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박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박해는 기독교가 유대교에서 분리된 초기부터 시작되어, 로마 제국 시대, 중세 시대, 종교 개혁 시대를 거쳐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유대교와 로마 제국으로부터의 박해가 있었고, 중세 시대에는 이단 심문과 동서방 교회의 갈등이 주요 양상이었다. 종교 개혁 이후에는 종교 전쟁과 마녀사냥이 발생했으며, 오스만 제국에서는 기독교인에 대한 차별과 박해가 심화되었다. 20세기에는 공산주의 국가에서 종교 탄압이 이루어졌고, 현대 사회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와 특정 사회, 문화적 갈등으로 인한 박해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 6.25 전쟁 중 학살, 현대 사회의 기독교 혐오 및 차별 등이 기독교 관련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박해 - 을묘박해
을묘박해는 1795년 조선에서 주문모 신부의 밀입국과 전교 활동 발각으로 시작된 천주교 박해 사건으로, 윤유일, 최인길, 지황 등이 처형되고 이승훈, 이가환, 정약용 등이 연루되었지만, 주문모 신부의 은신과 전교 활동 지속으로 천주교 신자 수가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 기독교 박해 -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는 다신교 사회에서 기독교가 황제 숭배 거부와 유일신 신앙으로 인해 불법 종교 집단으로 규정되어 탄압받은 사건들을 말하며, 박해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로마 제국 내에서 성장하여 국교로 인정받았다.
기독교 박해 |
---|
2. 초기 기독교 박해
초기 기독교는 제2성전 유대교의 한 분파로 시작되었으나, 공동체 간의 불화가 곧바로 나타났다. 신약 성경에 따르면,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기 전 바울은 초기 유대-기독교인들을 박해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예수의 십자가형 1년 후, 성 스테파노는 투석형으로 유대 율법을 어긴 죄로 처형되었고, 바울은 스테파노의 죽음에 동의했다.[11] 이후 바울은 유대인들에게서 마흔에서 하나를 뺀 매를 다섯 번 맞는 등 고난을 겪었다.[12] 41년, 헤롯 아그리파는 헤롯 대왕()의 유대 왕국을 재건하고 유대인 신하들에게 호감을 사기 위해 야고보를 처형하고, 성 베드로를 투옥했으며, 나머지 사도들은 도망쳤다. 44년 아그리파 사후 로마의 총독 통치가 시작되었고, 62년 총독 포르키우스 페스투스 사망 후 아나누스 벤 아나누스가 예루살렘의 기독교인 지도자 야고보를 처형했다.
신약 성경은 바울이 로마 당국에 의해 여러 차례 투옥되고, 바리새인들에게 돌에 맞아 죽을 뻔했으며, 결국 로마로 죄수로 끌려갔다고 기록하고 있다. 베드로와 다른 초기 기독교인들 또한 투옥, 매질, 괴롭힘을 당했다. 제1차 유대 전쟁은 70년에 예루살렘의 멸망으로 이어져 제2성전 유대교의 종말과 랍비 유대교의 부상을 가져왔다.
클라우디아 세처는 "유대인들은 적어도 2세기의 중반까지 기독교인들을 자신들의 공동체와 명확하게 분리된 존재로 보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신학적 분리가 더 일찍 일어났다고 본다.[13] 제2성전 유대교는 다양한 믿음 방식을 허용했지만, 성전 파괴 후 랍비 유대교와 기독교로 분리되었다. 기독교는 "나사렛 예수가 유대인에게 약속된 메시아이자 하나님의 아들이며, 유대인뿐만 아니라 비유대인에게도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을 제공한다"는 확신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14] 메시아 종말론은 유대교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지만, 1세기에 기독교인들에 의해 찬탈당한 것으로 여겨져 억압되었다.[15]
유대교와 기독교의 분리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는 유대교 박해로 인해 유대계 기독교인들이 70년 예루살렘 멸망 직전에 펠라로 도망쳤다는 것이다.[16] 스티븐 D. 카츠는 "70년 이후의 상황이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한다.[17] 유대교는 재앙 이후 스스로를 재건하려 노력했으며, 여기에는 반기독교 선언 유포, 기독교인의 회당 참석 금지, 기독교 저술 읽기 금지, 이단 기독교인에 대한 저주 등이 포함된다.[17]
2. 1. 로마 제국 시대


[[File:Siemiradzki_Christian_Dirce.jpg|thumb|upright=1.25|헨리크 시미라츠키의 ''A Christian Dirce''(1897,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네로 치하에서 디르케의 신화를 재현한 그림에서 기독교 여성이 순교하고 있다.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인에 대한 제국 차원의 박해가 공식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사례는 네로 (54–68) 시대에 시작된다.[18][19] 타키투스는 저서 《연대기》에서 네로가 로마 대화재의 책임을 기독교인에게 돌렸다고 언급한다. 수에토니우스는 새로운 악성 미신을 따르는 자들로 정의된 기독교인들에게 가해진 처벌에 대해 언급하지만,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는다.[19] 요한 묵시록의 짐승의 수가 666인 것은 게마트리아를 통해 네로 황제의 이름을 나타낸 것이며, 이는 네로가 매우 사악한 인물로 여겨졌음을 시사한다.[20] 몇몇 기독교 자료는 사도 바울과 성 베드로가 모두 네로 시대의 박해 동안 사망했다고 보고한다.[21][22][23][24]
초기 2세기 동안 기독교는 비교적 작은 종파였으며, 황제의 주요 관심사가 아니었다.[25] 버나드 그린은 초기 기독교 박해가 일반적으로 산발적이고 지역적이며, 황제가 아닌 지역 총독의 지시 하에 이루어졌지만, 기독교인들은 "항상 억압을 받았고 공개적인 박해의 위험에 처해 있었다"고 말한다.[27] 트라야누스의 기독교인에 대한 정책은 다른 종파에 대한 대우와 다르지 않았다. 즉, 황제와 신을 숭배하기를 거부하는 경우에만 처벌을 받았고, 굳이 찾아내어 처벌하지는 않았다.
최초의 제국 전체에 걸친 정부 주도의 박해는 249년 데키우스 황제 때 시작되었다.[5] 데키우스 황제() 치세 동안, 제국의 모든 주민들에게 희생 제물을 바치도록 하는 법령이 내려졌으며, 각자 희생 의식을 수행했음을 증명하는 ''리벨루스''를 발급받도록 했다.[42] 로마 신들에게 공개적으로 희생 제물을 바치거나 향을 피우기를 거부한 기독교인들은 불경죄로 고발되어 체포, 투옥, 고문 또는 처형을 당했다.[41]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예루살렘의 알렉산더, 안티오키아의 바빌라스, 로마의 교황 파비아누스 주교가 모두 투옥되어 살해되었다.[42]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 디오니시우스는 투옥을 피했고,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 주교는 자신의 주교좌에서 시골로 피신했다.[42]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가 데키우스를 계승하여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데키우스의 박해를 계속했다.[42]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의 후계자인 발레리아누스()의 즉위로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는 끝났다.[42] 그러나 257년에 발레리아누스는 공공 종교를 강요하기 시작했다.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는 추방되었고 이듬해 처형되었으며, 교황 식스토 2세도 처형되었다.[42]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는 재판을 받았고, 그의 회중이 그를 본받기를 바라며 "자연신"을 인정하라고 촉구받았지만 거부하자 추방되었다.[42] 발레리아누스는 에데사 전투에서 페르시아에게 패배했고, 260년에 스스로 포로가 되었다.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발레리아누스의 아들, 공동 ''아우구스투스''이자 후계자인 갈리에누스()는 기독교 공동체가 다시 묘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몰수된 건물들을 반환했다.[42] 유세비우스는 갈리에누스가 기독교인들에게 "자유로운 행동"을 허용했다고 기록했다.[42]
'''대 박해''' 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는 수석 ''아우구스투스''이자 로마 황제인 디오클레티아누스()가 303년 2월 23일에 시작했다.[42]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의 《교회사》는 교회 파괴와 성경 몰수를 명령하고, 정부 직책에서 기독교인을 제거하며, 기독교 사제들을 투옥하고 고대 로마 종교에서의 제물 바치기를 요구하는 황제 칙령이 공포되었다고 보고한다.[42] 에우세비우스의 설명에 따르면,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한 기독교인 남성이 황제 칙령의 공고문을 찢어버렸고, 고문을 받고 산 채로 불태워졌다.[43] 304년에 네 번째 칙령이 내려져 모든 사람이 제물을 바칠 것을 요구했지만, 서방 제국에서는 이것이 시행되지 않았다.[42]
서방 제국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는 306년에 두 황제의 아들들의 찬탈로 중단되었다. 콘스탄티누스와 막센티우스()가 그들이다.[42] 그러나 동방 제국에서는 갈레리우스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정책을 지속했다.[42] 갈레리우스가 311년 5월에 사망했을 때, 세르디카 칙령을 작성하여 기독교인들의 수도원에서의 집회를 허용했다.[42] 가을이 되자 막시미누스 다이아()는 안나톨리아와 동방 교구에서 여러 도시와 지역의 청원에 따라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를 시행했다.[42] 공동 ''아우구스투스''인 리키니우스()와의 내전에서 패배한 막시미누스는 313년에 사망하여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에 대한 조직적인 박해를 종식시켰다.[42]
콘스탄티누스 1세의 개종이후, 기독교의 성장을 막기 위해 악마가 노골적인 폭력을 사용했다고 여겨지는 최초의 대규모 박해 시기가 종식되었다고 여겼다.[47] 피터 레이타트는 "[콘스탄티누스]는 이교도를 이교도라는 이유로, 유대인을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처벌하지 않았으며, 강제 개종 정책을 채택하지 않았다"고 말한다.[49] 그러나 최초의 기독교 로마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치세 동안 이단으로 여겨지거나 분열을 일으키는 교리를 따르는 자들은 박해를 받았으며, 4세기 후반에도 다시 박해를 받았다.[50]
312년에 도나투스파라고 불리는 기독교 종파가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콘스탄티누스에게 호소했다. 콘스탄티누스는 317년부터 321년까지 도나투스파의 복종을 강요하기 위해 군대를 사용했으며, 교회를 불태우고 일부를 순교시켰다.[50] 콘스탄티누스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했고 결국 패배를 인정했다. 콘스탄티누스 이후, 그의 막내 아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는 346년부터 348년까지 도나투스파에 대한 마카리우스 원정을 시작했지만, 이는 종파 갈등을 갱신하고 더 많은 순교자를 만드는 데에만 성공했다. 도나투스파는 계속되었다.[50]
4세기는 정통주의 대 이단과 이교를 정의하는 많은 갈등으로 지배되었다. 콘스탄티누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콘스탄티누스의 이복 형제의 아들인 율리아누스()는 기독교에 반대했고 전통 종교를 부활시키려 했지만, 일반적이거나 공식적인 박해를 조직하지는 않았다.[42]
4세기에는 년 테르빙 족 왕 아타나리크가 고트족 기독교 박해를 명령했다.[56] 아타나리크는 추종자들 사이에서 고트족 기독교가 확산되는 것에 불안해했고, 고트족 이교가 대체될까 두려워했다.
4세기 후반 아우구스투스 그라티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2세(), 테오도시우스 1세()의 통치에 이르러서야 기독교가 테살로니카 칙령의 공동 공포와 함께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되었고, 380년 2월 27일 니케아 신조 기독교를 국교로, 로마 제국의 국교회로 지정했다. 이 후, 아리우스파와 비삼위일체론 신봉자를 포함한 비 니케아 기독교인에 대한 국가적 박해가 시작되었다.[57]
아우구스티누스는 과거에 열번의 기독교 박해가 있었다고 기록했다.[47]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초기 박해를 4세기 이단자들의 박해와 동일하게 보지 않았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에 따르면, 박해의 목적이 "사랑으로 교정하고 가르치는 것"이라면 그것은 훈련이 되고 정당해진다.[62]
2. 2. 유대교와의 갈등
초기 기독교는 제2성전 유대교의 한 분파로 시작되었으나, 공동체 간의 불화가 곧바로 나타났다. 신약 성경에 따르면,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기 전 바울은 초기 유대-기독교인들을 박해했다.사도행전에 따르면, 예수의 십자가형 1년 후, 성 스테파노는 투석형으로 유대 율법을 어긴 죄로 처형되었고, 바울은 스테파노의 죽음에 동의했다.[11] 이후 바울은 유대인들에게서 마흔에서 하나를 뺀 매를 다섯 번 맞는 등 고난을 겪었다.[12] 41년, 헤롯 아그리파는 헤롯 대왕()의 유대 왕국을 재건하고 유대인 신하들에게 호감을 사기 위해 야고보를 처형하고, 성 베드로를 투옥했으며, 나머지 사도들은 도망쳤다. 44년 아그리파 사후 로마의 총독 통치가 시작되었고, 62년 총독 포르키우스 페스투스 사망 후 아나누스 벤 아나누스가 예루살렘의 기독교인 지도자 야고보를 처형했다.
신약 성경은 바울이 로마 당국에 의해 여러 차례 투옥되고, 바리새인들에게 돌에 맞아 죽을 뻔했으며, 결국 로마로 죄수로 끌려갔다고 기록하고 있다. 베드로와 다른 초기 기독교인들 또한 투옥, 매질, 괴롭힘을 당했다. 제1차 유대 전쟁은 70년에 예루살렘의 멸망으로 이어져 제2성전 유대교의 종말과 랍비 유대교의 부상을 가져왔다.
