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송아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송아지는 성경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모세가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받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이 아론에게 금으로 만든 송아지를 만들어 숭배한 사건을 말한다. 이 사건은 야훼 숭배를 거부하고 우상 숭배를 한 것으로 묘사되며, 모세는 이에 분노하여 십계명을 깨뜨리고 금송아지를 불태웠다. 이 이야기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각기 다른 해석을 가지며, 현대에는 물질 숭배, 배금주의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2. 성서 속 이야기

금송아지 이야기는 구약성경출애굽기와 열왕기상에 등장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우상 숭배를 넘어 신앙, 배신, 용서, 그리고 종교와 권력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성서에 기록된 주요 금송아지 사건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출애굽기 32장에 기록된 사건으로, 모세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받기 위해 자리를 비운 사이, 백성들의 요구에 따라 대제사장 아론이 금붙이를 모아 송아지 형상을 만들고 이를 숭배한 일이다. 두 번째는 열왕기상 12장에 기록된 사건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 여로보암이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전으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를 세워 숭배하게 한 일이다. 이 두 사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금송아지 사건은 성서의 다른 부분에서도 언급된다. 느헤미야 9장 16-21절에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금송아지를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버리지 않으셨다는 점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자비와 인내를 보여주는 사례로 인용된다. 신약 성경에서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 10장에서 금송아지 사건을 언급하며 우상 숭배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유대교 전승에서는 금송아지 숭배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내놓는다. 랍비 루이 긴즈버그는 이 사건이 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민족에 섞여 나온 '혼합된 무리' 때문에 발생했으며, 아론은 더 큰 죄악(백성들이 예언자 후르를 살해한 것)을 막기 위해 마지못해 송아지를 만들었다고 설명한다.[11] 또한 이 사건으로 인해 본래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제사장 민족이 될 수 있었으나, 레위 지파를 제외한 나머지 지파는 그 자격을 상실했다고 보기도 한다.[12] 한편, 브레슬로프의 나흐만은 성막 건설이 금송아지의 죄를 상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해석한다.[13][14] 유스투스 크네히트는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자비와 우상 숭배의 죄악이라는 두 가지 도덕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15]

이슬람교의 경전인 꾸란에서도 금송아지 사건이 다루어진다(알-바카라 등). 꾸란의 이야기는 성서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꾸란에서는 금송아지를 만든 주동자가 아론이 아닌 사미리라는 인물로 등장하며, 아론은 오히려 우상 숭배를 막으려 했으나 백성들이 듣지 않았다고 묘사된다.[18][19][20] 모세는 사미리를 추방하고 금송아지를 불태워 바다에 뿌렸으며, 백성들과 함께 하나님께 회개했다고 전한다.[24][25] 이슬람에서 금송아지 숭배는 알라 외에 다른 신을 섬기는 شرك|시르크ar(시르크), 즉 가장 심각한 죄악 중 하나로 간주된다.

숭배 장소에서 발견된 청동 수소 조각상, 사마리아 지역, 기원전 12세기경


역사적, 비평적 관점에서 금송아지 이야기는 다양한 해석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일부 학자들은 금송아지가 단순히 이교의 우상이 아니라, 고대 근동 지역에서 흔했던 황소 숭배 신앙의 영향 아래 야훼를 상징하거나 야훼의 발판 등으로 표현하려 한 것일 수 있다고 본다.[30][44] 고대 가나안 지역에서는 엘 신이나 하닷 신 등이 황소와 연관되었으며, 실제 이스라엘 지역에서도 황소 형상의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28][45] 또한, 출애굽기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열왕기상의 여로보암 이야기를 모델로 하여 후대에 기록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남부 유다 왕국 중심의 신명기 학파가 북부 이스라엘 왕국의 종교적 정통성을 비판하기 위해 이야기를 구성하거나 편집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6][29][30] 문서 가설에 따르면, 서로 다른 전승(엘로히스트, 야훼이스트, 제사장 자료 등)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이야기가 변형되었을 가능성도 있다.[30][31]

오늘날 '금송아지'라는 표현은 성서 속 사건을 넘어 물질적인 부나 세속적인 가치를 숭배하는 배금주의유물론을 비판하는 비유로 널리 사용된다.

2. 1. 출애굽기의 금송아지

필리피노 리피의 "금송아지 숭배" (1457–1504)


출애굽기에 기록된 광야에서의 금송아지 이야기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 여로보암이 단과 베델에 금송아지를 세운 이야기와 유사점을 보인다. 여로보암의 아들 이름(나답, 아비야)은 금송아지 제작에 관여한 아론의 아들 이름(나답, 아비후)과 비슷하며, 여로보암 역시 백성들을 위해 금송아지를 세워 숭배하게 했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출애굽기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여로보암의 종교 정책이 야훼 신앙과 어긋난다는 것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반발심을 담아 구성된 이야기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47]

출애굽기 32장에 따르면, 모세시내산에 올라 십계명 돌판을 받으러 간 사이(출애굽기 24:12-18), 40일 밤낮 동안 자리를 비우게 되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시간이 지나자 모세가 돌아오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며, 그가 죽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불안해진 백성들은 아론에게 "우리를 인도할 신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다.[40] 아론은 백성들에게 금붙이를 가져오게 한 뒤, 그것을 녹여 금송아지 형상을 만들었다.[41][42] 그리고 "이스라엘아, 이것이 너희를 이집트 땅에서 이끌어낸 너희의 신이다!"라고 선포했다(출애굽기 32:1-4).

