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는 경상남도 내에 있는 유형문화재 중 201호부터 300호까지 지정된 목록을 설명한다. 이 목록은 조선시대 향교와 서원, 사찰, 건축물, 유적, 불교 문화재, 문집 및 서적, 기타 유물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를 포함한다. 이 중에는 화재로 소실되거나, 다른 문화재로 지정되어 해제된 경우도 있으며,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승격된 경우도 있다.

2.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목록 (제201호 ~ 제300호)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는 향교서원이 있었다.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201호의령향교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15길 301982년 8월 2일
205호양산향교경남 양산시1982년 8월 2일
206호거제향교경남 거제시 거제면 기성로7길 101982년 8월 2일
211호함안향교경남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 1319-21983년 8월 6일
212호창녕향교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442-11983년 8월 6일
213호영산향교경남 창녕군 영산면 교리 521983년 8월 6일
214호밀양향교경남 밀양시 교동1983년 8월 6일
217호김해향교경남 김해시 가락로 150번길 211983년 8월 6일
218호통영향교경남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 945-21983년 8월 6일
219호고성향교경남 고성군1983년 8월 12일
220호사천향교경남 사천시 사천읍 선인리1983년 8월 12일
221호곤양향교경남 사천시 곤양면 송전리1983년 8월 12일
222호남해향교경남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 5861983년 8월 12일
223호하동향교경남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1983년 8월 12일
224호산청향교경남 산청군 산청읍 중앙로59번길 20-5 (지리)1983년 8월 6일
225호함양향교경남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7931983년 8월 12일
226호안의향교경남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148-21983년 8월 12일
227호초계향교경남 합천군 초계면 교촌3길 18-41983년 8월 12일
228호합천향교경남 합천군 야로면 향교길 17-31983년 8월 12일
229호삼가향교경남 합천군 삼가면 소오2길 24-21983년 8월 12일
230호거창향교경남 거창군1983년 8월 6일
234호합천 구음재경남 합천군 가회면 신등가회로 671-481983년 8월 12일
235호합천 봉서정·도촌별묘경남 합천군 봉산명 압곡1길 441983년 8월 12일
237호산청 도천서원 신안사재경남 산청군 신안면 문익점로 34-32 (신안리)1983년 8월 24일
243호밀양 월연정경남 밀양시 용평동 627-1711985년 1월 14일
262호창녕 금호재경남 창녕군 대합면 대동리 2651988년 12월 23일
264호합천 추본사·명곡사경남 합천군 야로면 정대2길 111988년 12월 23일
264-1호합천 추본사경남 합천군 야로면 정대2길 111988년 12월 23일
264-2호합천 명곡사경남 합천군 야로면 정대2길 111988년 12월 23일
295호거창 갈천서당경남 거창군 북상면 갈계 10731993년 12월 27일
297호밀양 혜산서원경남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 6071994년 7월 4일


2. 1. 건축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는 향교와 서원이 있었다.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201호의령향교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15길 301982년 8월 2일
205호양산향교경남 양산시1982년 8월 2일
206호거제향교경남 거제시 거제면 기성로7길 101982년 8월 2일
211호함안향교경남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 1319-21983년 8월 6일
212호창녕향교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442-11983년 8월 6일
213호영산향교경남 창녕군 영산면 교리 521983년 8월 6일
214호밀양향교경남 밀양시 교동1983년 8월 6일
217호김해향교경남 김해시 가락로 150번길 211983년 8월 6일
218호통영향교경남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 945-21983년 8월 6일
219호고성향교경남 고성군1983년 8월 12일
220호사천향교경남 사천시 사천읍 선인리1983년 8월 12일
221호곤양향교경남 사천시 곤양면 송전리1983년 8월 12일
222호남해향교경남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 5861983년 8월 12일
223호하동향교경남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1983년 8월 12일
224호산청향교경남 산청군 산청읍 중앙로59번길 20-5 (지리)1983년 8월 6일
225호함양향교경남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7931983년 8월 12일
226호안의향교경남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148-21983년 8월 12일
227호초계향교경남 합천군 초계면 교촌3길 18-41983년 8월 12일
228호합천향교경남 합천군 야로면 향교길 17-31983년 8월 12일
229호삼가향교경남 합천군 삼가면 소오2길 24-21983년 8월 12일
230호거창향교경남 거창군1983년 8월 6일
234호합천 구음재경남 합천군 가회면 신등가회로 671-481983년 8월 12일
235호합천 봉서정·도촌별묘경남 합천군 봉산명 압곡1길 441983년 8월 12일
237호산청 도천서원 신안사재경남 산청군 신안면 문익점로 34-32 (신안리)1983년 8월 24일
243호밀양 월연정경남 밀양시 용평동 627-1711985년 1월 14일
262호창녕 금호재경남 창녕군 대합면 대동리 2651988년 12월 23일
264호합천 추본사·명곡사경남 합천군 야로면 정대2길 111988년 12월 23일
264-1호합천 추본사경남 합천군 야로면 정대2길 111988년 12월 23일
264-2호합천 명곡사경남 합천군 야로면 정대2길 111988년 12월 23일
295호거창 갈천서당경남 거창군 북상면 갈계 10731993년 12월 27일
297호밀양 혜산서원경남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 6071994년 7월 4일


