고 |
아라곤어 | caye|카예an | [ˈkaʝ̞e̞] | '떨어진다' | 둥근 접근 자음은 지정되지 않음; 이 언어는 또한 둥글지 않은 구개 접근 반모음을 특징으로 함(/ʝ̞/가 /e/ 앞에 올 수 있음). | |
아르메니아어 | 동아르메니아어 | յուղ|유그hy | [juʁ] | '지방' | |
아삼어 | মানৱীয়তা|마노위요타as | [manɔwijɔta] | '인류' | ||
아시리아 신 아람어 | [jaːma] | '바다' | |||
아제르바이잔어 | [juχu] | '꿈' | |||
바스크어 | bai|바이eu | [baj] | '예' | ||
벵골어 | নয়ন|노욘bn | [nɔjon] | '눈' | 벵골어 음운론 참고 | |
불가리아어 | майка|마이카bg | [ˈmajkɐ] | '어머니' | 불가리아어 음운론 참고 | |
카탈루냐어 | 모든 방언 | feia|페이아ca | [ˈfejɐ] | '내가 했다' | 카탈루냐어 음운론 참고 |
일부 방언 | jo|요ca | [ˈjɔ] | '나' | ||
체첸어 | ялх|얄흐ce | [jalx] | '여섯' | ||
중국어 | 광둥어 | 日|얏yue | [jɐt˨ʔ] | '날' | 광둥어 음운론 참고 |
만다린어 | 鸭|야중국어 | [ja˥] | '오리' | 만다린어 음운론 참고 | |
추바슈어 | йывăç|이븨시cv | [jɯʋəɕ̬] | '나무' | ||
체코어 | je|예cs | [jɛ] | '이다' | 체코어 음운론 참고 | |
덴마크어 | jeg|얘da | [jɑ] | '나' | 덴마크어 음운론 참고 | |
네덜란드어 | 표준 | ja|야nl | [jaː] | '예' | 강조된 말에서 마찰음 []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음.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고 |
영어 | you|유영어 | [juː] | '당신' | 영어 음운론 참고 | |
에스페란토 | jaro|야로eo | [jaro] | '년' | 에스페란토 음운론 참고 | |
에스토니아어 | jalg|얄그et | [ˈjɑlɡ] | '다리' | 에스토니아어 음운론 참고 | |
핀란드어 | jalka|얄카fi | [ˈjɑlkɑ] | '다리' | 핀란드어 음운론 참고 | |
프랑스어 | yeux|유프랑스어 | [jø] | '눈' | 프랑스어 음운론 참고 | |
독일어 | 표준 | Jacke|야케de | [ˈjäkə] | '재킷' | 마찰음 [] 및 마찰음과 접근음 사이의 가변음으로 묘사됨.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고 |
그리스어 | 고대 그리스어 | εἴη|에이예grc | [ějːɛː] | '그/그녀가 올 것이다' | 고대 그리스어 음운론 참고 |
히브리어 | ילד|옐레드he | [ˈjeled] | '아이' |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고 | |
힌두스탄어 | यान|얀hi | [jäːn] | '차량' | 힌두스탄어 음운론 참고 | |
헝가리어 | játék|야테크hu | [jaːteːk] | '게임' | 헝가리어 음운론 참고 | |
아일랜드어 | ghearrfadh|얘르허흐ga | [ˈjɑːɾˠhəx] | '잘라낼 것이다' | 아일랜드어 음운론 참고 | |
잉구쉬어 | ялат|얄라트inh | ['jalat] | '곡물' | 잉구쉬어 음운론 참고 | |
이탈리아어 | ione|이오네it | [ˈjoːne] | '이온' | 이탈리아어 음운론 참고 | |
할라파 마사텍어 | 무성 , 평범한 유성 및 성문화된 유성 접근음을 대조한다. | ||||
일본어 | 焼く|야쿠일본어 | [jaku͍] | '굽다' | 일본어 음운론 참고 | |
카바르다어 | йи|이kbd | [ji] | '게임' | ||
카자흐어 | Яғни|야그니kk | [jaʁni] | '그래서' | ||
크메르어 | យំ|욤km | [jom] | '울다' | 크메르어 음운론 참고 | |
한국어 | 여섯|여섯한국어 | [jʌsʌt̚] | '여섯' | 한국어 음운론 참고 | |
라틴어 | iacere|야케레la | [ˈjakɛrɛ] | '던지다' | 라틴어 철자법 및 발음 참고 | |
리투아니아어 | ji|이lt | [jɪ] | '그녀' | 마찰음 로도 묘사된다. 리투아니아어 음운론 참고 | |
마케도니아어 | крај|크라이mk | [kraj] | '끝' |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고 | |
말레이어 | sayang|사양ms | [sajaŋ] | '사랑' | ||
몰타어 | jiekol|예콜몰타어 | [jɪɛkol] | '그는 먹는다' | ||
마푸체어 | kayu|카유arn | [kɜˈjʊ] | '여섯' | 마찰음 일 수 있다. | |