아론은 금송아지 앞에 제단을 쌓고 다음 날을 야훼를 위한 축제일로 선포했다. "이튿날 아침 일찍 일어나, 그들은 번제물을 바치고 화목제물을 가져왔다. 백성들은 앉아서 먹고 마시고, 일어나서 흥청거리며 뛰놀았다."(출애굽기 32:6)

야훼는 시내산의 모세에게 백성들이 벌이는 일을 알리며, 그들이 빠르게 하느님의 명령을 어겼다고 지적했다. 야훼는 이스라엘 백성을 멸망시키고 모세로부터 새로운 민족을 시작하겠다고 했으나[39], 모세는 백성을 위해 용서를 간청했다. 이에 "주님께서는 당신 백성에게 내리시겠다던 재앙을 거두셨다."(출애굽기 32:11-14)[43]

제임스 티소의 "모세가 십계명 판을 깨뜨리다" (1896–1902년경 수채화)


산에서 내려온 모세는 백성들이 잔치하며 금송아지를 숭배하는 모습을 보고 격분하여, 야훼로부터 받은 두 개의 십계명 돌판을 던져 깨뜨렸다. 그는 금송아지를 불에 태워 가루로 만든 뒤 물에 타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마시게 했다. 모세가 아론에게 자초지종을 묻자, 아론은 백성들의 요구에 따라 금을 모아 불에 던졌더니 송아지 형상이 나왔다고 변명했다(출애굽기 32:21-24).

이후 모세는 레위 지파 사람들을 모아 우상 숭배에 가담한 자들을 처단하라고 명령했다. 성경은 레위 지파가 금송아지 숭배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기록한다. 모세는 진영 입구에 서서 "누구든지 주님의 편인 사람은 나에게 오너라!" 하고 외쳤고, 모든 레위 자손들이 그에게 모였다.

그가 그들에게 말하였다. "이스라엘의 하느님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너희는 저마다 허리에 칼을 차고, 이 문에서 저 문까지 진영을 돌아다니며 자기 형제와 친구와 이웃을 죽여라.'" 레위 자손들이 모세의 말대로 하자, 그날 백성 가운데에서 삼천 명가량이 쓰러졌다. 모세가 말하였다. "오늘 너희는 자신을 주님께 봉헌하였다. 저마다 자기 아들과 형제를 거슬렀으니, 오늘 그분께서 너희에게 복을 내리실 것이다." (출애굽기 32:26-28)[39]


이 금송아지 사건은 느헤미야 9장 16-21절에도 언급된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거만해지고 고집이 세져서 당신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듣기를 거부하고 당신이 그들 가운데서 행하신 기적들을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고집을 부리며 반역하여 노예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지도자를 임명했습니다. 그러나 당신은 용서하시는 하나님이시며, 은혜로우시고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고 사랑이 풍성하십니다. 그러므로 당신은 그들이 송아지 형상을 만들어 "이것이 이집트에서 우리를 이끌어낸 당신의 신입니다"라고 말하고, 끔찍한 신성 모독을 저질렀을 때조차 그들을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당신의 크신 자비로 인해 당신은 그들을 광야에서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낮에는 구름 기둥이 그들의 길을 인도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고, 밤에는 불 기둥이 그들이 가야 할 길을 비추었습니다. 당신은 그들을 가르치기 위해 당신의 선한 영을 주셨습니다. 당신은 그들의 입에서 만나를 빼앗지 않으셨고, 그들의 갈증을 위해 물을 주셨습니다. 당신은 사십 년 동안 광야에서 그들을 붙드셨고, 그들은 아무것도 부족함이 없었으며, 그들의 옷은 닳지 않았고, 그들의 발은 부어오르지 않았습니다. (느헤미야 9:16-21)


이러한 묘사는 출애굽기와 열왕기상의 기록과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남부 유다 왕국에 기반을 둔 신명기 학파 역사학자들이 북부 이스라엘 왕국(여로보암의 금송아지 숭배와 연결되는)을 불충실하게 묘사하려는 경향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애굽기 32장 4절에서 송아지는 하나임에도 "신들"이라는 복수형 표현이 사용된 점 등이 지적된다.[6]

신약 성경에서도 이 사건은 사도 바울에 의해 고린도전서 10장에서 우상 숭배에 대한 경고로 언급된다. "이러한 일들은 우리에게 본보기가 되었습니다. 그들이 악을 탐낸 것처럼 우리는 악을 탐내지 말라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들 가운데 어떤 자들처럼 우상 숭배자가 되지 마십시오..."

학자들은 토라 내에서 금송아지 이야기와 다른 이야기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 특히 민수기 5장 17-24절에 나오는 '쓴 물의 시련' 의식에서, 죄를 밝히기 위해 가루를 물에 타 마시게 하는 방식이 모세가 금송아지를 가루 내어 물에 타 마시게 한 처벌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이 지적된다.[7]

금송아지 숭배의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구약성서 민수기 등에서 야훼를 황소의 뿔에 비유하는 표현이 등장하는 점[44] 등을 근거로, 금송아지가 실제로는 이교의 신이 아니라 야훼를 형상화한 것, 즉 야훼 숭배의 한 방식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4]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황소 숭배가 드물지 않았는데, 이집트 멤피스에서는 신성한 황소 아피스를 숭배했고, 페니키아에서는 황소가 엘 신[45]이나 하닷 신의 상징이기도 했다.[44]

