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수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수산업은 국가의 군사 활동을 지원하는 산업으로, 무기 및 군사 장비를 생산하며, 육상, 해상, 항공우주 시스템,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품목을 포함한다. 19세기 후반 현대 무기 산업이 시작된 이래, 군수산업은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세계 각국의 군사력 증강에 기여했다. 20세기 냉전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의 무기 경쟁으로 급성장했으며, 냉전 종식 이후에는 군수 산업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시스템 통합업체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국제 무기 거래는 국가 간의 정치적, 경제적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군비 통제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주요 무기 수입국이자 수출국으로서 국제 무기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수산업 - 무기고
    무기고는 무기, 탄약, 군수품 등을 보관하고 제조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영국과 프랑스 등 여러 지역에 존재했다.
  • 군수산업 - 탄약창
    탄약창은 탄약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시설이며, 넓은 면적과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탄약 수송을 위한 철도가 인접하기도 하고,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탄약지원사령부에서 관리하며, 분쟁 위험이 높은 지역을 비유하기도 한다.
  • 군산 복합체 - 미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는 미국의 군정 및 군령을 총괄하는 행정 기관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을 산하에 두고 합동참모본부와 통합전투사령부를 통해 군사 작전을 지휘하며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펜타곤에 본부를 두고 있다.
  • 군산 복합체 - 전략방위구상
    전략방위구상(SDI)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발표한 소련의 핵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미국을 방어하기 위한 다층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 계획이었으나, 기술적·재정적 문제, 윤리적 문제 등으로 비판받으며 냉전 종식과 함께 사실상 종료되었지만 미사일 방어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군수산업
지도
개요
산업 분야무기 및 군사 기술, 장비 제조
관련 산업항공우주 산업
전자 산업
재료 공학
기계 공학
화학 산업
토목 공학
주요 활동
연구 및 개발새로운 무기 시스템 및 기술 개발
제조무기 및 장비 대량 생산
무기 판매 및 수출국내 및 국제 시장에 무기 판매
유지 보수 및 수리군사 장비 유지 보수 및 수리 서비스 제공
생산 제품
무기 종류소화기
탄약
미사일
폭탄
군용 항공기
군함
장갑차
탱크
군사 장비레이더
통신 장비
전자전 장비
야간 투시경
군복
특징
높은 기술 요구고급 기술 및 전문 지식 요구
정부 주도정부 계약 및 규제 영향
정치적 영향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에 영향
주요 기업
대표적인 기업록히드 마틴
레이시온
보잉
노스롭 그루먼
제너럴 다이내믹스
BAE 시스템즈
탈레스 그룹
레오나르도 S.p.A.
경제적 영향
경제적 기여고용 창출
기술 발전
수출 증대
문제점전쟁 및 갈등 조장
자원 낭비
윤리적 문제
국제적 동향
군비 지출 증가세계적인 군비 지출 증가 추세
기술 경쟁 심화첨단 무기 개발 경쟁 심화
국제 무기 거래 증가국가 간 무기 거래 증가 추세
윤리적 문제
논쟁점군사적 갈등 및 전쟁 확대 가능성
무기 사용으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사회적 비용 발생
무기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의 윤리적 문제
무기 확산 및 통제 문제
관련 단체
연구 기관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
소형무기 감시(Small Arms Survey)

2. 역사

근대 초기, 영국, 프랑스, 스웨덴, 네덜란드는 무기 생산에서 자급자족하게 되었고, 숙련된 노동자들이 포르투갈, 러시아 등으로 이주하면서 기술이 확산되었다.

현대 무기 산업은 19세기 후반, 최초의 대규모 군산복합체 기업들이 창설되고 확장되면서 등장했다. 러시아일본 같은 소규모 국가나 신흥 산업 국가들은 자체 자원만으로 최첨단 군사 장비를 생산할 수 없게 되자, 외국 정부 군 당국에 군사 장비 제조 계약을 체결하기 시작했다.