클라우디아 세처는 "유대인들은 적어도 2세기의 중반까지 기독교인들을 자신들의 공동체와 명확하게 분리된 존재로 보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신학적 분리가 더 일찍 일어났다고 본다.[13] 제2성전 유대교는 다양한 믿음 방식을 허용했지만, 성전 파괴 후 랍비 유대교와 기독교로 분리되었다. 기독교는 "나사렛 예수가 유대인에게 약속된 메시아이자 하나님의 아들이며, 유대인뿐만 아니라 비유대인에게도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을 제공한다"는 확신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14] 메시아 종말론은 유대교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지만, 1세기에 기독교인들에 의해 찬탈당한 것으로 여겨져 억압되었다.[15]
유대교와 기독교의 분리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는 유대교 박해로 인해 유대계 기독교인들이 70년 예루살렘 멸망 직전에 펠라로 도망쳤다는 것이다.[16] 스티븐 D. 카츠는 "70년 이후의 상황이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한다.[17] 유대교는 재앙 이후 스스로를 재건하려 노력했으며, 여기에는 반기독교 선언 유포, 기독교인의 회당 참석 금지, 기독교 저술 읽기 금지, 이단 기독교인에 대한 저주 등이 포함된다.[17]
3. 중세 시대의 박해
샤푸르 2세()의 통치 기간에 기독교 박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66] 샤푸르 2세 초기 키르쿠크에서 박해가 기록되었지만, 대부분 341년 이후에 발생했다.[66] 콘스탄티우스 2세()와 전쟁 중이던 샤푸르는 세금을 부과했고,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주교(Bishop of Seleucia-Ctesiphon) 셰몬 바르 사바에는 세금 징수를 거부했다.[66] 페르시아인들은 로마와의 협력을 언급하며 기독교인들을 박해하고 처형했다.[66] ''파시오(Passio)'' 서술은 순교자로 존경받는 일부 기독교인들의 운명을 묘사한다.[66] 411년 ''시리아 순교록'' 부록에는 페르시아의 순교자들이 나열되어 있다.[66]
야즈데게르드 1세() 치하에서 기독교 박해가 가끔 있었는데, 조로아스터교 불의 사원을 기독교 사제가 불태운 것에 대한 보복으로 박해가 있었고, 바흐람 5세() 치하에서도 추가적인 박해가 발생했다.[66] 야즈데게르드 2세() 치하인 446년의 박해는 ''아두르-호르미즈드와 아나히드의 행적''에 기록되어 있다.[66] 호스로 1세() 치하에서도 개별적인 순교 사례가 기록되어 있지만, 대규모 박해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66] 호스로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 사이의 562년 평화 조약에 따르면, 페르시아의 기독교인들은 종교의 자유를 부여받았지만, 개종(proselytism)은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다.[66] 동방 교회(Church of the East)와 동방 가톨리코스(Catholicose of the East)는 제국에 통합되었고, 대규모 박해는 드물었다.[66]
사산 왕조의 정책은 샤푸르 1세 시대의 관용에서 바흐람 1세 시대의 불관용으로 바뀌었고, 샤푸르 2세의 치세까지 샤푸르의 정책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의 박해는 티리다테스 3세가 기독교로 개종, 콘스탄티누스의 기독교 개종으로 시작되었다. 기독교인들은 로마 제국의 비밀 지지자로 의심받았다. 이는 동방 교회가 서방 교회에서 분리된 5세기가 되어서야 바뀌었다.[67] 조로아스터교 엘리트들은 5세기 내내 기독교인들을 적대감과 불신으로 계속 바라보았고, 특히 로마와의 전쟁 중에는 박해의 위협이 상당했다.[69]
조로아스터교 대사제 카르티르는 나크셰 로스탐 묘역의 카바-예 자르토슈트 기념비에 280년경에 새겨진 비문에서 기독교인('나자레인' n'zl'y 및 기독교인 klstyd'n)의 박해(zatan - "때리고 죽이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카르티르는 기독교를 심각한 적으로 여겼다. 이중 표현은 샤푸르 1세가 안티오크에서 추방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68]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페르시아 기독교인 보호 노력은 그들을 사산 왕조에 대한 불충의 혐의의 표적으로 만들었다. 콘스탄티우스 2세 치하에서 로마-사산 분쟁이 재개되면서 기독교인들의 입지는 불안정해졌다. 조로아스터교 사제들은 교회의 지도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지역 기독교인들의 성직자와 수행자들을 표적으로 삼았다. 411년 에데사의 시리아어 필사본은 서부 사산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수십 명이 처형된 것을 기록하고 있다.[69]
341년에 샤푸르 2세는 모든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를 명령했다.[70][71] 샤푸르 2세는 기독교인에 대한 세금을 두 배로 인상했다. 셰몬 바르 사바에는 요구하는 세금을 납부할 수 없다고 알렸다. 그는 순교했고, 40년 동안 기독교 박해가 시작되었다. 셀레우키아-크테시폰 공의회는 죽음을 초래할 것이므로 주교를 선택하는 것을 포기했다. 지역 ''모바드(mobads)''는 사트라프의 도움을 받아 아디아베네, 베스 가르마이, 후제스탄 및 기타 여러 지방에서 기독교인 학살을 조직했다.[72]
야즈데게르드 1세는 통치 대부분 동안 유대인과 기독교인에게 관용을 보였다. 그러나 통치 후반부에 정책을 뒤집어 선교 활동을 억압했다.[73] 바흐람 5세는 박해를 계속하고 강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동로마 제국으로 도망가게 만들었다. 바흐람은 그들의 귀환을 요구하며 로마-사산 전쟁 (421-422)을 시작했다. 전쟁은 이란의 기독교인과 로마의 조로아스터교의 종교 자유 협정으로 끝났다. 한편, 기독교인들은 교회의 파괴, 사유 재산 몰수, 추방 등을 겪었다.[74]
야즈데게르드 2세는 제국을 통합하려는 시도로 모든 신하들에게 마즈다교(Mazdeism)를 받아들일 것을 명령했다. 코카서스는 기독교를 옹호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고, 아르메니아 귀족들은 로마에게 도움을 청했다. 그러나 반란군은 아바라이르 평원에서 전투에서 패배했다. 예기셰는 ''바르단과 아르메니아 전쟁의 역사''에서 기독교를 옹호하기 위해 벌어진 전투에 경의를 표했다.[75] 481년부터 483년까지 또 다른 반란이 벌어졌지만 진압되었다. 그러나 아르메니아인들은 종교의 자유를 얻는 데 성공했다.[76]
사산 왕조 통치 기간 동안 기독교로 개종한 조로아스터교인들의 배교로 인한 처형에 대한 기록은 5세기부터 7세기 초까지 널리 퍼졌으며, 사산 왕조가 붕괴된 후에도 계속해서 제작되었다. 배교자에 대한 처벌은 야즈데게르드 1세 때 증가했고, 그 이후 왕들 치하에서도 계속되었다. 리처드 E. 페인에 따르면, 이러한 처형은 두 종교의 사람들 사이의 상호 인정된 경계를 만들고 한 종교가 다른 종교의 생존 가능성에 도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기독교인에 대한 폭력은 선택적이었고 특히 엘리트들에게 가해졌지만, 기독교 공동체를 조로아스터교에 비해 종속적이지만 생존 가능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77]
호스로 1세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인에게 관대했다. 세베오스는 그가 죽기 직전에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주장했다. 에페소스의 요한은 호스로가 아르메니아에 조로아스터교를 강요하려 했다고 주장하는 아르메니아 반란을 묘사한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451년의 아르메니아 반란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세베오스는 571년의 반란에 대한 기록에서 종교적 박해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78] 호르미즈드 4세의 관용에 대한 이야기는 역사가 알타바리에 의해 보존되었다. 그에게 기독교인들을 왜 관용했는지 묻자, 그는 "우리 왕좌가 뒤쪽 다리 없이는 앞쪽 다리에 설 수 없는 것처럼, 우리 왕국은 우리와 다른 신념을 가진 기독교인과 다른 종교의 추종자들이 우리에게 적대감을 갖게 한다면 굳건히 서거나 지속될 수 없다"라고 대답했다.[79]
서기 614년 페르시아 정복 몇 달 후, 예루살렘에서 폭동이 일어났고, 예루살렘의 유대인 총독 느헤미야는 제3성전 건설 계획을 세우던 중 젊은 기독교인 무리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때 기독교인들은 동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그 직후, 사건은 전면적인 기독교 반란으로 확대되었고, 그 결과 전투가 벌어졌다. 전투 후, 많은 유대인들이 살해되었고 생존자들은 카이사레아로 도망쳤다.
유대-페르시아의 반응은 가혹했다. 페르시아 사산 왕조의 장군 코르헴이 유대-페르시아 군대를 소집하여 예루살렘 주변에 진을 치고 19일 동안 포위했다.[80] 결국, 예루살렘의 기초 아래를 파고 들어가 성벽을 파괴했고, 포위 19일째 되는 날 유대-페르시아군은 예루살렘을 점령했다.[80]
세베오스에 따르면, 이 포위로 기독교인 17,000명이 사망했는데, 이는 가장 초기의 기록이며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수치이다.[81] 스트라테기우스에 따르면, 단독으로 4,518명의 포로가 맘밀라 저수지 근처에서 학살되었다.[82] 자파 게이트 근처의 동굴에는 수백 구의 해골이 들어 있었는데, 이는 스트라테기우스의 저술에 언급된 페르시아인에 의한 기독교인 학살과 관련이 있다. 기독교인 학살의 증거를 강화하는 한편, 고고학적 증거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교회와 수도원 파괴에 대해서는 덜 결정적인 것으로 보인다.[82][83]
스트라테기우스의 후기 기록에 따르면, 그의 관점은 비잔틴 그리스인의 관점인 것으로 보이며 유대인에 대한 반감을 보여주는데,[84] 수천 명의 기독교인들이 도시 정복 중에 학살되었다. 스트라테고스의 필사본 사본에 따라 추정치는 4,518명에서 66,509명으로 다양하다.[82] 스트라테고스는 유대인들이 "유대인이 되어 그리스도를 부인하라"면 죽음을 면하도록 돕겠다고 제안했고, 기독교 포로들은 거부했다고 썼다. 화가 난 유대인들은 기독교인들을 사서 죽였다고 한다.[85] 1989년, 이스라엘 고고학자 로니 라이히는 맘밀라 동굴에서 대량 매장 무덤을 발견했다. 인골은 열악한 상태였으며 최소 526명의 유해가 들어 있었다.[86]
갈릴리에서 수행된 많은 발굴 조사를 통해, 페르시아 침공과 637년 아랍 정복 사이 기간 동안 모든 교회가 파괴되었음이 분명하다. 셰베 지욘의 교회는 614년에 파괴되고 불탔다. 에브론, 나하리야, '아라베, 셸로미의 수도원도 비슷한 운명을 맞았다. 쿠르시의 수도원은 침공으로 손상되었다.[87]
서기 516년, 예멘에서 부족간의 분쟁이 발발하여 여러 부족 엘리트들이 권력을 다투었다. 이들 중 한 명은 힘야르 왕국의 유대인 왕 두 누와스였다. 시리아어 및 비잔틴 그리스어 자료에 따르면, 그는 예멘의 기독교인들이 기독교를 포기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전쟁을 벌였다고 한다. 2009년, BBC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는 2만 명의 기독교인이 학살당했다는 주장을 옹호했다.[88]
유수프 자신이 기록한 비문은 그가 자파르와 나즈란에서 22,000명 이상의 기독교인을 살해한 후 표현한 큰 자부심을 보여준다.[89] 역사가 글렌 바워삭은 이 학살을 "아랍의 유대인 왕이 나즈란 시의 기독교인들을 상대로 벌인 잔혹한 포그롬"이라고 묘사했다. 왕은 유대교로 개종을 거부한 모든 기독교인들에게 가한 학살에 대해 아랍 및 페르시아 동맹국들에게 매우 상세하게 보고했다."[90]
이슬람교에서 "경전의 백성"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슬람 통치하의 기독교인들은 ''딤미''의 신분에 놓였다.[91][92] 이로 인해 기독교인과 다른 소수 종교는 종교 차별과 종교 박해에 직면했는데, 이는 그들이 개종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인에게는 복음 전파가 금지되었다). 이는 초기 무슬림 정복 과정에서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고, 무기를 소지하거나 특정 직업을 가질 수 없었으며, 다른 옷을 입어야 했다.[91] 샤리아 (''sharīʿa'')에 따라, 비무슬림은 ''지즈야'' 와 ''하라지'' 세금을 내야 했으며,[91][92] 무슬림 통치자가 부과하는 주기적인 막대한 몸값과 함께, 이는 상당한 수입을 차지하는 동시에 많은 기독교인을 빈곤으로 몰아넣었고, 많은 기독교인이 이슬람교로 개종하도록 강요했다.[91] 이러한 세금을 납부할 수 없는 기독교인들은 자녀를 무슬림 통치자에게 넘겨야 했고, 그들은 그들을 노예로 팔아 무슬림 가정으로 보내 이슬람교로 개종하도록 강요했다.[91]