일반적으로 금송아지 제작의 직접적인 원인은 모세의 부재로 인한 백성들의 불안감으로 설명된다. 이는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이 고대 이집트에서의 경험을 통해 익숙했던,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신의 형상이나 상징을 원했음을 시사한다. 모세가 제시한 '보이지 않는 신'이라는 새로운 개념은 그들에게 생소하고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수 있다. 일각에서는 출애굽기 후반부에 상세히 기록된 성막 건설 지시가, 금송아지 사건 이후 백성들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신앙의 대상을 제공할 필요성 때문에 내려진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2. 2. 열왕기의 금송아지

열왕기상 12장 26절부터 30절[47]에 따르면, 여로보암이 북 이스라엘 왕국을 세운 후, 백성들이 남쪽 유다 왕국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으로 제사를 드리러 가면 다시 르호보암 왕에게 충성을 바치고 자신을 죽일 것을 염려했다. 그는 신하들과 상의한 후 금송아지 두 마리를 만들어, 백성들에게 "이스라엘아, 너희를 이집트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들이 여기 있다"고 선언하며 예루살렘으로 가는 대신 이 금송아지들을 숭배하도록 했다. 하나는 벧엘에, 다른 하나는 단에 두었으며, 이 일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큰 죄가 되었다. 백성들은 벧엘과 단에 있는 금송아지를 숭배하러 갔다.[47]

여로보암이 금송아지 두 마리를 세운 것은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 성전에 세운 그룹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8] 그러나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에서 칠십인역을 인용하며 여로보암이 금 '암소' 두 마리를 만들어 벧엘과 단에 세웠다고 기록했다.

성서학자 리처드 엘리엇 프리드먼은 출애굽기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여로보암 시대 이후에 기록되었으며, 여로보암이 했던 말을 출애굽 당시 백성들이 한 말로 각색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는 이 이야기가 여로보암에 의해 권력을 잃은 제사장 가문이 그의 행위를 우상 숭배로 규정하고 비판하기 위해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본다.[9]

실제로 광야에서 아론이 금송아지를 만들었을 때 백성들이 외친 말("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로다", 출애굽기 32:4, 8)과 여로보암이 금송아지를 세우고 한 말("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들이라", 열왕기상 12:28)은 거의 동일하다. 또한 금송아지를 만든 후 아론이 제단을 쌓고 축제를 선포한 것(출애굽기 32:5-6)처럼, 여로보암도 제단을 쌓고 절기를 정해 직접 분향하며 축제를 열었다(열왕기상 12:32-33).[10]

이러한 유사성 때문에 학계에서는 출애굽기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여로보암의 종교 정책을 비판하고, 그의 제의 개혁이 전통적인 야훼 신앙과 어긋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후대에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47]

3. 해석

금송아지 이야기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주요 아브라함계 종교뿐만 아니라, 역사적, 학술적, 비유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이러한 해석들은 사건의 배경, 종교적 의미, 문화적 영향 등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고대 근동 지방의 종교적 배경 속에서 황소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44][45], 모세의 부재 중 이스라엘 백성이 느꼈을 불안감과 가시적인 신의 형상을 바라는 심리 등이 사건의 배경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또한 성경 내부적으로 다른 이야기와의 연관성(예: 쓴 물의 시련[7])이나, 후대의 역사적 사건(예: 여로보암의 금송아지 제작[47])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되기도 한다.

한편, 금송아지는 물질적인 부와 탐욕을 숭배하는 행태를 비판하는 은유로 사용되기도 한다[32]. '황금' 송아지라는 표현 자체가 재물 숭배(맘몬)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으며[33], 이러한 비유는 여러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각 종교적, 역사적 관점에 따른 더 자세한 해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유대교적 해석



유대교 전승에서는 금송아지 사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랍비이자 학자인 루이 긴즈버그는 금송아지 숭배가 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나온 '혼합된 무리' 때문에 발생한 재앙이라고 설명한다. 이들이 없었다면 이스라엘 백성은 우상 숭배의 유혹에 빠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또한, 송아지 형상은 아론이 만든 황소 모양 장식의 마법적 힘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11]

이스라엘 백성이 하필 송아지 형상을 숭배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홍해를 건널 때 천상의 보좌에서 가장 뚜렷하게 본 존재가 황소의 모습이었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 그들은 이 황소가 이집트 탈출 과정에서 하나님을 도왔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11] 전승에 따르면, 미리암의 아들 후르가 백성들의 배은망덕함을 꾸짖다가 살해당하는 것을 본 아론은, 백성들이 제사장과 예언자까지 죽이는 더 큰 죄를 짓는 것을 막기 위해 차라리 자신이 죄를 뒤집어쓰고 우상을 만들기로 결심했다고 한다.[11]

금송아지 사건은 이스라엘의 제사장 제도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된다. 만약 이 사건이 없었다면 이스라엘 민족 전체가 제사장 나라가 되었을 것이나, 이 죄로 인해 백성 대부분은 제사장직을 잃고 오직 하나님께 충성을 지키고 우상 숭배에 가담하지 않은 레위 지파만이 그 역할을 맡게 되었다는 것이다.[12]

하시디즘의 일파인 브레슬로프파의 나흐만은 성막 건설이 금송아지의 죄를 상쇄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다. 모든 유대인이 성막 건설에 기여했으며, 각자의 기여(금, 은, 구리 등)는 개인의 장점을 나타낸다. 다양한 색상의 금속은 초월적인 색깔과 인간 선행의 아름다움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성막이 완성되었다는 것이다.[13][14]