2. 1. 1. 향교 및 서원

wikitext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는 향교와 서원이 있었다.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201호의령향교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15길 301982년 8월 2일 지정
205호양산향교경남 양산시1982년 8월 2일 지정
206호거제향교경남 거제시 거제면 기성로7길 101982년 8월 2일 지정
211호함안향교경남 함안군 함안면 봉성리 1319-21983년 8월 6일 지정
212호창녕향교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442-11983년 8월 6일 지정
213호영산향교경남 창녕군 영산면 교리 521983년 8월 6일 지정
214호밀양향교경남 밀양시 교동1983년 8월 6일 지정
217호김해향교경남 김해시 가락로 150번길 211983년 8월 6일 지정
218호통영향교경남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 945-21983년 8월 6일 지정
219호고성향교경남 고성군1983년 8월 12일 지정
220호사천향교경남 사천시 사천읍 선인리1983년 8월 12일 지정
221호곤양향교경남 사천시 곤양면 송전리1983년 8월 12일 지정
222호남해향교경남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 5861983년 8월 12일 지정
223호하동향교경남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1983년 8월 12일 지정
224호산청향교경남 산청군 산청읍 중앙로59번길 20-5 (지리)1983년 8월 6일 지정
225호함양향교경남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7931983년 8월 12일 지정
226호안의향교경남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148-21983년 8월 12일 지정
227호초계향교경남 합천군 초계면 교촌3길 18-41983년 8월 12일 지정
228호합천향교경남 합천군 야로면 향교길 17-31983년 8월 12일 지정
229호삼가향교경남 합천군 삼가면 소오2길 24-21983년 8월 12일 지정
230호거창향교경남 거창군1983년 8월 6일 지정
234호합천 구음재경남 합천군 가회면 신등가회로 671-481983년 8월 12일 지정
235호합천 봉서정·도촌별묘경남 합천군 봉산명 압곡1길 441983년 8월 12일 지정
237호산청 도천서원 신안사재경남 산청군 신안면 문익점로 34-32 (신안리)1983년 8월 24일 지정
262호창녕 금호재경남 창녕군 대합면 대동리 2651988년 12월 23일 지정
264호합천 추본사·명곡사경남 합천군 야로면 정대2길 111988년 12월 23일 지정
295호거창 갈천서당경남 거창군 북상면 갈계 10731993년 12월 27일 지정
297호밀양 혜산서원경남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 6071994년 7월 4일 지정


2. 1. 2. 사찰

양산 통도사 용화전(제204호)은 1982년 8월 2일에 지정되었으며,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위치하고 통도사에서 관리한다.

김해 은하사 대웅전(제238호)은 1983년 7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김해시 신어산길 167에 위치하고 은하사에서 관리한다.

양산 통도사 안양암 북극전(제247호)은 1985년 11월 14일에 지정되었으며,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위치하고 통도사에서 관리한다.