시리아 정교회의 전통에 따르면, 레반트의 무슬림 정복은 서 로마 제국에 의해 억압받던 기독교인들에게 구원이었다.[92]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미카엘 시리아인은 "남쪽에서 이스마엘 자손을 일으켜 로마인들의 손에서 우리를 구원하도록 했다"고 썼다.[92] 팔레스타인, 시리아, 레바논, 아르메니아 지역의 다양한 기독교 공동체는 서 로마 제국 또는 비잔틴 제국의 통치를 싫어했고, 따라서 무슬림 통치하에서 ''딤미''로서 더 유리한 조건에서 살기를 선호했다.[92] 그러나 현대 역사가들은 또한 서기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초기 무슬림 정복 과정에서 아랍 무슬림 군대에 의해 침략당한 땅에 살았던 기독교인들이 아랍 무슬림 관리들과 통치자들에 의해 여러 차례 종교 박해, 종교 폭력, 순교를 겪었다는 것을 인정한다;[92][93][94][95] 많은 사람들이 이슬람교로의 개종 거부, 이슬람교 배교 및 기독교 개종, 무슬림 신념에 대한 모독과 같은 극적인 저항 행위를 통해 기독교 신앙을 옹호했다는 이유로 이슬람 사형에 따라 처형되었다.[93][94][95]
암르 이븐 알-아스가 643년에 트리폴리를 정복했을 때, 그는 유대인과 기독교 베르베르족에게 ''지즈야''의 일부로 아내와 자녀를 노예로 바치도록 강요했다.[96][97][98]
서기 666년경에 우크바 이븐 나피는 "남부 튀니지 도시를 정복하여 그곳에 살고 있던 모든 기독교인을 학살했다."[99] 무슬림 자료는 그가 수많은 습격을 벌였으며, 종종 도시를 완전히 약탈하고 대량 노예화하는 것으로 끝났다고 보고한다.[100]
하나피 학파의 이슬람 율법(sharīʿa)에 따르면, 비무슬림의 증언은 법적 또는 민사 문제에서 무슬림의 증언에 대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역사적으로, 이슬람 문화에서 무슬림 여성은 기독교인 남성과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무슬림 남성은 기독교인 여성과 결혼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02][103] 이슬람 통치 하의 기독교인들은 이슬람이나 다른 종교로 개종할 권리가 있었지만, 반대로 ''무르타드''는 심지어 ''하드''를 받을 수 있었다.[93][94][95]
일반적으로, 이슬람 통치 하의 기독교인들은 일부 제한 사항이 있었지만 그들의 종교를 실천할 수 있었는데, 이는 ''우마르 조약''에서 비롯되었다. 717년에 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조약은 기독교인들이 교회 건물에 십자가를 공개적으로 전시하는 것, 종을 사용하여 예배 참석자를 소집하는 것, 파괴되거나 손상된 교회와 수도원을 재건하거나 수리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직업, 의복 및 무기에 관련된 다른 제약들을 부과했다.[104] 우마이야 칼리파조는 7세기와 8세기에 많은 베르베르 기독교인을 박해했으며, 그들은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했다.[105]
우마이야 알-안달루스(이베리아 반도)에서는 말리키 학파의 이슬람 율법이 가장 널리 퍼져 있었다.[94] 850년에서 859년 사이에 코르도바 토후국에서 일어난 48명의 기독교 순교자들의 순교는 성인 전기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이베리아 기독교인이자 라틴어 학자인 코르도바의 에울로기우스가 저술했다.[93][94][95] 코르도바의 순교자는 압드 알-라흐만 2세와 무함마드 1세의 통치하에 처형되었으며, 에울로기우스의 성인 전기는 배교와 신성 모독을 포함한 이슬람 율법을 중대하게 위반한 순교자들의 처형을 자세히 설명한다.[93][94][95]
아랍 정복 이후, 많은 기독교 아랍 부족들이 노예화와 강제 개종을 겪었다.[107] 8세기 초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이코니움에서 온 70명의 기독교 순례자 중 63명이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이슬람으로 개종을 거부하여 처형되었다. 그 직후, 아모리움에서 온 60명의 기독교 순례자들이 예루살렘에서 십자가에 못 박혔다.[108]
알모라비드 왕조는 이베리아의 기독교인들에게 엄청난 파괴를 가했다. 이베리아(히스파니아)의 수만 명의 토착 기독교인들이 알모라비드 왕조와 알모하드 왕조에 의해 아프리카로 추방되었다. 그들은 기독교인들이 이베리아 북부의 동족을 도울 수 있는 제5열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의심했다. 이러한 추방 과정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사망했다.[109][110]
알모라비드 왕조 치하의 기독교인들은 박해를 받았고, 아프리카로 대규모 추방을 당했다. 1099년 알모라비드 왕조는 그라나다 시의 대성당을 약탈했다. 1101년 기독교인들은 발렌시아 시에서 카톨릭 왕국으로 도망쳤다. 1106년 알모라비드 왕조는 말라가에서 기독교인들을 아프리카로 추방했다. 1126년, 그라나다에서 기독교인들의 반란이 실패한 후, 알모라비드 왕조는 도시의 모든 기독교인들을 아프리카로 추방했다. 그리고 1138년, 이븐 타슈핀은 수천 명의 기독교인들을 강제로 데리고 아프리카로 갔다.[111]
억압받는 무자라브들은 아라곤 왕인 알폰소 1세(1104–1134)에게 사절을 보내 알모라비드 왕조로부터 그들을 구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1126년 가을에 그라나다의 무자라브들은 대규모로 모로코로 추방되었다.[112] 11년 후 아프리카로의 또 다른 추방이 있었고, 그 결과 안달루시아에는 극소수의 기독교인들만 남게 되었다. 1164년 알모하드 왕조에 대한 반란의 여파로 그라나다에 남아 있던 기독교 카톨릭 인구는 모두 몰살되었다. 칼리프 아부 야쿠브 유수프는 알-안달루스에 교회나 시나고그를 하나도 남기지 않았다고 자랑했다.[110]
알 안달루스의 무슬림 성직자들은 기독교인과 유대인들을 부정한 존재로 간주하고, 그들과의 과도한 접촉이 무슬림을 오염시킬까 두려워했다. 세비야에서 파키 이븐 압둔은 두 종교의 사람들을 격리하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발표했다:[113]
- **
### 이단 심문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프랑스 국왕 필리프 2세와 함께 1209년부터 1226년까지 알비 십자군으로 알려진 군사 작전을 카타르파를 상대로 시작했다.[149][150] 학자들은 이어진 전쟁이 교황의 종교 박해였는지, 아니면 필리프 왕의 영토 확장 시도였는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276] 역사가 로렌스 W. 마빈은 교황이 "옥시타니아에서 사건들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력을 거의 행사하지 못했다"고 말한다.[151] 1213년 베지에 학살 4년 후, 교황은 십자군 면죄부를 취소하고 작전 중단을 촉구했으나,[152] 작전은 계속되었다. 교황의 뜻은 2년 후 라테란 공의회에서 십자군 지위를 재개하면서 번복되었고, 이후 교황은 다시 십자군 지위를 철회했다.[153][151] 마빈이 "점점 더 모호해지는 도덕적 분위기"라고 칭하는 상황에서 작전은 이후 16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더 이상 십자군이 아니었고, 면죄부나 특별 보상도 없었으며, 교황 사절들은 교황의 명령을 넘어섰고, 군대는 교회의 호의를 받고 있는 귀족들의 땅을 점령했다.[151] 작전을 종결시킨 파리 조약은 카타르파를 여전히 존속하게 했지만, 랑그도크의 통치권을 루이의 후손들에게 넘겨주었다.[151]
평신도의 경건함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교회 개혁을 요구했고 교황으로부터 박해를 받았다.[163] 존 위클리프(1320–1384)는 교회가 재산 소유를 포기하고 빈곤과 단순함을 받아들일 것과 교회가 국가와 정치에 복종하는 것을 멈추고 교황의 권위를 부정할 것을 촉구했다. 존 위클리프는 뇌졸중으로 사망했지만 그의 추종자들은 '롤라드파'로 불리며 이단으로 선언되었고,[163] 올드캐슬 반란 이후 많은 사람들이 살해되었다.[164]
얀 후스(1369–1415)는 위클리프의 몇몇 견해를 받아들였고 보헤미아 개혁 운동과 연대했다. 1415년, 후스는 콘스탄츠 공의회에 소환되어 그의 사상이 이단으로 정죄되었고, 그는 국가에 넘겨져 화형에 처해졌다.[165][163]
프라티첼리파는 "작은 형제단" 또는 "영적 프란체스코회"로도 알려졌으며,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헌신적인 추종자들이었다. 이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들은 빈곤 서약을 존중했으며 교회의 부를 많은 사람들이 빈곤 속에서 살아가는 동안 부패와 불의의 원인으로 여겼다. 그들은 많은 성직자들의 세속적인 행동을 비판했다.[166] 따라서 형제단은 요한 22세(1316–1334)에 의해 이단으로 선언되었다.[167]
이 형제단의 지도자인 베르나르 데리시외(c. 1260–1270)는 평생 도미니크회가 운영하는 종교 재판과 싸웠다. 그는 고문과 파문 위협 후에 종교 재판에 반대하는 혐의를 자백했고, 제적되어 평생 감옥에 갇혀 사슬에 묶여 독방에 수감되었으며 빵과 물만 받도록 선고받았다. 판사들은 그의 나이와 허약함 때문에 이 가혹한 형벌을 완화하려고 시도했지만, 교황 요한 22세는 이를 무효화하고 그 수도사를 종교 재판관 장 드 보네에게 넘겼다. 데리시외는 1320년 초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168]
### 동방 정교회와 서방 교회의 갈등
레오 3세() 치세에 오르푸스 산의 수도사 조지 림나이오테스는 성상 숭배 때문에 95세의 나이로 고문을 당했으며, 코 절단술로 신체 훼손을 당하고 머리가 불태워졌다.[65]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게르마누스 1세는 레오 3세 치세에 폐위 및 추방되었고, 플란타니온(아크차아바트)에서 망명 중 사망했다.[65] 레오 3세는 성상 숭배자 수도승 요한 푸사이트를 케르손으로 추방했다.[65]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시낙사리온''에 따르면, 트라케시아 테마의 성직자들인 히파티오스와 앤드루는 레오 3세의 박해 기간 동안 투옥, 고문 및 공개 처형되었다.[65] 크레테의 안드레아는 콘스탄티누스 5세()와 논쟁을 벌인 후 구타, 투옥 및 과다 출혈로 사망했다.[65]
811년 플리스카 전투에서 니케포로스 1세({{Reign
3. 1. 이단 심문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프랑스 국왕 필리프 2세와 함께 1209년부터 1226년까지 알비 십자군으로 알려진 군사 작전을 카타르파를 상대로 시작했다.[149][150] 학자들은 이어진 전쟁이 교황의 종교 박해였는지, 아니면 필리프 왕의 영토 확장 시도였는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276] 역사가 로렌스 W. 마빈은 교황이 "옥시타니아에서 사건들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력을 거의 행사하지 못했다"고 말한다.[151] 1213년 베지에 학살 4년 후, 교황은 십자군 면죄부를 취소하고 작전 중단을 촉구했으나,[152] 작전은 계속되었다. 교황의 뜻은 2년 후 라테란 공의회에서 십자군 지위를 재개하면서 번복되었고, 이후 교황은 다시 십자군 지위를 철회했다.[153][151] 마빈이 "점점 더 모호해지는 도덕적 분위기"라고 칭하는 상황에서 작전은 이후 16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더 이상 십자군이 아니었고, 면죄부나 특별 보상도 없었으며, 교황 사절들은 교황의 명령을 넘어섰고, 군대는 교회의 호의를 받고 있는 귀족들의 땅을 점령했다.[151] 작전을 종결시킨 파리 조약은 카타르파를 여전히 존속하게 했지만, 랑그도크의 통치권을 루이의 후손들에게 넘겨주었다.[151]평신도의 경건함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교회 개혁을 요구했고 교황으로부터 박해를 받았다.[163] 존 위클리프(1320–1384)는 교회가 재산 소유를 포기하고 빈곤과 단순함을 받아들일 것과 교회가 국가와 정치에 복종하는 것을 멈추고 교황의 권위를 부정할 것을 촉구했다. 존 위클리프는 뇌졸중으로 사망했지만 그의 추종자들은 '롤라드파'로 불리며 이단으로 선언되었고,[163] 올드캐슬 반란 이후 많은 사람들이 살해되었다.[164]
얀 후스(1369–1415)는 위클리프의 몇몇 견해를 받아들였고 보헤미아 개혁 운동과 연대했다. 1415년, 후스는 콘스탄츠 공의회에 소환되어 그의 사상이 이단으로 정죄되었고, 그는 국가에 넘겨져 화형에 처해졌다.[165][163]
프라티첼리파는 "작은 형제단" 또는 "영적 프란체스코회"로도 알려졌으며,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헌신적인 추종자들이었다. 이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들은 빈곤 서약을 존중했으며 교회의 부를 많은 사람들이 빈곤 속에서 살아가는 동안 부패와 불의의 원인으로 여겼다. 그들은 많은 성직자들의 세속적인 행동을 비판했다.[166] 따라서 형제단은 요한 22세(1316–1334)에 의해 이단으로 선언되었다.[167]
이 형제단의 지도자인 베르나르 데리시외(c. 1260–1270)는 평생 도미니크회가 운영하는 종교 재판과 싸웠다. 그는 고문과 파문 위협 후에 종교 재판에 반대하는 혐의를 자백했고, 제적되어 평생 감옥에 갇혀 사슬에 묶여 독방에 수감되었으며 빵과 물만 받도록 선고받았다. 판사들은 그의 나이와 허약함 때문에 이 가혹한 형벌을 완화하려고 시도했지만, 교황 요한 22세는 이를 무효화하고 그 수도사를 종교 재판관 장 드 보네에게 넘겼다. 데리시외는 1320년 초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168]
3. 2. 동방 정교회와 서방 교회의 갈등