한편, 금송아지가 야훼 신앙의 초기 형태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구약성서 민수기 등에서 하나님을 황소의 뿔에 비유하는 표현이 나타나는 점을 근거로, 금송아지 숭배가 이교 신 숭배가 아니라, 야훼를 황소의 형상으로 표현하여 숭배하려 했던 시도라는 해석이다.[44] 고대 근동 지방에서는 황소 숭배가 드물지 않았다. 이집트 멤피스에서는 풍요의 신이자 신성한 황소인 아피스를 숭배했으며, 사카라의 왕릉에서는 방부 처리된 황소 60여 마리가 발견되기도 했다. 황소는 페니키아의 엘 신이나[45] 하닷 신의 상징이기도 했다.[44]

금송아지가 만들어진 배경에는 모세의 부재로 인한 불안감 외에도, 이스라엘 백성이 이전부터 눈에 보이는 민족의 상징, 즉 구체적인 형상을 가진 신을 갈망했다는 점이 지적된다. 고대 이집트의 다신교적 환경에서 자란 그들에게 형태 없는 신이라는 모세의 가르침은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수 있다. 일각에서는 출애굽기에 나오는 성막 건설 지시가 금송아지 사건 이후 백성들에게 보다 구체적인 신앙의 대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성경 자체에서도 금송아지 사건은 반복적으로 언급되며 해석된다. 느헤미야 9장 16-21절에서는 조상들의 교만함과 불순종, 금송아지 제작과 신성 모독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크신 자비로 그들을 광야에서 버리지 않으셨음을 강조한다. 이는 남부 유다 왕국에 기반을 둔 신명기 학파 역사가들이 북부 이스라엘 왕국의 불충실함을 부각하려는 경향과 연관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출애굽기 32장 4절에서 단수 송아지를 만들었음에도 "너희를 인도하여 낸 너희 신(복수)"이라고 표현된 점 등이 그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목된다.[6] 신약 성경에서도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10장에서 금송아지 사건을 언급하며 우상 숭배를 경계하라고 경고한다.

일부 학자들은 금송아지 사건과 민수기 5장 17-24절의 '쓴 물의 시련' 의식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본다. 금송아지를 가루 내어 물에 타서 마시게 한 처벌 방식이 쓴 물을 마시게 하는 의식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한다.[7]

레위인들이 금송아지를 숭배한 이스라엘 백성 약 3,000명을 죽였다(1984년 Jim Padgett의 삽화).

3. 2. 기독교적 해석



모세시내산에 올라 십계명을 받으러 간 동안(출애굽기 24:12-18), 그는 이스라엘 백성을 40일 밤낮 동안 떠나 있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가 돌아오지 않을까 두려워하며 아론에게 "우리를 인도할 신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다. 아론은 시간을 벌기 위해 백성들에게 금 장신구를 가져오게 한 뒤, 그것들을 녹여 금송아지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는 "'이스라엘아, 이것이 너희를 이집트 땅에서 이끌어낸 너희의 신이다!'"라고 선포했다(출애굽기 32:1-4).

아론은 송아지 앞에 제단을 쌓고 다음 날을 야훼를 위한 축제일로 선포하며 시간을 벌고자 했다. "이튿날 아침, 백성은 번제를 드리고 화목제를 드렸다. 그들은 먹고 마시며 앉아 있다가 일어나 춤을 추었다."(출애굽기 32:6)

야훼는 모세에게 이스라엘 백성이 진영에서 벌이는 일과 그들이 하나님의 명령에서 얼마나 빨리 벗어났는지를 알렸다. 하나님은 그들을 멸망시키고 모세로부터 새로운 민족을 시작하겠다고 했으나, 모세가 백성을 위해 간청하자 계획했던 벌을 거두셨다(출애굽기 32:11-14).

모세는 산에서 내려와 금송아지를 보고 분노하여 십계명이 새겨진 두 개의 돌판을 던져 깨뜨렸다. 그는 금송아지를 불에 태워 가루로 만들고 물에 뿌려 이스라엘 백성에게 마시게 했다. 모세가 아론에게 자초지종을 묻자, 아론은 백성들이 금을 가져와 불에 던졌더니 송아지 형상이 나왔다고 변명했다(출애굽기 32:21-24).

금송아지 사건은 느헤미야 9장 16절부터 21절에도 언급된다. 해당 구절에서는 이스라엘 조상들의 거만함과 고집,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불순종을 지적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거만해지고 고집이 세져서 당신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듣기를 거부하고 당신이 그들 가운데서 행하신 기적들을 기억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고집을 부리며 반역하여 노예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지도자를 임명했습니다. 그러나 당신은 용서하시는 하나님이시며, 은혜로우시고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고 사랑이 풍성하십니다. 그러므로 당신은 그들이 송아지 형상을 만들어 '이것이 이집트에서 우리를 이끌어낸 당신의 신입니다'라고 말하고, 끔찍한 신성 모독을 저질렀을 때조차 그들을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당신의 크신 자비로 인해 당신은 그들을 광야에서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낮에는 구름 기둥이 그들의 길을 인도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고, 밤에는 불 기둥이 그들이 가야 할 길을 비추었습니다. 당신은 그들을 가르치기 위해 당신의 선한 영을 주셨습니다. 당신은 그들의 입에서 만나를 빼앗지 않으셨고, 그들의 갈증을 위해 물을 주셨습니다. 당신은 사십 년 동안 광야에서 그들을 붙드셨고, 그들은 아무것도 부족함이 없었으며, 그들의 옷은 닳지 않았고, 그들의 발은 부어오르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성경의 기록들은 이스라엘 백성과 금송아지 사건에 대해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출애굽기와 열왕기상의 기록은 남부 유다 왕국에 기반을 둔 신명기 학파 역사학자들이 편집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이 때문에 북이스라엘 왕국의 종교적 관행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애굽기 32장 4절에서는 분명히 하나의 송아지를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신들"이라는 복수형 표현이 사용된 점이 지적된다.[6]