통영 용화사 보광전(제249호)은 1985년 11월 14일에 지정되었으며, 통영시 봉평동 404에 위치하고 용화사에서 관리한다.

양산 통도사 천왕문(제250호)은 1985년 11월 14일에 지정되었으며, 양산시 통도사로 108 (하북면, 통도사)에 위치하고 통도사에서 관리한다.

150px


양산 통도사 관음전(제251호)은 1985년 11월 14일에 지정되었으며, 양산시 통도사로 108 (하북면, 통도사)에 위치하고 통도사에서 관리한다.

150px


양산 통도사 불이문(제252호)은 1985년 11월 14일에 지정되었으며, 양산시 통도사로 108 (하북면, 통도사)에 위치하고 통도사에서 관리한다.

150px


해인사 대적광전(제256호)은 1985년 11월 14일에 지정되었으며,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에 위치하고 해인사에서 관리한다.

2. 1. 3. 기타 건축물

150px

  • 창녕 객사(昌寧 客舍)는 1983년 8월 12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22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창녕군에서 관리한다.

  • 합천 구음재(陜川 龜陰齋)는 1983년 8월 12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합천군 가회면 신등가회로 671-48에 위치하고 있다. 윤두현이 관리한다.

  • 합천 봉서정·도촌별묘(陜川 鳳棲亭·陶村別廟)는 1983년 8월 12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합천군 봉산면 압곡1길 44에 위치하고 있다. 창녕조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 밀양 월연정(密陽 月淵亭)은 1985년 1월 14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밀양시 용평동 627-171에 위치하고 있다. 여주이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 함양 함화루(咸陽 咸化樓)는 1986년 8월 6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349-1에 위치하고 있다. 함양군에서 관리한다.

  • 창녕 금호재(昌寧 琴湖齋)는 1988년 12월 23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창녕군 대합면 대동리 265에 위치하고 있다. 이헌덕이 관리한다.


150px

  • 창원 이승만 전대통령 별장 및 정자(昌原 李承晩 前大統領 別莊 및 亭子)는 1990년 1월 16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창원시 진해구 현동 7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해군8237부대에서 관리한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독재와 부정선거로 민주주의를 훼손한 인물로 평가된다.

  • 거창 무릉리 정씨고가(居昌武陵里鄭氏古家)는 1992년 10월 21일에 지정되었으며, 경남 거창군에 위치하고 있다. 정성환이 관리한다.

2. 2. 유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44호 진해현 관아 및 객사 유지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에 있으며, 1985년 11월 14일에 지정되었다. 제288호 삼천포 매향암각은 사천시 향촌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3년 1월 8일에 지정되었다. 제291호 합천 외토리 쌍비는 합천군 삼가면에 위치하며, 1993년 1월 8일에 지정되었다. 이 유적들은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과 관련되어 있다.

2. 3. 불교 문화재

wikitext

==== 불상 ====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9호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은 경남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 산61-1에 위치하며, 산청군에서 관리한다. 1982년 8월 2일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6호 진주 고산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경남 진주시 수곡면 곤수로514번길 107에 위치하며, 한산사에서 관리한다. 1983년 8월 12일에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거창 고견사 석조여래입상은 경남 거창군에 위치하며, 고견사에서 관리한다. 1988년 12월 23일에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0호 하동 금오산 마애여래좌상은 경남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 산100-3에 위치하며, 하동군에서 관리한다. 1993년 1월 8일에 지정되었다.


==== 불화 ====

밀양 표충사 고승진영 및 팔상도(제268호)는 1990년 1월 16일 지정되었다. 표충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사명대사를 비롯한 여러 고승들의 진영은 인물 묘사가 뛰어나고, 팔상도는 섬세한 필치와 화려한 색채가 돋보인다.