오르푸스 산의 수도사 조지 림나이오테스는 성상 숭배 때문에 95세의 나이로 고문을 당했으며, 레오 3세() 치세에 코 절단술로 신체 훼손을 당하고 머리가 불태워졌다.[65]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게르마누스 1세는 레오 3세 치세에 폐위 및 추방되었고, 플란타니온(아크차아바트)에서 망명 중 사망했다.[65] 레오 3세는 성상 숭배자 수도승 요한 푸사이트를 케르손으로 추방했다.[65]''콘스탄티노폴리스의 시낙사리온''에 따르면, 트라케시아 테마의 성직자들인 히파티오스와 앤드루는 레오 3세의 박해 기간 동안 투옥, 고문 및 공개 처형되었다.[65] 크레테의 안드레아는 콘스탄티누스 5세()와 논쟁을 벌인 후 구타, 투옥 및 과다 출혈로 사망했다.[65]
811년 플리스카 전투에서 니케포로스 1세()를 죽인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칸'' 크룸은 기독교를 거부한 로마 병사들을 처형했다.[65] 813년 불가리아인들은 트라키아를 침략했고, 아드리아노플 (에디르네)이 함락되었다.[65] 크룸의 후계자 두쿰과 디체브그를 거쳐, 오무르타그는 약 380명의 기독교인을 살해했다. 여기에는 데벨토스의 대주교인 조지, 트라키아 니케아의 주교인 레오, 그리고 요한과 레오라는 두 명의 ''스트라테고스''가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아드리아노플의 순교자로 알려져 있다.[65]
하자르의 레오 4세()와 아르메니아의 레오 5세()는 성상 숭배를 거부하는 대가로 궁정 지위를 제안했으나 거절당한 비잔틴 수도사 마카리우스를 추방 및 투옥했다.[65]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니케포로스 1세 총대주교는 815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이단적인 입장을 보여 레오 5세에 의해 추방되었다.[65]
816년 봄,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도사 바울로페트리온의 아타나시오스는 성상 숭배 때문에 황제 레오 5세에 의해 고문 및 추방되었다.[65] 카타라의 요한은 레오 5세와 미카엘 2세 통치 기간 동안 추방 및 투옥되었고, 테오필로스 통치 하에서 다시 추방되어 835년 경 사망했다.[65]
올림푸스 산 근처 아라우로스 수도원의 ''헤구메노스''였던 아라우로스의 에우스트라티오스,[114]는 레오 5세와 테오필로스()의 박해로 망명했다.[65] 같은 황제들은 달마토스의 힐라리온을 박해하고 추방했다.[65] 또한 마르 사바 수도원의 아랍 수도사였던 미카엘 싱켈로스를 박해했다.[65]
테오파네스 '콘티누아투스'에 따르면, 하자르 출신의 아르메니아 수도사이자 성상 제작자인 라자루스 조그라포스는 성상 그리는 것을 중단하지 않아 테오필로스에게 고문을 당했지만, 황후 테오도라의 중재로 풀려났다.[65] 테오필로스 사망 후, 라자루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의 칼케 문에 있는 그리스도의 그림을 다시 그렸다.[65]
레스보스의 시메온 스틸리테스는 성상 숭배 때문에 박해, 투옥 및 추방되었다.[65] 그의 형제일 수도 있는 미틸레네의 조지 주교는 815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추방당했다.[65]

사르디스의 유티미우스 주교는 여러 성상 파괴주의 기독교 박해의 희생자였다. 니케포로스 1세()에 의해 판텔레리아로, 레오 5세()에 의해 타소스로 추방되었고, 미카엘 2세() 치세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소환된 후, 다시 투옥되어 아크리타스 곶(투즐라, 이스탄불)에서 떨어진 성 안드레아 섬으로 추방되었다.[65]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메토디우스 1세 총대주교의 성인전에 따르면, 테옥티스토스와 다른 두 명의 황실 관리가 유티미우스를 성상 숭배 때문에 채찍질하여 죽였다.[65][115]
테옥티스토스 브리엔니오스의 친척이자 스타디우스 수도원의 수도사인 에바리스토스는 포티오스 1세에 의해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그나티우스가 폐위되었을 때 추방되었다.[65] 이그나티우스의 지지자이자 시칠리아의 무슬림 정복에서 도망온 난민이었던 수도사 요셉 힐머는 858년 이그나티우스의 라이벌 포티오스가 승진했을 때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케르손으로 추방당했다.[65]
레오 6세()가 총애했던 ''싱켈로스''였던 유티미우스는, 907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가 되었으나, 레오 6세가 사망하고 니콜라스 미스티코스가 총대주교 자리에 복귀했을 때 추방당했다.[65]
4. 종교 개혁과 근대 초기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과 로마 가톨릭 반종교 개혁은 다른 기독교인들에 의한 기독교인 박해와 유럽 종교 전쟁을 촉발했다. 80년 전쟁, 위그노 전쟁, 30년 전쟁, 세 왕국 전쟁, 사보이-왈덴시아 전쟁, 토겐부르크 전쟁 등이 이에 해당한다. 마녀사냥에 대한 거짓 혐의와 수많은 근세 마녀 재판 또한 자행되었다.
4. 1. 종교 전쟁
프로테스탄트한국어 종교 개혁과 로마 가톨릭 반종교 개혁은 다른 기독교인들에 의한 기독교인 박해와 유럽 종교 전쟁을 촉발했다. 유럽의 종교 전쟁에는 80년 전쟁, 위그노 전쟁, 30년 전쟁, 세 왕국 전쟁, 사보이-왈덴시아 전쟁, 토겐부르크 전쟁이 포함된다. 마녀사냥에 대한 거짓 혐의와 수많은 근세 마녀 재판이 있었다.
4. 2. 오스만 제국의 기독교 박해
역사학자 워렌 트레드골드는 14세기 말 아나톨리아에서 투르크 무슬림들이 비잔틴 제국을 지속적으로 약탈한 것에 대해 언급했다.[207] 투르크인들은 약탈과 정복을 통해 많은 기독교인을 노예로 삼았으며, 일부는 다른 무슬림 지역에 팔거나 신앙생활을 방해했다. 이슬람으로의 개종, 터키인의 이주, 그리스인의 이주로 인해 소아시아 중부의 그리스인 소수 민족은 더욱 위험에 처했다. 터키인들은 서부 아나톨리아를 점령하면서 시골을 먼저 점령하여 그리스인들을 도시나 유럽, 섬으로 몰아냈다. 아나톨리아 도시가 함락될 즈음에는 이미 그 주변 땅이 대부분 터키화 및 이슬람화되었다.메흐메트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직후 사흘 동안 군대와 측근들이 도시에서 무제한적인 약탈과 강탈을 하도록 허용했다.[208][209] 그러나 첫날이 끝날 무렵, 약탈당하고 노예가 된 도시를 보며 깊은 슬픔을 느껴 약탈 중단을 선포했다.[210][208] 하기아 소피아는 약탈과 강탈의 초점이 되었는데, 침략자들은 도시의 가장 큰 보물과 귀중품이 그곳에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211]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방어가 무너지고 오스만 군대가 승리하여 도시로 들어간 직후, 약탈자들은 하기아 소피아로 가서 문을 부수고 안으로 돌진했다.[208]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기간 동안 도시에 갇힌 신자들은 성찬 예식에 참여하고 하기아 소피아에서 시간의 기도를 암송했으며, 이 교회는 여성, 어린이, 노인, 병자, 부상자 등 도시 방어에 기여할 수 없었던 많은 신자들에게 피난처가 되었다.[212][213] 교회에 갇힌 회중들과 피난민들은 전리품이 되었고, 건물은 훼손되고 약탈당했으며, 교회 안에서 피난처를 찾던 무력한 점령자들은 노예가 되었다.[211] 노인과 병자, 부상자는 대부분 살해되었고 나머지는 (주로 십 대 남성과 어린 소년) 쇠사슬에 묶여 노예로 팔렸다.[208]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여성들은 오스만 군대의 손에 의한 강간으로 고통을 받았다.[214] 바르바로에 따르면, "터키인들은 온종일 도시 전역에서 기독교인들을 대량 학살했다." 역사학자 필립 먼셀에 따르면 도시 민간인에 대한 광범위한 박해가 발생하여 수천 명이 살해되고 강간당했으며 3만 명의 민간인이 노예가 되거나 강제로 추방되었다.[215][216][217][218] 게오르기오스 스프란테스는 하기아 소피아 안에서 남녀 모두 강간당했다고 말한다.[219]
대 터키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지역에 살았던 무슬림과 기독교인 간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었고, 일부 무슬림 종교 지도자들은 지역 기독교 공동체를 추방하거나 근절하라는 요구를 하기도 했다. 오스만의 압제, 교회와 수도원의 파괴, 비무슬림 민간인에 대한 폭력의 결과로, 세르비아인 기독교인과 아르세니예 3세를 중심으로 한 세르비아 정교회 지도자들은 1689년에 오스트리아인과, 1737년에는 아르세니예 4세 아래에서 다시 편을 들었다. 그 뒤에 이어진 보복 작전에서 오스만군은 세르비아 지역의 기독교인에 대해 조직적인 잔혹 행위를 자행했으며, 그 결과 세르비아인의 대 이주가 발생했다.[220]
16세기 말 이전, 알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는 보스니아, 불가리아, 북부 그리스와 같은 오스만 제국의 다른 지역과는 달랐다.[220] 산악 지대인 알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때로는 마을 전체가 파괴되는 등 엄청난 인명 피해를 입기도 했다.[221] 이에 오스만 제국은 기독교인을 관용하는 기존 정책을 버리고, 1570년 레카와 엘바산의 불안한 기독교 지역에서 시작하여 이슬람화를 통해 알바니아 기독교 인구를 줄이려는 정책으로 전환했다.[222] 이 캠페인으로 인해 알바니아 기독교 인구에게 특히 가혹한 경제적 조건이 부과되었다. 이전에는 기독교인에 대한 세금이 연간 약 45 아크체였지만, 17세기 중반에는 그 비율이 27배 증가하여 연간 780 ''아크체''가 되었다. 알바니아 족장들은 종종 굶주림과 경제적 파탄으로부터 씨족과 마을을 구하기 위해 마을 전체 및 지역 전체의 이슬람 개종을 옹호했으며, 많은 개인들이 종종 개인적으로 기독교를 계속 실천했다.[223]
1596년의 실패한 가톨릭 반란과 대터키 전쟁 당시 알바니아 인구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원,[224] 1644년 베네치아-오스만 전쟁에서 베네치아 지원,[225] 오를로프 반란[226][227][228][229][230]은 모두 지역에 따라 노골적인 무력과 경제적 인센티브가 동반된 징벌 조치로 이어졌고, 결국 알바니아의 대규모 기독교 인구가 이슬람으로 개종하게 만들었다. 대터키 전쟁 이후, 코소보의 가톨릭 알바니아 인구에게 대규모 징벌 조치가 가해졌고, 그 결과 대부분의 구성원이 헝가리로 도망쳐 부다 주변에 정착했지만, 그곳에서 대부분 질병과 기아로 사망했다.[224][231] 정교회 세르비아 인구가 코소보에서 도망친 후, 이페크(페야/페치)의 파샤는 알바니아 가톨릭 산악인들을 코소보로 강제 이주시켜 코소보를 재정착하게 했고, 또한 이슬람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했다.[224][230] 17세기와 18세기에는 남부 알바니아에서도 새로 개종한 지역 무슬림들이 기독교인에게 폭력을 가하는 사례가 여러 차례 발생하여, 결국 두려움으로 인한 더 많은 개종과 기독교 인구의 멀리 떨어진 곳으로의 도피를 초래했다.[232][233][226][234][235]
근대 시대에 오스만 제국 내의 무슬림과 기독교인 간의 관계는 주로 이 지역의 유럽 식민지 및 신 제국주의 활동과 관련된 더 광범위한 역학 관계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는 종종 두 공동체 간의 긴장을 유발했다. 19세기에 이 지역에서 커지는 유럽의 영향력은 기독교인에게 불균형적으로 혜택을 주는 것처럼 보였고, 이는 많은 무슬림들의 분노를 유발했으며, 마찬가지로 많은 무슬림들은 기독교인과 유럽 열강이 이슬람 세계를 약화시키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의심했다. 관계를 더욱 악화시킨 것은 기독교인들이 개혁 노력으로 불균형적인 혜택을 받는 것처럼 보였고, 제국의 유럽 영토에서 다양한 기독교 민족주의 봉기가 있었는데, 이는 종종 유럽 열강의 지원을 받았다.[250]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의 유럽 및 아시아 지방에서 기독교인들의 박해와 강제 이주가 오스만 군대에 의해 유발되었다. 바드 칸 학살은 1843년에서 1847년 사이에 쿠르드족과 오스만 제국 군대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아시리아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자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하카리 지역의 10,000명 이상의 원주민 아시리아 민간인이 학살되었고, 수천 명이 노예로 팔려갔다.[251]

1850년 10월 17일, 다수의 무슬림은 유니에이트 가톨릭 교도들(알레포 시의 주다야에 공동체에 살던 소수 민족)을 상대로 폭동을 시작했다.[252]
오스만 통치에 맞선 불가리아 봉기(1876)와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1878) 기간 동안, 불가리아인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가 오스만 군인들에 의해 자행되었다. 주요 장소는 파나규리슈테, 페루슈티차, 브라치고보였다.[253] 1876년과 1878년 사이에 15,000명 이상의 비전투 불가리아인 민간인이 오스만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으며, 최악의 사례는 바탁 학살이었다.[253][254] 전쟁 중, 가장 큰 불가리아 도시(스타라 자고라)를 포함한 도시 전체가 파괴되었고, 대부분의 주민이 살해되었으며, 나머지는 추방되거나 노예가 되었다. 이러한 잔학 행위에는 산 채로 사람들을 말뚝에 꽂거나 구워 죽이는 행위가 포함되었다.[255] 세르비아-터키 전쟁 (1876–78) 중 오스만 군대는 세르비아 기독교인들을 상대로 유사한 공격을 가했다.