금송아지 사건은 신약 성경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10장에서 이 사건을 우상 숭배에 대한 경고의 예시로 사용했다. 그는 "이런 일들은 우리로 하여금 그들처럼 악한 것을 탐내지 않도록 경고하기 위해 일어났습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우상 숭배자가 되지 말라"고 권고한다.

학자들은 토라 내에서 금송아지 사건과 관련된 다른 본문들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기도 한다. 특히 민수기 5장 17-24절에 나오는 쓴 물의 시련 의식과의 유사성에 주목하는 견해가 있다. 이 의식에서는 죄를 의심받는 여인에게 성막의 흙을 탄 물을 마시게 하는데, 이는 모세가 금송아지 가루를 물에 타서 백성에게 마시게 한 처벌 방식과 유사하다는 것이다.[7]

독일의 가톨릭 신학자 유스투스 크네히트는 금송아지 사건에서 두 가지 중요한 도덕적 교훈을 제시한다.[15] 첫째는 하나님의 자비이다.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 숭배라는 심각한 죄를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모세의 중보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서 그들을 용서하셨다는 점을 강조한다. 둘째는 우상 숭배의 심각성이다. 백성들이 하나님의 크신 은혜를 입고도 불과 40일 만에 그를 배신하고 가장 중요한 첫 계명을 어겨 우상을 숭배한 것은 심각한 배은망덕 행위라고 지적한다. 크네히트는 성 바오로가 정욕과 탐욕을 우상 숭배라고 규정한 것을 인용하며, 사람이 하나님보다 다른 어떤 것을 더 사랑할 때 그것이 곧 우상 숭배의 죄가 된다고 설명한다.

3. 3. 이슬람교적 해석

금송아지 숭배 사건은 꾸란의 두 번째 장인 알-바카라와 다른 이슬람 문학 작품에도 묘사되어 있다. 꾸란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를 거부하자 하나님은 벌로서 그들이 40년 동안 방황하도록 명령하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인도를 받기 위해 이스라엘 백성들을 시나이산으로 계속 이끌었다. 이슬람 문학에 따르면, 하나님은 모세에게 이스라엘 백성을 위한 인도를 받기 전에 40일 동안 단식할 것을 명하셨다.[16][17] 모세가 단식을 마치고 하나님의 인도를 받으러 간 동안, 그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아론이 그들을 이끌도록 지시했다.[17]

모세가 돌아오지 않자 이스라엘 백성들은 초조해졌고, 30일 후에 꾸란에서 사미리라고 불리는 인물이 나타나 백성들 사이에 의문을 퍼뜨렸다. 사미리는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버렸다고 주장하며, 추종자들에게 불을 지피고 그들이 가진 모든 보석과 금 장신구를 가져오라고 명령했다.[18] 사미리는 모은 금에 가브리엘 천사가 밟았던 땅의 먼지를 섞어 금송아지를 만들었고, 이것이 바로 모세의 하나님이자 그들을 이집트에서 인도하신 하나님이라고 선포했다.[19]

꾸란은 성경과는 다르게 아론의 행동을 묘사한다. 꾸란에 따르면 아론은 금송아지 숭배를 막고 사람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가 돌아올 때까지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20] 의로운 사람들은 우상 숭배자들과 거리를 두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그가 없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을 시험하셨고, 그들이 금송아지를 숭배함으로써 시험에 실패했음을 알리셨다.

큰 분노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돌아온 모세는 아론에게 왜 금송아지 숭배를 막지 않았는지 물었다. 꾸란에 따르면 아론은, 백성들이 자신을 약하게 여겨 죽이려 했기에 어쩔 수 없었으며, 모세가 자신을 백성들 사이에 분열을 일으켰다고 비난할까 두려웠다고 설명하며 "어머니의 아들아, 이 백성은 나를 약하다고 생각했고, 나를 죽이려고 했습니다. 그러니 원수들이 나를 조롱하게 하지 말고, 잘못을 저지르는 자들과 함께 나를 데려가지 마십시오."라고 말했다.[21] 모세는 상황 속에서 자신의 무력함을 깨닫고 하나님께 용서를 구했다.

꾸란에 따르면 모세는 사미리에게 금송아지를 만든 이유를 물었다.[22] 사미리는 자신의 영혼이 그렇게 하도록 제안했기 때문에 가브리엘이 밟았던 땅의 먼지를 불 속에 던졌다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했다.[23][18] 모세는 사미리에게 추방될 것이라고 알리고, 금송아지를 불태워 그 재를 바다에 뿌렸다.[24] 모세는 70명의 대표자들에게 하나님께 회개하고 용서를 빌라고 명령했다.[25] 대표자들은 모세와 함께 시나이산으로 가서 그와 하나님의 대화를 목격했지만, 실제로 하나님을 보기 전까지는 믿기를 거부했다. 그 벌로 하나님은 대표자들을 번개로 치시고 격렬한 지진으로 죽이셨다.[26] 모세는 그들의 용서를 위해 하나님께 기도했고, 하나님은 그들을 용서하고 부활시키셨으며, 그들은 여정을 계속했다.[27]

이슬람의 관점에서 볼 때, 송아지 숭배자들의 죄는 시르크(شرك|시르크ar)이다. 이는 우상 숭배 또는 다신교의 죄를 의미하며, 하나님(알라) 외의 다른 존재를 신격화하거나 숭배하는 것, 더 정확히는 하나님 옆에 "파트너"를 두는 행위로, 매우 심각한 죄로 간주된다.