1854년 영국 정부는 엘즈윅 조병창(Elswick Ordnance Company)에 최신식 장전 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민간 부문을 무기 생산으로 이끌었고, 잉여 생산품은 외국으로 수출되었다. 윌리엄 암스트롱은 브라질부터 일본까지 전 세계 정부에 무기 체계를 판매하는 최초의 국제 무기상 중 한 명이 되었다.[6] 1884년 그는 전함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엘즈윅(Elswick)에 조선소를 열었는데, 당시 전함을 건조하고 완전히 무장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공장이었다.[7] 이 공장은 일본 제국 해군을 포함한 외국 해군에 전함을 생산했으며, 암스트롱 순양함 여러 척은 1905년 쓰시마 해전에서 러시아 함대를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61년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은 남군보다 약 10배의 생산 능력을 보유했다. 이러한 우위에는 후장식 소총을 상대적으로 소량 생산하여 남군의 전장식 라이플 머스켓에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되었다. 이는 개틀링 건과 같은 산업적으로 생산된 기계화 무기로의 전환을 시작했다.[8]

프로이센은 1864년, 1866년, 1870~71년에 각각 덴마크, 오스트리아, 프랑스를 패배시키는 데 이러한 방위 산업의 혁신을 채택했다. 이 무렵 기관총이 무기고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기관총의 효과에 대한 최초의 사례는 1899년 보어 전쟁과 1905년 러일 전쟁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독일이 무기 혁신을 주도했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러한 우위로 연합군을 거의 패배시킬 뻔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포탄 충전 공장의 포탄 더미


1885년 프랑스는 무기 수출 금지령을 폐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까지의 기간에 대한 규제 체계는 무기 수출에 거의 장애가 되지 않는 자유방임 정책으로 특징지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대학살로 인해 무기상들은 "죽음의 상인"으로 여겨지기 시작했고, 무기 판매로 이익을 얻기 위해 전쟁을 선동하고 지속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영국에서 이러한 주장에 대한 조사에서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쟁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의 변화는 정부가 스스로 무역을 통제하고 규제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20세기 동안 무기 거래량은 크게 증가했고, 특히 미국소련이 전 세계, 특히 제3세계 국가(닉슨 독트린 참조)의 대리인들에게 무기를 공급했던 냉전 기간 동안 정치적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9]

2. 1. 한국의 군수산업 역사

한국의 군수산업은 한국 전쟁 이후 자주국방의 필요성에 따라 육성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미국의 군사 원조에 의존하였으나,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국산 무기 개발에 착수하여 현재는 상당한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특히, K-9 자주포, K-2 흑표 전차, FA-50 경공격기 등은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아 해외 수출에도 성공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핵심 부품 및 기술의 해외 의존, 방산 비리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3. 주요 품목

군수산업은 군대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제조하거나 군대에 판매하여 이윤을 얻는 기업들을 통칭한다. 군수산업은 미사일, 군용기, 함선, 전차, 대포, 로켓포, 기관총 등의 무기·총기류와 그에 사용되는 탄약 및 군용 전자장비, 지뢰, 수류탄, 군복과 병사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장비, 더 나아가 군대가 일상 업무에 사용하는 자재, 모포, 연료, 식량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판매한다.

AK 시리즈(AK-47)는 다른 어떤 화기보다도 더 많이 생산되었으며 전 세계의 분쟁에서 사용되었다.


국제앰네스티, 옥스팜 등의 단체는 2003년에 6억 3,900만 정이 넘는 소규모 무기가 유통되고 있으며, 98개국 이상에 본사를 둔 1,135개가 넘는 기업이 소규모 무기와 다양한 부품 및 탄약을 생산한다고 추산했다.[11]

육상 및 해군 항공 기반의 군용 항공기, 일반 미사일, 군사 위성을 포함하는 분야는 시장에서 가장 기술적으로 앞선 분야이다. 또한 경제적 관점에서 경쟁이 가장 적은 분야이기도 하며, 소수의 기업들이 시장 전체를 장악하고 있다. 주요 고객과 주요 생산업체는 대부분 서구와 러시아에 있으며, 미국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항공우주 기업으로는 롤스로이스, BAE 시스템즈, 사브, 다쏘 항공, 수호이, 미코얀, 에어버스, 레오나르도, 탈레스 그룹, 록히드 마틴, 노스롭 그러먼, RTX, 보잉이 있다. 다국적 기업 컨소시엄도 여러 개 있으며, 대부분 전투기 제조에 참여하고 있다. 유로파이터가 대표적인 예이다.[10]