''지즈야''의 폐지 및 이전 ''지미'' 신민들의 해방은 오스만 제국이 1856년 크림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받아들여야 했던 가장 쓰라린 조항 중 하나였다. M. J. 아크바르는 "1453년 이후 처음으로 교회 종이 콘스탄티노플에서 울리도록 허용되었다"고 적었다. "많은 무슬림들은 이를 애도의 날로 선언했다." 실제로, 우월한 사회적 지위는 시작부터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의 장점 중 하나였기 때문에, 분개한 무슬림 폭도들은 제국 전역에서 기독교인들을 폭동을 일으키고 괴롭혔다. 1860년에는 레반트에서만 최대 30,000명의 기독교인이 학살되었다.[257]
마크 트웨인은 레반트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258]
{{인용문
|text=남자, 여자, 아이들이 무차별적으로 학살당하고 수백 구가 기독교인 구역 전체에 썩도록 버려졌다... 악취는 끔찍했다. 탈출할 수 있었던 모든 기독교인들은 도시에서 도망쳤고, 무함마드교도들은 '불신자 개'를 매장함으로써 손을 더럽히려 하지 않았다. 피에 대한 갈증은 헤르몬과 안티레바논의 고지대로 확대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25,000명의 기독교인들이 더 학살되었다.|}}
1894년에서 1896년 사이에 함마디안 학살로 알려진 일련의 민족-종교적 동기의 반기독교적 포그롬이 고대 아르메니아인과 아시리아인 기독교인들에게 오스만 제국 군대에 의해 자행되었다.[259] 이러한 학살의 동기는 오스만 제국에서 범이슬람주의를 재확인하려는 시도, 고대 토착 기독교 공동체의 상대적인 부에 대한 분노, 그리고 붕괴 직전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탈퇴하려는 시도를 할 것이라는 두려움이었다.[260] 학살은 주로 오늘날 터키 남동부, 시리아 북동부, 이라크 북부에서 발생했다.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은 디야르바키르, 하사니에프, 시바스 및 아나톨리아와 북 메소포타미아의 다른 지역에서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에 의해 학살되었다. 사망자 수는 325,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며,[261][262] 생존자의 강제 이주로 인해 546,000명의 아르메니아인과 아시리아인이 도시에서 빈곤하게 되었고, 2500개에 달하는 농가와 마을이 파괴되거나 도난당했다. 수백 개의 교회와 수도원도 파괴되거나 강제로 모스크로 개조되었다.[263] 이러한 공격으로 수천 명의 아시리아인이 사망하고 245개 마을의 주민들이 강제로 "오스만화"되었다. 오스만 군대는 아시리아 정착촌의 잔해를 약탈했으며, 이는 나중에 남동 아나톨리아 부족에 의해 도난당하고 점령되었다. 무장하지 않은 아시리아 여성과 아이들은 강간, 고문, 살해되었다.[264] H. 아부나에 따르면, 아시리아의 독립은 직접적으로 터키인에 의해 파괴된 것이 아니라 오스만 정부 아래 그들의 이웃에 의해 파괴되었다.[265]
아다나 학살은 1909년 4월 오스만 제국의 아다나 빌라예트에서 발생했다. 3월 31일 사건 당시 아다나 시와 그 주변에서 아르메니아인과 아시리아인 기독교인들이 학살되면서 지역 전체에서 일련의 반기독교적 포그롬이 발생했다.[266] 보고서에 따르면 아다나 빌라예트 학살로 인해 최대 30,000명의 아르메니아인과 1,500명의 아시리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67][268][269]
1915년과 1921년 사이에 붕괴하는 오스만 제국의 청년 투르크 정부는 아나톨리아, 페르시아, 북메소포타미아 및 레반트에서 동방 기독교 인구를 박해했다. 쿠르드족, 아랍인, 체르케스족 불규칙병을 포함한 오스만 군대의 맹공격으로 약 34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이는 약 150만 명의 아르메니아인 기독교인,[270][271] 75만 명의 아시리아인 기독교인, 90만 명의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인, 25만 명의 마론파 기독교인(레바논산 대기근 참조);[272] 조지아인 기독교인 그룹도 살해되었다. 대규모의 민족 종교적 숙청으로 이슬람으로 개종하지 않은 아르메니아인과 트라키아 불가리아인이 제국에서 추방되거나 살해되었으며, 이는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273][274] 아시리아 집단 학살,[275] 그리스인 집단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276] 및 레바논산 대기근.[277][278] 은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 그리스인 및 마론파 기독교인의 죽음과 더 많은 사람들의 추방과 빈곤을 초래했다. 이 집단 학살로 수천 년 동안 이 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원주민 기독교 인구가 파괴되었다.[279][280][281][282]
베니 모리스와 드로르 제에비는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과 오스만 제국의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 (그리스인 집단 학살, 및 아시리아 집단 학살)가 오스만 제국이 자신의 기독교 신민에 대해 수행한 대량 학살, 즉 집단 학살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283][284][285]
셰이크 사예드 반란 이후, 시리아 정교회와 동방 아시리아 교회는 일부 아시리아인이 반란을 일으킨 쿠르드족과 협력했다는 이유로 터키 당국의 괴롭힘을 받았다.[286] 결과적으로 대규모 추방이 이루어졌고, 아시리아 총대주교 마르 이그나티우스 엘리아스 3세는 모르 하나뇨 수도원에서 추방되었으며, 이 수도원은 터키 군 막사로 변했다. 이후 총대주교 좌석은 임시로 홈스로 옮겨졌다.
5. 근현대 박해
알바니아 노동당 통치 기간 동안 알바니아의 종교는 마르크스주의 이념에 종속되어 탄압받았다. 1967년부터 1991년까지 국가 무신론이 공산주의 입장에 의해 정당화되었다.[236] 1945년 8월 농지 개혁법으로 종교 기관 재산이 국유화되었고, 많은 성직자와 신자들이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237][238] 1946년에는 외국 로마 가톨릭 사제, 수사, 수녀들이 추방되었다.[237][238] 군은 교회, 대성당, 모스크를 압수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했고, 성직자들은 지위를 박탈당하고 투옥되었다.[239][240] 엔베르 호자의 목표는 알바니아에서 모든 조직 종교를 파괴하는 것이었다.[237][238]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반유대주의를 금지하며 무신론을 장려했다. 수만 개의 교회가 파괴되거나 다른 용도로 개조되었고, 많은 성직자들이 살해, 처형, 투옥되었다.[288][289] 국가는 무신론을 유일한 과학적 진실로 확립하고,[290][291][292][293] 무신론과 불가지론, 국가 반종교 정책에 대한 비판을 금지했다.[294][295][296] 마르크스-레닌주의 무신론은 소련 공산당 이념의 핵심이었으며, 강제 개종을 위한 정부 주도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297][298][299][300][301] 공산당은 종교 지도자들을 조롱, 괴롭힘, 투옥, 처형하고, 학교와 언론에 반종교적 가르침을 쏟아 부었으며, "과학적 무신론" 신념 체계를 도입했다.[302][303] 1925년 호전적 무신론자 연맹이 설립되어 박해를 강화했다.[304]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요제프 스탈린은 전쟁 노력을 위해 러시아 정교회를 부활시켰으나,[289] 니키타 흐루쇼프는 다시 교회를 폐쇄했다.[289] 교회 재산은 몰수되어 공공 용도로 전환되었고, 교회는 교육, 자선, 사회 사업을 할 수 없었다.[191] 스탈린 사망 이후에도 박해는 계속되었고, 소련 해체까지 이어졌다.[191]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을 통해 세계를 통합하려는 운동은 동유럽 블록 국가와 발칸 국가로 확산되었다. 이들 국가에서 사람들과 교회는 소련과 국가 무신론에 의한 민족적, 정치적 대량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306][307] 무신론 비판은 금지되었고 투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309][310][311][31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에서 일당 공산주의 국가가 들어서면서 무신론 강제 개종 프로젝트가 계속되었다.[330][331] 소련은 동구권으로 박해를 확대했다.[332] 교회는 소련만큼 심하게 박해받지는 않았지만, 학교와 교회가 문을 닫고 공적 생활에서 역할을 잃었다.[333]
5. 1. 공산주의 국가의 박해
알바니아 노동당 통치 기간 동안 알바니아의 종교는 마르크스주의 이념에 종속되어 탄압받았다. 1967년부터 1991년까지 국가 무신론이 공산주의 입장에 의해 정당화되었다.[236] 1945년 8월 농지 개혁법으로 종교 기관 재산이 국유화되었고, 많은 성직자와 신자들이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237][238] 1946년에는 외국 로마 가톨릭 사제, 수사, 수녀들이 추방되었다.[237][238] 군은 교회, 대성당, 모스크를 압수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했고, 성직자들은 지위를 박탈당하고 투옥되었다.[239][240] 엔베르 호자의 목표는 알바니아에서 모든 조직 종교를 파괴하는 것이었다.[237][238]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반유대주의를 금지하며 무신론을 장려했다. 수만 개의 교회가 파괴되거나 다른 용도로 개조되었고, 많은 성직자들이 살해, 처형, 투옥되었다.[288][289] 국가는 무신론을 유일한 과학적 진실로 확립하고,[290][291][292][293] 무신론과 불가지론, 국가 반종교 정책에 대한 비판을 금지했다.[294][295][296] 마르크스-레닌주의 무신론은 소련 공산당 이념의 핵심이었으며, 강제 개종을 위한 정부 주도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297][298][299][300][301] 공산당은 종교 지도자들을 조롱, 괴롭힘, 투옥, 처형하고, 학교와 언론에 반종교적 가르침을 쏟아 부었으며, "과학적 무신론" 신념 체계를 도입했다.[302][303] 1925년 호전적 무신론자 연맹이 설립되어 박해를 강화했다.[304]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요제프 스탈린은 전쟁 노력을 위해 러시아 정교회를 부활시켰으나,[289] 니키타 흐루쇼프는 다시 교회를 폐쇄했다.[289] 교회 재산은 몰수되어 공공 용도로 전환되었고, 교회는 교육, 자선, 사회 사업을 할 수 없었다.[191] 스탈린 사망 이후에도 박해는 계속되었고, 소련 해체까지 이어졌다.[191]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을 통해 세계를 통합하려는 운동은 동유럽 블록 국가와 발칸 국가로 확산되었다. 이들 국가에서 사람들과 교회는 소련과 국가 무신론에 의한 민족적, 정치적 대량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306][307] 무신론 비판은 금지되었고 투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309][310][311][31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에서 일당 공산주의 국가가 들어서면서 무신론 강제 개종 프로젝트가 계속되었다.[330][331] 소련은 동구권으로 박해를 확대했다.[332] 교회는 소련만큼 심하게 박해받지는 않았지만, 학교와 교회가 문을 닫고 공적 생활에서 역할을 잃었다.[333]
5. 2. 이슬람 극단주의에 의한 박해
이슬람교는 경전의 백성으로 여겨지는 기독교인들에게 딤미라는 열등한 지위를 부여했다.[91][92] 딤미는 종교 차별과 박해에 직면했으며, 개종이 금지되었고, 복음 전파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91] 무기를 소지하거나 특정 직업을 가질 수 없었고, 샤리아에 따라 지즈야와 하라지 세금을 내야 했다.[91][92] 이러한 세금은 이슬람 국가의 수입원이 되었지만, 많은 기독교인을 빈곤으로 몰아넣었고, 이슬람교로 개종하게 만들었다.[91] 세금을 낼 수 없는 기독교인들은 자녀를 노예로 넘겨야 했고, 이들은 이슬람교로 개종되었다.[91]시리아 정교회 전통에 따르면, 레반트의 무슬림 정복은 서로마 제국에 억압받던 기독교인들에게 구원이었다.[92]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미카엘 시리아인은 "남쪽에서 이스마엘 자손을 일으켜 로마인들의 손에서 우리를 구원하도록 했다"고 썼다.[92] 팔레스타인, 시리아, 레바논, 아르메니아의 기독교 공동체는 무슬림 통치하의 ''딤미''로서 더 나은 조건을 선호했다.[92] 그러나 현대 역사가들은 초기 무슬림 정복 과정에서 기독교인들이 종교 박해, 종교 폭력, 순교를 겪었다고 인정한다.[92][93][94][95] 많은 이들이 이슬람교 배교 및 기독교 개종, 무슬림 신념 모독 등으로 처형되었다.[93][94][95]
643년 암르 이븐 알-아스는 트리폴리 정복 후 유대인과 기독교 베르베르족에게 ''지즈야''의 일부로 아내와 자녀를 노예로 바치도록 강요했다.[96][97][98] 666년경 우크바 이븐 나피는 남부 튀니지 도시를 정복하여 기독교인을 학살했다.[99] 무슬림 자료는 그가 도시를 약탈하고 대량 노예화를 했다고 보고한다.[100]
하나피 학파의 이슬람 율법에 따르면, 비무슬림의 증언은 무슬림의 증언에 대해 유효하지 않았다. 이슬람 문화에서 무슬림 여성은 기독교인 남성과 결혼이 금지되었지만, 무슬림 남성은 기독교인 여성과 결혼이 허용되었다.[102][103] 이슬람 통치하의 기독교인은 이슬람으로 개종할 수 있었지만, 이슬람에서 배교한 사람은 사형을 받을 수 있었다.[93][94][95]
우마르 조약은 기독교인들이 교회에 십자가를 전시하거나, 종을 사용하거나, 파괴된 교회를 재건하는 것을 금지했다.[104] 우마이야 칼리파조는 7세기와 8세기에 많은 베르베르 기독교인을 박해했고, 그들은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했다.[105]
우마이야 알-안달루스에서는 말리키 학파 율법이 널리 퍼져 있었다.[94] 850년에서 859년 사이 코르도바 토후국에서 48명의 기독교 순교자들이 처형되었으며, 코르도바의 에울로기우스가 코르도바의 순교자들의 순교를 기록했다.[93][94][95]

아랍 정복 이후, 많은 기독교 아랍 부족들이 노예화와 강제 개종을 겪었다.[107] 8세기 초 이코니움에서 온 70명의 기독교 순례자 중 63명이 고문을 받고 처형되었다.[108] 아모리움에서 온 60명의 기독교 순례자들은 예루살렘에서 십자가에 못 박혔다.[108]
알모라비드 왕조는 이베리아의 기독교인들에게 파괴를 가했다. 수만 명의 기독교인들이 아프리카로 추방되었다. 1099년 알모라비드 왕조는 그라나다 대성당을 약탈했다. 1126년, 그라나다 기독교인들의 반란 실패 후, 모든 기독교인들이 아프리카로 추방되었다. 1164년 알모하드 왕조에 대한 반란 이후 그라나다에 남아 있던 기독교인들은 몰살되었다. 아부 야쿠브 유수프는 알-안달루스에 교회나 시나고그를 남기지 않았다고 자랑했다.[110]
알 안달루스의 무슬림 성직자들은 기독교인과 유대인들을 부정한 존재로 간주했다. 세비야에서 파키 이븐 압둔은 격리 규정을 발표했다.[113]
아바스 왕조는 우마이야보다 기독교에 덜 관대했다.[92] 기독교 관리들은 계속 고용되었고, 동방 교회는 고대 그리스 철학과 그리스 수학 번역을 맡았다.[92] 알-자히즈는 기독교인들이 번영한다고 공격했다.[92] 9세기 말, 예루살렘 총대주교 테오도시우스는 "그들은 공정하고 우리에게 잘못을 저지르거나 폭력을 보여주지 않는다"라고 썼다.[92]
10세기 아랍-비잔틴 전쟁 동안, 아랍에 대한 로마의 승리는 기독교인들에 대한 공격을 초래했다.[92] 바르 헤브라이우스에 따르면, 아브라함 3세는 "우리는 네스토리안이며 아랍의 친구이고 그들의 승리를 위해 기도한다"라고 썼다.[92] 923년에서 924년 사이에 여러 정교회 교회가 파괴되었다.[92]
아바스 제국에서 700년대 후반에 무슬림들이 베들레헴 근처의 교회와 수도원을 파괴하고 수도승들을 학살했다. 796년에 무슬림들은 20명의 수도승을 불태워 죽였다. 809년과 813년에 예루살렘 안팎에서 수도원, 수녀원, 교회가 공격을 받았고, 기독교인들이 집단 강간을 당하고 학살되었다. 929년, 종려 주일에 교회들이 파괴되고 기독교인들이 학살되었다. 알-마크리시는 936년에 "예루살렘의 무슬림들이 봉기하여 부활 교회[성묘]를 불태우고 약탈했다"라고 기록했다.[116]
알-하킴 비-암르 알라 칼리프(재위: 996–1021)는 기독교도 박해에 가담했다.[118] 1004년부터 1014년 사이에 교회 재산을 몰수하고 십자가를 불태우는 법안을 만들었으며, 교회 지붕에 모스크를 짓도록 명령했고, 교회를 불태우라고 명령했다.[120] 3만 개의 교회가 파괴되었으며, 1009년에는 성묘 교회를 파괴하라고 명령했다.[120] 교황 세르지우스 4세는 군사를 소집했고, 유럽의 기독교인들은 유대인들을 박해했다.[121] 11세기 후반에는 순례자들이 투르크족의 부상과 이집트인과의 충돌로 기독교 순례자들에 대한 박해가 증가했다는 소식을 전했다.[121]