양산 통도사 자장율사 진영(제276호)은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통도사를 창건한 자장율사의 진영으로,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꼿꼿한 자세와 날카로운 눈매에서 율사의 강직한 성품이 느껴진다. 진보적인 관점에서 볼 때, 자장율사는 불교를 통해 신라의 사회 통합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양산 통도사 자장율사 진영


양산 통도사 삼화상 진영(제277호)은 통도사에 보관된 자장율사, 원효대사, 의상대사의 진영이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세 고승은 모두 신라 불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로, 특히 원효대사는 불교 대중화에 힘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진영들은 조선 후기 불화 양식을 따르면서도 각 인물의 개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양산 통도사 팔금강도(제278호)는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금강역사를 그린 불화이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통도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역동적인 자세와 화려한 색채가 특징이며, 불교의 수호신앙을 잘 보여준다.
양산 통도사 팔금강도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신중탱(제279호)은 불법을 수호하는 신들을 그린 신중탱이다. 통도사 대광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 신중탱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다양한 신들의 모습과 화려한 장식이 눈길을 끈다. 불교의 다양한 신앙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양산 통도사 가경원년명 오계수호신장도(제281호)는 1796년(가경 원년)에 제작된 오계 수호신장도이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오계를 지키는 신장들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불교의 윤리 의식을 강조하는 그림이다. 조선 후기 불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양산 통도사 가경원년명 오계수호신장도


==== 석탑 ====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陜川 海印寺 三層石塔)은 1985년 11월 14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로 지정되었다. 해인사 대적광전 앞에 위치해 있으며,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안정감 있고 균형미가 뛰어나며, 각 부분의 조각 또한 정교하다.

합천 해인사 석등(陜川 海印寺 石燈)은 1985년 11월 14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5호로 지정되었다. 해인사 대적광전 앞에 위치한 석등으로,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과 함께 해인사의 대표적인 석조 유물 중 하나이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시대 석등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 기타 불교 유물 ====

진주 청곡사 괘불함(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1호)은 불화를 걸 때 사용하는 함이다. 1988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청곡사에서 관리한다.

통영 안정사 연 및 금송패(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4호)는 안정사에서 관리한다. 연 1점과 금송패 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연은 왕이나 왕비, 왕세자가 타는 가마이고, 금송패는 사찰림의 도벌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패이다. 안정사는 임진왜란 때 승병 훈련소로 사용되었고, 사명대사가 승군을 지휘했던 곳으로,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는 유물이다. 안정사는 친일 논란이 있는 사찰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에 적극 가담한 주지가 있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2. 3. 1. 불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9호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은 경남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 산61-1에 위치하며, 산청군에서 관리한다. 1982년 8월 2일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6호 진주 고산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경남 진주시 수곡면 곤수로514번길 107에 위치하며, 한산사에서 관리한다. 1983년 8월 12일에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거창 고견사 석조여래입상은 경남 거창군에 위치하며, 고견사에서 관리한다. 1988년 12월 23일에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0호 하동 금오산 마애여래좌상은 경남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 산100-3에 위치하며, 하동군에서 관리한다. 1993년 1월 8일에 지정되었다.

2. 3. 2. 불화

밀양 표충사 고승진영 및 팔상도(제268호)는 1990년 1월 16일 지정되었다. 표충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사명대사를 비롯한 여러 고승들의 진영은 인물 묘사가 뛰어나고, 팔상도는 섬세한 필치와 화려한 색채가 돋보인다.

양산 통도사 자장율사 진영(제276호)은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통도사를 창건한 자장율사의 진영으로,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꼿꼿한 자세와 날카로운 눈매에서 율사의 강직한 성품이 느껴진다. 진보적인 관점에서 볼 때, 자장율사는 불교를 통해 신라의 사회 통합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양산 통도사 삼화상 진영(제277호)은 통도사에 보관된 자장율사, 원효대사, 의상대사의 진영이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세 고승은 모두 신라 불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로, 특히 원효대사는 불교 대중화에 힘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진영들은 조선 후기 불화 양식을 따르면서도 각 인물의 개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양산 통도사 팔금강도(제278호)는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금강역사를 그린 불화이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통도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역동적인 자세와 화려한 색채가 특징이며, 불교의 수호신앙을 잘 보여준다.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신중탱(제279호)은 불법을 수호하는 신들을 그린 신중탱이다. 통도사 대광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 신중탱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다양한 신들의 모습과 화려한 장식이 눈길을 끈다. 불교의 다양한 신앙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양산 통도사 가경원년명 오계수호신장도(제281호)는 1796년(가경 원년)에 제작된 오계 수호신장도이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오계를 지키는 신장들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불교의 윤리 의식을 강조하는 그림이다. 조선 후기 불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2. 3. 3. 석탑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陜川 海印寺 三層石塔)은 1985년 11월 14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로 지정되었다. 해인사 대적광전 앞에 위치해 있으며,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안정감 있고 균형미가 뛰어나며, 각 부분의 조각 또한 정교하다.