세계 여러 강대국들은 세계적인 존재감을 유지하기 위해 상당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장 큰 국가들은 항공모함, 핵잠수함, 첨단 대공 방어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군함은 재래식 동력을 사용하지만, 일부는 원자력 추진 방식을 사용한다. 중고 군함의 세계적인 시장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서구 정부로부터 구매한다.[10]

방위, 정보, 국토 안보 기관에 사이버보안 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12][13]

4. 특징

군수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07년 세계 군수산업 매출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기업명국가2007년 군수 부문 매출
(억 US달러)
2007년 총매출
(억 US달러)
군수 비율
(%)
2006년 군수 부문 매출
(억 US달러)
2006년 총매출
(억 US달러)
군수 비율
(%)
1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385.13USD418.62USD92.0342.25USD396.2달러91.0
2보잉(The Boeing Company)320.8달러663.87USD48.0292달러615.3달러50.0
3BAE 시스템즈(BAE Systems)298달러314달러95.0250.7달러269.676USD93.0
4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 Corporation)245.97USD320.18USD77.0236.49USD301.48USD78.4
5제너럴 다이내믹스(General Dynamics Corporation)215.2달러272.4달러79.0187.69USD240.63USD78.0
6레이시온(Raytheon Company)198달러213달러93.0195달러200.63USD96.1
7에어버스(EADS)122.392USD576달러21.3132.02USD5201.86USD25.4
8L-3 커뮤니케이션즈112.397USD139.605USD81.099.896USD124.769USD80.1
9핀메카니카(Finmeccanica)106.016USD197.789USD53.690.571USD164.664USD55.0
10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87.614USD547.59USD16.076.526USD478.29USD16.0
11탈레스 그룹72.464USD181.161USD40.069.974USD135.988USD51.5
12SAIC(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65.11USD89.35USD72.958달러83달러69.9
13켈로그, 브라운 & 루트(Kellogg, Brown & Root)59.67USD87.45USD68.264달러96달러66.7
14허니웰(Honeywell)50달러346달러14.544달러316달러13.9
15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45달러168달러26.846달러154달러29.9
16롤스로이스 홀딩스(Rolls-Royce)43.926USD148.4달러29.640.62USD140.078USD29.0
17ITT42달러90달러46.736.593USD78.079USD46.9
18나발 그룹41.549USD41.549USD100.035.647USD35.647USD100.0
19컴퓨터 사이언시스(Computer Sciences Corporation)36달러148.55USD24.235.3달러146.156USD24.2
20사브(Saab)32.347USD35.941USD90.024.619USD--

[30][31]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군수산업 순위는 다음과 같다.

2009년 순위2008년 순위2007년 순위기업 (국가)2009년 무기 판매액
(US$ m.)
2008년 무기 판매액
(US$ m.)
2007년 무기 판매액
(US$ m.)
회사 전체 매출액 대비 비율 (%)
212 BAE 시스템즈332.5억달러324.2억달러298.6억달러95
123 록히드 마틴334.3억달러298.8억달러294억달러70
331 보잉323억달러292억달러304.8억달러48
444 노스롭 그루먼270억달러260.9억달러246억달러77
555 제너럴 다이내믹스255.9억달러227.8억달러215.2억달러78
666 레이시온210.3억달러230.8억달러195.4억달러91
777 에어버스179억달러159.3억달러131억달러28
889 핀메카니카132.8억달러130.2억달러98.5억달러52
998 L-3 커뮤니케이션즈130.1억달러121.6억달러112.4억달러82
111010 탈레스 그룹102억달러107.6억달러93.5억달러58
101111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111.1억달러99.8억달러87.6억달러17
121212 SAIC80.3억달러73.5억달러62.5억달러73
151316 KBR49.9억달러57.3억달러50억달러50
131413 CSC60.5억달러57.1억달러54.2억달러34
141515 허니웰53.8억달러53.1억달러50.2억달러15
171619 ITT Corp.47.3억달러51.7억달러38.5억달러44
191717 롤스로이스 홀딩스41.4억달러47.2억달러45.8억달러28
1822N 제너럴 일렉트릭47억달러36.5억달러--3
201925 AM 제너럴37.2억달러40.4억달러26.7억달러. .
1625N 사프란 그룹47.4억달러30.2억달러--26