술탄 알프 아르슬란은 “나는 십자가를 숭배하는 모든 사람을 칼로 멸망시키고, 모든 기독교인의 땅을 노예로 만들 것이다."라고 맹세했다.[122] 프랑스 역사가 J. 로랑에 따르면, 셀주크 투르크의 아나톨리아 침략 당시 수십만 명의 토착 아나톨리아 기독교인들이 학살되거나 노예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128][129]
시리아의 미카엘은 “투르크족이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의 땅을 지배하면서, 예루살렘에서 기도하러 가는 기독교인들에게 부상을 입히고, 그들을 구타하고, 약탈하고, 인두세[지즈야]를 부과했다."라고 썼다[134]
일 칸국 시대에, 훌라구 칸에 의해 아시리아인들을 대상으로 대량 학살이 벌어졌다.
바르 에브라이우스는 몽골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후 기독교 신자들에 대한 태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그들의 사랑은 이제 그들이 눈으로도 호의적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격렬한 증오로 바뀌었는데, 이는 그들이 모두 이슬람교도가 되었기 때문이다."[157] 칸인 마흐무드 가잔이 (1295년에 이슬람으로 개종) "기독교인들을 박해하도록 강요한 대중의 압력"에 굴복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고, "교회는 뿌리 뽑히고, 제단은 뒤집히며, 성찬례 거행은 중단되고, 찬송가는 사라지며, 기도 소리는 폐지될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인들의 지도자들과 유대인 회중의 지도자들, 그리고 그들 중의 지도자들은 죽임을 당할 것이다."라는 조례로 절정에 달했다.[158][159][160]
술탄 바이바르스가 십자군으로부터 안티오크를 점령했을 때, 그는 그곳에 있었다면 그의 병사들이 저지르는 잔혹 행위를 보았을 것이라고 자랑하는 편지를 기독교인들에게 썼다.[169]
티무르(타메르)는 14세기에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소아시아, 시리아에서 기독교인에 대한 대규모 학살을 자행했다. 희생자 대부분은 토착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이었다.[170]
마이소르 왕국의 통치자였던 무슬림 티푸 술탄은 인도 남서부 해안의 망갈로르와 사우스 카나라 지역의 망갈로르 가톨릭 공동체에 대항하는 조치를 취했다. 티푸는 1784년 2월 24일에 망갈로르 가톨릭 신자들을 세링가파탐에 감금했고, 1799년 5월 4일에 그들을 석방했다.[200]
토마스 먼로 경에 따르면, 약 60,000명이 체포되었다.[204] 제임스 스커리에 따르면, 그들 중 30,000명이 이슬람으로 강제 개종되었다. 젊은 여성과 소녀들은 무슬림의 아내가 되도록 강요받았고, 나중에는 매춘으로 팔려 나갔다.

티푸 술탄의 말라바르 해안 침공은 말라바르 해안의 성 토마스 기독교인 공동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많은 교회들이 손상되었다.
1933년 시멜 학살 동안 아시리아인들은 또 다른 일련의 박해를 받았으며, 이라크 왕국에서 약 3,000명의 아시리아 민간인이 이라크 왕립군에 의해 사망했다.
1987년, 마지막 이라크 인구 조사에서 기독교인은 140만 명으로 집계되었다.[242] 사담 후세인 정부는 기독교인들을 민족, 문화, 인종적 기준으로 계속 박해했는데, 이는 대다수가 메소포타미아 동 아람어를 사용하는 민족 아시리아인이기 때문이다.
2010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기독교인이 현대사에서 가장 박해받는 종교 집단이라고 주장했다.[336] 유엔 인권 이사회 제23차 회의에서 실바노 마리아 토마시는 "매년 10만 명 이상의 기독교인이 신앙과 관련된 이유로 폭력적으로 살해된다"고 주장했다.[337]
PEW에 따르면, 중동 및 북아프리카는 지난 10년 동안 비 선호 종교에 대한 가장 높은 제한 비율을 경험했다.[357] 미국 국제 종교 자유 위원회는 1998년 미국 의회에 의해 창설된 초당파 독립 연방 기관으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에 위치한 주로 무슬림 국가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6. 한국 개신교와 관련된 박해
6. 1.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 강요
6. 2. 6.25 전쟁 중 학살
7. 현대 한국 사회의 기독교 관련 갈등
7. 1. 개신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7. 2. 기독교 혐오 및 차별
8. 결론 및 과제
참조
[1]
간행물
Turkey: Ongoing Violations against Greek Christians
https://europeancons[...]
Center for European Renewal
2024-08-30
[2]
뉴스
Then Came the Chance the Turks Have Been Waiting For: To Get Rid of Christians Once and for All
https://www.haaretz.[...]
2021-11-05
[3]
서적
The Thirty-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Harvard University Press
[4]
논문
The thirty 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Routledge
[5]
논문
Introduction: The Ottoman Genocides of Armenians, Assyrians, and Greek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5-03-01
[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Seeing like a nation-state: Young Turk social engineering in Eastern Turkey, 1913–50
Routledge
2008-06-01
[8]
논문
The politics of population in a nation-building process: Emigration of non-Muslims from Turkey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20-08-02
[9]
웹사이트
Living as Majorities and Minorities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Religion and Public Life
2021-04-02
[10]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20
https://www.uscirf.g[...]
United State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11]
서적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M.H. Wiltzius
1993
[12]
서적
The Sufferings of Christ Are Abundant In Us': A Narrative Dynamics Investigation of Paul's Sufferings in 2 Corinthians
A&C Black
2009
[13]
서적
Jewish Responses to Early Christians: History and Polemics, 30–150 C.E.
Fortress
[14]
논문
The Synagogue and the Separation of the Christians
https://www.jcrelati[...]
[15]
서적
The Jewish Jesus: How Judaism and Christianity Shaped Each Oth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6]
서적
The Mission and Expansion of Christianity in the First Three Centuries
Williams and Norgate
1908
[17]
논문
Issues in the Separation of Judaism and Christianity after 70 C.E.: A Reconsideration
https://www.jstor.or[...]
[18]
논문
The Myth of the Neronian Persecution
2015-08-14
[19]
논문
The prospect of a Christian interpolation in Tacitus, Annals 15.44.
https://brill.com/ab[...]
Brill Academic Publishers
2014-07-02
[20]
문서
Ben Witherington III, Revelation, Cambridge 2003, p177
[21]
문서
"[[Tertullian]], ''Adversus Gnosticos Scorpiace'', Book 15, Chapters 2-5"
[22]
문서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Book 2, Chapters 4-6"
[23]
문서
"[[Sulpicius Severus]], ''Chronicorum'', Book 3, Chapter 29."
[24]
문서
"[[Orosius]], ''Historiarum'', Book 7, Chapters 7-10"
[25]
서적
The Rise of Christianity How the Obscure, Marginal Jesus Movement Became the Dominant Religious Force in the Western World in a Few Centuries
HarperCollins
1997
[26]
서적
Introducing Early Christianity: A Topical Survey of Its Life, Beliefs Practice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1-10-28
[27]
서적
Christianity in Ancient Rome The First Three Centuries
Bloomsbury Academic
2010
[28]
서적
The Wedding of the Lamb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Book of Revelat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1
[29]
웹사이트
IRENAEUS – The mass slaughter of Lyon's Christians
http://www.christian[...]
[30]
문서
Christopher Reyes (2010). ''In His Name''. California: AuthorHouse. p.33
[31]
웹사이트
Church History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4-04-25
[32]
서적
Reading the Early Church Fathers: From the Didache to Nicaea
Paulist Press
2012-01-23
[33]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문서
Justin, I ''Apology'' 31, 6; Eusebius, ''Chronicle'', seventeenth year of the Emperor Hadrian. See: Bourgel, Jonathan, ″The Jewish-Christians in the storm of the Bar Kokhba Revolt″, in: ''From One Identity to Another: The Mother Church of Jerusalem Between the Two Jewish Revolts Against Rome (66-135/6 EC)''. Paris: Éditions du Cerf, collection Judaïsme ancien et Christianisme primitif, (French), pp. 127–175.
[35]
서적
Martyrdom of Women: A Study of Death Psychology in the Early Christian Church to 301 CE
https://archive.org/[...]
Tangelwuld
[36]
서적
Dying for God: Martyrdom and the Making of Christianity and Juda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37]
서적
A Noble Death: Suicide and Martyrdom Among Christians and Jews in Antiquity
https://archive.org/[...]
HarperSanFrancisco
1992-11
[38]
서적
Ancient Christian Martyrdom Diverse Practices, Theologies, and Traditions
Yale University Press
2012
[39]
간행물
The Discourse of Voluntary Martyrdom: Ancient and Modern
www.jstor.org/stable[...]
2012
[40]
서적
Dying for God Martyrdom and the Making of Christianity and Juda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41]
문서
1995
[42]
서적
Christians, persecution of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07
[43]
서적
Sacred Violence: African Christians and Sectarian Hatred in the Age of Augus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Making Sense of Bible Prophecy
Lulu
2008
[45]
서적
The Rise of Christianity
Fortress Press, Philadelphia
[46]
간행물
Christianization and religious conflict
1998
[47]
서적
Sacred Violence: African Christians and Sectarian Hatred in the Age of Augus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문서
Christianity & Paganism in the Fourth to Eighth Centuries
Yale University Press
1997
[49]
서적
Defending Constantine The Twilight of an Empire and the Dawn of Christendom
InterVarsity Press
2010
[50]
서적
Donatist Martyr Stories The Church in Conflict in Roman North Africa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96
[51]
서적
Soldiering for God Christianity and the Roman Army
Brill
2010
[52]
서적
Christianity Through the Centuries: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Zondervan
1996
[53]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and Reform
InterVarsity Press
[54]
서적
Sacred Violence: African Christians and Sectarian Hatred in the Age of Augus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Sacred Violence: African Christians and Sectarian Hatred in the Age of Augus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문서
Goths in the Fourth Century
[57]
서적
Changes in the Roman Empire: Essays in the Ordina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58]
간행물
St. Augustine's Attitude to Religious Coercion
[59]
서적
The Donatist Church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20
[60]
문서
Saeculum: History and Society in the Theology of St.Augustine
1970
[61]
서적
Mauritius und die Thebäische Legion: Akten des internationalen Kolloquiums: Freiburg, Saint-Maurice, Martigny, 17.-20. September 2003
https://www.worldcat[...]