합천 해인사 석등(陜川 海印寺 石燈)은 1985년 11월 14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5호로 지정되었다. 해인사 대적광전 앞에 위치한 석등으로,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과 함께 해인사의 대표적인 석조 유물 중 하나이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시대 석등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2. 3. 4. 기타 불교 유물

진주 청곡사 괘불함(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1호)은 불화를 걸 때 사용하는 함이다. 1988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청곡사에서 관리한다.

통영 안정사 연 및 금송패(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4호)는 안정사에서 관리한다. 연 1점과 금송패 9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 연은 왕이나 왕비, 왕세자가 타는 가마이고, 금송패는 사찰림의 도벌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패이다. 안정사는 임진왜란 때 승병 훈련소로 사용되었고, 사명대사가 승군을 지휘했던 곳으로,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는 유물이다. 안정사는 친일 논란이 있는 사찰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에 적극 가담한 주지가 있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2. 4. 문집 및 서적

1982년 8월 2일 지정된 김인섭 단계일기(제207호)는
150px
와 같다. 같은 날 지정된 김인섭 단계문집 목판(제208호)이 있다.

1982년 8월 2일 지정된 윤선 추담문집 목판 및 윤탁 구산문집 목판(제210호)은 윤선의 추담문집 목판과 윤탁의 구산문집 목판으로 구성된다.

1983년 8월 12일 지정된 권도 동계문집 목판(제233호)은
150px
와 같다.

1983년 12월 20일 지정된 이천경 일신당문집 및 필첩 목판(제240호)이 있다.

1985년 1월 14일 지정된 하진 태계문집 목판(제241호)과 주재성 국담문집 목판(제242호)이 있다.

1985년 1월 14일 지정된 이보흠 대전실기 목판 및 교지(제246호)가 있다.

1985년 11월 14일 지정된 송정렴 존양재문집 목판(제248호)이 있다.

1985년 11월 14일 지정된 차운혁 쌍청당실기 목판(제257호)이 있다.

1986년 8월 6일 지정된 화산세고 목판(제259호)이 있다.

1987년 5월 19일 지정된 윤주하 교우문집 목판(제260호)이 있다.

1994년 7월 4일 지정된 손조서 격재문집 목판(제298호)이 있다.

창녕 물계서원 목판은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에 있는 목판이다.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66호 '''창녕 물계서원 목판'''(한자: 昌寧 勿溪書院 木板)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창녕 물계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목판으로 우계 성혼의 문집을 비롯하여 7종 1,029판이다. 목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례부췌 목판(家禮附贅 木板)은 조선시대의 목판이다.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금포리에 있으며, 안재우가 관리하고 있다.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는 1861년(철종 12)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의 전통 지도이다. 22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첩은 가로 20cm, 세로 30cm 크기이다. 대동여지도는 당시의 지도 제작 기술과 지리 정보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독도를 비롯한 한국 영토를 정확하게 표기하여 한국의 영토 주권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경상남도 거창군에 소재한 거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90년 1월 16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로 지정되었다.

2. 4. 1. 개인 문집 및 목판

1982년 8월 2일 지정된 김인섭 단계일기(제207호)는 |150px]]와 같다. 같은 날 지정된 김인섭 단계문집 목판(제208호)이 있다.

1982년 8월 2일 지정된 윤선 추담문집 목판 및 윤탁 구산문집 목판(제210호)은 윤선의 추담문집 목판과 윤탁의 구산문집 목판으로 구성된다.

1983년 8월 12일 지정된 권도 동계문집 목판(제233호)은 |150px]]와 같다.

1983년 12월 20일 지정된 이천경 일신당문집 및 필첩 목판(제240호)이 있다.