[32]

5. 국제 무기 거래

현대 무기 산업은 19세기 후반, 최초의 대규모 군산복합체 기업들의 창설과 확장의 산물로 등장했다. 당시 러시아와 일본과 같은 소규모 국가나 신흥 산업 국가들은 자체 자원만으로 최첨단 군사 장비를 생산할 수 없게 되면서, 외국 정부 군 당국에 군사 장비 제조 계약을 체결하기 시작했다.[6] 1854년 영국 정부는 엘즈윅 조병창에 최신식 장전 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이는 민간 부문을 무기 생산으로 이끌었으며, 잉여 생산품은 외국으로 수출되었다. 윌리엄 암스트롱은 브라질부터 일본까지 전 세계 정부에 무기 체계를 판매하는 최초의 국제 무기상 중 한 명이 되었다.[7] 1884년 그가 설립한 엘즈윅의 조선소는 당시 전함을 건조하고 완전히 무장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공장이었으며,[7] 일본 제국 해군을 포함한 외국 해군에 전함을 생산했다.

1861년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은 남군보다 약 10배의 생산 능력을 보유했으며, 이는 남군에 대한 우위로 이어졌다. 이러한 우위에는 후장식 소총을 상대적으로 소량 생산하여 남군의 전장식 라이플 머스켓에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개틀링 건과 같은 산업적으로 생산된 기계화 무기로의 전환을 시작했다.[8]

제1차 세계 대전의 대학살로 인해 무기상들은 "죽음의 상인"으로 여겨지기 시작했고, 무기 판매로 이익을 얻기 위해 전쟁을 선동하고 지속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전쟁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변화는 정부가 스스로 무역을 통제하고 규제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했다.[9] 20세기 동안 무기 거래량은 크게 증가했고, 특히 냉전 기간 동안 정치적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주요 무기의 국제 이전량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보다 16% 증가했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대 무기 수출국 5개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독일, 프랑스였으며, 최대 무기 수입국 5개국은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아랍에미리트, 파키스탄이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중동으로의 무기 흐름은 87% 증가한 반면, 다른 모든 지역으로의 흐름은 감소했다.[15]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주요 무기의 국제 이전량은 2009년부터 2013년보다 7.8% 증가했고, 2004년부터 2008년보다 23% 증가했다. 최대 무기 수입국은 사우디아라비아였으며, 주로 미국, 영국, 프랑스로부터 무기를 수입했다. 2009년부터 2013년과 2014년부터 2018년 사이에 중동으로의 무기 흐름은 87% 증가했다. 상위 5대 수출국은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중국이었다.[15]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우크라이나로의 무기 수송을 신속히 처리하면서, 미국 전국사격스포츠재단 회원들이 수출 허가를 받는 데 걸리는 시간이 한 달에서 단 4일로 단축되었다.[16]