마라티어 | यश|야쉬mr | [jəʃ] | '성공' | ||
네팔어 | याम|얌ne | [jäm] | '계절' | 네팔어 음운론 참고 | |
노르웨이어 | 도시 동부 | gi|이no | [jiː] | '주다' | 마찰음 일 수 있다.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고 |
오디아어 | ସମୟ|사마야or | [sɔmɔjɔ] | '시간' | ||
페르시아어 | یزد|야즈드fa | [jæzd] | '야즈드' |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고 | |
폴란드어 | jutro|유트로pl | [ˈjut̪rɔ] | '내일' | 폴란드어 음운론 참고 | |
포르투갈어[10] | boia|보이아pt | [ˈbɔjɐ] | 부표, '뜨다' | 와 의 동소리, [11] 일부 방언에서 코다 자음 앞에서 매우 흔한 첨가음.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고 | |
펀자브어 | ਯਾਰ|야르pa | [jäːɾ] | '친구' | ||
루마니아어 | iar|야르ro | [jar] | '다시' | 루마니아어 음운론 참고 | |
러시아어 | яма|야마ru | [ˈjämə] | '구덩이' | 러시아어 음운론 참고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 [jûɡ] | '남'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고 | |
슬로바키아어 | jesť|예스티sk | [jɛ̝sc] | '먹다' | 슬로바키아어 음운론 참고 | |
슬로베니아어 | jaz|야스sl | [ˈjʌ̂s̪] | '나' | ||
스페인어 | ayer|아예르es | [aˈʝ̞e̞ɾ] | '어제' | 둥근 접근 자음은 지정되지 않음; 이 언어는 또한 둥글지 않은 구개 접근 반모음을 특징으로 함. 스페인어 음운론 참고 | |
스웨덴어 | jag|야그sv | [ˈjɑːɡ] | '나' | 구개 마찰음 로 실현될 수 있다. 스웨덴어 음운론 참고 | |
타갈로그어 | maya|마야tl | [ˈmajɐ] | '참새' | ||
타밀어 | யானை|야나이ta | [ˈjaːnaɪ] | '코끼리' | ||
텔루구어 | యాతన|야타나te | [jaːtana] | '고통' | ||
튀르키예어 | yol|욜tr | [jo̞ɫ̪] | '길' | 튀르키예어 음운론 참고 | |
투르크멘어 | ýüpek|유페크tk | [jypek] | '실크' | ||
우비흐어 | ајәушқӏa/ајәушқӏa|아예우시캬uby | '당신이 그것을 했다' | 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 ||
우크라이나어 | їжак|이좍uk | [jiˈʒɑk] | '고슴도치' |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고 | |
베트남어 | 남부 방언 | de|데vi | [jɛ] | '계피' | 북부 에 해당한다. 베트남어 음운론 참고 |
와쇼어 | dayáʔ|다야was | [daˈjaʔ] | '잎' | 무성 와 유성 접근음을 대조한다. | |
웨일스어 | iaith|야이흐cy | [jai̯θ] | '언어' | 웨일스어 음운론 참고 | |
서프리지아어 | jas|야스fy | [jɔs] | '코트' | 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고 | |
사포텍어 | 틸키아판 사포텍어 | 'y'an | [jaŋ] | '목' |
참조
[1]
논문
Huasteco Intonations and Phonemes
1949
[2]
서적
El idioma huasteco de Xiloxuchil, Veracruz
Instituto Nacional de Antropolog'ia e Historia
1984
[3]
웹사이트
UPSID HUASTECO
http://web.phonetik.[...]
2023-12-30
[4]
웹사이트
Simple UPSID interface
http://web.phonetik.[...]
2023-12-30
[5]
서적
Pattern of Sou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Updating UPSID
Department of Linguistics, UCLA
1990
[7]
논문
Huastec sound inventory (UPSID)
http://phoible.org/i[...]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8]
웹사이트
PHOIBLE 2.0 - Consonant j̟
https://phoible.org/[...]
2023-12-30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