1985년 1월 14일 지정된 하진 태계문집 목판(제241호)과 주재성 국담문집 목판(제242호)이 있다.

1985년 1월 14일 지정된 이보흠 대전실기 목판 및 교지(제246호)가 있다.

1985년 11월 14일 지정된 송정렴 존양재문집 목판(제248호)이 있다.

1985년 11월 14일 지정된 차운혁 쌍청당실기 목판(제257호)이 있다.

1986년 8월 6일 지정된 화산세고 목판(제259호)이 있다.

1987년 5월 19일 지정된 윤주하 교우문집 목판(제260호)이 있다.

1994년 7월 4일 지정된 손조서 격재문집 목판(제298호)이 있다.

2. 4. 2. 서원 관련 목판

창녕 물계서원 목판은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에 있는 목판이다.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66호 '''창녕 물계서원 목판'''(한자: 昌寧 勿溪書院 木板)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창녕 물계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목판으로 우계 성혼의 문집을 비롯하여 7종 1,029판이다. 목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2. 4. 3. 기타 목판

가례부췌 목판(家禮附贅 木板)은 조선시대의 목판이다.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금포리에 있으며, 안재우가 관리하고 있다.

2. 4. 4. 서적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는 1861년(철종 12)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의 전통 지도이다. 22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첩은 가로 20cm, 세로 30cm 크기이다. 대동여지도는 당시의 지도 제작 기술과 지리 정보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독도를 비롯한 한국 영토를 정확하게 표기하여 한국의 영토 주권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경상남도 거창군에 소재한 거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90년 1월 16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로 지정되었다.

2. 5. 기타 유물

wikitext

2. 5. 1. 사명대사 관련 유물

표충사는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큰 공을 세운 사명 유정(1544~1610)과 관련된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이 유물들은 조선시대 불교사와 임진왜란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사명 유정의 호국 정신을 기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밀양 표충사 사명대사 관련 교지(제269호): 선조가 사명 유정에게 내린 교지이다. 선조는 사명 유정의 공로를 치하하고,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 교지를 내렸다. 사명 유정은 임진왜란 당시 혁혁한 공을 세웠을 뿐 아니라, 전란 이후 일본과의 강화 교섭에서 뛰어난 외교적 역량을 발휘하여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사명 유정은 민족의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밀양 표충사 양국대장 사령 깃발(제270호): 임진왜란 때 사명 유정이 사용했던 깃발로, 조선과 명나라 양국의 대장임을 상징한다. 당시 사명 유정은 조선 의승군과 명나라 군대를 지휘하며 왜적에 맞서 싸웠으며, 이 깃발은 그의 리더십과 용맹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특히 사명 유정의 승병 활동은 임진왜란 극복에 큰 기여를 했으며, 그의 호국 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 밀양 표충사 송운대사 분충서난록 목판(제271호): 사명 유정의 행적과 임진왜란 관련 내용을 기록한 책의 목판이다. 사명 유정의 충성심과 임진왜란 극복을 위한 노력을 담고 있으며,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전해준다. 이 목판은 사명 유정의 애국심과 불교 정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밀양 표충사 제영록 목판(제272호): 표충사에 관련된 시문을 모아 놓은 책의 목판이다. 표충사의 역사와 사명 유정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당시 문인들의 사명 유정에 대한 존경심을 엿볼 수 있다. 이 목판은 표충사의 역사와 사명 유정의 위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밀양 표충사 사명집 목판(제273호): 사명 유정의 시문집 목판이다. 사명 유정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그의 뛰어난 문장력과 깊이 있는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 목판은 사명 유정의 사상과 문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밀양 표충사 사명대사 일본상륙행렬도팔곡병(제274호): 사명 유정이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건너가 외교 활동을 펼치는 모습을 그린 8폭 병풍이다. 사명 유정의 당당한 기개와 외교적 능력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당시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사명 유정은 뛰어난 외교술로 일본과의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조선 포로 송환 등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냈다.

