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성 연구개 마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연구개 마찰음은 혀의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자음이다. 국제 음성 기호로는 [x]로 표기하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러시아어의 'х', 스페인어의 'j'와 'g', 독일어의 'ch', 한국어의 'ㅎ' 등이 이 소리를 나타내는 예시이다. 이 음이 없는 언어에서는 무성 성문 마찰음 [h]이나 무성 연구개 파열음 [k] 등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성 연구개 마찰음
음성 기호 정보
국제 음성 기호[x]
번호140
십진수120
X-SAMPAx
키르셴바움x
브라유x
발음 설명
설명무성 연구개음
마찰음
참고ɣ
χ
ɰ̊

ɣ̞̊
ɣ̊˕
ɯ̊

2. 조음 방법


  • 기류는 폐기류기구에서 나오며, 발성 시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1]
  • 구강 내 기류는 혀의 중앙을 통과하는 중선음이며, 조음 기관의 접근도를 좁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켜 마찰음을 만든다.[1]
  • 구개범을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이다.[1]

2. 1. 조음 위치

무성 연구개 마찰음 (x)


후설면과 연구개에 의한 연구개음이다.[1]

2. 2. 조음 방식


  • 기류 발생원 - 폐기류기구에서의 호기이다.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 조음
  • * 조음 위치 - 후설면과 연구개에 의한 연구개음이다.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을 기류가 통과하는 중선음이다.
  • ** 조음 기관의 접근도 - 틈을 만들어 공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고, 거기에 기류를 통과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마찰음이다.
  • ** 구개범의 위치 - 구개범을 들어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이다.

2. 3. 변이음

IPA설명
style="font-size:1.714em" |무성 연구개 마찰음
style="font-size:1.714em" |순립화된
style="font-size:1.714em" |방출
style="font-size:1.714em" |방출 순립화된
style="font-size:1.714em" |반순립화된
style="font-size:1.714em" |강하게 순립화된
style="font-size:1.714em" |구개화된
style="font-size:1.714em" |방출 구개화된


3. 언어별 사용

러시아어 Х, 아삼어 श, ष, स, 스페인어 j와 /e, i/ 앞의 g, 표준 중국어 병음 h, 아일랜드어의 모든 넓은 자음 ch와 t 앞의 좁은 자음 ch에서 이 소리가 난다. 쿠르드어 x, 슬로베니아어 h,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ch, 롬어 범 블락스 라틴 문자 표기의 ch, 독일어 /a, o, u/ 뒤의 ch, 아랍어 خ, 촐어 j에서도 이 소리가 난다.

이 음은 특히 슬라브어에 많이 나타난다. 이 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언어에 차용된 경우, 무성 성문 마찰음([h]), 무성 연구개 파열음([k])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에서는 撥音이나 促音이 ハ행 앞에 올 경우(바흐, 상하이 등)에 이 음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외래어에서는 ハ행으로 표기한다. 영어로 차용된 경우, [h]나 [ks](주로 스페인어에서 온 경우), [k](독일어, 러시아어 등에서 온 경우)로 대체하거나 원음에 가깝게 [x]로 발음하기도 한다. 또한, 표기에 있어서 kh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예: 아람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 ㅎ는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는 무성 성문 마찰음 [h]으로 소리 나지만, 받침으로 쓰일 때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 [x]로 소리 난다.[1]

3. 2. 기타 언어

언어단어IPA의미참고
러시아어хороший|horošijru[xɐˈr̠ʷo̞ʂɨ̞j]'좋은'러시아어 음운론 참조[2]
아삼어অসমীয়া/oxomiaas[ɔxɔmia]'아삼어'
스페인어ojoes[ˈo̞xo̞]'눈'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표준 중국어河/hécmn[xɤ˧˥]'강'표준중국어 음운론 참조
아일랜드어deochga[dʲɔ̝̈x]'마시다'아일랜드어 음운론 참조
한국어흥정/heungjeong한국어[xɯŋd͡ʑʌ̹ŋ]'흥정'앞에서 의 변이음. 한국어 음운론 참조
쿠르드어xanîku[xɑːˈniː]'집'쿠르드어 음운론 참조
슬로베니아어pohlepsl[poˈxlɛ̂p]'탐욕'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체코어chlapcs[xlap]'남자'체코어 음운론 참조
슬로바키아어chlapsk[xɫäp]'남자'
폴란드어chlebpl[xlɛp]'빵'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롬어범 블락스 라틴 문자 표기의 ch에서 이 소리가 난다.
독일어Buchde[buːx]'책'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아랍어خَضْرَاء|xadˤraːʔar[xadˤraːʔ]녹색(여성)아랍어 음운론 참조
촐어j에서 이 소리가 난다.


4. 음운 변화

무성 연구개 마찰음은 다른 음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이 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언어에 차용된 경우, 무성 성문 마찰음([h]), 무성 연구개 파열음([k])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1]

일본어에서는 撥音이나 促音がハ行 앞에 올 경우(바흐, 상하이 등)에 이 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어로 차용된 외래어에서는 ハ行으로 표기한다.[1]

영어로 차용된 경우, [h]나 [ks] (주로 스페인어에서 온 경우), [k] (독일어, 러시아어 등에서 온 경우)로 대체하거나 원음에 가깝게 [x]로 발음하기도 한다. 또한, 표기할 때 kh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아르메니아인 작곡가인 아람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의 이름은 영어로 Aram '''Kh'''achaturian으로 표기되어 있다).[1]

5. 다른 소리와의 관계


  • 기류 발생은 폐기류기구에서의 호기로 이루어진다.
  • 발성은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 조음은 다음과 같다.
  • * 조음 위치 - 후설면과 연구개에 의한 연구개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을 기류가 통과하는 중선음.
  • ** 조음 기관의 접근도 - 틈을 만들어 공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고, 거기에 기류를 통과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마찰음.
  • ** 구개범의 위치 - 구개범을 들어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


5. 1. 인접 마찰음

인접 마찰음입천장연구개목젖
무성çxχ
유성ʝɣʁ


6. 차용 및 대체

무성 연구개 마찰음은 다음과 같은 언어에서 나타난다.



특히 슬라브어에 많이 나타난다.

이 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언어에 차용된 경우, 무성 성문 마찰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에서는 撥音이나 促音がハ行 앞에 올 경우(바흐, 상하이 등)에 이 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어로 차용된 외래어에서는 ハ行으로 표기한다. 영어로 차용된 경우, 무성 성문 마찰음이나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주로 스페인어에서 온 경우), 무성 연구개 파열음(독일어, 러시아어 등에서 온 경우)으로 대체하거나 원음에 가깝게 무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또한, 표기에 있어서 kh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아르메니아인 작곡가인 아람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의 이름은 영어로 Aram '''Kh'''achaturian으로 표기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lackfoot Pronunciation and Spelling Guide http://www.native-la[...] 2007-04-10
[2]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웹사이트 Annexe 4: Linguistic Variables https://web.archive.[...] 2014-12-03
[7] 웹사이트 University of Essex :: Department of Language and Linguistics :: Welcome http://www.essex.ac.[...] Essex.ac.uk 2013-08-01
[8] 논문
[9] 저널 Japanese https://www.cambridg[...] 2022-07-14
[10] 논문
[11] 논문
[12] 웹사이트 Nordavinden og sola: Opptak og transkripsjoner av norske dialekter https://web.archive.[...] 2015-04-13
[13] 간행물 The Gaelic of Leurbost Norsk Tidskrift for Sprogvidenskap
[14] 논문
[15]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