5. 1. 대한민국의 무기 수출입

대한민국은 세계 10위권의 무기 수입국이자 주요 무기 수출국 중 하나이다. K-9 자주포, T-50 고등훈련기 등은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27][28][29] 하지만 무기 수출은 국제 정세 및 외교 관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윤리적 문제 또한 고려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방위산업을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되, 국제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무기 수출은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6. 주요 군수 기업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가 2022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주요 군수 기업으로는 록히드 마틴, RTX, 노스롭 그루먼, 보잉, 제너럴 다이내믹스(미국), BAE 시스템즈(영국) 등이 있다.[24] 이 기업들은 9·11 테러 이후 "비대칭 전쟁"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변화에 발맞춰, 단순 무기 제조를 넘어 시스템 통합업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시스템 통합업체는 미래 무기 기술 동향을 예측하고, 전체적인 무기 시스템을 설계하며, 개별 부품 생산을 관리하는 등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미국 해군연안전투함(LCS) 계획에서는 항공기 제작사인 록히드 마틴이나 제너럴 다이내믹스가 함정 제작 계약을 맺기도 했다.[27]

다음은 2022년 기준 방위 관련 매출액 상위 15개 기업 목록이다.[24]

2022년 순위회사명방위 관련 매출
(USD영어, 십억 단위)
방위 관련 매출 비율
(%)
1 록히드 마틴59.39USD90
2 RTX39.57USD59
3 노스롭 그루먼32.3달러88
4 보잉29.3달러44
5 제너럴 다이내믹스28.32USD72
6 BAE 시스템즈26.9달러97
7 노린코22.06USD27
8 중국항공공업집단공사20.62USD25
9 중국항천과학기술집단공사19.56USD44
10 로스텍16.81USD55
11 중국전자정보집단공사15.08USD27
12 L3해리스12.63USD74
13 레오나르도12.47USD83
14 에어버스12.09USD20
15 중국항천과학기술집단공사11.77USD32


6. 1. 한국의 군수 기업

냉전 종식 이전부터 육상 및 해상 최신 무기는 항공 무기처럼 하이테크 기술을 많이 도입하는 경향이었고, 2000년대 이후 이러한 경향은 더욱 분명해졌다. 2007년 현재 각 무기의 중추 부분에 고기능 전자 장비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능이 통합되어 단독 무기로서의 운용뿐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무기 운용이 요구되고 있다.[27] 이러한 변화에 따라, 한국의 주요 군수 기업들은 꾸준한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성장해왔다. 특히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첨단 무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7. 군비 통제

군축은 소형 무기, 재래식 무기 및 대량살상무기의 개발, 생산, 비축, 확산 및 사용에 대한 국제적 제한을 의미한다.[25] 이는 일반적으로 외교를 통해 이루어지며, 합의 및 조약을 통해 정부가 이러한 제한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동의하지 않는 정부에 강제로 적용될 수도 있다.

1950년부터 2006년까지의 세계 무기 판매


국제 사회는 군비 통제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 1925년 생물 및 화학 무기에 관한 제네바 의정서
  • 1967년 서명 및 발효된 우주조약
  • 1972년 서명, 1975년 발효된 생물무기협약
  • 1987년 미사일기술통제체제 (MTCR)
  • 1993년 서명, 1997년 발효된 화학무기협약
  • 1997년 서명, 1999년 발효된 대인지뢰 금지 오타와 조약
  • 2010년 4월 러시아와 미국이 서명하고 2011년 2월 발효된 새로운 START 조약
  • 2013년 체결되어 2014년 12월 24일 발효된 무기거래조약[26]


순위국가예산(10억 달러)[36]세계 전체 비율 (%)2019년 기준 GDP(2018년) 대비 비율 (%)[37]
세계 전체1.868조달러100
1 미국7318억달러39.23.6
2 중국2611억달러14.02.0
9 인도711억달러3.82.6
5 러시아651억달러3.53.9
8 사우디아라비아619억달러2.87.9
4 프랑스501억달러2.71.8
7 독일493억달러2.61.2
3영국487억달러2.61.7
6 일본476억달러2.51.0
10 한국439억달러2.32.6