3. 4. 역사적 해석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만든 이야기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 여로보암의 이야기와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 여로보암의 아들들 이름(나답과 아비야)은 금송아지 제작에 관여한 아론의 아들들(나답과 아비후)과 비슷하며, 여로보암 역시 백성들을 위해 금송아지를 세워 숭배하게 했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광야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여로보암의 종교 정책이 야훼 신앙과 맞지 않다는 점을 비판하고 반발심을 표현하기 위해 구성된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47]

느헤미야 9장 16-21절에서도 금송아지 사건이 언급된다. 여기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조상들의 거만함과 불순종을 반성하며, 금송아지를 만들어 "이것이 우리를 이집트에서 이끌어낸 신"이라고 말하는 심각한 신성 모독을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크신 자비로 그들을 광야에서 버리지 않으셨음을 강조한다.

:

출애굽기와 열왕기상의 기록은 남쪽 유다 왕국에 기반을 둔 신명기 학파 역사학자들이 기록했기 때문에, 북쪽 이스라엘 왕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해석도 있다. 예를 들어, 출애굽기 32장 4절에서는 송아지를 하나만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신들"이라는 복수형을 사용하여 이스라엘 백성의 불성실함을 강조하려 했을 수 있다.[6]

신약 성경의 고린도전서 10장에서도 사도 바울은 금송아지 사건을 언급하며 우상 숭배를 경고한다. "이런 일들은 우리로 하여금 그들처럼 악한 것을 탐내지 않도록 경고하기 위해 일어났습니다. 그러므로 너희는 우상 숭배자가 되지 말라..."

학자들은 토라 내에서 금송아지 이야기와 다른 부분의 연관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민수기 5장 17-24절의 쓴 물의 시련 의식에서 가루를 물에 타 마시게 하는 방식이, 모세가 금송아지를 가루 내어 물에 타 마시게 한 처벌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한다.[7]

열왕기상 12장 26-30절에 따르면, 여로보암은 북이스라엘 왕국을 세운 후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전에서 제사를 드리면 남쪽 유다 왕국의 르호보암에게 다시 충성을 바칠 것을 우려했다. 그래서 그는 금송아지 두 마리를 만들어 북쪽의 단과 남쪽의 벧엘에 각각 세우고, 백성들에게 "이스라엘아, 너희를 이집트 땅에서 데리고 나온 너희의 신들이 여기 있다"고 선포했다. 이는 솔로몬이 예루살렘 성전에 둔 그룹을 대체하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8] 요세푸스는 칠십인역을 인용하여 여로보암이 금으로 된 암소 두 마리를 만들어 벧엘과 단에 세웠다고 기록하기도 했다.

학자 리처드 엘리엇 프리드먼은 출애굽기의 금송아지 이야기가 여로보암의 말을 이스라엘 백성들의 입을 통해 전하는 방식으로 기록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는 이 이야기가 여로보암에 의해 권력에서 밀려난 제사장 가문이 그의 행위를 우상 숭배로 몰아 비판하기 위해 과장되고 변형된 것일 수 있다고 본다.[9] 실제로 아론과 여로보암의 선언('이스라엘아, 너희를 이집트 땅에서 데리고 나온 너희 신들이 여기 있다')은 거의 동일하며, 둘 다 금송아지를 만든 후 축제를 열었다 (출 32:4-8; 왕상 12:28, 32-33).[10]

현재의 역사 연구는 금송아지 이야기가 요시야 왕 시대(기원전 7세기 후반) 또는 그 이후에, 야훼를 황소와 동일시하던 북이스라엘 왕국의 종교적 관습을 폄하하기 위해 출애굽기에 삽입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황소 숭배는 이스라엘 이전 시대부터 팔레스타인 지역에 존재했으며, 청동기 시대 후기의 청동 황소 조각상이나 기원전 11세기경의 이스라엘 성소에서 발견된 청동 황소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28] 알버츠는 여로보암이 금송아지 숭배를 도입한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윗솔로몬이 예루살렘 중심으로 종교를 통합하려 했던 시도와 달리 전통적인 이스라엘 종교로 회귀한 것이라고 해석한다.[29]

마이클 쿠건과 같은 학자들은 금송아지가 야훼 외의 다른 신, 즉 거짓 신을 상징하는 우상이 아니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30] 그는 출애굽기 32장 4-5절을 근거로 제시한다.