Academic Press Fribourg
[62]
간행물
The Debate on Religious Coercion in Ancient Christianity
2013
[63]
서적
The Limits of Ancient Christianity: Essays on Late Antique Thought and Culture in Honor of R.A. Marku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9
[64]
백과사전
Toleration, History of
University of Michigan
[65]
웹사이트
Dumbarton Oaks Hagiography Database
https://www.doaks.or[...]
Harvard University
2022-04-11
[66]
서적
Christians, persecution of, Persian Empir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07
[6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Seleucid Parthi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The Legend of Mar Qardagh: Narrative and Christian Heroism in Late Antique Iraq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0]
문서
Fire from Heaven: Studies in Syriac Theology and Liturgy
Ashgate
2006
[71]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서적
History of the Jews in Babylonia
https://books.google[...]
Brill
[73]
서적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74]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in Babylonia, Part V: Later Sasanian Times
https://books.google[...]
Brill
[75]
서적
Armenia Christiana: Armenian Religious Identity and the Churches of Constantinople and Rome (4th–15th Century)
https://books.google[...]
Wydawnictwo Uniwersytetu Jagiellońskiego
[76]
서적
Th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ABC-CLIO
[77]
서적
A State of Mixture: Christians, Zoroastrians, and Iranian Political Culture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8]
서적
History and Identity in the Late Antique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The Legend of Mar Qardagh: Narrative and Christian Heroism in Late Antique Iraq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0]
웹사이트
The Persian conquest of Jerusalem in 614 compared with Islamic conquest of 638
http://www.alsadiqin[...]
2004
[81]
서적
The Armenian History Attributed to Sebeos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82]
웹사이트
The Persian Conquest of Jerusalem (614 CE) ––An Archaeological Assessment
https://bibleinterp.[...]
University of Arizona
2010
[83]
서적
Itineraria Phoenici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84]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Jews: A Microcosmos in the Thousand Year Empir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85]
간행물
Antiochus Strategos, The Capture of Jerusalem by the Persians in 614 AD
http://www.tertullia[...]
[86]
웹사이트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Mamilla cave, Jerusalem
http://www.antiquiti[...]
Yossi Nagar
2014-01-08
[87]
서적
Jews, Pagans and Christians in the Galilee: 25 Year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Surveys : Hellenistic to Byzantine Period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8]
웹사이트
Historians back BBC over Jewish massacre claim
http://www.thejc.com[...]
2015-03-30
[89]
문서
La persécution des chrétiens himyarites au sixième siècle
Nederlands Historisch-Archaeologisch Inst. in het Nabije Oosten
[90]
서적
The Throne of Adulis: Red Sea Wars on the Eve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91]
서적
The Jews of Arab Lands: A History and Source Book
Jewish Publication Society
[9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1: The First Crusade and the Foundation of the Kingdom of Jerusal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서적
Christian Martyrs under Islam: Religious Violence and the Making of the Muslim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94]
간행물
Decapitation of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Medieval Iberian Peninsula: Narratives, Images, Contemporary Perception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8-01
[95]
간행물
"The Martyrs of Córdoba: Community and Family Conflict in an Age of Mass Conversion'' (review)"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01
[96]
서적
Slave Soldiers and Islam: The Genesis of a Military System
https://books.google[...]
Daniel Pipes
[97]
서적
The Great Arab Conquests: How the Spread of Islam Changed the World We Live In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98]
서적
The History of the Conquest of Egypt, North Africa and Spain: Known as the Futuh
https://books.google[...]
Cosimo
2010-01
[99]
서적
Barbarians, Marauders, And Infidels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4-05-26
[100]
서적
Ibn Abd-el-Hakem's History of the conquest of Spain, ed. [with text and] tr. by J.H. Jones
https://books.google[...]
[101]
서적
The Myth of the Andalusian Paradise
https://books.google[...]
Open Road Media
2016-02-09
[102]
간행물
Being Married to a Non-Muslim Husband: Religious Identity in Muslim Women's Interfaith Marriages
Brill Publishers
[103]
간행물
Interfaith Marriage in Islam: An Examination of the Legal Theory Behind the Traditional and Reformist Positions
https://ilj.law.indi[...]
Indiana University Maurer School of Law
2021-08-25
[104]
웹사이트
The Pact of Umar
http://www.christian[...]
2015-03-24
[105]
문서
The Disappearance of Christianity from North Africa in the Wake of the Rise of Islam
[106]
논문
"''The Martyrs of Cordoba, 850–859. A Study of the Sources'' (review)"
Duk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Conference on Latin American History
1964-11
[107]
서적
Le'Expansion Nestorienne en Asie
https://books.google[...]
Gorgias Press, LLC
2013-11-13
[108]
서적
A History of Palestine, 634-109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2-27
[109]
논문
The Christian presence in North Africa under Almoravids Rule (1040–1147 CE): Coexistence or eradication?
[110]
서적
The Myth of the Andalusian Paradise: Muslims, Christians, and Jews Under Islamic Rule in Medieval Spain
https://books.google[...]
ISI Books
[111]
서적
Historia de los mozárabes de España: Bajo el gobierno de los virreyes (Años 711 a 756)
https://books.google[...]
Ediciones Turner
[112]
서적
Spanish Islam: A History of the Moslems in Spai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1-12
[113]
서적
Islam from the Prophet Muhammad to the Capture of Constantinople, Volume 2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4]
웹사이트
Profile of Eustratios of Agauros
https://www.johnsani[...]
2024-11-08
[115]
서적
The Emperor in the Byzantine World: Papers from the Forty-Seventh Spring Symposium of Byzantine Studies
https://www.taylorfr[...]
Routledge
[116]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Copts and Their Church
https://books.google[...]
[117]
서적
The Imam of the Christians: The World of Dionysius of Tel-Mahre, C. 750–850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4-20
[118]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1: the First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20]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1]
서적
The World of the Crusades: A Daily Life Encyclopedia: Volume 2
https://books.google[...]
ABC-CLIO
[122]
서적
Turkish Myth and Muslim Symbol: The battle of Mazikert
https://books.google[...]
2007-11-21
[123]
서적
Manzikert 1071: The Breaking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3-08-20
[124]
논문
Nomadization and Islamization in Asia Minor
https://www.jstor.or[...]
1975-03-26
[125]
서적
The Decline of Medieval Hellenism in Asia Mino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from the Eleventh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126]
서적
The Secrets of Ephesus
https://books.google[...]
ASLAN Publishing House
[127]
서적
Around Ephesus and Kuşadası
https://books.google[...]
ASLAN Publishing House
[128]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Battle of Lepanto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1987-08-22
[129]
서적
Byzance et les Turcs Seldjoucides dans l'Asie occidentale jusqu'en 1081
https://books.google[...]
1913
[130]
서적
The Decline of Medieval Hellenism in Asia Mino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from the Eleventh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1]
서적
The First Crusade: The Call from the East
https://books.google[...]
Vintage
[132]
서적
The First Crusade: The Call from the East
https://books.google[...]
Vintage
[133]
서적
The Collapse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Climate Change and the Decline of the East, 950-107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02
[134]
서적
Der Islam: Zeitschrift für geschichte und Kultur des islamischen Orients, Volume 83, Issues 1-2
https://books.google[...]
[135]
서적
The First Crusade: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https://books.google[...]
Bedford/St. Martin's
2014-12-26
[136]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12-03
[13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1. The First Hundred Years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1969
[138]
서적
The First Crusaders, 1095-113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39]
서적
East Meets West in the Middle Ages and Early Modern Times: Transcultural Experiences in the Premodern World
https://www.degruyte[...]
De Gruyter
[140]
서적
The Crusades and the Near East: Cultural Histor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1]
서적
The Crusader World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6
[142]
서적
Remembering the Crusades and Crusading
Routledge
[143]
서적
The Crusades from the Perspective of Byzantium and the Muslim World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144]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5]
웹사이트
Andrew R Murphy
https://vcu.academia[...]
academia.edu
[146]
간행물
Tolerance, Toleration, and the Liberal Tra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ournals
[147]
서적
In the Name of Heaven 3000 Years of Religious Persecution
Prometheus
2010
[148]
서적
The Crusades: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9]
서적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0]
서적
Cistercians, Heresy, and Crusade in Occitania, 1145–1229: Preaching in the Lord's Vineyard
Boydell Press
[151]
서적
The Occitan War: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of the Albigensian Crusade, 1209–121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2]
서적
The Southern French Nobility and the Albigensian Crusade
The Boydell Press
[153]
간행물
09.03.20, Marvin, The Occitan War
https://scholarworks[...]
Indiana University
2009-03-01
[154]
서적
The Wendish Crusade, 1147: The Development of Crusading Ideology in the Twelfth Century
Routledge
[155]
서적
The popes and the Baltic crusades, 1147–1254
Brill
[156]
서적
Medieval Germany: 1056–1273
Oxford University Press
[157]
서적
The Chronography of Bar Hebraeus
Gorgias Press
[158]
서적
The Eclipse of Chrostianity in Asia
https://books.google[...]
1967-09
[159]
서적
Christianity in Persia and the Status of Non-Muslims in Modern Ira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60]
서적
The Triumph of Christianity: How the Jesus Movement Became the World's Largest Religion
https://books.google[...]
Harper Collins
2011-10-25
[161]
서적
The Eclipse of Chrostianity in Asia
https://books.google[...]
1967-09
[162]
서적
Christians and Jews in the Ottoman Arab World: The Roots of Sectarian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3-25
[163]
서적
The Western Humanities
MayfieldPublishing
[164]
웹사이트
Leicestershire Lollards
https://www.le.ac.uk[...]
[165]
서적
Jan Hus: Reformation in Bohemia
Reformation Press
[166]
서적
Heresies of The High Middle Ages
Columbia
[167]
서적
The bad Popes
Dorset Press
[168]
서적
The Spiritual Franciscans: From Protest to Persecution in the Century After Saint Franci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69]
서적
The New Concise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5
[170]
서적
The fire, the star and the cross: minority religion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Iran
https://books.google[...]
I.B.Tauris
[171]
웹사이트
Nestorianism | Definition, History, & Church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02
[172]
성경
[173]
웹사이트
China's Religions Retrospect and Prospect
http://www.china.org[...]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2001-02-19
[174]
간행물
Christianity and Empire: The Catholic Mission in Late Imperial China
https://www.cambridg[...]
2018-05-14
[175]
서적
The Boxer Uprising: A Background Stud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6]
서적
The Boxer Rebellion: The Dramatic Story of China's War on Foreigners That Shook the World in the Summer of 1900
https://archive.org/[...]
Walker
[177]
서적
Reference Guide to Christian Missionary Societies in China: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M.E. Sharpe
2009
[178]
서적
Massacre in Shansi
http://archive.org/d[...]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4
[179]
서적
William Scott Ament and the Boxer Rebellion: Heroism, Hubris, and the "Ideal Missionary"
McFarland
2009
[180]
서적
A traveller's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Interlink Books
[181]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Praeger
[182]
서적
The Atlantic monthly, Volume 113 By Making of America Project
https://books.google[...]
Atlantic Monthly Co.
[183]
서적
Chiang Kai Shek: China's Generalissimo and the Nation He Lost
https://books.google[...]
Carroll & Graf Publishers
[184]
서적
Region and nation: the Kwangsi clique in Chinese politics, 1925–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5]
간행물
Missionary Review of the World
Princeton Press
1939
[186]
서적
A New Vision, a New Heart, a Renewed Call
https://books.google[...]
William Carey Library
2005
[187]
서적
China and Christianity: Burdened Past, Hopeful Fu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88]
서적
Warlords and Muslims in Chinese Central Asia: A Political History of Republican Sinkiang 1911-194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89]
문서
A. FRENCH REVOLUTION, New Catholic Encyclopedia v. 5, pp. 972–973 (Second Ed. 2002 Thompson/Gale)
[190]
서적
Western Civilization: Combined Volume
https://books.google[...]
Thomson Wadsworth
[191]
서적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in France Since 1789
https://books.google[...]
A&C Black
1991
[192]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Rethinking the Deb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3
[193]
서적
Resisting Rebell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6
[194]
웹사이트
Jones, Adam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http://www.genocidet[...]
Routledge/Taylor & Francis Publishers Forthcoming
2008-10-27
[195]
웹사이트
Three State and Counterrevolution in France by Charles Tilly
http://content.cdlib[...]
cdlib.org
2011-06-29
[196]
뉴스
Vive la Contre-Revolution!
https://query.nytime[...]
1989-07-09
[197]
간행물
Review of Reynald Secher, A French Genocide: The Vendée
https://www.h-france[...]
2004-03
[198]
학술지
Japanese Pentecostalism and the World of the Dead: a Study of Cultural Adaptation in Iesu no Mitama Kyokai
[199]
문서
Naramoto, p. 401.
[200]
웹사이트
Deportation & The Konkani Christian Captivity at Srirangapatna (1784 Feb. 24th Ash Wednesday)
http://www.daijiworl[...]
Daijiworld Media Pvt Ltd Mangalore
[201]
문서
Forrest
[202]
문서
The Gentleman's Magazine
[203]
웹사이트
Christianity in Mangalore
http://www.dioceseof[...]
Diocese of Mangalore
[204]
문서
Bowring
[205]
문서
K.L. Bernard, ''Kerala History ''
[206]
문서
William Dalrymple ''White Mughals'' (2006)
[207]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10
[208]
서적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9]
서적
The End of the Byzantine Empire
https://books.google[...]
Edward Arnold
[210]
학술지
The Policy of Mehmed II toward the Greek Population of Istanbul and the Byzantine Buildings of the City
[211]
서적
The End of the Byzantine Empire
[212]
서적
The Fall of Constantinople
[213]
서적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214]
간행물
History of Rape and Rape Laws
https://heinonline.o[...]