7. 1. 대한민국의 군비 통제 노력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의 군비 통제 노력'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The U.S. Defense Industrial Base: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crsreports.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3-10-12
[2] 웹사이트 Global military spending surges amid war, rising tensions and insecurity {{!}} SIPRI https://www.sipri.or[...] 2024-08-21
[3] 학술지 The SIPRI Top 100 Arms-producing and Military Services Companies, 2022 https://www.sipri.or[...] 2023-12-01
[4] 보고서 Trends in International Arms Transfers, 2023 https://www.sipri.or[...] SIPRI 2024-03-01
[5] 웹사이트 Global Firearms Holdings https://www.smallarm[...] 2024-08-21
[6] 웹사이트 William Armstrong | About the Man https://williamarmst[...] 2021-07-06
[7] 서적 The Great Gun-Maker: The Story of Lord Armstrong https://openlibrary.[...] Sandhill Press Ltd.
[8] 웹사이트 Defense Industries – Military History http://www.oxfordbib[...] 2015-11-03
[9] 서적 The International Arms Trade https://books.google[...] Wiley Press 2013-02-07
[10] Newsletter International Defense Industry http://www.fpa.org/n[...] 2007-05-20
[11] 웹사이트 Shattered Lives – the case for tough international arms control http://controlarms.o[...] Control Arms Campaign 2003-01-01
[12] 웹사이트 The defence industry – a changing game? http://www.nato.int/[...] 2021-07-25
[13] 웹사이트 Cyber security for the defence industry http://www.cybersecu[...] 2015-11-02
[14] 웹사이트 Arms production http://www.sipri.org[...] 2021-07-25
[15] 웹사이트 TRENDS IN INTERNATIONAL ARMS TRANSFERS, 2018 https://www.sipri.or[...] 2021-07-25
[16] 웹사이트 American gunmakers ramp up efforts to help Ukrainians fight back against Putin https://fortune.com/[...] Associated Press 2022-03-22
[17] 웹사이트 U.S. Gunmakers' efforts to get weapons to Ukraine often stifled by red tape https://www.newsweek[...] 2022-03-24
[18] 뉴스 Ukrainians rush to buy rifles, shotguns as police relax rules https://www.reuters.[...] 2022-03-22
[19] 웹사이트 US Arms Exports Hit Record High in Fiscal 2023 https://www.voanews.[...] 2024-01-29
[20] 웹사이트 SIPRI Arms Transfers Database https://armstrade.si[...] 2022-06-14
[21] 웹사이트 The 5 major arms exporters in the world https://internationa[...] 2020-03-13
[22] 웹사이트 SIPRI Arms Transfers Database https://www.sipri.or[...] 2024-02-12
[23] 웹사이트 SIPRI Arms Transfers Database https://www.sipri.or[...] 2019-10-15
[24] 웹사이트 The SIPRI Top 100 arms-producing and military services companies in the world, 2022 https://www.sipri.or[...] 2024-02-15
[25] 웹사이트 What Is Arms Control? http://usforeignpoli[...]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12-05-13
[26] 웹사이트 Explainer: what is the Arms Trade Treaty? http://theconversati[...] 2021-07-25
[27]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06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IISS)
[28] 뉴스 武器輸出、歯止めに課題=防衛協力を強化-新原則 http://www.jiji.com/[...] 2014-04-07
[29] 뉴스 次期戦闘機F35:整備拠点国内設置を検討 防衛省骨子案 https://web.archive.[...] 2014-04-07
[30] 웹사이트 defensenews.com의 보고서 http://www.defensene[...]
[31] 간행물 グローバル軍需産業の世界戦略 2007-09-01
[32] 문서 N = New to the SIPRI Top 100
[33] 웹사이트 https://www.sipri.or[...]
[34] 웹사이트 日本の防衛産業はパチンコ産業の1割以下――日本学術会議は軍事研究という「学問の自由」を認めないのか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0-10-29
[35] 서적 戦争の経済学 バシリコ株式会社 2007-11-11
[36] 웹사이트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https://www.sipri.or[...] SIPRI 2020-08-29
[37] 웹사이트 世界の名目GDP 国別ランキング・推移(IMF) https://www.globalno[...] GLOBAL NOTE 2020-08-29
[38] 웹인용 e영상역사관 » 사진관 » 국가기록사진 https://www.ehistory[...] 2024-11-30
[39] 웹인용 2024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 방위사업청 https://www.dapa.go.[...] 대한민국 방위사업청 2024-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