:

중요한 점은 이 이야기에서 단 하나의 송아지만 등장한다는 것이다. 백성들이 그것을 "신들"(אֱלֹהִים|엘로힘heb)의 대표로 언급하지만, 이것은 신의 일반적인 단어이기도 하다. 단수 신에 대한 언급이 반드시 야훼 숭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번역된 단어는 원래 יהוה|야훼heb이므로 적어도 그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30] 출애굽기의 연대기에서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라는 계명은 백성들이 아론에게 송아지를 만들어 달라고 강요했을 때 아직 주어지지 않았고, 그러한 행동은 아직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았다.[30]

금송아지 이야기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은 송아지가 야훼의 발판을 의미했다는 것이다. 근동 미술에서 신들은 종종 옥좌에 앉기보다는 동물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30] 이 해석은 금송아지가 언약궤나 야훼가 보좌에 앉아 있는 그룹에 대한 대안일 뿐임을 시사한다.[30]

이러한 복잡성의 이유는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 모세의 제사장 가문과 경쟁 관계에 있던 아론에 대한 비판, 또는

# "북부 이스라엘 왕국에 대한 공격"[30] 두 번째 설명은 북부 왕국의 첫 번째 왕이었던 여로보암의 "죄"에 의존하는데, 이는 기원전 722년 북부 왕국이 아시리아에 멸망하는 원인이 되었다.[30] 여로보암의 "죄"는 두 개의 금송아지를 만들고 그 중 하나는 왕국의 남쪽에 있는 숭배 장소인 벧엘로, 다른 하나는 북쪽에 있는 숭배 장소인 단으로 보내 북부 왕국의 백성들이 예루살렘으로 숭배하러 갈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열왕기상 12:26-30 참조). 쿠건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북부 왕국을 편견적으로 비판했던 북부 왕국의 멸망 이후 남쪽 유다 왕국에서 기록된 신명기적 역사의 일부이다.[30] 쿠건은 여로보암이 예루살렘 성전의 그룹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을 뿐이며, 송아지가 야훼 숭배가 아닌 것을 나타내지는 않았다고 주장한다.[30]

문서 가설을 사용하여 이 이야기의 층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금송아지에 대한 초기 이야기는 E 자료 (이스라엘 자료)에 의해 보존되었으며 북부 왕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E와 J 자료 (유다 자료)가 북부 왕국의 멸망 후에 결합되었을 때 "이 이야기는 북부 왕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도록 다시 쓰여졌고", 송아지 숭배는 "다신교이며, 성적인 난행을 암시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출애굽기 32:6 참조). 이야기를 편집할 때 P 자료 (예루살렘의 후기 제사장 자료)는 아론의 죄책감을 최소화했지만 송아지와 관련된 부정적인 면을 보존했을 수 있다.[30]

또는 J 자료에는 금송아지 이야기가 없다고 말할 수도 있으며, 프리드만이 말한 것처럼 여로보암 이야기가 원래 이야기였다면 출애굽기에 묘사된 금송아지 사건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프리드만은 모세가 금송아지 숭배를 보고 십계명을 깨뜨린 것은 유다의 주요 성소인 언약궤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려는 시도라고 말한다. "금송아지 이야기를 만들면서 E의 저자는 이스라엘과 유다의 종교적 기성 세력을 모두 공격했다."[31]

구약성서 민수기에 신을 황소의 뿔에 비유하는 부분이 있는 것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 금송아지는 유대교·기독교의 유일신인 야훼의 원형이었다고 생각된다[44]。즉, 금송아지 숭배는 이교의 신을 숭배하는 것이 아니라, 우상의 모습으로 표현된 야훼를 숭배하는 것이었다[44]。황소를 숭배하는 신앙 자체는 고대 세계에서 결코 드문 것이 아니었으며, 예를 들어 멤피스에서는 풍요의 신, 성스러운 황소 아피스를 수호신으로 받들었다. 사카라에 있는 왕가의 무덤에서는 지하에 매장된 석관에서 방부 처리가 된 약 60마리의 황소가 발견되었다. 각각이 생신으로 분장되어 있었고, 곁에는 쌍둥이 처녀가 순장되어 있었다. 또한, 황소는 페니키아의 엘 신이나[45] 하닷 신의 상징이기도 하다[44]

일반적인 해설에서는 금송아지가 만들어진 이유로 모세의 귀환이 늦어진 것을 들고 있지만, 이는 뒤집어 말하면 이스라엘 백성이 이전부터 인식 가능한 민족의 상징, 즉 실체가 있는 신을 원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세가 제시한 실체 없는 신이라는 새로운 개념은 이집트에서 성장하고 이집트에서의 종교를 체험한 그들에게 있어서의 신이라는 개념에 대해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것이다. 일설에 따르면, '출애굽기'의 성막 건설에 관한 지시는 금송아지 사건의 반성에서, 보다 실체적인 신앙을 백성에게 줄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4. 현대적 의미

춤추는 금송아지, 주세페 감바리니(1680–1725년 9월 11일). 세르비아 국립박물관,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금송아지 이야기는 은유적으로 해석되어 부(富)의 추구를 비판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32] 이는 재물 숭배를 의인화한 맘몬이라는 개념이 널리 쓰이지 않는 스페인어권에서도 발견되는 용례이다.[33]

구약성서에는 출애굽기의 사건 외에도 금송아지가 등장하는 사례가 있다. 이스라엘 왕국 분열 후 북이스라엘의 초대 왕 여로보암은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전으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 제단을 세워 숭배하게 했다.

오늘날 '금송아지'라는 표현은 단순히 종교적인 우상 숭배를 넘어, 물질 만능주의나 배금주의, 유물론적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나타내는 비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1. 대중문화 속 금송아지


  • 샤를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에는 '금송아지는 아직도 서 있다'(Le veau d'or est toujours debout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아리아가 있다.
  • 프리다 울이 만든 에드워드 시대 런던의 악명 높은 나이트클럽 이름은 '황금 송아지의 동굴'이었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미완성 오페라 모세와 아론에는 '황금 송아지와 제단'이라는 장면이 등장한다.