  • 밀양 표충사 유물(제293호): 표충사에 소장된 여러 유물들을 총칭한다. 사명 유정 관련 유물 외에도 표충사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물들은 표충사의 역사와 사명 유정의 업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2. 5. 2. 기타

하동 금남사 이색 초상(제232호)은 경남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 위치한 금남사에 있으며, 1983년 8월 6일에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의 문신인 이색의 초상화이다.

의령 향약사창계 절목(제285호)은 경남 의령군에 있으며, 1991년 12월 23일에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향약과 사창계에 관한 자료이다.

하동 경충사 정기룡 유품(제286호)은 경남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 821에 위치한 경충사관리회에서 관리하며, 1991년 12월 23일에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무신 정기룡 장군의 유품이다. 임진왜란 당시 큰 공을 세운 정기룡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중요하다.

밀양 탁삼재 유물(제289호)은 경남 밀양시 산내면 봉의리 554에 위치한 김녕김씨종중에서 관리하며, 1993년 1월 8일에 지정되었다.

고성 옥천사 소장품(제299호)은 경남 고성군에 위치한 옥천사에 있으며, 1994년 7월 4일에 지정되었다. 옥천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교 관련 유물들이다.

함양 노진 신도비(제300호)는 경남 함양군 지곡면 평촌리 산32에 위치한 풍천노씨문중에서 관리하며, 1994년 7월 4일에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 문신인 노진의 신도비이다.

창녕 이장곤 묘 석상(제296호)은 경남 창녕군 대합면 대동리 산6에 위치하며 이헌덕외 2명이 관리하고, 1994년 7월 4일에 지정되었다. 조선 전기의 문신 이장곤의 묘에 있는 석상이다.

산청 척화비(제294호)는 경남 산청군 산청읍 꽃봉산로79번길 43 (산청리)에 위치한 산청초등학교에 있으며, 1993년 12월 27일에 지정되었다. 산청초등학교 내에 있는 척화비이다.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을 상징하는 역사적 유물로, 당시 조선의 대외 정책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150px

3. 해제된 문화재

2014년 6월 26일 해제,
보물 제1826호로 승격된 통도사 영산전이 있다.1983년 8월 12일 지정되었던 기장향교(제215호)는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9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같은 날 지정되었던 언양향교(제216호)는 1997년 10월 9일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1983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던 언양현호적대장(제239호) 또한 1997년 10월 9일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1985년 11월 14일 지정되었다가 1996년 5월 29일 해제되고 보물 제1242호로 승격된 해인사길상탑이 있다.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02년 10월 19일 해제되고 보물 제1353호로 승격된 통도사영산전영산회상도가 있다.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11년 4월 28일 해제되고 보물 제1692호로 승격된 안정사괘불이 있다.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11년 4월 28일 해제되고 보물 제1699호로 승격된 안정사범종이 있다.기장척화비(제292호)는 1993년 12월 27일 지정되었으나,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1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


3. 1. 지정 해제

1982년 8월 2일 지정되었던 노전암 대웅전(제202호)은 2014년 8월 7일 화재로 전소되어 해제되었다. 1983년 8월 12일 지정되었던 기장향교(제215호)는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9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 같은 날 지정되었던 언양향교(제216호)는 1997년 10월 9일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 1983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던 언양현호적대장(제239호) 또한 1997년 10월 9일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 기장척화비(제292호)는 1993년 12월 27일 지정되었으나,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1호로 재지정되면서 해제되었다.

3. 2. 보물 승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양산 통도사 영산전(통도사 영산전)은 1982년 8월 2일 지정되었다가 2014년 6월 26일 해제되고 보물 제1826호로 승격되었다. 제253호 합천 해인사 길상탑(해인사 길상탑)은 1985년 11월 14일 지정되었다가 1996년 5월 29일 해제되고 보물 제1242호로 승격되었다. 제280호 통도사 영산회상탱(통도사 영산회상탱)은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02년 10월 19일 해제되고 보물 제1353호로 승격되었다. 제282호 안정사 괘불(안정사 괘불)은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11년 4월 28일 해제되고 보물 제1692호로 승격되었다. 제283호 안정사 범종(안정사 범종)은 1990년 12월 20일 지정되었다가 2011년 4월 28일 해제되고 보물 제1699호로 승격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