2020-10-12
[215]
서적
Constantinople: City of the World's Desire 1453–1924
St. Martin's Press
2020-08-07
[216]
서적
Constantinople: The Last Great Siege, 1453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09-08-06
[217]
서적
The Shade of Swords: Jihad and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5-03
[218]
서적
The Medieval Siege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19]
서적
The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A Chronicle by George Sphrantzes, 1401–1477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80
[220]
서적
Conversion to Islam in the Balkans: ''Kisve Bahası'' Petitions and Ottoman Social Life, 1670–1730
Brill
2004
[221]
서적
Albanian Identities
[222]
서적
Albanian Identities
International Center for Minority Studies and Intercultural Relations
2000
[223]
웹사이트
Albanian Identities
http://pdc.ceu.hu/ar[...]
International Centre for Minority Studies and Intercultural Relation
2000
[224]
논문
The Consolidation of Albanian Nationalism
https://hdl.handle.n[...]
University of Michigan
2007
[225]
서적
[226]
서적
[227]
서적
[228]
서적
[229]
서적
[230]
서적
[231]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간행물
Representations of Place: Albania
1999
[237]
웹사이트
Albania – Hoxha's Antireligious Campaign
http://www.country-d[...]
1992-04
[238]
서적
Albania : a country study (Area Handbook for Albania)
Library of Congress; Federal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the Army
1994
[239]
뉴스
Albania finds religion after decades of atheism
https://www.chicagot[...]
2007-04-18
[240]
웹사이트
The country that's famous for tolerance
http://www.bbc.com/t[...]
BBC
2016-11-03
[241]
뉴스
As Albania Reckons With Its Communist Past, Critics Say It's Too Late
https://www.nytimes.[...]
2017-02-26
[242]
웹사이트
Christians live in fear of death squads
http://www.irinnews.[...]
2006-10-19
[243]
간행물
The state and pre-colonial demographic history: the case of nineteenth century Madagascar
1991-10
[244]
문서
Laidler
2005
[245]
간행물
Since 1800 in Madagascar; 1877–1878
Daldy, Isbister & Co
[246]
서적
World Fascism: A-K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46]
서적
Nazi Culture: Intellectual, Cultural and Social Life in the Third Reic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3
[24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Nazi German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7
[24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
[246]
서적
Germany: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47]
웹사이트
Persecution and Resistance of Jehovah's Witnesses During the Nazi-Regime 1938–1945
https://www.holocaus[...]
2000-10
[248]
서적
Persecution and resistance of Jehovah's Witnesses during the Nazi regime, 1933–1945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49]
웹사이트
Jehovah's Witnesses in Germany: From the 1890s to 1945
https://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3-01-02
[250]
서적
Muslim-Christian Relations in Late-Ottoman Palestine: Where Nationalism and Religion Intersect
Palgrave Macmillan
2016
[251]
서적
Assyrians, Kurds, and Ottomans: intercommunal relations on the periphery of the Ottoman Empire
Cambria Press
2008
[252]
간행물
The 1850 Events in Aleppo: An Aftershock of Syria's Incorporation into the Capitalist World System
[253]
문서
[254]
서적
Religion, Ethnicity and Contested Nationhood in the Former Ottoman Space
Brill
2011
[255]
서적
The Balkans
1896
[256]
서적
Agha, Shaikh and State: The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of Kurdistan
Bloomsbury Academic
1992
[257]
서적
The Shade of Swords: Jihad and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Lotus Collection
[258]
서적
The Innocents Abroad
https://books.google[...]
Collins Clear-Type Press
[25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rmenia
Scarecrow
2010
[260]
문서
The Thirty-Year Genocide
Harvard University Press
[261]
서적
A Shameful Act: The Armenian Genocide and the Question of Turkish Responsibility
Metropolitan Books
[262]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5. Eastern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3]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264]
서적
The forgotten genocide: eastern Christians, the last Arameans
Gorgias Press LLC
[265]
서적
Assyrians and Ottomans: intercommunal relations on the periphery of the Ottoman Empire
Cambria Press
[266]
문서
"The Cilician Massacres, April 1909"
Mazda Publishers
[267]
서적
Century of Genocide
Routledge
[26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rmenia
Scarecrow Press
[269]
웹사이트
The Assyrian Genocide of 1915
http://www.seyfocent[...]
2009-04-18
[270]
웹사이트
Tsitsernakaberd Memorial Complex
http://www.genocide-[...]
Armenian genocide Museum-Institute
[271]
뉴스
Armenian Genocide of 1915: An Overview
https://www.nytimes.[...]
2007-12-07
[272]
문서
American Accounts Documenting the Destruction of Smyrna by the Kemalist Turkish Forces: September 1922
Caratzas
[273]
문서
Der Völkermord an den Armeniern und die Shoah
Chronos
[274]
서적
Armenia, the Survival of a Natio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74]
서적
A Shameful Act: The Armenian Genocide and the Question of Turkish Responsibility
[275]
서적
Assyrians: the continuous saga
https://books.google[...]
F.A. Aprim
2005-01
[276]
서적
Death by Government
[277]
뉴스
Lebanon's dark days of hunger: The Great Famine of 1915–18
2015-04-14
[278]
문서
Harris 2012
[279]
문서
The Plight of Religious Minorities: Can Religious Pluralism Survive?
United States Congress
[280]
문서
The Armenian Genocide: Wartime Radicalization Or Premeditated Continuum
[281]
서적
Not Even My Name: A True Story
[282]
서적
The Political Dictionary of Modern Middle East
[283]
서적
The Thirty-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Harvard University Press
[284]
간행물
The thirty year genocide: Turkey's destruction of its Christian minorities, 1894–1924
Routledge
[285]
뉴스
Then Came the Chance the Turks Have Been Waiting For: To Get Rid of Christians Once and for All
https://www.haaretz.[...]
2021-11-04
[286]
문서
Muslim-Christian relations and Inter-Christian rivalries in the Middle East
[287]
서적
Eastern Europe, Russia and Central Asia
Taylor & Francis
[288]
문서
World Christian trends, AD 30-AD 2200
[289]
간행물
Cross meets Kremlin
http://www.time.com/[...]
2001-06-24
[290]
서적
Storming the Heavens: The Soviet League of the Militant Godless
Cornell University Press
[291]
문서
Antireligioznik (The Antireligious, 1926–41), Derevenskii Bezbozhnik (The Godless Peasant, 1928–1932), and Yunye Bezbozhniki (The Young Godless, 1931–1933).
[292]
서적
History of the Orthodox Church in the History of Russian
St Vladimir's Press
[293]
서적
A History of Marxist-Leninist Atheism and Soviet Antireligious Policies
Palgrave Macmillan
[294]
서적
Religion, State and Politics in the Soviet Union and Successor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5]
서적
A History of Soviet Atheism in Theory, and Practice, and the Believer, vol 1: A History of Marxist-Leninist Atheism and Soviet Anti-Religious Policies
St Martin's Press, New York
[296]
문서
Gonimaia Tserkov'
Vseslavianskoe izdatel'stvo
[297]
간행물
"'I am an atheist and a Muslim': Islam, communism, and ideological competition."
[298]
서적
Religion and the State in Russia and China: Suppression, Survival, and Revival
Bloomsbury Publishing
2011
[299]
문서
Religion and the State in Russia and China: Suppression, Survival, and Revival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00]
서적
Inside Central Asia: A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Penguin
[301]
서적
Religion and the Cultural Crisis in India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Intercultural Publications
[302]
간행물
Forced Secularization in Soviet Russia: Why an Atheistic Monopoly Failed
2004-03
[303]
간행물
"Russia's postcommunist past: the Cathedral of Christ the Savior and the reimagining of national identity."
[304]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305]
서적
Storming the Heavens: The Soviet League of the Militant Godles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306]
서적
President of Lithuania: Prisoner of the Gulag a Biography of Aleksandras Stulginskis
Genocide and Research Center of Lithuania
[307]
서적
Christ Is Calling You: A Course in Catacomb Pastorship
Saint Hermans Press
1997-04
[308]
서적
Storming the Heavens: The Soviet League of the Militant Godless
Cornell University Press
[309]
서적
The Plot to Kill God: Findings from the Soviet Experiment in Secular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08-06
[310]
서적
National Identity in Russian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2-02
[311]
서적
The Destruction of Memory: Architecture at War
Reaktion Books
2016-02-15
[312]
서적
Catholicism and Politics in Communist Societies
Duke University Press
1990
[313]
서적
Psychology, Religion, and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
[314]
웹사이트
Martyrdom (Country-by-country statistics)
https://brill.com/vi[...]
Brill Academic Publishers
[315]
서적
Con Cristo o contra Cristo: Religión y movilización antirrepublicana en Navarra (1931–1936)
Txalaparta
2013
[316]
논문
Religious Persecution, Anticlerical Tradition and Revolution: On Atrocities against the Clergy during the Spanish Civil War
[317]
서적
The Spanish Holocaust: Inquisition and Extermination in Twentieth-Century Spain.
HarperCollins
[318]
논문
Dies irae. La persecuzione religiosa nella zona repubblicana durante la guerra civile spagnola (1936–1939)
[319]
서적
A History of Spain and Portugal vol. 2
2023-01-02
[320]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Franklin Watts
1983
[321]
서적
Franco and Hitler: Spain, Germany, and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
[322]
논문
Ungodly Subjects: Protestants in National-Catholic Spain, 1939–53
http://eprints.white[...]
Sage
2014-12-18
[323]
서적
The Battle for Spain: The Spanish Civil War 1936-1939
https://books.google[...]
Penguin
[324]
뉴스
What Is It About Mormonism?
https://www.nytimes.[...]
2008-01-06
[325]
간행물
Church History in the Fulness of Times, Student manual (Religion 341, 342, and 343)
"[[Institute of Religion]], [[Church Educational System]], [[LDS Church]]"
[326]
간행물
Church History and Modern Revelation
"[[Deseret Book]]"
1946–1949
[327]
문서
One Hundred Percent American: The Rebirth and Decline of the Ku Klux Klan in the 1920s
[328]
문서
Gospel According to the Klan: The KKK's Appeal to Protestant America, 1915–1930
[329]
서적
The A to Z of Moldova
Scarecrow Press
2010-05-26
[330]
문서
Paul VI, the First Modern Pope
HarperCollins Religious
[331]
문서
Rising '44: the Battle for Warsaw
Viking
[332]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333]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334]
뉴스
Anti-Communist Priest Gheorghe Calciu-Dumitreasa
http://www.washingto[...]
2006-11-26
[335]
뉴스
Anti-Communist Priest Gheorghe Calciu-Dumitreasa
The Washington Post
2006-11-26
[336]
뉴스
Pope calls Christians the most persecuted
https://news.yahoo.c[...]
2010-12-16
[337]
웹사이트
Archbishop Silvano Tomasi's Address to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teractive Dialogue
https://zenit.org/20[...]
2020-10-07
[338]
웹사이트
Persecution of Christians in 2016
https://us11.campaig[...]
2017
[339]
웹사이트
Are there really 100,000 new Christian martyrs every year?
https://www.bbc.com/[...]
2013-11-12
[340]
웹사이트
Christenverfolgung auf einen Blick
https://www.igfm.de/[...]
2019-08-14
[341]
웹사이트
2018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3-01-02
[342]
서적
The Price of Freedom Denied: Religious Persecution and Conflict in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3]
웹사이트
Persecution of Christians review: Foreign Secretary's speech following the final report
https://www.gov.uk/g[...]
2019-07-08
[344]
웹사이트
How Religious Restrictions Have Risen Around the World
https://www.pewforum[...]
2019-07-15
[345]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How Religious Restrictions Have Risen Around the World
https://www.pewresea[...]
2023-01-02
[346]
웹사이트
Quotes from experts on the future of democracy
https://www.pewresea[...]
2020-02-21
[347]
웹사이트
About Us
https://ishr.org/abo[...]
Inter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
[348]
웹사이트
Martin Lessenthin Executive and press spokesman for the ISHR
https://www.igfm.de/[...]
International Society for Human Rights (ISHR)
2020-10-04
[349]
웹사이트
Christians: The world's most persecuted people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2014-07-28
[350]
웹사이트
Christianity under global threat due to persecution, says report
https://www.theguard[...]
2015-10-13
[351]
간행물
Christian privilege and the promotion of "secular" and not-so "secular" mainline Christianity in public schooling and in the larger society
[352]
웹사이트
In U.S., Decline of Christianity Continues at Rapid Pace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9-10-17
[353]
웹사이트
Christians remain world's largest religious group, but they are declining in Europe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17-04-05
[354]
웹사이트
Christians faced widespread harassment in 2015, but mostly in Christian-majority countries
https://www.pewresea[...]
Pew
2017-06-09
[355]
웹사이트
2019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Eritrea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356]
웹사이트
2019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Mexico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357]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How Religious Restrictions Have Risen Around the World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9-07-15
[358]
서적
The Price of Freedom Denied: Religious Persecution and Conflict in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59]
웹사이트
WORLD WATCH LIST 2020
https://www.opendoor[...]
Open Doors
2020-10-07
[360]
웹사이트
The Religion-State Relationship and the Right to Freedom of Religion or Belief: A Comparative Textual Analysis of the Constitutions of Predominantly Muslim Countries
https://www.uscirf.g[...]
UNITED STATE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361]
웹인용
"World Watch List-Countries", Open Doors
https://www.opendoor[...]
2018-12-09
[362]
웹사이트
Open Doors: https://www.opendoors.de/christenverfolgung/weltverfolgungsindex
https://web.archive.[...]
2012-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