  • 개념 예술가 데미안 허스트는 '금송아지'라는 제목의 조각품을 만들었다.
  • 프리팹 스프라우트의 앨범 From Langley Park to Memphis에는 'The Golden Calf'라는 곡이 수록되어 있다.
  • 케빈 스미스의 작품에는 '무비 더 골든 카프'라는 가상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 소련 작가 일프와 페트로프는 '황금 송아지'라는 제목의 풍자 소설을 썼다.
  • 스티브 테일러의 앨범 Squint에는 'Cash Cow (A Rock Opera In Three Small Acts)'라는 곡이 있다.
  • 에밀 놀데는 '황금 송아지를 둘러싼 춤'이라는 그림을 그렸다.
  • 제임스 W. 워싱턴 주니어는 '단의 송아지'라는 조각품을 만들었다.
  • 2021년 미국에서 열린 보수 정치 행동 회의(CPAC)에서는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황금 조각상이 등장하여 논란이 되었다. 온라인상의 비평가들은 트럼프의 주요 지지 기반인 복음주의 및 보수 기독교계를 고려할 때, 이러한 정치적 우상화가 출애굽기의 금송아지 사건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34][35][36][37]
  •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 ''배트맨''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리들러가 돈으로 가득 찬 황금 송아지를 훔치는 내용이 나온다.[38]
  • 금송아지라는 개념은 오늘날 단순한 우상 숭배를 넘어 물질 숭배, 배금주의, 유물론을 비판적으로 나타내는 비유로도 사용된다.

참조

[1] bibleverse Exodus
[2] 서적 The Sin of the Calf: The Rise of the Bible'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Golden Calf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3] 문서 Yahweh and the Gods and Goddesses of Canaan
[4] 서적 The Bible Unearthed Touchstone 2002
[5] 서적 Who Wrote the Bible? Simon & Schuster 2019
[6] 문서
[7] 웹사이트 intertextual.bible {{!}} Biblical Intertextuality {{!}} Exodus 32:20 {{!}} Numbers 5:17 https://intertextual[...] 2024-02-16
[8] 문서
[9] 문서 Who Wrote the Bible?
[10] 서적 Retelling the Torah: the Deuteronomistic historian's use of Tetrateuchal Narratives https://archive.org/[...] T & T Clark International 2004
[11] 서적 The Legends of the Jews Volume III: The Golden Calf Jewish Publication Society
[12] 서적 The Legends of the Jews Volume III: The Revelations in the Tabernacl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3] 문서 Likutey Halakhot I
[14] 문서 Exodus-Leviticus
[15] 서적 A Practical Commentary on Holy Scripture B. Herder
[16] 웹사이트 Quran 2:51 http://al-quran.info[...] 2009-01-29
[17] 웹사이트 Quran 7:142 http://al-quran.info[...] 2009-01-29
[18] 서적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19] 서적 The Prophets, Their Lives and Their Stories https://books.google[...] Forgotten Books
[20] 서적 Stories of the Prophets – قصص الانبياء https://books.google[...]
[21] 웹사이트 Quran 7:167–174 http://al-quran.info[...] 2009-01-29
[22] 웹사이트 Quran 20:95 https://web.archive.[...] 2022-07-09
[23] 웹사이트 Quran 20:96 https://web.archive.[...] 2023-06-22
[24] 웹사이트 Quran 20:97 https://web.archive.[...]
[25] 서적 Stories of the Prophets – قصص الانبياء https://books.google[...]
[26] 서적 Al-Islam: Inception to Conclusion https://books.google[...] Al-Islam
[27] 웹사이트 The Quran: 2:54 to 2:56 https://web.archive.[...] 2023-06-22
[28] 문서 Historia de la Salvación, Una antigua fuente judeocristiana Miño y Dávila srl
[29] 문서 Historia de la Religión de Israel en Tiempos del Antiguo Testamento Göttingen, 1992
[30]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Bible in Its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Who Wrote the Bible?
[32] 웹사이트 Pope blames tyranny of capitalism for making people miserable https://www.theage.c[...] 2013-05-17
[33] 웹사이트 becerro de oro http://buscon.rae.es[...]
[34] 웹사이트 Trump's golden statue compared to Golden Calf in online derision https://www.jpost.co[...] 2024-02-16
[35] 웹사이트 Golden statue of Trump at CPAC ridiculed online https://thehill.com/[...] The Hill 2021-02-28
[36] 웹사이트 This golden statue of Trump at CPAC is a perfect metaphor for the state of the GOP https://www.vox.com/[...] Vox 2021-02-26
[37] 웹사이트 Donald Trump, CPAC and Republican Cult of Losing https://nymag.com/in[...] 2021-02-26
[38] 웹사이트 Holy Rewatch Batman! "Batman's Anniversary" / "A Riddling Controversy" https://www.tor.com/[...] Macmillan Publishers 2016-09-16
[39] 웹사이트 出エジプト記 https://www.biblica.[...] 2023-06-01
[40] 문서 出エジプト記(口語訳)#32:1
[41] 문서 出エジプト記(口語訳)#32:2
[42] 문서 出エジプト記(口語訳)#32:3
[43] 문서 出エジプト記(口語訳)#32:7-14
[44] 서적 モーセの生涯 創元社 2003
[45] 서적 西洋神名事典 新紀元社 1999
[46] 웹인용 개역한글판/출애굽기 32:1~8 https://ko.wikisourc[...]
[47] 간행물 Encyclopaedia Judaica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